KR100407064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064B1
KR100407064B1 KR10-1998-0058257A KR19980058257A KR100407064B1 KR 100407064 B1 KR100407064 B1 KR 100407064B1 KR 19980058257 A KR19980058257 A KR 19980058257A KR 100407064 B1 KR100407064 B1 KR 100407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ewatering tank
strok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3431A (ko
Inventor
히로유키 후지이
후미오 오타
유코 오무라
순지 이마이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6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攪拌) 날개를 회전시키는 일 없이 급수(給水) 개시와 동시에 세제를 용해시키고, 또한 용해시킨 세탁수(洗濯水)를 교반 날개를 회전시키는 일 없이 세탁물 전체에 골고루 살수(撒水)함으로써, 세탁 시간의 유효 활용 및 세정력의 확보나 세탁 얼룩의 저감을 도모함과 아울러, 세탁물의 손상이나 엉킴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조(外槽)(1)내에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하고, 이 세탁 겸 탈수조(2)의 안쪽 바닥부에 교반 날개(8)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마련하여, 세탁 겸 탈수조(2)를 모터(5)에 의해 구동시키고, 제어 수단에 의해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급수하는 급수 밸브(10), 모터(5)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행정을 제어한다. 제어 수단은, 급수하면서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시키는 제 1 행정과,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에 의해 외조(1)와 세탁 겸 탈수조(2) 사이로부터 세탁 겸 탈수조(2) 내로 세탁수를 살수하는 제 2 행정을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시의 기계력(機械力)에 의한 의류의 손상이나 엉킴을 최대한 적게 함과 동시에, 세탁수(洗濯水)의 효과적인 작용에 의해서 오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의 대표적인 세탁 방식 중 하나인 맥동 장치(pulsator)식 세탁기의 구성을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조(外槽)(30)는 바닥부에 교반(攪拌) 날개(31)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치한 세탁 겸 탈수조(32)를 내부에 포함하고, 서스펜션 로드(suspension rod)(33)에 의해 세탁기 외부 프레임(34)에 매달려 있다. 모터(35)는 V 벨트(36) 및 감속 기구 겸 클러치(37)를 거쳐 교반 날개(31) 또는 세탁 겸 탈수조(32)를 구동시킨다. 배수(排水) 밸브(38)는 세탁 겸 탈수조(32)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고, 급수(給水) 밸브(39)는 세탁 겸 탈수조(32) 내에 물을 급수하는 것이다.
세탁 겸 탈수조(32)에는 탈수 시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유체(流體) 평형기(fluidic balancer)(40)를 마련하고, 세탁 겸 탈수조(32)의 상부에는 덮개(41)를 마련하고 있다. 제어 장치(42)는 모터(35), 배수 밸브(38), 급수 밸브(39) 등을제어하여, 세탁, 헹굼, 탈수의 각 행정을 순서대로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하면, 세탁 겸 탈수조(32)에 세탁물과 소정량의 세제를 투입한 후에 세탁을 개시하면, 제어 장치(42)에 의해 급수 밸브(39)가 제어되어 세탁 겸 탈수조(32) 내에 소정량의 물이 급수되고, 그 후 제어 장치(42)에 의해 모터(35)가 제어되어 교반 날개(31)가 회전한다. 교반 날개(31)의 회전에 의해서 세탁 겸 탈수조(32) 내의 세탁물과 물이 교반되고, 이 교반에 의해 세제가 서서히 용해되어 세탁수(洗濯水)로 됨으로써, 세탁물의 오염에 작용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성의 세탁기의 경우, 투입된 세제를 용해시키기 위해 교반 날개(31)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세탁물이나 물을 교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경우 세탁물에 과도한 기계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세탁 겸 탈수조(32)에 소정량의 물을 급수하고 나서 교반 날개(31)에 의한 교반을 행하고 있었다.
결국, 소정량의 물이 급수될 때까지는 교반 날개(31)를 교반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 급수 시간은 세탁물의 오염 제거의 관점에서 볼 때에는 의미가 없는 것이었다. 또한, 급수된 물은 세탁물에 그대로 스며들게 되고, 이 경우 교반 개시에 따라 용해되기 시작한 세제가 세탁물 전체에 침투하여, 오염 제거에 필요한 농도로 균일화될 때까지 소정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 경우에도 오염 제거의 관점에서 보아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되었다.
또한, 세제가 세탁물에 충분히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교반 날개(31)에 의한 교반을 개시하는 것은 세탁물의 손상이라는 관점에서도 비효율적이다. 결국, 세탁물에 세제가 스며들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세탁물을 교반시키면, 큰 마찰력이 세탁물 표면에 가해지게 되어, 그 결과 세탁물 표면에 보풀이 일어나는 등의 손상이 생기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반 날개를 회전시키지 않고 급수 개시와 동시에 세제를 용해시키고, 또한 용해시킨 세탁수를 교반 날개를 회전시키지 않고서 세탁물 구석구석에 골고루 살수시킴으로써 세탁 시간의 유효 활용 및 세정력의 확보나 세탁 얼룩의 감소를 도모함과 동시에, 세탁물의 손상이나 엉킴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세탁기의 종(縱)단면도,
도 2는 동 세탁기의 블럭 회로도,
도 3은 동 세탁기의 주요부 동작 타이밍차트,
도 4는 동 세탁기의 제 2 행정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세탁기의 블럭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세탁기의 블럭 회로도,
도 7은 동 세탁기의 회전 제어 수단의 블럭 회로도,
도 8은 동 세탁기의 제 1 행정을 실행할 때의 주요부 동작 타이밍차트,
도 9는 동 세탁기의 제 2 행정까지 실행할 때의 주요부 동작 타이밍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세탁기의 주요부 동작 타이밍차트,
도 11은 종래의 세탁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조2 : 세탁 겸 탈수조
5 : 모터(구동 수단)8 : 교반 날개
10 : 급수 밸브(급수 수단)14 : 제어 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조 내에 세탁 겸 탈수조를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하고, 이 세탁 겸 탈수조의 안쪽 바닥부에 교반 날개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마련하여, 세탁 겸 탈수조를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시키고, 제어 수단에 의해 세탁 겸 탈수조 내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 구동 수단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행정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되, 제어 수단은 급수하면서 세탁 겸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제 1 행정과, 세탁 겸 탈수조의 회전에 의해 외조와 세탁 겸 탈수조 사이에서 세탁 겸 탈수조 내로 세탁수를 살수하는 제 2 행정을 갖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급수 행정의 개시 단계에서부터 세탁수를 세탁물의 오염에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세탁수를 세탁물 구석구석에 골고루 살수시켜서오염에 작용시킴으로써, 세탁물에 기계력을 가하지 않고 오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의 손상이나 엉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의 발명은, 외조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한 세탁 겸 탈수조와, 이 세탁 겸 탈수조의 안쪽 바닥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마련한 교반 날개와,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내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과,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급수 수단, 구동 수단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행정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수단은 급수하면서 세탁 겸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제 1 행정과, 상기 세탁 겸 탈수조의 회전에 의해 외조와 세탁 겸 탈수조 사이에서 세탁 겸 탈수조 내로 세탁수를 살수하는 제 2 행정을 갖는 것이며, 제 1 행정에서, 급수 행정의 개시 단계에서부터 세탁수를 세탁물의 오염에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 2 행정에서, 세탁수를 세탁물 구석구석에 골고루 살수시켜 오염에 작용시킴으로써, 세탁물에 기계력을 가하는 일 없이 오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손상이나 엉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특징의 발명은, 상기 제 1 특징의 발명에 있어서, 세탁 겸 탈수조 내의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세탁물량 검지 수단을 구비하되, 제어 수단은 세탁물량 검지 후에 제 1 행정을 개시하도록 한 것이며, 세탁물량 검지 후에 급수 개시와 동시에 세탁수를 직접 세탁물에 스며들도록 할 수 있다.
제 3 특징의 발명은, 상기 제 1 특징 또는 제 2 특징의 발명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제 1 또는 제 2 행정 중 적어도 한쪽을 수위에 따라 세탁 겸 탈수조의 회전수를 가변 가능하게 한 것이며, 최적의 세제 용해 및 최적의 세탁수 살수를 가능하게 한다.
제 4 특징의 발명은, 상기 제 1 특징 내지 제 2 특징의 발명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제 2 행정에서, 위쪽으로부터의 살수를 간헐적으로 실행하도록 한 것이며, 세탁수의 거품이 일어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제 5 특징의 발명은, 상기 제 3 특징의 발명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제 2 행정에서, 위쪽으로부터의 살수를 간헐적으로 실행하도록 한 것이며, 세탁수의 거품이 일어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조(1)는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한 세탁 겸 탈수조(2)를 내부에 포함하고, 서스펜션 로드(3)에 의해 세탁기 외부 프레임(4)에 매달려 있다. 모터(구동 수단)(5)는 V 벨트(6) 및 감속 기구(7)를 거쳐 세탁 겸 탈수조(2)와, 세탁 겸 탈수조(2)의 안쪽 바닥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치된 교반 날개(8)를 회전 구동한다. 커버 부재(9)는 외조(1)의 상부에 마련된 살수용 토출(吐出)부를 형성하는 것이고, 급수 밸브(급수 수단)(10)는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물을 급수하는 것이며, 수위 검지 수단(11)은 외조(1)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것이고, 배수 밸브(12)는 외조(1)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것이다.
제어 장치(1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 수단(14)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하여, 파워 스위칭 수단(15)을 거쳐 모터(5), 급수 밸브(10), 배수 밸브(12) 등의 동작을 제어하고, 세탁, 헹굼, 탈수 등 일련의 행정을 순서대로 제어한다. 입력 설정 수단(16)은 운전 코스 등을 설정하는 것이고, 제어 수단(14)은 입력 설정 수단(16)으로부터의 정보를 입력하여, 그 정보를 기초로 표시 수단(17)에 표시해서 사용자에게 알린다. 기억 수단(18)은 제어 수단(14)에 의해 제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또, 참조 부호 (19)는 상용(商用) 전원, 참조 부호 (20)은 전원 스위치이다.
여기서, 제어 수단(14)은 세탁 행정에 있어서, 급수하면서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시키는 제 1 행정과,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에 의해 외조(1)와 세탁 겸 탈수조(2) 사이로부터 세탁 겸 탈수조(2) 내로 세탁수를 살수하는 제 2 행정을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동작을 설명하면, 세탁 겸 탈수조(2)에 세탁물과 세제를 투입한 후, 급수 밸브(10)를 작동시켜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급수하면서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시키는 제 1 행정을 실행한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 S1에 도달하는 T1까지의 기간 동안, 세탁 겸 탈수조(2)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수 R1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시키면서 급수를 실행한 경우,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교반력에 의해서, 투입된 세제가 용해되기 시작하고, 도 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세탁수 농도는 회전 개시와 동시에 상승한다. 그리고, 일시적으로 100%를 넘는 고농도 상태를 거쳐, 최종적으로는 거의 100%의 농도에 도달한다.
이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시키면서 설정 수위까지 급수하는 것이 제 1 행정의 동작이다. 이 제 1 행정 T1까지의 기간 동안에 고농도의 세탁수가 세탁물에 서서히 침투하여 오염에 작용하고,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서 세탁수가 세탁물을 통과하여 세탁물의 오염에 작용한다. 또한, 이 제 1 행정에서는 세탁물에 직접 마찰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세탁물을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다음에, 제 2 행정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수위가 S1에 도달한 T1의 시점에서, 급수 밸브(10)의 급수를 정지하고,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가 상승한다.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가 상승함에 따라 세탁 겸 탈수조(2)의 세탁물을 교반시키는 힘이 증대되어,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수면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가 하강하고, 세탁 겸 탈수조(2)와 외조(1) 사이가 상승하여, 결국에는 세탁 겸 탈수조(2)의 상단부 높이를 넘어서 세탁 겸 탈수조(2) 내부로 살수된다. 회전수 R2는 미리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세탁수가 살수되는 회전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T1에서부터 T2까지의 기간 동안에 세탁수가 세탁 겸 탈수조(2)의 상부로부터 살수되어, 세탁물 속을 통과 순환하는 행정이 제 2 행정의 동작이다. 이 행정에 의해서, 세탁물로의 세탁수 공급을 세탁물 전체에 골고루 실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살수된 세탁수가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서 세탁물 속을 반복 통과하여 순환하고, 이 세탁수의 반복 통과에 의해서 세탁물에 흡착된 오염이 제거된다. 또한, 이 제 2 행정에서도 세탁수의 살수, 통과 시에 세탁물이 직접 교반되지 않기 때문에, 세탁물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실시예 2)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검지 수단(21)은 홀 IC 등으로 구성하며, 모터(5)에 장착되어 있다. 세탁물량 검지 수단(22)은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것으로, 회전 검지 수단(21)의 출력을 입력받아,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세탁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모터(5)에 의해 교반 날개(8)를 구동시킨 후, 구동을 정지하였을 때의 교반 날개(8)의 회전수 저하 정도에 의해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세탁물량을 검지한다. 제어 수단(23)은 세탁물량 검지 수단(22)의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 종류 존재하는 세탁 수위를 어느 정도 수위로 설정할 것인지 결정하고, 세탁물량 검지 후에 제 1 행정을 개시하도록 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하면,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세탁물과 세제를 투입한 후, 운전을 개시하면, 제어 수단(23)에 의해 모터(5)가 작동하여 교반 날개(8)가 교반됨으로써 세탁물을 일정 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이 때, 회전 검지 수단(21)에 발생하는 신호는 세탁물량 검지 수단(22)으로 송신되고, 그 신호에 따라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있는 세탁물의 양을 검지한다. 세탁물량 검지 수단(22)에 의해 세탁물의 양을 검지한 후, 제어 수단(23)은 세탁물의 양에 따른 세탁 시의 수위를 설정하고, 급수 밸브(10)를 작동시켜 급수를 개시함과 동시에, 세탁 겸 탈수조(2)가 회전을 시작하여 제 1 행정을 개시한다.
따라서, 세탁물의 양에 적합한 수위까지 급수하면서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시킴으로써, 급수 개시와 동시에 세탁수를 직접 세탁물에 스며들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24)은 모터(5)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 수단(25)을 구비하고 있고, 회전 제어 수단(25)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검지 수단(21)의 출력으로부터 회전수를 검지하는 회전수 검지 수단(26)과, 수위 검지 수단(11)의 출력으로부터 회전수를 설정하는 회전수 설정 수단(27)과, 회전수 검지 수단(26)의 출력과 회전수 설정 수단(27)의 출력을 비교하는 회전수 비교 수단(28)과, 회전수 비교 수단(28)의 출력에 의해 파워 스위칭 수단(15)의 도통각(導通角)을 설정하는 도통각 설정 수단(29)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수위는 수위 검지 수단(11)에 의해 검지되고, 그 정보는 회전수 설정 수단(27)으로 전송된다. 회전수 설정 수단(27)에는, 수위에 따른 모터(5)의 적정 회전수가 설정되어 있고, 제 1 또는 제 2 행정 중 적어도 한쪽을 수위에 따라서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급수하면서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시키는 제 1 행정에서의 동작을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세탁물과 세제를 투입한 후 운전을 개시하면, 제어 수단(24)에 의해서 급수 밸브(10)가 작동하여 세탁 겸 탈수조(2) 내로 물을 공급한다. 동시에 모터(5)가 작동하여 세탁 겸 탈수조(2)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수위는 S2로 상승해 간다.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수위는 수위 검지 수단(11)에 의해 검지되고, 그 정보는 회전수 설정 수단(27)으로 전달된다.
회전수 설정 수단(27)에는 미리 수위에 따른 적정 회전수가 설정되어 있고, 수위 검지 수단(11)으로부터의 수위 정보를 수신하여 회전수 설정 수단(27)으로부터 회전수 비교 수단(28)으로 적정 회전수의 정보가 전송되며, 회전수 비교 수단(28)에 의해 회전수 검지 수단(26)의 출력과 비교된 후, 도통각 설정 수단(29)에 의해 파워 스위칭 수단(15)의 도통각을 설정하여 모터(5)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도 8은 제 1 행정에서의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변화시킨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세탁 겸 탈수조(2)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급수하는 경우,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수위가 서서히 상승함에 따라서 외조(1)와 세탁 겸 탈수조(2) 사이의 수면도 상승하여, 이 물이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 요소로 된다. 세탁 겸 탈수조(2)를 일정 속도로 계속해서 회전시킨 경우, 모터(5)의 소비 전력이 현저히 증대되거나, 모터(5)의 온도가 현저히 상승하여 허용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고장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터(5)에 가해지는 부하를 일정량 이하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수위 상승을 검지하여,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소정 회전수 R3에서부터 R4로서서히 감속시키는 것이 유효한 수단인 것을 발명자들은 확인하고 있다.
다음에,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에 의해 외조(1)와 세탁 겸 탈수조(2) 사이에서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세탁수를 살수하는 제 2 행정에서의 동작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수위가 S3에 도달한 T1"의 시점에 있어서, 이 수위 정보는 수위 검지 수단(11)으로부터 회전수 설정 수단(27)으로 전송되어, 미리 수위 S3에 따른 적정 회전수 R5로 되도록 회전수 비교 수단(28)으로 신호가 전송된다. 회전수 비교 수단(28)은 회전수 검지 수단(26)의 출력과 비교하여, 도통각 설정 수단(29)에 의해 파워 스위칭 수단(15)의 도통각을 설정하고, T1"로부터 T2"까지의 기간 동안,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가 R5로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2"으로부터 T3"의 시간 변화에 의해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수위가 S4로 상승한 경우, 수위 검지 수단(11)으로부터 회전수 설정 수단(27)으로 전송되어, 수위 S4에 대응한 회전수인 R6으로 회전 제어하도록 회전수 비교 수단(28)으로 신호가 전송된다. 회전수 비교 수단(28)은 회전수 검지 수단(26)의 출력과 비교하여, 도통각 설정 수단(29)에 의해 파워 스위칭 수단(15)의 도통각을 설정하고, T3"으로부터 T4"까지의 기간 동안,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가 R6으로 되도록 모터(5)를 제어한다.
(실시예 4)
도 2에서의 제어 수단(14)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 개시로부터 t1까지 제 1 행정을 실행한 후, t1에서부터 t6까지의 제 2 행정 사이에, 회전수가 R7로 되는 t1에서부터 t2, t3에서부터 t4, t5에서부터 t6의 기간과, 회전수가 R7에서 R8 사이로 제어되는 t2에서부터 t3, t4에서부터 t5의 기간 동안 실행하도록 구성하고, 제 2 행정에 있어서, 위쪽으로부터의 살수를 간헐적으로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기 구성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세탁 개시로부터 t1까지 급수하면서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시키는 제 1 행정을 실행함으로써 투입된 세제가 재빨리 용해되어 세탁물로 스며들게 된다. t1에서부터 t2까지의 기간 동안,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R7까지 높임으로써, 외조(1)와 세탁 겸 탈수조(2) 사이로부터 세탁 겸 탈수조(2)내에 세탁수를 살수하는 제 2 행정을 실행한다.
이 제 2 행정에 의해 세탁물 전체에 골고루 세탁수를 살수함과 동시에, 살수한 세탁수가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서 세탁물을 통과 순환하고, 이 때에 세탁수가 오염에 작용하게 된다. 이 세탁수의 살수, 통과 순환을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세탁물의 오염이 제거된다.
그러나, 제 2 행정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 살수한 세탁수에 의해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세제 성분에 의한 거품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거품이 다량으로 발생한 경우, 세탁 겸 탈수조(2) 밖으로 거품이 유출되거나, 발생한 거품이 외조(1)와 세탁 겸 탈수조(2) 내의 사이로 들어가 세탁 겸탈수조(2)의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으로 되어, 그 결과 모터(5)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게 되는 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행정을 실행하고 있는 기간 동안에 세탁 겸 탈수조(2)의 위쪽으로부터의 살수가 행해지지 않게 되는 회전수 R8의 기간을 마련하여, 세탁수의 살수가 간헐적으로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세탁 겸 탈수조(2)내의 거품 발생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세탁 겸 탈수조(2) 밖으로 거품이 유출되거나, 거품이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 저항으로 되어, 모터(5)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도록 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제 2 행정에 있어서, 위쪽으로부터의 살수를 간헐적으로 실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기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의 제 2 행정에 있어서, 위쪽으로부터의 살수를 간헐적으로 실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특징의 발명에 의하면, 외조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한 세탁 겸 탈수조와, 이 세탁 겸 탈수조의 안쪽 바닥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마련한 교반 날개와,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내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과,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급수 수단, 구동 수단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행정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급수하면서 세탁 겸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제 1 행정과, 상기 세탁 겸 탈수조의 회전에 의해 외조와 세탁 겸 탈수조 사이에서 세탁 겸 탈수조 내로 세탁수를 살수하는 제 2 행정을갖기 때문에, 급수의 개시와 동시에 세탁물을 교반시키지 않고 세제를 용해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세탁수를 세탁물에 통과시켜 오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세탁물에 기계력을 가하는 일 없이 오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손상이나 엉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특징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 겸 탈수조 내의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세탁물량 검지 수단을 포함하고, 제어 수단은 세탁물량 검지 후에 제 1 행정을 개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세탁물량 검지 후에 급수 개시와 동시에 세탁수를 직접 세탁물에 침투시킬 수 있고, 세탁수의 침투에 의한 오염 제거 기능을 세탁 개시와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 3 특징의 발명에 의하면, 제어 수단은 제 1 또는 제 2 행정 중 적어도 한쪽을 수위에 따라서 세탁 겸 탈수조의 회전수를 가변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최적의 세제 용해, 최적의 세탁수 살수를 수행할 수 있어, 기체(機體)에 무리한 부하가 걸리도록 하는 일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 및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제 2 행정에 있어서, 위쪽으로부터의 살수를 간헐적으로 실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세탁수의 거품이 일어나는 것을 제어할 수 있어, 기체의 운전 상태를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효율적인 세탁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7)

  1. 외조(外槽; outer tank)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한 세탁 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 겸 탈수조에 급수(給水)하는 밸브와,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밸브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밸브를 동작시켜 상기 세탁 겸 탈수조에 물을 급수하면서, 상기 모터를 동작시켜 위쪽에서부터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내로 물을 살수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 속도로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구동하는 제 1 행정과, 상기 모터를 동작시켜 위쪽에서부터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내로 물을 살수하도록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세탁 겸 탈수조와 상기 외조 사이에서 수위를 상승시키는 제 2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내의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세탁물량 검지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세탁물량 검지기가 세탁물량을 검지한 후에 상기 제 1행정을 개시할 수 있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행정 및 제 2 행정 중 적어도 한 행정 동안에 수위(水位)에 따라서 상기 세탁 겸 탈수조의 회전 속도를 가변(可變)할 수 있는 세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구동하는 상기 모터를 간헐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제 2 행정 동안에 위쪽으로부터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내로 물을 간헐적으로 살수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행정 및 제 2 행정 중 적어도 한 행정 동안에 수위에 따라 상기 세탁 겸 탈수조의 회전 속도를 가변할 수 있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구동하는 상기 모터를 간헐적으로 동작시켜, 제 2 행정 동안에 위쪽에서부터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내로 물을 간헐적으로 살수하는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구동하는 상기 모터를 간헐적으로 동작시켜, 제 2 행정 동안에 위쪽에서부터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내로 물을 간헐적으로 살수하는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행정 및 제 2 행정 각각의 행정 동안에 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세탁기.
  9.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세탁 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 겸 탈수조의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교반 날개와,
    상기 세탁 겸 탈수조에 급수하는 밸브와,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및 상기 교반 날개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밸브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밸브를 동작시켜 상기 세탁 겸 탈수조에 물을 급수하면서, 상기 모터를 동작시켜 위쪽에서부터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내로 물을 살수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 속도로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구동하는 제 1 행정과, 상기 모터를 동작시켜 위쪽에서부터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내로 물을 살수하도록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세탁 겸 탈수조와 상기 외조 사이에서 수위를 상승시키는 제 2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내의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세탁물량 검지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세탁물량 검지기가 세탁물량을 검지한 후에 상기 제 1 행정을 개시할 수 있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행정 및 제 2 행정 중 적어도 한 행정 동안에 수위에 따라서 상기 세탁 겸 탈수조의 회전 속도를 가변할 수 있는 세탁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행정 및 제 2 행정 중 적어도 한 행정 동안에 수위에 따라 상기 세탁 겸 탈수조의 회전 속도를 가변할 수 있는 세탁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량 검지기는 상기 모터가 상기 교반 날개를 구동할 때에 상기 교반 날개의 회전 속도의 저하 정도에 따라 세탁물량을 검지하는 세탁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행정 중 한 행정에서 수위에 따라 상기 세탁 겸 탈수조의 회전 속도를 가변할 수 있는 세탁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구동하는 상기 모터를 간헐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제 2 행정 동안에 위쪽에서부터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내로 물을 간헐적으로 살수하는 세탁기.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구동하는 상기 모터를 간헐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제 2 행정 동안에 위쪽에서부터 상기 세탁 겸 탈수조 내로 물을 간헐적으로 살수하는 세탁기.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행정 각각의 행정 동안에 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세탁기.
KR10-1998-0058257A 1997-12-26 1998-12-24 세탁기 KR100407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59612 1997-12-26
JP35961297A JP3539172B2 (ja) 1997-12-26 1997-12-26 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431A KR19990063431A (ko) 1999-07-26
KR100407064B1 true KR100407064B1 (ko) 2004-02-14

Family

ID=1846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257A KR100407064B1 (ko) 1997-12-26 1998-12-24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34925A (ko)
JP (1) JP3539172B2 (ko)
KR (1) KR100407064B1 (ko)
CN (2) CN2611409Y (ko)
MY (1) MY114976A (ko)
TW (1) TW43548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1187A (ja) * 1998-08-18 2000-02-29 Lg Electronics Inc 透過方式洗濯機、その制御方法及び透過方式洗濯機用タブカバ―
JP2001046780A (ja) * 1999-08-10 2001-02-20 Hitachi Ltd 電気洗濯機
KR100833357B1 (ko) * 2000-07-14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반식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722039B1 (ko) * 2000-07-14 2007-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반식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689338B1 (ko) * 2001-01-16 2007-03-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헹굼 방법
US6557199B2 (en) 2001-09-05 2003-05-06 Maytag Corporation Wash solution mixing system for clothes washing machine
KR100413465B1 (ko) 2001-11-23 200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US7703306B2 (en) * 2004-06-30 2010-04-27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washer recircul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144782B1 (ko) * 2004-07-09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방법
US7958650B2 (en) * 2006-01-23 2011-06-14 Turatti S.R.L. Apparatus for drying foodstuffs
JP4301268B2 (ja) * 2006-08-31 2009-07-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US20080120789A1 (en) * 2006-11-29 2008-05-29 Farhad Ashrafzadeh Cloth bunching detection and adjustment for an automatic washer
KR101609681B1 (ko) * 2009-06-30 2016-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16191B1 (ko) * 2009-12-04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JP5575542B2 (ja) * 2010-05-21 2014-08-20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US8490439B2 (en) * 2011-09-30 2013-07-2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Water recirculation and drum rotation control in a laundry washer
US9228281B2 (en) 2012-01-12 2016-01-05 General Electric Company Wash basket for use with a washing machine appliance
US20140274868A1 (en) 2013-03-15 2014-09-1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laundry items
US9702074B2 (en) 2013-03-15 2017-07-11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laundry items
US9982381B2 (en) * 2014-08-19 2018-05-29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67959B1 (ko) * 2014-08-19 2021-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JP6912900B2 (ja) * 2016-03-23 2021-08-0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TWI713765B (zh) * 2016-10-24 2020-12-21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洗衣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839A (ja) * 1982-07-09 1984-01-20 Fuji Photo Film Co Ltd サブトラクシヨン画像の処理方法
CN85201286U (zh) * 1985-04-16 1986-10-22 张士博 离心式洗衣机
CN85202225U (zh) * 1985-06-14 1986-05-21 黄绍博 升流自动回水甩干机
JP3216337B2 (ja) * 1993-07-19 2001-10-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39172B2 (ja) 2004-07-07
CN1222602A (zh) 1999-07-14
KR19990063431A (ko) 1999-07-26
CN2611409Y (zh) 2004-04-14
TW435482U (en) 2001-05-16
CN1091476C (zh) 2002-09-25
JPH11188196A (ja) 1999-07-13
MY114976A (en) 2003-02-28
US6134925A (en) 2000-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064B1 (ko) 세탁기
RU2293806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JP3303521B2 (ja) 洗濯機
JP3216337B2 (ja) 洗濯機
JP3539173B2 (ja) 洗濯機
JP3951447B2 (ja) 洗濯機
JP4026232B2 (ja) 洗濯機
JPH114991A (ja) 洗濯機
JPH03264089A (ja) 洗濯機の運転制御装置
JP3864555B2 (ja) 洗濯機
JP2002102582A (ja) 洗濯機
JP3588807B2 (ja) 全自動洗濯機
JP3726331B2 (ja) 洗濯機
JP4103226B2 (ja) 洗濯機
JP2004121872A (ja) 洗濯機
JP2000350883A (ja) 洗濯機
JPH07308484A (ja) 洗濯機
JP3972510B2 (ja) 洗濯機
JP3355846B2 (ja) 洗濯機
JP4214636B2 (ja) 洗濯機
JP3385772B2 (ja) 洗濯機
JP2002320790A (ja) 洗濯機
JPH09140984A (ja) 洗濯機
JP2002360975A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H10328475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