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481B1 - 4,6-디클로로-피리미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4,6-디클로로-피리미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481B1
KR100406481B1 KR1019970705143A KR19970705143A KR100406481B1 KR 100406481 B1 KR100406481 B1 KR 100406481B1 KR 1019970705143 A KR1019970705143 A KR 1019970705143A KR 19970705143 A KR19970705143 A KR 19970705143A KR 100406481 B1 KR100406481 B1 KR 100406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dichloropyrimidine
dihydroxypyrimidine
saturated
unsatu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1747A (ko
Inventor
앨런 존 위턴
데이비드 존 릿치
레이몬드 빈센트 히본 존스
이완 캠프벨 보이드
Original Assignee
신젠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9501738.0A external-priority patent/GB9501738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9507787.1A external-priority patent/GB9507787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9510751.2A external-priority patent/GB9510751D0/en
Application filed by 신젠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신젠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19980701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30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eparing 4,6-dichloro-pyrimidine}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1)의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하기 화학식(2)의 4, 6-디클로로피리미딘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화학식 2]
Figure pct00002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은 화학적 중간 물질로서 유용하다(예를 들어 농화학적 산업 분야).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은 디메틸아닐린 (Journal Chemical Society (1943), 574 - 575, 및 (1951) 2214 참조) 또는 N,N-디메틸싸이클로헥실아민 (또는 이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영국 특허 제2287466호 참조)의 존재 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과 포스포러스 옥시 클로라이드(POCl3) 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 또한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은 적당한 염기의 존재 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과 포스겐(COCl3)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 (WO 95/29166 참조)
본 발명은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saturated hindered amine),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은 2차 아민 및 3차 아민, 구체적으로 화학식 R1R2R3N의 아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학식 중, R1, R2및 R3는 독립적으로 C1-10-알킬 (특히, C1-6-알킬) 또는 C3-6싸이클로알킬이거나, 또는 상기 R1및 R2가 결합하여 피페리딘 또는 피롤리딘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3가 수소일 수도 있다.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은 예를 들어,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CH3)2HC)2(CH3CH2)N, Hunig's 염기라고도 함, CAS Registry No. 7087 - 68 - 5), 트리에틸아민, N,N-디이소프로필메틸아민, N,N-디이소프로필이소부틸아민, N,N-디이소프로필-2-에틸부틸아민, N,N-디싸이클로헥실메틸아민, N,N-디싸이클로헥실에틸아민, N-tert-부틸싸이클로헥실아민, N-메틸피롤리딘 또는 N-에틸피페리딘을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1)의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은 또한 토토머형(tautomeric form) (A) 및 (B) 로서 존재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의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은 이의 모든 토토머형도 포함한다.
[화학식 A]
Figure pct00003
[화학식 B]
Figure pct00004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들은 C1-6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상기 고리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1 개, 2 개 또는 3 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이미다졸, 피라졸, 1,2,3-트리아졸 또는 1,2,4-트리아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의하면, 포화 3차 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포화 3차 아민은 구체적으로, 화학식 R1R2R3N의 아민으로서, 상기 화학식 중,R1, R2및 R3는 독립적으로 C1-10-알킬 (특히, C1-6-알킬) 또는 R1및 R2결합하여 피페리딘 또는 피롤리딘 고리를 형성한다. 포화 3차 아민은, 예를 들어,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N-디이소프로필메틸아민, N,N-디이소프로필이소부틸아민, N,N-디이소프로필-2-에틸부틸아민, N,N-디싸이클로헥실메틸아민, N,N-디싸이클로헥실에틸아민, N-tert-부틸싸이클로헥실아민, N-메틸피롤리딘 또는 N-에틸피페리딘을 포함한다.
알킬 그룹들은 직쇄 또는 분지쇄이며, 다른 언급이 없는 한, C1-6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C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 그룹의 예로서 메틸, 에틸, iso-프로필, n-프로필, n-부틸, sec-부틸, iso-부틸 및 tert-부틸이 있다.
싸이클로알킬 그룹은 C3-6이며, C1-6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싸이클로알킬 그룹의 예로서 싸이클로헥실 및 2-에틸싸이클로헥실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의하면,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존재 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성에 의하면,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존재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의 몰비는 1 : 1 - 10 : 1 (특히, 2 : 1 - 4 : 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화 3차 아민 및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포화 3차 아민 :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의 몰비는 100 : 1 - 1 : 10 (특히 100 : 1 - 10 : 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몰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몰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 포화 3차 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의 몰비는 1 : 10 - 10 : 1, 특히 1 : 4 - 4 : 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과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몰비,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과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몰비,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과 포화 3차 아민의 몰비 또는 4, 6 - 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과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의 몰비는 1 : 5 - 5 : 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또는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몰비는 (0.8 - 1.2) : (2 - 2.5) : (1.8 - 2.2) 의 범위, 특히 약 1 : (2 - 2.5) :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방법은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염소화된 용매들 (이를 테면, 디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벤젠), 포화 탄화수소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류 [이를 테면, 방향족 용매 (예를 들면, 톨루엔 또는 크실렌), 직쇄 탄화수소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예를 들면, 펜탄 또는 헥산), 또는 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5-7싸이클로알칸 (예를 들면, 싸이클로헥산, 싸이클로펜탄 또는 메틸싸이클로헥산), 에테르 (이를 테면, tert-부틸메틸에테르, 글라임, 디글라임, 트리글라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또는 디메톡시에탄)] 또는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 [이를 테면, 니트릴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 가 바람직하다. 용매 혼합물은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및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용매의 비존재 하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과량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포화 3차 아민 (이를 테면,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포화 3차 아민이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방법은 20 - 140℃, 특히 25 - 120℃ (이를 테면, 40 - 100℃ 또는 40 - 120℃), 구체적으로 60 - 9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4 양상에 의하면,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과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바람직하게는, 포화 3차 아민)의 혼합물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및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면, 반응 혼합물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제 5 양상에 의하면,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과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또는 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특히, 포화 3차 아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의 혼합물과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25 - 120℃ (이를 테면, 40 - 90℃), 구체적으로 60 - 90℃ 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사용된 성분의 함량은 전술한 몰비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6 양상에 의하면,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구체적으로, 포화 3차 아민 (특히 Hunig's 염기))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와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동시에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사용된 성분의 함량은 전술된 몰비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7 양상에 의하면,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에 Hunig's 염기 중의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슬러리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사용된 성분의 함량은 전술된 몰비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8 양상에 의하면, Hunig's 염기와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의 혼합물에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사용된 성분의 함량은 전술된 몰비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9 양상에 의하면,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과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의 혼합물에 Hunig's 염기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사용된 성분의 함량은 전술된 몰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0 양상에 의하면,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이를 테면, 포화 3 차 아민 (특히 Hunig's 염기)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및 촉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의 선택적인 존재 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와 포스겐의 혼합물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 포스겐의 몰비는 2 : 1 - 1 : 100 (특히, 2 : 1 - 1 : 40, 예를 들면 1 : 1 - 1 :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와 포스겐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의 몰비는 10 : 1 - 1 : 100 (이를 테면, 2 : 1 - 1 :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몰비,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 포화 3차 아민의 몰비 또는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의 몰비는 1 : 5 - 5 : 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1 양상에 의하면,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에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으로서,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이를 테면, 포화 3차 아민 (특히, Hunig's 염기)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수행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이 수행되는 동안,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는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염소화시키면서 포스포러스 잔류물 (residue)로 남는다. 상기 잔류물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또는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와 염소의 혼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잔류물들은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845194호 및 WO 94/14774에 기술된 사항 참조)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12 양상에 의하면,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한 후, 이 반응 혼합물에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와 염소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으로서,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이를 테면, 포화 3차 아민 (특히, Hunig's 염기)]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수행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3 양상에 의하면 ;
(a)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포화 3차 아민 (특히, Hunig's 염기)],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하는 단계 ; (b)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상기 반응 혼합물로부터분리하는 단계 ; 및 (c) 이 반응 혼합물의 포스포러스 잔류물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또는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와 염소의 혼합물로 처리하여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재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4 양상에 의하면 ;
(a) 포화 3차 아민 (특히, Hunig's 염기)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 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하는 단계 ; (b)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이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 및 (c) 이 반응 혼합물의 포스포러스 잔류물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또는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와 염소의 혼합물로 처리하여,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재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5 양상에 의하면 ;
(a)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하는 단계 ; (b) 상기 단계(a)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또는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와 염소의 혼합물로 처리하는 단계 ; (c) 상기 단계(b)에서 형성된 혼합물에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및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d)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상기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6 양상에 의하면 ;
(a)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하는 단계 ; (b) 상기 단계(a)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또는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와 염소의 혼합물로 처리하는 단계 ; (c) 상기 단계(b)에서 형성된 혼합물에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및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 (d) 상기 단계(b) 및 단계(c)를 1회 이상 (특히 2, 3 또는 4회) 선택적으로 반복 실시하는 단계 ; 및 (e)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상기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7 양상에 의하면, 반응 초기에는 반응 혼합물에 1당량 미만 (예를 들면, 약 0.5 당량) 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재생성시키는 동안에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또는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와 염소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와 염소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8 양상,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이 용융물로서 수행되는 경우,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은 직접 추출법 (direct extraction technique) 즉, 반응 혼합물로부터 직접 추출해내는 기법 (예를 들어, 향류 추출(counter-current) 과 같은 직접 추출법) 으로써, 상기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직접 추출법은 60 - 90℃의 온도 범위 (특히, 약 80℃)와 같은 고온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접 추출법에 적당한 용매는, 상기 반응에서 생성된 포스포러스 잔류물을 용해시키지 않는 용매이어야 하고, 증류에 의하여 4, 6-디클로로피리미딘과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비등점을 가진 용매이어야 한다. 적당한 용매는 포화 탄화수소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이를 테면, 방향족 용매 (예를 들면, 톨루엔 또는 크실렌),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예를 들면, 펜텐, 헥산 또는 헵탄), 또는 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5-7싸이클로알칸 (예를 들면, 싸이클로헥산, 싸이클로펜탄 또는 메틸싸이클로헥산)], 에테르 (이를 테면, 메틸tert-부틸에테르), 할로겐화된 방향족 용매 [이를 테면, 할로벤젠 (예를 들면, 클로로벤젠 또는 플루오르벤젠)]를 포함한다.
적당한 용매를 선택하면, 양질의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반응 혼합물로부터 직접 분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용매에는 포화 탄화수소[이를 테면,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예를 들면, 펜탄, 헥산 또는 헵탄), 또는 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5-7싸이클로알칸 (예를 들면, 싸이클로헥산, 싸이클로펜탄 또는 메틸싸이클로헥산)]이 있다. 상기 용매는 메틸싸이클로헥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직접 추출법 후 남은 잔류물을 적당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수산화칼륨 수용액과 혼합하면, 본 방법에 사용된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리시켜 표준 기법을 사용하여 이를 분리해 낼 수 있다.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특히, Hunig's 염기)을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할 경우, 그 잔류물을 뜨거운 수산화나트륨 용액 또는 수산화칼륨 용액에 첨가하여 그 잔류물이 첨가되는 동안 열발생원이 사용되어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이 수성 혼합물 외부로 끓어나올 수 있도록 한다 (즉, 혼합물 외부로 증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9 양상에 의하면, 반응 혼합물을 물과 유기 용매 [특히, 방향족 용매 (예를 들면, 톨루엔 또는 크실렌),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예를 들면, 펜탄 또는 헥산), 또는 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5-7싸이클로알칸 (예를 들면, 싸이클로헥산, 싸이클로펜탄 또는 메틸싸이클로 헥산)]의 혼합물과 반응 혼합물을 혼합한 다음, 적당한 염기 (알카리 금속 또는 알카리 토금속 하이드록시드 또는 카보네이트,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의 수용액을 첨가하여 1 - 5 의 pH 를 유지하면서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시킨다. 일단 잔류성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부산물을 가수 분해시킨 다음, 상기 혼합물의 pH 를 3 - 5로 조절하여,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이 유기 용매로부터 회수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바람직하게는, 포화 3차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은 회수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과 혼합하고 (바람직하게는, 적당한 염기 (예를 들면, 알카리 금속 또는 알카리 토금속 하이드록시드 또는 카보네이트,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의 수용액을 첨가하여 1 - 5의 pH를 유지함), 상기 수성 상의 pH를 8 - 14, 바람직하게는 9 - 12로 조절 [수용성 염기(예를 들어 알카리 또는 알카리 토금속 하이드록시드 또는 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소듐 또는 포타슘 하이드록시드) 를 가하여] 한 다음 하기 a), b) 또는 c)의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바람직하게는, 포화 3차 아민 (특히,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을 반응 혼합물로부터 수거할 수 있다;
a)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바람직하게는, 포화 3차 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및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유기 용매 [특히, 방향족 용매 (예를 들면, 톨루엔 또는 크실렌),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예를 들면, 펜탄 또는 헥산), 또는 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5-7싸이클로알칸 (예를 들면, 싸이클로헥산, 싸이클로펜탄 또는 메틸싸이클로헥산)]로 추출함으로써,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바람직하게는, 포화 3차 아민 (특히,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을 반응 혼합물로부터 수거할 수 있다. 이후, 추출된 상기 아민 또는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및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증류하여 분리시킬 수 있다; 또는
b) 상기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바람직하게는, 포화 3차 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이 액체이며 실질적으로 물과 불혼화성인 경우 (예를 들면,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이 사용되는 경우), 4, 6-디클로로피리미딘 및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바람직하게는, 포화 3차 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을 pH 가 조절된 수성 상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바람직하게는, 포화 3차 아민 (특히,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을 반응 혼합물로부터 수거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상기 분리된 아민 또는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은 일정량의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들은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분리될 수 있다; 또는
c)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바람직하게는, 포화 3차 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이 적당한 비점을 갖는 경우, 상기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바람직하게는, 포화 3차 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및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pH 가 조절된 수성 상으로부터 증류시킴으로써, 포화 입체 장애형 아민 (바람직하게는, 포화 3차 아민 (특히,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을 반응 혼합물로부터 수거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들로써 본 발명을 기술하고자 한다. 실시예중, 약자 hplc 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얼음/물 수조로 냉각시키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3.1 g, 30.6 ml, 178 mmol) 중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10.0 g, 89.2 mmol) 현탁액에, 10분에 걸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34.2 g, 20.8 ml, 223 mol) 를 수 회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상기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모두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을 5 ℃ 에서 5분 동안 교반시키고 실온까지 가온 (15분 동안) 시킨 다음, 60℃까지 가온시켰다(상기 혼합물이 약 60 ℃ 에 도달하였을 경우, 상당량의 열이 발생되어 반응 온도가 120 ℃ 까지 상승하면, 열공급원을 제거하여 온도가 60 ℃ 가 되도록 한다.). 2시간 후 (가열 시작한 때로부터),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얼음/물 내에 붓은 다음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 (100 ml) 으로 추출하고, 다시 디클로로메탄 (2 × 80ml) 으로 추출하였다. 회수된 유기 추출물을 물 (3 × 70ml)로 세척한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회전식 증발기 사용), 암갈색 고체로서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얻었다. (12.3 g; 90 중량 %)
30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0 ml)을 이용하여 상기 회수된 수성 추출물 및 세척액의 pH를 14로 조절한 후, 디클로로메탄 (3 × 70ml )으로 추출하였다. 회수된 유기 추출물을 물 (2 × 70ml) 로 세척한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담황색 액체로서 18.5 g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얻었다.
실시예 2
얼음/물 수조로 냉각시키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3.1 g, 30.6 ml, 178 mmol) 중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10.0 g, 89.2mmol) 현탁액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34.2 g, 20.8 ml, 223 mmol) 를 수 회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상기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모두 첨가한 후, 냉각 수조를 치우고 상기 혼합물을 25 ℃로 가온 [15 분에 걸쳐] 하였다. 이 혼합물을 가열하여 온도를 60 ℃로 올렸다 (오일조의 온도가 55 ℃에 도달하였을 때 상당량의 열이 발생하여 온도가 128 ℃로 되었다.) 반응 온도를 60 ℃로 떨어드린 후, 105 분 더 계속 가열하였다. (총 가열 시간 = 2시간)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얼음물 (약 100 ml) 에 부은 후, 디클로로메탄 (120 ml) 으로 추출하고, 다시 디클로로메탄 (2×80ml) 으로 추출하였다.
회수한 유기 추출물을 물 (3 × 70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암갈색 고체로서 4, 6-디클로로피리미딘 14.67 g 을 얻었다.
3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수거된 수성 추출물 및 세척물의 pH를 9 로 조절한 다음, 증류시켜 (140 ℃의 수조 , 85 - 100℃에서 증류) 21 ml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얻었다. 증류 용액의 pH는 14로 조절하고 (pH 6 만큼 하강시킴) 계속 증류시켜 (89 - 100 ℃)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수 부를 추가로 얻었다 [순도 80 %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총 수율 = 31 ml].
실시예 3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5.0 g, 44.6 mmol), 이미다졸 (6.07 g, 89.2 mmol) 및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20 ml) 의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및 약 65℃ 하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1 시간 후 대부분의 고체가 용해되었음] 이후 상기 혼합물을 실온 (이 온도에서 상기 혼합물은 반고체 상태임)까지 냉각시킨 후, 디클로로메탄(15 ml) 을 첨가하여, 유동성 슬러지를 얻은 다음, 이를 얼음/물 중에 부어 15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3 × 80ml)으로 추출한 후, 회수된 유기 추출물은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옅은 황색 고체로서 4, 6-디클로로피리미딘 (6.18 g)을 얻었다.
실시예 4
질소 분위기 및 실온에서 5분에 걸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26.7 g, 16.26 ml, 174 mmol)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3.0 g, 31.0 ml, 175 mmol)에 첨가하였다. 상기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모두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을 5분 동안 더 교반시켰다.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10.0 g, 87.6 mmol)을 서서히 즉, 5분에 1 g 정도로 방출하여, 상기 4, 6-디하이드록시피리딘의 첨가가 종결될 무렵,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약 65℃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65℃로 상승시켰는데, 이 때 10분 동안 약간의 발열이 있어 약 75 ℃ 로 온도가 증가되었으나, 이는 5분 이내에 65℃로 떨어진다 (가열 시작에서부터), 3시간 경과 (가열 시작으로부터) 후, 이 반응 혼합물을 40 ℃ 로 냉각시킨 후, 얼음 /물 (200 ml) 에 부어 교반한 다음, 디클로로메탄(3 × 150ml) 으로 추출하였다. 회수된 유기 추출물을 물(3 × 100 ml) 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 (회전식 증발기) 증발시켜, 옅은 갈색 고체로서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얻었다. (12.18 g)
실시예 5
질소 분위기 및 75 - 80 ℃ 의 온도에서 메틸싸이클로헥산 (25 g, 1.96 g 의 4, 6-디클로로피리미딘 함유) 중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74.7 g) 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57.19g) 의 혼합물에,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25.0 g)을 약 50분 동안 수 회에 나누어 (즉, 1 회당 1 - 2.5 g 씩)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75 - 90 ℃ 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발열 반응). 상기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모두 첨가한 후, 이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2 시간 동안 75 - 80 ℃ 로 유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물 (125 ml) 에 용해시켰다. (발열 반응 ; 수성층의 온도는 30 ℃ 이상임)
상기 용해된 반응 혼합물을 물 (125 ml) 및 메틸싸이클로헥산 (90 g, 2.3 g의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함유함) 의 교반된 혼합물에 첨가하였고, 온도는 얼음을 첨가하여 40 - 50 ℃ 사이로 유지하였다. 수산화칼륨 수용액 (50 %w/w) 을 첨가하여 상기 반응으로부터 얻은 혼합물의 pH 를 5 - 5.5 로 조절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0 분 동안 교반시켰더니, 유기층 (메틸싸이클로헥산) 은 뜨거워지면서 수성층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상기 유기층으로부터 용매를 증류시켜, 4, 6-디클로로피리미딘 (30.96 g) 을 얻었다.
메틸싸이클로헥산 (25 g) 을 수성 층에 가하였더니, 2 개의 층 시스템을 형성되었다. 수산화칼륨 수용액 (50 % w/w) 을 첨가하고, 수성층의 pH가 9 - 10.5 가 되도록 교반하였다. 이때 상당량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이 유기층 상부에 형성되었다.
실시예 6
62 ℃에서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76.1 g, 0.496 mol) 중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26.06 g, 0.226 mol) 의 교반된 현탁액에, 25 분에 걸쳐서 70 - 78 ℃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N,N-디이소프로필아민 (58.6 g, 0.451 mol) 을 적가하였다. 상기 N,N-디이소프로필아민을 모두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85 ℃ 까지 가열하였다. 2시간 경과 후, 이 혼합물을 메틸싸이클로헥산 (3 × 300 ml)으로 추출하였다.
회수된 유기 추출물은 4, 6-디클로로피리미딘 (30.15 g) 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7
80 ℃ 에서 메틸싸이클로헥산 (100 g) 중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30 g, 1.75 mol) 및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298.5 g, 1.93 mol) 의 교반된 혼합물에, 80 - 92 ℃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70 분에 걸쳐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100 g) 을 적가하였다. 상기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모두 첨가한 후, 80 - 84 ℃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은 물(500 g) 과 메틸싸이클로헥산 (260 g) 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47 %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이 혼합물의 pH를 1 - 5 로 유지시키고, 60 ℃ 이하의 온도를 유지시켰다.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가수 분해시킨 후, 47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pH를 4.5 로 조절하였으며, 온도를 80 ℃ 로 상승시켜, 수성층을 분리시키고 회수하였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회수하기 위해서임). 분석 결과, 유기층은 22.21 % 의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수성층을 메틸싸이클로헥산 (100 g) 과 혼합한 후, 47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를 10 으로 조절하여 결과로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80℃ 까지 가열하였다. 교반을 중지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방치하여 두었다. 수성층을 버리고, 유기층을 물 (2 × 200 ml)로 세척하였다. 분석 결과, 상기 유기층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65.6 %) 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8
질소 분위기 하에서,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15.2 g, 99 mmol)에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5 g, 45 mmol) 을 첨가하고 교반시켰다.
이 슬러리를 65 ℃ 까지 가열한 후, 온도를 80 ℃ 미만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Hunig 염기, 11.6 g, 90 mmol) 을 적가하였다. 상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모두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90 분 동안 80℃ 에서 가열하였다.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18.7 g, 90 mmol) 한 번에 첨가한 후, 이 반응 혼합물을 30 분 동안 80 ℃ 에서 교반시켰다. 그 결과 얻은 갈색 액체에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10 g, 90 mmol)을 한 번에 첨가한 후,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3.3 g, 180 mmol) 을 적가하였으며, 온도는 80 ℃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모두 첨가한 후, 이 반응 혼합물을 80 ℃ 에서 90분 동안 가열하였다.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37.5 g, 180 mmol) 을 한 번에 더 첨가한 다음 그 결과 얻어진 혼합물을 80 ℃ 에서 30 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에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20 g, 180 mmol)을 첨가한 후,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6.5 g, 360 mmol) 을 적가하였다. 상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모두 첨가한 후, 이 반응 혼합물을 80 ℃ 에서 90 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고온의 반응 혼합물을 80 ℃ 에서 메틸사이클로헥산 (3 × 300 g) 으로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회수하여, 진공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옅은 갈색 고체로서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얻었다. (32.8 g, 70 %)
실시예 9
pH 를 9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70 ℃ 에서 소듐 하이드록시드 수성 용액 (pH 10 - 12) 에 포스포러스 /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잔류물 (약 148 g, 15 g 씩, 실시예 8 에 적용된 조건과 유사한 조건 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 얻어진 잔류물임) 및 47 % 수산화나트륨을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상기와 같은 첨가 조건에서 발열하는 성질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열이 공급되지 않아도 상당량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이 배취로부터 증류될 수 있었다. 오일 배취를 사용하면 상기 증류 반응이 촉진될 수 있다 (헤드 온도는 100 ℃ 를 계속 유지함). 상기 혼합된 증류물 (물 /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을 방치하여 하부 수성층이 분리되도록 하여, 이를 버리고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얻었다.
실시예 10
질소 분위기 하에서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74.58 g, 0.48 mol) 및 4, 6-다하이드록시피리미딘 (25.0 g, 0.22 mol) 의 혼합물을 55 - 60 ℃로 가온시킨 후,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Hunig's 염기) (56.92 g, 0.438 mol) 을 상기 혼합물의 온도를 약 74 ℃ 로 유지시키는 속도로 첨가하였다. (약 1 시간) 그 결과 얻어진 암갈색 반응 혼합물을 80 ℃ 에서 90 분 동안 가열한 다음, 메틸싸이클로헥산 (200 ml) 을 첨가하여 15 - 20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메틸싸이클로헥산 층을 분리한 후, 200ml 메틸사이클로헥산을 2 회 사용하여 추출 과정을 반복 실시하였다.
회수된 유기 추출물을 증발, 건조 (회전식 증발기) 시켜, 회백색 고체인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얻었다. (34.0g, 순도 97.2 %, 수율 100 %)
상기 추출 잔류물을 50 ℃ 로 냉각시킨 후, 10 분 동안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62.41 g, 0.285 mol)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 ℃ 에서 30 분 동안 가열한 후,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키고, 진공 증류시켜 (55 ℃, 150 mmHg 에서 90 ℃, 50 mmHg 까지)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56.52g, 순도 83%) 를 얻었다.
실시예 11
실온 및 질소 분위기 하에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1.5 g, 82.9 mmol) 중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5.0 g, 44.6 mmol) 의 교반된 현탁액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6.8 g, 4.2 ml, 44.6 mmol) 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 ℃ 에서 20 분 동안 방치하여 점성의 암갈색 액체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4.6 g, 22.3 mmol) 을 2 회로 나누어 첨가한 후, (5 분 간격으로) 상기 반응 혼합물을 80 ℃ 에서 90 분 동안 교반시켰다. 그 결과 형성된 점성의 오일을 약 35 ℃ 로 냉각시킨 후, 얼음 / 물 (400 ml) 에 붓고 ; 이 플라스크를 물 및 디클로로메탄 (각각 20 ml) 으로 헹구었다. 회수된 냉각물 및 세척물을 디클로로메탄 120 ml 로 추출한 후, 다시 2 × 80 ml 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은 회수하여, 물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오렌지색 / 갈색 고체 (6.85 g) (강도 95.7 %, 수율 98.6%) 인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얻었다.
실시예 12
질소 분위기 및 실온에서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4.39 g, 29 mmol) 에 Hunig's 염기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18 g, 25 rmmol) 를 한 번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80 ℃ 로 가열시켰더니 투명한 점성의 혼합물이 생성되었다.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1.4 g, 13 mmol) 를 3 회로 나누어 첨가한 후, 그 결과 형성된 혼합물을 80 ℃ 에서 2시간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메틸싸이클로헥산 (25ml) 를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을 20 분 동안 (80 ℃) 격렬하게 교반시킨 후, 분리하였다. 메틸싸이클로헥산 25 ml 을 2 회 추가로 첨가하여 상기 방법을 반복 실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회수하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백색의 무정형 고체 (1.23 g) (강도 96.6 %, 수율 62 %)인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얻었다.
질소 분위기 하 및 80℃ 에서, 메틸싸이클로헥산 추출 후 남아있는 상기 잔류물과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4.13g, 26mmol) 의 교반된 혼합물에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1.37 g, 12 mmol) 을 한 번에 첨가하였다. 그 결과 얻은 혼합물을 3시간 30 분 동안 80℃ 에서 교반시킨 후, 메틸싸이클로헥산 (25ml) 를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계속 교반시켰더니 층으로 분리되었다. (80 ℃) 상기 반응물을 25 ml 의 메틸싸이클로헥산으로 2 회 추출시켰다 (각각 80 ℃ 에서 2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분리하였음). 상기 유기 추출물을 회수한 후,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백색 고체 (1.07 g) (강도 95.8 %, 수율 55 %)인 4, 6-디클로로퍼리미딘을 얻었다.
실시예 13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25 g) 및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74.6) 를, 기계적 교반기, 온도계, 환류 응축기 (세척기에 장착되어 있음) 및 압력 조절 적하 깔때기 (질소 블리드로 조절됨) 가 장착된 250 ml 3-가지 플라스크 (3-necked flask)에 충전한 후, 상기 혼합물을 60℃ 까지 가열하였다. Hunig's 염기 (57.0 g)를 적하 깔때기에 충전시킨 후, 반응 온도를 80 - 85 ℃ 로 유지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Hunig's 염기를 모두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80 - 85 ℃ 에서 2시간동안 방치하였다. 이 혼합물을 쟈켓으로 감싼 분리 깔때기에 옮겨 메틸싸이클로헥산(300 g) 과 혼합하였다. 상기 2개의 층을 70 - 80℃ 에서 분리시킨 후, 하부층을 메틸싸이클로헥산(300 g)으로 2회 더 추출하였다.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수율은 30.2 g (89.5 %) 였다.
하부층을 반응기로 되돌려 보낸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89.6 g) 을 첨가하였다.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50 g) 및 Hunig's 염기 (114 g) 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의 첫 번째 단락을 반복 실시하였다. 3 × 600 g 의 양으로 메틸싸이클로헥산을 첨가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첫 번째 단락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추출하였다.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수율은 42.92 g (64 %) 였다.
하부층 절반을 반응기로 되돌려 보낸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89.6 g) 를 첨가하였다.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50 g) 및 Hunig's 염기 (114 g)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의 첫 번째 단락의 방법을 반복실시하였다. 3 × 600 g 만큼의메틸싸이클로헥산을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첫 번째 단락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추출하였다.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수율은 34.87 g 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3의 첫번째 단락의 방법 조건을 사용하여,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10 g),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29.84 g) 및 Hunig's 염기를 접촉시켰다. Hunig's 염기를 모두 첨가한 지 30분 경과하였때,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37.2 g) 를 첨가하였다.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20 g) 및 Humig's 염기 (45.6 g) 를 첨가한 결과 생성된 혼합물을 30분동안 교반시켰다.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40 g) 및 Hunig's 염기 (91.2 g) 를 첨가한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74.4 g)를 가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혼합물을 70 - 75 ℃ 에서 2 시간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메틸싸이클로헥산 (3 × 300 g) 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회수하여,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물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류시켜, 백색 고체로서 4, 6-디클로로피리미딘 (45.2 g. 42.6%) 을 얻었다. 메틸싸이클로헥산 증류물은 4, 6-디클로피리미딘 (14.5 g, 16 %) 을 추가로 함유하였다.

Claims (11)

  1. 화학식 R1R2R3N의 포화 3차 아민,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25 - 120℃ 의 온도 범위에서 처리하는 단계 및 용매를 사용하여 직접 추출법으로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학식 R1R2R3N 에서, R1, R2및 R3는 독립적으로 C1-10알킬이거나 또는 R1및 R2는 결합하여 피페리딘 고리 또는 피롤리딘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은 C1-6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이미다졸, 피라졸, 1, 2, 3-트리아졸 또는 1, 2, 4-트리아졸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 상기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의 몰비는 1 : 1 - 10 : 1 이고 상기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 상기 포화 3차 아민 또는 상기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의 몰비는 1 : 10 - 10 : 1 인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추출법이 향류 추출법(counter-current extraction techniqu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추출법에서 사용된 용매가 포화 탄화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추출 후 남은 잔류물을 적당량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또는 수산화칼륨 용액과 혼합하여, 사용된 포화 3차 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CH3)2CH)2(CH3CH2)N]의 존재 하에서 상기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상기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 6-디하이드록피리미딘 : 상기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 상기 포화 3차 아민의 몰비가 (0.8 - 1.2) : (2 - 2.5) : (1.8 - 2.2)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상기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의 혼합물에 상기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과 상기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의 혼합물에 상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포화 3차 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얻은 반응 혼합물로부터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생성된 잔류물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또는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와 염소의 혼합물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포화 3차 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또는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와 염소의 혼합물로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생성된 혼합물에 4, 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및 포화 3차 아민 또는 불포화 5-원 질소 함유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첨가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b)와 상기 단계 (c)를 1 회 이상 선택적으로 반복 실시하는 단계; 및
    (e) 상기 반응 혼합물로부터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반응이 개시될 때에는 반응 혼합물에 1 당량 미만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상기 방법의 단계 (b)에서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또는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와 염소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6-디클로로피리미딘의 제조 방법.
KR1019970705143A 1995-01-30 1996-01-04 4,6-디클로로-피리미딘제조방법 KR100406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501738.0A GB9501738D0 (en) 1995-01-30 1995-01-30 Chemical process
GB9501738.0 1995-01-30
GB9507787.1 1995-04-13
GBGB9507787.1A GB9507787D0 (en) 1995-04-13 1995-04-13 Chemical process
GBGB9510751.2A GB9510751D0 (en) 1995-05-26 1995-05-26 Chemical process
GB9510751.2 1995-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747A KR19980701747A (ko) 1998-06-25
KR100406481B1 true KR100406481B1 (ko) 2004-03-24

Family

ID=2726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143A KR100406481B1 (ko) 1995-01-30 1996-01-04 4,6-디클로로-피리미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018045A (ko)
EP (1) EP0807106B1 (ko)
JP (1) JP3930903B2 (ko)
KR (1) KR100406481B1 (ko)
CN (1) CN1137099C (ko)
AT (1) ATE207059T1 (ko)
BR (1) BR9606817A (ko)
DE (1) DE69616027T2 (ko)
ES (1) ES2162019T3 (ko)
GR (1) GR3036925T3 (ko)
IL (1) IL116721A (ko)
IN (1) IN184958B (ko)
PT (1) PT807106E (ko)
TW (1) TW343970B (ko)
WO (1) WO1996023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02375D0 (en) * 1990-02-02 1990-04-04 Pfizer Ltd Triazole antifungal agents
DE19531299A1 (de) * 1995-08-25 1997-02-27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6-Dichlorpyrimidinen
GB9709810D0 (en) * 1997-05-14 1997-07-09 Zeneca Ltd Chemical process
DE19730224A1 (de) * 1997-07-15 1999-01-21 Bayer Ag Verfahren zur Reinigung Phosphoroxychlorid
US6066734A (en) * 1997-12-19 2000-05-23 Dow Agrosciences Llc Chloropyrimidine process
DE19929353A1 (de) 1999-06-26 2000-12-28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6-Dichlorpyrimidin
DE19929350A1 (de) 1999-06-26 2000-12-28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6-Dichlorpyrimidin mit Säurechloriden
DE19935322A1 (de) 1999-07-28 2001-02-0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6-Dichlorpyrimidin mit Phosgen
US6608199B2 (en) 2000-07-07 2003-08-19 Syngenta Limited Synthesis of chlorinated pyrimidines
US6982331B2 (en) * 2001-06-08 2006-01-03 Syngenta Crop Protection, Inc. Synthesis of chlorinated pyrimidines
CN107324300A (zh) * 2013-09-13 2017-11-07 重庆紫光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含磷废液的体系
CN103482592B (zh) * 2013-09-13 2016-09-28 重庆紫光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含磷废液的处理方法
CN103450094B (zh) * 2013-09-13 2015-08-26 重庆紫光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4,6-二氯嘧啶的纯化方法
CN106187912A (zh) * 2016-07-19 2016-12-07 安徽广信农化股份有限公司 一种4,6‑二氯嘧啶的生产工艺
CN106045917A (zh) * 2016-07-19 2016-10-26 安徽广信农化股份有限公司 一步法制备4,6‑二氯嘧啶的合成工艺
CN111635367B (zh) * 2020-06-24 2023-05-30 山东京博农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4,6-二氯嘧啶的纯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89763A (fr) * 1971-10-08 1973-04-06 Ciba Geigy Procede de regeneration de l'oxychlorure ou -bromure de phosphore a partir de melanges reactionnels
DE3228712A1 (de) * 1982-07-31 1984-02-02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4,5,6-tetrachlorpyrimidin
DE3431698A1 (de) * 1984-08-29 1986-03-13 Bayer Ag, 5090 Leverkusen 5,5-dichlor-4,5-dihydro-6-hydroxy-2-trichlormethyl-pyrimidin-4-on,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DE3441789A1 (de) * 1984-11-15 1986-05-15 Bayer Ag, 5090 Leverkusen 5,6-dichlor-4-hydroxy-2-trichlormethylpyrimidin
DE3441935A1 (de) * 1984-11-16 1986-05-28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4-dihydroxypyrimidinen
GB8916698D0 (en) * 1989-07-21 1989-09-06 Beecham Group Plc Novel process
CA2091986C (en) * 1990-10-09 1995-11-28 Andrew Thurkauf Certain cycloalkyl and azacycloalkyl pyrrolopyrimidines; a new class of gaba brain receptor ligands
DE4222518A1 (de) * 1992-07-09 1994-01-13 Bayer Ag Verfahren zur Hertellung von 5-(Trifluormethyl)-uracil und die neuen Verbindungen 2,4-Dichlor-5-trichlormethyl-pyrimidin und 2,4-Difluor-5-trifluormethyl-pyrimidin
GB9220585D0 (en) * 1992-09-30 1992-11-11 Smithkline Beecham Plc Pharmaceuticals
CN1082031A (zh) * 1993-05-20 1994-02-16 郑州市孝义制药厂 磺胺间甲氧嘧啶的制备方法
DE4408404A1 (de) * 1994-03-12 1995-09-14 Huels Chemische Werk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hlorpyrimidinen
DE4429466A1 (de) * 1994-08-19 1996-02-22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chlorpyrimidinen
AT402818B (de) * 1995-06-02 1997-09-25 Chemie Linz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einem 4,6-dichlorpyrimidin
DE19531299A1 (de) * 1995-08-25 1997-02-27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6-Dichlorpyrimidin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Chemical Society, 1951, R.Hull,"A new synthesis of 4 :6-Dihydroxypyrimidines", pp.221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747A (ko) 1998-06-25
JPH11507909A (ja) 1999-07-13
IL116721A0 (en) 1996-08-04
EP0807106B1 (en) 2001-10-17
BR9606817A (pt) 1997-12-30
EP0807106A1 (en) 1997-11-19
PT807106E (pt) 2002-02-28
CN1206408A (zh) 1999-01-27
ES2162019T3 (es) 2001-12-16
TW343970B (en) 1998-11-01
DE69616027D1 (de) 2001-11-22
ATE207059T1 (de) 2001-11-15
IL116721A (en) 2000-02-17
WO1996023776A1 (en) 1996-08-08
CN1137099C (zh) 2004-02-04
DE69616027T2 (de) 2002-05-16
IN184958B (ko) 2000-10-07
JP3930903B2 (ja) 2007-06-13
GR3036925T3 (en) 2002-01-31
US6018045A (en)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481B1 (ko) 4,6-디클로로-피리미딘제조방법
CA1138454A (en) Substituted 5-(2-imidazoline-2-yl)- aminopyrimidines and method for their production
US6784171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ert-butyl (E)-(6-[2-[4-(4-fluorophenyl)-6-isopropyl-2-[methyl(methylsulfonyl)amino]pyrimidin-5-yl]vinyl](4R,6S)-2, 2-dimethyl[1, 3]dioxan-4-yl)acetate
CN101563348B (zh) 西地那非的制备方法及其中间体
JPS6354714B2 (ko)
KR100535450B1 (ko) 피리미딘유도체의제조방법
US6984757B2 (en) Process for preparing 2-amino-4-(4-fluorphenyl)-6-alkylpyrimidine-5-carboxylate
EP0024200B1 (en) N-cyanoimidates, their preparation and rearrangement to pyrimidines
JPS6354365A (ja) 2−アミノ−4,6−置換ピリミジンの製造方法
JP3252502B2 (ja) N−5保護した2,5−ジアミノ−4,6−ジクロロピリミジ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33068B1 (ko) 2-치환된 4,6-디알콕시피리미딘의 제조방법
GB158562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2-alkyl or 2 - cycloalkyl - 4 - methyl - 6 - hydroxypyrimidines
EP0298542A1 (en) Process for preparing thiophene derivatives
JPH0477756B2 (ko)
JP3716435B2 (ja) 2−置換−5−クロロイミダゾール−4−カルバルデヒドの製造方法
JPH11147879A (ja) 非対称4,6−ビス(アリールオキシ)ピリミジン化合物の改良された製造方法
EP0053038A2 (en) 3-Amino-2-alkenylimidates, their preparation and conversion to herbicide intermediates
CZ2000837A3 (cs) Způsob výroby N-[5-(difenylfosfinoylmethyl)-4-(4-fluorfenyl)-6-isopropylpyrimidin-2-yl]-N-methylmethansulfonamidu
EP0103126A1 (en) Process for preparing 4-amino-5-dialkoxymethylpyrimidine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