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939B1 - 철도선로및철도선로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선로및철도선로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939B1
KR100405939B1 KR1019970704353A KR19970704353A KR100405939B1 KR 100405939 B1 KR100405939 B1 KR 100405939B1 KR 1019970704353 A KR1019970704353 A KR 1019970704353A KR 19970704353 A KR19970704353 A KR 19970704353A KR 100405939 B1 KR100405939 B1 KR 100405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onsole
rail
plat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하르트 노이만
Original Assignee
그문트네르 페어틱타일레 게젤샤프트 엠베하 앤드 체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문트네르 페어틱타일레 게젤샤프트 엠베하 앤드 체오. 카게 filed Critical 그문트네르 페어틱타일레 게젤샤프트 엠베하 앤드 체오. 카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38Longitudinal sleepers; Longitudinal sleepers integral or combined with tie-rods; Combined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leepers; Layers of concrete supporting both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0Rail fastenings making use of clamps or braces supporting the side of the rai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11Embedded tracks, using prefab elements or injecting or pouring a curabl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12Floating rails or slee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Magnetic Head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Golf Club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inear Motor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헤드부(3)의 아래에 있는 종방향 캐리어에 의해, 탄성 중간삽입물(4, 6)을 경유하여, 레일의 외부면과 내부면상에서 횡방향 및 아래방향으로 지지되는 레일을 구비하는 선로에 있어서, 상기 레일(2)은 그 위에 위치하는 선로 구조부분위에 거리를 가지면서 연장한다. 레일 외측면에 있는 종방향 캐리어는 레일하부에 놓여지는 기저판(10)의 일부분인 제 1 콘솔가로대(5, console ledge)가 되고, 레일 내측면에 있는 종방향 캐리어는 레일(2)사이에 놓여지는 내부판(11)의 일부분인 제 2 콘솔가로대(7, console ledge)가 되며, 상기 내부판(11)은 번갈아 상기 기저판(10) 상에서 지지된다.

Description

철도 선로 및 철도 선로 설치 방법
선로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하고, 그에 의해 발생하는 구조적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레일이 종종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WO 92/04503에는 레일이 탄성 중간 삽입체를 거쳐서 종방향 캐리어로서의 외관을 갖는 레일 상에 지지되는 구성의 선로 하부구조(기초)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상기 탄성 중간 삽입체는 레일 외측 및 레일 내측 상에 배치되고, 그 아래에 배치되는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부로 구성되는 캐리어와 연결된다. 레일의 기부(foot portion) 아래의 공간은 비어 있다. 캐리어는 횡단 버팀목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레일은 다수의 굴곡부로 이루어진 단면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레일의 웨브(web)를 관통하여 안내되는 나사에 의해 서로 떠받쳐진다. 이 선로의 구조는,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부분적으로 복잡한 다수의 구조부가 필요하기 때문에, 복잡하다. 구조 부분의 수를 적게 하고 시간이 덜 소요되게 하기 위한 본 발명에따르면, 레일의 외측에 있는 종방향 캐리어가 레일 하부에 놓여지는 기저판의 일 부분인 제1 콘솔 가로대(console ledge)가 되고, 레일 내측에 있는 종방향 캐리어는 레일 사이에 놓여지는 내부판의 일 부분인 제2 콘솔 가로대(console ledge)가 되고, 상기 내부판은 차례로 기저판 상에서 지지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기저판이 레일 외측에 기저판이 상방향으로 돌출하는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에는 제1 콘솔 가로대가 일체로 배치되며, 제2 콘솔 가로대는 상기 기부판 또는 프레임의 횡방향 단부에 일체로 배치된다.
기저판과 내부판에 부하를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서, 또한 기저판의 접촉 영역과 내부판의 접촉 영역의 일치를 방지하기 위해서, 기저판과 내부판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길이의 반만큼 서로에 대해서 단(段)이 지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판과 내부판 사이에서 힘이 더 안정적이고 역동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기저판 및/또는 내부판은 내부판을 기저판 상에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리브(rib)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고, 바람직하기로는 흡음 효과 및 탄성적 토대(bedding)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판의 종방향 리브와 기저판의 종방향 리브 사이에나 혹은 내부판과 기저판 상에 제공된 종방향 리브 사이에 엘라스토머(elastomer) 밴드를 배치시키는 것도 좋다.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저판이, 서로에 대해 일정한 거리로 배치된 2개의 상향 종방향 리브로서 그들의 중간 영역에서 중단되거나 감소된 높이를 가지는 리브를 포함하고, 또한 내부판이, 그 단부 영역에 기저판의 종방향 리브와 정렬되는 두 개의 종방향 리브를 포함한다. 이는 기저판과 내부판이 서로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한다.
각 판의 종방향 리브 사이의 전이부에서 엘라스토머 밴드의 굽힘을 방지하기 위해서, 또한 그 영역에서의 흡음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방향 리브는 기저판의 판 본체나 혹은 내부판의 판 본체로의 상호 전이부에서 모서리가 깍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및 재료를 감소시키기 위해, 기저판과 내부판 모두가 그들의 중간부에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바람직하기로는 직시각형의 홈을 구비하도록 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프레임에는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폐쇄 바닥이 구비되도록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기저판 및 내부판은, 비용을 절약 차원에서, 미리 제작된 부재, 바람직하기로는 철근 콘크리트, 폴리머 접착 콘크리트, 또는 특수 콘크리트로 구성된다.
특별한 경우, 예를 들면 지면이 단단하지 않거나 평평하지 않은 경우에, 기저판은 현장 타설(site-mixed) 콘크리트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판과 내부판 모두에는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철근을 적절히 제공하며, 이 철근은 늘려지거나 사전 장력 부여가 될 수 있다.
기저판의 전위(electric potential)를 결정하기 위해, 기저판의 측부의 상단부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 프로파일이 배치되고, 연속 배치된 기저판의 상기 프로파일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고 그리고/또는 지면에 접지된다. 이는 기저판의 강도를 추가로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레일 단면의 형태가 다양한 것들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엘라스토머 포로파일로서 설계된 탄성 중간 삽입체 및 콘솔 가로대가 레일의 헤드 부분, 웨브, 및 기부(foot portion)의 형상에 적합화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공된 레일의 특별한 태양으로는, 기저판 및 내부판의 콘솔 가로대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이 헤드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기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에 있어서, 각각의 레일은 닳은 후에도 반복하여 돌려가면서 사용함으로써 총 4회나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용 수명이 길어진다. 헤드와 기부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레일은 미국 특허 1 260 149 A로부터 알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레일을 플레이트(판)에 용이하게 설치하는 또 다른 가능성에 의하면, 레일의 기부 폭이 제1 콘솔 가로대와 제2 콘솔 가로대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아야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기저판과 내부판은 직사각형 형태의 접지면(ground plane)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기저판과 내부판은 종방향으로 서로 단(段)이 지게 배치된다. 아치형의 선로 경로를 위해 기저판의 접지면이 이등변 사다리꼴의 형태를 가지고, 내부판의 접지면은 두 개의 조립된, 각 기저판의 절반의 형태에 대응되는, 이등변이 아닌 사다리꼴형상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휠 타이어의 원뿔형으로 형성된 주행면 때문에, 레일은 그 주행면에 맞추어져서 내부로 경사지는 것이 유리하다. 레일 경사 배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헤드부분 아래의 레일 바깥면에 있는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의 높이가 레일 내부의 높이보다 크다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레일 경사배치의 다른 실시예는, 레일 바깥면에있는 콘솔 가로대와 기저판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레일 내측면에 있는 콘솔 가로대와 내부판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초과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안전과 보수의 이유로, 사전 제작 부품으로서 설계된 기저판은, 10 내지 60m의 간격으로 기저(base)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금속판이 기저에 부착되고, 레일을 죄기 위해 고정부재가 상기 금속판에 부착된다.
용이한 레일 설치 및 레일 제거를 위해, 기저판 측부의 내측면에,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내측면 측부의 바깥면상에 중앙홈이 제공되는 것이 좋으며, 콘솔 가로대 및 이에 관련된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은 레일에 맞물리는 집게의 머리(jaw)와 같은 기구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홈부분에서 중단된다.
기저판의 강도 및 하중 베어링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측부로부터 바깥으로 향하는 확장 부분이 기저판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 설치의 관점에서 특별히 적합한 본 발명에 의한 선로의 실시예에서는, 레일의 기부(foot portion)가 비이드(bead) 형태로 설계되며, 분해된 상태에서의 엘라스토머 각각은 두개의 콘솔 가로대 사이 거리의 대략 절반에 해당하는 폭을 가진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엘라스토머 프로파일로 덮여있는 두 콘솔 가로대 사이의 레일 내에 삽입하거나 접동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레일을 설치한 후에 레일은 상방향 이동에 대항하는 비이드(bead)에 의해 엘라스토머 사이에 고정된다. 한 레일과 관련된 두 엘라스토머 프로파일들을 그 하단부에서 연결시킴으로써 단일품으로 형성하는 것 역시 설치에 바람직하다.
더욱이, 용이한 레일 설치 및 레일 분해를 위해, 맞닿는 부위에 있는 기저판의 측부 상에 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을 설치하기 위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장하는 홈을 맞닿는 부위에 있는 기저판의 측부 상에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바퀴의 주행 소음을 줄이기 위해, 흡음 재료의 벽이 기저판 측벽의 어느 한쪽 면 또는 양자 모두의 외부에 부착되는 것이 좋다.
또한, 기저판 및 외부판의 콘솔 가로대의 상부 받침대 맞물림 표면(upper seat-engaging surface)은 실제적으로 레일 헤드부의 하부 받침대 맞물림 표면(lower seat-engaging surface)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선로 설치의 제 1의 방법은,
a) 기저판의 종방향 리브(longitudinal rib) 상에 엘라스토머 밴드를 두고, 기저판의 콘솔 가로대에 기대어서 레일을 배치하는 단계와,
b) 기저판의 일 측면 상에서 내부판을 기울여서 삽입하여, 내부판을 다른 측면 상의 기저판 안쪽을 향하여 내향으로 선회시키는 단계와,
c) 내부판의 콘솔 가로대와 레일 사이에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을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는 단계와,
d) 외부로부터 레일을 함께 압박하고, 기저판의 콘솔 가로대와 레일 사이에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을 삽입하는 단계와,
e) 레일의 장력을 바깥쪽으로 완화하여, 콘솔 가로대에 제공된 엘라스토머 프로파일 사이에 레일이 고정되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로 설치의 제 2의 방법은,
a)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을 내부판의 콘솔 가로대에 부착하고, 레일을 상기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에 기대어 두는 단계와,
b) 외부로부터 레일을 서로 압박하는 단계와,
c) 엘라스토머 밴드를 기저판의 종방향 리브 상에 두고, 내부판과 함께 레일을 기저판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d) 기저판의 콘솔 가로대와 레일 사이에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을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는 단계와,
e) 레일의 장력을 바깥쪽으로 완화하여, 콘솔 가로대에 제공된 엘라스토머 프로파일 사이에 레일이 고정되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로 설치의 제 3의 방법은,
a) 엘라스토머 밴드를 기저판의 종방향 리브 상에 두고, 내부판을 기저판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b)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을 레일의 양측에 부착하는 단계와,
c) 기저판의 콘솔 가로대와 내부판의 콘솔 가로대 사이의 엘라스토머들과 함께,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콘솔 가로대들 사이에 삽입된 금속판 스트립과 함께, 레일을 서로 압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로 설치의 제 4의 방법은,
a) 엘라스토머 밴드를 기저판의 종방향 리브 상에 두고, 내부판을 기저판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b) 기저판의 콘솔 가로대와 내부판의 콘솔 가로대 사이에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을 삽입하는 단계와,
c) 레일을 압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모든 방법은 공통적으로 복잡한 설치 도구가 없이도 단시간 내에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의 방법으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선로(track)에 관한 것으로, 선로의 레일은 헤드 부분 아래의 종방향 캐리어에 의해 탄성 중간 삽입체를 개재시켜서 레일 내측 및 레일 외측 상에서 아래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지지된다. 레일은 그 아래에 위치하는 선로 구조부 위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도 1은 도 2의 I-I선을 따르는 단면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선로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의한 선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한 선로의 종방향 중간부분을 도시한다.
도 4는 기저판의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선로용 레일 프로파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기저판 및 내부판 상에 지지되는 레일의 상세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레일 부착물의 평면도이다.
도 8은 기저판 및 내부판 상에 지지되는 레일의 상세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레일(2)을 포함하는 선로는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로 표시된다. 레일(2)의 헤드부(3)는, 콘솔 가로대(5) 상에 있는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을 거쳐서 레일 바깥면에, 또한 콘솔 가로대(7) 상에 있는 엘라스토머 프로파일(6)을거쳐서 레일 내측면에 지지된다.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6)은 헤드부(3)로부터 기부(foot portion)로 연장되며,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6)은 콘솔 가로대(5, 7)에 의해 압박되어 레일(2)을 횡방향으로 고정한다.
레일 외측면에 있는 두 개의 콘솔 가로대(5)는, 레일(2)의 하부에 놓이며 직사각형의 접지면으로 이루어진 기저판(10)의 상방향 연장측부(9) 상에 일체로 형성되게 배치된다. 유사하게, 레일 내측면에 있는 두 개의 콘솔 가로대(7)는, 직사각형 접지면으로 이루어진 내부판(11)의 횡단부 상에 일체로 형성되게 배치되며, 내부판 (11)은 레일(2)과 상기 기저판(10) 사이에 놓여 있고, 엘라스토머 밴드(12)를 경유하여 기저판(10) 상에 지지된다. 도 2 및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판(10)과 내부판(11)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길이의 반만큼 서로 상대적으로 단(段)이 지게 배치된다. 판(10, 11)의 상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각 기저판(10)은 2개의 이격된 상향의 종방향 리브(13)를 구비하는데, 상기 종방향 리브(13)는, 내부판(11)의 단부 영역에 있는 것으로서 상기 종방향 리브(13)와 정렬되며 상방향으로 향하는 종방향 리브(14)가 수용되도록 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중간 부분에서 중단되게 하거나 혹은 감소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종방향 리브(13, 14)는 상호 전이부에서 각각 기저판의 각 판 몸체 또는 내부판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들의 높이는 종방향 리브(13)와 종방향 리브(14) 사이에 놓인 엘라스토머 밴드(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gap)이 형성되도록 하는 크기로 결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판(10)과 판(11)이 조립되어 종방향으로의 확실한 연결부를 형성했을 때, 종방향 리브(13)와 종방향 리브(14) 사이에 형성된 톱니같은 상보형의 돌출부와 홈에서 종방향 리브(13, 14)가 맞물려진다.
기저판(10)과 내부판(11)은 바람직하게는 철근콘크리트, 폴리머 접합 콘크리트 내지는 첨가제를 가지는 특수 콘크리트를 사용한, 완성된 부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철근이 판(10, 11)에 제공될 수도 있다. 기저판(10)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재료를 절약하기 위해, 그들의 중간 부분에 각각 직사각형 요부(recess)(15, 16)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요부에는 종방향 리브(13, 14)가 각각 측방향으로 이어진다. 요부(15, 16) 각각에 의해, 판(10, 11)은 선택적으로 하부면에서 밀폐된 바닥이 제공된, 프레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하중 지지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저판(10)은, 측부(9)로부터 시작되며 철근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 4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확장부(17)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저판(10)의 하중 지지 용량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요부(15)의 외부 지역 내의 두 리브(13) 사이의 공간이, 도 4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그들과 같은 높이의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내부판(11)에서도 행할 수 있다.
기저판(10)의 전기 전위를 한정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모서리 프로파일(18)이 측부(9)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모서리 프로파일은 전도되게 서로 연결되거나 지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는 레일(2')이 도시되어 있으며, 기부(foot portion) 대신에 제 2 헤드부(3')로 이루어져서, 특히 바퀴 가장자리면 상에서의 과다 마모 후에는, 레일(2')이 제거되고 윗면이 아래로 가도록 다시 삽입된다. 따라서 각 레일(2')은총 4회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헤드부(3) 밑에 있는 레일 외측면에서의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의 높이가 내측면에 있는 엘라스토머 프로파일(6')의 높이보다 커서, 엘라스토머 프로파일(6') 및 엘라스토머 밴드(12)의 탄력성 휨을 균일하게 해주는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동시에, 엘라스토머 프로파일(6')의 높이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레일(2')이, 도 6의 경사진 중심축(M)으로 표시된 바대로, 안쪽으로 경사진 위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레일은, 휘일 타이어의 원뿔형으로 형성된 주행면 및 바퀴 가장자리가 잘 마모되지 않도록 그에 적합하게 맞추어진다.
안전과 보수의 이유 때문에, 레일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에서 60m 간격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기저(base)(19)와 견고하게 연결된다.
레일(2)을 기저(19)와 연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기저에 부착된 네 개의 금속판(20)이 사용되며, 클램핑 판, 스프링 클램프(clamp)와 같은 전통적인 레일 고정 부재(21)가 레일(2)을 죄기 위해 금속판에 부착된다. 기저의 길이는 대략 0.5 내지 1m이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레일(2)의 횡방향 및 종방향 탈선이 방지된다.
도 8에 도시된 레일(2")에는, 기부(foot portion)가 비이드(23)의 형태로 구성되며, 두 개의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6")은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두 콘솔 가로대(5, 7) 사이 거리의 반에 해당하는 폭을 가진다. 두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은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하부 단부에서 연결되어 단일품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이 지역에는, 레일(2")의 설치 및 분해 시에 각각 공기가 들어가고 나갈 수 있도록, 구멍(24)이 간격을 유지하며 제공될 것이다. 평탄한 건널목을 위해,적어도 내부판은 요부(16)가 없이 형성된다. 아치형의 선로를 만들기 위해, 기저판(10)의 접지면은 이등변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고, 반면에 그에 따라 기저판(10) 각각의 2개의 절반부를 중첩시키는 내부판(11)의 형상은 두 개의 부등변 사다리꼴이 결합된 접지면을 가진다.
기저판(10)과 내부판(11) 사이에 레일(2, 2')를 설치하기 위해, 중앙 홈(22)이 기저판(10)의 측부(9)의 내면 상에 제공되며, 이 홈은 예컨대, 집게의 머리(jaw)와 같은 설치도구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동일한 목적으로, 홈(22')은 내부판(11)의 외측에 제공되며, 이는 도 2에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더욱이, 접촉지역에서의 기저판(10)에는 그 중앙에 홈(22)과 유사한 홈(22"), 또는 더 넓고 경사지게 연장되는 홈(2''')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후자는 설치하는 동안에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데 기여한다(도2 참조). 엘라스토머(4, 4')의 축방향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죔 유지(clamping retention)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홈(22''') 지역 내에 배치된다. 바퀴의 주행 소음을 줄이기 위해, 소음 흡수 재료 벽(25)이 한쪽면 또는 양쪽면(도 1)에 부착될 수 있다. 홈(22) 지역에서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4') 및 콘솔 가로대(5, 5')가 삽입된다.
설치되는 동안에, 우선 엘라스토머 밴드(12)가 기저판(10)의 종방향 리브 상에 놓여지고, 레일(2, 2')이 기저판(10)의 콘솔 가로대(5)에서 집게에 의해 압박되며, 그 위에서 내부판(11)이 가능하다면 비스듬한 위치로 기저판(10) 내로 삽입된다. 그 다음, 엘라스토머 프로파일(6, 6')이 레일(2, 2')와 내부판(11)의 콘솔 가로대(7) 사이에서 선로방향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이어서, 레일(2, 2')은 집게에의해 바깥으로부터 함께 압박되며,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4')은 바람직하게는 홈(22''')을 경유하여, 레일(2, 2')와 기저판(10)의 콘솔 가로대(5) 사이에서 미끄러져 들어가거나 끌어넣어진다.
두 번째 설치 형태에서는, 우선 엘라스토머 프로파일(6, 6')이 내부판(11)의 콘솔 가로대(7) 상에 탑재되고, 이어서 레일(2, 2')이 레일의 외측면에 있는 엘라스토머 프로파일(6, 6') 상에 놓여진다. 그 다음, 레일(2, 2')이 집게에 의해 바깥으로부터 압박되어, 레일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게된다. 이어서, 이 조립품이, 엘라스토머 밴드(12)가 이미 종방향 리브(13) 상에 놓여있는, 기저판(10)의 콘솔 가로대(5) 사이에 삽입되고, 집게의 머리(jaw)가 홈(22) 내로 삽입되고, 그 위에서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4')이 기저판(10)의 콘솔 가로대(5)로 미끄러져 들어감으로서 설치된다. 집게가 느슨해지면 레일(2, 2')이 죄어지고, 그 후에 집게의 머리가 홈(22)으로부터 후퇴한다.
도 8에 따른 레일(2")의 세 번째 설치 형태에서는, 우선 엘라스토머 밴드가 삽입되고, 내부판(11)이 기저판(10)에 삽입된다. 이어서 양쪽의 레일(2")이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4' 및 6, 6')과 함께 각각 제공된다. 이러한 조립품은 각각, 필요한 경우에는 삽입되는 금속판 스트립과 함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으로 콘솔 가로대(5)와 콘솔 가로대(7) 사이에서 압박된다.
도 8에 따른 레일(2")의 네 번째 설치 형태에서는, 우선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4' 및 6, 6') 각각이 콘솔 가로대(5 및 7)에 각각 부착되고, 그 위에서, 레일(2")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압박되어, 비이드(23)에 의해 그 위치에 고정된다. 레일 단면의 형상은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콘솔 가로대(5, 7) 및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6) 각각은 이러한 단면 부분의 헤드부, 웨브(web), 기부에 맞게 개조될 수 있다.
기저판(10)의 상부면까지의 콘솔 가로대(5, 7) 각각의 거리는, 레일(2)의 기부(8, 8')가 항상 즉,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기저판(10)의 상부측까지의 거리로 연장되도록 선택된다. 기저판 상부면까지의 레일 외측면에서의 콘솔 가로대(5)의 거리가, 기저판 상부면까지의 레일 내측면에서의 콘솔 가로대(7)의 거리를 초과하게 선택함으로써, 위에서 언급한 레일(2)의 경사진 위치가 달성될 수 있다.
폭이 감소된 기부(foot portion)를 가진 레일을 제작하기 위해, 프레임 절단기 내지는 레이저에 의한 절단으로 인해, 어느 한쪽 면 또는 양쪽 면 상에서 요구되는 폭으로 감소된 기부를 가지는 통상의 단면 형상을 취하는 레일이 사용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4' 및 6, 6')은 각 판 유니트에 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태로 미끄러져 들어가거나 또는 윤활제를 사용하여 홈(22''')을 경유하여 미끄러지게 집어넣거나 그 안으로 당길 수 있다.
더 적합한 압력분포를 위해, 기저판(10) 및 내부판(11)의 콘솔 가로대(5, 7)의 상부 받침대 맞물림 표면(upper seat-engaging surface)이 레일(2, 3)의 헤드 부분(3)의 하부 받침대 맞물림 표면과 실제적으로 평행하게, 즉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Claims (33)

  1. 레일(2)이 그 헤드 부분(3) 아래에서 종방향 캐리어에 의해서 탄성 중간 삽입체(4, 6)를 개재시켜서 레일 외측 및 레일 내측 상에서 아래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지지되고 또한 상기 레일의 아래에 위치하는 선로 구조 부분 위에서 일정한 거리로 연장되며, 기저판이 상기 레일 아래에서 연장되게 제공된, 철도 선로에 있어서,
    상기 레일 외측에 있는 종방향 캐리어가, 상기 레일(2, 2', 2") 아래에서 연장하는 상기 기저판(10)의 일 부분인 제1 콘솔 가로대(console ledge)(5)이고; 상기 레일 내측에 있는 종방향 캐리어가, 상기 레일(2, 2', 2") 사이에 놓여지고 결국 상기 기저판(10) 상에 지지되는 내부판(11)의 일 부분인 제2 콘솔 가로대(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은 상기 레일 외측에 상향으로 돌출하는 측부(9)를 구비하고, 상기 측부 상에는 상기 제1 콘솔 가로대(5)가 일체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콘솔 가로대(7)는 상기 내부판(11)의 횡방향 단부에 일체가 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과 내부판(11)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단(段)이 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 또는 상기 내부판(11)은 상기 내부판(11)을 상기 기저판(10) 상에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리브(longitudinal rib)(13, 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5. 제4항에 있어서, 엘라스토머 밴드(elastomer band)(12)가, 상기 기저판(10)의 상기 종방향 리브(13, 14)와 상기 내부판(11) 사이에나 혹은 상기 내부판 상에 제공된 종방향 리브와 상기 기저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은, 중간 지역에서 중단되거나 감소된 높이를 가지면서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두 개의 상향의 종방향 리브(13)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판(11)은 그 단부에서 상기 기저판(10)의 종방향 리브(13)와 정렬되는 두개의 종방향 리브(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 또는 내부판(11) 각각의 판 본체로의 상호전이부에서 상기 종방향 리브(13, 14)는 모서리가 깍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 및 내부판(11) 양자는 각각 그 중간에,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직사각형 형태의 요부(15, 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밀폐된 바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 및 상기 내부판(11)은 철근콘크리트, 폴리머 접합 콘크리트 또는 특수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는, 미리 제작된 부품으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site-mixed concrete)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 및 내부판(11)에는 철근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13. 제2항에 있어서, 기저판(10) 측부(9)의 상단부에,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금속 프로파일(18)이 배치되며, 연속적으로 배치된 기저판(10)들의 상기 프로파일들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거나 접지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14. 제1항, 제2항,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 가로대(5, 7 및 5', 7') 및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6 및 4', 6')로서 설계된 상기 탄성 중간 삽입체는, 상기 레일(2, 2')의 헤드부, 웨브 및 상기 기부(foot portion)의 형상에 맞게 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15. 제1항, 제2항,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 및 내부판(11)의 콘솔 가로대(5, 7; 5', 7')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레일(2')이, 상기 헤드부(3)와 동일하게 설계된 기부(foot portion)(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2, 2')의 기부(8, 8')의 폭은 제1 콘솔 가로대와 제2 콘솔 가로대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17. 제1항, 제2항,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 및 내부판(11)은 직사각형 형상의 접지면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기저판(10) 및 내부판(11)은 서로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단(段)이 지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의 접지면은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이며, 상기 내부판(11')의 접지면은 두 개의 조립된 부등변 사다리꼴 형상이며, 상기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과 부등변 사다리꼴 형상 모두는 기저판(10)의 절반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3) 아래의 레일 외측면에 있는 상기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의 높이는 레일 내측면의 엘라스토머 프로파일(6')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외측에 있는 상기 콘솔 가로대(5')의 상기 기저판(10)의 상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상기 레일 내측에 있는 상기 콘솔 가로대(7')의 상기 내부판의 상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21.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제작된 부품인 상기 기저판(10)은 10 내지 60m의 간격으로 기저(19)에 견고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22. 제21항에 있어서, 금속판(20)이 상기 기저(19)와 연결된 상기 기저판(10) 위에나 혹은 상기 기저(19) 바로 위에 부착되며, 레일 고정 요소(21)가 상기 금속판(2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2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의 측부(9)의 내측이나 혹은 내부판(11)의 측부의 내측에 중앙 홈(recess)(22, 22')이 제공되며, 상기 콘솔 가로대 및 이에 부속된 상기 엘라스토머 프로파일(6, 6')이 상기 홈(22)의 영역에서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은 상기 측부(9)에서 시작하는 확장부(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2")의 상기 기부(8)는 비이드(23)로서 구성되고, 분해된 상태에서의 상기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6") 각각은 두 개의 콘솔 가로대(5, 7) 사이 거리의 절반에 해당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2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의 측부(9) 상의 접합 영역에 홈(2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27. 제2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내부로 연장되는 경사진 홈(22')이, 상기 기저판(10)의 측부(9) 상의 접합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28. 제2항에 있어서, 흡음 재료의 벽(25)이 상기 기저판(10)의 측벽(9)의 어느 한 측면이나 양 측면의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2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0) 및 내부판(11)의 상기 콘솔 가로대(5, 7)의 상부 받침대 맞물림 표면(upper seat-engaging surface)은 상기 레일(2, 2', 2")의 헤드부(3)의 하부 받침대 맞물림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30. 제1항, 제2항, 제10항, 제11항, 제13항, 제18항, 또는 제2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철도 선로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기저판(10)의 종방향 리브(13) 상에 엘라스토머 밴드(12)를 배치하고, 상기 기저판(10)의 콘솔 가로대(5)에 기대어 레일(2, 2')을 배치하는 단계와,
    (b) 기저판(10)의 일 측에 내부판(11)을 비스듬하게 삽입하여서 다른 쪽의 내부판(11)을 기부판(10) 쪽으로 안으로 향하게 선회시키는 단계와,
    (c) 내부판(11)의 콘솔 가로대(7)와 레일(2, 2') 사이에 엘라스토머 프로파일(6, 6')이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는 단계와,
    (d) 레일(2, 2')을 외부에서 누르고, 기저판(10)의 콘솔 가로대(5)와 레일(2, 2') 사이에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4')을 삽입하는 단계와,
    (e) 레일(2, 2')의 장력이 외측을 향해 이완되게 하여서 레일(2, 2')이 상기 콘솔 가로대(5, 7)에 마련된 상기 엘라스토머 프로파일들 사이에서 떠받쳐지도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설치 방법.
  31. 제1항, 제2항, 제10항, 제11항, 제13항, 제18항, 또는 제2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철도 선로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엘라스토머 프로파일(6, 6')을 내부판(11)의 콘솔 가로대(7, 7')에 부착하고, 레일(2, 2')을 상기 엘라스토머 프로파일(6, 6')에 기대어 배치하는 단계와,
    (b) 레일(2, 2')을 외부에서 누르는 단계와,
    (c) 엘라스토머 밴드(12)를 기저판(10)의 종방향 리브(13) 상에 배치하고, 상기 내부판(11)과 함께 상기 레일(2, 2')을 기저판(10)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d) 기저판(10)의 콘솔 가로대(5)와 상기 레일(2, 2') 사이에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4')이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는 단계와,
    (e) 상기 레일(2, 2')의 장력이 외측을 향해 이완되게 하여서 레일(2, 2')이 상기 콘솔 가로대(5, 7)에 마련된 상기 엘라스토머 프로파일들 사이에서 떠받쳐지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설치 방법.
  32. 제1항, 제2항, 제10항, 제11항, 제13항, 제18항, 또는 제2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철도 선로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엘라스토머 밴드(12)를 기저판(10)의 종방향 리브(13) 상에 배치하고, 상기 내부판(11)을 기저판(10)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b)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4', 6, 6')을 상기 레일의 양측에 부착하는 단계와,
    (c) 상기 레일(2, 2')을, 기저판(10)의 콘솔 가로대(5, 5')와 내부판(11)의 콘솔 가로대(7, 7') 사이에서 상기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4', 6, 6')과 함께 압입하거나 상기 콘솔 가로대(5, 5', 7, 7') 사이에 삽입된 금속판 스트립과 함께 압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설치 방법.
  33. 제1항, 제2항, 제10항, 제11항, 제13항, 제18항, 또는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철도 선로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엘라스토머 밴드(12)를 기저판(10)의 종방향 리브(13) 상에 배치하고, 상기 내부판(11)을 기저판(10)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b) 상기 기저판(10)의 콘솔 가로대(5, 5')와 상기 내부판(11)의 콘솔 가로대(7, 7') 사이에 엘라스토머 프로파일(4", 6")을 삽입하는 단계와,
    (c) 상기 레일(2")을 압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선로 설치 방법.
KR1019970704353A 1994-12-30 1995-12-22 철도선로및철도선로설치방법 KR100405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243394A AT403386B (de) 1994-12-30 1994-12-30 Gleis
ATA2433/94 1994-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5939B1 true KR100405939B1 (ko) 2004-04-29

Family

ID=353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353A KR100405939B1 (ko) 1994-12-30 1995-12-22 철도선로및철도선로설치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806764A (ko)
EP (1) EP0800599B1 (ko)
JP (1) JP3602137B2 (ko)
KR (1) KR100405939B1 (ko)
CN (1) CN1096530C (ko)
AT (2) AT403386B (ko)
AU (1) AU699601B2 (ko)
CZ (1) CZ145497A3 (ko)
DE (1) DE59502289D1 (ko)
ES (1) ES2118643T3 (ko)
FI (1) FI119776B (ko)
HU (1) HU218774B (ko)
NO (1) NO309106B1 (ko)
PL (1) PL178301B1 (ko)
SK (1) SK78597A3 (ko)
WO (1) WO19960210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02B1 (ko) 2005-12-10 2007-04-24 송억영 중앙안내방식 단일레일궤도 트램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0146B4 (de) * 1999-05-03 2005-07-21 Max Bögl Bauunternehmung GmbH & Co. KG Lagerung einer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DE19920075A1 (de) * 1999-05-03 2000-12-07 Boegl Max Bauunternehmung Gmbh Lagerung einer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NL1012649C2 (nl) * 1999-07-20 2001-01-23 Grimbergen Holding B V Spoorplaat voor een spoorbaan, en bevestigingsmethode daarvoor.
EP2032409A1 (en) * 2006-06-13 2009-03-11 Newstyle Nominees PTY LTD Rail track crossing
DE102006043745A1 (de) * 2006-09-13 2008-04-03 Max Bögl Bauunternehmung GmbH & Co. KG Fahrwe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ges
FR2938274B1 (fr) * 2008-11-10 2016-02-05 Alstom Transport Sa Superstructure de voie fixe sans ballast avec sectionnement de la dalle de fond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0316A1 (de) * 1993-04-07 1994-10-19 WURZBURGER STRASSENBAHN GmbH Elastische Schienenlagerung mit offenem oder geschlossenem Oberbau für Schienenfahrzeug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60149A (en) * 1917-10-13 1918-03-19 William G Coughlin Railroad-rail and support.
US1587691A (en) * 1924-10-23 1926-06-08 Richard A Whittingham Railway-track structure
AT227289B (de) * 1961-01-20 1963-05-10 Meteoor Nv Betonfabriek Gleislagerung auf Blockschwellen
US3525472A (en) * 1966-08-30 1970-08-25 Japan National Railway Vibration-suppressing composite rail for railways
JPS5251605A (en) * 1975-10-24 1977-04-25 Yutaka Sato Rail viebration insulating and tighteing device
DE2817278C3 (de) * 1978-04-20 1980-10-30 Diether 4300 Essen Uderstaedt Schalldämmende Schienenunterlage
US4266719A (en) * 1978-06-30 1981-05-12 Clouth Gummiwerke Aktiengesellschaft Track mounting assembly and sound-damping system therefore
AT367482B (de) * 1980-05-20 1982-07-12 Hoetzel Beton Gmbh Schienengleicher bahnuebergang mit innenplatten aus beton
US4616395A (en) * 1983-06-30 1986-10-14 Perini Corporation Railroad track fixation method and apparatus
DE3536966A1 (de) * 1985-10-17 1987-04-23 Uderstaedt Diether Schienenunterbau
DE3540128A1 (de) * 1985-11-13 1987-05-14 Clouth Gummiwerke Ag Elastisch gelagerte schiene fuer schienenfahrzeuge
BE903871A (fr) * 1985-12-17 1986-04-16 Dynamit Du Batiment En Abrege Systeme de voie ferree antivibratoire.
DE4007937C2 (de) * 1990-03-13 2002-03-21 Hermann Ortwein Elastisch gelagerte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DE4114803A1 (de) * 1991-05-07 1992-11-12 Hermann Ortwein Rillenschie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0316A1 (de) * 1993-04-07 1994-10-19 WURZBURGER STRASSENBAHN GmbH Elastische Schienenlagerung mit offenem oder geschlossenem Oberbau für Schienenfahrzeu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02B1 (ko) 2005-12-10 2007-04-24 송억영 중앙안내방식 단일레일궤도 트램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11754A (ja) 1998-11-10
EP0800599B1 (de) 1998-05-20
FI972782A (fi) 1997-06-27
ATE166405T1 (de) 1998-06-15
JP3602137B2 (ja) 2004-12-15
FI972782A0 (fi) 1997-06-27
CZ145497A3 (en) 1997-08-13
US5806764A (en) 1998-09-15
NO309106B1 (no) 2000-12-11
HUT76961A (hu) 1998-01-28
DE59502289D1 (de) 1998-06-25
NO973053L (no) 1997-06-30
HU218774B (hu) 2000-12-28
EP0800599A1 (de) 1997-10-15
PL320997A1 (en) 1997-11-24
AT403386B (de) 1998-01-26
SK78597A3 (en) 1998-01-14
NO973053D0 (no) 1997-06-30
WO1996021063A1 (de) 1996-07-11
CN1171139A (zh) 1998-01-21
CN1096530C (zh) 2002-12-18
ES2118643T3 (es) 1998-09-16
FI119776B (fi) 2009-03-13
AU4167896A (en) 1996-07-24
PL178301B1 (pl) 2000-04-28
AU699601B2 (en) 1998-12-10
ATA243394A (de) 199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4031A (en) Resilient flooring
KR102236299B1 (ko) 무도상 철도교량 궤도시스템 및 급속시공 방법
US2336622A (en) Bridge span
KR100405939B1 (ko) 철도선로및철도선로설치방법
US7845285B2 (en) Rail for self-propelled electric trucks
RU134540U1 (ru) Безболтовое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и подрельсовая подкладка безболтового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CA2834013C (en) Rail support assembly with improved shoulder
KR100265579B1 (ko) 사다리형 침목 및 레일트랙
US6986470B2 (en) Rail mount
US4880158A (en) Surface grade crossing structure
RU2530831C1 (ru) Безболтовое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и подрельсовая подкладка безболтового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AU2009295241B2 (en) Track supporting layer
KR20100084660A (ko) 궤도 덮개
US5096118A (en) Toggle tie plate rail fastening system
CA1098093A (en) Railway sleeper
US3417921A (en) Railway track
US7677465B1 (en) Railway crossing installation
US6971610B2 (en) Railway diamond wedge crossing with reversible beam castings
US4732320A (en) Railroad grade crossing with transverse securing splines
US4892249A (en) Railroad grade crossing with improved transverse spline and anchoring assembly
US2439593A (en) Combination tie plate and rail joint
WO2006036088A2 (fr) Attache de rails
US1814548A (en) Plate support for rail joints
KR101955086B1 (ko) 철도 침목 블록
JPH04155001A (ja) レール締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