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707B1 - 디스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 - Google Patents

디스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707B1
KR100400707B1 KR10-2001-0057678A KR20010057678A KR100400707B1 KR 100400707 B1 KR100400707 B1 KR 100400707B1 KR 20010057678 A KR20010057678 A KR 20010057678A KR 100400707 B1 KR100400707 B1 KR 100400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cpu
recording medium
battery power
semiconductor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2042A (ko
Inventor
가꾸준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58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a detachable storage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2201/214Checking or indicating the storage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자기 디스크 (46) 가 장착되고 슬롯 (66) 이 닫히면, 시스템 컨트롤러 (50) 는 대응하는 상태신호를 CPU (34) 에 부여한다. 그러면 CPU (34) 는 디스크 컨트롤러 (38) 에 디스크 정보의 판독을 명령한다. 디스크 컨트롤러 (38) 는 스핀들 모터 (44), 광픽업 (40) 및 기록헤드 (42) 를 구동하여 광자기 디스크 (46) 로부터 빈 용량 정보를 판독한다. 판독된 빈 용량 정보는 CPU (34) 에 반송되어, CPU (34) 에 의하여 플래시 메모리 (36) 에 보존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빈 용량 정보는 광자기 디스크에 비하여 고속 액세스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에 보존되므로, 배터리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셔터 버튼의 조작을 유효화할 것인지 아닌지를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 {DISK DEVICE AND DIGITAL CAMERA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크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되며, 이탈가능하게 장착된 디스크 기록매체에 조사수단에 의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소망신호를 디스크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디스크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신호를 FAT 방식으로 기록매체에 기록한 경우, 각각의 화상신호의 기록상태 (기록 사이즈, 기록 어드레스, 빈 용량 등) 는 FAT 정보 (디스크 정보) 에 의하여 관리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전원의 투입에 응답하여 기록매체로부터 FAT 정보를 재생하고, 재생한 FAT 정보에 포함되는 빈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촬영제어를 하였다. 즉, 셔터 버튼의 조작을 유효하게 하려면, 먼저 빈 용량을 검출하여 촬영가능매수가 1 매 이상 있음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에는 전원의 투입에 응답하여 FAT 정보를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였다.
그러나, 기록매체로서 광자기 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기록매체를 채용할 경우, 디스크 기록매체로부터 FAT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스핀들모터를 구동하여 광픽업을 FAT 에리어로 이동시키고, 그리고 레이저광을 디스크 기록매체에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하여, 디스크 기록매체에서는 촬영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데 10 초 이상의 시간이 걸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소망신호를 취득할지 아닐지를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 는 시스템 컨트롤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은 CPU 동작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는 CPU 동작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지털 카메라 12 : CCD 이미저
32 : JPEG 코덱 34 : CPU
36 : 플래시 메모리 38 : 디스크 컨트롤러
46 : 광자기 디스크 48 : 슬롯
50 : 시스템 컨트롤러 64 : 디스크 센서
66 : 슬롯 센서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며,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 기록매체에 소망신호를 기록하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기록매체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장착수단, 배터리 전원이 OFF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 기록매체가 장착되었을 때 배터리 전원을 ON으로 하는 ON수단, ON수단에 의하여 배터리 전원이 ON이 된 후, 디스크 기록매체의 빈 용량을 나타내는 빈 용량 정보를 디스크 기록매체로부터 검출하는 검출수단,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빈 용량 정보를 반도체 메모리에 보존하는 보존수단, 및 반도체 메모리에 보존된 빈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소망신호의 취득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이다.
배터리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디스크 장치는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 기록매체에 소망신호를 기록한다. 여기서, 디스크 기록매체는 장착수단에 의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배터리 전원이 OFF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 기록매체가 장착되면 배터리 전원이 ON수단에 의하여 ON이 된다. 검출수단은 ON수단에 의하여 배터리 전원이 ON 이 된 후, 디스크 기록매체의 빈 용량을 나타내는 빈 용량 정보를 디스크 기록매체로부터 검출하고, 보존수단은 검출된 빈 용량 정보를 반도체 메모리에 보존한다. 소망신호의 취득은 반도체 메모리에 보존된 빈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서는, 소망신호는 취득지시에 응답하여 취득수단에 의하여 취득된다. 이 때, 제어수단은 빈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취득지시를 무효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소망신호는 사이즈가 미리 정해져 있는 정지화상신호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빈 용량 정보가 반도체 메모리에 보존되면 배터리 전원이 OFF 수단에 의하여 OFF 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국면에서는, 반도체 메모리는 비휘발성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도 1 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 (10) 는 배터리 전원 (52) 을 포함한다. 배터리 전원 (52) 은 백업전원 (54) 을 충전하고, 시스템 컨트롤러 (50) 는 백업전원 (54) 에 의하여 항상 ON 상태가 된다.
오퍼레이터가 전원 스위치 (58) 를 ON 으로 하면, 시스템 컨트롤러 (50) 는 스위치 (SW1) 를 ON 으로 함과 동시에 전원 스위치 (58) 가 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CPU (34) 에 부여한다. 오퍼레이터가 전원 스위치 (58) 를 ON상태에서 OFF상태로 전환하면, 시스템 컨트롤러 (50) 는 대응하는 상태신호를 CPU (34) 에 출력하고, 소정시간 경과후에 스위치 (SW1) 를 OFF 한다.
전원 스위치 (58) 가 OFF상태이더라도, AND 게이트 (62) 의 출력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화하면 시스템 컨트롤러 (50) 는 스위치 (SW1) 를 ON으로 하고, AND 게이트 (62) 의 출력이 하이레벨임을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CPU (34) 에 출력한다. 디스크 센서 (64) 는 착탈이 자유로운 광자기 디스크 (46) 가 슬롯 (48) 에 세팅되었을 때에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슬롯 센서 (66) 는 슬롯 (48) 이 열림상태에서 닫힘상태로 이행하였을 때에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AND 게이트 (62) 는 디스크 센서 (64) 및 슬롯 센서 (66) 의 출력에 논리곱을 실시하기 위하여, AND 게이트 (62) 의 출력이 하이레벨임을 나타내는 상태신호는 광자기 디스크 (46) 가 장착되었을 때 (광자기 디스크 (46) 가 슬롯 (48) 에 세팅되고, 또한 슬롯 (48) 이 닫힘상태로 이행하였을 때) 에 CPU (34) 로 출력된다. 이와 같은 상태신호에 기초하여 CPU (34) 로부터 후술하는 검출종료 통지가 부여되면, 시스템 컨트롤러 (50) 는 스위치 (SW1) 를 OFF 상태로 되돌린다.
시스템 컨트롤러 (50) 는 또한 모니터 스위치 (60) 가 전환되었을 때, 모니터 스위치 (60) 의 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CPU (34) 에 출력한다. 또한 셔터 버튼 (56) 이 조작되었을 때, 셔터 버튼 (56) 이 ON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CPU (34) 에 출력한다.
스위치 (SW1) 가 ON이 되면 CPU (34) 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에 전력이 공급되고, 스위치 (SW1) 가 OFF되면 시스템 전체로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된다. 전력의 공급에 의하여 기동한 CPU (34) 는 시스템 컨트롤러 (50) 로부터 부여되는 상태신호를 판별하여, 판별결과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AND 게이트 (62) 의 출력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갱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신호가 부여되면, CPU (34) 는 디스크 컨트롤러 (38) 에 초기화 지시 (1) 를 부여한다. 이 때, 디스크 컨트롤러 (38) 는 스핀들모터 (44) 에 의하여 광자기 디스크 (46) 를 회전시켜, 광픽업 (40) 및 기록헤드 (42) 를 구동하고, 광자기 디스크 (46) 에 테스트 라이트 및 테스트 리드를 실시한다. 테스트 라이트 및 테스트 리드는 상이한 레이저 파워로 반복실시되며, 이로 인하여 최적 레이저 파워값이 특정된다. 최적 레이저 파워값이 특정되면 디스크 컨트롤러 (38) 는 초기화의 종료를 CPU (34) 에 통지한다.
CPU (34) 는 초기화종료 통지에 응답하여 최적 레이저 파워값과 디스크 정보 (광자기 디스크 (46) 의 빈 용량 정보나 기록종료된 화상파일의 최대 파일번호 등) 를 디스크 컨트롤러 (38) 에 요구한다. 디스크 컨트롤러 (38) 는 이 요구에 응답하여, 전술한 테스트 라이트 및 테스트 리드에 의하여 특정한 최적 레이저 파워값과, 광자기 디스크 (46) 의 FAT (File Allocation Table) 에리어로부터 판독한 디스크 정보를 CPU (34) 에 반송한다. CPU (34) 는 반송된 최적 레이저 파워값 및 디스크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 (36) 에 저장하고, 저장처리가 완료되면 검출종료 통지를 시스템 컨트롤러 (50) 에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컨트롤러 (50) 는 이 검출종료 통지에 응답하여 스위치 (SW1) 를 OFF한다.
전원 스위치 (58) 가 ON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신호가 부여되면, CPU (34) 는 디스크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 (36) 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디스크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을 위한 환경설정을 행한다. 디스크 정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 (46) 의 빈 용량 정보나 기록종료된 화상파일의 최대 파일번호 등이 포함되며, CPU (34) 는 빈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가능매수를 산출하고, 최대 파일번호에 기초하여 다음 회에 작성될 정지화상파일의 파일번호를 결정한다.
촬영환경설정이 완료되면, CPU (34) 는 플래시 메모리 (36) 로부터 최적 레이저 파워값을 판독하고, 판독한 최적 레이저 파워값을 초기화지시 (2) 와 함께 디스크 컨트롤러 (38) 에 부여한다. 디스크 컨트롤러 (38) 는 최적 레이저 파워값에 기초하여 간단한 테스트 라이트 및 테스트 리드를 광자기 디스크 (46) 에 실시한다. 즉, 주어진 최적 레이저 파워값에 따라 기록처리를 적절히 행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적절한 기록처리가 가능하면, 주어진 최적 레이저 파워값을 현재 장착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 (46) 의 최적 레이저 파워값으로 결정한다. 한편, 적절한 기록처리가 불가능하면, 엄격한 테스트 라이트 및 테스트 리드 (상이한 레이저 파워에 의한 테스트 라이트 및 테스트 리드의 반복) 를 행하여 최적 레이저 파워값을 결정한다. 이렇게 하여 최적 레이저 파워값이 결정되면 초기화종료 통지를 CPU (34) 에 출력한다.
모니터 스위치 (60) 가 ON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신호가 부여되면, CPU (34) 는 스루(through) 화상표시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타이밍 제너레이터 (TG ; 14) 에 단축된 판독을 명령하는 동시에 신호처리회로 (22) 및 비디오 엔코더 (28) 에 소정의 처리명령을 부여한다.
TG (14) 는 시그널 제너레이터 (SG ; 16) 로부터 출력된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에 기초하여 CCD 이미저 (imager) (12) 를 단축된 판독 방식으로 구동한다. 이로 인하여,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저해상도의 카메라 신호 (화소신호) 가 CCD 이미저 (12) 로부터 출력된다. 출력된 카메라 신호는 CDS/AGC 회로 (18) 에서 주지의 노이즈 제거 및 레벨 조정이 행해지고, 그 후 A/D 변환기 (20) 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신호처리회로 (22) 는 A/D 변환기 (20) 를 통하여 부여된 카메라 데이터에 색분리, 백(白) 밸런스 조정, YUV 변환 등의 처리를 하고,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YUV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YUV 데이터를 기입 요청과 함께 메모리 제어회로 (24) 에 출력한다. 신호처리회로 (22) 로부터 출력된 YUV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회로 (24) 에 의하여 SDRAM (26) 에 기입된다. 한편, 비디오 엔코더 (28) 는 YUV 데이터의 판독을 메모리 제어회로 (24) 에 요청하고, 메모리 제어회로 (24) 에 의하여 판독된 YUV 데이터를 NTSC 방식의 합성 (composite) 화상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합성 화상신호는 모니터 (30) 에 부여되고, 이 결과 피사체의 리얼타임 동화상 (스루 화상) 이 모니터 (30) 에 표시된다.
모니터 스위치 (60) 가 OFF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신호가 부여되면, CPU (34) 는 TG (14) 에 단축된 판독의 중지를 명령하는 동시에 신호처리회로 (22) 및 비디오 엔코더 (28) 에도 처리중지 명령을 부여한다. 이로 인하여, 스루 화상의 표시가 중지된다.
셔터 버튼 (56) 이 조작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신호가 부여되면, CPU (34) 는 촬영가능매수를 판별하고, 1 매 이상 촬영가능한 때에 한하여 셔터 버튼 (56) 의 조작을 유효화한다. 즉, 부여된 상태신호에 응답하여 TG (14) 에 전 (全) 화소 판독을 명령하여, 신호처리회로 (22) 에 상기와 동일한 처리명령을 부여하고, JPEG 코덱 (32) 에 압축명령을 부여한다.
TG (14) 는 SG (16) 로부터 출력된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에 기초하여 CCD 이미저 (12) 를 1 프레임 기간에 걸쳐 전화소 판독 방식으로 구동한다. CCD 이미저 (12) 로부터는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고해상도의 카메라 신호 (1 프레임분) 가 출력된다. 출력된 카메라 신호는 전술과 동일한 처리가 행해져, 신호처리회로 (22) 로부터 고해상도의 YUV 데이터가 출력된다. 출력된 YUV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회로 (24) 에 의하여 SDRAM (26) 에 기입된다.
JPEG 코덱 (32) 은 CPU (34) 로부터의 압축명령에 응답하여, 메모리 제어회로 (24) 에 YUV 데이터의 판독을 요청한다. 메모리 제어회로 (24) 는 이 판독 요청에 응답하여 SDRAM (26) 으로부터 고해상도의 YUV 데이터를 판독하고, JPEG 코덱 (32) 은 판독된 YUV 데이터에 JPEG 압축을 행한다. 이로 인하여, 최대 사이즈가 20 K 바이트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압축된 압축정지 화상데이터가 생성된다. JPEG 코덱 (32) 은 생성된 압축정지 화상데이터를 기입 요청과 함께 메모리 제어회로 (24) 에 부여한다. 이로 인하여, 압축정지 화상데이터도 역시 메모리 제어회로 (24) 에 의하여 SDRAM (26) 에 저장된다.
압축정지 화상데이터가 SDARM (26) 내에 얻어지면, CPU (34) 는 스스로 메모리 제어회로 (24) 에 압축정지 화상데이터의 판독을 요청하고, 메모리 제어회로 (24) 에 의하여 판독된 압축정지 화상데이터를 디스크 컨트롤러 (38) 에 부여한다. CPU (34) 는 또한 전원 스위치 (58) 의 투입시에 결정한 파일번호를 포함하는 파일명을 작성하고, 작성한 파일명을 압축정지 화상데이터에 이어서 디스크 컨트롤러 (38) 에 부여한다.
압축정지 화상데이터 및 파일명이 부여되면, 디스크 컨트롤러 (38) 는 광픽업 (40) 및 기록헤드 (42) 를 구동하고, 압축정지 화상데이터 및 파일명을 포함하는 정지화상 파일을 FAT 방식으로 광자기 디스크 (46) 에 기록한다.
전원 스위치 (58) 가 OFF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신호가 부여되면, CPU (34) 는 최적 레이저 파워값 및 디스크 정보를 디스크 컨트롤러 (38) 에 요구한다. 이 때, 디스크 컨트롤러 (38) 는 초기화 지시 (2) 에 기초하는 테스트 리드 및 테스트 라이트에 의하여 결정한 최적 레이저 파워값과, 현시점의 디스크 정보를 CPU (34) 에 반송한다. CPU (34) 는 반송된 최적 레이저 파워값 및 디스크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 (36) 에 저장한다.
시스템 컨트롤러 (50) 는 구체적으로는 도 2 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처리한다. 먼저, 스텝 S1 에서, 전원 스위치 (58) 가 ON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전원 스위치 (58) 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면, 스텝 S3 에서 스위치 (SW1) 를 ON으로 함과 동시에 스텝 S5 에서 전원 스위치 (58) 가 ON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CPU (34) 에 출력한다.
계속해서, 스텝 S17 및 S21 각각에서 모니터 스위치 (60) 의 상태를 판별한다. 모니터 스위치 (60) 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전환되면, 스텝 S17 에서 YES 로 판별하여, 스텝 S19 에서 모니터 스위치 (60) 가 ON 상태로 이행하였음을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CPU (34) 에 출력한다. 한편, 모니터 스위치 (60) 가 ON상태에서 OFF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는, 스텝 S21 에서 YES 로 판별하여, 스텝 S23 에서 모니터 스위치 (60) 가 OFF 상태로 이행하였음을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CPU (34) 에 출력한다.
스텝 S17 및 S21 모두 NO 이면, 셔터 버튼 (56) 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스텝 S25 에서 판별하고, 전원 스위치 (58) 가 OFF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셔터 버튼 (56) 이 조작되면 스텝 S25 에서 스텝 S27 로 진행하여, 셔터 버튼 (56) 이 조작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CPU (34) 에 출력한다. 한편, 전원 스위치 (58) 가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전환되면 스텝 S29 에서 스텝 S31 로 진행하여, 전원 스위치 (58) 가 OFF 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CPU (34) 에 출력한다. 또한 스텝 S33 에 있어서의 소정시간의 대기를 거쳐, 스텝 S35 에서 스위치 (SW1) 를 OFF 한다. 스텝 S27 의 처리를 종료하거나, 스텝 S25 및 S29 각각에서 NO 로 판단되면 스텝 S17 로 되돌아오고, 스텝 S35 의 처리를 종료하면 스텝 S1 로 되돌아온다.
전원 스위치 (58) 가 OFF 상태일 때에 AND 게이트 (62) 의 출력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화하면, 스텝 S1 에서 NO 로 판단하고 스텝 S7 에서 YES 로 판단한다. 그러면, 스텝 S9 에서 스위치 (SW1) 를 ON으로 함과 동시에 스텝 S11 에서 AND 게이트 (62) 의 출력이 하이레벨임을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CPU (34) 에 출력한다. 스텝 S13 에서는 CPU (34) 로부터 검출종료 통지가 반송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YES 이면 스텝 S15 에서 스위치 (SW1) 를 OFF한다. 스텝 S15 의 처리를 종료하면 스텝 S1 로 되돌아온다.
CPU (34) 는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처리한다. 먼저 스텝 S41 에서 전원 스위치 (58) 가 ON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시스템 컨트롤러 (50) 로부터의 상태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YES 이면 스텝 S43 에서 디스크 정보 및 최적 레이저 파워값을 플래시 메모리 (36) 로부터 판독한다. 스텝 S45 에서는 판독된 디스크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환경설정 (촬영가능매수의 산출, 다음회 작성될 정지화상 파일의 파일번호의 결정 등) 을 행하고, 연속되는 스텝 S47 에서는 판독된 최적 레이저 파워값을 초기화 지시 (2) 와 함께 디스크 컨트롤러 (38) 에 출력한다. 이 초기화 지시 (2) 에 의하여, 현재 장착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 (34) 의 최적 레이저 파워값이 결정된다.
스텝 S49 에서는 모니터 스위치 (60) 가 ON 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스텝 S53 에서는 모니터 스위치 (60) 가 OFF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별도 전술한 스텝 S41 과 마찬가지로, 시스템 컨트롤러 (50) 로부터의 상태신호에 기초하여 행한다. 스텝 S49 에서 YES 이면 스텝 S51 에서 스루 화상표시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TG (14) 에 단축된 판독을 명령함과 동시에 신호처리회로 (22) 및 비디오 엔코더 (28) 에 소정의 처리명령을 부여한다. 이 결과, 모니터 (30) 에 스루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스텝 S53 에서 YES 이면 스텝 S55 에서 스루 화상표시를 중지한다. 구체적으로는, TG (14), 신호처리회로 (22) 및 비디오 엔코더 (28) 를 불능화한다. 스텝 S51 및 S55 의 처리를 종료하면 스텝 S49 로 되돌아온다.
스텝 S57 에서는 셔터 버튼 (56) 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시스템 컨트롤러 (50) 로부터의 상태신호에 기초하여 판별한다. 여기서 YES 이면 스텝 S59 에서 촬영가능매수가 "1"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NO 이면 스텝 S61~S65 의 처리를 거치는 일 없이 스텝 S49 로 되돌아온다. 이로 인하여, 셔터 버튼 (56) 의 조작이 무효가 된다.
한편, 촬영가능매수가 "1" 이상이면 스텝 S61 에서 정지화상의 촬영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TG (14) 에 1 프레임 기간의 전화소 판독을 명령하고, 신호처리회로 (22) 에 소정의 처리명령을 부여하고, 그리고 JPEG 코덱 (32) 에 압축명령을 부여한다. 또한, 촬영가능매수 및 파일번호를 갱신한다. SDRAM (26) 에는 관련 촬영처리에 의하여 1 프레임분의 압축정지 화상데이터가 확보된다.
연속되는 스텝 S63 에서는 광자기 디스크 (46) 가 기록가능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기록가능상태란 최적 레이저 파워가 광픽업 (40) 에 설정되고, 스핀들 모터 (44) 가 소정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전술한 초기화 지시 (2) 에 대하여 디스크 컨트롤러 (38) 로부터 초기화종료 통지가 반송되었을 때나, 소비전력 삭감을 위하여 스핀들 모터 (44) 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중단된 상태로부터, 기록처리를 위하여 스핀들 모터 (44) 의 회전이 재개되었을 때 등에 기록가능상태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기록가능상태를 얻을 수 없는 동안은 스텝 S63 에서 스텝 S49 로 되돌아오는데, 기록가능상태가 얻어지면 스텝 S65 에서 기록처리를 행하고 나서 스텝 S49 로 되돌아온다. 기록처리에서는 메모리 제어회로 (24) 를 통하여 SDRAM (26) 으로부터 압축정지 화상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압축정지 화상데이터를 스스로 작성한 파일명과 함께 디스크 컨트롤러 (38) 에 부여한다. 이 결과, 압축정지 화상데이터 및 파일명을 포함하는 정지화상 파일이 광픽업 (40) 및 기록헤드 (42) 에 의하여 광자기 디스크 (46) 에 기록된다.
스텝 S67 에서는 전원 스위치 (58) 가 OFF되었는지 아닌지를 시스템 컨트롤러 (50) 로부터의 상태신호에 기초하여 판별한다. 여기서 YES 이면 스텝 S69및 S71 각각에서 최적 레이저 파워값 및 디스크 정보를 디스크 컨트롤러 (38) 를 통하여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초기화 지시 (2) 에 기초하여 디스크 컨트롤러 (38) 에서 결정된 최적 레이저 파워값을 스텝 S69 에서 검출하고, 현시점의 디스크 정보를 스텝 S71 에서 판독한다. 연속되는 스텝 S73 에서는, 이렇게 해서 얻어진 최적 레이저 파워값 및 디스크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 (36) 에 저장하고, 스텝 S73 의 처리가 완료되면 스텝 S41 로 되돌아온다.
또한, 도 3 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전원 스위치 (58) 가 OFF 된 시점에서 SDRAM (26) 에 압축 화상데이터가 남아 있을 때는, 스텝 S69 에 앞서 스텝 S65 과 동일한 기록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41 에서 NO 로 판단되면 도 4 에 나타내는 스텝 S75 로 진행하고, AND 게이트의 출력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화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도 역시 시스템 컨트롤러 (50) 로부터의 상태신호에 기초하여 행한다. 여기서 YES 이면 스텝 S77 에서 디스크 컨트롤러 (38) 에 초기화 지시 (1) 를 부여한다. 이 초기화 지시 (1) 에 의하여 상이한 레이저 파워에서의 테스트 리드 및 테스트 라이트가 반복실시되어, 최적 레이저 파워값이 결정된다.
최적 레이저 파워값이 결정된 후, 디스크 컨트롤러 (38) 로부터 초기화종료 통지가 발생하면, 스텝 S79 에서 YES 로 판단하고, 스텝 S81 및 S83 각각에서 디스크 컨트롤러 (38) 를 통하여 최적 레이저 파워값 및 디스크 정보를 검출한다. 즉, 초기화 지시 (1) 에 기초하여 결정된 최적 레이저 파워값을 스텝 S81 에서 검출하고, 현시점의 디스크 정보를 스텝 S83 에서 광자기 디스크 (46) 로부터 판독한다. 스텝 S85 에서는 이렇게 하여 얻어진 최적 레이저 파워값 및 디스크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 (36) 에 저장하고, 연속되는 스텝 S87 에서는 검출종료 통지를 시스템 컨트롤러 (50) 에 출력한다. 스텝 S87 의 처리를 종료하면 스텝 S41 로 되돌아온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디지털 카메라 (10) 는 배터리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며, 스핀들 모터 (44) 에 의하여 회전하는 광자기 디스크 (46) 에 광픽업 (40) 및 기록헤드 (42) 에 의하여 정지화상 파일을 기록한다. 여기서, 광자기 디스크 (46) 는 슬롯 (48) 에 의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배터리 전원 (52) 이 OFF 되어 있는 상태에서 광자기 디스크 (46) 가 슬롯 (48) 에 장착되면 배터리 전원 (52) 이 시스템 컨트롤러 (50) 에 의하여 ON 이 된다.
CPU (34) 는 배터리 전원 (52) 이 ON이 된 후, 광자기 디스크 (46) 의 빈 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 정보를 광자기 디스크 (46) 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디스크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 (36) 에 보존한다. 디스크 정보의 보존이 완료되면, 배터리 전원 (58) 은 시스템 컨트롤러 (50) 에 의해 OFF 된다.
전원 스위치 (58) 가 ON이 되면, CPU (34) 는 플래시 메모리 (36) 로부터 빈 용량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빈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가능매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촬영가능매수가 "1" 이상일 때에 한하여 셔터 버튼 (56) 의 조작에 응답하여 피사체의 정지화상 촬영처리 및 정지화상 파일의 광자기 디스크 (46) 로의 기록처리를 행한다. 환원하면, 촬영가능매수가 "0" 이면 셔터 버튼 (56) 의 조작은 무효가 된다.
이와 같이, 빈 용량 정보는 디스크 기록매체에 비하여 고속 액세스가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에 보존되므로, 배터리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셔터 버튼의 조작을 유효화할 것인지 아닌지를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 에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 (36) 에 디스크 정보를 보존하도록 하였는데, 디스크 정보를 보존하는 반도체 메모리는 디스크 기록매체중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기록매체로서 광자기 디스크를 이용하고 있는데, 광자기 디스크 대신에 IBM 사가 제공하는 마이크로 드라이브와 같은 착탈이 자유로운 하드 디스크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정보를 보존하는 반도체 메모리로서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고 있는데, 백업 전원에 의하여 항상 백업된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디스크 정보를 보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정지화상 파일의 광자기 디스크로의 기록방식으로서 FAT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데, 이 대신에 UDF (Universal Disc Format) 방식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로서 CCD 이미저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 대신에 CMOS 이미저를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전원이 OFF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 기록매체가 장착되면, 배터리 전원이 ON이 된 후 디스크 기록매체로부터 빈 용량 정보가 판독되고, 판독된 빈 용량 정보가 반도체 메모리에 보존된다. 반도체 메모리의 경우, 디스크 기록매체보다도 단시간에 빈 용량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므로, 소망신호를 취득할지 아닐지를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다.

Claims (8)

  1. 배터리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며,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 기록매체에 소망신호를 기록하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기록매체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장착수단;
    상기 배터리 전원이 OFF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기록매체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 전원을 ON 으로 하는 ON 수단;
    상기 ON 수단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전원이 ON 이 된 후, 상기 디스크 기록매체의 빈 용량을 나타내는 빈 용량 정보를 상기 디스크 기록매체로부터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빈 용량 정보를 반도체 메모리에 보존하는 보존수단;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에 보존된 상기 빈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망신호의 취득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취득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소망신호를 취득하는 취득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빈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취득지시를 무효로 하는 무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망신호는 사이즈가 미리 정해져 있는 정지화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빈 용량 정보가 상기 반도체 메모리에 보존된 후에 상기 배터리 전원을 OFF 하는 OFF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디스크 장치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비휘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빈 용량 정보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에 보존된 후에 상기 배터리 전원을 OFF 하는 OFF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7. 제 3 항의 디스크 장치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비휘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8. 제 4 항의 디스크 장치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비휘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KR10-2001-0057678A 2000-09-18 2001-09-18 디스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 KR100400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81219 2000-09-18
JP2000281219A JP2002093023A (ja) 2000-09-18 2000-09-18 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042A KR20020022042A (ko) 2002-03-23
KR100400707B1 true KR100400707B1 (ko) 2003-10-08

Family

ID=1876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678A KR100400707B1 (ko) 2000-09-18 2001-09-18 디스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23554B2 (ko)
EP (1) EP1189426A3 (ko)
JP (1) JP2002093023A (ko)
KR (1) KR100400707B1 (ko)
CN (1) CN1214627C (ko)
TW (1) TW5149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3472A (ja) * 2002-04-04 2003-10-24 Hitachi Ltd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3794345B2 (ja) 2002-04-25 2006-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TWI234066B (en) * 2003-04-15 2005-06-11 Micro Star Int Co Ltd Control circuit of optical recording medium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06120304A (ja) * 2004-09-21 2006-05-11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577388B2 (ja) * 2008-03-31 2010-1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4569662B2 (ja) * 2008-04-24 2010-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6241A (en) 1978-04-14 1979-10-23 Canon Inc Electronic unit
JPS5971102A (ja) 1982-10-15 1984-04-21 Canon Inc 記録又は再生装置
JPS62172560A (ja) 1986-01-23 1987-07-29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
JPS62170066A (ja) 1986-01-23 1987-07-27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
JPS62273660A (ja) 1986-05-21 1987-11-27 Canon Inc 記録又は再生装置
US4825324A (en) 1986-08-29 1989-04-25 Fuji Photo Film Co., Ltd. Still video camera with continuous picture-taking mode
JPH03276457A (ja) 1990-03-27 1991-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書き替え形光ディスク装置
JP2843103B2 (ja) 1990-04-04 1999-01-06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
US5268889A (en) * 1990-06-21 1993-12-07 Yamaha Corporation Display device for a compact disc player and a compact disc
JPH0467468A (ja) 1990-07-09 1992-03-03 Fujitsu Ltd ディスク装置の書込み制御方式
JPH04105269A (ja) 1990-08-24 1992-04-07 Sony Corp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5276471A (ja) * 1992-03-25 1993-10-22 Asahi Optical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の空きトラック検索装置
KR0175262B1 (ko) * 1996-02-27 1999-04-15 김광호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재생기능 제어방법
US5892738A (en) * 1996-06-25 1999-04-06 Sanyo Electric Co., Ltd. Disk recording-playback device and disk loading or unloading method
JPH1011755A (ja) 1996-06-27 1998-01-16 Sony Corp 記録パワー調整方法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ディスク装置
JPH1051722A (ja) * 1996-08-05 1998-02-20 Hitachi Ltd ディスクを記録媒体とするカメラ
JPH11110917A (ja) 1997-10-01 1999-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0066947A (ja) 1998-08-21 2000-03-03 Canon Inc データ記録装置及びその方法
EP1806947B1 (en) 1999-08-31 2009-10-21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handover in 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042A (ko) 2002-03-23
JP2002093023A (ja) 2002-03-29
EP1189426A3 (en) 2004-09-15
EP1189426A2 (en) 2002-03-20
US20020034141A1 (en) 2002-03-21
CN1214627C (zh) 2005-08-10
US7123554B2 (en) 2006-10-17
CN1347088A (zh) 2002-05-01
TW514902B (en) 200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90428A (ja) 画像記録装置
JP3752024B2 (ja) カメラ
JPH0728401B2 (ja) 静止画像記録装置
JP3931393B2 (ja)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ーダおよび撮影方法
KR100689179B1 (ko) 데이터 기록 장치
KR100400707B1 (ko) 디스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
JP5743512B2 (ja)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
KR100612787B1 (ko) 디지털 카메라
JPH10248046A (ja) 電子撮像装置、電子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記憶媒体
JP429808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614229A (ja) ディジタルスチルビデオカメラ
JP2003244593A (ja) ディスク装置
JPH11187350A (ja) 撮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223929A (ja) ビデオカメラ
JP2898999B2 (ja) ビデオ信号記録装置
JP2007124178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2000236508A (ja) 画像記録装置
JP2001169162A (ja) ディジタルカメラ
JP2001008142A (ja) 電子カメラ
JP3144684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3278175B2 (ja) 撮像装置
JP2002330374A (ja) デジタルカメラとその制御方法
JP2000217028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撮像方法
JPH0923360A (ja) 映像装置及び映像記録装置
JP3101595B2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