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715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715B1
KR100398715B1 KR10-2001-0021421A KR20010021421A KR100398715B1 KR 100398715 B1 KR100398715 B1 KR 100398715B1 KR 20010021421 A KR20010021421 A KR 20010021421A KR 100398715 B1 KR100398715 B1 KR 100398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ro
sealing material
crystal display
transpare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782A (ko
Inventor
야나가와가즈히꼬
아시자와게이이찌로
이시이마사히로
히끼바마사유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9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각 투명 기판 간의 갭 형성을 정확하고 또한 신뢰성있게 행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액정을 통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기판 중 한쪽 기판에 대한 다른쪽 기판의 고착이 그 액정을 봉입하는 기능을 겸한 시일재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시일재 내에는 그 시일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돌기체가 배치되고, 이 돌기체는 상기 각 기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각 투명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각 투명 기판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시킴으로써, 표시 영역의 전역에 걸쳐서 액정의 층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표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종래, 이 스페이서는 표시 영역에 산재시키는 것과 한쪽 투명 기판에 대한 다른쪽 투명 기판의 고착을 도모하는 시일재에 혼입시키는 것이 있는데, 전자는 구형으로 이루어지는 비즈가 이용되고 후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파이버가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액정 표시 장치는 상술한 각 스페이서는 한쪽 투명 기판면에 디스펜서에 의해서 시일재의 패턴을 그릴 때에 그 시일재에 이미 혼입된 것으로 또한 셀형으로 형성된 투명 기판 사이에 액정을 봉입할 때 그 액정에 이미 혼입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스페이서의 산재에 있어서 그 분포가 균일하지 않고 성긴 부분 혹은 밀한 부분이 생기기 쉬워 각 투명 기판의 갭 형성을 균일하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각 투명 기판 간의 갭 형성을 정확하고 또한 신뢰성있게 행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b의 부분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9a,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주요부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4a,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투명 전극
23 : 도전층
30 : 접착제
31 : 롤러
40 : 오목부
본원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기판 중 한쪽 기판에 대한 다른쪽 기판의 고착이 그 액정을 봉입하는 기능을 겸한 시일재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시일재 내에는 그 시일재의 연장 방향에 따라 돌기체가 배치되고, 이 돌기체는 상기 각 기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 표시 장치는 한쪽 기판에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한 선택 에칭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투명 기판 사이의 갭 형성을 정확하고 또한 신뢰성있게 행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을 한다.
[실시예 1]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a의 b-b선에서의 단면도를 도 1b에 나타내고 있다.
도 1a에서, 투명 기판 SUB1이 있고 이 투명 기판 SUB1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다른 투명 기판 SUB2가 있다.
투명 기판 SUB2는 투명 기판 SUB1과 비교하여 약간 작게 형성되고, 예를 들면 그 하측 단변 및 우측 단변의 면을 맞춘다.
이 때문에, 투명 기판 SUB1의 상측 단변 및 좌측 단변의 각 주변은 투명 기판 SUB2로부터 노출된 부분을 갖게 되지만, 이 부분은 후술하는 표시부의 각 화소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선의 단자가 배치되거나 혹은 이 단자에 접속되어 탑재되는 구동 회로(반도체 IC)가 탑재되도록 되어 있다.
투명 기판 SUB1과 투명 기판 SUB2 간에는 액정 LC가 삽입되고, 이 액정 LC는 투명 기판 SUB2의 주변 전역에 형성된 시일재 SL에 의해서 봉입되어 있다.
시일재 SL은 투명 기판 SUB1에 대하여 투명 기판 SUB2를 고착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그 일부에는 그 액정 LC를 봉입시키기 위한 봉입구 INJ를 구비하고, 이 봉입구 INJ는 이 봉입구 INJ를 통해서 액정 LC가 봉입된 후에 밀봉제에 의해서 밀봉되도록 되어 있다.
시일재 SL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 즉 액정 LC가 개재되어 있는 영역은 표시 영역 AR이 되고, 이 표시 영역 AR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화소의 집합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각 화소는, 예를 들면 도 1a 중에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자 회로가 조립되어 있다.
도 1a, 도 1b에서, 도면 중 x 방향으로 연장하고 y 방향으로 병설되는 게이트 신호선 GL과 y 방향으로 연장하고 x 방향으로 병설되는 드레인 신호선 DL로 둘러싸인 영역이 화소 영역으로서 구성되고, 이 화소 영역에는 게이트 신호선 GL로부터의 주사 신호의 공급에 의해서 구동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와, 이 박막 트랜지스터 TFT를 통하여 드레인 신호선 DL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공급되는 화소 전극 PX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화소 전극 PX는 기준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대향 전극 간에 전계를 생기게하고, 이 전계에 의해서 액정의 광 투과율을 제어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그 대향 전극은, 예를 들면 종 전계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화소 전극 PX가 형성된 투명 기판 SUB1과 대향하는 측의 다른 투명 기판 SUB2측에 형성되며, 횡전계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화소 전극 PX가 형성된 측의 투명 기판 SUB1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신호선 GL 및 드레인 신호선 DL은 각각 시일재 SL을 넘어서 투명 기판 SUB1의 좌측 단변 및 상측 단변에까지 연장되어 상술한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투명 기판 SUB1과 투명 기판 SUB2 간에는 이들 간의 갭을 균일하게유지하여 액정 SL의 층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스페이서로서의 기능을 갖는 돌기체 PRO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체 PRO는, 예를 들면 투명 기판 SUB2측에 형성되며, 그 투명 기판 SUB2의 액정 LC측의 면에 균일하게 형성된, 예를 들면 수지막을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한 선택 에칭을 함으로써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 돌기체 PRO는 소정의 개소에 소정의 두께로 정밀도가 좋도록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각 돌기체 PRO는 표시 영역 AR에서 산재되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시일재 SL의 형성 영역에서도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는 시일재 SL의 형성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에서부터 밝힌 바와 같이, 시일재 SL의 형성(도포) 영역 및 그 근방에서 4개의 돌기체 PRO가 시일재 SL의 형성 영역에 따라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고, 이 중 내측의 2개의 돌기체 PRO가 시일재 내에 매립되도록 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일재 SL의 근방에서의 각 투명 기판 SUB1, SUB2의 갭은 상기 4개의 각 돌기체 PRO에 의해 정밀도가 좋도록 확보됨과 함께, 시일재 SL에 의해서 투명 기판 SUB1에 대한 투명 기판 SUB2의 고착이 강고하게 확보되게 된다.
또한, 도 3은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와 대응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 3은 시일재 SL의 양편에 형성되는 돌기체 PRO는 그 시일재 SL을 따라 연속되지 않고 단속적으로 형성되게 되어 있다.
[실시예 2]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에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시일재 SL의 형성 영역과 그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시일재 SL의 형성 영역과 돌기체 PRO의 형성 영역은 각각 나누어서 형성되어 있다.
즉, 시일재 SL의 형성 영역에는 돌기체 PRO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돌기체 PRO는 시일재 SL의 양편에 각각 그 시일재 SL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이유는, 시일재 SL의 돌기체 PRO에 의한 저항을 저감시키고, 갭 형성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켜서 제조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이 경우, 시일재 SL은 갭 형성 시에 그 폭 방향으로 약간 확대되는데 각 돌기체 PRO는 시일재 SL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속되지 않고 단속되게 형성되어 있다.
돌기체 PRO에 의해서 시일재 SL의 폭 방향으로부터의 확대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도 4b와 대응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 4b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시일재 SL에 대하여 표시 영역 AR측의 단속된 돌기체 PRO 각각의 이격 거리보다도 그 표시 영역 AS와 반대측의 단속된 돌기체 PRO 각각의 이격 거리를 크게 하여 각 돌기체 PRO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시일재 SL의 한쪽의 폭 방향에서의 넓이를 용이하게 할수 있어 갭 형성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도 5와 대응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 5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시일재 SL에 대하여 표시 영역 AR과 반대측의 단속된 돌기체 PRO만을 설치하고, 표시 영역 AR 측의 단속된 돌기체 PRO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데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시일재 SL의 근방에서의 갭 형성을 위한 돌기체 PRO는 시일재 SL에 대하여 표시 영역 AR과 반대측의 단속된 돌기체 PRO와, 표시 영역 AR 내에서 산재된 돌기체 PRO로 이루어지고, 시일재 SL의 양측에 있는 돌기체 PRO 간의 거리가 커지게 된다.
이 때문에, 시일재 SL의 주변의 갭 얼룩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시일재의 액정 봉입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는, 시일재 SL은 그 액정 봉입부 INJ에서 투명 기판 SUB1의 단부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어, 액정 LC의 봉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액정 봉입부 INJ의 근방에는 그것을 구성하는 시일재 SL 이외의 다른 시일재 SL의 연장선 상에 복수의 돌기체 PRO가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체 PRO는 표시 영역 AR에 산재되어 형성된 돌기체 PRO와, 예를 들면 동시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쪽의 투명 기판측 SUB2에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 돌기체 PRO는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한 선택 에칭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그 각 돌기체 PRO 간의 거리 및 면적 등을 정밀도가 좋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8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도 7에 대응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 7과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각 돌기체 PRO가 투명 기판 SUB1의 단부면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 돌기체 PRO는 액정 LC의 봉입 시에 표시 영역 AR로 원활하게 유도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이들 돌기체는 도 7에 도시한 각 돌기체 PRO와 마찬가지로 액정 봉입부 INJ에서의 각 투명 기판 SUB1, SUB2 간의 갭 형성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지만, 도 8에 도시한 구성은 더 정확하고 또한 강고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9a, 도 9b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도 8에 대응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 8에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각 돌기체 PRO는 액정의 봉입측에서만 거의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더구나, 그 돌기체 PRO의 배후부측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액정의 봉입 구멍으로부터의 빛에 대하여 각 돌기체 PRO는 차광을 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정의 봉입 후에 있어서 그 봉입 구멍을 막는 UV 경화성 재료 EC를 경화하는 경우, UV선을 봉입측으로부터 조사하여도 그 UV선이 액정에 조사되지 않게 된다.
액정은 UV선에 의해서 분해되어 열화하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정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그 제조에 있어서, 각 투명 기판 SUB1, SUB2는 미리 비교적 큰 것을 준비하여 가공하고, 이들을 시일재 SL을 통해 셀을 구성한 후에 소정의 치수에 절단(도면 중 CUT에 나타낸다)하는 공정을 거치는 것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시일재 SL의 형성 영역 혹은 그 근방 영역에 형성하는 돌기체 PRO를 각 투명 기판 SUB1, SUB2의 단변에 근접하는 주변부, 즉 셀 구성 후의 절단되어야 하는 투명 기판 부분에 형성하는 것으로 대신하고 있다.
이 경우에서의 돌기체 PRO는 공간적으로 방해되는 요소가 적어서 그 폭을 비교적 크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일재 SL의 형성 영역 혹은 그 근방 영역에 형성하는 돌기체를 특별히 형성하지 않아도 그 부분에서의 갭 형성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액정 표시 장치의 각 게이트 신호선 GL 중의 하나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로, 투명 기판 SUB1측에 돌기체 PRO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체 PRO는 각 기판의 갭을 유지하는 스페이서(PRO1이라고 칭한다 : 도면 중 영역 B에 존재한다)와, 특히 각 게이트 신호선 GL의 양단에 각각 중첩되어 배치되는 돌기체 PRO(PRO2라고 칭한다 : 도면 중 영역 A에 존재한다)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투명 기판 SUB2의 액정측 면에는 투명 기판 SUB1측의 각 게이트 신호선 GL에 각각 중첩하도록 하여 각각 도전층(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이들 각 도전층(21)은 필연적으로 돌기체 PRO2를 피복하는 상태에서 형성되게 되어, 이 돌기체 PRO2의 개소에서 대향하게 배치되는 게이트 신호선 GL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게이트 신호선 GL은 그 본래의 신호선과는 별도로 우회 회로를 구비하게 되며, 가령 게이트 신호선 GL에 단선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그 단선은 그 우회 회로에 의해서 보호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는 게이트 신호선 GL의 보호 회로에 대해 설명한 것이지만, 드레인 신호선 DL을 보호하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 도면 중 게이트 신호선 GL이 드레인 신호선 DL로 치환되게 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시일재 SL의 내부 혹은 그 근방에 돌기체 PRO를 도시하지 않고 설명한 것이지만, 상술한 각 실시예와 같이 시일재 SL의 내부 혹은 그 근방에 돌기체 PRO가 설치되고 있어도 되는 것은 당연하다.
[실시예 6]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중 종 전계 방식이지만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종 전계 방식이란, 예를 들면 투명 기판 SUB2측에 대향 전극(투명 전극)이 형성되어, 투명 기판 SUB1측에 형성된 화소 전극(투명 전극) 간에서 전계를 생기게 하는 것이다.
도 12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각 게이트 신호선 GL 중 하나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투명 기판 SUB2측에 고정된 돌기체 PRO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기체 PRO는 각 기판의 갭을 유지하는 돌기체(PRO1이라고 칭한다 : 도면 중 영역 B에 존재한다)와, 특히 각 기판을 시일하는 시일재 SL의 근방에 배치된 돌기체(PRO2라고 칭한다 : 도면 중 영역 A에 존재한다)를 포함하고 있다.
이 돌기체 PRO2는 그 형성 시에서 돌기체 PRO1과 동시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투명 기판 SUB2의 액정측 면에는 상기 각 돌기체 PRO를 피복하여 각 화소에 공통인 대향 전극(투명 전극 ; 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돌기체 PRO2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투명 기판 SUB1면에 그 돌기체 PRO2를 피복하는 대향 전극(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층(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전층(23)은 투명 기판 SUB1 상에서 시일재 SL을 넘어서 연장되며, 상기 대향 전극(22)에 기준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투명 기판 SUB1 상의 그 단자에 기준 신호를 공급한 경우에 이 기준 신호는 돌기체 PRO2 부분을 통해 투명 기판 SUB2측의 대향 전극(22)에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액정 표시 장치는 대향 전극(22)을 투명 기판 SUB1면으로 인출하기 위한 도전 수단을 특히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시일재 SL의 내부 혹은 그 근방에 돌기체 PRO를 도시하지 않고 설명한 것이지만, 상술한 각 실시예와 같이 시일재 SL의 내부 혹은 그 근방에 돌기체 PRO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 경우, 시일재 SL의 근방에 형성되는 돌기체 PRO를 상술한 돌기체 PRO2로서의 기능을 겸용시키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7]
도 13은 투명 기판 SUB2측에 고정하여 형성되는 돌기체 PRO의 상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투명 기판 SUB2의 액정측 면에는 블랙 매트릭스 BM, 컬러 필터가 형성되고, 이들 상면에 표면을 평탄하게 하기 위해서 열 경화성의 수지막으로 이루어지는 평탄막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평탄막의 소정의 개소에 돌기체 PRO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돌기체 PRO는 광 경화성의 수지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 경화성의 수지막에 의해 돌기체 PRO를 구성함으로써, 선택 에칭의 공정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제조 공정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는, 상술한 각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각각 적용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반드시 투명 기판 SUB2측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투명 기판 SUB1측에 형성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14a는 표시 영역 AR에서 각 화소의 윤곽을 구획하는 블랙 매트릭스 BM에 중첩하도록 하여 배치된 돌기체 PRO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하여 배치되는 돌기체 PRO는 표시 영역 전체로서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서로 인접된 거의 동일 수의 화소에 대하여 하나의 돌기체 PRO가 배치되게 되어 있다.
표시 영역에서의 돌기체 PRO의 수를 줄이고, 이것과 수반하여 그 돌기체 PRO에 기인하는 배향 혼란을 적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 누설(특히 흑 표시의 경우)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의 방지를 도모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9]
도 14b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표시 영역에서의 돌기체 PRO의 수를 줄이고 있음과 함께, 그 배치가 균일하지 않고 랜덤(균일성없이)하게 되어 있는 점이 실시예 8과 다르다.
사람의 시각의 특성으로서, 광 누설의 부분이 반복 패턴으로 발생하고 있는 경우, 그것을 인식하기 쉬워 스페이서를 균일성없이 배치시킴으로써 그 문제점을해소하고 있다.
[실시예 10]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돌기체 PRO가 고정된 측의 투명 기판 SUB2와 대향하는 것 외의 투명 기판 SUB1 간의 그 돌기체 PRO의 접촉부에 접착제(30)가 개재되어 있다.
그 돌기체 PRO의 접촉부는 배향막끼리의 접촉부로, 이들은 동일 재료로써 고착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그 때문에, 그 접착제(30)로서, 예를 들면 Si 커플링제를 이용함으로써, 각 투명 기판 SUB1, SUB2 간의 갭의 유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공정 1
한쪽 기판에 돌기체 PRO를 형성하고 그 돌기체 PRO를 피복하여 배향막이 형성된 것을 준비한다(도 16의 (a)).
공정 2
접착제가 채워진 용기에 상기 기판을 근접시켜, 그 돌기체 PRO의 꼭대기부에 그 접착제(30)의 표면을 접촉시킨다(도 16의 (b)).
공정 3
이에 따라, 돌기체 PRO의 꼭대기부에 접착제(30)가 도포되게 된다(도 16의(c)).
공정 4
상기 기판을 다른 기판과 대향하게 배치시킨다(도 16의 (d)).
공정 5
열 처리를 가함으로써 접착제(30)를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돌기체 PRO는 각 기판 각각에 고착된 상태가 된다(도 16의 (e)).
또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공정 1
한쪽 기판에 돌기체 PRO를 형성하고, 그 돌기체 PRO를 피복하여 배향막이 형성된 것을 준비한다(도 16의 (a)).
공정 2
접착제(30)가 채워진 용기로 롤러(31)를 구비하는 장치를 준비하고, 그 롤러(31)의 회전에 의해서 그 표면에 부착하는 접착제를 상기 돌기체 PRO의 꼭대기부에 도포시킨다(도 16의 (b)).
공정 3
이에 따라, 돌기체 PRO의 꼭대기부에 접착제(30)가 도포되게 된다(도 16의 (c)).
공정 4
상기 기판을 다른 기판과 대향하게 배치시킨다(도 16의 (d)).
공정 5
열 처리를 가함으로써 접착제(30)를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돌기체 PRO는 각 기판 각각에 고착된 상태가 된다(도 16의 (e)).
또, 이 실시예는 상술한 각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적용하더라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1]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돌기체 PRO가 고정된 기판에 대향하는 것 외의 기판측에 그 돌기체 PRO의 꼭대기부가 삽입되는 오목부(4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40)는, 예를 들면 TFT 기판(1A)의 측의 보호막(41)에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에 대하여 저면측에서 면적이 큰 소위 역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돌기체 PRO는 그 꼭대기부가 그 오목부(40)에 침식되어 배치되며, 투명 기판 SUB1에 대하여 접착된 상태와 마찬가지가 된다.
또한, 도 19는 동일한 취지로 구성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오목부(4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수단을 한쌍의 신호선(배선 ; 42) 간의 홈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각 신호선의 서로 대향하는 변부가 역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것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각 투명 기판 간의 갭 형성을 정확하고 또한 신뢰성있게 행할 수 있다.

Claims (6)

  1.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기판 중 한쪽 기판에 대한 다른쪽의 기판의 고착이 상기 액정을 봉입하는 기능을 겸한 시일재를 포함하고,
    상기 시일재 내에는 상기 시일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돌기체가 배치되고, 상기 돌기체는 상기 각 기판 중 어느 하나에 포토리소그래피 기술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체는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돌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1-0021421A 2000-04-21 2001-04-20 액정 표시 장치 KR100398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21150A JP2001305561A (ja) 2000-04-21 2000-04-21 液晶表示装置
JP2000-121150 2000-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782A KR20010098782A (ko) 2001-11-08
KR100398715B1 true KR100398715B1 (ko) 2003-09-19

Family

ID=1863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421A KR100398715B1 (ko) 2000-04-21 2001-04-20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10033356A1 (ko)
JP (1) JP2001305561A (ko)
KR (1) KR100398715B1 (ko)
TW (1) TWI2954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0730B2 (ja) * 2000-12-08 2005-08-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2003262885A (ja) * 2002-03-08 2003-09-19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KR100867167B1 (ko) * 2002-06-17 2008-1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7286204B2 (en) * 2003-03-28 2007-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acers for display devices
KR100943282B1 (ko) * 2003-05-20 2010-0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271574B (en) * 2004-04-30 2007-01-21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2005345584A (ja) * 2004-06-01 2005-12-15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60119203A (ko) * 2005-05-18 2006-11-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25008A (ko) * 2005-06-01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0647713B1 (ko) * 2005-11-23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TWI288846B (en) * 2006-06-16 2007-10-21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CN101191958A (zh) * 2006-11-17 2008-06-04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和液晶显示器
WO2009040967A1 (ja) * 2007-09-28 2009-04-02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セル
JP5143664B2 (ja) * 2008-08-11 2013-02-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液晶表示パネル
JP2011043618A (ja) * 2009-08-20 2011-03-03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用基板
DE102011089443B4 (de) 2011-02-14 2016-12-01 Lg Display Co., Ltd. Anzeigevorrichtung
TWI472856B (zh) * 2012-07-12 2015-02-1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
WO2014148187A1 (ja) * 2013-03-22 2014-09-2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パネル、及び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6223809B2 (ja) * 2013-12-18 2017-11-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9850404B2 (en) * 2014-07-31 2017-12-26 Nike, Inc. Vacuum enabled article transfer
KR20160085398A (ko) * 2015-01-07 2016-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5807484B (zh) * 2016-06-03 2019-03-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膜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7817632A (zh) * 2016-09-13 2018-03-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6990620B (zh) * 2017-04-11 2019-11-2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
CN208999727U (zh) * 2018-12-05 2019-06-18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7183320B2 (ja) * 2021-03-01 2022-12-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844B2 (ja) * 1994-11-09 2002-03-2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97286A (ja) * 1995-04-26 1996-11-1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液晶表示装置
US6292249B1 (en) * 1998-06-30 2001-09-18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Uniform cell-gap spacing in LCD
US6396559B1 (en) * 1998-11-17 2002-05-28 Sharp Kabushiki Kaisha LCD including spacers used in combination with polymer w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76471A1 (en) 2003-04-24
KR20010098782A (ko) 2001-11-08
JP2001305561A (ja) 2001-10-31
TWI295400B (ko) 2008-04-01
US20010033356A1 (en) 200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8715B1 (ko) 액정 표시 장치
US1005482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887424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595659B1 (ko) 액정 표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592238B2 (en)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20081562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989879B1 (en) Liquid crystal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80062826A (ko) 액정 표시 장치
JP3716964B2 (ja) 液晶表示装置
US829486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terminal portion and a sealing member wherein neither a first or a second substrate extends beyond an outer periphery of the sealing member along a side of the display
JP200231143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57396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2007007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WO2008102730A1 (ja) 液晶セル用短冊状母材、液晶セル用多面取り母材、アレイ基板用基板、及び液晶セルの製造方法
KR100796490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3633178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5617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20053426A (ko) 액정표시소자
KR20050026133A (ko)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2000199907A (ja) 液晶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装置
JP2001305554A (ja) 液晶表示装置
US2005015724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40017621A (ko) 액정 표시 장치의 정전기 처리 방법
JP2004198567A (ja) 液晶表示装置用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20030044737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