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631B1 - 테스트 가능한 가속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승객 보호장치의 트리거링 장치 및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테스트 가능한 가속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승객 보호장치의 트리거링 장치 및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631B1
KR100396631B1 KR10-2000-7014716A KR20007014716A KR100396631B1 KR 100396631 B1 KR100396631 B1 KR 100396631B1 KR 20007014716 A KR20007014716 A KR 20007014716A KR 100396631 B1 KR100396631 B1 KR 10039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ing means
switch
control circuit
accelera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3154A (ko
Inventor
클라우스 슈미트
마르텐 스바르트
루드비히 리데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1005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B60R21/0173Diagnostic or record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135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making use of contacts which are actuated by a movable inertial m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21/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G01P21/02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f speedo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G05B9/02Safety arrangements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60R2021/01027Saf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의 승객 보호 장치는 테스트 가능한 가속 스위치(5)가 스위치 신호(ss)를 공급하고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스위칭 수단(3)이 충돌에 따라 제어 회로(4)에 의해 작동될 때 트리거된다. 스위칭 수단(3)의 작동이 트리거 회로 측에서 블로킹 수단(6)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가속 스위치(5)의 테스트 동안 제어 회로(4)의 에러로 인해 승객 보호 수단이 트리거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테스트 가능한 가속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승객 보호 장치의 트리거링 장치 및 작동 방법 {DEVICE FOR TRIGGERING AND METHOD FOR OPERATING 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AN AUTOMOBILE USING A TESTABLE ACCELERATION SWITCH}
미국 특허 제 5,460,404호에는 승객 보호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직렬 회로가 에너지 소오스, 제 1 제어 가능한 출력단, 및 각각 트리거 소자를 가진 3개의 직렬 분기 및 부가의 제어 가능한 출력단으로 이루어진 병렬 회로를 포함한다. 각각의 트리거 소자는 공통의 출력단 및 동시에 각각의 트리거 소자에 개별적으로 할당된 트리거 단이 도통 접속되면 트리거된다. 개별적으로 할당된 트리거 단은 가속 신호의 평가에 의해 충돌을 검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된다. 공통 출력단은 유저 스페시픽(user-specific) 집적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집적 회로는 전기 기계 가속 스위치에서의 전압 강하를 모니터링하고 스위칭 콘택의 폐쇄 및 그에 따른 공통 출력단의 제어 필요성을 검출할 수 있다.
독일 특허 공개 제 196 25 618 A1호에는 테스트 가능하게 형성된 전기 기계 가속 스위치가 공지되어 있다. 가속 스위치는 가속에 따라 고정 전극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벤딩 전극을 포함한다. 고정 전극과 벤딩 전극이 접촉하면, 마이크로메카닉 가속 스위치가 -무접촉 상태에서 고정 전극과 벤딩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 됨- 제어 회로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 펄스 형태의 스위치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가속 스위치는 테스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전극은 전압의 공급시 벤딩 전극을 정전력에 의해 고정 전극 쪽으로 휘어지게 하고 그에 따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가속 스위치 전극의 폐쇄를 야기시킨다.
미국 특허 제 5,460,404호에 공지된 전기 기계 가속 스위치가 독일 특허 공개 제 196 25 618 A1호에 따른 테스트 가능한 마이크로메카닉 가속 스위치로 대체되면, 가속 스위치의 테스트 모드 동안 트리거 소자의 트리거가 제어되지 않은, 트리거 소자에 개별적으로 할당된 출력단에 의해 저지된다. 그러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에러 없이 동작하고 출력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만 그러하다. 그러나, 가속 스위치의 테스트 동작 동안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에러를 가지면, 에어백 또는 안전 벨트와 같은 승객 보호 시스템의 하나 또는 다수의 리테이닝 수단이 잘못 트리거링되어 승객이 위험에 처하게 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 승객 보호 장치의 트리거링 장치 및 자동차 승객 보호 장치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장치 또는 방법의 단점을 없애고 특히 가속 스위치 테스트 동안 리테이닝 수단의 트리거링을 저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장치에 관련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방법에 관련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 8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하드웨어 면에서 제어 회로와 무관하게 형성된 블로킹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블로킹 수단은 가속 스위치의 테스트 동안 스위칭 수단의 작동을 저지한다. 가속 스위치 테스트의 지속 시간 동안, 즉 적어도 가속 스위치의 콘택들이 폐쇄되는 지속 시간 동안, 블로킹 수단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트리거 신호에 의해 제어될지라도 블로킹 수단이 트리거 소자의 트리거를 저지한다.
제어 회로가 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형성되면, 블로킹 수단이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기능으로서 형성되지 않고 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분리되어 형성된 지지체 상의 독자적인 소자로 형성된다. 따라서, 잘못된 트리거의 확률이 더욱 감소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범위 종속항에 제시된다.
이하,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승객 보호 수단의 트리거링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회로도이다. 에너지 소오스(1)는 전기 기계 가속 스위치(5), 제 1 전기 제어 가능한 출력단(31), 승객 보호 수단의 트리거 소자(2) 및 제 2 전기 제어 가능한 출력단(32)에 대해 직렬로 배치된다. 에너지 소오스(1)로부터 전류를 트리거 소자(2)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형성되는 제어 회로(4)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출력단(31) 및 (32)를 포함하는 스위칭 수단의 제어된 도통 접속 및 가속 스위치(5)의 콘택들의 동시 폐쇄가 이루어져야 한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안으로서 가속 스위치(5)의 콘택들이 개방되거나 또는 스위칭 수단이 차단되면, 에너지가 트리거 소자(2)에 공급되도록 상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에너지 소오스(1), 제어 회로(4), 가속 스위치(5) 및 제어 가능한 출력단(31) 및 (32)은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에어백 제어 장치 내에 배치된다. 에어백 제어 장치는 인입선(21)을 통해 승객 보호 수단에 배치된 트리거 소자(2)에 접속된다. 제어 가능한 출력단(31) 및 (32)는 제어 회로(4)의 트리거 신호(ls)를 통해 도통 접속된다. 제어 회로(4)는 가속 센서(8)에 의해 공급된 가속 신호(gs)의 평가가 승객 보호 수단의 트리거링에 충분한 크기의 충돌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트리거 신호(ls)를 발생시킨다. 트리거의 결정이 단일 센서 및 단일 제어 회로의 기능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승객 보호 장치는 통상적으로 전기 기계 가속 스위치를 포함한다. 벤딩 전극으로서 지진 하중(seismic mass)을 가진 상기 스위치의 벤딩 암은 최소 가속의 작용시 고정 전극으로서 카운터 콘택을 폐쇄시키며, 그에 따라 도 1에 따른 트리거 회로(1),(2),(3),(5) 내에서 전류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테스트 가능하게 형성된 가속 스위치(5)의 콘택은 제어 회로(4)의 테스트 신호(ts)에 의해 폐쇄된다. 그러나, 테스트 신호(TS)에 의한 콘택은 그밖의 방식으로도 테스트 모드 동안 단락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어 회로의 이러한 테스트시가속 스위치(5)의 콘택들 사이의 전압이 픽업된다. 즉, 콘택들이 폐쇄되면, 스위치 신호(ss)가 발생된다. 제어 회로(4)에서 스위치 신호(ss)의 평가에 의해, 가속 스위치(5)이 기능이 추론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방식의 테스트시 스위칭 콘택들 사이의 전압이 브레이크다운 되지 않음으로써 스위치 신호(ss)가 발생되지 않으면, 그 휴지 위치에서 개방된 가속 스위치(5)가 폐쇄될 수 없다. 자동차의 운전자는 예컨대 에어백 제어 장치의 에러 상태에 대한 시각적 경고 장치에 의해 통지를 받는다.
본 발명에 따라, 발생된 테스트 신호의 지속 시간 동안 제어 가능한 출력단은 제어 회로의 트리거 신호의 존재시에도 도통 접속을 저지하도록 블로킹된다. 예컨대 각각의 출력단이 게이트 전극을 통해 제어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면, 본 발명에 따라 AND 게이트가 블로킹 수단으로 제공된다. 상기 AND 게이트의 출력부는 각각의 출력단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고, 그 입력부에는 트리거 신호(ls) 및 반전된 테스트 신호()가 공급된다. 따라서, 가속 스위치 테스트 지속 시간 동안 출력단(31) 및 (32)이 블로킹된다.
트랜지스터로 형성된 제어 가능한 출력단 대신에, 충분한 전류 부하 능력을 가진 다른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승객 보호 장치의 트리거 회로 내에 단 하나의 제어 가능한 출력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전술한 AND 게이트의 입력부가 플립 플롭의 출력부에 접속되고, 상기 플립 플롭의 출력부에는 가속 스위치의 스위치 신호에 상응하는 한 신호가 공급된다. 스위치 신호(ss)가 테스트 신호에 의해 야기되는 경우에만 상기 플립 플롭의 출력부에 신호가 나타난다. 플립 플롭의 세팅은 테스트 신호에 의해 이루어지고, 리세팅은 스위치 신호의 로우 상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로는 가속 스위치가 일시적으로 테스트 신호(ts)의 영향을 넘어서 스위치 신호(ss)를 공급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예컨대, 가속 스위치의 콘택들이 오염에 의해 서로 접착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어 회로의 잘못된 동작시 트리거 소자의 잘못된 트리거가 저지된다. 테스트 신호(ts)가 예측된 것 보다 긴 지속 시간을 가진 스위치 신호(ss)를 야기시키면, 승객 보호 시스템의 상태에 대한 시각적 또는 음향적 경고 장치를 통해 승객에게 그 사실이 알려진다.
도 1에 따라 가속 스위치 테스트 동안 전기 제어 가능한 출력단(31) 및 (32)의 블로킹이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구현된다. 통상적으로 에어백 제어 장치에는 소위 워치도그(watch-dog)로 형성된 모니터링 회로(7)가 제공된다. 모니터링 회로(7)는 제어 회로(4)로부터 공급된 동작 클록 신호(as)를 모니터링 회로(7)에 할당된 클록 트랜스미터(71)의 클록 신호(takt)에 대해 세팅시킨다. 이에 반해, 제어 회로(4)의 동작 클록(as)은 제어 회로(4)에 할당된 클록 트랜스미터(41)의 클록 신호(takt)로부터 유도된다. 모니터링 회로(7)의 동작 방식은 하기에 간략히 설명된다. 제어 회로(4)로부터 공급된 동작 클록 신호(as)와 클록 트랜스미터(71)에 의해 검출된 설정 동작 클록 신호 사이의 현저한 편차가 검출되면, 제어 회로(4)가 리셋 신호(rs)에 의해 리셋된다. 이러한 리세팅을 위해, 제어 회로(4)의 동작 클록이 주어진 설정값으로 된다. 제어 회로(4)를 클로킹시키는 동작 클록(as)이 주어진 값 -경우에 따라 공차를 가진- 에 상응하지 않는다는 것이 검출되면, 리셋 신호(rs)의 발생을 넘어서 모니터링 회로(7)의 인에이블 신호(fs)가 차단된다. 모니터링 회로(7)가 제어 회로(4)의 동작 클록(as)을 검출하면, 인에이블 신호(fs)가 정상적으로 계속 주어진다. 인에이블 신호(fs)는 제어 가능한 출력단(31) 및 (32)이 트리거 신호(ls)에 의해 접속되게 한다. 따라서, 모니터링 회로(7)의 인에이블 신호(fs)가 제어 회로(4)의 트리거 신호와 AND 연산된다. 공차를 갖지 않은 동작 클록에서 출력단(31) 또는 (32)의 차단 배경은 에러를 가진 동작 클록이 인가될 때 전체 제어 회로(4)의 잘못된 동작이 추측된다는 것이다. 게다가, 그러한 방식으로 잘못 동작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전체 출력에 하이 레벨을 제공하려는 경향을 가지며, 이것은 출력단(31) 및 (32)의 의도치 않은 폐쇄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반전된 테스트 신호()가 모니터링 신호(7)의 인에이블 신호(fs)와 AND 연산되면, 출력단(31) 또는 (32)의 제어가 테스트 동안 이외에만 가능하다. 테스트 신호와 인에이블 신호의 연산을 위해 필요한 AND 게이트는 도면 부호 63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신호 연산으로부터 도 1의 테스트에 영향을 주는 인에이블 신호(fs')가 나타나고, 이 신호는 트리거 신호(ls)와 AND 연산된다.
대안으로서, 전술한 플립 플롭의 출력이 인에이블 신호(fs)와 AND 연산된다. 출력단(31) 또는 (32)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면, 테스트에 영향을 주는 인에이블 신호(fs') 및 트리거 신호(ls)를 연산시키는 AND 게이트의 출력이 출력단(31) 또는 (32)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기존 모니터링 회로에서 출력단(31) 및 (32)의 제어를 위한 하드웨어 구성이 변경될 필요가없다는 것이다.
출력단(31) 또는 (32)의 제어에 대한 모든 실시예에서 트리거 신호(ls)는 제어 회로(4)의 하드웨어와 무관한 하드웨어를 통해 가속 스위치(5)의 테스트 모드를 나타내는 신호(ts), (ss), (fs) 또는 (fs')와 연산되므로, 제어 회로의 에러를 가진 동작이 블로킹 수단의 하드웨어로 전달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따른 장치는 제어 가능한 출력단(31) 및 (32)이 부가의 진단- 및 테스트 부품 및 -루틴을 포함하는 집적 트리거 회로(9)에 집적된 형태로 스위칭 수단(3)으로서 주어진다는 것이 도 1에 따른 장치와 다르다. 상기 집적 트리거 회로(9)로부터 나온 인입선(21)은 도시되지 않은 트리거 소자로 연장된다. 도 1에 따른 장치와의 다른 중요한 차이점은 트리거 소자(2)의 트리거시 가속 스위치(5)가 전류를 흘리지 않고, 스위치 신호(ss)를 집적 트리거 회로(9)에 공급하는 트리거 스위치로 형성된다. 제어 회로(4)의 트리거 신호(ls) 및 가속 스위치(5)의 스위치 신호(ss)가 주어질 때만 충분한 에너지를 점화 소자(2)에 제공하는 접속이 집적 트리거 회로(9)에 주어진다. 상기 접속은 트리거 회로 측에서 제어 가능한 출력단의 상응하는 직렬 회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 레벨 범위로 전달되는 스위치 신호(ss)를 가진 트리거 스위치로서 가속 스위치(5)를 설계하는 것은 가속 스위치(5)가 높은 전류 부하 능력을 갖지 않아도 되므로, 바람직하게는 집적된, 마이크로메카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2에 따라 가속 스위치(5)는 벤딩 전극(51)을 갖는다. 상기 벤딩 전극(51)은 가속의 영향 하에 고정 전극(52)에 작용하여 상기 전극(52)과 접촉되고, 상기 접촉은 스위칭 점(S4)에서, 스위치 신호(ss)로서 트리거 회로(9)에 공급되는 전압을 변경시킨다. 이러한 마이크로메카닉 가속 스위치(5)의 리바운드 경향으로 인해, 스위칭 점(S4)에서의 신호가 후속 타이머(55)에 전달된다. 상기 타이머(55)는 폐쇄 지속시간을 연장시키고, 입력 측에 가속 스위치(5)의 폐쇄를 나타내는 에지가 인가될 때 출력 측에 일정한 길이의 스위치 신호(ss)를 공급한다. 타이머(55)에 의해 가속 스위치 콘택(51) 및 (52)의 리바운드로 인해 스위치 신호(ss)가 스위칭 점(S4)에 인가되지 않는 시점에서도 트리거 소자의 트리거를 위한 트리거 신호(ls)가 공급된다. 또한, 가속 스위치(5)가 제어 회로(4)의 테스트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고정 전극(53)을 포함하고, 정전력으로 인해 벤딩 전극(51)이 고정 전극(52)에 의한 폐쇄를 야기시킨다. 이 경우에도 스위칭 점(S4)에 스위치 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스위치 신호는 고정된 지속 시간을 가진 스위치 신호(ss)로서 집적 트리거 회로(9)에 공급된다.
도 1에서와 같이, 도 2에서도 인에이블 신호(fs)를 공급하는 모니터링 회로(7)가 제어 회로(4)에 제공된다.
블로킹 수단(6)은 인에이블 신호(fs), 경우에 따라 반전된 테스트 신호(ts) 또는 스위치 신호(ss)에 따라 트리거 회로(9)용 인에이블 신호(fs')를 발생시킨다. 정상 모드 동안에는 -테스트 모드와는 달리- 인에이블 신호(fs)가 테스트에 영향을 주는 인에이블 신호(fs')로서 트리거 회로(9)에 인가된다. 가속 스위치 테스트시, 바람직하게는 테스트 신호, 스위치 신호(ss) 또는 스위칭 점(S4)에서의 신호의 개시에 의해 테스트에 영향을 주는 인에이블 신호(fs')가 차단된다. 테스트에 영향을 주는 인에이블 신호(fs')의 차단 및 그에 따라 트리거의 차단은 적어도 스위치 신호(ss)가 다시 로우 상태를 취할 때까지 지속된다.
트리거 회로(9)에서 테스트에 영향을 주는 인에이블 신호(fs')는 AND 게이트에 의해 트리거 신호(ls)와 연산된다.

Claims (14)

  1. - 에너지 소오스(1), 승객 보호 수단용 트리거 소자, 및 스위칭 수단(3)의 작동시 에너지를 에너지 소오스(1)로부터 트리거 소자(2)로 전달하기 위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
    - 충돌에 따른 스위칭 수단(3)의 작동을 위한 제어 회로(4), 및
    - 테스트 가능한 가속 스위치(5)를 포함하고,
    - 상기 스위칭 수단(3)이 작동되고 상기 가속 스위치(5)가 스위치 신호(ss)를 공급하면, 승객 보호 수단의 트리거링이 이루어지는
    자동차 승객 보호 장치의 트리거링 장치에 있어서,
    - 상기 가속 스위치(5)의 테스트 동안 스위칭 수단(3)의 작동을 저지하는 블로킹 수단(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4)용 모니터링 수단(7)이 제공되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7)이 제어 회로(4)의 검출된 동작 상태에 따라 인에이블 신호(fs)를 스위칭 수단(3)에 공급하며, 제어 회로(4)에 의한 상기 스위칭 수단(3)의 작동이 인에이블 신호(fs)가 주어질 때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수단(7)이 제어 회로(4)의 동작 클록 신호(as)를 체크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동작 클록 신호(as)가 불규칙성을 갖지 않으면 인에이블 신호(fs)가 모니터링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수단(6)이 인에이블 신호(fs)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4)가 가속 스위치(5)용 테스트 신호(ts)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블로킹 수단(6)이 테스트 신호(ts)의 개시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스위치(5)가 타이머(55)에 접속되고, 가속 스위치(5)의 활성화시 타이머(55)가 고정된 지속 시간을 가진 스위치 신호(ss)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수단(6)이 스위치 신호(ss)의 끝에 의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수단(6)의 하드웨어가 제어 회로(4)의 하드웨어와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자동차 승객 보호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 테스트 가능한 가속 스위치(5)가 스위치 신호(ss)를 공급하고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3)이 충돌에 따라 제어 회로(4)에 의해 작동되면, 승객 보호 수단이 트리거되고,
    - 상기 가속 스위치(5)가 테스트 목적을 위해 작동되며,
    - 가속 스위치 테스트 동안 스위칭 수단(3)의 작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4)의 작동 상태가 검출되고, 검출된 작동 상태에 따라 스위칭 수단(3)이 인에이블되며, 상기 스위칭 수단(3)이 작동을 위해 인에이블될 때만 스위칭 수단(3)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4)의 동작 클록(as)이 모니터링되고, 상기 동작 클록이 불규칙성을 갖지 않으면 스위칭 수단(3)이 인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스위치의 테스트 동안 스위칭 수단(3)의 인에이블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9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속 스위치 콘택(51, 52)의 폐쇄를 위한 테스트 신호(ts)가 발생되고, 상기스위칭 수단(3)의 인에이블이 테스트 신호(ts)의 개시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스위치(5)의 스위치 신호(ss)가 고정된 지속 시간을 가지며, 스위칭 수단(3)의 인에이블의 차단이 스위치 신호(ss)의 끝에 의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14716A 1998-06-25 1999-06-01 테스트 가능한 가속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승객 보호장치의 트리거링 장치 및 작동 방법 KR100396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8432A DE19828432C2 (de) 1998-06-25 1998-06-25 Vorrichtung zum Auslösen eines Insassenschutzmittels eines Kraftfahrzeugs
DE19828432.2 1998-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154A KR20010053154A (ko) 2001-06-25
KR100396631B1 true KR100396631B1 (ko) 2003-09-03

Family

ID=787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716A KR100396631B1 (ko) 1998-06-25 1999-06-01 테스트 가능한 가속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승객 보호장치의 트리거링 장치 및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65987B2 (ko)
EP (1) EP1089899B1 (ko)
JP (1) JP3542775B2 (ko)
KR (1) KR100396631B1 (ko)
DE (2) DE19828432C2 (ko)
WO (1) WO19990671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97349B1 (de) 1998-10-27 2002-03-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Auslösen eines Insassenschutzmittels eines Kraftfahrzeugs
JP2001045648A (ja) * 1999-08-02 2001-02-16 Yazaki Corp 回路遮断装置
DE10041888A1 (de) * 2000-08-25 2002-03-07 Hella Kg Hueck & Co Steuergerät für ein Fahrzeug
WO2002026529A1 (de) * 2000-09-29 2002-04-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m ansteuern eines insassenschutzsystems und verfahren zum testen eines insassenschutzsystems
DE10109620C1 (de) 2001-02-28 2002-06-13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Ansteuerung von Zündkreisen
DE10350853A1 (de) * 2003-10-31 2005-06-02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chaltungsanordnung zum Überwachen einer Kraftfahrzeug-Sicherheitseinrichtung
DE102005030770B4 (de) * 2004-07-27 2008-07-10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2004036291B4 (de) * 2004-07-27 2008-11-06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2004056475A1 (de) * 2004-11-23 2006-05-24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teuergerät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 Sicherheitseinrichtung eines Fahrzeugs
DE102005002720B4 (de) * 2005-01-20 2016-12-22 Robert Bosch Gmbh Sicherheitsverfahren für ein Insassenschutzsystem
WO2007090417A1 (en) * 2006-02-07 2007-08-1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cceleration sensor arrangement, safing arrangement for an activation system, activation system
DE102006029514B3 (de) * 2006-06-27 2007-05-31 Atmel Germany G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mindestens eines Aktors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15113110B4 (de) * 2015-08-10 2019-03-14 MAQUET GmbH Ansteuervorrichtung mindestens einer Antriebseinrichtung eines Operationstisches und Verfahren zum Ansteuern
DE102018110932B4 (de) 2017-05-12 2023-02-02 Elmos Semiconductor Se Verfahren zur betriebssicheren Aktivierung von Produktionstestmodi in sicherheitsrelevanten elektronischen Schaltungen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DE102018110937B4 (de) 2017-05-12 2023-02-16 Elmos Semiconductor Se Verfahren zur betriebssicheren vereinfachten Aktivierung von Produktionstestmodi in sicherheitsrelevanten elektronischen Schaltungen für Fußgängeraufprallschutzsysteme
DE102018110934B4 (de) 2017-05-12 2023-02-02 Elmos Semiconductor Se Verfahren zur betriebssicheren vereinfachten Aktivierung von Produktionstestmodi in sicherheitsrelevanten elektronischen Schaltungen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DE102018110926B4 (de) 2017-05-12 2023-02-02 Elmos Semiconductor Se Verfahren zur betriebssicheren Aktivierung von Produktionstestmodi in sicherheitsrelevanten elektronischen Schaltungen für ein sicherheitsrelevante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8872C2 (de) * 1978-03-02 1986-01-23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00 München Auslöseschaltung für eine Insassenschutzeinrichtung in Kraftfahrzeugen
DE2851333A1 (de) * 1978-11-28 1980-06-12 Bosch Gmbh Robert Pruefschaltung fuer die ausloesevorrichtung einer den schutz der insassen eines fahrzeugs waehrend eines unfalles dienenden sicherheitseinrichtung
DE3400533C2 (de) * 1984-01-10 1985-12-12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Auslösevorrichtung für Sicherheitsvorrichtungen in Fahrzeugen
DE9001803U1 (ko) * 1989-03-15 1990-05-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DE3921250A1 (de) * 1989-06-29 1991-01-03 Bosch Gmbh Robert Insassen-sicherheit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DE3924595A1 (de) * 1989-07-25 1991-01-31 Becker Autoradio Steueranordnung fuer ein rueckhaltesystem in kraftfahrzeugen
JP2905240B2 (ja) * 1990-02-07 1999-06-14 アスコ株式会社 車両安全装置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
DE4016644A1 (de) * 1990-05-23 1991-11-28 Messerschmitt Boelkow Blohm Ausloeseschaltung fuer eine sicherheitsvorrichtung in kraftfahrzeugen
JPH04362443A (ja) * 1991-06-10 1992-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員保護装置
US5261694A (en) * 1991-06-14 1993-11-16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Reconfigurable air bag firing circuit
JP2692497B2 (ja) * 1992-06-29 1997-12-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乗員保護システムの故障検出装置
DE4306488A1 (de) * 1993-03-02 1994-09-08 Autoliv Dev Auslösesystem für Airbags
US5433101A (en) * 1993-07-12 1995-07-18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testing a single-point automotive impact sensing system
DE4424020A1 (de) * 1994-07-08 1996-01-11 Telefunken Microelectron Prüfverfahren für eine passive Sicherheitseinrichtung in Kraftfahrzeugen
US5861681A (en) * 1995-05-19 1999-01-19 Kansei Corporation Occupant crash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US5656991A (en) * 1995-05-22 1997-08-12 Trw Inc. Apparatus for testing an actuatable restraint system
JPH0920205A (ja) * 1995-07-07 1997-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員保護装置及びその起動装置
DE19608393A1 (de) 1996-03-05 1997-09-11 Telefunken Microelectron Auslöseschaltkreis, insbesondere für ein sicherheitskritisches Insassenschutzsystem für Fahrzeuge zur Personenbeförderung
JP3167336B2 (ja) * 1996-03-08 2001-05-21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における乗員保護手段の制御のための装置
US6070113A (en) * 1996-06-21 2000-05-30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Hybrid vehicle crash discrimination system
DE19625618C1 (de) * 1996-06-26 1997-09-04 Siemens Ag Aufprallerkenn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9645079A1 (de) * 1996-10-31 1998-05-07 Siemens Ag Steueranordnung für ein Insassenschutzsystem zum Seitenaufprallschutz in einem Fahrzeug
US5828138A (en) * 1996-12-02 1998-10-27 Trw Inc. Acceleration switch
US5845729A (en) * 1996-12-09 1998-12-08 Delco Electronics Corp. Logic level arming sensor for supplemental inflatable restraint
US6072247A (en) * 1998-10-23 2000-06-06 Trw Inc. Cantilevered acceleration switch responsive to acceleration parallel to plane of substrate upon which the switch is fabricated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903179D1 (de) 2002-11-28
JP3542775B2 (ja) 2004-07-14
JP2002518248A (ja) 2002-06-25
WO1999067110A1 (de) 1999-12-29
US6365987B2 (en) 2002-04-02
EP1089899B1 (de) 2002-10-23
DE19828432C2 (de) 2000-05-31
DE19828432A1 (de) 2000-01-13
US20010005102A1 (en) 2001-06-28
EP1089899A1 (de) 2001-04-11
KR20010053154A (ko) 200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631B1 (ko) 테스트 가능한 가속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승객 보호장치의 트리거링 장치 및 작동 방법
EP0396265B1 (en) Air bag firing circuit
US5389822A (en) Triggering circuit for a safety device in motor vehicles
US54331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testing a single-point automotive impact sensing system
JP2744170B2 (ja) 改変可能なエアーバッグ点火回路
JP4002182B2 (ja) 自動車における拘束システムのための制御機器
US6064928A (en) Mechanical sensor diagnostic method and system
JPH0674024B2 (ja) 自動車のドライバー拘束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H0382661A (ja) 安全リレー作動回路
US6470249B1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iggering of th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JP5073740B2 (ja) 乗員保護装置および歩行者保護装置
US5176214A (en) Safety system for motor-vehicle occupants
JPH05170045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の起動装置
JPH05500644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のトリガ回路装置
KR100555600B1 (ko) 자동차 탑승자 보호 시스템에 대한 제어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JP3340441B2 (ja) 乗員保護装置のトリガのための装置
JP2002515369A (ja) 電気回路、特に自動車の乗員保護システムの点火回路の検査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1222095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vehicle safety arrangement
US20060064217A1 (en)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n occupant protection means in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proper functioning of a control unit preferably of this type
JPH05238349A (ja) 車両用安全装置の制御装置
JP4922285B2 (ja) 乗員用の安全装置
JPH03121952A (ja) エアバツグ起動制御装置
JPH09272398A (ja) 側突エアバッグ制御装置
JPH05319202A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
KR20020044467A (ko)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