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165B1 - 용지감별장치 - Google Patents

용지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165B1
KR100396165B1 KR10-1998-0015345A KR19980015345A KR100396165B1 KR 100396165 B1 KR100396165 B1 KR 100396165B1 KR 19980015345 A KR19980015345 A KR 19980015345A KR 100396165 B1 KR100396165 B1 KR 100396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banknote
sensor
image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397A (ko
Inventor
마사노리 무까이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6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07D7/202Testing patterns thereon using pattern m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번권(different number bills)을 판별할 수 있는 용지 감별 장치를 제공한다. 고유의 문자열이 2개소 이상의 문자 영역 각각에 기록되어 있는 용지의 2개소 이상의 문자 영역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문자열을 화상으로서 판독하는 문자 센서, 문자 센서에 의해서 얻어진 얻어진 화상 데이타에 기초하여 복수의 문자열 각각을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 문자 인식부에 의해서 인식된 복수의 문자열의 동일성을 판정하는 문자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용지 감별 장치{PAPER DISCRIMIN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폐 등의 용지를 감별하는 용지 감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금, 출금 등의 거래를 실행하는 자동 거래 장치(Automatic Teller Machine : 이하 ATM이라 함)등의 기기에 내장되어 지폐를 감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용자로부터 지폐를 받거나 이용자에게 지폐를 지불함과 동시에 받은 지폐를 금종(金種)마다 분류하거나 위조권 등의 배제를 행하거나 하는 ATM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ATM에는 예를 들면, 지폐 영역을 감지하여 화상 데이타를 얻고, 그 화상 데이타를 나타내는 지폐의 전체적인 특징에 기초하여 지폐를 감별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그런데, 지폐에는 통상 각 지폐에 고유의 지폐 번호가 1장 마다 2개소씩 기록되어 있고, 예를 들면, 2개의 진권(眞券) 각각중 반씩을 분할하여 결합시키면, 2개의 서로 다른 지폐 번호를 갖는 소위 이번권이 된다. 이 이번권은 진권과의 교환이 법률에 의해서 금지되고 있으나, 종래의 ATM에 내장되어 있는 지폐를 감별하는 기능으로는 지폐의 전체적인 특징이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진권이라고 간주되므로 이번권과 진권의 구별을 할 수 없고, 이번권을 진권으로 받아 들이기 때문에 이번권이 진권과 교환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1장마다 고유의 문자열이 복수의 개소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의 용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생길 수 있는 문제이다. 이하에서는 2개의 서로 다른 고유의 문자열을 갖는 용지의 것을 지폐의 경우를 모방하여 "이번권"이라고 칭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번권을 구별할 수 있는 용지 감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지 감별 장치는,
1장마다 고유의 문자열이 복수의 문자 영역에 기록된 용지를 감지하고, 감지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타에 기초하여 용지의 감별을 행하는 용지 감별 장치에 있어서,
용지의 복수의 문자 영역을 화상으로서 판독하는 문자 센서,
문자 센서에 의해서 얻어진 화상 데이타에 기초하여 복수의 문자 영역에 기록된 문자열을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서 인식된 복수의 문자 영역에 기록된 문자열의 상호의 정합성을 판정하는 문자 판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 판정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서 인식된 복수의 문자 영역에 기록된 문자열이 상호 동일한 문자가 상호 동일한 순서로 배열된 문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지 감별 장치에 의하면, 용지 상의 복수의 문자 영역 각각에 기록된 복수의 문자열의 동일성이 판정되고, 이것에 의해서 이번권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지 감별 장치는 용지 전역을 감지하여 그의 용지의 화상 데이타를 얻는 상기 문자 센서보다도 분해능이 낮은 화상 센서를 구비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지폐의 금종의 판별이나 진권이나 위권의 판정을 행하기 위한 화상 데이타를 얻는 센서는 지폐 번호의 상위에 따른 변화가 생기지 않는 정도로 낮은 분해능의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문자의 인식을 행하기 위한 화상 데이타를 얻는 센서는 지폐 번호의 화상으로서의 상위를 판별할 수 있는 정도로 높은 분해능의 센서인 것이 필요하다.
또, 높은 분해능의 센서는 낮은 분해능의 센서에 비하여 고가이며, 저 코스트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고 분해능의 센서의 크기를 가능한한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반적으로, 용지에 고유의 문자열이 기록되는 경우에는 그 문자열이 기록되는 문자 영역은 용지상의 위치가 정해진 일부분이다.
그래서, 분해능이 낮고 값싼 화상 센서에 의해서 용지 전체의 화상 데이타를 얻고, 이 화상 데이타에 기초하여 이번권의 여부의 판정이외의 판정을 행하여 용지의 감별을 행함과 동시에 이번권의 여부의 판정에는 상당한 분해능이 필요하게 됨으로 문자영역에 한에서는 분해능이 높은 문자 센서를 채용하여 화상 데이타를 얻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문자 센서의 크기를 문자 영역의 크기 정도로 작게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용지 감별 장치를 비교적 저 코스트로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용지 감별 장치는 용지 전체를 감지하여 그의 용지의 화상 데이타를 얻는 화상 센서와, 그의 화상 센서에 의해서, 판독된 화상 데이타에 기초하여 용지의 종류를 판별하는 용지 판별부를 구비하며,
상기 문자 인식부가 용지 판별부에서 판별된 용지의 종류에 따른 문자 영역에 기록된 문자를 인식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지 감별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지폐와 같이 복수의 종류가 존재하고, 종류마다 문자 영역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라도 용지 판별부에서 용지의 종류가 판별되고, 문자 인식부에서 용지의 종류에 따라서 문자열이 인식됨으로 복수 종류의 용지 각각에 대하여 이번권을 배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지 감별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센서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광 라인 센서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광 라인 센서에 의해서 얻어지는 화상 데이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문자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용지의 감별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는 문자 영역의 화상 데이타중 절출(切出)위치에 따른 1문자분의 데이타 부분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지 감별 장치
101 : 센서부
108 : 문자 인식부
109 : 문자 판정부
200 : 지폐
250 : 문자 영역
1012 : 문자 센서
1013 : 광 라인 센서
d 100, d200 : 화상 데이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지 감별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용지 감별 장치(100)는 ATM에 내장되어 ATM 내부로 반송되는 복수 종류의 지폐의 감별을 행하는 장치이며, ATM은 이 용지 감별 장치(100)에 의한 지폐의 감별 결과에 기초하여 지폐의 분류 등을 행한다. 지폐 위에는 지폐의 종류에 대응한 위치에 2개의 문자 영역이 존재하고, 그 2개의 문자 영역 각각에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고유의 문자열의 일종인 그의 지폐 고유의 지폐 번호(문자를 포함)가 기록되어 있고, 용지 감별 장치(100)는 이하에서 설명하듯이 이 지폐 번호 등에 기초한 감별을 행한다. 또, ATM내부의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기구는 반송의 방향에 대하여 지폐가 다소 비스듬하게된 상태라도 그대로 지폐를 반송할 수가 있고, 지폐 감별 장치(100)는 이하에서 설명하듯이 비스듬한 상태로 반송되는 용지의 감별도 행할 수 있다.
이 용지 감별 장치(100)에는 센서부(101), 증폭부(102), A/D 변환부(103), 또한 화상 처리부(105)가 구비되어 있으며, 센서부(101)에 의해서 지폐가 주사되어 얻어진 화상 데이타가 증폭부(102)에서 증폭되고 A/D 변환부(103)에서 A/D 변환되어 화상 처리부(105)로 입력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센서부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센서부(101)에는 돌입(突入) 센서(1011)와, 문자 센서(1012), 광 라인 센서(1013)와, 자기 라인 센서(1014), 두께 센서(1015), 통과 센서(1016)가 구비되어 있고, 이 중에서 광 라인 센서(1013)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화상 센서의 일례이다. 지폐(200)는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반송되어온 센서부(101)를 통과하여 도면의 우측으로 반송되어 간다.
돌입 센서(1011)는 광 센서의 일종이며 2개 설치되어 있다. 이 돌입 센서(1011)에 의해서 반송되어온 지폐(200)가 감지되어 감지 정보가 얻어지고, 그 감지 정보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용지 감별 장치(100)의 소정의 동작의 개시의 신호가 된다. 또, 2개의 돌입 센서(1011)각각에 의해서 지폐(200)가 감지되고, 그들의 감지 시각의 차에 기초하여, 반송 방향에 대한 지폐(200)의 기울기를 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라인 센서(1013)는 지폐(200)의 반송 방향(도3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도 3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128개의 광 센서 소자(10131)로 구성되어 있고, 통과중인 지폐(200)를 사이에 끼도록 2개 설치되어 있다. 돌입 센서(1011)에 의해서, 지폐가 감지된 후에 각 광 센서 소자(10131)에 의해서 그 지폐에 대하여 일정 주기에서 35회의 감지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서, 광 라인 센서(1013)를 구성하는 각 광 센서 소자(10131)에 의해서 지폐(200)가 반송 방향으로 주사되고, 도 4의 개념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35행 × 128열의 모자이크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타 d100이 얻어진다. 이 개념도에 도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타 d100는 비스듬하게 반송된 지폐가 광 라인 센서(10131)에 의해서 감지되어 얻어진 화상 데이타이며, 가장 외측의 장방형이 광 라인 센서(10131)에 의해서 주사되는 범위(210)를 나타내고 있고, 광 라인 센서(1013)에 의해서 주사되는 범위(210)의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는 장방형이 비스듬하게 반송된 지폐(200)의 외형(220)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광 라인 센서(1013)에 의해서 주사되는 주사 범위(210)는 지폐의 외형(220)에 의해서 포위된 범위보다도 약간 넓은 범위로 확대되어 있어, 지폐(200)가 약간 비스듬하게 반송된 경우라도 그의 지폐(200)는 주사범위(210)내에 속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광 라인 센서(1013)에는 지폐(200)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 소자(10132)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의 발광 소자(10132)는 상술한 35회의 감지의 1회 마다 발광하여 지폐(200)를 조사한다. 또, 도 3의 상측에 도시되어 있는 발광 소자(10132)와 하측에 도시되어 있는 발광 소자(10132)에서는 발광의 타이밍이 어긋나있다. 도 3의 상측에 도시되어 있는 발광 소자(10132)가발광하고 있는 동안에 도 3의 상측에 도시되어 있는 각 광 센서 소자(10131)에 의해서 지폐(200)가 감지되어 반사광에 의한 지폐(200)의 도 3의 상측의 면의 화상 데이타가 얻어진다. 또, 그것과 동시에 즉 도 3의 상측에 도시되어 있는 발광 소자(10132)가 발광하고 있는 동안에 도 3의 하측에 도시되어 있는 각 광 센서 소자(10131)에서도 지폐(200)가 감지되어 투과광에 의한 화상 데이타가 얻어진다. 동일하게, 도 3의 하측에 도시되어 있는 발광 소자(10132)가 발광하고 있는 동안에 각 광 센서 소자(10131)에 의해서 지폐(200)가 감지되어, 반사광에 의한 지폐(200)의 도 3의 하측의 면의 화상 데이타와, 투과광에 의한 화상 데이타가 얻어진다. 상기 4개의 화상 데이타중 투과광에 의한 2개의 화상 데이타는 합해져 하나의 화상 데이타로서 사용된다.
이어서, 문자 센서(1012)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 라인 센서(101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200)의 전면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문자 센서(1012)는 2개의 문자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또, 광 라인 센서(1013)의 경우는 투과광에 의한 화상 데이타와 반사광에 의한 화상 데이타를 얻을 수 있으나, 문자 센서(1012)는 반사광에 의한 화상 데이타만을 얻는다. 또한, 문자 센서(1012)의 분해능은 광 라인 센서(1013)의 분해능에 대하여 약 4배이다. 그 외의 점에서는 문자 센서(1012)는 광 라인 센서(1013)와 거의 동일한 형태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200)상의 문자 센서(1012)에 의해서 감지되는 범위는 지폐(200)의 좌상측의 범위(230)및 우하측의 범위(24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폐(200)에는 복수의 종류가 존재하고, 문자 영역(250)의 위치는 지폐의 종류에 따라서 다소 다르다. 또, 지폐(200)가 반송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반송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문자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는 2개의 범위(230, 240)는 문자 영역(250)보다도 약간 넓은 범위로 확대되게 설정되어 있어, 이 때문에 어떤 종류의 지폐가 반송되어온 경우라도, 또, 지폐(200)가 비스듬이 반송되어온 경우라도 문자 영역(250)은 문자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는 범위(230, 240)내에 속한다.
이어서, 자기 라인 센서(1014)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 라인 센서(1013)는 광 센서 소자(1013)가 배열된 것이나, 자기 라인 센서(1014)는 자기 센서 소자가 배열된 것, 및 광 라인 센서(1013)에는 발광 소자(10132)가 구비되어 있으나 자기 라인 센서(1014)에는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구성이 불 필요한 것을 제외하고, 자기 라인 센서(1014)는 광 라인 센서(1013)과 거의 동일하다. 또, 자기 라인 센서(1014)는 광 라인 센서(1013)과는 달리 1개만 설치되어 있고, 자기 라인 센서(1014)에 의해서 1개의 자기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타가 얻어진다.
두께 센서(1015)는 지폐(200)의 두께를 기계적으로 계측하는 센서이며, 두께 센서(1015)에 의해서 지폐(200)의 두께의 반송 방향의 분포가 얻어진다.
통과 센서(1016)는 돌입 센서(1011)와 동일하게 지폐(200)를 감지하는 광 센서이며, 돌입 센서(1011)와 동일하게 2개 설치되어 있다. 돌입 센서(1011)에 의해서 지폐(200)가 감지된 시각과, 통과 센서(1016)에 의해서 지폐(200)가 감지된 시각과의 차에 기초하여 지폐(200)가 센서부(101)를 통과할 때의 통과 속도가 구해지고, 그 통과 속도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종합판정에 사용된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을 계속한다.
용지 감별 장치(100)에는 제어부(104)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부(104)에 의해서 용지 감별 장치(100)의 각 부분의 제어가 행해진다. 또, 제어부(104)에는 센서부(104)에 설치되어 있는 돌입 센서 및 통과 센서 각각에 의한 지폐의 감지 정보가 송신되어 오며, 도시 생략되어 있는 클럭 회로에 의한 클럭 신호를 사용하여 2개의 돌입 센서 및 2개의 통과 센서 각각에 의한 지폐의 감지 시각을 측정하고, 반송 방향에 대한 지폐의 기울기나 지폐가 센서부(101)을 통과한 속도의 계산을 행하고 있다.
또, 이 용지 감별 장치(100)에는 화상 처리부(105)가 구비되어 있고, 이 화상 처리부(105)에는 센서부(101)에 구비된 광 라인 센서에 의해서 얻어진 용지 전역의 화상 데이타와, 센서부(101)에 구비된 문자 센서에 의해서 얻어진 문자 영역의 화상 데이타가 증폭부(102) 및 A/D 변환부(103)를 경유하여 입력되고, 그들 입력된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후술하는 화상 처리가 실시된다.
또, 이 용지 감별 장치(100)에는 사서 데이타 기억부(106), 사서 비교부(107), 문자 인식부(108)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서 데이타 기억부(106)에는 지폐를 감별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반사광, 투과광 및 자기 각각에 의한 지폐 전체의 각 화상 데이타에 대응하는 사서 데이타, 및 두께의 분포에 대응하는 사서 데이타, 금종에 따른 지폐상의 문자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열 절출(切出)위치 테이블, 각종의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문자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각 테이블의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사서 비교부(107)에 의해서 용지 전역의 화상 데이타와, 사서 데이타 기억부(106)에 기억되어 있는 사서 데이타가 비교되어 이것에 의해서 지폐의 형상의 체크나, 금종의 판정, 및 지폐의 진위 판정이 행해지고, 두께 센서에 의해서 얻어진 두께의 분포의 정보가 가미된 진위 판정도 행해진다. 또, 문자 인식부(108)에 의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문자 영역의 화상 데이타, 사서 데이타 기억부(106)에 기억되어 있는 문자열 절출 위치 테이블 및 문자 테이블에 기초하여 사서 비교부(107)에 의한 금종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복수의 문자 영역 각각에 기록되어 있는 지폐 번호가 인식된다.
또, 이 용지 감별 장치(100)에는 문자 판정부(109)가 구비되어 있으며, 문자 인식부(108)에 의해서 인식된 복수의 문자 영역 각각에 기억되어 있는 지폐 번호의 동일성이 판정된다.
게다가, 이 용지 판별 장치(100)에는 종합 판정부(110) 및 판정 결과 기억부(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종합 판정부(110)에 의해서, 사서 비교부(107)에서의 각종의 판정 결과, 문자 판정부(109)에서의 판정 결과, 제어부(104)에 의해서 계산된 기울기 및 통과 속도에 기초하여, 정상의 지폐로서 취급할 지폐인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해지고, 그의 판정의 결과가 판정 결과 기억부(111)에 기억된다. 또, 판정 결과 기억부(111)에는 금종의 판별 결과 등도 기억된다. 판정 결과 기억부(111)에 기억된 판정 결과 등은 용지 감별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판독되고 용지 감별 장치(100)이 내장되어 있는 ATM에서의 지폐의 분리 등에 이용된다.
상기 설명한 용지 감별 장치(100)에 의한 용지의 감별의 수순에 대하여 이하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용지의 감별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돌입 센서(1011)에 의해서 지폐가 감지되면, 도 1에 도시한 용지 감별 장치(100)의 제어부(104)에 의해서 용지의 감별의 개시가 지시되고, 먼저, 단계(S101)에서, 반사광, 투과광 및 자기 각각에 의한 지폐 전체의 각 화상 데이타, 문자 영역을 포함하는 도 5에 도시한 범위(230, 240)의 화상 데이타가 수집된다.
이어서, 단계(S102)로 진행하고, 도 1에 도시한 화상 처리부(105)에서, 상기 단계(S101)에서 수집된 각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화상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화상 데이타의 정규화가 행해진다.
먼저,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반송 방향에 대한 지폐의 기울기의 계산값을 이용하여 지폐가 올바른 방향이 되도록 회전 이동시키는 기울기 보정이 반사광, 투과광 및 자기 각각에 의한 지폐 전체의 각 화상 데이타, 및 문자 센서에 의해서 얻어진 화상 데이타 각각에 대하여 실시된다. 이어서, 지폐마다의 잉크 농도의 차에 기인하는 오차의 보정이 실시된다. 이것에 의해서 화상 데이타가 정규화된다.
이상 설명한 화상 데이타의 정규화가 행해진 후에 단계(S103)으로 진행하여, 단계(S102)에서 정규화된 투과광에 의한 지폐 전체의 화상 데이타에 기초한 지폐의 외형의 체크가 행해진다. 이 외형의 체크에서는 지폐의 결손 부분의 수나 크기가 체크되며, 결손 부분의 총 면적이 구해진다. 그 후에 단계(S104)로 진행하여, 결손 부분의 총 면적이 정상적인 지폐의 형상으로 간주되는 수치 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S104)에서, 정상적인 형상으로 간주되는 수치 범위외(外)라고 판정되면, 단계(S105)로 진행하고, 형상 이상권(異常券)이라고 감별되어 단계(S117)로 진행하고, 후술하는 다른 판정 결과 등도 고려되어 종합 판정이 행해져 지폐의 감별이 종료된다. 단계(S104)에서, 정상적인 형상이라고 간주되는 수치 범위내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S106)로 진행한다.
단계(S106)에서는 단계(S102)에서 정규화된 투과광에 의한 지폐 전체의 화상 데이타와, 도 1에 도시한 사서 데이타 기억부(106)에 기억되어 있는, 투과광에 의한 각 금종 각각의 지폐 전체의 화상 데이타에 대응하는 각 사서 데이타간의 대략적인 패턴 체크가 행해지고, 지폐의 금종의 특정과 지폐의 방향의 특정이 행해진다. 그 후 단계(S107)로 진행하고, 센스부에서 감지된 지폐가 단계(S106)에서 1 금종의 1방향으로 특정되어 있는지가 판정되고, 특정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S108)로 진행하고, 불명권으로 판별되어 단계(S117)로 진행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종합 판정이 행해져, 지폐의 감별이 종료된다. 단계(S107)에서, 지폐가 1 금종의 1 방향으로 특정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S109)로 진행한다.
단계(S109)에서는 단계(S106)에서 특정된 금종의 반사광에 의한 화상 데이타, 투과광에 의한 화상 데이타, 자기에 의한 화상 데이타 및 두께 분포 각각에 대응하는 사서 데이타가 도 1에 도시하는 사서 데이타 기억부(106)로부터 읽어 들여져, 단계(S110)로 진행하고, 반사광, 투과광 및 자기 각각에 의한 지폐 전체의 각 화상 데이타 및 두께 분포와 사서 데이타가 각 화소 마다 비교되어 각 화소 마다의 데이타 차가 구해지고, 이 데이타의 차가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고 있는 화소의 수가 구해진다. 그 후에 단계(S111)로 진행하고, 단계(S110)에서 구해진 데이타의차가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고 있는 화소의 수가 진권 위조권의 판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화소수 이하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기준 화소수를 초과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단계(S112)로 진행하고, 위조권이라고 감별되어 단계(S117)로 진행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종합 판정이 행해지고, 지폐의 감별이 종료된다. 단계(S111)에서 기준 화소수 이하라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S113)으로 진행한다.
단계(S113)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문자 인식부(108)에 의해서, 사서 데이타 기억부(106)에 기억되어 있는 이하의 표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자열 절출 위치 테이블로부터 단계(S106)에서 특정된 금종에 따른 절출 위치가 읽혀진다.
A 금종제1 절출위치 좌로부터 25㎜ ∼ 55㎜위로부터 12㎜ ∼ 20㎜
A 금종제2 절출위치 우로부터 60㎜ ∼ 30㎜아래부터 15㎜ ∼ 7㎜
B 금종제1 절출위치 좌로부터 20㎜ ∼ 50㎜위로부터 10㎜ ∼ 18㎜
B 금종제2 절출위치 우로부터 55㎜ ∼ 25㎜아래부터 10㎜ ∼ 2㎜
사서 데이타 기억부(106)에는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1 금종마다의 제1의 절출 위치 및 제2의 절출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열 절출 위치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단계(S113)에서는 이 문자열 절출 위치 테이블로부터 금종에 따른 2개의 절출 위치가 읽혀지고, 단계(S114)로 진행한다. 단계(S114)에서는 화상 처리부(105)에서 정규화된 문자 영역의 화상 데이타중 단계(S113)에서 읽혀진 절출 위치에 따른 데이타 부분에 기초하여 1문자씩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자 인식이 행해진다.
도 7은 문자 영역의 화상 데이타중 절출 위치에 따른 1문자분의 데이타 부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1문자분의 데이타 부분d200는 10행 × 10열의 모자이크 화상을 나타내고 있고, 도 7에는 일례로서 문자 「2」를 나타내는 모자이크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이 10행 × 10열의 모자이크 화상이 나타내는 문자의 문자 인식을 행하기 위해서 우선, 이 모자이크 화상에 대하여, 도 7의 좌상방을 원점으로 하고, 도 7의 우 방향을 x 좌표의 정(+)의 방향으로 하고, 도 7의 하 방향을 y 좌표의 정의 방향으로 하는 좌표 공간이 설정된다. 이어서, x축(310)상의 각점으로부터 y좌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모자이크 화상이 주사되어 문자의 일부에 도달했을 때의 각 y좌표가 구해지고, 이들은 x축(301)상의 각점의 각 x좌표와 대응되게 된다. 이 결과 이하의 표 2에 도시하는 x좌표와 y좌표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 작성된다.
x 0 1 2 3 4 5 6 7 8 9 10
y x x x 5 4 3 4 5 8 x x
상기 표 2중 X 의 표시는 y좌표가 10이 될때까지의 사이에 문자의 일부에 도달되지 못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동일하게, y축(320)상의 각점으로부터 x 좌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모자이크 화상이 주사되고, 이하의 표 3에 도시하는 y좌표와 x좌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 작성된다.
x 0 1 2 3 4 5 6 7 8 9 10
y x x x 5 4 3 6 5 3 x x
상기의 표 3중 X의 표시는 x좌표가 10이 될때까지의 사이에 문자의 일부에 도달하지 못했던 것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사서 데이타 기억부(106)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의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문자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으며, 이 문자 테이블에는 x축(310)상의 각점으로부터 y좌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주사, y축(320)상의 각점으로부터 x좌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주사, y = 10을 나타내는 선(330)상의 각점으로부터 y좌표가 감소하는 방향으로의 주사, 및 x = 10을 나타내는 선(340)상의 각점으로부터 x좌표가 감소하는 방향으로의 주사 각각에 대응하는 테이블이 포함되어 있다. 먼저, 이들의 테이블중, x축(310)상의 각점으로부터 y좌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의 주사, 및 y축(320)상의 각점으로부터 x좌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의 주사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블과 상기 표 2 및 표 3에 도시한 데이블과 비교된다. 이러한 비교에 의해서, 문자가 특정되면, 문자가 인식된 것이 된다.
표 2 및 표 3에 도시한 테이블과 문자 테이블의 비교에서는 문자가 특정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y = 10을 나타내는 선(330)상의 각점으로부터 y좌표가 감소하는 방향으로의 주사, x = 10을 나타내는 선(340)상의 각점으로부터의 x좌표가 감소하는 방향으로의 주사가 행해지고 표 2 및 표 3에 도시한 테이블과 동일한 테이블이 작성되고, 이들 테이블과 문자 데이블에 포함되어 있는 테이블중, y = 10을 나타내는 선(330)상의 각점으로부터 y좌표가 감소하는 방향으로의 주사, 및 x = 10을 나타내는 선(340)상의 각점으로부터 x좌표가 감소하는 방향으로의 주사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블이 비교된다. 이러한 비교에 의해서, 문자가 특정된 경우도, 문자가 인식된 것이 되고, 이러한 비교에 의해서도 문자가 특정되지 못한 경우에는 문자가 기억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된 것이 된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서, 1문자분의 데이타 부분이 나타내는 모자이크 화상에 대해서의 문자 인식이 종료되면, 다음의 1 문자분의 데이타 부분에 기초한 문자 인식이 행해져 2개의 지폐 번호가 인식된다.
단계(S114)에서 이상과 같은 문자 인식이 행해진 후에 단계(S115)로 진행하여, 단계(S114)에서 인식된 2개의 지폐 번호가 서로 동일한 문자가 서로 동일한 순서로 배열된 지폐 번호인지의 여부가 문자 판정부에서 판정된다. 단계(S115)에서, 서로 동일한 문자가 서로 동일한 순서로 배열된 문자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단계(S116)로 진행하고, 이번권이라고 감별되어 단계(S117)로 진행한다. 단계(S115)에서 서로 동일한 문자가 동일한 순서로 배열된 문자열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대로 단계(S117)로 진행한다.
단계(S117)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종합 판정부(110)에 의해서 제어부(104)로부터 기울기 및 통과 속도의 계산값이 읽혀져, 이 계산값과 상기 각종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정상적인 지폐로서 취급할 것인지의 판정이 행해지고, 그 결과 및 금종의 판별 결과 등이 판정 결과 기억부(111)에 기억되어 용지의 감별이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용지 감별 장치는 지폐에 기록되어 있는 2개의 지폐 번호를 인식하고, 그 2개의 지폐 번호의 동일성을 판정함으로, 이번권을 판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형태의 용지 감별 장치가 내장된 ATM은 이러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이번권을 배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지 감별 장치에 의하면, 이번권을 판별할 수 있다.

Claims (3)

1장 마다 고유의 문자열이 복수의 문자 영역에 기록된 지폐를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에 의해서 얻어진 화상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지폐의 감별을 행하여, 지폐의 거래를 행하는 자동 거래 장치(ATM)에 이용하는 지폐 감별 장치에 있어서,
지폐의 복수의 문자 영역을 화상으로서 판독하는 문자 센서,
상기 문자 센서에 의해서 얻어진 화상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영역에 기록된 문자열을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 및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복수의 문자 영역에 기록된 문자열이 상호 동일한 문자가 상호 동일한 순서로 배열된 문자열인지의 정합성 여부를 판정하는 문자 판정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감별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지폐 전역을 감지하고 상기 지폐의 화상 데이타를 얻으며, 상기 문자 센서보다도 분해능이 낮고 상기 지폐의 화상을 인식할 수 있는 레벨의 분해능을 가진 화상 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감별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지폐 전역(全域)을 감지하고 상기 지폐의 화상 데이타를 얻는 화상 센서와, 상기 화상 센서에 의해서 판독된 화상 데이타에 기초하여, 지폐의 종류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 인식부가 상기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된 지폐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상기 지폐의 문자열 절출(切出)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영역에 기록된 문자열을 인식하여,
상기 문자 판정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문자 영역에 기록된 문자열이, 상호 동일한 문자가 상호 동일한 순서로 배열된 문자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감별 장치.
KR10-1998-0015345A 1997-12-11 1998-04-29 용지감별장치 KR100396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41514 1997-12-11
JP34151497A JP3655451B2 (ja) 1997-12-11 1997-12-11 紙葉鑑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397A KR19990062397A (ko) 1999-07-26
KR100396165B1 true KR100396165B1 (ko) 2003-10-17

Family

ID=1834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345A KR100396165B1 (ko) 1997-12-11 1998-04-29 용지감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94256B2 (ko)
JP (1) JP3655451B2 (ko)
KR (1) KR100396165B1 (ko)
CN (1) CN112224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9822B1 (en) * 1999-04-29 2006-03-28 Mss, Inc. Multi-grade object sorting system and method
US6369882B1 (en) 1999-04-29 2002-04-09 Advanced Sorting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white paper
JP4450966B2 (ja) * 2000-10-03 2010-04-14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類鑑別装置
JP3849913B2 (ja) 2000-10-05 2006-11-2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4012423B2 (ja) * 2002-03-26 2007-11-2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US6994094B2 (en) * 2003-04-29 2006-02-07 Biosense,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septal facilitation based on injury patterns
US20040220461A1 (en) * 2003-04-29 2004-11-04 Yitzhack Schwartz Transseptal facilitation using sheath with electrode arrangement
US20040220471A1 (en) * 2003-04-29 2004-11-04 Yitzhack Schwartz Method and device for transseptal facilitation using location system
CN1542691A (zh) * 2003-04-29 2004-11-03 号码录入点钞机
EP1735761A1 (en) * 2004-03-29 2006-12-27 Streamline Innovations GmbH Note validating and storage assembly and method
JP2006171953A (ja) * 2004-12-14 2006-06-29 Laurel Seiki Kk 紙葉類検出装置
KR100719608B1 (ko) * 2005-07-21 2007-05-17 주식회사 씨텍 지폐 일련번호 인식 방법 및 장치
US20070023500A1 (en) * 2005-07-29 2007-02-01 Deraedt Peter W Note validating and storage assembly and method
US7794592B2 (en) * 2006-06-29 2010-09-14 Ralph Brown Wastewater disinfect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080203333A1 (en) * 2007-02-23 2008-08-28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202134A1 (en) * 2007-12-28 2009-08-13 Glory Ltd. Print inspecting apparatus
JP5108030B2 (ja) * 2008-01-25 2012-12-2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識別装置
US8016485B2 (en) * 2008-07-31 2011-09-13 Mccann James Brent Theater popcorn container featuring side pockets, handles, and a resealable opening
US20100025456A1 (en) * 2008-07-31 2010-02-04 Mccann James Brent Container with side pockets, handles, and resealable opening
JP5241650B2 (ja) * 2009-08-12 2013-07-1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記番号認識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CN101739747A (zh) * 2010-01-29 2010-06-16 北京新岸线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纸币、票券的号码获取方法和装置及识别方法和装置
RU2438182C1 (ru) * 2010-04-08 2011-1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Дорс" (Ооо "Кб "Дорс")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варианты)
KR20140056276A (ko) * 2011-07-18 2014-05-09 톰슨 라이센싱 접속된 컴포넌트의 오리엔테이션 벡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대응하는 디코딩 방법 및 디바이스, 및 그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저장 매체
KR101554252B1 (ko) * 2011-11-08 2015-09-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일련번호 인식을 통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
CN103366166B (zh) * 2012-03-28 2017-06-09 光荣株式会社 纸张号码读取装置和方法以及系统、纸张处理装置和方法
CN102930633B (zh) * 2012-10-25 2014-08-20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金融自助设备及其钞票识别模块和识别方法
KR101511043B1 (ko) * 2013-02-28 2015-04-10 기산전자 주식회사 위조지폐의 감지, 신고, 통합관리가 가능한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6141163A1 (en) * 2015-03-03 2016-09-09 Diebold, Incorporated Reading predefined textual data from a sheet
JP6582548B2 (ja) * 2015-05-22 2019-10-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記番号認識装置、媒体鑑別装置、自動取引装置、記番号管理装置、記番号管理システム、及び記番号管理プログラム
CN105374105A (zh) * 2015-10-16 2016-03-02 浙江依特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终端鉴别纸币真伪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7706A (ko) * 1984-04-12 1985-12-07 사바 쇼오이찌 필기문자 인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4849C2 (de) * 1978-06-06 1982-12-16 GAO Gesellschaft für Automation und Organisation mbH, 8000 Mün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eststellung des Zustandes und/oder der Echtheit von Blattgut
US4442541A (en) * 1979-08-15 1984-04-10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sensing the denomination of paper currency
US4255057A (en) * 1979-10-04 1981-03-10 The Perkin-Elmer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quality of U.S. currency
DE3276200D1 (en) * 1981-08-11 1987-06-04 De La Rue Syst Apparatus for scanning a sheet
US4542829A (en) * 1981-11-03 1985-09-24 De La Rue Systems Limited Apparatus for sorting sheets according to their patterns
JPH0614384B2 (ja) * 1987-04-13 1994-02-23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判別装置
US5199543A (en) * 1990-08-22 1993-04-06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iscriminating bill
JP2797848B2 (ja) * 1992-08-05 1998-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光学式文字読取装置
US5607040A (en) * 1994-03-28 1997-03-04 Mathurin, Sr.; Trevor S. Ives Currency counter-feit det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7706A (ko) * 1984-04-12 1985-12-07 사바 쇼오이찌 필기문자 인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244C (zh) 2003-09-24
CN1219714A (zh) 1999-06-16
US6394256B2 (en) 2002-05-28
JPH11175797A (ja) 1999-07-02
KR19990062397A (ko) 1999-07-26
JP3655451B2 (ja) 2005-06-02
US20020017445A1 (en) 200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165B1 (ko) 용지감별장치
CN1685373B (zh) 钞票的识别方法和识别装置
KR100661440B1 (ko) 종이류 특징 검출 장치 및 종이류 특징 검출 방법
JP3369088B2 (ja) 紙葉鑑別装置
JP2003288627A (ja) 紙葉類判別方法および紙葉類判別装置
KR101016883B1 (ko) 매체인식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매체 권종 및 진위판별방법
JPH0520521A (ja) 硬貨鑑別装置
JPH1097663A (ja) 紙葉類識別装置
KR100862589B1 (ko) 지폐 계수기를 이용한 지폐, 수표, 및 지로용지 감별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2599320B2 (ja) 紙葉類認識装置
JP3064739B2 (ja) 画像処理装置
JP2896288B2 (ja) 紙幣識別方法
KR101385355B1 (ko) 매체인식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매체권종판별방법
CN213716038U (zh) 一种纸币识别模块及金融机具
JPH0944673A (ja) 紙葉類識別装置
JP5216301B2 (ja) 媒体識別装置
JPH08263717A (ja) 紙幣識別装置
JPH0573753A (ja) 紙葉類認識処理方法
JPH1083471A (ja) コイン識別装置
JPS6170690A (ja) 紙葉類鑑別方法
JP3651177B2 (ja) 紙葉類鑑別装置
JPH1185942A (ja) 紙幣カウンタ
JPH01223589A (ja) 紙幣認識装置と紙幣汚損判別装置
JPH06318245A (ja) 紙葉類認識装置
JP2001005968A (ja) 紙葉類の真偽鑑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827

Effective date: 200306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