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465B1 - 케이블 드래그 체인 - Google Patents

케이블 드래그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465B1
KR100395465B1 KR10-2000-0060298A KR20000060298A KR100395465B1 KR 100395465 B1 KR100395465 B1 KR 100395465B1 KR 20000060298 A KR20000060298 A KR 20000060298A KR 100395465 B1 KR100395465 B1 KR 10039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upper connecting
link
link plate
cable dr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0080A (ko
Inventor
고미야쇼이치로
마쓰다다카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01004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9/00Chain, staple, and horseshoe making
    • Y10S59/90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수지의 탄성변형을 이용함으로써, 상부연결부재를 조립하기 쉽고, 상부연결부재가 빠지지 않는 케이블 드래그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케이블 드래그 체인(10)은 서로 굴곡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수지제 링크체 (12)를 갖는다. 링크체(12)는 좌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6,17)와, 링크플레이트 (16,17)의 아래가장자리 및 위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18) 및 상부연결부재(20)를 갖는다. 상부연결부재(20)는 한 끝단에 있어서 힌지부(24)를 통해 링크플레이트(16)에 연속하고 있다. 상부연결부재(20)는 다른 끝단에 있어서 걸림부 (26)를 갖는다. 힌지부(24)에는 바깥면 중앙에 원형의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5)가 형성된 힌지부(24)는, 중앙에서 단면적이 작아져서 구부러지기 쉬우며, 또한 구부러지는 부분이 특정된다. 힌지부(24)는 탄성영역에서 변형하도록, 최대인장응력 및 최대압축응력을 고려하여 폭·두께가 결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드래그 체인{Cable Drag Chain}
본 발명은, 가동기계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보호하는 케이블 드래그 체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로 대향한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와,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와,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링크체를 굴곡이 자유롭게 연결한 케이블 드래그 체인에 있어서, 상부연결부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드래그 체인은, 앞뒤끝단이 서로 굴곡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링크체로 구성된다. 케이블 드래그 체인은, 한 끝단이 가동기계에 부착되고, 다른 끝단이 고정프레임이나 바닥면에 부착된다. 각각의 링크체는 내부에 중공공간을 가지며,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는 연속하는 복수의 링크체의 중공공간 내부에 수납된다.
이러한 케이블 드래그 체인은,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평 3-7277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각각의 링크체는, 좌우에 대향한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와, 좌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와, 좌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의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를 갖는다. 상부연결부재는 케이블 드래그 체인 내에 가요체를 수납하기 위해서, 각각의 링크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케이블 드래그 체인에는, 각각의 링크플레이트의 상단중앙에 걸어맞춤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연결부재는 그 양 끝단에서 링크플레이트의 걸어맞춤핀에 스냅 걸어맞춤하는 후크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연결부재는, 먼저 한 끝단을 한쪽의 링크플레이트의 걸어맞춤핀에 스냅 걸어맞춤시켜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한 후, 다른 끝단을 다른쪽의 링크플레이트의 걸어맞춤핀에 스냅 걸어맞춤시켜, 링크플레이트에 부착된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10-28310호 공보에는, 다른 구조의 케이블 드래그 체인이 기재되어 있다. 이 케이블 드래그 체인에 있어서, 각각의 링크체는, 좌우에 대향한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와, 좌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와, 좌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의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를 갖는다. 상부연결부재는 각각의 링크플레이트와 일체로 성형되고,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케이블 드래그 체인에는, 힌지부가 링크플레이트와 상부연결부재 사이의 절결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링크체의 내부에 가요체를 수납한 후,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연결부재를 거의 직각으로 구부리고,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에 형성된 후크를 링크플레이트에 걸어 두는 것에 의해, 각각의링크체가 조립된다.
그런데, 먼저 일본국 실공평 3-72774호 공보에 기재된 케이블 드래그 체인은, 상부연결부재가 링크플레이트와는 별개체이기 때문에, 다음의 문제가 있다.
(1) 상부연결부재의 양 끝단을 좌우의 링크플레이트에 각각 스냅 걸어맞춤시켜 링크체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 드래그 체인이 뒤틀림 등에 의해서 변형한 경우에 상부연결부재가 빠지기 쉬워,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를 수납·보호하는 기본적인 기능이 없어진다.
(2) 상부연결부재의 양 끝단을 좌우의 링크플레이트에 각각 스냅 걸어맞춤시키고 있기 때문에, 보수나 점검시에 상부연결부재의 한 끝단을 빼냈을 때,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도 빠질 우려가 있어, 상부연결부재를 분실하기 쉽다.
(3) 상부연결부재의 양 끝단을 좌우의 링크플레이트에 각각 스냅 걸어맞춤시키고 있기 때문에, 보수나 점검시에 상부연결부재의 한 끝단을 빼냈을 때, 또 한쪽의 끝단부가 링크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므로 상부연결부재의 한 끝단이 자유단으로 되어 자세가 불안정하다. 그 때문에 상부연결부재가 보수작업이나 점검작업의 방해가 되어 작업효율이 저하한다.
(4) 상부연결부재가 별개체이기 때문에, 링크플레이트 및 하부연결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 이외에, 상부연결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이 필요하며, 더구나 각각의 금형끼리의 치수조정이 필요하여, 막대한 금형비용 및 조정비용을 요한다.
(5) 상부연결부재의 양 끝단을 좌우의 링크플레이트에 각각 스냅 걸어맞춤시킬 필요가 있고, 다수의 링크체에 있어서 이러한 작업을 행할 경우, 조립공정수가 많아진다.
또한, 상기 일본국 실공평 3-72774호 공보에 기재된 케이블 드래그 체인에서는, 걸어맞춤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부연결부재를 회전시켜,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의 후크를 접선방향으로 걸어맞춤핀에 스냅 걸어맞춤하도록, 후크가 아래쪽에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개구가 탄성변형에 의해 확장·수축한 후, 걸어맞춤핀을 잡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의 문제가 있다.
(6) 후크의 탄성에 의해 상부연결부재를 링크플레이트에 연결시키고 있기 때문에, 외력이 작용하거나, 가요체의 중량이 작용하거나 하는 것만으로도, 상부연결부재의 후크가 걸어맞춤핀에서 빠지기 쉽고,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를 수납·보호하는 기본적인 기능이 없어진다.
(7) 또한, 개구가 상부연결부재 다른 끝단의 접선방향을 향하고 있어, 상기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해서 개구를 좁게 하면, 상부연결부재의 양끝단마다 큰 힘으로 후크를 스냅 걸어맞춤시켜야만 하여, 조립공정수가 많아진다.
한편, 일본국 특개평 10-28310호 공보에 기재된 케이블 드래그 체인은, 상부연결부재를 한쪽의 링크플레이트에 일체로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공보에 기재된 케이블 드래그 체인과 같이, 상부연결부재가 분실되지 않고, 제조비용을 저감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는 데에는 이르지 않았다.
즉, 이 케이블 드래그 체인 힌지부 및 본체의 강성이 낮기 때문에 다음의 문제가 있다.
(1) 연속체인 본체에 굴곡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두께가 얇고, 특히 힌지부에서는 폭이 넓은 상부연결부재를 용이하게 개폐시키기 위해서 극도로 얇게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강성이 낮고, 케이블 드래그 체인의 사용중에 상부연결부재에 가요체로부터의 하중이 직접 걸리면 걸어맞춤부가 빠져나가 가요체가 튀어나갈 위험을 포함하고 있다.
(2) 케이블 드래그 체인에 삽입된 가요체가 복수개이고 각각 큰 중량차가 있는 경우에 편하중이 발생한다. 본체는 연속한 탄성체이기 때문에, 편하중이 작용하면 강성부족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하고, 상부연결부재를 구비한 링크플레이트가 기울어지면, 비틀어짐에 의한 힘과 가요체가 링크플레이트를 넘어뜨리는 복합력에 의해 상부연결부재의 걸어맞춤부가 해제될 가능성이 있다.
(3) 케이블 드래그 체인에 가요체가 다단으로 적층되면, 위쪽에 있는 가요체는 링크플레이트를 수평방향(벽방향)의 바깥쪽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걸어맞춤부가 해제될 가능성이 크다.
(4) 케이블 드래그 체인의 사용중에 굴곡부에서는 스토퍼부가 서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큰 하중이 작용한다. 그 때 각각의 링크플레이트는 서로 바깥쪽으로 쓰러지는 힘이 발생하고, 상부연결부재의 걸어맞춤부가 수평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이 걸어맞춤은 용이하게 해제되어 버린다.
(5) 힌지부의 강성이 높으면 걸어맞춤후에 상부연결부재를 눌러 확대하는 힘이 작용하여, 상부연결부재가 원호형상으로 비뚤어지고, 이것이 바닥면 쪽에 있으면 본체를 지지할 때에 불안정하게 되어 쓰러지기 쉽다. 반대로 힌지부의 굽힘강도를 약하게 하면, 본체의 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힌지부의 강도 조절이 어렵게 된다.
(6) 걸어맞춤부의 후크의 걸어맞춤강도를 크게 하면 링크플레이트 및 상부연결부재의 강성이 낮기 때문에, 걸어맞춤시에 변형하기 위한 힘을 전달하기 쉽지 않아 매우 넣기가 어렵다.
(7) 케이블 드래그 체인이 직선상태일 때에는, 링크사이의 슬릿이 막혀 있으며,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경우,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할 장소가 없기 때문에 작업을 할 수 없다. 또한 링크를 잡을 곳도 없기 때문에, 매우 해제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의 탄성변형을 이용함으로써, 상부연결부재를 조립하기 쉽고, 더구나 상부연결부재가 빠지지 않는 케이블 드래그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형수지를 탄성영역에서 사용하여, 상부연결부재의 개방시에는 그 복원력으로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게 한 케이블 드래그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케이블 드래그 체인의 사용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링크체의 평면도,
도 3은 링크체의 측면도,
도 4는 링크체의 정면도,
도 5는 링크플레이트 힌지부 및 상부연결부재의 확대 정면도,
도 6은 각각의 링크체의 조립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링크체의 걸어맞춤부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조립완성시의 링크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블 드래그 체인 12 : 링크체
14 : 부착부재 16,17 : 링크플레이트
18 : 하부연결부재 20 : 상부연결부재
22 : 절결부 24 : 힌지부
25,36 : 오목부 26 : 걸림부
28,30 : 두꺼운 부분 32 : 얇은 부분
34 : 걸어맞춤부 38 : 걸어맞춤편
40 : 가이드면
본 발명은, 좌우로 대향한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와, 이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의 각각의 아래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와,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의 각각의 위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링크체를 복수의 굴곡이자유롭게 연결한 케이블 드래그 체인에 있어서, 상기 링크체의 각각이 수지재료로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한 끝단과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한쪽 사이에 상기 상부연결부재보다 굽힘강성이 낮고 또한 탄성영역에서 변형이 가능한 힌지부를 형성하여, 이 힌지부를 통해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한쪽에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에 상기 링크플레이트에 걸어맞춤이 가능한 걸림부를 설치한 케이블 드래그 체인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였다.
케이블 드래그 체인은, 연속하는 복수의 링크체의 내부에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를 수납하여 이것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최종적인 사용상태를 구성하기 때문에, 링크체의 연속하는 중공공간 내에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를 수납하고, 그 후 상부연결부재를 고정부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의 보수 및 점검을 위해, 각각의 링크체의 상부연결부재를 빼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연결부재의 한 끝단을 링크플레이트의 한쪽에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금형비용 및 금형조정비용을 억제함은 물론,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 수납시에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에 있어서만 고정부착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것만으로, 복수 있는 링크체에 있어서의 상부연결부재의 고정부착작업이 반감하여, 조립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사용상태로 조립된 후에는, 케이블 드래그 체인에 뒤틀림 등의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적어도 상부연결부재의 한 끝단에서는 스냅 걸어맞춤된 것에 비해서 강성이 높고, 상부연결부재가 빠져서 수납되어 있는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가 절단 등의 위험에 노출되는 일이 적어진다. 또한 상부연결부재의 한 끝단을 링크플레이트의 한쪽에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보수 및 점검시에 있어 상부연결부재가 링크체로부터 완전히 떨어져서 이것을 분실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부연결부재의 한 끝단과 링크플레이트의 한쪽을 단순히 일체로 성형할 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힌지부를 설치하여 이 힌지부의 굽힘 강성을 상부연결부재의 굽힘 강성보다 낮게 함과 동시에, 탄성영역에서 변형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조립시에는 힌지부가 중심으로 되어 구부러져서, 비교적 가벼운 힘으로 링크체를 조립할 수 있다. 힌지부는 예를 들면, 상부연결부재보다 두께가 얇게 된 평판형상이며, 상부연결부재를 구부리면, 힌지부는 양 끝단에 모멘트가 작용하여 탄성영역에서 원호형상으로 변형한다.
그리고,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이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다른 끝단으로 쓰러짐이 가능한 상태로 힌지부를 통해 상부연결부재를 링크플레이트의 한쪽에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성형후의 상부연결부재는 그 다른 끝단이 링크플레이트의 다른쪽과 떨어진 상태에 있고, 예를 들면 링크플레이트와 직렬의 기립상태로 상부연결부재를 성형함으로써,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의 수납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각 링크체의 조립후에는, 상부연결부재가 탄성영역에서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걸어맞춤이 빠지지 않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상부연결부재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케이블 드래그 체인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구항 3과같이,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다른쪽이 상기 걸림부를 위한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위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내에서 상기 케이블 드래그 체인의 길이방향으로 가설된 걸어맞춤편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드래그 체인으로 함으로써, 힌지부의 복원력이 걸어맞춤편에 걸리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쉽게 빠지지 않아 수납된 가요체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수 및 점검시에 있어서 상부연결부재를 링크플레이트의 다른쪽에서 빼내면, 상부연결부재는 힌지부의 복원력에 의해서 링크체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자세로 되어, 그 때마다 상부연결부재를 작업하기 쉬운 자세로 유지시킬 필요가 없고, 보수 및 점검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연결부재를 굽힘 강성이 높은 양 끝단부와 굽힘강성이 낮은 중앙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연결부재가 쓰러져서 걸림부가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될 때, 상부연결부재가 중앙부에서 집중적으로 휘어진다. 양 끝단부는 각각 힌지부와의 연결을 위해 및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을 위해 강성이 요구되지만, 중앙부는 오히려 적극적으로 변형시켜, 상부연결부재의 링크플레이트로의 부착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부연결부재는 양 끝단부에서 두꺼운 부분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서 얇은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의 굽힘강성이 양 끝단부보다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연결부재는 양 끝단부에서 폭이 넓은 부분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폭이 좁은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의 굽힘강성이 양 끝단부보다낮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함에 따라, 상부연결부재를 쓰러지게 하여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이 링크플레이트에 접촉하였을 때, 중앙부를 가압하여 그 중앙부에서 집중적으로 오목형상으로 변형하여, 상부연결부재의 겉보기의 길이가 짧아져,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은 링크플레이트의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편의 아래쪽으로 들어가기 쉬워진다. 따라서 조립 작업시에 있어서, 간단한 작업으로 다음의 상부연결부재를 링크플레이트에 부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드래그 체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케이블 드래그 체인(10)의 측면도이다. 케이블 드래그 체인(10)은, 앞뒤끝단이 서로 굴곡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링크체(12)를 갖는다. 케이블 드래그 체인(10)의 한 끝단은 가동기계(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고, 그 다른 끝단은 바닥면(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된다. 그 때문에 양 끝단에는 부착부재(14)가 조립되어 있다.
도 2는 링크체(12)의 평면도, 도 3은 링크체(12)의 측면도, 도 4는 링크체 (12)의 정면도이다. 링크체(12)는 좌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6,17)와, 각각의 링크플레이트(16,17)의 아래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18)와, 각각의 링크플레이트(16,17)의 위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20)를 갖는다. 각각의 링크체(12)는 수지재료로 사출성형 가공되어 있으며, 하부연결부재(18)는 양 끝단에 있어서 링크플레이트(16,17)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부연결부재(20)도, 그 한 끝단에 있어서 한쪽의 링크플레이트(16)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종래에는 별개체이던 상부연결부재(20)를 한쪽의 링크플레이트(16)와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수지금형이 1개 적어지게 되어, 금형비용 및 금형조정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상부연결부재(20)를 한쪽의 링크플레이트(16)에 부착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없어 조립비용을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연결부재(20)를 링크플레이트(16)와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런너나 스풀에 소비되는 재료의 생산수율도 절반으로 되는 동시에, 성형비용도 절반으로 된다. 이에 덧붙여, 조립시뿐만 아니라,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의 보수 및 점검시에 있어서, 상부연결부재(20)이 링크플레이트(16)로부터 떨어져 나와 분실할 우려도 없다.
또한, 상부연결부재(20)의 한 끝단에 있어서 링크플레이트(16)와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링크체(12) 및 케이블 드래그 체인(10)은 뒤틀림 등의 외력에 대하여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한쪽의 링크플레이트(16)는, 케이블 드래그 체인(1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사각형의 절결부(22)를 갖는다. 이 절결부(22)의 바닥면으로부터 판형상의 힌지부(24)가 연직방향, 즉 링크플레이트(16)와 정렬하는 방향으로 이어지고 있다. 힌지부(24)는 바닥면에만 연속하고 있다. 또한 힌지부(24)는, 그 내면이 링크플레이트(16)의 내면에 정렬하여, 각각의 내면이 서로 면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연결부재(20)는, 한 끝단에 있어서 힌지부(24)를 통해 링크플레이트(16)에 연속하고 있다. 힌지부(24)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그 양 끝단에 있어서 R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힌지부(24)에는바깥면의 중앙에 원형의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5)가 형성된 힌지부 (24)는, 중앙에서 단면적이 작아져서 구부러지기 쉬우며, 또한 구부러진 부분이 특정되기 쉽다. 따라서 상부연결부재(20)는, 힌지부(24)의 중앙에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구부러진다. 또한 오목부(25)가 형성된 힌지부(24)는, 단면적을 작게 하여 응력이 저감되고, 소재의 탄성영역에서 힌지부(24)를 변형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오목부(25)는 표면과 이면으로 관통하고 있지 않으며, 오목부(25)의 하류측으로의 수지의 흐름이 부드럽다. 또한 표면과 이면으로 관통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오목부(25)의 하류쪽에 파손의 원인이 되는 웰드 라인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오목부(25)로서 오목하게 들어가게 한 것뿐으로, 단면적이 대폭 감소하지 않아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오목부(25)를 예시하였지만, 이 대신에 타원형의 오목부나 사각형의 오목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부연결부재(20)는, 다른 끝단에 있어서 걸림부(26)를 갖는다. 힌지부(24)와 걸림부(26)의 사이는, 링크플레이트(16)와 링크플레이트(17)를 가로로 연결하는 빔 형상이다. 본 실시예의 상부연결부재(20)는, 힌지부(24)와 같은 폭(케이블 드래그 체인의 길이방향)이다.
그러나, 조립용이성 및 강도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연결부재(20)의 두께에 변화를 가지도록 한다. 힌지부(24) 및 걸림부(26)에 인접하는 양 끝단부에는 두꺼운 부분(28,30)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두꺼운 부분(28,30)의 사이에 얇은 부분(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힌지부(24)와의 관계에 있어서, 얇은 부분(32)은 힌지부(24)보다 두껍다. 따라서 가로폭이 같은 경우, 굽힘 강성은 힌지부(24), 얇은 부분(32), 두꺼운 부분(28,30)의 순으로 된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연결부재(20)를 링크플레이트(17)에 연결함에 있어서, 먼저 상부연결부재(20)는 기립자세로부터 넘어지는 자세로 쓰러진다. 힌지부(24)의 굽힘강성이 가장 낮기 때문에, 상부연결부재(20)는 똑바른 상태를 유지한 채로 링크플레이트(17)를 향하여 쓰러진다. 이 때 힌지부(24)는 탄성영역에서 변형하여 소성 힌지로 되지 않도록, 수지재료의 최대 인장응력 및 최대압축응력을 고려하여 폭·두께가 결정되고 있다.
링크플레이트(17)의 위가장자리 중앙에는 걸어맞춤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연결부재(20)를 쓰러뜨리면, 걸림부(26)가 걸어맞춤부(34)에 접촉한다. 이 때 힌지부(24)는 약 90°구부러진 상태에 있으며, 상부연결부재(20)의 중앙부, 즉 얇은 부분(32)을 누르는 것에 의해, 상부연결부재(20)는 얇은 부분(32)에 있어서 원호를 그리듯이 탄성변형하여 집중적으로 휘어진다.
링크플레이트(17)의 걸어맞춤부(34)는, 링크플레이트(16)의 절결부와 같이,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오목부(36)와, 오목부(36) 내에서 케이블 드래그 체인의 길이방향으로 가설된 걸어맞춤편(38)으로 이루어진다. 걸어맞춤편(38)은 링크플레이트 (17)의 판두께 방향의 중앙에 배치형성되어 있고, 링크플레이트(17)의 표면과 이면의 안쪽에 존재한다. 또한 걸어맞춤편(38)은, 링크체(12)의 내부를 향하여 경사하는 가이드면(40)을 갖는다. 한편 상부연결부재(20)의 걸림부(26)는, 두꺼운 부분 (30)보다 폭이 좁으며, 오목부(36)와 걸림부(26)는 서로 끼워맞춤한다. 그리고 걸림부(26)의 선단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연결부재(20)를 쓰러뜨려 걸림부(26)가 걸어맞춤부(34)에 접촉하고, 그 상부연결부재(20)가 얇은 부분(32)에서 휘어지면, 가이드면(40)의 작용에 의해, 링크플레이트(17)가 바깥쪽으로 쓰러진다. 또한 상부연결부재(20)도 얇은 부분(32)이 휘어져 겉보기의 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상부연결부재 (20) 및 링크플레이트(17)를 휘어지게 하면, 걸림부(26)가 걸어맞춤편(38)의 가이드면(40)으로부터 미끄러져 오목부(36)의 바닥면에 접촉한다. 이와 거의 동시에, 상부연결부재(20) 및 링크플레이트(17)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부(26)가 걸어맞춤편 (38)의 아래쪽으로 진입하고, 이번에는 힌지부(24)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부(26)의 선단의 열쇠부가 걸어맞춤편(38)에 걸린다. 이렇게 하여 상부연결부재(20)를 누르는 것만으로, 링크체(12)가 조립된다. 도 8은 조립된 링크체의 단면도로서, 이 상태에서 상부연결부재(20)는 쉽게 빠지지 않으며, 힌지부(24)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부(26)는 걸어맞춤부(34)에 걸리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더구나 통상의 케이블 드래그 체인(10)의 사용시에는 링크플레이트(16,17)가 안쪽으로 쓰러지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부연결부재(20)가 빠지는 일은 거의 없다. 또한 상부연결부재 (20)의 다른 끝단쪽의 두꺼운 부분(30)이 링크플레이트(17)의 내면에 접촉하여, 링크플레이트(16,17)는 안쪽 쓰러짐도 바깥쪽 쓰러짐도 구속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의 보수 및 점검시에 있어서, 상부연결부재(20)의 걸림부(26)를 걸어맞춤부(34)로부터 빼내면, 탄성영역에서 변형하고 있는 힌지부(24)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연결부재(20)는 기립상태로 복귀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연결부재(20) 및 힌지부(24)는, 링크플레이트(16)에 대하여 기립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이 이유는 각 링크체(12)를 한 부품으로 하여 수지를 금형으로 사출하여 성형하는 경우, 형틀이 열리는 것을 쉽게 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본 실시예의 링크체(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연결부재(20) 및 힌지부(24)를 링크플레이트(16)에 직렬하도록 기립시킴으로써, 복잡한 금형이나 이동금형을 사용하지 않고 성형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연결부재(20) 및 힌지부(24)의 내면을 링크플레이트(16)의 내면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도, 금형비용을 저감하고 있다.
또한, 수지성형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융수지의 게이트위치가 수지성형품의 강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연결부재에 게이트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함에 따라, 용융수지는 하부연결부재(18)로부터 진입하여 링크플레이트(16,17)로 흐르고, 힌지부(24), 상부연결부재(20)로 진입한다. 따라서 힌지부 (24)에 있어서의 수지 배향성이 상부연결부재(20)의 굽힘방향과 직각으로 되어, 상부연결부재(20)를 조립할 때에 굽힘력이 작용하거나, 케이블 드래그 체인(10)에 뒤틀림 등의 외력이 작용하거나 하여도, 이 힌지부(24)의 강도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용융수지의 흐름은, 링크플레이트(16)의 내면, 힌지부(24)의 내면, 상부연결부재(20)의 내면을 일치시킴으로써 부드럽게 흘러, 충전부족 등에 의한 불량품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부품수 삭감에 의해, 금형비용, 금형조정비용 및 조립비용을 포함시킨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임은 물론, 탄성영역에서 변형가능한 힌지부를 통해 상부연결부재의 한 끝단을 링크플레이트의 한쪽에 일체로 성형하였기 때문에, 상부연결부재를 반복하여 쓰러지게 하였을 때에도, 힌지부의 강성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반복하여 상부연결부재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를 탄성영역에서 변형시키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의 강성을 유지한 채로, 용이하게 각 링크체를 조립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또한, 탄성영역에 있어서 변형가능한 힌지부에 의해서 상부연결부재와 링크플레이트를 일체로 성형하여,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을 쓰러짐 가능한 상태, 즉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이 링크플레이트의 다른쪽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개방상태로 성형함으로써, 통상은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를 수납하는 자세에 있으며, 따라서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을 링크플레이트의 다른쪽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힌지부를 탄성변형시키는 것만으로도 좋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간단하고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의 보수 및 점검시에는,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을 링크플레이트의 다른쪽에서 빼내는 것만으로, 힌지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연결부재는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고, 그 자세를 유지하기 때문에, 보수 및 점검시에 상부연결부재의 자세를 유지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불필요하여, 보수 등의 작업효율도 향상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링크플레이트의 걸어맞춤부에 있어서, 오목부에 가설된 걸어맞춤편에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의 걸림부를 걸어맞춤시킴으로써, 힌지부의 복원력이 걸림부를 빠지지 않는 방향에서 걸어맞춤편에 가압하기 때문에, 상부연결부재는 쉽게 링크플레이트로부터 빠지는 일이없어, 링크체의 내부에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케이블 드래그 체인의 자세여하에 따라서는,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가요체가 상부연결부재를 빼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가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상부연결부재는 그 걸림부가 걸어맞춤편을 가압할 뿐이기 때문에, 걸림부가 걸어맞춤부로부터 쉽게 빠지는 일도 없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상부연결부재가 쓰러져 걸림부가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될 때에, 상부연결부재가 중앙부에서 집중적으로 휘어지고, 상부연결부재는 겉보기의 길이가 짧아져, 그 걸림부가 걸어맞춤편의 아래쪽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다수의 링크체의 조립시에, 작업자는 상부연결부재의 중앙부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계속되는 상부연결부재를 링크플레이트에 조립할 수 있다.

Claims (4)

  1. 좌우로 대향한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와, 이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의 각각의 아래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와,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의 각각의 위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링크체를 복수로 굴곡이 자유롭게 연결한 케이블 드래그 체인에 있어서,
    상기 링크체의 각각이 수지재료로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한 끝단과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한쪽과의 사이에 상기 상부연결부재보다 굽힘강성이 낮고 또한 탄성영역에서 변형가능한 힌지부를 형성하여, 이 힌지부를 통해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한쪽에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에 상기 링크플레이트에 걸어맞춤이 가능한 걸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체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다른 끝단이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다른쪽으로 쓰러짐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한쪽에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체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다른쪽이 상기 걸림부의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위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 내에서 상기 케이블 드래그 체인의 길이방향으로 가설된 걸어맞춤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힌지부의 탄성복원력이 상기 걸어멈춤부를 상기 걸어맞춤편에 가압하는 케이블 드래그 체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굽힘강성이 높은 양 끝단부와 굽힘강성이 낮은 중앙부로 이루어지며, 상부연결부재가 쓰러져서 상기 걸어멈춤부가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할 때에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상기중앙부에서 집중적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체인.
KR10-2000-0060298A 1999-10-19 2000-10-13 케이블 드래그 체인 KR100395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699899A JP3356733B2 (ja) 1999-10-19 1999-10-19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
JP296998 1999-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080A KR20010040080A (ko) 2001-05-15
KR100395465B1 true KR100395465B1 (ko) 2003-08-25

Family

ID=1784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298A KR100395465B1 (ko) 1999-10-19 2000-10-13 케이블 드래그 체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18063B1 (ko)
EP (1) EP1094585B1 (ko)
JP (1) JP3356733B2 (ko)
KR (1) KR100395465B1 (ko)
CN (1) CN1187242C (ko)
DE (1) DE60007260T2 (ko)
HK (1) HK1036963A1 (ko)
TW (1) TW4662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9575A1 (de) * 1998-08-31 2000-03-09 Kabelschlepp Gmbh Energieführungskette zum Führen von Leitungen mit räumlich beweglichen Kettengliedern
DE19919076C2 (de) * 1999-04-19 2001-08-30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20002820U1 (de) * 2000-02-16 2000-05-25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10118328A1 (de) * 2001-04-12 2002-11-21 Kabelschlepp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ettengliedes sowie Kettenglied einer Energieführungskette
US6978595B2 (en) * 2002-02-05 2005-12-27 Delphi Technologies, Inc. Chain links and cable carrier chains containing same
JP3717071B2 (ja) * 2002-11-05 2005-11-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密閉型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
US7055555B2 (en) * 2003-02-20 2006-06-06 Woolfenden Ken D Cable layout tool
DE10346653A1 (de) 2003-10-08 2005-06-09 Kabelschlepp Gmbh Kettenlasche, Kettenglied und Energieführungskette, sowie Zwischenstück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mit torsionsgekoppelten Verriegelungsmitteln zum Verbinden von Quersteg und Kettenlasche
JP4136905B2 (ja) * 2003-11-13 2008-08-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水平設置型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JP4121446B2 (ja) * 2003-11-17 2008-07-2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DE102004022512A1 (de) * 2004-05-05 2005-12-01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sowie Energieführungskette mit erweitertem Nutzungsquerschnitt
US7669401B2 (en) * 2005-04-28 2010-03-02 Kabelschelpp GmbH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chain
DE202005008668U1 (de) * 2005-06-03 2005-08-11 Festo Ag & Co.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für biegbare elektrische oder fluidische Leitungen
DE502005005698D1 (de) * 2005-08-22 2008-11-27 Winklhofer & Soehne Gmbh Rückensteife Antriebskette
JP4137117B2 (ja) 2005-12-27 2008-08-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DE202006006492U1 (de) * 2006-04-20 2006-06-22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angeformtem Gleitschuh
JP2008025775A (ja) * 2006-07-24 2008-02-07 Tsubakimoto Chain Co 折り曲げ組み立て式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7677812B2 (en) * 2006-07-31 2010-03-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train relief boot for cable connector
JP4658221B1 (ja) * 2009-11-26 2011-03-2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GB2551731A (en) * 2016-06-28 2018-01-03 Bombardier Primove Gmbh Cable bear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installing a cable bearing arrangement
CN106965301B (zh) * 2017-04-18 2022-08-30 苏州久力砼业机械有限公司 一种预制混凝土梁柱构件的快速开合模模具及制作方法
JP7089232B2 (ja) * 2019-02-28 2022-06-22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3769A (en) * 1967-01-06 1969-10-21 Ibm Retainer for flexible leads
DE8528258U1 (de) * 1985-10-04 1985-11-14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Energieführungskette
DE3714056C1 (en) * 1987-04-28 1988-08-25 Murr Plastik Gmbh Energy management chain
EP0414821A4 (en) * 1988-02-17 1991-08-07 Custom Plastics Container movable from flat to channel-shaped configuration
JPH069743B2 (ja) 1989-07-19 1994-02-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開先検出方法および装置
DE19512088C2 (de) * 1995-04-03 1997-05-07 Igus Gmbh Energiekette
JPH1028310A (ja) * 1996-07-05 1998-01-27 Aiwa Sangyo Kk ケーブル類の移動案内装置
DE19647080A1 (de) * 1996-11-14 1998-05-28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Kettenglied für Energieführungsketten
DE19710489A1 (de) * 1997-03-13 1998-09-24 Kabelschlepp Gmbh Faltbares Schutzelement für Leitungen
DE59800932D1 (de) * 1997-03-13 2001-08-02 Kabelschlepp Gmbh Schutzelement mit einem deckel, der in zwei unterschiedliche stabile stellungen bringbar 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07260D1 (de) 2004-01-29
KR20010040080A (ko) 2001-05-15
JP2001116088A (ja) 2001-04-27
DE60007260T2 (de) 2004-09-30
CN1295020A (zh) 2001-05-16
JP3356733B2 (ja) 2002-12-16
EP1094585A1 (en) 2001-04-25
HK1036963A1 (en) 2002-01-25
CN1187242C (zh) 2005-02-02
EP1094585B1 (en) 2003-12-17
US6318063B1 (en) 2001-11-20
TW466209B (en) 200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5465B1 (ko) 케이블 드래그 체인
US6725642B2 (en) Protective guide for flexible elongated article
US9550628B2 (en) Module for a modular conveyor belt
CN106461027B (zh) 具有单件式铰链的管线引导装置,链节及铰链带
KR100270208B1 (ko) 케이블 드래그 체인
KR20020021049A (ko) 케이블 드래그 체인
GB2420022A (en) Articulated cable conduit having variably positioned dividing shelves.
JP2005315382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2368765B1 (ko) 사출품 조립 구조
WO2018066696A1 (ja) 成形機
JP3356699B2 (ja)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におけるリンクプレートと開閉アームとの係止構造
SK173298A3 (en) Articulated connection between two plastic members injection moulded to form one member, in particular plastic container with a carrier bow,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591274B1 (ko) 저소음 및 내구성 기능을 구비하는 로보체인
CA3012039C (en) Chain link for an energy guiding chain and an energy guiding chain
CN219549493U (zh) 一种单元链节及拖链
CN220898421U (zh) 一种可折叠纸塑叉
JP3219594U (ja) 植物用支持枠
JP3629846B2 (ja) 成形型
JPH09187309A (ja) プラスチック製バック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40174461A1 (en) Molded part, molded part supporting structure, and molded part conveyance method
JP3722456B2 (ja)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
KR200295780Y1 (ko) 사각파이프 성형용 내보강재
JPH07113409A (ja)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組立リブ構造
US6877907B2 (en) Arrangement of several ferrules for optical waveguides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a belt of plastic ferrules
KR19980031974U (ko)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