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049B1 - 분말체 수납 용기 및 그 용기의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분말체 수납 용기 및 그 용기의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049B1
KR100392049B1 KR10-2001-0006950A KR20010006950A KR100392049B1 KR 100392049 B1 KR100392049 B1 KR 100392049B1 KR 20010006950 A KR20010006950 A KR 20010006950A KR 100392049 B1 KR100392049 B1 KR 10039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ag
bag body
powder
toner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2831A (ko
Inventor
가츠야마고로
데라자와세이지
오가타후미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1010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4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non-rigid containers, e.g. foldable cartridges, ba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2Bag-type non-rigid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ckage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Bag Frame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체를 수납하고 있는 용기가 유연하여도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회수시의 운반이나 용기의 조립성이 양호한 분말체 수납 용기 및 이 용기의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토너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토너 주머니(20)와, 토너 주머니(20)를 수납하고 동시에 토너 주머니(20)보다도 강성이 큰 외측 상자(50)를 구비하며, 토너 주머니(20)에는 수납한 토너를 배출하는 배출부(27)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분말체 수납 용기 및 그 용기의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POWDER CONTAINER,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말체 수납 용기 및 이 용기의 조립 방법, 화상 형성 장치, 특히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사용하는 착색제로서의 분말체 토너를 수납하는 용기, 그 용기의 조립 방법 및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분말체 토너를 수납하고 있는 토너 수납 용기는 카트리지, 병 등 단단한 병으로 만들어져 있기에 토너 수납 용기의 교환에 따른 다 사용한 용기의 폐기에 큰 문제를 초래하고 있었다. 즉, 다 사용한 토너 수납 용기는 이용자로부터 제조업자가 회수하여 재생, 재이용, 소각 처리를 행하는데, 이 용기는 부피가 커서 회수하기 까지 물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 종래에 있어서도 토너 회수 용기의 용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안이 있었다.
그러나, 용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토너 수납 용기는 이 용기로부터 토너 보급 장치를 이용하여 토너를 보급할 때, 보급 성능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없었다. 또한 운반시에만 감용 가능한 용기를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지만, 이 경우도 단단한 병이나 토너 호퍼에 토너를 옮길 때, 토너 비산 등에 의한 오염을 초래하는 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상태이다.
그런데, 본 출원인은 수지, 종이 등 유연성 시이트로 이루어지는 용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토너 수납 용기를 이용해도 보급 성능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더욱이 이 용기로부터 떨어져 있는 현상 장치로 토너를 보급할 수 있는 토너 보급 장치를 이미 제안하고 있다.
상기한 토너 보급 장치에 있어서의 토너 수납 용기는 토너 배출구를 아래쪽으로 향하여 세운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 때, 토너 수납 용기의 주머니체는 유연하기 때문에 자체 무게 등으로 넘어져 토너 배출구를 막거나 토너가 어느 양 이상 배출되면 넘어지면서 생기는 주름 등에 토너가 끼워져 토너 잔량이 많아지거나 하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었다. 나아가 토너 수납 용기가 유연하면, 용기 교환시의 조작성도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분말체를 수납하고 있는 용기가 유연하되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도, 회수시의 운반이나 용기의 조립성이 양호한 분말체 수납 용기 및 이 용기의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보급 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토너 수납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토너 수납 용기의 입구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토너 수납 용기의 입구부 사시도.
도 5는 토너 수납 용기의 외측 상자의 내면측의 전개도.
도 6은 토너 수납 용기의 외측 상자의 외면측의 전개도.
도 7은 외측 상자의 일부분 단면도.
도 8은 외측 상자의 도 7과 상이한 일부분의 사시도.
도 9는 외측 상자의 겹쳐 접음 순서에 있어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외측 상자의 겹쳐 접음 순서에 있어서의 제2단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외측 상자의 접음 순서에 있어서의 최종 단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외측 상자의 도 7이나 도 8과 상이한 일부분의 단면도.
도 13은 토너 수납 용기의 외측 상자와 토너 주머니의 입구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토너 수납 용기의 완성품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토너 수납 용기의 완성품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토너 수납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토너 수납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상 장치
2 : 토너 수납 용기
20 : 토너 주머니
21 : 입구부
27 : 슬라이드편
50 : 외측 상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말체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내측 주머니체와, 이 내측 주머니체를 수납하고 동시에 이 내측 주머니체보다도 강성이 큰 외측 용기체를 구비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체의 일부를 개방하고, 그 개방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측 주머니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말체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내측 주머니체와, 이 내측 주머니체를 수납하고 동시에 이 내측 주머니체보다도 강성이 큰 외측 용기체를 구비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에는 저부에 분말체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마련되고 동시에 이 배출부를 향하여 앞끝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용기체에는 상기 내측 주머니체의 경사면을 따라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가 착탈 가능하게 상기 외측 용기체에 수용되고, 그 수용 상태에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와 상기 외측 용기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면 효과적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내측 주머니체와 상기 외측 용기체의 한 쪽에 연결 볼록부, 다른 쪽에 이 연결 볼록부가 끼워 맞춰지는 연결 오목부를 구비하면 효과적이다.
나아가 또한, 본 발명의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으로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에 상기 연결 볼록부, 상기 외측 용기체에 상기 연결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면 효과적이다.
나아가 또한, 본 발명의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볼록부가 슬라이드판이고, 상기 연결 오목부가 이 슬라이드판이 소정 방향으로부터 미끄럼 장착되는 안내 받이부이면 효과적이다.
나아가 또한, 본 발명의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에 수납한 분말체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마련한 입구 부재가 마련되고, 이 입구 부재에 상기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으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말체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내측 주머니체와, 이 내측 주머니체를 수납하고 동시에 이 내측 주머니체보다 강성이 큰 외측 용기체를 구비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체가 다면체의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동시에 다면체의 각 면판의 변이 직선이며, 이 각 면판이 각각 서로 이웃하는 면판에 대하여 이어지는 이음 변과 분리 가능한 분리 변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용기체가 1매의 평판 형상으로 전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이음변에 만곡 각을 규제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면 효과적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면판의 상기 분리변에 면판 끼리를 거는 걺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면 효과적이다.
나아가 또한, 본 발명의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체는 상기 분리변을 분리하여 평판 형상으로 전개한 후, 상기 이음변에서 겹쳐 접어 소정 크기의 판상체로 형성할 수 있으면 효과적이다.
나아가 또한, 본 발명의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면판을 겹친 부분에 나아가 겹치는 면판을 설정하고, 이 면판의 상기 이음변에 만곡 영역을 확대하는 다중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말체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내측 주머니체와, 적어도 내측 주머니체를 수납하고 동시에 이 내측 주머니체보다도 강성이 큰 외측 용기체를 구비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를 조립하는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의 배출구를 위쪽으로 향한 상태에 있어서, 그 내측 주머니체의 하나의 측면에 대응하는 면판만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외측 용기체를 조립하고, 개방되어 있는 측면으로부터 분말체를 수납한 상기 내측 주머니체를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내측 주머니체와 외측 용기체를 연결하고, 그 후, 개방되어 있는 측면의 면판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분말체 수납 용기 조립 방법에 있어서, 외측 용기체에 내측 주머니체를 수용한 후, 최후로 닫은 면판을 고정 수단에 의해 다른 면판에 고정하면 효과적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분말체 수납 용기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이 외측 용기체의 측면 전 둘레를 감싼 감김 부재이면 효과적이다.
나아가 또한, 본 발명의 분말체 수납 용기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이 적어도 외측 용기체의 최후로 닫힌 면판을 다른 면판에 건너지르는 접착성 시일이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말체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내측 주머니체와, 이 내측 주머니체를 수납하고 동시에 이 내측 주머니체보다도 강성이 큰 외측 용기체를 구비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로, 상기 내측 주머니체에 수납된 분말체가 토너인 용기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에 수납된 토너를 식별하기 위한 토너 식별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 식별 수단은 상기 외측 용기체와 분말 수납 용기가 세트되는 장치 본체측의 세트부의 어느 한 쪽에 볼록부, 다른 한 쪽에 이 볼록부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식별하는 토너마다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의 위치가 비켜 있으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말체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내측 주머니체와, 이 내측 주머니체를 수납하고 동시에 이 내측 주머니체보다도 강성이 큰 외측 용기체를 구비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로, 상기 내측 주머니체에 수납된 분말체가 토너인 용기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체에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종을 식별하기 위한 사용 기종 식별 수단이 마련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식별 수단은 상기 외측 용기체와 분말체 수납 용기가 세트되는 장치 본체측의 세트부 중의 어느 한 쪽에 볼록부, 다른 한 쪽에 이 볼록부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식별하는 사용 기종마다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의 위치가 비켜 있으면 효과적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보급 장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토너 수납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 1은 현상 장치, 2는 착색제로서의 분말 토너를 수납하는 토너 수납 용기로서 구성된 분말 수납 용기이다. 본 실시예의 토너 수납 용기(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토너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내측 주머니체(20)(이하, 토너 주머니라고 한다)와, 그 토너 주머니(20)를 수납하고 그 토너 주머니(20)보다도 강성이 큰 외측 용기체(50)(이하, 외측 상자라고 한다)를 구비한 백 인 상자(bag in box)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토너 수납 용기(2)는 현상 장치(1)와 별체의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마련된 세트부에 장착된다. 토너 수납 용기(2)의 세트부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문이나 커버 등을 열었을 때 보이는 장치 내부측 개소이어도 좋고, 장치 외부에 드러나져 있는 위치에 할 수도 있다.
상기 토너 수납 용기(2)는 위쪽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 세트되고,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세트부에는 용기내에 삽입되는 노즐(30)이 직립으로 설치되어 있다. 노즐(30)은 상부에 원뿔형 단면으로 형성된 첨단(尖端) 부재(31)가 일체 성형 또는 고착 등에 의해 설치되고, 이 첨단 부재(31)에 이어서 공기 공급로(32)와 토너 배출로(33)가 마련되어 있다. 노즐(30)의 내부는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고, 토너 배출로(33)는 노즐(30)의 하단에 있어서 도면의 왼쪽으로 만곡되어 그 선단에 토너용 접속구(3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공기 공급로(32)는 토너 배출로(33) 하단보다 위쪽에서 오른쪽으로 만곡되어 공기 접속구(34)에 이르고 있다.
공기 접속구(34)는 본 실시예의 경우, 공기 공급 수단으로서의 공기 펌프(40)에 공기 이송관(41)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공기 펌프(40)가 동작하면, 이 펌프로부터 공기 이송관(41) 및 공기 공급로(32)를 통하여 토너 수납 용기(2)내에 공기가 분출된다. 그리고 토너 수납 용기(2) 내에 분출된 공기는 토너층을 통과함으로써 토너를 확산시키면서 유동화시킨다.
상기 현상 장치(1)에는 그 근처에 또는 일체로 흡인형 분말체 펌프(3)인 일축 편심 스크루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분말체 펌프(3)의 구성은 금속 등의 강성을 구비한 재료로 편심한 스크루 형상으로 만들어진 회전자(4)와, 고무 등의 탄성체로 만들어지며, 2가닥의 스크루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자(5)와, 이들을 감싸는 동시에 분말체의 이송로를 형성하는 수지 재료 등으로 만들어진 홀더(6)를 구비하고 있다. 이 홀더(6)의 선단, 즉 도 1의 왼쪽끝에는 토너 배출부(7)가 마련되고, 토너 배출부(7)가 현상 장치(1)의 토너 보급부에 관(8)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말 펌프(3)의 흡인측에는 적당량의 토너가 체류되는 토너 체류 수단으로서의 버퍼(10)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버퍼(10) 내에는 토너 이송 수단으로서의 스크루(11)가 설치되고, 스크루(11)의 일단은 버퍼(10)를 뚫고 나와 이 부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구동 연결되어 스크루(11)가 회전 구동된다. 또한 스크루(11)의 타단은 분말체 펌프(3)의 회전자(4)에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분말체 펌프(3)와 스크루(11)는 동시에 동작된다.
또한, 버퍼(10)에는 토너 접수부(12)가 마련되고, 이 토너 접수부(12)와 상기 노즐(30)에 마련된 토너용 접속구(35)가 이송 중공관으로서의 토너 이송관(1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토너 이송관(15)으로서는 예컨대 직경 4∼10mm의 유연성 관으로, 내토너성이 뛰어난 고무 재료[예컨대, 폴리우레탄, 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실리콘 등]로 만들어진 것을 이용하는 것이 아주 유효하며, 유연성 관은 상하좌우 임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너 보급 장치는 분말체 펌프(3)인 1축 편심 스크루 펌프가 높은 연속 정량 이송이 가능하며, 회전자(4)의 회전수에 비례하는 정확한 토너 이송량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화상 농도 검지 등에 의해 토너 보급 명령이 내려지면 분말체 펌프(3)가 동작하고 요구된 양의 토너가 현상 장치(1)에 보급된다. 또 상기한 토너 보급 장치는 일례로, 버퍼(10)를 마련하지 않고 분말체 펌프(3)로 보급하는 것, 배출형 분말체 펌프를 사용하는 토너 보급 장치여도 좋다.
도 2에 있어서 토너 주머니(20)는 중공 성형법(blow molding) 등에 의해 형성되고, 토너 배출부를 마련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입구부(21)에 예컨대 80∼200㎛정도의 폴리에틸렌이나 나일론 등의 수지제 또는 종이제의 유연성 시이트를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하여 만들어진 주머니부(22)를 고정하여 구성하고 있다. 입구부(2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토너 배출부로서의 관통 구멍(24)이 마련되고, 이 관통 구멍(24)의 중간역 외주에 거의 장방형으로 형성된 연결 수단의 연결 볼록부로서 구성된 슬라이드판(25)이 고정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입구부(21)는 이 슬라이드판(25)보다 상부측에 주머니부(22)가 고정되는 배(船)형으로 형성된 고정부(26)가 마련되고, 슬라이드판(25)의 하부측에는 상기 관통 구멍(24)을 형성하기 위한 통형으로 형성된 배출부(2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부(27)에는 자폐 밸브로서의 탄성체, 바람직하기는 발포 스폰지 등으로 만들어진 시일 밸브(23)가 마련되어 있다. 나아가 입구부(21)에는 배출부(27)를 폐쇄하는 뚜껑편(28)이 연결부(29)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뚜껑편(28)에는 배출부(27)에 꼭 끼워지는 원형의 홈(28a)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토너 수납 용기(2)의 외측 상자(50)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외측 상자(50)는 부호(50a∼50h)의 면판을 구비한 8면체로, 도 5 및 도 6은 그 외측 상자(50)를 평판위에 전개한 일례의 내면과 외면을 나타내고 있다. 각 면판(50a∼50h)은 면판끼리 이어지는 이음변과 면판끼리 분리되는 분리변 전부가 직선 변을 가짐과 동시에 각 면판은 적어도 1변의 이음변을 구비한다. 따라서, 외측 상자(50)는 각 면판(50a∼50h)의 이음변과 분리변을 적당히 선정함으로써 각종 형상을 갖는 한 장의 판 형상으로 전개할 수 있는데, 이음변을 마련함으로써 전개시에 완전히 분리되는 면판이 발생하지 않는다.
나아가, 각 면판(50a∼50h)의 이음변에는 그 내면측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 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V자형의 홈(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V자형의 홈(51)은 이음변이 만곡하는 각도에 따라 V홈 각도를 설정하고 있다. 즉, V각도가 거의 90도이면, V를 이루는 면이 맞붙는 방향으로 접었을 때, 그 V홈(51)을 통하여 이어지고 있는 면판은 만곡 각도를 거의 90도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V를 이루는 면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접어졌을 때에는 어떠한 규제도 없으므로 두 면판이 중첩되는 위치까지 굽힐 수 있다. 또한 각 면판(50a∼50h)의 분리변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 수단으로서 한 쪽 면판에 걺 돌기(52), 다른 한 쪽 면판에 걸림 구멍(53)이 마련되어 두 면판을 걸 수 있다. 따라서 면판이 한 장의 판 형상으로 넓혀진 상태로부터 적당한 순서에 의해 내면측을 접고, 그리고 걺 돌기(52)를 걸림 구멍(53)에 걸어맞춘다면, 공구 등을 이용하지 않고 외측 상자(50)를 완성할 수 있다.
나아가, 외측 상자(5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면을 위로 하여 전개하여 두고, 이것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판(50c)이 면판(50f)에 겹쳐지도록 반으로 접으면 폭방향의 길이가 절반으로 되고, 이 반으로 접어 겹친 중첩체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로 돌출한 면판(50g)을 접어서 겹치면 면적이 작아지고 또한 두께도 그다지 두껍게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접은 외측 상자(50)는 적당한 크기의 봉투(59)에 수납될 수 있다. 또 최후로 접는 면판(50g)은 면판의 중첩체 위에 겹치므로 V홈(51)이면 중첩체가 모자란다. 따라서 이 면판(50g)에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음변에 W자형의 홈(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상자(50)에는 토너 주머니(20)의 입구부(21)가 장착되는 면판(50d)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부(21)의 슬라이드판(25)이 미끄럼 장착되는 연결 오목부로서의 안내 받이부(58)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토너 주머니(20)를 외측 상자(50)로 장착할 때에는 외측 상자(50)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판(50a,50b)만이 열린 상태에서 그 외의 면판으로 상자형으로 조립한다. 한편, 토너를 수납한 토너 주머니(20)는 만일의 경우 토너 누출이 생기지 않도록 도 13의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부(27)를 뚜껑편(28)으로 폐쇄하여 두고, 그 토너 주머니(20)의 입구부(21)의 슬라이드판(25)을 안내 받이부(58)에 따라 미끄럼 장착한다. 이 장착에 의해 토너 주머니(20)가 용이하게 외측 상자(50)에 수납되고, 다음으로 면판(50a,50b)을 닫아 상기한 면판(50h)과의 사이에서 걺 돌기(52)를 걸림 구멍(53)에 걸면 토너 수납 용기(2)가 완성된다.
이 완성된 토너 수납 용기(2)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 상당하는 부분 전체를 감싸는 부재로서의 시일(60), 예컨대 열 수축 시일을 감싸서 고정하면, 걺 돌기(52)를 걸림 구멍(53)에 걸어맞춘 면판(50a, 50b)이 간단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시일(60)에는 수축 랩(shrink lap)(61)을 마련해 두면 외측 상자(50)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시일(60) 대신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후로 닫힌 면판(50a, 50b)과 면판(50h)를 가로질러 접착 시일(62)을 붙임으로써 면판(50a, 50b)이 간단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토너 수납 용기(2)를 사용할 때에는 뚜껑편(28)을 배출부(27)로부터 떼어내고, 이 떼어낸 뚜껑편(28)은 도 13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세트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면판(50a)에 형성한 유지부(55)에 끼워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너 수납 용기(2)는 수납된 토너가 사용되어 거의 비어있게 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한 후, 시일 등을 벗겨서 외측 상자(50)로부터 빈 토너 주머니(20)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취출한 외측 상자(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작게 접을 수 있으므로 운반이나 보관시의 취급성이 좋고, 운반이나 보관시에 수납 공간을 점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더욱 증강하며, 이용자측으로부터 제조업자가 회수하는 물류 비용이 대폭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외측 상자(50)는 어느 정도의 내구성을 구비하는 재료로 만들면 복수회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토너 주머니(20)는 재이용 등을 위하여 소각하는데, 유연성 주머니부(22)는 비어있는 상태여서 외측 상자(50)와 마찬가지로 회수를 위한 운반 비용 등이 대폭 경감된다.
그런데, 토너는 색이나 성질이 상이한 것 등이 다수 존재하여 잘못 사용하면, 최악의 경우 현상 장치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될 사태에 빠지게 된다. 특히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3색의 색 토너와 흑 토너를 사용하고 있고, 소비량이 많은 흑토너는 색 토너보다 대용량의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색토너는 3색이 다 동일한 양이고 용기도 크기 형태가 동일하게 되어 있어 색 토너의 세트를 실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트 실패를 해소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세트부와 토너 회수 용기에 색마다 형상이 상이한 걸어맞춤 수단을 마련하여 틀린 토너 수납 용기가 세트부에 세트되지 않도록 한 구성은 이미 행해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수납 용기(2)도 마찬가지 구조를 마련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외측 상자(50)가 아닌 토너 주머니(20)측에 세트 실패를 방지하는 토너 식별 수단으로서의 걸어맞춤 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부(21)의 슬라이드판(25)에 원호형의 걸어맞춤 오목부(57)를 마련하고 있다. 이 걸어맞춤 오목부(57)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세트부에 마련한 걸어맞춤 볼록부(도시하지 않음)에 걸어맞추는 데 색마다 그 위치가 바꿔지고 있다.
이와 같이, 세트 실패를 방지하는 걸어맞춤 수단을 외측 상자(50)가 아닌 토너 주머니(20)에 설치하면, 몇 번이나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외측 상자(50)를 토너 색마다 바꾸어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아주 유리하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도 동일 기종이 세계 각국에서 사용된다. 이 경우, 사용하는 토너 수납 용기(2)는 각국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토너 수납 용기의 제조 비용은 경제 사정에 따라 가격차가 생기기 때문에, 예컨대 제조 비용이 싼 토너를 제조 비용이 비싼 나라에서 사용하면, 유통 질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 수납 용기(2)의 외측 상자(50)에 기종마다 장착을 제한하기 위한 사용 기종 식별 수단으로서 오목부(56)(도 5, 도 6을 참조)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는 토너 수납 용기(2)의 호환성을 방지하는 기종마다 오목부(56)에 걸어맞추는 볼록부(도시하지 않음)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토너 수납 용기(2)의 사시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상자(50')가 좌우 방향으로 거의 반으로 갈라지듯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위쪽으로 보아서 대각선으로 갈라지면, 외측 상자(50')가 크게 개방되어 토너 주머니의 착탈이 보다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 본 예의 외측 상자(50')는 전개할 수 없지만 갈라진 상태에서 동일 방향으로 겹친다면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토너 수납 용기(2)의 사시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상자(50'')의 한 면판, 본 예에서는 측부의 면판을 미리 없애어 항상 개방된 상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이용자라도 토너 주머니(20)를 간단히 착탈할 수 있다. 또 이 외측 상자(50'')는 상기 실시 형태의 면판(50a, 50b)을 제외한 것이므로 전개하거나 작게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너 수납 용기(2)는 토너 주머니(20)가 유연성이 있고 외측 상자(50)를 작게 접을 수 있거나, 넓혀서 겹칠 수 있으므로, 하드 상자와 비교하여 운반이나 보관시의 취급성이 좋고 수납 공간을 점유하지 않는다. 나아가 다 사용된 토너 주머니(20)는 이용자측으로부터 제조업자가 회수하여 재생 재이용이나 소각 처리가 행해지는데, 외측 상자(50)는 하드 상자여도 접을 수 있어 운반이나 보관시의 취급성이 좋고 수납 공간을 점유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더 한층 증강하며, 이용자측으로부터 제조업자가 회수하는 물류 비용이 대폭 감소될 수 있다. 또 토너 주머니(20)의 입구부(21), 주머니부(22), 시일 밸브(23)는 동일 재료 혹은 동일 계통의 재료를 사용하면, 재이용시에 양자를 분별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토너 수납 용기의 내측 주머니체가 변형 가능하여도 세트할 때에 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넘어짐에 의하여 대량의 토너가 잔류하거나 넘어짐에 의하여 내측 주머니체가 파손되는 등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외측 용기를 마련하여도 외측 용기를 접을 수 있어 회수 물류 비용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더욱이 외측 용기의 조립, 해체는 극히 간단하며, 게다가 외측 용기는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분말체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내측 주머니체와, 이 내측 주머니체를 수납하고 동시에 이 내측 주머니체보다도 강성이 큰 외측 용기체를 구비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체의 일부를 개방하고, 그 개방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측 주머니체가 삽입되며, 이 내측 주머니체는 착탈 가능하게 상기 외측 용기체에 수용되고, 그 수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와 상기 외측 용기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외측 용기체의 일부에 배출구를 위한 절결부가 마련되고 이 절결부에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2. 분말체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내측 주머니체와, 이 내측 주머니체를 수납하고 동시에 이 내측 주머니체보다도 강성이 큰 외측 용기체를 구비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에는 저부에 분말체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마련되고 동시에 이 배출부를 향하여 앞끝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용기체에는 상기 내측 주머니체의 경사면을 따라 경사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이 마련되고, 상기 내측 주머니체는 착탈 가능하게 상기 외측 용기체에 수용되고, 그 수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와 상기 외측 용기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외측 용기체의 일부에 배출구를 위한 절결부가 마련되고 이 절결부에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내측 주머니체와 상기 외측 용기체의 한 쪽에 연결 볼록부, 다른 한 쪽에 이 연결 볼록부가 끼워 맞춰지는 연결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으로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에 연결 볼록부, 상기 외측 용기체에 연결 오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볼록부는 슬라이드판이고, 상기 연결 오목부는 상기 슬라이드판이 소정 방향으로부터 미끄럼 장착되는 안내 받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에 수납된 분말체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마련한 입구 부재가 마련되고, 이 입구 부재에 상기 연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8. 분말체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내측 주머니체와, 이 내측 주머니체를 수납하고 동시에 이 내측 주머니체보다 강성이 큰 외측 용기체를 구비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체가 다면체의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동시에 다면체의 각 면판의 변이 직선이며, 이 각 면판이 각각 서로 이웃하는 면판에 대하여 이어지는 이음 변과 분리 가능한 분리 변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용기체가 1매의 평판 형상으로 전개 가능하며, 상기 외측 용기체의 일부에 배출구를 위한 절결부가 마련되고 이 절결부에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변에 만곡 각을 규제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면판의 상기 분리변에 면판끼리를 거는 걺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체는 상기 분리변을 분리하여 평판형으로 전개한 후, 상기 이음변에서 겹쳐 접어 소정 크기의 판상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면판을 겹친 부분에 나아가 겹치는 면판을 설정하고, 이 면판의 상기 이음변에 만곡 영역을 확대하는 다중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13. 분말체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내측 주머니체와, 적어도 내측 주머니체를 수납하고 동시에 이 내측 주머니체보다도 강성이 큰 외측 용기체를 구비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를 조립하는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의 배출구를 위쪽으로 향한 상태에 있어서, 그 내측 주머니체의 하나의 측면에 대응하는 면판만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외측 용기체를 조립하고, 개방되어 있는 측면으로부터 분말체가 수납된 상기 내측 주머니체를 삽입함과 동시에 연결 볼록부와 연결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연결 수단에 의해 내측 주머니체와 외측 용기체를 연결하고, 그 후, 개방되어 있는 측면의 면판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조립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외측 용기체에 내측 주머니체를 수용한 후, 최후로 닫은 면판을 고정 수단에 의해 다른 면판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조립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외측 용기체의 측면 전 둘레를 둘러 감는 감음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조립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적어도 외측 용기체의 최후로 닫은 면판을 다른 면판에 건너지르는 접착성 시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 조립 방법.
  17. 분말체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내측 주머니체와, 이 내측 주머니체를 수납하고 동시에 이 내측 주머니체보다도 강성이 큰 외측 용기체를 구비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로, 상기 내측 주머니체에 수납된 분말체가 토너인 용기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체에 수납된 토너를 식별하기 위한 토너 식별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식별 수단은 상기 외측 용기체와 분말체 수납 용기가 세트되는 장치 본체측의 세트부의 어느 한 쪽에 볼록부, 다른 한 쪽에 이 볼록부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식별하는 토너마다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의 위치가 비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분말체를 수납하는 변형 가능한 내측 주머니체와, 이 내측 주머니체를 수납하고 동시에 이 내측 주머니체보다도 강성이 큰 외측 용기체를 구비하는 분말체 수납 용기로, 상기 내측 주머니체에 수납된 분말체가 토너인 용기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체에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종을 식별하기 위한 사용 기종 식별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식별 수단은 상기 외측 용기체와 분말체 수납 용기가 세트되는 장치 본체측의 세트부의 어느 한 쪽에 볼록부, 다른 한 쪽에 이 볼록부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식별하는 사용 기종마다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의 위치가 비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1-0006950A 2000-02-14 2001-02-13 분말체 수납 용기 및 그 용기의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장치 KR100392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35919 2000-02-14
JP2000-035919 2000-02-14
JP2001006924A JP4157681B2 (ja) 2000-02-14 2001-01-15 トナー収納容器
JP2001-006924 2001-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831A KR20010102831A (ko) 2001-11-16
KR100392049B1 true KR100392049B1 (ko) 2003-07-22

Family

ID=2658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950A KR100392049B1 (ko) 2000-02-14 2001-02-13 분말체 수납 용기 및 그 용기의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648218B2 (ko)
EP (1) EP1126328B1 (ko)
JP (1) JP4157681B2 (ko)
KR (1) KR100392049B1 (ko)
CN (1) CN1237409C (ko)
DE (1) DE60141094D1 (ko)
HK (1) HK1036110A1 (ko)
MX (1) MXPA01001560A (ko)
MY (1) MY130181A (ko)
SG (1) SG115361A1 (ko)
TW (1) TWI2575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4254B2 (ja) * 2000-06-22 2008-12-1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535818B2 (ja) 2000-08-31 2004-06-07 株式会社リコー 容器およびこれの支持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58511B2 (ja) 2000-09-28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20798B2 (ja) * 2002-09-20 2009-02-0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
JP4584659B2 (ja) * 2003-09-30 2010-11-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用粉体を内包する易変形性容器用容器収納箱
EP1589384B1 (en) * 2004-04-23 2020-01-08 Ricoh Company, Ltd. Developer container
JP4713295B2 (ja) * 2004-11-09 2011-06-29 株式会社リコー 減容装置及びトナー補給装置
WO2006051284A2 (en) * 2004-11-09 2006-05-18 John Stephenson Bag cartridge with anti-torque collar
CN101166677B (zh) 2005-03-04 2012-05-09 印刷包装国际公司 用于分配可流动物质的包装
JP4755881B2 (ja) * 2005-10-24 2011-08-24 株式会社リコー 容器収納装置、該容器収納装置を備えた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D602664S1 (en) 2007-05-03 2009-10-20 Johnsondiversey, Inc. Floor maintenance tool
USD590117S1 (en) 2007-05-03 2009-04-07 Johnsondiversey, Inc. Floor maintenance tool
US20090285949A1 (en) * 2008-05-15 2009-11-19 Wendell Brown Expandable Food Container
US8276806B2 (en) * 2008-11-21 2012-10-02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for flowable material
US8720769B2 (en) 2009-09-15 2014-05-13 Packaging Corporation Of America Beverage container
JP5162650B2 (ja) * 2010-12-20 2013-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液袋接続部材
US9116468B2 (en) 2011-03-30 2015-08-25 Ricoh Company, Ltd.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 gripping part includes a powder loading port and a sealing member
US9415997B2 (en) * 2012-04-26 2016-08-16 Southern Champion Tray Bottle in box container
CH705673A1 (fr) * 2011-10-28 2013-04-30 Codefine Sa Dispositif de stabilisation de valves de vidange et/ou remplissage d'un conteneur souple destiné au transport de liquides ou de matières pulvérulentes.
JP5857783B2 (ja) * 2012-02-17 2016-02-10 株式会社リコー ノズル、画像形成装置、及び粉体導出方法
US20140001180A1 (en) * 2012-06-27 2014-01-02 Hood Packaging Corporation Liquid pouch with dispensing fitment and support pitcher
GB2546189A (en) * 2014-10-07 2017-07-12 Frugalpac Ltd Container
JP6584062B2 (ja) * 2014-10-27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生産方法
JP6410564B2 (ja) * 2014-10-27 2018-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の再生産方法
JP6418896B2 (ja) 2014-10-27 2018-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の再生産方法
WO2017194153A1 (en) 2016-05-12 2017-1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uild material container
KR20180098652A (ko) 2016-05-12 2018-09-0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축조 재료 용기
US9946199B1 (en) 2016-09-23 2018-04-17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System and method of filling a toner container
US10162288B2 (en) 2016-09-23 2018-12-25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System and method of remanufacturing a toner container
FI128014B (en) * 2017-02-16 2019-07-31 Inno Vai Oy Box for a Bag-in-Box package
US10974892B1 (en) * 2017-03-28 2021-04-13 Monroe Zafir Intermediate bulk container cartridge
EP3434448A1 (en) * 2017-07-28 2019-01-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uild material container
ES2884057T3 (es) * 2017-07-28 2021-12-10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Contenedor para material de construcción
US11338585B2 (en) 2018-07-13 2022-05-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ox with alignment structures
KR102390147B1 (ko) * 2018-08-30 2022-04-2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 카트리지와 본체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체에 연결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US10919680B1 (en) 2018-10-08 2021-02-16 Packaging Corporation Of America Liquid beverag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6566A (en) * 1968-08-20 1970-09-01 Downingtown Paper Co Method and apparatus for scoring paperboard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US4120420A (en) * 1978-02-16 1978-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ned parallelepipedal package for dispensing flowable materials
US4373929A (en) * 1979-01-22 1983-02-15 Smith Paul W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nd scoring folding container blanks
JPS5816267A (ja) * 1981-07-22 1983-01-29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粉体供給方法
US4523615A (en) * 1983-03-17 1985-06-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 situ purging a xerographic developer
US4502514A (en) * 1983-07-18 1985-03-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ner cartridge and method of replenishing toner to a xerographic device
DE3915899A1 (de) * 1989-05-16 1990-11-22 Edelmann Carl Gmbh Verpackungsbehaelter aus karton mit innenbeutel zur aufnahme von fluessigkeiten
DE9000528U1 (ko) * 1990-01-18 1990-03-22 Carl Edelmann Verpackungstechnik Gmbh, 7920 Heidenheim, De
JPH03269461A (ja) * 1990-03-19 1991-12-02 Konica Corp 粉体補給装置
US5392963A (en) 1993-06-01 1995-02-28 Hewlett-Packard Company Refurbished toner cartridge
JP2605130Y2 (ja) * 1993-08-23 2000-06-26 株式会社細川洋行 容器装置
JP2605131Y2 (ja) * 1993-08-23 2000-06-26 株式会社細川洋行 柔軟容器の保持器
JPH07134484A (ja) 1993-11-11 1995-05-23 Ricoh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トナー供給方法
JPH09142534A (ja) 1995-02-22 1997-06-03 Sangyo Gijutsu Kenkyusho:Kk 流動物の輸送方法
JP3437332B2 (ja) 1995-07-10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粉体供給用容器と該粉体供給用容器の製造方法及び粉体供給方法
US5715992A (en) * 1995-09-26 1998-02-10 J & M Coffee Container Company, Inc. Beverage container
JPH11119536A (ja) 1997-10-20 1999-04-30 Canon Inc 乾式電子写真用トナーボトル
JP2000194182A (ja) * 1998-10-19 2000-07-14 Ricoh Co Ltd トナー収納容器および該トナー収納容器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SG128420A1 (en) 1998-12-22 2007-01-30 Ricoh Kk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3711777B2 (ja) 1999-02-16 2005-11-0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粉体収納容器
JP3967078B2 (ja) * 2000-02-29 2007-08-29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および該容器の組み立て方法
JP4194254B2 (ja) * 2000-06-22 2008-12-1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351814B2 (ja) * 2000-07-21 2009-10-28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26328B1 (en) 2010-01-20
US6648218B2 (en) 2003-11-18
EP1126328A2 (en) 2001-08-22
SG115361A1 (en) 2005-10-28
JP4157681B2 (ja) 2008-10-01
CN1309335A (zh) 2001-08-22
KR20010102831A (ko) 2001-11-16
US20010021325A1 (en) 2001-09-13
EP1126328A3 (en) 2002-01-02
MXPA01001560A (es) 2002-08-06
MY130181A (en) 2007-06-29
HK1036110A1 (en) 2001-12-21
JP2001301847A (ja) 2001-10-31
TWI257535B (en) 2006-07-01
CN1237409C (zh) 2006-01-18
DE60141094D1 (de)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049B1 (ko) 분말체 수납 용기 및 그 용기의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장치
EP1184738B1 (en) Container, its support structure and an image formation apparatus
US6519436B2 (en) Toner powder container for storing toner applicable to an electr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 method at assembling the same, and a method of reducing the volume of the same
EP1400869B1 (en) Bag-type toner container with a shutter
EP1174773B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replenishing apparatus and toner container
US7389071B2 (en) Apparatuses for image forming capable of effectively conveying developer therefrom and a method of effectively forming a reinforcing member adhering to the apparatuses
US7133629B2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as easy-to-handle large capacity toner container
US6978107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EP1168096B1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4461186B2 (ja) トナー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154875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