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781B1 - 복합 자화기, 복합 자화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자화기, 복합 자화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781B1
KR100389781B1 KR10-2000-0062998A KR20000062998A KR100389781B1 KR 100389781 B1 KR100389781 B1 KR 100389781B1 KR 20000062998 A KR20000062998 A KR 20000062998A KR 100389781 B1 KR100389781 B1 KR 100389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zer
composite
sheet
vinyl chloride
soft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0168A (ko
Inventor
오노노리히코
요시다시게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킨
Publication of KR20010070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gnetising or demagneti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3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non-fibrous particles embedded i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powder, flakes, whis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01F1/2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 H01F1/2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by 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8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dispersed or suspended in a bonding ag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46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by moulding or by pressing powder

Abstract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스트레인이 제거된 플랫 연질 자성 분말 및 용매에 용해된 결합제로 구성되는 슬러리 안정하상의 자기 코팅이 다이 코팅, 그라비어 코팅, 또는 반전 코팅에 의해 시트에 형성된다. 결합제는 50℃ 이상의 글라스 전이 온도를 갖는 염화비닐수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자화기, 복합 자화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COMPOSITE MAGNETIZER, COMPOSITE MAGNETIZER SHEET,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불필요한 전자파로 인한 전자기기의 누전을 방지하거나, 내부회로간의 간섭 및 외부 전자파에 의해 발생되는 오동작의 영향에 대비하기 위한 전자기 간섭 리프레서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은 연질 자성 분말이 분산된 유기결합제로 구성되는 복합 자화기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 간섭 리프레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전자기의 주변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발명된 수단의 중요성이 점점 인지되고 있다. 이것은 많은 종류의 전자기기들이 전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회로와 반도체장치로 각각 구성되는 능동 및 수동소자 등을 구비하고 있다는 배경에 의해 뒷받침된다. 이것은 디지털 전자기기 등의 전자장치가 그 배경에 신호 처리 속도의 가속의 요구, 더 높은 주파수, 다기능의 더 높은 성능, 소형화 및 제품 구성의 낮은 프로파일에 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기기의 정상작동을 방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는 정전결합 및 전자기결합으로 인한 대칭결합의 증가와 방사 노이즈의 간섭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어떤 경우에는, 노이즈가 다른 외부기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보다 높은 처리속도, 보다 향상된 기능 및 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전자기기에 의해 발생된 노이즈에 대한 대응 수단으로서, 특히, 준마이크로웨이브 대역에서 발생된 노이즈에 대한 대응 수단으로서, 저역통과필터, 실드 등의 설치가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부품에 의한 대응 수단은 전자장치에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설계 단계에서 소형화 및 낮은 프로파일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부품에 의한 대응 수단은 긴급한 수단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더구나 인덕턴스 성분은 실수부 투자율 μ'의 원인이 되고 전류 준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의 인덕턴스로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부주의한 실드를 행한 경우에는, 2차 전자기 결합이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여, 준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의 노이즈에 대한 대응 수단 중의 하나로서 전술한 전자기 간섭을 억제하는 복합 자화기 시트가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특개평 7-212079호 및 특개평 7-183911호에 전자기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복합 자화기에 관해 제안되었다.
전술한 복합 자화기 시트는 준마이크로웨이브 대역에 대응하며 와이드 스펙트럼의 높은 실수부 투자율 μ' 및 허수부 투자율 μ"을 사용하는 파형 흡수제로서 방사 노이즈의 투자율 및 2차 전자기결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방지 수단 및 제품 개발의 부담을 덜 수 있고 방해물을 피할 수 있어 소형화 및 회로의 고밀도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시장에서는, 전술한 복합 자화기와 마찬가지로 사용하기 쉽고 부품을 갱신할 수 있는 노이즈 방지 수단의 부품이 요구된다. 노이즈 방지 수단의 부품은 부품 대응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 즉, 준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의 저주파(10 ∼ 100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기기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복합 자화기 시트는 전술한 준마이크로웨이브 대역에 대응하는 낮은 프로파일을 가질 필요가 있다.
준마이크로웨이브 대역에 이용되는 전술한 복합 자화기 시트는 주파수가 낮아짐에 따라 더 낮은 투자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μ"의 상승 주파수로부터 이해될 때, 구성에 있어서 낮은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이 제한되고 전자기 간섭을 억제하는 효과가 감소한다. 이동통신기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노이즈 방지 수단으로서, 페라이트 또는 고무 페라이트를 설치하는 착상이 수락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부서질 가능성이나 설치의 어려움 등의 문제 때문에 페라이트가 설치될 수 없다. 한편, 부서질 가능성이 적은 고무 페라이트는 설치 공간이 확보되더라도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
코일, 필터 등의 부품은 10 ∼ 100 ㎒의 스펙트럼의 저주파 측과 고주파 측의 주파수에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술한 주파수 대역에 사용되기 쉬운 어떠한 노이즈 방지 수단도 발견되지 않고 있다. 노이즈 수단에 해당하는 부품이 발견되더라도, 기판의 설계 변경 등은 많은 비용과 시간 당 일의 양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낮은 주파수의 스펙트럼(약 10 ∼ 100 ㎒)에 채택할 수 있고 낮은 프로파일에서도 전자기 간섭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복합 자화기 시트를 제공할 필요성이 생긴다.
이러한 복합 자화기 시트를 제공하기 위해, 투자율 μ' 및 μ"를 강화하고 자기 공명 주파수를 억제하는 것이 필수 불가결해진다. 이러한 필요에 응하여, 예컨대, FM 대역(약 10 ∼ 100 ㎒)에서의 억제 효과가 향상되고 특개평 10-168273호의 낮은 프로파일에 조정된 복합 자화기 시트에 관해 제안된다. 전술한 특개평에 개시된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전자기 간섭 억제 효과 및 구성에 있어서의 낮은 프로파일의 개선이 달성되었다.
여기서는, 전술한 복합 자화기를 구성하는 방법의 예에 관해 설명한다. 전술한 준마이크로웨이브 대역 복합 자화기 시트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의 혼합 및 교반 슬러리 안정하상 혼합물, 결합제 및 결합제를 용해하는 용매가 의료용 블레이드 등을 사용하여 막에 형성되는 습식법과, 플랫 연질 자성 분말 및 결합제가 교반기 등에 의해 혼합되고 롤 등에 의해 형성되는 건식법이 있다.
또한, 전술한 특개평 10-168273호에 개시된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성형법에 의해 플랫 연질 자성 분말에 스트레인을 유발하지 않도록 습식법에 의해 시트에 스트레인이 제거되고 수직방향으로 시트 표면에 압력이 추가된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이 형성되어 고밀도가 달성된다. 따라서, FM 대역에서 전자기 간섭 억제 효과를 강화하는 것과 낮은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개평 10-168273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약 10 ∼ 100 ㎒ 주파수의 노이즈 억제 효과가 강화되고 구성의 프로파일이 낮아지더라도, 전자기 간섭 억제 효과가 확보된 복합 자화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복합 자화기는 방염성을 불충분하게 제공한다.
게다가, 코팅만으로는 투자율 특성이 충분하게 얻어질 수 없고, 충진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플랫 연질 자기 분말이 압축되어 높은 투자율이 확보되는 경우,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은 그 결과에 스트레인을 얻게 되어 필요한 특성을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0.3 ㎜ 이상의 두께를 갖는 특개평 10-168273에 개시된 복합 자화기 시트는 코팅처리에서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탄력성이 떨어지고 보다 작은 기술적 강도를 제공하므로, 후처리에서의 조작이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복합 자화기에 있어서, 습기 침투에 의해 발생한 지속 변화 현상, 구체적으로, 밀도의 강하가 나타나고 두께에 관계없이 고온 고 방습을 개선하기 위해 표면의 결합제의 코팅이 요구된다.
또한, 전술한 건식법에 의하면, 스트레인이 제거된 플랫 연질 자성 분말에 다시 스트레인이 공급된다. 그것에 의해 원하는 특성을 얻어내기가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전자기 간섭 리프레서의 복합 자화기 및 강도 및 전자기 간섭 억제 효과가 확보되고 스트레인이 제거된 고밀도의 플랫 연질 자기 분말을 채우는 것에 의해 방염 및 기계적 강도가 충분히 제공된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스트레인이 제거된 플랫 연질 자성 분말 및 결합제가 배합되고 혼합되어 혼합물을 얻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이 제공되는데, 혼합물은 롤 성형, 주입 성형, 및 압출 성형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성형 수단에 의해 시트에 형성되며, 결합제는 50℃ 이상의 글라스 전이 온도를 갖는 염화비닐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제는 50℃ 이상의 글라스 전이 온도를 갖는 염화폴리에틸렌 및 염화비닐수지의 화합물이 될 수 있다.
염화비닐수지에서 염화비닐 단위체의 함유량은 75 ∼ 90 mol%가 될 수 있다.
염화폴리에틸렌 및 염화비닐수지의 혼합비는 중량이 4 : 1 내지 1 : 4가 될수 있다.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은 복합 자화기 시트의 평면 방향을 향해 배열될 수 있고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의 부피 비중은 압연 롤 수단, 캘린더 롤 수단, 및 압축 수단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수단에 의해 복합 자화기 시트에 롤 작업을 적용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압연 롤 수단 및 캘린더 롤 수단은 90 이상의 고무 강도를 갖는 고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 및 고분자 물질로 만들어진 롤을 구비한다.
복합 자화기 또는 복합 자화기 시트는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스트레인이 제거된 플랫 연질 자성 분말 및 용매에 용해된 결합제로 구성되는 슬러리 안정하상의 자기 코팅이 다이 코팅, 그라비어 코팅, 및 반전 코팅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코팅 수단에 의해 시트에 형성되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도 제공되며, 상기 결합제는 50℃ 이상의 글라스 전이 온도를 갖는 염화비닐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제는 50℃ 이상의 글라스 전이 온도를 갖는 염화폴리에틸렌 및 염화비닐수지의 화합물이 될 수 있다.
염화비닐수지에서 염화비닐 단위체의 함유량은 75 ∼ 90 mol%가 될 수 있다.
염화폴리에틸렌 및 염화비닐수지의 혼합비는 중량이 4 : 1 내지 1 : 4가 될 수 있다.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은 복합 자화기 시트의 평면 방향을 향해 배열될 수 있고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의 부피 비중은 압연 롤 수단, 캘린더 롤 수단, 및 압축 수단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수단에 의해 복합 자화기 시트에 롤 작업을 적용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압연 롤 수단 및 캘린더 롤 수단은 90 이상의 고무 강도를 갖는 고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 및 고분자 물질로 만들어진 롤을 구비한다.
복합 자화기 또는 복합 자화기 시트는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은 구형 또는 부정형 거친 분말에 기계적인 분쇄를 가함으로써 평판형으로 얻어질 수 있다. 분쇄처리에서, 플랫 연질 자성 분말에 스트레인이 발생하여 분말의 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스트레인은 어닐 처리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원하는 특성을 갖는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을 얻기 위해 어닐 처리가 필요하다. 어닐처리의 조건은 연질 자성 분말의 재료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랫 연질 자성 분말 및 결합제의 혼합물을 시트에 형성하기 위한 건식법 및 습식법이 있다. 플랫 연질 자성 분말에서 외력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습식법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연질 자성 분말의 평면 방향이 시트의 평면 방향을 향하고 있는 복합 자성체는 다이 코팅, 그라비어 코팅 또는 반전 코팅에 의해 막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50℃ 이상의 글라스 전이 온도를 갖는 염화비닐수지가 결합제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실온에서 결합제의 강도는 증가한다. 작업공정에서 복합 자화기를 처리하는 것이 더 쉬워진다.
결합제에서 염소의 함유량은 염화비닐수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증가한다.그 때문에, 방염이 강화된다. 또한 염화폴리비닐은 폴리에틸렌보다 낮은 수증기 투과성을 가지므로, 복합 자화기의 고온 및 고 방습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기 위한 염화비닐수지의 염화비닐 단위체의 가장 바람직한 함유량은 75 ∼ 90 mol%이고 염화폴리에틸렌 및 염화비닐수지의 혼합비는 중량이 4 : 1 ∼ 1 : 4이다.
높은 투자율을 갖는 복합 자화기를 얻기 위해 복합 자화기의 밀도를 강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단위체로 형성되어 용매를 제거한 뒤 시트에 롤작업을 적용함으로써 고밀도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자화기 시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합 자화기 시트의 표면은 프레스나 롤을 이용하는 롤 수단에 의해 수직으로 압축된다. 압축은 2차 효과가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의 지향 범위를 강화시키게 한다.
전술한 처리 중에, 복합 자화기에 부주의하게 압축 작업이 적용된다면, 플랫 연질 자성 분말에 스트레인이 다시 발생된다. 따라서, 90 이상의 고무 강도를 갖는 고무로 구성되거나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는 롤을 제공하는 롤 수단이 본 발명에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합 자화기의 상대 투자율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롤 처리에 사용되는 이중축 압연 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이중축 압연 롤이 압축 용접되어 변형된, 롤 처리에 사용되는 이중축 압연 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합 자화기의 전자기 간섭 억제 효과를 평가하는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금속롤 31 접촉부
41 복합 자화기 시트 42 발진기
43 측정기(스펙트럼 분석기)
44, 45 마이크로 루프 안테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합 자화기, 복합 자화기 시트, 및 복합 자화기와 복합 자화기 시트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평균 35 ㎛의 직경과 5 이상의 종횡비를 갖는 Fe-Al-Si 합금 분말이플랫 연질 자성 분말로 준비된다.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은 그 위의 스트레인을 제거하기 위해 온도가 650℃로 유지되는 조건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를 받는다.
85 중량%의 플랫 연질 자성 분말, 염화폴리에틸렌과 염화비닐수지가 4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14 중량%의 결합제, 1 중량%의 티탄 결합제, 및 용매로서 200 중량%의 톨루엔이 각각 배분된다.
전술한 물질 모두를 혼합기에 넣고 휘젓는 것에 의해,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은 결합제에 의해 표면 처리를 받는다. 또한, 결합제는 용매에 용해된다. 복합 자화기를 형성하는 슬러리는 그것에 의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합제가 용매에 용해되어 다른 물질들과 혼합되어, 플랫 연질 자성 분말에 스트레인이 부가되지 않는다.
덧붙여 말하면,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염화비닐수지는 중량의 75 ∼ 90%의 염화비닐 단위체의 함유량 및 50℃ 이상의 글라스 전이 온도를 갖는다. 염화비닐수지는 복합 자화기의 방염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롤 성형의 작업율을 향상시킨다.
다음에,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의 평면이 평면 방향을 향하는 막에 전술한 슬러리가 다이 코팅에 의해 형성되어, 복합 자화기 시트가 제조된다. 전술한 작업에서 제조된 복합 자화기 시트는 0.08 ㎜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자계 방향은 그 처리에서 용매의 제거 전에 더 큰 크기의 플랫 연질 분말에 향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그라비어 코팅 또는 전도 코팅에 의한 코팅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인더의 혼합물은 복합 자화기의 탄력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복합 자화기가 더 빳빳해질 수 있는 경우에는, 염화폴리에틸렌 및 염화비닐수지의 혼합비는 중량이 1 : 4가 될 수 있다. 1 : 4 및 4 : 1간의 비를 조정함으로써 임의의 기계적인 강도와 탄력성을 제공하는 복합 자화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조물의 구성은 다양해진다. 예를 들어, 0.1 ㎜ 이하의 두께를 갖는 극박 복합 자화기가 제조될 경우, 나중 처리의 작업율을 고려하여 더 많은 양의 염화비닐수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염화폴리에틸렌 및 염화비닐수지의 혼합비가 전술한 범위 이상이라면,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즉, 염화비닐수지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탄력성이 작아지게 된다. 한편, 염화폴리에틸렌이 너무 많으면, 복합 자화기의 기계적인 강도가 약해질 뿐만 아니라 방염성도 약해지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복합 자화기 시트는 도 2에 도시한 이중축 압연 롤을 사용하여 롤 작업을 받는다. 롤 공간은 거의 0으로 결정되고 온도는 50℃로 유지되는 조건에서 롤 처리가 행해진다. 도 2에 도시한 롤의 금속롤(23) 표면 주위에는 90 이상의 고무 경도를 갖는 고무나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는 층(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와 같이 언급한 고무 경도는 JIS, K6253으로 표준화된 고무 경도 테스트 방법으로 수단된 국제 고무 경도의 값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고무나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어 압축 용접된 층(2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부는 탄력적으로 변형되므로, 특정 범위의 영역의 접촉부(31)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변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일부가 둥글게 말린 복합 자화기 시트는 국부적으로 고압을 받지 않고 고르게 말린다. 따라서, 플랫 연질 자성 분말에는 스트레인이 부가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자기 공명 주파수(fr)를 더 고주파 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대 투자율(μ' 및 μ")의 감소를 유도하지 않으면서 복합 자화기 시트를 둥글게 마는 것이 가능하다. 롤 작업에 의해, 복합 자화기 시트의 밀도는 롤링 전의 밀도의 1.5배가 된다.
도 1에, 복합 자화기 시트의 상대 투자율 특성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참조 번호 11 및 12는 전술한 복합 자화기 시트의 롤에 의한 롤 작업 후의 μ' 및 μ"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참조 번호 13 및 14는 전술한 복합 자화기 시트에 의한 롤 작업 전의 μ' 및 μ"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참조 번호 15 및 16은 건식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자화기 시트의 μ' 및 μ"를 각각 나타낸다. 참조 번호 15 및 16은 비교를 위해 설명된다.
도 1에 분명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의한 복합 자화기 시트에 있어서, 롤 작업에 의한 상대 투자율 특성의 강화가 확인된다. 한편, 건식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자화기 시트에 있어서, 투자율 특성의 악화가 확인되고, 이는 플랫 연질 자성 분말에 부가된 스트레인으로 인한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여기서는 이중축 롤을 가진 롤 수단에 관해 설명하지만, 캘린더 롤 수단이나 압축 수단도 롤 수단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캘린더 롤 수단이 구비된 롤에 90 이상의 고무 강도를 갖는 고무나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는 층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롤을 구비한 롤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압축 수단을 사용하여 많은 수의 시트를 쌓아 두꺼워진 복합 자화기 시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건식법에 의해 제조된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의한 복합 자화기 시트의 전자기 간섭 억제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전자기 간섭 억제 효과의 평가에 사용되는 수단의 윤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측정수단은 전자계 파형 소스용 발진기(42), 전자기 강도 측정기(스펙트럼 분석기)(43), 각각 2 ㎜ 이하의 직경을 갖는 전자계 송신용 마이크로 루프 안테나(45) 및 전자계 수신용 마이크로 루프 안테나(45)를 포함한다. 그 안에, 본 실시예의 복합 자화기 시트(41)가 두 마이크로 루프 안테나 사이에 배치된다. 복합 자화기 시트가 없는 경우와 관련한 투과에 있어서 제동 효과가 측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0.3 ㎜ 및 0.5 ㎜의 복합 자화기 시트가 사용된다. 결과는 다음 표에 나타내고 있다.
상기 표에 나타낸 것과 같이, 0.3 ㎜의 두께를 갖는 본 실시예의 복합 자화기 시트에서 얻어지는 전자기 간섭 억제 효과는 건식법에 의해 제조된 0.5 ㎜의 두께를 갖는 복합 자화기에 의해 제공되는 값과 거의 동일하다.
여기서는, 소위 습식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자화기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그러나, 습식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자화기에서와 마찬가지로, 건식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자화기에서도 방염 및 기계적인 강도가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상대 투자율특성도 본 발명의 롤링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향상된다. 그러나, 롤링 전후의 상대 투자율 특성은 습식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자화기의 투자율보다는 열등하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과정에 플랫 연질 자화 분말에 스트레인을 다시 부가하는 일 없이 스트레인이 없는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이 가득 채워진 복합 자화기가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복합 자화기의 낮은 프로파일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복합 자화기의 10 ㎒ ∼ 100 ㎒ 근방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자기 간섭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자화기는 방염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자화기는 그 표면을 코팅하기 위한 보강제가 필요하지 않다. 두께가 얇은 복합 자화기도 쉽게 처리될 수 있다.

Claims (14)

  1. 스트레인이 제거된 플랫 연질 자성 분말 및 결합제가 배합되고 혼합되어 혼합물을 얻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롤 성형, 주입 성형, 및 압출 성형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성형 수단에 의해 시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제는 염화폴리에틸렌 및 염화비닐수지의 혼합물로서 50℃ 이상의 글라스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
  2. 스트레인이 제거된 플랫 연질 자성 분말 및 용매에 용해된 결합제로 구성되는 슬러리 안정하상의 자기 코팅이 다이 코팅, 그라비어 코팅, 및 반전 코팅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코팅 수단에 의해 시트 형태로 형성되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염화폴리에틸렌 및 염화비닐수지의 혼합물로서 50℃ 이상의 글라스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수지에서 염화비닐 단위체의 함유량은 75 ∼ 90 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수지에서 염화비닐 단위체의 함유량은 75 ∼ 90 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폴리에틸렌 및 상기 염화비닐수지의 혼합비는 중량이 4 : 1 내지 1 :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폴리에틸렌 및 상기 염화비닐수지의 혼합비는 중량이 4 : 1 내지 1 :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은 상기 복합 자화기 시트의 평면 방향을 향해 배열되고 상기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의 부피 비중은 압연 롤 수단, 캘린더 롤 수단, 및 압축 수단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수단에 의해 상기 복합 자화기 시트에 롤 작업을 적용함으로써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은 상기 복합 자화기 시트의 평면 방향을 향해 배열되고 상기 플랫 연질 자성 분말의 부피 비중은 압연 롤 수단, 캘린더 롤 수단, 및 압축 수단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수단에 의해 상기 복합 자화기 시트에 롤 작업을 적용함으로써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 롤 수단 및 상기 캘린더 롤 수단은 90 이상의 고무 강도를 갖는 고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 및 고분자 물질로 만들어진 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 롤 수단 및 상기 캘린더 롤 수단은 90 이상의 고무 강도를 갖는 고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 및 고분자 물질로 만들어진 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화기 제조 방법.
  13. 상기 복합 자화기는 제1항 내지 제12항에 청구된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화기.
  14. 상기 복합 자화기는 제1항 내지 제12항에 청구된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화기 시트.
KR10-2000-0062998A 1999-10-25 2000-10-25 복합 자화기, 복합 자화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389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203599A JP2001126910A (ja) 1999-10-25 1999-10-25 複合磁性体、複合磁性体シート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99-302035 1999-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168A KR20010070168A (ko) 2001-07-25
KR100389781B1 true KR100389781B1 (ko) 2003-06-27

Family

ID=1790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998A KR100389781B1 (ko) 1999-10-25 2000-10-25 복합 자화기, 복합 자화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20337B1 (ko)
EP (1) EP1096844B1 (ko)
JP (1) JP2001126910A (ko)
KR (1) KR100389781B1 (ko)
CN (1) CN1163924C (ko)
DE (1) DE60007937T2 (ko)
MY (1) MY133600A (ko)
SG (1) SG115347A1 (ko)
TW (1) TW5163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4205A1 (en) * 1999-09-28 2001-04-05 Tokin Corporation Composite magnetic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01080616A2 (en) * 2000-04-17 2001-10-25 Tokin Corporation High-frequency current supressor capable of being readily attached to cable or the like and earphone system using the same
WO2003028911A1 (fr) * 2001-09-27 2003-04-10 Sumitomo Electric Fine Polymer, Inc. Procedes de production de granules de resine remplis d'une charge avec une densite elevee, et produit moule constitue par ces granules
JP2008016458A (ja) * 2004-08-18 2008-01-24 Teijin Ltd 電磁波吸収シート材料
TW200628062A (en) 2004-12-03 2006-08-01 Nitta Corp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or, antenna device, and electron information transfer device
US7897882B1 (en) * 2006-04-06 2011-03-01 Majilitie Corporatio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radio frequency absorbing material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US8754733B2 (en) * 2009-08-07 2014-06-17 Magnum Magnetics Corporation Portable magnetizer systems
CN103480852B (zh) * 2013-06-19 2016-05-25 镇江宝纳电磁新材料有限公司 鳞片状金属软磁微粉的制造方法
CN109686555B (zh) * 2017-10-19 2022-09-13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生产热变形磁体的方法和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079A (ja) * 1994-01-20 1995-08-11 Tokin Corp 電磁波干渉抑制体
EP0866649A1 (en) * 1996-09-09 1998-09-23 Tokin Corporation Highly heat-conductive composite magnetic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76529T2 (de) * 1987-07-31 1993-06-24 Tdk Corp Magnetisches weicheisenpulver zur formung magnetischer abschirmung, verbind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JPH0558034A (ja) * 1991-08-29 1993-03-09 Nitto Denko Corp 可逆性感熱記録材料および磁気カード
JPH0935927A (ja) * 1995-07-20 1997-02-07 Tokin Corp 複合磁性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干渉抑制体
JPH0993034A (ja) * 1995-09-22 1997-04-04 Tokin Corp 複合磁性体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磁干渉抑制体
JP3812977B2 (ja) * 1996-09-30 2006-08-2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磁干渉抑制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079A (ja) * 1994-01-20 1995-08-11 Tokin Corp 電磁波干渉抑制体
EP0866649A1 (en) * 1996-09-09 1998-09-23 Tokin Corporation Highly heat-conductive composite magnetic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96844A1 (en) 2001-05-02
SG115347A1 (en) 2005-10-28
TW516363B (en) 2003-01-01
KR20010070168A (ko) 2001-07-25
EP1096844B1 (en) 2004-01-28
CN1294394A (zh) 2001-05-09
JP2001126910A (ja) 2001-05-11
DE60007937D1 (de) 2004-03-04
DE60007937T2 (de) 2004-11-18
CN1163924C (zh) 2004-08-25
MY133600A (en) 2007-11-30
US6620337B1 (en) 200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784B1 (ko) 전자 및 자기 실드용 연질자성 합금분말 및 이를 포함하는 실드부재
EP0785557B1 (en) Composite magnetic material and product for elimina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5827445A (en) Composite magnetic article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or
US6051156A (en) Compound magnetic material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or
KR20100028365A (ko) 전자기파간섭 억제용 복합시트
US20050205831A1 (en) Composite magnetic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06059771A1 (ja) 電磁干渉抑制体、アンテナ装置、及び電子情報伝達装置
KR100389781B1 (ko) 복합 자화기, 복합 자화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US6310285B1 (en) EMI preventive part and active device with the same
CN101902899A (zh) 电磁波抑制片、装置和电子设备
KR101927221B1 (ko) 근방계용 노이즈 억제 시트
EP0871183B1 (en) Composite magnetic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ng material
JP2011249628A (ja) 電磁干渉抑制体の製造方法
JP3722391B2 (ja) 複合磁性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磁干渉抑制体
JPH1083911A (ja) 複合磁性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干渉抑制体
JP2000243615A (ja) 複合磁性体と、その製造方法
KR102155542B1 (ko) 근방계용 노이즈 억제 시트
CN107481829B (zh) 近场用噪声抑制片
JP2007173859A (ja) 電磁干渉抑制体の製造方法
JPH1027986A (ja) 電波吸収体
JPH11298187A (ja) GHz帯の電波吸収特性に優れたノイズ抑制シート
JP3475386B2 (ja) 電磁干渉抑制体
JP3979541B2 (ja) 複合磁性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干渉抑制体
KR20050092081A (ko) Εμι 대책부품 및 εμι대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