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956B1 - 효율적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956B1
KR100385956B1 KR10-2001-0007276A KR20010007276A KR100385956B1 KR 100385956 B1 KR100385956 B1 KR 100385956B1 KR 20010007276 A KR20010007276 A KR 20010007276A KR 100385956 B1 KR100385956 B1 KR 100385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nput
output
column sel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843A (ko
Inventor
이재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7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956B1/ko
Priority to TW091101823A priority patent/TW550586B/zh
Priority to US10/068,148 priority patent/US6707731B2/en
Priority to JP2002034518A priority patent/JP3980367B2/ja
Publication of KR20020066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8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 G11C29/8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improved layout
    • G11C29/808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improved layout using a flexible replacement scheme

Landscapes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Abstract

리페어 효율 및 융통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구조가 균일하여 데이터 액세스 속도가 빠른 칼럼 리던던시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각각 다수개의 메모리셀들과 정상동작을 위한 칼럼선택라인들 및 리페어를 위한 스페어 칼럼선택라인들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블럭으로 양분되고 상기 제1블럭을 담당하는 제1로컬 입출력라인/제1글로벌 입출력라인 및 상기 제2블럭을 담당하는 제2로컬 입출력라인/제2글로벌 입출력라인을 별도로 포함하는 복수개의 입출력 블럭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은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 및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에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중 어느 하나로 대체된다.

Description

효율적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effective column redundancy schem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칼럼 리던던시 스킴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정상(Normal) 메모리셀에 불량(Defect)이 있을 때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스페어(Spare) 메모리셀들, 즉 리던던트 메모리셀들을 구비한다.일반적으로 칼럼 리던던시 스킴에서는 칼럼선택라인(Column Select Line, CSL)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상 메모리셀이 불량일 경우 상기 칼럼선택라인이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pare Column Select Line, SCSL)으로 대체된다. 즉 하나의 메모리셀만이 불량이더라도 칼럼선택라인에 연결된 모든 메모리셀들이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스페어 메모리셀들로 모두 대체된다.
도 1은 종래의 1 대 1 칼럼 리던던시 스킴(One-to-one dedicated column redundancy schem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출력 블럭들(11,13) 각각은 다수개의 메모리셀들과 이들에 연결되는 칼럼선택라인(CSL)들 및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들을 포함한다. 칼럼선택라인(CSL)들은 정상동작을 위한 것들이며 이들에는 정상 메모리셀들이 연결된다.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들은 리페어(Repair)를 위한 것들이며 이들에는 스페어 메모리셀들, 즉 리던던트 메모리셀들이 연결된다.
또한 입출력 블럭(11)은 하나의 로컬 입출력라인(LIO1) 및 하나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1)을 포함하고, 입출력 블럭(13)도 하나의 로컬 입출력라인(LIO2)과 하나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2)을 포함한다. 로컬 입출력라인(LIO1) 및 글로벌 입출력라인(GIO1)을 통해 입출력 블럭(11) 내의 메모리셀들로 데이터가 입출력되고 입출력라인(LIO2) 및 글로벌 입출력라인(GIO2)을 통해 입출력 블럭(13) 내의 메모리셀들로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도 1에 도시된 1 대 1 칼럼 리던던시 스킴에서는, 예컨데 입출력 블럭(11) 내의 칼럼선택라인(CSL11)이 불량일 경우 즉 칼럼선택라인(CSL11)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셀(M1)이 불량일 경우 칼럼선택라인(CSL11)은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11)으로 대체된다. 마찬가지로 입출력 블럭(13) 내의 칼럼선택라인(CSL21)이 불량일 경우 즉 칼럼선택라인(CSL21)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셀이 불량일 경우 칼럼선택라인(CSL21)는 스페어 칼럼선택라인(CSL21)으로 대체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1 대 1 칼럼 리던던시 스킴에서는, 소정의 입출력 블럭 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들은 자신의 입출력 블럭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들로만 대체가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리페어 효율(Efficiency) 및 융통성(Flexibility)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데이터라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Dataline column redundancy schem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라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에서는 입출력 블럭들(21,23)이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들을 포함하지 않으며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들을 포함하는 별도의 리던던시 입출력 블럭(25)이 제공된다.
또한 입출력 블럭(21)은 하나의 로컬 입출력라인(LIO1)을 포함하고 입출력 블럭(23)도 하나의 로컬 입출력라인(LIO2)을 포함한다. 또한 리던던시 입출력 블럭(25)도 하나의 로컬 입출력라인(LIO3)을 포함한다. 한편 글로벌 입출력라인(GIO)은 입출력 블럭들(21,23) 및 리던던시 입출력 블럭(25)에 의해 공유된다.
로컬 입출력라인(LIO1) 및 공유된 글로벌 입출력라인(GIO)을 통해 입출력 블럭(21) 내의 메모리셀들로 데이터가 입출력되고 로컬 입출력라인(LIO2) 및 공유된글로벌 입출력라인(GIO)을 통해 입출력 블럭(23) 내의 메모리셀들로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또한 로컬 입출력라인(LIO3) 및 공유된 글로벌 입출력라인(GIO)을 통해 리던던시 입출력 블럭(25) 내의 메모리셀들로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도 2에 도시된 데이터라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에서는, 입출력 블럭(21) 내의 칼럼선택라인들(CSL11,CSL12)이 불량일 경우 칼럼선택라인들(CSL11,CSL12)은 리던던시 입출력 블럭(25)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들(SCSL1,SCSL2)로 대체된다. 또한 입출력 블럭(23) 내의 칼럼선택라인들(CSL21, CSL22,CSL23)이 불량일 경우 칼럼선택라인들(CSL21,CSL22,CSL23)은 리던던시 입출력 블럭(25)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들(SCSL3,SCSL4,SCSL5)로 대체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데이터라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에서는 입출력 블럭들 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들이 별도로 구비된 리던던시 입출력 블럭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들로 대체가 가능하므로 리페어 효율(Efficiency) 및 융통성(Flexibility)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구조가 불균일하며 리던던시 입출력 블럭에 대한 데이터 패쓰들의 부하가 커짐으로 인하여 데이터 액세스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두개 이상의 입출력 블럭들에서 동일한 칼럼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두개 이상의 칼럼선택라인들이 불량일 경우 리페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단점을 해결하고 리페어 효율 및 융통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구조가 균일하여 데이터 액세스 속도가 빠른 칼럼 리던던시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1 대 1 칼럼 리던던시 스킴(One-to-one dedicated column redundancy schem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데이터라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Dataline column redundancy schem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4는 스위칭 제어부의 상세 회로도를 나타낸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복수개의 입출력 블럭들을 구비하고, 상기 입출력 블럭들은 각각 다수개의 메모리셀들과 정상동작을 위한 칼럼선택라인들 및 리페어를 위한 스페어 칼럼선택라인들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블럭으로 양분되고, 상기 제1블럭을 담당하는 제1로컬 입출력라인/제1글로벌 입출력라인 및 상기 제2블럭을 담당하는 제2로컬 입출력라인/제2글로벌 입출력라인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로컬 입출력라인/제1글로벌 입출력라인을 통해 상기 제1블럭 내의 메모리셀들로 데이터가 입출력되고 상기 제2로컬 입출력라인/제2글로벌 입출력 라인을 통해 상기 제2블럭 내의 메모리셀들로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또한 상기 입출력 블럭들중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은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 및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에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중 어느 하나로 대체된다.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은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 및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에 다른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중 어느 하나로 대체된다.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상기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내에서 하나의 칼럼 어드레스에 의해 칼럼선택라인들중 하나와 스페어 칼럼선택라인들중 하나가 동시에 활성화된다.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상기 다른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내에서 하나의 칼럼 어드레스에 의해 칼럼선택라인들중 하나와 스페어 칼럼선택라인들중 하나가 동시에 활성화된다.
한편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상기 입출력 블럭들 각각을 담당하는 복수개의 입출력 감지증폭부들, 및 스위칭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상기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의 제2글로벌 입출력라인을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락을 담당하는 입출력 감지증폭부로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글로벌 입출력라인을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락을 담당하는 입출력 감지증폭부로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칼럼선택라인이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글로벌 입출력라인을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락을 담당하는 입출력 감지증폭부로 연결시킨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 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출력 블럭들(31,32,33) 각각은 제1블럭(31L,32L,33L) 및 제2블럭(31R,32R,33R)으로 양분된다. 제1블럭(31L,32L,33L) 및 제2블럭(31R, 32R,33R) 각각은 다수개의 메모리셀들과 이들에 연결되는 칼럼선택라인(CSL)들 및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들을 포함한다. 칼럼선택라인(CSL)들은 정상동작을 위한 것들이며 이들에는 정상 메모리셀들이 연결된다.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들은 리페어를 위한 것들이며 이들에는 스페어 메모리셀들, 즉 리던던시 메모리셀들이 연결된다.
또한 입출력 블럭들(31,32,33) 각각은 두개의 로컬 입출력라인들 및 두개의 글로벌 입출력라인들을 포함한다. 즉 입출력 블럭(31)은 제1블럭(31L)을 담당하는 로컬 입출력라인(LIO1L)/글로벌 입출력라인(GIO1L) 및 제2블럭(31R)을 담당하는 로컬 입출력라인(LIO1R)/글로벌 입출력라인(GIO1R)을 별도로 포함한다. 입출력 블럭(32)은 제1블럭(32L)을 담당하는 로컬 입출력라인(LIO2L)/글로벌 입출력라인(GIO2L) 및 제2블럭(32R)을 담당하는 로컬 입출력라인(LIO2R)/글로벌 입출력라인(GIO2R)을 별도로 포함한다. 또한 입출력 블럭(33)은 제1블럭(33L)을 담당하는 로컬 입출력라인(LIO3L)/글로벌 입출력라인(GIO3L) 및 제2블럭(33R)을 담당하는 로컬 입출력라인(LIO3R)/글로벌 입출력라인(GIO3R)을 별도로 포함한다.
따라서 입출력 블럭(31)에서는 로컬 입출력라인(LIO1L)/글로벌 입출력라인(GIO1L)을 통해 제1블럭(31L) 내의 메모리셀들로 데이터가 입출력되고 로컬 입출력라인(LIO1R)/글로벌 입출력라인(GIO1R)을 통해 제2블럭(31R) 내의 메모리셀들로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입출력 블럭(32)에서는 로컬 입출력라인(LIO2L)/글로벌 입출력라인(GIO2L)을 통해 제1블럭(32L) 내의 메모리셀들로 데이터가 입출력되고 로컬 입출력라인(LIO2R)/글로벌 입출력라인(GIO2R)을 통해 제2블럭(32R) 내의 메모리셀들로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입출력 블럭(33)에서는 로컬 입출력라인(LIO3L)/글로벌 입출력라인(GIO3L)을 통해 제1블럭(33L) 내의 메모리셀들로 데이터가 입출력되고 로컬 입출력라인(LIO3R)/글로벌 입출력라인(GIO3R)을 통해 제2블럭(33R) 내의 메모리셀들로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특히 소정의 입출력 블럭, 예컨데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럭(32L) 내의 칼럼선택라인(CSL2L)이 불량일 경우 즉 칼럼선택라인(CSL2L)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셀이 불량일 경우, 불량 칼럼선택라인(CSL2L)은 자신의 입출력 블럭 즉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럭(32L)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2L), 입출력블럭(32)의 제2블럭(32R)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2R), 및 입출력 블럭(32)에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31)의 제2블럭(31R)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1R)중 어느 하나로 대체된다.
또한 입출력 블럭(32)의 제2블럭(32R) 내의 칼럼선택라인(CSL2R)이 불량일 경우에는, 불량 칼럼선택라인(CSL2R)은 자신의 입출력 블럭 즉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럭(32L)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2L), 입출력 블럭(32)의 제2블럭(32R)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2R), 및 입출력 블럭(32)에 인접하는 다른 입출력 블럭(33)의 제1블럭(33L)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3L)중 어느 하나로 대체된다.
입출력 블럭들(31,33)에 불량 칼럼선택라인들이 존재할 경우에도 이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불량 컬럼선택라인들이 스페어 칼럼선택라인들로 대체된다.
한편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럭(32L) 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CSL2L)이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31)의 제2블럭(31R)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1R)으로 대체되는 경우에,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31) 내에서는 하나의 칼럼 어드레스에 의해 정상 액세스를 위해 사용되는 칼럼선택라인(CSL1L)과 리페어를 위해 사용되는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1R)이 동시에 활성화된다.
또한 입출력 블럭(32)의 제2블럭(32R) 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CSL2R)이 인접하는 다른 입출력 블럭(33)의 제1블럭(33L)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3L)으로 대체되는 경우에, 인접하는 다른 입출력 블럭(33) 내에서는 하나의 칼럼 어드레스에 의해 정상 액세스를 위해 사용되는 칼럼선택라인(미도시)과 리페어를 위해 사용되는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3L)이 동시에 활성화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스위치들(S11 내지 S34) 및 스위치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회로(도 4의 41)를 포함하는 스위칭 제어부 및 입출력 블럭들(31,32,33) 각각을 담당하는 입출력 감지증폭부들(34,35,36)을 더 구비한다. 입출력 감지증폭부들(34,35,36)은 각각 소정의 패쓰를 통해 해당 입출력핀들(DQ1,DQ2,DQ3)에 연결된다.
스위칭 제어부는 글로벌 입출력라인들(GIO)과 입출력 감지증폭부들 (34,35,36) 사이의 연결을 제어한다. 좀더 설명하면, 소정의 입출력 블럭, 예컨데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럭(32L) 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CSL2L)이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31)의 제2블럭(31R)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1R)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스위치(S21)가 턴온되어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31)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1R)이 입출력 블락(32)을 담당하는 입출력 감지증폭부(35)로 연결된다.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럭(32L) 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CSL2L)이 제1블럭(32L)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2L)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스위치(S22)가 턴온되어 입출력 블럭(32)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2L)이 입출력 감지증폭부(35)로 연결된다.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럭(32L) 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CSL2L)이 제2블럭(32R)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2R)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스위치(S23)가 턴온되어 입출력 블럭(32)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2R)이 입출력 감지증폭부(35)로 연결된다.
도 4는 스위칭 제어부의 상세 회로도를 나타내며, 이를 참조하여 스위칭 제어부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위칭 제어부는 스위치들(S21 내지 S24) 및 스위치 제어신호들(C1,C1B,C2,C2B,C1',C1'B,C2',C2'B)을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회로(41)를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스위치들중 스위치들(S21 내지 S24)만이 도시되었으며 또한 입출력 감지증폭부(35)가 함께 도시되었다.
GIO1R은 도 3에 도시된 입출력 블럭(31)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1R)을 나타내고 GIO2L과 GIO2R은 도 3에 도시된 입출력 블럭(32)의 글로벌 입출력라인들 (GIO2L,GIO2R)을 나타내며 GIO3L은 도 3에 도시된 입출력 블럭(33)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3L)을 나타낸다. 입출력 감지증폭부(35)는 도 3에 도시된 입출력 블럭(32)을 담당하는 입출력 감지증폭부(35)를 나타낸다.
스위치(S21)는 제1스위치제어신호(C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입출력 블럭(31)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1R)을 입출력 감지증폭부(35)로 연결시킨다. 스위치(S22)는 제2스위치제어신호(C2)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입출력 블럭(32)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2L)을 입출력 감지증폭부(35)로 연결시킨다. 스위치(S24)는 또 다른 제1스위치제어신호(C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입출력 블럭(33)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3L)을 입출력 감지증폭부(35)로 연결시킨다. 스위치(S23)는 또 다른 제2스위치제어신호(C2')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입출력 블럭(32)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2R)을 입출력 감지증폭부(35)로 연결시킨다.
제어신호 발생회로(41)는 앤드게이트들(AND1,AND2,AND3), 오아게이트(OR),및 인버터들(I1,I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F0와 F0'은 불량 컬럼선택라인이 존재하는 입출력 블럭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이고, F1과 F1'은 반도체 메모리장치 외부에서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가 불량 컬럼선택라인에 대한 어드레스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F0,F0',F1,F1'은 도시되지 않은 리던던시 퓨즈블럭에서 퓨즈 컷팅에 의해 발생된다. CMSB는 컬럼 어드레스의 최상위비트(Most Significant Bit)이고 소정의 입출력 블럭 내부의 제1블럭 또는 제2블럭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좀더 설명하면, F0(또는 F0')는 소정의 입출력 블럭에 불량 컬럼선택라인이 존재하는 경우에 논리"로우"가 되고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에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에 불량 컬럼선택라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논리"하이"가 된다. F1(또는 F1')은 컬럼 어드레스가 불량 컬럼선택라인에 대한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논리"하이"가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논리"로우"가 된다. CMSB는 소정의 입출력 블럭 내부의 제1블럭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논리"하이"이고 소정의 입출력 블럭 내부의 제2블럭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논리"로우"가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스위칭 제어부의 전체적인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첫째, 소정의 입출력 블럭, 예컨데 도 3에서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럭(32L)에 불량 컬럼선택라인(CSL2L)이 존재하지만 외부에서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가 상기 불량 컬럼선택라인(CSL2L)에 대한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에는, F0는 논리"로우"가 되고 F1도 논리"로우"가 되며 CMSB는 논리"하이"가 된다. 이에 따라 제1스위치제어신호(C1)가 논리"로우"가 되고 제1스위치제어신호의 반전신호(C1B)가 논리"하이"가된다. 또한 제2스위치제어신호(C2)는 논리"하이"가 되고 제2스위치제어신호의 반전신호(C2B)는 논리"로우"가 된다.
따라서 스위치(S22)는 턴온되고 스위치(S21)는 턴오프된다. 그 결과 입출력 블럭(32)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2L)이 입출력 감지증폭부(35)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감지증폭부(35)는 글로벌 입출력라인(GIO2L)을 통해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락(32L) 내의 정상 컬럼선택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셀을 액세스한다.
둘째,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럭(32L)에 불량 컬럼선택라인(CSL2L)이 존재하고 불량 칼럼선택라인(CSL2L)이 자신의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럭(32L)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2L)으로 대체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가 상기 불량 컬럼선택라인(CSL2L)에 대한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F0는 논리"로우"가 되고 F1은 논리"하이"가 되며 CMSB는 논리"하이"가 된다. 이에 따라 제1스위치제어신호(C1)가 논리"로우"가 되고 제1스위치제어신호의 반전신호(C1B)가 논리"하이"가 된다. 또한 제2스위치제어신호(C2)는 논리"하이"가 되고 제2스위치제어신호의 반전신호(C2B)는 논리"로우"가 된다.
따라서 상기 첫째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위치(S22)는 턴온되고 스위치(S21)는 턴오프된다. 그 결과 입출력 블럭(32)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2L)이 입출력 감지증폭부(35)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는 감지증폭부(35)는 글로벌 입출력라인(GIO2L)을 통해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락(32L)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2L)에 연결된 메모리셀을 액세스한다.
셋째,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럭(32L)에 불량 컬럼선택라인(CSL2L)이 존재하고 불량 칼럼선택라인(CSL2L)이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31)의 제2블럭(31R)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1R)으로 대체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가 상기 불량 컬럼선택라인(CSL2L)에 대한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F0는 논리"하이"가 되고 F1도 논리"하이"가 되며 CMSB는 논리"하이"가 된다. 이에 따라 제1스위치제어신호(C1)가 논리"하이"가 되고 제1스위치제어신호의 반전신호(C1B)가 논리"로우"가 된다. 또한 제2스위치제어신호(C2)는 논리"로우"가 되고 제2스위치제어신호의 반전신호(C2B)는 논리"하이"가 된다.
따라서 스위치(S22)는 턴오프되고 스위치(S21)는 턴온된다. 그 결과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31)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1R)이 감지증폭부(35)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는 감지증폭부(35)는 글로벌 입출력라인(GIO1R)을 통해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31)의 제2블락(31R)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1R)에 연결된 메모리셀을 액세스한다.
넷째, 입출력 블럭(32)의 제1블럭(32L)에 불량 컬럼선택라인(CSL2L)이 존재하고 불량 컬럼선택라인(CSL2L)이 자신의 입출력 블럭(32)의 제2블럭(32R)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2R)으로 대체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가 상기 불량 컬럼선택라인(CSL2L)에 대한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F0'는 논리"로우"가 되고 F1'은 논리"하이"가 되며 CMSB는 논리"하이"가 된다. 이에 따라 제1스위치제어신호(C1')가 논리"로우"가 되고 제1스위치제어신호의 반전신호(C1'B)가 논리"하이"가 된다. 또한 제2스위치제어신호(C2')는 논리"하이"가 되고 제2스위치제어신호의 반전신호(C2'B)는 논리"로우"가 된다.
따라서 스위치(S23)는 턴온되고 스위치(S24)는 턴오프된다. 그 결과 입출력 블럭(32)의 글로벌 입출력라인(GIO2R)이 입출력 감지증폭부(35)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는 감지증폭부(35)는 글로벌 입출력라인(GIO2R)을 통해 입출력 블럭(32)의 제2블락(32R)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SCSL2R)에 연결된 메모리셀을 액세스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는, 소정의 입출력 블럭 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자신의 입출력 블럭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입출력 블럭 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도 대체가 가능하므로 리페어 효율(Efficiency) 및 융통성(Flexibility)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조가 균일하고 로컬 입출력라인들의 길이가 반으로 감소되어 부하가 감소됨으로써 데이터 액세스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리페어 효율 및 융통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고 또한 데이터 액세스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각각 다수개의 메모리셀들과 정상동작을 위한 칼럼선택라인들 및 리페어를 위한 스페어 칼럼선택라인들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블럭으로 양분되고, 상기 제1블럭을 담당하는 제1로컬 입출력라인/제1글로벌 입출력라인 및 상기 제2블럭을 담당하는 제2로컬 입출력라인/제2글로벌 입출력라인을 별도로 포함하는 복수개의 입출력 블럭들을 구비하고,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 및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에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중 어느 하나로 대체되며,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은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 및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에 인접하는 다른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중 어느 하나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상기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내에서 하나의 칼럼 어드레스에 의해 칼럼선택라인들중 하나와 스페어 칼럼선택라인들중 하나가 동시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상기 인접하는 다른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는 다른 입출력 블럭내에서 하나의 칼럼 어드레스에 의해 칼럼선택라인들중 하나와 스페어 칼럼선택라인들중 하나가 동시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상기 입출력 블럭들 각각을 담당하는 복수개의 입출력 감지증폭부들; 및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상기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의 제2글로벌 입출력라인을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락을 담당하는 입출력 감지증폭부로 연결시키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글로벌 입출력라인을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락을 담당하는 입출력 감지증폭부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글로벌 입출력라인을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락을 담당하는 입출력 감지증폭부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제1제어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의 제2글로벌 입출력라인을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락을 담당하는 입출력 감지증폭부로 연결시키는 제1스위치;
    제2제어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글로벌 입출력라인을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락을 담당하는 입출력 감지증폭부로 연결시키는 제2스위치;
    제3제어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글로벌 입출력라인을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락을 담당하는 입출력 감지증폭부로 연결시키는 제3스위치; 및
    상기 제1 내지 제3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제어신호는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상기 인접하는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 대체될 때 활성화되고, 상기 제2제어신호는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대체될 때 활성화되고, 상기 제3제어신호는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1블럭내의 불량 칼럼선택라인이 상기 소정의 입출력 블럭의 제2블럭내의 스페어 칼럼선택라인으로 대체될 때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2001-0007276A 2001-02-14 2001-02-14 효율적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385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276A KR100385956B1 (ko) 2001-02-14 2001-02-14 효율적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TW091101823A TW550586B (en) 2001-02-14 2002-02-01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providing per-bit redundancy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10/068,148 US6707731B2 (en) 2001-02-14 2002-02-06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with per-bit redundancy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JP2002034518A JP3980367B2 (ja) 2001-02-14 2002-02-12 半導体メモリ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276A KR100385956B1 (ko) 2001-02-14 2001-02-14 효율적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43A KR20020066843A (ko) 2002-08-21
KR100385956B1 true KR100385956B1 (ko) 2003-06-02

Family

ID=1970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276A KR100385956B1 (ko) 2001-02-14 2001-02-14 효율적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07731B2 (ko)
JP (1) JP3980367B2 (ko)
KR (1) KR100385956B1 (ko)
TW (1) TW5505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907B1 (ko) 2003-05-30 2005-06-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글로벌 입출력 스킴을 변경한 메모리 소자
JP4524636B2 (ja) * 2005-03-24 2010-08-18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6144729B2 (ja) * 2015-07-08 2017-06-07 ウィンボンド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半導体記憶装置
CN109741782B (zh) * 2018-12-29 2020-10-16 西安紫光国芯半导体有限公司 一种dram的修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9477A (ja) * 1995-09-14 1997-05-2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19990012411A (ko) * 1997-07-29 1999-02-25 윤종용 복합 데이터 테스트가 간단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JPH11185493A (ja) * 1997-12-18 1999-07-09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20000074953A (ko) * 1999-05-27 2000-12-15 김영환 반도체 메모리의 칼럼 구제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3406B2 (ja) * 1991-09-10 1999-02-03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960008788B1 (en) * 1992-12-30 1996-07-03 Hyundai Electronics Ind Row redundancy circuit
JPH1040682A (ja) * 1996-07-23 1998-02-1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2000011681A (ja) * 1998-06-22 2000-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9477A (ja) * 1995-09-14 1997-05-2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19990012411A (ko) * 1997-07-29 1999-02-25 윤종용 복합 데이터 테스트가 간단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JPH11185493A (ja) * 1997-12-18 1999-07-09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20000074953A (ko) * 1999-05-27 2000-12-15 김영환 반도체 메모리의 칼럼 구제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80367B2 (ja) 2007-09-26
KR20020066843A (ko) 2002-08-21
US20020110029A1 (en) 2002-08-15
JP2002245792A (ja) 2002-08-30
TW550586B (en) 2003-09-01
US6707731B2 (en) 200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5252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
JP3773961B2 (ja) メモリを有する集積回路及びその動作方法
KR100413762B1 (ko) 뱅크 수를 가변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및 그 방법
JP3598119B2 (ja) 冗長デコーダ
US5349556A (en) Row redundancy circuit sharing a fuse box
JPH0877791A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カラム冗長方法及びその回路
US7451363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memory macro
JPH1050099A (ja) 多重化された冗長コラムデータ経路を備えた集積回路メモリ
KR20020002133A (ko) 컬럼 리던던시 회로
GB2307570A (en) Column redundancy circuit for memory
US6353570B2 (en) Row redundancy circuit using a fuse box independent of banks
US5970002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dundancy function
US717720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6657907B2 (en) Column repair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US6621749B2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providing per-bit redundancy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KR100385956B1 (ko) 효율적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639635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JP2004062999A (ja) 半導体記憶装置
JP4430298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ポストリペア回路及び方法
KR2003007102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163497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314889B1 (ko) 개별적으로어드레스가능한유니트가결합된메모리셀을갖춘반도체메모리및반도체메모리작동방법
JP3450621B2 (ja) 記憶装置及び読み出し方法
JP3645366B2 (ja) 集積半導体メモリ
KR017235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컬럼 리던던시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