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1027A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1027A
KR20030071027A KR1020020010540A KR20020010540A KR20030071027A KR 20030071027 A KR20030071027 A KR 20030071027A KR 1020020010540 A KR1020020010540 A KR 1020020010540A KR 20020010540 A KR20020010540 A KR 20020010540A KR 20030071027 A KR20030071027 A KR 20030071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memory device
semiconductor memory
pins
inpu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027B1 (ko
Inventor
유제환
김병철
배원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027B1/ko
Priority to US10/372,336 priority patent/US6927488B2/en
Publication of KR20030071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11C16/12Programming voltage switching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공개한다. 그 장치는 저용량의 복수개의 메모리들을 탑재하고,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을 구비하는 고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메모리들 각각이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 제어 단자, 및 제어 단자의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내부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내부 어드레스 발생회로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메모리들 각각의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단자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단자들, 및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이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 각각에 모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내부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메모리들중 하나의 메모리가 선택되어 라이트/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저용량의 메모리 칩 또는 패키지들을 탑재하여 고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제조하는 경우에 보드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복수개의 칩들중 하나의 칩만 동작하기 때문에 동작 전류 소모가 줄어들게 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저용량의 반도체 칩 또는 패키지를 이용하여 하나의 고용량의 패키지로 구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개발되어 있는 용량이상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개발하는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그래서, 메모리 제조업자들은 두 개의 반도체 칩들을 스택하여 하나의 패키지로 패키징하는 더블 다이 패키지(DDP; double die package) 기술과 두 개의 반도체 패키지들을 스택하는 스택 패키지(Stack package) 기술을 사용하여 현재 개발되어 있는 용량이상의 고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만든다.
예를 들면, 2개의 256메가 비트(Mbit) 용량의 반도체 칩 또는 패키지들을 이용하여 512M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만들거나, 2개의 512Mbit 용량의 반도체 칩 또는 패키지들을 이용하여 1기가 비트(G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만든다
도1은 종래의 512M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외부 핀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원전압 핀(VDD), 접지전압 핀(VSS), 어드레스 핀들(A1 ~ A12), 뱅크어드레스 핀들(BA0, BA1), 명령어 핀들(CSB, WEB, CASB, RASB), 및 데이터 입출력 핀들(DQ0 ~ DQ3)로 이루어져 있다.
도1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13비트의 로우 어드레스(RA0 ~ RA12), 12비트의 컬럼 어드레스(CA0 ~ CA11), 4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뱅크들, 및 4개의 데이터 입출력을 구비하여, 총 메모리 용량은 213×212×4 ×4 =512Mbit가 된다.
도1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라이트/리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전 칩 선택신호 핀(CSB)을 통하여 인가되는 반전 칩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이 인에이블된다. 그리고, 반전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핀(RASB)을 통하여 반전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명령이 인가되고, 어드레스 핀들(A0 ~ A12)을 통하여 13비트의 로우 어드레스(RA0 ~ RA12)가 인가되고, 뱅크 어드레스 핀들(BA0, BA1)을 통하여 뱅크 어드레스가 인가된다.
그 후, 반전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핀(CASB)을 통하여 반전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명령이 인가되고, 어드레스 핀들(A1 ~ A12)을 통하여 12비트의 컬럼 어드레스(CA0 ~ CA9, CA11, CA12 ), 및 1비트의 오토 프리차지 명령(CA10)이 인가된다. 이때,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핀(WEB)을 통하여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고,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라이트/리드 동작이 제어된다.
그러면, 라이트/리드 명령시에 데이터 입출력 핀들(DQ0 ~ DQ3)을 통하여 4비트의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512M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1G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외부 핀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원전압 핀(VDD), 접지전압 핀(VSS), 어드레스 핀들(A0 ~ A12), 뱅크 어드레스 핀들(BA0, BA1), 명령어 핀들(CSB1, CSB2, WEB, CASB, RASB), 및 데이터 입출력 핀들(DQ0 ~ DQ3)로 이루어져 있다.
도2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외부 핀 구성은 도1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하나의 반전 칩 선택신호(CSB) 대신에 2개의 반전 칩 선택신호들(CSB1, CSB2)로 이루어져 있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의 상하로 위치한 메모리 칩들의 패드들과 외부 핀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나의 패키지내에 상하로 상부 메모리 칩(10-1)과 하부 메모리 칩(10-2)이 탑재되어 있다.
도3에서,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10-1, 10-2) 각각의 내부의 PVDD, PVSS, (PA1~ PA12), (PBA0, PBA1), (PCSB, PWEB, PCASB, PRASB), (PDQ0 ~ PDQ3)는 전원전압 패드, 접지전압 패드, 어드레스 패드들, 뱅크 어드레스 패드들, 명령어 패드들, 및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을 각각 나타내고, 외부의 VDD, VSS, (A0 ~ A12), (BA0, BA1), (CSB1, CSB2, WEB, CASB, RASB), (DQ0 ~ DQ3)는 도2에 나타낸 전원전압 핀, 접지전압 핀, 어드레스 핀들, 명령어 핀들, 및 데이터 입출력 핀들을 각각 나타낸다.
도3에서, 상부와 하부의 메모리 칩들(10-1, 10-2) 각각의 반전 칩 선택신호패드들(PCSB)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패드들은 외부의 핀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 메모리 칩(10-1)의 반전 칩 선택신호 패드(PCSB)는 외부의 반전 칩 선택신호 핀(CSB1)에 연결되고, 하부 메모리 칩(10-2)의 반전 칩 선택신호 패드(PCSB)는 외부의 반전 칩 선택신호 핀(CSB2)에 연결되어 있다.
즉, 도2 및 3에 나타낸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반전 칩 선택신호 핀(CSB1)을 통하여 인가되는 반전 칩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부 메모리 칩(10-1)이 인에이블되고, 반전 칩 선택신호 핀(CSB2)을 통하여 인가되는 반전 칩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하부 메모리 칩(10-2)이 인에이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2 및 도3에 나타낸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라이트/리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전 칩 선택신호 패드(CSB1)를 통하여 인가되는 반전 칩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부 메모리 칩(10-1)이 인에이블되면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상부 메모리 칩(10-1)이 라이트/리드 동작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그리고, 반전 칩 선택신호 패드(CSB2)를 통하여 인가되는 반전 칩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하부 메모리 칩(10-2)이 인에이블되면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하부 메모리 칩(10-2)이 라이트/리드 동작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따라서, 512Mbit 용량의 메모리 칩 또는 패키지들을 이용하여 1G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도2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내부의 칩들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칩 선택신호 핀들이 외부에 별도로 각각 구비됨으로 인해서 종래의 설계된 보드에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보드는 하나의 칩 선택신호에 의해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2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같이 제조하게 되면 보드의 설계를 변경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도4는 종래의 512M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1G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핀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1의 핀 구성에 어드레스 핀(A13)을 추가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4에 사용된 512Mbit 용량의 메모리 칩은 도1의 512Mbit 용량의 메모리 칩과는 달리 14비트의 로우 어드레스(RA0 ~ RA13), 12비트의 컬럼 어드레스(CA0 ~ CA11), 4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뱅크들, 및 2개의 데이터 입출력을 구비하여, 총 메모리 용량은 214×212×4 ×2=512Mbit가 된다. 그리고, 512Mbit 용량의 메모리 칩들을 2개 탑재하여 1G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된다.
도5는 도4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의 상하로 위치한 메모리 칩들의 패드들과 외부 핀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나의 패키지내에 상하로 상부 메모리 칩(20-1)과 하부 메모리 칩(20-2)이 탑재되어 있다.
도5에서,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20-1, 20-2) 각각의 내부의 PVDD, PVSS, (PA1~ PA13), (PBA0, PBA1), (PCSB, PWEB, PCASB, PRASB), (PDQ0, PDQ1)는 전원전압 패드, 접지전압 패드, 어드레스 패드들, 뱅크 어드레스 패드들, 명령어 패드들,및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을 각각 나타내고, 외부의 VDD, VSS, (A0 ~ A13), (BA0, BA1), (CSB1, CSB2, WEB, CASB, RASB), (DQ0 ~ DQ3)는 도2에 나타낸 전원전압 핀, 접지전압 핀, 어드레스 핀들, 명령어 핀들, 및 데이터 입출력 핀들을 각각 나타낸다.
도5에서, 상부와 하부의 메모리 칩들(20-1, 20-2) 각각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PDQ0, PDQ1)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패드들은 외부의 핀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 메모리 칩(20-1)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PDQ0, PDQ1)은 외부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DQ0, DQ1)에 연결되고, 하부 메모리 칩(20-2)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PDQ0, PDQ1)은 외부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DQ2, DQ3)에 연결되어 있다.
즉, 도4 및 5에 나타낸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반전 칩 선택신호 핀(CSB)을 통하여 인가되는 반전 칩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20-1, 20-2)이 모두 인에이블되고,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20-1, 20-2) 각각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PDQ0, PDQ1)을 통하여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즉, 외부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DQ0 ~ DQ3)을 통하여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그런데, 도4 및 도5에 나타낸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기존의 보드 설계를 변경할 필요는 없으나, 하나의 반전 칩 선택신호(CSB)에 응답하여 상부 및 하부의 메모리 칩들(20-1, 20-2)이 동시에 인에이블되어 동시에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때문에 동작 전류 소모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저용량의 메모리 칩 또는 패키지들을 이용하여복수개의 고용량의 메모리 칩 또는 패키지들을 이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경우에 종래의 보드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동작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저용량의 복수개의 메모리들을 탑재하고,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을 구비하는 고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 각각이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 제어 단자, 및 상기 제어 단자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내부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내부 어드레스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단자들,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단자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이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 각각에 모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중 하나의 메모리가 선택되어 라이트/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1실시예는 m용량의 2개의 메모리들을 탑재하고,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을 구비하는 2n ×m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메모리들 각각이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 제어 단자, 및 상기 제어 단자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로우 어드레스를 반전 또는 그대로 출력하는 내부 로우 어드레스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메모리들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단자들,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단자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이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 각각에 모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2개의 메모리들중 하나의 메모리가 선택되어 라이트/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2실시예는 m용량의 4개의 메모리들을 탑재하고,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을 구비하는 2n ×m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메모리들 각각이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 제어 단자, 상기 제어 단자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로우 어드레스를 반전 또는 그대로 출력하는 내부 로우 어드레스 발생수단, 및 상기 제어 단자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를 반전 또는 그대로 출력하는 내부 컬럼 어드레스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4개의 메모리들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단자들,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단자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이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 각각에 모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4개의 메모리들중 하나의 메모리가 선택되어 라이트/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512M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외부 핀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512M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1G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외부 핀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의 상하로 위치한 메모리 칩들의 패드들과 외부 핀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4는 종래의 512M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1G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핀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5는 도4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의 상하로 위치한 메모리 칩들의 패드들과 외부 핀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의 상하로 위치한 메모리 칩들의 패드들과 외부 핀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7은 도6에 나타낸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30-1, 30-2)의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 발생회로의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의 상하로 위치한 메모리 칩들의 패드들과 외부 핀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9는 도8에 나타낸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40-1 ~ 40-4)의 내부 로우 및 컬럼 어드레스(IRA13, ICA13) 발생회로의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512Mbit 용량의 메모리 칩 또는 패키지들을 이용한 1G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외부 핀 구성은 도4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의 상하로 위치한 메모리 칩들의 패드들과 외부 핀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나의 패키지내에 상하로 상부 메모리 칩(30-1)과 하부 메모리 칩(30-2)이 탑재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30-1, 30-2) 각각은 내부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32-1, 3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6에서,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30-1, 30-2) 각각의 내부의 PVDD, PVSS, (PA1~ PA13), (PBA0, PBA1), (PCSB, PWEB, PCASB, PRASB), (PDQ0 ~ PDQ3), DDP는 전원전압 패드, 접지전압 패드, 어드레스 패드들, 뱅크 어드레스 패드들, 명령어 패드들,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 및 제어 패드를 각각 나타내고, 외부의 VDD, VSS, (A0 ~ A13), (BA0, BA1), (CSB, WEB, CASB, RASB), (DQ0 ~ DQ3)는 도2에 나타낸 전원전압 핀, 접지전압 핀, 어드레스 핀들, 명령어 핀들, 및 데이터 입출력 핀들을각각 나타낸다.
도6에 나타낸 512Mbit 용량의 메모리 칩들(30-1, 30-2) 각각은 13비트의 로우 어드레스(RA0 ~ RA12), 12비트의 컬럼 어드레스(CA0 ~ CA9, CA11, CA12), 2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뱅크들(BA0, BA1), 및 4개의 데이터 입출력을 구비하여 총 메모리 용량은 213×212×4 ×4 =512Mbit가 된다. 즉, 512Mbit 용량의 메모리 칩들(30-1, 30-2) 각각은 13개의 어드레스 패드들(PA0 ~ PA12)을 구비하지만, 1G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512Mbit 용량의 메모리 칩들(30-1, 30-2) 각각은 어드레스 패드(PA13) 및 제어 패드(DDP)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메모리 칩들(30-1, 30-2) 각각의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미도시)는 내부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들(32-1, 32-2)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도6에서, 상부와 하부의 메모리 칩들(30-1, 30-2) 각각의 패드들과 외부의 핀들이 모두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라이트/리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전 칩 선택신호 핀(CSB)을 통하여 인가되는 반전 칩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30-1, 30-2)이 모두 인에이블된다. 그리고, 반전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핀(RASB)을 통하여 반전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명령이 인가되고, 어드레스 핀들(A0 ~ A13)을 통하여 14비트의 로우 어드레스(RA0 ~ RA13),가 인가되고, 뱅크 어드레스 핀들(BA0, BA1)을 통하여 뱅크 어드레스가 인가된다. 이때, 내부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들(32-1, 32-2) 각각은 제어 패드(DDP)의 상태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핀(A13)을 통하여 인가되는 로우 어드레스(RA13)를 입력하여 서로 상보적인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를 발생한다. 발생되는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는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30-1, 30-2)의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미도시)에 의해서 디코딩된다. 따라서,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미도시)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부 메모리 칩(30-1) 또는 하부 메모리 칩(30-2)의 메모리 셀들(미도시)이 선택된다.
그 후, 반전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핀(CASB)을 통하여 반전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명령이 인가되고, 어드레스 핀들(A1 ~ A13)을 통하여 13비트의 컬럼 어드레스(CA0 ~ CA9, CA11 ~ CA13), 및 1비트의 오토 프리차지 명령(CA10)이 인가된다. 이때,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핀(WEB)을 통하여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고,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라이트/리드 동작이 제어된다.
그러면, 라이트/리드 명령시에 데이터 입출력 핀들(DQ0 ~ DQ3)을 통하여 4비트의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즉,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30-1, 30-2)의 패드들과 해당 핀들을 각각 공통적으로 연결하고, 하나의 반전 칩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30-1, 30-2)이 모두 인에이블되고, 어드레스 핀(A13)을 통하여 인가되는 로우 어드레스(RA13)에 따라 상부 및 하부 메모리칩들(30-1, 30-2) 각각의 메모리 셀들이 선택된다.
따라서, 도6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기존의 보드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상부와 하부의 메모리 칩들이 동시에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동작 전류 소모가 크지 않다.
도7은 도6에 나타낸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30-1, 30-2)의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 발생회로의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PMOS트랜지스터(P1), 저항(R), 인버터들(I1 ~ I7), NAND게이트들(NA1, NA2), CMOS전송 게이트들(C1, C2), 및 인버터들(I8, I9)로 구성된 래치(LA)로 구성되어 있다.
도7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의 제어 패드(DDP)와 전원전압 패드(PVDD)(또는, 전원전압 핀(VDD))사이에 퓨즈(미도시)(또는, 메탈)을 연결한 경우를 가정하여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퓨즈(미도시)(또는, 메탈)을 컷팅하면 노드(A)가 "로우"레벨로 고정되고, 퓨즈(미도시)(또는, 메탈)을 컷팅하지 않으면 노드(A)가 "하이"레벨이 고정된다.
노드(A)가 "로우"레벨이면, 인버터들(I1, I2)은 "로우"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인버터(I3)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반전하여 "하이"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NAND게이트(NA1)는 "하이"레벨의 액티브 명령(ACT)과 "하이"레벨의 인버터(I3)의 출력신호를 비논리합하여 "로우"레벨의 제어신호(CONU)를 발생한다. NAND게이트(NA2)는 "하이"레벨의 액티브 명령(ACT)과 "로우"레벨의 인버터(I2)의출력신호를 비논리합하여 "하이"레벨의 제어신호(CONL)를 발생한다. 그러면, CMOS전송 게이트(C1)가 오프되고, CMOS전송 게이트(C2)가 온된다.
어드레스 패드(PA13)를 통하여 "하이"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가 인가되면 인버터(I4)가 "로우"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인버터(I5)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반전하여 "하이"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발생되는 "하이"레벨의 신호는 CMOS전송 게이트(C2)를 통하여 전송된다. 래치(LA)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래치하고 반전하여 "로우"레벨의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를 발생한다. 반면에, 어드레스 패드(PA13)를 통하여 "로우"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가 인가되면 "하이"레벨의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를 발생한다.
노드(A)가 "하이"레벨이면, 인버터들(I1, I2)은 "하이"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인버터(I3)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반전하여 "로우"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NAND게이트(NA1)는 "하이"레벨의 액티브 명령(ACT)과 "로우"레벨의 인버터(I3)의 출력신호를 비논리합하여 "하이"레벨의 제어신호(CONU)를 발생한다. NAND게이트(NA2)는 "하이"레벨의 액티브 명령(ACT)과 "하이"레벨의 인버터(I2)의 출력신호를 비논리합하여 "로우"레벨의 제어신호(CONL)를 발생한다. 그러면, CMOS전송 게이트(C1)가 온되고, CMOS전송 게이트(C2)가 오프된다.
어드레스 패드(PA13)를 통하여 "하이"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가 인가되면 인버터(I4)가 "로우"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발생되는 "로우"레벨의 신호는 CMOS전송 게이트(C1)를 통하여 전송된다. 래치(LA)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래치하고 반전하여 "하이"레벨의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를 발생한다. 반면에, 어드레스 패드(PA13)를 통하여 "하이"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가 인가되면 "로우"레벨의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부 메모리 칩(30-1)의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와 하부 메모리 칩(30-2)의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가 서로 상보적인 상태를 가지게 되어, 상부 메모리 칩(30-1) 또는 하부 메모리 칩(30-2)으로부터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의 상하로 위치한 메모리 칩들의 패드들과 외부 핀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나의 패키지내에 상하로 4개의 메모리 칩들(40-1 ~ 40-4)이 탑재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40-1 ~ 40-4) 각각은 내부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들(42-1 ~ 42-4) 및 내부 컬럼 어드레스 발생회로들(44-1 ~ 44-4) 각각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8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256Mbit 용량의 메모리 칩들(40-1 ~ 40-4)을 이용하여 만든 1G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8에 나타낸 256Mbit 용량의 메모리 칩들(40-1 ~ 40-4) 각각은 13비트의 로우 어드레스(RA0 ~ RA12), 11비트의 컬럼 어드레스(CA0 ~ CA9, CA11), 2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뱅크들(BA0, BA1), 및 4개의 데이터 입출력을 구비하여 총 메모리 용량은 213×211×4 ×4 =256Mbit가 된다. 즉, 256Mbit 용량의 메모리 칩들(40-1 ~ 40-4) 각각은 13개의 어드레스 패드들(PA0 ~ PA12)을 구비하지만, 1Gbit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256Mbit 용량의 메모리 칩들(40-1 ~ 40-4) 각각은 어드레스 패드(PA13) 및 제어 패드(DDP)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메모리 칩들(30-1, 30-2) 각각의 로우 및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미도시)는 내부 로우 및 컬럼 어드레스(IRA13, ICA13) 각각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도8의 부호들은 도6에 나타낸 부호들과 동일한 부호를 나타내고, 도6에서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칩들(40-1 ~ 40-4) 각각의 패드들과 외부의 핀들이 모두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8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라이트/리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전 칩 선택신호 핀(CSB)을 통하여 인가되는 반전 칩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40-1 ~ 40-4)이 모두 인에이블된다. 그리고, 반전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핀(RASB)을 통하여 반전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명령이 인가되고, 어드레스 핀들(A0 ~ A13)을 통하여 14비트의 로우 어드레스(RA0 ~ RA13),가 인가되고, 뱅크 어드레스 핀들(BA0, BA1)을 통하여 뱅크 어드레스가 인가된다. 이때, 내부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들(42-1 ~ 42-4) 각각은 제어 패드(DDP)의 상태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핀(A13)을 통하여 인가되는 로우 어드레스(RA13)를 입력하여 서로 상보적인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를 발생한다. 그리고, 발생되는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에 응답하여 상부 메모리 칩들(40-1, 40-2) 또는 하부 메모리 칩들(40-3, 40-4)의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미도시)가 인에이블된다.
그 후, 반전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핀(CASB)을 통하여 반전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명령이 인가되고, 어드레스 핀들(A1 ~ A13)을 통하여 13비트의 컬럼 어드레스(CA0 ~ CA9, CA11 ~ CA13), 및 1비트의 오토 프리차지 명령(CA10)이 인가된다. 이때, 내부 컬럼 어드레스 발생회로들(42-1 ~ 42-4) 각각은 제어 패드(DDP)의 상태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핀(A13)을 통하여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CA13)를 입력하여 서로 상보적인 내부 컬럼 어드레스(ICA13)를 발생한다. 그리고, 발생되는 내부 컬럼 어드레스(ICA13)에 응답하여 상부 메모리 칩들(40-1, 40-2)의 메모리 칩(40-1) 또는 메모리 칩(40-2)의 메모리 셀들(미도시)이 선택되거나, 하부 메모리 칩들(40-3, 40-4)의 메모리 칩(40-3) 또는 메모리 칩(40-1)의 메모리 셀들(미도시)이 선택된다.
이때,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핀(WEB)을 통하여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고,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라이트/리드 동작이 제어된다.
그러면, 라이트/리드 명령시에 데이터 입출력 핀들(DQ0 ~ DQ3)을 통하여 선택된 하나의 메모리 칩으로/로부터 4비트의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따라서, 도8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도6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보드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부와 하부의 메모리 칩들이 동시에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동작 전류 소모가 크지 않다.
도9는 도8에 나타낸 상부 및 하부 메모리 칩들(40-1 ~ 40-4)의 내부 로우 및 컬럼 어드레스(IRA13, ICA13) 발생회로의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도7의 구성에 인버터들(I10 ~ I16), NAND게이트들(NA3, NA4), CMOS전송 게이트들(C3, C4), 및 인버터들(I17, I18)로 구성된 래치(LAA)를 추가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9에서, 도7에 나타낸 소자들과 동일한 소자들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었다.
도9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은 도7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 설명을 참고로 하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8의 제어 패드(DDP)와 전원전압 패드(PVDD)(또는, 전원전압 핀(VDD))사이에 퓨즈(미도시)(또는, 메탈)을 연결한 경우에, 만일 퓨즈(미도시)(또는, 메탈)을 컷팅하면 노드(A)가 "로우"레벨로 고정되고, 퓨즈(미도시)(또는, 메탈)을 컷팅하지 않으면 노드(A)가 "하이"레벨이 고정된다.
노드(A)가 "로우"레벨인 상태에서, "하이"레벨의 액티브 명령(ACT)이 인가되면 "로우"레벨의 제어신호(CONU)와 "하이"레벨의 제어신호(CONL)가 발생된다. 따라서, CMOS전송 게이트(C1)가 오프되고, CMOS전송 게이트(C2)가 온된다. 이 상태에서, 어드레스 패드(PA13)를 통하여 "하이"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가 인가되면 "로우"레벨의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를 발생하고, 어드레스 패드(PA13)를 통하여 "로우"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가 인가되면 "하이"레벨의 내부 로우 어드레스(IRA13)를 발생한다.
이 후, "하이"레벨의 라이트/리드 명령(WE/RE)이 인가되면 "로우"레벨의 제어신호(CONUU)와 "하이"레벨의 제어신호(CONLL)가 발생된다. 따라서, CMOS전송 게이트(C3)가 오프되고, CMOS전송 게이트(C4)가 온된다. 이 상태에서, 어드레스 패드(PA13)를 통하여 "하이"레벨의 컬럼 어드레스(CA13)가 인가되면 "로우"레벨의 내부 컬럼 어드레스(ICA13)를 발생하고, 어드레스 패드(PA13)를 통하여 "로우"레벨의 컬럼 어드레스(CA13)가 인가되면 "하이"레벨의 내부 컬럼 어드레스(ICA13)를 발생한다.
따라서, 액티브 명령시에 "하이"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가 인가되고 리드/라이트 명령시에 "하이"레벨의 컬럼 어드레스(CA13)가 인가되면 "로우"레벨의 내부 로우 및 컬럼 어드레스(IRA13, ICA13)가 발생되어 메모리 칩(40-1)의 메모리 셀들(미도시)이 선택되고, "로우"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와 컬럼 어드레스(CA13)가 인가되면 메모리 칩(40-4)의 메모리 셀들(미도시)이 선택된다. 그리고, "하이"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와 "로우"레벨의 컬럼 어드레스(CA13)가 인가되면 메모리 칩(40-2)의 메모리 셀들(미도시)이 선택되고, "로우"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와 "하이"레벨의 컬럼 어드레스(CA13)가 인가되면 메모리 칩(40-3)의 메모리 셀들(미도시)이 선택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4개의 메모리 칩들(40-1 ~ 40-4)중 하나의 메모리 칩의 메모리 셀들(미도시)이 선택된다.
반면에, 노드(A)가 "하이"레벨인 상태에서, 액티브 명령시에 "하이"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와 라이트/리드 명령시에 "하이"레벨의 컬럼 어드레스(CA13)가 인가되면 메모리 칩(40-4)의 메모리 셀들(미도시)이 선택되고, "로우"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와 컬럼 어드레스(CA13)가 인가되면 메모리 칩(40-1)의 메모리 셀들(미도시)이 선택된다. 그리고, "하이"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와 "로우"레벨의 컬럼 어드레스(CA13)가 인가되면 메모리 칩(40-3)의 메모리 셀들(미도시)이 선택되고, "로우"레벨의 로우 어드레스(RA13)와 "하이"레벨의 컬럼 어드레스(CA13)가 인가되면 메모리 칩(40-2)의 메모리 셀들(미도시)이 선택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4개의 메모리 칩들(40-1 ~ 40-4)중 하나의 메모리 칩의 메모리 셀들(미도시)이 선택된다.
즉,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칩들(40-1 ~ 40-4) 각각의 제어 패드(DDP) 및 어드레스 패드(PA13)에 도9에 나타낸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메모리 칩들(40-1 ~ 40-4)중 하나의 메모리 칩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듀얼 다이 패키지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스택 패키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저용량의 메모리 칩 또는 패키지를 이용하여 고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제조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 가능한 방법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비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저용량의 메모리 칩 또는 패키지들을 탑재하여 고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제조하는 경우에 보드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복수개의 칩들중 하나의 칩만 동작하기 때문에 동작 전류 소모가 줄어들게 된다.

Claims (13)

  1. 저용량의 복수개의 메모리들을 탑재하고,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을 구비하는 고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 각각이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
    제어 단자; 및
    상기 제어 단자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내부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내부 어드레스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단자들,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단자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이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 각각에 모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중 하나의 메모리가 선택되어 라이트/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상기 제어 단자가 제1상태로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그대로 출력하는 제1전송수단; 및
    상기 제어 단자가 제2상태로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2전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어 단자와 전압 인가 단자사이에 퓨즈 옵션을 더 구비하여,
    상기 퓨즈를 컷팅하고 하지 않음에 의해서 상기 제어 단자의 상태가 하나의 레벨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어 단자와 전압 인가 단자사이에 메탈 옵션을 더 구비하여,
    상기 퓨즈를 컷팅하고 하지 않음에 의해서 상기 제어 단자의 상태가 하나의 레벨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m용량의 2개의 메모리들을 탑재하고,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을 구비하는 2n ×m용량의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메모리들 각각이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
    제어 단자; 및
    상기 제어 단자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로우 어드레스를 반전 또는 그대로 출력하는 내부 로우 어드레스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메모리들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단자들,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단자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이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 각각에 모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2개의 메모리들중 하나의 메모리가 선택되어 라이트/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로우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단자들을 통하여 인가되는 명령어가 액티브 명령이면 상기 제어 단자를 입력하여 서로 상보적인 제1 및 제2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회로; 및
    상기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상기 내부 로우 어드레스로 발생하고,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반전하여 상기 내부 로우 어드레스로 발생하는 내부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어 단자와 전압 인가 단자사이에 퓨즈 옵션을 더 구비하여,
    상기 퓨즈를 컷팅하고 하지 않음에 의해서 상기 제어 단자의 상태가 하나의 레벨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어 단자와 전압 인가 단자사이에 메탈 옵션을 더 구비하여,
    상기 퓨즈를 컷팅하고 하지 않음에 의해서 상기 제어 단자의 상태가 하나의 레벨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m용량의 4개의 메모리들을 탑재하고,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을 구비하는 2n ×m용량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메모리들 각각이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단자들;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
    제어 단자;
    상기 제어 단자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로우 어드레스를 반전 또는 그대로 출력하는 내부 로우 어드레스 발생수단; 및
    상기 제어 단자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를 반전 또는 그대로 출력하는 내부 컬럼 어드레스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4개의 메모리들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단자들,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단자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들이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 핀들,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 각각에 모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4개의 메모리들중 하나의 메모리가 선택되어 라이트/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로우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단자들을 통하여 인가되는 명령어가 액티브 명령이면 상기 제어 단자를 입력하여 서로 상보적인 제1 및 제2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제어신호 발생회로; 및
    상기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상기 내부 로우 어드레스로 발생하고,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반전하여 상기 내부 로우 어드레스로 발생하는 내부 어드레스 발생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컬럼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 입력단자들을 통하여 인가되는 명령어가 라이트/리드 명령이면 상기 제어 단자를 입력하여 서로 상보적인 제3 및 제4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회로; 및
    상기 제3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상기 내부 컬럼 어드레스로 발생하고, 상기 제4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반전하여 상기 내부 컬럼 어드레스로 발생하는 내부 컬럼 어드레스 발생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어 단자와 전압 인가 단자사이에 퓨즈 옵션을 더 구비하여,
    상기 퓨즈를 컷팅하고 하지 않음에 의해서 상기 제어 단자의 상태가 하나의레벨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어 단자와 전압 인가 단자사이에 메탈 옵션을 더 구비하여,
    상기 퓨즈를 컷팅하고 하지 않음에 의해서 상기 제어 단자의 상태가 하나의 레벨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02-0010540A 2002-02-27 2002-02-27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449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540A KR100449027B1 (ko) 2002-02-27 2002-02-27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0/372,336 US6927488B2 (en) 2002-02-27 2003-02-25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540A KR100449027B1 (ko) 2002-02-27 2002-02-27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027A true KR20030071027A (ko) 2003-09-03
KR100449027B1 KR100449027B1 (ko) 2004-09-16

Family

ID=3222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540A KR100449027B1 (ko) 2002-02-27 2002-02-27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27488B2 (ko)
KR (1) KR1004490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70B1 (ko) * 2004-12-10 2007-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멀티칩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칩 인에이블방법
US8228704B2 (en) 2007-02-28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cked semiconductor chip package with shared DLL sig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stacked semiconductor chip package with shared DLL sig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1970B2 (en) 2006-04-19 2013-08-27 Lexmark International, Inc. Addressing, command protocol, and electrical interface for non-volatile memories utilized in recording usage counts
US7426613B2 (en) * 2005-06-16 2008-09-16 Lexmark International, Inc. Addressing, command protocol, and electrical interface for non-volatile memories utilized in recording usage counts
US9245591B2 (en) 2005-06-16 2016-01-26 Lexmark International, Inc. Addressing, command protocol, and electrical interface for non-volatile memories utilized in recording usage counts
EP1736994A1 (fr) * 2005-06-24 2006-12-27 Axalto S.A. Mémoires à empilement pour microprocesseur avec moyen d'adressage amélioré
KR101297192B1 (ko) * 2008-11-10 2013-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칩, 및, 칩 패키지
CN112799686B (zh) * 2020-12-28 2023-11-21 广州粒子微电子有限公司 合封芯片及合封芯片烧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4447A3 (en) * 1990-04-26 1993-12-08 Hitachi Ltd Semiconductor device assembly
TW432669B (en) * 1997-04-25 2001-05-01 Sharp Kk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capable of achieving reductions in chip area and consumption power
JP2865103B2 (ja) * 1998-01-19 1999-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チップ半導体装置
US6278616B1 (en) * 1998-07-07 2001-08-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difying memory device organization in high density packages
JP3228257B2 (ja) * 1999-01-22 2001-11-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モリパッケー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70B1 (ko) * 2004-12-10 2007-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멀티칩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칩 인에이블방법
US7379380B2 (en) 2004-12-10 2008-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w power multi-chip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hip enable method thereof
US7864622B2 (en) 2004-12-10 2011-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w power multi-chip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hip enable method thereof
US8228704B2 (en) 2007-02-28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cked semiconductor chip package with shared DLL sig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stacked semiconductor chip package with shared DLL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27488B2 (en) 2005-08-09
KR100449027B1 (ko) 2004-09-16
US20050073033A1 (en)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547B1 (ko) 다양한 패키지에 대응할 수 있는 반도체 기억 장치
EP0143624B1 (en) Dynam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divided memory cell blocks
US6873563B2 (en) Semiconductor circuit device adaptable to plurality of types of packages
US6366487B1 (en) Plurality of integrated circuit chips
US5633827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llowing change of product specification and chip screening method therewith
US7420831B2 (en) Semiconductor chip and semiconductor chip package comprising semiconductor chip
JP2002025290A (ja) カラム冗長回路
US7221604B2 (en) Memory structure with repairing function and repairing method thereof
US7542359B2 (en) Semiconductor memory
KR10044902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3089247B2 (ja) I/o装置を構成する方法及び回路
KR100297630B1 (ko) 품종전환가능한반도체장치및그동작테스트방법
US7075848B2 (en) Redundancy circuit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multiblock structure
US6195299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n address exchanging circuit
US63665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defective columns of memory cells
US679189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changing an address space thereof
US61851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defective columns of memory cells
KR100385956B1 (ko) 효율적인 칼럼 리던던시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20000020259A (ko) 마이크로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에 의해서 포장되는 반도체장치
JP2000048594A (ja) フリ―デコ―ダ
KR10053420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던던시 디코더
JP2006140466A (ja) 半導体記憶装置
US6650576B2 (en) Semiconductor memory and memory board therewith
JPS63197083A (ja) 記憶素子モジユ−ル
KR19990015310A (ko) 서로 다른 메모리블락들에 공유되는 퓨즈박스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