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545B1 -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545B1
KR100383545B1 KR10-2000-7011418A KR20007011418A KR100383545B1 KR 100383545 B1 KR100383545 B1 KR 100383545B1 KR 20007011418 A KR20007011418 A KR 20007011418A KR 100383545 B1 KR100383545 B1 KR 100383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key
click sound
switch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2702A (ko
Inventor
오카가키미츠노리
니시모토유키오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토토리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339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4460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5076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53175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토토리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2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외부전원을 내부전원에 병렬로 접속하는 접속배선부(21b)와, 병렬로 접속된 내부전원 및 외부전원의 장치내로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22)와, 이그니션 스위치인 것을 검출하든가 또는 통화중이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치(22)를 제어하는 제어회로(12)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통화중에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되어 외부전원의 공급이 정지된 경우에, 내부전원을 사용하여 통화를 계속하게 한다. 또한, 수화부에 배설된 키클릭음을 송출하는 스피커(4)와, 그 스피커에서 송출되는 키클릭음의 음량을 설정하는 설정수단(12)과, 통화중이면 키클릭음을 소정 이하의 음량으로 되게 하고, 통화중이 아니면 키클릭음을 상기 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음량으로 되게 하는 제어수단(12)을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통화중에 큰 클릭음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한다.

Description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TELEPHONE DEVICE MOUNTED IN VEHICLE}
종래에는 연결된 차량의 배터리를 외부전원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에 있어서, 주차중에 이그니션 스위치를 오프로 하여도 수동 스위치에 의해 외부전원을 사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가 창안되었다. 또한 내부전원과 외부전원을 전환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되었을 때는 내부전원으로 전환되는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도 창안되었다(일본국 특허 제2,845,810호 공보). 상기 공보에는 또한 내부전원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 1 스위치와, 외부전원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 2 스위치를 구비하고, 각각의 스위치를 제어함에 따라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일 때에도 키가 조작되면 내부전원에 의해 자동적으로 장치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는 내부전원용 스위치 이외에 외부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가 별개로 필요하였다. 또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일 때, 종래의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는 어떠한 조작을 하지않으면 장치의 전원이 온으로 되지 않고, 이러한 장치의 사양을 알지 못하는 탑승자는 먼저 전원키를 조작하게 된다. 또한, 주차중,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를 단지 들기만 할 때 예를 들어 통화가능한 권역내인가의 정보와 시각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정보를 볼 수는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키가 눌린 때를 확인하기 위한 키클릭음을 수화부에서 발하는 전화장치가 창안되었다(일본국 특개소62-272738호 공보). 그러나 키클릭음은 키를 눈에서 약간(예를 들면 40cm 정도) 떨어져 보면서 조작하는 상태에 알맞은 음량으로 들리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통화중에 키가 조작되면 수화부가 귀에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매우 큰 음으로 들리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전원에서도 전원의 공급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수화부에서 키 클릭음을 발하는 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주요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속부(21)의 상세를 나타내는 배선도이다.
도 3은 도1의 실시예의 휴대전화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주요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주요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 9는 키클릭음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주요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통화중에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되어 외부전원의 공급이 정지된 경우에 내부전원을 사용하여 통화를 계속할 수 있는 차량장착용 전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중에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되어도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는 외부전원을 함께 사용하게 되므로 내부전원의 소비를 적게 할 수 있는 차량장착용 전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그니션 스위치의 오프에 의해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의 내부전원의 공급의 제어와 수동의 전원 온/오프를 하나의 스위치로 실행할 수 있는 차량장착용 전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되어 외부전원의 공급이정지되어도 전화장치를 거치부에서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내부전원을 사용하여 전화장치의 전원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키 조작을 실행하지 않고, 표시부의 정보를 알릴 수 있는 차량장착용 전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통화중에 큰 클릭음을 듣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전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용 전화장치는
장치내에 전원을 공급하는 내부전원(20)과,
차량에서의 외부전원(50)을 상기 내부전원(20)에 병렬로 접속하는 접속부(21b)와,
병렬로 접속된 상기 내부전원 및 상기 외부전원의 장치내로의 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는 스위치(22)와,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를 검출하는 이그니션 온/오프 검출수단(17)과,장치가 차량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장착검출수단(18)과,
상기 이그니션 온/오프 검출수단(17)에 의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검출하여도 통화중이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이그니션 온/오프 검출수단(17)에 의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검출하여도 상기 장착검출수단(18)에 의해 장치가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2)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화장치는
수화부(40)에 배설된 키클릭음을 송출하는 스피커(4)와, 그 스피커에서 송출되는 키클릭음의 음량을 설정하는 설정수단(12)과, 통화중이면 키클릭음을 소정 이하의 음량으로 되게 하고, 통화중이 아니면 키클릭음을 상기 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음량으로 되게 하는 제어수단(1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차량장착용 전화장치는 같은 주파수의 캐리어를 동일 셀에서 다수 이용하는 CDMA 방식의 휴대전화기 및 상기 휴대전화기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을 갖는 장착부로 구성된다.
통신부(1)는 베이스밴드부(3)에서의 신호를 안테나(2)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발신하기도 하고, 안테나(2)를 통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기도 한다.
베이스밴드부(3)는 CDMA 처리회로(31)와 음성 코덱(32)을 갖는다. CDMA 처리회로(31)는 부호분할다원접속, 스크램블, 오류 제어, 타이밍 검출을 수행한다. 음성 코덱(32)은 음성의 암호화, 복호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및 내부의 증폭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화 음량이나 마이크로폰의 감도의 변경을 수행한다.
스피커(4)는 통화의 수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증폭회로(5)에서 증폭된 베이스밴드부(3)의 전기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마이크로폰(6)은 통화의 발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증폭회로(7)는 마이크로폰(6)의 출력을 증폭시켜 베이스밴드부(3)로 출력한다. 제 2 스피커(8)는 전화기가 귀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수신음(통화내용)을 주위의 사람에게도 들리게 하기 위한(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통화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화자의 귀로만 듣기 위한 스피커(4)가 장착된 면의 배면에 장착된다. 상기 제 2 스피커(8)는 증폭회로(9)에서 증폭된 베이스밴드부(3)의 전기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제 2 스피커(8)는 또한 착신알림음을 울린다. 접속부(10)에는 카 키트(30)의 외부 스피커(301)와 외부 마이크로폰(302)이 케이블(303)(도 1 및 도 3)를 통해서 접속된다. 그 외부스피커(301)와 외부 마이크로폰(302)은 핸즈프리 통화로서 사용된다.
3개의 각 증폭회로(5, 7, 9), 접속부(10) 및 베이스밴드부(3)와 전환회로(11)의 접속은 제어회로(12)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된다. 또 이들 3개의 증폭회로(5, 7, 9)는 게인을 고정해 놓고, 수화 음량이나 마이크로폰의 감도를 변경할 수는 없다. 수화음량이나 마이크로폰의 감도의 변경은 제어회로(12)의 제어에 의해 베이스밴드부(3)의 음성코덱(32)이 행한다.
제어회로(12)는 ROM(13)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a)를 구비한 제어회로이고, 장치의 각부를 제어한다. RAM(14)은 제어회로(12)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한다.
액정표시부(15)는 전화번호, 시각, 통화권내인지 아닌지의 마크, 문자메시지의 유무, 음성메시지의 유무 등을 표시한다. 바이브레이터(16)는 제어회로(12)의 제어에 기초하여 착신시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그니션 온/오프 검출수단(17)은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를 검출하여 검출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회로(12)에 출력한다.
장착검출수단(18)은 리드 스위치나 홀 소자 등의 자기검출부(181)를 갖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차량에는 자석(401)을 구비한 장착부(40)가 고정되어 있고, 이것에 휴대전화장치가 장착되면, 자석(401)에 근접한 자기검출부(181)가 자기를 검출하고,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장착검출수단(18)이 제어회로(12)에 출력한다.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장착검출수단(18)에 의하여 휴대전화장치가 장착부(40)에서 이탈되면(S8의 NO방향), 우선 외부전원(즉, 이그니션에 기초한 전원)이 오프된 것을 알리게 되고(단계 S7), 전화기는 온 상태로 전환된다(단계 S4). 즉, 사용자가 휴대전화장치를 장착부(40)에서 들어올릴 때, 다른 조작을 하지 않고도 단순히 휴대전화장치를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휴대전화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즉, 휴대전화장치가 온이 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입력수단(19)은 전화번호의 입력 등을 행하는 텐키(191)와, 통화의 개시를 조작하는 통화키(192)와, 통화의 종료를 조작하는 종화키(193)와, 장치의 전원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전원키(194)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내부전원(20)은 충전식 전지로 되고, DC 3.6V의 전압을 출력한다. 접속부(21)는 인가되는 외부전원(50)을 내부전원과 병렬로 배선하기 위한 접속부이며, 외부전원(50)(차량의 시가 라이터 겸용 전원출력단자)은 케이블(303)을 통해서 접속부(21)와 연결된다. 외부전원(50)은 약 DC 12V로 차량의 종류에 따라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일 때 동시에 전원이 차단되는 방식과 차량의 키가 이탈되어야 전원이 차단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있다.
접속부(21)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압변환부(21a)와 접속배선부(21b)를 갖는다.
전압변환부(21a)는 외부전원(50)에서의 12V의 전압을 내부전원(20)의 전압보다도 약간 높은 전압, 예를 들면 4.1V의 전압으로 변환한다.
접속배선부(21b)는 전압변환부(21a)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출력선과, 내부전원(20)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출력선을 병렬로 접속한다. 즉, 전압변환부(21a)의 출력단자의 전위가 높은 쪽의 단자(21c)와, 내부전원(20)의 출력단자의 전위가 높은 쪽의 단자(20c)를 노드(21e)에서 서로 접속하고, 전압변환부(21a)의 출력단자의 전위가 낮은 쪽의 단자(21d)와, 내부전원(20)의 출력단자의 전위가 낮은 쪽의 단자(20d)를 노드(21f)에서 서로 접속한다.
이들 접속노드(21e 및 21f)는 스위치(22)의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치(22)는 장치 내부로의 전력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것이다. 이 스위치(22)는 전원키(194)의 동작에 따라 온/오프 제어된다. 즉, 스위치(22)가 오프 상태에서 전원키(194)가 눌려지면 스위치(22)가 온으로 되고, 그 후 전원키(194)를 떼어도 스위치(22)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한편, 스위치(22)가 온 상태에서 전원키(194)가 눌려지면 스위치(22)는 오프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요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제어회로(12)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어회로(12)는 전원이 온일 때에 전원키(194)가 눌려지면 전원을 오프로 되게 한다(S1의 YES, S2의 YES, S3). 즉, 스위치(22)를 오프로 하여 내부전원(20) 및 외부전원(50)이 장치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전원이 오프일 때에 전원키(194)가 눌려지면 전원을 온으로 되게 한다(S1의 YES, S2의 NO, S4). 즉, 스위치(22)를 온으로 하여 내부전원(20) 및 외부전원(50)의 장치 내부로의 전원의 공급을 행한다.
또한, 제어회로(12)는 전원키가 오프된 상태에서 이그니션 온/오프 검출수단(17)에 의해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을 검출하면, 전원을 온으로 되게 하고, 이그니션 스위치의 오프를 검출하면, 전원의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S4).
또한, 제어회로(12)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된 때(S5의 NO), 통화중이라면(S6의 YES),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스피커(8)의 경보 등에 의해 알리고(S7), 전원을 온으로 되게 한다(S4). 이것에 의해 통화중에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되어도 통화를 계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회로(12)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된 때(S5의 NO), 통화중이 아니라도(S6의 NO), 장착검출수단(18)에 의해 장치가 장착부(4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면(S8의 NO),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스피커(8)의 경보 등에 의해 알리고(S7), 전원을 온으로 되게 한다(S4).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사용자가 전화를 사용하기 위하여 장착부(40)에서 전화기를 들면, 전원이 온 상태로 전환되어 바로 전화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피커(8)를 통해 이그니션 스위치의 오프상태를 경보함으로 휴대전화장치가 장착부(40)에 잘못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어회로(12)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된 때(S5의 NO), 통화중이 아니고(S6의 NO), 장치가 장착부(40)에 장착되어 있으면(S8의 YES), 전원의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9).
도 5는 제 2 실시예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7은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화장치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같은 주파수의 캐리어를 동일 셀에서 다수 이용하는 CDMA 방식의 휴대전화기이다.
도 1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통신부(1)는 베이스밴드부(3)에서의 신호를 안테나(2)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발신하기도 하고, 안테나(2)를 통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기도 한다.
베이스밴드부(3)는 CDMA 처리회로(31)와 음성 코덱(32)을 갖는다. CDMA 처리회로(31)는 부호분할다원접속, 스크램블, 오류 제어, 타이밍 검출을 행한다. 음성 코덱(32)은 음성을 암호화하기도 하고, 복호화하기도 하고, 아날로그와 디지탈의 변환을 행하기도 하고, 내부의 증폭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화 음량이나 마이크로폰의 감도를 변경한다.
스피커(4)는 수화부(도 6의 40)에 설치되어, 귀에 대고 통화에 사용되는 것으로, 증폭회로(5)에서 증폭된 베이스밴드부(3)의 전기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또한, 스피커(4)는 접속 경보(connect alert)의 온 상태의 경고음(예를 들면, 삐·삐·삐, 또는 음성 합성어)이나 키클릭음을 발생시킨다. 마이크로폰(6)은 통화에 사용되는 것으로, 송화부(도 6의 60)에 배설되고,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증폭회로(7)는 마이크로폰(6)의 출력을 증폭하여 베이스밴드부(3)에 출력한다.
스피커(8)는 수화음(예를 들면, 일기예보 등)을 주위의 사람에게 들리게 하기 위한 것이고,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귀용 스피커(4)와는 음성의 출력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배설된다. 이 스피커(8)는 증폭회로(9)에서 증폭된 베이스밴드부(3)의 전기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스피커(8)는 또한 회전접속을 알리는 착신음(예를 들면, 울림음이나 멜로디)을 발생한다.
전환회로(11)는 3개의 각각의 증폭회로(5, 7, 9)와 베이스밴드부(3)와의 접속을 제어회로(12)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된다. 또 이들 3개의 증폭회로(5, 7, 9)는 게인을 고정해 놓고, 수화 음량이나 키클릭음량이나 마이크로폰의 감도 변경은 제어회로(12)의 제어에 의해 베이스밴드부(3)의 음성코덱(32)이 행한다.
제어회로(12)는 ROM(13)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a)를 구비한 제어회로이고, 장치의 각부를 제어한다. RAM(14)은 제어회로(12)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한다. 액정표시부(15)는 전화번호랑 각종 설정용 문자를 표시한다. 바이브레이터(16)는 제어회로(12)의 제어에 기초하여 착신시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입력부(19)는 전화번호의 입력 등을 행하는 텐키(191)와, 발호 및 통화의 개시 등을 조작하는 통화키(192)와, 통화의 종료를 조작하는 종화키(193)와, 수화음량을 조작하는 음량키(195)(도 7의 △키와 ∇키)와, 배면의 스피커(8)에서 수화음을 발성시키기 위한 모니터키(196)와, 표시부(15)에 표시된 문자에 대응하는 기능을 조작하는 F1키(197) 및 F2키(198) 등을 갖는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음량키(195)와 모니터키(196)는 좌측면에 배설되고, 사용자는 통화중에도 용이하게 이들 키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중에 전화기를 왼손으로 잡은 경우에는 왼손의 손바닥과 엄지 이외의 다른 손가락으로 전화기를 잡은 상태로 왼손의 엄지로 이들 키를 조작할 수 있다.
제어회로(12)는 입력부의 키가 눌려진 때 키클릭음을 스피커(4)에서 발생시킨다. 그 음량은 0(무음), 1(약), 2(중), 3(강)의 4종류(도 9 참조)이고, F1키(197)와 텐키의 소정의 조작에 의해 4종류중 하나가 설정된다. 통상은 텐키(191)를 보면서 누른 상태, 즉 키클릭음을 발생시키는 귀용 스피커(4)가 귀에서 40cm 정도 떨어진 상태에서 적당한 음량으로 되는 "중"으로 설정된다. 이들의 설정은 ROM(13)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12a)에 의해 행해진다.
다음에, 제 2 실시예의 주요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어회로(12)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우차트의 동작은 키클릭음의 발생이 요구된 때에 개시된다. 제어회로(12)는 통화중이고(S11의 YES), 키클릭음이 0(무음) 또는 1(약)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S12의 NO), 즉 키클릭음이 2(중)나 3(강)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스피커(4)로부터의 키클릭음을 1(약)로 하여 출력시킨다(S14). 이 키클릭음의 음량 제어는 제어회로(12)가 베이스밴드부(3)의 음성코덱(32)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키클릭음이 0(무음) 또는 1(약)로 설정되어 있으면(S12의 YES), 설정대로인 0(무음) 또는 1(약)로 된다(S13). 또, 통화중이 아니면(S11의 NO) 설정대로의 키클릭음을 발생시킨다(S13).
예를 들면, 키클릭음이 3(강)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화중에, 어느 것인가의 키, 예를 들면 측면에 배설된 음량키(195)나 모니터키(196)가 눌려지면, 키클릭음을 1(약)로 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수화용 스피커를 귀에 접근시키고 있는 사용자는 음량이 약인 키클릭음을 듣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키클릭음을 이어폰으로 출력시키는 전화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용 전화장치는
장치내에 전원을 공급하는 내부전원(20);
차량에서의 외부전원(50)을 상기 내부전원(20)에 병렬로 접속하는 접속부(21b)와,
병렬로 접속된 상기 내부전원 및 상기 외부전원의 장치내로의 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는 스위치(22)와,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를 검출하는 이그니션 온/오프 검출수단(17)과,장치가 차량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장착검출수단(18)과,
상기 이그니션 온/오프 검출수단(17)에 의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검출하여도 통화중이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이그니션 온/오프 검출수단(17)에 의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인 것을 검출하여도 상기 장착검출수단(18)에 의해 장치가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2)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통화중에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되어 외부전원의 공급이 정지된 경우에, 내부전원을 사용하여 통화를 계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통화중에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되어도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는, 외부전원을 사용하여 내부전원의 소비를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전원과 외부전원을 병렬로 접속하여 전원의 공급을 행하고, 이 병렬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설치한 것에 의해, 이그니션 스위치에 의해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의 내부전원의 공급의 제어와 수동의 전원 온/오프를 하나의 스위치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되어 외부전원의 공급이 정지되어도 전화장치를 장착부에서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내부전원을 사용하여 전화장치의 전원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키 조작을 실행하지 않고, 표시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화장치는
수화부(40)에 배설된 키클릭음을 송출하는 스피커(4)와, 그 스피커에서 송출되는 키클릭음의 음량을 설정하는 설정수단(12)과, 통화중이면 키클릭음을 소정 이하의 음량으로 되게 하고, 통화중이 아니면 키클릭음을 상기 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음량으로 되게 하는 제어수단(1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통화중의 키클릭음을 소정의 작은 음량으로 되게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통화중에 큰 클릭음을 듣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수화부(40)에 배설된 키클릭음을 송출하는 스피커(4)와, 그 스피커에서 송출되는 키클릭음의 음량을 설정하는 설정수단(12)과, 통화중이면 키클릭음을 소정 이하의 음량으로 되게 하고, 통화중이 아니면 키클릭음을 상기 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음량으로 되게 하는 제어수단(1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KR10-2000-7011418A 1999-02-22 2000-02-03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 KR100383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39999A JP2000244606A (ja) 1999-02-22 1999-02-22 電話装置
JP?11-43399 1999-02-22
JP?11-50765 1999-02-26
JP11050765A JP2000253175A (ja) 1999-02-26 1999-02-26 車載用電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702A KR20010042702A (ko) 2001-05-25
KR100383545B1 true KR100383545B1 (ko) 2003-05-12

Family

ID=2638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418A KR100383545B1 (ko) 1999-02-22 2000-02-03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97085B1 (ko)
EP (1) EP1071262A4 (ko)
KR (1) KR100383545B1 (ko)
CN (1) CN1294809A (ko)
CA (1) CA2325398C (ko)
WO (1) WO2000051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8274B1 (en) * 2000-03-29 2003-12-02 Tai-Her Yang Cellular phone voice interface structure
US6983169B2 (en) * 2003-03-14 2006-01-03 Motorola, Inc. Wireless device allowing for configuration of settings and method therefor
US20080075271A1 (en) * 2006-09-08 2008-03-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figurable phone option to increase or decrease ring tone volumes
CN105338180B (zh) * 2015-10-14 2019-04-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音量调节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4929A2 (en) * 1990-03-01 1991-09-04 Nec Corporation Power source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 telephone
EP0444020A1 (en) * 1987-10-19 1991-09-04 Secretary Of State For Trade And Industry In Her Britannic Majesty's Gov. Of The U.K.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Connecting rods
JPH06252821A (ja) * 1993-02-22 1994-09-09 Murata Mach Ltd 携帯電話装置
JPH10271566A (ja) * 1997-03-27 1998-10-09 Nissan Motor Co Ltd 車載オーディ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9141A (en) * 1978-08-26 1980-03-12 Viva Co Gain control arrangements
US4297534A (en) * 1980-01-03 1981-10-27 Epstein Barry M Pushbutton telephone set disabling means
US4438527A (en) * 1982-04-02 1984-03-20 Hammond William P Signal responsive automatic control for audio equipment
US4694725A (en) * 1985-09-03 1987-09-22 Ncr Corporation Sound generating system for a keyboard
JP2652952B2 (ja) * 1988-05-13 1997-09-10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源投入回路
US5170491A (en) 1988-05-13 1992-12-08 Nec Corporation Power source switch circuit
US5212811A (en) * 1988-12-07 1993-05-18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telephone in which an off operation of an operator-activated power switch is inhibited during a talk mode
US5170499A (en) * 1989-03-06 1992-12-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volume level of a radio
JPH0773387B2 (ja) * 1989-12-26 1995-08-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JP2616092B2 (ja) * 1990-01-30 1997-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源制御回路
JPH04287740A (ja) * 1991-03-14 1992-10-13 Fujitsu Ltd 車載アダプタ
JPH0595394A (ja) * 1991-10-01 1993-04-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用車載ホルダー
JP3151280B2 (ja) * 1992-03-02 2001-04-03 株式会社東芝 無線電話装置
JP3257022B2 (ja) * 1992-04-07 2002-02-18 株式会社東芝 ボタン電話装置
US5450618A (en) * 1992-04-30 1995-09-12 Motorola, Inc. Full duplex and half duplex communication unit with volume setting
GB2269500B (en) * 1992-07-02 1996-02-07 Motorola Israel Ltd Radio communications device
FI92782C (fi) * 1993-02-09 1994-12-27 Nokia Mobile Phones Ltd Matkapuhelimien asetusten ryhmittely
JPH07175566A (ja) * 1993-12-20 1995-07-14 Kokusai Electric Co Ltd ワークステーションにおけるベル・キークリック制御方式。
US5381460A (en) * 1993-12-30 1995-01-10 Uniden America Corp., Monitor mode in a portable telephone
WO1995023476A1 (en) * 1994-02-28 1995-08-31 Kelman Charles D Sound emitting keypad accessory for a car phone
US5606597A (en) * 1994-04-25 1997-02-25 Lucent Technologies Inc. User programmable configuration of a telephone
JP2845130B2 (ja) * 1994-05-13 1999-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
WO1996019069A1 (en) * 1994-12-12 1996-06-20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 cellular telephone with voice feedback
JP3028920B2 (ja) * 1995-06-21 2000-04-0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電話機
JP3191037B2 (ja) * 1995-08-25 2001-07-2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FI101846B1 (fi) * 1995-10-13 1998-08-31 Nokia Mobile Phones Ltd Näppäimistölukon aktivointi
US6006114A (en) * 1995-11-06 1999-12-21 Nokia Mobiles Phones Limited Radiotelephone enabling adjustment of alerting indicator volume/level during incoming calls
DE19623097B4 (de) * 1996-06-10 2005-07-21 Deutsche Telekom Ag Telekommunikations-Endgerät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Ruftonmelodie
IT1286478B1 (it) * 1996-12-02 1998-07-08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Metodo di regolazione del volume e della sensazione sonora in un dispositivo audio
JP3606348B2 (ja) * 1997-03-18 2005-0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6002763A (en) * 1998-02-02 1999-12-14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Telephone with a mute ringer function having an automatic ringer reactivation capabi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4020A1 (en) * 1987-10-19 1991-09-04 Secretary Of State For Trade And Industry In Her Britannic Majesty's Gov. Of The U.K.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Connecting rods
EP0444929A2 (en) * 1990-03-01 1991-09-04 Nec Corporation Power source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 telephone
JPH06252821A (ja) * 1993-02-22 1994-09-09 Murata Mach Ltd 携帯電話装置
JPH10271566A (ja) * 1997-03-27 1998-10-09 Nissan Motor Co Ltd 車載オーディ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97085B1 (en) 2002-05-28
EP1071262A1 (en) 2001-01-24
CA2325398C (en) 2004-12-28
WO2000051314A1 (fr) 2000-08-31
EP1071262A4 (en) 2004-11-17
CN1294809A (zh) 2001-05-09
CA2325398A1 (en) 2000-08-31
KR20010042702A (ko) 200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000B1 (ko) 무선통신장치
KR100383545B1 (ko) 차량 장착용 전화장치
JP3573998B2 (ja) 携帯電話装置
KR200247574Y1 (ko) 휴대폰 단말기에 악서세리로 부착하는 스피커 폰
JPH10224449A (ja) 携帯電話ハンズフリー装置
US200301487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n external audio system with a communication device
JPH03198436A (ja) 無線電話装置
JP2006217259A (ja) 携帯電話装置
EP134935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xternal audio system with a communication device
JP3631057B2 (ja) 車載用電話装置
JP3042241U (ja) ラジオ付き携帯型電話器
JP3289453B2 (ja) 信号切換装置
JPH09162772A (ja) 携帯無線機
JP2560884B2 (ja) 携帯無線電話機
KR200270494Y1 (ko) 벨소리 증폭장치를 갖는 핸드폰용 핸즈프리
JP2000253175A (ja) 車載用電話装置
KR960008062Y1 (ko) 페이져의 보청장치
KR1004969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조절 방법
JP2000224274A (ja) 携帯電話装置
KR200225634Y1 (ko) 유무선 겸용 핸즈프리 장치
JPH10233834A (ja) 携帯電話装置
KR20010019785A (ko)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JPH0998205A (ja) 携帯無線電話機の呼び出し装置
JPH10190810A (ja) 車載電話の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
KR20010084177A (ko) 무선 핸즈프리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