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9785A -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9785A
KR20010019785A KR1019990036376A KR19990036376A KR20010019785A KR 20010019785 A KR20010019785 A KR 20010019785A KR 1019990036376 A KR1019990036376 A KR 1019990036376A KR 19990036376 A KR19990036376 A KR 19990036376A KR 20010019785 A KR20010019785 A KR 20010019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obile phone
terminal
connection
integrated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0409B1 (ko
Inventor
조철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6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409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8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for a headse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는 휴대전화측 연결단자와 휴대용 음향기기측 연결단자를 구비하여, 휴대전화 연결과 휴대용 음향기기와의 연결을 스위칭 한다. 이로 인해 단일의 이어폰 구성으로 휴대전화 기능과 휴대용 음향기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INTEGRATED EARPHONE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 전화의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용 이어폰(Earphone)은 소음이 심한 외부환경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휴대전화용 이어폰을 착용함으로 인하여, 수신벨 신호를 쉽게 인식하며 또한 주위 소음에 지장을 받지 않고 상대측과 통화를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항상 휴대전화용 이어폰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을 하여 꼭 필요한 전화를 받아야 하는 경우 또는 주위 소음이 커서 전화벨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경우에 휴대전화용 이어폰을 사용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휴대전화용 이어폰은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상기 휴대전화용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휴대전화용 이어폰과 휴대용 음향기기에 구비되는 이어폰이 통합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한 두 이어폰을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며, 휴대전화와 휴대용 음향기기를 휴대하는 경우 상기한 두 이어폰을 각각 보관하여야 하여,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 특히 라인형태의 이어폰 보관자체도 편리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단일 이어폰 구성으로 동시에 휴대전화 기능과 휴대용 음향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합 이어폰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전화측 연결단자와 휴대용 음향기기측 연결단자를 구비하며, 통합 이어폰과 휴대전화와의 연결 또는 통합 이어폰과 휴대용 음향기기와의 연결을 스위칭 하여, 단일 이어폰 구성으로 동시에 휴대전화 기능과 휴대용 음향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합 이어폰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전화의 이어폰 연결장치가, 휴대전화측 연결단자와 휴대용 음향기기측 연결단자와, 상기 휴대전화 연결단자로부터 전화벨 음을 출력제어신호로 입력하여 상기 전화벨 음을 통합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제1스위치부와, 상기 통합 이어폰과 상기 휴대전화와의 연결 또는 상기 통합 이어폰과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와의 연결을 스위칭 하는 제2스위치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이어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이어폰 장치를 도시한다.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120)는 휴대전화(110) 측의 연결단자(115)와 휴대용 음향기기(140) 측의 연결단자(145)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120)는 휴대용 음향기기(140)로부터의 음향신호를 통합 이어폰(130)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신호 및 상대측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140)를 이용하여 음악 감상 등을 하는 도중에 휴대전화(110)로부터 전화벨 소리를 듣게 되면, 사용자는 특정 기능키, 스위치를 선택하여 통화를 할 수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는 휴대전화측 연결단자(115)와 휴대용 음향기기측 연결단자(145)를 구비하여, 통합 이어폰(130)과 휴대전화(110)와의 연결 또는 통합 이어폰(130)과 휴대용 음향기기(140)와의 연결을 스위칭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는 휴대전화 연결과 휴대용 음향기기 연결의 스위칭을 수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 이어폰 구성으로 동시에 상기 휴대전화 기능과 휴대용 음향기기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한편, 음향기기용 이어폰은 스테레오 구조(Left, Right, Ground)를 가지며, 휴대전화용 이어폰은 모노(Mono) 구조(Ear, Ground)에 마이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에 구비되는 스피커 단자(211), 그라운드 단자(213) 및 마이크 단자(215)는 휴대전화측 연결단자(115)에 연결되며, 오른쪽 단자(217), 그라운드(219) 및 왼쪽 단자(221)는 휴대용 음향기기측 연결단자(145)에 연결된다.
제1스위치(231)는 휴대전화측 연결단자(115) 또는 휴대용 음향기기측 연결단자(145)와의 물리적인 연결을 스위칭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 동작은 사용자의 수 동작에 의해서도 수행 가능하며, 또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스위치(231)는 스피커 단자(211) 또는 오른쪽 단자(217)를 스위칭 하여 통합 이어폰(130)의 오른쪽 단자(223)로 연결한다. 이와 동시에 제1스위치(231)는 마이크 단자(215) 또는 왼쪽 단자(221)를 스위칭 하여 통합 이어폰(130)의 왼쪽/마이크 단자(227)로 연결한다.
제2스위치(229)는 스피커 단자(211)로부터의 호출음 또는 전화벨 음을 출력제어 신호로 입력하고, 상기 호출음 또는 전화벨 음을 오른쪽 단자(223)로 출력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휴대용 음향기기(140)를 이용하고 있는 중에도 상기 호출음을 들을 수가 있다. 이때, 사용자는 특정 기능 키 또는 스위치를 선택하여, 제1스위치(231)의 휴대전화측 연결단자(115)로의 연결을 스위칭 할 수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출력제어신호가 제1스위치(231)로 직접 입력되어, 자동으로 연결이 스위칭 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는 사용자의 음향기기 사용중 호출 메시지가 입력되면 미리 녹음된 안내 메시지를 통합 이어폰(13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음향기기용 이어폰처럼 액정 디스플레이나 볼륨 컨트롤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는 휴대전화측 연결단자와 휴대용 음향기기측 연결단자를 구비하여, 휴대전화 연결과 휴대용 음향기기와의 연결을 스위칭 한다. 이로 인해 단일의 이어폰 구성으로 휴대전화 기능과 휴대용 음향기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휴대전화의 이어폰 연결장치에 있어서,
    휴대전화측 연결단자와,
    휴대용 음향기기측 연결단자와,
    상기 휴대전화측 연결단자 또는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측 연결단자를 스위칭 하여 통합 이어폰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휴대전화 연결단자를 통한 전화벨 음의 제공 여부에 의해 상기 전화벨 음이 상기 통합 이어폰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 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이어폰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가,
    사용자의 조작으로 인해 입력되는 기능 키에 의해 스위칭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이어폰 연결장치.
KR1019990036376A 1999-08-30 1999-08-30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KR100640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376A KR100640409B1 (ko) 1999-08-30 1999-08-30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376A KR100640409B1 (ko) 1999-08-30 1999-08-30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785A true KR20010019785A (ko) 2001-03-15
KR100640409B1 KR100640409B1 (ko) 2006-10-31

Family

ID=1960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376A KR100640409B1 (ko) 1999-08-30 1999-08-30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268A (ko) * 2000-02-01 2001-08-17 정명식 음향기기와 휴대폰 겸용 이어폰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22Y1 (ko) 2018-08-02 2019-07-26 양도경 무선 이어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268A (ko) * 2000-02-01 2001-08-17 정명식 음향기기와 휴대폰 겸용 이어폰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409B1 (ko) 200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2727B2 (ja) イヤホン
US6819939B2 (en) Cellular phone with high-quality sound reproduction capability
JPH0591584A (ja) イヤホン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KR100640409B1 (ko)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KR200426903Y1 (ko) 음향기기 및 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절환장치
JP2002027029A (ja) 通信端末装置
JP2005020435A (ja) 拡声機能付き移動電話機、拡声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9990046770A (ko) 송,수화기능을갖는핸드폰용이어폰
JPH10200990A (ja) 携帯音響機器用イヤホン装置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H04200045A (ja) 携帯電話装置
JPH09247249A (ja) 携帯電話機
KR200189835Y1 (ko) 다용도 음성신호 입출력 보조장치
KR200218614Y1 (ko) 오디오 입출력장치
KR200300096Y1 (ko) 이동형 음향기기 및 휴대전화 공용 이어폰 세트
JP3042241U (ja) ラジオ付き携帯型電話器
KR200225435Y1 (ko) 핸드프리 이어마이크 겸용 헤드폰
KR20030076498A (ko) 휴대용전화기와일반음향기기를함께사용하도록음향장치연결용플러그를갖는음향기기 겸용 스테레오 핸즈프리
JPH09167975A (ja) 携帯無線機
KR200193999Y1 (ko) 휴대폰의 호출신호음 전환장치
JPH066285A (ja) 携帯電話機
RU53469U1 (ru) Аудио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вывода для персонального компьютера
KR200303889Y1 (ko) 휴대 전화 핸즈프리기능이 내장된 컴퓨터용 헤드폰세트
KR200191769Y1 (ko) 마이크 겸용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