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811B1 - 초음파가스현탁물의저장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가스현탁물의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811B1
KR100382811B1 KR1019960704432A KR19960704432A KR100382811B1 KR 100382811 B1 KR100382811 B1 KR 100382811B1 KR 1019960704432 A KR1019960704432 A KR 1019960704432A KR 19960704432 A KR19960704432 A KR 19960704432A KR 100382811 B1 KR100382811 B1 KR 100382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microbubbles
gas
suspensions
suspens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1066A (ko
Inventor
펭 얀
미셸 슈나이더
쟝 브라쇼뜨
Original Assignee
브라코 리서치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183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8281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브라코 리서치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브라코 리서치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97070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1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22Echographic preparations; Ultrasound imaging preparations ; Optoacoustic imaging preparations
    • A61K49/222Echographic preparations; Ultrasound imaging preparations ; Optoacoustic imaging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liposomes
    • A61K49/223Microbubbles, hollow microspheres, free gas bubbles, gas microsphe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담체 액체가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것인 유용한 첨가제 및 안정제를 함유하는 냉동 수성 담체 액체내에 고정된 미세 가스 기포의 현탁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고정된 미세 가스 기포는 소실성의 외피 또는 실체적인 막에 의하여 결합된 미세 기포이다. 본 발명의 현탁물은 액체 형태로 존재할 때 주사가능하며 생체의 혈액풀 및 조직의 초음파 화상 진단에 있어서 조영제로서 유용하다. 미세 가스 기포는 평균 크기가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인 미세 기포의 현탁물을 -1˚C 내지 -76˚C의 온도로 냉동시키고, 이 온도를 장시간 동안 유지시킴으로서 담체 중에 고정된다. 이 미세기포는 박판 인지질과 같은 계면 활성제에 의하여 안정화될 수 있거나,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 또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막을 함유할 수 있다. 미세 기포 현탁물의 냉장 방법 및 그의 용도가 또한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초음파 가스 현탁물의 저장 방법{METHOD OF STORAGE OF ULTRASONIC GAS SUSPENSIONS}
최근 초음파 조영제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인체나 동물체의 기관 및 조직 의 초음파 화상 진단에 있어 유용한 수많은 다양한 조성물들이 양산되어 왔다. 이 들 조영제들은 초음파 검사 의료 장치의 사용과 더불어 주로 동맥내 또는 정맥내 주사액으로서 사용되도록 고안되어져 있다. 이들 장치들은 전형적으로 B-양식의 영상 형식 (후방 산란 조직 특성의 공간 분포에 기초함)과 도플러 신호 조작 (혈액이나 액체의 유동 변수를 결정하기 위한 초음파 반향의 연속파 또는 펄스화된 도플러 조작에 기초함)으로 분류된다. 장래에는 이들 조영제로 인하여 다른 초음파 화상 진단 방법들도 또한 유용하게 될 것인데, 그의 예를 들면 초음파 컴퓨터 단층 촬영 (전송시의 감쇠율을 측정함), 또는 회절식 컴퓨터 단층 촬영 (각반사시에 산란 및 감죄 변수를 측정)이 있다. 수용액 담체 중에 현탁시킨 미세 가스 기포(gas microbubb1e)의 현탁물을 기준으로 하여, 이러한 주사 가능한 조성물들은 기본적으로 다음의 두가지 범주로 나뒤어 질 수 있다. 즉, 미세 가스 기포가 가스/ 액체 계면에 의하여 경계지워지거나, 액체의 분자들을 감싸는 소실성의 외피와 계면활성제가 가스 대 액체 계면에 느슨하게 결합된 수성 현탁물, 및 미세 기포가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로 형성된 실체적인 외피 또는 유형의 경계를 갖는 현탁물로 나뒤어 질 수 있다. 후자의 현탁물인 경우, 미세 기포는 마이크로발룬(microba11oon)으로 언급된다. 그러나, 이와는 다른 종류의 초음파 조영제들이 있다. 즉, 미립자의 공극 중에 포획된 미세 가스 기포를 운반하는 중합체 또는 다른 고체의 다공성 입자들의 현탁물이 있다. 이러한 조영제들을 본 명세서에서는 마이크로발룬류의 변종으로 간주한다. 비록 물리적으로는 서로 다르지만, 상기 두 종류의 미세 가스 기포들은 현탁물 중에 존재할 때 초음파 조영제로서 유용하다. 이러한 서로 다른 조성물들에 대해서는 유럽 특허 공개 제O O77 752호 (Schering), 동 제O 123 235호 (Schering), 동 제0 324 938호 (Widder et a1.), 동 제O 474 833 호 (Schneider et a1.), 동 제0 458 745호 (Bichon et a1.), 미국 특허 제 4,900,540호 (Ryan), 동 제5,230,882호 (Unger) 등에서 그 설명을 더욱 찾아 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초음파 조영제들 중 특정의 조영제들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반면, 다른 것들은 상이한 단계의 임상 시험 중에 있다. 그러나, 시판되는 것이 든, 임상 시험 중인 것이든지, 이들 제품들은 모두 저장과 관련된 문제들을 겪고 있다. 저장의 문제는 현탁물에 고유한 것인데, 그들의 바로 그 성질로 인하여 상 분리 또는 격리, 가스 기포의 옹집, 가스 확산과, 장시간 후에 여러 첨가제가 침전되는 문제를 겪고 있다. 미세 가스 기포 또는 마이크로발룬의 분리 현장은 현탁물이 전형적으로 크기가 약 1 μm에서 약 50 μm인 구경 측정이 불가능한 미세 기포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공지된 현탁물에서 가스 기포의 대부분은 1 μm과 약 1O μm 사이인 것으로 나타난다. 미세 기포의 크기 분포로 인하여, 저장 동안 이러한 현탁물들은 분리가 되어지는데, 보다 큰 미세 기포는 상층부로 이동해가고, 보다 작은 미세 기포는 하부에 모이게 되어, 종종 완전한 상 분리를 야기하게 된 증점제 사용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는데, 분리의 비율은 감소시킬 수 있지만, 분리 자체를 막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 가스 기포의 응집은 보다 큰 기포들이 작은 것들을 흡수하여 크기가 더 커지는 과정이다. 상 분리와 더불어 이 과정은 가속되어, 크기가 예를 들어 2 μm 내지 8 μm인 미세 기포의 현탁물이 잠시 후에 크기가 예를 들어 5 μm 내지 12 μm 또는 그 이상인 미세 기포의 현탁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는 심장 좌측을 혼탁시킬 것을 의도한 현탁물 및 구경 측정이 가능한 미세 기포의 현탁물이 관련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크기의 변화는 조영제의 초음파 반향성을 변경할뿐만 아니라, 또한 미세 기포가 폐를 통과하는 것에 기초한 것과 같은 특정의 응용 분야에 조영제를 적용할 수 없게 한다. 크기가 1O μm 이상이 되는 미세 기포는 폐의 모세관을 통과하지 못할 것이므로, 위험스런 장황을 일으키는 것과 더불어, 이와 같은 현탁물은 심장 좌측의 화상 진단에 보다 적합하지 못한 것이다.
가스 현탁물 및 그의 저장과 관련된 다른 문제는,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일어나지만 상분리를 촉진시키는 가스 확산에 기인한다. 미세 기포 현탁물로부터 불가피하게 가스가 이탈하는 것이 보다 더 심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매질의 완전 가스 고갈로 이르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메카니즘들의 가스 현탁 물의 파괴에 대한 복합 효과로 말미암아 조영제는 매우 빠르게 분해된다.
초음파 화상 진단에 대한 몇몇 접근법에 있어서, 이러한 조영제의 바람직한 면 중의 하나는 미세 기포 또는 가스 함유 입자가 츰춤한 크기 영역 내에 분포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초음파 검사 의료 장치에 의하여 생성되는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는 이와 같은 조영제의 유효성은 주로 유입된 초음파 에너지의 크게 향상된 산란성에 근거하며, 둘째로 이러한 조영제들을 함유한 조직의 변형된 감죄 특성에 근거한다. 콘트라스트란 조영제를 받지 않은 영역으로부터의 신호 진폭에 대한, 조영제가 살포된 영역으로부터 얻어지는 상대 신호 진폭의 측정치를 의미한다. 산란성의 향상이란 조영제의 투여전에 관찰된 콘트라스트에 비하여 조영제 투여 후에 측정된 콘트라스트 값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바와 같이, 이러한조영제들로부터 가장 직접적으로 유익한화상 진단장치의 형태는 초음파 검사 장치군 (B-양식 또는 도플러)이다. 조영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에 비하여 조영제를 함유한 조직의 서로 다른 감죄 특성들은 또한 화상 진단 과정의 진단 가치를 향상시키도록 개발되어질 수 있다. 게다가, 조영제의 산란 특성과 감죄 특성 모두의 초음파 주파수 의존성은 공간적인 조직 식별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개발되어질 수 있다. 이들 경우, 상기의 주파수 의존성을 지배하는 물리적 법칙들은 구조적으로 미세 기포 또는 입자 크기에 의존하게 된다. 즉, 사용되는 연산 방식은 츰좀한 크기 분포를 지닌 미세 기포 또는 입자들로부터 발생된 반향에 작용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예로써, 어느 한 접근 방법은 기본 여기 주파수의 두 번째 진동시에 반향 주파수 성분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미세 기포의 비선형 진동을 탐구한다. 조영제를 함유하지 않은 조직은 미세 기포와 동일한 비선형의 거동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이 방법은 조영제를 함유하지 않은 영역과 조영제를 함유한 영역 사이의 콘트라스트를 두드러지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단위 체적당 주어진 입자수에 대하여 이와 같은 콘트라스트의 향상은 크기가 좁게 분포된 경우에 더욱 명백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좁은 크기 분포를 갖는 생성물을 제조하는 것은 시간소모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경 측정이 가능한 현탁물의 준비된 공급물을 제공한다면 그 이상의 개발과 이 기술의 사용을 크게 촉진시킬 것이다. 따라서, 변화하지 않는 크기 분포를 갖는 이와 같은 제제를 신뢰할 수 있게 저장하는 것은 또한 대단히 흥미로운 것이다.
수성 가스 현탁물의 저장에 있어서 또다른 난점은 미세 가스 기포의 안정제로서 인지질을 함유한 초음파 조영제와 관련된다. 인지질의 가수분해로 인하여, 저장 동안 안정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일정하게 감소하며, 미세 기포 함량의 손실과 현탁물의 반향 특성의 감소를 야기한다. 그래서 미세 가스 기포 현탁물로 이루어진 초음파 조영제의 저장 문제는 지금까지 미해결된 상태로 남아 있다.
동결에 의한 수성 가스 현탁물의 냉장은 식품 산업에서 오랜동안 알려져 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 347, 707호 (Genera1 Foods Corp.) 에는 액체에 현탁된 가스 수화물 복합체가 형성되는 합력과 온도에서 수용액을 수화물 형성 가스와 접촉시킴으로써 기화 얼음을 제조하고, 온도와 압력을 조절하여 하락시켜서 예를 들어 85-11O m1 CO2/g의 탄산화된 얼음을 생성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양호한 저장 안정도와 높은 가스 함량으로 기화된 얼음을 저장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에 의하면, 기화된 얼음은 높은 가스 함량을 가지고, 연장된 저장 안정도를 갖고 있어서, 냉동 상태에서 상업적으로 유통시키는 데에 적합하고, 물 중에 놓아 둘 때에 격렬한 발포를 제공한다.
따라서 가스 현탁물을 장기간 동안 저장하기 위해서 가스 현탁물을 냉동하는 것과, 필요할때 보존된 현탁물을 재사용하는 것은, 현탁된 가스가해동 동안에 담체 매질로부터 이탈하려는 경향을 가지기 때문에, 초음파 조영제에 적합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세 기포의 냉동 가스 현탁물과 관련된 또다른 난점은 냉동 동안 담체 매질의 확장이 미세 기포의 외피를 간단히 파괴 또는 분쇄시켜 포획된 가스를 유리시키고, 저장 동안 또는 그 후 현탁물의 해동 동안에 가스를 이탈시키는 내력을 창출한다는 사실에 있다. 이러한 문제는 유형의 또는 실체적인 외피를 가지는 미세 기포의 현탁물에서 특히 심각하다.
발명의 요약
간단하게 요약하면, 본 발명은 통상의 첨가제와 함께 가스 기포를 함유하는 담체 매질이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인 냉동 수성 담체 매질 내에 고정된 가스 기포의 냉동 현탁물에 관한 것이다. 고정된 가스 기포는 소실성 외피 또는 실체적인 막에 의해 결합된 미세 기포이고, 현탁물은 액체 형태로 존재할 때 생체에 주사될 수 있고, 인간이나 동물 환자의 혈액풀 및 조직의 초음파 화상 진단을 위한조영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동 현탁물의 온도는 -1℃ 내지 -196℃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6℃이며, 미세 가스 기포의 크기는 5O 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μm 이하이다. 미세 기포의 크기가 2 μm내지 9 μm인 현탁물이 특히 유용하며, 크기가 3μm 내지 5 μm인 미세 기포의 현탁물이 훨씬 더 유용하다.
막이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 또는 단백질로 구성된 실체적 외피가 있는 미세 가스 기포 또는 마이크로발룬을 함유하는 현탁물과, 소실성 외피가 있는 미세 가스 기포를 함유하는 현탁물 사이의 생분해도차를 고려하면, 후자의 냉동 현탁물이 더 유용 할 것이고, 특히 단일 또는 복수개 분자 막층 형태의 박막 인지질이 사용될 때 더 그러하다.
또한, 본 발명은 현탁물을 냉각 장치 중에 놓고, 현탁물의 응결점 이하의 온도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96℃,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6℃로 냉각함으로써 담체 매질 내에 미세 기포를 고정시키고, 냉동 조건을 장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미세 기포 현탁물의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의로는, 냉동 현탁물을 불활성 가스, 또는 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세 기포에 봉입된 가스인 가스들의 혼합물의 대기 하에 놓을 수 있다. 가스는 할로겐 함유 가스, 공기,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또는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관과조직의 초음파검사화장 진단을 위한본 발명의 주사가능한현탁물의 용도 및 초음파 조영제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냉동 수성 담체 매질 내에 고정된 가스 기포의 현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스 기포 현탁물의 냉장 방법과 인체와 동물체의 초음파 화상 진단을 위한 조영제로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저장 온도에 따른 수성 담체 매질 중의 SF6및 C5F12미세 기포 5%를 함유한 공기의 해동 현탁물 중의 기포 농도 (수) 변화의 플롯도.
도 2는 저장 온도에 따른 수성 담체 매질 중의 SF6및 C5F12미세 기포 5%를 함유한 공기의 해동 현탁물의 전체 가스 부피의 변화의 플롯도.
도 3은 적용된 외부 압력과 저장 온도에 따른 해동된 미세 기포 현탁물의 흡광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도.
도 4는 서로 다른 온도에서 저장한 후에 해동 현탁물에 적용된 외부 압력에 따른 상대 흡광도의 변화를 나타낸 다이어그램도.
도 5는 3 μm, 4 μm 및 6 μm의 평균 크기의 구경 측정이 가능한 미세 기포의 수 (도 5a) 및 가스 부피 (도 5b) 면에서의 미세 기포의 크기 분포를 나타낸 다이어그램도.
도 6은 구경 측정이 불가능한 미세 기포의 샘플에 대한 수 (도 6a) 및 가스 부피 (도 6b) 면에서의 미세 기포의 크기 분포를 나타낸 다이어그램도.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 기포 이외에 통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미세 기포 가 냉동 수성 담체 매질 내에 고정된 미세 가스 기포의 냉동 현탁물이 제공된다. 수성 담체는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하며, 액상 형태로 존재할 때 현탁물은 생체에 주사가능하고, 인간과동물 환자의 혈액풀과 조직의 화상 진단을 위한초음파 조영제로서 유용하다. 소실성 외피 또는 실체적인 막에 의하여 결합된 고정화 미세 가스기포는 온도가 -1℃ 내지 -196℃,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6℃인 냉동 담체 매질의 분자들 사이에 포획된다. 사용되는 정확한 온도 범위는 미세 기포 내의 가스의 선택에 의존될 것이고, 또한 사용되는 첨가제의 종류 또는 양에 의존될 것이다.
즉, 예를 들어 공기 또는 질소의 경우에 온도는 -1℃ 내지 -196℃에 있을 것이며, 반면 C4F8의 경우에는 -1℃ 내지 -5℃일 것이다. 현탁물에 존재하는 총량에 의존하는 첨가제로서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사용될 때, 허용 가능한 최고의 온도는 -1℃ 대신에 -5℃ 또는 심지어 -10℃가 될 수 있다.
현탁물 내 대부분의 미세 기포의 크기는 전형적으로 5O μm이하이지만, 정맥 내 주사 가능한 조영제인 경우 미세 기포의 크기는 1O μm 이하가 바람직할 것이다.
대부분의 투여에 있어서, 2μm 내지 9 μm의 크기 분포를 가진 미세 기포의 현탁물이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지만, 구경 측정이 가능한 미세 기포의 현탁물을 취급하는 경우에 그 크기는 그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2-4 μm, 3-5 μm, 4-6 μm, 5-7 μm, 6-8 μm, 7-9 μm 사이이지만, 3 μm 내지 5 μm 크기 범위의 미세 기포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매우 좁은 크기 분포를 가진 미세 기포의 냉동 현탁물을 제공한다. 구경 측정이 가능한 미세 기포의 현닥물의 전형적인 미세 기포 크기 분포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데, 도 5a에서는 크기 분포가 미세 기포의 수분포(쿨터 카운터에 의하여 측정)의 의미로 주어지고, 도 5b에서는 미세 기포의 부피 분포 (쿨터 카운터에 의해 측정)의 의미로 주어진다. 구경 측정 가능한 미세 기포를 함유하는 현탁물과는 대조적으로, 구경 측정이 불가능한 가스 기포을 함유하는 현탁물은 전형적으로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것과 비슷한 수 및 부피 크기 분포 패턴을 가질 것이다. 이들 도면들로부터 구경 측정이 가능한 미세 가스 기포로부터 만들어진 초음파 검사 반응 현탁물들은 구경 측정이 불가능한 미세 기포로 된 현탁물보다 더 균일하게 될 것이며, 덜 산란되어 결국 더 선명한 영장을 제공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경 측정이 가능한 현탁물들은 매우 바람직하지만, 그의 사용은 아직까지는 매우 제한적이다. 즉, 이들 바람직한 현탁물들은 초기의 초음파 반향성의 바람직하지 않은 손실 없이 장시간 동안 저온에서 저장될 수 있는 냉동 현탁물의 단순한 전환을 통하여 이제 용이하게 이용 가능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기본 주파수에서 초음파 반향 신호 성분을 2회 발생시키기 위하여, 두번째 고조파 영상화는 조영제의 비선형 진동을 필요로 한다는점에 있다. 이와 같은 거동은 초음파 여기 수준이 조직 내의 어떤 깊이에서 특정 의 음향역을 초과하도록 한다. 비선형 진동 동안에, 주파수 변환이 발생하여 기본 여기 주파수에서 두번째 고조파까지 음향 에너지의 변환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태의 영상화 동안에, 미세 기포에 전송된 상당량의 에너지는 이들 조건에서도 생존 가능한 충분한 내성 있는 미세 기포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압력 변화에 양호한 내성을 갖는 미세 기포를 함유한 현탁물에 이르는 쉽고 편리한 방법을 제공하여, 이들이 이제 사전에 제조되어, 저장되어서, 필요한 때 사용될 수 있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동 현탁물은 미세 가스 기포 이외에, 다양한 계면 활성제, 증점제, 안정제 등을 포함하는 첨가제들을 포함한다. 필름 형성 및 필름 비형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는 계면 활성제들은 미세 기포의 소실성 가스/액체 외피를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박판 또는 박층 형태의 인지질을 포함한다. 박판 인지질은 단일 또는 복수개 분자의 막층 또는 리포좀의 형태일 수 있다.
미세 기포의 형태에 따라, 즉 소실성 외피 또는 실체적 막에 따라, 담체 매질은 첨가제로서 수화제 및(또는) 친수성 안정제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탄수화물, 예를 들어 갈락토스, 락토스 또는 수크로스, 텍스트란, 전분, 및 다른 다당류 또는 다른 통상의 첨가제, 예를 들어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과 그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지방 알코올과 폴리옥시 알킬렌 글리콜과의 에테르; 지방산과 폴리옥시알킬화 소르비탄과의 에스테르; 비누; 글리세롤-폴리알킬렌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폴리옥시에틸렌 리시놀레에이트;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에톡실화 대두유 및 피마자유 및 수소화 유도체; 수크로스 또는 다른 탄수화물과 지방산, 지방 알쿄올 (이들은 폴리옥시알킬화될 수 있음)과의 에테르 및 에스테르;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대두유 및 수크로스의 글리세라이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필름 형성 및 필름 비형성성일 수 있고, 리놀레일-레시틴 또는 폴리에틸렌 도데카노에이트 형태의 중합 가능한 양친성 화합물을 포함할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는 필름 형성성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파티드산,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틸이노시톨, 카디올리핀, 스핑고미엘런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인지질이다. 언급된 필름 형성 계면 활성제 이외에, 현탁물은 지방산, 지방산 및 알쿄올의 폴리올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화 당 및 다른 탄수화물, 및 폴리알킬렌화 글리세롤)과의 에스테르 및 에테르로부터 선택된 비박층상 계면 활성제를 5O 중량% 이하로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물질로는 디세틸포스페이트, 콜레스테롤, 에르고스테롤, 피토스테롤, 시토스테롤, 라노스테롤, 토코페롤, 프로필 갈레이트,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및 부틸화 히드록시툴루엔이 있다.
본 발명은 소실성의 외피를 가진 미세 가스 기포의 현탁물에만 제한되는 갖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인지질,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 또는 단백질로부터 제조된 외피를 가진 다공성 입자, 리포좀 또는 마이크로발룬과 같은 가스로 충전된 적합한 입자들은 어느 것이나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알부민 또는 리포좀 소포들로 제조되는 마이크로발룬들은 성공적으로 장시간 동안 냉동 상태로 저장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들 마이크로발룬를 함유하는 해동 현탁물들은 상대적으로 작은 미세 기포 손실올 보이는 허용 가능한 초음파 반향성을 나타내었다. 미세 기포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들 (등록 상표 풀루로닉 (P1uronic)으로 상업적으로 알려짐)과 같은 소르비톨이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들 로 안정화된 현탁물들은 저장후에 동일하게 양호한 영상화 능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현탁물에 사용되는 첨가제들은 선형 및 가교 결합 폴리-및 올리고-사카라이드, 당, 친수성 중합체 및 요오드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증점제 및(또는) 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포함되는 계면 활성제들에 대한 이들 화합물들의 중량비는 약 1:5 내지 100:1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다른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로 제조된 현탁물들은 대개 ml당 107-108개의 미세 기포, m1 당 108-109개의 미세 기포, 및 ml 당 109-1010개의 미세 기포를 함유한다. 이러한 농도들은 연장된 저장, 즉 몇 달 후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며, 현탁물이 SF6, C3F8또는 그의 혼합물, 또는 공기와 SF6또는 C5F12와의 혼합물로 제조된다면, 그들은 반복되는 냉동과 해동 사이클 후에도 변화되지 않는다.
현탁물 내의 미세 기포가 실체적 막을 가질 때, 그 막은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 또는 단백질로 이루어진다. 주사 가능한 마이크로발룬의 외피 또는 경계막을 구성하는 중합체는 가장 친수성이고 생분해성인 생리적으로 적합한 중합체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합체들 중에서 저수용해도의 다당류, 폴리락티드 및폴리글리콜리드 및 그의 공중합체, 락티드와 락톤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ε-카프로락톤, ∂-발레로락톤 및 폴리웹티드를 인용할 수 있다. 알레르기 환자들에서처럼 환자들은 천연 단백질 (알부민, 젤라틴)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발룬의 사용을 피하고 싶어 할 수 있기 때문에, 합성 중합체를 선택함에 있어서 큰 가변성이 있는 것은 장점이 된다. 다른 적합한 중합체로는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락트산 및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폴리 (DL-락티드-코-∂-카프로락톤), 폴리 (DL-락티드-코-∂-발레로락톤), 폴리 (DL-락티드-코-g-부티로락톤), 폴리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디옥사논, 폴리-β-아미노케톤, 폴리포스 파젠 및 폴리안하이드라이드가 있다. 폴리글루탐산 및 폴리아스파르트산과 같은 폴리아미노산들 및 그의 유도체, 즉 저가 알코올 또는 글리콜과의 부분 에스테르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합체 중 한가지 유용한 예는 폴리-(tert-부틸글루타메이트) 이다.
막이 단백질상 물질로부터 제조될 때, 단백질은 알부민이다.
적합한 계면 활성제 및 안정제와 함께 사용되지만, 할로겐 함유 가스, 공기,산소,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최근에는 할로겐 함유 가스와 공기, 산소, 질소 및 이산화탄소와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제안되었다. 할로겐 함유 가스는 육불화황, 테트라플루오로메탄, 클로로트리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브로모트리플루오로메탄, 브로모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디브로모디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클로로펜타플루오로에탄, 핵사플루오로에탄,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옥타플루오로프로판, 헥사플루오로부타디엔, 옥타플루오로-2-부텐, 옥타플루오로사이클로부탄, 데카플루오로부탄, 퍼플루오로사이클로펜탄, 도데카플루오로펜탄 또는 그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육불화황, 테트라플루오로메탄, 헥사플루오로에탄,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옥타플루오로프로판, 헥사플루오로부타디엔, 옥타플루오로-2-부텐, 옥타플루오로사이클로부탄, 데카플루오로부탄, 퍼플루오로사이클로펜탄, 도데카플루오로펜탄에서 선택된 가스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탁물을 냉각 장치 중에 놓고, 현탁물의 응결점 이하의 온도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96℃,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6℃로 냉각함으로써 담체 매질 내에 미세 기포를 고정시키고, 냉동 조건을 장시간 동안 유지하는, 미세 기포 현탁물의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의로는, 냉동 현탁물을 불활성 가스, 또는 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세 기포에 봉입된 가스인 가스들의 혼합물의 대기 하에 놓는다. 가스는 할로겐 함유 가스, 공기,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또는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동 현탁물에 사용되는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은 -18℃ 이하의 비점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C4F8및 C5F10과 같은 할로겐화 가스만으로 이루어진 현탁물은 매우 불량한 저장 안정도를 가지고, 냉동 후에 그의 초음파 반향성을 실질적으로 전부 상실할 것임을 의미한다. 이는 모든 다른 할로겐화 가스가 초음파 반향성의 손실 없이 여러번의 냉동/해동 사이클에도 살아남는 매우 안정한 냉동 현탁물을 제공하기 때문에 특히 놀라운 것이었다. 심지어는 소량의 다른 할로겐화 가스를 지닌 이들 가스를 투여하거나, C5F12와 같은 실온에서 액체인 할로겐화물의 증기를 투여하여도 냉동 저장될 수 없는 혼합물이 생성되었다. 반면, 공기를 특정량의 이들 가스와 혼합하였을 때, 여러번의 냉동/해동 사이클 후에도 매우 양호한 저장 안정성과 매우 양호한 초음파 반향성을 가지는 현탁물이 제조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때 본 발명의 주사 가능한 현탁물은기관 및 조직의 초음파 화상 진단을 위한 조영제로서 유용하다. 명백하게, 사용전에 현탁물을 해동시키고, 임의로 일정 시간 동안 실온에서 유지시킨 다음, 환자에게 투여한다. 이어서, 환자를 초음파 탐침으로 스캐닝하여, 스캐닝된 영역의 영상을 생성시킨다.
본 발명의 주사 가능한 냉동 현탁물로부터 초음파 검사용 조영제를 제조하는 방법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제조 방법이란, 구경 측정이 가능하거나 불가능한 미세 기포의 매우 농축된 현탁물 (예: ml 당 1010-1011개의 미세 기포 또는 그 이상)을 일정 시간 동안 냉동 상태로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해동된 현탁물을 임의로는 같거나 서로 다른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액체 담체를 첨가하여 목적한 농도로 희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또한 추가의 첨가제 또는 상태 조
절제가 첨가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 설명한다.
〈실시예 1〉
아반티 폴라 리피즈 (Avanti Po1ar Lipids, 미국 소재)사에서 제조한 디아라키도일포스파티딜콜린 (DAPC) 58 mg과 디팔미토일포스파티드산 (DPPA) 2.4 mg,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지그프리드 (Siegfried)사의 PEG 4000) 3.94 g을 환저 유리 용기 중에서 60℃에서 tert-부탄올 (2O ml)에 용해시켰다. 투명 용액을 -45℃에서 급속 냉각시키고, 동결 건조시켰다. 얻어진 백색 케이크의 일부 (25 mg)를 1O ml의유리 바이알에 주입하였다. 바이알을 고무 마개로 닫고, 배기시키고, 선택된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 (표 1 참조)로 충전시켰다. 이어서 식염수 (0. 9 % NaC1)을 마개를 통하여 주사 (바이알 당 5 m1)하고, 결렬히 흔들어 동결 건조물을 용해시켰다.
미세 기포 현탁물을 냉장실 (-18℃) 에 넣었다. 3일 후에 그를 실온 (23℃)에서 해동시키고, 기포 농도 (쿨터 멀티사이저 (Cou1ter Mu1tisizer를 사용) 및 1/5O 희석물의 700 nm에서의 흡광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700 nm에서의 흡광도는 기포 현탁물의 전체 혼탁도의 척도이다.
* 분젠 (Bunsen) 계수로 표시
표 1에 나타난 결과는 냉동 안정성이 가스의 비점과 수용해도에 의존함을 보여준다. 비점 -18℃ 이상의 가스의 경우 기포가 덜 회수된다. 비점 -18℃ 이하의 가스에 대해서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을수록 기포 회수율이 높아진다. 또한, 도데카플루오로펜탄 (C5Fl2)과 같은 저수용해도의 고분자량 가스가 소량 첨가되면, 저비점 가스의 경우 해동 후에 기포 회수율을 증가시키나, 비점 -18℃ 이상의 가스 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C4F8및 C4F10단독 또는 소량의 도데카플루오로펜탄과의 혼합물로 충전된 미세 기포는 냉동/해동에 대해 매우 불량한 안정도를 갖는다. 그러나, 이들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사용할 때는, 혼합물을 함유한 미세 기포의 현탁물이 공기의 미세 기포를 함유한 현탁물보다 초음파 반향성 또는 미세 기포의 손실 변에서 보다 양호한 결과를 보여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SF6 미세 기포의 현탁물을 -18℃까지 천천히 (약30분)냉동시키거나, -45℃까지 급격히 (1분이내) 냉동시켰다. SF6미세 기포의 다른 현탁물들은 모든 기포가 냉동 전에 표면에 상승될 때까지 먼저 실온으로 유지시켰다. 다른 것들은 기포가 용액에 균일하게 분포되게 하면서 냉동시켰다. 냉동 현탁물을 한 달동안 -18℃와 -45℃에서 저장한 다음, 해동시켰다.
표 2의 결과는 냉동 속도가 최종 결과에 비교적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균질 현탁물에서의 회수율은 데칸트한 미세 기포의 현탁물 경우보다도 양호하다.
〈실시예 3〉
다층의 리포좀 (MLV)을 수소화 대두 포스파디딜콜린 (HSPC, 나터만 (Nattermann)사 제조) 4.5 g 및 디세틸포스페이트 (스위스의 풀루카 (F1uka)사 제조) 0.5 g을 클로로포름-메탄올 (2/1)에 용해시켜 제조한 다음, 용매를 회전 증발 기를 사용하여 환저 플라스크 내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 지질 막을 진공 건조 자에서 건조시켰다. 증류수 100 ml를 첨가한 후에 현탁물을 교반 하에 30 분 동안 70℃에서 배양하였다. 리포좀 현탁물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최종 지질 농도가 ml당 25 mg이 되게 조정하였다.
리포좀 현탁물의 일부 (100 ml)를 고속 기계 유화기 (폴리트론)가 장치된 가 스 밀폐 유리 반응기 내에 넣었다. 반응기 내의 가스상은 5% (밀도 측정에 의해 결정) 의 C5F12를 함유하는 공기이었다. 균질화 (10,OOO rpm, 1분) 후에, 얻어진 밀크상 현탁물을 데칸테이션 깔때기에 넣었다. 6 시간 후에, 기포의 백색 층이 용액의 상부에서 관찰될 수 있었다. (리포좀 함유) 저층을 제거하고, 소량의 새로운 물을 가하고, 미세 기포층을 다시 균질화시켰다. 이 과정 (데칸테이션)을 반복하고, 서로 다른 미세 기포 크기를 지닌 4개 샘플을 제조하였다 (국제 공개 제 94/09829호 참조). 샘플을 -18℃에서 냉동시키고, 24 시간 후에 실옴으로 해동시켰다.
얻어진 결과 (표 3)로부터, 냉동/해동 처리가 평균 미세 기포 직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으로부터, 보다 큰 직경 (〉 2. 5 μm) 을 갖는 미세 기포들이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미세 기포들보다 양호하게 냉동/해동 처리를 견디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해동 속도가 샘플 중에 존재하는 미세 기포의 최종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그러나, 정확한 장관 관계는 아직 불명료하고, 미세 기포의 손실이 해동 속도에 반비례하는 징후가 있다. 앞의 결과는 촉진 해동, 즉 보다 서서히 해동시키기 위하여 샘플을 5℃ 또는 20℃에서 방치할 때보다, 25℃의 수욕에서 해동을 행할 때 현탁물 내의 미세 기포 농도 (수) 및 총 기체 부피 면에서 보다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기체 부피의 최대 손실은 5℃에서 해동된 샘플에서 관찰되었다.
〈실시예 4〉
MLV 대신 계면 활성제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3에 기재된 실험을 반복하였다.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미국의 아반티 폴라 리피즈사에서 제조한 DPPG Na염) 1 g 및 플루로닉 (등록 상표) F68(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분자량 8400) 3 g을 증류수 (8O m1)에 용해시켜서 계면 활성제 혼합물을얻었다. 약 70℃에서 가열한 후에, 투명한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부피를 글리세롤로 100 m1로 만들었다. 계면 활성제 용액을 폴리트론 유화기가 장치된 유리 밀폐 반응기에 넣었다. 균질화 (10, OOO rpm, 1분) 후에, 밀 크상 현탁물을 거품 층의 상부에서 얻었다. 거품을 폐기하고, ml 당 109개의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저층을 회수하였다. 이 층을 수시간 방치한 후에 백색의 미세 기포 층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미세 기포를 증류수 중에서 다시 균질화시키고, 수회 데칸트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냉동/해동시켰다. 냉동 전후의 기포의 특성을 비교하면, 총 기포 농도 (냉동전 1.3 × 108개 기포/m1, 냉동후 1.25 × 108개 기포 /m1) 또는 평균 직경 Dn (냉동전 4.O μm, 냉동후 3.9 μm)에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SF6기포를 제조하고,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데칸트하였다. 저층의 수층을 제거하는 동안, 동일 부피의 SF6가스를 깔때기에 넣었다. 기포 층을 증류수, 0.9% NaCl, 3% 글리세롤 수용액 및 100 mg/ml 트레할로스 용액에 다시 현탁시켰다. 냉동/해동 처리 전후에 기포 농도 및 700 nm에서의 흡광도 (희석 후)를 측정하였다.
표 4의 결과는 현탁 매질과 무관하게 기포의 회수율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미세 기포의 회수율이 66 내지 96%로서 이전의 표 1 및 표 2에 보고된 결과와 상반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는, 첫째미세 기포가 구경 측정 가능한 것이어서, 구경 측정이 불가능한 것보다 안정한 것이고, 둘째로 사용된 기포의 크기가 4 μm 이상이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데칸트한 SF6미세 기포를 얻었다. 미세 기포 층을 0.9% NaC1에 서로 다른 기포 농도로 현탁시킨 다음, -18℃에서 냉동시키고, 약 4개월 동안저장하고, 실온에서 해동시켰다.
* 괄호안은 두 번째 냉동/해동 처리 후에 얻어진 결과임.
표 5에 도시된 결과는 기포 농도가 냉동/해동에 대한 내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나타낸다. 저장 후에 행해진 제2의 냉동/해동에 있어서도, 이들 현탁물이 큰 기포수 손실이 없고 샘플의 초음파 반향성에 손상을 미치지 않으면서 저장후에 반복된 냉동/해동 사이클에 대하여 내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며 최종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시예 7〉
초음파 분쇄된 알부민 미소구를 유럽 특허 공개 제O 324 928호 (Widder)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개략적으로, 멸균 5% 인간 알부민 용액 (스위스 베른에 소재하는 스위스 적십자의 수혈 서비스 (Rood Transfus ion Service) 로부터 입수) 5 m1를 1O m1의 눈금이 있는 주사기에 넣었다. 초음파 분쇄기 탐침 (미국의 브랜슨 울트라소닉 코포레이션 (Branson U1trasonic Corp.)이 제조한 모델 250)을 4 m1 눈금까지 용액 중으로 하강시켰다. 에너지 세팅 7에서 초음파 분쇄를 30초 동안 행하였다. 이어서, 초음파 분쇄기 탐침을 6 ml 눈금까지 (즉, 용액 준위 위로) 상승시키고, 초음파 분쇄를 펄스 모드 (0.3 s/사이클)에서 40초 동안 행 하였다. 거품 층의 제거 후에, 수평균 직경이 3.6 μm인 m1 당 1.5 x 108개의 기포를 포함하는 알부민 미소구의 현탁물을 얻었다. 이 현탁물을 -18℃에서 냉동시키 고, 이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시켰다. 다음날, 현탁물을 실온에서 해동시켰다. 냉동/해동 전후에 분석된 현탁물은 다음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성을 갖고 있었다.
표 6의 결과는 공기 함유 미세 기포가 냉동/해동 사이클에 의하여 어느 정도 파괴됨을 나타낸다. 순수한 공기 대신에 5 부피%의 C5F12또는 C3F8을 함유하는 공 기의 혼합물로 알부민 미세 기포를 제조하였을 때, 기포수의 냉동/해동 손실에 대 한 미소구의 안정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표 7 참조). 또한, 알부민 미소구로 얻어진 결과로부터, 공기 미세 기포의 경우에 냉동/해동 사이클이 미세 기포군의 크기의 하단에 불리하다는 것, 즉 평균 크기가 약 5 μm 이상인 미세 기포가 보다 작은 미세 기포보다 더 양호한 내성과 생존 기회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시판 초음파 조영제인 사카라이드 미립자 SHU-454 (에코비스트 (Echovist; 등록 상표), 쉐링 (Schering)사제, 독일) 3 g을 제작사의 권고에 따라 갈락토스 용액 (8.5 ml, 200 mg/ml)으로 재구성하여, 냉동/해동 처리하였을 때, 약간의 기포만이 해동 후에 용액 중에 폰재하였다. 사카라이드 미립자의 첨가 전에 1O mg/m1의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과 플루로닉 F68(1:5, w:w)의 혼합물을 갈락토스 용액에 가하면, 안정한 미세 기포가 2.5 x 108개 기포/m1의 농도로 얻어질 수 있었다. 냉동 및 해동 후에, 기포 농도는 처리 동안 미세 기포의 손실이 두드러졌다는것을 의미하는, 2.3 x 105/m1로까지 약 3차 배수로 하락하였다. 그러나, 재구성에 앞서서, 가스층 중의 공기를 10% C5F12를 함유하는 공기의 혼합물로 대체한 경우, 기포는 보다 안정하게 되었고, 또한 냉동/해동 처리에 대해 보다 내성으로 되었다. 후자의 경우의 미세 기포의 손실은 농도가 3.9 x 108개 기포/m1로부터 1.6 x 108개 기포/ml로 하락한 바와 같이 2.3 x 108에 불과하였다.
〈실시예 9〉
중합체 마이크로발룬을 유럽 특허 공개 제0 458 745호 (Bracco Internat iona1)의 실시예 4에 기재된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 제조 방법에서 사용된 중합체는 미국 특허 제4, 888, 398호에 기재된 폴리-POMEG이었다. 마이크로발룬을 증류수, 0.9% NaC1, 5% 텍스트로스, 및 3% 글리세롤에 1.8 x 108개 입자/m1의 농도로 현탁시켰다. 이들 현탁물 각각을 냉동시킨 다음 해동시켰다. 해동 후에, 총 입자 농도나 평균 입자 직경에서 감지될 만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O〉
난황 레시틴 126 mg 및 콜레스테롤 27 mg을 200ml 환저 플라스크 중에서 디 에틸에테르 9 m1에 용해시켰다. 용액에 이오노포어 A23187을 사용하여 0.2 몰의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3 m1를 가하고, 생성된 2상계를 균질해질 때까지 초음파 분쇄하였다. 혼합물을 회전 증발기로 증발 건조시키고, 지질 부착물을 함유하는 플라스크에 0.2 몰의 중탄산염 수용액 3 m1를 가하였다.
잠시 동안 정치시킨 후에, 생성된 리포좀 현탁물을 식염수로 투석하여, 포획되지 않은 중탄산염을 제거하고 산성화시켰다. 잠시 후에,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직렬 연결된 탄산염 필터를 수회 통과시켰다. 크기 5O μm 이하의 리포좀 현탁물 일부를 -18°에서 냉동시킨 다음, 이 온도에서 저장하였다. 2주 후에, 현닥물을 실온에서 해동시켰다. 냉동/해동 전후에 분석된 현탁물은 허용 가능할 정도로 낮은 초음파 반향성 손실과 미세 기포수 손실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가스상으로서 SF6및 5% C5F12를 함유하는 공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3의 공정을 반복하고, 생성된 현탁물의 샘플을 -18℃, -45℃, -76℃ 및 -196℃에서 냉동시대응하는 냉동 온도에서 30일 동안저장한후에, 샘플을 해동시키고 현탁물을 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냉동 전의 샘플 내 미세 기포의 농도는 SF6에 대하여 11.6 x 107/ ml이었고 공기/5% C5F12혼합물에 대하여 9.8 x 107/m1이었지만, 저장 전의 샘플 내의 가스의 부피는 각각 2.9 μl/ml 및 5.9 μl/ml이었다. 2종의 가스에 대한 평균 미세 기포 직경은 2.3 μm 및 4. 2 μ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저장 온도가 낮을수록 해동시 미세 기포 농도와 회수되는 가스의 총량에 있어서의 손실이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로부터, SF6의 현탁물의 해동 샘플에 있어서, 평균 직경이 처음에는 증가한 다음, 온도 가 하락함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함을 알수 있다. 공기/5% C5F12혼합물에 있어서, 미세 기포 직경의 변화는 비교적 작다. 또한, 상기 결과로부터 저장 온도가 하락함에 따라 평균 미세 기포 직경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F6의 현탁물 및 공기/C5F12혼합물의 현탁물에 대하여, -196℃에서 저장한 후에 초기 미세 기포군 중 단지 51.7% 및 52%만이 회수된다. 그러나,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SF6에 대한 저장 후에 회수된 총 가스 부피는 초기 부피의 21.1%인 반면, 공기/C5F12혼합물에 대해서는 회수된 부피는 46.5%이다. 이는 SF6로 제조된 현탁물의 경우 미세 기포의 크기가 변화되었다는 것, 즉 회수된 미세 기포는 직경이 감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4는 냉동 또는 저장 온도가 공기와 5% C5F12와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미세 기포의 현탁물의 압력 변화에 대한 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다이아그램도에 있어서, 흡광도 (700 nm에서 측정)는 서로 다른 온도에서 3일 동안 저장한 후에 현탁물에 가해진 압력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이 다이아그램도로부터, -18℃ 내지 -76℃의 온도에서 저장된 현탁물의 특성 변화가 두드러는 반면, -76℃ 내지 -196℃의 온도에서 저장된 샘플에 대해서는 비교적 작을 정도로,저장 온도가 하락하면 현탁물의 특성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76℃ 이하로 저장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더 나은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지
-76℃ 이하의 온도를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 비용을 고려할 때 예외적인 경우에만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도 4는 공기/5% C5F12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미세 기포의 현탁물이 저온에서 3 일 동안 저장될 경우, 그의 압력 변화에 대한 내성이 비교적 변화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지만, 25℃에서 동일한 기간 동안 유지된 동일한 현탁물은 압력 변화에 대한 그의 초기 내성의 약 10%를 잃는다.
정확한 공정 및 임계 압력의 중요성 및 흡광도 측정법은 본 발명에서 참고 문헌으로 채택한 유럽 특허 공개 제0 554 213호에 이미 설명되어 있다.
〈실시예 12〉
2차원 초음파 심장 촬영술을 어큐슨 (ACUSON) 128 XP 5 장치 (미국의 어큐슨 코포레이션 (Acuson Corp.) 제조)를 사용하여 실시예 1, 3 및 7의 제제에 대하여, 체중 kg 당 0. 04 m1로 말초 정맥 주사된 실험용 미니 돼지에서 행하였다. 좌심실 초음파 콘트라스트의 증가를 본래의 경우와 냉동/해동 샘플에서 평가하였다. 알부 민 미소구에 대한 실시예 7 기재의 것과 같은 샘플의 경우에서도 두드러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잔류 기포가 강하고 장기간 지속적인 초음파 반향의 증대를 발생하기에 매우 충분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25)

  1. 가스 기포 및 유용한 첨가제를 함유하는 담체 매질이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이고, 고정된 가스 기포가 소실성의 외피 또는 실체적인 막에 의하여 경계 지워진 미세 기포이고, 액체 형태로 존재할 때 주사 가능하며 생체의 혈액풀 및 조직의 초음파 화상 진단에 있어서 조영제로서 유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수성 담체 매질 내에 고정된 가스 기포의 냉동 현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냉동 매질의 온도가 -1℃ 내지 -196℃,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6℃인 현탁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부분의 미세 기포의 크기가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현탁물.
  4. 제 3 항에 있어서, 미세 기포의 크기가 2㎛ 내지 9㎛,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인 현탁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계면 활성제로서 단일 또는 복수개의 분자 막층 형태의 박막 인지질을 포함하는 현탁물.
  6. 제 5 항에 있어서, 박막 인지질이 단일막 또는 다층막 리포좀의 형태인 현탁물.
  7. 제 5 항에 있어서, 박막 인지질이 포화 인지질인 현탁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인지질이 포스파티드산,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카디올리핀, 및 스핑고미엘린 또는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인 현탁물.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디세틸포스페이트, 콜레스테롤, 에르고스테롤, 피토스테롤, 시토스테롤, 라노스테롤, 토코페롤, 프로필 갈레이트,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및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현탁물.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소르비톨, 또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현탁물.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선형 및 가교 결합 폴리- 올리고-사카라이드, 당, 친수성 중합체 및 요오드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증점제 및(또는) 안정제를 함유된 계면 활성제에 대하여 약 1:5 내지 100: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현탁물.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의 폴리올과의 에스테르 및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비박층상의 계면 활성제를 50중량% 이하로 더 함유하는 현탁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폴리올이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화 당 및 다른 탄수화물, 및 폴리알킬렌화 글리세롤인 현탁물.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ml 당 107-108개의 미세 기포, ml 당 108-109개의 미세 기포, 또는 ml 당 109-1010개의 미세 기포를 함유하는 현탁물.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막이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 또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것인 현탁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다당류, 폴리아미노산 및 그의 에스테르, 폴리락티드 및 폴리글리콜리드 및 그의 공중합체, 락티드의 락톤의 공중합체, 폴리펩티드,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디옥사논, 폴리-β-아미노케톤, 폴리포스파젠,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비가수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아, 폴리글루탐산 또는 폴리아스파르트산 유도체 및 그와 다른 아미노산과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것인 현탁물.
  17. 제 15 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알부민인 현탁물.
  18.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가 할로겐 함유 가스, 공기,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또는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인 현탁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할로겐 함유 가스가 SF6, CF4, C2F6, C3F6, C3F8, C4F6, C4F8, C4F10, C5F10, C5F12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현탁물.
  20. a) 액체 현탁물을 냉각 장치 중에 놓는 단계,
    b) 현탁물의 응결점 이하의 온도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96℃,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6℃로 냉각함으로써 미세 기포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c) 냉동 조건을 장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미세 기포 현탁물의 저장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냉동 현탁물을 불활성 가스, 또는 가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세 기포에 봉입된 가스인 가스들의 혼합물의 대기 하에 유지시키는, 미세 기포 현탁물의 저장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미세 기포가 가스 또는 가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비등점이 -18℃ 이하인 가스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미세 기포 현탁물의 저장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사용 전에 현탁물을 해동시켜서 장시간 동안 실온에서 유지시키는, 미세 기포 현탁물의 저장 방법.
  24. 기관 또는 조직의 초음파 화상 진단에 사용되기 위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주사 가능한 현탁물.
  2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주사 가능한 현탁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용 조영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60704432A 1994-12-16 1995-12-14 초음파가스현탁물의저장방법 KR100382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810731.3 1994-12-16
EP94810731 1994-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1066A KR970701066A (ko) 1997-03-17
KR100382811B1 true KR100382811B1 (ko) 2003-08-19

Family

ID=821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432A KR100382811B1 (ko) 1994-12-16 1995-12-14 초음파가스현탁물의저장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3) US5827504A (ko)
EP (1) EP0744962B2 (ko)
JP (1) JP3958358B2 (ko)
KR (1) KR100382811B1 (ko)
CN (1) CN1066965C (ko)
AT (1) ATE205404T1 (ko)
AU (1) AU701807B2 (ko)
CA (1) CA2181340C (ko)
CZ (1) CZ291540B6 (ko)
DE (1) DE69522670T3 (ko)
DK (1) DK0744962T4 (ko)
ES (1) ES2162943T5 (ko)
FI (1) FI120722B (ko)
IL (1) IL116328A (ko)
NO (1) NO313031B1 (ko)
NZ (1) NZ295744A (ko)
PT (1) PT744962E (ko)
WO (1) WO1996018420A1 (ko)
ZA (1) ZA95107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7098B1 (en) 1994-09-21 2002-05-28 Medrad, Inc. Data communication and control for medical imaging systems
US5837221A (en) * 1996-07-29 1998-11-17 Acusphere, Inc. Polymer-lipid microencapsulated gases for use as imaging agents
GB9617811D0 (en) 1996-08-27 1996-10-09 Nycomed Imaging A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rast agents
US6867248B1 (en) 1997-05-12 2005-03-15 Metabolix, Inc. Polyhydroxyalkanoate compositions having controlled degradation rates
US6610764B1 (en) 1997-05-12 2003-08-26 Metabolix, Inc. Polyhydroxyalkanoate compositions having controlled degradation rates
US6828357B1 (en) 1997-07-31 2004-12-07 Metabolix, Inc. Polyhydroxyalkanoate compositions having controlled degradation rates
GB9717589D0 (en) * 1997-08-19 1997-10-22 Nycomed Imaging A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rast agents
US6726650B2 (en) 1997-12-04 2004-04-27 Bracco Research S.A. Automatic liquid injection system and method
ES2356350T3 (es) 1997-12-22 2011-04-07 Metabolix, Inc. Composiciones polihidroxialcanoato que tienen tasas de degradación controladas.
DE19805012A1 (de) * 1998-02-07 1999-08-12 Thomas Gieselmann Kontrastmittel zur Verwendung als Diagnostikum bei bildgebenden Verfahren sowie seine Herstellung
DE19840532A1 (de) 1998-08-28 2000-03-09 Schering Ag Mit Ultraschallkonstrastmittel gefüllte Spritze mit einer mechanischen Bewegungsvorrichtung
DE19840536A1 (de) 1998-08-28 2000-03-09 Schering Ag Mit Ultraschallkontrastmittel gefüllte Spritze mit einer magnetischen Bewegungsvorrichtung
WO2000051662A1 (en) 1999-03-04 2000-09-08 Tepha, Inc. Bioabsorbable, biocompatible polymers for tissue engineering
US6575930B1 (en) 1999-03-12 2003-06-10 Medrad, Inc. Agitation devices and dispensing systems incorporating such agitation devices
US6317623B1 (en) 1999-03-12 2001-11-13 Medrad,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rast enhanced imaging procedures
EP1163019B1 (en) 1999-03-25 2007-10-24 Metabolix, Inc. Medical devices and applications of polyhydroxyalkanoate polymers
AU6636000A (en) * 1999-08-13 2001-03-13 Point Biomedical Corporation Hollow microspheres with controlled fragility for medical use
EP1289565B1 (en) 2000-06-02 2015-04-22 Bracco Suisse SA Compounds for targeting endothelial cells
US6387077B1 (en) 2000-10-13 2002-05-14 Mallinckrod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uspended agent
ATE376803T1 (de) 2001-04-06 2007-11-15 Bracco Research Sa Vorrichtung zur messung lokaler physikalischer parameter in einem flüssigkeitsgefüllten hohlraum
US8623822B2 (en) 2002-03-01 2014-01-07 Bracco Suisse Sa KDR and VEGF/KDR binding peptides and their use in diagnosis and therapy
EP1572724A4 (en) 2002-03-01 2007-03-14 Dyax Corp KDR AND VEGF / KDR BINDING SPEPTIDES AND THEIR USE IN DIAGNOSIS AND THERAPY
US7261876B2 (en) 2002-03-01 2007-08-28 Bracco International Bv Multivalent constructs for therapeutic and diagnostic applications
US7794693B2 (en) 2002-03-01 2010-09-14 Bracco International B.V. Targeting vector-phospholipid conjugates
US20050100963A1 (en) 2002-03-01 2005-05-12 Dyax Corporation KDR and VEGF/KDR binding peptides and their use in diagnosis and therapy
US7211240B2 (en) 2002-03-01 2007-05-01 Bracco International B.V. Multivalent constructs for therapeutic and diagnostic applications
US9364569B2 (en) * 2003-02-04 2016-06-14 Bracco Suisse S.A. Ultrasound contrast agen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20070128117A1 (en) * 2003-02-04 2007-06-07 Bracco International B.V. Ultrasound contrast agen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U2004217894B2 (en) 2003-03-03 2010-07-15 Bracco International B.V. Peptides that specifically bind HGF receptor (cMet) and uses thereof
ITFI20030077A1 (it) * 2003-03-26 2004-09-27 Actis Active Sensors S R L Metodo per l'indagine ecografica tramite mezzi di contrasto
ES2527857T3 (es) 2003-05-08 2015-01-30 Tepha, Inc. Tejidos y fibras médicas de polihidroxialcanoato
WO2005063305A1 (en) * 2003-12-22 2005-07-14 Bracco Research Sa Gas-filled microvesicle assembly for contrast imaging
AU2004308757B2 (en) * 2003-12-22 2010-06-17 Bracco Suisse S.A. Assembly of gas-filled microvesicle with active component for contrast imaging
US20080281205A1 (en) * 2004-01-16 2008-11-13 Morteza Naghavi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edical Imaging
US8012457B2 (en) 2004-06-04 2011-09-06 Acusphere, Inc. Ultrasound contrast agent dosage formulation
GB2445322B (en) 2004-08-13 2008-08-06 Stichting Tech Wetenschapp Intravasular ultrasound techniques
EP1784228B1 (en) 2004-08-18 2016-10-05 Bracco Suisse SA Gas-filled microvesicles composition for contrast imaging
EP2684521A1 (en) 2004-11-16 2014-01-15 Medrad Inc. Modeling of pharmaceutical propagation
HUE038724T2 (hu) 2004-11-24 2018-11-28 Bayer Healthcare Llc Eszközök és összeállítások fluidumbejuttatáshoz
US20080045919A1 (en) * 2004-12-23 2008-02-21 Bracco Research S.A. Liquid Transfer Device for Medical Dispensing Containers
EP1714642A1 (en) * 2005-04-18 2006-10-25 Bracco Research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gas-filled microcapsules for ultrasound mediated delivery
EP1966388B1 (en) 2005-12-09 2013-08-07 Bracco Suisse SA Targeting vector-phospholipid conjugates
EP1797919A1 (en) * 2005-12-16 2007-06-20 Bracco Research S.A. Liquid transfer device for medical dispensing containers
EP2076179B1 (en) 2006-08-01 2018-07-04 Stichting voor de Technische Wetenschappen Pulse inversion sequences for nonlinear imaging
EP2061517B1 (en) 2006-09-05 2010-06-02 Bracco Research S.A. Gas-filled microvesicles with polymer-modified lipids
US7943683B2 (en) 2006-12-01 2011-05-17 Tepha, Inc.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iented films of poly-4-hydroxybutyrate and copolymers
EP2117603A2 (en) * 2006-12-19 2009-11-18 Bracco International B.V. Targeting and therapeutic compounds and gas-filled microvesicles comprising said compounds
EP2097835B1 (en) 2006-12-29 2018-05-30 Bayer Healthcare LLC Patient-based parameter generation systems for medical injection procedures
CN103976736B (zh) 2007-07-17 2017-01-11 拜耳医药保健有限责任公司 确定心肺功能评估和输液过程的参数的设备和系统
GB0811856D0 (en) * 2008-06-27 2008-07-30 Ucl Business Plc Magnetic microbubbles, methods of preparing them and their uses
AU2009301141B2 (en) * 2008-10-07 2015-08-27 Bracco Suisse S.A. Targeting construct comprising anti-polymer antibody and liposomes or microvesicles binding to the same
US9421330B2 (en) 2008-11-03 2016-08-23 Bayer Healthcare Llc Mitigation of contrast-induced nephropathy
US8394070B2 (en) 2008-12-16 2013-03-12 Bracco Suisse S.A. Device for bolus administration of contrast agent
EP2345732A1 (en) 2010-01-19 2011-07-20 Universite Paris Descartes Methods for intracellular delivery of nucleic acids
RU2600892C2 (ru) 2010-06-24 2016-10-27 Байер Медикэл Кер Инк., Моделирование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го препарата и генерирование параметров для инъекционных протоколов
BR112013002945A2 (pt) 2010-08-09 2016-06-07 Inst Nat Sante Rech Med composição farmacâutica formulada com agente de eco-contraste de microbolhas e um ácido nucleico terapêutico de interesse para uso em um método para tratamento de uma doença ocular em um sujeito
CA2806639C (en) 2010-08-09 2020-10-20 Bracco Suisse Sa Targeted gas-filled microvesicles
US9770411B2 (en) 2010-12-24 2017-09-26 Bracco Suisse S.A. Methods of using gas-filled microvesicles covalently bound to an antigen
WO2012136813A2 (en) 2011-04-07 2012-10-11 Universitetet I Oslo Agents for medical radar diagnosis
US10357450B2 (en) * 2012-04-06 2019-07-23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microbubbles with high oxygen content and uses thereof
EP2844362B1 (en) 2012-04-30 2020-02-26 Ge Healthcare As Method for filling a container with a foamable composition
DK2850418T3 (da) 2012-05-14 2019-05-20 Bayer Healthcare Llc Systemer og fremsgangsmåder til bestemmelse af protokoller for farmaceutisk væskeinjektion baseret på røntgenrørsspænding
CN105026030B (zh) 2012-12-21 2017-04-12 博莱科瑞士股份有限公司 充气微泡
US9555379B2 (en) 2013-03-13 2017-01-31 Bayer Healthcare Llc Fluid path set with turbulent mixing chamber, backflow compensator
US10577554B2 (en) 2013-03-15 2020-03-03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Gas-filled stabilized particles and methods of use
EP3180040B1 (en) 2014-08-15 2020-05-13 Tepha, Inc. Self-retaining sutures of poly-4-hydroxybutyrate and copolymers thereof
US9555155B2 (en) 2014-12-11 2017-01-31 Tepha, Inc. Methods of orienting multifilament yarn and monofilaments of poly-4-hydroxybutyrate and copolymers thereof
US10626521B2 (en) 2014-12-11 2020-04-21 Tepha,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mesh sutures from poly-4-hydroxybutyrate and copolymers thereof
SI3233136T1 (sl) 2014-12-18 2019-08-30 Bracco Suisse Sa Formulacije s plinom napolnjenih usmerjenih mikroveziklov
BR112017011881A2 (pt) 2014-12-22 2018-01-02 Bracco Suisse Sa microvesículas cheias com gás para uso como vacina
CN104622848A (zh) * 2015-02-13 2015-05-20 西安交通大学 一种等离子体活化包膜微气泡
CN105569124B (zh) * 2016-01-31 2017-12-01 天津市建筑设计院 一种变频调速变压供水装置及其控制方法
US11370826B2 (en) 2016-02-09 2022-06-28 Bracco Suisse Sa Recombinant chimeric protein for selectins targeting
EP3423130A1 (en) 2016-03-03 2019-01-09 Bayer Healthcare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fluid delivery in multi-fluid injector systems
WO2018160752A1 (en) 2017-02-28 2018-09-07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Stimuli-responsive particles encapsulating a gas and methods of use
WO2019046267A1 (en) 2017-08-31 2019-03-07 Bayer Healthcare Llc SYSTEM AND METHOD FOR VOLUME COMPENSATION OF FLUID INJECTOR SYSTEM
CN110869071B (zh) 2017-08-31 2023-05-02 拜耳医药保健有限公司 流体注入器系统中的动态压力控制的方法
EP3675931B1 (en) 2017-08-31 2021-08-11 Bayer Healthcare LLC Injector pressure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EP3676854A1 (en) 2017-08-31 2020-07-08 Bayer Healthcare LLC Fluid path impedance assessment for improving fluid delivery performance
CN110891630B (zh) 2017-08-31 2022-04-26 拜耳医药保健有限公司 驱动构件定位和流体注入器系统机械校准的系统和方法
CN110051630A (zh) * 2019-02-03 2019-07-26 彭盛 一种载氧聚合物微泡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67900A1 (de) * 1964-12-23 1969-01-16 Ferring Ab Roentgenkontrastmitt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Mittel
US4276885A (en) * 1979-05-04 1981-07-07 Rasor Associates, Inc Ultrasonic image enhancement
US4347707A (en) * 1981-03-31 1982-09-07 General Foods Corporation Gasified ice product and process having improved storage stability
DE4219724A1 (de) 1992-06-13 1993-12-16 Schering Ag Verwendung von Mikrokapseln als Kontrastmittel für die Farbdoppler-Sonographie
US5271961A (en) 1989-11-06 1993-12-21 Alkermes Controlled Therapeutics, Inc. Method for producing protein microspheres
US5228446A (en) 1989-12-22 1993-07-20 Unger Evan C Gas filled liposomes and their use as ultrasonic contrast agents
IN172208B (ko) * 1990-04-02 1993-05-01 Sint Sa
US5205287A (en) * 1990-04-26 1993-04-27 Hoechst Aktiengesellschaft Ultrasonic contrast agent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 use thereof as diagnostic and therapeutic agents
WO1992005806A1 (en) 1990-10-05 1992-04-16 Sintetica S.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table suspensions of hollow gas-filled microspheres suitable for ultrasonic echography
GB9106686D0 (en) * 1991-03-28 1991-05-15 Hafslund Nycomed A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rast agents
GB9107628D0 (en) * 1991-04-10 1991-05-29 Moonbrook Limited Preparation of diagnostic agents
WO1993005819A1 (en) 1991-09-17 1993-04-01 Sonus Pharmaceuticals, Inc Gaseous ultrasound contrast media and method for selecting gases for use as ultrasound contrast media
IL104084A (en) 1992-01-24 1996-09-12 Bracco Int Bv Sustainable aqueous suspensions of pressure-resistant and gas-filled blisters, their preparation, and contrast agents contain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01807B2 (en) 1999-02-04
ES2162943T5 (es) 2006-03-01
NZ295744A (en) 1997-08-22
NO313031B1 (no) 2002-08-05
IL116328A0 (en) 1996-03-31
FI963202A0 (fi) 1996-08-15
NO963327L (no) 1996-08-09
DK0744962T3 (da) 2001-12-31
US5830435A (en) 1998-11-03
CZ242096A3 (en) 1996-11-13
IL116328A (en) 1999-09-22
DE69522670D1 (de) 2001-10-18
NO963327D0 (no) 1996-08-09
PT744962E (pt) 2002-02-28
ES2162943T3 (es) 2002-01-16
ZA9510721B (en) 1996-06-20
JP3958358B2 (ja) 2007-08-15
JPH09509433A (ja) 1997-09-22
CA2181340A1 (en) 1996-06-20
DE69522670T3 (de) 2006-06-14
US5961956A (en) 1999-10-05
CN1141001A (zh) 1997-01-22
CN1066965C (zh) 2001-06-13
FI963202A (fi) 1996-08-15
ATE205404T1 (de) 2001-09-15
FI120722B (fi) 2010-02-15
AU3935295A (en) 1996-07-03
DE69522670T2 (de) 2002-06-20
CZ291540B6 (cs) 2003-03-12
KR970701066A (ko) 1997-03-17
EP0744962B2 (en) 2005-09-07
CA2181340C (en) 2007-09-11
DK0744962T4 (da) 2006-01-09
MX9603330A (es) 1997-12-31
EP0744962A1 (en) 1996-12-04
EP0744962B1 (en) 2001-09-12
WO1996018420A1 (en) 1996-06-20
US5827504A (en) 199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811B1 (ko) 초음파가스현탁물의저장방법
JP4418033B2 (ja) 造影剤のまたはそれに関する改良
JP2842453B2 (ja) 生体内に注入可能な安定な微小泡懸濁液
RU2138293C1 (ru) Контрастные вещества для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эхографии, контрастные средства, содержащие эти вещества,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готовления
JP4250747B2 (ja) 熱安定化された造影剤
US20120093732A1 (en) Ultrasound contrast ag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US20060257321A1 (en) Ultrasound contrast ag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US20040208826A1 (en) Ultrasound contrast ag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US6613306B1 (en) Ultrasound contrast ag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JP2001515055A (ja) 造影剤に関する改良
US20060034771A1 (en) Ultrasound contrast ag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US20010008626A1 (en) Ultrasound contrast ag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US20030194376A1 (en) Ultrasound contrast ag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US20030185759A1 (en) Ultrasound contrast ag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US20010012507A1 (en) Ultrasound contrast ag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MXPA96003330A (en) Method of storage of suspensions gaseosasultrasoni
US20010024640A1 (en) Ultrasound contrast ag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JP2007126467A (ja) 超音波造影媒体、この媒体を含む造影剤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