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681B1 - 토너화상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토너화상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681B1
KR100377681B1 KR1019950026005A KR19950026005A KR100377681B1 KR 100377681 B1 KR100377681 B1 KR 100377681B1 KR 1019950026005 A KR1019950026005 A KR 1019950026005A KR 19950026005 A KR19950026005 A KR 19950026005A KR 100377681 B1 KR100377681 B1 KR 10037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termediate medium
image transfer
transfe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450A (ko
Inventor
데오도루스안토니우스제랄두스헤에렌
에드윈요한부이스
Original Assignee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filed Critical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Publication of KR96000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Abstract

무단벨트(7)로부터 평면판(10)에 위치하는 수상물질에 토너화상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토너화상이 화상형성드럼(1,2,3,25)을 따라 연속이동하는 벨트(7)의 일부분에서 상기 드럼(1,2,3,25)에 의하여 형성되고 토너화상(43)의 선단변부로부터 토너화상(44)의 후단변부로 고정된 수상물질에 이송되며, 벨트(7)의 루우프가 화상이송단(9)의 앞에서는 증가되고 벨트(7)의 루우프가 화상이송단(9)의 뒤에서는 감소된다. 인장로울러(18,19)가 수상물질이 위치하는 평면과 예각 α을 형성하는 평면(31,32)에서 상기 로울러(18,19)를 이동시키므로서 화상이송중에 벨트(7)를 긴장유지시키며, 화상이송단에서 벨트는 상기 평면(10)과 일정한 각도β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토너화상 이송장치
본 발명은 일측방향으로 전진하는 무단중간매체로부터 수상물질(受像物質)로 토너화상(toner image)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토너화상이 화상형성단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요소에 의하여 중간매체에 도층되고 화상이송단에서 고정형의 수상물질스트립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가 US-A-4 845 519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에 있어서는 무단중간매체가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된 두 로울러의 둘레에 감겨 있고 화상형성단이 두 로울러사이에서 일측의 팽팽한 매체부분에 의하여 형성되며 화상이송단은 두 로울러사이에서 타측의 팽팽한 매체부분에 의하여 형성된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화상이송단에서 고정된 수상물질스트립으로 토너형상을 이송하기 위하여 전체 무단중간매체는 토너화상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시간동안에 정지되어야 한다. 중간매체의 이러한 정지시간중에 잠재화상이 화상형성단에서 중간매체상에 배치된다. 토너화상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두 연속시간 사이에 잠재화상이 형성된 중간매체의 부분이 화상형성단으로부터 화상이송단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시간중에 잠재화상이 중간매체에 근접하여 배치된 형상 로울러에 의하여 토너로 현상된다. 이러한 현상은 비교적 느린 속도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러한 공지된 장치에 의하여서는 단위시간당 인쇄될 수 있는 화상의 수가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이 없는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중간매체가 화상형성단에서 연속이동가능하고 루프형성수단이 화상이송단에서 중간매체를 주기적으로 정지시키면서 전진시키기 위하여 화상형성단과 화상이송단사이와 화상이송단과 화상형성단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중간매체에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요소가 중간매체에 근접한 고정장소에 배치되고 연속화상의 형성이 연속이동하는 무단중간매체상에서 이루어지는 한편 중간매체의 전진되지 않는 부분으로부터 이들 화상의 이송이 상기 고정부분의 전방에서 이루어지는 루우프의 형성과 상기 고정부분의 후방에서 이루어지는 루우프의 제거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러한 과정중에 화상형성작용이 중간매체의 고정부분에서 이루어지지 않아야 하므로 중간매체의 상기 고정부분이 연속 토너화상의 이송사이에 매우 신속히 전진될 수 있으며 루우프가 상기 고정부분의 후방에서 형성되고 상기 부분의 전방에서 루우프가 제거된다. 이로써 신속히 작동하는 현상단이 요구됨이 없이 장치의 신속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루우프형성수단이 중간매체에서 적어도 하나의 루우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루우프는 화상이송단을 따라 연장되고 토너화상이 수상물질스트립으로 이송되는 것은 중간매체의 전진방향을 고려하여 중간매체에서 토너화상의 선단변부로부터 중간매체에서 토너화상의 후단변부측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루우프는 화상형성단과 화상이송영역으로 둘러싸인 영역에서 형성되어 장치가 콤팩트하게 된다.
보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각 루우프형성수단은 중간매체를 안내하고 긴장시키는 로울러로 구성되고 이러한 로울러는 수상물질스트립이 배치되는 평면에서 예각을 이루는 진로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양 루우프는 화상형성단과 화상이송영역으로 둘러싸인 영역내에 위치하며 중간매체와 수상물질스트립이 놓이는 평면사이의 각도가 화상이송단에서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들 예각이 서로 같게하므로서 중간매체의 한계위치가 중간매체의 중앙위치에 대하여 대칭이 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3도에서 보인 장치는 예를 들어 유럽특허출원 제 0 595 388 호에 기술된 형태로서 고정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화상형성단(4)(5)(6)에서 화상이송을 위한 중간매체를 구성하는 무단벨트(7)와 접촉하는 화상형성드럼(1)(2)(3)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칼라화상의 경우 색분해화상인 토너 서브-화상이 각 드럼(1)(2)(3)에 의하여 분말형태로 형성되고 토너층이 중복될 때에 다색화상(6)을 형성하기 위하여 관련된 화상형성단(4)(5)(6)에서 무단벨트(7)상에 피복된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단(4)(5)(6)을 따라서 연속이동하는 무단벨트(7)상에 형성된 토너화상(8)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화상이송단(9)에서 테이블(10)에 고정되어 있는 수상물질스트립(11)에 구르는 작용으로 이송된다. 수상물질스트립(11)으로 토너화상(8)이 이송된 후에 수상물질스트립은 무단벨트(7)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스트립의 폭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테이블(10)상에서 이동되며 인접한 수상물질스트립으로 연속화상(8')을 이송하기위하여 토너화상(8')이 토너화상(8)에 인접하게 된다.
스트립 폭을 300mm라 하고 스트립 길이를 900mm라 할 때에 AO규격의 수상시이트상에 4부분의 AO규격의 토너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중간매체로서 작용하는 무단벨트(7)는 화상형성단(4)(5)(6)을 따라서 연장된 무단벨트(7)의 부분(15)의 양측에서 고정위치에 배치된 두 안내로울러(13)(14)를 돌아 감겨져 있다. 화상이송단(9)에서 무단벨트(7)는 테이블(10)에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어 있는 캐리지(17)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화상이송로울러(16)를 돌아지난다.
제1도에서 보인 초기위치로부터 제2도에서 보인 중간위치를 지나 제3도에서 보인 종료위치로 캐리지(17)가 이동할 때에 수상물질스트립(11)으로 토너화상(8)을 이송하기 위하여 화상이송로울러(16)는 테이블(10)상에 놓인 상기스트립상에 굴러서 접촉되게 무단벨트(7)를 이동시킨다. 화상이송로울러(16)의 둘레를 지나는 무단벨트(7)의 부분이 굴러 이동하는 동안에 무단벨트는 인장로울러(18)(19)에 의하여 팽팽하게 유지된다. 인장로울러(18)는 안내로울러(14)와 이동하는 화상이송단(9)사이에 연장된 벨트부분이 팽팽하게 되도록 무단벨트(7)를 고정하고 인장로울러(19)는 화상이송단(9)과 안내로울러(13)사이에 연장된 벨트부분이 팽팽하게 되도록 무단벨트(7)를 고정한다.
인장력을 가하므로서 인장로울러(18)(19)는 화상형성단(4)(5)(6)을 통하는 벨트의 부분(15)와 둔각을 형성하여 벨트의 부분(15)의 연장선과는 예각α를 이루는 평면에서 제1도-제3도에서 화살표(F)를 보인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제1도에서 보인 시작위치로부터 제2와 제3도에서 보인 방향으로 캐리지(17)의 이동시에 이러한 이동중에 무단벨트의 이동부분은 고정되어 있는 수상물질스트립(11)상에서 이동하고 인장로울러(18)(19)는 제1도에서 보인 위치로부터 제2도에서 보인 중간위치를 통하여 제3도에서 보인 종료위치로 이동하여 이러한 이동중에 화상이송로울러(16)와 인장로울러(19)사이로 연장된 벨트부분은 테이블(10)의 평면과 항시 예각β를 이루며 화상이송로울러(16)와 인장로울러(18)사이로 연장된 벨트부분은 화상이송로울러(16)로부터 연장된 무단벨트(7)의 부분에서 일정한 인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항시 테이블(10)의 평면과 예각β를 이룬다.
제2도에서 보인 무단벨트(7)의 중간위치에서 인장로울러(18)(19)는 화상이송단(9)을 통하여 중간위치를 통과하고 테이블(10)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평면(20)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를 점유한다. 제3도에서 보인 무단벨트(7)의 종료위치에서 무단벨트(7)는 평면(20)에 대하여 제1도에서 보인 무단벨트(7)의 시작위치에 대칭인 위치를 점유한다.
소형의 화상이송로울러(16)와 소형의 인장로울러(18)(19)가 사용되므로서 제1도와 제3도에서 보인 무단벨트(7)의 단부위치에서 직선형 화상이송로울러(16)는 직선형인장로울러(19)(18)에 각각 일치할 수 있다.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론적으로는 무단벨트(7)가 3개의 변(A)(B)(C)을 갖는 삼각형의 구조일 수 있으며 인장로울러(18)(19)가 각각 이동하는 평면과 화상이송단이 이동하는 평면은 상기 삼각형의 꼭지점을 통과한다. 한편으로는 화상이송로울러(16)와 다른 한편으로는 인장로울러(18)(19)가 이들의 크기에 있어서 동일위치를 점유할 수는 없으나 예각α와 β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도록 작용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는 이론적으로 삼각형 벨트구조의 구성이 가능하다고는 볼 수 없다.
화상형성평면으로 연장되고 거리 H를 두고 화상이송평면에 평행한 삼각형의 부분 A의 길이를 ℓ이라 할때에 무단벨트의 전체길이 L은 다음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로부터 다음식을 얻을 수 있다.
무단벨트(7)의 중간위치에서 인장로울러(18)(19)는 고정부분(A)의 단부점으로부터 거리 x에 있고 화상이송단으로부터 거리 y에 있다. 이제 무단벨트의 전체길이 L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식(3)에 식(1)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다음과 같으므로
식(4)에 식(5)로부터의 y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거리 ℓ, H와 예각α와 β은 사전에 결정된 값으로 주어지므로 화상이송단이 화상형성단으로부터 거리 H에 있는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약 900mm길이의 수상물질스트립(AO 규격의 최단길이)을 인쇄하기 위하여 그리고 적어도 삼색화상형성유니트의 배치토록 길이 ℓ이 적어도 약 600mm가 되게하고 양호한 화상이송을 위하여 벨트(7)와 수상물질스트립(11)사이의 분리각도가 너무 작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최소 각도β 약 15˚),상기 식으로부터 각도α는 최소 35˚의 값으로 주어진다. 각도 α와 β의 값이 너무 크면 장치의 전체높이 H가 불필요하게 커지므로 각도 α의 적당한 값은 35˚- 40˚사이의 범위가 좋으며 각도β는 15˚- 20˚사이의 범위가 좋고 물론 식(2)에 의하여 주어진 각도 α와 β사이의 관계는 그대로 만족되어야 한다. 비교를 위하여 제5도는 각도 α가 식(2)으로부터 얻은 값보다 작은 무단벨트(7)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로부터 이러한 조건에서는 예각 β의 값이 일정하지 아니하고 인장로울러의 순간위치에 따라서 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결과로 화상이송점의 이동시 벨트장력이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캐리지(17)와 인장로울러(18)(19)의 크기 때문에 화상이송로울러(16)를 재가한 캐리지(17)의 한계위치는 이론적으로 가능한 단부위치로부터 거리를 두게 될 것이다. 또한 각도 β가 일정하도록 즉 캐리지(17)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도 α와 β사이의 관계는 관련된 로울러에 감겨 있는 무단벨트(7)에 의하여 둘러싸인 원호를 고려하여야 한다. 제4도와 제5도에서 보인 무단벨트(7)의 구성을 위하여 준비된 컴퓨터모델에 의하여 여기에서 α1= α2인바 각도α의 반복값이 결정되고 주어진 각도α에서 각도 β1과 β2의 변화는 여러 캐리지위치를 위하여 계산된다. 제5도는 비교적 작은 각도 α1= α2를 갖는 상황을 보이고 있으며 각도β1과 β2의 계산된 변화는 큰 반면에 제4도는 각도β1와 β2의 변화가 큰 각도 α1= α2에 대하여 최소인 최적상황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α1이 α2와 정확히 같을 필요는 없다. 적용된 컴퓨터 모델에 의하여 각도 β1의 변화가 최소인 각도 α1의 값과 이로부터 각도 β2의 변화가 최소인 각도 α2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무단벨트(7)의 최적한 구조가 주어져서 각도 α와 β가 캐리지(17)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고 인장로울러에 일정한 인장력 F가 가하여지므로 팽팽한 무단벨트(7)의 인장력은 캐리지(17)의 왕복운동중에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캐리지는 (17)의 왕복운동중에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캐리지는 무단벨트(7)의 연속전진된 부분의 서브-화상에 정확히 중첩되고 또한 화상이송로울러(16)에서 고정된 수상물질에 토너화상을 양호하게 이송토록하는데 유리하다.
제1도-제4도에서 2200mm길이의 무단벨트(7)가 화상이송드럼(1)(2)(3)을 따라6m/분의 속도로 연속이동하여 이 벨트(7)상에 토너화상(8)(8')이 형성된다. 화상형성면과 화상이송면 사이의 거리 H는 500mm이다. 제 1 토너화상(8)을 수상물질(11)에 이송하기 위한 시작위치에서 무단벨트(7)는 제1도에서 보인 위치에 놓여 있다. 이 위치에서 처음에는 수상물질스트립(11)과 접촉하지 않는 화상이송로울러(16)가 서로 접촉하게 되고 캐리지(17)가 열과 압력의 영향하에 수상물질스트립(11)에 토너화상을 이송정착시키기 위하여 10m/분의 속도로 그 타측 한계위치까지 약 900mm의 거리를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중에 인장로울러(18)는 화상형성단(6)과 화상이송단(9)사이에서 무단벨트(7)에 루우프를 형성토록 각도 α로 경사지게 하향이동하고 인장로울러(19)는 제3도에서 보인 위치에 이를 때까지 화상이송단(9)과 화상형성단(4)사이에서 무단벨트(7)에 형성된 초기의 루우프를 제거하기 위하여 각도 α로 경사지게 상향이동한다. 무단벨트(7)에 형성된 다음의 토너화상(8')은 화상이송단(9)의 전방에서 루우프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제 캐리지(17)는 제1도에서 보인 위치로 가속복귀되며 이러한 운동중에 화상이송로울러(16)는 수상물질스트립(11)으로부터 상승되고 수상물질스트립은 벨트(7)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무단벨트(7)의 폭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동된다. 이러한 결과의 위치에 H, 다음 토너화상(8')은 이전의 토너화상(8)에 대하여 제1도에서 보인 위치를 점유하고 다음의 화상(8')을 위한 화상이송이 시작되며 상기 다음의 화상이 토너화상(8)에 인접하도록 수상물질스트립(11)에 인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화상형성 및 화상이송단에 의하여 둘러싸인 영역의 외측에 하나 또는 두개의 루우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화상형성단또는 화상형성단들과 화상이송단사이의 거리가 짧은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나 루우프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보다 긴 거리가 요구된다.
제6도-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제6도-제9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의 부분중에서 제1도-제3도에서 보인 장치에 일치하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무단벨트(7)는 양측면에 예를 들어 네오프렌이나 EPDM고무와 같은 고무층이 피복되고 화상형성유니트(1)(2)(3)(25)에 의하여 벨트(7)에 인접하거나 이에 상하로 형성된 수상물질토너화상에 압력과 열의 영향하에 이송하기 위하여 외측에 실리콘고무 상부층이 구비된 구조적으로 안정한 섬유밴드로 구성된다.
화상이송단(9)에서 이송되지 않은 토너는 새로운 토너화상이 벨트(7)에 도층되기 전에 세척로울러(27)에 의하여 벨트(7)로부터 제거된다. 이 벨트는 구동로울러(28)에 의하여 구동되고 슬립이 일어나지 않은 벨트이송을 위하여 구동로울러에 대하여 약 180˚의 원호를 이룬다. 구동로울러(28)는 화상형성단과 화상이송단에서 벨트의 적절한 인장력을 가하지 아니하고 벨트가 기울어지는 것을 보정하기 위하여 화살표(29)로 보인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게 되어 있다. 과도한 기울어짐이 없는 벨트운동은 화상스트립이 서로 정확히 근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즉 중첩되거나 사이가 떨어짐이 없이 벨트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수상물질에 연속적으로 인쇄되도록 하는데 중요하다.
화상이송단(9)의 직진운동중에 무단벨트가 팽팽하게 되도록 하는 인장로울러(18)(19)는 양단에 와이어(도시하지 않았음)의 긴장을 위한 고정편(29)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는 화살표(F)로 보인 방향으로 인장로울러(18)(19)를 당기고 이러한 방향은 각 인장로울러(18)(19)의 직선형 가이드(31)(32)에 평행하다. 직진 화상이송단(9)을 형성하는 캐리지(17)는 양측부에 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된 롯드(33)상에 연장된 제7도에서 보인 베어링블럭(32)을 갖는다. 캐리지(17)는 무단벨트(7)와 평면상 테이블(11)위의 수상물질사이에 협소한 이송니프를 형성하는 얇은 화상이송로울러(16)를 재가한다. 이 화상이송로울러(16)는 제8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기다란 블럭(35)에 착설되며 이 블럭에는 화상이송로울러(16)를 지지하는 테프론피복채널이 구비되어 있다. 화상이송로울러(16)가 수용되어 있는 블러(35)은 두 평행한 판스프링(36)(37)에 의하여 캐리지(17)에 고정되며 판스프링은 이송니프가 형성되는 위치는 화상이송로울러(16)를 가압한다.
작동기(38)가 판스프링(36)(37)의 작용에 대항하여 니프가 형성되지 않는 위치로 블럭(35)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후자의 위치에서 인장로울러(18)(19)는 무단벨트(7)가 화상이송로울러(16)와 접촉되게 하고 평면판(10)상의 수상물질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벨트안내로울러(40)(41)가 화상이송로울러(16)의 양측에서 캐리지(17)에 착설된다. 로울러(40)(41)는 상기 로울러사이의 벨트부분이 항시 평면판(10)과 정확하게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이송니프가 각도변화에 영향받지 않도록 하며 이러한 각도변화는 캐리지(17)의 병진운동시에 일어날 수 있으나 캐리지(17)로부터 인장로울러(18)(19)측으로 연장된 벨트부분에서 일어나는 최소한의 각도변화에도 영향받지 않게 된다.
이송니프가 형성되는 가운데 화살표(43)로 보인 초기위치로부터 화살표(44)로 보인 종료위치로 캐리지(17)가 병진운동할때에 토너화상이 압력과 열의 영향하에 무단벨트(7)로 부터 수상물질로 이송되어 정착된다. 이를 위하여 요구되는 열은 토너의 이송직전에 수상물질에 공급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가열요소(46)가 캐리지(17)에 고정되고 평면판(10)과 무단벨트(7)사이의 쐐기형 영역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열요소(46)는 가열포일과 하측부의 비점착층이 구비된 4mm 두께의 알루미늄판으로 구성된다. 이 가열요소는 이송니프에 근접하게 예를 들어 이로부터 15mm의 거리까지 연장된다.
화상이송싸이클중에 가열요소(46)는 예를 들어 80℃의 온도까지 다리미질 방식으로 수상물질을 가열하기 위하여 수상물질에 대하여 판스프링(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가압된다. 캐리지(17)가 작동되지 않는 동안에 작동기(도시하지 않았음)가 이미 이송된 토너화상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평면판(10)으로부터 짧은 거리, 예를 들어 2mm의 거리에서 스프링작용에 대항하여 가열요소를 유지한다. 얇은 화상이송로울러(16)에 의하여 형성된 좁은 이송니프(로울러의 직경이 6mm인 경우에 니프의 폭은 약 1mm이다)는 이 니프를 통한 열전달이 거의 없고 비교적 낮은 압력이 요구된다.
이송니프에 접선방향의 힘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상이송로울러(16)와 안내로울러(40)(41)에 의한 마찰력이 이들 로울러를 가볍게 구동시키므로서 보상된다. 얇은 화상이송로울러(16)가 평면판(10)의 바로 위에 배치되고 구동장치가 로울러의 상향운동을 따라서 작동하여야 하므로 구동장치는 제9도에서 보인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하여 화상이송로울러(16)에 연결된다.
유니버셜 조인트는 각각 화상이송로울러(16)의 육각공(50)과 구동축(52)의 육각공(51)에 결합되는 구형단부(48)(49)를 갖는 육각봉(47)으로 구성된다. 육각공(50)(51)내에서 축방향으로 유동하므로 화상이송로울러(16)는 벨트주행에 영향을 주는 축방향의 구동성분을 갖지 아니한다. 캐리지(17)에서 안내로울러(40)(41)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는 특히 이송니프의 형성에 중요하다. 벨트(7)가 고정수상물질에 접하기 시작할때에 벨트속도는 0이어야 한다. 로울러를 구동시키므로서 로울러에 의하여 벨트에 가하여져야 하는 마찰력으로부터의 장애를 방지하여 벨트위치와 벨트속도가 화상이송단(9)에서 조절가능하다.
또한 이송니프에 나타나는 접선방향의 힘은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캐리지(17)의 병진운동중에 일정한 각도 β에 의하여 피할 수 있어 벨트(7)의 인장력이 캐리지의 위치와는 관계가 없다.
인쇄할 수상물질(11)은 공급로울러(55)로부터 공급되고 한쌍의 피구동로울러(56)에 의하여 평면판(50)상으로 공급된다. 이송니프가 폐쇄된 상태에서 캐리지(17)의 병진운동중에 수상물질이 평면판(10)상에 평면상으로 유지되도록하기 위하여 평면판은 트랙패턴이 도층되어 있고 얇은 내마모층이 피복된 4mm 두께의 거울유리시이트의 형태이다. 트랙패턴은 정전기력에 의하여 유리판(10)에 대하여 수상물질(11)을 당기기 위하여 높은 전압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열요소(46)에 의하여 가열된 수상물질(11)은 접촉화상이송중에 평면상으로 유지되고 이송니프의 앞에서 부풀어올라 주름지게 되는 것이 방지 된다. 유리판(10)에 수상물질스트립을 배치하기 위한 수상물질의 주기적인 이송은 화상스트립사이의 정합결함을 피하기 위하여 정확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일측단부가 장치의 프레임에 구상힌지(58)에 의하여 고정되고 타측단부에 휠축상에 펄스디스크가 구비된 두개의 평행한 측정휠(59)이 재가된 기다란 암(57)이 제공된다. 구상힌지(58)둘레에서 휠(59)이 자유롭게 이동한다는 것은 이들이 유리판(10)상에서 수상물질(11)의 이송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
펄스계산으로 화상스트립의 인쇄에 있어서, 정합에러를 피하기 위해 스트립의 폭에 걸쳐 수상물질을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단벨트(7)의 운동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화상스트립의 양호한 정합을 위하여 이송니프의 형성과 캐리지(17)의 이동시작이 무단벨트에 있는 토너화상의 위치와 동기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무단벨트(7)의 내측에 표식(60)이 되어 있으며 이들의 다수가 제7도에서 도시되어 있고 감지기(61)(62)가 이들 표식을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바, 감지기(61)는 화상형성단의 전방에서 가까운 거리에 배치된 벨트의 이동방향을 고려하여 제공되고 감지기(62)는 화상이송단(9)의 후측에서 가까운 거리의 캐리지(17)상에 제공된다. 감지기(61)에 의한 지정표식의 검출시에 화상형성싸이클은 예를 들어 화상형성드럼(1)에 토너화상을 도층하기 시작하고 캐리지는 화상이송을 위한 시작위치로 옮겨진다.(제6도에서 최우측 캐리지 위치). 감지기(62)에 의한 동일표식의 검출시에 이송니프가 폐쇄되고 캐리지의 운동이 시작된다. 공급된 수상물질의 폭과 화상스트립의 길이에 따라서 캐리지의 단부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캐리지는 화상스트립이 이송되었을 때에 정지하고 화상이송로울러(61)와 가열요소(46)가 수상물질(11)로부터 상승되고 캐리지(17)가 후속화상이송싸이클을 위하여 그 초기위치로 가속복귀된다.
제1도는 화상이송싸이클의 시작에 해당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 구성도
제2도는 화상이송싸이클의 중간에 해당하는 제1도 장치의 개략 구성도
제3도는 화상이송싸이클의 종료에 해당하는 제1도에 따른 장치를 보인 개략 구성도
제4도는 제1도-제3도에 따른 장치에 제공된 중간매체의 여러 위치를 보인 설명도
제5도는 제1도-제4도에서 보인 것과는 상이한 구성의 중간매체를 보인 설명도
제6도는 제1도-제3도에서 보인 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보인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따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제8도는 제6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의 상세도
제9도는 제6도와 제7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의 다른 상세도
*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2, 3, 25 : 화상형성드럼 7 : 무단벨트
9 : 화상이송단 10 : 평면판
18, 19 : 인장로울러 31, 32 : 평면

Claims (14)

  1. 일측방향으로 전진하는 무단중간매체(7)로부터 수상물질(11)로 토너화상(8,8')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토너화상(8,8')이 화상형성단(4,5,6)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요소(1,2,3)에 의하여 중간매체(7)에 도층되고 화상이송단(9)에서 고정되어 있는 수상물질(11)의 스트립으로 이송되는 토너화상이송장치에 있어서, 중간매체(7)가 화상형성단(1,2,3)에서 연속이동하고, 중간매체(7)의 전진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인장로울러(18)(19)로 구성되는 루우프형성수단이 화상이송단(9,10)에서 중간매체(7)의 전진을 주기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하여 화상형성단(3)과 화상이송단(9)사이와 화상이송단(9)과 화상형성단(1)사이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화상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루우프형성수단(18,19)이 중간매체(7)에 하나이상의 루우프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루우프는 화상이송단(9,10)을 따라 연장되며, 수상물질스트립(11)으로 토너화상(8)의 이송이 중간매체(7)의 전지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중간매체(7)에서 토너화상의 선단변부로부터 중간매체(7)에서 토너화상의 후단변부측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루우프형성수단(18,19)이 중간매체(7)를 안내하고 긴장시키는 인장로울러들로 구성되고, 이들 인장로울러는 수상물질스트립(11)이 위치하는 평면과 예각 α을 이루는 진로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예각 α이 서로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화상형성단(1,2,3)이 수상물질스트립(11)이 위치하는 평면(10)에 평행하고 이로부터 거리 H에서 거리(ℓ)만큼 연장되며, 예각 α이 다음식을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여기에서 β는 중간매체 7와 수상물질스트립 11이 놓이는 평면 10사이의 내각이다)
  6. 제3항에 있어서, 예각 α이 35˚- 40˚사이의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예각 β가 15˚- 20˚사이의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중간매체(7)를 긴장시키는 각 인장로울러(18,19)가 중간매체(7)를 긴장시키는 힘(F)을 받으며, 이 힘을 수상물질스트립(11)이 놓이는평면(10)과 예각 α을 이루는 진로에서 가하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형의 압력로울러(16)가 토너화상(8,8')을 이송하기 위하여 화상이송단(9)에서 수상물질(11)에 대하여 중간매체(7)를 가압토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압력로울러(16)가 약 6mm의 직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압력로울러(16)가 감마물질로 피복된 채널(35)내에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압력로울러(16)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구동축(52)에 형성된 육각공(51)과 압력로울러(16)에 형성된 육각공(50)에 각각 삽입되는 구 상단부(48,49)를 갖는 육각축(47)의 커플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가열요소(46)가 열의 영향하에 토너화상(8,8')을 이송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화상이송단(9)의 직전에 고정되어 있는 수상물질(11)을 가열토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화상이송단(9)을 형성하는 평면판(10)이 제공되고, 이는 화상이송중에 수상물질스트립(11)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전압에 연결가능한 전극패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50026005A 1994-08-22 1995-08-22 토너화상이송장치 KR100377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9401352A NL9401352A (nl) 1994-08-22 1994-08-22 Inrichting voor het overdragen van tonerbeelden.
NL9401352 1994-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450A KR960008450A (ko) 1996-03-22
KR100377681B1 true KR100377681B1 (ko) 2004-04-28

Family

ID=1986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005A KR100377681B1 (ko) 1994-08-22 1995-08-22 토너화상이송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87779A (ko)
EP (1) EP0698833B1 (ko)
JP (1) JP2813970B2 (ko)
KR (1) KR100377681B1 (ko)
AU (1) AU685655B2 (ko)
CA (1) CA2156144A1 (ko)
DE (1) DE69513107T2 (ko)
ES (1) ES2139145T3 (ko)
NL (1) NL9401352A (ko)
TW (1) TW2736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23933T2 (de) * 1996-09-25 2004-07-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Bilderzeugungsgerät
JPH10221918A (ja) * 1997-02-04 1998-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120452B2 (ja) * 1997-02-20 2000-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044240A (en) * 1997-04-11 2000-03-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verse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24426A (ja) * 1997-07-02 1999-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351311B2 (ja) * 1997-09-19 2002-11-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10632740B2 (en) 2010-04-23 2020-04-28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CN104220934B (zh) * 2012-03-05 2018-04-06 兰达公司 印刷系统
EP4019596A1 (en) 2012-03-05 2022-06-29 Landa Corporation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k film construction
US9902147B2 (en) 2012-03-05 2018-02-27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US10434761B2 (en) 2012-03-05 2019-10-08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WO2013136220A1 (en) 2012-03-15 2013-09-19 Landa Corporation Limited Endless flexible belt for a printing system
KR102066303B1 (ko) 2012-03-05 2020-01-14 란다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잉크막 구조
EP3415336B1 (en) 2012-03-05 2020-10-14 Landa Corporation Ltd. Printing system
US9381736B2 (en) 2012-03-05 2016-07-05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US9498946B2 (en) 2012-03-05 2016-11-22 Landa Corporation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r monitoring of a printing system
US10642198B2 (en) 2012-03-05 2020-05-05 Landa Corporation Ltd. Intermediate transfer members for use with indirect printing systems and protonatabl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s for use with indirect printing systems
GB2513816B (en) 2012-03-05 2018-11-14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US9643403B2 (en) 2012-03-05 2017-05-09 Landa Corporation Ltd. Printing system
GB201401173D0 (en) 2013-09-11 2014-03-12 Landa Corp Ltd Ink formulations and film constructions thereof
GB2536489B (en) 2015-03-20 2018-08-29 Landa Corporation Ltd Indirect printing system
GB2537813A (en) 2015-04-14 2016-11-02 Landa Corp Ltd Apparatus for threading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of a printing system
GB201602877D0 (en) 2016-02-18 2016-04-06 Landa Corp Lt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ideos
US10933661B2 (en) 2016-05-30 2021-03-02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GB201609463D0 (en) 2016-05-30 2016-07-13 Landa Labs 2012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article
CN111212736B (zh) 2017-10-19 2021-11-23 兰达公司 用于打印系统的环形柔性带
WO2019097464A1 (en) 2017-11-19 2019-05-23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WO2019102297A1 (en) 2017-11-27 2019-05-31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US11707943B2 (en) 2017-12-06 2023-07-25 Landa Corporat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printing
WO2019111223A1 (en) 2017-12-07 2019-06-13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and method
CN112399918B (zh) 2018-06-26 2023-01-31 兰达公司 数字印刷系统的中间传输构件
US10994528B1 (en) 2018-08-02 2021-05-04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with flexibl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WO2020075012A1 (en) 2018-10-08 2020-04-16 Landa Corporation Ltd. Friction reduction means for printing systems and method
US11787170B2 (en) 2018-12-24 2023-10-17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CN114746813A (zh) 2019-11-25 2022-07-12 兰达公司 在数字印刷中使用红外辐射来干燥油墨
US11321028B2 (en) 2019-12-11 2022-05-03 Landa Corporation Ltd. Correcting registration errors in digital print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6309A (en) * 1982-12-29 1985-12-03 Coulter Systems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imaging apparatus, particularly for color proofing and method
US4845519A (en) * 1987-04-06 1989-07-04 Alps Electric Co., Ltd. Improved printer enabling concurrent writing, transferring, and fixing operations on the same sheet of recording material
US4894686A (en) * 1987-08-31 1990-01-16 Olin Hunt Specialty Prod Transfer roller
JP3057723B2 (ja) * 1990-07-10 2000-07-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プリンタ
US5142338A (en) * 1991-04-08 1992-08-25 Olin Corporation Transfer web tensioning system for an electrostatic transf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56144A1 (en) 1996-02-23
TW273660B (ko) 1996-04-01
AU3014195A (en) 1996-03-07
KR960008450A (ko) 1996-03-22
EP0698833A1 (en) 1996-02-28
DE69513107T2 (de) 2000-03-23
ES2139145T3 (es) 2000-02-01
EP0698833B1 (en) 1999-11-03
DE69513107D1 (de) 1999-12-09
NL9401352A (nl) 1996-04-01
JP2813970B2 (ja) 1998-10-22
US5587779A (en) 1996-12-24
JPH08314291A (ja) 1996-11-29
AU685655B2 (en) 199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7681B1 (ko) 토너화상이송장치
CA1049841A (en) Transfer belt alignment and registration
JP6220354B2 (ja) デジタル印刷システムのための制御装置および方法
IE44877B1 (en) Process for fixing images
US6684051B2 (en) Print system and registration control method at print start time of the print system
JP2002046912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S638462B2 (ko)
JP3703508B2 (ja) 画像転写スメアーの検出及び修正装置
EP1122200A2 (en) Device for steering and tensioning a web
US7941084B2 (en) Apparatuses useful for printing and methods of mitigating edge wear effects in apparatuses useful for printing
EP1079283B1 (en) Duplex printer and method of printing
JP2817165B2 (ja) 定着装置
US20020154928A1 (en) Digital printing or copying machine and process for fixing a toner on a substrate
JPH02982A (ja) 非インパクト静電プリンタ
JP2009220312A (ja) 両面印刷装置におけるウェブ蛇行補正制御方式
JP5181881B2 (ja) 両面印刷装置
JP4204394B2 (ja) 定着装置および該定着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6248158A (ja)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5232129A (ja) 無端帯の速度検知装置
JP2549180Y2 (ja) ヒートロール定着装置
JP2003081502A (ja) 画像記録装置
NL1023029C2 (nl) Printer omvattend een eindloze band als tussenmedium.
JP2002244496A (ja) 画像形成装置
JPH1135203A (ja) 両面記録装置
JPH0325388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