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543B1 - 실린더세정장치및그에이용되는실린더세정포 - Google Patents

실린더세정장치및그에이용되는실린더세정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543B1
KR100373543B1 KR1019970008510A KR19970008510A KR100373543B1 KR 100373543 B1 KR100373543 B1 KR 100373543B1 KR 1019970008510 A KR1019970008510 A KR 1019970008510A KR 19970008510 A KR19970008510 A KR 19970008510A KR 100373543 B1 KR100373543 B1 KR 100373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leaning cloth
rod
cleaning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923A (ko
Inventor
아키라 하라
히데오 오야이즈
시게오 이소베
다카유키 고토
Original Assignee
니혼 보루도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8085711A external-priority patent/JP30831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3022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904481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보루도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보루도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4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5/00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3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actuated by use of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20Wiping devices
    • B41P2235/24Wiping devices using rolls of cleaning cl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20Wiping devices
    • B41P2235/24Wiping devices using rolls of cleaning cloth
    • B41P2235/244Rewinding the cleaning cl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19Starting winding process
    • B65H2301/41422Starting winding process involving mechanical means
    • B65H2301/414225Starting winding process involving mechanical means fixed to shaft or mandrel, e.g. clamping or pinching leading edge to shaft or mandrel

Landscapes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실린더 세정장치, 실린더 세정용 포, 세정포의 처리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세정포로울로부터 간단하게 빼낼수 있는 세정포 권취축 구조체를 구비한 실린더 세정장치와, 세정포권취축 구조체에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세정포 및 사용이 끝난 세정포를 권취축으로부터 빼내고, 사용이 끝난 세정포를 권취한 형태로 폐기처분을 가능하게 한 사용이 끝난 세정포의 처리방법을 제공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분할한 축부재(6A) 및 (6B)로 세정포 권취축을 구성하고, 이들 축부재의 양끝단을 사이프 플레이트(9)로 부착된 축부재 고정수단(10)으로 고정한다. 축부재 고정부(10A), (10B)는 축부재(6)의 끝단부를 지지하는 축끝단지지부(11)와 축받이부(20)에 장착되는 프래그(13)로 이루어져 있다. 축끝단 지지부(11)의 중앙을 가로로 잘라서 직선형상으로 돌출한 끼워넣는부(12)가 형성되고, 이 끼워넣는부가 축부재 사이로 끼워들어감으로써 축지름이 크게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세정포의 권취를 행한다. 권취된 세정포를 처리할 때는 축부재를 축부재 고정부로부터 벗겨내면 끼워넣는부가 축부재의 사이로부터 빠져 축지름이 작게되고, 세정포와 축부재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며, 세정포로울로부터 세정포권취축을 잡아빼는 것이 가능하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오프세트 인쇄기의 각종 실린더 및 로울등의 표면을 세정하는 실린더 세정장치에 사용됨.

Description

실린더 세정장치 및 그에 이용되는 실린더 세정포
본 발명은 오프세트 인쇄기의 각종 실린더 및 로울등의 표면을 세정하는 실린더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세정포의 구조 및 사용이 끝난 세정포를 권취하는 권취축 구조체가 축지름, 축형상, 축둘레의 변화에 의하여, 붕괴가능한(코랩서블)축 구조를 가지는, 사용이 끝난 세정포를 권취한 형태로 폐기처리를 가능하게 한 실린더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프세트 인쇄기의 블랭컷 실린더 등의 실린더표면을 세정포로 세정하는 실린더 세정장치에 있어서, 세정포는 로울형상 또는 접혀진 상태의 세정포 공급체로부터 공급되고, 실린더 바깥둘레로 눌러붙여서 실린더 바깥둘레면을 세정하고, 세정한 후의 세정포는 권취축에 권취되면서 실린더 표면을 세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여기에서, 제 95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정포(3)는 띠형상의 것을 권치심에 단순하게 감은 또는 접은 상태로 사용되고, 표면에 앞끝단이 뽀족한 미소한 돌기(6a)가 다수있는 권취축(6)에 감아붙여서 세정포로울로 되어 권취된다. 권취축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5-60843 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권취축은 주위에 복수열의 산부와 골짜기부를 교대로 형성하고 있다.
실린더 세정장치에 착설된 상기의 세정포 공급체로부터 세정포를 권취축으로 감아붙여서 세정조작의 준비를 할 때에는, 실린더 세정장치가 인쇄기의 실린더의 근방에 설치된채로의 상태에서, 특히 현재와 같이 인쇄기가 소형화, 콤팩트화되면 항상 다시 좁은 스페이스로 감아붙여야만 한다. 또한 폭이 넓은 세정포(예를 들면, 신문용이라면 약 170 cm)를 실린더 표면과 실린더 세정장치의 사이의 좁은 간극(약 3 cm)를 통하여 권취축에 늘어짐이 없이, 감고 있는 사이에 어긋남이 없도록, 세정포의 폭방향의 둘레 가장자리가 나란하도록 감아붙이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즉, 축에 대하여 세정포의 둘레가장자리를 직각으로 감아붙이는(직각도를 유지하여) 것은 용이하지 않으며, 작업자의 숙련에 맡기는 수밖에 없다.
또한, 사용이 끝난 세정포가 감아붙여진 권취축을 실린더 세정장치로부터 빼내고 세정포로울을 귄추축으로부터 빼내어 처분하도록 하는 때에는, 수작업으로 세정포를 조금씩 풀어내는 작업을 하지만, 사용이 끝난 세정포는 잉크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더러워지기 쉬운 작업이며, 이와 같이 풀어낸 사용이 끝난 세정포의 덩어리는 더러워지기 쉬우면서 또한 늘어져서 취급하기 어려운 것이라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정포로울로부터 간단하게 빼낼수 있는 세정포 권취축 구조체를 구비한 실린더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정포권취축 구조체에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세정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이 끝난 세정포를 권취축으로부터 빼내고, 사용이 끝난 세정포를 권취한 형태로 폐기처분을 가능하게 한 사용이 끝난 세정포의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세정포 권취축의 정면도.
제 2 도는 축부재의 분해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제 3 도는 축부재에 형성되는 축지름의 설명도.
제 4 도는 축부재 고정부의 설명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A-A 단면도.
제 6 도는 세저포 로울로부터 세정포 권취축을 뽑아낼 때의 설명도.
제 7 도는 다른 실시형태인 세정포 권취축의 정면도.
제 8 도는 축부재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제 9 도는 세정포 로울로부터 세정포 귄취축을 뽑아낼 때의 설명도,
제 10 도는 세정포 권취축의 축지름을 변화시키는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 11 도는 세정포 로울로부터 세정포 권취축을 뽑아낼 때의 설명도.
제 12 도는 다른 실시형태인 세정포 권취축의 좌측정면도.
제 13 도는 제 12 도의 좌측 평면도.
제 14 도는 프래그의 정면도.
제 15 도는 프래그의 평면도.
제 16 도는 프래그의 좌측면도.
제 17 도는 제 12 도의 C-C 단면도.
제 18 도는 제 12 도의 D-D 단면도.
제 19 도는 외각부재를 가지는 세정포 권취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 20 도는 제 19 도의 F-F 단면도.
제 21 도는 제 19 도의 G-G 쪽에서 본 도면.
제 22 도는 세정포 로울로부터 세정포 권취축을 뽑아낼 때의 설명도.
제 23 도는 외각부재를 가지는 세정포 권취축의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
제 24 도는 외각부재를 가지는 세정포 권취축의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
제 25 도는 다른 실시형태인 세정포 권취축의 단면도.
제 26 도는 제 25 도의 H-H 단면도.
제 27 도는 세정포 로울로부터 세정포 권취축을 뽑아낼 때의 설명도.
제 28 도는 제 25 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단면도.
제 29 도는 제 28 도의 I-I 단면도.
제 30 도는 세정포 로울로부터 세정포 권취축을 뽑아낼 때의 설명도.
제 31 도는 다른 실시형태인 세정포 권취축의 평면도.
제 32 도는 봉형상 부재유니트의 사시도.
제 33 도는 축부재의 사시도.
제 34 도는 제 31 도의 J-J 선에서 본 도면.
제 35 도는 제 31 도의 K-K 선에서 본 도면.
제 36 도는 세정포의 셋트시의 설명도.
제 37 도는 세정포의 셋트 완료상태의 설명도.
제 38 도는 제 31 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세정포 권취축의 사용설명도.
제 39 도는 제 38 도의 L-L 선에서 본 도면.
제 40 도는 봉형상 부재 유니트의 뽑기조작의 설명도.
제 41 도는 세정포 로울의 감아붙이는 힘에 의한 봉형상부재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 42 도는 제 31 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설명도.
제 43 도는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
제 44 도는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
제 45 도는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
제 46 도는 다른 실시형태인 세정포 권취축의 일부를 축끝단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제 47 도는 단면이 정방형인 봉형상부재를 가진 세정포 권취축의 일부를 축끝단측에서 본 측면도.
제 48 도는 단면이 타원형인 봉형상 부재를 가진 세정포 권취축의 일부를 축끝단측에서 본 측면도.
제 49 도는 다른 실시형태인 세정포 권취축의 평면도.
제 50 도는 제 49 도의 M-M 선에서 본 도면.
제 51 도는 제 49 도에 나타낸 세정포 권취축에 장착되는 봉형상부재 유니트의 사시도.
제 52 도는 봉형상부재 유니트를 장착한 세정포 권취축의 평면도.
제 53 도는 제 49 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평면도.
제 54 도는 제 53 도의 N-N 단면도.
제 55 도는 제 49 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평면도.
제 56 도는 제 55 도의 세정포 권취축에 장착되는 봉형상부재 유니트의 사시도.
제 57 도는 봉형상 부재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 58 도는 제 57 도의 P-P 단면도.
제 59 도는 봉형상 부재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1)는 윗면도, 도(2)는 측면도.
제 60 도는 제 59(2)의 Q-Q 단면도.
제 61 도는 다른 실시형태인 세정포 권취축의 사시도.
제 62 도는 세정포 권취축을 포함하는 축받이부의 정면도.
제 63 도는 실린더 세정포의 설명도.
제 64 도는 세정포 고정체의 실시예의 설명도.
제 65 도는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제 66 도는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제 67 도는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제 68 도는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제 69 도는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제 70 도는 세정포 권취축과 세정포 고정체가 조합된 구조의 설명도.
제 71 도는 세정포 권취축의 바깥둘레 구조의 실시예의 설명도.
제 72 도는 다른 실시형태인 실린더 세정포의 설명도.
제 73 도는 세정포와 권취축의 사이의 걸어멈춤 구조의 사시도.
제 74 도는 세정포가 걸어맞추어지는부의 변형예의 설명도.
제 75 도는 걸어멈춤구조의 변형예의 사시도.
제 76 도는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
제 77 도는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
제 78 도는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
제 79 도는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
제 80 도는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
제 81 도는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
제 82 도는 걸어멈춤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83 도는 걸어멈춤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84 도는 걸어멈춤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85 도는 제 84 도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설명도.
제 86 도는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
제 87 도는 세정포와 권취축의 사이의 걸어멈춤 해제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 88 도는 걸어멈춤 해제기구의 사시도.
제 89 도는 걸어멈춤 해제의 조작순서의 설명도.
제 90 도는 걸어멈춤/걸어멈춤해제 기구의 변혀예의 설명도.
제 91 도는 제 90 도의 부분확대도.
제 92 도는 걸어멈춤/걸어멈춤해제 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93 도는 제 92 도의 좌측면도.
제 94 도는 걸어멈춤/걸어멈춤해제 구조의 변형예의 설명도.
제 95 도는 종래의 세정포 권취축의 설명도.
제 96 도는 실린더 세정장치의 개략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2 : 세정유니트
3 : 세정포 3a : 관통구멍(미싱눈)
3b : 절결슬릿 3c : 칼집
3d : 저밈 상태 4 : 세정포 공급체
5 : 세정포 권취부 5 : 권취축
6a : 돌기 6A, 6B : 축부재
7 : 실린더 압착부 7a : 팽창부재
8 : 세정포 공급용 축 9 : 사이드 플레이트
10 : 축부재 고정수단 10A : 제 1 의 축부재 고정부
10B : 제 2 의 축부재 고정부 11 : 축끝단 지지부
11a : 고리형상 돌출부 12 : 끼워넣는부
13 : 프래그 14 : 핀구멍
20 : 축받이부 20A,20B : 축받이부
21 : 조작노브 22 : 축지지부
23 : 회전축부 24 : 축조인트
25 : 홈 26 : 연결핀
27 : 스프링 28 : 프래그 받이 구멍
30 : 오목부 31 : 돌기부
40 : 축심부 41 : 프래그 삽입구멍
42 : 프래그 42a : 축심부 삽입부
42b : 연결부 42c : 플랜지부
42e : 연결구멍 42g : 끼워넣는부
42h : 가이드부 42i : 절결부
43 : 프래그 연결핀 44 : 홈구멍
45 : 스프링 50, 50A, 50B : 외각부재
51b : 두부 52 : 스프링
53 : 나사 60A, 60B : 관형상부
61 : 핀 62 : 핀받이부
63 : 비스 64 : 고리형상 돌기부
65 : 포누름체 71 : 축심부
72 : 외각부재 73 : 슬라이드핀
74 : 스프링 75 : 힌지
76 : 끼워넣음 부재 77 : 홈
80 : 축부재 81 : 팽창부재
82 : 걸어맞춤부재 83 : 관통구멍
84 : 걸어맞춤부재 85 : 작동부재
94 : 볼록선 95 : 오목선
100 : 세정포 로울 102 : 컬부분
103 : 띠형상부재 104 : 블록형상 부재
105 : 세정포 고정체 106, 107 : 세정포 고정체
110 : 축부재 111A, 111B : 봉형상 부재
111e : 요홈부 111f : 볼록부
112 : 홈 113 : 걸어맞춤구멍
114 : 엔드 플레이트 115 : 걸어멈춤구멍
116 : 서포트 플레이트 117 : 걸어맞춤 돌기
118 : 걸어멈춤부재 119 : 구멍부
121 : 연결부 130 : 연결용부재
130a : 걸어멈추어지는 부분 131 : 연결용 부재
131a : 갈고리부 140 : 끝단변부
141 : 걸어멈춤구멍 142 : 보강
143 : 링 144 : 호크 A
146 : 호크 B 147 : 걷어멈추어지는 부분
148 : 걸어멈추어지는 부분 160 : 절결부
161 : 축쪽 돌기 162 : 축 부착부
163, 164 : 당겨걸림부 165 : 관통구멍
168 : 보스부 169 : 당겨걸림부
190 : 홈 191 : 키부재
192 : 오목부 193 : 회동축
194 : 손톱 200 : 슬릿부재
201 : 개방부분 202 : 부착부
203 : 당겨걸림부
본 발명은 세정포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세정포를 권취하는 세정포권취축 구조체를 가지며, 세정포를 실린더 바깥둘레에 눌러붙여서 실린더 바깥둘레면을 세정하는 실린더 세정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지지된 세정포 권취축 구조체에 권취된 세정포와의 사이의 접촉상태를 기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구는, 세정포 권취축 구조체의 축직경을 변화시키는 구조, 세정포 권취축 구조체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구조, 및 세정포 권취축 구조체의 축둘레를 변화시키는 구조로 한다.
세정포 권취축 구조체와 권취된 세정포의 사이의 접촉상태를 기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기구를, 축구조체에 설치함으로써, 세정포의 권취후에 축직경을 작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작을 함으로써, 세정포가 세정포 권취축으로 작용시키는 감아조여붙이는 힘을 극히 약하게 한다. 그 결과, 세정포로울로부터 세정포권취축을 빼내기 쉽게한다.
사용이 끝난 세정포를 로울 상태로 폐기처분가능하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와같이 로울을 풀어서 처리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성이 좋고, 또한 주변이나 작업자로의 오염도 적게하는 것이 가능한, 즉 메인티넌스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세정포권취축을 복수개로 분할한 축부재로 구성하는 경우는, 축직경을 변화시키는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제작이 염가로 된다.
끼어들어가는 부재를 세정포 권취축의 구성부재의 사이로 출입하는 구조의 경우는, 간단하게 축지름을 큰것으로부터 작은 것, 또는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크게 변화한 축지름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세정포권취축 구조체에 걸어멈춤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세정포를 세정포 권취축에 감아붙이기가 간단하게 가능함과 함께, 안정적인 직각성이 얻어진다.
봉형상 부재와 홈과 축부재에 의하여 세정포를 걸어멈추는 구조의 경우는, 봉형상 부재를 축부재로부터 잡아빼냄으로써 세정포 로울과 축부재 바깥둘레의 사이의 접촉상태가 변화하고, 축부재를 세정포로울로부터 빼내기 쉽게 된다. 특히, 복수의 홈으로부터 봉형상 부재를 잡아빼내는 구조로 한 경우에는 세정포로울과 축부재의사이의 접촉상태를 한 개의 홈으로부터 봉형상 부재를 잡아빼는 경우와 비교할 때 크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축부재가 다시 빼내기 쉽게 된다. 또한 한 개의 홈에 복수의 봉형상 부재를 소정간격 공백으로 배치하는 구조의 경우에는 축부재에 대하여 봉형상 부재의 한끝단측의 걸어멈춤을 풀어냄으로써 봉형상 부재에 작용하는 세정포 로울의 조여붙이는 힘에 보다 비슷하게 맞추고, 그 결과, 축둘레가 작게 변화하고, 축부재와 세정포로울의 사이의 접촉상태가 변화하여 축부재가 빼내기 쉽게 된다.
타원 등의 봉형상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봉형상 부재의 걸어멈춤을 축부재로부터 빼낸 후에 회전시킴으로써 축둘레를 작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축부재가 빼내기 쉽게 된다. 또한 봉형상 부재의 주위에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봉형상부재를 축끝단으로부터 빼냄으로써 봉형상부재가 간극의 쪽으로 이동하여 축둘레를 작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축부재가 빼내기 쉽게 된다.
긴축의 경우는 봉형상 부재도 길게 되어 세정포로울로부터 빼내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긴축에서는 홈의 중간부분에 봉형상부재의 한끝단쪽을 걸어 멈추는 걸어멈춤부재를 설치한 구조나 홈내에서 봉형상부재끼리를 연결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짧은 봉형상 부재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봉형상부재가 빼내기 쉽게 됨과 함께, 축의 양쪽으로부터의 조작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포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세정포를 실린더 바깥둘레로 눌러붙여서 이 실린더 바깥둘레면을 세정하고, 세정후의 상기 세정포를 권취축으로 권취하는 실린더 세정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지지된 권취축의 바깥둘레부 또는 축끝단부에 상기 세정포의 걸어멈춤되는 수단을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권취축에 걸어멈추어지기 쉽고 또한 권취축의 회전방향에는 어느정도의 강도를 유지하는 구조를 세정포의 소정의 끝단부 또는 걸어 멈춤가능한 장소에 설치하여 놓음으로써, 세정포의 권취축으로의 걸어멈춤이 용이하게 됨과 함께, 위치결정이 정확하게 되므로, 권취축으로의 장착이 정확하고 확실하게 가능하다.
걸어멈춤 해제기구를 구비한 경우는 사용이 끝난 세정포의 권취축으로의 감아 붙임 결합상태가 해소될 수 있으며, 권취축으로부터 사용이 끝난 세정포의 빼냄이 간단하게 된다. 특히 걸어멈춤/걸어멈춤해제를 한 개의 기구로 구성함으로써 간략화가 도모된다.
세정포가 걸어멈추어지는 수단을 설치한 부분에, 보강이나 저마찰재, 경화재의 도포나 함침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변형이 어렵게 함으로써, 걸어멈춤/걸어 멈춤해제가 안정하게 조작될 수 있다.
세정포측의 권취축의 바깥둘레부에 접하는 부분 및/또는 권취축의 바깥둘레부가 미끄러지는 성질로 함으로써 사용이 끝난 세정포로부터 권취축을 잡아뽑기쉽게 되고, 권취된 형태로 사용이 끝난 세정포의 폐기처분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끝난 세정포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한 권취축의 바깥둘레부에 있는 외피부재에 걸어멈춤수단을 설치한 구조로는 권취축으로부터 사용이 끝난 세정포가 감아붙여진 외피부재를 떼어내고, 그후에는 외피부재를 바깥쪽으로부터 내측으로 눌러서 단축된 지름으로 하여 간단하게 잡아뽑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실린더 세정포는 로울형상으로 감거나 또는 뒤집어 접혀진 상태로 접혀지며 실린더세정장치에 장비된 권취축의 걸어멈춤수단에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추어지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정포 또는 세정포에 연결한 연결부재는 권취축의 바깥둘레부에 접하는 부분이 미끄럼성을 가지고, 권취축에 최초로 감아붙여진 포의 포끝단 또는 그 부근에, 구멍 또는 슬릿 또는 칼집 또는 저미기가 실시된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세정포측에 세정포 고정제가 설치된다. 세정포 고정체는 세정포 또는 세정포에 부가한 부분에 1 또는 복수의 봉형상 부재나 끈형상 부재에 의하여 구성된다. 또한 세정포 자체 또는 세정포에 부가한 부재자체를 가공한 세정포 고정체를 설치한다.
상기의 걸어멈춤수단에 세정포가 걸어멈추어지는 수단을 걸어멈춤함으로써 세정포를 권취축에 간단하게 감아붙일수 있고, 안정적인 직각성이 얻어진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96 도는 본 발명의 실린더 세정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린더 세정장치는 인쇄기의 실런더(1)에 대치시켜서 착설되는 세정유니트(2)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이세정유니트(2)에는 세정포(3)를 공급하는 세정포 공급체(4), 세정포 공급체(4)로부터 세정포(3)를 감아내는 세정포 권취부(5), 세정포 공급체(4)와 세정포 권취부(5)와의 사이에 걸려진 세정포(3)를 실린더(1)의 표면으로 눌러붙이는 실린더 압착부(7)로 되어 있다.
이들 각 요소는 세정유니트(2)를 구성하는 프레임으로서 사이드 플레이트(9)에 지지되어 있다.
실린더 압착부(7)는, 예를 들면 제 9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부재(7a)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괭창시키고, 이 팽창상태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포(3)를 실린더(1)의 표면으로 밀어누르고, 또한 팽창부재(7a)로부터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도시한 파선(7b)과 같이 수축시켜, 세정포(3)를 실린더(1)의 표면으로부터 이간시킨다.
세정포 공급체(4)는 세정포(3)를 로울형상으로 감은 형태 또는 뒤집어 접은(지그재그 접음) 형태로서 적용된다. 특히 세정포 로울에 대하여는 관형상 감기심어나 봉형상 감기심을 가진 것, 또는 그들 감기심을 가지지 않은 것이 사용가능하다. 또한 세정포(3)는 통상의 포, 부직포, 종이, 필름 및 이들에 처리를 가한 것, 혹은 유사한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처리를 가한 세정포로서는, 예를들면 미리 액을 함침시킨 것, 혹은 미리 액을 함침시키고, 다시 진공팩 등의 상태로 팩키지를 한 것으로서, 다시 젤리상태, 페이스트상태 등의 세정제를 도포한 것도 포함한다.
세정포 권취부(5)는 세정포 권취축(6)과, 권취축(6)에 일정한 길이씩 세정포를 권취하기 위한 회전력을 부여하는 일정규격의 권취기구(도시않됨)로 되어 있다. 이들 세정포 공급체(4)를 지지하는 세정포 공급용의 축(8), 세정포 권취축(6), 일정규격권취기구 등의 구성요소는 사이드 플레이트(9)에 짜붙여진다.
본 발명의 세정포 권취축 구조체는 축과 세정포의 사이에 접촉상태를 기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기구를 구성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기계요소로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세정포 권취축"이라 기재한다.
세정포 권취축과 이 축에 권취된 세정포의 사이의 접촉상태를 기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기구로서, 세정포 권취축의 축지름을 변화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세정포 권취축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 2 도는 축부재의 분해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예를 들면 2 분할, 3 분할 등의 복수분할한 축부재를 양끝단에서 고정하여 세정포 권취축을 구성한다. 여기에서는 2분할한 축부재로 구성한 세정포 권취축의 축지름을 변화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3 이상으로 분할한 축부재라도 마찬가지로 적용가능하다.
세정포 권취축(6)은 원통체를 반으로 가른 2분할의 축부재(6A) 및 (6B)를 가진다. 축부재 (6A), (6B)의 양끝단은 사이드 플레이트(9)에 착설된 축부재 고정수단(10)으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축부재(6A), (6B)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체의 일부분을 고정폭 a로 절단한 거의 반원호의 단면음가진다. 축부재의 절단면을 상호간에 접한 상태에서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원통체의 직경 D 보다 작은 직경 d 으로 된다. 각각의 축부재의 양끝단측에는 절제부분(6a) 및 (6b)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재 고정수단(10)은 축부재의 한쪽 끝단을 고정하는 제 1 의 축부재 고정부(10A)와 축부재의 다른쪽 끝단을 고정하는 제 2 의 축부재 고정부(10B)로 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의 축부재 고정부(10A), (10B)의 공통적인 구성을 제 4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축부재 고정부(10A), (10B)는 축부재(6)의 끝단부를 지지하는 축끝단 지지부(11)와 축받이부(20)에 장착되는 프래그(13)로 되어 있다. 축끝단 지지부(11)에는 축부재(6A), (6B)의 절제부분(6a), (6b)가 삽입되는 고리형상 돌출부(11a)와 그 중앙을 옆으로 갈라서 고리형상 돌출부(11a)에 달하는 소정폭의 직선형상으로 돌출한 끼워넣는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축끝단 지지부(11)의 배면측에는 후술하는 축받이부(20)에 지지하기 위한 물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프래그(13)가 설치되어 있다. 프래그(13)에는 핀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축받이부로서, 예를 들면 제 1 도에 나타낸 좌측 축받이부(20A)에는 축부(13)의 핀구멍(14)에 삽입되는 연결핀의 조작노브(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오른쪽 축받이부(20B)에는, 제 5(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래그(13)가 삽입되는 뿔형상의 프래그 받이구멍(28)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27 는 연결핀(26)을 홈(25)내로 힘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이다.
제 5 도에 축받이부의 일예를 나타낸다. 축받이부(20A), (20B)는 사이드 플레이트(9)에 고정되는 축지지부(22)와, 축지지부(22)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회전축부(23)로 되어 있다. 회전축부(23)는 세정포 권취축(6)을 장착하는 축조인트(24)를 가진다. 세정포를 정해진 칫수로 이송하기 위하여, 축받이부(20B)측의 회전축부(23)는 세정포 권취축(6)의 회전구동기구(도시않됨), 예를 들면 에어실린더의 피스톤에 아암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왼쪽 축받이부(20A)의 조인트(24)는 가로방향으로 개방된 홈(25)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핀(26)은 홈(25)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홈내에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연결핀(26)의 다른 끝단은 조작노브(21)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세정포 권취축의 조립, 빼내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세정포 권취축의 조립은 축부재(6A), (6B)의 양단을 축부재 고정부(10A), (10B)의 고리형상돌출부(11a)에 삽입한다. 이 때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축부재사이에 끼워넣는부(12)가 끼워들어가고, 소정폭의 간극 g 이 형성되며, 축지름을 크게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오른쪽 축부재 고정부(10B)의 프래그(13)를 축받이부(20B)로 끼운다. 그 후, 프래그(13)의 위치를 축받이부측으로 이동시키고, 반대측의 축부재 고정부(10A)의 프래그(13)를 축조인트(24)의 홈(25)에 옆에서 끼운다. 그리고 연결핀(26)을 프래그(13)의 구멍(14)에 넣어 연결한다.
세정포 권취축(6)에 권취된 사용이 끝난 세정포는 축받이부(20)로부터 축부재고정부(10)를 빼내어 처리된다. 즉, 조작노브(21)를 조작하여 연결핀(26)을 빼고, 프래그(13)를 축받이부(20)로부터 빼낸다. 다시 다른 끝단측의 축부재 고정부의 프래그를 축받이부(20)로부터 빼낸다. 그 후, 축부재 고정부를 빼내면 축부재사이에 끼워넣어져 있던 끼워넣는부가 빠진다. 그 결과, 축부재가 상호간에 근접, 즉 제 6 도의 상태로 되어 축지름이 작게 변화한다. 축지름이 작게 변화한 상태로, 축끝단을 두드리면 세정포 권취축(6)이 세정포 로울(100)로부터 날아나오게 된다. 세정포 권취축(6)의 끝단부를 사용하여 빼낸다. 이와 같이하여 세정포 로울로부터 세정포 권취축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고, 그 후의 세정포 로울(100)의 폐기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세정포 권취축의 축지름을 변화시키는 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제 7 도에 나타낸다. 제 8 도는 축부재의 평면도이다. 본 예는 분할한 축부재의 대향면에 축지름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축지름을 변화시키는 수단은 한쪽의 축부재(6A)로 형성한, 1 또는 복수의 오목부(30)와, 다른쪽의 축부재(6B)로 형성한 돌기부(3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돌기부(31)는 오목부(30)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형상, 크기로 되어 있다. 오목부(30)와 돌기부(31)는,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재 고정부(10)에 의하여 축끝단이 고정되어 있는 때에는 그 위치가 어긋나 있다. 따라서, 돌기부(31)는 대향하는 축부재(6A)의 오목부(30)로부터 벗어난 면에 닿아 접하므로, 돌기부(31)의 높이만큼 축부재의 사이에 간격이 가능하고, 축지름을 크게 변화시킨다. 세정포 권취축의 조립, 빼내기는 제 1 의 실시예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며, 다른 점은 축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축지름을 작게 하는 것이다. 세정포 로울로부터 세정포 권취축을 빼는 경우,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재 고정부(10)를 빼낸 후에 축부재(6A), (6B)의 한쪽 또는 양쪽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돌기부(31)를 오목부(30)에 넣어서 축지름을 작게 변화시킨다. 그리고 세정포 로울끝단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축끝단을 써서 뽑아낸다.
제 10 도에 축부재의 한쪽 또는 양쪽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축지름을 바꾸는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예는 분할한 축부재에 설치된 대향의 경사면에 의하여 축지름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축지름을 변화시키는 수단은 중앙이 채워진 원통체의 중심선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소정각도를 가지고 절단하고, 단면이 반원호 형상인 쐐기형으로 축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포로울로부터 세정포 권취축을 빼내는 경우, 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재 고정부를 빼낸 후에, 축부재(6A), (6B)의 한쪽 또는 양쪽을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경사면에 의한 위치이동으로 축지름이 작게 된다. 그리고 세정포 로울끝단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축끝단을 사용하여 빼낸다.
본예에서는 돌기부(31)를 축부재(6B)로 일체형성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돌기부를 축부재와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고, 이것을 축부재로 고정, 예를 들면 비스멈춤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2 도는 세정포 권취축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 13 도는 제 12 도의 좌측 평면도이다. 세정포 권취축(6)은 세정대상인 실린더의 길이에 맞춘, 길이가 길고 속이 채워진 축심부(40)와 이 축심부의 거의 전체 바깥둘레를 덮고 배치되는 반원형상의 외각부재(50)를 가진다. 외각부재(50)는 축심부(40)에 대하여 가동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축심부(40)의 양끝단에는 그 축심부 중심에 프래그 삽입구멍(41)이 뚫어 형성되어 있다. 프래그(42)는 프래그 삽입구멍(41)에 끼워넣어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프래그(42)는,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부(40)에 끼워넣어진 축심부삽입부(42a), 사이드 프레임측의 축받이부로의 연결부(42b), 이들 축심부 삽입부(42a)와 연결부(42b)의 사이에 설치된 플랜지부(42c)로 이루어져 있다. 플랜지부(42c)는 축심부(40)의 끝단면에 닿아 접한다. 축심부 삽입부(42a)에는, 제 1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래그(42)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구멍(42d)이 뚫어 형성되어 있다. 핀구멍(42d)에는 프래그 연결핀(43)(제 12 도 참조)이 관통고정되어 프래그의 축심부 삽입부의 바깥둘레로부터 상대하여 돌출된다.
제 12 도에 있어서, 축심부(40)에는 관통한 홈구멍(44)이 축심부(40)의 길이방향으로 늘어져 형성되어 있다. 홈구멍(44)에는 상대한 프래그 연결핀(43)이 삽입된다. 홈구멍(44)과 프래그 연결핀(43)의 사이에는 프래그(42)를 축심부(40)의 중심선에 따라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프래그(42)와 축심부(40)의 회전방향의 연결에 덜그럭거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축심부 삽입부(42a)와 축심부(40)의 사이에는 스프링(45)이 개재되어 있으며, 프래그(42)를 축심부(40)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항상 밀어누르고 있다. 도시에서는 프래그(42)가 축심부측으로 눌려들어간 상태, 즉 스프링(45)이 압축된 때를 나타내고 있다.
프래그(42)의 연결부(42b)는 축 조인트에 형성된 연결핀이 삽입되는 연결구멍(42e)을 가진다. 연결부(42b)는 사이드 플레이트(9)에 배열된 축받이부의 축조인트에 부착 및 이탈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프래그(42)의 축조인트로의 장착은 한쪽 또는 양쪽의 프래그(42)를 스프링(45)의 스프링힘에 대항하여 축심부(40)측으로 끌어넣는다. 그리고 축조인트에 프래그의 연결부(42b)를 맞추고, 프래그(42)를 스프링(45)에 의한 밀어누름으로 축조인트에 끼워넣는다. 다른 쪽의 프래그는 축조인트(24)의 홈(25)에 옆으로부터 끼워넣는다. 그 후, 축조인트에형성된 연결핀(26)(제 5 도 참조)을 프래그의 연결구멍(42e)으로 삽입하여 고정한다. 프래그의 연결핀(42b)은 권취 회전력을 프래그(42)로 확실하게 전달시키기 위하여, 즉 축조인트와의 사이에서 회전을 발생하지 않기 위하여, 제 1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면을 컷트(42f)한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축조인트의 형상에 맞춘 구조로 되어 있다.
플랜지부(42c)에는 축심부(40)의 축선방향으로 뻗은 한쌍의 끼워넣는부(42g)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넣는부(42g)는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끼워넣는부(42g)는, 제 14 도 및 제 1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끝단측이 가늘게 된 쐐기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축심부 삽입부(42a)측으로는 끼워넣는부(42g)에 연이어 외각부재(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2h)가 형성되어 있다.
외각부재(50)의 구성을 제 13 도 및 제 18 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외각부재(50)는 원통체를 2개 나눈 구조로, 외각부재(50A)와 외각부재(50B)로 되어 있다. 외각부재(50A), (50B)의 외주면에는 세정포의 감아붙임이 확실하게 행하기 위한 표면형상, 예를 들면 세정포가 걸리기 쉬운 다수의 요홈부가 표면에 형성된 퍼포레이티드 메탈이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외각부재(50A)와 (50B)는 축심부(40)의 길이방향의 수개소에 설치된 슬라이드 핀(51)에 연결되고, 가동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핀(51)은, 제 1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끝단측에 연장부(51A)를 가진다. 슬라이드핀(51)의 끝단부에는 연장부(51a)보다 큰 직경의 두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축심부(40)에는 축에 직교하는 슬라이드 핀구멍(40a)이 뚫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핀구멍(40a)에 동심적으로 큰 지름의 구멍(40b)이 슬라이드 핀구멍(40a)과 반대쪽으로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구멍(40b)측으로부터 구멍(40a)으로 끼워넣음으로써, 두부(51b)와 축심부(40)의 사이에 스프링(52)이 개재된다. 스프링(52)을 압축하여 슬라이드 핀(51)을 축심부(40)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외각부재(50)를 나사(53)로 멈추고, 외각부재(50)와 슬라이드핀(51)을일체화 한다. 외각부재(50A)와 (50B)는, 스프링(52)에 의하여 축심부(40)의 외주면으로 향하여 힘을 받는다.
세정포 권취축의 조립, 벗겨내기에 대하여 제 12 도 및 제 13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프래그(42)가 n 방향으로 이동하여 축심부(40)로부터 가장 돌출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끼워넣은부(42g)가 외각부재(50)사이로부터 빠져 있다. 외각부재(50)는 스프링(52)(제 17A 도, 제 17B 도 참조)에 의하여 축심부(40)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 13 도에 나타낸 외각부재의 길이방향의 단면이 상호간에 근접한 상태, 즉, 축지름이 작게 된다. 한편 프래그(42)를 m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즉 프래그를 축받이부(20)에 장착하면, 도시와 같이 끼워넣음부(42g)가 외각부재의 사이로 끼워져 들어간다. 그 결과, 끼워넣음부(42g)의 경사면에 하여 외각부재(50A), (50B)를 스프링(52)의 힘에 대항하여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이 때 외각부재의 끝단부의 뿔부분이 가이드부(42h)에 탄 상태로 움직이므로, 원활하게 축지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세정포 로울로부터 세정포 권취축을 빼는 경우, 프래그(42)를 축받이부로부터 꺼내면 제 12 도에 나타낸 스프링(45)의 작용으로 축심부로부터 돌출한다. 이 프래그의 동작은, 제 1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넣음부(42g)가 외각부재사이로부터 빠지는 방향의 이동인 것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외각부재(50A), (50B)는 축심부로 향하여 움직임 축지름이 작게된다. 이 상태에서, 프래그(42)를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세정포로울(100)로부터 세정포 권취축(6)을 당겨빼는 것이 가능하다.
제 19 도에 외각부재를 가진 세정포 권취축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 예는 2 분할의 외각부재의 한끝단을 힌지에 의하여 연결하고, 다른 끝단에서 포누름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외각부재(50)는 한끝단측에 외각부재(50A)의 관형상부(60A)와 외각부재(50B)의 관형상부(60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관형상부(60A), (60B)에는 스트레이트 핀(61)이 관통되어, 외각부재를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있다.
축심부(40)에 고정부착된 핀받이부(62)에는 스트레이트핀(61)의 한 끝단이 삽입되고, 비스(6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외각부재(50A), (50B)의 다른 끝단측은, 제 2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부재사이에 끼워진 고리봉 형상의 포누름체(65)가 배치된다. 포누름체(65)는 축심부(40)보다 길게 되어 있다. 외각부재(50A), (50B)는 포누름체(65)에 의하여 눌려넓어지지만, 프래그(42)의 고리형 상돌기부(64)에 의하여 규제를 받는다. 이 상태에서 외각부재와 포누름체의 사이에서 포가 확실하게 끼워지지된다. 프래그(42)의 플랜지부(42c)에는 제 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42i)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42i)에는 포누름체(65)의 양끝단부분이 들어가는 위치가 결정된다. 여기에서는 포누름체가 축지름을 크게 하는 끼워넣음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동시에, 포누름체(65)는 축심부(40)의 외주면와 외각부재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고, 축지름을 크게 고정하는 수단으로 된다.
제 22(a) 도에 나타낸 세정포 로울(100)로부터 세정포 권취축(6)을 빼내는 경우, 한쪽의 축끝단의 프래그(42)의 절결부(42i)에 노출하고 있는 포누름체(65)의 끝단면을 때리고, 다른쪽의 축끝단의 프래그(42)의 절결부(42i)로부터 돌출시킨 포누름체를 당겨빼어 꺼낸다. 그러면, 제 22(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각부재(50A), (50B)가 축심부(40)쪽으로 회동하여 외각부재와 세정포 로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외각부재와 세정포 로울의 걸어맞춤이 느슨해지므로, 세정포 권취축(6)을 세정포 로울(100)로부터 쁩아낼 수 있다.
축부재와 외각부재로 이루어지는 세정포 권취축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3 도는 세정포 권취축의 단면도이며, 제 17 도에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세정포 권취축(6)은, 제 1 도의 반나누기의 축부재와 제 12 도에 나타낸 외각부재를 조합시킨 구조이다. 또한, 기본구성은 제 3 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서, 여기에서는 특징부분만을 설명한다.
축부재(70)는 중앙이 채워진 절반이 나누어진 구조로서, 그 중심부분에는 돌출한 반원의 축심부(71)를 구비하고 있으며, 축심부(71)의 양끝단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프래그가 부착되어 있다. 축심부(71)를 덮도록 축부재(70)에 대향하여 외각부재(72)가 배치된다. 외각부재(72)는 축부재(70)의 길이방향의 복수개소에 설치되며 또한 축심부(71)를 관통하여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된 슬라이드 핀(73)에 지지되어 있다. 외각부재(72)는 축부재(70)에 대하여 가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핀(73)의 다른 끝단측은 스프링(74)이 배열설치된다. 스프링(74)은 항상 슬라이드핀(73)을 축부재(70)측으로 당겨넣도록 작용한다.
축부재(70)와 외각부재(72)의 사이에 프래그의 끼워넣음부를 끼워넣어 스프링(74)의 가하는 힘에 대항하여 외각부재(72)를 바깥쪽으로 움직여 축지름을 크게 한다. 이 상태에서 세정포의 권취를 행한다. 세정포 권취축으로부터 세정포로울을 빼내는 경우는 끼워넣음부를 꺼내면 스프링(74)에 의하여 외각부재(72)가 축부재(70)측으로 당겨져서 축지름이 작게된다. 따라서, 세정포 로울로부터 세정포 권취축을 당겨뽑는 것이 가능하다. 제 24 도에 외각부재의 한끝단을 축부재로 힌지결합한 세정포 권취축을 나타낸다. 기본구성은 제 19 도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다. 축부재(70)는 중앙이 채워진 반으로 나누어진 구조로서, 그 중심부분에는 돌출한 반원의 축심부(71)를 구비하고 있다. 축심부(71)의 양끝단에는 프래그가 부착되어 있다. 축심부(71)를 덮도록 축부재(70)에 대향하여 외각부재(72)가 배치된다. 외각부재(72)의 한끝단은 축부재(70)에 힌지(75)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외각부재(72)의 다른 끝단과 축부재(70)의 사이에는 둥근봉 형상의 끼워넣음부재(76)가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축지름이 크게 된다. 세정포를 축에 고정하는 경우, 끼워넣음부재(76)와 축부재(70) 또는 외각부재(72)의 사이에서 끼워지지하거나, 또는 축부재(7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홈(77)에, 후술하는 세정포에 설치된 걸어맞추어지는 수단을 건다.
세정포 권취축과 이 축에 권취된 세정포의 사이의 접촉상태를 기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기구로서, 세정포 권취축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조의 세정포 권취축을 제 25 도에 나타낸다. 세정포 권취축(6)은 속이 빈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축부재(80)와, 이 원통체(80)의 내부에 장비되는 팽창부재(81)와, 원통체의 외주면에 대하여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된 돌출형 걸어맞춤부재(82)로 이루어져 있다. 원통체(80)의 외주에는 복수의 관통구멍(83)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형 걸어맞춤부재(82)는 관통구멍(83)을 통하여 돌출한다. 팽창부재(81)는 축부재(80)의 한끝단으로부터 공기의 공급/배출이 행해지고, 팽창/수축한다. 팽창부재(81)의 팽창시에는, 제 2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걸어맞춤부재(82)를 돌출시켜서, 한쪽 수축시에는 제 2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82)를 축부재(80)의 축내로 당겨 넣는다.
팽창부재의 팽창에 의하여, 돌출형 걸어맞춤부재를 축부재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세정포를 권취한다. 세정포로울(100)로부터 세정포 권취축(6)을 빼내는 경우, 팽창부재(81)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고, 수축시키면 세정포 로울(100)의 사이에서 간극이 발생함으로써 세정포 권취축(6)을 용이하게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제 28 도에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 예는 축부재(80)의 외주에 확대축소 변형이 자유로운 원통형상의 걸어맞춤부재(84)를 배치하고, 이 걸어맞춤부재(80)의 내부에 장비된 팽창부재(81)의 팽창/수축에 의하여 작동하는 작동부재(85)에 연계시킨다. 걸어맞춤부재(84)는 탄성재료로 만들어진다. 제 2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가 절단된 걸어맞춤부재(84)는 작동부재(85)의 출몰동작에 의하여 변형하여 지름이 확대되거나 또는 지름이 축소된다. 또한 걸어맞춤부재의 외주면은 세정포와 확실한 걸어맞춤이 행해지도록 미끄러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세정포로울(100)로부터 세정포 권취축(6)을 빼는 경우, 팽창부재(81)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고, 수축하면 세정포와 걸어맞춤부재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제 3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재(80)와 세정포로울(100)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함으로써 세정포 권취축(6)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세정포 권취축의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제 31 도에 나타낸다. 제 32 도는 봉형상 부재유니트의 사시도, 제 33 도는 축부재의 사시도이다. 제 34 도는 제 31 도의 J-J 선 방향에서 본 도면, 제 35 도는 제 31 도의 K-K 선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세정포 권취축과 이 축에 권취된 세정포의 사이의 접촉상태를 기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기구로서, 본 실시형태는 봉형상 부재의 양끝단을 축부재의 축끝단에 부착 및 이탈이 자유롭게 걸어멈춤하고 장착한 것이다. 축부재에는 축외주에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소정폭의 홈을 설치한다. 축부재의 홈내에 는 봉형상 부재가 배치된다. 세정포 권취시, 봉형상부재의 외주면의 일부에 세정포가 접촉하는 상태를 만들어낸다.
제 31 도에 있어서, 세정포 권취축(6)은 축부재(110)와, 축부재의 축 전체길이 또는 축길이의 대부분에 걸쳐서 배치되는 봉형상 부재(111A), (111B)로 되어있다. 축부재(110)의 외주에는 축방향에 따른 홈(112)이 설치되어 있다. 봉형상부재(111A), (111B)는 홈(112)내로 배치된다. 한쪽의 축끝단면에는 걸어맞춤구멍(113)이 뚫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다른 쪽의 축끝단에는 홈(112)에 위치하여 엔드 플레이트(114)가 고정되어 있다. 엔드플레이트(114)에는 홈(112)의 끝단부분에 위치하여 봉형상부재(111A), (111B)의 한끝단측(111a), (111b)을 삽입하는 걸어멈춤구멍(11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엔드플레이트(114)는 봉형상부재의 한끝단측을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재를 구성하고, 그 걸어멈춤구멍(115)은 봉형상부재 걸어멈춤부를 구성한다.
봉형상부재(111A), (111B)는 서포트 플레이트(116)에 나사멈춤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봉형상부재유니트(111)는 봉형상부재와 서포트 플레이트의 일체화에 의하여 구성하고 있다. 서포트 플레이트(116)를 축부재(110)에 지지한 상태에 있어서, 봉형상부재(111A),(111B)는 소정간격을 띠고 또한 축부재(110)의 홈 바닥에 대하여평행하게 배치됐다. 봉형상 부재(111A),(111B)의 한끝단측에는 엔드 플레이트(114)의 걸어멈춤구멍(115)에 끼어들어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어멈춤 돌기부(111a),(111b)가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 플레이트(116)에는 축부재(110)의 축끝단면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113)에 삽입되는 걸어맞춤 돌기(117)가 형성되어 있다. 봉형상 부재유니트(111)는 봉형상부재의 걸어맞춤돌기부(111a),(111b)를 엔드 플레이트의 걸어맞춤구멍(115)에 끼어들어가서, 서포트플레이트의 걸어멈춤돌기(117)를 축끝단면의 걸어맞춤구멍(113)으로 삽입함으로써 축부재(110)에 장착된다.
세정포 권취축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봉형상 부재유니트(111)를 축부재(110)로부터 벗겨낸 상태에서, 제 3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포(3)의 리드에지(세정포 권취축에 최초로 감기는 포의 앞끝단 부분) 부근에서 홈(112)을 덮는다. 그리고, 제 3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상부재 유니트(111)를 축부재(110)에 장착하여 세정포(3)를 홈(112)의 바닥과 봉형상부재(111A)와 (111B)로 끼워지지한다. 세정포 권취축(6)을 회전시키면, 제 3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포(3)가 세정포 권취축(6)에 권취된다. 이 때, 세정포(3)는, 제 3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상 부재(111A), (111B)의 일부, 즉 홈(112)의 바닥과는 반대쪽의 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권취된다.
권취된 세정포로부터 세정포 권취축을 뽑으려면, 제 4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상 부재유니트(111)를 축방향으로 당기면 봉형상부재의 한끝단측과 엔드플레이트(114)의 걸어멈춤이 벗겨진다. 그러면, 봉형상부재(111A),(111B)에는세정포에 의한 제 41 도의 화살표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봉형상부재는 서포트플레이트(116)에 외팔보지지 구조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자유끝단측이 휘어져서 상호간에 가까워져 그 간격이 작게 된다. 이와 같이 봉형상 부재가 움직임으로써 세정포와 봉형상 부재의 접촉상태가 느슨해지고, 봉형상 부재를 용이하게 잡아빼낼수가 있다. 봉형상 부재가 축부재로부터 당겨뽑아지면, 다시 축부재와 세정포의 사이의 접촉력이 약해지고, 축부재를 단순히 당겨 빼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 1 의 변형예는 축부재의 외주에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각각의 홈에 봉형상 부재유니트를 배치한 것이다. 제 42 도의 예는 축부재(110)에 2개의 홈(112A)와 (112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예와 같이, 세정포 권취축과 이 축에 권취된 세정포의 사이의 접촉상태를 기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기구를 축부재의 복수개소에 형성됨으로써, 축부재가 세정포로부터 다시 빼내기 쉬워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제 2 의 변형예는 봉형상 부재를 홈바닥측으로 움직이든가 함으로써 세정포와 접촉력을 약하게 하던가 또는 완전히 비접촉상태로 하여 축부재로부터 뽑기쉽게한 것이다. 제 43 도에 있어서, 홈(112)은 봉형상부재 유니트를 축부재로 장착한 상태에서, 홈(112)의 바닥과 봉형상부재(111A), (111B)와의 사이에, 제 4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극이 형성되는 깊이로 되어 있다. 세정포(3)는 봉형상부재(111A),(111B)와 홈측벽과의 사이에서 끼워지지하여 걸어멈춤된다. 축방향에 봉형상부재 유니트를 뽑으면, 봉형상부재와 축부재와의 걸어멈춤이 떨어지고, 제 43(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상부재가 홈바닥으로 움직이고, 세정포와의접촉상태로부터 떨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봉형상부재를 축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뽑을 수 있으며, 다시 축부재를 세정포로부터 간단하게 뽑아낼 수가있다. 또한, 제 1 의 변형예의 홈(112A),(112B)을 제 2 의 변형예의 깊은 홈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의 변형예는 홈바닥을 얕은 부분과 깊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홈구조로하고, 봉형상부재와 축부재의 걸어멈춤을 떼낼 때 봉형상부재를 얕은 홈부분으로부터 깊은 홈부분으로 움직여서 빼내기 쉬운 것이다. 제 44 도에 있어서, 축부재의 홈(112)은 세정포의 권취시에 봉형상부재(111A)를 고정하여 사용하는 얕은 홈부분(112a)을 형성하고, 이 얕은 홈부분(112a)에 인접하여 봉형상 부재(111A)를 인발할 때에 사용하는 깊은 홈부분(112b)을 가진다. 봉형상부재(111A)를 인발할 때는 봉형상부재(111A)와 축부재의 걸어멈춤을 해제한 후, 제 44(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상부재(111A)를 깊은 홈부분(112b)으로 이동한다. 봉형상부재와 세정포사이를 비접촉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봉형상부재가 인발되기 쉽게 된다.
제 4 도의 변형예는 봉형상 부재를 인발측의 혼바닥을 얕게, 다른 끝단으로 향하여 깊게 되는 경사진 홈구조로 한다. 봉형상부재의 한끝단측을 축부재의 끝단부로부터 떼어낸 때, 봉형상부재를 경사한 홈 바닥측으로 움직여서 세정포와의 사이를 비접촉상태로 변화시킨다. 제 45 도에 나타낸 봉형상부재와 축부재의 걸어멈춤상태에서 세정포의 권취를 행한 후에, 봉형상 부재를 당겨뽑아 축부재와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면 제 45(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상부재가 홈 바닥측으로 움직이고, 세정포에 대하여 봉형상부재를 비접촉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분형상부재가 뽑히기 쉽게 된다.
단면이 다각형, 타원의 형상을 가진 봉형상부재를 축부재와의 걸어멈춤을 해제한 후, 홈내로 넘어뜨려 세정포와의 사이를 비접촉상태로 변화시킨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46 도에 나타낸 예는 단면이 장방형인 홈바닥에 평행하게 하여 축부재에 걸어멈춤하고, 세정포의 권취를 행한다. 봉형상부재를 인발할때는 봉형상부재와 축부재의 걸어멈춤을 해제한 후, 제 46(b)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장방형의 긴 변에 대응하는 면을 홈바닥으로 오도록 회동시켜서 세정포와의 사이를 비접촉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봉형상부재가 뽑히기 쉽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47 도에 단면이 정방향, 재 48 도에는 단면이 타원형인 봉형상부재의 다른 예가 나타나 있다. 이들 봉형상부재에 있어서도, 제 46 도에 나타낸 봉형상부재의 작용효과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개의 봉형상부재를 이용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봉형상부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세정실린더의 폭이 크면, 세정포 권취축도 길어지므로, 전체 축길이 또는 축길이의 대부분에 걸쳐서 긴 봉형상부재를 배열설치하는 구조로 한 경우, 서포트 플레이트에 부착된 봉형상부재로 구성되는 봉형상부재 유니트가 취급하기 어렵게 됨과 함께, 봉형상부재로 구부러지기 쉽게 되어 작업능률의 저하를 초래한다. 특히, 봉형상부재가 구부러지면 당겨뽑을 때에, 세정포나 축부재에 걸리거나 하여 빼기어려워진다.
상기의 대책으로서, 바람직한 실시예는 축부재의 홈의 중간부분에 봉형상 부재의 한끝단측을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재를 1 또는 복수 설치하고, 축의 양끝단으로부터 봉형상부재를 인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제 49 도에 있어서, 축부재(110)는 홈(112)의 중간부분에 고정된 걸어멈춤부재(118)를 구비하고 있다. 걸어멈춤부재(118)에는 봉형상부재의 한끝단측을 걸어멈추기 위하여, 제 5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멍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봉형상부재(111A),(111B)는, 제 5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앞끝단부에 돌기부(111a), (111b)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11a),(111b)는 걸어멈춤부재(118)의 구멍부(119)에 끼어들어가 있다. 또한, 구멍부(119)는 봉형상부재의 한끝단측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봉형상부재 걸어멈춤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예에서는, 세정포 권취축의 축길이에 나란하게, 봉형상부재를 축방향 또한 축의 중간으로 향하여 복수의 봉형상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봉형상부재는 2개를 이용하여 1세트의 봉형상부재 유니트를 구성하고 있다. 제 52 도에 있어서, 봉형상유니트[111(1)]는 도시한 축부재의 좌측에 서포트 플레이트(116A)에 의하여 부착 및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다른 한쪽의 봉형상부재유니트(2)를 축부재의 우측에 서포트 플레이트(116B)에 의하여 부착 및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한다. 봉형상부재 유니트(1) 및 (2)는 장착한 쪽의 축끝단으로부터 빼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봉형상부재쪽으로 돌기부(111a), (111b)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가 끼어들어가는 구멍부(119)를 걸어멈춤부재(118)쪽으로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의 구성이라도 좋다. 즉, 봉형상부재의 앞끝단부분에 구멍부를, 한쪽 걸어멈춤부재에 돌기부를 형성한다.
제 53 도는 걸어멈춤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홈(111)의 형성방향에 있어서의 걸어멈춤부재의 양측에 경사면(120)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멈춤부재(118)의 단면이, 제 5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걸어멈춤부재(118)의 양측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축부재(110)를 세정포로부터 빼낼때에, 세정포가 걸어멈춤부재에 당겨서 빠지거나, 혹은 빠지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걸어멈춤부재의 개수는 봉형상부재 유니트의 구조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봉형상부재의 수, 형상등에 대해서도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의 것을 이용하여,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봉형상부재를 축부재의 홈내의 중간부분에서 결합하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제 55 도에 나타낸다. 봉형상부재 유니트[111(1), 111(2)]는 축부재(110)에 장착할 때 봉형상부재의 앞끝단부분의 연결부(121)로 결합된다. 제 56 도에 있어서, 한쪽의 봉형상부재의 끝단부에는 돌기부(111a), (111b)를 다른 쪽의 봉형상부재의 끝단부에는 구멍부(111c),(111d)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유니트를 축부재에 장착할 때, 연결부(121)에서, 봉형상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돌기부를 구멍부에 끼워넣어 결합한다.
제 57 도에 나타낸 봉형상부재의 결합구조는 봉형상부재(11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부터 결합하는 것이다. 결합하는 각 봉형상부재의 앞끝단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대향면을 가진다. 한쪽의 봉형상부재의 대향면에 걸어맞추어지는 부분을, 다른쪽의 봉형상부재의 대향면에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유니트를 축부재에 장착할 때, 연결부(121)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봉형상부재를 상호간의 걸어맞추어지는 부분에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추어 결합한다.
제 58 도에서, 각 봉형상부재의 앞끝단부분에 거의 직경의 반분량을 절결한 절제부분을 형성하고, 그 절제면의 한쪽에는 걸어맞추어지는 부분으로서 요홈부(111e)를, 다른 쪽의 봉형상부재(111)에는 걸어맞춤부로서 볼록부(111f)를 각각 형성한다. 요홈부(111e)와 볼록부(111f)를 걸어맞춤시켜서 봉형상부재를 결합한다. 이 결합구조는,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의 결합기술이 적용가능하다.
제 59 도에 나타낸 봉형상부재의 결합구조는 봉형상부재의 앞끝단부분에 별도의 부재에 의한 연결부(121)를 형성하고, 이 연결부(121)를 통하여 봉형상부재를 상호간에 결합하는 것이다. 한쪽의 봉형상부재(111)의 앞끝단부분에는, 제 6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30a)을 가진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이 부착된 연결용 부재(130)를 부착한다. 다른 쪽의 봉형상의 부재의 앞끝단부분에는 갈고리부(131a)를 가진 걸어멈춤부가 부착된 연결용 부재(131)를 부착한다.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30a)에 갈고리부(131a)를 걸어멈춤시켜서 봉형상부재를 결합한다.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이 부착된 연결용 부재와 걸어멈춤부분이 부착된 연결용부재의 쌍방 또는 어느 한쪽을 탄성재료로 형성하는 것, 혹은 걸어멈추어지는부분 또는 걸어멈춤부에 클릭모션 기구를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양 부재의 결합시에 확실한 걸어멈춤이 행하여지게 된다. 본 예에서는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30a)을 홈으로 형성하였으나, 오목부나 돌기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걸어멈춤부(131a)의 갈고리부는 오목부나 돌기부에 맞춘 형상으로 한다.
단면이 다각형인 축부재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 개의 각부분에 봉형상부재를 배치한 것이다.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61 도의 예는 단면이 정방형인 축부재의한 각부분에 봉형상부재를 배치한 구성을 나타낸다. 축부재(110)의한 각부분을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절제한 부분(122)을 형성한다. 절제부분(122)에 있어서, 엔드 플레이트(114)와 서포트 플레이트(116)가 대향한다. 엔드 플레이트(114)는 축의 길이방향에 대향하여 봉형상부재(111A)의 한끝단쪽을 걸어 맞추기 위하여, 한쪽의 축끝단에 고정되어 있다. 봉형상부재를 부착한 서포트플레이트(116)는 다른 쪽의 축끝단에 부착 및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봉형상부재(111A)를 축부재(11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축부재의 절제면과 봉형상부재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봉형상부재를 세정포로부터 빼낼 때에, 서포트 플레이트(116)를 당겨서 봉형상부재의 한끝단측과 엔드플레이트(114)의 걷어멈춤을 해제하면 봉형상부재가 절제면측으로 움직이고, 봉형상부재와 세정포의 사이를 비접촉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봉형상부재가 빼지기 쉽게 된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의 세정포 권취축 구조체는 속이 찬 축부재에 의하여 구성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속이 빈 축부재를 이용하는 것도 좋다. 예를 들면 파이프형상의 축과 같이 속이 빈 축부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축구조체가 경량으로 되어 취급하기 쉽게 된다. 또한 제 31 도의 실시형태로 대표되는 세정포 권취축구조체에 있어서는 바깥둘레에 홈을 가지는 축부재인 경우, 속이 빈 축부재의 양 개구부분을 막고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봉형상부재의 한끝단쪽을 걸어멈춤하는 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품의 개수를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세정포 권취축을 분할한 축부재로 구성하고, 이 축부재를 축받이부로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 실린더 세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린더 세정장치의 세정포 권취부의 구성을 제 62 도에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제 1 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부재 고정수단(10)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의 축부재 고정부(10A), (10B)에 축기초부(13A), (13B)를 설치하고, 이 축기초부(13A), (13B)를 서포트플레이트(9)의 베어링(축받이부:20)으로 지지한 것이다. 다른쪽의 축기초부(13B)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의 축부재 고정부(10A)는 스프링(15)에 의하여 제 2 의 축부재 고정부(10B)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축부재 고정부(10A)를 서포트플레이트(9)측으로 이동시켜서 양 축부재고정부(10A),(10B)의 간격을 넓힌다. 축부재 고정부의 사이에 축부재(6A),(6B)를 위치시켜, 축부재 고정부(10A)를 움직여서 좁혀들어간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의 힘이 축부재(6A)를 누르도록 작용하므로, 축부재를 축부재 고정부로 안정하여 고정된다. 축부재에 세정포를 걸어멈춤하여 권취하고, 그 권취된 세정포를 처리하는 경우, 세정포 로울을 가지고 제 1 의 축부재 고정부(10A)를 서포트 플레이트(9)측으로 이동하고, 제 2 의 축부재 고정부(10B)측으로부터 축부재(6A),(6B)를 떼어내고, 그 후 제 1 의 축부재 고정부(10A)측을 떼어낸다. 이 작업에 의하여 세정포 로울에 남아 있는 축부재(6A),(6B)의 사이에 들어있던 끼워넣는부(12)가 없게되므로, 축부재(6A),(6B)는 상호간에 근접하여 축지름이 작게 된다. 따라서, 세정포와 축부재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세정포 로울로부터 세정포 권취축(6)을 빼낼 수 있다.
상술한 실린더 세정장치에 이용되는 실린더 세정포의 실시형태로서는, 세정포권취축을 구성하는 축부재, 외각부재, 또는 축심부를 포함하는 부재의 바깥둘레이면서또한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세정포 고정체가 걸어맞춤하는 구조를 가지는 실린더 세정장치에 이용하는 것이다.
제 63 도에 있어서, 세정포 고정체(90)는 세정포 권취축(6)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걸어맞춤홈(89)에 걸어멈추어지고,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세정포(3)를 로울형상으로 권취한다. 세정포 고정체(90)는 세정포(3)의 포종단근방(제 64 도) 또는 포종단(제 65 도)에 컬부분(102)을 형성한다. 이 컬부분(102)은 포만을 둥글게 하거나, 또는 심재를 넣어 둥그렇게 한다.
또한, 제 66 도 및 제 67 도에 있어서, 세정포 고정체(90)는 세정포(3)의 포종단에 가까운 장소(또는 포종단)에 설치된 봉형상 또는 띠형상부재(103)로 구성하고, 세정포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부설한다. 봉형상 또는 띠형상부재(103)는 종이제, 포제 등의 비교적 부드러운 재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형상 또는 띠형상부재 (103)는 포의 폭에 거의 같은 길이로 형성하거나, 또는 포의 폭보다 긴 것, 혹은 제 6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형상 부재(104)를 형성하여 사용된다. 여기서는, 한 개의 봉형상, 띠형상 또는 1열의 블록형상부재를 형성하는 것이지만, 이것은 복수개 혹은 복수열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봉형상, 띠형상, 블록형상부재를 세정포에 직접 형성하지만, 세정포에 부가부재를 부착하여, 이 부가부재에 형성하여도 좋다.
다른 구조로서는, 제 6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포(3)를 부분적으로 주름진 형상으로 한 세정포 고정체(105)를 형성하고, 그 위치는 포종단[제 69(a)], 포종단에 가까운 장소 [제 69(b)]에 형성한다. 제 69(c)에 나타내는 세정포 고정체는 세정포의 한쪽에 주름진 부분을 돌출시키는 것이다.
세정포 권취축에 세정포를 걸어멈춤하는 구조와 세정포 고정체의 조합의 실시형태를 제 70 도에 나타낸다. 제 70(a)에 나타내는 세정포 권취축(6)은 축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양 축끝단으로 향하여 비틀린 걸어멈춤홈(91)이 형성되고, 이 걸어멈춤홈(91)에 걸어멈춤하는 산형상의 세정포 고정체(106)를 세정포(3)에 형성한다. 제 70(b)도에 나타낸 세정포 권취축(6)에는 축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걸어멈춤 요홈부(92)가 형성되고, 이 걸어멈춤 요홈부(92)에 걸어멈춤하는 블록형상의 세정포 고정체(107)를 세정포(3)에 형성한다. 제 7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포 권취축(6)에는 축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부분에 가느다란 걸어멈춤 요홈부(93)가 형성되고, 이 걸어멈춤 요홈부(93)에 걸어멈춤하는 가느다란 블록형상의 세정포 고정체(108)를 세정포(3)에 형성한다.
세정포 권취축에 세정포를 걸어멈춤하는 구조의 변형예를 제 71 도에 나타낸다. 본 예는 세정포 권취축(6)의 바깥둘레에 축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볼록선 및/또는 오목선을 형성한 것이다. 제 71(a)에 나타낸 걸어멈춤구조는 한 개의 볼록선(94)이 형성되어 있다. 제 71(b)도에 나타낸 걸어멈춤구조는 1쌍의 볼록선(94)과 오목선(95)을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71(c)도에 나타낸 걸어멈춤구조는 다수의 볼록선(94)과 오목선(95)이 연속하고 또한 교대로 전체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세정포 권취축과 이 축에 권취된 세정포의 사이의 접촉상태를 기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기구로서, 세정포 권취축의 축둘레를 변화시키는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제 49 도나 제 53 도에 나타낸 축부재의 홈의 중간부분에 걸어멈춤부재를 배열설치한 것으로는 세정포를 봉형상부재와 축부재의 홈바닥에서 걸어멈춤할때 걸어멈춤부재가 문제로 되어 봉형상부재의 걸어멈춤이 되기어렵게 되거나, 세정포의 걸어멈춤이 불확실하게 되는 것도 생각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포의 리드에지 부분 또는 그 부근에, 걸어멈춤부재가 위치하는 장소에 개구부나 슬릿 등의 가공을 실시한 것이다.
세정포의 각종의 가공예를 제 72 도에 나타낸다. 세정포(3)의 리드에지의 부근에 걸어멈춤부재가 관통구멍(3a)을 형성한 것 [제 72(a)], 세정포의 리드에지부분에 절결슬릿(3b)을 형성한 것[제 72(b)도], 세정포의 리드에지부분에 칼집(3c)을 형성한 것[제 72(c)도], 혹은 세정포의 리드에지의 부근의 걸어멈춤부재가 위치하는 부분을 저미는 상태로 형성한 것[제 72(d)도]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부재를 권취한 세정포에서 빼낼 때에, 구멍이나 슬릿 등의 세정포 가공부가 걸어멈춤부에 간섭하여 걸리거나, 혹은 걸어멈춤부재가 저항으로 되어 잡아뽑기가 어려운 것을 고려하여, 제 5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멈춤부재의 양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포와 권취축의 가시의 걸어멈춤구조를 제 73 도에 나타낸다. 세정포(3)의 끝단변부(140)는 세정포로부터 당겨진 강도, 세정포 권취축부 바깥둘레면의 마찰 등의 물리적인 제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두꺼운 종이, 합성수지등의 시이트로 제작되고, 세정포(3)에 부가된다. 세정포의 끝단변부(140)에는 표면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또한 세정포의 끝단변부(140)를 상기와 같이 세정포(3)와는 별도의 부재(연결부재)를 세정포 끝단변에 부가하여 만드는 것이아니고, 직접 끝단변부(140)에 보강이나 저마찰재, 경화재의 도포나 함침 등의 특수처리를 실시하고, 상기의 물리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만든 세정포 끝단변부의 앞 가장자리부분 또는 앞가장자리 근방에는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멈추어지는 수단은 복수의 걸어멈춤구멍(141)을 형성한 끝단변부(140)로 구성되어 있다. 권취축(6)쪽에는 걸어멈춤구멍(141)을 걸어멈춤하는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멈춤수단은 축쪽 돌기(161)로 이루어지는 걸림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권취축(6)에는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절결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포(3)의 감아붙이는 방향쪽의 절결부(160)의 면에는 세정포의 걸어 멈춤구멍(141)에 상대하는 축쪽 돌기(161)가 배열되어 있다.
권취축(6)은 세정유니트(2)의 사이드프레임(9)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기위한 축부착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착부(162)은,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한 다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예의 세정포쪽의 걸어멈춤구멍과 권취축쪽의 돌기가 6개로 되어 있으나, 이 개수는 임의로 선정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경우는 감아붙이기 시작한 권취축에 대한 세정포의 직각도가 얻어지기 쉽다.
세정포의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의 변형예를 제 74 도에 나타낸다. 세정포의 끝단변부(140)에 한 개의 걸어맞춤구멍(141)(제 74a 도)를 형성한 것, 세정포의 끝단변부(140)에 보강(사선부분)(142)을 하고, 이 보강부분(142)에 걸어멈춤구멍(141)을 형성한 것(제 74b 도), 링(143)을 형성한 것(제 74c 도), 호크A(144)를 형성한 것(제 74d 도), 걸어멈춤구멍(141)을 가지는 별도 부재(145)를 형성한 것(제 74e 도), 호크B (146)를 형성한 것(제 74f 도)등이 적용가능하다.
권취축에 대한 세정포의 걸어멈춤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제 75 도에 나타낸다. 세정포의 걸어멈추어지는 수단으로서, 세정포의 끝단변에 접힘부를 가진 걸어멈춤부를 형성하고, 이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을 권취축의 바깥둘레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거는부를 걸어멈춤하는 것이다.
제 75 도에 있어서, 세정포(3)의 끝단변(140)은 강성을 가지는 부재, 예를 들면 두꺼운 종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걸어멈추어지는부(147)는, 끝단변부(140)의 앞끝단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권취축(6)의 바깥둘레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홈형상의 당겨걸림부(163)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포(3)를 권취축(6)에 감아붙일 때, 세정포의 끝단변부(140)의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47)을 권취축(6)의 당겨걸림부(163)에 당겨걸어 감아붙인다.
상기의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 76 도에 나타낸 세정포(3)의 끝단변부는 세정포자체를 구부려 형성된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48)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48)은, 제 6 도에 나타낸 권취축(6)의 바깥둘레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슬릿형상의 당겨걸림부(164)에 당겨걸린다.
바람직하게는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48)의 절곡부분에 미리 미싱눈금(3a)을 붙여놓는다. 한편 권취축(6)에는 슬릿형상의 당겨걸림부(164)가 연이어 통하며 또한 축부(6)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165)을 형성한다. 걷어멈추어 지는 부분(148)을 미싱눈(3a)으로 구부리고, 당겨걸림부(164)에 당겨건다. 이 상태에서걸어멈추어지는 부분(148)의 앞끝단 부분은 구멍(165)의 안쪽으로 돌출하고, 세정포의 감아붙임이 확실하게 된다. 권취된 세정포를 권취축(6)으로부터 떼어낼 때, 구멍(165)내에 앞끝단 부분에 칼을 가진 공구(도시않됨)을 끼워넣고, 그 칼로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48)을 미싱눈(3a)으로부터 절단한다.
제 7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는 세정포의 끝단변에 산형상의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49)을 형성하고, 한쪽 권취축(6)에는 세정포의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49)의 뿌리부분에는 미리 미싱눈(3b)이 부여되어 있다. 세정포를 권취축에 걸어멈춤할 때 걸어멈추이지는 부분(149)을 미싱눈 부분(3b)으로 구부리고, 당겨걸림부(166)에 끼워넣도록 하여 걸어멈춤한다. 산형의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49)의 당겨걸림부(166)로의 끼워넣음에 의하여 세정포의 권취축에 대한 직각도와 폭방향의 위치결정이 동시에 가능하다.
제 79 도에 나타낸 구종의 경우, 세정포의 걸어멈추어지는 수단으로서, 세정포의 끝단변부에 위치를 맞추는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을 형성한다.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은 권취축에 형성한 보스부에 걸어멈춤한다.
세정포의 끝단변부에 그 앞가장자리부가 개방된 U 자형의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50)을 형성하고, 한편 권취축(6)에는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보스부(167)를 돌출하여 형성하고 있다.
세정포를 권취축에 감아붙일 때, 세정포의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5)을 보스부(67)에 걸어멈춤하고, 세정포의 직각도를 확인한 후에 권취축을 세정포와 함께 돌리면서 감아붙인다.
제 80 도에 나타낸 걸어멈춤구조의 경우, 세정포의 걸어멈추어지는 수단으로서, 세정포의 끝단변부에 별도부재로 구성한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을 부착한다.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은 권취축에 형성된 보스부로 걸어멈춤한다. 세정포(3)의 끝단변부에는 세정포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한 구멍(151a)이 형성된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51)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권취축(6)의 바깥둘레면에는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51)의 구멍(151a)에 끼워넣어지는 보스부(168)가 형성되어 있다.
제 81 도에 나타내는 구조는 구형의 볼록부분을 가지는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52)을 세정포의 끝단변부에 부착하고, 한편 권취축부(6)의 바깥둘레면에는 구형의 오목부분을 가지는 당겨걸림부(16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제 80 도및 제 81 도의 구조에 의하면,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을 당겨걸림부에 끼워넣음으로써, 세정포의 권취축에 대한 직각도나 폭방향의 위치결정이 간단히 가능하다.
제 82 도에 나타낸 걸어멈춤구조의 경우, 세정포의 걸어멈추어지는 수단으로서, 세정포의 끝단변에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을 형성한다. 권취축은 외피부재를 가지고, 그 외피부재에 형성된 당겨걸림부에 세정포의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을 걸어멈춤시킨다. 여기에서는 세정포의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을 제 73 도에 나타낸 구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외피부재로서, 제 82 도에 나타낸 슬릿부재(200)는 바깥둘레에 접속되어 있지않은 개방부분(201)을 가진다. 한쪽의 개방끝단 둘레에는 길이방향 전부분에서 안쪽으로 향하고 또한 뻗어있는 부착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권취축(6)에는슬리브부재(200)의 부착부(202)가 위치하는 부분에 절결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부재(200)의 안지름은 권취축(6)의 지름보다 크게되어 있고, 세정포의 감아붙임에 의하여 지름이 축소하고, 권취축에 밀착된다.
권취축(6)에 슬리브부재(200)를 통하여, 부착부(202)를 절결부(160)로 위치시켜서 세정포의 걸어멈추어지는 부분(141)을 당겨걸림부(203)에 걸어멈춤한다. 그리고 세정포를 슬리브부재를 통하여 권취축에 감아붙이면, 그 때의 감아붙임힘으로 슬리브부재가 지름이 축소하고, 권취축에 밀착된다. 권취축을 회전시켜서 세정포를 권취할 때, 슬리브 부재의 부착부가 절결부로 당겨걸리므로, 슬리브부재와 축부의 미끄럼은 생기지 않는다.
제 83 도에 나타낸 걸어멈춤구조의 경우, 세정포의 걸어멈추어지는 수단으로서, 세정포의 끝단변부측 가장자리에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을 형성하여, 이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을 권취축의 축끝단부에 형성된 당겨걸림부에 걸어멈춤한다. 여기에서는 세정포의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을 제 74(c) 도에 나타낸 구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걸어멈춤구멍(141)을 가지는 별도부재(145)를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한다.
권취축(6)의 양축끝단부에는 세정포의 끝단변부(140)에 형성된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으로서 걸어멈춤구멍(141)이 걸어멈춤되는 축쪽 돌기로 이루어지는 당겨걸림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포측의 측방에 나온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을 권취축의 축끝단부측으로 구부려서 걸어멈춤구멍에 돌기를 통하도록 하여 걸어멈춤한다.
제 84 도에 나타낸 걸어멈춤구조의 경우는 세정포의 끝단변부를 권취축쪽으로 끼워서 걸어멈춤한다.
권취축(6)의 길이방향에는 폭이 넓은 절결부(160A)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60A)에는 끼움지지부재(170)가 회동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끼움지지부재(170)는 한끝단을 회동축으로 지지되고, 스프링등에 의하여 화살표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끼움지지부재(170)를 도시한 화살표와는 반대방향으로 가하는 힘에 대항하여 이동시켜서, 절결부(160A)의 한면과 끼움지지부재(170)와의 사이에 간극을 만들고, 세정포의 끝단변부를 끼워넣은 후에 끼움지지부재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끼워지지한다.
제 84 도에 나타낸 걸어멈춤구조의 경우는 세정포의 끝단변부를 권취축측에서 쌍방의 면에 의한 결합으로 걸어멈춤한다. 권취축의 절결부(160A)의 한개의 면으로 접합수단(171)로 하여, 예를 들면 면형상 화스너, 자기점착성 시트를 점착한다. 세정포의 끝단변부에는 피접합수단으로서 면형상 화스너를 형성하거나, 자기점착성시트에 밀착하기 쉽게 한다. 또한 제 86 도에 나타낸 구조는 권취축의 표면을 이용하여 상기 접합수단(171)을 구성한 것이다.
권취축에 권취된 사용이 끝난 세정포를 벗겨내기 위한 걸어멈춤 해제기구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정포와 권취축의 사이의 걸어멈춤 해제구조를 제 87 도에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권취축에 당겨걸림부와 세정포의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기구를 형성한 것이다.
당겨걸림부(161)가 설치된 절결부(160)에는 단면이 반원형상인 오목부(180)를 형성한다. 오목부(180)내에는 제 88 도에 나타낸 원형봉 형상의 걸어멈춤 해제부(181)가 삽입된다.
제 89(a) 도는 권취축(6)에 세정포(3)가 권취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이 끝난 세정포를 권취축으로부터 벗겨내는 경우, 걸어멈춤해제구(181)를 축끝단으로부터 오목부(180)내로 끼워넣는다. 걸어멈춤해제구(180)에 의하여 세정포의 끝단변부(140)가, 제 89(b) 도에 나타낸 화살표방향으로 들어올려지고, 당겨걸림부(161)와의 걸어멈춤이 해제된다. 세정포(3)를 눌러 권취축(6)을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축방향으로 당겨뺀다. 권취된 형상인 채로 세정포(3)를 권취축으로부터 빼내고[제 89(c)도], 폐기처분한다.
걸어멈춤해제기구의 변형예를 제 90 도에 나타낸다. 오목부에 팽창부재(182)를 배설하고, 사용이 끝난 세정포(3)를 벗겨낼 때는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팽창부재(182)를 제 91 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수축상태로부터 팽창시켜서, 세정포의 끝단변부(140)를 눌러올려서 당겨걸림부(161)와의 걸어멈춤을 해제한다.
권취축에 대한 세정포의 걸어멈춤및 권취축에 권취된 사용이 끝단 세정포를 벗겨내기 위한 걸어멈춤 해제를 한개의 기구로 구성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권취축에 대한 세정포의 걸어멈춤/걸어멈춤해제기구를 제 92 도에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세정포의 끝단변부를 권취축쪽의 끼움지지에 의하여 걸어멈춤함과 함께, 그 끼워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축으로부터 벗겨냄으로써 축의 형상을 변화시켜서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구조에 있다.
권취축(6)에는 길이방향으로 한끝단측으로부터 다른 끝단측으로 향하여 폭이 변화하는 홈(테이퍼홈)(190)을 형성하고, 이 홈(190)에 삽입하는 같은 형상의 키부재(191)로 되는 끼움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키부재(191)를 홈(190)로부터 빼내어 놓고, 세정포의 끝단변부를 홈내로 넣는다. 그 후, 키부재(191)를 홈에 삽입하고, 키부재의 바깥쪽면과 홈의 안쪽면의 사이에 끼워지지하여 걸어 멈춤한다. 이 때 키부재의 표면은 축의 표면과 같은 면으로 되고, 축의 표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사용이 끝난 세정포를 권취축으로부터 빼내는 경우, 키부재를 제거하고, 세정포와 권취축의 걸어멈춤을 해제한다. 또한 키부재가 제거됨으로써 권취축의 형상이 변화하므로, 사용이 끝난 세정포로부터 권취축이 뽑아지기 쉽게 된다.
본 실시형태는 키부재와 권취축으로 세정포의 끝단변부를 끼워지지하여 걸어멈춤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세정포의 걸어멈춤은 권취축의 다른 장소에 형성하고, 키부재는 세정포에 느슨함을 지니게 하기 위한 걸어멈춤해제기능만으로 이용하는 구성도 좋다.
제 94 도에 변형예를 나타낸다. 권취축(6)의 절결부에 오목부(192)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192)내에는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회동축(193)상에 손톱(194)이 부착되어 있다. 손톱(194)은 회동축(193)을 축끝단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출몰한다. 손톱(194)을 도시와 같이 오목부(192)로부터 돌출시켜서, 세정포의 끝단변부의 걸어멈추어지는 부분을 걸어멈춤한다. 이 걸어멈춤상태를 해제하는 경우는,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손톱(194)을 회동시켜서 세정포의 끝단변부와의 걸어멈춤을 해제한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권취축에 권취된 사용이 끝난 세정포를 그대로의상태에서 빼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권취축의 바깥둘레면을 평활하게 하여 미끄럼이 용이하게 하거나, 권취축의 표면에 테프론수지등을 피복하여 미끄러지기 쉽게 한다. 또한 세정포의 끝단변부의 권취축에 접촉하는 면에 미끄럼성을 지니게 하는 것도 유효하다. 예를 들면 테프론수지, 납등을 피복하거나, 테프론수지시이트등의 저마찰시이트를 연결부재로 하여 연결하거나, 저마찰재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세정포의 제조시에 라미네이트가공하는 등으로 하여 미끄러지기 쉽게 한다.
세정포를 빼내는 작업에 있어서, 권취축만을 권취시에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권취축으로부터 세정포를 느슨하게 하고, 그 후 권취축만을 빼고, 권취된 형상의 사용이 끝난 세정포를 폐기처분한다. 특히 세정포와 권취축의 사이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은 걸어멈춤해제를 행하고 부터 권취축의 뽑기작업을 행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된다.

Claims (18)

  1. 세정포를 공급하는 세정포 공급체와, 실린더 바깥둘레면에 대향하여 상기 세정포를 권취하는 세정포 권취축 부재(110)와의 사이를 통과한 세정포를 가압함으로써, 실린더의 바깥둘레면을 세정하는 실린더 세정장치로서, 상기 세정포 권취축 부재(110)를 지지하는 프레임(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린더 세정장치에 있어서,
    세정포 권취축에 권취된 세정포(3) 롤이 느슨하게 되는 상기 권취축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세정포 권취축 부재(110)의 외형 형상이 변화될 수 있으며,
    상기 권취축 부재(110)는 축부재(110)와, 상기 축부재(110)의 바깥면에 그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소정폭의 홈(112, 122)과, 상기 홈(112, 122)에 삽입될 수 있는 봉형상 부재로서 상기 세정포의 권취시에 상기 세정포가 봉형상부재의 바깥면의 일부에 접촉하며 상기 축부재(110)의 끝단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부착된 하나 이상의 끝단을 가지는 봉형상 부재(11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봉형상 부재(111)는 상기 축부재로부터 뽑아낸 후에 상기 축부재는 상기 권취된 세정포(3, 100)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홈(112)이 상기 축의 상기 바깥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봉형상부재(111)들은 각각 상기 홈에 부착 및 이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포는 상기 봉형상 부재(111)와 상기 상기 축부재(110)의 상기 홈(112) 사이에 삽입되도록 걸어맘춤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부재는 복수개의 평행한 봉형상부재(111A, 111B)에 의해 구성되며, 이 복수개의 봉형상부재를 소정간격으로 배치하고, 이 봉형상 부재를 상기 축부재(110)의 축끝단으로부터 벗겨낸 때 상기 간격을 좁혀서 이 축부재를 상기 세정포로(3)부터 빼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부재(111)의 단면은 원, 타원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부재(111)의 단면을 타원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하고, 이 봉형상부재를 상기 축부재(110)의 축끝단으로부터 빼내고 상기 세정포(3)를 상기 축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권취한 후에, 상기 세정포와의 접촉상태를 변화시켜서 이 축부재를 롤 형상의 상기 세정포(110)로부터 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110)에 장착한 봉형상부재(111)의 전부 또는 일부와 축부재의 홈(112) 바닥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봉형상부재를 축부재의 축끝단으로부터 벗어나게 한 때 상기 간극측으로 움직여서 이 축부재를 세정포로부터 빼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봉형상부재(111)를 축부재(110)로부터 잡아빼는 측의 축끝단부근 또는 축끝단부근으로부터 반대쪽의 축끝단으로 향하여 더 깊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110)의 홈(112)의 중간부분에 봉형상부재 걸어멈춤부를 가지는 걸어멈춤부재(118)를 배치하고, 이 봉형상부재 걸어멈춤부에 상기 봉형상부재의 한끝단측을 부착 및 이탈가능하게 걸어멈춤하여 상기 봉형상부재를 축부재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부재를 축부재(110)의 축방향이면서 축의 중간으로 향하는 복수의 봉형상부재[111(1), 111(2)]로 구성하고, 이 각각의 봉형상부재의 한끝단측을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봉형상부재 걸어멈춤부(118)에 부착 및 이탈가능하게 걸어멈춤하여 상기 축부재의 양축끝단으로부터 봉형상부재를 잡아빼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복수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부재(111)는 복수의 봉형상부재[111(1), 111(2)]로 구성되며, 상기 각 봉형상부재의 일끝단은 상기 축부재(110)의 각 끝단에 부착 및 이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한쌍의 봉형상부재[111(1), 111(2)]가 상기 축부재에 장착되는 때 이 한쌍의 봉형상부재가 상호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봉형상부재[111(1), 111(2)]가 상호 연결되는 구조는 한쪽 또는 양쪽의 봉형상부재의 끝단부에 연결용 부재(111a, 111b, 111c, 111d)를 부착하고, 이 연결용부재를 통하여 다른 쪽의 봉형상부재와의 사이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봉형상부재가 상호간의 연결되는 구조는 한쪽의 봉형상부재에 걸어맞추어지는 부분(111c, 111d)을, 다른 쪽의 봉형상부재에 걸어맞춤부(111a, 111b)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추어지는 부분에 걸어맞춤시켜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추어지는 부분이 봉형상부재[111(2)]의 앞끝단부분에 형성된 구멍부(111c, 111d), 상기 걸어맞춤부는 돌출부(111a, 111b)에 의하여 구성되며, 상기 봉형상부재의 길이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돌출부를 구멍부에 끼워넣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부재(118)는 경사진 면(12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포 권취축 부재(110)에 최초로 감아붙여진 세정포(3)의 앞끝단은, 상기 권취축부재(110)의 걸어멈춤부재(118)를 수용하는 구멍(3a) 또는 칼집(3c) 또는 절결슬릿(3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포 권취축(6)은 상기 세정포권취축부재의 권취축부재에 상기 세정포(3)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세정장치.
KR1019970008510A 1996-03-14 1997-03-13 실린더세정장치및그에이용되는실린더세정포 KR100373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85711 1996-03-14
JP08085711A JP3083131B2 (ja) 1996-03-14 1996-03-14 シリンダ洗浄用洗浄布、シリンダ洗浄装置及び使用済み洗浄布の処理方法
JP96-224444 1996-08-06
JP22444496 1996-08-06
JP96-307321 1996-10-31
JP30732196 1996-10-31
JP33022496A JP2904481B2 (ja) 1996-08-06 1996-11-27 シリンダ洗浄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シリンダ洗浄布
JP96-330224 1996-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923A KR970064923A (ko) 1997-10-13
KR100373543B1 true KR100373543B1 (ko) 2003-05-09

Family

ID=2746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510A KR100373543B1 (ko) 1996-03-14 1997-03-13 실린더세정장치및그에이용되는실린더세정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1176010B1 (ko)
KR (1) KR100373543B1 (ko)
CN (2) CN1182960C (ko)
DE (2) DE6971382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6726B4 (de) * 1998-03-14 2007-08-23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Reinigungsvorrichtung in einer Druckmaschine
DE10018425A1 (de) * 2000-04-08 2001-10-11 Baldwin Grafotec Gmbh Schmutztuch-Wickelrolle für Reinigungsvorrichtungen
DE10128224A1 (de) * 2001-06-11 2002-12-12 Baldwin Germany Gmbh Antreibbare Tuch-Wickelrolle
SE524551C2 (sv) * 2002-12-03 2004-08-24 Baldwin Jimek Ab Spole för en tvättenhet i en tryckpress
DE102005034041B4 (de) * 2004-08-10 2015-10-22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Reinigungsvorrichtung einer Druckmaschine
JP4988415B2 (ja) * 2006-04-19 2012-08-01 ハイデルベルガー ドルツクマシーネ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印刷機の清掃装置
DE102007013804B4 (de) * 2006-04-19 2015-06-03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Reinigungsvorrichtung einer Druckmaschine
ITMI20060321U1 (it) * 2006-09-15 2008-03-16 Bisutti Arrio Vavassori Supporto per l'avvolgimento di materiale assorbente per l'impiego negli impianti di pulizia delle macchine da stampa
DE202010007499U1 (de) 2009-09-04 2010-09-09 Simeth, Claus, Dipl.-Ing. Reinigungsvorrichtung an einer Verarbeitungsmaschine
FR2960228B1 (fr) * 2010-05-20 2012-12-28 Claude Simonin Dispositif a manivelle pour enrouler les sangles de transport
CN103395302B (zh) * 2013-07-25 2016-12-28 上海长园电子材料有限公司 印字轮及印字机
CN103462577B (zh) * 2013-09-13 2015-11-11 宁波江北嘉敏日用品有限公司 一种清洁滚筒
JP6185833B2 (ja) * 2013-12-25 2017-08-23 プリンテック株式会社 巻取り軸、およびウエブ加工装置
CN103803351B (zh) * 2014-03-06 2016-09-28 贺州学院 一种卷纸器
CN105384010A (zh) * 2015-11-13 2016-03-09 合肥安奎思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线圈内径可调的绕线盘结构
CN105921431B (zh) 2016-05-04 2018-02-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转印板清洗设备及其清洗方法
CN108639817B (zh) * 2018-04-27 2020-05-19 山东帅科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纺布生产工艺
CN109366799B (zh) * 2018-12-06 2023-12-01 安徽财经大学 一种棉田地膜清洗用辊轴及传动结构
CN112223910A (zh) * 2020-10-15 2021-01-15 北京利丰雅高长城印刷有限公司 一种印刷机橡皮滚筒清理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9377U (ko) * 1990-11-22 1992-07-10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2321A (en) * 1920-04-06 1921-10-04 William F Gammeter Stock-roll
US1592359A (en) * 1926-02-20 1926-07-13 Wayne K Hawk Collapsible roller for carpets and other fabrics
US1763794A (en) * 1926-11-26 1930-06-17 Hobbs Mfg Company Expanding shaft for winding paper and the like
US1746976A (en) * 1927-05-07 1930-02-11 William H Wendt Collapsible shaft
US2574413A (en) * 1948-09-30 1951-11-06 William J Pugh Collapsible core
US3391878A (en) * 1967-04-25 1968-07-09 Cameron Machine Co Expansible mandrel
DE2157776A1 (de) * 1971-11-22 1973-05-30 Guenther Dr Ing Schick Wickeldorn mit veraenderbarem umfang
US3834641A (en) * 1973-03-01 1974-09-10 Plastrex Manurhin Sarl Retractable winding mandrel
US3863857A (en) * 1973-04-02 1975-02-04 Nim Cor Inc Leaf-type expansible shaft with trapper bar
CA2024054A1 (en) * 1989-09-01 1991-03-02 Yoshichika Murakami Cleaner for rotary bodies such as blanket cylinder, impression cylinder, ink supply rollers and the like
JP2594327Y2 (ja) * 1993-01-11 1999-04-26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印刷機の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9377U (ko) * 1990-11-22 1992-07-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923A (ko) 1997-10-13
CN1182960C (zh) 2005-01-05
DE69738404T2 (de) 2008-12-04
DE69738404D1 (de) 2008-01-31
DE69713823D1 (de) 2002-08-14
EP1176010B1 (en) 2007-12-19
EP0795402B1 (en) 2002-07-10
CN1522857A (zh) 2004-08-25
DE69713823T2 (de) 2003-03-13
CN1282543C (zh) 2006-11-01
EP1176010A1 (en) 2002-01-30
CN1168836A (zh) 1997-12-31
EP0795402A1 (en) 1997-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543B1 (ko) 실린더세정장치및그에이용되는실린더세정포
KR101004306B1 (ko) 유지구 및 이러한 유지구를 이용한 청소 물품
WO2008032420A1 (fr) Bobine de fil, unité de bobine de fil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l&#39;unité de bobine de fil
WO2005074679A1 (ja) 糸巻
WO2005060502A2 (en) Winding apparatus for bandages and related methods
US7107643B1 (en) Lint brush with peel-off strips
JP2002512828A (ja) 自動あるいは半自動操作でぬぐい材料およびトイレットペーパーを分与する装置
US5548861A (en) Adhering cleaning tool
US20080040873A1 (en) Lint roller assembly
JP3083131B2 (ja) シリンダ洗浄用洗浄布、シリンダ洗浄装置及び使用済み洗浄布の処理方法
JPH10180993A (ja) シリンダ洗浄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シリンダ洗浄布
JP2009201508A (ja) 糸巻
JP3837326B2 (ja) スプール収納ケース及びケース入りのスプール
JPH04322647A (ja) タンポン
US20220000333A1 (en) Longitudinal activation of integral cover for lint removal tool
JPS6032044Y2 (ja) 反物用巻芯
JP4929210B2 (ja) 携帯クリーナー
JPS6226366Y2 (ko)
JP7216488B2 (ja) ロールディスペンサー
JP2005041601A (ja) ボビン
JP4553478B2 (ja) パイプの連結構造
JP3012650U (ja) 包帯収納ケース
JP3118728U (ja) 釣り竿継手部固着防止具
JP3047338U (ja) ネクタイ収納用巻取装置
JP2023116917A (ja) 巻取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