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712B1 - 자동변속기의제어방법및그제어장치및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제어방법및그제어장치및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712B1
KR100368712B1 KR1019950017427A KR19950017427A KR100368712B1 KR 100368712 B1 KR100368712 B1 KR 100368712B1 KR 1019950017427 A KR1019950017427 A KR 1019950017427A KR 19950017427 A KR19950017427 A KR 19950017427A KR 100368712 B1 KR100368712 B1 KR 100368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engine
output shaft
automatic transmission
torque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또가즈히꼬
이바모또마사히꼬
구로이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가부시키 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가부시키 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가부시키 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9Propulsion control with control means using analogue circuits, relays or mechanical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8Controlling power parameters of the driveline, e.g. determining the required power
    • B60W30/1882Controlling power parameters of the driveline, e.g. determining the required power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point of the engine, e.g. by using engine output ch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43Signal treatments, identification of variables or parameters, parameter estimation or state estimation
    • B60W2050/0044In digital systems
    • B60W2050/0045In digital systems using databus protoc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25Input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2059/142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of driving resistance calculated from weight, slope,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a comparison between speeds
    • F16H2059/465Detecting slip, e.g. clutch slip ratio
    • F16H2059/467Detecting slip, e.g. clutch slip ratio of torque conver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87Adaptive control, e.g. the control parameters adapted by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9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using a parameter m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16H59/40Output shaft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16H59/42Input shaft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0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the ratio establis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1Providing engine brak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5/00Planetary gear transmission systems or components
    • Y10S475/904Particular mathematical eq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자동변속기가 변속중일 때, 엔진특성 추정부에서 엔진토오크나 엔진파워트레인의 관성분의 보정량, 보기토오크를 고려하여 기어비와 입력축 토오크를 연산추정한다. 이때, 보기토오크의 보정을 위하여 변속개시 직전의 비변속시의 펌프토오크와 변속개시 직후의 엔진토오크의 편차를 보기토오크로 하여 학습하고, 이 값을 변속중의 보기토오크로써 전달하여 입력축 토오크를 연산추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자동변속기에 터어번센서나 토오크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입력축 토오의를 정도 좋게 연산추정할 수있어 자동변속기의 제어 정도가 향상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및 자동차
본 발명은 엔진의 구동력을 자동변속기로 변환하여 구동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로 이루어지는 파워트레인을 구비한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의 회전속도를 자동변속기로 변속하여 차륜에 전달하는 시스템을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자동변속기의 입력축 회전수를 이용하여 해당 시스템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서는, 문헌 「자동차기술, Vo 142, No. 8 1988, p1017」에 기재되어 있는 「Hold 모드 부착 전자 제어 자동변속기」 의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외주에 홈이 새겨진 원반을 자동변속기의 입력축에 설치하고, 원반의 홈의 회전 주기를 전자픽업을 이용하여 검출하고, 자동변속기의 입력축 회전수를 계측한다. 그리고, 이 입력축 회전수를 이용하여 입력축 토오크를 계산하고, 구동축 토오크를 구하여 엔진이나 자동변속기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이 검출장치는, 터어빈센서라 부른다. 또, 입력축 토오크를 검출하는 토오크센서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상의 종래 기술에서는, 입력축 회전수나 입력축 토오크의 검출에 터어빈센서나 토오크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장치의 중량이 증가하여 코스트가 높아진다고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변속기의 입력축 회전수나 입력축 토오크를, 터어빈센서나 토오크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드로틀 개방도나 엔진 회전수등의 입력정보로부터 정도의 저하를 초래함이 없이 연산추정하여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터어빈 회전수 센서가 불필요한 경량화에 기여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토오크 컨버터를 가지는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변속기가 소정의 기어에 체결 완료되어 있는 비변속 상태일 때에는엔진 토오크,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 및 기어위치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고, 상기 자동변속기가 소정의 기어에 체결되어 있지 않은 변속중인 상태일 때에는 엔진 토오크, 엔진 출력축의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보정분을 나타내는 관성 보정분 연산값 및 보기 토오크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며, 구한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 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이다.
또한 본발명은, 토오크 컨버터를 가지는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엔진 토오크, 보기 토오크 및 엔진출력축의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보정분을 나타내는 관성 보정분 연산값으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 토오크를 구하고, 상기 펌프 토오크와 엔진회전수에 의하여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용량계수를 구하며, 상기 펌프용량계수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토오크비(比)를 구하고, 상기 펌프 토오크와 상기 토오크비로부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토오크를 구하며, 구해진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이용하여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이다.
또한, 본발명은, 토오크 컨버터를 가지는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 토오크, 보기 토오크 및 엔진 출력축의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보정분을 나타내는 관성 보정분 연산값으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 토오크를 구하고, 상기 펌프 토오크와 엔진회전수에 의하여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용량계수를 구하며, 상기 펌프용량계수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속도비(比)를 구하고, 상기 속도비와 상기 엔진회전수로부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회전수를 구하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회전수와 상기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로부터 기어비(比)를 구하고, 상기 자동변속기가 소정의 기어에 체결되어 있지 않은 변속중의 상태일 때, 기어비 연산수단에 의해 구해진 기어비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이다.
또한 본발명은, 토오크 컨버터를 가지는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보기 토오크를 구하여 기억하는 보기 토오크 연산기억수단과, 엔진회전수, 스로틀 개방도,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 기어위치 및 엔진출력축의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보정분을 나타내는 관성 보정분 연산값을 각각 파악하는 수단과, 파악된 상기 엔진회전수, 상기 스로틀 개방도, 상기 자동변속기 출력축 회전수 및 상기 기어위치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는 제 1 토오크 산출수단과, 검출된 상기 엔진회전수, 상기 스로틀 개방도, 보기 토오크 연산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보기 토오크 및 상기 관성 보정분 연산값으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는 제 2 토오크 산출수단과, 상기 자동변속기가 소정의 기어에 체결 완료되어 있는 비변속 상태와, 상기 자동변속기가 소정의 기어에 체결되어 있지 않은 변속중의 상태를 판별하는 변속상태 판별수단과, 비변속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 1 토오크 산출수단, 변속중일 때에는 상기 제 2 토오크 산출수단을 전환하여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고, 구한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이다.
또한 본발명은, 엔진과 토오크 컨버터와 변속기를 가지는 자동차에 있어서,엔진 출력축 회전수를 구하는 수단과, 스로틀 개방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변속기의 기어위치를 파악하는 수단과, 장기 엔진의 보기 토오크를 구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엔진 출력축의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보정분을 나타내는 관성 보정분 연산값을 구하는 수단과, 상기 엔진 출력축 회전수, 상기 스로틀 개방도, 상기 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 및 상기 기어위치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엔진 출력축 회전수, 상기 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 상기 보기 토오크 및 상기 관성 보정분 연산값으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는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이다.
또한, 본발명은, 엔진과 토오크 컨버터와 변속기를 가지는 자동차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 회전수를 구하는 수단과, 엔진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엔진의 보기 토오크를 구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엔진 출력축의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보정분을 나타내는 관성 보정분 연산값을 구하는 수단과,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용량계수와 슬림비(比)를 관련지은 특성을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엔진 출력축 토오크, 상기 보기 토오크, 상기 관성 보정분 연산값, 상기 엔진 출력축 회전수로부터 상기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회전수를 구하는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이다.
본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기 토오크가 비변속중에 있는 엔진 토오크와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 토오크와의 차이로 하는 것이다.
엔진토오크와 회전수의 관계, 펌프용량계수와 슬립비의 관계등, 엔진이나 토오크컨버터의 각종 특성은 실험으로 구하여 둔다. 그후, 이들을 도표화하고, 엔진이나 자동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인자를 입력축 토오크나 기어비등과 관련지어 수식화하고, 마이크로컴퓨터로 연산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자동변속기의 입력축 회전수나 입력축 토오크를 드로틀 개방도나 엔진회전수(engine speed) 등의 입력정보로부터 정밀도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연산추정할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1은 엔진, 2는 자동변속기, 3은 자동변속(2)의 출력축에 연결된 구동축, 4는 차동장치, 5는 구동륜, 6은 자동변속기의 유압회로장치, 7은 자동변속기의 콘트롤유니트(이하, ATCU라 부름), 8은 엔진(1)의 콘트롤유니트(이하, ECU라 부름), 9는 엔진(1)의 흡입공기량의 이물을 제거하는 에어클리너, 10은 엔진(1)의 흡입공기량을 검출하는 에어플로우센서, 11은 드로틀밸브를 가지고 드로틀밸브의 개방도를 변화시켜 흡입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드로틀제어기, 12는 흡입매니폴드 13은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인젝터이다. 드로틀제어기(11)에는 드로틀센서(18)가 설치되고, 드로틀밸브의 개방도를 검출함과 동시에 아이들스피드 콘트롤밸브(19)(이하, ISC밸브라 부름)가 설치되고, 엔진(1)의 아이들스피드를 흡입공기량의 보정공기량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한다. 엔진(1)의 클랭크축(도시생략)에는 클랭크각센서(21)가 설치되고, 엔진 회전수를 검출한다. 엔진(1)의 배기관(24)에는 배기가스센서(25)가 설치되고, 엔진(1)의 연소상태를 검출한다. 자동변속기(2)는 토오크컨버터(14)와 기어트레인(15)을 가지고, 구동축(3)과 연결된 출력축에는 미션출력축 회전검출센서(1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자동변속기(2)의 오일고임부(도시생략)에는 자동변속기(2)의 오일온도를 검출하는 ATF온센서(22)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회로장치(6)에는 변환전자밸브(20)가 설치되고, 자동변속기(2)의 기어트레인(15)의 기어조합이나 변속의 개시시기나 종료시기를 제어한다. ECU(8)는 에어플로우센서(10), 드로틀센서(18), 클랭크각센서(21), 배기가스센서((25)등의 입력신호를 받아들여, 흡입공기량, 엔진 회전수등을 연산하고, 이들 값에 의거하여 연료량을 연산하여 이 연료량에 대응한 개방밸브신호를 인젝터(13)에 출력하여 연료량을 제어하고, 점화시기를 연산하여 점화플러그(22)에 점화신호를 출력한다. 또, 아이들시에는 ISC밸브(19)에 개방밸브신호를 출력하여 아이들시의 보정공기량을 제어한다. 한편, ATCU(7)는 미션출력축 회전검출센서(17), ATF온센서(22)등으로부터의 입력신호와 ECU(8)로부터 받는 엔진 회전수, 드로틀 개방도등의 정보로부터 모든 연산을 실행한다. 그리고, 유압회로장치(6)의 변환전자밸브 (20)에 개방밸브신호를 출력한다.
상기한 ATCU(7)나 ECU(8)의 주요 구성의 개략을 제 2도에 나타낸다. 버스(34)를 끼워 중앙연산소자(이하, CUP라 부름)(33), 입출력인터페이스회로(38), 판독전용메모리(이하, ROM이라 부름)(35), 수시 판독/입력 가능메모리(이하, RAM이라 부름)(36)로 구성되어 있다.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ATCU(7)와 ECU(8)가 연결되어 상호 통신이 가능한 경우는 LAN제어회로(37)가 추가된다.
제 3도는 비변속시상태의 기어위치(Gp)에 대응하는 기어비(r(Gp))로부터 자동변속기(2)의 기어트레인(15)의 입력축 토오크인 터어빈토오크(Tt)를 구하는 연산추정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블록(40)에서는 기어위치(Gp)로부터 기어비(r(Gp))를 구한다. 한편, 미션출력축 회전검출센서(17)로부터 자동변속기(2)의 출력축 회전수(Vsp)를 입력한다. 비변속시는 소정의 기어비로 완전하게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블록(44)에서 Vsp에 기어비(r(Gp))를 곱하면, 자동변속기(2)의 입력축 회전수인 터어빈 회전수(Nt, turbine speed)가 정확하게 구해진다.
블록(41)에서 이 터어빈 회전수(Nt)를 엔진회전수(Ne)로 나누어 토오크컨버터(14)의 슬립비(e)를 구한다.
블록(42)에서는, 제 2도중의 ROM(35)에 미리 기억시켜 둔 토오크컨버터(14)의 슬립비(e, slip ratio)와 펌프용량계수(τ, input capacity coefficient of torque converter)의 관계(이하, e- τ특성이라 함)로부터 펌프용량계수(τ)를 구한다. 다음에, 블록(45)에서 엔진회전수(Ne)의 2승을 구하고, 블록(46)에서 이것과 펌프용량계수(τ)를 이용하여 토오크컨버터(14)의 입력토오크(Tp, torque converter input torque또는 펌프 토오크(pump torque)라고도 함)를 식 3으로 구한다.
블록(47)에서는, 미리 기억시켜 둔 토오크컨버터(14)의 슬립비(e)와 토오크비(t)의 관계(이하, e-t특성이라 함)에서 슬립비(e)를 이용하여 토오크비(t)를 구한다.
그리고, 블록(48)에서 식 4에 의하여 터어빈토오크(Tt)를 구한다.
이상 나타낸 바와 같이, 비변속시의 기어비(r(Gp))로부터 터어빈토오크(Tt)를 높은 정밀도로 연산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터어빈토오크(Tt)에 기어비(r(Gp))와 차동장치(4)의 최종 감속비를 곱하면, 구동륜(4)의 구동축 토오크(drive torque)를 구할 수 있다.
제 4도는 변속중의 상태, 즉, 지금까지 체결되어 있던 기어위치에서 다음의 기어위치로 체결을 이행하는 과도상태에 있어서의 터어빈토오크(Tt)의 연산추정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블록(50)에서, 제 2도중의 ROM(35)에 미리 기억시켜 둔 엔진토오크특성(a table of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 torque)으로부터 엔진 토오크(Te)를 구한다. 제 4도에는 드로틀센서(18)로 검출된 드로틀 개방도(TVO)와 엔진회전수(Ne)의 입력정보로부터 Te를 구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엔진흡입공기량(Qa)과 엔진회전수(Ne)의 관계, 또는 인젝터 펄스폭(Ti)과 엔진회전수(Ne)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엔진토오크(Te)를 구할 수 있다. 블록(51)에는 제 3도에서 구한 변속 직전의 비변속시의 토오크컨버터(14)의 입력토오크(Tp)의 값이 저장되어 있고, 이 Tp의 값은 스위치(75)를 거쳐 항시 블록(76)의 래치부에 입력토오크(Tp)의 값이 입력된다. 변속지령신호(도시생략)가 출력되었을 때, 스위치(75)가 개방되어 블록(76)에서 Tp의 값이 기억된다. 다음에 이 입력토오크(Tp)와 블록(50)에서 구한 엔진토오크(Te)의 편차를 블록(52)에서 계산한다.
이 편차가 엔진에 부하되는 보기(補機) 토오크(Tacc)이다. 이 보기토오크(Tacc)는, 변속지령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개방되는 스위치(73)를 거쳐 블록(74)의 래치부에 입력되고, 변속지령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일시기억되고, 변속중에는 이 일시기억된 Tacc값이 연산에 이용된다. 또, 블록(50)에서 구하여진 엔진토오크(Te)는, 항상 블록(53)에 입력되어 있다. 여기에서, 엔진의 관성분을 고려하여 과도시의 정밀도향상을 위하여 블록(70)에서 엔진회전수(Ne)의 미분치(dNe/d)를 산출하고, 블록(71)에서 엔진의 관성모멘트(Ie와 2π)를 곱하여, 양자로부터 블록(72)에서 Ie ·dωe/dt를 구한다. 여기에서 도면 중의 ωe는 dωe/dt의 의미이다. 다음에, 블록(53)에서, 블록(50)에서 구한 엔진토오크(Te)와 보기토오크(Tacc)의 차 및 이것과 엔진의 관성보정분과의 차를 취하고, 이것을 그 시점에서 변속중의 토오크컨버터의 입력토오크(Tp')라 한다. 이것을 식 6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dωe/dt는 엔진회전수(Ne) 변화의 기울기를 나타내고 있고, 본 실시예에 나타낸 업시프트변속의 경우는 엔진회전수(Ne)가 변속에 의하여 하강하기 때문에, dωe/dt가 -수가 되어 결과적으로는 Te-Tacc에 대하여 Ie ·dωe/dt의 절대치분 만큼 가산하게 된다. 또, 타운샤프트 변속에서는, 상기와는 반대로 변속에 의하여 엔진회전수(Ne)의 변화가 상승하기 때문에, dωe/dt가 +수가 되고, Te-Tacc에 대하여 Ie ·dωe/dt의 절대치분 만큼 감소하게 된다. 또, 엔진의 관성모멘트를나타낸 Ie의 값은, 실제로는, 엔진의 관성모멘트 외에 토오크컨버터, 기어트레인 등의 자동변속기의 관성모멘트를 고려하여 차량의 상태에 의하여 변속기의 변속단에 대응한 복수개의 관성모멘트(Ie)를 적절히 선택한 쪽이 더욱 높은 정밀도로 추정연산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블록(54)에서는, 블록(54)에서 계산하는 엔진회전수(Ne)의 2승과 입력토오크(Tp')로부터 식 3의 역계산에 의하여 펌프용량계수(τ)를 구한다. 그리고, 블록(55)에 나타낸 미리 기억시켜 두었던 역e- τ 특성으로부터 슬립비(e)를 구한다. 블록(56)에서는, 식 2의 역계산으로부터 e와 Ne의 곱을 취하고, 터어빈회전수(Nt)를 구한다. 블록(57)에서는 식 7로부터 기어비(r(Gp))를 구한다.
한편, 블록(47)에서는, e-t특성으로 토오크비(t)를 구한다. 그리고, 토오크비(t)와 블록(53)에서 구하여 둔 입력토오크(Tp')로부터 식 8로 블록(58)에서 변속중의 터어빈토오크(Tt)를 구한다.
여기에서, 블록(55)의 역e- τ특성은, 1개의 τ값에 대하여 2개의 e값을 취하는 영역이 존재하여, 그대로는 슬립비(e)를 구할 수 없다. 제 5도는 이것에 대처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 5도는, 토오크컨버터의 슬립비(e)와 펌프용량계수(τ)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이고, 연산에 사용하는 슬립비(e)의 값의 한정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슬립비(e)가 작은 영역은, 자동차를 발진시키는 바와 같은 상태일 때만이고, 상기한 바와 같은 변속중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슬립비(e)가 작은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5도중의 슬립비(e)의 변극점을 경계로 하여 0-0 선에서 위쪽으로 화살표로 나타낸 부분의 역e- τ특성을 이용하면 좋다. 이상에 의하여 변속중의 기어비(r(Gp))와 터어빈토오크(Tt)를 구할 수 있다.
제 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의 전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블록(60)은 제 3도에서 상술한 비변속시 상태의 연산추정블록을 포함하고 있는 토오크컨버터특성이용 추정부이다. 점선으로 둘러싼 블록(61)은, 제 4도에서 상술한 변속중 상태의 연산추정블록을 포함하고 있는 엔진토오크특성 이용 추정부이다. 변속중인지의 여부판단은, 블록(62)의 변속중 검출부에서 행한다. 이것에는 현시점의 기어위치(CURGP)와 이것으로부터 변속하고자 하는 다음의 기어위치(NXTGP)의 신호에 의하여 행한다. 즉, 블록(62)에서 양자의 신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변속은 완료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변속중이라고 판단한다. 이 판단신호가 되는 CURGP와 NXTGP의 생성방법에 관해서는, 제 7도에서 후술한다. 블록(62)에서 변속중이라고 판단한 첫회의 경우, 이것을 변속개시로 판단하여 그 신호를 블록(61c)에 보낸다. 블록(61c)에서는, 블록(61a)에서 구한 변속개시 직후의 엔진토오크(Te)와, 블록(60)에서 구한 비변속시의 최신의 토오크컨버터의 입력토오크(Tp)로부터 식 5를 이용하여 보기토오크(Tacc)를 기억한다. 이 Tacc값을 다음에 블록(62)으로부터 변속개시지령이 올 때까지 유지하고, 블록(61d)에서 행하여지는 변속중의 토오크컨버터의 입력토오크(Tp')의 연산에 이용한다. 또, 블록(61e)에서는 엔진등의 관성모멘트와 엔진회전수의 미분치에 의하여 엔진등의 관성보정분을 구한다. 따라서, 블록(61d)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식 6을 이용하여 토오크컨버터의 입력토오크(Tp')를 구한다. 블록(61b)에서는, 이 입력토오크(Tp')를 기초로 제 4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기어비(r(Gp)), 터어빈토오크(Tt)를 구한다. 블록(63)은, 블록(60)과 블록(61)에서 구한 터어빈토오크(Tt)의 변환기이다. 블록(64)은 블록(60)과 블록(61)에서 구한 기어비(r(GP))의 변환기이다. 이 양변환기의 변환동작은 블록(62)의 변속중 신호와 블록(65)의 코스트·엔블 L/U판정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여기에서, L/U는, 록업의 의미이며, 토오크컨버터(14)의 펌프임펠러와 터어빈임펠러를 유압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결합시킨 상태의 것이다. 코스트·엔블이란, 엔진브레이크 작동상태의 것이다. 코스트·엔블시, 드로틀 개방도는 완전 폐쇄이며, 엔진토오크(Te)는 작은 값이기 때문에 대략, 일정치로 한 특성을 채용할 수 있어 거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래서 블록(66)에서는 터어빈토오크(Tt)의 값으로서 일정치(p)를 이용하고 있다.블록(63), 블록(64)의 변환로직은 다음과 같이 된다.
이 변환로직에 관하여 보충 설명한다. L/U시에서는, 블록(60)과 같은 토오크컨버터특성을 이용한 추정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는, 블록(65)으로부터의 L/U신호에 의하여 블록(61c)을 동작시키고, 식 5를 이용하여 보기토오크(Tacc)를 연산하여 기억한다. 그리고, 이 보기토오크(Tacc)의 값을 블록(65)에서 L/U신호 정지지령이 출력되기 까지 유지한다. 블록(61d)에서의 토오크컨버터의 입력토오크(Tp')의 연산과, 블록(61b)에서의 터어빈토오크(Tt), 기어비(r(Gp))의 연산에 이용한다. 즉, L/U신호가 나와 있는 동안은, 블록(61)을 이용하여 구한다. 코스트·엔블시에있어서는, 토오크컨버터의 터어빈임펠러의 차륜측으로부터의 회전구동에 따라 펌프임펠러가 회전구동되고, 엔진도 회전구동된다. 즉, 토오크컨버터는 통상과는 반대의 구동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술한 e-t특성, e- τ특성은 그대로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 역구동상태의 경우는, e-t특성 e-τ특성을 미리 실험에 의하여 구하여 기억시켜 두고, 이 특성을 이용하여 연산추정을 행한다.
제 7도는, 본 발명의 제어를 실행한 경우의 타임챠트의 일예로써, 업시프트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출력축 회전수(Vsp)와 엔진회전수(Ne) 또는 출력축 회전수(Vsp)와 드로틀 개방도(TVO)등에 의하여 그려지며, 그렇게 기억된 변속선도(시프트스케쥴)상의 어느 하나의 변속선을 실운전점이 가로지르면, 변속지령이 나온다(제 7도의 a점). 이 변속지령신호가 나와 있는 동안은, 상술한 "변속중 상태"라고 판단되어 변속중의 연산추정로직이 실행된다. a점 이전은, 제 3도에서 나타낸 순서로 기어비(r(Gp)), 터어빈 회전수(Nt), 슬립비(e), 토오크컨버터의 입력토오크(Tp), 터어빈토오크(Tt)를 연산하여 구한다. a점 이후는, 제 4도에서 나타낸 순서로 기어비(r(Gp))나 터어빈토오크(Tt)등을 연산하여 구한다. 먼저, a 점에서 구한 엔진토오크(Te)와, a점의 직전에 구하여 두었던 토오크컨버터의 입력 토오크(Tp)로 식 5에 의하여 보기토오크(Tacc)를 구하고, 이 값을 a-e기간, 즉, 변속중의 기간, 기억 유지한다. 이 Tacc값을 이용하여 식 6에 의하여 변속중의 토오크컨버터의 입력토오크(Tp')를 소정의 연산주기마다 구한다. 동시에 슬립비(e), 터어빈 회전수(Nt)도 구한다. b점에 이르면, 기어의 체결상태가 변화하기 시작, 엔진회전수(Ne)가 그것까지의 상승특성으로부터 하강특성으로 전이한다. 이 엔진 회전수(Ne)의 변화에 의하여 기어비(r(GP)), 슬립비(e), 입력토오크(TP'), 터어빈토오크(Tt), 터어빈 회전수(Nt)는 도시한 바와 같이 b-d 사이에서 크게 변화한다. d점에 이르면, 기어의 체결이 종료되고, 엔진회전수(Ne)는, 다시 상승특성으로 전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속지령신호의 정지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행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기어비(r(GP))에 대하여 소정의 슬라이스레벨 S/L을 마련하고, 연산하여 구한 기어비(r(Gp))가 슬라이스레벨 S/L 이하가 되면, 타이머(tm)를 △t시간 만큼 기동하고, e점에서 종료하도록 설정한다. 이 타이머 종료점을 변속 지령신호의 정지점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 구애될 필요는 없고, a점으로부터 임의의 설정시간으로 타이머를 작동시켜 정지시키는 방법이어도 괜찮다.
e점에 이르면, 다시 "비변속시"의 로직으로 되돌아가고, 제 3도에 나타낸 순서로 각각의 수치를 연산추정한다. 여기까지 구하여 온 터어빈토오크(Tt)에 기어비 (r(GP)) 및 최종 감속비를 곱하여 구동축 토오크를 구할 수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터어빈센서와 같은 검출수단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자동변속기의 입력축 회전수, 즉 터어빈회전수나, 자동변속기의 입력축 토오크, 즉 터어빈 토오크를 정도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추정할 수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제 2도는 자동변속기의 콘트롤유니트, 엔진의 콘트롤유니트의 주요 구성의 개략도,
제 3도는 비변속시의 터빈토오크(Tt)의 연산추정을 나타낸 제어블록도,
제 4도는 변속중의 터빈토오크(Tt)의 연산추정을 나타낸 제어블록도,
제 5도는 토오크컨버터의 슬립비(e)와 펌프용량계수(τ)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제 6도는 제어의 전체를 나타낸 제어블록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낸 타임챠트도이다.

Claims (6)

  1. 토오크 컨버터를 가지는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변속기가 소정의 기어에 체결 완료되어 있는 비변속 상태일 때에는, 엔진 토오크;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 및 기어위치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고,
    상기 자동변속기가 소정의 기어에 체결되어 있지 않은 변속중인 상태일 때에는, 엔진 토오크; 엔진 출력축의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보정분을 나타내는 관성 보정분 연산값; 및 비변속시에 있어서의 엔진 토오크와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 토오크와의 차이에 의해 구한 보기 토오크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며,
    구한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
  2. 토오크 컨버터를 가지는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엔진 토오크; 비변속시에 있어서의 엔진 토오크와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 토오크와의 차이에 의해서 구한 보기 토오크; 및 엔진출력축의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보정분을 나타내는 관성 보정분 연산값으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토오크를 구하고,
    상기 펌프 토오크와 엔진회전수에 의하여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용량계수를 구하며,
    상기 펌프용량계수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토오크비(比)를 구하고,
    상기 펌프 토오크와 상기 토오크비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며,
    구해진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이용하여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
  3. 토오크 컨버터를 가지는 자동턴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 토오크; 비변속시에 있어서의 엔진 토오크와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 토오크와의 차이에 의해서 구한 보기 토오크; 및 엔진 출력축의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보정분을 나타내는 관성 보정분 연산값으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 토오크를 구하고,
    상기 펌프 토오크와 엔진회전수에 의하여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용량계수를 구하며,
    상기 펌프용량계수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속도비(比)를 구하고,
    상기 속도비와 상기 엔진회전수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회전수를 구하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회전수와 상기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로부터 기어비(比)를 구하고,
    상기 자동변속기가 소정의 기어에 체결되어 있지 않은 변속중의 상태일 때, 기어비 연산수단에 의해 구해진 기어비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
  4. 토오크 컨버터를 가지는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비변속시에 있어서의 엔진 토오크와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 토오크와의 차이에 의해서 엔진의 보기 토오크를 구하여 기억하는 보기 토오크 연산기억수단과,
    엔진회전수, 스로틀 개방도, 자동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 기어위치 및 엔진 출력축의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보정분을 나타내는 관성 보정분 연산값을 각각 파악하는 수단과,
    파악된 상기 엔진회전수, 상기 스로틀 개방도, 상기 자동변속기 출력축 회전수 및 상기 기어위치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는 제 1 토오크 산출수단과,
    검출된 상기 엔진회전수, 상기 스로틀 개방도, 상기 보기 토오크 연산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보기 토오크, 및 상기 관성 보정분 연산값으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는 제 2 토오크 산출수단과,
    상기 자동변속기가 소정의 기어에 체결 완료되어 있는 비변속 상태와, 상기 자동변속기가 소정의 기어에 체결되어 있지 않은 변속중의 상태를 판별하는 변속상태 판별수단과,
    비변속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 1 토오크 산출수단, 변속중일 때에는 상기 제 2 토오크 산출수단을 전환하여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고, 구한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
  5. 엔진과 토오크 컨버터와 변속기를 가지는 자동차로서,
    엔진 출력축 회전수를 구하는 수단;
    스로틀 개방도를 검출하는 수단;
    상기 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를 검출하는 수단;
    상기 변속기의 기어위치를 파악하는 수단;
    비변속시에 있어서의 엔진 토오크와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 토오크와의 차이에 의해서 구한 상기 엔진의 보기 토오크를 구하여 기억하는 수단;
    상기 엔진 출력축의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보정분을 나타내는 관성 보정분 연산값을 구하는 수단;
    상기 엔진 출력축 회전수, 상기 스로틀 개방도, 상기 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 및 상기 기어위치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는 수단; 및
    상기 엔진 출력축 회전수, 상기 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 상기 보기 토오크 및 상기 관성 보정분 연산값으로부터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는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6. 엔진과 토오크 컨버터와 변속기를 가지는 자동차로서,
    엔진 출력축 회전수를 구하는 수단;
    엔진 출력축 토오크를 구하는 수단;
    상기 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를 검출하는 수단;
    비변속시에 있어서의 엔진 토오크와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 토오크와의 차이에 의해서 구한 상기 엔진의 보기 토오크를 구하여 기억하는 수단;
    엔진 출력축의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보정분을 나타내는 관성 보정분 연산값을 구하는 수단;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용량계수와 슬림비(比)를 관련지은 특성을 기억하는 수단; 및
    상기 엔진 출력축 토오크, 상기 보기 토오크, 상기 관성 보정분 연산값 및 상기 엔진 출력축 회전수로부터 상기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출력축 회전수를 구하는 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KR1019950017427A 1994-07-25 1995-06-26 자동변속기의제어방법및그제어장치및자동차 KR100368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231294A JP3524161B2 (ja) 1994-07-25 1994-07-25 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並びに自動車
JP94-172312 1994-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8712B1 true KR100368712B1 (ko) 2003-03-19

Family

ID=1593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427A KR100368712B1 (ko) 1994-07-25 1995-06-26 자동변속기의제어방법및그제어장치및자동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58213A (ko)
JP (1) JP3524161B2 (ko)
KR (1) KR100368712B1 (ko)
DE (1) DE1952713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1042A (en) * 1996-03-22 2000-06-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ybrid vehicle drive system including controllable device between engine and electric motor and vehicle drive wheel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evice depending upon selected operation mode of the system
JP4181746B2 (ja) 1997-10-17 2008-11-19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ベ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ウント・コンパニー・オッフェネ・ハンデルスゲゼルシヤフト 車両のスタート時の車両駆動トルクの決定、車両を駆動または制動する外的値の決定および上り坂でのスタートの補助のための方法と装置
DE19808167C1 (de) 1998-02-27 1999-08-26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Korrektur eines rechnerisch ermittelten Drehmoments im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DE19834532A1 (de) * 1998-07-31 2000-02-0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Beeinflussung des Drehmoment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915471A1 (de) * 1999-04-06 2000-10-12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orrichtung zur Messung der Getriebeöltemperatur
US6226585B1 (en) * 2000-04-18 2001-05-0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Torque estimation metho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278925B1 (en) * 2000-04-18 2001-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daptive method for determining onset of positive torque in a powertrain hav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US7146264B2 (en) * 2001-03-30 2006-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using a GPS assist having a learn mode
US8116932B2 (en) * 2009-02-25 2012-02-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xiliary pump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JP5012924B2 (ja) * 2010-02-05 2012-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KR101655286B1 (ko) * 2014-12-05 2016-09-0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슬립팩터 학습 방법
US9945474B2 (en) * 2015-09-29 2018-04-17 Deere & Company Shift control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11181191B1 (en) * 2020-08-26 2021-11-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que ratio bound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52195C2 (de) * 1978-12-02 1987-08-27 Bosch Gmbh Robert Steuervorrichtung fuer ein selbsttaetig schaltendes getriebe
JPS55164233A (en) * 1979-06-07 1980-12-20 Nippon Yunikaa Kk Polyethylene composition for water pipe
JPH03182647A (ja) * 1989-12-12 1991-08-08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付車両の動力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27130A1 (de) 1996-02-01
US5658213A (en) 1997-08-19
JPH0835437A (ja) 1996-02-06
DE19527130B4 (de) 2006-03-02
JP3524161B2 (ja) 200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712B1 (ko) 자동변속기의제어방법및그제어장치및자동차
KR100825247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변속 제어 방법
US20050245351A1 (en) Controller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6023647A (en) Output torque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or vehicles
US5771171A (en) Shift control for automatic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rotational speed of an input shaft thereof
US6695742B2 (en) Control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960038189A (ko)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3630199B2 (ja) 車両用内燃エンジンの出力トルク制御装置
JP3650673B2 (ja) 車両用内燃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3193244B2 (ja) 車両の駆動トルク制御装置
US6317670B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automatic transmission
JP2003090423A (ja) 流体式トルクコンバータのタービントルク算出装置、車両の駆動トルク制御装置
JPH092106A (ja) パワ−トレイン制御装置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3246791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並びに自動車
KR0168161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충격 경감장치
JP3589970B2 (ja) 車両の駆動トルク制御装置
US6183395B1 (en)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of automatic transmission and automotive vehicle
WO2004099653A1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3135493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H10122343A (ja) パワートレイン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3263830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付自動変速機の故障診断装置
JPH04325733A (ja) 自動変速機付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3520828B2 (ja) 自動車の制御装置
EP2199578A1 (en) Torqu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280364A (ja) 車両の走行抵抗検出装置及び当該装置を用いた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