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673B1 - 전기접속엘리먼트 - Google Patents

전기접속엘리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673B1
KR100368673B1 KR1019960008686A KR19960008686A KR100368673B1 KR 100368673 B1 KR100368673 B1 KR 100368673B1 KR 1019960008686 A KR1019960008686 A KR 1019960008686A KR 19960008686 A KR19960008686 A KR 19960008686A KR 100368673 B1 KR100368673 B1 KR 100368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rip
hole
neck portion
insula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201A (ko
Inventor
알벡 베른하트
Original Assignee
보스로 쉬바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로 쉬바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스로 쉬바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6003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83Terminal blocks specially adapted for ground conne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엘리먼트는 필수적으로 평평한 결합면이 형성된 절연 하우징을 가진다. 상기 결합면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장치용 지지면에 배치되도록 응용되어 있다. 장치는 이 장치를 지지면에 부착해야 할 부착수단을 소유한다. 적어도 하나의 접점 엘리먼트가 전기라인 즉 접지 전도체에 접속되도록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금속 스트립이 하우징에 고정되고, 접점 엘리먼트에 전기 접속되고, 그 길이의 중간에 굽힘선 또는 주름선을 형성하여 스트립을 네크부와 크게 각이 진 후크부로 분리시키고 있다. 상기 네크부 및 후크부는 절연 하우징과 함께 레버를 형성하고, 이 레버에서 후크부가 지지면의 구멍을 통과한 상태에서 지지면 아래를 지나며 지지면에 결합되며 이에 의해 지탱되고 또 네크부를 레버작용에 의해 구멍을 통과하도록 허용하며 후크부를 지지면에 평평하게 유지하면서 하우징을 지지면의 제위치에 고정되게 정착시킨다.

Description

전기 접속 엘리먼트
발명의 범위
본 발명은 전도체를 전기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엘리먼트(connection elemen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선과 접속하기 위한 절연 하우징내에 접속단자를 제공할 뿐 아니라 또한 예를 들어 접지 또는 중립 접속라인을 위한 단자를 제공하기 위한 그러한 장치와 전기 접속을 형성하는 접속 엘리먼트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예를 들어 발광체, 광 고정구 등과 같은 고정 또는 이동 전기장치의 배선에서는 안전회로 예를 들어 접지 도선에 접속할 필요가 빈번히 생긴다. 하우징에 전기 연결되는 회로 접속부의 개별 구조그룹 또는 하우징의 전기 전도부는 그러한 보호 회로 접속을 필요로 한다. 보통, 이런 방식의 장치 또는 기구들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하우징에 연결된 접속단자를 가지고 있다. 또한 단자는 다른 전기 라인들 예를 들어 중립라인, 접지라인 또는 위상라인과 하우징 내에 있는 회로 및 유닛을 전기 접속시킨다.
그러한 접속 엘리먼트 하나가 쾰만(Kollmann)씨의 독일 특허 제 38 13 895A1호에 공개되어 있다. 접속 엘리먼트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접점들을 내부에 배치시킨 하우징을 가진다. 하나의 접점은 보호 전도체와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러그 접점에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은 상호결합하는 정지 스터브(detent stub)가 형성된 평평한 저면에 배치되도록 응용된 평평한 바닥을 가지는 한편, 플러그인 접점(plug-in contact)은 하우징에서 밖으로 횡으로 돌출한다. 플러그인 접점은 처음에 두 번 구부러지는데 한 부분은 하우징 바닥의 평면에 위치하고 한번 더 구부러지며 자유단부에서 하우징의 바닥을 지나서 돌출하며 정지 스터브와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플러그인 접점은 이 접점을 2개의 레그로 분할하는 슬릿을 가지며, 상기 레그는 서로 평행하고 그 외측면에티스(teeth)를 가진다.
레그간의 간격은 각각의 외측 모서리에서 측정할 때 접속해야할 응용 부품내에 설치된 구멍의 직경보다 분명히 크다. 이것은 레그를 구멍에 삽입하기가 어렵게 만들고, 또 비교적 큰 삽입력을 필요로 한다. 전기 접속을 만들려고 하는 사용자는 하우징에 압력을 가하여서 상기 삽입력을 발휘하여야 한다.
헨리시(Henrici) 등에게 허여된 유럽 특허 제 0 327 703B1호에서, 전기 설비를 위한 접속 엘리먼트 또는 접속 클램프는 유사하게 금속 지지부 또는 하우징부와 전기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인 접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공개되어 있다. 이 접속 엘리먼트는 보호 전도체에 접속하기 위한 탄성 클램핑 단자가 위치한 수납실을 갖춘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탄성 클램핑 단자(springy clamping terminal)는 하우징의 평평한 측면에서 돌출하며 스트립으로서 만들어지는 플러그에 연결되어 있다.이 플러그는 굽힘이 없이 하우징에서 직선형으로 연장한다. 하우징을 향해 연장하는 2개의 돌기(tongue)는 플러그에서 분할되어 교대로 구부러지며 이 플러그에서 예각을 형성한다. 플러그는 지지면으로서 작용하는 금속 시트 또는 판의 직사각형구멍 속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이런 수단에 의해 보호 전도체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직사각형 구멍은 플러그를 구멍 속에 끼워 넣도록 플러그의 치수에 맞추어져 있다. 탄성 돌기는 플러그가 구멍에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치수가 큰 플러그가 구멍 속에 삽입되는 경우에, 그때 삽입에 필요한 모든 힘이 하우징에 가해지는 압력으로서 지탱될 정도로 발생되어야 한다.
뮤스(Mews)씨 등의 미국 특허 제 5 480 323호에서, 전기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엘리먼트는 유사하게 보호 전도체의 접속에 사용하는 접지 스트립으로서 플러그인 접점을 가진다. 접속 엘리먼트는 판금속으로부터 구부러진 슬릿 블레이드 절연 관통(slit-blade insulating-piercing:SBIP) 접속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가진다. 하우징은 베이스에 배치되어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는 보호 전도체에 전기 전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SBIP 접속기는 그 바닥부분에서 2개의 대향한 돌기에 의해 형성된 탄성 클램핑 단자를 가지고 있다. 접지 스트랩의 삽입 러그(lug)가 통과하는 하우징 바닥의 구멍은 탄성 클램핑 단자 반대측에 위치한다. 삽입 러그는 SBIP 접속기에 설치된 탄성 돌기 또는 태브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돌기에 의해 유지되며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삽입 러그는 확장부를 거쳐 이 확장부에서 분할된 2개의 로킹태브(locking tab)에 인접하여 있고, 상기 로킹태브는 접지 스트랩의 평면에서 약간 외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로킹태브는 접속해야 할 하우징 바닥과 같은 베이스부의 슬릿형 구멍에 접지 스트랩을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마찬가지로 이런 접속 엘리먼트에서도, 접지 스트랩을 슬릿형 구멍 속으로 밀어 넣는데 필요한 힘이 하우징에서 그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정도로 발생되어야 한다. 게다가 접지 스트랩이 하우징 바닥을 지나서 돌출하므로 예를 들어 하우징 바닥 아래에 충분한 공간이 없으면 접지 스트랩을 구멍 속에 삽입하는 일이 항상 쉽지는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어 발광체, 전등 고정구, 휴대용 램프, 또는 다른 휴대용 장치와 같은 전기 장치를 상당한 조립력 또는 조립공구 또는 다른 부속기구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요약하면, 접속 엘리먼트는 필수적으로 평평한 결합면이 형성된 절연 하우징을 가진다. 상기 결합면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 장치용 지지면에 배치되기에 적합하다. 전기 장치는 이 장치를 지지면에 부착해야 할 부착수단을 소유한다. 적어도 하나의 접점 엘리먼트가 전기라인 즉 접지 전도체에 접속되도록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금속 스트립이 하우징에 고정되고, 접점 엘리먼트에 전기 접속되고, 그 길이의 중간에 굽힘선 또는 주름선을 형성하여 스트림을 네크부(neck portion)와 크게 각이 진 후크부(anglc-over hook portion)로 분리시키고 있다. 상기 네크부 및 후크부는 절연 하우징과 함께 레버를 형성하고, 이 레버에서 후크부가 지지면의 구멍을 통과한 상태에서 아래를 지나며지지면에 결합되어 이에 의해 지탱되고 또 네크부를 레버작용에 의해 구멍을 통과하도록 허용하며 후크부를 지지면에 평평하게 유지하면서 하우징을 지지면의 제위치에 고정되게 정착시킨다.
접속 또는 접점 엘리먼트는 지지면에 배치될 때에는 보호 부품을 가질 필요가 없다, 브라켓의 형태로 된 금속 스트립은 지지면의 구멍을 통과하여 지지면의 뒷면에 평평하게 놓이며, 따라서 지지면으로부터 어떤 부품도 돌출하지 않는다. 이것은 접속 엘리먼트를 전등 고정구 등과 같은 전기장치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품에 보호 접속기를 접속하는데 특히 적합하도록 만든다. 다음에 접속 엘리먼트는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내부 예를 들어 전기장치의 후방 벽에 배치될 수 있다. 스트립이 하우징의 적용부분에 평평하게 놓이기 때문에 하우징벽에서 돌출하는 부품을 가지는 접속단자로부터 상처를 받을 위험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또한 장착상태에서 적용하는 벽부분에 평평하게 놓이는 스트립의 후크부는 지지부에 접속 엘리먼트를 추가로 고정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스트립의 후크부는 벽부분과 뒤에서 결합하고 따라서 지지면에서 접속 엘리먼트를 유지한다. 이것은 전기장치가 예를 들어 벽에 장착될지라도 사실이다. 접속 엘리먼트는 전기장치가 부착되는 벽에서 평평하게 놓이는 하우징 벽에 장착될 수 있다, 스크립이 정착하여 후크부에 의해 뒤에서 지지부와 결합해 있는 곳의 구멍을 통해 스트립이 밖으로 밀려나올 위험이 없다. 또한 스트립이 크게 변형되거나 또는 스트립에 의해 발생된 전기 접촉이 어떤 방법으로 손상될 것이라는 위험도 없다. 스트립을 구멍 밖으로 빠져 나오지 않게 하는 이러한 안정성은 추가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달성될 수 있다. 스트립은 지지수단에 자동 고정되고, 게다가 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 어떤 결합지점도 제공하지 않는다.
스트립은 그 네크부가 폐쇄되거나 슬릿으로 되거나 또는 갈퀴(prong)를 갖추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스트립은 평평하거나 구부러질 수도 있다. 필수적인 것은 스트립이 삽입되어야 할 구멍의 모서리로 끼어 들어가는 컷텅에지(cutting edge)를 가진다는 것이다. 네크부를 결합면의 평면에 속하는 반경으로 구부리면 벤딩에 대한 스크립의 강도를 증가시키게 되고 구명에 관하여 일정한 탄성을 가질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의 설명
제 1 도에 도시된 접속 엘리먼트(1)는 2 부품(2,3)으로 분할된 절연체의 하우징(4)을 가지고, 하우징 내부에서는 제 5 도와 관련하여 후술하게 될 접점(5)을 수용하고 있다. 절연 하우징(4)은 예를 들어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7)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대략 입방체의 기본 형상을 가지며, 지지면(7)을 향해 바라보는 U형 에지(8)를 가지고, 이 에지는 평평한 결합면(9)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면(9)은 이 면에서 뒤로 물러나 있는(spring back) 하우징 바닥(11)에 대해 필수적으로 평행하다.
지지면(7)에 절연 하우징(4)을 유지하기 위한 부착수단으로서 정지 돌출부(detent projection:1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출부는 하우징 바닥(11)에서 멀리 연장하고 절연 하우징(4)의 부품(2)과 일체로 형성된다. 정지 돌출부(12)는하우징 바닥에서 멀리 직각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레그(13,14)를 가지며, 상기 레그는 각각 결합면(9)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서 약간 거리를 두고 하나의 외향 돌출 숄더(outward-protruding shoulder:16,17)를 가지고 있다. 상기 숄더로부터 가이드 레그(18,19)가 서로를 향해 예각으로 경사져 있고, 그들 단부에서 횡단부재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정지 돌출부(12)는 탄성을 가진다. 레그(13,14)는 서로를 향해 탄성운동이 가능하다.
절연 하우징(4)의 부품(2,3)은 접속구멍을 가지며, 이 구멍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라인들이 절연 하우징(4)의 내부에 위치한 접점(5)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3)은 그 표면단부(face end:21)에서 이격된 2개의 병렬 라인 삽입구멍(22,23)을 갖추고 있고, 이 삽입구멍을 통해 후술하게 될 탄성 클램핑 단자가 접점(5)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이것은 표면단부(21)에 설치된 다른 구멍(24)에도 사실이며, 이 구멍은 하우징 바닥(11) 바로 위에 그리고 상기 라인 삽입구멍(22,23) 아래에 위치한다. 덧붙여, 절연 하우징(4)의 2 부품(2,3)은 슬릿(25)을 규정하고, 이 슬릿에서 SBIP 접속기가 외부로부터 절연된 채로 유지되어 있다.
표면단부(21)에 평행하게 대향한 표면단부(26)에서, 절연 하우징(4)의 부품(2)은 예를 들어 제 4 도에 도시된 삽입구멍(27)을 가지고, 이 구멍내에 접지 스트립으로서 작용하는 스트립(28)이 예를 들어 제 5 도에 도시된 삽입태브(29)에 의해 삽입된다. 스트립(28)은 절연 하우징(4)에 견고하게 보유되고 휨에 대해 저항성이 있다.
스트립(28)은 타발 성형된 박판금속 부품이고,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태브(29)에 인접하게 접점 또는 네크부(31)를 가지고, 상기 네크부는 하우징바닥(11)에 대해 그리고 결합면(9)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 대해 실제로 수직으로 연장한다. 네크부(31)는 스트립(28)의 실제로 평평한 또는 다른 말로 하면 평판형 영역이고, 절연 하우징(4)의 폭보다 약간 작지만 비교적 넓은 폭을 가진다. 대략결합면(9)에 의해 규정된 평면의 수준에서 네크부(31)의 폭이 단계적으로 증가하고, 양 측면에서 결합 숄더(32,33)를 형성한다.
결합 숄더(32,33)에서 시작하며 평행한 측면을 형성하고 있는 네크부(31)는 굽힘선 또는 주름선(34)을 따라 후크부(36)로 전환하고, 이 후크부는 네크부(31)와 함께 60도와 90도 사이의 예각을 형성한다. 이런 특별한 경우에 이 예각은 75도이다. 네크부(31)는 본 발명의 경우에 평평한 또는 평면이고, 대신에 단면이 굴곡된 홈 형태이거나 또는 S 형상이어도 좋다. 이것은 횡방향에서 탄성을 허용하고 동시에 휨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제 1 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네크부(31)가 굴곡부로 전환되는 전이지점(37)에서 시작하여 스트립(28)이 테이퍼진다(taper). 이것은 스트립이 더 이상 평행한 측면을 가지지 않고 서로를 향해 예각으로 연장하는 측면(38,39)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네크부(31)는 길이가 굽힘선(34)이 결합면(9)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서 절연 하우징(4)에 관하여 더 멀리 있는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그러한 치수로 되어있다. 이것은 네크부(31)가 결합면(9)을 지나서 돌출하는 반면에 결합면(9)의 평면에서 이격되며 굽힘선(34)에서 시작하는 후크부(36)가 예각으로 평면을 향해 테이퍼지지만 그 자유단부(41)에서 평면 자체에 도달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후크부의 자유단부(41)와 결합면(9)이 규정한 평면 사이의 거리는 제 2 도에서 볼 수 있는 지지면(7)의 벽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스트립(28)을 위해 후크부(38)의 길이는 네크부(31)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후크부(38)의 길이를 위한 하한계는 네크부(31)의 폭의 절반이다.
에지에서 개방된 슬릿(42)은 스트립(28)의 자유단부(41)에서 결합 숄더(32,33)를 크게 지나서 연장하고, 따라서 절연 하우징(4)에서 멀리 가리키는 후크부(31)와 하우징 바닥(11)에 필수적으로 수직인 네크부(31) 둘 다를 통과하여 연장한다. 슬릿(42)은 필수적으로 하우징 바닥(11) 수준에서 끝나고, 하우징 바닥(11)과 결합 숄더(32,33) 사이의 거리는 슬릿(42)의 폭보다 더 크다. 또한 슬릿의 길이도 결합 숄더(32,33)에서 하우징 바닥(11)을 향해 측정하였을 때 슬릿(42)의 폭보다 더 크다. 네크부(31)의 영역과 특히 결합 숄더(32,33)와 하우징 바닥(11) 사이에 위치한 스트립(28)의 부분에서 슬릿이 필수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따라서 평행한 측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반면에, 후크부(36)의 영역에서의 슬릿의 폭은 더 크다. 이런 영역에서, 슬릿(42)은 그 단부(41)를 향해 넓어지고, 이 영역에서의 슬릿(42)의 측면들은 서로 예각으로 위치한다.
특히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42)은 제 2 도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라인(43)의 필요에 따라 접속하기 위한 절연 관통슬릿이다. 상기 라인(43)은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28)에서 끝나거나 앞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2 개이상의라인이 슬릿(42)으로 도입될 수 있고 따라서 스트립(28)에 연결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접속 엘리먼트(1)는 다음과 같이 지지면(7)에 고정된다.
먼저, 지지면(7)은 이격된 2 개의 구멍(45,46)을 갖추고 있는데, 이 구멍들의 중심간격은 스트립(28)의 네크부(31)와 정지 돌출부(12) 사이의 중심간격과 일치한다. 구멍(45,46)은 각각 둥글고, 상기 구멍(45)의 직경은 네크부(31)의 직경보다 다소 작다. 또한 지지면(7)의 얇은 벽으로 된 평판형 부분에 제공된 구멍(46)의 직경은 숄더(16,17)의 가장 멀리 외향 돌출하는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작아서 레그(13,14)가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는 경우에만 정지 돌출부(12)를 구멍(46) 속에 삽입할 수 있다.
접속 엘리먼트(1)를 지지면(7)에 부착하여 금속성 지지면(7)을 절연 하우징(4)에 제공된 접점(5)에 연결시키기 위해, 절연 하우징(4)에서 돌출하는 스트립(28)은 후크부(36)를 거쳐 구멍(45) 속에 도입된다. 후크부(36)는 그 단부(41)를 향해 감소하는 폭을 가지며, 이 폭은 구멍(45)의 직경보다 후크부(36) 전체에 걸쳐 더 작다. 이것은 후크부(36)를 구멍(45) 속에 더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게 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부(36)는 뒤에서부터 지지면(7)과 결합한다. 네크부(31)의 폭은 최대한 전이지점(37)의 시작하는 곳에서 구멍(45)의 직경보다 더 크며 따라서 스트립(28)이 그 네크부(31)에 의해 지지면(7) 위에 정착된다.
제 2 도에서 화살표(47)로 도시된 접속 엘리먼트(1)의 선회운동에 의하여 절연 하우징(4) 및 스트립(28)이 제 3 도에 도시된 위치로 전환된다. 먼저 스트립(28)의 후크부(36)가 후방에서 지지면(7)을 가압한다. 그 순간에 더 빠르지는 않게 스트립(28)이 휨에 대해 저항하며 절연 하우징(4)과 협동하여 레버로서 작용하며 그 단부(41)에 의해 지지면(7)에 고정된다.
스트립(28) 및 절연 하우징(4)에 의해 형성된 레버는 제 2 도에서 일점쇄선(48)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부(41)와 네크부(31) 사이의 거리는 단부(41)로부터 일점쇄선(48)으로 도시된 레버의 하우징을 향한 단부까지에 이르는 거리보다 실제로 작다. 이러한 거리 비는 화살표(49) 방향으로 도시된 힘, 예로서 절연 하우징(4)의 부품(3)에 가해진 힘이 레버작용에 의해 상당히 보강되어서 네크부(31)에 전달된다는 것을 뜻한다. 그 결과, 스트립(28)의 단부(41)가 지지면(7)에 정착하자마자 네크부(31)가 레버 작용에 의해 구멍(45)으로 가압되고 동시에 구멍(45)에 제공된 페인트층을 파손시키고, 따라서 이것은 절연 하우징(4)에 손으로 용이하게 가할 수 있는 약간 작은 힘을 필요로 한다.
네크부(31)는 더 좁은 구멍(45)으로 가압되고, 이런 과정에서 그 측면이 구멍(45)의 에지를 변형시킨다. 스트립(28)은 그 측면에 제공된 컷팅에지에 의해 지지체로 끼어 들어가며 전기 접점이 형성된다. 또한 구멍(45)에서 네크부(31)와 지지면(7) 사이의 연결은 신뢰성 있는 전기 접점이 장기간 만들어진다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연결은 기밀성이고, 접점을 손상시킬 수도 있는 부식의 두려움이 없다.
또한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28)은 어떤 부분도 지지면(7)에서 돌출시키지 않으면서 지지면(7)의 후방면에 그 단부(41)로서 정착하여 있다. 만일 스트립(28)이 그 단부(41)와 결합면(9)이 한정한 평면간의 간격이 지지면(7)의 벽두께 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면, 상기 단부(41)도 또한 지지면(7)에전응력(prestress)을 가하면서 정착하며 따라서 네크부(31)와 지지면(7) 사이에 형성된 접점 지점이 이에 의해 추가로 기계적으로 보호된다.
정지 돌출부(12)는 구멍(46)에 위치하고, 숄더(16,17)가 뒤에서 지지면(7)과 결합하고 이 지지면에 절연 하우징(4)을 고정한다. 제 3 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접속 엘리먼트(1)는 지지면(7)에 완전히 장착된다. 이제, 보호 전도체를 접속하기 위한 라인들은 절연 하우징(4)이 수용한 접점(5)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지지면(7) 만이 절연 하우징(4)이 수용한 접점(5)에 스트립(28)을 거쳐 연결되었다. 라인(43)을 경유하여 추가의 부품 집단이 접점에 연결된 보호 전도체에 접속될 수 있다. 라인(43)의 접속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43)은 구멍(45)의 지지면(7)에 절연된 채로 또는 절연되지 않고 배치되고, 절연 하우징(4)은 손으로 지지면(7)을 향해 이동 되어 포크형 스트립(28)이 라인(43)을 슬릿(42)에서 수용하게 된다. 라인(43)은 깔때기 모양으로 단부(41)를 향해 벌어져 있는 슬릿(43)으로 용이하게 미끄러져 들어가게 된다. 슬릿(42)이 네크부(31)의 영역에서 라인(43)의 직경보다 더 좁기 때문에, 라인은 더욱 이르지 않다면 굽힘선(34)에서 슬릿내에 확고히 클램프된다. 거기에서 라인(43)은 슬릿(42)내로 더욱 들어가려면 저항을 받게 된다.
접속 엘리먼트(1)를 설명한 방법대로 지지면(7)을 향해 선회시키면, 이제 네크부(31)가 구멍(45) 속에 삽입되고, 네크부 (31) 및 라인(43)이 함께 SBIP 접속기를 형성한다. 네크부(31)는 그 슬릿에서 라인(43)을 수용하고, 이 영역에서 라인(43)이 영구히 변형되어 스트립(28)과 함께 SBIP 접속기를 형성한다. 상기 접속기는 기밀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 및 신뢰성있는 전기 접점을 보장한다. 상기 접속을 만드는데 필요한 힘은 레버작용 때문에 작다. 따라서 SBIP 접점은 어떤 보조공구없이 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레버로서 작용하는 절연 하우징(4)과 이 하우징에 유지된 스트립(28)은 그들 스스로 스트립(28)과 지지면(7) 사이와, 스트립(28)과 필요시에 접속될 수 있는 라인(43) 사이의 절연 관통접속을 만드는데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는 공구로서 작용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절연 하우징(4)이 제 5 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4)은 결합면(9)에 직각인 판을 따라 부품(2,3)들로 분할된다. 접점(5)을 수용하기 위해, 부품(2,3)은 각각 리세스(recess)를 가지고, 이 리세스는 내부 챔버(51)를 형성한다. 부품(3)을 다른 부품(2)에 접속하기 위해, 부품(3)은 다른 부품(2)의 대응 리세스와 결합하는 정지 돌기(52,53,54)를 가진다. 외부 라인을 접점(5)에 연결하기 위해, 부품(2)은 라인 도입구멍(22',23')과 또 하나의 구멍(24')을 가지고, 상기 구멍들은 라인 도입구멍(22,23)과 제 1 도에서 볼 수 있는 부품(3)의 구멍(24)과 대응한다.
덧붙여, 접속구멍(55)은 표면단부에 설치되고, 스트립(28)의 삽입태브(29)는 상기 접속구멍을 통해 내부 챔버(51)로 삽입될 수 있다. 접속구멍(55)은 단면이직사각형이고, 평평한 삽입부(56) 보다 폭이 상당히 작고, 상기 삽입부는 삽입태브(29)에 접하고 굽힘부에서 네크부(31)로 변한다. 삽입태브(29)를 접속구멍(55)에 삽입한 상태에서, 삽입부(56)는 절연 하우징(4)의 부품(2)을 관통하고, 이 부품을 접속구멍(55)의 영역에서 변형시킨다, 절연 하우징(4) 즉 부품(2,3)은 삽입된 스트립을 확고히 보유하는 가소적으로 변형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이것은 스트립(28)과 절연 하우징(4) 사이를 기계적으로 안정된 접속을 만들고, 특히 이러한 접속은 레버 힘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스트립(28)을 구멍(45) 속에 헐겁지 않게 삽입시킨다.
결합면(9)에서 멀리 떨어진 측면에서, 절연 하우징(4)의 부품(2,3) 각각은 이 부품에서 멀리 바라보는 벽(57,58)을 가지고, 이 벽은 각각의 슬릿(59,61)을 갖추고 있고, 상기 슬릿들은 연합하여 접속해야 할 라인을 위한 슬릿(25)을 형성한다.
유사한 다수의 절연 하우징(4)을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할수 있도록, 부품(2)에 설치된 벽(57)은 U 형 단면의 일체 형성부(integrally formed-on portion:62)를 가지고, 이 일체 형성부는 부품(2)의 횡방향 경계를 지나서 돌출한다. 상기 일체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63)은 부품(3)의 벽(58)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부분(62,63)은 각각의 홈(64, 65)을 가지고, 각각의 홈은 정지 돌출부(66)를 구비한다. 정지 돌출부(66)는 각 홈(64,65)의 측면에서 그 홈(64,65) 속으로 돌출해 있다.
대향 측면에서, 벽(57)은 리브(68)를 가지고, 이 리브는 대응 부품(2)의 홈(64) 속에 끼워지는 치수로 되어 있다. 홈(64)에 제공되어 있으나 제 5 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정지 돌출부(66)를 수용하기 위해, 리브(68)는 그 내측면에서 리세스를 가지고, 이 리세스와 정지 돌출부(66)가 서로 맞물린다.
리브(70)는 부품(3)의 벽(58)의 측방향으로 대응하는 방법으로 설치되고, 또한 이 리브는 제 5 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정지 돌출부(66)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진다.
절연 하우징(4)의 상기 부분(62,63) 및 리브(68,70)는 접속수단을 형성하고, 이 접속수단과 함께 스트립 접속기가 다수의 절연 하우징(4)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절연 하우징(4)은 먼저 각각이 전체적으로 구성된 다음에 다른 하우징의 내측으로 구동되어서 한 절연 하우징의 부분(62,63)이 이웃한 절연 하우징의 리브(68,70)를 수용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한 절연 하우징(4)은 정지 돌출부(66)가 리세스(69)내에 삽입될 때까지 부분(62,63)이 이웃한 절연 하우징의 리브(68,70)로 위에서부터 밀린다.
절연 하우징(4)의 내부챔버(51)에 위치한 접점(5)은 모양지어진(shaped) 박판금속부(72)이고, 이 부분에 접점 스프링(73)이 위치한다. 라인 도입구멍(22,23,22',23')과 관련하여, 모양지어진 박판금속부(72)는 접점 스프링(73)에 설치된 탄성 태브 또는 돌기(81,82,83,84)와 대응하며 관련된 리세스(75,76,77,78)를 가진다. 접점 스프링(73)은 그 외형이 모양지어진 박판금속부(72)에 적합하게 채용되어 있다. 모양지어진 박판금속부(72)가 필수적으로 평평한 바닥부(86)를 가지고, 상기 바닥부 단부로부터 각각 평평한 레그(87,88)가 상향으로 연장하며 서로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상기 레그(87,88)는 공동 평면에서 서로를 향해 구부러지고,레그(87)에서 시작하는 부분(89)은 대략 중간에서 한번 더 구부러지고, 대응하는 굽힘점에서 바닥부(86)를 향해 연장한다. 레그(88)는바닥부(86)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 위치한 자유단부(91)에서 끝난다. 절연 관통슬릿(92)은 자유단부(91)에 설치되고, 이 슬릿이 절연 관통접속을 통해 라인과 접속한다. 절연 하우징(4)이 장착되면, 자유단부(91)는 부품(2,3)의 벽(57,58) 사이에 배치된다.
레그(88)의 전이부에서, 포켓형 구멍(93)이 모양지어진 박판금속부(72)의 바 닥부(86)에 설치되고, 상기 구멍은 바닥부(86)에 제공된 비드(bead;94)에 의해 형성되고, 바닥부(86)로부터 레그(88)에 이르는 전이부에서 시작한다. 구멍(93)은 스트립(28)의 삽입태브(29)를 수용하는 작용을 한다,
모양지어진 박판금속부(72)의 비드(94) 및 구멍(93)은 접점 스프링(73)의 것 아웃 돌기(cut-out tongue;95')를 위해 할당되어 있고, 상기 돌기는 레그(88)에서 인도하는 것처럼 비드(94)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한다. 돌기(95')는 삽입태브(29)를 구멍(93)속에 넣을 때 이 태브를 가압하여 접점(5)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또한 구멍(95)은 바닥부(86)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제 1 도에 도시된 삽입구멍(96)에 필적한다. 접점 스프링(73)에 제공된 접점태브(97,98)는 구멍(95)과 연관되어 있고, 서로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하며 구멍(95)을 통해 접점(5)에 삽입된 도체를 확고히 클램프하는 작용을 한다,
제 6 도에서, 접속 엘리먼트(la)가 변경된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접속 엘리먼트(la)가 제 1 도에 도시된 접속 엘리먼트(1)에 필적하는 경우에는 동일성 때문에 도면번호 다음에 "a"를 부치고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며 더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설명한 접속 엘리먼트(1)와 구별하자면, 스트립(28a)을 변경한 것에있다. 이 스트립(28a)은 내부에 배치된 접점(5)(제 5 도)과 바닥 삽입구멍(96a)을 경유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스트림(28a)은 그 네크부(31a)에서 구부러지며 네크부(31a)의 부분이 절연 하우징(4a)의 바닥(11a)에 평평하게 놓여지도록 되어 있다. 스트립(28a)의 삽입태브(29a)는 바닥(11a)에 정착해 있는 네크부(31a)로부터 멀리 직각으로 구부러지고, 제 5 도에 도시된 접점 스프링(73)의 접점태브(97,98)에 의해 유지된다. 절연 하우징(4)의 치수결정, 사용 및 실시에 관한 나머지 설명은 접속 엘리먼트(1a)에 동일하게 적용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트립은 슬릿이 아니다. 이러한 실시는 추가의 전도체가 스트립에 접속되지 않는 모든 경우에 무엇보다 바람직하 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립은 전이지점(37)이 네크부(31)를 향해 다소 안쪽으로 또는 후크부(36)를 향해 바깥쪽으로 이동되어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필수적인 것은 전이지점이 결합면(9)이 규정한 평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전이지점은 단부(41)로부터 네크부(31a)의 폭의 최소한절반과 동일한 거리에 있어야 한다.
전도체와 전기 전도성 부품사이의 전기 접속을 만들기 위해 특히 보호 전도체의 접속을 위해, 접속 엘리먼트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지지면 및/또는 다른 부품 유닛에 연결된 라인과의 절연 관통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시 슬릿이 될 수도 있는 스트립을 가지도록 제공되었다. 이 스트립은 그 자유단부에서 어떤 각도로 구부러지고, 절연 하우징에 확고히 연결되며, 하우징은 전기 전도체를 접속하기 위한접점수단을 포함한다. 접속 엘리먼트가 지지면에 장착될 때, 스트립은 미리 제작된 구멍에 후크 모양으로 배치되고 절연 하우징에 압력을 가하여 레버 작용을 거쳐 구멍 속에 억지 끼워맞춤(press fit)으로 삽입된다. 금속 지지면은 이에 의해 접촉이 이루어진다. 비금속 지지면은 라인을 위한 접촉부(abutment)를 형성하고 이 접촉부를 경유하여 다른 부품들이 접속된다.
자유단부가 구부러져 후크부를 형성하는 스트립은 그 폭 및 강도에 관하여, 레버를 형성하여서 지지면에 설치된 구멍 속에 스트립을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지면과 뒤에서 결합하는 후크부는 지지면에 설치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서 스트립을 선회시킬 때 지지면의 후방면을 가압한다. 스트립이 그 자유단부로서 즉 후크부로서 지지면의 후방면에 정착하게 되면, 대응하는 접점지점은 피봇축을 만들고 이 피봇축에 대해 스트립은 여기에 연결된 하우징과 함께 지지면에서 피봇운동하게 된다. 네크부와 후크부 사이의 간격은 비교적 작은 반면에, 레버는 전체적으로 비교적 길다. 레버는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며 이 스트립을 보유하는 하우징에 의해 더욱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레버비는 힘의 증폭에 중요한 일을 한다. 이것은 접속 엘리먼트가 지지면에서 공구 또는 다른 도움을 받지 않고 배치될 수 있으므로 스트립이 구멍의 계획된 위치에 그 네크부로서 정착하게 된다. 일단 후크부가 구멍에 걸리고, 하우징이 지지면에 대해 선회되었으면, 네크부는 비교적 과대한 치수라고 하더라도 용이하게 구멍 속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금속박판의 형태로 된 지지면과 신뢰성 있는 전기 접점이 만들어져 있음이 보장된다. 페인트 층 또는 산화층은 용이하게 관통된다. 지지면을 접속하는데 나사, 리벳 등과 같은 추가의 부착수단 또는 추가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스트립은 부품을 타출 및 굴곡성형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네크부 및 후크부는 각각 필수적으로 박판 금속 스트립의 직선형부분이 될 것이다. 이들 부분은 서로에 대해 적어도 90 도의 각도로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네크부와 후크부 사이에서 최대한 90도를 이룬다. 이러한 바람직한 예각은 하우징이 지지면에 결합면으로 정착하기 전에 스트립이 그 자유단부로서 또는 다른 말로 하면 그 후크부로서 지지면의 후방면에 정착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것은 네크부가 레버 작용으로서 구멍 속에 끌려 들어갈 것이며, 또 후크부는 접속 엘리먼트가 설치되면 그 끝이 지지면에 정착할 것이라는 것을 보장한다.
스트립에 의해, 지지면 자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네크부는 구멍으로 압입되어 억지 끼워맞춤으로 이 구멍에 보유된다. 이것은 네크부의 단면을 그 윤곽이 구멍의 에지로 끼어 들어가도록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네크부는 구멍의 벽으로 끼어 들어가는 에지를 가진다. 따라서 안전한 전기 접속이 달성된다.
만일 후크부가 네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예각을 이루면, 스트립이 구멍 속에 삽입될 때 필요에 따라 다소 구부러질 수 있어서 벽 두께가 다른 지지면에 적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구멍에 삽입하였을 때 스트림의 굽힘을 회피하고자 하면, 또 스트립이 그 후크부로서 지지수단에 대해 가능한 평평하게 정착시키고자 계획하면, 그때 후크부는 하우징의 결합면이 규정한 평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그 자유단부로서 배치된다. 이러한 거리는 접속 엘리먼트가 장착될 예정인 지지면의 벽 두께만큼 최대한 크다.
후크부는 네크부의 폭이 후크부의 폭보다 크면 구멍 속에 용이하게 도입될 수 있다. 후크부의 길이는 네크부의 폭의 절반을 초과하여야 한다. 이런 경우에 스트립은 레버 작용으로서 원형 구멍내에 삽입될 수 있고, 이것은 구멍이 특별한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트립이 포크형이면, 다양한 디자인이 얻어지므로 후크부 및 네크부가 한 에지에서 개방된 하나의 연속 슬릿을 가지며, 이 슬릿은 라인과 SBIP 접속을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슬릿은 후크부의 영역에서 보다 네크부의 영역에서 더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지지면과는 무관하게 다른 엘리먼트에 접속된 전도체에 접속할 수 있도록 만든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예를 들어 독립적으로 절연방식으로 장착되며 또한 접지되어야만 하는 전기장치 또는 부품 유닛에 설치된 부품일 수도 있다. 따라서 전기 절연성 지지면이 접속 엘리먼트에 설치될 수 있고 또 필요한 접촉이 슬릿에 삽입된 전도체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전도체와 스트립 사이의 절연 관통 접속은, 후크부를 거쳐 지지부품에 걸린 스트립의 레버 작용에 의하여 스트립이 지지부품의 구멍 속에 삽입되면 만들어진다. 이것은 공구의 도움없이 작은 힘만으로 그래서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라인이 삽입되기 전에 절연이 벗겨져 있거나 그렇지 않던가 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또한 양쪽에서 다른 접속을 인도하는 연속라인도 연결될 수 있다. 필요하면, 복수의 라인도 접속할 수 있다.
나중에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멍 속에 스트립을 특히 강하게 정착시키는 것은 네크부가 결합면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필수적으로 위치한 결합 숄더를가짐으로써 달성된다. 한쪽에서 스트립이 그 결합 숄더로서 지지면에 정착하는 반면에 다른 쪽에서는 후크부로서 지지면에 정착하게 된다.
하우징을 선회운동으로서 지지면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는 부착수단은 예를 들어 하우징의 결합면에 배치된 정지 몸체이다, 상기 정지 몸체는 지지면에 설치된 대응구멍과 맞물리지 않는 한 스트립을 구멍 속에 삽입하는데 필요한 선회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 하우징을 지지면에 부착하기 위한 어떤 종류의 추가의 하우징 운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원리적으로 나사, 클램핑 브래킷(clamping bracket) 등과 같은 어떤 다른 연결장치도 부착수단으로서 가능하다.
하우징은 적극적으로 함께 결합된 2개의 하우징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극적 접속(positive connection)은 스냅인(snap-in) 또는 정지(detent)접속이고, 이것은 특히 조립공정을 간단하게 만든다. 그러나, 다른 방식의 접속도 가능하다.
접속 엘리먼트는 하우징이 다른 유사한 하우징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수단을 가지며 전위차가 다른 별개의 부품을 접속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연결수단은 바람직하게도 적극적 결합(positive engagement)을 형성한다. 접속 엘리먼트는 보호 전도체, 위상 라인, 중립 라인, 필요시에 다른 라인을 적용가능한 전기장치에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개별 하우징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연결수단은 예를 들어 하우징에 형성된 홈이고 또 이 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정지수단에 설치된 대응 리브이다. 따라서 하우징은 리브를 대응하는 홈에 도입하여 가능한 정지위치로 밀어 넣음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스트립 및 하우징에 배치된 접점수단을 접속하기 위해 특히 용이하게 조절하는 방법은, 접점수단이 탄성 클램핑 단자를 가지고, 이 단자가 접점몸체가 접속 축을 거쳐 하우징에 삽입될 때 접점몸체에 설치된 접속 축을 유지하며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달성된다. 상기 탄성 클랭핑 단자는 적절한 접점태브를 접점수단으로부터 간단히 절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향한 2개의 접점태브는 스트립의 자유단부 사이에 삽입된 스트립의 축을 확고히 클램프할 수 있다.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른 모양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제 1 도는 접속 엘리먼트의 기본 구조의 사시도.
제 2 도는 스트립이 지지면의 구멍내에 걸려있는 접속 엘리먼트의 부분단면 측면도.
제 3 도는 지지면에 최종 장착된 상태에 있는 제 1 도 및 제 2 도의 접속 엘리먼트의 부분 단면 측면도.
제 4도는 추가로 접속된 한 라인을 가지며 또한 다른 접속 엘리먼트와 연관된 제 1 도 내지 제 3 도의 접속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부분단면 측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접속 엘리먼트의 분해상세도.
제 6 도는 접속 엘리먼트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a : 접속 엘리먼트 4,4a : 절연 하우징
5 :접점 7 : 지지면
9 : 결합면 12 : 부착수단
28,28a : 스트립 29 : 삽입태브
31,3la : 네크부 32,33 : 숄더
34 : 굽힘선(주름선) 후크부
42 : 슬릿 45 : 구멍
48 : 레버 64,65 : 홈
68,70 : 리브

Claims (16)

  1. 전도체(43)와 전기 전도성 장치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특히 선택적인 접지용 보호 전도체를 위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 접속 엘리먼트(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엘리먼트는,
    필수적으로 평판형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장치상의 지지면(7)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필수적으로 평평한 결합면(9)과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는 절연체의 하우징(4)과;
    상기 장치에 의해 운반되며 상기 장치를 지지면(7)에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수단(12)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 라인에 접속하기 위해 하우징(4)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점 엘리먼트(5)와;
    상기 접점 엘리먼트(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또한 스트립을 네크부(31)와 후크부(36)로 분리하는 굽힘선 또는 주름선(34)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 스트립(28)을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네크부(31) 및 후크부(36)는 절연 하우징(4)과 함께 레버(48)를 형성하고, 이 레버에서 후크부(36)가 구멍(45)을 통해 삽입되면 지지면(7) 아래를 지나며 그 아래에 배치되고 또 지지면(7)과 결합하며 이 지지면(7)에 의해 지탱되고 네크부(31)의 적어도 일부분이 레버 작용에 의해 구멍(45)을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31)는 절연 하우징(4)의 결합면(9)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대해 필수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며 또 상기 평면을 따라 외부로 연장하고, 상기 후크부(36)는 네크부(31)에 대해 예각으로 위치하며 또 절연 하우징(4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굽힘선 또는 주름선(34)은 절연 하우징(4a)으로부터 평면의 다른 측면에 배치되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31) 및 후크부(36)는 각각 금속 스트립(28)의 필수적으로 직선형 부분인 전기 접속 엘리먼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31)는 단면의 윤곽이 상기 지지면(7)의 평판형 영역에 제공된 구멍(45)의 에지로 끼어 들어가는 단면을 가지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36)는 절연 하우징(4)의 결합면(9)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서 일정한 거리 즉, 상기 전기 접속 엘리먼트(1)가 위치하게 될 지지면(7)의 최대한 벽두께만큼 큰 거리에서 그 자유단부(41)로서 배치되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31)의 폭은 후크부(36)의 폭보다 큰 전기 접속 엘리먼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36)는 상기 네크부(31)의 폭의 절반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28)은 포크형이어서 상기 후크부(36)가 그 자유단부(4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는 슬릿(42)을 가지며, 상기 슬릿은 적어도 상기 네크부(31)만큼 멀리 연장하며 상기 전도체의 삽입 및 유지를 위한 슬릿 블레이드 접속을 형성하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28)의 네크부(31)는 결합면(9)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숄더(32,33)를 가지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12)은 절연 하우징(4)을 상기 평판형 영역으로 선회운동을 하며 이동되어서 평판형 영역에 부착되도록 허용하는 그러한 모양을 가지는 전기 접속 멜리먼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12)은 절연 하우징(4)의 결합면(9)에 위치하며 또한 지지면(7)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구멍(46)에 형성된 스냅인 접속(formed snap-inconnection)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를 가지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4)은 적극적 결합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는 절연된 2개의 하우징 부품을 가지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4)은 다른 유사한 절연 하우징(4)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수단(62,63; 68,70)을 가지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4)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62,63; 68.70)은 절연하우징(4)에 형성된 홈(64,65)과 이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인접한 절연 하우징(4a)의 리브(68,70)를 가지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4)에 형성된 홈(64,65) 및 리브(68,70)는 각각 서로 결합하는 돌출부-리세스 수단(66,69)을 갖추고 있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수단(5)은 스트립(28)이 삽입태브(29)를 거쳐 절연 하우징(4)내에삽입될 때 스트립(28)에 설치된 삽입태브(29)를 지지하며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탄성 클램핑 단자(72,73)를 가지는 전기 접속 엘리먼트.
KR1019960008686A 1995-03-30 1996-03-28 전기접속엘리먼트 KR100368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11655A DE19511655A1 (de) 1995-03-30 1995-03-30 Anschlußelement für elektrische Geräte
DE19511655.0 1995-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201A KR960036201A (ko) 1996-10-28
KR100368673B1 true KR100368673B1 (ko) 2003-04-10

Family

ID=775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686A KR100368673B1 (ko) 1995-03-30 1996-03-28 전기접속엘리먼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700159A (ko)
EP (1) EP0735615B1 (ko)
JP (1) JP3935990B2 (ko)
KR (1) KR100368673B1 (ko)
CN (1) CN1071945C (ko)
AT (1) ATE219864T1 (ko)
AU (1) AU678931B2 (ko)
DE (2) DE19511655A1 (ko)
ES (1) ES2174988T3 (ko)
HK (1) HK1012787A1 (ko)
RU (1) RU2154327C2 (ko)
SG (1) SG38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7998B1 (en) * 1998-03-05 2003-01-21 Tektronix, Inc. Method of mounting an electrical receptacle on a substrate
US6560102B1 (en) 2000-10-23 2003-05-06 Belkin Components Universal serial bus docking station
US6141221A (en) * 1999-08-03 2000-10-31 Belkin Components Universal serial bus docking station
ES2159247B1 (es) * 1999-08-13 2002-04-01 Tecnica De Conexiones S A Borne con contacto de tierra integrado para luminarias.
JP3754243B2 (ja) * 1999-08-25 2006-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固定構造
DE10140737C1 (de) * 2001-08-20 2003-03-20 Siemens Ag Tragbares Telefon mit einer Blechlasche zur Verbindung von Gehäuseoberschale und Gehäuseunterschale
US7167372B2 (en) * 2003-08-26 2007-01-23 Belkin Corporation Universal serial bus hu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DE10305647B4 (de) * 2003-02-12 2004-12-30 Vossloh-Schwabe Gmbh Fassung für ein elektrisches Betriebsmittel
US7329152B2 (en) 2003-08-26 2008-02-12 Belkin International, Inc. Universal serial bus hu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014170B2 (en) 2003-08-26 2011-09-06 Belkin International, Inc. Cabl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of cable management
US7104838B1 (en) * 2005-03-07 2006-09-1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attachment
US7806723B2 (en) 2007-01-05 2010-10-05 Belkin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grommet device
US7381095B2 (en) 2005-06-20 2008-06-03 Belkin International, Inc. Multi-standard connection hu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TR200502815A2 (tr) 2005-07-19 2007-10-22 Odesa Gel��T�R�Lm�� Pol�Mer Yatirimlari Ve Di� T�Caret A.�. Katlanabilir kasalar için kilit sistemi.
DE112006001901T5 (de) 2005-07-19 2008-11-06 Odesa Gelistirilmis Polimer Yatirimlari Ve Dis Ticaret A.S.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zusammenklappbare Kiste
DE212006000049U1 (de) 2005-07-19 2008-10-16 Odesa Gelistirilmis Polimer Yatirimlari Ve Dis Ticaret A.S.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zusammenklappbare Kiste
DE102007051900B4 (de) 2007-10-29 2009-09-1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anschluss
DE102007054678B3 (de) 2007-11-14 2009-04-0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Verfahren zur Erkennung von Störquellen für Automatisierungseinrichtungen und Störquellenerkennungseinheit hierzu
DE202009012913U1 (de) * 2009-09-25 2009-12-1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Zugentlastungseinheit
DE102010015782A1 (de) * 2010-04-20 2011-10-20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Wärmetauscherrohr
CN102904130B (zh) * 2012-09-20 2016-06-15 东莞宇球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连接件结构
DE102014105725A1 (de) * 2014-04-23 2015-10-2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s Gerät und Leiteranschlussklemme sowie Sockelteil hierzu
CN107906089A (zh) * 2017-10-29 2018-04-13 刘正南 一种电气设备的安装结构
DE102018102699A1 (de) * 2018-02-07 2019-08-0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baustein zum Anschließen eines elektrischen Leiters sowie Einrichtung mit einem externen Stromschienenstück und einem Anschlussbaustein
LU101419B1 (de) 2019-09-27 2021-03-31 Phoenix Contact Gmbh & Co Verriegelbares Anschlussmodul
DE102020207645A1 (de) * 2020-06-19 2021-12-23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spezifisch im Maschinenraum montierten Elektronikmodul, sowie Montage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8422C (ko) *
DE1238086B (de) * 1963-10-28 1967-04-06 Cornell Paul A Elektrische Verbindungsklemme
US3289145A (en) * 1964-04-09 1966-11-29 Elco Corp Appliance connector
GB1294828A (ko) * 1971-05-28 1972-11-01
DD98422A1 (ko) * 1972-03-02 1973-06-12
DE2715861C3 (de) * 1977-04-09 1980-04-24 Ellenberger & Poensgen Gmbh, 8503 Altdorf Klemmbrett für die Halterung nebeneinander aufgereihter elektrischer Installationsgeräte
US4186981A (en) * 1978-08-04 1980-02-05 Eaton Corporation Grounding device
FR2524721A1 (fr) * 1982-03-30 1983-10-07 Itw De France Bornier de raccordement pour fils electriques
DE3813895C2 (de) * 1987-12-21 1994-06-09 Wago Verwaltungs Gmbh Anschluß- und/oder Verbindungsklemme mit einem Schutzleiter-Anschlußverbinder
DE8801623U1 (ko) * 1988-02-09 1988-04-07 Broekelmann, Jaeger & Busse Gmbh & Co, 5760 Arnsberg, De
DE8902163U1 (ko) * 1989-02-23 1989-05-11 Fraenkische Leuchten Gmbh, 8729 Koenigsberg, De
US5148353A (en) * 1990-06-29 1992-09-15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Mounting system for installation of communication boxes having a convex bottom post and a rigid top post
FR2664753B1 (fr) * 1990-07-13 1993-08-06 Peugeot Dispositif de connexion rapide pour une borne de batterie.
DE9111298U1 (ko) * 1991-09-11 1992-01-09 Adam Opel Ag, 6090 Ruesselsheim, De
DE4312777C2 (de) * 1993-04-20 1995-10-19 Vossloh Schwabe Gmbh Leitungsverlegewerkzeug
DE4312781C2 (de) * 1993-04-20 1995-10-19 Vossloh Schwabe Gmbh Anschlußelement für wenigstens ein elektrisches Betriebs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35615B1 (de) 2002-06-26
CN1138223A (zh) 1996-12-18
ATE219864T1 (de) 2002-07-15
ES2174988T3 (es) 2002-11-16
DE59609381D1 (de) 2002-08-01
JPH08273714A (ja) 1996-10-18
HK1012787A1 (en) 1999-08-06
JP3935990B2 (ja) 2007-06-27
AU678931B2 (en) 1997-06-12
US5700159A (en) 1997-12-23
EP0735615A3 (de) 1998-02-04
EP0735615A2 (de) 1996-10-02
SG38952A1 (en) 1997-04-17
KR960036201A (ko) 1996-10-28
DE19511655A1 (de) 1996-10-02
RU2154327C2 (ru) 2000-08-10
CN1071945C (zh) 2001-09-26
AU5041596A (en) 199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673B1 (ko) 전기접속엘리먼트
US7147492B2 (en) Terminal block
EP0112713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7318732B2 (en) Wide safety strap for electrical fixtures
US4072387A (en) Multiple conductor connector unit and cable assembly
US4728295A (en) Connector block for electrical devices
CN111937246B (zh) 用于将电线的屏蔽导体连接接地区段的连接装置
KR20000005768A (ko) 평탄한가요성회로를개별전기단자에접속하기위한전기커넥터조립체
US6216320B1 (en) Cable holding arrangement
US6739903B1 (en) Connector structure
EP0634812B1 (en) Wire connecting apparatus and terminal therefor
HU218123B (hu) Csavarkötésmentes villamos csatlakozóeszköz
US5879167A (en) Contact element for anticipatory earthing
US10720717B2 (en) Conductive terminal and connector
EP1929586B1 (en) Contact with latch release
CN116454667B (zh) 单边接触连接器组件
CN113036465B (zh) 用于接触电线的屏蔽导体的接触装置
CN215379685U (zh) 具有屏蔽片的插式连接器组件
JPH07142104A (ja) 器具用アース端子装置
CN115868087A (zh) 接线装置、母线接线配置和电子设备
EP0961354B1 (en) A terminal connection comprising a U-shaped spring
EP0344953A1 (en) Electrical connector support
JPH059909B2 (ko)
JPH11514138A (ja) 接続ケーブルを備えたプラグコネクタ
JPH0670181U (ja) 電装ユニット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