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174B1 -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는 가열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는 가열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174B1
KR100366174B1 KR1019990019374A KR19990019374A KR100366174B1 KR 100366174 B1 KR100366174 B1 KR 100366174B1 KR 1019990019374 A KR1019990019374 A KR 1019990019374A KR 19990019374 A KR19990019374 A KR 19990019374A KR 100366174 B1 KR100366174 B1 KR 100366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turntable
heating
temperature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8629A (ko
Inventor
다이노가즈오
노다마사루
다나까가즈꼬
고니시찌즈꼬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946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89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927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37074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88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 H05B6/645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the sensors bein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Abstract

가열 조리 장치(100)에 있어서, 가열실(17) 내의 식품을 턴테이블(18) 상에 얹어 놓는다. 그리고, 적외선 검지 수단(1)에 의해 식품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이 검지된다. 가열 조리 장치(100)에서는, 턴테이블(18)이 1주하는 기간에 걸쳐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대해, 극대치의 수가 구해진다. 또한, 상기 극대치의 수에 기초하여 식품의 수량이 결정된다. 그리고, 제어 수단(90)은 결정된 식품의 수량에 기초하여 가열 수단(22)을 구동한다.

Description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는 가열 조리 장치{HEATING COOKE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FOOD BY MEANS OF INFRARED-RAY SENSOR}
본 발명은, 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턴테이블 상에 놓인 식품의 온도를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검지하는 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열 조리 장치의 제1 종래예로서,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는 전자 레인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전자 레인지에서는, 회전하는 턴테이블 상에 식품을 얹어 놓고, 적외선 센서는 그 시야(적외선 센서가 적외선을 검지할 수 있는 영역) 내에서 상기 식품이 방사하는 적외선을 검지한다. 그리고,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온도가 검지되고 이 식품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식품의 완성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식품의 가열이 행해진다.
이러한 전자 레인지에 있어서는, 턴테이블 상에 놓여지는 식품의 수량에 따라서, 턴테이블 상의 식품의 배치가 변한다. 이에 따라, 식품중 적외선 센서의 시야에 들어 가는 부분이 다르다. 식품의 적외선 센서의 시야에 들어 가는 부분이 다르면, 식품이 동일한 상태에 있어도, 검지되는 적외선에 기초한 식품에 대한 검지 온도가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식품으로서, 술이 들어있는,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또한 높이가있는 술병(호리병 모양의 술병)을 가열하는 경우에 대해 생각한다.
통상, 식품의 수량이 1이라면, 즉 턴테이블 상에 놓인 술병이 1병이라면, 술병이 턴테이블의 중앙에 놓인 경우, 턴테이블이 회전하더라도 술병 속의, 적외선 센서의 시야에 들어 가는 부분은 일정해진다. 따라서, 술병(식품)이 동일한 상태에 있다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검지되는 온도도 동일하다.
그러나, 식품의 수량이 복수인 경우, 즉, 술병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술병 속의, 적외선 센서의 시야에 들어 가는 부분이 변화한다. 상세하게는, 술병중 적외선 센서의 시야에 들어 가는 부분이, 대류 등에 의해 온도 상승이 빠른 술병의 오목 부분이 되거나, 온도 상승이 느린 하측 부분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식품에 대한 검지 온도에 불균일이 생기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레인지에서는, 식품의 수량이 증가하면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수량이 1인 경우에 적외선 센서의 시야에 들어 가는 부분보다도, 온도 상승이 빠른 부분이 적외선 센서의 시야에 들어 가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식품의 검지 온도는 동일한 상태에 있는 식품의 수량이 1인 경우와 비교하여, 외관상 높아지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레인지에서는, 식품의 검지 온도가, 일단 완성 온도에 도달하면 가열이 정지된다. 이 점으로부터, 전자 레인지에 있어서 식품의 수량이 커질 경우에는, 식품의 수량이 1인 경우보다도 식품의 검지 온도가 높아지는 순간이 있기 때문에, 동일한 완성 온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실제의 완성 온도가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식품의 수량을 검지하여 식품의 수량에 따라 식품의 검지 온도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가열 조리 장치의 제2 종래예로서, 적외선 센서의 검지와 무관하게 설정된 조리 메뉴에 따라서 가열 시간을 결정하는 전자 레인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전자 레인지에서도, 식품의 수량이 증가하면 식품이 가열되기 어렵게 되고, 식품의 실제의 완성 온도가 변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이러한 타입의 전자 레인지에 있어서도, 제1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식품의 수량을 검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가열 조리 장치의 제3 종래예로서, 식품의 수량을 검지하기 위해서, 중량 센서를 구비한 전자 레인지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중량 센서를 이용하면, 용기의 중량이 식품의 중량에 포함되기 때문에, 사용하는 용기에 따라서는, 식품의 수량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제1 종래예의 전자 레인지에서는, 식품의 수량이 동일하더라도, 식품을 턴테이블의 중앙에 놓든, 코너에 놓든지에 따라, 식품중 적외선 센서의 시야에 들어 가는 부분이 다르다.
예를 들면, 식품이 적외선 센서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든지 또는 먼 위치에 존재하든지에 따라, 적외선 센서의 시야에 들어 가는 식품의 비율 및 높이 방향의 위치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열의 대류 때문에, 식품이 높은 부분 쪽이, 낮은 부분보다도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식품이 적외선 센서로부터 먼 곳에 존재하는 등 시야에 들어 가는 비율이 적을 때보다, 식품이 적외선 센서에 가깝게존재하는 등 시야에 들어 가는 비율이 큰 쪽이, 동일한 상태라 하더라도 식품의 검지 온도가 높아진다.
즉, 상기한 제1 종래예에서는, 식품이 턴테이블 상에 놓인 위치에 따라, 식품이 동일한 상태라도, 그 검지 온도가 다른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식품에 대해 설정되는 완성 온도가 동일하여도, 식품의 턴테이블 상에 놓인 위치에 따라, 실제의 완성 온도가 다르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에 감안하여 생각해 낸 것으로, 그 목적의 하나는, 가열되는 식품의 수량에 상관 없이, 일정한 완성 온도를 실현하는 가열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열되는 식품이 놓여 있는 위치에 상관 없이, 일정한 완성 온도를 실현하는 가열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르면, 가열 조리 장치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가열실, 가열 수단, 식품을 얹어 놓고 소정의 주기로 회전하는 턴테이블, 가열실 내에서 식품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지하는 적외선 검지 수단, 및 소정의 주기에 걸쳐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대한 극치의 수에 기초하여 식품의 수량을 결정하고, 또한 결정된 식품의 수량에 기초하여 가열 수단을 구동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열 조리 장치에 의하면, 제어 수단에 의해, 소정의 주기에 걸쳐 적외선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대한 극치의 수로부터, 턴테이블상의 식품의 수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결정된 식품의 수량에 기초하여 가열 수단이 구동된다.
따라서, 가열 조리 장치에 있어서, 용기의 중량에 상관 없이, 식품의 수량을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의 검지 온도나 가열 시간에 대해, 식품의 수량에 따른 보정을 행할 수 있어, 가열되는 식품의 완성 온도를 식품의 수량에 관계 없이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결정된 식품의 수량이 많아질수록 높은 설정 온도를 결정하고,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기초하여 식품의 온도를 결정하며, 또한, 결정한 식품의 온도가 설정 온도가 될 때까지 식품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식품의 수량이 많을수록, 제어 수단이 결정하는 식품의 온도가 높아질 때까지 식품의 가열이 행해진다.
따라서, 적외선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적외선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식품의 온도에 대해, 식품의 수량에 따라 보정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결정된 식품의 수량이 많아질수록 긴 설정 시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설정 시간만큼 식품을 가열하도록 가열 수단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식품의 수량이 많을수록, 긴 시간동안 가열이 행해진다.
따라서, 식품의 수량에 따라 가열 시간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별도의 국면에 따르면, 가열 조리 장치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가열실, 가열 수단, 식품을 얹어 놓고 소정의 주기로 회전하는 턴테이블, 가열실 내에서 식품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지하는 적외선 검지 수단, 및 소정의 주기에 걸쳐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극치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식품의 턴테이블 상의 얹어 놓는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결정된 식품의 놓인 위치에 기초하여 가열 수단을 구동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열 조리 장치에 의하면, 적외선 검지 수단이 검지한 적외선에 기초하여 식품이 턴테이블 상에 놓이는 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가열 수단은 상기 결정된 식품의 놓인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따라서, 식품의 검지 온도나 가열 시간에 대해, 식품이 턴테이블 상에 놓이는 위치에 따라 보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되는 식품의 완성 온도를 식품이 턴테이블 상에 놓이는 위치에 상관 없이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적외선의 양에 극치가 있는 경우, 극치 부근의 적외선의 양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식품이 턴테이블 상에 놓이는 위치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턴테이블 상에 식품이 놓이는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적외선의 양에 대한, 극치 부근의 변화율이 소정값 이하이면, 식품이 턴테이블의 중앙에 놓여져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식품이 턴테이블의 거의 중앙에 놓여지고 중앙에 놓여져 있는 것으로서 취급하여도 문제 없다고 생각되는 경우 등에는 중앙에 놓여져 있다고 간주된다.
따라서, 가열 조리 장치에 있어서의 가열 제어를 보다 간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결정된 식품의 놓인 위치와 턴테이블의 중앙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 설정 온도를 결정하고, 검지된 적외선에 기초하여 식품의 온도를 결정하며, 또한, 결정한 식품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될 때까지, 식품을 가열하도록 가열 수단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적외선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적외선으로부터 결정되는 식품의 온도에 대해, 식품의 턴테이블 상에 놓인 위치에 따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결정된 식품의 놓인 위치와 턴테이블의 중앙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 설정 시간을 결정하고, 또한, 설정 시간 식품을 가열하도록 가열 수단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가열 시간에 대해, 턴테이블 상의 식품의 놓인 위치에 따른 보정을 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 레인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자 레인지의 내부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자 레인지의 주요한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도 1의 전자 레인지의 턴테이블의 중앙에 1개의 식품이 놓여진 경우, 가열 시간에 대한 검지 온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전자 레인지의 턴테이블 상에 복수의 식품이 놓인 경우, 가열 시간에 대한 검지 온도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도 9는 도 1의 전자 레인지의 턴테이블 상에 놓인 2개의 식품을, 적외선 센서의 시야와 동시에 나타낸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1의 전자 레인지의 턴테이블 상에 복수의 식품이 놓인 경우, 턴테이블의 회전 주기 T 사이의 검지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의 전자 레인지에 있어서, 조리 메뉴에 의한 가열이 행해질 때의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제어부의 동작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의 전자 레인지의 턴테이블의 코너에 식품이 놓인 경우, 가열 시간에 대한 검지 온도를 나타낸 도면.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의 전자 레인지의 턴테이블의 코너에 놓인 식품을, 적외선 센서의 시야와 동시에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의 코너에 식품이 놓인 경우, 턴테이블의 회전 주기 T 사이의 검지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9 내지 도 22는 도 1의 전자 레인지의 턴테이블의 코너에 얹어 놓은 식품을, 적외선 센서의 시야와 동시에 나타낸 도면.
도 23은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의 코너에 식품이 놓인 경우, 턴테이블의 회전 주기 T 사이의 검지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도 1의 전자 레인지에 있어서, 조리 메뉴에 의한 가열이 행해질 때의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외선 센서
3 : 표시부
17 : 가열실
18 : 턴테이블
19 : 검지 구멍
22 : 마그네트론
33 : 고압 트랜스
34 : 조작 패널
90 : 조작부
100 : 전자 레인지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 레인지(1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전자 레인지(100)의 내부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 도 1에서는, 전자 레인지(10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그 외곽을 덮는 외장부 및 가열실(17)의 상면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레인지(100)는 가열실(17)의 측방에, 적외선 센서(1)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 센서(1)는 식품(31)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25)을, 검지 구멍(19)을 통해 경사지게 하여 위에서부터 캐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그네트론(22)은, 가열실(17) 내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한다. 마그네트론(22)의 아래에는, 마그네트론(22)에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고압 트랜스(3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열실(17)의 상측에는, 식품(31)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80)가 배치되어 있다. 냉각 팬(35)은 마그네트론(22)이나 히터(80), 혹은 가열실(17)의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그 주변 기기(적외선 센서 1을 포함한다)를 냉각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가열실(17)의 정면에는, 도어(15)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그 측방에는, 사용자가 조리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 패널(34)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레인지(100)의 각 기기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90)가, 조작 패널(34)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어부(90)는 마이크로 컴퓨터(마이컴)를 포함한다. 또한, 조작 패널(34)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3)를 구비하고 있다.
가열실(17)의 저면에는, 식품(31)을 얹어 놓기 위한 턴테이블(18)이 구비되고, 가열실(17)의 저면 아래쪽에는, 턴테이블(18)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 모터(505)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전자 레인지(100)의 주요한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자 레인지(100)는 적외선 센서(1), 턴테이블 모터(505), 마그네트론(22), 조작 패널(34), 히터(80) 및 제어부(90)를 구비한다.
전자 레인지(100)에서는, 적외선 센서(1)가 식품(31)이 방사하는 적외선을 검지한다. 그리고, 제어부(90)는 적외선 센서(1)가 검출한 적외선의 양에 기초하여 식품(31)의 온도를 결정한다.
여기서, 적외선 센서(1)가 검출한 적외선의 양에 기초하여 제어부(90)가 결정하는 식품(31)의 온도(이하, 검지 온도라 한다)가, 가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턴테이블(18)의 중앙에, 1개의 식품이 놓여져 있는 경우, 가열 시간의 경과에 따른 검지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 1개의 식품이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18) 상에 있는 하나의 컵에 들어 있는 우유이다. 또한, 1개의 식품의 별도의 예로서는, 하나의 술병에 들어 간 술이나, 하나의 밥공기에 들어 간 밥을 예로 들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가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검지 온도는 거의 같은 정도로 상승하고 있다. 이것은, 이러한 경우에 턴테이블(18)이 회전하더라도, 식품(31)과 적외선 센서(1)의 상대 위치가 그다지 변화하지 않고, 적외선 센서(1)에 의해 적외선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하, 적외선 센서(1)의 시야라 함] 안에 있는 식품(31)의 표면적 및 시야에 들어 가는 높이 방향의 위치가 그다지 변화하지 않기때문이다. 또, 적외선 센서(1)의 시야란, 바꿔 말하면, 적외선 센서(1)를 정점으로 하여 검지 구멍(19)을 포함하는 방추 형태의 내부의 영역으로서, 가열실(17)의 내부에 있는 영역이다.
1. 턴테이블 상의 식품의 수량에 따른 가열 제어
다음에, 도 5에, 턴테이블(18) 상에 복수의 식품이 놓여져 있는 경우, 가열 시간의 경과에 따른 검지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여, 가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검지 온도가 우선 상승한 후, 일정한 주기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전체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이는, 이 경우 턴테이블(18)이 1회전하는 동안 적외선 센서(1)의 시야 내에 있는 식품의 표면적 및 시야에 들어 가는 높이 방향의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턴테이블(18)이 1회전하는 동안, 적외선 센서(1)의 시야 내에 있는 식품의 표면적 및 높이 방향의 위치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턴테이블(18) 상에 2개의 식품(식품 31A, 식품 31B)이 놓여져 있는 경우에 대해, 도 6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6 내지 도 9는, 가열실(17)의 내부를 위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적외선 센서(1)는 시야(99)를 갖는다. 그리고, 영역(99A)은 시야(99)가 턴테이블(18)에 의해 절취되는 영역이다.
식품(31A), 식품(31B)의 가열실(17) 내에서의 배치 위치는, 턴테이블(18)이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1회전할 때, 도 6 내지 도 9의 순으로 변화한다. 또, 식품은, 일반적으로 안정성 때문에 그 하측만큼 수평 방향의 폭이 넓어진다. 따라서,턴테이블(18)이 1회전하는 동안에, 도 6과 도 8의 상태에서는 시야(99) 내에 있는 식품(31A) 및 식품(31B)의 표면적이 가장 넓으며 또한 높이 방향의 위치가 가장 높고, 또한, 도 7과 도 9의 상태에서는 시야(99) 내에 있는 식품(31A) 및 식품(31B)의 표면적이 가장 좁고 또한 높이 방향의 위치가 가장 낮게 되어 있다.
여기서, 턴테이블(18)이 1회전하는 동안, 식품(31A) 및 식품(31B)의 온도가 변화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턴테이블(18)이 회전하고, 도 6으로부터 도 7로 상태가 변화할 때에는, 시야(99) 내에 있는 식품(31A) 및 식품(31B)의 표면적이 감소 또한 높이 방향의 위치가 낮아진다. 이 점으로부터, 도 6으로부터 도 7로 상태가 변화할 때에는, 적외선 센서(1)로 검지되는 적외선의 양이 감소한다. 또한, 도 7로부터 도 8로 상태가 변화할 때에는, 시야(99) 내에 있는 식품(31A) 및 식품(31B)의 표면적이 증가하고 또한 높이 방향의 위치도 높아지기 때문에, 적외선 센서(1)로 검지되는 적외선의 양이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도 8로부터 도 9로 상태가 변화할 때에는, 적외선 센서(1)로 검지되는 적외선의 양이 감소하고, 도 9로부터 도 6으로 상태가 변화할 때에는, 적외선 센서(1)로 검지되는 적외선의 양이 증가한다. 또, 적외선 센서(1)로 검지되는 적외선의 양이 증가하면 검지 온도는 상승하고, 적외선의 양이 감소하면 검지 온도는 저하한다. 즉, 턴테이블(18) 상에 2개의 식품을 얹어 놓으면, 턴테이블(18)의 회전 주기 T 사이에, 검지 온도는 2개의 극대치(도 6 및 도 8의 상태에 상당)와 2개의 극소치(도 7 및 도 9의 상태에 상당)를 갖도록 변화한다. 그리고, 식품(31A) 및 식품(31B)이 마그네트론(22)에 의해 계속하여 가열되고 있으면, 제어부(90)가 결정하는 식품(31A) 및 식품(31B)의 온도는 극대치와 극소치를 갖도록 변화하면서, 전체적으로는 상승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턴테이블(18) 상에 복수의 식품이 놓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것이다. 또, 특히, 턴테이블(18) 상에 2개의 식품이 놓인 경우, 턴테이블(18)의 회전 주기 T에 걸친 검지 온도의 변화를 도 5로부터 일부분만 확대하여 도 10a에 도시한다. 도 10a에서는, 검지 온도에 대한 최초의 극대치가 도 6의 상태에 최초의 극소치가 도 7의 상태에, 2번째의 극대치가 도 8의 상태에, 2번째의 극소치가 도 9의 상태에, 각각 상당한다.
또한, 턴테이블(18) 상에 3개의 식품을 놓은 경우, 4개의 식품을 놓은 경우에 대해, 각각, 도 10b, 도 10c에, 회전 주기 T에 걸친 검지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식품이 3개이어도 4개이어도, 검지 온도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전체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또, 식품이 3개인 경우에는, 3개의 극대치와 극소치가 있고(도 10b 참조), 식품이 4개인 경우에는, 4개의 극대치와 극소치가 있다(도 10c 참조). 즉, 턴테이블(18) 상에 n개의 식품이 놓인 경우, 검지 온도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전체적으로 상승하고, 또한, 회전 주기 T 사이에, n개의 극대치와 n개의 극소치를 갖도록 변화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100)에 있어서, 제어부(90)는 회전 주기 T 사이의 검지 온도의 극대치 또는 극소치의 수에 기초하여, 턴테이블(18) 상에 놓인 식품의 수를 검지하고 있다.
전자 레인지(100)에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리 메뉴 중에,마그네트론(22)에 의해 가열을 행하는, 「술 데우기 」 메뉴와 「우유 따뜻하게 하기」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90)는 상술된 바와 같이 검지한 식품의 수에 따라서, 양 메뉴에서의, 식품의 설정 온도를 결정하고 있다. 또, 이들 메뉴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 검지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부(90)는 마그네트론(22)에 의한 가열을 정지한다.
이하에, 이들 메뉴에 있어서의 제어부(90)의 동작을,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가열을 개시하라는 지시가 입력되면, 제어부(90)는 우선 S1에서, 고압 트랜스(33)를 통전시키고, 마그네트론(22)에 의한 가열을 개시한다.
다음에, S2에서 턴테이블(18)의 회전 주기 T에 있어서의 검지 온도의 극치(극대치 또는 극소치 중 어느 하나)의 발생 횟수를 검출한다.
그리고, 발생 횟수가 1회 이하이면 식품의 수가 1이라고 하여 S3으로, 2회 이면 식품의 수가 2라고 하여 S4로, 3회이면 식품의 수가 3이라고 하여 S5로, 4회 이상이면 식품의 수가 4 이상이라고 하여 S6으로 각각 진행한다. S3 내지 S6에서는, 설정 온도를 각각 D1 내지 D4에 설정하여 S7로 진행한다. 또, 설정 온도 D1 내지 D4는 D1<D2<D3<D4이다.
S7에서는, 적외선 센서(1)가 검지한 적외선의 양으로부터, 검지 온도를 결정하는 처리를 행하고 S8로 진행한다. 또, S7에 있어서의 검지 온도의 결정은, 적외선 센서(1)가 일정 시간(예를 들면 1초 동안) 검지한 적외선의 양의 평균치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S8에서는, S7에서 결정한 검지 온도가, S3 내지 S6 중 어느 하나에서 설정한설정 온도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설정 온도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S7로 되돌아가고,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S9로 진행한다. 즉, 검지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S7과 S8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S9에서는, 고압 트랜스(33)에서의 통전을 정지시켜 마그네트론(22)에 의한 가열을 정지시킨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론(22)에 의해 가열실 내의 식품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식품(31)을 얹어 놓고 회전 주기 T에서 회전하는 턴테이블(18)에 의해, 식품을 얹어 놓고 소정의 주기로 회전하는 턴테이블이 이루어진다. 또한, 식품(31)이 방사하는 적외선을 캐치하는 적외선 센서(1)에 의해 가열실 내에서 식품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지하는 적외선 검지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각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90)에 의해, 소정의 주기에 걸쳐 검지된 적외선에 대한 극치의 수에 기초하여 식품의 수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식품의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 수단을 구동하는 제어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 제어부(90)는, 도 11에 도시한 각 처리를 실행하고, 또한, 설정 온도 D1 내지 D4는 D1<D2<D3<D4의 관계에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 수단이 결정된 식품의 수량이 많아질수록 높은 설정 온도를 결정하고,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기초하여 식품의 온도를 결정하고, 또한 결정한 식품의 온도가 설정 온도가 될 때까지 식품을 가열하도록 가열 수단을 구동한다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90)는 식품의 수에 따라서, 설정 온도를 대신하여 가열 시간을 결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의 제어부(90)의 처리를 도 12에 도시한다.
우선 SA1에서 S1과 마찬가지로 가열을 개시하고, SA2에서 S2와 마찬가지로 극치의 발생 횟수를 검출한다. 그리고, 극치의 발생 횟수가 1회 이하이면 SA3에서가열 시간을 T1으로, 2회이면 SA4에서 가열 시간을 T2으로, 3회이면 SA5에서 가열 시간을 T3으로, 4회 이상이면 SA6에서 가열 시간을 T4으로 각각 설정하고, SA7로 진행한다. 또, 가열 시간 T1 내지 T4는 T1<T2<T3<T4의 관계에 있다.
SA7에서는, SA1에서 가열을 개시하고 나서, SA3 내지 SA6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 가열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경과하였다고 판단될 때까지 SA7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SA8로 진행한다. SA8에서는 S9와 마찬가지로 가열을 정지시킨다.
이 변형예에 의해, 제어 수단은 결정된 식품의 수량이 많아질수록 긴 설정 시간을 결정하고, 또한 설정 시간만큼 식품을 가열하도록 가열 수단을 구동한다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다. 또, SA3 내지 SA6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가열 시간 T1 내지 T4 중 어느 하나로 설정 시간이 이루어진다.
이상,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어가 행해지면, 전자 레인지(100)에 있어서, 중량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식품(31)의 수량을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31)의 수량을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31)의 수량에 따른 가열 시간이 결정된다. 또, 종래의 전자 레인지에, 식품의 가열의 진행도를 습도 센서로 검지하고, 습도 센서의 출력에 따라서 가열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레인지에서는, 식품의 완성 온도를 식품이 증기를 그다지 발하지 않는 온도로 한 경우, 가열 시간의 설정을 행할 수 없다. 한편, 전자 레인지(100)에 있어서 도 12를 이용한 제어를 행하면, 이러한 경우에도, 식품(31)의 수량에 따라, 결국 바람직한 가열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전자 레인지(100)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어를 행하였을 때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표 1은, 전자 레인지(100)에 있어서의 「술 데우기」(표 1 중「 술」)과 「우유 따뜻하게 하기」(표 1 중「우유」)의 각 자동 메뉴로 가열을 행한 경우의 온도 측정치표이다. 또, 표 1 중에서, 「실시예」란 제어부(90)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한 식품의 수에 따라서 설정 온도를 변경하여 가열을 행한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비교예」란 각각의 자동 메뉴에 대해 전자 레인지(100)의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온도를 식품의 수가 변하더라도 변경하지 않고 가열을 행한 경우를 의미한다. 그리고, 표 1에서는, 전자 레인지(100)에서, 식품의 갯수(술 데우기일 경우 술병의 갯수. 우유 따뜻하게 하기일 경우 컵의 잔수.)를 변경하여 가열을 행한 경우, 각 갯수에서의 실제의 완성 온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1의 각 란에는, 상기 완성 온도의 아래에 설정 온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실제의 완성 온도란 가열 후에 술 또는 우유를 교반하여 측정한 온도이다.
우선, 「술 데우기」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표 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서는, 술이 들어 간 술병이 1병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90)로 검지되는 검지 온도가 45℃가 될 때까지 가열이 행해진다. 또한, 술이 들어 간 술병이 2병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90)로 검지되는 검지 온도가 60℃가 될 때까지 가열이 행해진다. 또한, 술이 들어 간 술병이 3병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90)로 검지되는 검지 온도가 70℃가 될 때까지 가열이 행해진다. 그리고, 술이 들어 간 술병이 4병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90)로 검지되는 검지 온도가 75℃가 될 때까지 가열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열하면, 술의 교반 후의 측정 온도는, 술병 1병의 경우의 측정 온도는 55℃, 술병 2병의 경우의 평균 측정 온도는 53.7℃, 술병 3병의 경우의 평균 측정 온도는 54.9℃, 술병 4병의 경우의 평균 측정 온도는 52.7℃로 되었다.
한편, 비교예에서는, 술병의 갯수에 상관 없이 설정 온도는 항상 45℃이고, 술병 1병의 경우의 측정 온도는 56.1℃, 술병 2병의 경우의 평균치 평균 측정 온도는 46.2℃, 술병 3병의 경우의 평균 측정 온도는 37.9℃, 술병 4병의 경우의 평균 측정 온도는 36.5℃로 되었다. 따라서, 비교예에서는, 술병의 갯수가 증가하더라도 설정 온도가 일정하므로, 술병의 갯수가 증가할수록 실제의 완성 온도는 낮아지게 된다고 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술병의 갯수가 증가하더라도, 자동적으로, 그에 따라서 높은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되므로, 실제의 완성 온도는 술병의 갯수에 따라 별로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술은 술병의 갯수에 상관 없이 항상 알맞은 온도로 따뜻하게 된다.
다음에, 「우유 따뜻하게 하기」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는 우유가 들어 간 컵이 1잔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90)에서 검지되는 검지 온도가 46℃가 될 때까지 가열이 행해진다. 또한, 우유가 들어 간 컵이 2잔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90)로 검지되는 검지 온도가 66℃가 될 때까지 가열이 행해진다. 또한, 우유가 들어 간 컵이 3잔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90)로 검지되는 검지 온도가 75℃가 될 때까지 가열이 행해진다. 그리고, 우유가 들어 간 컵이 4잔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90)로 검지되는 검지 온도가80℃가 될 때까지 가열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열하면, 우유의 교반 후의 측정 온도는, 컵 1잔의 경우의 측정 온도는 56.4℃, 컵 2잔의 경우의 평균 측정 온도는 56.2℃, 컵 3잔의 경우의 평균 측정 온도는 56.0℃, 컵 4잔의 경우의 평균 측정 온도는 56.0℃로 되었다.
한편, 비교예에서는, 컵의 잔수에 상관 없이 설정 온도는 항상 50℃이고, 컵 1잔의 경우의 측정 온도는 63.0℃, 컵 2잔의 경우의 평균 측정 온도는 43.2℃, 컵 3잔의 경우의 평균 측정 온도는 38.1℃, 컵 4잔의 경우의 평균 측정 온도는 31.0℃로 되었다. 따라서, 비교예에서는, 컵의 잔수가 증가하더라도 설정 온도가 일정하므로, 컵의 잔수가 증가할수록 실제의 완성 온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컵의 잔수가 증가하더라도, 자동적으로 그에 따라서 높은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이 행해진다. 따라서, 실제의 완성 온도는 컵의 잔수에 따라 그다지 변화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는, 컵의 잔수에 상관 없이 우유는 항상 알맞은 온도로 따뜻하게 된다.
즉,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100)는 가열되는 식품의 수량에 상관 없이, 식품에 있어서 일정한 완성 온도를 실현할 수 있다.
2. 턴테이블 상의 식품의 배치 위치에 따른 가열 제어
다음에는, 도 13에, 턴테이블(18)의 중앙이 아니라 코너에, 식품(31)이 놓여져 있는 경우 가열 시간의 경과에 따른 검지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여, 가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검지 온도가 우선 상승한 후, 일정한 주기로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전체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이것은, 이러한 경우, 턴테이블(18)이 1회전하는 동안에, 적외선 센서(1)의 시야 내에 있는 식품(31)의 표면적 및 식품(31)의 높이 방향의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턴테이블(18)이 1회전하는 동안의, 적외선 센서(1)의 시야 내에 있는 식품(31)의 표면적 및 식품(31)의 높이 방향의 위치의 변화에 대해, 도 14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14 내지 도 17은 도 6 내지 도 9와 마찬가지로, 가열실(17)의 내부를 위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적외선 센서(1)는 시야(99)를 갖는다. 그리고, 영역(99A)은 시야(99)가 턴테이블(18)에 의해 절취되는 영역이다.
식품(31)의 가열실(17) 내에서의 배치 위치는, 턴테이블(18)이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1회전할 때, 도 14 내지 도 17의 순으로 변화한다. 또, 식품은 일반적으로 안정성의 점에서 그 하측만큼 수평 방향의 폭이 넓어진다. 따라서, 도 14, 도 16 및 도 17의 상태에서는 시야(99) 내에 있는 식품(31)의 표면적 및 식품(31)의 높이 방향의 위치는 거의 동일하지만, 도 15의 상태에서는 시야(99) 내에 있는 식품(31)의 표면적은 다른 상태보다 넓고 또한 식품(31)의 높이 방향의 위치가 높아져 있다.
여기서, 턴테이블(18)이 1회전하는 동안, 식품(31)의 온도가 변화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면, 턴테이블(18)이 회전하여, 도 14로부터 도 15로 상태가 변화할 때에는 시야(99) 내에 있는 식품(31)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높이 방향의 위치가 높아진다. 따라서, 이 경우, 적외선 센서(1)로 검지되는 적외선의 양이 증가한다.또한, 도 15로부터 도 16으로 상태가 변화할 때에는, 시야(99) 내에 있는 식품(31)의 표면적이 감소 높이 방향의 위치가 낮아지기 때문에 적외선 센서(1)로 검지되는 적외선의 양이 감소한다. 또한, 도 16으로부터 도 17로 상태가 변화할 때, 및 도 17로부터 도 14로 상태가 변화할 때에는, 시야(99) 내에 있는 식품(31)의 표면적 및 높이 위치가 크게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적외선 센서(1)로 검지되는 적외선의 양은 크게는 변화하지 않는다.
또, 식품(31)에 대한 검지 온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1)로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기초하여 제어부(90)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적외선 센서(1)로 검지되는 적외선의 양이 증가하면 검지 온도는 상승하고, 적외선의 양이 감소하면 검지 온도는 저하하고, 적외선의 양이 변화하지 않으면 검지 온도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4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18) 상의 중앙이 아니라 코너에 식품(31)이 놓이게 되면, 턴테이블(18)의 회전 주기 T 사이에, 검지 온도는 1개의 극대치(도 15의 상태의 검지 온도에 상당)를 갖도록 변화한다. 또한, 식품(31)이 마그네트론(22)에 의해 계속해서 가열되고 있으면, 제어부(90)가 결정하는 식품(31)의 온도는, 극대치를 갖도록 변화하면서, 전체적으로는 상승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턴테이블(18)의 코너에 식품(31)이 놓인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것이다. 또, 턴테이블(18) 상에, 도 14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식품이 놓인 경우의, 턴테이블(18)의 회전 주기 T에 걸친 검지 온도의 변화를, 도 13으로부터일부분만 확대하여 도 18에 도시한다. 도 18에서는 극대치가 도 15의 상태의 검지 온도에 상당한다.
다음에, 턴테이블(18)의 중앙과 식품(31)의 거리가 변화한 경우의, 검지 온도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2, 및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경우보다도, 식품(31)을 턴테이블(18)의 중앙에 가깝게 하여 놓은 경우, 식품(31)을 적외선 센서(1)의 시야(99)와 동시에 나타낸다.
턴테이블(18)이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1회전할 때, 식품(31)의 가열실(17)에 놓여진 위치는, 도 19 내지 도 22의 순으로 변화한다. 또, 도 19, 도 21 및 도 22의 상태에서는, 시야(99) 내에 있는 식품(31)의 표면적 및 식품(31)의 높이 방향의 위치는 거의 동일하지만, 도 20의 상태에서, 시야(99) 내에 있는 식품(31)의 표면적은 이들보다 넓고 또한 식품(31)의 높이 방향의 위치가 높아진다.
도 19 내지 도 22는, 각각 도 14 내지 도 17에 대응된다. 즉, 도 14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9로부터 도 20으로 상태가 변화할 때에는, 적외선 센서(1)로 검지되는 적외선의 양이 증가한다. 또한, 도 20으로부터 도 21로 상태가 변화할 때에는, 적외선 센서(1)로 검지되는 적외선의 양이 감소한다. 그리고, 도 21로부터 도 22로 상태가 변화할 때, 및 도 22로부터 도 19로 상태가 변화할 때에는, 적외선 센서(1)로 검지되는 적외선의 양은 크게는 변화하지 않는다. 즉,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한 경우에도,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18)의 회전 주기 T 사이에, 검지 온도는 1개의 극대치(도 20의 상태의 검지 온도에 상당)를 갖도록, 또한 전체적으로는 상승하도록 변화한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도 18과 도 23을 비교하면, 도 18보다도 식품(31)이 턴테이블(18)의 중앙에 가까운 경우의 검지 온도를 나타낸 도 23에서, 극대치 부근의 검지 온도의 변화율이 작아져 있다. 따라서, 전자 레인지(100)에서는, 식품(31)이 턴테이블(18)의 중앙에 있지 않고, 검지 온도가 극대치를 갖는 경우, 극대치 부근의 검지 온도의 변화율에 의해, 식품(31)의 턴테이블(18)의 중앙으로부터의 거리를 검지할 수 있다.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100)에서는, 식품(31)이 턴테이블(18)의 중앙에 놓여지면, 검지 온도는 일정한 비율로 상승한다. 또한,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코너에 놓여지면, 검지 온도는 회전 주기 T 사이에 1개 극대치를 가지며, 또한 전체적으로 상승하도록 변화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100)에 있어서, 제어부(90)는 시간 T 사이의 검지 온도가 극대치를 갖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식품(31)이 턴테이블(18) 상의 중앙에 놓여졌는지를 검지하고 있다.
전자 레인지(100)에서는, 미리 몇몇의 조리 메뉴가 설정되어 있고, 그 조리 메뉴에는, 「술 데우기」 메뉴나 「우유 따뜻하게 하기」 메뉴라고 하는, 마그네트론(22)에 의해 가열을 행하는 메뉴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어부(90)는 식품(31)이 턴테이블(18) 상의 중앙에 놓여졌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마그네트론(22)을 이용한 조리 메뉴에서 식품의 설정 온도를 결정하고 있다. 또, 이들 메뉴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 제어부(90)는 검지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한 시점에서 마그네트론(22)에 의한 가열을 정지시킨다.
이하에, 이들 메뉴에서의 제어부(90)의 동작을,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가열을 개시한다는 취지가 입력되면, 제어부(90)는 우선 S11에서, 고압 트랜스(33)를 통전시키고, 마그네트론(22)에 의한 가열을 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S12에서 턴테이블(18)의 회전 주기 T에 걸쳐 측정된 검지 온도가 극치(극대치)를 갖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극치가 없는 경우에는 S13으로 진행하여 설정 온도를 E1로 하고, 극치를 갖는 경우에는 S14로 진행하여 설정 온도를 E2로 하여 S15로 진행한다. 또, 설정 온도 E1과 E2는 E1<E2의 관계에 있다.
S15에서는, 적외선 센서(1)이 검지한 적외선의 양으로부터, 검지 온도를 결정하는 처리를 행하고, S16으로 진행한다. 또, S15에 있어서의 검지 온도의 결정은, 적외선 센서(1)가 일정 시간(예를 들면 1초 동안) 검지한 적외선의 양의 평균치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S16에서는, S15에서 결정한 검지 온도가, S13 또는 S14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 설정 온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으면 S15로 되돌아가고, 도달하고 있으면 S17로 진행한다. 즉, 검지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S15와 S16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S17에서는, 고압 트랜스(33)에의 통전을 정지함으로써 마그네트론(22)에 의한 가열을 정지한다.
이상,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 시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전자 레인지(100)에서는, 식품(31)을 턴테이블(18)의 중앙에 놓은 경우에서도 코너에 놓은 경우에서도, 가열 조리 후의 식품(31)의 실제의 완성 온도를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즉, 검지 온도에 극치가 있는 경우란, 식품(31)이 턴테이블(18)의 중앙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놓여져 있는 경우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의 설정 온도(E2)는 식품(31)이 턴테이블(18)의 중앙에 놓여져 있는 경우의 설정 온도(E1)보다도 높아지게 된다. 한편, 식품(31)이 동일한 상태에 있어도, 식품(31)이 턴테이블(18)의 중앙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놓여지면, 일시적으로, 중앙에 놓여진 경우보다도, 검지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도 15참조). 그리고, 전자 레인지(100)에서는, E1<E2로 설정함으로써, 식품(31)의 놓인 위치에 기초하는 검지 온도의 변화를 보정할 수 있다.
또, 도 18 및 도 23으로부터, 극대치 부근의 검지 온도의 변화율은 식품(31)과 턴테이블(18)의 중앙과의 거리가 긴만큼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90)는 극대치 부근의 검지 온도의 변화율의 크기에 따라, 식품(31)과 턴테이블(18)의 중앙과의 거리를 검지할 수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 검지 온도가 극치를 갖는 경우에, 도 24의 S12 및 S14에 있어서 설정 온도를 E2로 결정하는 대신에, 상기 변화율로부터 검지되는 식품(31)과 턴테이블(18)의 중앙과의 거리에 따라서, 설정 온도를 E2, E3, E4로 미세하게 나누어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검지 온도가 극치를 갖는 경우에, 극치 부근의, 예를 들면 극치를 기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전에서의 검지 온도의 변화율에 의해, 설정 온도를 E2, E3, E4로 나누어 결정한다. 또, 상기 변화율이 작은 쪽으로부터, 즉, 중앙과의 거리가 짧은 쪽으로부터 E2, E3, E4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E2<E3<E4의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여기서, 검지 온도의 변화율이란 단위 시간당 검지 온도의 변화량이다.
또, 전자 레인지(100)에 있어서, 식품(31)이 턴테이블(18)의 중앙에 놓여져 있지 않는 경우에서도, 거의 중앙에 놓여져 있으면, 중앙에 놓여져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를 행하여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중앙에 놓여진 경우와 다른 처리를 행하고자 하면, 다른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한 효과는 그다지 얻어지지 않고, 처리를 복잡하게 하는 것만인 경우도 생각된다. 그래서,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 처리에 있어서, S12에서 극치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서도 극치 부근의 검지 온도의 변화율이 소정값 이하이면, S13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론(22)에 의해 가열실 내의 식품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4에 도시한 각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90)에 의해, 소정의 주기에 걸쳐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극치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식품의 턴테이블 상에 놓인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식품의 놓인 위치에 기초하여 가열 수단을 구동하는 제어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 처리에서는, 제어부(90)는 주기 T에 있어서의 검지 온도에 극치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식품(31)이 턴테이블(18)에 놓인 위치가 중앙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턴테이블(18) 상에, 그 중앙 이외에, 턴테이블(18)의 회전에 의해 식품(31)이 회전하더라도, 적외선 센서(1)의 시야 내에 있는 식품(31)의 표면적이 변화하지 않는 특정한 장소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90)는 극치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식품(31)이 턴테이블(18)의 상기한 특정한 장소에 놓여져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8 및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검지 온도의 극치 부근의 검지 온도의 변화율에 의해 식품(31)과 턴테이블(18)의 중앙과의 거리를 검지함으로써, 제어 수단이 적외선의 양에 극치가 있는 경우, 극치의 부근의 적외선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식품의 상기 턴테이블 상에 놓인 위치를 결정한다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 24의 처리의 변형예로서 설명한 바와 같이, S12에서 극치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서도, 극치 부근의 검지 온도의 변화율이 소정값 이하이면, S13으로 진행함으로써, 제어 수단이 적외선에 대한 극치의 부근의 변화율이 소정값 이하이면, 식품이 턴테이블의 중앙에 놓여져 있다고 판단한다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다.
도 24의 처리의 변형예로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90)가 식품(31)과 턴테이블(18)의 중앙과의 거리에 따라서, 또한 설정 온도를 E2 내지 E4 중 어느 하나로 함으로써, 제어 수단이 결정된 식품의 놓인 위치와 턴테이블의 중앙과의 거리에 따라서 다른 설정 온도를 결정하고,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기초하여, 식품의 온도를 결정하며, 또한, 결정한 식품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될 때까지, 식품을 가열하도록 가열 수단을 구동한다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다.
또, 설정 온도 E1 내지 E4는, 반드시 E1<E2<E3<E4로 한정하지 않는다. 식품의 형상 등에 따라서는, 턴테이블의 중앙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수록 낮은 온도를 결정하는 쪽이 좋은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E1>E2>E3>E4로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식품(31)이 턴테이블(18)의 중앙에 놓여져 있는지의 여부, 및, 중앙에 놓여져 있지 않으면 식품(31)과 턴테이블(18)의 중앙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설정 온도를 E1 내지 E4(E1<E2<E3<E4)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대신에, 가열 시간을 F1 내지 F4(F1<F2<F3<F4)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여도 좋다. 이 점에 따라, 제어 수단이 결정된 식품의 놓인 위치와 턴테이블의 중앙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 설정 시간을 결정하고, 또한 설정 시간 식품을 가열하도록 가열 수단을 구동한다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가열 시간 F1 내지 F4는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정지될 때까지의 시간이다. 그리고, 가열 시간 F1 내지 F4에 의해, 설정 시간이 구성되어 있다.
또, 설정 시간 F1 내지 F4는, 반드시, 턴테이블의 중앙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수록 가열 시간이 길어지는, 즉, F1<F2<F3<F4로 한정하지 않는다. 식품의 형상 등에 따라서는, 턴테이블의 중앙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수록, 가열 시간을 짧게 한 쪽이 좋은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F1>F2>F3>F4로 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설명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열되는 식품의 수량과 식품이 놓여 있는 위치에 따라 설정 온도 및 가열 시간을 조정하므로써, 항상 일정한 완성 온도로 식품을 조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삭제
  2.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가열실(17),
    가열 수단(22),
    상기 식품을 얹어 놓고, 소정의 주기로 회전하는 턴테이블(18),
    상기 가열실(17) 내에서 상기 식품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지하는 적외선 검지 수단(1), 및
    상기 소정의 주기에 걸쳐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대한 극치(極値)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수량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결정된 식품의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 수단(22)을 구동하는 제어 수단(90)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수단(90)은,
    상기 결정된 식품의 수량이 많아질수록 높은 설정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온도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결정한 식품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로 될 때까지, 상기 식품을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 수단(22)을 구동하는 가열 조리 장치.
  3.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가열실(17),
    가열 수단(22),
    상기 식품을 얹어 놓고, 소정의 주기로 회전하는 턴테이블(18),
    상기 가열실(17) 내에서 상기 식품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지하는 적외선 검지 수단(1), 및
    상기 소정의 주기에 걸쳐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대한 극치(極値)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수량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결정된 식품의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 수단(22)을 구동하는 제어 수단(90)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수단(90)은,
    상기 결정된 식품의 수량이 많아질수록 긴 설정 시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식품을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 수단(22)을 구동하는 가열 조리 장치.
  4.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가열실(17),
    가열 수단(22),
    상기 식품을 얹어 놓고, 소정의 주기로 회전하는 턴테이블(18),
    상기 가열실(17) 내에서 상기 식품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지하는 적외선 검지 수단(1), 및
    상기 소정의 주기에 걸쳐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극치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식품이 상기 턴테이블(18) 상에 놓인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결정된 식품의 놓인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 수단(22)을 구동하는 제어 수단(90)
    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90)은, 상기 적외선의 양에 극치가 있는 경우, 상기 극치 부근의 적외선의 양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이 상기 턴테이블(18) 상에 놓인 위치를 결정하는 가열 조리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90)은, 상기 적외선의 양에 대한 극치 부근의 변화율이 소정값 이하이면, 상기 식품이 상기 턴테이블(18)의 중앙에 놓여져 있다고 판단하는 가열 조리 장치.
  7. 삭제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90)은,
    상기 결정된 식품의 놓인 위치와 상기 턴테이블(18)의 중앙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 설정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온도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결정한 식품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로 될 때까지, 상기 식품을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 수단(22)을 구동하는 가열 조리 장치.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90)은,
    상기 결정된 식품의 놓인 위치와 상기 턴테이블(18)의 중앙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 설정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검지된 적외선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온도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결정한 식품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로 될 때까지, 상기 식품을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 수단(22)을 구동하는 가열 조리 장치.
  11.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90)은,
    상기 결정된 식품의 놓인 위치와 상기 턴테이블(18)의 중앙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 설정 시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설정 시간동안 상기 식품을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 수단(22)을 구동하는 가열 조리 장치.
  12. 삭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90)은,
    상기 결정된 식품의 놓인 위치와 상기 턴테이블(18)의 중앙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 설정 시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설정 시간동안 상기 식품을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 수단(22)을 구동하는 가열 조리 장치.
KR1019990019374A 1998-05-29 1999-05-28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는 가열 조리 장치 KR100366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946298A JP3258964B2 (ja) 1998-05-29 1998-05-29 加熱調理装置
JP1998-149462 1998-05-29
JP1998-149274 1998-05-29
JP14927498A JPH11337074A (ja) 1998-05-29 1998-05-29 加熱調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629A KR19990088629A (ko) 1999-12-27
KR100366174B1 true KR100366174B1 (ko) 2002-12-31

Family

ID=2647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374A KR100366174B1 (ko) 1998-05-29 1999-05-28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는 가열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21596A (ko)
KR (1) KR100366174B1 (ko)
CN (1) CN1165712C (ko)
GB (1) GB23378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2580B2 (ja) * 1999-08-12 2006-04-05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US6568848B1 (en) * 1999-09-20 2003-05-27 Maverick Industries, Inc. Wireless remote cooking thermometer system
US7722248B1 (en) 1999-09-20 2010-05-25 Maverick Industries, Inc. Wireless remote cooking thermometer system
EP1126748B1 (en) * 2000-02-14 2010-07-14 Kabushiki Kaisha Toshiba Heating apparatus with temperature sensor comprising infared sensing elements
EP1684549B1 (en) * 2002-03-12 2009-09-23 Panasonic Corporation High-frequency h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817757B1 (en) * 2002-05-10 2004-11-16 A La Cart, Inc. Food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US7026929B1 (en) 2002-05-10 2006-04-11 A La Cart, Inc. Food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US7019638B1 (en) 2002-05-10 2006-03-28 A La Cart, Inc. Food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JP2004045330A (ja) * 2002-07-15 2004-02-12 Ricoh Co Ltd 非接触温度検知装置
WO2005036116A2 (en) * 2003-10-02 2005-04-21 Debra Fogel Harris Corkscrew with integral intelligent thermometer
EP1921384B1 (de) * 2006-11-02 2009-05-2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timmen der Temperatur im Inneren eines Garguts
KR101887054B1 (ko) * 2012-03-23 2018-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
JP6176919B2 (ja) * 2012-12-04 2017-08-09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11252792B2 (en) * 2014-06-18 2022-02-15 Spot Labs, Llc Device for selective heating of materials in an electromagnetic oven
US9737164B2 (en) * 2014-08-25 2017-08-22 Xiaomi Inc. Temperature prompting method and device
CN105628213B (zh) * 2015-12-29 2019-03-2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加热烹调器的食品温度检测方法、食品加热方法及其系统
CN110726159B (zh) * 2019-10-25 2021-10-2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加热控制方法、烹饪器具与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107B1 (ko) * 1995-04-26 1998-08-17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자동요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2638A (en) * 1978-04-28 1979-11-07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KR960024041A (ko) * 1994-12-14 1996-07-20 구자홍 조리기의 자동 조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60041890A (ko) * 1995-05-16 1996-12-19 구자홍 자동 조리장치
SE505555C2 (sv) * 1995-12-21 1997-09-15 Whirlpool Europ Förfarande för styrning av ett uppvärmningsförlopp i en mikrovågsugn samt mikrovågsugn
KR100186390B1 (ko) * 1996-06-11 1999-03-20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냉동식품 해동방법
GB2324889B (en) * 1996-06-11 1999-06-16 Lg Electronics Inc Microwave oven equipped with thermopile sensor and thaw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107B1 (ko) * 1995-04-26 1998-08-17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자동요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37832A (en) 1999-12-01
CN1165712C (zh) 2004-09-08
GB2337832B (en) 2002-07-31
KR19990088629A (ko) 1999-12-27
GB9912331D0 (en) 1999-07-28
CN1242492A (zh) 2000-01-26
US6121596A (en) 2000-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174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식품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는 가열 조리 장치
EP3051924B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0455169A2 (en) Heating cooker
JPH09250761A (ja) 電子レンジのトレー駆動制御方法
US6875968B2 (en) Method of controlling microwave oven
WO2015141207A1 (ja) 加熱調理器
US6878912B2 (en) Method of controlling microwave oven
US5859413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icrowave oven to prevent overcooking of small food portions
JP5731315B2 (ja) 加熱調理器
KR19990039901A (ko) 전자레인지의 컵데우기 조리방법
JP5103812B2 (ja) 炊飯器
US6878913B2 (en) Method of controlling microwave oven
TWI614458B (zh) 高頻加熱調理器
JP2005016788A (ja) 加熱調理器
JP2019190682A (ja) 高周波加熱調理器
KR101365880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그 조리방법
JP7345512B2 (ja) 加熱調理器
JP3258964B2 (ja) 加熱調理装置
KR100257552B1 (ko) 가열조리기
JPH11337074A (ja) 加熱調理装置
JPH06163155A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0233442B1 (ko) 전자렌지의 트레이 제어장치
JP4457430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2000123967A (ja) 電子レンジ
JP2003208973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