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001B1 - 의료진료용광섬유장치및광섬유용의아암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진료용광섬유장치및광섬유용의아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001B1
KR100366001B1 KR1019970064074A KR19970064074A KR100366001B1 KR 100366001 B1 KR100366001 B1 KR 100366001B1 KR 1019970064074 A KR1019970064074 A KR 1019970064074A KR 19970064074 A KR19970064074 A KR 19970064074A KR 100366001 B1 KR100366001 B1 KR 100366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ght
joint portion
elastic arm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640A (ko
Inventor
타케미 고바야시
히로아키 곤도
Original Assignee
도쿄 이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 이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 이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6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61N2005/0633Arrangements for lifting or hinging the frame which supports th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7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polaris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는 광섬유 광유도장치의 선단측을 테이퍼상 도관부로 만듬으로서 광을 집광하는 렌즈군이 필요없게 되도록 한다는 목적을 갖는다. 광섬유 광유도장치(1)는 신축성이 있으며, 선단에 놓이는 신축성 유도관(3)을 통해 탐침(4)으로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유도시킨다. 직경이 선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상 도관부(5)는 광을 집광하며, 탐침(4)의 선단평면으로부터 방출되도록 한다. 직선 편광판(8)이 테이퍼상 도관부(5)의 선단평면으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직선으로 편광시키며 환부상에 조사시킨다.

Description

의료진료용 광섬유장치 및 광섬유용의 아암장치
본 발명은 의료 진료용 광섬유 장치 및 광섬유용 아암장치에 관한 것이며, 적외선을 환부에 조사하여 온열 효과 등에 의하여 환부를 치료할 수 있는 광섬유장치 및 광섬유장치를 쉽게 동작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광섬유용 아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로는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적외선을 포함한 빛이 광섬유 광유도장치를 통해 유도되어 집광렌즈군에 의해 집광되어 환부에 조사되는 의료진료용 광섬유장치가 1993년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평 27172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 광섬유용 아암장치는 두 개의 아암부가 두 개 또는 세 개의 조인트부에 의해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고, 아암장치가 부착되는 광섬유 장치가 동작될 경우, 아암장치는 동작을 따라 굽혀지거나 회전하여 광섬유 장치의 동작을 개선시켰다.
상기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는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적외선이 광섬유 광유도장치를 통해 유도되고 집광렌즈군에 의해 집광되어 환부에 조사되기 때문에 광학부품으로서 정밀한 집광렌즈가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므로 제조비용이 증가되며,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 광섬유용 아암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아암부의 길이가 고정되어 신축성이 줄어들어, 조작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으며, 아암부가 수평방향으로 늘어날 경우의 중력으로 인해 과도한 하중이 조인트부에 인가되어 그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광섬유 광유도장치의 선단부를 직경이 선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작게 되는 테이퍼상 도관부로 만들어 집광렌즈가 필요 없는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축성 있는 아암부 및 한 방향으로 잠금이 될 수 있는 조인트부가 설치되어 광섬유장치의 조작환경에 대응할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신장된 아암부의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광섬유용 아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의료 진료용 광섬유 장치의 상부단면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광섬유용 아암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용 아암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기부 및 제 1조인트부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 1조인트부의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 2조인트부의 확대 측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 3조인트부 및 탐침 지지부의 확대측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 3조인트부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탐침 지지부의 확대측면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제 1조인트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확대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 1조인트부의 변형예의 단면도.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적외선을 포함한 빛을 가요성 있는 광섬유장치를 통해 환부 상에 조사하여 환부를 치료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는 상기 광섬유 광유도장치가 광섬유의 다발로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 광유도장치의 선단측은, 각 광섬유의 선단측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짐으로써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상 도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이퍼상 도관부의 각 광섬유의 선단측에서 상기 적외선을 포함하는 상기 빛을 집광하여 환부 상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진료용 광섬유장치에 의하면 광섬유 광유도장치의 선단부는 테이퍼상 도관부로 만들어지며, 집광렌즈군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고가의 광학부품을 감소시킴으로써 장치의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용 아암장치는 광원본체에 고정된 기단부, 기단부의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회전평면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 일방향 클러치를 통해 한 방향으로 요동가능하도록 부착된 제 1조인트부, 제 1조인트부에 신축성 있게 부착된 제 1신축성 아암부, 제 2신축성 아암부에 회전가능하며 요동가능하도록 부착된 제 3조인트부 및 제 3조인트부에 부착된 광섬유장치의 탐침을 지지하는 탐침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용 아암장치는 두 개의 신축성 아암부, 일방향 클러치를 갖는 두 개의 조인트부 및 만능 조인트를 갖는 한 개의 조인트부가 설치되므로 아암장치를 광섬유장치의 조작환경에 적합하도록 탐침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아암부가 수평방향으로 신장될 경우에도 아암장치의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광섬유장치의 조작효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조인트부에는 일방향 클러치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조작부재가 설치되므로 임의의 기울기 위치를 향하는 제 1신축성 아암부의 이동이 또한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조인트부에는 광섬유장치의 신축성 있는 가요성 안내관을 삽입가능하게 조이는 안내부가 설치되므로 광섬유장치에 대한 광섬유용 아암장치의 추종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의한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의 요부 상부단면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의 요부는 광섬유 광유도장치(1), 보호관(2), 가요성 안내관(3), 탐침(4), 테이퍼상 도관부(5) 및 선단캡(6)으로 이루어져 있다.
광섬유 광유도장치(1)는 굴절율이 상이한 코어 및 클래드로 이루어진 19,000개의 광섬유가 한 개의 직경이 50㎛ 정도인 섬유의 다발로 이루어진 석영계 다중 성분구조이다. 또한 광섬유 광유도장치(1)는 1.6㎛ 이상의 장파장 대역의 적외선의 투과를 허용하지 않는다.
보호관(2)은 알루미늄 등으로 만들어지며, 광섬유 광유도장치(1)의 기단부를 보호하는 관이다.
신축성 안내관(3)은 삽입된 광섬유 광유도장치(1)를 가지며, 광섬유 광유도장치가 임의의 한계 이상으로 구부러지지 않도록 주변으로부터 보호한다.
탐침(4)은 광섬유 광유도장치(1)의 선단부에서 고정되며, 손가락 또는 아암장치에 의해 조여져서 조작되는 부분이다. 탐침(4)의 직경은 테이퍼상 도관부(5)와 직선으로 선단측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작게 만들어지며, 선단캡(6)이 조여지는 숫나사가 선단부의 외주상으로 관통된다.
테이퍼상 도관부(5)는 광섬유 광유도장치(1)의 선단부를 가열 신장시킴으로써 선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작게 되도록 형성된 경질부이다. 테이퍼상 도관부(5)는 광섬유 광유도장치(1)의 선단면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평행 광속(光束)에 가까운 원형 단면을 갖는 광속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
선단캡(6)은 탐침(4)의 선단부로 분리가능하게 조여지도록 이루어지며, 탐침(4)의 선단부에서 조여지는 암나사는 내주상으로 관통되어 스프링(7), 직선 편광판(8), 슬리브(9) 및 커버글래스(10)가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직선 편광판(8)은 박막형 폴리비닐 알콜이 요오드 용액으로 염색되어 내측 및 외측에서 광학 유리판에 의해 샌드위치되도록 형성되며, 파장대가 0.6 내지 1.6㎛인 빛의 편광면을 곧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직선으로 편광된 적외선은 생체 고분자를 활성화시키며, 미세한 순환을 개선시키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치료효과를 증가시킨다는 것이 기존에 공지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료 진료용 광섬유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광원(도시 생략)으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을 포함하는 빛은 광섬유 광유도장치(1)의 기단면에 입사된다.
광섬유 광유도장치(1)는 1.6㎛ 이상의 장파장대의 적외선을 절단하고, 다른 파장대의 빛을 통과시킨다. 통과된 빛은 각 광섬유의 코어에서 클래드에 의해 반사되는 동안 선단측에 도달하며, 테이퍼 상 도관부(5)에서 점차적으로 집광되며, 선단면을 통해 출사된다.
광섬유 유도장치(1)의 선단면으로부터 나오는 적외선을 포함하는 빛은 직선 편광판(8)에 의해 직선 편광되며, 커버 글래스(10)를 통해 환부에 조사된다.
이 때 광섬유 광유도장치(1)가 가요성을 가지며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적외선은 탐침(4)을 조작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고에너지 농도로 환부 상에 점 형태로 집광 및 조사될 수 있다.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에 의해 환부상에 조사된 빛은 적색으로 보여지는 가시광선이 약 5%를 차지하며, 인체로 깁게 흡수되어 온열효과를 주는 눈에 보이지않는 근적외선이 약 95%를 차지하는 비율을 갖는다. 1.0㎛ 부근에 강도 피크가 존재한다. 0.6∼1.6㎛ 정도의 파장대의 빛은 생체 심층부까지 도달하는 힘이 커서 생체 심층부의 가온 및 활성화를 촉진한다.
따라서 의료진료용 광섬유장치는 다음에 열거하는 적응증에 효과가 있다.
(1) 통증
아급성, 만성 근육, 관절 등의 동통, 신경통
① 경부 … 경추의 통증, 편타증, 수면 중 근육경련
② 어깨·등·오십견, 등의 통증, 어깨관절의 염좌
③ 허리부분 … 변위추간 디스크, 좌골신경통, 추간 디스크의 헤르니아로 인한 동통
④ 팔 … 팔꿈치 관절통, 테니스 엘보우, 엄지탄발 지통
⑤ 발 … 무릅 관절통
(2) 염증성 통증, 외상(급성기를 지난 것)
염좌, 골절, 건초염, 변위추간 디스크, 심부의 근육, 인대 부상에서 오는 통증, 근육의 경력억제로 인한 통증
(3) 관절염 및 류마티즘
류마티스성 관절염, 변형성 골관절염(급성·아급성 골관절염은 제외)
(4) 피부질환
만성 피부염, 심상성 좌창, 욕창
도 2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료 진료용 광섬유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광섬유용 아암장치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용 아암장치의 요부는 기단부(101), 제 1조인트부(102), 제 2신축성 아암부(103), 제 2조인트부(104), 제 2신축성 아암부(105), 제 3조인트부(106) 및 탐침고정부(107)로 이루어진다.
기단부(101)는 도 4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진료용 광섬유 장치의 광원장치 본체(도시 생략)에 삽입되며 고정되는 샤프트(111) 및 샤프트(111)가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형 부재(112)로 이루어진다. 원통형 부재(112)의 하단면은 사선으로 눈금이 표시되며, 회전되지 않도록 광원장치의 본체의 외부 경사면에 고정된다.
제 1조인트부(102)는 도 5의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단부(101)의 샤프트에 고정되는 충격흡수부재를 통해 나사(1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축고정부재(121), 브레이크슈(122), 중간 축부재(123) 및 일방향클러치(124)를 통해 축고정부재(12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베어링부재(125), 베어링부재(125)로 삽입되며 판스프링(126) 및 와셔(127)를 통해 축고정부재(121)에서 나사(129)에 의해 조여지는 축(128), 축(128)의 회전을 조정하도록 축고정부재(121)에 의해 조여지는 축(128), 축(128)의 회전을 조정하도록 축고정부재(121)로 삽입되는 나사(130)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구성으로 축고정부재(121)는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수평면 상에서 360도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베어링부재(125)가 축고정부재(121)에 대해 수직면상에서 약 100도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신축성 아암부(103)는 제 1신축성 아암부(103)가 낙하하는 방향을 따라 일방향클러치(124)에 의해 잠금되어 제 1신축성 아암부(103)를 수직으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는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신축성 아암부(103)는 제 1조인트부(102)의 베어링부재(125)에 고정되는 하부 커버(131), 하단부가 하부 커버로 삽입되며 고정되는 외관(132), 외관(132) 내부에 삽입되는 내관(133), 외관(132)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잠금부재(134) 및 내관(133)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제 2조인트부(104)에서 고정되는 상부커버(135)로 이루어진다. 잠금부재(134)를 조작함으로써 외관(132)이 내관(133)에 대해 고정되며, 제 1신축성 아암부(133)가 소정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에 확대되어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조인트부(104)는 제 1조인트부(102)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제 2조인트부(104)는 제 1신축성 아암부(103)의 샤프트에 고정되며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격흡수부재를 통해 나사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축고정부재(141), 일방향 클러치(144)를 통해 축고정부재(14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베어링부재(145), 베어링부재(145)에 삽입되며 판 스프링(146) 및 와셔(147)를 통해 축고정부재(141)에 나사(149)로 조여지는 축(148) 및 축(148)의 회전을 고정하도록 축고정부재(141)에 조여지는 나사(150)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구성으로 축고정부재(141)는 제 1신축성 아암부(103)의 샤프트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으며, 동시에 베어링부재(145)가 회전 평면에 대해 수직인 평면으로 약 100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 2신축성 아암부(105)는 제 2신축성 아암부(105)가 하강하는 방향을 따라 일방향 클러치(144)에 의해 잠금되어 제2신축성 아암부(105)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경우가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또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의 가요성 안내관(3)이 삽입가능하게 놓이는 안내부(108)가 제 2조인트부(104)의 측부에 고정된다. 안내부(108)는 제 2조인트부(104)의 축에 고정되는 팬형태의 판(181) 및 팬 형태의 판(181)에 부착되는 두 세트의 롤러쌍(182, 183)으로 이루어진다. (도 2 참조)
제 2신축성 아암부(105)는 제 1신축성 아암부(103)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신축성 아암부(105)는 제 2조인트부(104)의 베어링부재(145)에 고정되는 상부커버(151), 상단이 상부커버(151)에 부착되는 외관(152), 외관(152)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관(153), 외관(152)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잠금부재(154) 및 내관(153)의 하단이 삽입 및 고정되며, 제 3조인트부(106)에 고정되는 하부커버(155)로 이루어진다. 잠금부재(154)의 회전조작에 의해 외관(152)이 내관(153)에 고정되며, 제 2신축성 아암부(105)는 소정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조인트부(106)는 제 2신축성 아암부(105)에 부착되는 만능 조인트기부(161)로 이루어진다. 만능 조인트기부(161)는 도 8의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신축성 아암부(105)의 하부 커버(155)에 고정될 관통구멍이 설치되는 기부(162), 기부(162)를 둘러싸는 제 1원통형 부재(163),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제 1원통형 부재(163)에 대해 미끄러지도록 고정되는 제 2원통형 부재(164), 제 1원통형 부재(163)에 고정되는 테이퍼상 부재(165), 테이퍼상 부재(165)의 이동과 일직선으로 미끄러지는 활주부재(166),테이퍼상 부재(165)와 활주부재(166)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167), 활주부재(166)에 의해 눌려져서 제 2원통형 부재(164)에서 위치가 고정되는 만능 조인트부재(168), 제 1원통형 부재(163)로 조여져서 테이퍼상 부재(165)를 이동시키며 압축시키는 고정나사(169) 및 고정나사(169)에 부착되는 손잡이(170)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구성으로 소정방향으로 만능 조인트부재(168)를 조작한 후 손잡이(170)를 조작하여 고정나사(169)가 조여짐에 따라 테이퍼상 부재(165)가 이동하여 활주부재(166)를 코일스프링(167)의 복원력에 대해 활주하도록 하여 만능 조인트부재(168)가 제 2원통형 부재(164)에서 압축 및 고정된다.
도 7에서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탐침 고정부(107)는 만능 조인트 기부(161)에 부착되는 그립부(171)로 이루어진다. 그립부(171)는 도 9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만능 조인트 기부(161)의 만능 조인트부재(168)의 선단에 조여지는 기부(172), 기부가 만능 조인트부재(168)에 고정되는 고정나사(173), 기부(172)에 부착되는 한 쌍의 그립부재(174, 175), 한 쌍의 그립부재(174, 175)를 통과하도록 고정되는 활주축(176), 활주축(176)의 일단을 고정하는 너트(177), 활주축(176)의 타단에 부착되는 손잡이(176) 및 활주축(176)을 압축시키는 코일스프링(179)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의료 진료용의 광섬유장치의 탐침(4)은 손잡이(178)의 조작에 의해 느슨하게 되는 그립부재(174,175)로 그립부재(174,175) 사이에 삽입된다. 그 후 손잡이(178)를 동작시켜 활주축(176)이 코일스프링(179)에 대해 이동하게 되어 좁아지게 될 그립부재(174, 175) 사이에서 틈을 만들게 된다. 그러므로 탐침(4)은 그립부(171)에서 고정된다. 또한 탐침(4)은 만능 조인트기부(161)의 중심에 대해 360도로 회전될 수 있으며, 약 120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용 아암장치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설명한다.
우선 의료진료용 광섬유장치의 사용자는 기단부(101)의 샤프트(111)를 광섬유장치의 본체에서 꿰뚫어지는 고정홀(도시생략)로 삽입시키며, 광섬유용 아암장치를 광원장치 본체에 부착시킨다. 다음에, 광원장치 본체로부터 취해지는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의 가요성 안내관(3)은 제 2조인트부(104)에 부착되는 안내부(108)의 두 세트의 롤러쌍(182, 183)으로 삽입된다. 또한 의료진료용 광섬유장치의 탐침(4)은 탐침지지부(107)의 그립부재(174,175) 사이에 삽입되어 손잡이(178)를 조작시킴으로써 광섬유장치의 탐침(4)이 그립부재(174, 175) 사이에서 지지된다.
상기 방식으로 도 2에 나타내듯이 의료진료용 광섬유장치는 광섬유용 아암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는 제 1신축성 아암부(103)의 잠금부재(134)를 느슨하게 하며, 외관(132)으로부터 내관(133)으로 끌어당겨 삽입한 후에 잠금부재(134)를 고정시켜 소정 길이로 제 1신축성 아암부(103)를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 2신축성 아암부(105)가 소정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신축성 유도간(3)이 안내부(108)의 두 세트의 롤러쌍(182, 183) 사이에서 삽입가능하게 조여지므로, 가요성 안내관(3)은 제 1신축성 아암부(103) 및 제 2신축성 아암부(105)가 탐침 지지부(107)에 지지되는 탐침(104)으로 축소 및 신장되는경우에도 제 1신축성 아암부(103) 및 제 2신축성 아암부(105)의 신장 및 축소를 뒤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의 사용자가 탐침(4)을 쥐고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제 2조인트부(104)는 일방향클러치의 잠금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2신축성 아암부(105)를 비교적 약한 힘으로 수평방향으로 상승시키며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그의 손이 제 2신축성 아암부(105)가 이동되는 위치에서 이탈될 경우 제 2조인트부(104)가 일방향 클러치(144)에 의해 잠금되기 때문에 제 2신축성 아암부(105)가 중력에 대해 정지된 위치를 보유하여 탐침(4)이 그 위치로 보유될 수 있다.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의 사용자가 제 1신축성 아암부(103)를 낙하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잠금력이 일방향클러치(124)에 의해 제 1조인트부(102) 상에 가해지므로 비교적 강한 힘으로 제 1신축성 아암부(103)를 이동시켜야 한다. 또한 압축되며 이동되는 위치에서 제 1신축성 아암부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방향에서 힘이 제 1신축성 아암부(103)의 임의의 자세에서 제 1신축성 아암부(103)에 주어질 경우, 제 1신축성 아암부(103)가 제 1조인트부(102)를 따라 기단부(101)의 샤프트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유사하게 회전방향에서의 힘이 제 2신축성 아암부(105)의 임의의 자세에서 제 2신축성 아암부(105)에 주어질 경우 제 2신축성 아암부(105)는 제 2조인트부(103)를 따라 제 1신축성 아암부(103)의 축을 중심으로 360도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의료진료용 광섬유장치는 광섬유용 아암장치를 따라 쉽게 조작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탐침(4)을 비교적 쉽게 환부 근처로 가져갈 수 있다.
반면에 광섬유장치가 사용된 이후 의료진료용 광섬유장치 및 광섬유용 아암장치가 도 2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재설정되는 경우, 우선 광섬유장치의 사용자는 손에 탐침(4)을 쥐고 이동시켜 기단부(101) 근처로 가져가므로 제 2조인트부(104)가 일방향 클러치(144)에 의해 잠금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제 2신축성 아암부(105)를 제 2신축성 아암부(105)가 제 1신축성 아암부(103)에 접근하는 상태로 재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직립방향으로 제 1신축성 아암부(103)에 힘이 가해질 경우, 제 1신축성 아암부(103)는 비교적 약한 힘으로 직립위치로 재설정될 수 있으며, 의료진료용 광섬유장치 및 광섬유용 아암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초기위치로 재설정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제 1조인트부(102)의 변형예인 제 1조인트부(102')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예의 제 1조인트부(102')는 기단부(101)의 샤프트(11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축고정부재(191), 나사(192)를 통해 축고정부재(191)에 부착되며, 측부 표면에서 일방향 클러치용의 노치(193a)를 갖는 중공샤프트(193), 소결링(194)을 통해 중공샤프트(19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베어링부재(195), 베어링부재(195)에 삽입되며 축고정부재(191)의 아치형 홈(191a)에 삽입되는 각도조절핀(196), 나사(197)에 의해 중공샤프트(193)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며 소결링(198)을 통해 고정되는 회전판부재(199), 노치(193a)에 자유롭게 고정되는 일방향클러치용의 롤러(200), 회전판부재(199)에 삽입되어 롤러(200)와의 결합 시 일방향클러치와 잠금을 해제시키는 잠금해제핀(201), 회전판부재(199)에 고정되는 아암(202), 아암(202)에 부착되는 볼형 손잡이(203) 및 회전판부재(199)를 원위치로 재설정하는 재설정 스프링(20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예의 제 1조인트부(102')는 중공샤프트(193)의 노치(193a) 및 롤러(200)로 이루어지는 일방향클러치에 의해 영향 받는 잠금상태가 볼 형태의 손잡이(203)를 설치함으로써 수동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즉, 베어링부재(195)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부하 없이 회전할 수 있지만 롤러(200)는 노치(193a)에 맞물려서 베어링부재(195)가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경우 잠금을 행하게 된다. 볼 형태의 손잡이(203)가 이러한 잠금상태로부터 밀어 올려질 경우 잠금해제핀(201)이 아암(202) 및 회전판부재(199)를 통해 롤러(200)와 맞물려서 중공샤프트(193)의 노치와 롤러(200)의 맞물림을 해제시켜 잠금을 제거한다. 그러므로 축고정부재(191) 및 베어링부재(195)가 자유롭게 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하게 소정의 경사위치로 제 1신축성 아암부(10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손이 제 1신축성 아암부(103)로 기울어지는 위치에서 볼 형태의 손잡이(203)로부터 해제된다면, 회전판부재(199)는 재설정스프링(204)의 복원탄성력에 의해 재설정되어 롤러(200)를 노치(193a)에 다시 맞물리게 하여 일방향 클러치가 다시 잠가지도록 한다. 또한 제 1신축성 아암부(103)가 초기 직립위치로 재설정되는 경우, 일방향 클러치의 잠금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제 1신축성 아암부(103)를 비교적 약한 힘을 갖는 직립위치로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용 아암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가 부착되는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되었다. 광섬유용 아암장치에 부착되는 광섬유장치는 의료 진료용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업용, 의료진단용 등의 다양한 종류의 광섬유장치가 또한 사용 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에 의하면 광섬유 광유도장치의 선단부는 테이퍼상 도관부로 만들어져 집광렌즈군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고가의 광학부품을 감소시킴으로써 장치의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용 아암장치는 두 개의 신축성 아암부, 일방향 클러치를 갖는 두 개의 조인트부 및 다기능 조인트를 갖는 한 개의 조인트부가 설치되므로 아암장치가 광섬유장치의 조작환경에 적합하도록 탐침을 움직일 수 있으며, 동시에 아암부가 수평방향으로 신장될 경우에도 아암장치의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광섬유장치의 조작효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가요성을 갖는 광섬유 광유도장치를 통해 유도시켜 환부 상에 조사함으로써 진료를 행하는 의료 진료용 광섬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광유도장치가 광섬유의 다발로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 광유도장치의 선단측은, 각 광섬유의 선단측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짐으로써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상 도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이퍼상 도관부의 각 광섬유의 선단측에서 상기 적외선을 포함하는 상기 빛을 집광하여 환부 상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광유도장치의 상기 테이퍼상 도관부의 선단면으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을 포함하는 상기 광을 직선으로 편광시키는 직선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료용 광섬유장치.
  3. 광원장치 본체에 고정되는 기단부,
    상기 기단부의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회전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일방향 클러치를 통해 한 방향으로 요동가능하도록 부착된 제 1조인트부,
    상기 제 1조인트부에 신축성 있게 부착된 제 1신축성 아암부,
    상기 제 1신축성 아암부의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회전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일방향 클러치를 통해 한 방향으로 요동가능하도록 부착된 제 2조인트부,
    상기 제 2조인트부에 신축성있게 부착된 제 2신축성 아암부,
    상기 제 2신축성 아암부에 회전가능하며, 요동가능하도록 부착된 제 3조인트부 및
    상기 제 3조인트부에 부착되어 상기 광섬유장치의 탐침을 지지하는 탐침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아암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인트부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조작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아암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조인트부는 광섬유장치의 가요성 안내관을 삽입가능하도록 조여주는 안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아암장치.
KR1019970064074A 1996-12-09 1997-11-28 의료진료용광섬유장치및광섬유용의아암장치 KR100366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44591A JPH10165522A (ja) 1996-12-09 1996-12-09 理学診療用光ファイバ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用アーム装置
JP96-344591 1996-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40A KR19980063640A (ko) 1998-10-07
KR100366001B1 true KR100366001B1 (ko) 2003-08-25

Family

ID=1837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074A KR100366001B1 (ko) 1996-12-09 1997-11-28 의료진료용광섬유장치및광섬유용의아암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287300B1 (ko)
EP (1) EP0846476A3 (ko)
JP (1) JPH10165522A (ko)
KR (1) KR100366001B1 (ko)
CN (1) CN1184685A (ko)
AU (1) AU733412B2 (ko)
CA (1) CA2224361A1 (ko)
TW (1) TW3498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522A (ja) 1996-12-09 1998-06-23 Tokyo Iken Kk 理学診療用光ファイバ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用アーム装置
DE20114544U1 (de) 2000-12-04 2002-02-21 Cascade Microtech Inc Wafersonde
KR20010067936A (ko) * 2001-04-09 2001-07-13 김권철 의료용 카메라
JP3962219B2 (ja) * 2001-04-26 2007-08-22 貴志 山田 偏光を用いた光治療器
US6970634B2 (en) 2001-05-04 2005-11-29 Cascade Microtech, Inc. Fiber optic wafer probe
FR2836833B1 (fr) * 2002-03-07 2004-11-26 Yves Loones Appareil pour le traitement d'un organisme vivant par lumiere coloree
US7057404B2 (en) 2003-05-23 2006-06-0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hielded probe for testing a device under test
US7427868B2 (en) 2003-12-24 2008-09-23 Cascade Microtech, Inc. Active wafer probe
JP2008512680A (ja) 2004-09-13 2008-04-24 カスケード マイクロ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両面プロービング構造体
US7656172B2 (en) 2005-01-31 2010-02-02 Cascade Microtech, Inc. System for testing semiconductors
US7535247B2 (en) 2005-01-31 2009-05-19 Cascade Microtech, Inc. Interface for testing semiconductors
US20060293568A1 (en) * 2005-06-27 2006-12-28 Scheidegger-Pluss Rosemarie S Collapsible surgical tool bar
SE0501786L (sv) * 2005-08-09 2007-02-10 Atos Medical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vid tracheotomi
US7723999B2 (en) 2006-06-12 2010-05-25 Cascade Microtech, Inc. Calibration structures for differential signal probing
US7764072B2 (en) 2006-06-12 2010-07-27 Cascade Microtech, Inc. Differential signal probing system
US7403028B2 (en) 2006-06-12 2008-07-22 Cascade Microtech, Inc. Test structure and probe for differential signals
US7876114B2 (en) 2007-08-08 2011-01-25 Cascade Microtech, Inc. Differential waveguide probe
US8582934B2 (en) 2007-11-12 2013-11-12 Lightlab Imaging, Inc. Miniature optical elements for fiber-optic beam shaping
DE202009005199U1 (de) 2009-08-27 2009-12-24 Chen, Yu-Hua Flaschenhalter für Fahrrad
EP2299235A1 (de) * 2009-09-14 2011-03-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ignaleinrichtung zur Messung eines Abstandes
CN115886947B (zh) * 2022-11-08 2023-07-18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辅助经皮穿刺的可视化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2355A (en) * 1992-10-19 1994-08-30 Laser Centers Of America Energy delivering cap element for end of optic fiber conveying laser energy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7098A (en) 1967-03-24 1969-09-16 Becton Dickinson Co Flexible conduit for laser surgery
US3823995A (en) 1972-03-30 1974-07-16 Corning Glass Works Method of forming light focusing fiber waveguide
GB1485908A (en) 1974-05-21 1977-09-14 Nath G Apparatus for applying light radiation
JPS5132088A (ko) 1974-09-12 1976-03-18 Asahi Optical Co Ltd
JPS54144787A (en) * 1978-05-02 1979-11-12 Ouchi Teruo Device for curving endoscope
JPS6058982B2 (ja) 1978-10-13 1985-12-23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光刺激治療装置
AU531188B2 (en) * 1978-10-30 1983-08-11 Hewson, A.J. Clamp movable in several directions
JPS55166253A (en) 1979-06-14 1980-12-25 Copal Co Ltd Printing wheel rolling type printing device
CS235259B1 (en) 1981-04-30 1985-05-15 Vladimir Kuda Picking channel of jet loom
US4473074A (en) * 1981-09-28 1984-09-25 Xanar, Inc. Microsurgical laser device
US4517963A (en) * 1983-01-04 1985-05-21 Harold Unger Image-erecting barrel rotator for articulated optical arm
JPS59195608A (ja) 1983-04-22 1984-11-06 Hitachi Ltd 光ロ−タリ−ジヨイント
JPS6072567A (ja) 1983-09-28 1985-04-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学医療装置
JPS6086511A (ja) 1983-10-19 1985-05-1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分配器
JPS60127251A (ja) 1983-12-12 1985-07-06 Fujitsu Ltd テ−パ−状屈析率分布型レンズの製造方法
JPS6128907A (ja) 1984-07-19 1986-02-08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光分配器及びその製造方法
SE444496B (sv) 1984-08-02 1986-04-14 Innocap Ab Kopplingsanordning for drivning av gasurladdningsror
US5693043A (en) * 1985-03-22 1997-12-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atheter for laser angiosurgery
JPS627172A (ja) 1985-07-02 1987-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薄膜受光素子の製造装置
US5196004A (en) * 1985-07-31 1993-03-23 C. R. Bard, Inc. Infrared laser catheter system
JPS6241744A (ja) 1985-08-12 1987-02-23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セメントスラリ−用添加剤
US4850352A (en) * 1986-12-24 1989-07-25 Johnson Gerald W Laser-surgical instrument with evacuation tip
WO1989000871A1 (en) * 1987-07-24 1989-02-09 Katona Belane Apparatus for irradiating by polarised light
US4860172A (en) 1988-01-19 1989-08-22 Biotronics Associates, Inc. Lamp-based laser simulator
US5037421A (en) * 1989-10-06 1991-08-06 Coherent, Inc., Medical Group Mid-infrared laser arthroscopic procedure
US5092773A (en) 1989-01-18 1992-03-03 Endo Tech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 tooth canal
IT1233147B (it) * 1989-02-09 1992-03-14 El En S R L Dispositivo per l'allineamento di un fascio laser all'interno di un braccio tubolare articolato
JPH044910A (ja) 1990-04-19 1992-01-09 Mitsubishi Heavy Ind Ltd 圧延機用ロール
US6110167A (en) * 1990-10-31 2000-08-29 Premier Laser Systems, Inc. Contact tip for laser surgery
US5263952A (en) * 1992-03-25 1993-11-23 Spectranetics Two-piece tip for fiber optic catheter
IL102083A (en) * 1992-06-03 1997-01-10 Laser Ind Ltd Laser beam delivery system
JPH0682627A (ja) 1992-08-31 1994-03-25 Fujikura Ltd レーザ光伝送用ファイ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7172U (ja) 1992-09-17 1994-04-12 極東電子株式会社 バインダー等における自立型表紙
DE4236318A1 (de) * 1992-10-28 1994-05-05 Herbert Braeuer Zum Transport zusammenklapp- und schiebbares Stativ z. B. für elektromedizinische Kleinapparate
JP3167844B2 (ja) * 1993-10-08 2001-05-21 テルモ株式会社 固体レーザ装置
JP2585980B2 (ja) 1994-12-13 1997-02-26 スペクトラン スペシアリティ オプティクス カンパニー 光ファイバ・デフューザチップ
JPH09173353A (ja) 1995-12-27 1997-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ローブ装置
US5703985A (en) * 1996-04-29 1997-12-30 Eclipse Surgical Technologies, Inc. Optical fiber device and method for laser surgery procedures
US6146409A (en) * 1996-05-20 2000-11-14 Bergein F. Overholt Therapeutic methods and devices for irradiating columnar environments
JPH10165522A (ja) 1996-12-09 1998-06-23 Tokyo Iken Kk 理学診療用光ファイバ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用アー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2355A (en) * 1992-10-19 1994-08-30 Laser Centers Of America Energy delivering cap element for end of optic fiber conveying laser ener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33412B2 (en) 2001-05-10
US6217605B1 (en) 2001-04-17
AU4680997A (en) 1998-06-11
CA2224361A1 (en) 1998-06-09
JPH10165522A (ja) 1998-06-23
EP0846476A3 (en) 1999-06-30
EP0846476A2 (en) 1998-06-10
US6287300B1 (en) 2001-09-11
CN1184685A (zh) 1998-06-17
KR19980063640A (ko) 1998-10-07
TW349873B (en) 199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001B1 (ko) 의료진료용광섬유장치및광섬유용의아암장치
JPH0468945B2 (ko)
US4597382A (en) Medical speculum and procedure
US4583526A (en) Flexible endoscope structure
US11612802B2 (en) Range-of-motion exercise device having an audible feedback mechanism
CN102836002B (zh) 一种克氏针导向装置
CN202761430U (zh) 一种克氏针导向装置
JPH06254105A (ja) 照射器具用光導電体
US4966450A (en) Light radiation stand
EP0752254A1 (en) Infrared treatment device for phys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JPH0627172Y2 (ja) 理学診療用赤外線治療器
AU750631B2 (en) Arm device for retaining and positioning an optical fiber unit for medical examination
JP2002360714A (ja) 光ファイバ用アーム装置
US5733291A (en) Long bone alignment tool
CN109846542B (zh) 一种髓内钉定位系统
KR0121842Y1 (ko)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
GB2230183A (en) An attachment for a light radiating device
RU93025579A (ru) Прибор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лости уха и носа
SU29439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МЕТКИ ОБЪЕКТОВ ОБЛУЧЕНИЯ
RU2093203C1 (ru) Способ концентрации физических излучений челове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1033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контрактур плечевого и локтевого сустава
Melnik et al. Light penetration in human skin: in-vivo measurements using isotropic detector
CN117838337A (zh) 一种肘关节转向运动器
RU26928U1 (ru) Аппарат для устранения послеожоговой контрактуры вайнштейна
CN117205036A (zh) 一种骨科腕关节镜手术用的手臂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