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842Y1 -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 - Google Patents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842Y1
KR0121842Y1 KR2019930012540U KR930012540U KR0121842Y1 KR 0121842 Y1 KR0121842 Y1 KR 0121842Y1 KR 2019930012540 U KR2019930012540 U KR 2019930012540U KR 930012540 U KR930012540 U KR 930012540U KR 0121842 Y1 KR0121842 Y1 KR 0121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frared rays
infrared
optical fiber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086U (ko
Inventor
히로아키 곤도오
Original Assignee
곤도오 슈우난
토오쿄오이켄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곤도오 슈우난, 토오쿄오이켄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곤도오 슈우난
Priority to KR2019930012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842Y1/ko
Publication of KR9500030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0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842Y1/ko

Links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에서는 할로겐램프(1)가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발생하고, 가요성을 보유하는 광섬유라이트가이드(3)가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환부에 안내한다. 컬러글라스여파기(6)가 광섬유라이트가이드의 선단면에서 출사되는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에서 소정범위 파장대의 빛을 차단하고, 집광렌즈군(7)이 컬러글라스여파기를 통과한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집광하고, 직선편광판(8)이 집광렌즈군에 의하여 집광된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직선편광시켜서 환부에 조사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환부가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에 의하여 치료된다.

Description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관한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의 주요부를 표시하는 부분측면도.
제2도(a)는 제1도중의 프로우브(probe)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일부단면분해측면도.
제2도(b)는 제1도중의 프로우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조립측면도.
제2도(c)는 제1도중의 프로우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본 실시예의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의 렌즈경통을 제거한 상태에서 광선의 출력상태를 표시하는 요부측면도.
제4도(a)는 본 실시예의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의 렌즈경통을 부착한 상태에서 환부에 점(spot)현상으로 조사되는 광선을 표시하는 도면.
제4(b)는 본 실시예의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의 렌즈경통을 제거한 상태에서 환부에 면형상으로 조사되는 광선을 표시하는 도면.
제5도는 본 실시예의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에 있어서의 파장분포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할로겐램프2:보호파이프
3:광섬유라이트가이드4;염화비닐관
5:프로우브(probe)6:컬러글라스여파기
7:집광렌즈군8:직선편광판
9:렌즈경통11:출력가변전원회로
12:지지부재51:단차부
51a:홈51b:수나사부
52:선단 틀본체52a:홈
52b:암나사부53:패킹부재
54:O링
본 고안은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부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온열효과등에 의하여 환부를 치료하는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 종류의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는 일반적으로 적외선램프등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반사경으로 반사하여 환부에 조사시키는 간단한 것에 불과했다.
상술한 종래의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는 적외선램프 등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반사경으로 반사하여 넓은 범위의 환부에 조사하는 것이었으므로 작은 환부에 대해서는 충분하나 에너지밀도를 지닌 적외선을 조사할 수 없음과 아울러, 조사범위가 넓고 조사사시키지 않아야 할 범위에도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조사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점에 감안하여 할로겐램프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가요성을 보유하는 광섬유라이트가이드를 사용하여 환부에 안내하도록 한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는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발생하는 할로겐램프와, 상기한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환부에 안내하는 가요성을 보유하는 광섬유라이트가이드 및 이 광섬유라이트가이드의 선단면에서 출사되는 상기한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에서 소정범위 파장대의 빛을 차단하는 컬러글라스여파기와, 이 컬러글라스여파기를 통과한 상기한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집광하는 집광렌즈군과, 이 집광렌즈군에 의하여 집광된 상기한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직선으로 편광시키는 직선편광판 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에서는 할로겐램프가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발생시키고, 가요성을 보유하는 광섬유라이트가이드가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환부에 안내하고, 컬러글라스여파기가 광섬유라이트가이드의 선단면에서 출사되는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에서 소정범위 파장대의 빛을 커트하고, 집광렌즈군이 컬러글라스여파기를 통과한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집광하고, 직선편광판이 집광렌즈군에 의하여 집광된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직선으로 편광시킨다.
다음에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관한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의 주요부를 표시하는 일부파쇄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는 할로겐램프(1)와 보호파이프(2) 및 광섬유라이트가이드(3)와 염화비닐관(4), 프로우브(5), 컬러글라스여파기(6), 집광렌즈군(7), 직선편광판(8), 렌즈경통(9) 등으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11은 할로겐램프(1)에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가변회로, 부호 12는 할로겐램프(1) 및 보호파이프(2)를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각각 표시한다.
할로겐램프(1)는 광원에서 확산하는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광섬유라이트가이드(3)의 기단면에 효율양호하게 입광시키기 위하여 내면이 금속의 증착에 의하여 미러(mirror)코우팅되어 있다.
보호파이프(2)는 광섬유라이트가이드(3)의 기단부를 보호하고 있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이다.
광섬유라이트가이드(3)는 1개의 길이가 50μm의 석영계 다성분구조에서 굴절률이 다른 코어와 피복재(clad)로 이루어지는 광섬유가 19000개 묶여 제작되어 있다. 또한 광섬유라이트가이드(3)는 1.6μm 이상의 긴 파장대 적외선을 투과시키지 않는다.
염화비닐관(4)은 광섬유라이트가이드(3)를 끼워 통과시켜 광섬유라이트가이드(3)가 한도이상으로 구부러지지 않도록 주위에서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우브(probe)(5)는 광섬유라이트가이드(3)의 선단부에 고정부착되어 있고 손 또는 아암으로 잡아서 조작하는 부분이다.
컬러글라스여파기(6)는 컬러글라스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할로겐램프(1)에서 방사되는 빛의 파장이 0.3μm의 자외선에서 5.0μm의 적외선까지 있으므로 생체심달성(生體深達性)이 낮은 0.6μm 이하의 단파장대의 빛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제5도 참조).
집광렌즈군(7)은 광섬유라이트가이드(3)의 선단면에서 출사되는 빛이 30° 정도의 확산각도로 확산하므로(제3도 참조) 이것을 평행광속(光束)에 가까운 단면이 원형인 광속으로 집광하기 위한 렌즈군이다.
직선편광판(8)은 필름형상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액으로 염색하고 표리양면을 광학글라스판으로 덮어 형성되어 있고, 0.6~1.6μm 정도 파장대의 빛의 편광면을 직선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직선으로 편광된 적외선은 생체고분자의 활성화나 미소한 순환의 개선등에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치료효과를 높인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렌즈경통(9)은 프로우브(5)의 선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떼어냈을 때에는 광섬유라이트가이드(3)의 선단면에서 30° 정도의 확산각도를 보유하는 빛이 출사되고(제4도(b)참조), 부착했을 때에는 평행광속에 가까운 단면이 원형인 광속이 출사되도록 한다(제4도(a) 참조).
제2도(a)~(b)는 프로우브(5)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일부단면분해측면도,조립측면도 및 측면도이다. 프로우브(5)의 선단부에는 제2도(a)에 표시하듯이 프로우브(5) 보다도 한 단계 얇게 된 단차부(51)가 설치되어 있고 단차부(51)의 중간쯤에는 홈(51a)이 형성되며, 단차부(51)의 선단부의 수나사부(51b)에는 나사홈이 새겨져 있다. 수나사부(51b)에는 단차부(51)와 동일한 지름을 보유하는 선단 틀본체(52)의 내면에 나사홈이 새겨진 암나사부(52b)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선단 틀본체(52)의 중앙에는 투과구멍이 뚫려 형성되어 있고,그 투과구멍에 대응하도록 컬러글라스여파기(6) 및 실리콘수지제의 패킹부재(53)가 배치되어 있다. 수나사부(51b)에 대하여 암나사부(52b)를 나사식으로 결합하면 제2도(b)도에 표시하듯이 선단 틀본체(52)가 단차부(51)와 일체화함과 아울러 패킹부재(53)가 단차부(51)의 선단면에서 억압되어서 컬러글라스여파기(6)를 선단 틀본체(52) 내에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선단 틀본체(52)가 단차부(51)에 나사식으로 부착된 상태에서는 단차부(51)와 선단 틀본체(52) 사이로 홈(51a)과 같은 홈(52a) 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홈(51a) 및 홈(52a)에는 제2도(c)에 표시하듯이 실리콘수지제인 O링(54)이 각각 끼워 붙이도록 되어 있다. 이들 O링(54)에 의하여 프로우브(5)에 렌즈경통(9)을 감합했을 때에 렌즈경통(9)은 마찰력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어 프로우브(5)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할로겐램프(1)에서 발생된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은 광섬유라이트가이드(3)의 기단면에 입광된다.
광섬유라이트가이드(3)는 1.6μm 이상의 긴파장대의 적외선을 거트하고 다른 파장대의 빛을 통과시키고, 그 통과된 빛은 각 광섬유내의 코어내를 피복재에 의하여 반사되면서 선단면까지 도달하여 출사된다.
광섬유라이트가이드(3)의 선단면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은 컬러글라스여파기(6)에 의하여 생체심달성이 높은 0.6~1.6μm 정도의 파장대의 빛만 통과되어 프로우브(5)의 선단면에서 출사된다.
프로우브(5)의 선단면에서 출사된 빛은 집광렌즈군(7)에 의하여 집광되고 더우기 직선편광판(8)에 의하여 직선으로 편광되어서 환부에 조사된다.
이 때에 광섬유라이트가이드(3)는 가요성을 보유하고 만곡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프로우브(5)를 조각하므로서 어떠한 부위의 환부에 대해서도 제4도(a)에 표시하듯이 적외선을 집중하여 높은 에너지밀도에서 점(spot)형상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제4도(b)에 표시하듯이 렌즈경통(9)을 프로우브(5)에 장차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프로우브(5)의 선단면에서 출사되는 빛은 확산각이 30° 정도이므로 적외선을 환부에 광범위하게 조사시킬 수도 있다.
제5도에 표시하듯이 렌즈경통(9)의 선단면에서 출사되는 빛은 적색으로 보이는 가시광선이 전체의 5% 정도, 몸 속 깊게 들어가서 흡수되어 온열효과를 부여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근적외선이 95% 정도가 되는 비율이다. 또 렌즈경통(9)의 선단면에서 출사되는 빛은 1.0μm 부근에 강한 피이크(peak)가 있고, 0.6~1.6μm 정도 파장대의 빛은 생체심달력이 크고 생체심부의 가온 및 활성화를 촉진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는 할로겐램프(1)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출력가변전원회로(11)에 의하여 쉽게 그 출력을 가변으로 할 수 있고, 예컨대 0.0~1.8W까지 연속적으로 출력이 가변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프로우브(5) 또는 렌즈경통(9)을 환부에 접속시켜 적외선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낮은 출력으로 조사하고 환부에서 떨어져 조사하는 경우에는 높은 출력으로 조사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며 할로겐램프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함유하는 빛을 가요성을 보유하는 광섬유라이트가이드를 사용하여 환부에 안내하도록 한것으로서 작은 환부에 대해서도 충분한 에너지 밀도를 지닌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광섬유라이트가이드가 가요성을 보유하므로 취급이 쉽고 손으로 다루기가 양호함과 아울러 어떠한 부위의 환부에도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는 적외선을 높은 에너지밀도로 점(pot)형상으로 환부에 조사할 수 있으므로 다음에 열거하게 되는 증상에 효과가 있다.
(1) 쑤신통증(疼痛)의 완해
아급성, 만성의 근육, 관절 등의 쑤신통증, 신경통
① 목부-경추의 통증, 채찍질증, 잘못된 잠
② 어깨부-등허리부-견비통, 등허리통, 어깨관절의 삠
③ 허리부-요통, 좌골신경통, 추간판이 뒤로 불거져 아픈 통증
④ 팔-팔목관절통, 테니스팔목, 엄지탄발지통
⑤ 발-무릎관절통
(2) 염증성의 통증, 외상(급성기가 지난 것)
염좌, 골절, 힘줄염, 요통, 심부의 근육, 질긴띠의 부상에서 오는 통증이나 근육의 경련(spasm)의 진정
(3) 관절염 및 류우머티즘(rheumatism)
류우머티즘성관절염, 변형성골관절염(급성, 아급성을 제외)
(4) 피부질환
만성피부염, 심상성좌창, 욕창

Claims (1)

  1. 할로겐램프(1)로 부터 발생된 적외선을 함유한 빛을, 가요성을 가지는 광섬유라이트가이드(3)을 통하여 안내하고, 프로우브(5)로 부터 환부에 조사하는 것에 의하여 치료를 하는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에 있어서, 상기한 프로우브(5)의 선단을 그 프로우브(5)보다도 1단 얇게 되도록 설치하여 그 중간에 홈을 형성하고, 선단부 끝에 수나사부(51b)가 나사식으로 형성된 단차부(51)와, 이 단차부(51)와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내면에 상기한 수나사부(51b)와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암나사부(52b)가 나사식으로 형성된 선단틀본체(52)와, 상기한 단차부(51)와 상기한 선단 틀본체(52)의 사이에 패킹부재(53)를 거쳐 삽입되는 컬러글라스여파기(6)와, 상기한 홈에 끼워진 O링(54)과, 상기한 집광렌즈군(7) 및 직선편광판(8)을 가지며, 상기한 O링(54)을 거쳐 상기한 단차부(51) 및 상기한 선단 틀본체(52)의 외주에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며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진 렌즈경통(9)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
KR2019930012540U 1993-07-08 1993-07-08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 KR0121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540U KR0121842Y1 (ko) 1993-07-08 1993-07-08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540U KR0121842Y1 (ko) 1993-07-08 1993-07-08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086U KR950003086U (ko) 1995-02-16
KR0121842Y1 true KR0121842Y1 (ko) 1998-07-01

Family

ID=6085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540U KR0121842Y1 (ko) 1993-07-08 1993-07-08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8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933A (ko) * 2002-03-19 2002-04-12 나용균 발용 적외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933A (ko) * 2002-03-19 2002-04-12 나용균 발용 적외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086U (ko)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272B1 (ko) 치료용 조사광 삽입기구(照射光揷入機具)
RU2035896C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ветолечения опухолей
US8439904B2 (en) Tapered fused waveguide for teeth whitening
KR910005219B1 (ko) 치료용 광조사 장치
US7374569B2 (en) Dynamically distributing power of a light beam for use in light therapy
US20220016440A1 (en) Non-ablative photon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N1029389C (zh) 光辐射治疗仪
JPS6033071B2 (ja) 手術用ブラント・フツク
US6287300B1 (en) Optical fiber unit for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and arm device for the optical fiber
JP2005056608A (ja) 光照射装置及びこの光照射装置を使用する光線治療器
KR0121842Y1 (ko) 이학진료용 적외선치료기
EP0752254A1 (en) Infrared treatment device for phys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JPH0627172Y2 (ja) 理学診療用赤外線治療器
US5579423A (en) Optical fiber laser device
JPS6258485B2 (ko)
CA2154342A1 (en) Infrared treatment device for phys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KR200332724Y1 (ko) 삽입형 광선 치료기
JPH0523779B2 (ko)
CN219397173U (zh) 一种光热疗法内窥镜探头
KR200319284Y1 (ko) 적외선 치료기
KR200221260Y1 (ko) 적외선등 치료기
RU7U1 (ru) Прибор для акупунктуры
CN1037581C (zh) 一种光谱辐射治疗仪
KR20020088317A (ko) 방사 전달 방법 및 장치
Pan et al. Light distribution from optical fiber diff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