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111B1 -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111B1
KR100365111B1 KR1020000073735A KR20000073735A KR100365111B1 KR 100365111 B1 KR100365111 B1 KR 100365111B1 KR 1020000073735 A KR1020000073735 A KR 1020000073735A KR 20000073735 A KR20000073735 A KR 20000073735A KR 100365111 B1 KR100365111 B1 KR 100365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nel
outer panel
vehicle
sid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379A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3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111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도어 하단에 위치하는 사이드실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 보강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차량의 사이드실에는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제1외측패널 및 제2외측패널과, 제1내측패널 및 제2내측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외측패널과 제2내측패널에는 내측멤버가 착설되고, 제2외측패널에는 외측멤버가 착설되도록 한다. 상기 내측멤버와 외측멤버에는 완충파이프의 양측단이 착설되도록 함으로서 외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이 제1외측패널 및 제2외측패널을 통해 완충파이프에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완충파이프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로 이루어져 충격이 인가되면 제2파이프가 제1파이프로 삽입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시트 및 사이드앵커 등이 이탈되지 않아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 보강구조{Car's side sill reinforc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사이드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 하단에 위치하는 사이드실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앞문과 뒷문이 있으며, 상기 앞문과 뒷문의 사이에는 뒷문이 고정되는 필러(piller)가 있고, 앞문과 뒷문의 문지방의 역할을 하는 사이드실(side sill)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측면 섀시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로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사이드실(10)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에 사이드실외측패널(12)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실외측패널(12)의 내측면에는 사이드실외측보강재(14)가 착설된다. 상기 사이드실외측보강재(14)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지지대(16)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6)의 끝단에는 사이드실내측보강재(18)가 착설된다. 상기 사이드실내측보강재(18)의 내측면에는 사이드실내측패널(20)이 착설된다. 즉, 종래의 사이드실(10)은 여러개(4∼5개)의 보강재 및 패널을 겹쳐서 구성시킴으로서 튼튼한 강성의 특성을 갖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사이드실(10)을 조립하기 위한 라인작업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무게의 증가로 연비가 불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한 박스(box)형태로 조립되므로 측면으로부터 약간의 충격이 인가되어도 사이드실(10)의 전체에 힘이 인가되어 사이드실(10)의 변형정도가 심하게 되고, 시트 및 측면앵커(side anchor)등이 이탈되어 실내 구조물에 의한 승객의 상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도어 하단에 위치하는 사이드실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측면 섀시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측면 섀시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Z"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Z"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30 : 사이드실 32 : 제1외측패널
34 : 제2외측패널 36 : 외측멤버
40 : 제1내측패널 42 : 제2내측패널
44 : 외측멤버 50 : 완충파이프
52 : 제1파이프 54 : 돌출부
56 : 제2파이프 58 : 가이드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사이드실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실은 외부의 충격이 인가되는 외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1외측패널; 상기 제1외측패널의 내측면에 착설되는 제2외측패널; 상기 제2외측패널과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착설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내측패널; 상기 제1내측패널의 내측면에 착설되는 제2내측패널; 상기 제2내측패널에 착설되는 내측멤버; 상기 제2외측패널에 내측멤버에 대향하도록 착설되는 외측멤버; 그리고 상기 내측멤버와 외측멤버의 사이에 제1내측패널의 홀을 통해 설치되며, 양측단이 내측멤버와 외측멤버에 착설되는 완충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 보강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완충파이프는 실린더기능을 하는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에 삽입되는 제2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파이프에는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엠보싱의 형상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파이프에는 제1파이프의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상하면에 각각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사이드실에는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제1외측패널 및 제2외측패널과, 제1내측패널 및 제2내측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외측패널과 제2내측패널에는 내측멤버가 착설되고, 제2외측패널에는 외측멤버가 착설되도록 한다. 상기 내측멤버와 외측멤버에는 완충파이프의 양측단이 착설되도록 함으로서 외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이 제1외측패널 및 제2외측패널을 통해 완충파이프에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완충파이프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로 이루어져 충격이 인가되면 제2파이프가 제1파이프로 삽입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시트 및 사이드앵커 등이 이탈되지 않아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측면 섀시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Z"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Z"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사이드실(30)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인가되는 외측 하단에 제1외측패널(32)이 착설되고, 상기 제1외측패널(32)의 내측면에는 제2외측패널(34)이 착설된다. 상기 제2외측패널(34)로부터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하는 위치에 제1내측패널(40)이 착설되고, 상기 제1내측패널(40)의 내측면에는 제2내측패널(42)이 착설된다. 상기 제1내측패널(40)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내측패널(42)에는 내측멤버(44)가 착설된다. 또한, 상기 제2외측패널(34)에는 제2내측패널(42)에 착설된 내측멤버(44)에 대향하는 위치에 외측멤버(36)가 착설된다.
상기내측멤버(44)와 외측멤버(36)에는 완충파이프(50)의 양측단이 착설된다. 상기완충파이프(50)는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도록 제1파이프(52)와 제2파이프(56)로 이루어지며, 제1내측패널(40)에 구비되는 홀의 위치에 각각 착설된다. 상기 제2파이프(56)는 제1파이프(52)에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파이프(52)의 상하면에는 가이드홈(58)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58)은 올록볼록한 엠보싱의 형상을 갖으며, 상기 제2파이프(56)에는 가이드홈(58)에 삽입되는 돌출부(54)가 착설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54)는 제2파이프(56)의 상하면에 각각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2파이프(56)가 제1파이프(52)로 삽입되면 돌출부(54)는 가이드홈(58)을 이동을 한다. 상기 가이드홈(58)은 엠보싱의 형상을 가지므로 돌출부(54)가 가이드홈(58)을 따라 이동을 할 경우 엠보싱이 걸림턱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사이드실(30)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인가되어 제2파이프(56)가 제1파이프(52)로 삽입되는 경우 돌출부(54)가 가이드홈(58)의 엠보싱에 걸리게 되므로 제2파이프(56)가 제1파이프(52)로 깊이 삽입될수록 충격이 점진적으로 흡수된다.
일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외부로부터 사이드실(30)에 충격이 인가되면 제1외측패널(32)과 제2외측패널(34)에 충격이 인가되어 제1외측패널(32)과 제2외측패널(34)이 차례로 내측방향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상기 제2내측패널(42)이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면 제2외측패널(34)의 외측멤버(36)에 착설되어 있는 완충파이프(50)인 제2파이프(56)가 제1파이프(52)로 삽입된다. 상기 제2파이프(56)가 제1파이프(52)로 삽입되면 제2파이프(56)에 착설된 돌출부(54)가 제1파이프(52)의가이드홈(58)에 형성된 엠보싱에 걸리게 되므로 충격이 완충파이프(50)에서 점진적으로 흡수된다. 상기 완충파이프(50)에서 충격이 흡수되므로 제1파이프(52) 및 제2파이프(56)에 인가되는 충격이 크게 감소하게 되므로 승객의 부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실에는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제1외측패널 및 제2외측패널과, 제1내측패널 및 제2내측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외측패널과 제2내측패널에는 내측멤버가 착설되고, 제2외측패널에는 외측멤버가 착설되도록 한다. 상기 내측멤버와 외측멤버에는 완충파이프의 양측단이 착설되도록 함으로서 외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이 제1외측패널 및 제2외측패널을 통해 완충파이프에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완충파이프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로 이루어져 충격이 인가되면 제2파이프가 제1파이프로 삽입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시트 및 사이드앵커 등이 이탈되지 않아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사이드실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실은 외부의 충격이 인가되는 외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1외측패널; 상기 제1외측패널의 내측면에 착설되는 제2외측패널; 상기 제2외측패널과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착설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내측패널; 상기 제1내측패널의 내측면에 착설되는 제2내측패널; 상기 제2내측패널에 착설되는 내측멤버; 상기 제2외측패널에 내측멤버에 대향하도록 착설되는 외측멤버; 그리고 상기 내측멤버와 외측멤버의 사이에 제1내측패널의 홀을 통해 설치되며, 양측단이 내측멤버와 외측멤버에 착설되는 완충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 보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파이프는 실린더기능을 하는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에 삽입되는 제2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파이프에는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엠보싱의 형상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파이프에는 제1파이프의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상하면에 각각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 보강구조.
KR1020000073735A 2000-12-06 2000-12-06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보강구조 KR100365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735A KR100365111B1 (ko) 2000-12-06 2000-12-06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735A KR100365111B1 (ko) 2000-12-06 2000-12-06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379A KR20020044379A (ko) 2002-06-15
KR100365111B1 true KR100365111B1 (ko) 2002-12-16

Family

ID=2767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735A KR100365111B1 (ko) 2000-12-06 2000-12-06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1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59B1 (ko) * 2010-03-29 2012-05-29 주식회사 새한산업 차량용 사이드 실 유닛
KR101286675B1 (ko) * 2011-09-27 2013-07-1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의 사이드 실 유닛
KR101795236B1 (ko) * 2016-04-12 201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흡수 유닛, 충격흡수 유닛 제조방법 및 충격흡수 보강재
KR20220062984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용 사이드 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046B1 (ko) * 2012-09-12 2013-12-3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체 보강 유닛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049A (ko) * 1995-06-15 1997-01-21 전성원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KR970020868A (ko) * 1995-10-10 1997-05-28 전성원 승용차체의 폭방향 보강구조
KR970037079U (ko) * 1995-12-14 1997-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사이드실구조
KR19980036846A (ko) * 1996-11-19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100259601B1 (ko) * 1995-12-27 2000-06-15 류정열 차체 측면 섀시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049A (ko) * 1995-06-15 1997-01-21 전성원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KR970020868A (ko) * 1995-10-10 1997-05-28 전성원 승용차체의 폭방향 보강구조
KR970037079U (ko) * 1995-12-14 1997-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사이드실구조
KR100259601B1 (ko) * 1995-12-27 2000-06-15 류정열 차체 측면 섀시구조
KR19980036846A (ko) * 1996-11-19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59B1 (ko) * 2010-03-29 2012-05-29 주식회사 새한산업 차량용 사이드 실 유닛
KR101286675B1 (ko) * 2011-09-27 2013-07-1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의 사이드 실 유닛
KR101795236B1 (ko) * 2016-04-12 201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흡수 유닛, 충격흡수 유닛 제조방법 및 충격흡수 보강재
US10059374B2 (en) 2016-04-12 2018-08-28 Hyundai Motor Company Impact absorption unit, manufacturing method of impact absorption unit, and impact absorption reinforcement
KR20220062984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용 사이드 실
KR102468038B1 (ko) * 2020-11-09 2022-11-17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용 사이드 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379A (ko) 200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111B1 (ko) 차량의 사이드실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보강구조
KR100747029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부 구조
JP3677979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構造
KR100302741B1 (ko) 차량용사이드실
KR100267900B1 (ko) 자동차 센터필러의 보강구조
KR200151749Y1 (ko) 자동차용 범퍼스테이의 취부구조
KR0151331B1 (ko) 충돌 에너지 흡수형 필러 트림 구조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200211073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10033521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도어
KR0148862B1 (ko) 자동차의 범퍼 백빔
KR0120428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0120431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센타플로워 리어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100440856B1 (ko) 자동차의 범퍼
JPH11255149A (ja) 車輌のルーフサイドレール
KR100307096B1 (ko) 충격흡수능력이 향상된 차량용 필라트림구조
KR100355945B1 (ko) 차량의 차체 사이드 실 보강 구조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0120537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200210036Y1 (ko) 차량용 사이드 실 패널 어셈블리
KR100394706B1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KR19980058894U (ko) 차량의 프론트프레임 보강구조
KR100520965B1 (ko) 자동차의 센터필라부 보강구조
KR0123053B1 (ko) 자동차 플로어판넬의 보강구조
KR0112680Y1 (ko) 승용차용 리어범퍼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