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215B1 - (요크브릿지를이용하지않는)렌즈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요크브릿지를이용하지않는)렌즈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215B1
KR100362215B1 KR1019950048825A KR19950048825A KR100362215B1 KR 100362215 B1 KR100362215 B1 KR 100362215B1 KR 1019950048825 A KR1019950048825 A KR 1019950048825A KR 19950048825 A KR19950048825 A KR 19950048825A KR 100362215 B1 KR100362215 B1 KR 100362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ocusing
yoke
moving part
objecti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060A (ko
Inventor
도미야마다까미찌
미쯔모리고지
시바따게이찌
오구마히데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렌즈이동장치는 예를들어, 광학기록/재생시스템의 광학픽업용으로 사용된다. 장치는 대물렌즈를 이동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코일보빈과,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탄성지지소자와, 코일보빈에 감겨진 포커싱코일 및 트래킹코일과, 요크 및 자석으로 구성된 자기회로와 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은, 포커싱코일의 유효부분에서부터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까지의 간격과 유효부분에서 발생된 힘과의 곱이 포커싱코일의 무효부분에서부터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까지의 간격과 무효부분에서 발생된 힘과의 곱과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위치된다.

Description

(요크브릿지를 이용하지 않는)렌즈이동장치
본 발명은 광학디스크 또는 광자기디스크등과 같은 광학정보기록매체에 관하여 신호를 기록 및 재생시키기 위해 사용된 광학픽업용 2축 액추에이터(actuator)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광학디스크(소위 컴팩트디스크(CD)) 및 광자기디스크등과 같은 정보기록매체에 관하여 정보신호의 기록 및 재생은 광학픽업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되었다.
광학픽업은 광원으로써의 반도체레이저와, 대물렌즈와, 광학시스템과, 광검출기를 포함하고 있다.
광학픽업에 있어서, 반도체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선은 광학시스템을 거쳐 대물렌즈에 의해 광학디스크기록면에 집광된다. 그런 다음, 광학디스크에 의해 반사된 광선은 광학시스템에 의해 반도체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선과 함께 분산되어 광검출기내로 투입된다.
대물렌즈의 광축방향을 따르는 위치는, 반도체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선이 광학디스크의 표면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서 광학디스크의 뒤틀림등에 의해 야기되는 광학디스크의 변위에 응하여 광학디스크기록면에 집광되도록, 액추에이터(아래에 기술됨)에 의해 조정된다. 이와 동시에, 대물렌즈의 광축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르는 위치는, 광학디스크상의 반도체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선의 스폿위치가 광학디스크의 편심이나 광디스크에 형성된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액추에이터(아래에 기술됨)에 의해 조정된다.
반도체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선의 포커스위치와 광학디스크기록면상의 스폿위치에 대한 조정은 대물렌즈의 광축방향을 따르는 위치 뿐만아니라 대물렌즈의 광축에 직각하는 방향을 따르는 위치에서 대물렌즈를 조정함으로써 수행된다. 대물렌즈위치는 전자(電磁)구동형 액추에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조정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대물렌즈액추에이터 또는 2축액추에이터라 불리운다. 일 형태의 액추에이터는 대물렌즈가 장착되는 보빈(bobbin)과, 복수의 탄성지지부재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보빈은 고정부에 대하여 복수의 탄성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그러한 방식으로 보빈으로 하여금 광축방향을 따르는 대물렌즈의 위치 즉, 포커스위치와, 대물렌즈의 광축에 직각하는 방향을 따르는 위치 즉, 트래킹위치를 조정하도록 해준다. 제 5도를 참고로 하여, 2축액추에이터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그러한 2축액추에이터는 예를들어 제 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된다.
도면을 참고로 하면, 2축액추에이터(1)는 그 전단에 대물렌즈(2a)를 장착하고 있는 렌즈홀더(2)와, 렌즈홀더(2)에 본딩등으로 장착된 코일보빈(3)과,를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렌즈홀더(2)는 두쌍의 탄성지지부재(5)에 의해 지지되며, 각 쌍중 한쪽단은 렌즈홀더(2)의 양측에 고정되고 각 쌍중 다른쪽단은 고정부(4)에 고정되어, 그 결과, 홀더(2)는 두개의 방향을 따라 즉, Trk로 표시된 트래킹방향과 Fcs로 표시된 포커싱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코일보빈(3)은 제 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구성된다.
코일보빈(3)은 Fcs로 표시된 포커싱방향을 따라 보빈을 통해 오른쪽으로 연장하는 개구부(3a)와, 개구부(3a)를 감싸는 방식으로 감겨진 포커싱코일(3b)과, 코일보빈(3)의 앞측의 두위치에 설치된 트래킹코일(3c)과를 포함한다. 각각의 포커싱코일(3b)과 트래킹코일(3c)의 끝단은 코일보빈(3)의 뒤쪽에 설치된 접속핀(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가 포커싱코일(3b)과 트래킹코일(3c)을 통해서 상술된 접속핀을 거쳐서 흐르면, 자속이 코일(3b)과 코일(3c)에 발생된다. 그 자속은 고정부(4)에 집적하여 장착된 요크(6)내의 자속 및 요크(6)와 접해있는 영구자석(7)의 자속과 상호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코일(3b, 3c)은 요크(6)의 내부요크부재(6a)와 대향요크부재(6b)사이의 유효전계내측의 코일부분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야기시키는 등, 포커싱방향 또는 트래킹방향을 따르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보다 특히, 포커싱방향(Fcs)을 따라 렌즈홀더(3)를 이동시키는 힘(F1)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서, 포커싱코일(3b)의 유효부분(3b-1)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다. 유효부분(3b-1)은 내부요크부재(6a)와 대향요크부재(6b)사이에 존재하며, 포커싱작동을 조절하는데 기여한다. 반면에, 트래킹방향(Trk)을 따라 렌즈홀더(3)를 이동시키는 힘(F2)(도시생략)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서, 내측에서 수직연장하는 트래킹코일(3c)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다.
내부요크부재(6a)와 대향요크부재(6b)는 그 상단이 요크브릿지(6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요크브릿지(6c)는 자성재료로 구성되며, 내부요크부재(6a)와 대향요크부재(6b)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경로를 폐쇄시키고 있다. 이것은 자속이 무효부분(3b-2)(포커싱작동을 제어하는데 기여하지 않으며 상기 언급한 포커싱코일(3c)의 유효부분(3b-1)에 대향하고 있음)을 통과해서 거의 완벽하게 요크브릿지(6c)에 의해 차단되도록 해주며, 그 결과 무효부분(3b-2)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 힘(역추력)(F3)은 무시해도 좋을 만큼 작아지게 된다.
상기 언급된 탄성지지부재(5)는 탄성재료로 구성되며 렌즈흘더(2)와 고정부(4)사이에 서로 평행이 되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탄성지지부재(5)는 그 단부(5a)에 고정부(4)와 인접하는 가요변위부(9)를 갖추고 있다.
그러한 구성에 따른 2축액추에이터(1)에 있어서, 외부에서 각 코일로 공급된 구동전압에 의해 각 코일에 발생된 자속은 요크(6)의 자속 및 영구자석(7)의 자속과 상호 작용하여 코일보빈(3)을 트래킹방향(Trk) 및 포커싱방향(Fcs)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렌즈홀더(2)에 장착된 대물렌즈(2a)는 원하는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그러한 구성에 따른 2축액추에이터(1)에 있어서, 소위 이동부 어셈블리(렌즈홀더(2) 및 대물렌즈(2a)와, 코일(3b, 3c)이 감겨진 코일보빈(3)과,를 포함하고 있음)는 포커싱 및 트래킹시 상기 언급된 구동력(F1, F2)에 의해 야기된 이동에 대하여 어떠한 위상차도 발생됨 없이, 제 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무게중심(G)이 상기 언급된 구동력(F1, F2)이 적용된 상태와 대략 일치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게중심이 구동력이 가해진 상태와 대략 일치하게 되면, 탄성지지부재(5)의 공진모드가 억제되게 된다.
그렇지만, 제 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러한 구성을 갖는 2축액추에이터(1)에 있어서는, 그 좌측에 무거운 대물렌즈(2a)를 갖는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G)을 포커싱코일(3b) 및 트래킹코일(3c)로 인한 구동력(F1, F2)의 작용점과 대략 일치시키기 위해, 렌즈홀더(2)의 최후단부(도면의 우측단)에 평형추(balance weight)(8)가 부가되어 있다.
게다가, 요크브릿지(6c)가 영구자석(7)에 의해 발생된 자속과 요크(6)로 인해 발생된 자속이 포커싱코일(3b)의 유효부분에 대향하는 무효부분(3b-2)을 통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내부요크부재(6a)와 대향요크부재(6b)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시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많은 부품이 사용되야만 하므로, 고가의 부품단가 및 조립단가를 야기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게다가, 이동부 어셈블리에 부가된 평형추(8)가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를 가중시킴에 따라서, 어셈블리 및 대물렌즈로 하여금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을 따라 구동되게 하는데 있어 둔감하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물렌즈를 유지하고 코일보빈을 갖춘 이동부 어셈블리와, 포커싱방향과 트래킹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어셈블리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지지부재와, 코일보빈에 감겨진 포커싱코일 및 트래킹코일과, 요크 및 자석으로 형성된 자기회로와,를 포함하여 구성된 렌즈이동장치가 제공된다.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은 포커싱코일의 유효부분으로부터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까지의 간격과 유효부분에서 발생된 힘과의 곱이 포커싱코일의 무효부분으로부터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까지의 간격과 무효부분에서 발생된 힘과의 곱과 대략 일치하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커싱코일의 유효부분에서 발생된 힘(F)에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힘(F')은 자기회로로부터의 누설자속을 이용하여 포커싱코일의 무효부분에서 발생되며, 그 결과, 힘(F)은 대향하는 힘(F')에 의해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에 대하여 평형되게 된다. 그렇게 함에 따라서,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를 감량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포커싱시 공진모드를 억제시킬 수도 있다.
그러한 구성에 따르면, 대물렌즈를 유지하고 있는 렌즈홀더가 탄성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면, 대물렌즈의 포커싱이나 트래킹을 실행하기 위해서, 포커싱코일이나 트래킹코일을 통해 통과하는 전류는 렌즈홀더로 하여금 탄성지지부재를 유지하는 힘에 반하여 포커싱방향이나 트래킹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야기시킨다.
포커싱코일은 내부요크부재와 대향요크부재사이에 배치된 유효부분 및 유효부분과 마주하는 무효부분에서 포커싱방향을 따르는 추력 및 역추력을 각각 발생시킨다.
역추력과 무효부분에서부터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까지의 간격과의 곱은 상술한 추력과 유효부분에서부터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G)까지의 간격과의 곱과 동등하다. 따라서, 포커싱코일의 유효부분과 마주하는 무효부분에서 발생된 역추력은 포커싱시 이동부 어셈블리의 이동으로 야기된 탄성지지부재의 공진모드를 억제시키게 된다.
평형추가 무게중심(G)을 트래킹코일의 전방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렌즈홀더의 최후단부에 고정되지 않으면, 이동부 어셈블리는 무게가 가벼워진다.
유효부분에 대향하는 포커싱 코일의 무효부분에서 발생된 역추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각각의 내부요크부재와 대향요크부재가 개방된 상단부를 가지게 되면, 자기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내부요크부재와 대향요크부재의 상단을 연결하는 요크브릿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제 1도 내지 제 4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당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아래에 주어질 것이다.
비록 다양한 적절한 기술적 제한이 설명되었지만, 아래에 설명될 본 실시예가 본 발명의 적당한 실시예이기 때문에, 다음설명에 있어 특정한 언급이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구성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은 그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제 1도 내지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일실시예의 2축액추에이터를 설명하고 있다. 제 1도 내지 제 3도를 참고로 하면, 2축액추에이터(10)는 렌즈홀더(11)와, 코일보빈(12)과, 복수의 탄성지지부재(13a, 13b, 13c, 13d)와, 고정부(14)와,요크(31)를 포함하고 있다.
제 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언급한 렌즈홀더(11)는 수평분할선에 의해 상단부(11U)와 하단부(11L)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부는 서로 접착되어 있다. 제 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렌즈홀더(11)는 코일보빈을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부(11a)를 가질 뿐만아니라 대물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한 홈(11b)을 가지고 있다.
홈(11b)의 바닥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통공은 반도체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통과시키거나 광학디스크기록면으로부터 되돌아오는 광선을 통과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대물렌즈(11c)는 본딩등에 의해 렌즈홀더(11)의 홈(11b)에 장착된다.
또한, 렌즈홀더(11)는 탄성지지부재(13a, 13b, 13c, 13d)에 의해 지지되며, 그러한 방식으로 렌즈홀더로 하여금 각각 포커싱방향(Fcs)(대물렌즈(11c)의 광축과 평행하는 방향) 및 트래킹방향(Trk)(대물렌즈(11c)의 광축과 직각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코일보빈(12)은 그 내부에 개구부(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베이스와 영구자석(32)이 집적형성된 요크(31)를 포함하는 자기회로를 삽입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자석은 내부요크부재(31a)의 안쪽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코일보빈에는 포커싱코일(12b)과 트래킹코일(12c)이 감겨져 있다.
포커싱코일(12b)은 대물렌즈(11c)의 광축과 평행한 축을 따라 코일보빈(12)에 감겨있다. 반면에, 트래킹코일(12c)은 타원형 혹은 정방형코일이다. 포커싱코일(12b)과 트래킹코일(12c)로 감겨져 있는 코일보빈(12)은 렌즈홀더(11)에형성된 개구부(11a)내로 고정된다.
탄성지지부재(13a, 13b, 13c, 13d)를 만들기 위한 재료로는 인청동, 베릴륨동, 티타늄동, 주석-니켈합금, 스테인레스강등이 도전성 및 탄성이 적당하기 때문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것들은 예를들어 박판스프링에 의해 시트재서스펜션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서스펜션(suspension)은 렌즈홀더(11)와 고정부(14)사이에 평행하게 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탄성지지부재(13a, 13b, 13c, 13d)는 외부의 전류공급수단(도시생략)으로부터의 구동전류가 포커싱코일(12b) 및 트래킹코일(12c)에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점성부재(16) 혹은 댐퍼는 탄성지지부재(13a, 13b, 13c, 13d)의 말단부(15)에 적용되어 굳어진다.
4개의 탄성지지부재(13a, 13b, 13c, 13d)에 연결된 렌즈홀더(11)와 고정부(14)에 따르면, 고정부(14)는 조정판(30)상에 장착되어 있다. 조정판(30)은 2축액추에이터(10)의 조립시 고정부(14)의 고정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접착등으로 요크와 집적형성된 베이스(31)상에 고정된다.
베이스(31)상으로의 조정판(30)의 장착은 상승부(30a)를 관련상승부(31c)와 땜질함으로써 수행된다. 상승부(30a)는 조정판(30)후단부의 양측둘레에서 상방으로 연장한다. 상승부(31c)는 베이스(31)후단부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한다.
베이스(31)는 상술한 자기회로를 구성하며, 대물렌즈측에서 베이스(31)의 에지로부터 상방으로 굽어 있는 한쌍의 요크부재(31a, 31b)와, 대향요크부재(31b)를마주하고 있는 내부요크부재(31a)의 내측에 장착된 영구자석(32)과,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자기회로는 한쌍의 요크부재(31a, 31b)와, 영구자석(32)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고정부(14)가 베이스(31)상에 장착될 때, 코일보빈(12)에 감겨진 포커싱코일(12b) 및 트래킹코일(12c)은 대향요크부재(31b)와 영구자석(32)사이의 간극내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내부요크부재(31a)와 영구자석(32)은 코일보빈(12)내의 개구(12a)내에 삽입된다.
2축액추에이터(10)의 코일보빈(12)은 제 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될 수 있다.
코일보빈(12)은 개구(12a)를 감싸도록 감겨져 있는 포커싱코일(12b)을 포함한다. 포커싱코일(12b)은 요크부재(31a, 31b)사이에 있는 유효부분(12b-1)과, 유효부분(12b-1)을 마주하여 있는 무효부분(12b-2)과를 가지고 있다. 포커싱코일(12b)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구동전류로 하여금 상기 포커싱코일(12b)의 유효부분(12b-1)과 무효부분(12b-2)을 통해 흐르게 한다. 내부요크부재(31a)와 대향요크부재(31b)사이에 배치되는 포커싱코일(12b)의 유효부분(12b-1)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서, 요크부재(31a, 31b)와 영구자석(32)으로 인한 자속과 서로 작용하여 포커싱방향(Fcs)을 따라 렌즈홀더(11)를 이동시키는 힘(F1)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요크와는 다르게, 내부요크부재(31a)와 대향요크부재(31b)의 상단부는 요크브릿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개방되어 있다.이것은 요크부재(31a, 31b)와 영구자석(32)로부터의 누설자속이 포커싱코일(12b)의유효부분과 마주하고 있는 무효부분(12b-2)을 통해 흐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속이 발생하면, 포커싱코일(12b)의 유효부분과 마주하고 있는 무효부분(12-b)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서, 요크부재(31a, 31b)와 영구자석(32)으로 인한 누설자속과 서로 작용하여, 포커싱방향(Fcs)을 따라 렌즈홀더(11)를 이동시키는 역추력(F3)을 발생시키게 된다.
포커싱코일(12b)과 트래킹코일(12c)이 감겨져 있는 코일보빈(12)과, 대물렌즈(11c)와, 렌즈홀더(11)와,를 포함하고 있는 이동부 어셈블리는 제 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무게중심(G)을 전방의 포커싱코일(12b-1)과 트래킹코일(12c)의 앞쪽으로 위치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무게중심의 위치는 무게중심(G)에서부터 2축액추에이터의 뒤쪽을 향한 포커싱코일(12b)의 유효부분(12b-1)까지의 간격 및 무효부분(12b-2)까지의 간격이 각각 L1 및 L3로 표시되면, 다음식 "(1)"이 성립되도록 선택된다.
F1 ×L1 = F3 ×L3 ‥‥‥(1)
제 5도에 나타낸 그러한 2축액추에이터(1)에 있어서,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G)은 포커싱코일(3b)의 유효부분(3b-1)과 트래킹코일(3c)과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반면, 본 실시예의 2축액추에이터(10)에 있어서, 무게중심(G)은 앞쪽으로 변위되어 있다. 그러한 무게중심위치의 차이는, 종래의 이동부 어셈블리 혹은 렌즈홀더(2)의 최후단부에 장착된 평형추(8)가 본 실시예의 2축액추에이터에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본 실시예의 2축액추에이터(10)는 상술한 방식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전류는 모두 포커스서보신호와 트래킹서보신호에 따라서 코일보빈(12)에 감겨진 각각의 포커싱코일(12b) 및 트래킹코일(12c)에 각각 공급된다.
이것이 자기회로의 직류자계와 포커싱코일(12b) 및 트래킹코일(12c)에 발생된 교류자계로 하여금 렌즈홀더(11) 즉, 대물렌즈(11c)를 포커싱방향(Fcs) 및 트래킹방향(Trk)을 따라 구동시키게 한다.
점성부재(16) 및 댐퍼는 탄성지지부재(13a, 13b, 13c, 13d)의 말단부(15)(고정부(14)에 인접되어 있음)상에 가해져서 굳어진다. 그 결과, 원하는 댐핑특성이 얻어진다. 댐퍼는 포커싱 및 트래킹시, 탄성지지부재(13a, 13b, 13c, 13d)의 떨림을 둔화시킨다.
제 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여기서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G)은 트래킹코일(12c)의 앞쪽으로 위치되어 있어 그 결과, 상기 설명한 바와같은 식"(1)"이 충족된다.
따라서, 포커싱코일(12b)의 유효부분을 마주하고 있는 무효부분(12b-2)에서 발생된 누설자속으로 인한 역추력(F3)이 무게중심에 관하여 유효부분(12b-1)에 발생된 추력(F1)과 평형하도록 이용되면, 역추력(F3)은 포커싱시, 탄성지지부재(13a, 13b, 13c, 13d)에서 추력(F1)으로 인해 발생되는 공진모드를 억제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커싱시, 탄성지지부재(13a, 13b, 13c, 13d)의 공진모드는 유효 부분을 마주하는 포커싱코일(12b)의 무효부분(12b-2)에서의 역추력(F3)에 의해 억제된다. 여기서, 포커싱코일(12b)의 유효부분을 마주하는 무효부분(12b-2)에서의 역추력(F3)이 사용됨으로써, 무효부분(12b-2)을 통해 흐르는 자계를 차폐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이것은 폐쇄자기회로를 형성시키기 위해 요크부재(31a, 31b)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요크브릿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포커싱코일에 있어서, 포커싱방향을 따르는 추력 및 역추력은 요크부재사이의 유효부분과 유효부분을 마주하는 무효부분에서 각각 발생된다. 포커싱시, 이동부 어셈블리의 이동에 의해 야기된 탄성지지부재의 공진모드는 포커싱코일의 유효부분을 마주하는 무효부분에서 발생된 역추력에 의해 억제된다. 따라서, 더이상 포커싱코일의 유효부분을 마주하는 무효부분에서의 역추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무효부분으로의 누설자속의 통과를 차단시키는 것이 필요치 않게 된다.
이동부 어셈블리는 트래킹코일의 앞쪽으로 무게중심을 위치시키기 위해서, 평형추를 렌즈홀더의 최후단부에 장착하지 않으면, 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부품이 사용에 필요하게 되어서 부품단가 및 조립단가가 감소되고, 게다가 경량화로 인해, 포커싱 및 트래킹시 이동부 어셈블리의 민감성이 향상된다.
포커싱코일의 유효부분을 마주하는 무효부분에서 발생된 역추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내부요크부재와 대향요크부재의 개방된 상단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요크브릿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결과 보다 적은 부품의 사용과 저하된 부품단가 및 조립단가를 이룰 수 있다.
비록 앞선 설명에 있어서 탄성지지부재가 단순히 렌즈홀더(11) 및고정부(14)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지지부재(13a, 13b, 13c, 13d)는 서로 집적구조를 이루기 위해 렌즈홀더(11) 및 고정부(14)내에 각각 삽입될 수도 있음은 분명하다. 또한, 렌즈홀더(11)도 비록,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상단부(11U) 및 하단부(11L)로 분리되어 있지만, 서로 집적형성될 수 있음도 분명하다.
제 1도는 전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학픽업용 2축액추에이터의 전체구조에 대한 개략사시도
제 2도는 배면에서 바라본 제 1도의 2축액추에이터에 대한 개략사시도
제 3도는 제 1도의 2축액추에이터의 주요부분에 대한 개략분해사시도
제 4도는 제 1도의 2축액추에이터에 대한 개략평면도
제 5도는 종래의 광학픽업용 2축액추에이터의 전체구조에 대한 개략사시도
제 6도는 제 5도의 2축액추에이터의 주요부분에 대한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2축액추에이터 2, 11. 렌즈홀더
2a, 11c. 대물렌즈 3, 12. 코일보빈
3a, 11a, 12a. 개구부 3b, 12b. 포커싱코일
3c, 12c. 트래킹코일 4, 14. 고정부
5, 13a∼13d. 탄성지지부재 6. 요크
6a, 31a. 내부요크부재 6b, 31b. 대향요크부재
6c. 요크브릿지 7, 32. 영구자석
8. 평형추 9. 가요변위부
31. 요크, 베이스 11b. 홈
30. 조정판 30a. 상승부
31c. 관련상승부 15. 말단부
G. 무게중심 Fcs. 포커싱방향
Trk. 트래킹방향 F. 힘(F1;추력, F3;역추력)

Claims (11)

  1. 대물렌즈를 유지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된 코일보빈과,
    상기 렌즈홀더 및 상기 코일보빈으로 구성된 이동부 어셈블리와,
    상기 코일보빈에 감겨진 포커싱코일과,
    상기 코일보빈에 감겨진 트래킹코일과,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를 고정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와,
    코일보빈의 내측과 외측에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각각 고정 및 배치되어 있는 내부요크부재 및 대향요크부재로 구성되어,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을 따라 코일 사이에 수직으로 끼워져 있는 요크와,
    상기 내부요크부재나 상기 대향요크부재중 적어도 한측의 내측에 장착된 자석과,
    상기 내부요크부재와 상기 대향요크부재사이에 배치된 상기 포커싱코일의 유효 부분과,
    상기 유효부분과 마주하여 배치된 상기 포커싱코일의 무효부분과,를 포함하는 렌즈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코일의 상기 유효부분에 발생된 힘과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에서부터 상기포커싱코일의 유효부분까지 측정된 간격과의 곱이 상기 포커싱코일의 상기 무효부분에서 발생된 힘과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에서부터 상기 무효부분까지 측정된 간격과의 곱과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이 상기 코일보빈으로부터 대물렌즈쪽으로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보빈은 상기 내부요크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에 평행하는 면을 따라 상기 포커싱코일이 감겨져 있으며, 또한 트래킹코일이 상기 포커싱코일상에 겹쳐지도록 상기 트래킹코일이 상기 코일보빈의 상기 대물렌즈의 뒤쪽에 정방형으로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이동부 어셈블리가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방향 및 상기 광축방향에 직각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변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그 한쪽단은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있고 다른쪽단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이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그 자체가 탄성을 갖는 복수의 탄성지지부재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이동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는 그 한쪽에는 상기 대물렌즈가 배치되고 다른쪽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재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는 상기 보빈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이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내부요크와 상기 대향요크는 상기 포커싱코일의 상기 유효부분과 상기 무효부분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그 고정단에 마주하는 임의의 끝단이 연결되지 않고 개방되어 상기 자석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이동장치.
  7. 대물렌즈를 유지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된 코일보빈으로 구성된 이동부 어셈블리와,
    상기 코일보빈상에 감겨진 포커싱코일과,
    상기 코일보빈상에 감겨진 트래킹코일과,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가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방향과 상기 광축방향에 직각하는 방향을 따라 변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그 한쪽단은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에 장착되고 다른쪽단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지지되는 탄성지지부재와,
    상기 코일보빈의 내부측 및 외부측에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각각 고정 및 배치된 내부요크부재 및 대향요크부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코일들사이에 포커싱방향 및 트래킹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끼워지는 요크와,
    상기 내부요크부재나 상기 대향요크부재중 적어도 한측의 내부측에 장착된 자석과,
    상기 내부요크부재와 상기 대향요크부재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포커싱코일의 유효부분과,
    상기 유효부분에 마주하여 배치되는 상기 포커싱코일의 무효부분과,를 포함하여 구성된 렌즈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코일의 유효부분에서부터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까지의 간격을 L로 표시하고 상기 포커싱코일의 무효부분에서부터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까지의 간격을 L'로 표시하고, 상기 유효부분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F라 정의하고 상기 무효부분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F'라고 정의할 때, 상기 간격과 상기 힘 사이에 다음관계 ; L * F = L' * F'가 유지되도록,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의 무게중심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이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보빈은 그 내부에 상기 내부요크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커싱코일이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에 평행하는 면을 따라감겨져 있으며, 또한 상기 트래킹코일이 상기 포커싱코일상에 겹쳐지도록 상기 코일보빈의 상기 대물렌즈에 가까운 쪽에 정방형으로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이동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상기 내부요크부재는 상기 보빈내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내로 삽입되며, 상기 대향요크부재는 상기 코일보빈외측과, 상기 대물렌즈와 코일보빈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이동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한쪽에는 상기 대물렌즈가 배치되고, 다른쪽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재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는 상기 보빈이 배치되도록, 상기 이동부 어셈블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이동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상기 내부요크와 상기 대향요크는 상기 내부요크와 상기 대향요크의 고정단에 마주하는 임의의 끝단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개방되어 상기 포커싱코일의 상기 유효부분 및 상기 무효부분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자석과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이동장치.
KR1019950048825A 1994-12-13 1995-12-12 (요크브릿지를이용하지않는)렌즈이동장치 KR100362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32494 1994-12-13
JP6332494A JPH08167158A (ja) 1994-12-13 1994-12-13 二軸アクチュエ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060A KR970063060A (ko) 1997-09-12
KR100362215B1 true KR100362215B1 (ko) 2003-02-19

Family

ID=1825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825A KR100362215B1 (ko) 1994-12-13 1995-12-12 (요크브릿지를이용하지않는)렌즈이동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84645A (ko)
JP (1) JPH08167158A (ko)
KR (1) KR100362215B1 (ko)
CN (2) CN1084913C (ko)
GB (1) GB2296104B (ko)
MY (1) MY114209A (ko)
TW (1) TW4183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7485A1 (de) * 1998-06-19 1999-12-23 Sick Ag Vorrichtung zum Verstellen der Fokuslage einer optoelektronischen Vorrichtung
SG90044A1 (en) * 1999-03-24 2002-07-23 Sony Prec Engineering Ct Singa Optical pickup device
CN1099604C (zh) * 1999-06-18 2003-01-22 中国科学院上海技术物理研究所 空间用大口径光学主镜支承装置
KR100403587B1 (ko) * 2001-04-20 200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튜에이터
KR100486246B1 (ko) 2002-02-26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이를 채용한 광기록/재생 장치
KR100524980B1 (ko) * 2003-07-28 2005-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튜에이터, 광픽업 장치 및 광기록/재생 장치
KR100557040B1 (ko) * 2003-12-30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픽업 시스템
KR20050070699A (ko) * 2003-12-30 200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KR100630775B1 (ko) * 2004-09-17 2006-10-02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픽업용 다중배선 서스펜션 및 상기 다중배선 서스펜션이장착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JP2013020680A (ja) * 2011-07-13 2013-01-31 Sanyo Electric Co Ltd 対物レンズホルダおよびそれを用いた対物レンズ駆動装置、光ピックアップ装置、並びに対物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5735A (ja) * 1983-10-31 1985-05-29 Hitachi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S6442520U (ko) * 1987-09-08 1989-03-14
JPH0266739A (ja) * 1988-09-01 1990-03-06 Pioneer Electron Corp 光学式ビックアップ装置
KR0153766B1 (ko) * 1988-12-20 1998-12-15 이우에 사또시 광픽업장치
JP2684738B2 (ja) * 1988-12-29 1997-12-03 ソニー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728496B2 (ja) * 1989-04-21 1998-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798719B2 (ja) * 1989-08-15 1998-09-1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学系支持装置
JPH03104027A (ja) * 1989-09-18 1991-05-01 Sony Corp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5200942A (en) * 1989-10-14 1993-04-06 Copal Company Ltd. Focus adjusting apparatus for an optical pickup apparatus
US5416756A (en) * 1991-11-07 1995-05-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Lens actuating system with improved frequency response for optical disk drive
US5373496A (en) * 1992-11-02 1994-12-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ive lens actuator having rodlike elastic members supporting U-shaped lens holder
JP3246140B2 (ja) * 1993-11-16 2002-01-15 ソニー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3319481B2 (ja) * 1993-12-22 2002-09-03 ソニー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光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060A (ko) 1997-09-12
CN1084913C (zh) 2002-05-15
JPH08167158A (ja) 1996-06-25
CN1177317C (zh) 2004-11-24
CN1135074A (zh) 1996-11-06
GB2296104B (en) 1998-04-08
GB9525400D0 (en) 1996-02-14
US5684645A (en) 1997-11-04
TW418389B (en) 2001-01-11
MY114209A (en) 2002-08-30
GB2296104A (en) 1996-06-19
CN1384492A (zh)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134B1 (ko) 대물렌즈구동장치
JPH07302430A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光ピックアップアクチュエーター
KR100466185B1 (ko) 2축액튜에이터및광픽업장치,디스크드라이브장치
KR100362215B1 (ko) (요크브릿지를이용하지않는)렌즈이동장치
US6996039B2 (en) Optical pick-up actuator
JP3480090B2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KR100361498B1 (ko)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JPH08180440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3694924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JP2796240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3401774B2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H08194962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3440461B2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H08203099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H08167157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H08147734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US8171506B2 (en) Optical-system driving device effecting switchover between objective lenses for achieving focal spots
JPH08147735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KR20020006828A (ko) 전자석을 이용한 다축구동 액츄에이터 및 틸트 제어방법
JPH09251653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KR100569922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JP2720557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H08147731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H08194961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2000182260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