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681B1 - 원목을 이용한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원목을 이용한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681B1
KR100361681B1 KR1020000021393A KR20000021393A KR100361681B1 KR 100361681 B1 KR100361681 B1 KR 100361681B1 KR 1020000021393 A KR1020000021393 A KR 1020000021393A KR 20000021393 A KR20000021393 A KR 20000021393A KR 100361681 B1 KR100361681 B1 KR 100361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ituation
spawn
mud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407A (ko
Inventor
방광웅
이준우
강신욱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경영교육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경영교육재단 filed Critical 학교법인 경영교육재단
Priority to KR102000002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68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7Specially designed finger grip means, e.g. for easy manipulation of the syringe rod
    • A61M2005/3139Finger grips not integrally formed with the syringe barrel, e.g. using adapter with finger g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에 속하는 담자균류로서 학명이 펠리누스 린테우스(Phellinus linteus)인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종균 배양방법 및 속성 대량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질진흙(상황) 버섯 인공재배를 위해 종균 제조를 위한 배양법, 종균 제조법, 원목배양 및 식재원목의 재배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종균으로 종래의 방법인 톱밥종균 대신에 한천평판종균을 이용한다. 종래에 원목접종을 위한 종균으로 톱밥종균을 사용하는 경우 원목에 접종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길고, 오염율이 높으며, 버섯 발생율이 낮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종방법의 단순화를 통한 목질진흙(상황) 버섯 인공재배를 위한 생산비용절감, 생산기간단축, 오염율 방지 및 자실체 발생율의 증가를 이루는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원목을 이용한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 {Method for cultivating phellinus linteus with using wood medic}
본 발명은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에 속하는 담자균류로서 학명이 펠리누스 린테우스(Phellinus linteus)인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종균 배양방법, 종균의 조제 및 배양방법, 접종원목의 배양방법, 원목식재 및 식재후 관리방법을 포함하는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하면, 원목을 이용하여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인공 재배기간 단축을 위한 종균의 배양 조건과 새로운 방법을 도입한 원목접종용 종균을 개발하여 배양기간의 단축과 비용절감 및 오염율 감소를 통한 버섯 발생율 증가를 꾀하고, 원목배양밥법 및 원목 식재후 관리방법에 관한 예이다.
목질진흙버섯(桑黃)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아문(Basidiomycotina), 민주름버섯목 (Aphyllophorales),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의 진흙버섯속(PhellinusQuel. em. Imaz.)에 속하는 버섯으로 뽕나무 줄기에 자생하며 삿갓 표면을 제외하고는 모두 황색이므로 상황(桑黃)이라고 잘 알려져 있다.
상황은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上海科學技術)에 사과나무, 뽕나무 및 참나무 등의 수간에 자생하는 버섯이라 하여 상이(桑耳), 상신(桑臣), 호고안(胡孤眼) 등의 이명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신농본초경(新農本草經)에서 상이(桑耳)는 상근백피(桑根白皮)(桑木,Morus albaL., 根皮)의 항에 기록하고 있으며, 명대(明代)의 이시진(李時珍)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목이(木耳)의 항으로 분류하여 상이(桑耳), 상유(桑孺), 상아(桑蛾), 상신(桑臣) 및 상황(桑黃) 등으로 기록하고 있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상이(桑耳), 상황(桑黃)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목질진흙버섯(桑黃)은Phellinus linteus(Berk. et Curt) Aoshima,P. igniarius(L. ex Fr.) Quel,P. yucatensis(Murr.) Imazek,Fomes yucatensisMurrill.,Pyropolyporus yucatensisMurr. 등의 여러 가지로 명명하고 있으나, 상목(桑木), 양(楊), 두명(杜鵑) 등의 광엽수에 자생하는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L. ex Fr.) Quel〕은 광의적으로 해석한 상황버섯의 학명이고, 진정한 의미의 상황(桑黃)인 목질진흙버섯은 말똥진흙버섯과 달리 뽕나무(桑樹)에서만 자생하며, 학명은Phellinus linteus(Berk. et Curt) Aoshima 이다(原色日本菌類圖鑑, 1975).
목질진흙(상황) 버섯은 뽕나무의 그루터기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그 모양은 초기에는 노란 진흙 덩이가 뭉친 것 같은 형태를 유지하다가 다 자란 후의 형태는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혓바닥 같은 형태의 윗 부분이 상황의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나지만 진흙과 같은 색깔을 나타내기도 하고, 감나무의 표피와 같이 검게 갈라진 모습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약리작용은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 수술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항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해독작용을 한다.
Ikegawa 등(Gann, 59, 155, 1968)은 목질진흙(상황) 버섯이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과 표고버섯(Lentinus edodes)보다 종양 저지율이 높다고 보고하였으며, 메다 등(Protein Nucleic acid Enzyme, 21, 426, 1976)은 항암활성이 96.7%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정 등(약학회지, 38, 158, 1994)은 균사체의 단백다당체가 육종(Sarcoma) 180 복수암 및 고형암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고 하였으며, 김 등(Arch. Pharm. Res., 17, 337, 1994)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분석한 결과 글루코오스(glucose)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외에 갈락토오스(galactose), 만노오스(mannose), 아라비노오스(arabinose) 등으로 이루어졌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공 등(생약학회지, 22, 233, 1991)은 목질진흙(상황) 버섯 균사체의 열수추출물은 NK 세포기능에 작용하여 숙주의 비특이적 면역능을 증강시킴으로써 항암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마우스에 투여한 결과 LD50은 1,500mg/kg 이상으로 안전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목질진흙(상황) 버섯이 항암활성과 면역증강 효과가 우수하다고 보고된 이후 국내에서도 민방에서 항암치료를 위해 고가에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자연산의 진정한 목질진흙(상황) 버섯은 희귀하며 가격 또한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입수하기가 곤란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산지와 종균에 따라 약리효과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인공재배를 위한 기술이 요망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인공재배시 자실체의 형성은 어려운 점이 많기 때문에 균사체들이 뭉친 균막 제품이 민간에서 거래가 되고 있으며, 일부 인공 재배한 버섯이 고가에 거래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를 위한 기술이 아직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고, 현재는 원목 접종을 위한 종균으로 톱밥종균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오염율이 높고, 배양기간이 길며, 원목배양시의 관리가 까다롭다. 그러므로 실제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시 나타날 수 있는 오염율의 최소화와 버섯 발생율의 증가를 위해, 톱밥종균이 아닌 새로운 종균을 개발하여 비용절감 및 버섯 발생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분리된 균사체의 배양 방법 및 종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종균의 제조방법, 새로운 종균 기술의 개발 및 접종 방법을 단순화함으로서 오염율을 저하시키고 자실체 형성기간을 단축시킨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목 식재 및 식재후 관리 방법의 기술을 제공하여 많은 양의 수확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제 목질진흙(상황) 버섯 인공 재배시 대량을 동시에 접종이 가능하고, 오염율 저하를 위해 접종이 간편하고 균사의 활착율이 높으면서 경제성이 있는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인공 재배를 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과 재배기간의 단축을 위한 종균 제조 방법, 종균 개발 및 자실체 형성을 위한 식재 원목의 관리 방법 등을 개선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목질진흙(상황) 버섯 인공재배를 위한 대부분의 기술들이 톱밥 종균을 이용한 방법이 이용되어 왔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종균 배양방법을 포함하여 종균 제조방법, 접종방법, 접종원목배양방법, 원목 식재 및 식재원목의 관리에 대한 조건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분리된 균사체를 배양하여 버섯 접종용 종균을 제조하기 위해,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분리된 균사체를, 감자 포도당 한천 배지(PDA), 또는 한천 1.7%, 포도당 0.1∼5%, 효모 추출물 0.1∼2%, 펩톤 0.1∼2%, 황산마그네슘 0.01∼0.05%, 인산제 2 수소칼륨 0.01∼0.05%, 인산제 1 수소칼슘 0.005∼0.01%, 미량원소로서 FeCl3·6H2O, MnCl2·4H2O, CuSO4·5H2O, ZnCl2, 그리고 나머지는 증류수로 이루어진 pH 5.5의 고체 배지에서 20 내지 30℃의 온도하에 4 내지 10일간 배양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목질진흙(상황) 버섯 종균 접종용 종균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목질진흙(상황) 버섯 종균 접종용 종균을 제조하는 단계; 원목을 벌목하고 음지에서 1주일간 방치하여 수분 함량이 45%인 원목을 절단하고 비닐포(PP bag)를 씌운 후 100 내지 121℃로 5 내지 15시간 동안 멸균 후 냉각시켜서 버섯 재배용 원목을 준비하는 단계; 종균을 상기 멸균된 원목 상단부 중앙에 무균적으로 접종하고, 상기 원목을 감싼 비닐포 상부를 면전 또는 여과지로 밀봉하는 단계; 상기 접종된 원목을 배양실에 넣고 차광 조건하에 23 내지 26℃로 30일간 배양하여 균사가 상부의 전면에 활착되도록 하는 단계; 목질진흙(상황) 버섯 균사의 활착 후 온도를 26 내지 28℃로 유지하면서 50일간 배양하는 단계;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황색 균사가 원목 전면과 바닥면까지 활착되었을 때 배양을 완료하고 균사가 활착된 상기 원목을 꺼내어 관수한 후, 재배사에 식재하는 단계; 및 식재된 상기 원목을 70% 차광 조건하에 90% 습도 및 26 내지 30℃의 온도로 관수하에 장기간 재배하여 목질진흙(상황) 버섯을 수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뽕나무, 참나무 또는 사과나무를 상기 버섯재배용 원목으로 사용하고, 제 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목질진흙(상황) 버섯 종균 접종용 종균을 사용하여 원목에 균사를 활착시키며, 상기 멸균된 원목에 한천 평판 종균을 직접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인 바, 하기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예시되는 것일 뿐 조금이라도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목질진흙(상황) 버섯 종균의 배양 및 접종원의 제조
목질진흙(상황) 버섯 균주를 보존하기 위한 배지로는 감자 포도당 한천배지(potato dextrose agar; PDA)를 사용하였다. 종균을 위한 배지로는 감자 포도당 한천배지(PDA), 또는 한천 1.7%, 포도당 0.1∼5%, 효모추출물 0.1∼2%, 펩톤 0.1∼2%, 황산마그네슘 0.01∼0.05%, 인산제2수소칼륨 0.01∼0.05%, 인산 제 1 수소칼슘 0.005∼0.01%, 미량원소로서 FeCl3·6H2O, MnCl2·4H2O, CuSO4·5H2O, ZnCl2, 그리고 나머지는 증류수로 이루어진 배지를 사용하였고 배지의 pH는 4.5∼6.5로 조정하였다. 상기의 종균용 배지를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여 멸균된 배지를 페트리디쉬(petri-dish)에 20㎖씩 부어 고형화시킨 후, 순수분리한 보존 균사의 일부를 떼어 내어 접종하여 25∼35℃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균사의 배양이 완료된 한천평판상을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종균의 제조(비교실시예)
일반적으로 원목을 이용하여 자실체 형성을 위한 종균은 톱밥 종균을 이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톱밥 재료는 참나무류, 자작나무, 오리나무, 가시나무류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참나무 톱밥과 미강을 혼합(8:2, w/w, %)하여 사용하였다. 참나무톱밥과 미강 및 탄산칼슘이 혼합된 기질은 수분함량이 60% 정도 되게 물을 가하여 혼합하고, 이것을 900㎖용 PP병에 80% 되게 넣은 후, 121℃에서 90분 동안 멸균을 행하였다. 멸균된 PP병은 냉각시킨 후 상기의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접종원을 코르크 보러(지름 20㎜)로 뚫어 1개의 병에 2개씩 무균적으로 넣고, 25℃에서 30∼40일 동안 배양하여 톱밥 종균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주목적으로 하고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상기 실시예 1항과 동일한 배지로 조제한 한천평판 종균의 균사 단편을 떼어 접종하여 25℃에서 7∼10일간 배양하여 균사가 전면에 활착된 한천평판상을 종균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톱밥 종균사용의 예
종균 접종을 위한 원목은 수액의 이동이 정지된 시기(11월∼2월)에 채취된 것이 좋았으며, 음지에서 1주일 동안 방치하여 나무의 수분함량이 45% 내외일 때 절단(길이 20㎝, 지름 15㎝)하여 비닐포(PP bag)를 2겹으로 하여 씌운 후 121℃에서 5∼15시간 동안 멸균을 실시하였으며, 원목은 뽕나무, 참나무, 사과나무 등을 사용하였다. 멸균 원목은 실시예 2에서 조제된 톱밥종균 50∼80g을 멸균 원목 상단부에 넣고 골고루 퍼지게 하였으며, 상부에는 솜으로 면전을 하였다.
접종된 원목은 배양실내에 넣고 23∼26℃를 유지하면서 30일 동안 배양하여 균사가 상부의 전면에 활착되는 것을 확인하고, 이후 온도를 26∼28℃를 유지하면서 50일 동안 배양을 실시한다. 종균 접종후 약 80여일 경과 후, 목질진흙(상황) 버섯 특유 황색의 균사가 원목 전면과 바닦면까지 활착된 것을 확인하고 원목 배양을 완료한다. 배양된 원목은 비닐봉투에서 꺼내어 배양원목 표면의 균사막을 원목의 표피가 상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제거한 후, 물속에 약 20분 동안 침지시켜 관수를 충분하게 실시한 다음 습도와 온도조건이 유지되는 재배사에 식재한다. 재배사의 조건으로 비닐, 캐시미론 및 차광막을 이용하여 70%의 빛이 차광되는 조건과 토양은 배수가 잘되는 마사토, 내부습도는 90%, 내부온도는 26∼30℃의 조건을 이용하였으며, 원목은 토양위로 5∼8㎝ 정도 나오게 하여 심고, 상부에는 수세한 모래를 2㎝ 두께로 덮어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였다. 자실체의 발생은 식재후 2주∼3주 사이에 원기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2∼3개월 후에는 버섯모양을 갖추며, 점차 외형은 반원형∼편형의 모양으로 발달하고, 자실체 특유의 포자가 형성되며, 황색∼갈황색의 상황 버섯의 고유한 특징들을 나타낸다. 목질진흙(상황) 버섯은 다년생으로서 오래될수록 자실체가 크고, 2차대사산물의 생성이 많아져 약리활성이 높을 것으로 여겨지며, 상품성이 있는 버섯의 수확을 위해서는 1∼2년이 경과해야 할 것이다.
실시예 4: 한천평판 종균사용의 예
일반적으로 원목을 사용하여 인공버섯 생산을 위해서는 톱밥종균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한천평판을 직접 종균으로 사용한다. 멸균 원목 상단부 중앙에 한천평판을 무균적으로 접종한 후, 상부에는 면전을 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원목배양, 배양된 원목식재 및 식재후 관리를 실시하였다. 톱밥종균과 한천평판종균을 사용하여 원목에 접종하고 원목을 식재하기 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각각 130일과 90일로서 한천평판 종균 사용시 기존의 방법인 톱밥종균 사용시보다 약 40일의 기간 단축을 꾀할 수 있었으며, 오염율에 있어서도 한천평판 사용시 현저하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한천평판 종균을 사용하는 경우는 오염율이 현저하게 낮았으며, 버섯의 발생율도 높았고, 종균접종에서 식재까지의 기간을 단축할 수가 있어 비용의 절감 및 작업의 간편성을 꾀할 수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원목별 자실체 발생율은 표 2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은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자실체가 면역증강효과, 항암활성 및 노화억제효과 등이 높다고 알려졌으며, 민간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실정이고 자연산은 균종이 다양하여 약리활성이 균일하지 않고 채취가 어려우므로 약리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뽕나무, 참나무, 사과나무 및 오리나무 등에 종균을 접종·배양하여 상황버섯을 발생시키며, 또한 종균으로 한천평판을 이용하므로 서 배양기간의 단축, 오염율 저하 및 버섯 발생율의 증가를 통하여 목질진흙(상황) 버섯 재배를 위한 재배기술의 보급을 통한 농민들의 소득증가와 국민보건의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원균을 채취하여 감자 포도당 한천 배지(PDA) 또는 한천, 포도당, 효모 추출물, 펩톤, 황산마그네슘, 인산 등을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목질진흙(상황) 버섯 종균을 제조하는 단계; 원목을 벌목하고 음지에서 1주일간 방치하여 수분 함량이 45%인 원목을 절단하고 비닐포(PP bag)를 씌운 후 100 내지 121℃로 5 내지 15시간 동안 멸균 후 냉각시켜서 버섯 재배용 원목을 준비하는 단계; 종균을 상기 멸균된 원목 상단부 중앙에 무균적으로 접종하고, 상기 원목을 감싼 비닐포 상부를 면전 또는 여지로 밀봉하는 단계; 상기 접종된 원목을 배양실에 넣고 차광 조건하에 23 내지 26℃로 30일간 배양하여 균사가 상부의 전면에 활착되도록 하는 단계; 목질진흙(상황) 버섯 균사의 활착 후 온도를 26 내지 28℃로 유지하면서 50일간 배양하는 단계;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황색 균사가 원목 전면과 바닥면까지 활착되었을 때 배양을 완료하고 균사가 활착된 상기 원목을 꺼내어 관수한 후, 재배사에 식재하는 단계; 및 식재된 상기 원목을 70% 차광 조건하에 90% 습도 및 26 내지 30℃의 온도로 관수 하에 장기간 재배하여 목질진흙(상황) 버섯을 수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원균을 상기 감자 포도당 한천 배지(PDA), 또는 한천 1.7%, 포도당 0.1∼2%, 효모 추출물 0.1∼2%, 펩톤 0.1∼2%, 황산마그네슘 0.01∼0.05%, 인산제2수소칼륨 0.01∼0.05%, 인산제1수소칼슘 0.005∼0.01%, 미량원소로서 FeCl3·6H2O, MnCl2·4H2O, CuSO4·5H2O, ZnCl2,그리고 나머지는 증류수로 이루어진 pH 5.5의 고체 배지에서 20 내지 30℃의 온도 하에 4 내지 10일간 배양하여 목질진흙(상황) 버섯 종균을 제조하고, 상기 한천평판 종균을 멸균된 원목에 직접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
  2. 삭제
KR1020000021393A 2000-04-22 2000-04-22 원목을 이용한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 KR100361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393A KR100361681B1 (ko) 2000-04-22 2000-04-22 원목을 이용한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393A KR100361681B1 (ko) 2000-04-22 2000-04-22 원목을 이용한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407A KR20000037407A (ko) 2000-07-05
KR100361681B1 true KR100361681B1 (ko) 2002-11-22

Family

ID=1966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393A KR100361681B1 (ko) 2000-04-22 2000-04-22 원목을 이용한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6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666A (ko) * 2002-05-09 2003-11-15 박배한 상황버섯 개량 재배법
KR100423787B1 (ko) * 2002-04-24 2004-03-22 학교법인 성덕학원 해조류배지에 버섯균사체를 대량 증식한 배양물을추출하는 방법
KR100570722B1 (ko) 2004-11-16 2006-04-13 이동근 상황버섯 재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463A (ko) * 2001-12-31 2003-07-07 권오현 뽕나무를 이용한 상황버섯의 대량 재배방법
CN104823698B (zh) * 2015-04-19 2017-03-22 新疆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野生环柄菇人工驯化栽培的方法
KR102593176B1 (ko) * 2021-06-07 2023-10-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가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목이버섯 자실체의 생산 방법
KR102316718B1 (ko) * 2021-07-14 2021-10-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진바이오연구소 액체배지를 이용한 버섯류의 균사체를 포함하는 곡류 제조방법
CN115895911A (zh) * 2022-12-13 2023-04-04 食健客(白山)冻干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驯化野生松桑黄的培养基组合和野生松桑黄的分离驯化培养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787B1 (ko) * 2002-04-24 2004-03-22 학교법인 성덕학원 해조류배지에 버섯균사체를 대량 증식한 배양물을추출하는 방법
KR20030087666A (ko) * 2002-05-09 2003-11-15 박배한 상황버섯 개량 재배법
KR100570722B1 (ko) 2004-11-16 2006-04-13 이동근 상황버섯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407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1330B (zh) 松杉灵芝仿野生木段栽培方法
CN107711290B (zh) 菌根食用菌共生苗的培养基及其同步培养方法
WO2005046310A1 (en) Substrate and method for growing shiitake mushrooms and new shiitake strain
CN101584287A (zh) 以金银花为培养基的食用菌培育方法
JP2009055792A (ja) 含ゲルマニウムきのこの栽培方法
Chen Cultivation of the medicinal mushroom Ganoderma lucidum (curt.: Fr.) P. karst.(reishi) in north America
KR100361681B1 (ko) 원목을 이용한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
KR20150001859U (ko) 소나무 원목에 복령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된 복령재배용 배양완료 원목배지
KR100483333B1 (ko) 발효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KR101385540B1 (ko)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및 이에 따른 꽃송이버섯
Iwase XIII. Cultivation of mycorrhizal mushrooms
CN104221715A (zh) 一种茯苓引诱栽培方法
KR100759021B1 (ko) 식용버섯 재배방법
KR102333307B1 (ko) 좀나무싸리버섯 인공재배 방법
TW201439317A (zh) 牛樟芝菌體培養方法及培養基底成份
CN109168969B (zh) 一种竹茯苓栽培方法
Garrett SOIL CONDITIONS AND THE TAKE‐ALL DISEASE OF WHEAT:: IV. FACTORS LIMITING INFECTION BY ASCOSPORES OF OPHIOBOLUS GRAMINIS
CN113383673A (zh) 一种茯苓种植营养包的配置方法
KR101821349B1 (ko) 그루터기 접종법을 이용한 복령의 대량 생산방법
JP3821320B2 (ja) 菌根菌の子実体の人工栽培方法
CN106576884A (zh) 一种鸡油菌栽培方法
Wanwaen et al. Cultivation of Amanita princeps and Gyrodon suthepensis for mycorrhizations with Castanopsis acuminatissima and their effects on the host plants.
Chang et al. Thermophile mushroom cultivation in Cambodia: Spawn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a new substrate, acacia tree sawdust
JPS60190800A (ja) フアイトアレキシン誘導物質
KR20030058463A (ko) 뽕나무를 이용한 상황버섯의 대량 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