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681B1 - 장신구용 금속모조보석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금속모조보석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681B1
KR100359681B1 KR1020000013139A KR20000013139A KR100359681B1 KR 100359681 B1 KR100359681 B1 KR 100359681B1 KR 1020000013139 A KR1020000013139 A KR 1020000013139A KR 20000013139 A KR20000013139 A KR 20000013139A KR 100359681 B1 KR100359681 B1 KR 100359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metal
mold
imitation
conca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228A (ko
Inventor
오정훈
Original Assignee
오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훈 filed Critical 오정훈
Priority to KR102000001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681B1/ko
Publication of KR2001004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2Metall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7Special types of g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금속재를 이용하여 한번의 프레스 공정으로 보석과 같이 각진 형상을 가진 모조보석을 제조하기 위한 장신구용 금속모조보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정, 유리 등으로 모조보석을 제조하였으나 다양한 색상을 착색하거나 도금하기가 용이하지 아니하여 사용상 한계성이 있었으며, 금속재를 적용할 경우에도 보석형태로 가공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많게 되어 사실상으로 적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프레스의 타격금형에는 원주방향으로 다단의 각이 지면서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받침금형에는 원주방향으로 다단의 각이 지면서 전체적으로 뾰족한 형태의 오목홈을 형성하여 각 금형의 오목홈 부피의 합과 동일한 부피를 가진 금속재 볼을 받침금형의 오목홈에 위치시킨 후 타격금형을 하강, 가압하여 한 번의 공정으로 금속재 모조보석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가공비가 낮게 되어 모조보석으로 금속을 적용하는 게 가능하게 되며, 수정이나 유리 등으로는 작업이 곤란한 금색, 은색, 검정색 등의 칼라를 도금 혹은 착색으로 쉽게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장신구용 금속모조보석 제작방법{Method to manufacture imitation metal jewel}
본 발명의 장신구용 금속모조보석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금속재를 이용하여 한번의 프레스 공정으로 보석과 같이 각진 형상을 가진 모조보석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석은 원석으로부터 보석원석을 채취하여 이를 연마 가공한 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서 되며, 이를 반지, 목걸이, 귀걸이 등의 장신구에 셋팅(접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각종 보석류는 주지하다시피 고가(高價)이므로 최근에는 외적으로는 각종 보석류의 질감을 가지면서 내부적으로는 저가(低價)의 재질을 사용한 모조보석(lmitation jewel)이 등장하고 있는바, 유리를 연마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리로 된 모조보석은 빛을 다양한 각도로 반사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는 보석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게 되지만 유리의 재질적 특성에 따라 그 외면에 금, 은과 같은 색상을 도금하여 다른 질감을 갖게 할 수는 없는 것으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금속을 적용한 모조보석을 생각할 수도 있으나 금속을 보석과 같이 다양한 각으로 연마 가공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저가(低價)의 모조보석 생산이 불가능하여 금속이 적용된 모조보석은 거의 없었으며, 단지 구형의 금속재 모조보석만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석의 윗면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타격금형과 보석의 아랫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받침금형을 구성하여 여기에 어느 정도의 전성을 가진 금속재 볼을 넣고 한번의 프레스 공정으로 금속재로 된 모조보석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단가를 낮추어 금속재를 모조보석에 원활히 적용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모조보석에 다양한 색상을 착색하거나 도금할 수 있게 하여 수요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하는 장신구용 금속모조보석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모조보석의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모조보석의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격금형 2 : 타격금형의 오목홈
3 : 받침금형 4 : 받침금형의 오목홈5 : 금속재 모조보석 6 : 금속재 볼
이하, 본 발명을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구체화한다.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모조보석의 제조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모조보석의 실시예시도이다.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스 방법을 이용하여 금속재 모조보석을 한번의 공정으로 찍어내는 것이므로 무엇보다도 프레스 금형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일반적인 모조보석의 윗면과 같이 프레스의 타격금형(1)은 원주방향으로 다단의 각이 지면서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의 오목홈(2)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받침금형(3)은 일반적인 모조보석의 아랫면과 같이 원주방향으로 다단의 각이 지면서 전체적으로 뾰족한 형태의 오목홈(4)을 형성한 것이며, 타격금형(1)과 받침금형(3)을 제조할 때에는 대상이 되는 금속재 모조보석(5)의 전체적인 형상이 보석과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밀하게 설계 제작되어야 한다.이와 같이 타격금형(1)과 받침금형(3)을 형성한 후에는 받침금형(3)의 오목홈(4)에 철재, 납, 주석, 동 등의 금속을 일정량 투입하고 타격금형(1)을 하강, 가압하여 타격금형(1)의 오목홈(2)과 받침금형(3)의 오목홈(4) 형상과 같은 금속재 모조보석(5)을 한번의 공정으로 찍어낼 수 있다.여기서, 받침금형(3)의 오목홈(4)에 투입되는 금속은 타격금형(1)과 받침금형(3)의 프레싱에 의해 각각의 오목홈(2)(4)으로 밀려들어가 각 오목홈(2)(4)의 형상으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적어도 액상은 불가능하며, 타격금형(1)의 하강, 가압시 전체면에서 동일한 압력을 받아야 하므로 구형이 바람직하다. 즉 구형의 금속재 볼(6) 형태가 바람직한 것이다.또한, 타격금형(1)과 받침금형(3)의 프레싱에 의해 금속재 모조보석(5)이 제조될 때 투입되는 금속재 볼(6)의 부피가 너무 클 경우에는 금속성분이 각 금형의 오목형(2)(4) 이외의 부위로 빠져나가 제품에 버(Burr)가 형성되며, 이와 같이 버가 형성될 경우에는 이를 깍아내야 하는 후처리공정이 필요하게 되므로 금속재 볼(6)의 부피는 각 금형의 오목홈(2)(4) 부피의 합과 동일한 부피를 가져야 한다.한편, 상기 제조되는 금속재 모조보석(5)이 셋팅(접착)되는 장신구에는 펀칭과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원뿔형의 홈을 형성하여 모조보석을 수용하게 되므로 금속재 모조보석(5)을 평면상으로 정원에 가깝게 구성하면 그 형상에 따라 상기의 장신구에 밀착되어 접착성이 향상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각 금형의 오목형(2)(4)을 구성할 때 타격금형 오목홈(2)의 각진 면과 이에 대응되는 받침금형 오목홈(4)의 각진 면을 서로 어긋나게 구성하면 제조되어 나온 금속재 모조보석(5)의 윗면과 아랫면의 만나는 부분에서 각진 부분들이 교호로 배치되어 평면상으로 금속재 모조보석(5)을 정원에 가깝게 구현할 수 있다.금속재 모조보석(5)이 완성된 후에는 그 외면에 금, 은과 같이 반짝이는 재질로 도금을 할 수도 있고, 또한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할 수도 있으며, 이런 상태로 장신구에 셋팅(접착)하여 모조보석으로써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여기서,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모조보석(5)은 타격금형(1)과 받침금형(3)에 형성되는 각각의 오목홈(2)(4)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모조보석 제조가 가능하며, 이외에도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면을 가져 여러 방향의 각에서 빛을 반사함으로써 보석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형상이라면 무엇이든 제조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스에 의해 한 번의 공정으로 원하는 형상의 금속재 모조보석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가공비가 낮게 되어 모조보석으로 금속을 적용하는 게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수정이나 유리 등으로는 작업이 곤란한 금색, 은색, 검정색 등의 칼라를 도금 혹은 착색으로 쉽게 얻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측면 중앙부를 기준으로 윗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다단의 각이 지면서 전체적으로 둥글게 형성되고, 아랫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다단의 각이 지면서 전체적으로 뾰족하게 형성되는 모조보석에 있어서,
    상기 모조보석의 윗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오목홈(2)을 형성한 타격금형(1)과, 상기 모조보석의 아랫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오목홈(4)을 형성한 받침금형(3)을 구비하여 상기 타격금형(1)의 오목홈(2) 부피와 상기 받침금형(3)의 오목홈(4)의 부피의 합과 동일한 부피를 가진 금속재 볼(6)을 상기 받침금형(3)의 오목홈(4)에 위치시킨 후 상기 타격금형(1)을 하강, 가압하여 금속재 모조보석(5)을 제조하되, 상기 타격금형 오목홈(2)의 각진 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받침금형 오목홈(4)의 각진 면을 서로 어긋나게 구성하여 평면상으로 상기 금속재 모조보석(5)을 정원에 가깝게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금속모조보석 제조방법.
KR1020000013139A 2000-03-15 2000-03-15 장신구용 금속모조보석 제작방법 KR100359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139A KR100359681B1 (ko) 2000-03-15 2000-03-15 장신구용 금속모조보석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139A KR100359681B1 (ko) 2000-03-15 2000-03-15 장신구용 금속모조보석 제작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002 Division 1999-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228A KR20010049228A (ko) 2001-06-15
KR100359681B1 true KR100359681B1 (ko) 2002-11-04

Family

ID=1965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139A KR100359681B1 (ko) 2000-03-15 2000-03-15 장신구용 금속모조보석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6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807A (ja) * 1992-04-24 1993-11-16 Yamanashi Pref Gov 装身具の製造方法
KR970073435A (ko) * 1996-05-03 1997-12-10 구성범 장신구용 다각형 인조 흑다이어몬드의 제조방법
JPH1032321A (ja) * 1995-12-30 1998-02-03 Hyundai Electron Ind Co Ltd Soi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807A (ja) * 1992-04-24 1993-11-16 Yamanashi Pref Gov 装身具の製造方法
JPH1032321A (ja) * 1995-12-30 1998-02-03 Hyundai Electron Ind Co Ltd Soi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70073435A (ko) * 1996-05-03 1997-12-10 구성범 장신구용 다각형 인조 흑다이어몬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228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2799A (zh) 一种金银珠宝首饰制作新工艺及应用
AU611035B2 (en) A metal platelet compound
US6493912B1 (en) Stone setting methods
KR100359681B1 (ko) 장신구용 금속모조보석 제작방법
JPH02500653A (ja) 人造装身具
KR101160304B1 (ko) 광채 인조보석 및 그 제조방법
CN1278875C (zh) 一种工艺装饰品的制作方法及所制得的工艺装饰品
CN100368942C (zh) 用含量98%以上黄金制造的表壳及其制造工艺
KR101386234B1 (ko) 동 메탈스톤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악세사리
KR101609689B1 (ko)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CN103263126A (zh) 仿钻黄金首饰的倒模和油压制作方法
US563642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jewelry having faux pave look
CN103263127B (zh) 千足金镶嵌18k金的制作方法
KR100344904B1 (ko) 금속장신구의 표면가공 방법 및 그 금속장신구
US7611599B2 (en) Method for production of decorative article and decorative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200165802Y1 (ko) 장신구의 악세사리 고정부 구조
KR19980072239A (ko) 링형 장신구 제작방법
KR102453936B1 (ko)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
KR102205758B1 (ko) 사각 단면과 코일 권선형 구조를 갖는 고탄성 장신구 링 제조방법
KR200230658Y1 (ko)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KR200430557Y1 (ko) 패턴이 있는 인조보석이 접착된 장신구
KR200382498Y1 (ko) 장신구용 장신부재
JP2003230412A (ja) 腕時計ケースの表面に装飾石を固定する方法
JP3050757U (ja) 宝飾品
JPH0672407U (ja) 装飾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