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802Y1 - 장신구의 악세사리 고정부 구조 - Google Patents

장신구의 악세사리 고정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802Y1
KR200165802Y1 KR2019970031170U KR19970031170U KR200165802Y1 KR 200165802 Y1 KR200165802 Y1 KR 200165802Y1 KR 2019970031170 U KR2019970031170 U KR 2019970031170U KR 19970031170 U KR19970031170 U KR 19970031170U KR 200165802 Y1 KR200165802 Y1 KR 200165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fixing groove
ornaments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987U (ko
Inventor
이보희
Original Assignee
이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134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6580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보희 filed Critical 이보희
Priority to KR2019970031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80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79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9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8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 귀걸이, 브로우치와 같이 신체에 착용하여 장식토록하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사출 성형되는 장신구(100)의 표면(101)에 일정 깊이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소정의 위치에서 중앙을 꼭지점으로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홈(102)을, 악세사리(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과 숫자로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에 의해 엑폭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악세사리를 고정홈에 삽입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 향상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견고한 고정으로 악세사리가 고정홈으로부터 분리 이탈되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세사리의 이탈로 인해 장신구의 장식적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였으며, 장신구를 수리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장신구의 악세사리 고정부 구조
본 고안은 목걸이, 귀걸이, 브로우치와 같이 신체에 착용하여 장식토록하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출성형되어진 장신구의 모양을 돋보이도록 장신구에 장식되는 악세사리(인조 다이아몬드, 구슬)를 보다 편리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신구의 악세사리 고정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귀걸이, 목걸이, 반지, 브로우치 등)장신구(10)에는 장식구(10)의 장식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도1에서와 같이 액세사리(20)를 장신구(10)의 모양형상에 따라 표면에 부착하게 된다.
도2는 종래 장신구에 악세사리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장신구에 악세사리가 부착 고정되어지는 악세사리 고정부는, 장신구(10)의 표면에 장식하고자 하는 악세사리(20)의 크기에 따라 그에 알맞는 규격의 내경을 가지고, 역삼각형 형상으로 테이퍼진 고정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홈(11)에 접착제 또는 엑폭시(30)를 적층한 상태에서 악세사리(20)(인조 다이아몬드, 구슬 등)를 고정홈(11)에 끼워 부착 고정 한다.
상기와 같이 악세사리가 부착고정되는 고정홈이 역삼각형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있고, 접착제 또는 엑폭시를 이용하여 악세사리를 부착 고정할 경우, 작업 고정이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일정기간이 지나면 엑폭시 또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소실되어 조그만 충격에서도 악세사리가 고정홈으로부터 분리 이탈되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악세사리의 이탈로 장신구의 장식적 효과가 떨어짐은 물론, 수리전문점에 수리를 의뢰해야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사출 성형되는 장신구의 표면에 일정깊이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소정의 위치에서 중앙을 꼭지점으로 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홈을 형성한 것으로서, 엑폭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악세사리를 고정홈에 삽입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 향상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견고한 고정으로 악세사리가 고정홈으로부터 분리 이탈되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세사리의 이탈로 인해 장신구의 장식적 효과가 떨어지는것을 미연에 방지하였으며, 장신구를 수리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장신구의 악세사리 고정부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장신구의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2는 종래 장신구에 악세사리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에 악세사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4는 본 고안의 장신구 악세사리 장착부에 악세사리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장신구 101 : 표면
102 : 고정홈 200 : 악세사리
201 : 악세사리 저면부 202 : 가장자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출 성형되는 장신구(100)의 표면(101)에 일정 깊이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소정의 위치에서 중앙을 꼭지점으로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홈(102)을, 악세사리(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과 숫자로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에 악세사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보인 부분 확대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장신구 악세사리 장착부에 악세사리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되어진 장신구(100) 표면(101)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102)에 악세사리(200)(인조 다이어몬드 또는 구슬)의 저면부(20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악세사리(200)의 상부에 압력을 가해 장신구(100)의 고정흠(101)에 삽입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압력을 가해 장신구(100)의 고정홈(102)에 삽입되어진 악세사리(200) 즉, 인조 다이아몬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하게 세공된 가장자리(202)가 고정훔(102)의 내측면에 압입 고정되어 진다.
또한 구슬은 큰 지름을 이루는 구형부가 장신구(100)의 고정홈(102)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 압입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장신구(100)는 탄성변영 가능한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삽입 고정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장신구(100)에 형성된 고정홈(102)의 형상모양과, 대응되는 숫자의 홀을 가지는 종이를 투명 테이프에 붙여서된 악세사리 고정판(도시하지 않았음)을 이용하여 장신구의 고정홈에 악세사리를 삽입 고정할 수 있게 하였는데, 상기 악세사리 고정판의 종이위로 악세사리를 뿌려서 홀에 위치하는 악세사리가 테이프에 접착되어지게 하였고, 상기와 같이 부착되어진 악세사리를 장신구의 고정홈에 대고 압력을 가하므로써 단시간내에 악세사리를 장신구에 삽입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악세사리 고정부 구조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사출 성형되는 장신구의 표면에 일정깊이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소정의 위치에서 중앙을 꼭지점으로 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홈을 형성 함으로써, 엑폭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악세사리를 고정홈에 삽입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 향상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견고한 고정으로 악세사리가 고정홈으로부터 분리 이탈되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세사리의 이탈로 인해 장신구의 장식적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였으며, 장신구를 수리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사출 성형되는 장신구(100)의 표면(101)에 일정 깊이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소정의 위치에서 중앙을 꼭지점으로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홈(102)을, 악세사리(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과 숫자로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악세사리 고정부 구조.
KR2019970031170U 1997-11-06 1997-11-06 장신구의 악세사리 고정부 구조 KR200165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170U KR200165802Y1 (ko) 1997-11-06 1997-11-06 장신구의 악세사리 고정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170U KR200165802Y1 (ko) 1997-11-06 1997-11-06 장신구의 악세사리 고정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987U KR19990017987U (ko) 1999-06-05
KR200165802Y1 true KR200165802Y1 (ko) 2000-01-15

Family

ID=1951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170U KR200165802Y1 (ko) 1997-11-06 1997-11-06 장신구의 악세사리 고정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8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496B1 (ko) * 2001-01-22 2004-03-18 황영문 악세사리 제조방법
KR100584106B1 (ko) * 2005-12-08 2006-05-30 (주)디디다이아 원판형 다이아몬드공구 및 그 제조방법
CN110177429A (zh) * 2019-06-18 2019-08-27 苏州昀冢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电子元件的部件及其生产工艺和摄像头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987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422B1 (ko) 금속장식판 구성체
KR100908210B1 (ko)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보석류들이 부착된 보석 장식판
KR200165802Y1 (ko) 장신구의 악세사리 고정부 구조
JP3123920U (ja) 発光装身具
JP2006289644A (ja) 装飾品
KR200406078Y1 (ko) 입체 장식판의 이격 내장구조를 갖는 보석장식구
JP2003182293A (ja) 工芸品及び工芸品の作成方法
KR200231828Y1 (ko) 초음파기에 의해 악세사리가 고정되는 장신구의 고정홈구조
US563642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jewelry having faux pave look
KR200210879Y1 (ko) 초음파융착기에 의해 악세사리가 고정된 장신구
JP3100292U (ja) リベット部材
JP6180222B2 (ja) 装飾体の取付構造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200237522Y1 (ko) 인조 보석 또는 합성수지를 머리 부위에 장착한 장식용스크류
JP2011130931A (ja) 人工爪への宝石類の取付方法および宝石類を取り付けた人工爪
KR200363300Y1 (ko) 십자수용 시계문자판
US20080041100A1 (en) Method for adding adornments to metal jewelry
KR200287974Y1 (ko) 헤어밴드
KR200263993Y1 (ko) 장식테가 형성된 두발고정구
JP3142622U (ja) クリスタルバッジ
JPH0672407U (ja) 装飾品
JPH04324816A (ja) 装飾片入り樹脂製眼鏡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15578Y1 (ko) 구슬을 이용한 악세서리
KR200215557Y1 (ko) 주조물과 체인스톤이 접합된 장신구
KR100248538B1 (ko) 반짝이가 부착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14572U (ko) 신발용 액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823

Effective date: 200106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00823

Effective date: 20010630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731

Effective date: 20020906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731

Effective date: 20020906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927

Effective date: 20030110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20927

Effective date: 20030110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308

Effective date: 200306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722

Effective date: 2003082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308

Effective date: 20030627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718

Effective date: 200412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919

Effective date: 2005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