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334B1 -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의 용이제거 피막 - Google Patents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의 용이제거 피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334B1
KR100357334B1 KR1019930027525A KR930027525A KR100357334B1 KR 100357334 B1 KR100357334 B1 KR 100357334B1 KR 1019930027525 A KR1019930027525 A KR 1019930027525A KR 930027525 A KR930027525 A KR 930027525A KR 100357334 B1 KR100357334 B1 KR 100357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water
ink
group
hydrophil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339A (ko
Inventor
고노겐지
미쯔하시히로유끼
사이바라쇼지
미야따가즈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마쿠세루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마쿠세루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마쿠세루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30027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334B1/ko
Publication of KR950018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3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e.g. temporary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201/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물체를 반복하여 용이하게 정청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물체의 표면에 고정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에 관한 것으로써, 반복해서 용이하게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물에 의해서 팽윤하지만 유출해서 소실하지 않는 친수성이면서 또한 공기중의 상온에서 고체상태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막으로 이루어지는 물체의 표면에 고정하였다.
이러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부착물을 용이하게 반복해서 제거할 수 있으며, 물체의 재이용, 청정화, 마스킹 등에 유효하다.

Description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본 발명은 물에 의해서 부착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피막을 물체표면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서 물체를 반복하여 용이하게 청정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피막:coating)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그 성질상 부착물의 부착을 저지하는 것이 아니라 부착을 허용하는 것으로서, 이 부착물을 물에 의해 처리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중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피복을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이라 칭하였다.
종래, 물에 용해되지 않는 부착물을 제거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며, 액상의 기름정도라도 물에 계면활성제를 부가해서 많은 시간을 들여 세정하던가 인체나 환경에 문제가 있는 유기용제를 사용해서 용해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왁스상태, 고체상태로 되면 계면활성제는 대부분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유기용제를 사용하던가 또는 기계적으로 떨어드리는 등 중노동이 필요하게 되고 완전히 제거할 수 없거나 피부착물을 손상시키거나, 더 나아가서는 제거할 수 없는경우도 많다.
또, 표면에 박리 또는 용해가능한 피복을 형성하고, 그것과 함께 부착물을 제거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 때마다 새로운 피막을 형성해야만 했거나 여분의 폐기물을 발생하는 등 본질적인 해결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반복하여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피복으로서는 테프론 피복이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거나 피복할 수 있는 표면이 한정되거나 투명성이 낮다는 등의 문제점 때문에 이용 범위는 좁았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점이 거의 없는 반복해서 용이하게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피복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소비되거나 인체나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또, OHP필름이나 OA지와 같이 부착물인 잉크를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다량으로 폐기되어 환경문제 등을 일으키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반복해서 용이하게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저가이고, 범용성이 높은 피복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현상을 감안하여 여러가지 검토를 실행한 결과 이루어진 것으로서, 물에 의해서 팽윤하지만 유출해서 소실되지 않는 친수성이고 또한 공기중의 상온에서 고체 상태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피막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물에 의해 부착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피막을 물체 표면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반복해서 물체를 용이하게 청정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은 물에 녹지 않거나(不溶性) 또는 잘 녹지 않는 성질(難溶性)의 부착물 예를 들면 유성 물질등의 대부분을 제거할 수 있고 부착물이 이들인 경우에 의해 효과를 발휘한다.
부착물 제거의 기구는 수지사슬의 수화(물의 혼합)에 의한 부착물의 부착력의 저하, 팽창이나 유연화에 의한 수지와 부착물간의 왜곡의 발생 등이 고려되지만, 정확한 기구는 명확하지 않다.
본 발명의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은 물에 의해서 팽윤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효과적으로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팽윤율이 1.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체적팽윤율은 두께가 수십㎛이고 약 1×1cm크기의 시료를 물에 5분간 침지했을 때의 전후의 시료 크기의 측정 길이의 비를 3승하는 것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은 반복 사용(reuse)하기 위해서는 물에 의해서 유출해서 소실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고, 용해되어 유출되지 않는 수지의 비율인 겔분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피복 자체에도 어느 정도의 내찰상성(耐擦像性), 내수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친수성의 수지를 가교하는 것이 유효하다. 가교에 사용하는 관능기로서는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이중결합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가교제로서도 수지분자중의 관능기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에폭시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가교제 또는 방사선 가교제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박리 유출을 억제하기 위해 물에 침지했을때 피복한 물체의 표면에서 박리되는 일이 없는 접착성 및 내박리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고, 피복하는 물체의 표면에 처리를 실시하거나 또는 피복하는 물체의 표면에 이 물체와는 다른 층을 마련하는 것도 유효하다.
예를들면 접착성을 향상하기 위해 파라클로로페놀, 트리클로로초산, 실란커플링제, 티탄커플링제, 아지드화합물, 각종 중합물 등에 의한 처리 또는 표면층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피복과 피복하는 물체의 팽윤율이 다른 경우에는 이들간에 생기는 왜곡을 흡수하기 위해 팽윤율이 중간 정도인 표면층을 사용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은 물에 의해서 팽윤하는 친수성의 수지가 주성분인 것을 필요로 하지만, 이와 같은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극성의 관능기 또는 친수사슬을 갖는 수지를 들 수 있고 극성의 관능기 또는 친수사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카르본산기, 수산기, 술폰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인산기 또는 이들의 염, 폴리에틸렌글리콜사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관능기 또는 친수사슬을 갖는 수지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알콜,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 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아크릴글리신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비닐피롤리돈, N, N-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N,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릴아민 또는 이들의 염, 아미노기의 4급화물,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단독중합물, 공중합물, 상기 이외의 물질과의 공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의 친수성은 물에 대한 후퇴접촉각에 의해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물에 대한 후퇴접촉각이 40도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도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도이하의 거의 0도의 친수성인 수지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물에 대한 후퇴접촉각은 물방울을 수지막상에 형성하고, 이 물을 주사기등에 의해 빨라올려서 물방울의 끝이 안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을 때의 물이 수지에 접하는 각도를 분도기(각도기) 등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수용액에 의한 처리를 전제로 하는 경우에 그 처리에 의해서 친수성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그 수용액에 침지, 건조시킨 후에 측정할 필요가 있다.
또, 각종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친수성의 수지 이외의 물질을 병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예를 들면, 무기분말, 가소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염료, 안료, 분산제, 소수성의 수지 등을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에 의해서 부착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부착물의 제거공정이 물에 의한 세정이라면 더욱 효과적이다. 물만으로는 팽윤이 불충분해서 제거가 어려운 경우 또는 팽윤속도를 높여서 제거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 등에는 전해질, 알콜 등을 포함하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
전해질로서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염, 염기 또는 산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1예로서는 중조, 식염, 초산,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염산, 황산, 질산 등의 전해질,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알콜 등의 알콜 등을 들 수 있다.
또, 물에 용해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피복의 수지중의 녹아나오는(용출하는) 성분 등을 보급할 수 있어 피막의 각종 특성의 유지에 효과적이다. 또,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계면활성제 등을 물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부착물의 제거공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물을 그대로 폐기하는 경우 또는 물이 직접 인체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물에 포함되는 물질 및 피복에서 녹아나오는 물질은 인체나 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작은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생분해성 물질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착물 제거재 및 그것을 사용한 피복은 형상 또는 피복을 유지하기 위해 공기중의 상온에서 고체인 것이 필요하다. 실용성을 고려하면 건조시의 굵기강도가 하중을 100g 으로 한 연필굵기경도시험으로 6B이상이면 대부분의 경우 바람직하고, 2B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피복끼리를 접촉시켰을 때 점착 또는 접착이 발생하지 않는 것은 실용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용도에 따라서 특히 피복으로써 사용되는 경우에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투명성이 전체 광선 또는 파장 550nm의 광선의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피복하는 기재(基材)가 시트형상인 것은 폭넓은 응용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제거가능한 부착물이 잉크인 경우를 들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대표적인 예이고, 그 중에서도 특히 잉크의 부착방법이 복사, 인자 또는 인쇄인 경우는 사무실 등에서 발생하는 종이쓰레기의 문제 등의 해결에 매우 유효하다.
그 중에서도 복사기에 의한 복사나 프린터나 타이프라이터(타자기) 등에 의한 인자 또는 인쇄에 의한 종이쓰레기의 증가는 현저하고, 따라서, 상기 시트형상의 기재상의 피복이 이들에 사용되는 잉크와 친화성을 갖고 복사, 인자 또는 인쇄가능하고, 이들 잉크의 제거에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유효하다.
그 중에서도 전자 사진 복사 방식의 복사나 레이저방식의 프린터에 사용되는 토너잉크에 대응하는 것은 최근의 사무실에 있어서의 사용량을 고려해서 특히 유효하다.
또, 그밖의 방식에 의한 인자 또는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에 대응하는 것도 물론 유효하고, 그들 잉크의 예로서는 잉크젯잉크, 감열리본잉크, 임팩트잉크, 타이프라이터 리본잉크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시트형상의 기재상의 피복이 복사, 인자 또는 인쇄에 의한 잉크의 부착공정의 전후에 있어서 열화를 받지 않는 내열성, 기계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시트형상의 기재로서는 용도에 따라서 수지막, 종이, 금속 호일 또는 그들 복합재 또는 적층재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복사, 인자 또는 인쇄가 가능한 가요성 및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잉크의 부착 및 제거공정의 전후에 있어서 평면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평면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열성, 내수성, 기계특성 또는 형상기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피복이 복사, 인자 또는 인쇄에 의한 잉크의 부착 및 부착된 잉크의 제거공정의 전후에 있어서 평면성을 유지할 수 있는 수축률 또는 팽창률인 것도 바람직하다. 단, 시트 양면에 피복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넓은 범위의 수축률 또는 팽창률의 피복이 사용가능하다. 유지되는 평면성은 통상 시트를 평면상에 배치했을 때 가장 들뜬 부분의 들뜬 폭이 10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복의 두께는 0.05㎛이상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이상 3㎛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얇은 경우에는 반복 사용회수가 적어지고, 두꺼운 경우에는 부착물 제거시에 피복의 손상을 일으키기 쉽다.
본 발명의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은 물에 의해서 팽윤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특정 용도 예를 들면 상기 잉크의 부착 등에 있어서는 부착물의 제거에 필요한 팽윤이 특정 온도 영역에 있어서만 얻어지면 사용상 더욱 바람직하다. 즉, 실온 사용시에 있어서는 부착물이 부착되지만 제거되기 어렵고, 실온과는 다른 온도를 사용하는 제거공정에 있어서만 부착물 제거성이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영역이 20℃이상이면 사용에 있어서도 제거공정의 설계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고, 28℃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효과를 발현하는 수지로서는 질소함유기 및 유기산기를 갖는 수지 또는 수지의 병용물을 들 수 있고, 질소함유기, 유기산기로서는 아미드기, 아미노기, 카르본산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관능기를 갖는 수지 또는 수지의 병용물로서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 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아크릴글리신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비닐피롤리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단독 중합물, 공중합물, 상기 이외의 물질과의 공중합물 및 이들의 병용 등을 등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과 폴리아크릴글리신아미드, 폴리아크릴산과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의 조합이 있고, 예를 들면 최초의 예에서는 29℃이상의 온도, 물 존재하에서 분자 레벨의 팽창이 학문적으로 증명되어 있다(가미도오노 히로끼 외의 표면담화회 콜로이드 간담회 편집, 표면, 30, 32(1992)).
또, 잉크의 부착방법이 복사, 인자 또는 인쇄인 경우도 포함해서 특정 필기구에 의한 잉크의 부착 및 제거가 가능한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물에 의해서 팽윤하지만 유출해서 소실되지 않는 친수성이고 또한 공기중의 상온에서 고체 상태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은 부착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널리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잉크류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OHP시트, 종이 또는 종이와 동등품, 셀화용 시트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기름 등의 오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건재, 가구, 환기팬, 등유기구, 전기제품, 가스기구, 도구류, 식기, 그밖의 여러가지의 일용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부엌주변, 기계 등을 사용하는 작업장, 도료 등을 취급하는 작업장 등 기름이나 도료 등의 오염이 발생하기 쉬운 장소에 사용되는 것에 효과적이다.
또, 마스킹을 목적으로 해서 도장이나 그래픽스의 작성 등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물에 팽윤한다는 우수한 친수성 때문에 흐림 방지 피막으로서도 이용할수 있다.
이와 같은 응용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것을 비교적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부착물인 기계유의 제거 및 전자 사진 복사 방식의 복사기에 의한 복사에 있어서 소결되는 토너잉크라는 부착물 중에서도 특히 견고하게 부착된 부착물의 제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1000) 1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가교제(트리메티롤프로판의 9.7중량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3부가물)
시크로헥사논 23중량부
톨루엔 23중량부
이 조성물을 냉각기를 부착한 프라스코내에 넣어 교반하면서 80℃에서 점도증가가 확인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계속해서, 얻어진 수지용액을 두께가 10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막 상에 60㎛의 용액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70℃에서 3일간 고온처리를 실시해서 친수성의 수지를 가교해서 이루어지는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막을 만들었다.
또, 박리 종이상에 약 200㎛의 용액 두께로 수지용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70℃에서 3일간 고온처리를 실시해서 체적 팽윤율 및 겔분율 측정용의 시료를작성하였다. 토너잉크의 제거, 체적 팽윤율 및 겔분율의 측정의 처리액으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시판중인 친수성수지(아크릴산염과 비닐알콜의 10중량부
4:6공중합물)
에폭시가교제(분자내에 3급 아미노기를 갖는 0.025중량부
4관능에폭시화합물)
이소프로필알콜 7.6중량부
이 조성물을 실온에서 혼합 교반하여 수지용액을 얻었다.
계속해서, 얻어진 수지용액을 두께가 10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막 상에 300㎛의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110℃에서 5시간 고온처리를 실시해서 친수성의 수지를 가교해서 이루어지는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막을 만들었다.
또, 유리판에 부착한 테프론시트상에 100㎠당 25g의 수지용액을 주입하고 건조시킨 후, 110℃에서 5시간 고온처리를 실시해서 체적 팽윤율 및 겔분율 측정용의 시료를 작성하였다. 토너잉크의 제거, 체적 팽윤율 및 겔분율의 측정의 처리액으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메타크릴산 9중량부
아크릴산 1중량부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3중량부
아크릴아미드 1중량부
N,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1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38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 142중량부
이 조성물을 냉각기를 부착한 프라스코내에 넣고 질소기류하에서 교반하면서 70∼80℃에서 10시간 반응시켜 친수성의 수지 A의 15중량%, 이소프로필알콜 용액을 얻었다. 다음에
수지A 15중량% 이소프로필알콜용액 10중량부
에폭시가교제(글리세린의 글리시딜에테르화물 0.075중량부
8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에틸렌글리콜≒4의
글리시딜에테르화물 1중량부와 소르비톨의 폴
리에틸렌글리콜-글리시딜에테르화물 1중량부의
혼합물)
이 조성물을 실온에서 혼합 교반하여 수지용액을 얻었다.
계속해서, 얻어진 수지용액을 두께가 100㎛인 용이 접착 처리(폴리우레탄 처리)를 실시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막상에 60㎛의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110℃에서 5시간 고온처리를 실시해서 친수성의 수지를 가교해서 이루어지는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막을 만들었다.
또, 박리 종이상에 약 350㎛의 용액 두께로 수지용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후, 110℃에서 5시간 고온 처리를 실시해서 체적 팽윤율 및 겔분율 측정용의 시료를 작성하였다. 토너잉크의 제거, 체적 팽윤율 및 겔분율의 측정의 처리액으로는 중조의 1중량%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한 시료이지만 토너잉크의 제거의 처리액으로 수지A가 1중량%, 중조가 1중량%인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친수성의 성분을 갖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을 형성하기 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막을 그대로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2>
시판중인 친수성수지(아크릴산염과 비닐알콜의 4:6공중합물) 5중량%수용액을 두께가 10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막상에 120㎛의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110℃에서 5시간 고온처리를 실시해서 친수성의 수지를 거의 가교하고 있지 않은 피복막을 만들었다.
또, 유리판에 부착한 테프론시트상에 100㎠당 14g의 수지용액을 주입하고 건조시킨 후, 110℃에서 5시간 고온처리를 실시해서 체적 팽윤율 및 겔분율 측정용의 시료를 작성하였다. 토너잉크의 제거, 체적 팽윤율 및 겔분율의 측정처리액으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부착물 제거재 피복을 실시하는 막으로서 표면처리를 실시하고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막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물체의 표면과의 접착성이 낮은 피복막을 만들고, 처리액으로서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부착물 제거재 피복막 및 비교예 1의 막을 사용해서 기계유를 붓으로 약 1×2cm 도포해서 부착시키고, 또 전자 복사 방식의 복사기로 문자를 복사해서 토너잉크를 부착시키고, 하기의 방법에 의해 물에 의한 기계유 및 복사 문자의 제거성 및 각종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수지A의 경우에는 처리액에 의해서 친수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처리액에 20분간 침지하고 건조한 후에 부착 조작을 실행하였다. 또, 복사하는 문자로서는 알파벳의 12포인트 고딕체로 하였다.
[체적팽윤율]
체적팽윤율 측정용 시료를 약 1×1cm의 크기로 잘라 처리액에 5분간 침지한다. 5분간 침지했을 때의 전후의 시료크기의 측정값에서 길이의 비를 3승해서 체적의 비를 구해 체적팽윤율로 하였다.
[겔분율]
겔분율 측정용 시료를 약 0.1g의 크기로 잘라 50㎖의 처리액에 침지해서 초음파를 30분간 쐰다. 그 후, 처리액을 교체해서 상기 조작을 1회 반복한다. 용해되지 않고 남은 시료를 80℃의 건조기속에서 중량변화가 없어질때까지(1주간 정도) 건조시킨다.
이상의 조작의 전후의 중량차에서 용해하지 않은 부분의 중량%를 구해서 겔분율로 하였다.
[물에 대한 후퇴접촉각]
물방울을 막의 피복면상에 형성하고, 이 물을 주사기로 빨라올려 물방울의 끝이 안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을 때의 물이 수지와 접하는 각도를 분도기로 구했다. 또한, 수지A의 경우에는 처리액에 의해서 친수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처리액에 20분간 침지하여 건조시킨 후 측정하였다.
[연필굵기 경도시험]
하중을 100g 으로 한 것 이외는 JIS K 5400에 따랐다.
[점착 및 접착시험]
피복면끼리를 접촉시켜서 막을 겹치고, 1kg의 분동(分銅)을 그의 중심에 두고 1일 방치해서 점착 및 접착성을 조사하였다. 점착 및 접착성의 평가는 점착 및 접착 모두 확인되지 않은 경우를 (), 점착이 확인되는 경우를 (△), 접착이 확인되는 경우를 (×)로 나타내었다.
[광선투과율]
UV 및 가시분광 광도계(히다치 세이사꾸쇼사제 200-20형 더블 빔 분광 광도계)로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을 구하였다.
[평면제의 유지성]
전자 복사 방식의 복사기(캐논사제 NP5060)로 문자를 복사한 후 시트를 평면상에 배치할 때 가장 들뜬 부분의 들뜬 폭을 측정하였다.
[피복의 저하]
제거 5회 후의 피복의 상태를 육안관찰(目視) 및 광학현미경에 의해 관찰하였다.
[기계유 제거성]
각 부착물 제거재 피복막 및 막을 흐르는 물속에서 사진용 스펀지로 표면을 문질러 기름 오염 제거성을 조사하였다. 제거성의 평가는 흐르는 물만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경우를 (◎), 가볍게 문지르는 것에 의해 완전히 소거되는 경우를 (), 세게 문질러도 기름오염이 퍼질뿐 제거할 수 없는 경우를 (×)로 나타내었다.
[토너잉크 제거성]
각 부착물 제거재 피복막 및 막을 처리액에 20분간 침지한 후 물속에서 사진용 스펀지로 표면을 문질러 토너잉크 제거성을 조사하였다. 제거성의 평가는 흐르는 물만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경우를 (◎), 가볍게 문지르는 것에 의해 완전히 소거되는 경우를 (), 강하게 문질러도 전혀 소거할 수 없는 경우를 (×)로 나타내었다.
[토너잉크 반복제거성]
상기 토너잉크 제거성 시험의 조작을 실행한 후 드라이어로 수분을 충분히 제거한 후에 재차 복사 및 토너잉크 제거를 실행한다는 조작을 반복해서 완전히 토너잉크 제거를 실행할 수 있는 회수를 조사하였다.
하기의 표 1 및 표 2는 그의 결과이다.
표 1
표 2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얻어진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실시예 1∼4)은 비교예 1∼3의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을 실시하고 있지 않은 것 또는 이 피복이 고정화되어 있지 않은 것에 비해 토너잉크의 제거성이 좋거나 또는 반복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비교적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부착물인 기계유 뿐만 아니라, 소결한 토너와 같은 부착물 중에서도 특히 견고하게 부착된 부착물을 용이하게 또한 반복해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다른 부착물에 내해서도 마찬가지인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지는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복은 부착물을 용이하게 또한 반복해서 제거할 수 있어, 물체의 재이용(reuse), 청정화, 마스킹 등에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32)

  1. 기재와 상기 기재의 표면에 고정된 피막 복합물을 포함하는 피막기재로서,
    상기 피막복합물은 그의 초기체적의 적어도 1.5배인 팽윤율이 가능한 가교된 물팽윤성의 친수성수지를 갖고,
    상기 물팽윤성의 친수성 수지는 공기중의 상온에서 고체이고, 표면부착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피막된 기재의 반복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팽윤성의 친수성 수지의 조건은 상기 부착물을 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경우, 물에서 팽윤하지만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서 물에 의해 유출되어 소실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윤성의 친수성 수지는 겔분율이 적어도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윤성의 친수성 수지는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이중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통해 가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능기는 에폭시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와 방사선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가교소오스에 의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윤성의 친수성 수지는 극성의 관능기 또는 친수사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의 관능기 또는 친수사슬은 카르본산기, 수산기, 술폰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인산기 또는 그들의 염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로 이루어지는 군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수지는 물에 대한 후퇴접촉각이 4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표면은 접착성 또는 내박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표면은 산, 커플링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수지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물에 의해 팽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염, 염기 또는 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수지는 알콜을 포함하는 물에 의해 팽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수지는 물에 용해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14. 제1항에 있어서,
    무기분말, 가소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염료, 안료, 분산제 및 소수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은 건조시의 100g의 하중하에서 연필긁기시험에 의해 측정된 적어도 6B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기재의 면은 다른 피막기재의 면과는 점착 또는 접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복합물은 550nm의 파장을 갖는 광선의 80%를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기재는 시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상의 기재는 수지막, 종이, 금속호일 또는 그들의 복합재 또는 적층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복합물은 복사, 인자 또는 인쇄가 가능한 그들에 사용되는 잉크와 친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토너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잉크제트잉크, 감열리본잉크, 임팩트잉크 및 타이프라이터 리본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복합물은 상기 잉크의 부착공정의 전후에 있어서 피막 복합물의열화를 방지하도록 내열성 및 기계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복사, 인자 또는 인쇄가 가능한 가요성 및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잉크의 부착 공정의 전후에 있어서 평면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열성, 내수성, 기계특성 또는 형상기억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복합물은 잉크의 부착 및 제거공정의 전후에 있어서 평면성을 유지할 수 있는 수축률 또는 팽창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를 평면상에 배치했을 때 상기 평면성은 상기 기재의 가장 높은 수지부의 높이에 대해 1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의 두께는 0.05㎛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수지는 적어도 20˚의 특정 온도에서 유출되어 소실되지 않는 물에서 팽윤하는 것을 특징으로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팽윤성의 친수성 수지는 질소함유기 및 유기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함유기와 상기 유기산기는 아미드기, 아미노기 및 카르본산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32. 기재와 상기 기재의 표면에 고정된 피막 복합물을 포함하는 피막기재로서,
    상기 피막 복합물은 토너잉크와 친화성을 갖고 그의 초기체적의 적어도 1.5배인 팽윤성이 가능한 가교된 물팽윤성의 친수성 수지를 갖고,
    [a] 상기 가교된 물팽윤성의 친수성 수지는 공기중의 상온에서 고체이고, 표면 부착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피막 기재의 반복사용이 가능하고,
    [b] 상기 팽윤성의 친수성수지의 조건은
    [i] 상기 수지가 물에서 팽윤하지만 물에 의해 상기 피막 기재의 표면에서 유출되어 소실되지 않고, [ii] 상기 피막 기재상에 존재하는 토너잉크가 물에 의해 용이하게 유출되어 소실되는 것이고,
    [c] 상기 팽윤성의 친수성수지는 겔분율이 적어도 50%이고,
    [d] 상기 가교된 물팽윤성의 친수성수지 피막 복합물은 에폭시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또는 방사선가교제 중의 어느 하나의 가교소오스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용이 제거 피막.
KR1019930027525A 1993-12-14 1993-12-14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의 용이제거 피막 KR100357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525A KR100357334B1 (ko) 1993-12-14 1993-12-14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의 용이제거 피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525A KR100357334B1 (ko) 1993-12-14 1993-12-14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의 용이제거 피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339A KR950018339A (ko) 1995-07-22
KR100357334B1 true KR100357334B1 (ko) 2003-03-15

Family

ID=4938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525A KR100357334B1 (ko) 1993-12-14 1993-12-14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의 용이제거 피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3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386B1 (ko) 2008-12-31 2015-05-1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필기 및 소거 가능한 코팅조성물 및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386B1 (ko) 2008-12-31 2015-05-1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필기 및 소거 가능한 코팅조성물 및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339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24896T2 (de) Tragkonstruktion für Möbel oder dergleichen mit gelapptem Standbein
JP3755775B2 (ja) 物体の表面に固定化した付着物易除去被覆
BR0100808B1 (pt) composição de revestimento, que se pode descascar, e, processo de preparação de um revestimento, que se pode descascar.
KR100511933B1 (ko) 부착물의제거가용이한피복및그사용방법
US6103366A (en) Surface coating fixed to a material from which deposits are readily removed
KR100357334B1 (ko) 물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부착물의 용이제거 피막
US6701842B2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an erasable lithographic printing plate
JP2001098188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被覆組成物
JP2001098190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被覆組成物
JPH0919669A (ja) 付着物の除去方法
JP2005170042A (ja) 物体の表面に固定化した付着物易除去被覆
JP3783079B2 (ja) 付着物易除去被覆およ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この付着物易除去被覆を有してなる物品
JP2003261702A (ja) フッ素樹脂コート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50268A (ja) ジェットプリンター用マーキングインキ
JP2002088311A (ja) 付着物易除去被覆の製造方法
JP3126628B2 (ja) 離型フイルム
JPH0978056A (ja) 帯電防止剤
JPH08102395A (ja) Oaシ−ト
JP2000326621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の受像層形成用組成物及び記録媒体
JP3568582B2 (ja) 物体の表面に固定化した付着物易除去被覆の洗浄方法
JPH11174714A (ja) リサイクル可能な被記録材およびその製法
US20020176965A1 (en) Recyclable image-recording medium, surface layer of which contains surfactant
JP2005325303A (ja) 導電性組成物、導電性塗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23039A (ja) 帯電ロール
JP2004107464A (ja) 落書き及び水垢除去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816

Effective date: 200206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