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797B1 - 재생형 펌프 - Google Patents

재생형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797B1
KR100352797B1 KR1020000026955A KR20000026955A KR100352797B1 KR 100352797 B1 KR100352797 B1 KR 100352797B1 KR 1020000026955 A KR1020000026955 A KR 1020000026955A KR 20000026955 A KR20000026955 A KR 20000026955A KR 100352797 B1 KR100352797 B1 KR 100352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pump
outlet
pump cover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7335A (ko
Inventor
후지신이치
무라세세이지
Original Assignee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7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5/00Pumps with circumferential or transverse flow
    • F04D5/002Regenerativ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48Arrangements for driving regenerative pumps, i.e. side-channe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04D29/242Geometry, shape
    • F04D29/245Geometry, shape for special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5/00Pumps with circumferential or transverse flow
    • F04D5/002Regenerative pumps
    • F04D5/007Detail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50/00Geometry
    • F05B2250/20Geometry three-dimensional
    • F05B2250/29Geometry three-dimensional machined; miscellaneous
    • F05B2250/292Geometry three-dimensional machined; miscellaneous tap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50/00Geometry
    • F05B2250/50Inlet or outlet
    • F05B2250/503Inlet or outlet of regenerativ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임펠러(16)는 그의 외주부를 따라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 홈(16a)을 갖는다. 펌프 케이싱(17)은 흡입구(22), 배출구(24), 상기 흡입구(22)에 연속하는 제 1 통로 홈(20), 상기 배출구(24)에 연속하는 제 2 통로 홈 및 상기 흡입구(22)와 상기 배출구(24) 사이의 격벽(25)을 갖는다. 임펠러를 향하는 펌프 케이싱(17)측의 배출구(24)의 개구 단부면은 테이퍼부(24a) 및 완충부(24b)를 갖는다. 테이퍼부(24a)는 임펠러(16)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점차 감소되는 개구 폭(W)을 갖는다. 완충부(24b)는 임펠러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개구 폭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구(24)의 테이퍼부(24a) 및 완충부(24b)를 각각 규정하는 벽면(24c, 24d)과 펌프 케이싱(17)의 하부면(9a)에 의해 규정되는 모서리부는 모따기된다.

Description

재생형 펌프{REGENERATIVE TYPE PUMPS}
본 발명은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웨스코형 펌프(Wesco type pump)로도 공지되어 있는 재생형 펌프(regenerative type pump)에 관한 것이다.
재생형 펌프의 일예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1-18688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펌프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임펠러를 구비하고 있다. 펌프 케이싱은 흡입구 및 배출구를 가지며, 양자 모두 임펠러의 양측에 위치되어 있다. 다수의 블레이드 홈이 임펠러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된다. 유체는 임펠러에 의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고 임펠러 블레이드 홈의 이동 경로를 따라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펌프 케이싱의 상부는 홈 흡입부에서 시작하여 배출구에서 종결되는 홈을 구비한다. 홈 흡입부와 배출구 사이에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격벽은 펌프 케이싱 내부에 유로의 종단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재생형 펌프에 있어서, 고압 유체의 일부분이 배출구를 통해 원활히 배출되지 않고 유로의 종단부와 충돌한다면, 고주파의 음이 발생된다.
유로의 종단부에서 이러한 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4-288381 호는 임펠러에 면하는 배출구의 개구 단부면(開口端剖面)이 임펠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 감소되는 개구 폭을 갖는 재생형 펌프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개 공보에 있어서, 발명자는 유체가 유로를 원활히 통과하여 점차 감소하는 개구를 갖는 개구 단부면을 규정하는 벽면과 점차 접촉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발명자는 그러한 충돌에 의해 야기된 소음이 감소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출원인이 수행한 실험을 기초로 하여, 이러한 재생형 펌프에 있어서도 고압 유체 중 일부는 배출구의 하류측에서 종단 유로와 여전히 충돌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지된 펌프는 유로의 종단부에 발생되는 소음을 상당히 감소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재생형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개선된 재생형 펌프는 공지된 펌프보다 소음을 적게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재생형 펌프는 유체가 배출구로부터 원활히 배출되고 배출구의 종단부와 충돌하는 고압 유체의 양이 최소로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의 홈이 임펠러에 면하는 내부 펌프 커버측상에 내부 펌프 커버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홈은 홈 흡입부에서 시작하여 배출구에서 종결되고, 격벽이 홈 흡입부와 배출구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구의 개구부는 테이퍼부 및 완충부를 구비한다. 테이퍼부는 원주 방향으로 점차 감소되는 개구 폭을 갖는다. 완충부는 테이퍼부에 연속하며 원주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개구 폭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압 유체를 원활하게 배출구로 전달하고 배출구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의 종단부와 충돌하는 고압 유체의 양이 감소되어, 펌프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모서리부가 배출구의 테이퍼부 및 완충부의 벽면과 내부 펌프 커버의 하부면 사이에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모서리부는 유체가 테이퍼부로부터 완충부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모따기 되어있다. 따라서, 유체의 유량은 테이퍼부의 종단부에서 급격히 감소되지 않으므로, 펌프의 소음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임펠러의 회전방향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는 배출구의 전방 벽면은 내부 펌프 커버의 하부면과 예각을 형성하는 사면(oblique surfac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체는 이 사면을 따라 배출구 안으로 원활히 흐를 수 있으므로, 펌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구는 배출구의 전방 벽면의 경사진 구성으로 인하여 사출 성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벽면은 배출구내에 임펠러의 회전 방향에서 후방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후방 벽면은 내부 펌프 커버의 하부면과 예각을 형성하는 사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체가 배출구 안으로 원활히 흐를 수 있으므로, 펌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 및 청구범위와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한 후에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대표적인 재생형 펌프의 단면도,
도 2는 임펠러(16)를 향한 내부 펌프 커버(9)의 측면으로부터 도시한 제 1 대표 내부 펌프 커버(9)의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측면의 반대 측면으로부터 내부 펌프 커버(9)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내부 펌프 커버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배출구(24)의 확대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배출구의 반대쪽의 확대도,
도 7은 도 5의 VII-V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확대도,
도 9는 도 5의 IX-IX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X-X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1은 내부 펌프 커버(9)를 성형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 성형 다이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제 2 대표 실시예의 펌프 커버의 부분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4는 내부 펌프 커버 배출구의 형상과 펌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5는 내부 펌프 커버 배출구의 모따기 각도와 펌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임펠러 16a : 블레이드 홈
17 : 펌프 케이싱 20, 21 : 통로 홈
22 : 흡입구 24 : 배출구
25 : 격벽 24a : 테이퍼부
24b : 완충부 24e : 모서리부
재생형 펌프는 일반적으로 임펠러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 홈을 갖는 임펠러 및 펌프 케이싱을 구비한다. 임펠러는 펌프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펌프 케이싱은 유체 흡입구를 갖는 외부 펌프 커버와, 유체 배출구를 갖는 내부 펌프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는 흡입구로부터 임펠러를 통해 내부 펌프 커버쪽으로 흐를 수 있다. 내부 펌프 커버는 홈 흡입부로부터 배출구까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임펠러 블레이드 홈의 원형 이동 경로에 상응하는 유체 홈을 구비할 수 있다. 격벽은 통상 홈 흡입부와 배출구 사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임펠러를 향하는 배출구측의 개구 단부면은 테이퍼부 및 완충부를 갖는다. 테이퍼부는 원주방향으로 점차 감소되는 개구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부는 테이퍼부의 하류쪽에 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주방향으로 거의 일정한 개구 폭을 갖는다.
모서리부는 배출구의 테이퍼부 및 완충부를 규정하는 벽면과 내부 펌프 커버의 하부면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모서리부는 모따기 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따기 각도는 25°내지 50°이다.
배출구는 원주방향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벽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전방 벽면은 내부 펌프 커버의 하부면과 예각을 형성하는 사면을 가질 수도 있다.
배출구는 임펠러의 회전 방향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벽면을 구비할 수도 있고, 내부 펌프 커버의 하부면과 예각을 이루는 사면을 포함한다.
전술하고 후술하는 각각의 추가의 특징 및 방법의 단계는 개선된 재생형 펌프 및 그러한 펌프를 설계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다른 특징 및 방법과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 다수의 이러한 추가의 특징 및 방법 단계를 함께 이용하는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지시의 바람직한 측면을 실행하기 위한 세부 사항을 당업자에게 설명하려는 의도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청구범위만이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규정한다. 따라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한 특징 및 단계의 조합은 본 발명을 가장 넓은 의미로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몇몇 대표적 실시예를 단지 특별히 설명하기 위해서 개시한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유체 흡입부(3) 및 모터 수납부(2)를 갖는 자동차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펌프(1)를 도시하는 제 1 대표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바람직하게는, 브러시형 직류 모터가 모터 수납 부분(2) 내부에 배치되며 펌프 하우징(4)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된 자석(5)을 구비한다. 로터(6)는 자석(5)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베어링(10)은 내부 펌프 커버(9) 내부에 배치된 로터 샤프트(7)의 하단부(7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내부 펌프 커버(9)는 펌프 하우징(4)의 하단부에 확고히 부착된다. 샤프트(7)의 상단부(7b)는 모터 커버(12) 내부에 배치된 베어링(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모터 커버(12)는 펌프 하우징(4)의 상단부에 확고히 부착된다. 모터 커버(12)에 제공된 단자(도시 안됨)를 거쳐 로터 코일(도시 안됨)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로터(6) 및 샤프트(7)가 회전할 것이다. 연료 펌프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한 모터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추가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모터는 브러시형 직류 모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유형의 모터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도 있다.
유체 흡입부(3)는 내부 펌프 커버(9), 외부 펌프 커버(15) 및 내부 펌프 커버(9)와 외부 펌프 커버(15) 사이에 배치된 임펠러(16)를 구비한다. 내부 펌프 커버(9) 및 외부 펌프 커버(15)는 예를 들면, 다이 캐스팅된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임펠러(16)를 향하는 내부 펌프 커버(9) 측면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내부 펌프 커버(9)의 반대쪽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내부 펌프 커버(9)의 단면도이다.
외부 펌프 커버(15)는 펌프 하우징(4)의 하단부에, 예컨대 코킹으로 (caulking)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외부 펌프 커버(15)는 내부 펌프 커버(9)에 대하여 적소에 고정된다. 로터 샤프트(7)의 스러스트 하중(thrust load)을 수용하기 위해 스러스트 베어링(18)을 펌프 본체(15)의 중심부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펌프 커버(9) 및 외부 펌프 커버(15)는 펌프 케이싱(17)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펠러(16)는 펌프 케이싱(17)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임펠러(16)는 수지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임펠러의 외주부를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 홈(16a)을 갖는다. 이 블레이드 홈(16a)은, 국제 출원 공개 제 WO 99/07099 호에 개시된 블레이드 홈(16a)과 같이 유체를 외부 펌프 커버(15)의 흡입구(22)로부터 내부 펌프 커버(9)의 배출구(24)까지 전달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될 수 있다. 임펠러(16)는 대체로 D자 형상인 중앙 결합구멍(16b)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샤프트 부분(7a)의 결합 자루 부분(7c)은 상응하는 D자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결합 자루 부분(7c)을 중앙 결합구멍(16b)내에 단단히 끼워맞춤으로써, 임펠러(16)가 샤프트(7)에 결합된다. 그에 따라, 임펠러(16)는 샤프트(7)와 함께 회전할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1)은 내부 펌프 커버(9)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0)은 또한 외부 펌프 커버(15)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홈(20, 21)은 임펠러(16)를 향하며 임펠러(16)의 블레이드 홈(16a)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22)는 외부 펌프 커버(15)에 형성되고 배출구(24)는 내부 펌프 커버(9)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는 회전하는 임펠러(16)의 홈(20, 21) 및 블레이드 홈(16a)에 의해 흡입구(22)와 배출구(24) 사이에서 전달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5)이 홈 흡입부(23)와 배출구(24) 사이에 형성되어 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점선 원은 홈 흡입부(23)와 배출구(24)에 대한 흡입구(22)의 바람직한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즉, 외부 펌프 커버(15)의 흡입구(22)는 내부 펌프 커버(4)의 홈 흡입부(23)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4)는 내부 펌프 커버(9)를 통해 연장되고, 모터 수납부(2)의 내부 공간(2a)과 연통한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배출구(24)의 바람직한 구조를 설명한다. 임펠러(16)를 향하는 배출구(24)쪽의 개구 단부면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임펠러(16)를 향하는 배출구(24)의 개구 단부면은 테이퍼부(24a) 및 완충부(24b)를 구비한다. 테이퍼부(24a)는 유체 홈(21)의 하류쪽 단부에 연속하며, 배출구(24)쪽으로 원주방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개구 폭(W)을 갖는다. 완충부(24b)는 테이퍼부(24a)의 하류쪽에 연속하며, 실질적으로 일정한 개구 폭(W)을 갖는다.
도 5,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24e)는 테이퍼부(24a)의 벽면(24c), 완충부(24b)의 벽면(24d) 및 내부 펌프 커버(9)의 하부면(9a)의 교차부에 형성되고, 하부면(9a)은 임펠러(16)를 향한다. 본 대표적 실시예에 있어서, 모서리부(24e)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9a)의 반경 방향에 대해 모따기 각도(θ1)로 모따기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4)의 전방 벽면(24f)은 임펠러(16)의 회전 방향의 전방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벽면(24f)은 내부 펌프 커버(9)의 하부면(9a)과 예각(θ2)을 형성한다. 이 각도(θ2)는 전방 벽면(24f)과 하부면(9a)에 의해 임펠러(16)의 회전 방향에 대해 형성되는 각도이다. 사면(24fa)은 배출구(24)의 전방 벽면(24f)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하부면(9a)에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방 벽면(24f)의 전단부는 예리한 에지를 갖지 않으므로, 내부 펌프 커버(9)의 부분의 내구성이 개선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벽면(24h)은 임펠러(16)의 회전 방향으로 배출구(24)의 후방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후방 벽면(24h)은 하부면(9a)에 대해 예각(θ3)을 이룬다. 이 각도(θ3)는 임펠러(16)의 회전 방향에 대한 하부면(9a)의 각도이다. 사면(24ha)은 후방 벽면(24h)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하부면(9a)에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방 벽면(24h)의 후단부(24ha)는 예리한 에지를 갖지 않으므로, 내부 펌프 커버(9)의 부분의 내구성이 개선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유체 펌프의 대표적인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로터가 회전하면, 로터(6)의 샤프트(7)에 연결된 임펠러(16)가 도 2 및 도 7에 화살표(R)로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임펠러(16)의 외주부에 형성된 블레이드 홈(16a)이 또한 회전한다. 연료 탱크로부터 유체, 예컨대 연료가 회전하는 임펠러 블레이드 홈(16a)에 의해 흡입구(22)내로 흡입되고, 배출구(24)를 통해 배출되며, 모터 수납부(2)의 내부 공간(2a)을 통과하여, 모터 커버(12)에 형성된 방출구(28)로부터 고압으로 방출된다. 연료는 연료 주입기(도시 안됨)에 공급되는 연료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임펠러(16)를 향하는 내부 펌프 커버(9)측의 배출구(24)의 개구 단부면은 테이퍼부(24a) 및 완충부(24b)를 갖는다. 테이퍼부(24a)는 유체 홈(21)에 연속되며, 임펠러(16)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 감소되는 개구 폭(W)을 갖는다. 완충부(24b)는 테이퍼부(24a)에 연속되며, 임펠러(16)의 회전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개구 폭(W)을 갖는다. 따라서, 배출구(24)로 전달되는 가압된 연료의 대부분은 배출구(24)의 개구 단부면의 테이퍼부 및 완충부를 통해 원활히 흐르고, 배출구(24)로부터 모터 수납부(2)의 내부 공간(2a)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구(24)의 하류측상의 종단 유로와 충돌하는 고압 유체의 양이 감소되므로, 펌프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모따기된 모서리부(24e)는 배출구(24)의 개구 단부면의 테이퍼부(24a)로부터 완충부(24b)까지 연료를 원활하게 흐르게 한다. 따라서, 펌프 소음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구(24)의 전방 벽면(24f)을 내부 펌프 커버(9)의 하부면(9a)에 대해 예각으로 형성하여 연료가 배출구(24)내로 원활히 흐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출구(24)는 그 배출구(24)의 경사지게 형성된 전방 벽면(24f)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1은 예컨대, 상형(30) 및 하형(32)을 사용하여 내부 펌프 커버(9)를 성형하기 위한 대표적인 성형 다이의 부분 단면도이다. 배출구(24)의 전방 벽면(24f)이 사면을 구비하므로, 내부 펌프 커버(9)를 형성한 후에 상형(30) 및 하형(3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제 2 대표 실시예를 설명하며, 제 2 대표 실시예는 제 1 대표 실시예의 수정 실시예이다. 따라서, 제 1 대표 실시예의 수정된 부분만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제 1 실시예의 요소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들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낼 것이다.
제 2 대표 실시예에 있어서, 모서리부(24g)는 테이퍼부(24a)의 벽면(24c), 배출구(24)의 완충부(24b)의 벽면(24d) 및 내부 펌프 커버(9)의 하부면(9a)에 의해 규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서리부(24g)는 모따기 되어있지 않다. 제 1 대표 실시예의 모따기면(24e)(도 5, 8 및 9 참조)은 제공되지는 않지만, 펌프의 소음은 기존의 펌프보다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실험 결과
제 1 및 제 2 대표 실시예의 2개의 연료 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소음(dB)을 측정하여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4-288381 호에 개시된 공지된 연료 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소음과 비교하였다. 도 14는 그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있어서, Pa는 공지된 연료 펌프의 소음 레벨을 나타내고, Pb는 제 2 대표 실시예의 연료 펌프의 소음 레벨을 나타내며, Pc는 제 1 대표 실시예의 연료 펌프의 소음 레벨을 나타낸다. 세로 좌표는 데시벨(dB) 단위의 소음 레벨을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의 연료 펌프의 모따기면(24e)은 35°의 모따기 각도(θ1)로 형성하였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대표 실시예의 연료 펌프는 기존의 연료 펌프보다 현저하게 조용하였으며, 제 1 실시예의 연료 펌프는 더욱 조용하였다.
또한, 제 1 대표 실시예에 따른 모따기면(24c)으로 구성된 4개의 연료 펌프에 대해 내부 펌프 커버(9)의 모따기면(24e)의 모따기 각도(θ1)와 펌프 작동 소음(dB)간의 관계를 측정하였다. 도 15는 그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 있어서, 가로좌표는 모따기 각도(θ1)를 나타내고, 세로좌표는 소음 레벨(dB)을 나타낸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 각도(θ1)가 25°내지 50°인 경우에 만족스러운 소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대표 실시예로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와 반대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형예를 추가하거나 변화시키거나 대체하거나 아니면 달리 수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펌프의 용도는 자동차 연료의 공급에 제한되지 않고 물과 같은 다양한 유체의 공급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재생형 펌프에 의하면, 고압 유체를 원활하게 배출구로 전달하고 배출구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배출구의 종단부와 충돌하는 고압 유체의 양이 감소되어 펌프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재생형 펌프(1)에 있어서,
    외주부를 따라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 홈(16a)을 갖는 임펠러(16)와,
    상기 임펠러(16)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펌프 케이싱(17)으로서, 흡입구(22), 배출구(24), 상기 흡입구(22)로부터 상기 배출구(24)까지 상기 임펠러(16)의 상기 블레이드 홈(16a)의 이동 경로를 따라서 연장되는 통로 홈(20, 21) 및 상기 흡입구(22)와 배출구(24)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25)을 포함하는, 상기 펌프 케이싱(17)을 구비하며,
    상기 임펠러(16)측의 배출구(24)의 개구 단부면은 테이퍼부(24a) 및 완충부(24b)를 갖고, 상기 테이퍼부(24a)는 상기 임펠러(16)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 감소되는 개구 폭을 갖고, 상기 완충부(24b)는 상기 테이퍼부(24a)의 하류측에 연속하고 상기 임펠러(16)의 회전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개구 폭을 갖는
    재생형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24a)의 벽면(24c), 상기 완충부(24b)의 벽면(24d) 및 상기 내부 펌프 커버(9)의 하부면(9a)에 의해 규정되는 모서리부(24e)는 모따기 되어 있는
    재생형 펌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24e)는 25°내지 50°의 각도로 모따기 되어 있는
    재생형 펌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 각도는 35°인
    재생형 펌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24) 내부에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 방향의 전방에 전방 벽면(24f)이 배치되고, 상기 전방 벽면(24f)은 상기 내부 펌프 커버(9)의 하부면(9a)과 예각을 형성하는 사면을 포함하는
    재생형 펌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24)는 상기 임펠러(16)의 회전 방향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벽면(24h)을 가지며, 상기 후방 벽면(24h)은 상기 내부 펌프 커버(9)의 하부면(9a)과 예각을 형성하는 사면을 포함하는
    재생형 펌프.
KR1020000026955A 1999-05-20 2000-05-19 재생형 펌프 KR100352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40311 1999-05-20
JP14031199A JP3638818B2 (ja) 1999-05-20 1999-05-20 ウエスコ型ポ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335A KR20000077335A (ko) 2000-12-26
KR100352797B1 true KR100352797B1 (ko) 2002-09-16

Family

ID=1526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955A KR100352797B1 (ko) 1999-05-20 2000-05-19 재생형 펌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36788B1 (ko)
JP (1) JP3638818B2 (ko)
KR (1) KR100352797B1 (ko)
DE (1) DE1002474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3810C1 (de) * 2001-09-06 2003-05-28 Siemens Ag Verfahren zur Fertigung eines einen Kanal aufweisenden Gehäuseteils einer Förderpumpe, Gehäuseteil für eine Förderpumpe und Werkzeugform zur Fertigung eines einen Kanal aufweisenden Gehäuseteils
JP3924673B2 (ja) * 2001-11-20 2007-06-06 株式会社ケーヒン ウエスコ式燃料ポンプ
JP2004068645A (ja) 2002-08-02 2004-03-04 Aisan Ind Co Ltd ウエスコ式ポンプ
JP4672420B2 (ja) * 2005-04-08 2011-04-20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ポンプ
JP4396750B2 (ja) * 2007-09-14 2010-01-13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ポンプ
DE102009006652B4 (de) 2009-01-29 2014-06-18 Pierburg Gmbh Seitenkanalgebläse, insbesondere Sekundärluftgebläse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DE102010046870B4 (de) 2010-09-29 2016-09-22 Pierburg Gmbh Seitenkanalgebläse, insbesondere Sekundärluftgebläse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DE102013108482A1 (de) * 2013-08-06 2015-02-12 Pfeiffer Vacuum Gmbh Vakuumpumpstufe
DK3142722T3 (da) * 2014-05-13 2021-03-01 Abiomed Inc Blodpumpehuskomponent
US20170023022A1 (en) * 2015-07-20 2017-01-26 Delphi Technologies, Inc. Fluid pump
US10167770B1 (en) * 2017-09-12 2019-01-01 Paragon Technology, Inc. Automotive water pump spacer with volute extension
US11560902B2 (en) 2019-01-25 2023-01-24 Pentair Flow Technologies, Llc Self-priming assembly for use in a multi-stage pump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688A (ja) * 1989-06-14 1991-01-28 Aisan Ind Co Ltd ウエスコ型ポンプ機構
JP3237360B2 (ja) * 1993-02-04 2001-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再生ポンプおよびそのケーシング
DE4446537C2 (de) 1994-12-24 2002-11-07 Bosch Gmbh Robert Flüssigkeitspumpe
DE19504564A1 (de) 1995-02-11 1996-08-14 Bosch Gmbh Robert Flüssigkeitspumpe
DE19504565A1 (de) * 1995-02-11 1996-08-14 Bosch Gmbh Robert Saugstrahlpumpe
DE19634900A1 (de) * 1996-08-29 1998-03-05 Bosch Gmbh Robert Strömungspumpe
JPH10184481A (ja) * 1996-11-08 1998-07-14 Denso Corp 燃料ポンプ
US6068456A (en) * 1998-02-17 2000-05-30 Walbro Corporation Tapered channel turbine fuel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24741A1 (de) 2001-01-18
JP2000329085A (ja) 2000-11-28
JP3638818B2 (ja) 2005-04-13
KR20000077335A (ko) 2000-12-26
US6336788B1 (en) 2002-01-08
DE10024741B4 (de) 200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9877B1 (en) Regenerative pump and casing thereof
KR100267829B1 (ko) 재생펌프 및 임펠러 제조 방법
KR100352797B1 (ko) 재생형 펌프
JP3463356B2 (ja) ウエスコポンプ
US6659713B1 (en) Fluid pumps
JPH07189844A (ja) 自動車用燃料ポンプ
US6497552B2 (en) Fuel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928356B2 (ja) 電動燃料ポンプ
JPH062690A (ja) 燃料ポンプ
JPH0341110Y2 (ko)
US6942447B2 (en) Impeller pumps
US6511283B1 (en) Electric fuel pump
KR100382682B1 (ko) 급송펌프
JP2004011556A (ja) タービン型燃料ポンプ
US20040022652A1 (en) Low noise impeller pumps
US20040258515A1 (en) Fuel pump
JPH08100780A (ja) 摩擦再生ポンプ
US20200291954A1 (en) Centrifugal Pump
JPH06159283A (ja) 再生ポンプ
JP4017875B2 (ja) 流体ポンプ
US6767180B2 (en) Impeller type fuel pump
JP4205475B2 (ja) タービン型燃料ポンプ
JPH06159282A (ja) 再生ポンプ
JP2001165091A (ja) ポンプ
JP4552221B2 (ja) 燃料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