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141B1 - 차량용컵홀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컵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141B1
KR100352141B1 KR10-1998-0030872A KR19980030872A KR100352141B1 KR 100352141 B1 KR100352141 B1 KR 100352141B1 KR 19980030872 A KR19980030872 A KR 19980030872A KR 100352141 B1 KR100352141 B1 KR 100352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se plate
arm
holder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4783A (ko
Inventor
류헤이 니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1999004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타입을 대상으로 하며, 부품수를 보다 적게 함과 아울러 외관 및 기구적으로 우수한 장치구조를 실현한다.
(해결수단)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하여 폐쇄위치 및 수평한 개방위치로 전환가능한 컵받이판을 겸하는 커버(12)와, 커버(12)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수단(32)과, 베이스 플레이트내에 격납되는 격납위치에서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는 사용위치까지 회동가능한 홀더(14)와, 커버(12)의 회동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암(13)을 구비한 차량용 컵홀더장치(1)이다. 그리고 암(13)은, 상단부측을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대응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17)에 로드(24)를 개재하여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과 아울러 하단부측을 커버(12)의 회동용 축부와 약간 편심된 위치에 회동축(23)를 개재하여 커버(12)측에 축지지함으로써, 커버(12)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커버의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의 회동에 연동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한편, 홀더(14)는 긴 구멍(25)을 가지며, 이 긴 구멍(25)에 로드(24)의 선단부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서 암(13)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사용위치로, 암(13)의 하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격납위치로 각각 회동전환될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장치{Cup Holde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량내에 설치하여 컵이나 깡통(이하 이것을 총칭하여 ‘컵류’라 한다)을 유지할 수 있는 개폐식의 차량용 컵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컵홀더장치로서는 피부착부에 대하여 세워 거는 걸이식의 컵홀더장치가 다수 제안되어 있으며, 본 발명과의 관계에 있어서 일본국 특허공개 평8-318775호 공보의 것을 들 수 있다. 이 공보에 개제되어 있는 컵홀더장치는, 피부착면에 종방향으로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폐쇄위치와 수평한 개방위치로 회동하여 전환배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축지지된 컵받이판을 겸하는 커버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암과,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걸어맞춰지고 타단부가 상기 암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며, 커버위에 얹어놓여지는 컵류를 유지하는 홀더와, 상기 암과 홀더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1 스프링과, 상기 커버를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하는제 2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를 폐쇄위치에서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제 2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커버를 개방위치로 전환하고, 커버 위에 얹어놓여지는 컵류를 상기 홀더로 그 측부를 유지하는 구조이다.
상기한 컵홀더장치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아직 충분히 만족할 수는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우선, 컵홀더장치의 사용상태에서는 커버 및 홀더와 함께 암도 전방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외관이 번잡하게 된다. 또, 커버를 개방하여 자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구조에서는, 커버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커버 회동용 스프링 수단과 암과 홀더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즉 2개의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그 부품수가 많고, 이것에 따른 조립 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암과 홀더는 전용의 스프링 수단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방되는 것이기 때문에, 탄성력이 큰 스프링 수단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작동이 빨라지고, 반대로 탄성력이 작은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스프링 작용을 오래동안 유지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목적은 부품수를 보다 적게 함과 아울러 외관 및 기구적으로 우수한 장치구조를 달성하는데 있다. 제 2 목적은 스프링 수단이 단일(單一)의 것이라 하더라도 홀더를 더욱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제 3 목적은 피부착부에 대한 부착 및 제거작업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그외의 목적은 이하 설명하는 내용 중에서 순차 명확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컵홀더장치의 사용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2는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A-A선 종단 측면도
도 3은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B-B선 종단 측면도
도 4는 비사용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B-B선 종단 측면도
도 5는 상기 컵홀더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면도
도 6은 상기 컵홀더장치의 배면도
도 7은 상기 컵홀더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8은 상기 컵홀더장치를 설치하는 피부착부의 구조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도 8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컵홀더장치 2,3 - 피부착부
4a - 걸어맞춤용 창구멍 4b - 걸어맞춤오목부
4c - 부착구멍 11 - 베이스 플레이트
12 - 커버 13 - 암
14 - 홀더 16 - 조작버튼
17 - 가이드홈 18A,18B -걸림편
19 - 돌기부 23 - 회동축
25 - 가이드구멍(긴 구멍) 27 - 핀
32 - 코일스프링(스프링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피부착부(2)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하여 폐쇄위치 및 수평한 개방위치로 전환가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부에 축지지된 컵받이판을 겸하는 커버(12)와, 상기 커버(12)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 수단(32)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일단측이 축지지되며, 베이스 플레이트내에 격납되는 격납위치에서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는 사용위치까지 회동가능한 홀더(14)와, 상기 커버(12)의 회동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암(13)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12)를 폐쇄위치에서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스프링 수단(32)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방위치로 전환하고, 이 커버(12)위에 얹어놓여지는 컵류(C)를 상기 홀더(14)로 그 측부를 유지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1)에 있어서,
상기 암(13)은, 상단부측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대응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17)에 로드(24)를 개재하여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과 아울러 하단부측을 상기 커버(12)의 회동용 축부(20)와 약간 편심된 위치에 회동축(23)을 개재하여 상기 커버(12)측에 축지지함으로써, 상기 커버(12)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커버의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는 한편, 상기 홀더(14)는, 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긴 구멍(25)을 가지며, 이 긴 구멍(25)에 상기 로드의 선단부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서 상기 암(13)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사용위치로, 상기 암(13)의 하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격납위치로 각각 회동전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이 컵홀더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커버(12)의 폐쇄위치에서의 걸림상태를 해제한다. 커버(12)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커버(12)는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축지지되어 있는 축부(20)를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 수단(32)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방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12)가 개방위치로 회동하면, 우선 암(13)은, 그 하단부측의 회동축(23)이 상기 커버(12)의 회동용 축부(20)와 편심된 위치에 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12)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상단부측의 로드(24)가 가이드홈(17)을 따라서 슬라이드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홀더(14)는 일단측의 핀(27)을 중심으로 하여 긴 구멍(25)에 끼워맞춰져 있는 상기 로드(24)의 이동에 연동하여 사용위치로 회동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하여 대략 수평하게 배치된다.
또, 컵홀더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커버(12)를 스프링 수단(3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축부(20)를 중심으로 하여 폐쇄 위치측으로 회동조작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한 바와는 반대로 암(13)은, 그 하단부측의 회동축(23)이 상기 커버(12)의 회동용 축부(20)와 편심된 위치에 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12)의 회동에 연동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상단부측의 로드(24)가 가이드홈(17)을 따라서 슬라이드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홀더(14)는 일단측의 핀(27)을 중심으로 하여 긴 구멍(25)에 끼워맞춰져 있는 상기 로드(24)의이동에 연동하여 격납위치로 회동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1)내에 격납된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암(13)이 그 상단과 하단측 모두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하여 근접하게 배치되고, 그 작동도 대략 상하방향이 된다. 따라서, 컵홀더장치의 사용상태에서는 커버(12)와 홀더(14)만이 전방으로 배치될 뿐 암(13)이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산뜻한 외관이 얻어지며, 암(13)의 작동이 안정하고 또한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 또, 부재 요소적으로는, 1개의 스프링 수단(32)이 커버(12)의 개폐전환에 이용되고, 암(13) 및 홀더(14)의 위치전환은 상기 커버(12)의 개폐전환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작동하므로 부품의 간소화가 도모된다. 아울러, 이 스프링 수단(32)은 일본국 특허공개 평8-318775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암과 홀더에 직접 작용하지 않고 커버(12)에만 그 탄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탄성력이 큰 것을 사용하더라도 홀더(14)를 급속하게 회동시키는 일이 없어 기계적인 신뢰성도 얻어진다.
이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첫째로, 상기 가이드홈(17)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측벽부(11c)에 형성됨과 아울러, 대략 ‘〈’형상으로 그 중간에서 꺽임부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 구조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메인부인 본체부(11a)를 평면으로 하여 외관상의 볼품을 양호하게 하고, 또 평면의 본체부(11a)에 홀더(14)를 격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므로 홀더(14)의 격납공간을 구조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또 홀더(14)의 형상 내지는 형태적인 자유도도 얻을 수 있다.
둘째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는 배면측에 돌출형성된 복수의 갈고리 형상의 걸림편(18A,18B)을 가지며, 상기 걸림편(18A,18B)에 대응하여 상기 피부착부(2)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창구멍(4a)에 상기 걸림편(18A,18B)을 삽입함과 동시에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춰지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 구조에서는 고정나사 등의 설치용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또 피부착부(2)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부착하거나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로, 상기 피부착부(2)가 벽걸이 전용의 설치판(3) 또는 차량내 장비품의 측부를 구성하는 부재이어도 된다. 이것은 본 발명장치의 제공형태로서, 피부착부(2)를 벽걸이용으로 구성하여 컵홀더장치와 함께 제공하거나, 콘솔박스나 도어트림 등의 차량내 장비품을 구성하고 있는 측면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 가능함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최적한 구체적인 실시예이므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각종의 한정이 부가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을 특히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것들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컵홀더장치의 사용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2는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A-A선 종단 측면도, 도 3은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B-B선 종단 측면도, 도 4는 비사용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B-B선 종단 측면도, 도 5는 컵홀더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면도, 도 6은 컵홀더장치의 배면도, 도 7은 컵홀더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8은 컵홀더장치를 설치하는 피부착부의 구조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도 8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있어서, 컵홀더장치(1)는 차량 실내측의 피부착부(2)(도 7 참조)에 걸이방식으로 사용되는 착탈타입의 것으로서, 그 주된 구성부재로서는 피부착부(2)에 대하여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하여 폐쇄위치 및 수평한 개방위치로 전환가능한 커버(12)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일단측이 축지지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측에 격납되는 격납위치에서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는 사용위치까지 회동가능한 홀더(14)와, 홀더(14)의 일단측(기단부 또는 부착단부측)과 커버(12)의 하단측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12)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암(13)을 구비하고 있다.
(피부착부)
피부착부(2)는 본 실시형태의 컵홀더장치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위로서, 예를 들면 차량의 실내를 구성하는 도어트림, 좌석배면, 실내 장비품측 등에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콘솔을 예로 하고 있으며, 그 측면의 설정된 장소에 대하여 피부착부(2)를 일체적으로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피부착부(2)는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성형체이고, 컵홀더장치(1)의 구조에 대응하여 걸어맞춤용 창구멍(4a)과 걸어맞춤오목부(4b) 이외에, 이것을 콘솔측에 나사 등으로 고정하기 위한 부착구멍(4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용 창구멍(4a)은 상하좌우 4개소로 나뉘어져서 합계 4개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오목부(4b)는 4개의 걸어맞춤용 창구멍(4a)으로 둘러싸여진 대략 중심에 1개만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구멍(4c)은 하측의 좌우 대략 중간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피부착부(2)는 콘솔측의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며, 부착구멍(4c)을 통하여 나사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한, 이 피부착부(2)는 본 실시형태의 컵홀더장치와 쌍으로 제공되는 벽걸이 전용의 부착부재(3)로서 구성하여도 된다. 이러한 부착부재(3)의 경우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이점쇄선보다도 큰 판상으로 형성되고, 도어트림 등의 실내 벽측에 부착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컵홀더장치의 구성부재)
이하의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조립요령도 포함하여 설명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커버(12)와 암(13)과 홀더(14)는 모두 수지성형체이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는 평판상의 본체부(11a)와, 본체부(11a)의 좌우 양 측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세워 설치되는 측벽부(11b, 11c)와, 본체부(11a)의 상단에서 측벽부(11b, 11c)와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세워 설치되는 상벽부(11d)와, 본체부(11a)의 하단에 있어서, 측벽부(11b)측에 돌출형성된 스프링용 걸림부(11e) 및 스토퍼부(11f)와, 측벽부(11c)측에 돌출형성된 대략 L자 형상의 스토퍼부 겸용 지지부(11g)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여기서, 본체부(11a)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착부(2)의 4개의 걸어맞춤용 창구멍(4a)에 대응하여 4개의 걸림편(18A,18B) 및 걸어맞춤오목부(4b)에 대응한 빠짐방지용 돌기부(19)를 배면에서 돌출시킨 상태로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각 걸림편(18A,18B)은 갈고리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걸림편(18A)측이 관통구멍(18a)을 개재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돌기부(19)도 대략 역 U자 형상의 관통구멍(19a)을 개재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11a)는 각 걸림편(18A,18B)을 피부착부(2)의 각 걸어맞춤용 창구멍(4a)을 통하여 전체가 배면측으로 돌출될 때까지 삽입하고, 그 후 대략 직각이 되는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각 걸림편(18A,18B)이 피부착부(2)에 걸어맞춰져서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돌기부(19)는 걸림편(18A,18B)이 정위치에 걸어맞춰질 때까지는 본체부(11a)의 표면측에 놓아지며, 상기 걸림편(18A,18B)이 정위치에 걸어맞춰지게 되면, 걸어맞춤오목부(4b)내로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걸어맞춰진다. 이 돌기부(19)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베이스 플레이트(11)는 걸림편(18A,18B)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저지된다.
양 측벽부(11b,11c)는 그 하부측이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측벽부(11b)의 하부측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폭만큼 내측에 위치한 수직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스프링장착용 축부(11h)와 축구멍(11i)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체부(11a)에는 축부(11h)를 형성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11c)의 하부측은 절결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에 대응하여 내측에 상기 지지부(11g)가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11g)의 수직부분에는 축구멍(11i)과 대향한 축구멍(11i)이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11c)의 상면측에는 가이드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17)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하여 점차 벌어지는 대략 ‘〈’형상으로 그 중간에서 꺽임부가 형성되는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측을 향하여 갈수록 서서히 본체부(11a)측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형성되는 제 1 가이드홈부(17a)와, 제 1 가이드홈부(17a)에서 상측을 향하여 갈수록 서서히 전방측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형성되는 제 2 가이드홈부(17b)와, 제 2 가이드홈부(17b)의 상부에서 대략 상측을 향하여 약간 연장되는 제 3 가이드홈부(17c)를 연속해서 가지는 형상이다.
상벽부(11d)에는 컵류(C)와의 맞닿음을 방지하기 위한 원호상의 절결부(15)가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도 1의 좌측에 위치한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변위가능한 조작버튼(1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버튼(16)은 배면이 트여지고 내부가 빈공간으로 되어 있으며, 일측에서 수평으로 돌출형성되어 후술하는 커버(12)의 걸어맞춤돌기(28)와 걸어맞춰져서 커버(12)를 폐쇄위치에 유지시키는 걸림돌기(16a)를 가지고 있다.
커버(12)는 본체부(12a)와 양 측벽부(12b,12c)와 전방벽부(12d)에 의하여 윤곽을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양 측벽부(12b,12c)의 후측에 위치하여 측벽부(11b)의 축구멍(11i) 및 지지부(11g)의 축구멍(11i)에 대응하여 형성된 입벽부(12e,12f)를 가지며, 전체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외형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벽부(12d)의 일측에는 조작버튼(16)에 대응하는 도피부(21)가 절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조작버튼(16)의 걸림돌기(16a)에 대응하는 걸어맞춤돌기(28)가 도피부(21)의 내측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피부(21)는 폐쇄위치에서 조작버튼(16)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걸어맞춤돌기(28)는 걸림돌기(16a)와 걸어 맞춰져서 폐쇄상태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는 구성이다. 입벽부(12e,12f)에는 축부(20)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버(12)는, 각 축부(20)를 대응하는 축구멍(11i)에 끼워맞춤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부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하여 축부(20)를 지지점으로 한 회동에 의해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전면측을 덮는 폐쇄위치(도 4 참조)와 수평한 개방위치(도 1∼도 3, 도 5, 도 7)로 전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개방위치에서는 상기한 스토퍼부(11f)와 지지부(11g)의 수평부에 맞닿아서 그 이상으로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저지된다. 또, 커버(12)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수단으로서의 코일스프링(32)에 의해서, 즉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하여 항시 개방위치(개방방향)의 방향으로 탄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32)은 축부(11h)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며, 그 일단이 스프링용 걸림부(11e)에 회동걸림되고 타단이 본체부(12a)의 내면측에 회동 걸림되어 있다.
암(13)은 가늘고 긴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측벽부(11c)를 따라서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암(13)의 하단측은 입벽부(12f)에 대하여 축부(20)와 약간 편심된 위치, 엄밀하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20)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면서 본체부(11)에 가까운 위치에 회동축(23)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상단측은 로드(24)를 개재하여 가이드홈(17)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또한, 회동축(23)은 암(13)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입벽부(12f)에 형성된 축구멍에 끼워맞춰져 있으나, 회동축(23)을 입벽부(12f)측에 형성하거나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또, 로드(24)는 암(13)의 상단측에 축부로서 돌출되어 있으면되나, 예를 들면 암(13)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 외에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 암(13)은, 커버(12)가 축부(20)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면, 이 커버(12)의 회동에 연동하여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홀더(14)는 커버(12)위에 얹어 놓여지는 컵류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측에 격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홀더(14)는 중앙에 컵류(C)를 수용하여 유지하는 환형상 개구부(26)를 가지며, 내측을 대략 환형상으로 하고, 외측을 반원형상으로 하고, 그 일단측(기단부 또는 부착단부측)을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홀더(14)의 일단측(기단부 또는 부착단부측)에 있어서의 일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구멍(긴 구멍)(25)을 가지고 있다. 이 가이드구멍(25)은 가이드홈(17)의 상하치수보다도 조금 짧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홀더(14)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양측면에는 핀(27)이 각각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측벽부(11b,11c)에는 상기 핀(27)에 대응하는 도시하지 않은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홀더(14)를 조립할 경우에는, 홀더(14)의 일단측(기단부 또는 부착단부측)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의 핀(27)을 양 측벽부(11b,11c)에 형성된 핀구멍에 끼워맞춘다. 이 끼워맞춤을 할 때에는 가이드구멍(긴 구멍)(25)에 로드(24)의 선단부를 끼워맞춰 둔다. 따라서, 조립상태에 있어서, 홀더(14)는 축지지부인 핀(27)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는데, 가이드구멍(긴 구멍)(25)에 끼워맞춰져 있는 로드(24)의 슬라이드에 의해서, 즉 커버(12)의 개폐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암(13)에 연동하여 이동한다. 예를 들면, 암(13)과 함께 로드(24)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홀더(14)가 핀(27)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측방향, 즉 사용위치로 회동한다.
(장치작동)
다음은 이상과 같이 구성된 차량용 컵홀더장치(1)의 개폐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3, 도 5, 도 7은 커버(12)를 개방한 상태이다. 이 개방상태에서는 커버(12)가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방방향으로 탄지되나, 후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스토퍼부(11f)와 지지부(11g)의 수평부에 맞닿아서 대략 수평한 상태로 정지되므로, 커버(12)에 컵류(C)의 중량이 작용하여도 이것을 확실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이 개방상태에서는 암(13)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홀더(14)가 로드(24)에 의해서 수평에 가까운 상태까지 전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환형상 개구부(26)를 통하여 컵류(C)를 커버(12)위에 얹어놓으면, 컵류(C)의 하측을 커버(12)로 유지함과 아울러 그 측면을 환형상 개구부(26)로 받아들여 규제한 상태로 컵류(C)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컵류(C)의 외측지름이 통상의 것 보다도 큰 경우에는, 홀더(14)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로드(24)가 제 3 가이드홈부(17c)내까지 삽입되기 때문에,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수평위치까지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위치까지 회동하였을 때에는, 환형상 개구부(26)가 실질적으로확대된 상태가 되므로, 이것에 의해서 큰 외측지름으로 된 컵류도 환형상 개구부(26)내에 끼워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컵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컵류(C)를 제거한 후,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커버(12)를 폐쇄위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것에 연동하여 암(13)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또한 로드(24)도 가이드홈(17)내를 따라서 하측{제 2 가이드홈부(17b)에서 제 1 가이드홈부(17a)를 향해서)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되면, 로드(24)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홀더(14)도 가이드구멍(긴 구멍)(25)에 끼워맞춰져 있는 로드(24)의 선단부의 누름작동에 의해서 핀(27)을 지지점으로 하여 하측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홀더(14)가 베이스 플레이트(11)내로 격납되게 된다. 그리고, 커버(12)가 폐쇄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면, 커버(12)의 걸어맞춤돌기(28)가 조작버튼(16)의 걸림돌기(16a)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커버(12)는 폐쇄위치에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 폐쇄위치에서는 홀더(14)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측으로 완전히 수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커버(12) 사이에 콤팩트하게 격납된다. 도 4는 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폐쇄위치에 있는 커버(12)를 개방시킬 경우에는 커버(12)의 상면에 노출되어 있는 조작버튼(16)을 누룬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버튼(16)의 선단측이 하측으로 변위함으로써 조작버튼(16)의 걸림돌기(16a)와 커버(12)의 걸어맞춤돌기(28)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동시에,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12)가 개방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암(13)이 상기 커버(12)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로드(24)가 가이드홈(17)내를 따라서상측으로 슬라이드함과 아울러, 홀더(14)도 수평위치의 방향을 향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커버(13)가 거의 수평위치까지 회동한 시점에서 홀더(14)도 대략 수평한 위치, 즉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 차량용 컵홀더장치(1)에서는 조작버튼(16)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면, 코일스프링(32)(스프링 수단)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12)가 개방위치로 회동하게 되고, 이것에 연동하여 암(13) 및 홀더(14)도 사용위치로 전환되어 배치된다. 반대로, 코일스프링(32)(스프링 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커버(12)가 폐쇄위치측으로 회동조작되면, 이것에 연동하여 암(13) 및 홀더(14)도 격납위치로 전환되어 배치된다.
즉, 이 컵홀더장치(1)에서는 1개의 코일스프링(32)이 커버(12)의 개폐전환과 암(13) 및 홀더(14)의 위치전환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컵홀더장치에 비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 암(13)은 그 상단과 하단측 모두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하여 근접하게 배치되고, 그 작동도 대략 상하방향이 된다. 따라서, 사용상태에서는 커버(12)와 홀더(14)만이 전방으로 배치되는 것이므로, 종래의 컵홀더장치에 비해 외관이 산뜻하여 볼품이 향상된다. 또한, 암(13)의 작동이 안정하고 또 잘 보이지 않으므로 위화감을 주는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구성요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것을 베이스로 하여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홀더(14)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평8-318775호와 같이 대략 C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축부(20)와 축구멍, 핀(27)과 핀구멍 등은 각각 대응하는 부재를 반대로 형성하거나, 단일품의 것을 사용하도록 하여도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창치에 의하면, 1개의 스프링 수단이 커버의 개폐전환과 암 및 홀더의 위치전환에 작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컵홀더장치와 같이 각각에 스프링 수단을 설치할 필요를 없으므로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암이 베이스 플레이트내에 배치되고 그 이동도 대략 상하방향이 되기 때문에, 외관 및 기구적으로 우수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4)

  1. 피부착부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폐쇄위치 및 수평한 개방위치로 전환가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축지지된 컵받이판을 겸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수단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단측이 축지지되며, 베이스 플레이트내에 격납되는 격납위치에서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는 사용위치까지 회동가능한 홀더와;
    상기 커버의 회동에 연동하여 축결합되는 암을 구비하여, 상시 커버를 폐쇄위치에서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스프링수단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방위치로 전환하고, 상기 커버위에 얹어놓여지는 컵류를 상기 홀더로 그 측부를 유지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단부측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대응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에 로드를 개재하여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추고, 하단부측을 상기 커버의 회동용 축부와 어긋난 위치에 회동축을 개재하여 상기 커버측에 축지지함으로써, 상기 커버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커버의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하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상기 홀더는, 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긴 구멍을 가지며, 이 긴 구멍에 상기 로드의 선단부를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서 상기 암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사용위치로, 상기 암의 하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격납위치로 각각 회동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벽부에 상측을 향하여 갈수록 서서히 본체부측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형성되는 제 1 가이드홈부와, 제 1 가이드홈부에서 상측을 향하여 갈수록 서서히 전방측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형성되는 제 2 가이드홈부와, 제 2 가이드홈부의 상부에서 대략 상측을 향하여 약간 연장되는 제 3 가이드홈부를 연속해서 가지는 형상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배면측에 돌출형성된 복수의 갈고리 형상의 걸림편을 가지며, 상기 걸림편에 대응하여 상기 피부착부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창구멍에 상기 걸림편을 삽입함과 동시에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걸어 맞춰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착부가 벽걸이용 설치판 또는 차량내 장비품의 측부를 구성하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KR10-1998-0030872A 1997-09-10 1998-07-30 차량용컵홀더장치 KR100352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5801 1984-11-20
JP9245801A JPH1178651A (ja) 1997-09-10 1997-09-10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783A KR19990044783A (ko) 1999-06-25
KR100352141B1 true KR100352141B1 (ko) 2003-02-17

Family

ID=1713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872A KR100352141B1 (ko) 1997-09-10 1998-07-30 차량용컵홀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78651A (ko)
KR (1) KR100352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4882U1 (de) * 2002-03-27 2003-07-31 Fischer Automotive Sys Gmbh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KR100643603B1 (ko) * 2005-11-16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홀더 장치
JP5846947B2 (ja) * 2012-02-03 2016-01-20 株式会社ニフコ 底上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783A (ko) 1999-06-25
JPH1178651A (ja) 199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173B2 (en) Holding apparatus
JP3451156B2 (ja) 自動車の天井用小物入れ
US20040140675A1 (en) Lock mechanism and opening-closing device
JP2001246976A (ja) 乗物用テーブル
KR100352141B1 (ko) 차량용컵홀더장치
JP4855612B2 (ja) 物品収容装置
JP2003040021A (ja) 折り畳み式カップホルダー
JP2001164827A (ja) ボックスにおける蓋体の開閉構造
JP3402417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JP4050539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352186B1 (ko) 차량용 컵홀더장치
JP2001199272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JPH0811614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3247013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JP2000185584A (ja) 自動車の室内テーブル装置
JP2001343693A (ja) 蓋体を具えた機器
JP3239484B2 (ja) 収納ケース
JP2001055076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JPH0640016Y2 (ja) 車両用シートの筒状容器保持装置
JP2575124Y2 (ja) 灰皿収納ケース
JPH09309367A (ja) 車載用テーブル
JP2508242B2 (ja) ワゴンの引出し施錠装置
JP2002187474A (ja) カップホルダー
JPH09323745A (ja) 蓋の開閉装置
JPH11115608A (ja) カップ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