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221B1 -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221B1
KR100351221B1 KR1020007000103A KR20007000103A KR100351221B1 KR 100351221 B1 KR100351221 B1 KR 100351221B1 KR 1020007000103 A KR1020007000103 A KR 1020007000103A KR 20007000103 A KR20007000103 A KR 20007000103A KR 100351221 B1 KR100351221 B1 KR 10035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le
character
title name
information
tex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545A (ko
Inventor
사토마코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캔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캔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캔우드
Publication of KR2001002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9Table of cont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 G11B2220/913Digital audio tape [DAT] forma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4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8Table of contents on a tape [T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기록 매체의 타이틀을 쉽게 입력하는 장치이다. 튜너 유닛(1)의 포착 키가 눌러지면,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메모리(5)의 포착 버퍼 영역(5B)에서, FM 문자 다중 방송 수신 튜너(3)에 의해 현재 수신된 문자 정보를 저장한다. MD-MO(11)의 디스크 타이틀이 입력되면, 타이틀 입력 모드가 설정되고, 디스크는 입력 타겟 유닛으로서 선택된다. 후에, 호출 키와 ENTER 키가 눌러지면,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상기 정보가 입력 타겟 유닛인 디스크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메모리(5)의 타이틀 입력 영역(5C)내에 포착된 문자 정보를 저장한다. 후에, ENTER 키와 타이틀 입력 키가 눌러지면,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타이틀 입력 영역(5C)의 내용을 MD 기록 유닛(10)에 보내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이젝트(eject)전에 MD-MO(11)의 UTOC 영역내의 내용을 기록한다.

Description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Device for inputting title of recording medium}
MD-MO(자기 광학)(Magnet Optical)은 MD 의 한가지 형태이고,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MD-MO는 프로그램 영역의 각 트랙에서 음악 톤 신호들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타이틀 이름(하나의 MD-MO당 하나의 이름)과 각 트랙의 트랙 타이틀 이름은 UTOC(사용자 테이블 내용)영역에 기록된다. 재생 정지(suspension) 동안에, 디스크 타이틀 이름이 디스크가 소망의 디스크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에 대해 순서적으로 표시되고, 음악 톤 신호들로 기록된 트랙의 재생 동안, 트랙 타이틀 이름은 재생된 음악 프로그램이 소망의 프로그램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에 대해 순서적으로 표시된다. 상기 디스크 타이틀 이름과 트랙 타이틀 이름은 앨범이름, 앨범 제작자명, 아티스트 이름에 국한되지 않고, 영화 타이틀 이름, 음악 문자의 부분, 음악의 설명, 사람의 이름, 지역 이름과 같이 첫눈에 디스크 또는 트랙을 식별하는 임의 문자 정보일 수 있으며 북 타이틀은 각각 음악과 직접 관련되지 않는다.
MD-MO 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MD 기록기 유닛은 문자 표시부 및 디스크 타이틀 이름과 트랙 타이틀 이름을 기입하는 키 동작 유닛을 가진다. 상기 키 동작 유닛은 타이틀 입력 키, 문자 키들(알파벳, 가다가나, 기호, 숫자, 간지, 히라가나를 포함하여), 하나의 문자 삭제 키, 커서 키 및 ENTER 키를 포함한다. 디스크 타이틀 이름이 입력될 때, 상기 타이틀 입력 키는 타이틀 입력 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눌러진다. 후에,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이 디스크(상기 트랙 번호 000은 디스크 타이틀 입력의 선택을 표시한다)임을 표시하기 위해 트랙 번호 "000"가 숫자 키들로 기입된다. 따라서, "DISC TTTLE"은 문자 표시부의 상측에서(도20a 참조) 문자 헤더 행내의 문자 표시부상에 표시되고, 커서(도20a에서 K로 불림)는 상기 문자 헤더 행(row) 밑의 주 문자 행의 제 1 행의 문자 시작 위치에 표시된다.
타이틀 이름 "BEST HIT OLDIES/DAIICHI"가 입력되면, 문자 키 "B"는 "B"가 문자 표시부의 주 문자 행들의 제 1 행에서 문자 시작 위치에 표시되도록 눌러지며 상기 커서는 상기 제 2 문자 위치로 이동한다. 후에, 문자들 "E","S","T",""(스페이스),"H","I","T"," "(스페이스),"O","L","D","I","E","S","/","D","A","I","I" ,"C" ,"H","I" 및 " "(스페이스)는 "BEST HIT OLDIES/DAIICHI"가 상기 문자 표시부의 주 문자 행들의 제 1 행내의 제 2 문자 위치에서 제 2 주 문자 행까지 표시되고 상기 커서는 상기 주 문자 행들의 제 2 행에서 제10 문자 위치로 이동한다(도20b 참조).
상기 문자"Q"가 상기 정확한 문자 "O" 대신 잘못 기입되는 경우, 상기 커서는 커서 키(도20c 참조)를 사용하여 상기 주 문자 행들의 제 1 행내의 제 10 문자 "Q"로 복귀하고 하나의 문자 삭제 키는 "Q" 다음의 문자들이 하나의 문자만큼 앞으로 이동하고 문자 "L"이 상기 문자 "Q"가 삭제되는(커서는 제 10 문자 위치에 머문다. 도20d를 참조)위치에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눌러진다. 그 후에, 상기 문자 "O"는 "L" 및 앞의 하나의 문자인" "(스페이스)사이에 표시되도록 기입되고 상기 문자 "L"과 다음의 문자들은 하나의 문자만큼 뒤로 이동한다(커서는 제 11 문자 위치로 이동한다. 도21a 참조). 문자들 "LL"이 정확한 문자"L" 대신 잘못 기입되면(도21b 참조), 상기 커서는 커서 키를 사용하여 주 문자 행들의 제 1 행의 제 11 문자 위치로 이동하며, 하나의 문자 삭제 키는 제 11 문자 "L"가 삭제되고 제 12 문자와 다음 문자들이 하나의 문자만큼 앞으로 이동하도록(커서는 제 11 문자 위치에 머문다. 도21d를 참조)눌러진다. 상기 기호"/"가 기입되지 않으면(도21d를 참조), 상기 커서는 상기 주 문자 행들의 제 2 행내의 문자 위치"D"로 이동하고 상기 기호 "/"는 "/"가 "D"전에 표시되도록 기입되고 문자 "D" 및 다음의 문자들은 하나의 문자만큼 뒤로 이동한다(커서는 주 문자 행들의 제 2 행에서 제 2 문자 위치로 이동한다. 도22a를 참조).
모든 문자들이 정확히 기입된 후, 상기 디스크 타이틀 이름이 설정되고 상기 디스크 타이틀 이름 "BEST HIT OLDIES/DAIICHI"가 버퍼 메모리에 등록되도록 상기 ENTER 키가 눌러진다.
트랙 타이틀 이름 “オンリ-·ユ-/プラタ-ズ”가 트랙번호 001에서 음악 프로그램에 대해 요구되는 경우, 그 후에 "001"은 "TNO 001 TITLE"가 문자 표시부의 문자 헤더 행에 표시되고 커서가 주 문자 행들의 제 1 행내의 시작 문자에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으로서 기록 음악 톤 신호들로 제 1 트랙을 선택하기 위해 타이틀 입력 모드내에 숫자 키들을 사용하므로서 기입된다. 그 후에, 가다가나 문자들 "オ", "ン", "リ", "-", "·","ユ", "-", "/", "プ", "ラ", "タ", "-" ,"ズ" 및 " "(스페이스)는 “オンリ-·ユ-/プラタ-ズ”가 상기 문자 표시부의 주 문자 행들의 제 1 행에 표시되도록 문자 키들을 사용하므로서 기입되고 상기 커서는 제 14 문자 위치로 이동한다(도 22b 참조).
모든 문자가 정확하게 기입된 후, 상기 ENTER 키는“オンリ-·ユ-/プラタ-ズ”가 트랙 번호 "001"의 트랙 타이틀 이름으로서 버퍼 메모리에 등록되도록 눌러진다.
모든 트랙 번호 또는 MD-MO의 소망의 트랙번호들에 대해 트랙 타이틀 이름들이 위에 기술된 방법으로 기입된 후, 상기 타이틀 입력 키는 상기 타이틀 입력 모드가 릴리스되도록 다시 눌러지며 상기 버퍼 메모리의 내용은 상기 MD 기록 유닛의 시스템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UTOC 메모리에 기록된다. 그 후에, 파워가 턴 오프되거나 이젝트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MD 기록기 유닛의 시스템 제어기는 파워 오프 또는 이젝트 동작을 제어하기전에 MD-MO 의 UTOC 영역내의 UTOC 메모리의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 동작한다.
파워 온 동작 또는 로딩 동작이 그 후에 수행될 때, 상기 파워 온 동작 제어 또는 로딩 동작 제어가 수행되고 그 후에 UTOC 정보는 MD-MO 의 UTOC 영역으로부터 판독되고 UTOC 메모리에 기록된다. 상기 UTOC 메모리의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크 타이틀 이름 "BEST HIT OLDIES/DAIICHI"는 재생 동안 문자 표시부상에 표시된다. 트랙 번호 001에서 음악 프로그램의 재생 동안, 트랙 타이틀 이름 “オンリ-·ユ-/プラタ-ズ”는 문자 표시부상에 표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디스크가 소망의 디스크인지 음악 프로그램이 소망의 프로그램인지를 첫눈에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MD 기록기 유닛으로, 소망의 디스크 타이틀 이름 또는 트랙 타이틀 이름을 기입하기 위해 문자 키를 정확하게 사용하므로서 각각의 문자를 기입해야 한다. 이 작업은 매우 귀찮은 작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기술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타이틀 이름의 문자 정보를 쉽게 기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용 타이틀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미니 디스크 (MD)와 같은 기록 매체에 대해 타이틀 입력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타이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블록도.
도2는 제 1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3은 제 1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4는 제 1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5는 제 2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6은 제 2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7은 제 2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8a 내지 도8d 는 튜너 유닛의 문자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9a 내지 도9d는 튜너 유닛의 문자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10a 내지 도10d는 튜너 유닛의 문자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11a 내지 도11c는 튜너 유닛의 문자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12a 및 도12b는 튜너 유닛의 메모리내의 표시 버퍼 영역의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13a 및 도13b는 튜너 유닛의 메모리내의 캡처 버퍼 영역의 메모리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14a 및 도14b는 튜너 유닛의 타이틀 입력 영역의 메모리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15a 및 도15b는 튜너 유닛의 타이틀 입력 영역의 메모리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16a 및 도16b 는 튜너 유닛의 타이틀 입력 영역의 메모리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17a 및 도17b는 튜너 유닛의 타이틀 입력 영역의 메모리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18a 및 도18b는 MD-MO의 기록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19a 내지 도19c는 MD 기록기 유닛의 문자 표시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20a 내지 도20d는 타이틀 입력 동작동안 종래의 문자 표시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21a 내지 도21d는 타이틀 입력 동작 동안 종래의 문자 표시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22a 내지 도22b는 타이틀 입력 동작 동안 종래의 문자 표시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대한 타이틀 입력 장치는 문자 방송을 수신하고 문자 정보를 출력하는 수신 수단과, 저장 수단내의 수단을 표시하여 표시된 문자 수단을 저장하는 포착 수단,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소망의 문자 정보를 호출하는 호출 수단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문자 정보로부터 호출 수단에 의해 호출된 소망의 문자 정보를 판독하고 기록 매체에 소망의 문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호출 수단의 동작에 응답하는 타이틀 이름 기록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대한 타이틀 입력 장치는 문자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문자 정보를 출력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신된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포착 명령 동작 수단이 수신된 문자 정보를 포착하도록 명령할 때 포착 저장 수단내에 수신된 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포착 수단과,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을 선택하는 선택 동작 수단과, 포착 저장 수단으로부터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호출하도록 명령을 하는 호출 동작 수단과, 상기 포착 저장 수단에 저장된 수신된 문자 정보로부터 상기 호출 동작 수단에 의해 호출되는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 명령을 판독하고, 상기 호출 동작 수단과 의 동작과 상기 선택 동작 수단의 동작들에 응답하여, 선택 동작 수단에 의해 선택된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의 타이틀 이름으로서 기록 매체에서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기록하는 타이틀 이름 기록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문자 방송으로부터 수신된 문자 정보로부터 소망의 문자 정보를 포착하고, 소망의 타이틀 입력 타겟의 타이틀 이름으로서 소망의 문자 정보를 사용하고 상기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타이틀 입력 작업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대한 타이틀 입력 장치에서, 상기 포착 수단은 상기 포착 수단이 포착 저장 수단에 수신된 문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포착 명령 동작 수단이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를 포착하도록 명령할 때 용장 문자 정보를 삭제한다.
따라서, 예로, 스페이스들과 같은 용장 문자 정보가 문자 방송으로부터 수신되어 포착된 소망의 문자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조차도 용장 문자 정보가 없는 문자 정보가 기록 매체내에 기록될 수 있다. 그 후에 그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는 표시된 타이틀 이름은 쉽게 판독될 수 있다. 쉽게 판독되는 타이틀 이름을 구성하기 위해 스페이스들과 같은 용장 문자 정보를 삭제하는 작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대한 타이틀 입력 장치에서, 상기 타이틀 이름 기록 수단은 상기 타이틀 이름 기록 수단이 포착 저장 수단에 저장된 수신된 문자 정보로부터 호출 동작 수단에 의해 호출되도록 명령된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판독할 때 용장 문자 정보를 삭제하며, 상기 선택 동작 수단에 의해 선택된 타이틀 이력 타겟 유닛의 타이틀 이름으로서 기록 매체에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이 경우, 예로, 스페이스들과 같은 용장 문자 정보가 문자 방송으로부터 수신되어 포착된 소망의 문자 정보에 포함될 때 조차도 용장 문자 정보가 없는 문자 정보가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다음에 판독되는 표시된 타이틀 이름은 쉽게 판독될 수 있다. 쉽게 판독되는 타이틀 이름을 구성하도록 스페이스들과 같은 용장 문자 정보를 삭제하는 작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대한 타이틀 입력 장치는 문자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문자 정보를 출력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신된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포착 명령 동작 수단이 수신된 문자 정보를 포착하도록 명령할 때 포착 저장 수단에서 수신된 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포착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을 선택하고 타이틀 이름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 동작 수단과, 각각의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타이틀 이름을 저장하는 타이틀 이름 저장 수단과, 상기 포착 저장 수단으로부터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호출하도록 명령을 하는 호출 동작 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에 대응하는 타이틀 이름 저장 수단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타이틀 이름 문자를 기록하고 상기 호출 동작 수단이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호출하도록 명령할 때 포착 저장 수단에 저장된 소망의 문자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입력 동작 수단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에 따라 타이틀 이름 저장 수단내의 타이틀 이름을 기록하는 타이틀 이름 입력 처리 수단과,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에 대응하는 타이틀 이름을 기록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기록 매체내의 상기 타이틀 이름 저장 수단에 저장되는 타이틀 이름 기록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문자 방송으로부터 수신된 문자 정보에서 소망의 문자 정보를 포착하고 소망의 타이틀 입력 타겟의 일부의 타이틀 이름으로서 소망의 문자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소망의 타이틀 이름은 포착된 문자 정보 전후에 상기 포착된 문자 정보를 부분적으로 변경하거나, 새로운 문자 정보를 가산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에서, 상기 포착 수단은 포착 수단이 상기 포착 저장 수단내에 수신된 문자 정보를 저장할 때 상기 포착 명령 동작 수단이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를 포착하도록 명령할 때 용장 문자 정보를 삭제한다.
따라서, 예로, 스페이스들과 같은 용장 문자 정보가 문자 방송으로부터 수신되어 포착된 소망의 문자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조차도, 용장 문자 정보없는 문자 정보는 타이틀 이름 저장 수단에 기록될 수 있다. 판독되기 쉬운 타이틀 이름을 구성하는 스페이스들과 같은 용장 문자 정보를 삭제하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에서, 상기 타이틀 이름 입력 처리 수단은 타이틀 이름 입력 처리 수단이 포착 저장 수단에 저장된 소망의 문자 정보를 판독할 때 상기 호출 동작 수단이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호출하도록 명령할 때 용장 문자 정보를 삭제하고,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에 따라 타이틀 이름 저장 수단에 타이틀 이름을 기록한다.
따라서, 예로, 스페이스들과 같은 용장 문자 정보가 문자 방송으로부터 수신되어 포착되는 소망의 문자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조차도, 용장 문자 정보없는 문자 정보가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쉽게 판독되는 타이틀 이름을 구성하는 스페이스와 같은 용장 문자 정보를 삭제하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 최상의 모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1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오디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참조번호1은 FM 문자 다중 방송의 무선파를 수신하는 안테나(2)와 FM 문자 다중 방송의 무선파를 수신하고 오디오 신호들과 문자 정보를 출력하는 안테나(2)에 연결된 FM 문자 다중 방송 수신 튜너(3)(이후에 간단히 “동조기”로 칭한다)를 가지는 튜너 유닛을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튜너(3)는 레벨 1로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출력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문자 정보는 프로그램 이름, 음악 프로그램 이름, 아티스트 이름, 기상 예보, 뉴스, 교통 정보등을 포함한다. 레벨 1에서, 주 문자의 문자 정보는 페이지 단위로 수신되고 주문자중 하나의 페이지는 2 행 X 15 문자로 구성된다. 참조번호 6은 도8에 도시된 바와같이 2.5 행 X 15 문자의 표시 크기를 갖는 문자 표시부를 표시한다. 상부 0.5 행은 문자 헤더행이고, 상기 문자 헤더 행 밑의 2개의 행은 주 문자 행이다.
참조번호 5는 배터리로 백업된 메모리나 EEPROM 과 같이 파워가 턴오프될때마다 데이터를 홀딩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 메모리를 표시한다. 상기 메모리(5)는 튜너(3)로부터 공급된 하나의 페이지중 수신된 최후 주 문자를 저장하는 표시 버퍼 영역(5A)(도12참조), 상기 FM 문자 다중 방송으로부터 사용자 표시 및 포착된 7 페이지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포착 버퍼 영역(5B)(도13참조), 후에 기술되는 MD-MO의 타이틀 이름의 입력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타이틀 입력 영역(5C)(도14 내지 도17 참조)을 가진다. 상기 타이틀 입력 영역(5C)은 각각 트랙 번호 000 내지 255의 타이틀 입력 타켓 유닛당 80문자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진다. 참조번호(4)는 키동작 유닛을 표시하며, 이는 유닛(1)의 각 블록을 턴 온/오프하는 파워 온/오프 스위치, 튜너(3)에서 방송국을 선택하는 국 선택 키, 수신된 문자 정보를 포착하는 포착 키, 타이틀 입력 모드를 턴 온/오프하는 타이틀 입력 키, 타이틀 이름 문자들과 트랙 번호 000 내지 255(타이틀 입력 타켓 유닛이 디스크임을 표시하는 트랙번호 000, 타이틀 입력 타켓 유닛이 실제 음악 톤 신호들이 기록되는 트랙인 것을 표시하는 트랙 번호 001 내지 255)를 기입하는 문자 키(알파벳, 가다가나, 기호, 번호등), 하나의 문자 삭제 키, 커서 키, 수신 문자 정보 호출 키, 호출되는 수신 문자 정보를 선택하는 다음(next) 키, ENTER 키 등을 가진다.
참조번호7은 마이크로컴퓨터를 이루는 제 1 시스템 제어기를 표시한다.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는 키 동작 유닛(4)의 파워 온/오프 키 동작에 응답하는 튜너 유닛(1)의 각 블록의 파워를 턴 온/오프하기 위해, 상기 국 선택 키 동작에 응답하여 튜너에 소정의 동조 제어 신호를 공급하므로서 소망의 국을 동조하기 위해, 페이지 단위로 메모리(5)의 표시 버퍼 영역(5A)에서 튜너로부터 출력된 최후 수신된 주 문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문자 표시부(6)를 제어하고 타이틀 입력 모드의 오프 상태 동안 문자 표시부상의 수신된 주 문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제어된다. 상기 포착 키가 타이틀 입력 모드의 오프 상태로 눌러지면,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표시 버퍼 영역(5A)과, 포착 버퍼 영역(5B)에 저장된 하나의 페이지의 수신된 주 문자 정보를 기록한다. 이 경우, 수신된 주 문자 정보내의 연속적 공간과 같은 용장 문자 정보는 상기 수신된 주 문자 정보가 기록되기전에 삭제된다.
상기 키 동작 유닛(4)의 타이틀 입력 키가 눌러지면,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타이틀 입력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문자 키들(알파벳, 가다가나, 스페이스, 기호, 번호, 간지, 히라가나를 포함하여), 하나의 문자 삭제 키, 커서 키, 호출 키, 다음 키, ENTER 키의 동작에 따라, 음악 톤 신호들이 기록되는 입력 타켓 유닛의 디스크의 디스크 타이틀 이름이나 입력 타켓 유닛의 트랙의 트랙 타이틀 이름을 기입하는 타이틀 문자 정보 입력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호출 키가 눌러지면,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포착 버퍼 영역(5B)에 포착된 하나의 페이지중 수신된 주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부를 만들며, 다음 키의 동작에 응답하여 다른 수신된 주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부(6)를 만든다. 소망의 수신된 주 문자 정보가 표시되고 ENTER 키가 눌러지면, 상기 수신되어 표시된 주 문자 정보는 포착 버퍼 영역(5B)로부터 판독되어 디스크 또는 트랙번호 001 내지 255중 하나의 트랙을 상기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선택된 소망의 타이틀 입력 타켓 유닛에 대응시키는 그러한 방법으로 타이틀 입력 영역(5C)에 기록된다.
상기 타이틀 입력 키가 다시 눌러지면,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타이틀 입력 영역(5C)의 내용을 후에 기술되는 제 2 시스템 제어기에 전송하며, 그 후에 타이틀 입력 모드를 턴 오프한다.
참조번호 10은 MD 기록기 유닛을 표시한다. 참조번호 11은 데이터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MD-MO를 표시하고 참조번호 12는 트라이(tray)(도시하지 않음)상의 MD-MO(11)를 로딩/언로딩하는 로딩 유닛을 표시한다. 참조번호 13은 MD-MO(11)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고 MD-MO(11)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MD 기록/재생 유닛을 표시한다. 참조번호 14는 로딩 키, 이젝트 키, PLAY 키, STOP 키, 파워 온/오프 키 등을 가지는 키 동작 유닛을 표시한다. 참조번호 15는 MD-MO(11)의 UTOC 영역으로부터 판독되는 UTOC 정보를 저장하는 UTOC 메모리를 표시한다. 참조번호 16는 디스크 타이틀 이름, 트랙 타이틀 이름 등을 표시하는 문자 표시부를 표시한다.
참조번호 17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루는 제 2 시스템 제어기를 표시한다. 상기 키 동작 유닛(14)의 파워 온/오프 키가 눌러지면, 상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MD 기록기 유닛(10)의 각 블록에 대해 파워 온/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로딩 키가 파워 온 상태로 눌러지면, 상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MD 기록/재생 유닛(13)상의 트라이에 위치된 로딩 유닛(12)내지 로드 MD-MO(11)를 제어하고, UTOC 영역으로부터 UTOC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정보를 UTOC 메모리(15)에 저장하기 위해 MD 기록/재생 유닛(13)을 제어하며, 상기 UTOC 정보내의 타이틀 이름 정보가 디스크 타이틀 이름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크 타이틀 이름을 표시하기 위해 문자 표시부(16)를 제어한다. 상기 키 동작 유닛(14)의 PLAY 키가 눌러지면, 상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제 1 음악 프로그램(트랙 번호 001)으로부터 시작되는 MD-MO(11)에 기록된 음악 프로그램들을 순차적으로 재생하기 위해 MD 기록/재생 유닛(13)을 제어한다. 이 경우, 재생하의 트랙의 트랙 타이틀 이름이 UTOC 정보내의 타이틀 이름 정보에 포함되면, 상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트랙 타이틀 이름을 표시하기 위해 문자 표시부(16)를 제어한다. 상기 STOP 키가 눌러지면,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STOP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튜너 유닛(1)의 제 1 시스템 제어기(7)로부터 UTOC 정보에 대한 전달 요구 신호의 수신시, 상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UTOC 메모리(15)에 저장된 UTOC 정보내의 타이틀 이름 정보를 제 1 시스템 제어기에 전달하고 상기 타이틀 이름 정보가 제 1 시스템 제어기로부터 전달되면, 상기 UTOC 메모리(15)에 저장된 UTOC 정보의 타이틀 이름 정보를 재기록한다. 후에 키 동작 유닛(14)의 이젝트 키가 눌러지면,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MD-MO(11)의 UTOC 영역내의 UTOC 메모리(15)의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 MD 기록/재생 유닛(13)을 제어하며, 트라이상에 위치된 MD-MO(11)를 언로드하기 위해 로딩 유닛(12)을 제어한다. 또한, 파워 오프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MD-MO(11)의 UTOC 영역에서 UTOC 메모리(15)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 MD 기록/재생 유닛(13)을 제어하고 후에 파워 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위에서 기술된 구성의 실시예 동작을 도2 내지 도19를 참고로 기술된다. 도2 내지 4는 제 1 시스템 제어기(7)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5 내지 7은 제 2 시스템 제어기(17)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8 내지 11은 문자 표시부(6)상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2는 메모리(5)의 표시 버퍼 영역(5A)에 저장된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3은 메모리(5)의 포착 버퍼 영역(5B)에 저장된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4 내지 17은 타이틀 입력 영역(5C)에 저장된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8은 MD-MO(11)의 기록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9는 문자 표시부(16)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타이틀 입력 모드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헤더 문자 행에서, FM 문자 다중 방송으로부터 수신된 헤더 문자를 표시하시 위해 문자 표시부(16)를 제어한다. 설명을 간단히하기 위해, 헤더 문자의 수신/표시의 설명은 생략되었다.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5)의 포착 버퍼 영역(5B)에서 가장 먼저 저장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2개의 음악 프로그램은 MD-MO(11)의 트랙 번호 001 및 002의 트랙상에 이미 기록되고 상기 트랙 번호의 트랙 타이틀 이름 "オンリ-·ユ-/プラタ-ズ" 타이틀 이름은 타이틀 이름 정보(도18a를 참조)로서 UTOC 영역에 이미 기록된다고 또한 가정한다.
(1) 포착 수신된 문자 정보
상기 파워 온 동작이 튜너 유닛(1)의 키 동작 유닛(4)의 파워 온/오프 키를 누루는 것에 의해 영향받을 때,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튜너(3)를 동작 상태로 들어가게 하며 이전의 파워-오프 직전에 동조된 국에 동조시키는 튜너 유닛(1)의 각 블록에 대해 파워 온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튜너(3)는 본원에서 FM 다중 방송국에 동조된다고 가정한다. 상기 튜너(3)는 FM 다중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며 FM 다중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레벨 1의 수신된 주 문자 정보를 페이지 단위로 출력한다. 파워가 턴온된 후, 상기 시스템 제어기(7)는 표시 버퍼 영역(5A)의 내용을 클리어하고, 타이틀 입력 모드의 오프 상태를 설정하고, 기록 포인터 WP 와 같은 계수를 사용하기 위해 포착 버퍼 영역(5B)내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페이지 단위로 카운트한다. 이 경우, WP=0(도2에 도시된 단계(S50)을 참조)이다.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에 매번 상기 튜너(3)로부터 한 페이지의 수신된 주 문자 정보를 공급하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표시 버퍼 영역(5A)에서 수신된 주 문자 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부(6)를 이룬다(도8a,12a,단계S51,S52를 참조).
예로, CD 가 재생되어 방송되고 CD의 앨범 이름 "OLDIES" 및 제조 이름 "DAIICHI CO."는 한 페이지의 주 문자 정보로서 전송된다. 이 경우, 상기 전송측은 "OLDIES"전후의 적당한 수의 스페이스 코드를 기입하므로서 제 1 주 문자 행의 중앙에서 "OLDIES"가 문자 표시부(6)상에 표시되고, "DAIICHI CO."전후의 적당한 수의 스페이스 코드를 기입하므로서 "DAIICHI CO."는 제 2 주 문자 행의 중앙에서 문자 표시부상에 표시된다(도8a,12a 참조).
방송하에서 제 1 및 제 2 CD 음악 프로그램은 MD-MO(11)의 제 1 및 제 2 음악 프로그램과 같이 사용자가 이중 녹음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초기에 기술된 예에서, MD-MO(11)의 디스크 타이틀 이름과 제 2 음악 프로그램의 트랙 타이틀 이름은 여전히 기입되지 않는다. "OLDIES" 및 "DAIICHI"가 상기 디스크 타이틀 이름의 부분으로 기입되도록 요구되면, 키 동작 유닛(4)의 포착 키가 눌러진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표시 버퍼 영역(5A)과, 포착 버퍼 영역(5B)내에 저장된 한 페이지의 수신된 주 문자 정보를 WP에 의해 표시된 어드레스 0에 기록하고(단계 S53, S54), 그 후에 1만큼 WP를 증가시킨다(단계 S55). 이 경우, 문자들 직후 하나의 스페이스 이외의 수신된 문자 정보의 스페이스가 용장 문자 정보를 제거하기 위해 모두 삭제되어 수신된 문자 정보가 타이틀 이름의 문자 정보로서 사용될 때,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형성되지 않는다.
특히, 도4의 흐름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직전의 문자 코드가 스페이스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플래그 F(0: 스페이스 이외, 1:스페이스)가 클리어된다. 표시 버퍼 영역(5A)의 문자 위치 m과 포착 버퍼 영역(5B)의 문자 위치 n 은 둘다 1로 설정되고,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의 모든 문자 코드의 번호는 L 로 설정된다.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에 저장된 데이터는 도12a에 도시된 바와같다고 가정하며, 그때 L=30(도4의 단계(S100))이다.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에서 (m=1)번째 문자 코드(이 예에서, 스페이스)는 "데이터"(단계 S101)로서 설정된다. 첫번째 (단계 S102에서 YES)에서 m=1 이므로, 흐름은 단계(S103)으로 가며, 여기서 "데이터"가 스페이스 이외의 문자 코드인지를 체크한다. 이 예에서, 이 판단이 NO 이기 때문에, 상기 플래그 F 는 포착 버퍼 영역(5B)(단계 S104, 단계 S105에서 YES)에서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1로 설정된다. 그 후에, m 은 2로 증가한다(단계 S106), m이 L+1 이 아니기 때문에, (단계 S107에서 NO), 상기 흐름은 단계(S101)로 복귀한다.
단계(S101)에서,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에서 (m=2)번째 문자 코드(이 예에서, 여기서도 스페이스)가 "데이터"로 설정된다. 코드가 m=1(단계 (S102)에서 NO)이 아니므로, 상기 흐름은 단계(S108)로 가며, 여기서 "데이터"가 스페이스 이외의 문자 코드인지를 체크한다. 이 판단이 NO 이므로, F가 O(단계(S109))인지를 체크한다. 이 판단이 또한 NO 이므로, 상기 데이터는 상기 포착 버퍼 영역(5B)에 기록되지 않으며, F는 1로 설정된다(단계(S104), 단계(S105)에서 YES). m이 L+1(단계 S107에서 NO)이 아니므로, 상기 흐름은 단계(S101)로 복귀한다.
유사한 처리들이 상기 포착 버퍼 영역(5B)내에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의 제 4 문자 코드(스페이스)에 대해 반복된다. m=5에서,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에서 제 5 문자 코드("0")는 단계(S101)에서 "데이터"로 설정된다. 이 경우, 단계(S108)에서 판단은 "데이터"가 스페이스가 아니기 때문에 YES 이다. 그러므로 상기 흐름은 단계(S110)으로 가며, 여기서, "데이터"는 WP=0의 어드레스에서 포착 버퍼 영역(5b)의 (n=1)번째 문자 코드로서 기록되고 n은 2로 증가된다(도13a 참조). 그 후에, "데이터"가 스페이스(판단 단계(S104)에서 NO)가 아니므로, F는 클리어되고 m은 6으로 설정된다(단계 S111,S106).
단계(S101)로 되돌아가서,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에서 제 6 문자 코드("L")은 "데이터"로 설정된다. 단계(S108)에서 판단은 YES이고 상기 흐름은 단계(S110)으로 가며 여기서 "데이터"는 상기 어드레스 WP에서 포착 버퍼 영역(5B)내의 (n=2)번째 문자 코드로 기록되고 n은 3으로 증가된다(도13a 참조). 그 후에 F는 클리어되고 m은 7로 설정된다(단계(S111),(S106)).
유사한 동작들이 포착 버퍼 영역(5B)에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에서 제 10 문자 "S"에 대해 반복되고, n=7, m=11로 된다. 그 후에, 단계(S101)에서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내의 제 11 문자 코드(스페이스)는 "데이터"로 설정된다. 상기 "데이터"는 스페이스이므로, 단계(S108)에서 판단은 NO 이다. 그러나, F=0이기 때문에, 단계(S109)에서 다음 판단은 YES이며 상기 흐름은 단계(S110)으로 가며, 여기서 "데이터"는 어드레스 W에서 포착 버퍼 영역(5B)내의 (n=7)번째 문자 코드로서 기록되고, n 은 8 로 증가한다(도13a 참조). 그 후에, "데이터"는 스페이스(판단 단계(S104)에서 YES)이므로, F는 1로 설정되고 m은 12로 설정된다(단계 S105, S106).
단계(S101)로 되돌아가서,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내의 제 12 문자 코드(스페이스)는 "데이터"로 설정된다. 단계(S108,S109)에서의 판단은 NO이므로 상기 "데이터"가 상기 포착 버퍼 영역(5B)에서 기록되지 않고 F는 후에 단계(S101)로 복귀하도록 1로 설정된다(단계 S104,S106에서 YES).
유사한 동작들이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내의 제 17의 문자 코드(스페이스)에 대해 반복되고, 상기 "데이터"는 포착 버퍼 영역(5B)에서 기록되지 않고, m=18 로 된다. 그 후에, 단계(S101)에서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내의 제 18 문자 코드("D")는 "데이터"로 설정된다. 상기 "데이터"가 스페이스가 아니므로, 단계(S108)에서의 판단은 YES이므로 상기 흐름은 단계(S110)으로 가며 여기서 "데이터"는 어드레스 WP에서 포착 버퍼 영역(5B)내의 (n=8)번째 문자 코드로서 기록되고 n은 9로 증가한다(도13a 참조). 그 후에, "데이터"가 스페이스(판단단계 (S104)에서 NO)가 아니므로, F는 클리어되고 m은 19로 설정된다(단계 S111,S106).
유사하게,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내의 제 19 내지 29번째 문자는 WP=0인 어드레스에서 포착 버퍼 영역(5B)내의 9 내지 19 문자로서 기록된다. 표시 버퍼 영역(5A)내의 제 30 번째 문자 스페이스는 포착 버퍼 영역(5B)에서 기록되지 않는다.
위의 처리들로 "OLDIES DAIICHI CO."는 WP=0인 어드레스에서 포착 버퍼 영역(5B)내의 상부 문자로부터 시작되어 순차적으로 기록된다. 스페이스 이외의 문자 직후의 것들을 제외하고 표시 버퍼 영역(5A)에서의 스페이스들은 생략되었다(도12a,13a를 참조).
다음에, CD 의 제 2 음악 프로그램의 이름 “スタンド·バ·ミ-” 와 아티스트 이름 “バン·E·キング” 은 한 페이지의 주 문자 정보로서 수신되어 표시되고(도8b,12b 참조), 상기 키 동작 유닛(4)의 포착 키가 눌러진다. 이 경우,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WP=1 인 어드레스(단계 S53,S54)에서 포착 버퍼 영역(5B)내의 표시 버퍼 영역(5A)에서 수신된 문자 정보를 기록한다. WP는 그 후에 2로 증가한다(단계 S55). 또한 이 경우, 문자들 직후의 하나의 스페이스 이외의 수신된 문자 정보의 스페이스들은 용장 문자 정보를 제거하기 위해 모두 삭제되어,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가 이후에 타이틀 이름의 문자 정보로서 사용될 때, 불필요한 스페이스들은 형성되지 않는다.
위의 동작들로 “スタンド·バ·ミ-バン·E·キング” 는 WP=1인 어드레스에서 포착 버퍼 영역(5B)의 상부 문자로부터 시작되어 순차적으로 기록된다. 상기 스페이스 이외의 문자 직후의 문자들을 제외한 상기 표시 버퍼 영역(5A)에서의 스페이스들은 생략되었다(도12b,13b를 참조).
(2) MD-MO 의 설정 및 재생
파워 온 동작이 상기 MD 기록기 유닛(10)의 키 동작 유닛(14)의 파워 온/오프 키를 누룸으로써 영향받을 때, 상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상기 MD 기록기 유닛의 각 블록에 대해 파워 온 제어를 수행한다(도5에 도시된 단계(S80)에서). 그 후에, MD-MO(11)는 트레이(tray)상에 위치되고 상기 키 동작 유닛(14)의 로딩 키가 눌러진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로딩 유닛(12)이 로딩 제어를 수행하게 하며 MD 기록/재생 유닛(13)이 MD-MO(11)을 설정하게 한다. 그 후에, 상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UTOC 영역으로부터 UTOC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정보를 UTOC 메모리(15)에 저장하기 위해(단계 S81 내지 S83) MD 기록/재생 유닛(13)을 제어한다. 디스크 타이틀 이름이 판독 UTOC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문자 표시부(16)상에 표시된다(단계 S84). 그러나, 이 예에서, 상기 UTOC 정보는 디스크 타이틀 이름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가정되므로, 상기 문자 표시부(16)상에 표시되지는 않는다.
MD-MO(11)을 재생하도록 요구된 경우, 상기 키 동작 유닛(14)의 PLAY 키가 눌러진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CD 기록/재생 유닛(13)이 상기 제 1 음악 프로그램으로부터 시작되는 음악 프로그램들을 순차적으로 재생하기 위해 PLAY 제어를 수행하게 한다. 상기 재생하의 트랙이 트랙 타이틀 이름을 갖는 경우, 이것이 문자 표시부(16)상에 표시된다(단계 S85 및 S86). 이 예에서, 제 1 음악 프로그램의 트랙 타이틀 이름 "オンリ-·ユ-/プラタ-ズ"가 기록되면 이것이 문자 표시부(16)상에 표시되고 반면에 제 1 음악 프로그램은 재생된다(도19b도 참조). 상기 STOP 키가 그 후에 눌러지면, 상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CD 재생/기록 유닛(13)이 재생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 STOP 제어를 수행하게 한다(단계 S87,S88).
(3) 디스크 타이틀 이름의 입력
사용자가 MD-MO(11)의 디스크 타이틀 이름과 제 2 음악 프로그램의 트랙 타이틀 이름을 입력하길 원하면, MD-MO(11)는 상기 MR 기록기 유닛(10)의 MD 기록/재생 유닛(13)으로 설정되고 그 후에 상기 튜너 유닛(1)의 키 입력 유닛(4)의 타이틀 입력 키가 눌러진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타이틀 입력 모드로 들어간다.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상기 MD 기록기 유닛(10)의 제 2 시스템 제어기(17)에 UTOC 정보에 대한 전달 요구 신호를 가장 먼저 전송한다. 상기 요구 신호 수신시, 상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제 1 시스템 제어기(7)로 UTOC 메모리(15)에 저장된 UTOC 정보내의 모든 타이틀 이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인터럽트 처리를 사용한다. 타이틀 이름 정보 수신시,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상기 정보가 트랙 번호 000 내지 255 각각에 대응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타이틀 입력 영역(5C)에 상기 정보를 저장한다(도2에서 단계 S56,S57,도14a,도16에서 단계 S120을 참조).
그 후에,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트랙번호가 기입될때까지 대기(stand by)되고, 상기 문자 표시부(6)의 주 문자 행들을 클리어하고, 상기 문자 헤더 행에서 "TNO"를 표시한다(도3,도8c의 단계 S60). 사용자가 타이틀 입력 타켓 유닛이 디스크임을 표시하는 번호 키들로 "000"을 입력하면 j=000은 타이틀 이름 입력 타켓 유닛이 디스크(도14a 참조)임을 등록하는 메모리(5)의 타이틀 입력 영역(5C)에 기록되고 "DISC TITLE"은 문자 표시부(6)의 문자 헤더 행에 표시된다. 상기 트랙번호 000에 대응하는 디스크 타이틀 이름이 타이틀 입력 영역(5C)에 포함되면, 상기 문자 표시부(6)의 주 문자 행들에 표시된다. 그러나, 이 예에서 상기 디스크 타이틀 이름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상기는 표시되지 않고 커서(도8d의 K를 참조)는 제 1 문자 위치의 제 1 주 문자 행에 표시된다(단계 S61,S62,도8d를 참조).
사용자가 디스크 타이틀 이름 "BEST HIT OLDIES/DAIICHI"를 입력하길 원하면, 상기 문자 키 "B"는 "B"가 j=000 인 트랙번호에 대응하는 타이틀 이름 문자 정보의 제 1 문자로서 타이틀 입력 영역(5C)에 등록되도록 가장 먼저 눌러지면 그에 따라 상기 문자 표시부(6)의 제 1 주 문자 행의 제 1 문자 위치에서 "B"를 표시하고 제 2 문자 위치로 커서를 이동한다(단계 S63,S64). 다음에 "E","S","T"," "(스페이스),"H","I","T" 및 " "(스페이스)는 "EST HIT"가 j=000 인 트랙번호에 대응하는 타이틀 이름 문자 정보의 제 2 및 그 다음 문자로서 타이틀 입력 영역(5C)에 등록되도록 입력되면, 그에 따라 상기 문자 표시부(6)의 제 1 주 문자 행에서 제 2 및 그 다음 문자 위치에서 "EST HIT"를 표시하고 제 10 문자 위치로 커서를 이동한다(단계 S63,S64, 도9a,도14b 참조).
"OLDIES/DAIICH"의 다음 부분으로서, 상기 문자 다중 방송의 이미 수신된 문자 정보가 사용된다. 처음에, 상기 호출 키가 눌러진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포착 버퍼 영역(5B)에서 판독 포인터 RP를 0 으로 설정하며, 문자 표시부(6)의 상기 주 문자 행에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RP=0인 어드레스에서 포착 버퍼 영역 5B 로부터 한 페이지의 수신된 주 문자 정보 "OLDIES DAIICHI CO."를 판독한다(단계 S65 내지 S67, 도9b, 도14b 참조).
사용자가 표시된 문자 정보가 소망의 정보임을 확인한 후, 상기 ENTER 키가 눌러진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정보가, 커서 위치와 한 문자전의 위치 사이에서, 직전의 디스크 타이틀 입력 스크린(도9a 참조)상에 타이틀 이름 문자 정보가 표시된 후에, j=000 인 트랙번호에 대응하는 타이틀 이름 문자 정보의 부분으로서 삽입되도록 RP=0인 어드레스에서 즉, 타이틀 입력 영역(5C)에서 "OLDIES DAIICHI CO."인 포착 버퍼 영역(5B)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기록(가산)한다. 상기 문자 표시부(6)는 디스크 타이틀 입력 스크린을 다시 취하도록 구성되며 부가적으로 상기 제 2 행에 대해 문자 표시부(6)의 제 1 주 문자 행에서 "BEST HIT" 다음의 위치들에서 "OLDIES DAIICHI CO."를 표시하고 상기 커서는 상기 제 2 주 문자 행에서 제 13 문자 위치로 이동한다(단계 S68,S69, 도9c, 도15a 참조).
상기 디스크 타이틀 이름 "BEST HIT OLDIES DAIICHI CO."이 변경될 필요가 없으면, ENTER 키를 누룸으로서 설정된다. 그러나, "OLEIES" 및 "DAIICHI"가 "/"(슬래시)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마지막 "CO."가 제거되면, 그 후에 상기 커서는 "OLDIES" 및 "DAIICHI"사이의 ""(스페이스)(제 2 주 문자 행의 시작 위치)위치로 이동되며, 하나의 문자 삭제 키가 눌러진다. 이 키를 누룸으로서, " "(스페이스) 다음의 문자들은 j=000 인 트랙번호에 대응하는 타이틀 입력 영역(5C)의 타이틀 이름 문자 정보와 문자 표시부(6)상에 표시된 문자들에서 하나의 문자만큼 앞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D"는 " "(스페이스)의 위치로 이동된다(커서는 제 2 주 문자 행의 시작 위치에 머문다. 단계 S63, S64, 도9d, 도15b를 참조). 그 후에, "/"는 "/"가 D 와 "D"전의 한 문자 "S"사이에 기입되도록 입력되고 "D" 다음의 문자들은 j=000 인 트랙번호에 대응하는 타이틀 입력 영역(5C)의 타이틀 이름문자 정보와 문자 표시부(6)상에 표시된 문자들에서 하나의 문자만큼 뒤로 이동된다(커서는 제 2 주 문자 행에서 제 2 문자 위치로 이동하며, 단계 S63,S64, 도10a,16a를 참조).
다음에, 커서는 "CO."의 "C"로 이동하며, 하나의 문자 삭제 키는 4번 눌러진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4개의 문자 "C","O","." 및 " "(스페이스)는 j=000 인 트랙번호에 대응하는 타이틀 입력 영역(5C)의 타이틀 이름 문자 정보와 문자 표시부(6)상에 표시된 문자들에서 삭제되고, 상기 커서는 "DAIICHI" 직후의 " "(스페이스)의 다음 위치로 이동한다(단계 63, 단계 64, 도10b, 도16b).
위의 동작들로, 소망의 디스크 타이틀 이름이 완성된다. 상기 ENTER 키가 눌러질 때,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j=000 인 트랙번호에 대응하는 타이틀 입력 영역(5C)내의 타이틀 이름 문자 정보로서 이 디스크 타이틀 이름을 설정하며, 상기 문자 표시부(6)의 주 문자 행들의 문자들을 삭제하며, 그 후에 트랙번호가 입력될때까지 대기하기 위해 문자 헤더 행에 "TNO"를 표시한다(단계 S70,S60,도8c) .
(4) 트랙 타이틀 이름의 입력
다음에, 기록된 음악 톤 신호들을 가지는 트랙 타이틀 이름은 타이틀 입력 타켓 유닛으로서 트랙번호 002를 가지는 트랙에 관하여 입력되기를 바라는 경우, "002"가 숫자키들을 사용하여 가장 먼저 입력된다. 이에 응답하여,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타이틀 입력 타켓 유닛이 트랙 번호 002를 갖는 트랙임을 등록하도록 메모리(5)의 타이틀 입력 영역(5C)에 j=002를 기록하며. 그 후에 상기 문자 헤더 행의 문자 표시부(6)상에 "TNO 002 TITLE"를 표시한다. 상기 트랙번호 002 의 타이틀 이름 문자 정보가 타이틀 입력 영역(5C)에 포함되면, 이 정보는 주 문자 행들에서 문자 표시부(6)상에 표시된다. 그러나, 이 예에서, 상기 타이틀 입력 영역(5C)이 트랙 타이틀 문자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가정되므로, 이것은 상기 문자 표시부(16)상에 표시되지 않으며 커서는 제 1 주 문자 행의 제 1 문자 위치에서 표시된다(단계 S61,S62, 도10c 참조).
사용자가 트랙 타이틀 이름 "スタンド·バ·ミ-/バン·E·キング"를 기록하기를 원하면, 상기 문자 다중 방송으로부터 이미 수신된 문자 정보가 사용된다. 처음에, 호출 키가 눌러진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시스템제어기(7)는 포착 버퍼 영역(5B)내의 판독 포인터 RP를 0으로 설정하며, 상기 문자 표시부(6)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RP=0 인 어드레스에서 포착 버퍼 영역(5B)으로부터 상기 수신된 주 문자 정보 "OLDIES DAIICHI CO."를 판독한다(단계 S65 내지 S67, 도9b). 상기 사용자가 그 후에 다음 키를 누를 때,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어드레스 RP에서 포착 버퍼 영역(5B)으로부터 수신된 문자 정보 "スタンド·バ·ミ-/バン ·E·キング"를 판독하기 위해 1만큼 RP를 증가시키며 정보를 문자 표시부(6)상에 표시한다(단계 S71, S72,도10d).
사용자가 표시 문자 정보가 소망의 정보인지를 확인한 후, 상기 ENTER 키가 눌러진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스템 제어기(7)는 상기 커서 위치와 하나의 문자 전 위치 사이에서, 직전의 트랙 타이틀 입력 스크린(도9e 참조)상에 타이틀 이름 문자 정보가 표시된 후에, j=002 인 트랙번호에 대응하는 타이틀 이름 문자 정보의 부분으로서 삽입되도록, 어드레스 RP에서 포착 버퍼 영역(5B)의 수신된 문자 정보, 즉, 상기 타이틀 입력 영역(5C)에서의 "スタンド·バ·ミ-/バン·E·キング"를 기록(가산)한다. 상기 문자 표시부(6)가 트랙 타이틀 입력 스크린을 다시 취하며 부가적으로 문자 표시부(6)의 주 문자 행들의 커서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주 문자 행으로의 위치들에서 "スタンド·バ·ミ-/バン·E·キング"를 표시하고, 상기 커서는 제 2 주 문자 행의 제 5 문자 위치로 이동된다(단계 S68,S69, 도11a, 도17a를 참조).
상기 트랙 타이틀 이름 "スタンド·バ·ミ-/バン·E·キング"이 바뀔 필요성이 없으면, ENTER 키를 누룸으로써 설정된다. 그러나, "スタンド·バ·ミ-”및“バン·E·キング”이 "/"(슬레시)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그 후에 커서는 “スタンド·バ· ミ-"과 “バン·E·キング"" 사이의 " "(스페이스)위치(제 1 주 문자 행의 제 11번째 문자 위치)로 이동되며, 하나의 문자 삭제 키가 눌러진다. 이 키를 누르면, " "(스페이스) 다음의 문자들은 j=002 인 트랙 번호에 대응하는 타이틀 입력 영역(5C)내의 타이틀 이름 문자 정보와 문자 표시부(6)상에 표시된 문자들 둘다에서 하나의 문자만큼 앞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バ"는 " "(스페이스)위치로 이동된다(커서는 상기 제 1 주 문자 행의 제 11 문자 위치에 머물며, 단계 S63, S64, 도11b를 참조). 그 후에 "/"는 "/"가 "バ" 과 "バ"전의 하나의 문자인 "-"사이에 입력되도록 입력되며 "バ"다음의 문자들은 j=002인 트랙 번호에 대응하는 타이틀 입력 영역(5C)내의 타이틀 이름 문자 정보와 문자 표시부(6)상의 표시 문자들에서 하나의 문자만큼 뒤로 이동된다(커서는 상기 제 1 주 문자 행에서 제 12 문자 위치로 이동하며, 단계 S63,S64, 도11c 및 도17b를 참조).
위의 동작들로, 소망의 디스크 타이틀 이름이 완성된다. EBTER 키가 눌러지면,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j=002 인 트랙 번호에 대응하는 타이틀 입력 영역(5C)의 타이틀 이름 문자 정보로서 이 트랙 타이틀 이름을 설정하며, 상기 문자 표시부(6)의 주 문자 행들에서 문자들을 삭제하고, 그후에 트랙 번호가 입력될때까지(단계 S70,S60,도8c) 대기하기 위해 문자 헤더 행에 "TNO"를 표시한다.
(5) MD-MO 타이틀 이름의 기록
이 상태에서, 타이틀 이름이 입력되는데 따른 트랙 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타이틀 입력 키가 눌러질 때,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7)는 타이틀 입력 모드를 턴 오프하고, 제 2 시스템 제어기(17)를 인터럽트시키고, 상기 타이틀 입력 영역(5C)의 내용을 전달한다. 이 인터럽트 처리동안,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제 1 시스템 제어기로부터 전달된 내용에 따라 UTOC 메모리에 저장된 UTOC 정보의 타이틀 이름 정보를 재기록한다(도3에 도시된 단계 S73 내지 S75, 도7에 도시된 단계 S130).
그 후에, 이젝트 동작이 MD 기록/재생 유닛(13)의 정지 상태로 수행되면, 상기 제 2 시스템 제어기(17)는 MD-MO(11)의 UTOC 영역에서 UTOC 메모리(15)의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 MD 기록/재생 유닛(13)을 제어하며 그 후에, MD-MO(11)를 언로드하기 위해 로딩 유닛(12)을 제어한다(도5에 도시된 단계 S89,S90, 도18b를 참조). 상기 파워 오프 동작은 MD 기록/재생 유닛(13)의 정지 상태로 수행되고, 상기 UTOC 메모리(15)의 내용은 또한 후에 파워 오프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MD-MO(11)의 UTOC 영역에 기록된다(단계 S91,S92).
(6) 그후 타이틀 이름으로 기록된 MD-MO(11)가 다시 로드되면, 상기 디스크 타이틀 이름 "BEST HIT OLDIES/DAIICHI"는 상기 MD 기록/재생 유닛(13)의 정지 상태로 문자 표시부(16)에 표시된다(단계 S81 내지 S83, 도19a 참조). 그러므로, 사용자는 디스크가 소망의 디스크인지를 첫눈에 확인할 수 있다. 트랙번호 001을 갖는 트랙의 재생동안, 트랙 타이틀 이름 “オンリ-·ユ-/プラタ-ズ”이 표시되고(도19b 참조), 반면 트랙번호 002를 갖는 트랙의 재생동안, 상기 트랙 타이틀 이름 "スタンド·バ·ミ-/バン·E·キング"이 표시된다(도19c 참조). 그러므로, 음악 프로그램이 소망의 프로그램인지를 첫눈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단계 S85 및 S86).
이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타이틀 입력 타켓 유닛으로서 선택된 디스크의 디스크 타이틀 이름을 입력하거나 타이틀 입력 타켓 유닛으로서 001 내지 255의 트랙번호를 가지는 트랙들로부터 선택된 트랙의 타이틀 이름 트랙을 입력하기 위해 타이틀 이름 입력 동작을 수행한다. 이 경우, FM 문자 다중 방송으로부터 수신된 문자 정보는 타이틀 이름의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타이틀 이름 입력 작업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문자 정보가 FM 다중 방송으로부터 포착되면, 수신된 문자 정보내의 연속적 스페이스와 같은 용장 문자 정보는 자동적으로 삭제된다. 그러므로, 표시된 타이틀 이름이 쉽게 판독되고, 표시된 타이틀 이름이 쉽게 판독되도록 하기 위해 용장 문자 정보를 삭제하는 작업이 생략된다. 디스크 타이틀 이름과 트랙 타이틀 이름의 최대 문자수가 제한될지라도, 상기 타이틀 이름은 수신된 문자 정보내의 용장 문자 정보가 자동적으로 삭제되기 때문에 상당한 양의 의미(meaningful) 문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앨범 이름, 앨범 제작자명, 음악 프로그램 이름 및 아티스트 이름이 타이틀 이름으로서 예시적으로 사용된다. 대신, 상기 타이틀 이름은 디스크 또는 트랙이 영화 타이틀 이름, 일부의 음악 문자, 음악의 설명, 사람의 이름, 지역 이름과 같은 소망의 것인지를 첫눈에 확인할 수 있는 임의의 문자 정보일 수 있으며, 북 타이틀은 각각 음악과 직접 관련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시스템 제어기(17)가 포착 키가 눌러지면 포착 버퍼 영역(5B)에서 표시 버퍼 영역(5A)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기록할 때, 연속적 스페이스와 같은 용장 문자 정보가 자동적으로 삭제된다. 대신, 상기 용장 문자 정보는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가 기록될 때, 삭제되지 않으며, 그러나 다른 타이밍에서 삭제될 수 있다. 즉, 소망의 문자 정보가 호출 키와 커서 키를 동작시킴에 의해 포착 버퍼 영역(5B)의 수신된 문자 정보로부터 발생되고 문자 표시부(6)상에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ENTER 키가 눌러질 때, 상기 표시된 문자 정보는 상기 정보가 현재 타이틀 입력 타켓 유닛에 대응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타이틀 입력 영역(5C)에 기록된다. 이 타이밍에서, 용장 문자 정보가 삭제된다.
이 실시예에서, 용장 문자 정보가 삭제되면, 스페이스 이외의 문자 직후의 하나의 스페이스를 제외한 수신된 문자 정보내의 모든 스페이스가 삭제된다. 대신, 상기 스페이스 이외의 문자 스트링들 사이에 삽입된 스페이스들중 하나가 남겨지고 다른 스페이스들이 삭제될 수 있으며, 하나의 좌측 스페이스는 "/"와 같은 구분문자(delimiter)기호에 의해 자동으로 대체된다.
상기 튜너 유닛(1)과 MD 기록기 유닛(10)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시스템 제어기(7, 17)는 단일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MD 기록기 유닛이 제 2 기록 기능을 가지는 경우, 상기 UTOC 메모리내의 UTOC 정보는 음성 기록이 완성된 후 MD-MO상에 기록될 수 있다.
문자 정보를 수신하는 튜너(3)는 TV 다중 문자 방송 수신 튜너와 같은, FM 문자 다중 방송 수신 튜너와는 다른 튜너일 수 있다. 타이틀 이름 입력 타켓 매체는 MD-MO 에 대해서만 제한되지 않으며, VTR 카셋트 테이프, DAT카셋트 테이프 및 DVD-RAM 과 같은 다른 매체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망의 문자 정보는 문자 방송으로부터 포착되고 소망의 타이틀 입력 타겟의 타이틀 이름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타이틀 이름은 그 후에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타이틀 이름을 입력하는 사용자 작업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Claims (7)

  1.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에 있어서,
    문자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문자 정보를 출력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포착 명령 동작 수단이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를 포착하도록 명령할 때 포착 저장 수단내에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포착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을 선택하는 선택 동작 수단과,
    상기 포착 저장 수단으로부터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호출하기 위해 명령하는 호출 동작 수단과,
    상기 호출 동작 수단과 상기 선택 동작 수단의 동작들에 응답하여 상기 호출 동작 수단에 의해 호출되도록 명령된 상기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상기 포착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선택 동작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의 타이틀 이름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내에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기록하는 타이틀 이름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 수단은 상기 포착 명령 동작 수단이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를 포착하도록 명령할 때 상기 포착 수단이 상기 포착 저장 수단내에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를 저장하고 용장 문자 정보를 삭제하는,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틀 이름 기록 수단은 상기 타이틀 이름 기록 수단이 상기 호출 동작 수단에 의해 호출되도록 명령된 상기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상기 포착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선택 동작 수단에 의해 선택된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의 타이틀 이름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내에 상기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기록할 때 용장 문자 정보를 삭제하는,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
  4.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에 있어서,
    문자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문자 정보를 출력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포착 명령 동작 수단이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를 포착하도록 명령할 때 상기 포착 저장 수단내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포착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을 선택하고 타이틀 이름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 동작 수단과,
    각각의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타이틀 이름을 저장하는 타이틀 이름 저장 수단과,
    상기 포착 저장 수단으로부터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호출하도록 명령하는 호출 동작 수단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상기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타이틀 이름 저장 수단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타이틀 이름 문자를 기록하고, 상기 호출 동작 수단이 상기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호출하도록 명령할 때 상기 포착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소망의 문자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입력 동작 수단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상기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타이틀 이름 저장 수단내에 타이틀 이름을 기록하는 타이틀 이름 입력 처리 수단과,
    상기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타이틀 이름을 기록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기록 매체내의 상기 타이틀 이름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타이틀 이름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 수단은 상기 포착 명령 동작 수단이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를 포착하도록 명령할 때 상기 포착 수단이 상기 포착 저장 수단내의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를 저장하고 용장 문자 정보를 삭제하는,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틀 이름 입력 처리 수단은 상기 호출 동작 수단이 상기 소망의 수신된 문자 정보를 호출하도록 명령할 때 상기 타이틀 이름 입력 처리 수단이 상기 포착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소망의 문자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상기 타이틀 입력 타겟 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틀 이름 저장 수단내에 상기 타이틀 이름을 기록하는 경우 용장 문자 정보를 삭제하는,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
  7. 삭제
KR1020007000103A 1997-07-06 1998-05-20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 KR100351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96596 1997-07-06
JP19659697A JP3552474B2 (ja) 1997-07-06 1997-07-06 記録媒体のタイトル入力装置
PCT/JP1998/002202 WO1999003103A1 (fr) 1997-07-06 1998-05-20 Dispositif permettant de saisir le titre d'un support d'enregistr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545A KR20010021545A (ko) 2001-03-15
KR100351221B1 true KR100351221B1 (ko) 2002-09-05

Family

ID=1636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103A KR100351221B1 (ko) 1997-07-06 1998-05-20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130249B2 (ko)
EP (1) EP1006530A4 (ko)
JP (1) JP3552474B2 (ko)
KR (1) KR100351221B1 (ko)
CN (1) CN1183542C (ko)
AU (1) AU744507B2 (ko)
BR (1) BR9810983A (ko)
CA (1) CA2295974C (ko)
RU (1) RU2203509C2 (ko)
TR (1) TR200000167T2 (ko)
WO (1) WO1999003103A1 (ko)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5024A (en) * 1982-03-19 1986-09-30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apparatus with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US5041921A (en) * 1987-01-06 1991-08-20 Duplitronics, Inc. System for recording custom albums from a library of pre-recorded items
FR2636192B1 (fr) * 1988-09-07 1992-07-24 Sanyo Electric Co Appareil de stockage de donnees d'image
US5063610A (en) * 1989-09-27 1991-11-05 Ing Communications, Inc. Broadcasting system with supplemental data transmission and storage
JPH03233670A (ja) * 1990-02-09 1991-10-17 Toshiba Corp テキストデータ変換方式
JPH04105269A (ja) * 1990-08-24 1992-04-07 Sony Corp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ES2234978T3 (es) * 1990-09-10 2005-07-01 Starsight Telecast, Inc. Interfaz de usuario para un sistema de programacion de television.
US5991440A (en) * 1991-06-21 1999-11-23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nput handwritten characters associated with title information
JPH04373284A (ja) * 1991-06-21 1992-12-25 Fujitsu General Ltd 文字放送デコーダ
US5488409A (en) * 1991-08-19 1996-01-30 Yuen; Henry 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the playing of VCR programs
US6091884A (en) * 1991-08-19 2000-07-18 Index Systems, Inc. Enhancing operations of video tape cassette players
JPH0652654A (ja) * 1992-07-31 1994-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ー
JPH06251564A (ja) * 1993-02-27 1994-09-09 Sony Corp 情報提供収集装置及び記録媒体
US5475835A (en) * 1993-03-02 1995-12-12 Research Design & Marketing Inc. Audio-visual inventory and play-back control system
US5491838A (en) * 1993-04-08 1996-02-13 Digital D.J. Inc. Broadcast system with associated data capabilities
US5646796A (en) * 1993-05-10 1997-07-08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topic data with digital video and audio data
JP2978937B2 (ja) * 1993-05-28 1999-11-1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光磁気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US5481296A (en) * 1993-08-06 1996-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viewing video information
JP3500741B2 (ja) * 1994-03-01 2004-02-23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放送の選局方法及び選局装置
JPH07262752A (ja) * 1994-03-25 1995-10-13 Sanyo Electric Co Ltd ミニディスク装置
JPH0850778A (ja) 1994-08-05 1996-02-20 Sony Corp 音声記録システム
JP3672599B2 (ja) * 1994-09-30 2005-07-20 ソニー株式会社 文字情報記録再生装置
JP2917834B2 (ja) * 1994-11-08 1999-07-12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H08255470A (ja) * 1995-03-16 1996-10-01 Funai Techno Syst Kk 記録型ディスクのタイトル編集方法
JP3557721B2 (ja) * 1995-05-11 2004-08-2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
JPH08317331A (ja) 1995-05-19 1996-11-29 Fujitsu General Ltd 記録再生システム
JPH09135183A (ja) 1995-09-08 1997-05-20 Nippon Business Syst Kk 双方向通信装置
JPH0983946A (ja) 1995-09-18 1997-03-28 Sony Corp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信号記録/再生装置
JPH09147532A (ja) 1995-11-18 1997-06-06 Kenwood Corp ディスク記録装置
JP3277450B2 (ja) * 1995-11-22 2002-04-22 ソニー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記録装置
JP3230646B2 (ja) * 1995-11-22 2001-11-19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情報受信装置
US5877781A (en) * 1995-11-29 1999-03-02 Roland Kabushiki Kaisha Memory control device for video editor
JP3223095B2 (ja) * 1996-01-26 2001-10-29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US5671195A (en) * 1996-05-31 1997-09-23 Intellectual Science And Technology Inc. Audio system programmable for recording preselected audio broadcasts
JPH09326188A (ja) * 1996-06-05 1997-1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m多重放送受信録音装置
JPH1055656A (ja) * 1996-08-08 1998-02-24 Sony Corp 受信情報記録システム
EP0867881A3 (en) * 1997-03-26 2002-10-23 Sony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H11185459A (ja) * 1997-12-24 1999-07-09 Sony Corp 記録システム、記録装置
JPH11259971A (ja) * 1998-03-10 1999-09-24 Sony Corp ダビングシステム、ダビン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44507B2 (en) 2002-02-28
EP1006530A1 (en) 2000-06-07
EP1006530A4 (en) 2005-12-21
CA2295974A1 (en) 1999-01-21
TR200000167T2 (tr) 2000-05-22
WO1999003103A1 (fr) 1999-01-21
CA2295974C (en) 2002-01-15
RU2203509C2 (ru) 2003-04-27
CN1183542C (zh) 2005-01-05
JPH1125657A (ja) 1999-01-29
JP3552474B2 (ja) 2004-08-11
CN1261974A (zh) 2000-08-02
US7130249B2 (en) 2006-10-31
US20030174591A1 (en) 2003-09-18
KR20010021545A (ko) 2001-03-15
BR9810983A (pt) 2002-10-01
AU7448898A (en) 199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1221B1 (ko) 기록 매체의 타이틀 입력 장치
KR100189917B1 (ko) 자동 앵글 재생 제어 방법
JPH1166694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US20020140720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udio information
US6304716B1 (en) Apparatus for management of information of program recorded on video tape, method for management of program recorded on video tape, recorder/reproducer,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EP0553730B1 (en)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448085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370371B1 (ko) 휴대용 씨디 플레이어에서의 데이터 재생 방법
JP2694100B2 (ja) ビデオテープ複写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編集方法及び装置
KR100672049B1 (ko) 연결 녹화정보를 이용한 녹화 방법
MXPA00000024A (en) Device for inputting title of recording medium
JP2001027898A (ja) データ再生回路及びこれを具えた音声記録再生装置
JPH06309861A (ja) 情報記録再生方法又は装置
JP2708637B2 (ja) 情報再生装置
JP2591366B2 (ja) 記録媒体の再生装置
JPH08180657A (ja) 円盤状情報記録担体の再生装置
JPH10199138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1184662A (ja) 記録媒体の記録再生装置
KR0167892B1 (ko)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간편녹화/재생방법 및 그에 따른 회로
JP2002158954A (ja) 記録再生装置
JP2002369112A (ja) 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H07114399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2298495A (ja) 記録媒体再生装置
JPH11273315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H0793957A (ja) 車載用オーディ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