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352B1 - 암레스트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암레스트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352B1
KR100350352B1 KR1019990051559A KR19990051559A KR100350352B1 KR 100350352 B1 KR100350352 B1 KR 100350352B1 KR 1019990051559 A KR1019990051559 A KR 1019990051559A KR 19990051559 A KR19990051559 A KR 19990051559A KR 100350352 B1 KR100350352 B1 KR 100350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fixed
coil spring
fixed shaf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7370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정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창 filed Critical 정해창
Priority to KR1019990051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352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레스트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암레스트 본체에 고정되고, 둘레의 일부에 슬릿(slit)이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전통; 이 회전통을 관통하여 일단이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며, 걸림돌기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타단부 외주에 갖는 고정축; 이 고정축의 일단부 외주에 결합 고정되며, 회전통의 타단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일부에 회전통과 이격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이 단차부의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타측에 접촉면보다 돌출된 해제돌기를 갖는 가이드링; 및 회전통과 고정축 사이에 결합되며, 일단은 회전통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통의 슬릿 또는 가이드링의 단차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한다. 코일스프링의 각 감김부간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의 자유높이가 회전통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된다.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부품수와 조립공수 절감 및 구조적 간소화에 의한 제작의 용이성과 암레스트의 동작 신뢰성 향상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암레스트 회전장치{a device for pivoting an arm rest}
본 발명은 차량 등의 좌석에 사용되는 암레스트(arm rest)의 회전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암레스트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어 놓을 수 있도록 좌석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 지지하는 암레스트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등의 좌석에는 특히 장거리 운행시 탑승자의 보다 안락한 승차를 위해 암레스트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암레스트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오히려 탑승자의 행동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암레스트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좌석의 등받이 등에 수납시켜 놓고, 사용할 때에만 선택적으로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좌석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암레스트 회전장치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암레스트 본체(1)에 회전통(2)이 고정되고, 단차지게 구성된 고정축(3)의 소경부(3a)가 회전통(2)을 관통하여 시트 프레임(seat frame:F)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통(2)의 내면과 고정축(3)의 대경부(3b) 외주에는 이들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코일스프링(4)이 결합되어 그 일단이 암레스트 본체(1)에 고정되고, 고정축(3)의 타단에는 캠부(5a)와 걸림돌기(5b)를 외주에 일정각도 간격으로 갖는 엔드플레이트(end plate:5)가 볼트(6)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암레스트 본체(1)의 한쪽에는 브래킷(7)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7)에 접촉핀(8a)을 선단부에 갖는 레버(8)가 힌지축(8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레버(8)는 리턴스프링(9)에 의해 소요의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elastic biased) 있다.
암레스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암레스트 본체(1)를 수직방향으로 세워 접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레버(8)는 그 접촉핀(8a)이 엔드플레이트(5)의 캠부(5a) 외주에 접촉됨으로써 코일스프링(4)의 자유단을 풀림방향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통(2)에 코일스프링(4)의 구속력이 작용하지 않아 암레스트 본체(1)는 회전 가능상태가 된다(도 2a 참조). 이 상태에서 암레스트를 사용하기 위해 도 2b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촉핀(8a)이 엔드플레이트(5)의 캠부(5a)로부터 벗어나 걸림돌기(5b)에 걸려서 레버(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도 2c와 같이 레버(8)가 리턴스프링(9)의 복원탄성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면, 코일스프링(4)의 자유단이 자체탄성에 의해 그 감김방향으로 되돌아가 회전통(2)과 고정축(3)의 대경부(3b)를 강하게 조여주게 됨으로써 암레스트 본체(1)를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암레스트를 접기 위해 암레스트 본체(1)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도 2d와 같이 접촉핀(8a)이 엔드플레이트(5)의 캠부(5a)에 접촉되어 레버(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도 2a와 같이 레버(8)가 코일스프링(4)의 자유단을 풀림방향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통(2)에 코일스프링(4)의 구속력이 작용하지 않아 암레스트 본체(1)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쉽게 접혀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암레스트 회전장치는 별도 구성의 레버(8)에 의해서코일스프링(4)을 풀림방향쪽으로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시킴으로써 암레스트 본체(1)를 로킹(locking) 또는 로킹을 해제시키는 것인 바, 부품수가 많아 조립공수가 증가할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 상당히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암레스트 본체(1)를 불(不)사용상태에서 위치 고정시키는 별다른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도 2d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암레스트 본체(1)가 시계방향으로 거의 1회전 가까이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자칫 탑승자의 안전이나 안락한 승차에 지장을 줄 우려도 상존하였다. 뿐만 아니라 코일스프링(4)의 각 감김부가 상호 접하도록 세팅된 채 단순히 그 감김방향에 의한 조임력의 조절에 의해서만 암레스트 본체(1)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시키게 되는데, 불사용위치에 있어서 암레스트는 코일스프링(4)의 구속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유상태이므로 운행중인 차량의 진동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암레스트가 불필요하게 회전될 우려도 없지 않았다.
한편, 일본국 실공소63-28926호에는 전술한 구성에서 엔드플레이트의 주면에 코일스프링의 자유단이 걸리는 스토퍼벽과 캠면을 각도를 두고 형성하고, 일단부에 코일스프링의 자유단이 끼워져 걸리는 홈부와 엔드플레이트의 캠면에 접촉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의 자유단을 그 홈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선단가이드부를 갖는 요동자를 레버 대신 설치하여 암레스트가 그 격납위치와 로크위치 사이에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암레스트 회전장치 역시 별도 구성의 요동자에 의해 암레스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인 바, 많은 부품수를 갖는 복잡한 구성상의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암레스트 회전장치의 상술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적은 부품수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암레스트의 안정된 회전을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암레스트를 그 사용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만 작동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 회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행중인 차량의 진동이나 흔들림으로 인하여 해제위치에 있던 암레스트가 뜻하지 않게 회전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암레스트 회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암레스트 회전장치의 일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보인 결합상태 발췌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 회전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발췌 정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발췌 측면도,
도 7은 도 6의 Ⅶ을 따라 취한 평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 회전장치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인 발췌 측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암레스트 본체 20: 회전통
21: (회전통의) 슬릿 23: (회전통의) 걸림돌기
30: 고정축 32: (고정축의) 스토퍼
33: (고정축의) 결합구멍 34: 지지로드
40: 가이드링 41: (가이드링의) 접촉면
42: (가이드링의) 단차부 43: (가이드링의) 경사면
44: (가이드링의) 해제돌기 50: 코일스프링
52: (코일스프링의) 고정단 53: (코일스프링의) 자유단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 회전장치는, 암레스트 본체에 고정되고, 일단의 둘레에 형성된 슬릿(slit)과 그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돌기를 가지는 회전통; 일단부가 회전통을 관통하여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며, 타단부에 걸림돌기가 접촉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갖는 고정축; 이 고정축의 일단부 외주에 시트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결합 고정되며, 회전통의 타단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일부에 회전통과 이격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이 단차부의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타측에 해제단턱을를 갖는 가이드링(guide ring); 및 회전통과 고정축 사이에 결합되며, 일단은 회전통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통의 슬릿 또는 가이드링의 단차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코일스프링의 각 감김부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의 자유높이가 회전통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별도의 코일스프링 제어수단 없이도 암레스트를 안정되게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레스트를 그 사용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만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암레스트의 부품수 절감 및 그에 따른 제작성 증대는 물론 암레스트 회전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레스트 회전장치는 암레스트 본체(10)의 일단에 고정되는 회전통(20)과, 이 회전통(20)을 관통하여 시트 프레임(F)에 고정되는 고정축(30)과, 이 고정축(30)의 일단부 외주에 고정되는 가이드링(40) 및 회전통(20)의 내주면과 고정축(30)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어 필요에 따라 고정축(30)을 위치 고정시키는 코일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회전통(20)은 둘레의 일부에 그 축방향으로 슬릿(21)이 형성된 대략 C자형 단면을 가지는데, 이러한 슬릿(21)은 코일스프링(50)의 자유단(53)이 삽입되어 위치 고정될 수만 있으면 되므로 적정길이의 홈형태로 구성되어도 좋다. 회전통(20)의 외단에는 코일스프링(50)의 일단이 끼워져 걸리는 하나의 고정구멍(22)이 슬릿(21)과 적정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 고정구멍(22)은 회전통(20)의 주면을 관통하도록 단독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통(20)의 외단에 홈을 형성한 뒤 후술하는 고정축(30)의 스토퍼(32)에 걸려 암레스트 본체(10)의 회전범위를 한정하는 걸림돌기(23)가 홈의 개구부를 막도록 함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통(20)의 외단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의 한쪽으로 걸림돌기(23)를 형성하여 코일스프링(50)의 고정단(52)이 홈과 걸림돌기(23)의 단턱부에 의해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23)는 회전통(20)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구성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축(30)은 회전통(20)의 외단에 접촉하는 플랜지(31)를 외측 단부에 가지며, 이 플랜지(31)의 주면 일부에 회전통(20)의 걸림돌기(23)와 접촉하여 암레스트 본체(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3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축(30)은 그 내단이 시트 프레임(F)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으나, 회전통(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시트 프레임(F)과의 간격유지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 구성의 지지로드(34)에 의해 시트 프레임(F)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트 프레임(F)에 나사구멍(35)을 갖는 육각형의 지지로드(34)를 용접 등으로 고정하고, 고정축(30)의 중앙에 육각형의 결합구멍(33)을 그 내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적정깊이만큼 형성하여 고정축(30)의 내단이 시트 프레임(F)과 이격되도록 지지로드(34)에 결합한 뒤, 그 외단측으로부터 지지로드(34)의 나사구멍(35)에 볼트(36)를 체결함으로써 고정축(30)을 시트 프레임(F)에 고정하는 것이다.
가이드링(40)은 고정축(30)을 회전통(20)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고정축(30)의 돌출된 내측 단부 외주에 결합된 뒤 용접에 의해서 고정축(30)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링(40)의 외단이 회전통(20)의 내단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 접촉면(41)의 일부에는 회전통(20)의 내단과 이격되도록 단차부(42)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차부(42)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코일스프링(50)의 자유단(53)을 회전통(20)의 슬릿(21)에 삽입시키는 경사면(43)이 형성되고, 단차부(42)의 타측에는 회전통(20)의 슬릿(21)에 삽입되어 있는 코일스프링(50)의 자유단(53)을 외부로 이탈시키는 역할을 하는 해제돌기(44)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해제돌기(44)는 접촉면(4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며, 코일스프링(50)의 자유단(53)과 접촉되는 한쪽의 접촉면(45)이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해제돌기(44)는 단차부(42)의 타측에 단턱을 형성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코일스프링(50)은 양 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어 회전통(20)의 고정구멍(22)에 끼워지는 고정단(52)과, 회전통(20)의 슬릿(21) 또는 가이드링(40)의 단차부(42)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자유단(53)을 구비한다. 코일스프링(50)의 각 감김부(51)들 사이에는 미세한 간격(54)이 형성되어 그 자유높이가 회전통(20)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50)은 자유 상태에서 암레스트 본체(10), 즉 그것이 고정된 회전통(20)이 고정축(30)에 대해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축(30)의 외주를 강하게 조여줄 수 있어야 하므로 그 내경이 고정축(30)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 회전장치의 작동을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암레스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로서, 암레스트 본체(10)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등받이(도시하지 않음) 등에 격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도 4의 A위치에 해당함). 이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50)의 자유단(53)이회전통(20)의 슬릿(21)에 삽입되어 가이드링(40)의 접촉면(41)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50)의 자유단(53)이 회전통(20)의 슬릿(21)에 의해 풀림방향 쪽으로 탄성변형된 상태로 구속되어 있게 되므로 회전통(20)은 고정축(3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한편, 이때 코일스프링(50)은 풀린상태에서 각 감김부(51)들이 압축되어 서로 밀착된 상태이므로 코일스프링(50)이 가이드링(40)의 접촉면(41)과 고정축(30)의 플랜지(31)를 탄성적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회전통(20)이 고정축(3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서도 운행중의 진동이나 흔들림으로 인하여 격납되어 있던 암레스트가 뜻하지 않게 회전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암레스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의 C위치까지 암레스트 본체(1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통(20)의 슬릿(21)이 가이드링(40)의 해제돌기(44) 쪽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코일스프링(50)은 그 자유단(53)이 회전통(20)의 슬릿(21)에 의해 풀림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감김방향 쪽으로 복원탄성이 작용하게 되므로 자유단(53)이 회전통(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회전통(20)과 함께 회전되어 가이드링(40)의 해제돌기(44)에 접촉하게 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레스트 본체(10)를 조금 더 회전시키면 해제돌기(44)의 경사진 접촉면(45)에 의해 코일스프링(50)의 자유단(53)이 회전통(20)의 슬릿(21)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코일스프링(50)의 압축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면 코일스프링(50)은 어떤 구속력도 작용하지 않는 자유 상태가 되는 바, 그 자유단(53)이 자체의 복원탄성에 의해 감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고정축(30)의 외주를 강하게 조여주게 된다. 따라서 회전통(20)이 고정축(30)과 코일스프링(50)에 의해 일체적으로 위치 고정되게 됨으로써 암레스트가 소요의 위치에 세팅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4의 B위치 방향으로는 암레스트 본체(10)의 회전이 가능하지만, C위치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다. 즉, C위치에서는 코일스프링(50)이 자유 상태이므로 B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코일스프링(50)과 고정축(30)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코일스프링(50)의 풀림방향 쪽으로 작용하므로 회전통(20)이 고정축(30)에 대해 뻑뻑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지만, C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코일스프링(50)과 고정축(30)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코일스프링(50)의 감김방향 쪽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회전통(20)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링(40)의 단차부(42)에 대응하는 구간, 즉 B위치와 C위치 사이에서는 암레스트의 위치를 B위치 방향으로 임의의 위치에 세팅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C위치 상태에서 암레스트를 격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암레스트 본체(10)를 A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50)이 회전통(20)과 함께 회전되어 그 자유단(53)이 가이드링(40)의 경사면(43)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가 도 4의 C위치에 해당한다. 이 상태에서는 암레스트 본체(10)를 A위치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더라도 회전통(20)만 회전하고 코일스프링(50)은 회전되지 않는다. 이는 코일스프링(50)의 자유단(53)이 가이드링(40)의 단차부(42)에 위치되어 그 경사면(43)과 회전통(20)의 내단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이며, 이때 코일스프링(50)은 그 고정단(52)이 회전통(20)에 의해 풀림방향 쪽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풀림방향으로 적절히 탄성변형되게 된다. 이어서 계속된 암레스트 본체(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통(20)의 슬릿(21)이 코일스프링(50)의 자유단(53)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50)의 자유단(53)이 가이드링(40)의 경사면(43)에 의해 각 감김부(51)들을 압축하면서 회전통(20)의 슬릿(21)내로 삽입되어 풀림방향 쪽으로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구속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암레스트 본체(10)를 A위치까지 회전시키게 되면, 도 4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통(20)의 걸림돌기(23)가 고정축(30)의 스토퍼(32)에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별도의 코일스프링 제어수단 없이도 암레스트를 소요의 상태로 안정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고정축에 구비된 스토퍼에 의해 암레스트를 그 사용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만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해제 상태에서도 코일스프링이 고정축을 탄성적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운행중의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해 암레스트가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암레스트의 부품수와 조립공수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암레스트의 동작 정밀성과 신뢰성 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암레스트 본체에 고정되고, 일단의 둘레에 형성된 슬릿과 그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돌기를 가지는 회전통;
    일단부가 상기 회전통을 관통하여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며, 타단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접촉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갖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일단부 외주에 시트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결합 고정되며, 상기 회전통의 타단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일부에 회전통과 이격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이 단차부의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타측에 해제단턱을를 갖는 가이드링; 및
    상기 회전통과 고정축 사이에 결합되며, 일단은 회전통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통의 슬릿 또는 가이드링의 단차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회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통이 대략 C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회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자유단과 접촉하는 상기 가이드링의 해제단턱이 상기 가이드링의 접촉면보다 돌출되고,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회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각 감김부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의 자유높이가 상기 회전통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회전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에 각형의 지지로드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축에 지지로드에 대응하는 각형의 결합구멍이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고정축을 관통하여 지지로드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축이 시트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회전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회전통의 일단에 뚫은 고정구멍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회전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회전통의 일단에 뚫은 홈과 그 개방부를 막아주는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형성된 고정구멍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회전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회전통의 일단에 뚫은 홈과 상기 걸림돌기의 단턱부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회전장치.
KR1019990051559A 1999-11-19 1999-11-19 암레스트 회전장치 KR100350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559A KR100350352B1 (ko) 1999-11-19 1999-11-19 암레스트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559A KR100350352B1 (ko) 1999-11-19 1999-11-19 암레스트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370A KR20010047370A (ko) 2001-06-15
KR100350352B1 true KR100350352B1 (ko) 2002-08-28

Family

ID=1962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559A KR100350352B1 (ko) 1999-11-19 1999-11-19 암레스트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3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6312B2 (en) 2003-11-13 2008-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vel shifter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levels of clock signal and inverted clock signal for driving gate lines of amorphous silicon gate-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1030969B1 (ko) * 2009-03-31 2011-04-28 엘브이시스템주식회사 조합이 용이한 전광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778B1 (ko) * 2001-10-10 2004-10-0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장치
KR100680385B1 (ko) * 2005-10-19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루프레일
KR100731783B1 (ko) * 2006-03-17 2007-06-22 주식회사 코모스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CN108608905A (zh) * 2017-04-28 2018-10-02 湖北樊卫达机械科技有限公司 汽车座椅扶手
KR102230108B1 (ko) * 2019-05-28 2021-03-19 이득우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5338A (ja) * 1983-12-21 1985-07-18 Ikeda Bussan Co Ltd シ−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5489143A (en) * 1993-09-06 1996-02-06 Suncall Corporation Arm rest device
KR960013934U (ko) * 1994-10-10 1996-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구조
KR19980017427U (ko) * 1996-09-23 1998-07-06 양재신 차량의 시트에 구비된 암레스트의 접이식 구조
KR19980064125U (ko) * 1997-04-25 1998-11-25 김영귀 자동차용 시트(seat)의 암 레스트(arm rest)고정구조
KR19990030886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시트용 팔걸이의 틸트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5338A (ja) * 1983-12-21 1985-07-18 Ikeda Bussan Co Ltd シ−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5489143A (en) * 1993-09-06 1996-02-06 Suncall Corporation Arm rest device
KR960013934U (ko) * 1994-10-10 1996-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구조
KR19980017427U (ko) * 1996-09-23 1998-07-06 양재신 차량의 시트에 구비된 암레스트의 접이식 구조
KR19980064125U (ko) * 1997-04-25 1998-11-25 김영귀 자동차용 시트(seat)의 암 레스트(arm rest)고정구조
KR19990030886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시트용 팔걸이의 틸트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6312B2 (en) 2003-11-13 2008-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vel shifter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levels of clock signal and inverted clock signal for driving gate lines of amorphous silicon gate-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1030969B1 (ko) * 2009-03-31 2011-04-28 엘브이시스템주식회사 조합이 용이한 전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370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16787B2 (en) Webbing retractor device
US6253894B1 (en) Two-side adjustment drive mechanism
KR930002991B1 (ko) 시정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외부핸들이 있는 도어로크
JP2004147791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KR20020056823A (ko) 힌지기구로 결합된 자동차 시트
KR100350352B1 (ko) 암레스트 회전장치
JPH10129417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4168810A (en) Novel locking mechanism and reel for retractor
US7198331B2 (en) Armrest height-adjusting device
JP2004074828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1001967A (ja) 二輪車錠
CN103373254B (zh) 锁定装置
JPH09158906A (ja) 軸スライドロック装置
JPH07293064A (ja) シリンダ錠装置のキーシリンダ自動復帰装置
JPH0736851Y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H0790756B2 (ja) 足踏み式駐車ブレーキ
JP3709232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658801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H101026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627883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H11144829A (ja) ケーブルリールのストッパー構造
US5251933A (en) Seat belt retractor
JP422123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S6315520Y2 (ko)
JPH04422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