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680B1 -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680B1
KR100349680B1 KR1020000051330A KR20000051330A KR100349680B1 KR 100349680 B1 KR100349680 B1 KR 100349680B1 KR 1020000051330 A KR1020000051330 A KR 1020000051330A KR 20000051330 A KR20000051330 A KR 20000051330A KR 100349680 B1 KR100349680 B1 KR 100349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film
via hole
trench
dual damasc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816A (ko
Inventor
이영모
박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00051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680B1/ko
Priority to JP2001084153A priority patent/JP4532768B2/ja
Priority to US09/934,499 priority patent/US6764944B2/en
Priority to TW090122227A priority patent/TW544850B/zh
Publication of KR20020017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01L21/0276Photolithographic processes using an anti-reflective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7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 H01L21/7680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involving intermediate temporary filling with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다마신 배선 형성시, 비아홀에 매립되는 반사방지막의 매립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공정이 완료된 반도체기판상에 다층구조의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상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비아홀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아홀패턴을 이용하여 하부의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아홀을 포함한 전면에 두 번에 걸쳐 낮은 점도의 반사방지막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반사방지막상에 트렌치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반사방지막 및 절연막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DUAL DAMASCENE INTERCONNECTION}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얼다마신(Dual damascene) 공정에서 트렌치 포토공정(Trench photo)시 유기반사방지막(Organic Bottom Anti-Reflective Coating; BARC)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마신(Damascene) 공정은 하부 절연막질을 배선 모양으로 사진 식각(photo-lithography)기술을 이용하여 일정 깊이 식각하여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텅스텐(W) 등의 도전 물질을 채워 넣고 필요한 배선 이외의 도전 물질은 에치백(Etchback)이나 화학적기계적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제거하므로써 처음에 형성한 홈 모양으로 배선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주로 DRAM 등의 비트 라인(bit line) 또는 워드라인(Wordline) 형성에 이용되는데, 언급한 다마신방식을 적용하여 DRAM의 비트 라인을 형성하는 통상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비트 라인 형성을 위한 홈을 하부 절연막질에 형성한 후, 비트 라인을 반도체 기판에 접속시키기 위한 콘택홀을 비트 라인 중간에 사진 식각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이후, 텅스텐,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의 도전 물질을 상기 비트 라인 형성을 위한 홈과 콘택홀을 완전히 채우도록 증착한 후 화학적기계적연마나 에치백 공정을 진행하여 하부 절연막질 상의 필요없는 도전 물질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다마신 방식으로 비트 라인을 형성할 경우, 비트 라인과 비트 라인과 하부의 반도체 기판과의 접속(Interconnection)을 동시에 완성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비트 라인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Step)를 없앨 수 있으므로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에서 금속층은 이중 또는 다중 구조로 형성되며,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배선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금속은 표면 반사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금속층을 패터닝하기 위한 사진공정시 빛의 산란이 발생하여 금속층에 노칭(Notching) 및 씨닝(Thinning) 문제가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는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금속배선의 폭이 감소되기 때문에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층상에 반사 방지막(Anti Reflective Coating)을 형성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마신 공정 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비아 퍼스트(Via first)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공정이 완료된 반도체기판(11)상에 식각정지막(Etch stop layer)으로서 제 1 SiN막(12)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SiN막(12)상에 메탈레벨의 산화막으로서 제 1 SiO2막(13)를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 1 SiO2막(13)상에 식각정지막으로서 제 2 SiN막(14)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SiN막(14)상에 콘택레벨의 절연막으로서 제 2 SiO2막(15)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 2 SiO2막(15)상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비아홀패턴(16)으로 패터닝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아홀패턴(16)을 이용하여 하부의 제 2 SiO2막(15), 제 2 SiN막(14), 제 1 SiO2막(13)을 동시에 식각하여 비아홀(17)을 형성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아홀(17)을 포함한 전면에 후속 트렌치식각시 하부의 비아홀(17)에 의한 난반사로 패턴 프로파일(Pattern profile)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반사방지막(18)을 도포한다. 이 때, 상기 유기반사방지막(18)은 900Å/3000rpm의 높은 점도를 가지며 1000Å∼1400Å의 두께로 비아홀 (17)의 바닥까지 도포된다. 그러나, 비아홀(18)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면, 유기반사방지막(18)이 잘 채워지지 않는다(A).
또한, 상기 유기반사방지막(18)은 스피너(Spinner)를 이용하여 노광장치 중 하나인 트랙(Track)에서 도포한다.
이어 상기 유기반사방지막(18)상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으로 패터닝하여 하부의 비아홀(17)을 포함한 유기반사방지막(18)을 소정 폭만큼 노출시키는 트렌치패턴(19)을 형성한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렌치패턴(19)을 이용하여 하부에 노출된 유기반사방지막(18) 및 제 2 SiO2막(15)을 식각하므로써 비아홀(17)을 포함하는 2단 형상의 트렌치(20)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트렌치(20) 형성시, 상기 유기반사방지막(18)은 비아홀의 난반사 뿐만아니라 비아홀의 손실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속 공정으로서 상기 트렌치(20)에 도전층을 형성한 후, 에치백이나 화학적기계적연마를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에 매립되는 소정 도전층패턴, 예컨대 비트라인, 금속배선, 워드라인 또는 게이트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비아(Via)를 형성한다.
상술한 것처럼, 상층배선이 형성되는 트렌치와 이 상층배선을 하층배선 또는 기판에 접속하는 비아홀 또는 콘택홀(이하, 모두 집합적으로 '비아홀'이라 함)을 절연층에 형성한 후, 금속막을 상기 트렌치에 동시에 매립하여 배선과 비아를 동시에 형성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노광공정 기술의 향상 및 칩 크기의 축소 등의 이유로 비아홀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높은 점도의 유기반사방지막을 이용할 경우, 트렌치 사진식각시 하부의 비아홀에 유기반사방지막이 잘 채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도 2 참조)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다마신공정에서 비아홀에 의한 난반사를 방지하고 후속 트렌치식각에 의한 비아홀을 보호하는 유기반사방지막을 도포할 때, 유기반사방지막이 충분히 채워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기술에 따른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사방지막의 도포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막의 도포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반도체기판 32 : 제 1 SiN
33 : 제 1 SiO234 : 제 2 SiN
35 : 제 2 SiO236 : 비아홀패턴
37 : 비아홀 38a, 38b : 유기반사방지막
39 : 트렌치패턴 40 : 트렌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은 반도체소자의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소정공정이 완료된 반도체기판상에 다층구조의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상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비아홀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아홀패턴을 이용하여 하부의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아홀을 포함한 전면에 두 번에 걸쳐 낮은 점도의 반사방지막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반사방지막상에 트렌치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반사방지막 및 절연막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마신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비아 퍼스트(Via first)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공정이 완료된 반도체기판(31)상에 식각정지막(Etch stop layer)으로서 제 1 SiN막(32)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SiN막(32)상에 메탈레벨의 산화막으로서 제 1 SiO2막(33)를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 1 SiO2막(33)상에 식각정지막으로서 제 2 SiN막(34)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SiN막(34)상에 콘택레벨의 절연막으로서 제 2 SiO2막(35)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 2 SiO2막(35)상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비아홀패턴(36)으로 패터닝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아홀패턴(36)을 이용하여 하부의 제 2 SiO2막(35), 제 2 SiN막(34), 제 1 SiO2막(33)을 동시에 식각하여 비아홀(37)을 형성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아홀(37)을 포함한 전면에 후속 트렌치식각시 하부의 비아홀(37)에 의한 난반사로 패턴 프로파일(Pattern profile)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반사방지막(38a, 38b)을 두 번에 걸쳐 도포하되, 450Å/3000rpm의 낮은 점도를 갖고 500Å∼700Å의 두께로 비아홀(37)의 바닥까지 도포한다. 계속하여 상기 450Å/3000rpm의 낮은 점도를 갖는 유기반사방지막(38b)을 500Å∼700Å의 두께로 도포하여 원하는 타겟 두께의 유기반사방지막을 도포한다.
상기한 유기반사방지막(38a,38b)을 도포하는 방법은, 반도체기판(31)을 냉각시킨후, 제 1 단계의 조건으로 유기반사방지막을 스핀도포 및 베이킹하고, 다시 반도체기판(31)을 냉각시킨다. 이어서 제 2 단계의 조건으로 유기반사방지막을 스핀도포 및 베이킹한 후, 상기 반도체기판(31)을 냉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낮은 점도의 유기반사방지막(38a, 38b)을 스핀도포법으로 두 번에 걸쳐 도포하므로써 원하는 두께의 타겟으로 비아홀에 충분히 채워지는 유기반사방지막(38a, 38b)을 형성한다. 한편, 유기반사방지막의 점도가 높을 경우에는 두 번에 걸쳐 도포하는 공정이 불가능하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반사방지막(38a, 38b)상에 감광막을 스핀도포 및 베이킹한 후, 반도체기판을 냉각시키고 후속 공정인 노광(Exposure) 및현상(Developing) 공정을 실시하여 하부의 비아홀(37)을 포함한 유기반사방지막 (38a, 38b)을 소정 폭만큼 노출시키는 트렌치패턴(39)을 형성한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렌치패턴(39)을 이용하여 하부에 노출된 유기반사방지막(38a, 38b) 및 제 2 SiO2막(35)을 식각하므로써 비아홀(37)을 포함하는 2단 형상의 트렌치(40)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트렌치(40) 형성시, 상기 유기반사방지막(38a, 38b)은 비아홀(37)의 난반사를 방지하고, 상기 유기반사방지막 (38a, 38b)은 실리콘산화막(SiO2)보다 식각속도가 낮기 때문에 비아홀(37)의 바닥에 소정 두께의 유기반사방지막이 잔류하므로 비아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속 공정으로서 상기 트렌치(20)에 도전층을 형성한 후, 에치백이나 화학적기계적연마를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에 매립되는 소정 도전층패턴, 예컨대 비트라인, 금속배선, 워드라인 또는 게이트전극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은 다마신공정의 트렌치식각시 낮은 점도의 유기반사방지막을 두 번에 걸쳐 도포하므로써 원하는 두께타겟을 확보할 수 있고,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하여 비아홀의 크기가 미세화되어도 트렌치식각시 비아홀에 의한 난반사 및 비아홀을 보호하는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반도체소자의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소정공정이 완료된 반도체기판상에 다층구조의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상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비아홀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아홀패턴을 이용하여 하부의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아홀을 포함한 전면에 두 번에 걸쳐 저점도의 반사방지막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반사방지막상에 트렌치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반사방지막 및 절연막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구조의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최상층에 SiO2막이 형성되도록 SiN, SiO2를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아홀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절연막 중 최하층의 SiN막이 잔류하도록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450Å/3000rpm의 점도를 갖는 반사방지막을 500Å∼700Å의 두께로 두 번에 걸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방지막상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상기 트렌치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은 유기반사방지막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
KR1020000051330A 2000-08-31 2000-08-31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 KR100349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330A KR100349680B1 (ko) 2000-08-31 2000-08-31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
JP2001084153A JP4532768B2 (ja) 2000-08-31 2001-03-23 デュアルダマシン配線の形成方法
US09/934,499 US6764944B2 (en) 2000-08-31 2001-08-22 Method for forming metal wire interconnection in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ual damascene process
TW090122227A TW544850B (en) 2000-08-31 2001-09-07 A method for forming a metal wire using a damascene process and the semiconductor device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330A KR100349680B1 (ko) 2000-08-31 2000-08-31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816A KR20020017816A (ko) 2002-03-07
KR100349680B1 true KR100349680B1 (ko) 2002-08-24

Family

ID=1968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330A KR100349680B1 (ko) 2000-08-31 2000-08-31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64944B2 (ko)
JP (1) JP4532768B2 (ko)
KR (1) KR100349680B1 (ko)
TW (1) TW5448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812B1 (ko) * 2000-12-30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7287A (ja) * 2001-01-17 2002-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309172A (ja) 2002-04-17 2003-10-31 Nec Electronics Corp デュアルダマシンプロセスにおけるパターン形成方法
KR20040009751A (ko) * 2002-07-25 2004-01-31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패턴 형성방법
US7238462B2 (en) 2002-11-27 2007-07-03 Tokyo Ohka Kogyo Co., Ltd. Undercoating material for wiring, embedded material, and wiring formation method
CN1293603C (zh) * 2003-07-25 2007-01-03 旺宏电子股份有限公司 半导体图案化光致抗蚀剂层的重作工艺
KR100518895B1 (ko) * 2003-11-13 2005-09-3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US7816071B2 (en) * 2005-02-10 2010-10-19 Az Electronic Materials Usa Corp. Process of imaging a photoresist with multiple antireflective coatings
KR100974868B1 (ko) * 2008-01-10 2010-08-11 김창경 개선된 여재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부재
US8105947B2 (en) * 2008-11-07 2012-01-3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ost etch dielectric film re-capping layer
CN102097361B (zh) * 2009-12-15 2013-09-11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双镶嵌结构的形成方法
CN106811752B (zh) * 2015-12-02 2019-10-25 中微半导体设备(上海)股份有限公司 形成双大马士革结构的方法、等离子体刻蚀方法
CN112289191A (zh) * 2020-10-29 2021-01-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显示屏的制作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5630A (ja) * 1986-09-05 1988-03-24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0150644A (ja) * 1998-11-10 2000-05-3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3953237B2 (ja) * 1998-12-02 2007-08-08 株式会社アルバック 金属薄膜の形成方法、および金属微粒子分散液の作製方法
JP2000208620A (ja) * 1999-01-11 2000-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1257261A (ja) * 2000-03-09 2001-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1332621A (ja) * 2000-03-13 2001-11-30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323121B1 (en) * 2000-05-12 2001-11-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Fully dry post-via-etch cleaning method for a damascene proc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812B1 (ko) * 2000-12-30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64944B2 (en) 2004-07-20
JP4532768B2 (ja) 2010-08-25
KR20020017816A (ko) 2002-03-07
US20020058370A1 (en) 2002-05-16
TW544850B (en) 2003-08-01
JP2002093904A (ja)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9821B1 (en) Dual damascene approach for small geometry dimension
KR100583957B1 (ko) 희생금속산화막을 채택하여 이중다마신 금속배선을형성하는 방법
KR100349680B1 (ko)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 방법
JPH08191047A (ja) 絶縁体層の金属フィーチャを作成する方法
EP1429382A2 (en) Via formation for damascene metal conductors in an integrated circuit
US6180514B1 (en) Method for forming interconnect using dual damascene
US20030044726A1 (en) Method for reducing light reflectance in a photolithographic process
KR100471409B1 (ko)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US5872060A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0230733B1 (ko) 반도체 소자의 다층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20030038521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70034294A (ko)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비아홀 형성방법
KR100393966B1 (ko) 반도체 소자의 이중 다마신 형성방법
KR20050071041A (ko)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 방법
KR100393970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
KR100257076B1 (ko) 반도체소자의평탄보호막형성방법
KR100421278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518084B1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 다마신 패턴 형성 방법
KR100881082B1 (ko)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배선 형성 방법
KR100356482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596874B1 (ko)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US20050142860A1 (en) Method for fabricating metal wirings of semiconductor device
KR20010003687A (ko) 반도체소자에서의 개선된 듀얼 대머신 공정
KR100285699B1 (ko) 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KR20030002623A (ko)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