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420B1 - 로킹와셔및이를이용한로킹장치 - Google Patents

로킹와셔및이를이용한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420B1
KR100348420B1 KR1019980022499A KR19980022499A KR100348420B1 KR 100348420 B1 KR100348420 B1 KR 100348420B1 KR 1019980022499 A KR1019980022499 A KR 1019980022499A KR 19980022499 A KR19980022499 A KR 19980022499A KR 100348420 B1 KR100348420 B1 KR 100348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plate
inner ring
locking
hole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426A (ko
Inventor
토시유키 카토
Original Assignee
티. 카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891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9342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573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94438A/ja
Application filed by 티. 카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 카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6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with conical locking parts, which may be split, including use of separate rings co-operating therewit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52Details of nailing, screwing, or bol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1/00Expanded, threaded, driven, headed, tool-deformed, or locked-threaded fastener
    • Y10S411/924Coupled nut and bolt
    • Y10S411/929Thread lock
    • Y10S411/935Cam or cone grip

Abstract

본 발명의 로킹장치는 구조물 요소간을 조여서 고정하는 고정구의 볼트를 삽통시켜 테이퍼 모양 외형형상을 갖는 인너링과, 인너링을 수용하는 테이퍼 구멍이 형성된 아우터 플레이트와, 인너링을 아우터 플레이트에 가압하는 코일스프링과 코일스프링의 외부방향 끝단에서 볼트에 나사 겹합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구조물에 외력이 가해져 아우터 플레이트가 구조물요소와 함께 너트 쪽으로 변위하여 아우터 플레이트에서 인너링에 볼트 축선방향으로 너트쪽으로 작용하는 힘이 가해지면 이 작용력의 볼트 반경방향 분력에 의해 인너링의 직경이 감소하여 볼트를 조이고, 아우터 플레이트 및 구조물요소의 추가적인 변위를 방지한다.

Description

로킹와셔 및 이를 이용한 로킹장치
본 발명은 고정구에 의한 구조물요소의 고정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킹와셔(locking washer) 및 이를 이용한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에서 구조물요소는 고정구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목조건축에서는 기둥과 대들보를 스트랩 볼트(strap bolt)등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즉, 대들보에 스트랩 볼트의 기판을 고정하고 기둥에 형성한 구멍에 볼트부를 통과시키고, 볼트부에 장착했던 너트를 고정하여 기둥과 대들보를 고정한다.
목조건축물은 충분히 건조한 목재를 사용하여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이 경우 건축비용이 높아져 실용적이지 못하다. 반면에, 건조가 부족한 목재를 사용한 목조건축물의 경우는 건축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무가 약화된다. 예를 들면, 기둥이 가늘어져 볼트와 너트에 의한 기둥과 대들보의 조임상태가 풀리게된다. 이 결과 지진이나 차량통행등과 같은 외부진동에 의해 기둥이 진동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교량, 철도레일, 차량을 싣고 옮기는곳 등 강성이 큰 구조물 요소를 고정구에 의해 고정한 구조물에서도 발생한다. 즉, 장기간에 걸쳐 빈번하게 진동하중이 구조물에 가해지면 구정구에 의한 구조물 요소끼리의 고정상태가 느슨하게 되어 구조물이 진동하기 쉽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구에 의한 구조물 요소간 고정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킹와셔 및 이를 이용한 로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태양에 의한 로킹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로킹와셔 내부링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태양에 의한 로킹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태양에 의한 로킹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태양에 의한 로킹 와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태양에 의한 로킹와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인너링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인너링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태양에 의한 로킹와셔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태양에 의한 로킹와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실시태양에 의한 로킹와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9실시태양에 의한 로킹와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로킹와셔의 일부 절결 저면도,
도 14는 도 12 및 13에 도시한 로킹와셔로 이루어진 로킹장치,
도 15는 본 발명의 제 9실시태양에 의한 로킹장치의 변형예에서 아우터 플레 이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9실시태양에 의한 로킹장치의 추가의 변형예에서 디스크 스프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선 ⅩⅦ-ⅩⅦ을 따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태양에 의한 로킹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1실시태양에 의한 로킹와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은 도 19의 ⅩⅩ-ⅩⅩ를 따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로킹와셔와 함께 이용되는 볼트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및
도 22는 스트랩볼트에 의해 목재끼리 체결한 종래 고정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의하면 아우터 플레이트(outer plate)와 인너링 (inner ring)을 구비한 로킹와셔가 제공된다. 아우터 플레이트는 구조물의 제 1구조물요소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 1단면과, 상기 제 1구조물 요소에서 떨어져 배치되는 제 2단면을 갖는다. 아우터 플레이트에는 아우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인너링은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에 수용된다. 인너링은 제 1구조물요소에 근접하여 배치된 제 1단면과 제 1구조물 요소에서 떨어져 배치된 제 2단면을 갖는다. 인너링에는 인너링을 관통하여 인너링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공(軸孔)이 형성된다. 이 축공은 제 1구조물 요소에서 와셔를 향하여 연장하는 축부재를 통과시킨다.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 및 인너링의 외형형상은 아우터 플레이트가 상기 축부재를 따라 반대 제 1구조물 요소측으로 변위했을 때 아우터 플레이트에서 인너링에 인너링 반경(半徑)방향 안쪽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인너링은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에 감합한 상태로 인너링 반경방향 안쪽으로 작용하는 힘을 수용하는 경우 축공의 직경이 축부재의 외경까지 감소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로킹와셔가 장착된 제 1구조물 요소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강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제 1구조물 요소가 와셔측으로 변위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와셔의 아우터 플레이트는 제 1구조물 요소에 의해 가압되어 축부재를 따라서 변위한다. 인너링에는 인너링 반경방향 안쪽으로 작용하는 힘이 아우터 플레이트에서 가해지고, 인너링은 가해진 힘에 의하여 직경이 감소하여 축부재를 조이고, 이로인해 인너링과 축부재는 서로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이 결과 아우터 플레이트 및 제 1구조물 요소의 추가적인 변위가 저지된다. 즉, 제 1구조물 요소의 변위가 양호하게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로킹와셔는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다.
본 발명의 로킹와셔는 전형적으로는 구조물의 제 1 및 제 2구조물 요소를 조여서 고정하는 고정구와 함께 이용된다. 로킹와셔는 고정구와 연관시켜서 배치하여도 좋고, 혹은 고정구와 별도로 독립적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로킹장치는 구조물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 제 1구조물 요소의 와셔쪽으로의 변위를 방지하고, 고정구에 의한 제 1 및 제 2구조물 요소의 고정상태가 풀리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구조물에 진동이 가해진 경우 제 1 및 제 2구조물요소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아우터 플레이트에는 제 2단면에서 제 1단면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인너링은 아우터 플레이트의 테이퍼 구멍에 대하여 상보적인 테이퍼 모양 외형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제 1구조물 요소가 와셔쪽으로 변위하여 아우터 플레이트가 축부재를 따라서 반대 제 1구조물 요소측으로 변위하면 인너링높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인너링에 가해진다. 인너링이 테이퍼모양 외형형상을 갖고 아우터 플레이트의 테이퍼 구멍에 배치되기 때문에 인너링에는 이 작용력의 인너링 반경 방향 안쪽으로 작용하는 분력(分力)이 아우터 플레이트에서 가해지고, 인너링은 가해지는 분력에 의해 직경이 감소하여 축부재를 조이고, 아우터 플레이트 및 제 1구조물의 추가적인 변위를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로킹와셔는 축부(軸部)를 갖는 제 1고정 요소를 포함하는 고정구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제 1고정요소의 축부는 인너링의 축공을 삽통하는 상기 축부재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로킹와셔는 고정구와 연관되어, 고정구에 의한 고정상태가 풀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 1고정요소는 제 2구조물 요소에 결합된다. 제 1고정요소의 축부는 제 1구조물요소내로 연장한다. 고정구는 와셔 높이 방향에서 보아 와셔에 관하여 반대 제 1구조물 요소측에서 제 1고정요소의 축부에 결합되는 제 2고정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고정요소는 제 1고정요소와 협동하여 제 1구조물요소를제 2구조물 요소에 조여서 고정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로킹와셔를 사용하는 경우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에 제 1고정요소의 축부를 관통시키고, 아우터 플레이트를 그 제 1단면이 제 1구조물 요소에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다음으로 인너링의 축공에 제 1고정요소의 축부를 관통시키면서 인너링을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에 감합한다. 아울러, 고정구의 제 2고정요소를 제 1고정요소에 결합한다. 아우터 플레이트에 인너링이 감합한 상태는, 예를 들면 이 제 2고정요소에 의해 유지된다.
제 1고정요소의 축부로 와셔를 장착한 후 구조물로의 외력이 가해져 와셔 측으로 변위하는 제 1구조물 요소에 의해 아우터 플레이트가 가압되어 제 1고정요소의 축부를 따라서 변위하면 인너링의 직경이 감소하여 제 1고정요소의 축부를 조이게된다. 이 결과, 제 1고정요소의 축부에 대한 아우터 플레이트 및 제 1구조물 요소의 제 2고정요소측으로의 추가적인 변위가 저지된다. 이 결과 고정구에 의한 제 1 및 제 2구조물 요소의 고정상태가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인너링은 이를 관통하여 인너링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slit)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인너링이 그 반경 방향 안쪽으로 작용하는 힘을 수용했을 경우, 인너링은 슬릿형성에 의해 부여된 갭 간격에 상당하는 분량만큼 용이하게 직경이 감소하여 축부재의 축부를 확실하게 조여 고정하고, 아우터 플레이트 및 제 1구조물 요소의 변위를 확실하게 저지한다. 또한, 인너링은 단일 부재로 구성되어 취급이 용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인너링은 본 인너링의 축공 형성면에 걸림조(係止爪)가 형성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인너링 반경 방향 안쪽으로 작용하는 힘을 수용하여 인너링의 직경이 감소한 경우, 인너링의 걸림조는 축부재의 외주면에 조여들어 인너링과 축부재의 상대 이동이 확실히 저지되고 이로인해 고정상태가 풀리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너링은 본 인너링의 축공(軸孔)형성면에 다열걸림조가 형성된다. 다열걸림조는 인너링 높이 방향으로 연속해 있는 복수의 걸림조로 이루어지고, 이들 걸림조 각각은 인너링의 축공형성면 전체 주위에 걸쳐 연장하고 또한, 인너링 높이 방향 단면에서 보아 인너링의 제 2단면쪽으로 팁(tip)을 갖는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다열 걸림조는 인너링 높이 방향 단면에서 보아 전체로서 톱니상을 나타낸다. 다열 걸림조는 축부재로의 로킹 와셔의 장착을 저해하지 않는다. 인너링의 직경이 감소될 때 다열 걸림조는 축부재의 광범위한 높이방향 영역에서 축부재의 전체 둘레에 걸쳐 축부재의 외주면에 조여든다. 이 결과 고정상태가 풀리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아우터 플레이트는 그 제 2단면측에서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형성면에서 구멍 반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걸림부가 형성된다. 걸림부는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에 배치된 인너링의 제 2단면과 접촉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아우터 플레이트로 인너링을 부착할때, 예를 들면 적절한 공구를 이용하여 인너링에 외력을 가하여 아우터 플레이트의 걸림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인너링의 직경을 감소시켜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으로 인너링을 수용할 수 있다. 그 후 외력을 제거하면 인너링은 통상의 직경으로 돌아오고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에서 일탈하지 않도록 수용된다. 이 결과 인너링과 아우터 플레이트가 외관상 일체로 되어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인너링은 그 제 2단면측에 아우터 플레이트의 걸림부에 관하여 와셔 반경 방향 안쪽으로 위치하는 환상의 플랜지가 형성된다. 플랜지는 와셔 높이 방향에서 보아 아우터 플레이트의 제 2단면에 관하여 인너링의 반대 제 1단면쪽으로 연장한다. 플랜지의 반대 아우터 플레이트쪽의 단면은 인너링의 제 2단면을 구성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아우터 플레이트에 걸림부를 설치한 경우에도, 예를 들면 축부재의 축부에 결합되어 인너링의 플랜지에 접하는 고정요소에 의해 인너링을 축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고, 와셔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로킹와셔는 탄성재로 구성되고 인너링을 아우터 플레이트쪽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付勢)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세부재는 아우터 플레이트에 형성된 오목부(凹)에 수용된다. 오목부는 아우터 플레이트의 제 2단면에 개구하고, 또한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에 연통한다. 부세부재는 아우터 플레이트의 오목부에 배치될 때 인너링의 제 2단면에 압접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인너링을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 형성면에 항상 압접시킬 수 있어 로킹와셔의 로킹기능이 확실하게 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부세부재는 아우터 플레이트의 오목부에서 일탈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아우터 플레이트에 인너링과 부세부재가 조립되어 로킹와셔 사용의 간편함이 향상됨과 아울러 조립성이 매우 향상된다.
혹은, 로킹와셔는 아우터 플레이트의 오목부에 수용된 부세부재를 아우터 플레이트의 제 1단면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아울러 포함한다. 스프링부재는 아우터 플레이트에 일체로 부착되어 아우터 플레이트의 제 2단면에서 반대 제 1단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조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인너링을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형성면에 항상 압접시켜 와셔의 로킹기능이 확실하게 달성되고, 로킹와셔의 구성부품을 일체화하여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로킹와셔의 아우터 플레이트는 그 제 1단면에서 반대 제 2단면측으로 수직으로 돌출하여 제 1구조물 요소에 걸릴 수 있는 걸림요소를 일체로 형성시킨다. 걸림요소가 제 1구조물 요소에 걸리는 경우 아우터 플레이트는 제 1구조물 요소에 고정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아우터 플레이트를 제 1구조물 요소에 고정하여 제 1구조물 요소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 1구조물의 수축폭이 증가한 경우에도 와셔의 양호한 로킹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한 로킹와셔는 통나무집과 같은 목조건축물에 특히 효과적이다.
혹은, 로킹와셔의 아우터 플레이트는 아우터 플레이트 반경방향 바깥쪽에서아우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아우터 플레이트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삽통공이 형성된다. 삽통공은 제 1구조물 요소에 걸릴 수 있는 걸림요소를 관통시킨다. 걸림요소가 제 1구조물요소에 걸린 경우 아우터 플레이트는 제 1구조물 요소에 고정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해서도 아우터 플레이트를 제 1구조물 요소에 고정할 수 있고, 양호한 로킹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의하면 인너링 및 아우터 플레이트를 갖는 상기 로킹와셔와 인너링을 아우터 플레이트에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 로킹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로킹장치는 가압수단에 의해 인너링을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내로 양호하게 유지하고, 앞서 언급한 로킹와셔 경우와 동일한 로킹작용 및 진동방지 작용을 확실하게 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수단은 로킹장치의 높이 방향에서 보아 반대 제 1구조물 요소측에서 축부재에 결합되는 고정요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가압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로킹장치는 축부를 갖는 제 1고정요소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제 1고정요소의 축부는 상기 축부재를 구성한다. 가압수단은 와셔 높이 방향에서 보아 와셔에 관하여 반대 제 1구조물요소측으로 제 1고정요소의 축부에 결합된 고정요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고정구의 제 1고정요소는 볼트로 이루어지고, 가압수단을 구성하는 고정요소는 이 볼트에 나사결합하는 너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가압수단으로서의 고정요소는 로킹와셔와 함께 로킹장치를 구성하고, 제 1고정요소와 협동하여 고정구를 구성한다. 즉, 로킹장치는 고정구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고정구에 의한 조임 고정상태가 풀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가압수단은 로킹장치의 높이 방향에서 보아 반대 제 1구조물 요소측에서 축부재에 결합되는 고정요소와, 본 고정요소와 인너링사이에 배치되어 인너링을 항상 아우터 플레이트측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제 1구조물 요소가 건조가 부족한 목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목재의 건조가 진행하여 얇아진다 하더라도 아우터 플레이트가 인너링을 통하여 가압수단의 탄성부재에 의해 제 1구조물 요소측으로 항상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아우터 플레이트와 제 1구조물요소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 가압수단은 로킹장치의 높이 방향에서 보아 반대 제 1구조물요소 측에서 축부재에 결합된 고정요소와, 본 고정요소와 인너링의 제 2단면 사이에 배치되어 인너링을 항상 아우터 플레이트측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과, 인너링의 제 2단면과 코일스프링 사이에 배치된 주체부를 갖는 스프링 시이트 (spring seat)를 포함한다. 스프링시이트는 주체부에서 아우터 플레이트측으로 연장하는 아우터 플레이트에 바람직하게는 스프링력으로 걸리는 제 1연장부와 주체부에서 가압수단의 고정요소측으로 연장하는 코일스프링을 바람직하게는 스프링력으로 유지하는 제 2연장부를 갖는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스프링시트에 의해 아우터 플레이트와인너링과 코일스프링이 일체화되어 로킹장치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로킹장치는 제 1구조물요소에 걸릴 수 있는 걸림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걸림요소가 제 1구조물 요소에 걸린 경우 아우터 플레이트는 제 1구조물 요소에 고정된다.
걸림요소는 로킹장치의 아우터 플레이트와 별개로 구성된다. 아우터 플레이트는 구멍에 대하여 아우터 플레이트 반경방향 바깥에서 아우터 플레이트를 삽통하여 아우터 플레이트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삽통공을 형성시킨다. 삽통공은 제 1구조물 요소에 걸릴 수 있는 걸림요소를 관통시킨다.
혹은, 걸림요소는 로킹장치의 아우터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걸림요소는 아우터 플레이트의 제 1단면에서 반대 제 2단면측으로 수직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아우터 플레이트를 제 1구조물 요소에 고정하여 제 1구조물 요소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게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 1구조물의 수축폭이 증가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로킹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들 장치는 통나무집과 같은 목조건축물에 특히 효과적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로킹와셔 및 로킹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로킹장치(10)는 도 22에 도시한 고정구에 부설되고, 고정구에 의한 목조건축물 요소의 고정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22중 참조 부호 (1) 및 (2)는 목조 건축물의 기둥 및 대들보를 각각 나타내고, (3)은 스트랩 볼트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4),(5),(6) 및 (7)은 스트랩 볼트(3)의 기판, 볼트, 와셔 및 너트를 각각 나타내고 부호(1a)는 기둥(1)에 형성되어 볼트(5)가 통과하는 구멍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로킹장치(10)는 스트랩 볼트의 볼트부(5)(보다 일반적으로는 고정구의 제 1고정요소)와 협동하여 목조건축물의 기둥과 대들보, 보다 일반적으로는 구조물의 2개의 구조물요소를 조여서 고정하면서 고정상태가 풀리는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단, 로킹장치(10)를 스트랩 볼트 등의 고정구와 직접적으로 관련하여 배치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고정구와 별도 독립적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볼트부(5) 대신에 볼트부(5)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인 축부재(도시 생략)를 기둥(1)에 설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로킹장치(10)는 너트(7)에 의해 볼트(5)에 장착되는 로킹와셔(11)를 갖는다. 여기서, 너트(7)는 와셔(11)와 함께 로킹장치(10)을 구성하는 한편, 볼트(5)와 함께 고정구를 구성하고 있다. 와셔(11)는 철 등의 금속부재로 각각 구성되는 아우터 플레이트(15)와 인너링(16)으로 구성된다.
아우터 플레이트(15)는 그 중심에 테이퍼 구멍(15a)이 형성되어,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형상을 이룬다. 테이퍼 구멍(15a)의 직경은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하단면(15b)에서 상단면(15c)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인너링(1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면(16b)이 테이퍼면으로 되어 전체로서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테이퍼 구멍(15a)에 대하여 상보적인 테이퍼 모양 외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인너링(16)의 둘레벽은 그 하단면 (16c)에서 상단면(16d)까지 관통하는 슬릿(16e)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인너링(16)은 테이퍼 구멍(15a)에 감합하는 원추형 콘형상의 C-링으로 형성되고, 또한 인너링 높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받아 인너링 반경 방향 안쪽으로 작용하는 분력이 가해진 경우, 슬릿(16e)에 대응하는 갭 간격에 상당하는 분량까지 직경이 감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너링(16)은 볼트구멍(16a)을 형성하고, 그 볼트구멍 형성면에는 인너링 높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있는 서로 별개 독립적으로 복수의 환상 걸림조(16f)로 이루어진 다열 걸림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조(16f)는 인너링 높이방향 단면(도 1)에서 보아 볼트구멍 형성면에서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향한 블레이드 팁(blade tip)을 각각 갖고, 다열 걸림조 전체로서 톱니상 단면을 이루고 있다. 볼트구멍 (16a)은 걸림조(16f)의 블레이드 팁의 내경이 볼트(5)의 외경과 대략 같은 정도로 되어 있다.
볼트(5)로 와셔(11)의 부착시 인너링(16)을 볼트(5)의 선단에서 기둥(1)측으로 이동할 때 걸림조(16f)는 볼트(50)의 표면에 조여들지 않게되어 볼트(5)로 인너링(16)의 부착은 원할하게 행해진다.
한편, 인너링(16)에 도 1중 아랫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가해져 확실하게 인너링(16)의 직경이 감소하면서 아래 방햐으로 이동하도록 할 때에는 각 걸림조 (16f)가 볼트(5)의 축부(5a) 또는 나사부(5b)의 표면에 바로 조여들어 인너링(16)의 아랫방향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림조(16f)의 피치(pitch)는 가느다란 부분이 볼트(5)에 조여들 수 있고, 걸림력이 증대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다열 걸림조를 서로 별개 독립의 복수 환상 걸림조(16f)로 구성하는대신에 나선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볼트(5)의 나사부(5b)(오른쪽 나사)와 역 나선(왼쪽 나사)으로 한다. 이로인해 인너링(16)의 나선상 걸림조(16f)가 볼트(5)의 나사부(5b)에 마주보도록 인너링(16) 및 볼트(5)가 배치될 때에 나선상 걸림조(16f)를 나사부(5b)의 나사산과 교차시켜 충분한 걸림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조를 나선상으로 형성하면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15) 및 인너링(16)은 높이(판 두께)가, 예를 들면 5mm 정도로 되어 있다. 인너링(16)은 그 높이가 아우터 플레이트(15)의 높이보다도 값 h( 예를 들면 1mm 정도)만큼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높이차 h는 대상으로 하는 구조물 요소의 강도에 의해 적절한 치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목재등과 같이 약한 부재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1mm 정도로 하고, 금속부재와 같이 단단한 부재인 경우에는 0.1∼0.5mm 정도면 충분하다. 또한, 인너링(16)은 용이하게 직경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주벽의 두께가 얇게되어 있다.
또한,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테이퍼구멍(15a)의 테이퍼 각은 아우터 플레이트가 그 변위시에 인너링에 충분한 반경 방향으로 분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힘을 인가할 수 있으면 작은쪽이 인너링(16)을 얇게 형성하는 것 이상으로 바람직하다. 또한, 인너링(16)의 걸림조(16f)의 테이퍼각도 조임능력을 고려하면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
스프링시트(12)는 철 등의 금속부재로 구성되고, 그 중앙부에 볼트(5)의 외경보다도 큰 직경의 축공(12a)이 형성되어 링상으로 되어 있다. 스프링 시트(12)는 상부(12b) 및 상부와 일체인 플랜지부(12c)를 갖는다. 스프링시트의 상부 (12b)는그 외경이 인너링(16)의 하단면(16c)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고, 높이(H)가 아우터 플레이트(15)와 인너링(16)의 판두께 차(h)보다도 약간 크게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3)은 인너링(16)을 아우터 플레이트(15)에 압축 감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볼트(5)주위에 스프링시트(12)의 플랜지부(12c)와 너트(7)측의 스프링시트(8)사이에 배치된다. 코일스프링(13)은 볼트(5)에 나사식으로 부착한 너트(7)를 조여줌으로서 축설되어 인너링(16)을 가압하는 스프링력을 발생한다.
이하,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로킹장치(10)의 볼트(5)로의 장착 및 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스트랩볼트 및 로킹장치(10)를 이용하여 목조 건축물의 기둥과 대들보를 고정하는 경우, 스트랩볼트의 기판(도 22의 요소 4에 해당)을 대들보(도 22요소 2에 해당)에 고정하여 둔다. 다음으로 기둥(1)의 구멍(1a)을 통하여 연장하는 볼트(스트랩볼트의 볼트부)(5)에 아우터 플레이트(15)의 구멍(15a)을 꼭 맞게하여 아우터 플레이트(15)를 그 상단면(15c)이 기둥(1)의 측면(1b)에 접촉할 때까지 볼트(5)를 따라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인너링(16)의 볼트구멍(16a)에 볼트(5)를 관통시킨 상태로 인너링(16)을 볼트(5)를 따라서 아우터 플레이트(15)측으로 이동시켜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테이퍼 구멍(15a)에 끼워 맞춘다. 이 때 볼트(5)의 외주면은 볼트 구멍(16a)의 각 걸림조(16f)에 가볍게 접촉하거나 비접촉 상태로 있다. 다음으로 볼트(5)에 스프링 시트(12), 스프링(13) 및 스프링시트(8)를 순서대로 부착한 후 볼트에 나사결합시킨 너트(7)를 강고하게 조여 대들보와 기둥(1)을 조여서 고정한다.
코일 스프링(13)은 너트(7)의 조임과 아울러 압축되어 스프링 시트(12)를 통하여 인너링(16)을 가압하고 인너링(16)이 아우터 플레이트(15)를 가압하여 아우터 플레이트(15)의 상단면(15c)을 기둥(1)의 측면(1b)에 압접시킨다. 이 상태에서 인너링(16)의 상단면(16d)은 아우터 플레이트(15)와 인너링(16)의 높이의 차 h에 해당하는 약간의 간격이 존재하고 기둥(1)의 측면(1b)에 마주보고 있다. 또한, 스프링 시트(12)의 플랜지부(12c)와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하단면(15c)사이에는 대략 스프링 시트(12) 상부(12a)의 높이 H에 상당하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트(5)에 코터핀(cotter pin)을 설치하여 너트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기둥(1)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해져 도 1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1b)이 후퇴하면 인너링(16)이 코일 스프링(13)의 스프링력에 의해 기둥(1)쪽으로 가압된다. 이때 인너링(16)의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향한 팁을 갖는 톱니상 단면의 다열 걸림조(16f)는 인너링(16)이 기둥(1)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해하지 않아, 인너링(16)은 기둥(1)쪽으로 원할하게 이동하고, 아우터 플레이트(15)를 기둥 (1)의 측면(1b)에 확실하게 압접시킨다. 이로인해 기둥(1)이 약해져 가늘어 지는 경우에도 스트랩볼트에 의한 기둥(1)과 대들보의 체결이 풀리는 것이 로킹장치 (10)에 의해 방지되고, 기둥(1)과 대들보의 조임고정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조임상태가 풀려서 발생하는 기둥(1)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진 등의 외부진동에 의해 기둥(1)이 도 1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 아우터 플레이트(15)는 기둥(1)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가압된다. 한편, 인너링(16)은 그 상단면(16d)이 간격 h만큼 기둥(1)의 측면 (1b)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기둥(1)으로 부터의 가압력을 받지않게 되고, 게다가, 코일스프링(13)의 스프링력에 의해 아우터 플레이트(15)에 항상 붙어있다. 이 결과 아우터 플레이트(15)가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된 경우, 그 테이퍼 구멍 (15a)내에 배치된 인너링(16)의 테이퍼상의 외주면(16b)에 대하여 화살표 A방향, 즉, 인너링 높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가한다. 그리고, 이 작용력의 인너링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이 인너링(16)에 가해진다. 슬릿(16e)을 형성시켜 직경이 수축할 수 있는 인너링(16)은 이 분력을 받아서 직경이 수축하게 된다. 이 결과 인너링(16)은 그 걸림조(16f)가 볼트(5) 축부(5a)의 표면으로 조여들어, 볼트 (5)를 따라 화살표 A방향으로의 인너링(16)의 이동이 저지되어 아우터 플레이트 (15)의 화살표 A방향으로의 추가적인 이동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기둥(1)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기둥(1)과 대들보의 조임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코일스프링(13)은 인너링(16)을 아우터 플레이트(15)에 누르는 것만으로 가능하고, 강한 스프링력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스프링(13)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인너링(16)이 볼트(5)의 나사부(5b)에 마주하는 높이 방향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인너링(16)의 걸림조(16f)가 나사부(5b)표면으로 조여든다. 걸림조 (16f)는 환상 또는 왼나사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5)의 나사부(5b)와 맞물리지 않고 나사부(5b)의 표면(산부)에 확실하게 조여들 수 있다. 단, 걸림조(16f)를 축부(5a)에 조여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트(5)는 축부 (5a)와 나사부(5b)의 외경이 동일한 소위 축태(軸太)볼트가 바람직하다. 볼트(5)가축태인 경우, 인너링(16)을 볼트(5)의 축부(5a)에 장착했을 때 걸림조(16f)와 축부(5a)의 표면사이에 간격이 거의 없게되고, 인너링(16)이 아우터 플레이트(15)에 의해 직경이 조금 감소되었을 때 즉시 강고하게 걸림조(16f)를 축부(5a)의 표면에 조여들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프링(13)과 인너링(16)의 하단면(16c)사이에 스프링시이트(12)를 설치하였지만, 스프링(13)의 외경이 인너링(16)의 하단면(16c)의 외경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스프링 시이트(12)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로칭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평판상의 스프링 시이트를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 3에서 도 1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고, 이들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로킹장치의 스프링 시이트(12')는 평판상을 이루고, 그 외경이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테이퍼 구멍(15a)의 하단면 (15b)쪽의 직경보다고 크게되어 있다. 이 스프링 시이트(12')는 코일스프링(13)의 스프링력을 받아, 인너링(16)의 하단면(16c)과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하단면(15b)에 압접되고, 이로인해 인너링(16)을 아우터 플레이트(15)에 가압하고, 아울러 아우터 플레이트(15)를 기둥(1)의 측면(1b)에 압접시킨다.
상기 구성의 로킹장치를 부설한 목조건축물에 외력이 가해져, 기둥(1) 및 아우터 플레이트(15)가 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되면, 제 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인너링(16)은 아우터 플레이트(15)의 이동에 대하여 즉시 직경이 감소되어 볼트(5)에 조이고, 기둥(1) 및 아우터 플레이트(15)의 추가적인 이동을 저지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스프링(13)의 상단면이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하단면(15b)과 인너링(16)의 하단면(16c)의 양 방향에 압접되도록 코일스프링(13)의 외경 및 선경(wire diameter)을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 시이트(12')는 생략가능하고, 이에 의해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로킹장치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는 철부재와 같이 시간경과에 의해 변화하지 않는 구조물요소끼리 조여서 고정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도 1의 코일 스프링(13) 대신 스프링와셔(19)를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한 점에 특징이 있다. 스프링 와셔(19)는 코일스프링(13)에 비하여 가능한 최대 변위량은 적지만 저비용이다.
도 4중 참조번호 17은 철재로 구성된 구조물요소를 나타내고, 18은 구조물 요소 17를 도시하지 않은 동종의 구조물요소에 체결하는 볼트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 스프링 시이트(12) 대신에 도 3에 도시한 스프링 시이트(12')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하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로킹와셔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와셔는 그 조립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도 5에서 와셔(11)의 아우터 플레이트(15)에는 그 하단면(15b)쪽에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테이퍼 구멍 형성면에서 테이퍼 구멍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환상의 걸림부(15e)가 테이퍼 구멍형성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15e)의 윗면은 인너링(16)의 하단면(16c)에 접촉가능하고, 인너링(16)을 테이퍼 구멍(15a)내로, 이 테이퍼 구멍에서 일탈하지 않도록 유지 하도록 되어있다.
본 실시예의 와셔는 인너링(16)을 테이퍼 구멍(15a)내로 이 테이퍼 구멍에서 일탈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와셔를 고정구와 별도 독립적으로 배치하는 경우, 즉 인너링(16)의 축공(16a)을 통과하는 축부재를 조임구의 조임볼트와 별개의 요소로 구성하는 경우는 너트, 스프링시이트 및 코일스프링의 사용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조임볼트와 별개의 축부재(도시하지 않음)는 기둥(1)(구조물 요소)내에 기둥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기둥에서 와셔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 와셔를 고정구와 직접 관련시켜서 배치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한 너트, 스프링시이트 및 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 구멍 (15a)안쪽으로의 인너링(16)의 배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적절한 공구(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인너링(16)에 인너링 반경방향 안쪽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가하여 아우터 플레이트(15) 걸림부(15)와 간섭하지 않도록 인너링 (16)의 직경을 감소시켜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테이퍼 구멍(15a)으로 인너링(16)을 수용한다. 그 후 외력을 제거하면 인너링(16)은 통상의 직경으로 돌아오고, 아우터 플레이트의 테이퍼 구멍(15a)에서 일탈하지 않게된다. 이 결과 인너링 (16)과 아우터 플레이트(15)가 외관상 일체로 되어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환상의 걸림부(15e)대신에 복수의, 예를 들면 원호상의 걸림부(도시하지 않음)을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테이퍼 구멍 형성면에 테이퍼 구멍(15a)의 둘레방향에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단, 환상의 걸림부(15e)를 형성한 편이 복수의 걸림부를 형성한 경우보다도 저비용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의한 로킹와셔 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와셔는 고정구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배치된 경우에도 코일스프링이나, 스프링 시이트등이 필요하지 않아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로킹와셔(21)는 도 5의 도 5의 와셔(11)와 기본적으로 구성이 동일하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도 5와 동일부재 및 상당하는 부위에는 동일부호 및 상당하는 부호를 부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면에, 와셔(21)는 인너링(22)의 하단면(22c)에 인너링 축선과 동일축상에 플랜지(22g)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도 5의 와셔(11)와 다르다.
상세하게는, 본 플랜지(22g)는 그 외경이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환상 걸림부(15e)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게되어 그 내경이 인너링(22)에 형성된 걸림조(22f)의 팁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되어, 그 높이가 인너링(22)의 상단면(22d)과 아우터 플레이트(15)의 상단면(15c)사이의 거리보다도 약간 크게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너링(22)의 대부분이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테이퍼 구멍(15a)내로 수납되었을 때, 인너링(22)의 플랜지(22g)는 아우터 플레이트(15)의 걸림부(15e)에서 와셔 높이 방향 아래방향으로 돌출한다. 와셔(21)는 축부재인 볼트(18)에 너트(23 및 24)에 의해 조여서 고정된다. 너트(23,24)는 인너링(22)의 플랜지(22g)를 직접적으로 가압하여 인너링(22)을 아우터 플레이트(15)에 가압하여 부착하고, 아울러 아우터 플레이트(15)를 구조물 요소(25)에 압접한다. 인너링(22)을 너트(23,24)로 직접 아우터 플레이트(15)에 가압하여 부착하는 와셔구성에 의하면 스프링시이트 (12,12')(도 1, 도 3)나, 와셔스프링(13)(도1) 혹은 스프링 와셔(19)(도 4) 등의 탄성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더블너트로 하는 편이 풀림을 완전하게 방지하는데 바람직하지만, 너트는 1개라도 좋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의한 로킹와셔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와셔는 도 6의 너트(23,24)대신에 인너링(22)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푸쉬너트(push nut)(26)를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한 점에 특징이 있고, 인너링(22)에 가하는 압력이 적어도 좋은 경우에 적합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너트(26)는 그 중앙부에 축부재(27)를 관통시키는 축공이 형성되고 또한, 복수의 축공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하는 탄성을 갖는 걸림조(26a)가 푸쉬너트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들 걸림조 (26a)는 푸쉬버튼(26)을 축부재(27)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도록 유지한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예의 와셔를 축부재(27)에 장착함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하는 너트 (23,24)는 필요하지 않고, 볼트(18) 대신에 둥근 막대기(27)를 사용할 수 있어 이점에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너트 장착이 필요하지 않는등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의한 로킹와셔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로킹와셔(30)는 기본적으로 도 6의 와셔(21)와 구성이 동일하고, 도 6의 부재와 동일부재 및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 및 상당하는 부호를 부여하였다. 로킹와셔(30)는 인너링(31)의 볼트 구멍 형성면에 걸림조를 형성하지 않아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인너링(31)의 볼트구멍(31a)은 단순한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인너링 (31)의 볼트구멍 형성면에는 걸림조가 형성되어 있지않다. 단지, 인너링(31)과 볼트(18)를 볼트(18)의 나사부(18a)가 인너링(31)의 볼트 구멍형성면에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나사부(18a)에 형성된 나사산부를 인너링(31)의 볼트 구멍형성면에 조여들 수 있도록 걸림조로서의 기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너링(31)을 볼트(18)에 장착되는 더블너트(23,24)로 유지하도록 하였지만 더블너트 대신에 도 9에 도시한 푸쉬너트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의한 로킹와셔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와셔(32)는 도 10의 와셔와 기본적으로 구성이 동일하고, 도 11에서 도 10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 및 상당하는 부위에는 동일 부호 및 상당하는 부호를 부여하였다. 반면에 와셔(32)는 그 아우터 플레이트(15), 인너링(16), 스프링시이트(34) 및 코일 스프링(35)을 일체화하여 와셔(32)를 취급하기 용이하도록 한 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에서 로킹와셔(32)의 스프링 시이트(34)는 인너링(33)의 하단면과 코일스프링(35)사이에 배치된 환상의 주체부(34a)를 갖고 있다. 참조부호 34b는주체부(34a)의 중앙에 형성된 볼트 삽통공을 나타낸다. 스프링 시이트(34)는 복수개, 예를 들면 3개의 제 1걸림편(제 1연장부)(34c)과 예를 들면 3개의 제 2걸림편(34e)을 갖고 있다.
스프링 시이트(34)의 제 1걸림편(34c)은 주체부(34a)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에서 와셔쪽으로 와셔 높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면서 주체부(34a)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 1 걸림편(34c)은 그 중앙부에 V자상으로 굽어져 이로인해 그 내면에 와셔 반경방향안쪽으로 향하는 걸림돌기(34d)가 형성된다.
와셔(34)의 아우터 플레이트(15)에는 인너링(33)을 수용하는 테이퍼 구멍 (15a)과 스프링시이트(34)의 3개의 제 1걸림편(34c)를 각각 수용하는 3개, 예를 들면 원호상의 수용구멍(15f)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구멍(15f)의 직경은 아우터 플레이트(15)의 아랫면(15b)에서 윗면(15c)쪽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되어 있고, 수용구멍(15f)내에 배치된 스프링 시이트(34)의 제 1 걸림편(34c)이 그 걸림돌기(34d)에서 수용구멍(15f)의 둘레면에 제 1 걸림편(34c)의 탄성력으로 양호하게 걸려 스프링 시이트(34)가 아우터 플레이트(15)에서 이탈되기 어렵게되어 있다.
스프링 시이트(34)의 제 2 걸림편(34e)은 주체부(34a)의 내부 둘레 가장자리에서 반대 와셔쪽으로 와셔 높이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면서 주체부(34a)의 둘레방향에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 2 걸림편(34e)은 그 중간부가 V자상으로 굽어있어, 그 외면에 와셔 반경방향바깥쪽을 향하는 걸림돌기(34f)가 제 1 걸림편(34c)의 걸림돌기(34d)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3개의 걸림돌기(34f)는 서로 다른 와셔 높이 방향 위치에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35)에 양호하게 계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구성의 와셔(32)의 조립에서 먼저, 아우터 플레이트(15)의 테이퍼 구멍 (15a)내로 인너링(33)을 수납한다. 다음으로 스프링시이트(34)의 제 1걸림편 (34a)이 아우터 플레이트(15)의 수용구멍(15f)에 삽입되어 스프링시이트(34)의 주체부가 인너링(33)의 아랫면에 접하도록 한다. 이 결과 인너링(33)은 그 아랫면이 아우터 플레이트(15)의 아랫면(15b)보다도 약간 돌출한 상태로 아우터 플레이트 (15)의 테이퍼 구멍(15a)내로 수용되면서 스프링시이트(34)의 제 1걸림편(34c)이 테이퍼 모양 수용구멍(15f)의 내면에 걸리게 되어 스프링 시이트(34)는 아우터 플레이트(15)에서 일탈하지 않게된다. 다음으로 코일스프링(35)의 안쪽 방향 끝이 스프링 시이트(34)의 주체부(34a)에 접할 때까지 스프링 시이트(34)의 제 2 걸림편 (34e)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코일스프링(35)을 삽입한다. 코일스프링(35)은 스프링시이트(34)의 제 2 걸림편(34e)의 걸림돌기(34f)에 의해 걸리게 되어 스프링 시이트(34)에서 일탈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로킹와셔(32)가 전체로서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를 변형하여 아우터 플레이트(15)의 외주면을 그 아랫면(15b)에서 윗면(15c)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게 되는 것과 같은 테이퍼면을 형성하면서 스프링시이트(34)의 주체부(34a)를 아우터 플레이트(15)와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고, 스프링시이트(34)의 제 1걸림편(34c)의 걸림돌기(34d)를 아우터 플레이트 (15)의 외주면에 걸리도록 하여도 좋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의한 로킹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로킹장치는 도 1에 도시한 와셔와 기본적으로 구성이 동일한 로킹와셔를 포함하고, 도 12 내지 도 14에서 도 1에 도시한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도 1의 참조부호에 100을 합한 동등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었고, 이들 요소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일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로킹장치(110)는 아우터 플레이트(115) 및 인너링(116)과 양 요소(115,116)과 일체로 형성되어 인너링(116)을 아우터 플레이트(115)에 가볍게 힘을 가하는 부세요소, 예를 들면 디스크 스프링(disc spring)(114)으로 로킹와셔 (111)를 구성한 점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대못(120)등의 고정요소(결합요소)를 이용하여 아우터 플레이트(115)를 목조건축물의 기둥(1)(보다 일반적으로는 구조물 요소)에 고정하도록 한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의 특징에 관련하여 아우터 플레이트(115)에는 디스크 스프링(114)을 수용하는 큰 직경의 얕은 구멍(오목부)(115)이 인너링 수용용의 테이퍼구멍 (115a)과 동일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스프링 수용구멍(115d)은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하단면(115b)에 개구하고 있다. 디스크 스프링(114)은 스프링력을 발생하는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스프링 (114)의 중앙부에는 볼트(5)의 축부(5a) 또는 나사부(5b)가 느슨하게 주입될 수 있는 구멍(114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참조부호 115g는 인너링(116) 및 디스크 스프링(114)의아우터 플레이트(115)에서 일탈을 방지하는, 예를 들면 4개의 코킹(caulking)부를 나타낸다. 이들 코킹부(115g)는 인너링(116)이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테이퍼 구멍(115b)에 수납되고, 이어서 디스크 스프링(114)이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구멍(115d)에 수납된 후 아우터 플레이터(115)의 내주면(오목부형성면)의 하단면쪽으로 아우터 플레이트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인너링(116) 및 디스크스프링(114)이 아우터 플레이트(115) 테이퍼 구멍 (115a) 및 오목부(115d)에 각각 수납되었을 때, 디스크 스프링(114)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는 코킹부(115g)에 압접하고, 그 안쪽 둘레 가장자리부(114a)는 인너링 (116)의 하단면(116c)에 압접하여 그 스프링력으로 인너링(116)을 아우터 플레이트 (115)에 압축한다. 또한, 디스크 스프링(114)은 인너링(116)을 아우터 플레이트 (115)에 가볍게 누르는 것만으로도 좋고, 강한 스프링력을 발생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로킹장치(110)의 상기 제 2의 특징과 관련하여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대못(120)을 관통시키는 구멍(115h)이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 예를 들면 2개소 천설되어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로킹 장치(110)의 볼트(5)로의 장착 및 장치(1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장치(110)의 볼트로의 장착은 도 1의 장치의 경우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게 실시되고, 장치(110)의 작용은 도 1의 장치의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먼저, 로킹와셔(111)를 조립한다. 즉, 인너링(116) 및 디스크 스프링(114)을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테이퍼 구멍(115b) 및 오목부(115d)에 차례로 수납하고,이어서 아우터 플레이트(115)에 코킹부(115g)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와셔 (112)의 조립이 완료하면 인너링(116)과 디스크 스프링(114)의 스프링력에 의해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테이퍼 구멍(115a)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로킹와셔(111)를 볼트(5)에 부착하여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상단면(115c)를 기둥(1)의 측면(1b)에 접촉시킨다. 아울러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대못구멍(115h)를 통하여 기둥(1)에 대못(120)을 박아넣고, 아우터 플레이트(115)를 기둥(1)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기둥(1)에 와셔(111)을 고정한 상태에서는 인너링(116)의 상단면(116d)과 기둥(1)의 측면(1b)사이에는 대략 아우터 플레이트 높이와 인너링 높이의 차(h)에 상당하는 약간의 간격이 존재한다.
이어서 볼트(5)에 너트(107)를 나사결합하여 조여 고정한다. 너트(107)는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오목부(115d)보다도 큰 직경으로 되어 있고,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안쪽 둘레 가장자리부에 압접한다. 이로인해 너트(107)가 테이퍼 구멍(115a)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 스프링(114)을 누르는 것이 방지된다. 너트 (107)는 볼트(5)에 와셔(111)를 장착할때 조여지는 경우 볼트(5)를 와셔(111)쪽으로 인장하여 그 축방향의 느슨함을 제거하여 볼트(5)에 와셔(111)를 확실하게 장착하는 것이다. 따라서, 너트(107)는 볼트(5)에 와셔(111)을 장착한 후에 특별히 필요한 것은 아니다.
기둥(1)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 의해 약해져 그 측면(1b)이 도 14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퇴하면 인너링(116)의 걸림조(116f)가 볼트(5)의 기둥(1)쪽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셔(111)가 기둥(1)의 측면(1b)과 함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한다. 이로인해 와셔(111)는 기둥(1)의 약해진 폭이 증가된 경우에도 기둥(1)과의 체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나무집과 같이 통나무를 여러단 겹친 구조에서는 상단의 통나무의 하중이 하단의 통나무에 가해지도록 나무의 야윈 폭이 크고, 이 때문에 볼트와 이와 나사결합하는 고정 너트에 의항 통나무끼리의 조임이 느슨하게 되기 쉽다. 따라서, 고정 너트를 자주 조여줄 필요가 있어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다. 로킹와셔(111)는 통나무집 등의 목조건축물에서 로킹에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외부 진동 등에 의해 기둥(1)이 도 14중 화살표 A방향으로 움직이면, 아우터 플레이트(115)는 기둥(1)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한편, 인너링(116)은 기둥(1)에서 떨어져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둥(1)에 의해 움직이지 않는다. 아우터 플레이트(115)가 화살표 A방향으로 움직이면 순간적으로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테이퍼구멍 형성면이 디스크 스프링(114)에 의해 아우터 플레이트 (115)에 눌려지게 되어 있는 인너링(116)의 테이퍼 상 외주면(116)을 조여서 고정한다.
인너링(116)은 슬릿(116e)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우터 플레이트(115)에서 작용력을 받으면 직경이 감소하고, 그 걸림조(116f)가 볼트(5)의 나사부(5b) 표면에 조여진다. 이로인해 기둥(1)의 화살표 A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어 기둥 (1)과 대들보의 체결이 유지된다.
또한, 와셔(111)가 기둥(1)의 약함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기둥(1)과 함께 이동하면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아랫면(15b)과 너트(107)사이의 간격이 발생하지만 와셔(111)는 상기 로킹을 달성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간격이 발생하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로킹와셔(111) 및 로킹장치(110)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오목부(115d)보다도 작은 직경의 너트 (107)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구멍(115d)보다도 큰 직경의 평와셔 등을 너트(107)와 아우터 플레이트(115)사이에 개재시키면 좋다.
또한, 기둥(1)에 아우터 플레이트(115)를 고정하는 고정요소(결합요소)로서,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은 대못 (120)이외의 스크류 대못(screw spike)나 스크류 혹은 스터드 볼트(stud bolt)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로킹와셔나 로킹장치가 적용된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너트(107)대신에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은 푸쉬너트를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너트나 푸쉬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진동방지와셔(111)만으로도 좋은 경우가 있고 비용의 절감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너링(116)의 내면에 걸림조(116f)를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고, 이 경우 인너링(116)의 추가적인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대못구멍(115h)을 아우터 플레이트(115)에 형성하는 대신에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상단면(115d)에서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는 걸림조(115j)를 복수개, 예를 들면 2개를 아우터플레이트(115)와 일체로 형성하여 이들의 걸림조(115j)를 목재에 박아서 아우터 플레이트(115)를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부품수의 감소,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사용의 편리함도 향상된다.
아울러,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디스크 스프링(114)대신에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은 환상의 디스크 스프링(214)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디스크 스프링(214)는 그 안쪽 둘레 가장자리부에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에, 예들 들면 6개소에 설치한 절결(214c)을 인너링 쪽으로 굴곡하여 긴 스프링부 (214b)를 형성한 것이다. 이 디스크 스프링(214)이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오목부(115d)에 수납된 경우 각 스프링부(214b)의 선단부가 인너링(116)의 하단면 (116c)에 압접되고, 디스크 스프링(214) 단면(214d)의 바깥쪽 둘레 가장자리부가 아우터 플레이트(15)의 코킹부(115g)에 압접되어, 인너링(16)을 아우터 플레이트 (115)의 테이퍼 구멍 형성면에 가압하여 누른다.
또한, 도 12 및 도 13 또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디스크 스프링(114) 또는 (214)를 아우터 플레이트(115)의 오목부(115d)에 수용한 후에 코킹부(115g)를 아우터 플레이트(115)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디스크 스프링(114 또는 214)의 외부 둘레 가장자리부에 코킹부(115g)가 통과할 수 있는 절결을 미리 설치해두고, 이들의 절결을 코킹부(115g)에 꼭 맞춘 상태로 디스크 스프링(114 또는 214)를 오목부(115d)에 삽입하고, 이어서 디스크 스프링(114 또는 214)을 회전시켜 구멍(115d)에서 일탈하지 않게 수용하여도 좋다.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의한 로킹장치를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한 로킹장치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와셔에 대응하는 제 1로킹와셔(111)와 도 1에 도시한 로킹장치에 대략 대응하는 제 2로킹와셔(111')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2아우터 플레이트(115')의 외경은 제 1아우터 플레이트(115)의 오목부 (115d)보다도 크게 되어 제 2아우터 플레이트(115')의 상단면(115'c)이 제 1아우터 플레이트(115)의 하단면(115b)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인너링(116')의 하단면과 너트(107)사이에 코일스프링(113')이 축설(縮設)되어 있다. 코일스프링 (113')의 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제 2인너링(116')이 제 2아우터 플레이트(115')의 측면에 가압된다. 제 2아우터 플레이트(115')를 통하여 제 1아우터 플레이트(115)에 가해지는 스프링력에 의해 제 1아우터 플레이트(115)가 기둥에 항상 가압된다. 따라서, 제 1아우터 플레이트(115)를 기둥(1)에 고정할 필요가 없다.
도 18의 로킹장치의 작용은 도 12 내지 도 14의 장치의 것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와셔(111, 111')를 겹쳐 사용하는 것으로, 볼트(5)에 대한 로킹장치의 걸림력이 대폭 증대한다. 따라서, 도 18의 장치는 특히 큰 구조물에서 구조물요소끼리의 조임상태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의한 로킹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로킹와셔(311)는 도 12 내지 14에 나타낸 와셔와 기본적으로는동일하게 구성되고, 도 19 및 도 20에서, 도 12 내지 도 14의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응하는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우터 플레이트(315)에는 테이퍼 구멍(315a)이 형성되고, 아우터 플레이트(315)의 두께보다도 약간 얇게 형성된 인너링(316)이 상기 테이퍼 구멍(315a)에 수납되어 있다. 디스크 스프링(314)는 아우터 플레이트(315)의 단면(315b)쪽으로 배치되고, 각 스프링부(314b)의 선단이 각각 인너링(316)의 일단면(316c)에 접촉되어 인너링(316)을 아우터 플레이트(315)의 테이퍼 구멍형성면을 가압한다.
로킹와셔(311)는 아우터 플레이트(315)에 대한 인너링(316)의 가압력을 증대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 특징에 관련하여 와셔(316)는, 디스크 스프링(314)을 통하여 인너링(316)을 아우터 플레이트(315)쪽으로 부세하는 코일스프링(340)을 구비하고 있다.
코일스프링(340)은 그 일단이 디스크 스프링(314)의 마주보는 면에 접해 배치되고, 아우터 플레이트 (315)에 등각도 간격으로 설치된, 예를 들면 3개의 걸림조(315i)에 의해 걸림 유지되어 있다. 이들의 걸림조(315i)는 아우터 플레이트(315)의 대응부분을 그 일단면(315b)측에 절단하여 세우는 것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조(315i)를 절단하여 세워 형성할 때 걸림조(315i)에 연설하여 구멍(315h)이 형성되고, 이들의 구멍(315h)은 대못구멍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로킹와셔(311)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와셔(111)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즉, 아우터 플레이트(315)는 그 단면(315c)이 기둥의 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구멍(315h)를 통하여 대못(320)으로 기둥에 고정된다. 이어서, 기둥고정 볼트에 인너링(316), 디스크 스프링(314) 및 코일스프링(340)이 장착되고, 이 볼트에 나사결합된 너트를 조여 코일스프링(340)이 압축되어 와셔(311)가 기둥에 장착된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조임부재로서의 볼트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한다.
볼트(18)는 그 나사부(18b)의 기단(基端)근방에 절결(18c)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로킹와셔를 볼트(18)에 장착하고 이어서, 너트(23)를 나사부(18b)의 기단부에 마주보도록 나사결합한 후 도 21에 흰색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볼트(18)의 선단부를 해머등으로 쳐서 볼트(18)를 절결(18c)에서 절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볼트(18) 나사부(18b)의 길이가 짧아지고, 볼트(18)의 선단측에 그 후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격벽 등의 주변부재(도시하지 않음)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로킹와셔와 주변요소의 간섭을 피할 의도로 조각 등으로 구조물요소에 형성한 구멍내부에 로킹와셔를 수납하는 경우, 와셔를 구조물요소의 구멍에 수용한 후 볼트(18)의 불필요한 선단부분을 잘라낼 수 있어 유용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에서는 테이퍼 구멍을 형성한 아우터 플레이트와 테이퍼 구멍과 상보적인 원추형 콘형상의 인너링을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우터링 구멍 및 인너링의 외형형상은 아우터링이 반대 제 1구조물 요소 쪽으로 변위한 경우 인너링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면, 아우터 플레이트에 테이퍼 구멍을 형성하는 한편, 이 테이퍼 구멍에 배치되는 인너링을 테이퍼구멍의 평균직경 정도의 외경을 갖는 슬릿모양 원호상 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인너링의 아우터 플레이트가 접하는 일단부 외주면에만 테이퍼를 부착하여 인너링이 아우터 플레이트의 테이퍼 구멍형성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둥근막대기를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인너링으로 이용한다. 혹은 인너링을 슬릿모양 C 링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C링의 평균 외경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소직경부와 C링의 평균 외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대직경부로 이루어진 단모양 원통공을 아우터 플레이트에 형성하고, 이 단모양 구멍에 C링을 수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단모양 구멍의 C링이 접하는 단모양 부분에만 테이퍼를 부착하여 인너링이 아우터 플레이트의 단모양 구멍형성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는 원추형 콘형상의 링주벽에 축방향으로 슬릿을 형성한 C링으로 이루어진 인너링을 이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C링을 축방향으로 2분할한 것에 대응하는 수평단면원호상의 2개인 반으로 이루어진 분할형의 인너링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아우터 플레이트(15), 인너링(16,22,31), 스프링 시이트(12,12') 등을 철부재로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대상물에 따라서 이들의 요소를 다른 부재, 예를 들면 경질 수지부재등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에서는 로킹장치를 목재인 기둥과 대들보를 조이는 스트랩볼트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로킹장치는 포(布)기초에 토대를 고정하는 기초 볼트나 차량 등의조임부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킹와셔는 진동이 많은 부분, 예를 들면 철도레일과 침목의 조임, 고속도로의 각종 설비, 교량, 혹은 차량을 싣고 옮기는 곳, 엔진 마운트, 서스펜션(suspension) 등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구조물의 제 1 구조물요소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 1 단면과, 상기 제 1 구조물 요소에서 떨어져 배치되는 제 1 단면을 갖는 아우터 플레이트,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에는 구멍이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를 통하여 형성되고; 및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에 수용되는 인너링, 상기 인너링은 상기 제 1 구조물 요소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 1 단면과 상기 제 1 구조물요소에서 떨어져 배치되는 제 2 단면을 갖고, 상기 인너링에는 상기 인너링을 통하여 인너링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은 상기 제 1 구조물요소에서 상기 와셔로 연장하는 축부재를 통과시키고,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 및 상기 인너링의 외형형상은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가 상기 축부재를 따라서 반대 제 1 구조물요소측에 변위한 경우에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에서 상기 인너링에 인너링 반경방향 내부로 향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인너링은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에 감합한 상태로 인너링 반경방향 내부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힘을 받았을 때 상기 축공의 직경이 상기 축부재의 외경까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구비하고;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에는 제 2 단면에서 제 1 단면 쪽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구멍이 상기 구멍으로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인너링은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터이퍼 구멍에 대하여 상보적인 테이퍼모양 외형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너링은 당해 인너링의 축공형성면에 다열 검림조가 형성되고;
    상기 다열걸림조는 인너링 높이 방향으로 연속해 있는 다수의 걸림조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걸림조 각각은 상기 인너링의 축공형성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하고, 또한 인너링 높이 방향 단면에서 보아 상기 인너링의 상기 제 2 단면측으로 비스듬하게 향하는 팁을 갖는 로킹와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와셔는 축부를 갖는 제 1 조임요소를 함유하는 고정구와 함께 이용되고, 상기 제 1 조임요소의 축부는 상기 인너링의 상기 축공을 통과하는 상기 축부재를 구성하는 로킹와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상기 제 1 조임요소는 상기 구조물의 제2구조물요소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조임요소의 상기 축부는 상기 제 1 구조물요소내로 연장하고;
    상기 고정구는 와셔 높이 방향으로 보아 상기 와셔에 관하여 반대 제 1 구조물요소측에서 상기 제 1 조임요소의 상기 축부에 결합되는 제 2 조임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임요소는 상기 제 1 조임요소와 협동하여 상기 제 1 구조물 요소를 상기 제 2 구조물 요소에 조여서 고정하는 로킹와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링은 이를 관통하여 인너링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형성하는 로킹와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링은 당해 인너링의 축공형성면에 걸림조가 형성되는 로킹와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는 제 2 단면측에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구멍형성면에서 구멍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에 배치된 상기 인너링의 상기 제 2 단면과 접촉할 수 있는 로킹와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링은 제 2 단면측에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걸림부에 관하여 와셔 반경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환상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와셔 높이 방향에서 보아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제 2단면에 관하여 상기 인너링의 반대 제 1 단면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플랜지의 반대 아우터 플레이트측의 단면은 상기 인너링의 상기 제 2 단면을 구성하는 로킹와셔.
  8.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링을 항상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측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부재;
    상기 부세부재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용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단면에 개구하고, 또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에 연통하고;
    상기 부세부재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오목부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인너링의 상기 제 2 단면에 압접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로킹와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재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오목부에 당해 오목부에서 이탈이 불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로킹와셔.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오목부에 수용된 상기 부세부재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단면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단면에서 반대 제 1 단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조로 유지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로킹와셔.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는 제 1 단면에서 아우터 플레이트의 반대 제 2 단면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 1 구조물요소에 걸릴 수 있는 걸림요소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요소가 상기 제 1 구조물요소에 걸렸을 때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구조물요소에 고정되는 로킹와셔.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는 상기 구멍에 관하여 아우터 플레이트 반경방향 외부에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아우터 플레이트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삽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통공은 상기 제 1구조물요소에 걸리도록 걸림요소를 통과시키고;
    상기 걸림요소가 상기 제 1 구조물 요소에 걸렸을 때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구조물 요소에 고정되는 로킹와셔.
  13. 구조물의 제 1 구조물 요소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 1 단면과, 상기 제 1 구조물 요소에서 떨어져 배치되는 제 2 단면을 갖는 아우터 플레이트, 당해 아우터 플레이트에는 구멍이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와 협동하여 로킹와셔를 구성하는 인너링, 상기 인너링은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에 수용되고, 상기 인너링은 상기 제 1 구조물요소에 근접하여 베치되는 제 1 단면과, 상기 제 1 구조물 요소에서 떨어져 배치된 제 2 단면을 갖고, 상기 인너링에는 상기 인너링을 관통하여 높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은 상기 제 1 구조물 요소에서 상기 와셔를 향하여 연장하는 축부재를 삽통시키고,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 및 상기 인너링의 외형형상은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가 상기 축부재를 따라서 반대 제 1 구조물요소 측으로 변위하였을 때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에서 상기 인너링에 인너링 반경방향안쪽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너링은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에 감합한 상태에서 인너링 반경방향 안쪽으로 작용하는 상기 힘을 받았을 때 상기 축공의 직경이 상기 축부재의 외경까지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및
    상기 인너링을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 로킹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로킹장치의 높이 방향에서 보아 반대 제 1 구조물 요소측에서 상기 축부재에 결합되는 조임요소로 이루어진 로킹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는 축부를 갖는 제 1 조임요소를 포함한 고정구와 함께 이용되고, 상기 제 1 조임요소의 상기 축부는 상기 축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로킹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보아 반대 제 1 구조물요소측에서 상기 제 1 조임요소의 상기 축부에 결합되는 조임요소로 이루어지는 로킹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로킹장치의 높이 방향에서 보아 반 대 제 1 구조물요소측에서 상기 축부재에 결합되는 조임요소와 당해 조임요소와 상기 인너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너링을 항상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측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로킹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은 상기 로킹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보아 반대 제 1 구조물요소측에서 상기 축부재에 결합되는 조임요소와, 당해 조임요소와 상기 인너링의 상기 제 2 단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너링을 항상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측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인너링의 상기 제 2단면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사이에 배치되는 주체부를 갖는 스프링 시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시이트는 상기 주체부에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에 걸리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주체부에서 상기 가압수단의 상기 조임요소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을 유지하는 제 2 연장부를 갖는 로킹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물 요소에 걸릴 수 있는 걸림요소;
    여기서, 상기 걸림요소가 상기 제 1 구조물요소에 걸렸을 때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구조물요소에 고정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로킹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요소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와 별도로 구성되고;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는 상기 테이퍼구멍에 관하여 아우터 플레이트 반경방향 외부에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아우터 플레이트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삽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통공은 상기 제 1구조물요소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요소를 삽통시킨로킹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요소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요소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단면에서 아우터 플레이트의 높이 방향 외부로 돌출하는 로킹장치.
KR1019980022499A 1997-12-09 1998-06-16 로킹와셔및이를이용한로킹장치 KR100348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891097A JP2934218B2 (ja) 1997-10-03 1997-12-09 振動防止用ワッシャ及びそれを用いた振動防止装置
JP9-338910 1997-12-09
JP9573598A JPH11294438A (ja) 1998-04-08 1998-04-08 振動防止用ワッシャ
JP10-95735 1998-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426A KR19990062426A (ko) 1999-07-26
KR100348420B1 true KR100348420B1 (ko) 2002-10-25

Family

ID=2643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499A KR100348420B1 (ko) 1997-12-09 1998-06-16 로킹와셔및이를이용한로킹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44806B1 (ko)
EP (1) EP0922867B1 (ko)
KR (1) KR100348420B1 (ko)
CN (1) CN1113170C (ko)
CA (1) CA2249799C (ko)
DE (1) DE69827746T2 (ko)
HK (1) HK1018711A1 (ko)
TW (1) TW38703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754B1 (ko) * 2019-07-10 2020-09-17 신남선 체결용 앵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0963B2 (en) * 2000-01-12 2002-03-26 Woodward Governor Company Gaseous fuel injector having high heat tolerance
JP3524514B2 (ja) * 2001-05-08 2004-05-10 株式会社石井超硬工具製作所 タイルカッター用回転刃
US7125213B2 (en) * 2001-12-06 2006-10-24 Junkers John K Washer, fastener provided with a washer, method of and power tool for fastening objects
DE10256861A1 (de) * 2002-12-05 2004-06-24 Hilti Ag Befestigungssystem
DE10308743B3 (de) * 2003-02-28 2004-11-11 Hilti Ag Schnellspannmutter für scheibenförmige Werkzeuge
EP1555444A3 (en) * 2004-01-15 2006-08-23 John K. Junkers Washer, fastener provided with such a washer, method of and power tool for fastening objects with same
US20050155461A1 (en) * 2004-01-15 2005-07-21 Junkers John K. Washer, fastener provided with a washer, method of and power tool for fastening objects
US20050158145A1 (en) * 2004-01-16 2005-07-21 Junkers John K. Washer, fastener provided with a washer, method of and power tool for fastening objects
WO2006021812A1 (en) * 2004-07-09 2006-03-02 Bae Systems Plc Fastener arrangement for fastening a detachable panel
JP4669507B2 (ja) * 2005-02-15 2011-04-13 富士通株式会社 バネ加圧ユニット
US7752824B2 (en) * 2005-03-14 2010-07-13 Mitek Holdings, Inc. Shrinkage-compensating continuity system
US7661371B2 (en) * 2006-03-29 2010-02-16 Eastman Chemical Company Manway sealing system
AU2008200632B2 (en) * 2007-02-09 2011-06-30 Kangas, Eila Anneli Locking washer
US20120180423A1 (en) * 2011-01-19 2012-07-19 Seismic Design Toolbox, Inc. Yielding Rod to Counter Seismic Activity
CN102501762A (zh) * 2011-10-31 2012-06-2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换挡器底座与车身地板的安装固定结构
KR101206836B1 (ko) * 2012-03-14 2012-11-3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US8881478B2 (en) 2012-06-22 2014-11-11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Ratcheting take-up device
US9394706B2 (en) 2013-10-08 2016-07-19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Concrete anchor
US9163655B2 (en) 2014-01-14 2015-10-20 Kaoru Taneichi Thrust nut
CN103939445B (zh) * 2014-04-25 2016-05-18 湖南省金为型材有限公司 多级自进给间隙弥补螺栓
CN103939448B (zh) * 2014-04-25 2016-05-18 湖南省金为型材有限公司 一种间隙自弥补螺栓
CN103939452B (zh) * 2014-04-25 2015-12-23 湖南省金为型材有限公司 自进给间隙弥补螺栓
US20160010546A1 (en) * 2015-09-21 2016-01-14 Electro-Motive Diesel, Inc. Rocker cover assembly for engines
CN104214194A (zh) * 2014-08-29 2014-12-17 秦在荣 具有弹簧的垫圈
CN104347984B (zh) * 2014-11-11 2016-04-27 河南天海电器有限公司 连接器锁紧装置
US10590981B2 (en) * 2015-03-19 2020-03-17 2738297 Ontario Inc. Fastener assembly
CN107489684A (zh) * 2017-07-31 2017-12-19 合肥江淮朝柴动力有限公司 一种螺栓防松垫片
US10750654B2 (en) 2017-09-14 2020-08-25 Cnh Industrial America Llc Captured hardware equipment mount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product applicator
CN107792270B (zh) * 2017-10-10 2020-11-20 佛山市三轻自行车有限公司 一种自行车折叠器
CN107939804A (zh) * 2018-01-02 2018-04-20 福建泉州市金正机械有限公司 一种双杆螺栓
CN108591230A (zh) * 2018-07-19 2018-09-28 泉州力泰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防松螺母
CN109372883B (zh) * 2018-11-26 2019-11-12 上饶市桐宇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精密机械零部件安装用缓冲式波形弹性垫圈
US11313404B2 (en) * 2019-10-23 2022-04-26 Applied Materials, Inc. Spring-loaded fastening system for process chamber liners
CN110594276A (zh) * 2019-10-25 2019-12-20 徐州才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机器人上的垫片
CN115362116B (zh) * 2020-04-09 2023-09-19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用导轨固定装置及电梯装置
CN112524130B (zh) * 2020-10-10 2022-04-22 神通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静音定位结构
CN112652849B (zh) * 2020-12-16 2023-05-02 杭州科技职业技术学院 一种新能源汽车的电池避震装置
RU2755105C1 (ru) * 2021-02-04 2021-09-13 Михаил Борисович Мельников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стопорного резьб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и стопорное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249A (en) 1898-03-29 Nut-lock
US1005227A (en) 1910-12-27 1911-10-10 Daniel Palmer Jones Device for gripping fastening, or locking purposes.
US1539348A (en) 1924-10-27 1925-05-26 Leo J Botscheller Lock washer
US2449846A (en) 1946-06-15 1948-09-21 David M Gilman Lock bolt or nut
GB630748A (en) 1947-07-10 1949-10-20 George Frederick Handel Bear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pporting metallic gas storage vessels
FR1332745A (fr) 1962-06-09 1963-07-19 écrous fendus rapides et indesserrables et freinage de vis
US4684284A (en) 1986-06-12 1987-08-04 Pneumo Abex Corporation Anti-rotation lock assembly
GB8704095D0 (en) 1987-02-21 1987-03-25 Heal R I Fastening means
US4974888A (en) 1988-07-25 1990-12-04 The Vendo Company Fastening apparatus
JPH0347306U (ko) 1989-09-07 1991-05-01
US5015133A (en) 1990-04-16 1991-05-14 Arena Frank R Universal n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754B1 (ko) * 2019-07-10 2020-09-17 신남선 체결용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87039B (en) 2000-04-11
EP0922867B1 (en) 2004-11-24
CA2249799A1 (en) 1999-06-09
DE69827746T2 (de) 2005-12-22
CA2249799C (en) 2006-08-08
HK1018711A1 (en) 1999-12-30
KR19990062426A (ko) 1999-07-26
CN1219654A (zh) 1999-06-16
CN1113170C (zh) 2003-07-02
EP0922867A1 (en) 1999-06-16
DE69827746D1 (de) 2004-12-30
US6244806B1 (en) 2001-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420B1 (ko) 로킹와셔및이를이용한로킹장치
KR20040016369A (ko) 풀림방지 체결구
CZ288093A3 (en) Electric contact nut
US6113329A (en) Lock nut
EP0416183B1 (en) Anchor-fixing
CA2191785A1 (en) Steering wheel mount
DE19805949A1 (de) Befestigungselement für eine Fußmatte in einem Kraftwagen
US4750401A (en) Lug nut assembly for drums
US4859127A (en) Spring wire fasten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3711395B2 (ja) 共回り防止キャップ
JP2934218B2 (ja) 振動防止用ワッシャ及びそれを用いた振動防止装置
JP2003239936A (ja) 係止リ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振動防止装置
JPH11294438A (ja) 振動防止用ワッシャ
JP3342675B2 (ja) 物品締付け装置
JP3009823B2 (ja) アンカーボルト用キャップ
JPH07259193A (ja) 建築用ネジ締め装置
JPH09310714A (ja) インサート座付ナット
JPH0423141Y2 (ko)
JPH06280842A (ja) 緩み止め用ねじ部品
KR200155517Y1 (ko) 풀림방지형 너트
JP2002323028A (ja) 建築用ばねワッシャ
KR200276547Y1 (ko) 쿠숀용 지지구 및 스토퍼
JP3070966U (ja) 建築用羽子板ボルト緩み防止装置
JP2000009126A (ja) バネ鋼ワッシャー
KR19980025188U (ko) 와셔를 구비한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