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754B1 - 체결용 앵커 - Google Patents

체결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754B1
KR102156754B1 KR1020190083293A KR20190083293A KR102156754B1 KR 102156754 B1 KR102156754 B1 KR 102156754B1 KR 1020190083293 A KR1020190083293 A KR 1020190083293A KR 20190083293 A KR20190083293 A KR 20190083293A KR 102156754 B1 KR102156754 B1 KR 102156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locking
fixing member
ceil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남선
신대선
Original Assignee
신남선
신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남선, 신대선 filed Critical 신남선
Priority to KR102019008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2Detachabl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5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또는 벽면에 매달거나 부착해야 하는 모든 장치물(조명기구, 장식물 등)을 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설치가 용이한 체결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걸림수단이 형성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천장 또는 벽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바아;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 제1 고정부재에 끼워서 조명 기구 또는 각종 장식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래킷;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하여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설치가 용이한 체결용 앵커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체결용 앵커{Anchor for Fastening}
본 발명은 천장 또는 벽면에 매달거나 부착해야 하는 모든 장치물(조명기구, 장식물 등)을 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체결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에는 조명기구를 비롯해서 각종 인테리어용 장식물들이 설치된다.
또한, 일반 건물이나 아파트와 같은 주택의 실내 천장은 화재 예방을 위해 난연성 재질의 석고보드를 의무적으로 시공하도록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건축물의 경우 천장이나 벽면 등은 대부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벽돌 등으로 형성되는 바, 특히 상기 천장으로는 온/난방 배수관, 방화수파이프, 전선 등과 같은 각종 시설물들이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을 외관상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얇은 베니어판이나 석고보드 패널(이하 "석고보드"라 한다)을 이용한 천장판을 일정하게 고정,설치한다.
다시 말해서, 천장과 석고보드 사이에 공간이 있는 경우로서, 상기 석고보드에 체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나사를 이용하여 천장 또는 벽면에 조명기구 또는 각종 장식물을 고정하는 것인데, 석고보드의 특성상 결속력이 약해서 나사로 체결시, 체결 상태가 느슨해져서 자칫 이탈될 염려가 있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석고보드에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나사, 일반 피스 또는 여러 종류의 보울트 등으로 장치물을 결합하기에는 결속력이 약해서 작업자는 많은 애로사항을 겪을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석고보드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두께가 두꺼운 석고보드를채용할 수도 있으나, 이 또한 시공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이들 시설물들이 설치되지 않는 곳이라 하더라도 콘크리트로 형성된 천장에는 실내장식을 위해서라도 별도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내장 판재를 고정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각종 장식물을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고정장치는 단순히 일반 피스로 고정하며, 특히 조명기구인 경우에는 별도의 체결 구조물 외에 배선공을 별도로 마련하여 빼내어 접속하도록 하기 때문에, 그 만큼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현재, 시중에는 석고보드 전용 볼트 제품이 나와 있으나, 사용자들의 만족도면에서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체결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체결 가능하며, 제품의 모델에 따라 천장의 두께에 관계없이 확실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체결용 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걸림수단이 형성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천장 또는 벽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바아;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 제1 고정부재에 끼워서 조명 기구 또는 각종 장식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래킷;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하여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설치가 용이한 체결용 앵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에 각종 장식물이나 조명기구 등을 설치하고자 할때, 결속력이 약한 석고보드로 시공되어 있더라도 구멍을 천공하고 체결용 앵커를 삽입하면 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는 장식물 또는 조명기구 등을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장 또는 벽면에 구멍을 뚫고 체결용 앵커의 결합부재를 밀어 넣은 다음, 제1 고정부재를 결합부재에 끼워서 밀고, 조명기구 또는 각종 장식물을 설치할 수 있는 브래킷을 끼운 다음, 제2 고정부재를 끼워서 고정하면 되므로, 설치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비가 저렴하여 부담없이 간편하게 필요한 곳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천장면을 구성하는 석고보드 등의 두께가 얇더라도 바아의 걸림력에 의해 충분히 체결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장식물 또는 조명기구라도 낙하될 염려 없이 매달린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얇은 석고보드에 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장이 석고보드로 이루어진 경우, 체결용 앵커의 결합부재를 삽입하고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를 끼워서 고정하면 되므로, 석고보드의 두께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용 앵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용 앵커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용 앵커에 조립되는 걸림바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결용 앵커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결용 앵커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결용 앵커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용 앵커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체결용 앵커(100)는 결합부재(110)와, 결합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바아(120)와, 상기 결합부재(110)와 결합되면서 제1 고정부재(130)와 제 2 고정부재(140)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10)는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걸림바아(1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삽입홈(112a)이 형성되는 제1 부재(112), 제1 부재(112)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걸림수단이 구비되는 제2 부재(1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홈(112a)은 제1 부재(112)를 지나서 제2 부재(114)의 소정 부분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112)는 제2 부재(1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수단은 제2 부재(114)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일측 방향으로는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부(114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바아(120)는 삽입홈(112a)안에서 회동되게 구비되고, 제1 부재(112)의 반경 방향으로 끼워지는 고정축(116)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바아(120)는 상기 고정축(116)이 관통하는 관통공(121)이 전체 길이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걸림바아(120)는 관통공(121)을 기준으로 제1 걸림바아(122)와 제2 걸림바아(124)로 나뉠 수 있고, 제1 걸림바아(122)에 해당하는 제1 길이(L1)와 제2 걸림바아(124)에 해당하는 제2 길이(L2)가 다르고, 제2 길이(L2)가 제1 길이(L1)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걸림바아(124)는 제1 걸림바아(122)보다 무게가 더 무겁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걸림바아(122)의 단부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단부(12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바아(120)는 수직한 상태에서 제2 걸림바아(124)쪽으로 기울어져서 수평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재(130)는 와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부(131)와, 삽입부(131)의 결합공(131a)의 내측 양쪽면에는, 제2 부재(114)의 걸림부(114a)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턱(1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30)는 결합부재(110)의 제2 부재(114)에 끼워진 다음, 걸림부(114a)를 따라 밀어서 이동되게 할 수 있고, 밀어서 이동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걸림이 이루어져서 이동되지 못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30)에는 2개로 쪼갤 수 있는 절개선(13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130)는 상기 삽입부(13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삽입부(1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부(136)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36)는 예를 들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을 참조하면, 도면상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얇게 형성되어서 그 하부에 결합되는 브래킷(200)과 천장(300)과의 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140)는 제1 고정부재(130)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결합부재(110)의 제2 부재(114)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공(141a)이 마련되는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부(141), 상기 결합공(141a)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42), 삽입부(14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부(1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고정부재(140)는 결합부재(110)의 제2 부재(114)의 걸림부(114a)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는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고 반대 방향으로는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140)에는 2개로 쪼갤 수 있는 절개선(14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30)와 너트부재(140)의 사이에는 브래킷(200)이 끼워지고, 상기 브래킷(200)에는 조명 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브래킷(200)에는 결합공(201)이 형성되어서 제2 부재(114)에 삽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부재(110)의 제2 부재(114)의 끝단부에는 분리가능한 핸들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114)의 끝단부에 연결되는 핸들부(118)는 핸들부(118)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제거홈(118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구조로서, 결합부재(110)의 제2 부재(114)에 형성되는 걸림수단으로서, 걸림부(114a) 대신에 제2 부재(114) 전체 외주면에 걸쳐서 나사부(114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114)에 나사부(114b)가 형성된 구조인 경우에는 제1 고정부재(130)와 제2 고정부재(140) 대신에 고정와셔(150) 및 고정너트(160)로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부재(114)에는 걸림부(114a)와 나사부(114b)를 모두 형성시킬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걸림부(114a)와 나사부(114b)는 제2 부재(11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됨과 동시에, 원주 방향(둘레 방향)의 일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석고보드로 이루어진 천장(300)에 조명기구를 설치하는 경우, 먼저 천장(300)의 원하는 위치에 전동 드릴 등으로 구멍(310)을 뚫은 다음, 결합부재(110)를 구멍(310)안으로 밀어 넣으면, 걸림바아(120)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구멍(310)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110)의 단부에는 핸들부(11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핸들부(118)를 잡고 구멍(310)안으로 밀어 넣으면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10)의 제2 부재(114)에는 미리 제1 고정부재(130)의 삽입부(131)에 형성된 결합공(131a)을 통해 약간 밀어서 삽입시킨 상태에서, 결합부재(110)를 천장(300)의 구멍(310)안으로 삽입한다.
결합부재(110)를 구멍(310)안으로 밀어 넣어서 제1 부재(112)가 구멍(310)안에 완전히 삽입되면, 걸림바아(120)는 제2 걸림바아(124)쪽으로 기울어지면서 회전될 수 있다.
제2 걸림바아(124)는 제1 걸림바아(122)에 비해 무게가 더 무겁기 때문에, 이러한 불균형으로 걸림바아(120)는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위치 변경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구멍(310)안에 펼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바아(120)는 구멍(310)의 내부에서 수평상태가 되므로, 결합부재(110)를 잡아당겨도 걸림바아(120)에 의해 걸림상태가 유지되어 빠지지 않게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130)를 결합부재(110)의 제2 부재(114)를 따라 천장(300)면까지 밀어 올리면, 제1 고정부재(130)는 제2 부재(1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제1 부재(112)와 만나면 더 이상 전진이 되지 않고 정지될 수 있다.
이때, 제2 부재(114)의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부(114a)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고정부재(130)의 삽입부(131)에 형성된 결합공(131a) 내부 양쪽면에는 걸림턱(1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부(114a)를 따라 제1 고정부재(130)를 쭉 밀어 올리면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고정부재(130)를 밀어 올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부(114a)와의 걸림에 의해 이동되지 못하게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고정부재(130)는 삽입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부재(130)는 플랜지부(13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고정부재(130)를 결합부재(110)의 제2 부재(114)에 삽입하여 밀어 올리면, 천장(300)면에 걸리면서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재(130)는 결합부재(110)의 제1 부재(112)의 하부에 고정되고, 천장(300)의 구멍(310)안에 일부 삽입되며, 체결용 앵커(100)가 천장(300)에서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만일, 제1 고정부재(130)를 결합하지 않는 경우, 결합부재(110)를 천장(300)의 구멍(310)안에 삽입하면, 잘못하여 구멍(310)안으로 많이 들어가서 빼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그러면 설치를 제대로 할 수 없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고정부재(130)를 삽입함으로써, 천장(300)의 외부면에 걸려서 정지될 수 있어, 천장(300)안으로 결합부재(110)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런 다음에, 조명 기구 또는 각종 장식물을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200)을 끼우고, 다시 제2 고정부재(140)를 결합부재(110)에 삽입하면 체결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용 앵커(100)의 체결 작업이 완료되면, 결합부재(110)의 단부에 형성된 핸들부(118)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핸들부(118)를 잡고 떼어내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재(110)의 제2 부재(114)에 나사부(114b)를 형성한 경우에는, 천장(300)의 구멍(310)안에 결합부재(110)를 밀어 넣은 후, 고정와셔(150)를 나사 결합하고, 브래킷(200)을 끼운 다음, 고정너트(160)를 나사결합하여 체결할 수 있다.
물론, 도 8을 참조하면, 천장(300)이 아닌 벽(400)에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벽(400)(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구조)에 구멍(310)을 뚫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체결용 앵커(100)를 체결하면, 조명 기구외에 다른 여러가지 장식물 등을 쉽게 체결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110)에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각종 장식물 등을 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10)에는 제1 고정부재(130)만을 체결하고, 상기 설명한 제2 고정부재(140) 및 브래킷(200)을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8에서, 걸림바아(120)는 상기 천장(300)안에 설치되어 걸림되는 걸림바아(120)와 반대로 설치될 수 있다. 즉, 걸림바아(120)는 벽(40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제1 걸림바아(122)에 비해 무거운 제2 걸림바아(124)가 하부로 위치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결용 앵커(100)는 결합부재(110)의 하단부에 핸들부(11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재(110)의 길이가 짧아서 취급이 불편한 경우, 핸들부(118)로 인해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핸들부(118)를 잡고 제1 고정부재(130)와 제2 고정부재(140)가 결합된 결합부재(110)를 천장(300)의 구멍(310)을 통해 삽입하면 쉽게 삽입할 수 있고, 걸림바아(120)의 회동에 의해 수평상태가 되어서 걸림이 이루어지면, 핸들부(118)를 제거할 수 있다.
핸들부(118)의 연결부위에는 제거홈(118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핸들부(118)는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결용 앵커(100)는 걸림부(114a)가 형성된 결합부재(110) 구조인 경우에는 한번 설치하면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한 체결용 앵커(100)를 제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결합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향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부(114a)로 이루어진 구조인 경우, 제1 고정부재(130)와 제2 고정부재(140)는 분리되지 않으므로, 이때에는 제1 고정부재(130)와 제2 고정부재(140)에 형성된 절개선(134)(144)을 통해 쪼개서 쉽게 분해할 수 있다.
물론, 천장(300)의 내부에 걸림이 이루어진 걸림바아(120)는 제2 고정부재(140)의 해체후, 브래킷(200)을 제거하면 되는데, 제1 고정부재(130)의 플랜지부(146)가 천장(300)의 구멍(310)을 커버해줌으로써, 굳이 제거하지 않고 결합부재(110)의 제2 부재(114)를 짧게 제거하고 그대로 둘 수 있다.
100 : 체결용 앵커
110 : 결합부재 112 : 제1 부재
114 : 제2 부재 112a : 삽입홈
114a : 걸림부 114b : 나사부
116 : 고정축
118 : 핸들부 118a : 제거홈
120 : 걸림바아 121 : 관통공
122 : 제1 걸림바아 124 : 제2 걸림바아
124a : 단부
130 : 제1 고정부재 131 : 삽입부
131a : 결합공 132 : 걸림턱
133 : 절개선 134,144 ; 절개선
140 : 제2 고정부재 141 : 삽입부
141a : 결합공 142 : 걸림턱
150 : 고정와셔 160 : 고정너트
200 : 브래킷 300 : 천장
310 : 구멍 400 : 벽
L1 : 제1 길이 L2 : 제2 길이

Claims (9)

  1.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걸림수단이 형성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천장 또는 벽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바아;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에 끼워서 조명 기구 또는 각종 장식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래킷;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하여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천장 또는 벽에 형성되는 구멍안으로 삽입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제1 부재보다 직경이 작은 제2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되는 걸림수단은,
    상기 제2 부재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고 둘레 방향의 일부만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고 둘레 방향으로 상기 나사부와 다른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측 방향으로만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에는 2개로 쪼갤 수 있는 절개선이 형성되는 체결용 앵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되고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천장 또는 벽면에 대면되면서 정지된 상태로 지지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의 걸림턱은 결합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부에 일방향 걸림이 이루어지는 체결용 앵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되고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의 걸림턱은 결합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부에 일방향 걸림이 이루어지는 체결용 앵커.
  9. 삭제
KR1020190083293A 2019-07-10 2019-07-10 체결용 앵커 KR102156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293A KR102156754B1 (ko) 2019-07-10 2019-07-10 체결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293A KR102156754B1 (ko) 2019-07-10 2019-07-10 체결용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754B1 true KR102156754B1 (ko) 2020-09-17

Family

ID=7270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293A KR102156754B1 (ko) 2019-07-10 2019-07-10 체결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7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3464A (zh) * 2020-10-27 2021-03-1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三研究所 一种新型周向槽型燃气轮机压气机叶片锁紧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868Y1 (ko) * 1987-04-11 1994-06-15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나사
JPH08296624A (ja) * 1995-04-27 1996-11-12 Wakai Sangyo Kk 中空部用ボルト
KR100348420B1 (ko) * 1997-12-09 2002-10-25 티. 카토 컴퍼니 리미티드 로킹와셔및이를이용한로킹장치
JP2004125154A (ja) * 2002-10-02 2004-04-22 Haruo Nakamura 気泡コンクリート用雌螺子アンカー
JP3151014U (ja) * 2009-03-25 2009-06-04 拓治 和田 止め具
KR101256019B1 (ko) * 2010-10-28 2013-04-18 신현우 체결 구조체
KR101426832B1 (ko) * 2013-12-13 2014-08-05 주식회사 샤크 설치가 용이한 반자동식 체결 구조체
KR20180127750A (ko) * 2017-05-22 2018-11-30 엄관호 고장력 앵커 볼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868Y1 (ko) * 1987-04-11 1994-06-15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나사
JPH08296624A (ja) * 1995-04-27 1996-11-12 Wakai Sangyo Kk 中空部用ボルト
KR100348420B1 (ko) * 1997-12-09 2002-10-25 티. 카토 컴퍼니 리미티드 로킹와셔및이를이용한로킹장치
JP2004125154A (ja) * 2002-10-02 2004-04-22 Haruo Nakamura 気泡コンクリート用雌螺子アンカー
JP3151014U (ja) * 2009-03-25 2009-06-04 拓治 和田 止め具
KR101256019B1 (ko) * 2010-10-28 2013-04-18 신현우 체결 구조체
KR101426832B1 (ko) * 2013-12-13 2014-08-05 주식회사 샤크 설치가 용이한 반자동식 체결 구조체
KR20180127750A (ko) * 2017-05-22 2018-11-30 엄관호 고장력 앵커 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3464A (zh) * 2020-10-27 2021-03-1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三研究所 一种新型周向槽型燃气轮机压气机叶片锁紧装置
CN112483464B (zh) * 2020-10-27 2023-03-1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三研究所 一种周向槽型燃气轮机压气机叶片锁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2673A (en) Electric box extension
US4573844A (en) Anchoring bolt device
US2758810A (en) Outlet boxes and fixture studs
US4391428A (en) Lance-type fixture support and method of use
US6893199B2 (en) Sheer resistant fastener assembly
US5630688A (en) Self-tapping sleeve
US3034185A (en) Reinforcing brace
US4717101A (en) Adjustable backing board bracket
US20200224676A1 (en) Bracketry for ceiling fan or lamp retrofits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2156754B1 (ko) 체결용 앵커
CN117750897A (zh) 通用安装支架
US6483031B2 (en) Mounting bracket and extra-low voltage control device for installation with an electrical outlet box
KR101426832B1 (ko) 설치가 용이한 반자동식 체결 구조체
KR20090014659A (ko) 건축용 인서트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지지장치
KR101256019B1 (ko) 체결 구조체
KR102231743B1 (ko) 체결용 앵커
US20090107083A1 (en) Multicategory Collection of Ceiling/Wall Devices With Familial Appearances
US8464985B2 (en) Attachment device for elongated member
JP2010095899A (ja) 屋内配線構造および建物
EP1548201A2 (en) Vibration damping construction system
CA2028929C (en) Electric junction box/outlet
US6283690B1 (en) Electrical box locating device
JP5385332B2 (ja) 装着箇所が任意に選択でき、固定と固定解除がワンタッチ操作で可能となる連結装具着脱方式の家具転倒防止装具
US2178168A (en) Outlet box with adjustable support
US20090321433A1 (en) Protective electrical box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