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261B1 -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 Google Patents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261B1
KR100347261B1 KR1019990036872A KR19990036872A KR100347261B1 KR 100347261 B1 KR100347261 B1 KR 100347261B1 KR 1019990036872 A KR1019990036872 A KR 1019990036872A KR 19990036872 A KR19990036872 A KR 19990036872A KR 100347261 B1 KR100347261 B1 KR 100347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nding
main frame
steel door
b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936A (ko
Inventor
태 선 김
Original Assignee
태 선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 선 김 filed Critical 태 선 김
Priority to KR1019990036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261B1/ko
Publication of KR1999008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81Workpiece sup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2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접 방식 스틸 도어의 제작에 있어, 전판 또는 후판을 구성할 판재의 상·하 헤밍부 구성부를 스커트 형태로 벤딩시키는데 사용되는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유압에 의해 판재의 상·하 헤밍부 구성부들을 스커트 형태로 벤딩시키는 두 벤딩유닛이 메인 프레임상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벤딩유닛간의 메인 프레임상에는 판재를 받쳐주는 테이블이 설치된다.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는 벤딩유닛들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와, 벤딩유닛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가 각각 설치된다. 벤딩유닛은 서포트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에 헤밍부 구성부가 돌출되도록 판재의 주변부가 얹혀지는 다이블록이 설치되고, 서포트 프레임에 유압펌프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실린더가 설치되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여 판재의 헤밍부 구성부를 벤딩시키는 펀치조립체로 구성된다. 펀치조립체는 피스톤로드에 고정되는 승강판의 하부에 판재를 눌러주는 누름판이 우레탄 스페이서로 지지되고, 누름판의 외측으로 펀치블록이 승강판에 고정된다. 따라서 비용접 방식 스틸 도어용 전판 또는 후판을 구성할 판재의 상·하 헤밍부들을 스커트 형태로 한 번의 동작에 의해 간편하게 벤딩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a bend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steel door}
본 발명은 스틸 도어(steel door) 제작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판(前板)과 후판(後板)을 용접없이 조립 고정하는 비용접방식 스틸도어의 제작에 있어 전판 또는 후판을 구성할 판재(板材)의 상·하 헤밍부(heming部) 구성부를 벤딩시키는데 사용되는 스틸도어 제작용 벤딩머신(bend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스틸 도어는 철이나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으로 제작된 도어를 총칭하는 것으로, 목재에 비해 저렴하면서도 높은 기계적강도와 안전성을 갖는 장점에 따라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빌딩이나 아파트 등과 같이 밀집구조를 갖는 건축물의 경우 방화(防火)기능이 강력히 요구되는 바, 이들의 출입구에는 모두 스틸 도어를 채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스틸 도어는 전판과 후판이 간격을 두고 용접으로 고정되고, 전·후판이 이루는 공간의 상·하단부에 두 채널(channel)이 각각 끼워져 용접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 경우 전판과 후판 및 각 채널들이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바, 제작작업이 상당히 번잡할 뿐만 아니라 용접점이 외부에 노출되어 스틸 도어의 미관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구성요소들을 용접없이 조립 고정할 수 있는 스틸 도어 조립방법을 본원과 동일자로 출원하고 있다. 이것은 전판(11) 한쪽의 스커트(skirt:16)에 복수의 슬롯(slot:20a)을 갖는 내향 플랜지(flange:20)를 형성함과 함께 다른쪽 선단에 바람막이(15)로 기능하는 제1헤밍부(17)를 형성하고, 그 상·하단에는 각 채널(13)(14)의 대응하는 스커트(13a)(14a)를 삽입하여 압착되는 제2 및 제3헤밍부(18)(19)를 형성한다. 그리고 후판(12) 한쪽의 제1스커트(21)에 슬롯(29a)에 끼워져 걸리는 복수의 훅(hook:26)을 갖는 내향 플랜지(25)를 형성함과 함께 다른쪽 선단에 전판(11)의제1헤밍부(17)에 삽입 압착되는 외향 플랜지(27)를 갖는 제2스커트(22)를 형성하고, 그 상·하단에 각 채널(13)(14)의 대응하는 스커트(13b)(14b)를 삽입하여 압착되는 제1 및 제2헤밍부(23)(24)를 형성하여, 각 요소들을 용접없이 조립 고정하는 것이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전판(11)과 후판(12)을 각각 구성할 판재(11′:도면에는 전판용 판재만 도시됨)에 도어록(door lock) 및 힌지(hinge) 등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A)(S)과, 훅 또는 슬롯(20a)쌍과, 스커트 구성부(16′) 및 헤밍부 구성부(17′)를 구성하기 위한 각 코너의 절단부(C) 등 여러 펀칭부들을 형성하고, 각각을 소요형태의 전·후판(11)(12)으로 벤딩한 뒤 상호 조립함으로써 제작된다.
여기서, 전판(11) 또는 후판(12)의 상·하 헤밍부 구성부(18′,19′)는 상·하 채널(13)(14)의 스커트(13a,13b 또는 14a,14b)를 삽입하여 압착되는 것이므로 전·후판(11)(12)의 조립전에 미리 스커트 형태로 벤딩되어 있어야 하는데, 전·후판(11)(12)의 양 측단에는 도어의 양 측면을 구성할 스커트(16)(21)(22)와 바람막이(15)가 먼저 벤딩되는 바, 통상의 벤딩기로는 벤딩시키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나머지 부호 28은 하니컴 코어(honeycomb core)이고, 29는 발포 우레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비용접 방식의 스틸 도어 제작에 있어서, 전판 또는 후판을 구성할 판재의 상·하 헤밍부 구성부를 스커트 형태로 1차 벤딩시키기 위한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 헤밍부 구성부들을 한 번의 동작으로 동시에 벤딩시킬 수 있는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판재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상·하 헤밍부 구성부들을 정확하게 벤딩시킬 수 있는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스틸 도어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그 전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Ⅵ을 따라 취한 발췌 측면도,
도 7은 도 4의 Ⅶ을 따라 취한 발췌 사시도,
도 8은 다이블록 세팅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위치조정구조를 보인 발췌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Ⅹ-Ⅹ선 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다이블록의 가변구조를 보인 발췌 측면도들,
도 12는 다이블록에 대한 판재의 장착상태를 보인 발췌 측면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발췌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전판 11′: (전판을 구성할) 판재
12: 후판 13, 14: (상·하부) 채널
18′, 19′: (판재의) 상·하 헤밍부 구성부
100: 메인 프레임
200: 벤딩유닛(bending unit)
210: 베이스(base) 220: 서포트 프레임(support frame)
230: 다이블록(die block) 231: (다이블록의) 메인블록
232: (메인블록의) 단턱부 233, 233′: (다이블록의) 서브블록
234: (메인블록의) 안내홈 241: 승강판
243: 누름판 245: 펀치블록(punch block)
250: 승강실린더 261: 가이드레일
262: 가이드블록 263: 이송스크류
266: 부시
300: 테이블 400: 유압펌프
500: 콘트롤러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두 채널을 각각의 상·하 헤밍부들에 삽입 압착시킴으로써 간격을 두고 상호 조립 고정되는 비용접 방식 스틸 도어의 제작에 있어, 전판 또는 후판을 구성할 판재의 상·하 헤밍부를 스커트 형태로 벤딩시키는데 사용되는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으로서, 메인 프레임; 이 메인 프레임상에 서로 대향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판재의 상·하 헤밍부 구성부들을 스커트 형태로 각각 벤딩시키는 두 벤딩유닛; 이 두 벤딩유닛들 사이의 메인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벤딩될 판재를 받쳐주는 테이블;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각 벤딩유닛들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 및 벤딩유닛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각 벤딩유닛은, 상면 한쪽에 서포트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상의 다른쪽에 장착되며 어느 한 헤밍부 구성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판재의 가장자리부가 얹혀지는 다이블록(die block)과, 서포트 프레임에 설치되어 모터에 연결된 유압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유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승강실린더와, 이 승강실린더의 피스톤로드(piston rod)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승강판과, 이 승강판의 하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판재를 다이블록에 대해 눌러주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승강판에 고정되어 판재의 헤밍부 구성부를 벤딩시키는 펀치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비용접 방식 스틸 도어용 전판 또는 후판을 구성할 판재의 상·하 헤밍부들을 스커트 형태로 한 번의 동작에 의해 간편하게 벤딩시킬 수 있어 스틸 도어의 제작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시하지 않은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은 메인 프레임(100)과, 이 메인 프레임(100)상에 서로 대향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전판(11) 또는 후판(12)을 구성할 판재(11′)의 상·하 헤밍부 구성부(18′)(19′)들을 스커트 형태로 각각 1차 벤딩시키는 두 벤딩유닛(200)과, 두 벤딩유닛(200)들 사이의 메인 프레임(100)상에 설치되어 판재(11′)를 받쳐주는 테이블(300)과, 벤딩유닛(200)들에 유압을 각각 공급하도록 미도시된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유압펌프(400) 및 벤딩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500)로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100)은 상면에 베드(bed:110)를 가지며, 하단부 근처에 유압펌프(400)가 장착되는 지지판(120)을 갖는다.
도 7에서, 각 벤딩유닛(200)은 상면 한쪽에 서포트 프레임(220)을 가지고 메인 프레임(100)의 베드(100)상에 고정되는 베이스(210)와, 이 베이스(210)상의 다른쪽에 장착되며 벤딩될 판재(11′)의 가장자리부가 얹혀지는 다이블록(230)과, 이다이블록(230)의 직상부에 위치되어 판재(11′)의 헤밍부 구성부(18′)(19′)들을 스커트 형태로 벤딩시키는 펀치조립체(240) 및 서포트 프레임(22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펀치조립체(240)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250)로 구성된다.
서포트 프레임(220)은 베이스(210)상에 판재(11′)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대략 L자형의 두 서포트(221) 사이에 장착판(222)이 설치되어 구성되며, 이 장착판(222)상의 중앙에 그 피스톤로드(251)가 관통하도록 승강실린더(250)가 설치된다. 승강실린더(250)는 유압펌프(400)에 연결되어 콘트롤러(500)의 신호에 따른 모터(미도시됨) 구동으로 인해 유압펌프(400)로 부터 토출되는 유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다이블록(230)은 단일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판재(11′)들을 벤딩할 수 있도록 상면 한쪽에 단턱부(232)를 갖는 메인블록(231)과, 이 메인블록(231)의 단턱부(232)에 판재(11′)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서브블록(233)으로 구성된다. 메인블록(231)은 그 단턱부(232)를 제외한 길이가 통용되는 최소크기의 스틸 도어 폭에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각 서브블록(233)(233′)의 길이는 메인블록(231)에 장착되었을 때 양자의 길이가 통용되는 다른 크기의 스틸 도어들 폭에 각각 대응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는 상·하 헤밍부 구성부(18′,19′)가 벤딩될 판재(11′)의 양 측단에는 도어의 측면을 구성할 스커트(16)(21)(22)와 바람막이(15) 등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 바, 단일몸체로 구성할 경우 이들이 간섭을 일으키므로 어느 한 크기의 판재(11′)밖에 벤딩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판재(11′)의 자유단쪽 측단에는 외향하는 바람막이(15) 또는 이에 끼워져 압착되는 외향 플랜지(27)가 형성되므로 다이블록(230)의 선단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그 고정단쪽 측단에 형성된 스커트(16 또는 21)는 내향 플랜지(20 또는 25)를 가지는 바, 다이블록(230)의 선단면이 평면으로 구성될 경우 판재(11′)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 1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블록(230)의 타단, 즉 그 메인블록(231)의 다른쪽 선단면에는 바람직하기로 내향 플랜지(20 또는 25)를 갖는 판재(11′)의 고정단쪽 스커트(16 또는 21)가 끼워져 안착되는 안내홈(234)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234)은 판재(11′)의 세팅을 가이드함은 물론 세팅의 정확성을 높이는 기능도 겸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다이블록(230)은 바람직하기로 판재(11′)의 정확한 벤딩을 위해 그 장착위치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블록(231)의 양 단부에 나사구멍(235)을 각각 관통형성하고, 이 관통구멍(235)들에 대응하도록 베이스(210)상의 양쪽 전후에 지지블록(211)들을 각각 설치한 뒤, 고정볼트(236)들이 각 지지블록(211)을 관통하여 메인블록(231)의 나사구멍(235) 양쪽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다이블록(230)을 베이스(210)상에 장착하는 것이다.
펀치조립체(240)는 승강실린더(250)의 피스톤로드(251) 선단에 고정되는 승강판(241)과, 이 승강판(241)의 하부에 위치되어 다이블록(230)상에 얹혀진 판재(11′)를 눌러주는 누름판(243)과, 이 판재(11′)의 상·하 헤밍부 구성부(18′,19′)를 스커트 형태로 벤딩시키는 펀치블록(245)으로 구성된다. 누름판(243)은 승강판(241)의 하면에 고정된 고정판(242)에 복수의 우레탄 스페이서(244)를 통해간격을 두고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펀치블록(245)은 누름판(243)의 외측, 즉 판재(11′)의 헤밍부 구성부(18′,19′)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승강판(241)의 하면에 고정되는데, 이 펀치블록(245)의 하면은 누름판(243)의 하면과 동일면상에 위치되거나 약간 상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승강판(241)의 상면 양쪽에는 그 승강을 안내 지지하는 두 가이드 포스트(guide post:246)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서포트 프레임(220)의 장착판(222) 양쪽에 관통 결합된다.
한편, 판재(11′)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판재(11′)의 폭방향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도 조절할 수 있어야 하는 바, 적어도 어느 한 벤딩유닛(200)이 메인 프레임(100)에 대한 상대적인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위치조정수단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예를들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벤딩유닛(200)이 메인 프레임(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도 9 및 도 10에서, 베드(110)의 상면 한쪽에는 두 가이드레일(guide rail:261)을 상면 양쪽에 가지는 안내판(260)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한 벤딩유닛(200)의 베이스(210) 하면 양쪽에는 두 가이드레일(261)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블록(262)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두 가이드레일(261) 사이에는 이송스크류(263)가 안내판(261)의 두 지지블록(265)에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송스크류(263)의 일단에는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handle:264)이 구비된다. 이 이송스크류(263)에는 베이스(210)의 하면에 고정된 부시(266)가 나사결합된다.
한편 서포트 프레임(220)의 한 서포트(221) 측면에는 콘트롤러(500)와 연결되어 승강실린더(250)의 스트로크를 한정하는 상·하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271,272)가 적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승강판(241)의 한쪽에는 두 감지돌기(274,275)를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갖는 감지로드(273)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테이블(300)은 그 상면이 두 벤딩유닛(200)들의 다이블록(230) 상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메인블록(241)의 단턱부(242)를 제외한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구성된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의 작동을 도 13을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벤딩할 판재(11′)의 크기에 따라 다이블록(230)의 폭을 조절한다. 즉 메인블록(231)만을 취하거나 또는 이 메인블록(231)의 단턱부(232)에 서브블록(233)(233′)들을 선택하여 장착한다.
다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고정볼트(236)들을 적절히 죄거나 풀어 다이블록(230)을 베이스(210)상에서 미세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다이블록(230)의 장착위치를 정확히 세팅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264)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돌려 두 벤딩유닛(200) 사이의 간격을 대상 판재(11′)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맞춘다. 즉 핸들(264)을 돌리면, 이송스크류(263)가 정 또는 역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시(266)가 이송스크류(263)를 따라 선택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한쪽의 벤딩유닛(200)이 대향하는 벤딩유닛(200)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동하는 벤딩유닛(200)은 두 가이드레일(261)에 슬라이딩 지지되므로 매우 안정되면서도 원활하게 이동된다.
다음, 테이블(300)상에 벤딩할 판재(11′)를 얹는다. 이때 판재(11′)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향 플랜지(20 또는 25)가 형성된 고정단쪽 스커트(16 또는 21)가 다이블록(230)의 안내홈(234)에 끼워지게 되는 바, 전체적으로 안정되게 지지됨은 물론 다이블록(230)의 상대위치에 정확하게 세팅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세팅이 완료되면,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11′)의 상·하 헤밍부 구성부(18,19)들이 각 다이블록(2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두 펀치블록(245)의 직하부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콘트롤러(500)에 전원을 인가한 뒤, 벤딩유닛(200)을 동작시킨다. 콘트롤러(500)의 동작신호에 따른 미도시된 모터 구동으로 인해 유압펌프(400)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유압펌프(400)로 부터 토출되는 유압이 승강실린더(250)에 공급되어 그 피스톤로드(251)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피스톤로드(251)에 고정된 펀치조립체(240)가 가이드 포스트(246)들에 안내되면서 하강하여,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그 누름판(243)이 판재(11′)의 가장자리부를 눌러줌으로써 판재(11′)를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 계속된 펀치조립체(240)의 하강에 의해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레탄 스페이서(244)가 압축됨과 동시에 각 펀치블록(245)들이 더욱 하강하여 다이블록(23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판재(11′)의 상·하 헤밍부 구성부(18′,19′)들을 눌러주게 되며, 이에 따라 각 헤밍부 구성부(18′,19′)들이 다이블록(230)의 외측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꺽이게 된다.
이때, 승강판(241)에 설치된 감지로드(273)가 함께 하강되는 바, 이의 상부 감지돌기(274)가 서포트(221)에 설치된 상부 리미트 스위치(271)에 접촉되면 그 접촉신호가 콘트롤러(500)에 전달됨으로써 피스톤로드(251)의 하강이 멈추게 됨과 동시에 반대로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우레탄 스페이서(244)가 복원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펀치블록(245)이 상승하게 되고, 이어서 누름판(243)이 상승하여 판재(11′)의 구속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때 펀치조립체(240)와 함께 상승하는 감지로드(273)의 하부 감지돌기(275)가 하부 리미트 스위치(272)에 접촉되면 승강실린더(250)의 구동이 멈추게 됨으로써 상·하 헤밍부 구성부(18′,19′)들의 벤딩을 완료하게 된다.
다음 벤딩이 완료된 판재(11′)를 인출한 뒤, 전술한 방법으로 다음 판재(11′)의 벤딩을 진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용접 방식 스틸 도어용 전판 또는 후판을 구성할 판재의 상·하 헤밍부들을 채널과 조립가능한 스커트 형태로 한 번의 동작에 의해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벤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틸 도어의 제작성 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두 채널을 각각의 상·하 헤밍부들에 삽입 압착시킴으로써 전판과 후판이 간격을 두고 상호 조립 고정되는 비용접 방식 스틸 도어의 제작에 있어, 상기 전판 또는 후판을 구성할 판재의 상·하 헤밍부를 스커트 형태로 1차 벤딩시키는데 사용되는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으로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서로 대향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판재의 상·하 헤밍부 구성부들을 스커트 형태로 각각 벤딩시키는 두 벤딩유닛;
    상기 두 벤딩유닛들 사이의 메인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벤딩될 상기 판재를 받쳐주는 테이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각 벤딩유닛들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
    상기 벤딩유닛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벤딩유닛은,
    상면 한쪽에 서포트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의 다른쪽에 장착되며 어느 한 헤밍부 구성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판재의 가장자리부가 얹혀지는 다이블록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설치되어 유압펌프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하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판재를 다이블록에 대해 눌러주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승강판에 고정되어 판재의 헤밍부 구성부를 벤딩시키는 펀치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블록이,
    한쪽 상면에 단턱부를 갖는 메인블록과, 상기 판재의 크기에 따라 메인블록의 단턱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블록의 메인블록 타단에 상기 판재의 스커트가 끼워져 안착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크기에 따라 두 벤딩유닛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한 벤딩유닛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한 설치위치 조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일단에 핸들을 가지고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벤딩유닛의 베이스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부시와,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상기 이송스크류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두 가이드레일과, 상기 벤딩유닛의 베이스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두 가이드레일과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가이드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KR1019990036872A 1999-09-01 1999-09-01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KR100347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872A KR100347261B1 (ko) 1999-09-01 1999-09-01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872A KR100347261B1 (ko) 1999-09-01 1999-09-01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936A KR19990083936A (ko) 1999-12-06
KR100347261B1 true KR100347261B1 (ko) 2002-08-07

Family

ID=3748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872A KR100347261B1 (ko) 1999-09-01 1999-09-01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2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2683A (zh) * 2011-01-24 2011-09-07 张家港市龙冠特种装饰材料厂 多工位铝条折弯装置
KR102052895B1 (ko) * 2018-06-22 2019-12-06 이자희 개방형 부스바 절곡장치
CN110682063A (zh) * 2019-10-17 2020-01-14 谢秋玲 一种氟碳漆铝吊顶扣板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046B1 (ko) * 2013-01-30 2014-07-17 김산동 다규격 금속 시트 프레스 장치
CN111318595B (zh) * 2020-02-26 2022-04-12 福州华宏消防科技有限公司 防火门生产用门扇折弯成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376491A (zh) * 2020-04-28 2020-07-07 永康市致一自动化设备有限公司 塑料衣柜门板自动组装机
CN114082822B (zh) * 2021-11-01 2024-02-09 海宁开关厂有限公司 一种环网柜柜门一体折弯成型装置
CN114309270B (zh) * 2021-12-31 2024-04-09 安徽艾普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雪电展示柜侧板及u壳成型线
CN117206370B (zh) * 2023-11-08 2024-01-26 山东迪拖农业装备有限公司 一种拖拉机挡泥板的折弯加工设备
CN117259506B (zh) * 2023-11-23 2024-02-06 长春德尔邦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车架铰链加工用无压痕折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9048A (en) * 1980-08-20 1982-03-04 Sanwa Shutte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unching and bending external plate of door panel
JPH06154892A (ja) * 1992-11-26 1994-06-03 Daihatsu Motor Co Ltd ヘミ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9048A (en) * 1980-08-20 1982-03-04 Sanwa Shutte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unching and bending external plate of door panel
JPH06154892A (ja) * 1992-11-26 1994-06-03 Daihatsu Motor Co Ltd ヘミング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2683A (zh) * 2011-01-24 2011-09-07 张家港市龙冠特种装饰材料厂 多工位铝条折弯装置
KR102052895B1 (ko) * 2018-06-22 2019-12-06 이자희 개방형 부스바 절곡장치
CN110682063A (zh) * 2019-10-17 2020-01-14 谢秋玲 一种氟碳漆铝吊顶扣板制造方法
CN110682063B (zh) * 2019-10-17 2020-12-04 周晓斌 一种氟碳漆铝吊顶扣板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936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7261B1 (ko)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CN111069418B (zh) 一种冲压弯折打孔模具
JP2004517733A (ja) 電気的縁取りプレス
CN109226468A (zh) 多角度双孔冲模
US2966934A (en) Universal punch for tube bending
KR100377899B1 (ko) 스틸 도어 제작용 피어싱 머신
KR100347262B1 (ko) 스틸 도어 조립기
JPS6018235A (ja) 板金成形品締結方法及びそのプレス金型
CN100437852C (zh) 电解电容器用接头端子、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KR200235125Y1 (ko) 벤딩 성형용 프레스 금형 장치
CN109648905B (zh) 气动冲压装置及激光器制备系统
JP3771698B2 (ja) デッキプレートの製造装置
KR200254459Y1 (ko) 용마루 기와 성형용 금형
RU221642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заготовки
KR102287908B1 (ko) 헤밍작업전환이 용이한 프레스 가공장치
CN219805192U (zh) 一种零件加工用的冲压机
KR20220150106A (ko) C형 강 제조용 멀티 프레스 장치
CN217550912U (zh) 一种门锁的冲压折弯装置
CN219664901U (zh) 一种压平及侧成形的模具
CN219881043U (zh) 一种可调夹紧定位冲孔模具
CN215786014U (zh) 一种用于汽车天窗导轨l型缺口的冲切机构
CN219253873U (zh) 一种冲压设备的选择冲结构
CN116532562B (zh) 一种配电柜面板自动冲压设备
KR101935207B1 (ko) 문틀 프레임 바닥 지지 장치
JPS5927725A (ja) 段付波形金属板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