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262B1 - 스틸 도어 조립기 - Google Patents

스틸 도어 조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262B1
KR100347262B1 KR1019990036873A KR19990036873A KR100347262B1 KR 100347262 B1 KR100347262 B1 KR 100347262B1 KR 1019990036873 A KR1019990036873 A KR 1019990036873A KR 19990036873 A KR19990036873 A KR 19990036873A KR 100347262 B1 KR100347262 B1 KR 100347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door
hemming
block
plat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937A (ko
Inventor
태 선 김
Original Assignee
태 선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 선 김 filed Critical 태 선 김
Priority to KR1019990036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262B1/ko
Publication of KR19990083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판의 상·하 헤밍부들에 채널이 각각 압착되고, 그 한쪽 측단들이 훅/슬롯쌍에 의해 결합됨과 함께 다른쪽 측단들이 바람막이용 헤밍부를 통해 압착되는 비용접방식 스틸도어의 제작에 있어, 가조립된 스틸도어의 각 헤밍부들을 압착시켜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스틸 도어 조립기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메인프레임의 한쪽에 설치되어 바람막이용 헤밍부를 압착시키는 제1압착유닛이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양쪽에는 전·후판의 상·하 헤밍부들을 각각 압착시키는 두 제2압착유닛이 설치된다. 제1압착유닛은, 서포트프레임에 설치된 승강실린더와, 가조립 상태의 바람막이용 헤밍부가 얹혀지는 베드블록과, 승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장착되어 바람막이용 헤밍부를 압착시키는 프레스블록으로 구성된다. 제2압착유닛은, 가조립 스틸도어의 상 또는 하단부가 얹혀지는 베드 플레이트와, 서포트 프레임의 설치된 수직 및 수평실린더와, 수직실린더에 의해 가조립 스틸도어를 고정시키는 홀더블록과, 수평실린더에 의해 가조립상태 전·후판의 상부 또는 하부 헤밍부들을 압착시키는 푸시블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비용접방식 스틸도어의 제작시 각 헤밍부들을 한 번의 동작으로 간편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틸 도어 조립기{a assembl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steel door}
본 발명은 스틸 도어(steel door) 제작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판(前板)과 후판(後板)을 용접없이 조립 고정하는 비용접방식 스틸도어의 제작에 있어 전판과 후판을 상·하부 채널(channel)들과 함께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스틸도어 조립기에 관한 것이다.
스틸 도어는 철이나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으로 제작된 도어를 총칭하는 것으로, 목재에 비해 저렴하면서도 높은 기계적강도와 안전성을 갖는 장점에 따라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빌딩이나 아파트 등과 같이 밀집구조를 갖는 건축물의 경우 방화(防火)기능이 강력히 요구되는 바, 이들의 출입구에는 모두 스틸 도어를 채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스틸 도어는 전판과 후판이 간격을 두고 용접으로 고정되고, 전·후판이 이루는 공간의 상·하단부에 두 채널이 각각 끼워져 용접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 경우 전판과 후판 및 각 채널들이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바, 제작작업이 상당히 번잡할 뿐만 아니라 용접점이 외부에 노출되어 스틸 도어의 미관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구성요소들을 용접없이 조립 고정할 수 있는 스틸 도어 조립방법을 본원과 동일자로 출원하고 있다. 이것은 전판(11) 한쪽의 스커트(skirt:16)에 복수의 슬롯(slot:20a)을 갖는 내향 플랜지(flange:20)를 형성함과 함께 다른쪽 선단에 바람막이(15)로 기능하는 제1헤밍부(17)를 형성하고, 그 상·하단에는 각 채널(13)(14)의 대응하는 스커트(13a)(14a)를 삽입하여 압착되는 제2 및 제3헤밍부(18)(19)를 형성한다. 그리고 후판(12) 한쪽의 제1스커트(21)에 슬롯(29a)에 끼워져 걸리는 복수의 훅(hook:26)을 갖는 내향 플랜지(25)를 형성함과 함께 다른쪽 선단에 전판(11)의 제1헤밍부(17)에 삽입 압착되는 외향 플랜지(27)를 갖는 제2스커트(22)를 형성하고, 그 상·하단에 각 채널(13)(14)의 대응하는 스커트(13b)(14b)를 삽입하여 압착되는 제1 및 제2헤밍부(23)(24)를 형성하여, 각 요소들을 용접없이 조립 고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먼저 전판(11)과 후판(12)을 각각 구성할 판재(板材)에 도어록(door lock) 및 힌지(hinge) 등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과, 훅(26) 또는 슬롯(20a)쌍과, 스커트(16)(21)(22)와 헤밍부(17~19)(23,24)들을 구성하기 위한 각 코너의 절단부 등 여러 펀칭부들을 형성하여 각각을 소요형태의 전·후판(11)(12)으로 벤딩하고,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자간에 상·하부 채널(13)(14)를 개재하여 가조립한 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자의 각 헤밍부(17~19)(23,24)들을 압착함으로써 제작된다. 나머지 부호 28은 하니컴 코어(honeycomb core)이고, 29는 발포 우레탄이다.
따라서, 스틸도어의 정확한 제작을 위해서는 가조립상태 스틸도어의 각 헤밍부들을 동시에 압착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비용접 방식의 스틸 도어 제작에 있어서, 전판과 후판을 양자간의 상하부에 채널를 각각 개재하여 상호 조립 고정하기 위한 스틸 도어 조립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틸도어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의 스틸도어들을 조립시킬 수 있으며, 한 번의 동작으로 각 구성요소들을 정확하게 조립 고정시킬 수 있는 스틸 도어 조립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스틸 도어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그 조립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도어 조립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그 평면도,
도 6은 그 우측면도,
도 7은 제1압착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제1압착유닛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들,
도 10은 제2압착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A-A선을 따라 취한 발췌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제2압착유닛의 작동을 보인 발췌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전판 12: 후판
13, 14: (상·하부) 채널 17: 바람막이용 헤밍부
18, 19, 23, 24: (전·후판의) 상·하 헤밍부
100: 메인 프레임
200: 제1압착유닛
210: 서포트 프레임 220: 베드블록(bed block)
230: 프레스블록(press block) 240: 승강실린더
300: 제2압착유닛
310: 서포트 프레임 320: 베드 플레이트(bed plate)
330: 홀더블록(holder block) 340: 수직실린더
350: 푸시블록(push block) 351: (푸시블록의) 메인블록
352: (푸시블록의) 서브블록 360: 수평실린더
400: 유압모터 500: 콘트롤러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판과 후판의 상·하 헤밍부들에 두 채널이 각각 압착되고, 그 한쪽 측단들이 훅/슬롯쌍에 의해 결합됨과 함께다른쪽 측단들이 바람막이용 헤밍부를 통해 압착되는 비용접 방식 스틸 도어의 제작에 있어, 가조립된 스틸도어의 각 헤밍부들을 압착시켜 조립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스틸 도어 조립기로서, 메인 프레임; 이 메인 프레임상의 한쪽에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바람막이용 헤밍부를 압착시키는 제1압착유닛; 메인 프레임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제1압착유닛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전판과 후판의 상·하 헤밍부들을 각각 압착시키는 두 제2압착유닛: 제1,2 압착유닛들에 유압을 각각 제공하는 유압모터; 및 각 압착유닛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controller):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제1압착유닛은,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서포트 프레임과, 서포트 프레임에 설치되어 유압모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실린더와,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며 가조립 상태의 바람막이용 헤밍부가 얹혀지는 베드블록(bed block)과, 이 베드블록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승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가조립 상태의 바람막이용 헤밍부를 압착시키는 프레스블록(press block)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제2압착유닛은,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서포트 프레임과, 이 서포트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가조립상태 스틸도어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얹혀지는 베드 플레이트와, 서포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압모터와 연결되는 수직실린더와, 이 수직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가조립상태의 스틸도어를 베드 플레이트상에 눌러 고정시키는 홀더블록(holder block)과, 서포트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유압모터와 연결되는수평실린더와, 수평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장착되어 이동되며 가조립상태 전·후판의 상부 또는 하부 헤밍부들을 압착시키는 푸시블록(push block)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비용접 방식 스틸 도어의 제작시 채널을 개재하여 가조립된 전판과 후판의 헤밍부들을 한 번의 동작에 의해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스틸 도어의 제작성 향상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시하지 않은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스틸 도어 조립기는 메인 프레임(100)과, 이 메인 프레임(100)상의 한쪽에 설치되어 가조립상태 스틸도어의 바람막이용 헤밍부(17)를 압착시키는 제1압착유닛(200)과, 메인 프레임(100)상에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도록 제1압착유닛(200)과 직교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가조립상태 스틸도어의 상부 및 하부 헤밍부(18,23)(19,24)들을 각각 압착시키는 두 제2압착유닛(300)과, 제1 및 제2 압착유닛(300)들에 유압을 각각 공급하는 유압모터(400)와, 각 압착유닛(300)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500)로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100)은 상면에 베드(110)를 가지며, 하단부 근처에 지지판(120)을 가지는데, 이 지지판(120)상에 전술한 유압모터(400)가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모터(400)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콘트롤러(5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모터(400)와 함께 구성될 경우, 조작의 편의를 위해 메인 프레임(100)의 한쪽에 콘트롤러(500)와 접속된 조작패널(500′)이 더 구비된다.
도 7 및 도 8에서, 제1압착유닛(200)은 메인 프레임(100)의 베드(110)상에 고정되는 서포트 프레임(210)과, 가조립 상태의 바람막이용 헤밍부(17)가 얹혀지는 베드블록(220)과, 이 베드블록(220)의 직상부에서 승강하여 가조립 상태의 바람막이용 헤밍부(17)를 눌러 압착시키는 프레스블록(230) 및 서포트 프레임(210)의 상부에 프레스블록(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프레스블록(230)을 승강시키는 두 승강실린더(240)로 구성된다.
서포트 프레임(210)은 베드블록(220)의 양쪽 선단에 위치하도록 메인 프레임(100)의 베드(110)상에 고정되는 두 서포트(211)의 상단부에 양자를 연결하는 장착판(212)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 장착판(212)상에 그 피스톤로드(241)가 관통하도록 승강실린더(240)가 설치되고, 하방으로 돌출된 피스톤로드(241)의 선단에 프레스블록(230)이 장착된다. 이때 바람직하기로 승강실린더(240)와 그 피스톤로드(241)는 서로 대응하는 상·하 고정판(242)(243)들을 통해 장착판(212)과 프레스블록(230)에 각각 설치되고, 하부 고정판(243)의 양쪽에는 프레스블록(230)의 승강을 안내하는 두 가이드 포스트(244)가 상부 고정판(24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승강실린더(240)는 유압모터(400)에 연결되고, 콘트롤러(500)의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데, 이 승강실린더(240)의 스트로크는 도시하지 않은 한쌍의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에 의해 규제된다. 그리고 두 서포트(211)의 상면에는 장착판(212)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플레이트(213)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복수의 연결편(214)을 통해 장착판(212)과 연결된다.
한편, 두 제2압착유닛(300)들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하나의 구성만을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 제2압착유닛(300)은 메인 프레임(100)상에 고정되는 서포트 프레임(310)과, 가조립상태 스틸도어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얹혀지는 베드 플레이트(320)와, 수직실린더(340)에 의해 승강되어 가조립상태의 스틸도어를 베드 플레이트(320)상에 눌러 고정시키는 홀더블록(330) 및 수평실린더(36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조립상태 스틸도어의 전·후판(11)(12) 상부 또는 하부 헤밍부(18,23 또는 19,24)들을 압착시키는 푸시블록(350)으로 구성된다.
서포트 프레임(310)은 메인 프레임(100)의 베드(110)상에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 고정되는 두 서포트(311)와, 두 서포트(311)의 상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상면장착판(312) 및 두 서포트(31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측면장착판(313)으로 구성된다. 서포트(311)는 대략 채널형태로 구성되며, 이 서포트(311)들의 하측 스커트상에 베드 플레이트(320)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기로 베드 플레이트(320)는 제1압착유닛(200)의 베드블록(220)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상면장착판(312)상에는 홀더블록(330)을 승강시키는 수직실린더(340)가 설치되는데, 이 수직실린더(340)의 피스톤로드(341)가 상면장착판(312)를 관통하여 홀더블록(330)과 연결된다. 그리고 홀더블록(330)의 양쪽 선단부에는 이의 승강을 안내하는 두 가이드 포스트(331)가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면장착판(312)에 관통 결합된다.
측면장착판(313)에는 푸시블록(350)을 이동시키는 수평실린더(360)가 설치되며, 그 피스톤로드(361)가 측면장착판(313)을 관통하여 푸시블록(350)을 지지하는이동판(353)과 연결된다. 이동판(353)은 바람직하기로 그 일측면에 다수의 고정구멍(355)들이 형성된 대략 L자형의 브래킷(bracket:354)을 가지며, 이 브래킷(354)에 푸시블록(350)이 볼트에 의해 장착된다. 이동판(353)의 양쪽 단부에는 그 이동을 안내하는 두 가이드 포스트(356)가 각각 설치되어 측면장착판(313)에 관통 결합된다. 그리고 서포트 프레임(310)의 한 서포트(311) 측면에는 콘트롤러(500)와 연결되어 수평실린더(360)의 스트로크를 한정하는 한쌍의 리미트 스위치(371,372)가 적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이동판(353)의 한쪽에는 두 감지돌기(374,375)를 갖는 감지로드(373)가 수평으로 설치된다.
푸시블록(350)은 단일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다양한 크기의 스틸도어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특정길이를 갖는 메인블록(351)과, 이 메인블록(351)의 일단에 스틸도어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 장착되는 복수의 서브블록(352)(35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메인블록(351)의 길이는 통용되는 최소크기의 스틸도어 폭에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각 서브블록(352)(352′)의 길이는 메인블록(351)과 연결되었을 때 양자의 길이가 통용되는 다른 크기의 스틸 도어들 폭에 각각 대응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블록(350)이 가조립 상태의 전판(11)과 후판(12) 사이로 진입함으로써 그 상·하 헤밍부(18,23)(19,24)를 압착하는 것인 바, 단일몸체로 구성할 경우 그 양쪽 스커트(16,21)(22)들에 의해 간섭이 일어나 어느 한 크기의 스틸도어밖에 조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푸시블록(350)의 두께는 채널(13,14)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전·후판(11)(12)의 두께를 감안하여 적절히 설정된다.
한편, 스틸도어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스틸도어의 폭방향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도 조절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두 제2압착유닛(300)의 푸시블록(350)이 수평실린더(360)에 의해 이동하는 구성이므로 스틸도어의 크기에 따라 그 이동폭을 리미트 스위치(371,372)에 의해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리미트 스위치(371,372)를 작동시키는 감지로드(373)의 두 감지돌기(374,375)들 설치간격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수평실린더(360)의 스크로크를 스틸도어의 크기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틸 도어 조립기의 작동을 도 9 및 도 12을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할 스틸도어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베드블록(330)의 폭을 조절한다. 즉 메인블록(351)만을 이동판(353)의 브래킷(354)에 장착하거나 또는 이 메인블록(351)의 한쪽으로 연속되도록 서브블록(352)(352′)들을 선택하여 브래킷(354)에 장착한다. 또한 조립할 스틸도어의 크기에 따라 감지로드(373)의 두 감지돌기(374,375)들간의 간격을 적절히 조정하여 수평실린더(360)의 스트로크를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판(11)(12)이 그 상·하단부에 두 채널(13)(14)를 각각 개재하여 가조립된 스틸도어를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단부가 두 제2압착유닛(300)의 베드 플레이트(320)상에 위치하도록 탑재한다. 이때 가조립상태 스틸도어의 바람막이용 헤밍부(17)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압착유닛(200)의 베드블록(220)상에 얹혀지게 된다.
다음, 콘트롤러(500)를 통해 기계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콘트롤러(500)의 동작신호에 의해 유압모터(400)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제1·2압착유닛(200)(300)들의 각 실린더(240)(340)(360)에 유압이 공급되어 그 피스톤로드(241)(341)(361)들이 전진하게 된다. 그러면 먼저,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압착유닛(300)들의 수직실린더(340) 피스톤로드(341)에 고정된 홀더블록(330)들이 하강하여 가조립 스틸도어의 상·하단부를 눌러줌으로써 베드 플레이드(320)상에 고정시킨다. 이와 동시에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압착유닛(200)의 프레스블록(230)이 하강하여 바람막이용 헤밍부(17)를 압착시킴으로써 후판(12)의 외향 플랜지(27)를 바람막이용 헤밍부(17) 사이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제2압착유닛(300)의 이동판(353)들이 가조립 스틸도어 쪽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블록(350)들이 가조립 스틸도어의 상·하단부내로 일정길이만큼씩 각각 진입하게 됨으로써 전판(11)과 후판(12)의 상·하 헤밍부(18,23)(19,24)들을 압착시켜 두 채널(13)(14)들과 조립 고정시킨다. 즉 가조립 스틸도어의 상·하단부에는 채널(13)(14)들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 푸시블록(350)들이 이 공간내로 진입하면 상·하 헤밍부(18,23)(19,24)들이 푸시블록(350)에 의해 내측으로 꺽이게 됨과 동시에 그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촉하여 눌려지게 됨으로써 채널(13)(14)을 삽입한채로 압착되는 것이다.
다음, 리미트 스위치(372)의 감지신호에 의해 각 실린더(240)(340,360)들이 역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그 피스톤로드(241)(341,361)들이 초기위치로 후진하게 된다. 그러면 먼저, 제2압착유닛(300)의 수평실린더(360)에 의해 이동판(353)이 복귀함으로써 푸시블록(350)들이 스틸도어의 상·하단부내에서 빠져 복귀하게 된다. 이어서 제1압착유닛(200)의 프레스블록(230)이 상승하여 바람막이용 헤밍부(17)의 구속을 해제함과 동시에 제2압착유닛(300)의 홀더블록(330)이 상승하여 조립완료된 스틸도어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다음 조립이 완료된 스틸도어를 인출한 뒤, 전술한 방법으로 다음 스틸도어의 조립을 진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용접 방식 스틸 도어의 제작시 채널을 개재하여 가조립된 전판과 후판의 각 헤밍부들을 한 번의 동작에 의해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틸 도어의 제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전판과 후판의 상·하 헤밍부들에 두 채널이 각각 압착되고, 그 한쪽 측단들이 훅/슬롯쌍에 의해 결합됨과 함께 다른쪽 측단들이 바람막이용 헤밍부를 통해 압착되는 비용접 방식 스틸 도어의 제작에 있어, 가조립된 스틸도어의 각 헤밍부들을 압착시켜 조립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스틸 도어 조립기로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상의 한쪽에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바람막이용 헤밍부를 압착시키는 제1압착유닛;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제1압착유닛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전판과 후판의 상·하 헤밍부들을 각각 압착시키는 두 제2압착유닛:
    상기 제1,2 압착유닛들에 유압을 각각 제공하는 유압모터; 및
    상기 각 압착유닛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도어 조립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설치되어 유압모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실린더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가조립 상태의 바람막이용 헤밍부가 얹혀지는 베드블록과, 상기 베드블록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상기 가조립 상태의 바람막이용 헤밍부를 압착시키는 프레스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도어 조립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착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조립 상태 스틸도어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얹혀지는 베드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압모터와 연결되는 수직실린더와, 상기 수직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상기 가조립상태의 스틸도어를 베드 플레이트상에 눌러 고정시키는 홀더블록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유압모터와 연결되는 수평실린더와, 상기 수평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장착되어 이동되며 상기 가조립상태 전·후판의 상부 또는 하부 헤밍부들을 압착시키는 푸시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도어 조립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블록이,
    최소 크기의 스틸도어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 메인블록과, 스틸도어의 크기에 따라 메인블록의 일단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도어 조립기.
KR1019990036873A 1999-09-01 1999-09-01 스틸 도어 조립기 KR10034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873A KR100347262B1 (ko) 1999-09-01 1999-09-01 스틸 도어 조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873A KR100347262B1 (ko) 1999-09-01 1999-09-01 스틸 도어 조립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937A KR19990083937A (ko) 1999-12-06
KR100347262B1 true KR100347262B1 (ko) 2002-08-07

Family

ID=3748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873A KR100347262B1 (ko) 1999-09-01 1999-09-01 스틸 도어 조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6438B2 (ja) * 2019-02-22 2022-11-22 マツダ株式会社 ドア取付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ドア移動装置ならびに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937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7262B1 (ko) 스틸 도어 조립기
KR19990083936A (ko) 스틸 도어 제작용 벤딩머신
US4805438A (en) Hemming die fixture for metal presses
CN112317578B (zh) 一种汽车尾门下盖板自动包边装置
CN212264286U (zh) 一种便于固定板材的开式固定台压力机
KR100377899B1 (ko) 스틸 도어 제작용 피어싱 머신
CN215430941U (zh) 一种型材加工折弯装置
CN213162710U (zh) 一种翻转式数控折弯机模具
CN211465287U (zh) 一种人防门扇外面板整形压紧装置
KR100795231B1 (ko) 방화문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화문 제조방법
JP2000335335A (ja) バンパーリィンホース並びにバンパーリィンホース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加工型
CN113118626A (zh) 用于金属层板的焊接系统及其焊接方法
JP3771698B2 (ja) デッキプレートの製造装置
CN217798216U (zh) 一种彩钢板加工用折板器
KR100321847B1 (ko) 스틸 도어 조립방법
CN115026519B (zh) 一种增强铝合金制备方法
KR102638224B1 (ko) 듀얼 언코일러 연속 생산시스템 기반 조립식 시스템패널 제조장치
CN218016365U (zh) 超声波喇叭盖自动焊接机
CN216990731U (zh) 一种汽车灯条安装设备
CN215356791U (zh) 金属层板定位装置
KR100743147B1 (ko) 방화문 용접장치
CN215355442U (zh) 用于金属层板定位装置的翻转整形机构
CN216502040U (zh) 一种可折弯挂车翼板的设备
CN112376200B (zh) 一种气囊盒织物铰链加热折弯夹具及其控制方法
CN217476568U (zh) 一种防断裂的预压吸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