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147B1 - 방화문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147B1
KR100743147B1 KR1020060135842A KR20060135842A KR100743147B1 KR 100743147 B1 KR100743147 B1 KR 100743147B1 KR 1020060135842 A KR1020060135842 A KR 1020060135842A KR 20060135842 A KR20060135842 A KR 20060135842A KR 100743147 B1 KR100743147 B1 KR 10074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fire door
plate
frame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제
Original Assignee
조선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제 filed Critical 조선제
Priority to KR102006013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용접장치는, 방화문의 보강부재의 엠보싱돌기의 간격으로 다수의 실린더를 배열함과 동시에 그 피스톤로드 끝단마다 전극판을 마련하여 용접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후면판재 사이에 보강부재를 일시에 용접 고정시켜 방화문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고, 방화문 표면에 용접흔적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보다 미려한 방화문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방화문, 보강부재, 절곡부, 엠보싱, 전극판

Description

방화문 용접장치{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fire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보강부재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화문 전용 용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화문 전용 용접장치를 이용하여 방화문을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전면판재 12: 후면판재
13: 보강부재 13a : 직립판재
13b : 절곡부 13c: 용접용 엠보싱돌기
20: 프레임 21: 헤드부분
22: 베드부분 23: 제1실린더
23a: 피스톤로드 24: 전극판
25: 제2실린더 26: 테이블
본 발명은 방화문 및 이를 제작하는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부재에 다수개의 용접용 엠보싱돌기를 형성하여 전/후면판재 사이에 일시에 용접 고정시킴으로써 방화문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고, 방화문 표면에 용접흔적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미려한 방화문을 얻을 수 있는 방화문 및 이를 제작하는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장방형의 넓은 전/후판재의 사이에 여러 형상의 보강부재가 고정되고 그 양쪽 가장자리가 견고하게 시임에 의해 마무리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방화문은, 대한민국 특허 제 0113068호(공고번호 특 1996-0012736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양단에 절곡부를 갖는 보강부재의 어느 한쪽의 절곡부를 앞판재(전면판재)나 뒤판재(후면판재)의 내면에 용접하여 상기 보강부재의 다른 쪽 절곡부에 앞판재나 뒤판재를 얹은 다음 고정목에 부착된 도전판이 용접되어 있지 않는 절곡부의 밑편에 밀착되도록 고정목을 길게 끼우고 스팟트용접의 단자봉을 상기 도전판이 밀착된 절곡부에 얹혀진 앞판재나 뒤판재의 외면에 접지시켜 도전판에 의하여 단자봉에 방전전류가 흐르게 하여 앞/뒤판재의 내 면 사이에 보강제의 양단 절곡부가 스팟 용접되도록 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허에 있어서는 보강부재가 넘어짐이 없이 안정적인 스팟용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수차례에 걸쳐 스팟용접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또한 도전판과 단자봉이 맞닿는 부분에는 움푹하게 패인 스팟용접흔적이 생기게 마련이므로 상품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5-1057호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킨 방화문이 게재되어 있는데, 이는 내장판(전면판재)과 외장판(후면판재)의 사이의 임의의 형태로 보강부재를 배설하여 내장하되 보강부재의 구성은, 내/외장판의 내폭과 동일한 폭의 띠형 강판재를 폭방항으로 세워서 사용하고 각각의 보강부재는 다수개소에 걸쳐서 상/하단에 대칭형으로 작은 삼각돌기를 평면상에서 외측으로 벌림 가공하여 형성시켜서, 각각의 삼각돌기들이 위치한 내/외장판의 상하에서 전기저항 스팟용접으로 삼각돌기들을 내/외장판의 내면에 내폭과 같은 폭으로 열용착시킨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개특허공보에 있어서는 보강부재를 내/외장판 사이에 세움이 일정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보강부재의 삼각돌기 위치를 알 수 없어 스팟용접이 곤란하고 결국 스팟용접기의 전극판을 넓게 형성하여 내/외장판 전체를 돌아가면서 용접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외장판에 보강부재의 삼각돌기가 가압되면서 제대로의 스팟용접이 이뤄지면 스팟용접의 흔적은 생기지 않으나, 내/외장판을 상하에서 가압하면서 스팟용접을 시행할 때, 삼각돌기가 단순히 변형되어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강부재에 다수개의 용접용 엠보싱돌기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엠보싱돌기의 간격으로 다수의 실린더를 배열함과 동시에 그 피스톤로드 끝단마다 전극판을 마련함으로써 전/후면판재 사이에 일시에 용접 고정시켜 방화문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방화문 표면에 용접흔적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보다 미려한 방화문을 제작할 수 있는 방화문 및 이를 제작하는 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 장치의 작업테이블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넓은 방화문을 쉽게 올려놓을 수 있고 스팟 용접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방화문 및 이를 제작하는 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은, 전면판재와 후면판재의 양쪽 가장자리가 상호 고정되고, 상기 두 판재 사이의 공간에 보강부재가 삽입되어 두 판재에 스팟 용접되어 설치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두 판재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직립부재와, 이 직립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면판재와 후면판재에 각각 맞닿는 절곡부와, 상기 각 절곡부에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두 판재에 스팟 용접되는 엠보싱돌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용접장치는, 상단의 헤드부분과 중간의 베드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측면 구조가 디귿형으로 형성되고 전면 구조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헤드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고, 승강되는 피스톤 로드를 갖는 복수의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끝단에 각각 구비되고, 용접용 전원이 연결되어 방화문의 전면판재와 후면판재 사이에 보강부재를 스팟 용접하는 복수의 전극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화문 용접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베드부분에 구비되어 제2실린더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장방형 테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화문 용접장치는 상기 전극판에 인가되는 용접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이 구비되되, 이 제어시스템은 상기 프레임의 한 쪽에 위치된 전극판으로부터 다른 쪽에 위치되는 전극판을 향하여 시간적인 차이를 갖고 순차적으로 전원이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시스템은 서로 이웃하는 전극판들이 한 쌍을 이루도록 +전원과 -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보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판재(11)와 후면판재(12)가 소정두께를 갖도록 양단이 시임으로 고정되고 상기 전/후면판재(11,12) 사이에 부강부재(13)가 스팟용접에 의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재(13)는 직립판재(13a)의 상단과 하단에 전/후면판재(11,12)와 맞닿는 표면을 갖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부(13b)가 각각 형성되고, 이 각각의 절곡부(13b)에는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용접용 엠보싱돌기(13c)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엠보싱돌기(13c)는 도면상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사각형, 삼각형 혹은 타원형은 물론 방화문의 전/후면판재(11.12)의 내면과 접촉되게 돌출되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보강부재(13)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절곡부(13b)의 절곡방향이 서로 다른 크랭크형으로 마련하였으나 직립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려 전체적인 형상이 디귿형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도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방화문을 전용으로 용접 고정하는 방화문 용접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프레임(20)은 적어도 상단의 헤드부분(21)과 중간의 베드부분(22)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디귿형으로 형성되고,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20)의 헤드부분(21) 전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제1 실린더(23)들이 배열된다. 이 제1실린더(23)는 상승 하강되는 피스톤로드(23a)를 갖는 것이며, 제1실린더(23)의 피스톤로드(23a) 끝단에 용접용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장방형의 전극판(24)이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20)의 베드부분(2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린더(25)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넓은 판형 구조의 장방형의 테이블(26)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극판(24)은 모두 +전극이고 테이블(26)은 -전극으로 연결할 수 있으나, 이와는 달리 서로 이웃하는 전극판(24)이 한 쌍을 이루도록 +전원과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극판(24)에 인가되는 용접용 전원은 제어시스템(미도시)에 의해 상기 테이블의 한 쪽의 전극판(24)으로부터 다른 쪽 전극판을 향하여 시간적인 차이를 갖고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방식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트랜스의 소형화는 물론 최소한의 전원 용량으로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1,제2실린더(23,25)는 용접용 전원에 의해 영향을 받기 쉬운 도전성의 유압 실린더보다는 용접용 전원에 의해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 부도체인 공압실린더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용접장치는, 프레임(20)의 테이블(26) 위에 전면판재(11)나 후면판재(12)를 올려놓고, 전극판(24)의 수직 하부위치에 보강부재(13)의 절곡부(13b)가 위치되도록 조종한 후 제1실린더(23)를 작동시키면, 피스톤로드(23a)가 하부로 이동되어 테이블(26) 상의 전면판재(11)나 후면판 재(12)가 가고정된 보강부재(13)의 절곡부(13b)를 전극판(24)이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이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한쪽의 제1실린더(23)에 설치된 전극판(24)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판(24)으로 시간간격을 갖고 순차적으로 용접용 전원이 인가되면, 보강부재(13)의 엠보싱돌기(13c)가 용융되면서 전/후면판재(11,12)의 내면과 융착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필요한 개수만큼의 보강부재(13)를 전면판재(11)나 후면판재(12)에 용접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화문 용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2명의 작업자가 1조로 하여 보강부재(13)를 용접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 전면판재(11)나 후면판재(12)에 보강부재(13)의 절곡부(13b)에서 돌출된 엠보싱돌기(13c)가 위치되도록 가조립한다.
이때 도 1과 같은 방화문 형상을 이루도록 양단이 서로 시임된 형상으로 전면판재(11)와 후면판재(12)를 가조립하되, 상기 전면판재(11)와 후면판재(12) 사이에 보강부재(13)가 변형없이 세팅 고정되어야 하고 보강부재(13)의 엠보싱돌기(13c)는 전/후면판재(11,12)의 내면과 접촉되는 상태이다.
이렇게 가조립된 방화문을 2명의 작업자가 양단에서 각각 파지하고 들어 올려 프레임(20)의 베드부분(22)에 설치된 테이블(26) 위에 놓는다. 이때, 전/후면판재(11,12) 사이의 보강부재(13)에 형성된 엠보싱돌기(13c)위에 프레임(20)의 헤드부분(21)에 설치된 제1실린더(23)의 전극판(24)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 중의 한 사람이 제1실린더(23)를 작동시켜 그 피스톤로드(23a)가 도 5와 같이 하강되도록 하면 전/후면판재(11,12)의 상하에서 가압하게 되며, 이와 같이 전면판재(11) 위에 전극판(24)이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한 쪽의 제1실린더(23)에 설치된 전극판(24)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판(24)을 향하여(예를 들면 좌측 전극판에서 우측 전극판을 향하여) 시간간격을 갖고 순차적으로 용접용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테이블(26)과 전극판(24)으로 용접용 전원이 순차적으로 인가되면 보강부재(13)의 엠보싱돌기(13c)가 용융되면서 전/후면판재(11,12)의 내면과 융착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3의 좌에서 우 또는 우에서 좌로 시간차이를 갖고 순차적으로 용접용 전원이 인가되므로 작은 용접용 전력으로 무리 없이 용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장방형 테이블(26)과 장방형 전극판(24)이 기존의 스팟용접과 같이 국부적인 가압이 아닌 비교적 넓은 압접방식이면서 보강부재(13)의 엠보싱돌기(13c)가 주도적으로 용융되어 융착되는 것인 바, 전/후면 판재(11,12)의 외면에는 용접 흔적이 생기지 않고 미려하게 용접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후면판재(11,12)사이에 끼워진 보강부재(13)의 위치마다 스팟용접을 수행한 후 전/후면판재(11,12)의 양쪽 가장자리가 가조립된 시임부분을 확실하게 시임하고 소정간격마다 국부용접을 수행하여 완성품의 방화문을 얻는다.
그리고 방화문이 상대적으로 넓은 것일 때에는 제2실린더(25)를 작동시켜 프레임(20)의 베드부분(22)에 설치된 장방형 테이블(26)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이동시킨 다음, 방화문을 안정적으로 올려놓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전/후면판재(11,12)와 보강부재(13)들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용접장치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전면판재(11)나 후면판재(12) 중 어느 한쪽 판재(예를 들면 전면판재)를 테이블(26) 위에 올려놓고, 보강부재(13)들을 일정 간격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용접하여 보강부재(13)들을 한 쪽 판재에 먼저 고정하여 설치한다.
이후 다른 쪽 판재(예를 들면 후면판재)를, 한쪽 판재에 용접되어 있는 보강부재(13)들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용접장치를 이용하여 용접 고정함으로써 양쪽 판재(11,12) 사이에 보강부재(13)들이 설치된다.
이후, 상기 전면판재(11)와 후면판재(12)의 양쪽 가장자리를 시임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한다.
여기서 보다 구체적인 용접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방화문을 가조립한 후에 용접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및 이를 제작하는 용접장치는, 보강부재에 다수개의 용접용 엠보싱돌기가 형성되고, 이 엠보싱돌기의 간격으로 다수의 실린더를 배열함과 동시에 그 피스톤로드 끝단마다 전극판을 마련 함으로써 전/후면판재 사이에 일시에 용접 고정시켜 방화문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고, 방화문 표면에 용접흔적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보다 미려한 방화문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기의 작업테이블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방화문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스팟 용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5)

  1. 상단의 헤드부분과 중간의 베드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측면 구조가 디귿형으로 형성되고 전면 구조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헤드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고, 승강되는 피스톤 로드를 갖는 복수의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끝단에 각각 구비되고, 용접용 전원이 연결되어 방화문의 전면판재와 후면판재 사이에 보강부재를 스팟 용접하는 복수의 전극판과;
    상기 프레임의 베드부분에 구비되어 제2실린더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장방형 테이블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용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 용접장치는 상기 전극판에 인가되는 용접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이 구비되되, 이 제어시스템은 상기 프레임의 한 쪽에 위치된 전극판으로부터 다른 쪽에 위치되는 전극판을 향하여 시간적인 차이를 갖고 순차적으로 전원이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용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시스템은 서로 이웃하는 전극판들이 한 쌍을 이루도록 +전원과 -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용접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60135842A 2006-12-28 2006-12-28 방화문 용접장치 KR100743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842A KR100743147B1 (ko) 2006-12-28 2006-12-28 방화문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842A KR100743147B1 (ko) 2006-12-28 2006-12-28 방화문 용접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658A Division KR100795231B1 (ko) 2007-06-18 2007-06-18 방화문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화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147B1 true KR100743147B1 (ko) 2007-07-27

Family

ID=3849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842A KR100743147B1 (ko) 2006-12-28 2006-12-28 방화문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1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530B1 (ko) * 2015-12-08 2017-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점 용접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257Y1 (ko) * 1998-01-15 2000-02-01 김찬근 방화문의 골구(骨構)결합 구조
KR20000012653A (ko) * 1999-12-16 2000-03-06 김찬근 바가지 형태로 절곡한 구조의 방음 방화문
KR20010113997A (ko) * 2000-06-20 2001-12-29 김찬근 문틀과 문짝의 결합시 평면을 갖는 방음 및 방화문과문틀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257Y1 (ko) * 1998-01-15 2000-02-01 김찬근 방화문의 골구(骨構)결합 구조
KR20000012653A (ko) * 1999-12-16 2000-03-06 김찬근 바가지 형태로 절곡한 구조의 방음 방화문
KR20010113997A (ko) * 2000-06-20 2001-12-29 김찬근 문틀과 문짝의 결합시 평면을 갖는 방음 및 방화문과문틀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530B1 (ko) * 2015-12-08 2017-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점 용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231B1 (ko) 방화문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화문 제조방법
CN107186407B (zh) 一种钢筋网的焊接反丝机构
CN100439025C (zh) 用于液压成形的板叠合件预制品的制造方法
KR100743147B1 (ko) 방화문 용접장치
KR100916149B1 (ko) 롤 포밍 성형빔용 스폿 용접장치
KR102038221B1 (ko) 스틸도어의 제조방법
KR20080063051A (ko) 방화문
CN108127280A (zh) 工作艇用格栅板焊接方法
KR100969821B1 (ko) 샌드위치 패널용 롤 포밍 장치 및 그 방법
CN1053964A (zh) 用于电阻栅片组件的平板状金属构件
KR100775810B1 (ko) 편방향 스폿 용접기의 지그 유닛
CN206622744U (zh) 一种钢筋焊网机的焊接装置
CN212286441U (zh) 一种核燃料组件格架组装焊接夹具
JP4594865B2 (ja) 突き合わせ溶接装置
KR200417343Y1 (ko) 도어프레임용 스폿용접기
JPH01309789A (ja) 中空金属パネルの製作方法
CN202607067U (zh) 具有独立焊接回路的钢筋桁架模板点焊机
JP2607827B2 (ja) 金網溶接装置
CN217096247U (zh) 一种箍筋与u型钢筋全自动焊接设备
KR101218233B1 (ko) 물탱크 판넬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970033196A (ko) 철골(Box Beam) 자동 조립장치
CN210967433U (zh) 一种无缝焊接设备的铜带式供电系统
CN209867639U (zh) 一种t型焊接结构
KR100728594B1 (ko)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93150A (ko) 공간을 가지는 금속부재 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