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594B1 -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594B1
KR100728594B1 KR1020060017212A KR20060017212A KR100728594B1 KR 100728594 B1 KR100728594 B1 KR 100728594B1 KR 1020060017212 A KR1020060017212 A KR 1020060017212A KR 20060017212 A KR20060017212 A KR 20060017212A KR 100728594 B1 KR100728594 B1 KR 100728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affold
welding
network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응
Original Assignee
이숙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숙응 filed Critical 이숙응
Priority to KR102006001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4Projection 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망체발판과, 이를 지지해주는 수단으로서 길이방향의 일측면상에 개방부가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 제조방법은, 금속판 전체에 걸쳐 다수의 선형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의 양 종단부를 각각 파지한 후 그 절개선 방향과 직교하는 양방향으로 신장시켜 마름모형으로 개공된 균일 연속적 격자를 형성하는 망체발판 제조단계와, 상기 망체발판의 양 횡단부 및 중간 위치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망체발판과 동일 길이의 금속판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각으로 절곡하여 일측면에 개방부를 갖도록 성형가공하는 프레임 제조단계와, 상기 망체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하부 적소에 상기 프레임을 각각 겹치기 이음의 형태로 인접시켜 배치한 후 그 양 외측 표면 쪽에 각 전극을 접촉시켜 압력 및 전류를 인가하는 용접과정을 수행하는 망체발판 및 프레임 결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의 찌그러짐 없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저가의 비용으로 양질의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안전발판, 성형가공(Forming), 용접, 망체발판, 프레임, 개방부

Description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Safety scaffold for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발판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망체발판의 제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발판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횡단부 및 중간 프레임의 제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망체발판과 개방부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양 부재(모재)간 결합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망체발판과 사각 관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양 부재(모재)간 결합방식을 본 발명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망체발판 11 ; 선형 절개부
12 ; 용접부 20 ; 프레임
21 ; 횡단부 프레임 22 ; 중간 프레임
23 ; 종단부 프레임 24 ; 개방부
30 ; 용접변압기 31, 32 ; 전극
120 ; 사각 관 형태의 프레임
본 발명은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일측 용접 전극을 수용하여 두 용접 모재인 망체발판과 프레임의 외측 표면상에서 양 용접 전극이 상호 인접된 상태로 용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가전류의 분산 및 프레임의 찌그러짐 없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광폭의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상품성 및 내구성의 향상에 따른 제품 신뢰성의 개선효과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생산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한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안전발판은 토목 및 건축분야의 건설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작업공간이나 작업통로를 확보해줄 수 있는 안전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건축용 안전발판의 구조는, 사각 관 형상의 단면을 갖는 여러 개의 부재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차 배열하여 일체로 된 지지용 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프레임 상에 격자형의 망체발판이 결합된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망체발판은 금속판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선형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 기 금속판의 양 종단부를 각각 파지한 후 상기 선형 절개부의 절개선 방향과 직교하는 양방향으로 상기 금속판을 소정 폭만큼 신장시킴으로써 제작되고, 상기 프레임은 별도의 금속판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하는 성형가공(Forming) 후 터진 모서리부를 용접하여 사각 관 형태로 제작하거나 전통적인 파이프의 제조방식인 압출(Extrusion) 또는 인발(Drawing) 공정에 의해 제작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망체발판 및 프레임은, 주로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 등의 전기저항용접 방식에 의해 상호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프로젝션 용접은, 접합 면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2개의 모재(금속판)를 포개어 놓고 양쪽 전극 끝을 상기 금속판의 양 외측 표면상의 용접할 부위에 각각 맞댄 후 그 접촉부위에 전류 및 가압력을 집중시켜 국부적인 가열 및 가압 작용에 의해 수행되는 용접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안전발판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발판(10)과 프레임(120)을 겹치기 이음 형태로 포개어 놓고 전기저항용접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0)의 4면이 밀폐되어 그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는 사각 관 형태를 이룸으로 인하여, 상기 망체발판(10)과 맞대어진 상기 프레임(120)쪽의 접합부 표면상에 일측 전극(32)을 직접 접촉시킬 수 없고 다만 중공부의 폭만큼 이격된 부위인 프레임(120)의 접합부 대향면상에 상기 전극(32)을 접촉시킬 수밖에 없어 양쪽 전극(31)(32)간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류가 분산되면서 원활한 용접이 이루어지기 곤란하여 접합불량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전력소모가 과다하여 제작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됨은 물론이고, 용접작업에 많은 시간 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용접 중의 가압과정에서 상기 프레임이 찌그러져 변형될 수 있으므로 상품성 및 내구성의 저하와 함께 제품 신뢰성의 저하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자에는, 이러한 용접공정상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단계의 판금 및 성형가공을 통해 단일 금속판을 부분적으로 절개 및 절곡하여 망체발판과 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는 방식에 의해 제작된 건축용 안전발판에 관한 기술이 다수 제안된 바 있으며, 국내출원 제20-2004-0010094호 및 제20-2004-0033834호에 개시된 '건축용 안전발판'이 그것이다.
상기한 일체형 구조의 안전발판은 단일 금속판의 중간부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선형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금속판의 양 종단부를 각각 파지한 후 상기 선형 절개부의 절개선 방향과 직교하는 양방향으로 상기 금속판을 소정 폭만큼 신장시켜 마름모형으로 개공된 균일 연속적 격자를 형성하고, 상기 격자가 형성되지 않은 양 종단부를 절곡하여 프레임을 형성하여 제작하는 방식을 구현한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금속판 중앙부위를 소정 폭의 영역만큼 비워 둔 채로 이를 중심으로 그 양쪽에 각각 소정 폭만큼씩 선형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금속판의 양 종단부를 각각 파지한 후 상기 선형 절개부의 절개선 방향과 직교하는 양방향으로 상기 금속판을 소정 폭만큼 신장시켜 마름모형으로 개공된 균일 연속적 격자를 형성하고, 상기 격자가 형성되지 않은 양 종단부와 중앙부위에 대해서 그 각각의 부위를 상기 선형 절개부의 절개선 방향을 따라 소정 형상으로 절곡하면, 양 종단부와 중앙부위에 상기 선형 절개부와 일체로 된 종단부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보강 리브)을 갖는 안전발판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제작된 안전발판은, 단일 금속판을 성형가공(Forming)하여 망체발판과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써, 종전의 경우와는 달리 상기 망체발판과 프레임을 일체로 결합시키기 위한 용접 등의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안전발판은 선형 절개부의 절개선 방향과 동일 방향에 대해서만 프레임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망체발판 상에 하중 부하시 상기 선형 절개부의 절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매우 취약한 구조를 이뤄 처짐 현상을 유발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구조적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형 절개부의 절개선 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별도로 제작된 횡방향 지지용 프레임을 덧대어 이를 용접방식으로 고정할 수밖에 없고, 결국 상기의 일체형 안전발판 또한 다수의 부재(횡방향 중간 프레임)가 추가적으로 결합하여야만 비로소 견고한 구조물을 이룰 수 있게 되므로 앞서 설명한 용접공정상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함은 물론이고, 제품의 경량화 구현에도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프레임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일측 용접 전극을 수용하여 두 용접 모재인 망체발판과 프레임의 외측 표면상에서 양 용접 전극이 상호 인접된 상태로 용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인가전류의 분산 및 프레임의 찌그러짐 없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광폭의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상품성 및 내구성의 향상에 따른 제품 신 뢰성의 개선효과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생산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된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은, 전체 면에 걸쳐 다수 행 및 다수 열의 배열로 개공된 다수의 선형 절개부에 의해 균일 연속적 격자의 구조를 이루는 망체발판과, 상기 망체발판의 양 횡단부 및 중간 위치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 고정되어 상기 선형 절개부의 절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망체발판을 지지해주는 수단으로서, 길이방향의 일측면상에 용접 전극을 수용할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망체발판이 맞닿을 접합부 표면상에 프로젝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돌기부가 다수 형성된 횡단부 및 중간 프레임과, 상기 횡단부 및 중간 프레임의 양단부에 이들을 상호 고정하여 보강시켜주는 종단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 제조방법은, 원하는 규격으로 재단된 금속판 전체에 걸쳐 다수 행 및 다수 열의 일정 배열로 규칙적인 선형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의 양 종단부를 각각 파지한 후 상기 선형 절개부의 절개선 방향과 직교하는 양방향으로 상기 금속판을 소정 폭만큼 신장시켜 마름모형으로 개공된 균일 연속적 격자를 형성하는 망체발판 제조단계와, 상기 망체발판의 양 횡단부 및 중간 위치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상기 선형 절개부의 절개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망체발판을 지지해주는 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망체발판과 동일 길이의 금속판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각으로 절곡하여 일측면에 용접변압기의 전극이 인접 수용될 수 있는 개방부를 가지며, 그 일측 표면상에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도록 성형가공하는 프레임 제조단계와, 상기 망체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하부 적소에 상기 프레임을 각각 겹치기 이음의 형태로 인접시켜 배치한 후 그 양 외측 표면 쪽에 각 전극을 접촉시켜 압력 및 전류를 인가하는 용접과정을 수행하고, 그 종단측 양단부에 이들을 상호 고정하여 보강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프레임을 더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망체발판 및 프레임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의 구조 및 그 단계별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발판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망체발판(10)의 제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발판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횡단부 및 중간 프레임(21)(22)의 제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망체발판(10)과 개방부(24)가 형성된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 양 부재(모재)간 결합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면에 걸쳐 다수 행 및 다수 열의 배열로 개공된 다수의 선형 절개부(11)에 의해 균일 연속적 격자의 구조를 이루는 망체발판(10)과, 상기 망체발판(10)의 양 횡단부 및 중간 위치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 고정되어 상기 선형 절개부(11)의 절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망체발판(10)을 지지해주는 수단으로서, 길이방향의 일측면상에 용접 전극(32)(도 5 참조)을 수용할 수 있는 개방부(24)가 형성된 프레임(20)을 포함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망체발판(10)의 길이방향, 즉, 선형 절개부(11)의 절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 고정되는 횡단부 프레임(21) 및 중간 프레임(22)과, 상기 횡단부 및 중간 프레임(21)(22)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이들을 상호 고정시켜주는 종단부 프레임(23)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망체발판(10)의 외곽 둘레와, 길이방향 중간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이외에 별도의 횡방향 지지용 프레임은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의 접합부 표면상에는 프로젝션 용접을 위한 돌기부(미도시)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의 제조방법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각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 제조방법은, 망체발판(10)의 제조단계와, 프레임(20)의 제조단계와, 상기 망체발판(10)과 프레임(20)의 결합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망체발판(10)의 제조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규격으로 재단된 금속판 전체에 걸쳐 다수 행 및 다수 열의 일정 배열로 규칙적인 선형 절개부(11)를 형성하는 펀칭단계와, 상기 금속판의 양 종단부를 각각 파지한 후 상기 선형 절개부(11)의 절개선 방향과 직교하는 양방향으로 상기 금속판을 소정 폭만큼 신장시켜 마름모형으로 개공된 균일 연속적 격자를 형성하는 격자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의 제조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체발판(10)의 양 횡단부 및 중간 위치의 하부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망체발판(10)을 지지하기 위한 횡단부 프레임(21) 및 중간 프레임(22)의 제조단계로서, 소정 폭의 금속판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Bending)하는 성형가공(Forming) 단계이다.
즉, 상기 프레임(20) 중 횡단부 프레임(21) 및 중간 프레임(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체발판(10)과 프레임(21)(22)이 겹치기 이음(Lap Joint) 방식에 의해 일체로 긴밀하게 용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용접변압기(30)의 양 전극(31)(32)을 각각 접합부의 양 표면상에 밀접 배치시켜 수용할 수 있는 개방부(24)가 상기 프레임(21)(22)의 일측에 형성되도록, 대략 '디귿'자형 횡단면의 형태로 절곡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21)(22)의 성형가공은 본 발명 구성 및 제조방법상의 가장 중요한 특징부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21)(22)의 접합부 표면에는, 프로젝션 용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미소크기의 돌기부를 다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횡단부 프레임(21) 및 중간 프레임(22)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종단부 프레임(23)은, 용접이나 조립 또는 보울트/너트에 의한 고정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일체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 횡단면 형상이 사각 관 형상의 것을 적용하든, 상기 횡단부 프레임(21) 및 중간 프레임(22)과 같은 '디귿'자 형상의 것을 적용하든 무관하다.
참고적으로, 성형가공(Forming)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금속판 등의 대상물을 상형과 하형 사이에 배치하고 이를 가압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영구 변형시켜 성형하는 프레스 작업의 일종으로서, 통상적으로 프레싱에 비해 그 행정이 짧은 경우의 판금가공을 말하며, 굽힘가공(Bending)과 드로잉(Drawing) 등이 대표적이다. 긴 금속판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구부리는데 사용되는 프레스 장비로는 '프레스 브레이크(Press Brake)'나 홀딩머신(Holding Machine) 등과 같은 다양한 굽힘가공 기계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각 공정에 의해 성형된 상기 망체발판(10)과 프레임(20)의 결합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체발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하부 적소에 상기 횡단부 프레임(21) 및 중간 프레임(22)을 각각 겹치기 이음의 형태로 인접시켜 배치한 후, 그 양 외측 표면 쪽에 양·음 전극(31)(32)을 접촉시켜 압력 및 전류를 인가하는 전기저항용접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전기저항용접으로는,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이 적용된다. 상기 프로젝션 용접은, 용접 대상인 2개의 모재(금속판)를 포개어 놓고 양쪽 전극 끝을 상기 금속판의 양 외측 표면상의 용접할 부위에 각각 맞댄 후 그 접촉부위에 전류 및 가압력을 집중시켜 국부적으로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용착되도록 하 는 점 용접(Spot Welding)과 유사한 것으로서, 특히 2개의 모재간 접합부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그 돌기부에 전류와 가압력을 집중시켜 접합하는 용접방식이며, 상기 모재의 재질 및 두께에 따라, 용접전류, 전압, 통전시간 및 가압력의 4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수행한다. 즉, 용접변압기(30)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양 전극(31)(32)을, 상기 망체발판(10)의 외측 표면과 상기 프레임(21)의 개방부(24)를 통한 각 프레임(21)(22)의 내측 표면상에 각각 접촉시킨 후, 상기 양 전극(31)(32)을 통해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통전시키는 원리에 의해, 각 부재간 용착이 이루어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는 용접부이고, 상기 전극(31)(32)내의 화살표는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이와 같은 전기저항용접단계에 의해 일체화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개의 모재간 프로젝션 용접시의 전극 배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대량생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보다 향상된 기술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망체발판과 밀폐형 중공부를 갖는 프레임간의 용접과정에서 양 용접 전극간 가압력에 의해 프레임의 찌그러짐이 발생하였던 종전의 경우와는 달리, 프레임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일측 용접 전극을 수용하여 상기 망체발판과 프레임의 외측 표면상에서 양 용접 전극이 상호 인접된 상태로 인가전류의 분산 없이 용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신속하고 원활하게 광폭의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상품성 및 내구성의 향상에 따른 제품 신뢰성의 개선효과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생산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단계의 판금 및 성형가공을 통해 단일 금속판을 부분적으로 절개 및 절곡하여 망체발판과 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는 방식에 의해 제작되던, 종래의 건축용 안전발판이 갖는 선형 절개부의 직교방향에 대한 구조적 취약성에 따른 망체발판의 처짐 현상을 유효하게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망체발판의 선형 절개부의 절개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그 양 횡단부와 중간 위치 등 3곳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프레임을 배치 고정하는 최소한의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만으로도 현저한 지지력을 발휘하여 견실한 구조물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전체 면에 걸쳐 다수 행 및 다수 열의 배열로 개공된 다수의 선형 절개부에 의해 균일 연속적 격자의 구조를 이루는 망체발판;
    상기 망체발판의 양 횡단부 및 중간 위치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 고정되어 상기 선형 절개부의 절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망체발판을 지지해주는 수단으로서, 길이방향의 일측면상에 용접 전극을 수용할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망체발판이 맞닿을 접합부 표면상에 프로젝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돌기부가 다수 형성된 횡단부 및 중간 프레임; 및
    상기 횡단부 및 중간 프레임의 양단부에 이들을 상호 고정하여 보강시켜주는 종단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발판.
  2. 삭제
  3. 삭제
  4. 원하는 규격으로 재단된 금속판 전체에 걸쳐 다수 행 및 다수 열의 일정 배열로 규칙적인 선형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의 양 종단부를 각각 파지한 후, 상기 선형 절개부의 절개선 방향과 직교하는 양방향으로 상기 금속판을 소정 폭만큼 신장시켜 마름모형으로 개공된 균일 연속적 격자를 형성하는 망체발판 제조단계;
    상기 망체발판의 양 횡단부 및 중간 위치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상기 선형 절개부의 절개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망체발판을 지지해주는 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망체발판과 동일 길이의 금속판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각으로 절곡하여 일측면에 용접변압기의 전극이 인접 수용될 수 있는 개방부를 가지며, 그 일측 표면상에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도록 성형가공하는 프레임 제조단계; 및
    상기 망체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하부 적소에 상기 프레임을 각각 겹치기 이음의 형태로 인접시켜 배치한 후, 그 양 외측 표면 쪽에 각 전극을 접촉시켜 압력 및 전류를 인가하는 용접과정을 수행하고, 그 종단측 양단부에 이들을 상호 고정하여 보강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프레임을 더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망체발판 및 프레임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발판 제조방법.
KR1020060017212A 2006-02-22 2006-02-22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8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212A KR100728594B1 (ko) 2006-02-22 2006-02-22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212A KR100728594B1 (ko) 2006-02-22 2006-02-22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594B1 true KR100728594B1 (ko) 2007-06-14

Family

ID=3835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212A KR100728594B1 (ko) 2006-02-22 2006-02-22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5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481A (ja) * 1994-05-11 1995-11-21 Sekisui House Ltd 外壁パネル
JPH0910629A (ja) * 1995-06-30 1997-01-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メッキ工程における液中の異物除去法
JPH10205122A (ja) 1997-01-23 1998-08-04 Hashima Kk 踏 板
KR20000013949U (ko) * 1998-12-29 2000-07-15 추호석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의 사이드실 구조
KR200404035Y1 (ko) 2005-07-13 2005-12-16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고정식 교량 점검대와 이에 사용되는 발판 고정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481A (ja) * 1994-05-11 1995-11-21 Sekisui House Ltd 外壁パネル
JPH0910629A (ja) * 1995-06-30 1997-01-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メッキ工程における液中の異物除去法
JPH10205122A (ja) 1997-01-23 1998-08-04 Hashima Kk 踏 板
KR20000013949U (ko) * 1998-12-29 2000-07-15 추호석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의 사이드실 구조
KR200404035Y1 (ko) 2005-07-13 2005-12-16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고정식 교량 점검대와 이에 사용되는 발판 고정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0548B2 (en) Method for one-sided, one step joining of a metal sheet stack
US20100300026A1 (en) Panel for making a building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uch panel
US7121004B1 (en) Method of fabricating security door
JP2006161551A (ja) コンクリート充填用組立式ボックス型鋼管柱およびその製作方法
US2844864A (en) Method of making i-beams for vehicle frames
CN101513691A (zh) 焊接三个金属片的方法和具有三个堆叠金属片的设备
US20100132929A1 (en) Heat exchanger with welded exchange plates
KR100728594B1 (ko)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93239B1 (ko) 용접성이 향상된 그레이팅 및 이의 제조방법
JP3802039B2 (ja) 鉄筋の連結構造、及び鉄筋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5264179B2 (ja) 区分から構成された一体的な電極設計による電解セル
KR102038221B1 (ko) 스틸도어의 제조방법
JPH01309789A (ja) 中空金属パネルの製作方法
MXPA01009791A (es) Plataforma de metal.
KR100743147B1 (ko) 방화문 용접장치
KR20110049424A (ko) 건축비계의 직립부재용 포켓
JP3552775B2 (ja) グレーチング
JPH09206954A (ja) 波型鉄筋マットの製造方法
JP4313915B2 (ja) 電気機器用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157771A (ja) グレ−チングの成形方法
KR20050059663A (ko)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1049739A (ja) 柱梁接合部の補強構造
US669064A (en) Secondary battery.
CN103317274A (zh) 一种电池片单焊模具
CN215999274U (zh) 一种横梁焊接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