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271B1 - 가변 팽창을 갖는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가변 팽창을 갖는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271B1
KR100341271B1 KR1019997006485A KR19997006485A KR100341271B1 KR 100341271 B1 KR100341271 B1 KR 100341271B1 KR 1019997006485 A KR1019997006485 A KR 1019997006485A KR 19997006485 A KR19997006485 A KR 19997006485A KR 100341271 B1 KR100341271 B1 KR 100341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vent opening
component
movable membe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257A (ko
Inventor
라이언숀지.
웨버제임스엘.
브로우스키요아킴
Original Assignee
엔보그 케네츠 제이.
제너럴 모터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보그 케네츠 제이., 제너럴 모터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엔보그 케네츠 제이.
Publication of KR2000007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to vent the inflation fluid source, e.g. in case of over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to vent the inflation fluid source, e.g. in case of overpressure
    • B60R2021/2765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to vent the inflation fluid source, e.g. in case of overpressure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모듈(10)은 에어백(27) 및 상기 에어백(27)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를 방출시키도록 작동되는 팽창기(30)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기(30)는 팽창기 가스가 통하여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32)를 구비한다. 하우징(20)은 상기 팽창기(30)의 방출구(32)에 인접한 벽(14)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기 개구부(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듈(10)은 상기 통기 개구부(21)와 정렬될 수 있는 이동부재 (5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50)는 에어백(27)내에 방출되고 하우징(20)의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팽창기 작동시 일정 시각에 통기 개구부(21)를 개방 및 밀폐토록 통기 개구부(21)에 연동되어 이동된다. 부품(80)이 팽창기 작동시 일정 시각에 통기 개구부(21)에 대하여 이동부재(50)를 이동시키도록 팽창기 작동중 작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팽창을 갖는 에어백 모듈{Air bag module with variable inflation}
종래기술에서 자동차의 탑승자 보호를 위하여 팽창 가능한 에어백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상기 에어백 모듈은 보통 에어백을 팽창시키도록 팽창 가스를 방출시키는 팽창기를 포함한다. 자동차의 감속량과 같은어떤 정해진 일정 자동차의 조건들을 감지하면, 상기 팽창기는 정해진 팽창기 가스량을 방출하고, 에어백은 전개된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다른 자동차 또는 탑승자 조건들을 감지하여 응답하는 팽창기 가스의 출력의 수준이나 단계를 변화시킨 팽창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즉, 하나 또는 두 단계로 일정 가스량을 방출할 수 있는 2 단계 팽창기를 제공하는 것은 종래기술에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2 단계 팽창기는 일반적인 팽창기에 비하여 더 복잡하고, 단지 두 개의 다른 가스 출력 수준을 제공한다는 일반적인 것에 불과하다. 광범위한 수준으로 팽창기 가스를 방출하는 팽창기는 쉽게 구할 수는 없다. 비록 구한다고 하더라도, 에어백 모듈의 2 단 계 또는 다단계 팽창기는 제조하기가 복잡하고 무게도 증가되는 것이다.
팽창기와 에어백을 수용하고, 바이메탈 스프링(bimetallic spring), 서보모터나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여 주위 온도 변화에 응답하는 반동 캐니스터(canister)의 통기 개구부을 개방, 밀폐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도록 계속적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밸브부재를 갖는 반동 캐니스터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은 종래기술에도 알려져 있다. 즉, 하우징으로 부터 방출되는 팽창 가스의 방출량은 밸브부재를 정확히 위치시킴으로서 단독적으로 제어되는데, 상기 밸브부재는 통기 개구부의 부분적인 개방을 제공토록 신중히 배치되어야 한다. 더하여, 상기 종래기술에서 에어백 전개시 보다는 특히 팽창기 작동전 자동차의 사용시, 상기 밸브부재의 위치와 통기량이 끊임없이 조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더욱이, 바이메탈 스프링, 서보모터나 또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밸브부재를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따라서 상기 밸브부재는 팽창기 작동전에 항상 조정되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설치는 복잡하고 모듈의 무게를 가중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 백의 팽창을 변경 가능하게 한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초기에 밀폐된 상태로 있는 하우징내의 통기 개구부를 구비한 승객측의 에어백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2-2' 선 단면도이고, 굵은 선인 제 1위치와 가상선인 제 2 위치에 있는 이동부재를 도시하며;
도 3은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회전 가능한 링인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초기에 밀폐된 상태에 있는 통기 개구부를 갖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가상선인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춘 도3 모듈의 평면도이고, 굵은 선 및 가상선인 제 1 및 제 2 위치의에서의 이동부재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1의 '5-5'선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팽창기 기스의 흐름을 도시한는 화살표로서 하우징내의 통기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헤 위치된 이동부재의 탭부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와 비슷하지만, 팽창기 가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화살표로서 통기 개구부를 개방토록 위치된 이동부재를 도시하며;
도 7은 포킷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승객측 에어 백 모듈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초기에 개방된 상태인 하우징의 통기 개구부를 도시한 본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포킷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운전자측 에어 백 모듈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초기에 개방된 상태인 통기 개구부를 도시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9-9' 선에 따른 일반적으로 취해지는 도 9 모듈의 조립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고, 통기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제 1 위치에 있는 이동부재를 도시하고;
도 10은 도 9와 비슷한 부분 단면도이고, 통기 개구부가 밀폐되도록 제 2 위치까지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도시하고;
도 11은 에어백에 배출되는 팽창기 최대 출력 및 통기 개구부가 정상적으로 밀폐된 경우의 시간을 비교한 실시예의 그래프도이고;
도 12는 에어백에 배출되는 팽창기 최대 출력및 통기 개구부가 정상적으로 개방 된 경우의 시간을 비교한 실시예의 그래프도이며; 및,
도 13은 에어백에 배출되는 팽창기 최대 출력 및 이동부재의 동일한 이동시간으로 일정한 통기 개구부가 정상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되는 경우의 시간을 비교한 실시예의 그래프도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에 유입되는 광범위한 수준을 갖는 팽창기 가스를 제공하는 에어백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을 개선하는 잇점과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팽창기 가스를 방출시키는 하나의 출력 수준을 갖는 팽창기로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모듈을 위한 통기량을 변경시킬 수 있는 거의 순간적으로 작동되는 부품(device)을 제공하고, 결국 탑승자 및 자동차 조건들을 기초로 하여 에어백에 방출되는 팽창기 가스의 수준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부품은 팽창기가 작동되는 상태하에서만 작동되는 것을 필요로 할 뿐, 팽창기의 작동전에도 계속적으로 준비상태에 있을 필요는 없다. 에어백내로 방출되는 팽창 가스의 수준은 하우징의 통기 개구부가 팽창기 작동시 개방 또는 밀폐되는 정확한 시각을 근거로 하여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품은 한 번 사용하는 소모품에 불과하고, 사용된다 해도 팽창기 작동중에 사용된다.
이러한 잇점들은 자동차 내부 탑승자의 보호를 위한 에어백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완성된다. 상기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및, 에어백을 팽창시키도록 팽창기 가스를 방출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팽창기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기는 팽창기 가스가 통하여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discharge port)를 갖는다. 하우징은 팽창기의 방출구에 인접한 벽을 갖추고 적어도 하나의 통기 개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듈은 상기 통기 개구부과 정렬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에어백내에 방출되는 팽창기 가스량과 하우징의 통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을 제어하도록 팽창기 작동중 일정 시각에 상기 통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기 위하여 통기 개구부과 연동되어 이동된다. 팽창기 작동중 일정 시각에 상기 통기 개구부에 대하여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부품이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부재가 통기 개구부을 개방시키는 위치에 있을 때, 배출구로 부터 방출되는 팽창기의 거의 모든 가스가 통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우징의 통기 개구부와 팽창기의 방출구가 서로 본질적으로 정렬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품은 이동부재의 이동을 가능토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소모품 즉 불꽃점화부품(pyrotechnic device)이다. 상기 불꽃점화부품은 에어백내에 방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을 제어하도록 일정 시각에 상기 통기 개구부에 대하여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도록 팽창기의 작동중 점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위한 일정 시각은 탑승자와 자동차의 정해진 조건들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이동부재는 에어백내 팽창기의 전체 가스량이 정상적으로 방출되도록 통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제 1 위치에 정상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에어백내에 방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을 감소시키도록 팽창기 작동후 일정 시각에 통기 개구부를 개방시키도록 제 2 위치까지 이동된다. 대신에, 상기 이동부재는 팽창기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기 개구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 1 위치에 정상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고, 에어백내로 방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통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제 2위치까지 이동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 개구부는 이동부재가 제 1 위치 또는 제 2위치에 있을 때, 전체적으로 완전하게 개방되거나 밀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부재가 플레이트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모듈이 이동부재를 제 1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하는 핀을 포함한다. 상기 부품의 작동은 제 1위치에서 부터 제 2 위치까지 이동부재를 강제 이동시키고, 핀은 이동부재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부서지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부재는 회전링이며, 부품의 작동시 팽창기와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작동된다. 상기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부품 작동시 이동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면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통기 개구부과 연동되는 이동부재를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이동부재가 내설되는 내부 포킷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킷부는 하우징에 이동부재의 삽입후 부품이 이동부재내에 삽입토록 하는 포킷구멍을 포함한다.
따라서, 에어백의 변경 가능한 팽창이 상기 불꽃점화부품의 작동에 연동되는 이동부재에 의하여 팽창기 가스의 방출중 일정 시각에 완전하게 개방 또는 밀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 개구부로서 단지 하나의 출력 가스 수준만을 갖는 1단계 팽창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의 거의 순간적인 제어는 자동차 센서로 부터 받아지는 신호에 대하여 거의 순간적으로 응답하는 부품의 사용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1 단계 팽창기로 부터 에어백의 변경 가능한 팽창 수준들을 제공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이 저럼하며, 무게를 가볍게 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제공된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에어백 모듈(10)은 자동차 탑승자(미도시)의 보호를 위하여 자동차(미도시)내에 설치된다. 상기 모듈(10)은 하우징(20), 팽창 가능한 에어백(27) 및, 에어백(27)을 팽창시키도록 가스를 발생시키는 팽창기(30)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10)은 보통 자동차의 탑승자 측에 설치되지만, 자동차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듈(10)은 어떤 적당한 방법으로 자동차에 안전하게 설치된다. 상기 모듈(10)은 이동부재(50) 및,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되듯이, 에어백(27)내에 배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을 변경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불꽃점화부품 (80)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은 바닥벽(16)과 대향하는 단부벽(17)(18)에 의하여 연결된 대향하는 측벽(14)(15)들을 포함한다. 상기 단부벽(17)은 그 내부에 팽창기(30)를 수용하기 위한 단부 개구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14)(15)들과 단부벽 (17)(18)들은 서로 연결되어 에어백(27)이 통하여 전개되는 하우징 개구부(19)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0)의 측벽(14)(15)들은 상기 팽창기(30)의 방출구들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측벽(14)내의 다수개의 통기 개구부(21)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 개구부(21)는 일반적으로 다음에 추가로 설명되듯이, 상기 팽창기(30)내의 각각의 방출구(32)와 정렬된다.
도 1에서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기(30)는 에어백(27)을 팽창시키는 팽창기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팽창기(30)는 에어백(27)을 팽창시키기 위한 하나의 수준으로 팽창기 가스를 출력시키기 위한 1 단계 팽창기(30)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기 (3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몸체부(31)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20)에 삽입을 위하여 상기 단부벽(17)내에 단부 개구부(22)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팽창기(30)는 하우징(20)에 적당히 안전하게 설치되는 단부들을 구비한다. 또한,상기 팽창기(30)는 다수의 방출구(32)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방출구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가스 방출을 위하여 상기 팽창기(30) 대향면의 하우징(20) 측벽들 (14)(15)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출구(32)들은 대개 하우징(20)의 통기 개구부(21)와 정렬된다.
상기 에어백(27)은 팽창 가스의 방출에 따라 팽창하는 어떤 일반적인 구조로도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팽창기 작동전에 팽창기(30)의 꼭대기에 겹쳐져 저장된 에어백(27)을 도시한다. 팽창기(30) 작동시, 상기 에어백(27)은 팽창기 작동중 정해진 팽창 가스량으로 채워지고, 자동차 탑승자의 보호를 위하여 하우징 개구부(19)를 통하여 외부로 전개된다.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8)가 상기 이동부재(50)와 불꽃점화부품(80)을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20)의 측벽(14)위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재 (88)는 용접에 의하여 또는 일체로 상기 하우징(2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88)는 이동부재(5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프레임부(89)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89)는 그 내부에 이동부재(50)를 고정하기 위한 벽부분(93)들을 갖추고, 상기 불꽃점화부품(80)의 점화시 이동부재(50)가 통기 개구부(21)에 연동되어 정지되고 위치되는 것에 따른 정지면(94)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88)는 상기 불꽃점화부품(80)이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이동부재(50)에 대하여 고정되는 지지구멍(91)를 포함하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브라켓트부분(90)을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지지부재(88)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재(50)는 일반적으로 플레이트와 같은 형상이며, 통기 개구부(21)와 정렬된다.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하우징의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을 제어하도록 일정 시각에 상기 통기 개구부(21)를 개방 및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기 개구부(21)과 연동되어 이동된다. 상기 이동부재(50)는 보통 상기 통기 개구부(21)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외측으로 향하는 보통 평탄한 신장부(52)와, 상기 외측으로 향하는 신장부(52)에 대하여 대략 90도 정도로 절곡되는 반동부(51)를 구비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동부(51)는 상기 불꽃점화부품(80)에 접촉하는 반동면(55)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으로 향하는 신장부(52)은 상기 통기 개구부(21)와 정렬되는 다수개의 구멍(5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 개구부(21)와 구멍(53)은 대략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핀(49)은 상기 하우징(20)위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88)의 프레임부(89)내 제 1 초기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50)를 고정한다. 상기 이동부재(50)내의 구멍(53)은 제 1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0)상의 통기 개구부(21)과 정렬되지 않고,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기 개구부(21)는 팽창기(30)의 작동전에 완전하게 밀폐되는 것은 알수 있을 것이다. 불꽃점화부품(80)의 작동시, 상기 이동부재 (50)는 상기 이동부재(50)상의 구멍(53)이 하우징(20)의 통기 개구부(21)와 정렬되는 제 2 위치까지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50)가 제 2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통기 개구부(21)는 완전히 개방된다.
상기 불꽃점화부품(80) 또는 폭죽(squib)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센서(미도시)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때 점화하는 화학성분을 포함한다. 와이어(81)는 부품(80)을 작동토록 상기 센서로부터 불꽃점화부품(80)까지 신호를 전달한다. 작동시, 상기 부품(80)은 이동부재(50)의 반동면(55)에 부딪쳐 밀도록 하는 압력파 (pressure wave)를 발생시키고, 제 1위치에서 부터 제 2위치까지 상기 이동부재 (50)를 강제 이동시킨다. 효과적으로 상기 불꽃점화부품(80)은 거의 순간적으로 압력파를 발생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작동후 1 ms(milliseconds) 보다 적은 시각내에 압력파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불꽃점화부품(80)의 점화순간, 상기 이동부재(50)는 통기 개구부(21)가 완전하게 밀폐되는 제 1위치에서부터 통기 개구부(21)가 완전하게 개방되는 제 2 위치까지 거의 순간적으로 이동된다.
팽창기(30)의 작동전에, 상기 에어백(27)은 팽창기(30) 꼭대기에 겹쳐진 상태로 저장된다. 또한 팽창기(30)의 작동전에 상기 이동부재(50)는 통기 개구부(21)이 밀폐되도록 통기 개구부(21)와 정렬되지 않는 구멍(53)을 갖는 핀(49)에 의하여 제 1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88)내에 고정된다. 정해진 일정 자동차 및 탑승자 조건들을 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센서는 상기 이동부재(50)가 팽창기(30)의 작동중 일정 시각에 개방되도록 상기 불꽃점화부품(80)에 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팽창기의 일정 가스량이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방출된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부품(80)이 점화되면, 상기 불꽃점화부품(80)에 의한 압력파 또는 화염(flame)이 상기 이동부재(50)의 반동면(55)에 부딪치어 밀고, 순간적으로 상기 이동부재(50)를 제 2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부재(50)는 핀(49)을 부수고, 제 1 위치에서 부터 제 2 위치까지 거의 순간적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부재(50)가 제 2 위치까지 이동될 때, 상기 통기 개구부(21)가 완전하게 개방되고 팽창기 가스가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구멍(53)은 통기 개구부(21)와 정렬된다.
다음에 바로 설명되듯이, 상기 에어백(37)내에 방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은, 1단 팽창기(30)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한 수준들로 변경된다. 센서들(미도시)에 의해 정해진 자동차 조건들이 감지될 때, 팽창기(30)는 작동되고, 0 ms 까지 지정된 시각에 팽창기의 가스 방출 작동을 시작토록 신호를 받는다. 팽창기(30)가 작동된 후, 팽창기 가스가 실제 에어백(27)내로 방출되기까지는 수 ms가 필요하게 된다는 것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팽창기 가스는 팽창기 작동후 설치된 팽창기(30)의 알려진 짧은 전체 방출시간 보다 늦게 방출된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0 ms 에 팽창기가 작동되지만 팽창기 가스는 작동후 전체 60 ms 후에 방출되기도 한다. 물론, 가스 방출 시각량은 팽창기(30)의 형태에 따라 다르고, 반드시 60 ms의 일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꽃점화부품 (80)의 사용은 부품(80) 점화 순간, 상기 통기 개구부(21)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에어백(27)내의 팽창기의 가스 방출량은, 상기 부품(80)을 점화 가능하게 하는 특정한 일정 시각에 이동부재(50)를 이동시킴으로서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50)를 이동시키기 위해 일정 시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탑승자 및 자동차의 정해진 조건들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부품을 연결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해진 조건들은 탑승자의 무게, 탑승자의 좌석벨트 사용유무 및, 자동차의 감속량과 방향을 포함한다. 팽창기 작동시 정해진 조건들의 주어진 상태를 위하여, 신호가 부품(80)에 전달되는데, 이와 같은 신호는 부품을 점화시키고, 특정하게 정해진 조건들을 위하여 이동부재(50)를 제 1 위치에서부터 제 2 위치까지 이동시켜야 하는 정해진 시각에 부품(80)에 전달된다. 예를 들어, 상기 부품(80)은 팽창기 작동까지 10 ms, 20 ms 또는 다른 시각에도 이동부재(50)를 이동시키도록 점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에어백 내에 방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은 하나의 팽창기(30)로서 다양한 조건들을 수용하는 광범위한 수준들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도 5 및 도 6 에서 관련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50)가 통기 개구부(21)가 완전하게 밀폐되는 제 1위치에 있을 때, 팽창기 전체 가스량은 에어백(27)을 향하여 상승되는 화살표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27)내에 방출된다. 도 6은 통기 개구부(21)이 완전하게 개방되도록 구멍(53)이 통기 개구부(21)과 정렬되는 제 2 위치까지 이동부재(50)가 이동된 것을 도시한다. 이동부재(50)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팽창기(30) 일측면상의 방출구(32)는 구멍(53)과 통기 개구부(21)에 정렬되어 통기 개구부(21)을 통하여 외부로 나가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기 방출 가스의 대략 반 정도는 통기 개구부(21)을 통하여 직접 배출된다. 상기 팽창기 가스의 다른 반 정도는 위로 상승되는 화살표로 도시된 에어백 팽창을 위하여 에어백(27)내로 방출된다.
따라서, 부품(80)이 점화되지 않으면, 이때 상기 이동부재(50)는 제 1 위치에서 남아있고 통기 개구부(21)은 팽창기의 전체 가스 방출시간동안 밀폐된다. 이때 팽창기 가스의 전체 방출량은 에어백(27)내에 채워진다. 대신에, 상기 부품(80)이 팽창기 작동과 동시에 점화될 수도 있어, 이에 팽창기 가스의 정해진 최대 방출량이 통기 개구부(2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최소한의 가스량만이 에어백내에 채워진다. 따라서, 각 모듈(10)에 대한 정해진 최대 통기량은 통기 개구부(21)이 팽창기의 전체 가스 방출시간동안 개방된다면, 발생되는 최대 통기량으로 이루어 진다. 즉, 부품(80)이 점화되고 이동부재(50)가 대략 0 ms에서 제 2위치까지 이동된다. 각 모듈(10)에 대한 최대 통기량은 하우징(20)상의 통기 개구부(21)의 크기와 수로서 정해진 백분율로 결정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출구(32)로 부터 방출된 팽창기의 전체 가스가 본질적으로 정렬된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츨되도록 상기 통기 개구부 (21)가 팽창기(30)의 방출구(32)와 충분히 정렬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배출은 최대 통기량은 가장 작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통기 개구부(21)는 최소가 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팽창후 통기 개구부(21)이 에어백(27)의 누름(ride down)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다. 통기 개구부(21)가 공기 최대량을 위하여 가능한 최소화 된다면, 탑승자와의 상호작용시 에어백(27)의 수축은 최소화된다. 탑승자의 누름은, 다른 방법 즉, 에어백(27)의 공기를 빼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대신에 상기 통기 개구부(21)는 최대 통기량 뿐 만 아니라, 탑승자 누름에 대하여도 원하는 크기로 조정될 수 있다.
통기 개구부(21)의 크기와 위치로서 모듈에 대한 최대 통기량을 결정하면, 통기 최대량과 최소량( 보통 0 )사이의 어떤 변화도 팽창기(30) 작동중에 일정 시각에 이동부재(50)를 이동시킴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도 11에서 추가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1은 대략 40% 의 최대 통기량을 갖는 모듈(10)에 대한 일반적인 팽창곡선(inflation curves)을 도시한다. 그러나, 상기 곡선의 일반적인 형태는 다른 최대 통기량에 대해서도 같을 것이다. 상기 곡선들은 이동부재(50)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통기 개구부(21)이 정상적으로 밀폐되는 일반적인 모듈에 대해, 수 ms 동안 가스를 방출시키는 시각동안 에어백(27)내에 방출되고 팽창기가 실제 가스를 방출시킨 팽창기 출력의 최대 백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곡선 e 는 팽창기의 전체 작동중에 이동부재(50)가 제 1 위치에 남아 있을때를 나타낸다. 곡선 e 는 통기 개구부(21)가 개방되지 못하여 통기량이0% 일 때 팽창기 출력의 100%가 에어백내에 방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범위에서, 곡선 a 는 팽창기 전체 작동중에 이동부재(50)가 제 2 위치까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곡선 a 는 상기 통기 개구부(21)이 0 ms 또는 대략 팽창기(30)의 작동과 같은 때에 개방될 때, 팽창기의 가스 출력의 단지 60% 만이 팽창을 위하여 에어백내에 방출되고, 40% 또는 최대량은 상기 하우징(20)내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통기량의 최대 40%는 가변될 수 있는 통기 개구부(21)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정해진 양임을 알수 있다. 곡선 b 는 팽창기 작동중 20 ms 의 일정 시각에 제 2 위치까지 이동될 때, 팽창기 가스 출력의 대략 70 %가 에어백(27)내에 방출되고, 팽창기 가스의 30 %는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곡선 c는 팽창기(30) 작동중 30 ms 의 일정 시각에 이동부재(50)가 제 2 위치까지 이동되어 팽창기 가스의 대략 80%는 에어백(27)내에 방출되고, 팽창기 가스의 20 %는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곡선 d 는 팽창기(30) 작동중 40 ms의 일정 시각에 이동부재(50)가 제 2 위치까지 이동되어 팽창기 가스의 대략 90 % 는 에어백(27)내에 방출되고, 팽창기 가스의 10 %는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곡선들은 단지 실시예들에 불과하고, 많은 다른 팽창 변화가 공기 최대량 및 부품(80)이 이동부재(50)를 이동시키도록 점화되는 시각에 따라 가능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통기는 통기 개구부(21)의 수에 따라 대략 0 %에서 100% 까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27)의 팽창 수준들은 불꽃점화부품(80)의 작동에 응답하는 이동부재(50)에 의하여 팽창기의 방출작동중 일정 시각에 전체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되는 통기 개구부(21)의 조합으로 하나의 가스 출력 수준만을 갖는 하나의 팽창 기(30)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이동부재(50)에 대한 거의 순간적인 제어작동은, 자동차 센서로 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거의 순간적으로 반응하는 부품(80)의 사용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상기 불꽃점화부품(80)은 한 번 사용하는 데에 필요한 소모품에 불과하다. 상기 불꽃점화부품(80)은 대개 점화장치 대신에 유익하게는 기구의 이동을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상기 이동부재(50)는 단지 모듈(10) 사용중 한 번 이동하도록 사용되고, 따라서 소모적인 부품(80)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비용적으로 효율적이며, 가벼워서 하나의 수준을 갖는 팽창기(30)로 부터 다양한 에어백(27)팽창을 제공하는 것을 알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비록 추가적인 자동차 센서가 자동차의 탑승자 조건들을 감지하기 위하여 필요하기는 하지만, 이미 사용되고 있는 에어백 모듈의 구조에 용이하게 적용할수 있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단지 한 번 사용되는 신장부들을 사용하고, 여러번 사용한다 해도, 이동의 반복적인 사용에 대한 확실성이 문제는 아니다. 더욱이 상기 통기 개구부(21)는 이동부재(50)가 빠르게 점화 개방될 수 있도록 완전하게 밀폐 되거나 또는 개방된다. 단지 부분적으로 통기 개구부(21)를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데에 필요한 이동부재(50)의 이동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종래기술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청구범위의 범위와 정신내에서 다음에 도시된 실시예의 적당한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비록 팽창기(30)가 하나의 수준을 갖는 팽창기가 바람직하지만, 하나의 수준을 갖는 팽창기의 사용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원한다면 2단계 또는 다단계 팽창기를 사용할 수 도 있지만, 일정 수준의 다른 팽창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비록 단지 하나의 이동부재(50), 한 세트의 통기 개구부(21), 및 하나의 부품(80)이 도시되었지만, 주어진 모듈(10)상에 추가적인 부품(80), 통기 개구부(21) 및 이동부재(50)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부재(50)가 통기 개구부 (21)의 밀폐 및 개방작동을 위하여 상기 통기 개구부(21)에 대하여 간단하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20)상에 단지 최소한 하나의 통기 개구부(21)만이 필요하고, 상기 이동부재 (50)가 반드시 구멍(53)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비록 팽창기의 작동전에 제 1 위치의 통기 개구부(21)을 밀폐시키고, 부품(80)의 작동시 제 2 위치까지 이동될 때 일정 시각에 통기 개구부(21)을 개방시키는 이동부재(50)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이동부재(50)는 팽창기 작동전에 제 1 위치에서 통기 개구부(21)을 개방시키고, 부품(80)의 점화시 제 2 위치까지 이동될 때 팽창기 작동중 일정 시각에 통기 개구부(21)를 밀폐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12에 따라 추가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2 는 대략 40%의 최대통기량을 갖는 모듈에 대한 일반적인 팽창곡선(inflation curves)을 도시한다. 그러나, 상기 곡선의 일반적인 형태는 다른 최대 통기량에 대해서도 같을 것이다. 상기 곡선들은 이동부재(50)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통기 개구부(21)가 정상적으로 밀폐되는 일반적인 모듈에 대해 수 ms 동안 가스를 방출시키는 시간에 대한 에어백(27)내에 방출되는 팽창기가 실제 가스를 방출시킨 팽창기 출력의 최대 백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곡선 a'는 팽창기의 전체 작동중에 이동부재(50)가 제 1 위치에 남아 있을때를 나타낸다. 곡선 a'는 통기 개구부(21) 전체가 밀폐될 필요가 없을 때에 단지 팽창기 가스 출력의 60 % 만이 에어백(27)내에 방출되고, 40% 또는 최대 통기량는 상기 하우징(20)내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범위에서 곡선 e'는 이동부재(50)가 팽창기 전체 작동중 제 2 위치까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곡선 e'는 0 ms 또는 팽창기(30)가 작동되는 거의 같은 작동으로서 통기 개구부(21)가 밀폐될 때, 팽창기 출력의 100 % 가 에어백(27)내에 방출되는 것을 도시한다. 40 %의 최대 통기량은 통기 개구부(21)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정해진 양이며, 가변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곡선 d' 는 이동부재(50)가 팽창기 작동의 정해진 20 ms 시각에 제 2 위치까지 이동될 때 상기 팽창기 가스 출력의 대략 90% 정도가 에어백(27)내에 방출되고, 팽창기 가스출력의 대략 10% 는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도시한다. 곡선 c'는 팽창기(30) 작동중 30 ms 의 일정 시각에 이동부재(50)가 제 2 위치까지 이동되어팽창기 가스의 대략 80%는 에어백(27)내에 방출되고, 팽창기 가스의 20 %는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곡선 b'는 팽창기(30) 작동중 40 ms 의 일정 시각에 이동부재(50)가 제 2 위치까지 이동되어 팽창기 가스의 대략 70 % 는 에어백(27)내에 방출되고, 팽창기 가스의 30 %는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곡선들은 단지 실시예들에 불과하고, 많은 다른 변경 가능한 팽창들이 통기 최대량과 부품(80)이 이동부재 (50)를 이동시키도록 점화되는 시각에 따라 가능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통기량이 통기 개구부(21)의 수에 따라 대략 0% 에서 100% 까지 가변될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에어백(27)의 팽창 수준들은 불꽃점화부품(80)의 작동에 응답하는 이동부재(50)에 의하여 팽창기의 방출중 일정 시각에 전체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되는 통기 개구부(21)의 조합으로 하나의 가스 출력 수준만을 갖는 하나의 팽창기 (30)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통기 개구부(21)이 초기에 정상적으로 밀폐된 곡선 c 와 정상적으로 개방된 곡선 c'에 대한 팽창곡선의 비교를 도시한다. 상기 양쪽 경우에 있어서, 이동부재(50)는 팽창기(30) 작동중에 30 ms 의 일정 시각에 제 2 위치까지 이동되어 상기 팽창기 가스 출력의 대략 80% 가 에어백(27)내에 방출되고, 팽창기 가스의 20%는 상기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팽창기 곡선의형태는 통기 개구부(21)가 정상적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밀폐되는 것에 따라 다르다. 이동부재(50)가 제 1 위치에서 통기 개구부(21)를 정상적으로 개방시키는 경우에, 곡선 c' 는 통기 개구부(21)이 초기에 밀폐된 상태의 곡선 c 보다 더 완만한 초기 경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백(27)의 팽창이 이동부재(50)와 부품(80)을 사용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아직은 다른 방법이 있다는 것이다. 더 완만한 초기 경사가 에어백 팽창의 초기 경사보다 작다면, 상기 통기 개구부(21)은 부품(80)의 작동시 제 1 위치 및 제 2위치에서 정상적으로 개방 및 밀폐된다. 대신에 에어백 팽창의 더 큰 초기 경사보다 완만하지 않는 초기 경사를 원한다면, 상기 부품(80)의 작동시 상기 통기 개구부(21)는 정상적으로 제 1 위치에서 밀폐되고, 제 2위치에서 개방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회전 가능한 링을 갖는 이동부재(50)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이와 같은 개조(version)는 특히 자동차 운전석 측에 사용하기에 보다 적당하다. 비슷한 특징은 100이 증가된 같은 부호로서 나타낼 것이다. 에어백 모듈(110)은 탑승자(미도시)의 보호를 위하여 자동차 조정휠(ste ering wheel)(미도시)내에 설치된다. 상기 모듈(110)은 하우징(120), 팽창기 에어백(127), 및 에어백(127)을 팽창토록 가스를 발생시키는 팽창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110)은 대개 자동차의 운전자 측에 설치되지만, 자동차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도 있다. 상기 모듈(110)은 베이스 플레이트(160)와 같은 어떤 적당한 방법으로 자동차에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110)은 회전 가능한 링인이동부재(150) 및,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백(127)내에 방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의 가변을 위하여 사용되는 불꽃점화부품(18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0)은 바닥벽(116)에 의하여 밀폐되는 원형 측벽(114)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114)은 에어백(127)이 통하여 전개되도록 가스가 방출되는 하우징 개구(119)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0)의 측벽(114)은 상기 팽창기(130)의 방출구(132)들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측벽(114)내의 다수개의 통기 개구부(121)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 개구부(121)는 일반적으로 상기 팽창기(130)내의 각 방출구(132)와 정렬되어 팽창기로부터의 방출 가스가 개방되는 통기 개구부(121)를 통하여 직접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110)은 일반적으로 에어백(127), 팽창기(130) 및 하우징(120)이 조립되도록 하는 평탄한 베이스 플레이트(16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는 조립중에 서로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팽창기 (130)를 수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16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160)는 바람직하게는 모듈(110)을 자동차에 결합하도록 화스너(미도시)와 같은 것에 의하여 자동차에 결합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기(130)는 에어백(27)을 팽창시키는 팽창기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팽창기(130)는 에어백(27)을 팽창시키기 위한 하나의 수준에서 팽창기 가스를 출력하도록 하나의 수준을 갖는 팽창기(130)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기 (130)는 일반적으로 원형 몸체부(31)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20)내로의 삽입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161)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팽창기 (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60)에 결합토록 하는 플랜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팽창기(130)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20)의 측벽(114)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는 가스 방출을 위하여 몸체부(131) 주위 공간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방출구(3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정한 방출구(132)들이 보통 상기 하우징(120)내의 통기 개구부(121)와 일치하여 정렬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백(127)은 팽창기 가스의 방출에 따라 팽창하도록 어떤 일반적인 구조로도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에어백(127)은 팽창기 작동전에 상기 팽창기(130) 꼭대기에 겹쳐진 상태로 저장된다. 상기 에어백(127)은 상기 에어백 (127)의 입구부(129) 주위에 위치되는 에어백 리테이너(128)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 리테이너(128)는 에어백(127)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에 결합시킨다. 팽창기(130)의 작동시, 상기 에어백(27)은 팽창기 작동중 정해진 팽창 가스량으로 채워지고, 자동차 탑승자의 보호를 위하여 조정휠의 커버(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전개된다.
도 3 및 도 4 에 따르면, 하우징(120)은, 내부에 불꽃점화부품(180)을 고정하도록 지지구멍(191)을 갖는 벽부(193)를 포함하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부재(18)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88)는 회전중 이동부재(150)가 정지되고, 불꽃점화부품(80)의 점화시 통기 개구부(121)에 따라 위치되는 것에 대향하는 정지면(194)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88)는 상기 하우징(120)에 용접으로써 또는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부재(150)는 상기 하우징(120)과 팽창기(130)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재(50)는 조립중 하우징(120)과 베이스 플레이트(160)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이동부재(50)는 바람직하게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 운동으로서 상기 통기 개구부(121)와 정렬된다. 상기 이동부재(150)는 하우징의 통기 개구부(1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팽창 가스량을 제어하도록 일정 시각에 상기 통기 개구부(121)을 개방 및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기 개구부(21)와 연관하여 이동된다. 상기 이동부재(150)는 보통 원형의 벽부(151) 및, 상기 벽부(151)에 따라 대략 90도 정도로 절곡되는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탭부(152)(tab portion)을 포함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탭부(152)는 불꽃점화부품 (180)에 접하는 반동면(155)을 포함한다. 상기 벽부(151)는 상기 통기 개구부(121)와 정렬되는 다수개의 구멍(153)을 포함한다.
클립(clip)(149)은 상기 부품(180)과 탭부(152)사이에 신장되고, 초기 제 1 위치에서 이동부재(150)를 고정한다. 상기 이동부재(150)내의 구멍(153)은 제 1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20)상의 통기 개구부(121)와 정렬되지 않고, 이에 상기 통기 개구부(121)가 팽창기(130)의 작동전에 완전하게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불꽃점화부품(180)의 작동시, 상기 이동부재 (150)는 상기 이동부재(150)상의 구멍(153)이 하우징(120)의 통기 개구부(121)와 정렬되는 제 2 위치까지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150)가 제 2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통기 개구부(121)는 완전히 개방된다.
상기 불꽃점화부품(180) 또는 폭죽(squib)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센서(미도시)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때 점화하는 화학성분을 포함한다. 와이어(81)는 부품(80)을 작동토록 상기 센서로부터 불꽃점화부품(80)까지 신호를 전달한다. 작동시, 상기 부품(180)은 이동부재(150)의 반동면(55)에 부딪쳐 밀도록 하는 압력파 (pressure wave)를 발생시키고, 제 1위치에서 부터 제 2위치까지 상기 이동부재 (150)를 빠르게 강제 이동시킨다. 효과적으로는, 상기 불꽃점화부품(180)은 거의 순간적으로 압력파를 발생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작동후 1 ms 보다 적은 시각내에 압력파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불꽃점화부품(180)의 점화순간, 상기 이동부재 (150)는 통기 개구부(121)가 완전하게 밀폐되는 제 1위치에서부터 통기 개구부 (121)가 완전하게 개방되는 제 2 위치까지 거의 순간적으로 회전된다.
정해진 일정 자동차 및 탑승자 조건들을 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센서는 상기 이동부재(150)가 팽창기(130)의 작동중에 일정 시각에 개방되도록 상기 불꽃점화부품(180)에 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팽창기의 일정 가스량이 통기 개구부(121)를 통하여 배출된다. 도 4 에 따르면, 상기 부품(180)이 점화되면, 상기 불꽃점화부품 (180)에 의한 압력파 또는 화염(flame)이 상기 이동부재(150)의 반동면(155)에 부딪치어 밀고, 순간적으로 상기 이동부재(50)를 제 2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상기 이동부재(150)의 회전력은 크립(149)을 절단시키고, 제 1 위치에서 부터 제 2 위치까지 거의 순간적으로 이동된다. 탭부(152)는 부품(180)의 작동시 이동부재(150)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정지면(194)을 단속한다. 이동부재(150)가 제 2 위치까지 이동될 때, 구멍(153)은 통기 개구부(121)와 정렬되어 상기 통기 개구부(121)는 완전하게 개방되고 통기 개구부(121)를 통하여 팽창 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도 1,2,5,6 및 도 11,13 에 따라 상세하게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127)내에 방출되는 팽창기 가스의 방출량은, 부품(180)의 점화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 정해진 특정 시각에 상기 이동부재(150)를 이동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변경된다. 에어백(127)의 팽창 수준들은 불꽃점화부품(180)의 작동에 응답하는 이동부재(150)에 의하여 팽창기의 가스 방출중 일정 시각에 전체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되는 통기 개구부(121)들의 조합으로 하나의 가스 출력 수준만을 갖는 하나의 팽창기(130)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이동부재(1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일정 시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에 의하여 탑승자와 자동차의 정해진 조건들에 응답하도록 결정되고, 상기 부품(180)에 연결된다.
종래기술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청구범위의 범위와 정신내에서 다음에 도시된 적당한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비록 회전링인 이동부재(150)가 연속적인 원형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상기 링은 불연속적일 수 있고 완전하게 원형으로 될 필요도 없다. 비록 하나의 이동부재(150), 한 세트의 통기 개구부(121), 및 하나의 부품(180)이 도시되었지만, 주어진 모듈(110)상에 추가적인 부품(180), 통기 개구부(121) 및 이동부재(150)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부재(150)가 통기 개구부(121)의 밀폐 및 개방작동을 위하여 상기 통기 개구부(121)에 대하여 간단하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120)상에는 단지 최소한 하나의 통기 개구부(121)만을 필요로 하고, 이동부재(150)가 구멍(153)을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비록 팽창기의 작동전에 제 1 위치의 통기 개구부(121)를 밀폐시키고, 부품 (180)의 작동시 제 2 위치까지 이동될 때 일정 시각에 통기 개구부(121)를 개방시키는 이동부재(15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상기 이동부재(150)가 팽창기 작동전에 제 1 위치에서 통기 개구부(121)를 개방시키고, 부품(180)의 점화시 제 2 위치까지 이동될 때 팽창기 작동중 일정 시각에 통기 개구부(121)를 밀폐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7 의 실시예는 200으로서 증가되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도 7의 실시예는 이동부재(250)가 하우징(250)의 내부에 위치되고, 통기 개구부(221)이 초기에 개방된 상태로 있다는 점에서 상술된 실시예들과 다르다. 에어백 모듈(210)은 탑승자(미도시)의 보호를 위하여 자동차(미도시)내에 설치된다. 상기 모듈(210)은 하우징(220), 팽창기 에어백(227), 및 에어백(227)을 팽창토록 가스를 발생시키는 팽창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210)은 대개 자동차의 승객측에 설치되지만, 자동차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도 있다. 상기 모듈 (210)은 어떤 적당한 방법으로 자동차에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210)은 이동부재(250) 및,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백(227)내에 방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의 변경을 위하여 사용되는 불꽃점화부품(280)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20)은 바닥벽(216)에 의하여 대향 위치되는 측벽(214)(215)들과 대향하는 단부벽(217)(218)들을 포함한다. 상기 단부벽(217)은 내부에 팽창기 (230)를 수용토록 하는 단부 개구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214)(215)들과 단부벽(217)(218)들은 에어백(227)이 통하도록 함께 하우징 개구(219)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20)의 측벽(214)은 팽창기(230)의 방출구(232)들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오목부분(223)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20)은 상기 측벽(214)내의 다수개의 통기 개구부(221)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통기 개구부(221)은 측벽(214)의 오목부분(223)상에 위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정렬된 방출구(232)로 부터 배출되는 거의 모든 가스가 통기 개구부(2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팽창기(230)내 방출구(232)와 일치하여 직접 정렬되는 것이다.
상기 팽창기(230)는 에어백(27)을 팽창시키는 팽창기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팽창기(230)는 에어백(227)을 팽창시키기 위한 하나의 수준에서 팽창기 가스를 출력하도록 하는 하나의 수준을 갖는 팽창기(230)로 된다. 상기 팽창기(23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몸체부(231)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220)내로의 삽입을 위하여 상기 단부벽(217)내 단부 개구부(222)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팽창기(230)는 적당히 안전하게 설치되는 단부들을 갖는다. 상기 팽창기(230)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가스 배출을 위하여 주위공간에 홀수로 위치되는 세 개의 방출구(232)를 갖는 단부(23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서 알수 있듯이, 상기 방출구(232)들의 하나가 하우징 (220)내의 통기 개구부(221)에 일치하여 정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210)의 최대 통기량은 가스의 3분의 1 정도가 통기 개구부(22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대략 33 %이고, 통기 개구부(221)가 팽창기 작동의 전체 시각동안 개방되어 있다면, 이동부재(250)에 의하여 결코 밀폐되지 않는다.
상기 에어백(227)은 팽창기 가스의 방출에 따라 팽창하도록 어떤 일반적인 구조로도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에어백(227)은 팽창기 작동전에 상기 팽창기 (230)의 꼭대기에 겹쳐진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고 있다. 팽창기(230) 작동시 상기 에어백(227)은 팽창기 작동중 일정 팽창기 가스량으로 체워지고, 자동차 탑승자를 보호토록 하우징 개구(219)를 통하여 외부로 전개된다.
상기 하우징(220)은, 내부의 이동부재(250)와 불꽃점화부품(180)을 고정하도록 측벽(214)상에 배치된 외측으로 돌출하는 포킷부(288)를 포함한다. 상기 포킷부(288)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220)과 일체로 된다. 상기 포킷부(288)는 이동부재(250)의 반동부(251)의 길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포킷부(288)의 대향벽부(293)는 분리 위치되어 상기 이동부재(250)가 상기 포킷부(288)내에 위치될 때 상기 이동부재(250)와 벽부(293)들의 사이에는 갭(289)이 있게 된다. 이는 다음에 추가적으로 설명되듯이, 상기 이동부재(250)가 제 1 위치에서 부터 제 2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포킷부(288)는 이동부재 (250)가 정지되고 상기 불꽃점화부품(280)의 점화시 통기 개구부(221)에 따라 위치되는 것에 반하는 하나의 벽부(293)상의 정지면(294)을 포함한다. 상기 포킷부 (288)의 대향 벽부(293)는 상기 불꽃점화부품(280)이 통하여 삽입되고, 이동부재 (250)의 따른 위치에서 고정되는 지지구멍(291)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250)는 대향하는 벽부(293)상에 위치되는 정지면(294), 부품(280) 및 지지구멍(291)으로서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250)는 상기 포킷부(288)내에 위치되고, 상기 부품(280)이 점화될 때 상기 포킷부(288)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250)는 에어백(227)내에 팽창기의 방출 가스량과 상기 하우징(220)의 통기 개구부(2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일정 시각에 통기 개구부(221)를 개방 및 밀폐시키도록 통기 개구부(221)에 대하여 이동된다. 상기이동부재(250)는 일반적으로 통기 개구부(221)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일반적으로 평평하고 외측으로 돌출하는 신장부(252)와 보다 확대된 반동부(251)를 갖는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동부(251)는 불꽃점화부품(280)에 접촉하는 반동면(255)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방향의 신장부(252)는 통기 개구부(221)를 개방시키도록 통기 개구부(221)과 정상적으로 정렬되는 구멍(253)을 포함한다.
상기 불꽃점화부품(280) 또는 폭죽(squib)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센서(미도시)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때 점화하는 화학성분을 포함한다. 와이어(281)는 부품(280)을 작동토록 상기 센서로부터 불꽃점화부품(280)까지 신호를 전달한다. 작동전에, 상기 부품(280)은 이동부재(250)의 반동면(55)에 부딪쳐 밀도록 하는 압력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이동부재(250)와 정지면(294)사이에 갭(gab)(289)이 형성되는 제 1 위치에서 부터 이동부재(250)가 정지면(294)을 단속하는 제 2위치까지 상기 이동부재(150)를 빠르게 강제 이동시킨다. 제 1위치에서 이동부재(250)내의 구멍(253)이 하우징(220)상의 통기 개구부(221)와 정렬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통기 개구부(221)는 완전하게 개방되는 것을 알수 있다. 상기 불꽃점화부품(280)의 작동시, 이동부재(250)는 이동부재(250)의 구멍(253)이 하우징(220)상의 통기 개구부 (221)과 정렬되는 제 2 위치까지 이동된다. 따라서 이동부재(250)가 제 2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통기 개구부(221)은 완전하게 밀폐된다. 상기 갭(289)는 이동부재 (250)가 통기 개구부(221)을 밀폐시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이동될 수 있는 크기로 되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꽃점화부품(280)은 거의 순간적으로 압력파를 발생시키고, 통기작용의 정확한 타이밍(timing)이 에어백(227)에 방출되는 팽창기의 가스량을 조정토록 제어될 수 있는 작동후 1 ms 보다 적은 시간내에 압력파를 발생시킨다.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수준을 갖는 팽창기(230)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에어백(227)내에 방출되는 팽창기의 가스량은 거의 제한되지 않는 수준들로 변경될 수 있다. 정해진 일정한 자동차 및 탑승자의 조건들이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감지되면, 상기 팽창기(230)는 작동되고, 0 ms 시각에 팽창기 가스를 방출하는 작동을 시작하는 신호를 받게된다. 바람직하게는, 불꽃점화부품(280)을 사용함으로써 이동부재(250)가 이동되고, 통기 개구부(221)이 부품 (280) 점화시 거의 순간적으로 개방상태에서 밀폐상태로 변경되는 것이다. 따라서,에어백(227)내에 방출되는 팽창기의 가스량은 이동부재(250)의 이동에 따라 팽창기 작동중에 다양하게 일정 시각에 용이하게 변경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250)를 이동시키는 일정 시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에 의하여 감지되고 부품과 연결되는 탑승자 및 자동차의 정해진 조건들에 응답하여 결정된다. 부품(280)이 점화되고, 상기 이동부재(250)가 제 1위치에 남아있다면, 상기 방출구(232)는 통기 개구부(221)및 구멍(253)과 정렬된 상태로 있게 되고, 통기 개구부(221)를 통하여 팽창기 가스의 전부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키며, 그래서 상기 방출구(232)는 팽창기 가스의 대략 최대 1/3 을 통기하고, 나머지 팽창기 가스의 2/3 는 에어백(227)내로 방출된다. 대신에 부품(280)이 팽창기 작동과 동시에 (시간=0 ms) 점화된다면, 상기 이동부재(250)는 제 2위치까지 이동되고, 상기 통기 개구부(221)은 밀폐되며, 상기 팽창기의 전체 가스량은 에어백(227)내로 배출된다. 상기 부품(280)은 이동부재(250)를 에어백(227)에 방출되는 가스의 100% 보다는 작지만 2/3보다는 크도록 팽창기 가스 방출중에 다양한 시각으로 이동부재 (250)를 이동토록 점화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 개구부(221)는 방출구(232)에 일치하여 방출되는 팽창기의 거의 모든 가스가 정렬된 통기 개구부(22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팽창기(230)상의 방출구(232)와 일치하여 직접 정렬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배출은 최대 통기량은 가장 작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통기 개구부(221)는 최소하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227)의 다양한 팽창 수준들이, 불꽃점화부품(280)의 작동에 응답하는 이동부재(250)에 의하여 팽창기의 가스 방출중 일정 시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개방 또는 밀폐되는 하나의 통기 개구부(221)로서 조합되어 단지 하나의 가스 출력 수준을 갖는 하나의 팽창기(230)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이동부재(250)의 거의 순간적인 제어작동은, 자동차 센서로 부터 수신된 신호에 거의 순간적으로 응답하는 부품(280)을 사용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시스템은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적인 효과와저중량을 제공하여 하나의 수준을 갖는 팽창기(230)로 부터 다양한 에어백(227)의 팽창 수준들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청구범위의 범위와 정신내에서 다음에 도시된실시예의 적당한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비록 팽창기(230)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수준을 갖는 팽창기이지만, 하나의 수준으로 된 팽창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비록 하나의 이동부재(250), 통기 개구부(221), 및 부품(280)이 도시되고 있지만, 모듈(210)의 추가적인 부품 (280), 통기 개구부(221) 및 이동부재(250)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상기 이동부재(250)가 꼭 구멍(223)을 포함해야 할 필요는 없는데, 이는 상기 이동부재(250)가 통기 개구부(221)을 개방 및 밀폐시키도록 통기 개구부 (221)와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실시예는 팽창기 작동전에 제 1 위치에서 통기 개구부(221)를 개방하며, 부품(280) 작동시 제 2 위치까지 이동될 때 일정 시각으로 통기 개구부(221)를 밀폐시키는 이동부재(250)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대신에 상기 이동부재(250)는 팽창기 작동전에 제 1위치에서 통기 개구부(221)를 밀폐시키고, 부품(280) 작동시 제 2 위치까지 이동될 때 일정 시각으로 통기 개구부(221)를 개방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는 이제 도 8-10 에서 도시될 것이다. 도 8-10의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하면, 도 7의 실시예와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운전자 측에 설치되는 모듈(310)에 대한 것이다. 도 8에 따르면, 에어백 모듈(310)은 탑승자(미도시)의 보호를 위하여 자동차(미도시)내에 설치된다. 상기 모듈(310)은 하우징(320), 팽창 가능한 에어백(미도시), 및 에어백을 팽창토록 가스를 발생시키는 팽창기(330)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310)은 대개 자동차의 운전석 측에 설치되지만, 자동차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도 있다. 상기 모듈(310)은 어떤 적당한 방법으로 자동차에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310)은 이동부재(350) 및,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백내에 방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의 가변을 위하여 사용되는 불꽃점화부품(380)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20)은 바닥벽(316)에 의하여 밀폐되는 원형의 측벽(314)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314)은 에어백 내에 팽창기 가스가 통하여 방출되는 하우징 개구(319)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20)의 측벽(314)은 팽창기(330)의 방출구(232)들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320)은 상기 측벽(214)내의 다수개의 통기 개구부(321)들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통기 개구부(321)은 바람직하게는 방출구 (332)로 부터 방출된 팽창기의 전체 가스량이 개방시 통기 개구부(22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팽창기(330)내의 방출구(332)에 일치하여 직접 정렬되는 것이다.
상기 팽창기(330)는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팽창기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 진다. 유익하게는, 상기 팽창기(330)는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하나의 수준에서 팽창기 가스를 출력하도록 하나의 수준을 갖는 팽창기(330)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기(33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몸체부(331)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320)내로의 삽입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 개구(319)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팽창기(230)는 하우징(320)에 적당히 안전하게 설치되는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팽창기 플랜지(3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팽창기(330)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가스 배출을 위하여 몸체부(331)의 주위 공간에 홀수로 위치되는 세 개의 방출구(23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방출구(332)는 하우징(310)내 통기 개구부(321)과 직접 정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기 개구부(321)이 팽창기의 전체 작동시각중에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그래서 이동부재(350)에 의하여 밀폐되지 않는다면, 최대 가스량의 대략 1/3이 통기 개구부(3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것이므로 모듈(310)의 최대 통기량은 33 % 이다.
상기 모듈(310)은 에어백, 팽창기 플랜지(334) 및 하우징(320)이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은 팽창기 가스의 방출시 팽창작동을 위한 어떠한 일반적인 구조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백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개구(319)를 통하여 배출되는 팽창기 가스를 수용하는 입구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팽창기(33)의 작동시 상기 에어백은 팽창기작동중 정해진 팽창기 가스량으로 채워지고, 자동차 탑승자의 보호토록 조정휠(미도시)을 통하여 전개된다.
상기 하우징(320)은, 내부의 이동부재(350)와 불꽃점화부품(380)을 고정하도록 바닥벽(316)에서 부터 신장하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포킷부(388)를 포함한다. 상기 포킷부(388)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2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포킷부(388)는 이동부재(350)의 반동부(351)의 길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350)의 반동부(351)가 상기 포킷부(388)내에 위치될 때, 상기 이동부재(350)와 포킷부(388)의 상측 단부사이에는 갭(389)이 발생된다. 이는 다음에 추가적으로 설명되듯이, 상기 이동부재(350)가 제 1 위치에서 부터 제 2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포킷부(388)의 바닥 벽부(393)는 상기 불꽃점화부품(280)이 통하여 삽입되는 지지구멍(391)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350)에 따른 위치내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320)은 이동부재(350)가 정지되는 반대방향의 정지면(394)을 포함하고, 상기 불꽃점화부품(380)의 점화시 통기 개구부(321)에 일치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정지면(394)은 이동부재(350)의 후방과 팽창기(330)의 전면에 하우징(320)내에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396)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부재(350)는 포킷부(388)내에 고정되고, 상기 부품(380)이 점화될때 상기 포킷부(388)내에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350)는 에어백내에 방출되는 팽창기의 가스량과 하우징(320)의 통기 개구부(3221)을 통하여 배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을 제어하도록 일정 시각에 통기 개구부(321)을 개방 및 밀폐토록 상기 통기 개구부(321)에 따라 이동된다. 상기 이동부재(350)는 일반적으로 통기 개구부(321)과 신장하는 반동부(351)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상측으로 신장하는 평탄한 신장부(352)를 갖춘다.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동부(351)는 상기 불꽃점화부품(380)과 접촉하는 반동면(355)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으로 신장하는 신장부(352)는 상기 통기 개구부(321)를 개방토록 상기 통기 개구부(321)와 정상적으로 정렬되는 구멍(353)을 포함한다.
상기 불꽃점화부품(380) 또는 폭죽(squib)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센서(미도시)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때 점화하는 화학성분을 포함한다. 와이어(381)는 부품(380)을 작동토록 상기 센서로부터 불꽃점화부품(380)까지 신호를 전달한다. 작동전에, 상기 부품(380)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킷부(388)내에 초기 제 1 위치에서 이동부재(350)를 고정하는 핀으로서 작동한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품(380)은 작동시 상기 이동부재(350)의 반동면(355)에 부딪쳐 밀도록 하는 압력파(pressure wave)를 발생시키고, 상기 이동부재(350)와 정지면(394)사이에 갭(389)이 있는 제 1 위치에서 부터 이동부재(350)가 정지면(394)을 단속하는 제 2위치까지 상기 이동부재(350)를 빠르게 강제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부재(350)는 바람직하게는 지지플레이트(396)위로 고정하는 스냅식으로 잠기는 돌출부(335)를 포함하고, 제 2 위치에서 이동부재(350)를 고정한다. 도 9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위치에서 이동부재(350)내의 구멍(353)은 하우징(320)상의 통기 개구부(321)와 정렬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통기 개구부(221)이 팽창기(330)의 작동전에 완전하게 개방되는 것을 알수 있다. 도 10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불꽃점화부품(380)의 작동시, 이동부재(350)는 이동부재(350)의 구멍(353)이 하우징 (320)상의 통기 개구부(321)과 정렬되는 제 2 위치까지 상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동부재(350)가 제 2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통기 개구부(321)은 완전하게 밀폐된다. 상기 갭(389)는 이동부재(350)가 통기 개구부(321)을 밀폐시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이동될 수 있는 크기로 되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꽃점화부품(280)은 거의 순간적으로 압력파를 발생시키고, 정확한 타이밍(timing)이 에어백에 방출되는 팽창기의 가스량이 제어될 수 있도록 작동후 1 ms 보다 적은 시간내에 압력파를 발생시킨다.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수준을 갖는 팽창기(330)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에어백내에 방출되는 팽창기의 가스량은 거의 제한되지 않는 수준들로 변경될 수 있다. 정해진 어떤 자동차 및 탑승자 조건들이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감지되면, 상기 팽창기(330)는 작동되고, 팽창기 가스를 방출하는 작동을 시작하는 신호를 받게된다. 바람직하게는, 불꽃점화부품(380)의 사용함으로써 이동부재(350)가 이동되고, 통기 개구부(321)이 부품(380) 점화시 거의 순간적으로 개방상태에서 밀폐상태로 변경되는 것이다. 따라서, 에어백내에 방출되는 팽창기의 가스량은 이동부재(350)의 이동에 따라 팽창기 작동중 다른 일정 시간에서 용이하게 변경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350)를 이동시키는 일정 시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에 의하여 감지되고 부품과 연결되는 탑승자 및 자동차의 정해진 조건들에 응답하여 결정된다. 부품(380)이 점화되지 않고 상기 이동부재(250)가 제 1위치에 남아있다면, 상기 방출구(332)는 통기 개구부(321)과 구멍(353)과 정렬된 상태로 있게되고, 통기 개구부(321)를 통하여 팽창기 가스의 전부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키며, 그래서 상기 방출구(332)는 팽창기 가스의 대략 최대 1/3 은 통기되고, 나머지 팽창기 가스의 2/3 는 에어백내로 방출된다. 대신에 부품(380)이 팽창기 작동과 동시에 점화된다면, 상기 이동부재(350)는 제 2위치까지 이동되고, 상기 통기 개구부(321)는 밀폐되며, 상기 팽창기의 전체 가스량은 에어백내로 베출된다. 상기 부품(380)은 이동부재(350)를 에어백에 방출되는 가스의 100% 보다는 작지만 2/3보다는 크도록 팽창기 가스 방출중에 다양한 시각으로 이동부재(350)를 이동토록 점화될 수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방출구(332)에 일치하여 방출되는 팽창기의 거의 모든 가스 가 일치되어 정렬된 통기 개구부(3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통기 개구부(321)이 팽창기(330)상의 방출구(332)와 일치하여 직접 정렬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배출이 통기 최대량은 가장 작게 수행되도록 하고 통기개구부(321)는 최소가 되도록 하는 것을 기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의 다양한 팽창 수준들이, 불꽃점화부품(380)의 작동에 응답하는 이동부재(350)에 의하여 팽창기(330)의 가스 방출중 일정 시각에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개방 또는 밀폐되는 하나의 통기 개구부(321)로서 조합되어 단지 하나의 가스 출력 수준을 갖는 하나의 팽창기(330)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이동부재(350)의 거의 순간적인 제어작동은, 자동차 센서로 부터 수신된 신호에 거의 순간적으로 대응하는 부품(380)을 사용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시스템은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적인 효과와 저중량을 제공하여 하나의 수준을 갖는 팽창기(330)로 부터 다양한 에어백(327)의 팽창 수준들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청구범위의 범위와 정신내에서 다음에 도시된 실시예의 적당한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비록 팽창기(330)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수준을 갖는 팽창기이지만, 하나의 수준으로 된 팽창기를 사용해야 하는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비록 하나의 이동부재(350), 통기 개구부(321), 및 부품(380)이 도시되고 있지만, 모듈(310)의 추가적인 부품(380), 통기 개구부(321) 및 이동부재(350)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상기 이동부재(350)가 꼭 구멍(323)을 포함해야 할 필요는 없는데, 이는 상기 이동부재(350)가 통기 개구부(321)을 개,폐시키도록 통기 개구부(321)에 따라서만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실시예는 팽창기 작동전에 제 1 위치에서 통기 개구부(321)을 개방하며, 부품(380) 작동시 제 2 위치까지 이동될 때 일정 시각으로 통기 개구부(321)을 밀폐시키는 이동부재(350)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대신에 상기 이동부재(350)는 팽창기 작동전에 제 1위치에서 통기 개구부(321)을 밀폐시키고, 부품(380) 작동시 제 2 위치까지 이동될 때 일정 시각으로 통기 개구부(321)을 개방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 실시예로서 설명 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Claims (34)

  1. 에어백(27);
    상기 에어백(27)을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기 가스를 방출토록 작동되며, 상기 팽창 가스가 방출되는 방출구(32)를 갖는 팽창기(30);
    상기 팽창기(30)의 방출구(32)에 인접한 벽(14)을 갖추고, 통기 개구부(21)를 포함하는 하우징(20);
    상기 통기 개구부(21)과 정렬되며, 상기 에어백(27)내로 방출되는 팽창기의 가스 방출량 및 상기 하우징(20)의 통기 개구부(21)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팽창기의 가스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팽창기(30)의 작동중 일정 시각에 통기 개구부 (21)를 개방 및 밀폐시키도록 상기 통기 개구부(21)과 연동되는 이동부재(50); 및,
    상기 팽창기(30)의 작동중 일정 시각에 상기 통기 개구부(21)에 연관하여 이동부재(50)를 이동시키도록 팽창기(30)가 작동하는 동안 작동되는 부품(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가 통기 개구부(21)를 개방토록 위치될 때, 상기 하우징(20)의 통기 개구부(21)와 팽창기(30)의 방출구(32)가 서로 정렬되어 상기 방출구(32)로부터 방출된 팽창기(30)의 거의 모든 가스가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80)은 불꽃점화부품(pyrotechnic device)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80)은 이동부재(50)의 이동을 위한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는 반동면(reaction surface)(55)을 포함하고, 상기 부품(80)은 상기 통기 개구부(21)에 대하여 이동부재(5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부재(50)의 반동면(55)에 대향하는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불꽃점화부품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모듈(10)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80)은 불꽃점화부품이며, 상기 불꽃점화부품은 상기 에어백(27)의 내부로 방출되는 팽창기(30)의 가스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정해진 시각에 상기 통기 개구부(21)에 대하여 이동부재(50)를 이동시키도록 팽창기 (30)의 작동 동안 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를 이동시키는 일정시각은, 탑승자 및 자동차의 정해진 조건들에 응답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0)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좌석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정해진 조건들은 탑승자의 무게, 탑승자의 위치, 탑승자의 좌석벨트 사용 및 자동차 감속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는 부품(80)의 작동전에 하우징(20)의 통기 개구부(21)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는 부품(80)의 작동전에 하우징(20)의 통기 개구부(21)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팽창기 가스의 전체량이 정상적으로 상기 에어백(27)내로 방출되도록 상기 통기 개구부(21)를 밀폐시키는 제 1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에어백(27)내에 방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을 감소시키도록 팽창기(30) 작동후, 일정 시각에 통기 개구부(21)를 개방시키는 제 2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가 통기 개구부(21)을 개방토록 제 2위치에 있을때, 상기 하우징(20)의 통기 개구부(21)과 팽창기(30)의 방출구(32)가 서로 정렬되어 상기 방출구(32)로부터 방출된 팽창기(30)의 거의 모든 가스가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는, 팽창기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이 정상적으로 상기 통기 개구부(21)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상기 공기구멍(21)을 개방시키는 제 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에어백(27)내에 방출되는 팽창기 가스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상기 팽창기(30)의 작동중 일정 시각에 상기 통기 개구부 (21)을 밀폐시키는 제 2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가 통기 개구부(21)을 개방토록 제 1위치에 있을때, 상기 하우징(20)의 통기 개구부(21)와 팽창기(30)의 방출구(32)는 서로 정렬되어서 상기 방출구(32)로부터 방출된 팽창기(30)의 거의 모든 가스가 상기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0)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는 구멍(aperture)(53)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53)은 통기 개구부(21)을 개방토록 상기 통기 개구부(21)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30)는 다수의 방출구(32)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이동부재(50)가 통기 개구부(21)을 개방시킬 때 통기 개구부( 21)와 정렬된 상기 방출구(32)로부터 방출된 팽창기(30)의 거의 모든 가스가 상기 통기 개구부(21)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방출구(32)들중 하나와 정렬되는 하나의 통기 개구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일정 시각은 팽창기(30) 작동후 0 - 40 ms(milliseconds) 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는 일반적으로 플레이트와 같은 형상을 갖추고, 상기 모듈(10)은 제 1 위치에서 이동부재(50)를 고정하는 핀(49)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80)의 작동은 이동부재(50)를 제 1위치 에서부터 제 2 위치까지 이동부재(50)를 강제 이동시키며, 상기 핀(49)은 상기 이동부재(50)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파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50)는 회전 가능한 링이며, 부품(180)의 작동시 팽창기(130)와 하우징(120)에 연관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10)
  20. 제 19항에 있어서, 회전링인 상기 이동부재(150)는,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탭(152)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20)은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정지면(194)을 포함하며, 상기 탭(152)은 부품(80)의 작동시 상기 이동부재 (150)의 회전 운동을 제한토록 정지면(194)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10)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50)는 하우징(120)의 벽(114)과 팽창기 (130)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10)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0)은 이동부재(250)가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 포킷부(2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210)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50)는 내부에 부품(280)을 수용토록 반동면(251)와 통기 개구부(221)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외측방향의 신장부(2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210)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동부(252)는 상기 포킷부(288)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210)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포킷부(288)는 상기 반동부(251)의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부품(280) 작동시, 반동부(251)가 상기 통기 개구부(221)에 연동되는 이동부재(250)의 외측방향 신장부(252) 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포킷부(288)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210)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포킷부(288)는 부품(280)의 작동시 반동부(251)의 운동을 제한하는 정지면(294)을 포함하고, 상기 통기 개구부(221)에 연관되는 이동부재(250)의 외측방향 신장부(252)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210)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포킷부(288)는, 상기 하우징(220)에 이동부재(250)의 삽입후 상기 이동부재(250)내로 부품(280)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포킷 구멍(29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210)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10)은, 부품(80)의 작동시 통기 개구부(21)에 연동되는 이동부재(50)를 위치시키도록 상기 이동부재(50)를 단속하는 정지면(9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는 제 1 위치에서 부터 부품(80) 작동후 1 ms 내에 제 2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는 부품(80) 작동전에 초기 제 1 위치에 위치되고, 부품(80) 작동후 제 2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3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350)는 부품(38) 작동시 상기 이동부재 (350)를 제 2 위치내에 고정시키는 록킹부(3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310)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는 통기 개구부(21)이 완전하게 개방되는 제 1 위치와 부품(80) 작동시 상기 통기 개구부(21)이 완전하게 밀폐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3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는 통기 개구부(21)가 완전하게 밀폐되는 제 1 위치와 부품(80) 작동시 상기 통기 개구부(21)이 완전하게 개방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3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80)은 단지 한 번 작동되고 소모품인 것을 특징으로 에어백 모듈(10)
KR1019997006485A 1997-01-17 1998-01-15 가변 팽창을 갖는 에어백 모듈 KR100341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85,562 US6039346A (en) 1997-01-17 1997-01-17 Air bag module with variable inflation
US08/785,562 1997-01-17
US8/785,562 1997-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257A KR20000070257A (ko) 2000-11-25
KR100341271B1 true KR100341271B1 (ko) 2002-06-22

Family

ID=2513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485A KR100341271B1 (ko) 1997-01-17 1998-01-15 가변 팽창을 갖는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6039346A (ko)
EP (1) EP0952937B1 (ko)
JP (1) JP2001522329A (ko)
KR (1) KR100341271B1 (ko)
AU (1) AU5910198A (ko)
DE (1) DE69832468T2 (ko)
WO (1) WO1998031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3033B2 (en) * 1994-05-23 2003-09-23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irbag infl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497431B1 (en) 1997-07-09 2002-12-24 Michael R. Schramm Adaptive restraint system
US6123358A (en) * 1998-05-11 2000-09-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with variable inflation
US6241279B1 (en) * 1998-05-26 2001-06-0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bag device
DE19829000B4 (de) * 1998-06-29 2005-06-02 Peter Fassbaender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ine Druckgaseinrichtung mit einer Druckgaspatrone aufweisenden Fahrzeuginsassen-Rückhaltevorrichtung sowie eine Fahrzeuginsassen-Rückhaltevorrichtung mit einer eine Druckgaspatrone aufweisenden Druckgaseinrichtung
JP3694727B2 (ja) * 1998-07-27 2005-09-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安全装置
DE19839283A1 (de) * 1998-08-28 2000-03-09 Breed Automotive Tech Airbag-Modul mit Gasverteiler
US6669231B2 (en) * 1998-11-04 2003-12-30 Delphi Technologies, Inc. Adaptive venting for an air bag module
US6213502B1 (en) * 1998-11-24 2001-04-10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module with variable inflation
DE29822159U1 (de) * 1998-12-11 1999-05-12 Trw Repa Gmbh Gassack-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ATE248728T1 (de) * 1999-05-21 2003-09-15 Volkswagen Ag Airbag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6196582B1 (en) 1999-09-22 2001-03-06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output inflator for an air bag
US6439603B2 (en) * 1999-10-13 2002-08-27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module with variable inflation
DE19949350A1 (de) * 1999-10-13 2000-11-16 Guenter Duerschinger Gasgenerator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US6814372B1 (en) * 1999-11-05 2004-1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apparatus for venting an inflatable restraint assembly
US6390501B1 (en) * 1999-11-12 2002-05-21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profile air bag restraint
US6422597B1 (en) 1999-11-12 2002-07-23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profile air bag restraint
JP4394792B2 (ja) * 1999-11-22 2010-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6371517B1 (en) * 1999-12-28 2002-04-16 Delphi Technologies, Inc. Adaptive inflation mechanism
US6547274B2 (en) * 2000-02-07 2003-04-1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bag device
US6736426B2 (en) 2000-09-28 2004-05-18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profile air bag restraint
US6918611B1 (en) 2000-09-28 2005-07-19 Delph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JP4545960B2 (ja) * 2001-02-06 2010-09-1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の展開制御装置
US6454300B1 (en) * 2001-02-27 2002-09-24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tether release assembly
US6540257B2 (en) * 2001-04-10 2003-04-01 Trw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US6648371B2 (en) 2001-07-12 2003-11-18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venting air bag assembly
DE10136173A1 (de) * 2001-07-25 2003-02-20 Daimler Chrysler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4759867B2 (ja) * 2001-07-25 2011-08-3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10139626A1 (de) * 2001-08-14 2003-03-13 Takata Petri Ag Airbaganordnung
US6893044B2 (en) 2001-10-05 2005-05-17 Delphi Technologies, Inc. Static driver airbag module using steering wheel mounted gears
US7108277B2 (en) * 2001-10-12 2006-09-1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cover
US6746044B2 (en) * 2001-12-27 2004-06-08 Trw Inc. Actuatable fastener for air bag module vent
US6517108B1 (en) * 2002-01-02 2003-02-1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Pyrotechnic air bag stitch vent
US6736425B2 (en) 2002-01-28 2004-05-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venting an air bag module
US7543848B2 (en) 2002-02-20 2009-06-09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6991258B2 (en) * 2002-02-20 2006-01-31 Delphi Technologies, Inc. Frontal air bag system
US7566074B2 (en) * 2002-02-20 2009-07-28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7188862B2 (en) * 2004-03-17 2007-03-13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7819425B2 (en) * 2002-02-20 2010-10-26 Autoliv Development Ab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JP3901557B2 (ja) 2002-03-26 2007-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6746045B2 (en) 2002-04-05 2004-06-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bag inflator gas venting system
US6802528B2 (en) 2002-04-05 2004-10-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bag cushion energy diverter
US7017945B2 (en) * 2002-05-17 2006-03-28 Depottey Timothy Active ve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irbag systems
US6971671B2 (en) 2002-05-17 2005-12-06 Autoliv Asp, Inc. Active ve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irbag systems
US7150467B2 (en) 2002-06-18 2006-12-19 Delphi Technologies, Inc. Housing for airbag module
US6832778B2 (en) 2002-07-19 2004-12-21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restraint including selectively operable venting elements
US6752420B2 (en) 2002-08-01 2004-06-22 Autoliv Asp, Inc. Airbag module using active venting membrane
US6918614B2 (en) 2002-09-05 2005-07-19 Delphi Technologies, Inc. Inflation assembly for variable profile air bag
US7275761B2 (en) * 2002-09-16 2007-10-0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locking member for locking the position of a vent member
US7083192B2 (en) * 2002-09-16 2006-08-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vent with releasable latch
US7083191B2 (en) 2002-09-16 2006-08-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controlled by tether
US7377546B2 (en) 2002-09-16 2008-05-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controlled by tether
US20050248137A1 (en) * 2002-09-16 2005-11-1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controlled by tether
US6959945B2 (en) 2002-09-16 2005-11-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controlled by tether
US7364192B2 (en) 2002-09-16 2008-04-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locking member for locking the position of a vent member
JP4100129B2 (ja) 2002-10-28 2008-06-1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6932384B2 (en) * 2002-11-15 2005-08-23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6799777B2 (en) * 2002-11-15 2004-10-05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of venting gas in an airbag module
US20040155444A1 (en) * 2002-12-09 2004-08-12 Naoki Matsuda Gas generator for air bag
US6869103B2 (en) 2002-12-13 2005-03-22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6857659B2 (en) 2002-12-20 2005-02-22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module including restrained inflatable cushion
US7000946B2 (en) * 2003-01-21 2006-02-21 Delphi Technologies, Inc. Temperature compensated air bag control system
US7055856B2 (en) * 2003-02-06 2006-06-06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module for selectively venting airbag inflation gas
US6883831B2 (en) * 2003-02-06 2005-04-26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6991253B2 (en) * 2003-04-11 2006-01-31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assembly having controlled cushion deployment
DE10361887A1 (de) * 2003-12-19 2005-07-14 Takata-Petri Ag Airbag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03142199B (zh) * 2004-02-09 2016-09-28 智能医疗系统有限公司 内窥镜组件
US20060071456A1 (en) * 2004-09-24 2006-04-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having a closure device for closing vents in response to full extension of the air bag
DE202004019325U1 (de) * 2004-12-14 2005-04-21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Gassackmodul
US20060157959A1 (en) * 2005-01-14 2006-07-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tether-integrated electric switch
DE202005000924U1 (de) * 2005-01-20 2005-05-25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S7494151B2 (en) * 2005-02-17 2009-02-24 Tk Holdings Inc. Airbag apparatus with adaptive inflation
JP2006290286A (ja) * 2005-04-14 2006-10-26 Fuji Seiko Kk エアバックの圧力調整装置
DE102006013359A1 (de) * 2005-06-10 2006-12-14 Takata-Petri Ag Airbagmodul für ein Kraftfahrzeug
EP1890915B1 (de) * 2005-06-10 2008-10-08 Takata-Petri AG Airbagmodul
JP4757913B2 (ja) 2005-06-10 2011-08-24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DE102005039419B4 (de) * 2005-08-16 2011-01-13 Takata-Petri Ag Insassen-Rückhaltesystem
DE102005049335A1 (de) * 2005-10-12 2007-04-19 Acts Advanced Car Technology Systems Gmbh & Co.Kg Airbagmodul
US7431336B2 (en) * 2005-10-17 2008-10-07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with inflation control
US7681913B2 (en) * 2006-04-26 2010-03-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ir bag system
JP4811171B2 (ja) * 2006-07-27 2011-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ク装置
JP2008213519A (ja) * 2007-02-28 2008-09-18 Toyota Motor Corp エアバッグ装置
US7922199B2 (en) * 2007-04-03 2011-04-12 Autoliv Development Ab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20090200777A1 (en) * 2008-02-13 2009-08-13 Webber James 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AT12688U1 (de) * 2011-09-01 2012-10-15 Isi Automotive Austria Gmbh Schaltmechanismus und vorrichtung zum adaptiven entlüften eines gassacks mit einem solchen schaltmechanismus
US8454052B1 (en) * 2012-01-17 2013-06-04 Autoliv Asp, Inc. Air bag inflation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s
FR2998846B1 (fr) * 2012-12-04 2016-04-01 Autoliv Dev Generateur de gaz adaptatif pour coussin de protection
US11052860B2 (en) * 2019-05-12 2021-07-06 Hyundai Motor Company Distribution of gas for airbag inflation in a vehicle
CN111231885B (zh) * 2020-03-31 2024-08-13 均胜汽车安全系统(安徽)有限公司 集气组件以及安全气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1712A (en) * 1970-12-28 1975-01-21 Nissan Motor Apparatus for deflating an inflatable occupant restraint device
JPH0332957A (ja) * 1989-06-30 1991-02-13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US5221109A (en) * 1992-07-23 1993-06-22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inflator having vents to terminate inflation
US5366242A (en) * 1993-11-01 1994-11-2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inflation of an air bag
US5413378A (en) * 1993-12-02 1995-05-0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restraining device in response to discrete control zones
US5695214A (en) * 1996-02-06 1997-12-0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US5664802A (en) * 1996-02-15 1997-09-09 Morton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performance hybrid inflator
US5709405A (en) * 1996-04-10 1998-01-20 Morton International, Inc. Variable mass flow airbag module
US5707078A (en) * 1996-11-26 1998-01-13 Takata, Inc. Air bag module with adjustable cushion inflation
US5743558A (en) * 1997-02-11 1998-04-28 Takata, Inc. Air cushion module with rotating vent ring
US5918901A (en) * 1997-02-18 1999-07-06 Autoliv Asp, Inc. Airbag module with pressure relief adaptive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31570A1 (en) 1998-07-23
EP0952937A1 (en) 1999-11-03
KR20000070257A (ko) 2000-11-25
DE69832468D1 (de) 2005-12-29
US6039346A (en) 2000-03-21
AU5910198A (en) 1998-08-07
US6158770A (en) 2000-12-12
DE69832468T2 (de) 2006-06-29
EP0952937B1 (en) 2005-11-23
US6161866A (en) 2000-12-19
JP2001522329A (ja) 2001-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271B1 (ko) 가변 팽창을 갖는 에어백 모듈
KR100403948B1 (ko) 가변 팽창 성능을 갖는 에어 백 모듈 및 에어백 모듈의 팽창율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
US6371517B1 (en) Adaptive inflation mechanism
EP1056624B1 (en) Adaptive output inflator
US5695214A (en) Air bag module with vent
KR950013723B1 (ko) 에어백 팽창용 가스 발생 장치
US7726687B2 (en) Inflator second stage combustion control
US6082765A (en) Air bag module with fluid venting
US20070170709A1 (en) Air bag module with vent flow control
US5899494A (en) Deflagration venting system for airbag systems
US6746044B2 (en) Actuatable fastener for air bag module vent
US6540257B2 (en) Air bag module with vent
US20060157959A1 (en) Air bag with tether-integrated electric switch
US7168734B2 (en) Inflator for air bag
US11603072B2 (en) Dual stage inf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