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654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654B1
KR100340654B1 KR1019990013608A KR19990013608A KR100340654B1 KR 100340654 B1 KR100340654 B1 KR 100340654B1 KR 1019990013608 A KR1019990013608 A KR 1019990013608A KR 19990013608 A KR19990013608 A KR 19990013608A KR 100340654 B1 KR100340654 B1 KR 100340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inter
asf
feed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273A (ko
Inventor
이노우에히로유끼
하세가와고오
아사노신야
노지마다까시
기다아끼라
이와사끼다께시
가와사끼노리꼬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19990083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Manual Feeding Of Sheets (AREA)

Abstract

자동 급지에서의 경사 공급과 용지의 손상이 방지된다.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프린터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프린터에는 수동 급지를 위한 급지부가 마련되며, 자동 급지부(ASF)는 급지부를 통해서 자동 급지를 가능하게 하도록 급지부 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에는 수동 삽입 급지를 위한 프린터 용지 안내부가 마련되는 반면, ASF에는 자동 급지를 위한 ASF 용지 안내부가 마련되고, ASF 용지 안내부는 프린터 용지 안내부에 대해 소정량만큼 용지의 내측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ASF 용지 안내부를 사용해서 자동으로 공급된 용지는 프린터 용지 안내부와 접촉하지 않아서, 용지의 경사 공급과 용지 단부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용지 상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 및 연속적인 자동 급지를 위해 기록 장치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급지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지 반송로를 한정하는 안내 부재에 관한 것이다.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화상 형성 장치들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장치들 중에서, 화상 기록을 위한 기록 장치(이후에는 프린터라 함) 및 프린터의 급지 포트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자동 급지기(이후에는 ASF 라 함)가 제공된 구비한 장치가 제안되었으며, 여기서 상기 급지 포트를 통해서는, ASF가 장착되지 않았을 때에는 용지가 하나씩 수동으로 급지되고, ASF가 장착되었을 때에는 용지들이 자동으로 연속 급지된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183582).
전술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용지가 수동 삽입으로 급지되는 경우에는 용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부재가 프린터에 구비되고, 자동 급지의 경우에는 용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부재가 ASF에 구비된다. 이러한 안내 부재들은 용지의 횡방향에서의 화상 기록 위치(즉, 횡방향 또는 폭방향에서의 용지 상의 화상 형성 위치)가 수동 삽입 및 자동 급지로 급지된 용지에서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용지의 횡방향에서 대략 동일한 위치에 마련된다.
그러나, 제조상의 치수 공차에 기인하여 프린터의 안내 부재가 ASF의 안내 부재와 비교하여 용지의 내측면에 위치하면,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프린터의 안내 부재가 용지 자동 급지를 방해하게 되어 용지가 기울어지거나 걸리게 하고 용지 단부에 손상을 주기도 한다.
그러한 결함은 높은 정밀도의 부품들로 화상 형성 장치를 정밀하게 조립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으나, 그러한 조립은 어렵고 높은 정밀도의 부품들의 사용은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프린터의 안내 부재 및 ASF의 안내 부재가 용지의 횡방향에서 사실상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더라도, 기울어진 용지는 프린터의 안내 부재와 충돌하게 되어, 용지의 기울어짐 또는 걸림, 또는 용지 단부의 손상을 일으킨다.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의 기울어짐이나 걸림, 또는 용지 단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값싼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급지 장치의 사용 여부에 무관하게 용지의 횡방향으로 화상 기록 위치를 맞출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된 목적들은,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 포트를 갖고 급지 포트로부터 급지된 용지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장치와, 급지 포트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용지를 기록 장치에 자동적으로 연속 급지하는 급지 장치가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록 장치는 용지의 횡방향에서 용지의 모서리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1 안내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급지 장치는 용지의 횡방향에서 용지의 모서리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2 안내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안내 부재는 제1 안내 부재에 대해 용지의 내측면을 향하여 변위되어 배치된다.
용지가 급지 장치에 의해 급지되는 그러한 경우에는, 용지가 급지 장치에 의해 급지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용지의 횡방향에서의 화상 기록 위치가 제1 안내 부재와 제2 안내 부재 사이의 변위량과 사실상 동일한 양으로 용지의 내측면을 향하여 양호하게 변위된다.
급지가 급지 장치에 의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 수단이 마련할수도 있고, 모드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용지의 횡방향에서의 화상 기록 위치가 변위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기록 장치 및 급지 장치는 상호 전기적 접속을 허용하는 커넥터를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모드 판단 수단이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전기적으로 감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기록 장치는 용지의 횡방향에서의 모서리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3 안내 부재를 제1 안내 부재와 함께 구비할 수 있고, 용지의 공급 경로는 급지 장치가 기록 장치에 연결되었을 때 제3 안내 부재를 피하는 우회로를 만들도록 배치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ASF를 프린터에 착탈하는 기구와 관련된 부품들의 배열을 도시한 사시도.
도12는 ASF의 착탈 기구와 결합하여 본 발명의 ASF에 연결되는 프린터의 부품들의 배열을 도시한 사시도.
도13, 도14, 도15, 도16, 도17 및 도18은 본 발명의 프린터의 착탈 기구와 ASF를 좌측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프린터의 착탈 기구와 ASF에 관련된 부품들의 배열 및 힘 관계를 기호로 도시한 사시도.
도20, 도21, 도22 및 도23은 본 발명의 프린터의 착탈 기구와 ASF를 도시한 평면도.
도24는 본 발명의 프린터(101) 및 ASF(1)의 연결부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25는 본 발명의 프린터(101) 및 ASF(1)를 연결된 상태로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26은 커넥터(117)와 ASF 커넥터(44) 사이의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27 및 도28은 ASF(1)의 구동 기구의 연결부 및 작동 방향을 도시한 개략도.
도29는 제1실시예의 프린터 제어 유니트 내의 급지 작동의 제어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30은 ASF 제어 유니트(201)의 주 제어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31은 제1실시예의 ASF 제어 유니트에 의한 급지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부 플로우차트(C2).
도32는 ASF 제어 유니트(201)에 의한 초기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부 플로우차트(C3).
도33은 프린터 제어 유니트(202) 내의 장치 판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부 플로우차트(C1).
도34는 제2실시예의 프린터 제어 유니트(202)에 의한 급지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35는 제2실시예의 ASF 제어 유니트(201)에 의한 급지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부 플로우차트(C2).
도36은 급지 작동의 단계(S22)가 완료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37은 제2실시예의 프린터(101) 및 ASF의 작동 플로우의 개요를 도시한 타이밍 차트.
도38은 급지 모터(27)용 구동 테이블(T)의 내용을 도시한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SF
11 : 섀시
13 : 판스프링
23 : 픽업 고무 부재
26 : 압력판
36 : 뱅크
37 : 뱅크 용지
40 : 푸시 레버
44, 117 : 커넥터
45c : 테이블부
47a : 차양부
59, 119 : 커텍터 커버
101 : 프린터
108 : 용지 말단 센서
109 : LF 롤러
110 : 핀치 롤러
112 : 배치 롤러
115 : 헤드
116 : 급지 트레이
116a, 122 : 안내부
이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ASF에 장착된 프린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는 ASF에 대한 프린터의 장착 모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3은 ASF의 단면도이고, 도4는 프린터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ASF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용지(sheet)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프린터(기록 장치; 101)와, 용지를 프린터(101)로 연속적으로 자동 공급하는 자동 급지기(ASF; automatic sheet feeding apparatus; 1)가 제공된다. 프린터(101)에는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 포트(공급 포트; 101A)가 제공되고(도5 참조), ASF(1)는 공급 포트(101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다.프린터(101) 및 ASF(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호 전기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117, 44)가 각각 제공된다.
상기 프린터(101)는 소형이고 휴대 가능하며 배터리가 제공된 소위 이동형 프린터(mobile printer)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린터(101)에는 ASF가 제공되지 않아서 프린터(101) 단독으로는 수동 삽입에 의해서만 급지를 성취할 수 있다. 이런 구성은 이동형 프린터에 대해 최적인, 프린터(101)의 소형화, 간단화 및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프린터(101)에 소형 ASF가 제공될지라도 본질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런 소형 휴대용 프린터(101)는 자동차 또는 영업 사원의 방문시 고객 사무실 등의 실외에서 특히 사용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상황에서, 요구되는 기록 용지의 개수는 비교적 작아 수동 삽입 급지 또는 저용량의 간단한 내부 ASF가 충분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프린터(101)가 통상의 사무실 환경에서 사용된다면, 비교적 대량의 다양한 용지를 인쇄할 것에 대한 요구에 직면하게 될 수 있다.
프린터(101)로부터 분리된 ASF(1)는 이런 요구에 적당하다. ASF(1)는 통상의 사무실 환경의 탁상에서 볼 수 있는 소위 데스크탑(desk-top) 형태를 가지며, 프린터(101)는 ASF(1)에 끼워진 때 데스크탑 프린터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ASF는 후술되는 구성으로 인해 보통 용지뿐만 아니라 엽서, 봉투, 플라스틱 필름, 직물 등의 다양한 기록 매체를 자동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매우 유용한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소형이며 단독으로 사용될 때 이동 가능한 프린터가 본 발명의 ASF에 장착됨으로써 고성능의 데스크탑 프린터로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ASF(1)는 사용되지 않을 때 프린터(101)를 위한 보관 상자로서 역할하며 프린터가 장착된 때 자동 급지 기능도 하는 소위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으로서도 기능한다.
본 발명의 ASF(1)는 프린터(101)가 장착되지 않은 때 단독으로 안정되게 직립할 수 있으며, 용지를 지지하는 동안 프린터(101)를 분리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분리된 프린터(101)를 자체 직립 ASF(1)에 간단히 장착함으로써 데스크탑 프린터 작동을 위한 대기 상태가 얻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매우 간편한 도킹 스테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프린터(101)를 이동형 프린터 및 데스크탑 프린터 모두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ASF(1) 및 프린터(101)의 착탈 조작이 용이하게 성취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 ASF(1)없이 거의 매일 프린터(101)를 소지하고 사무실로 돌아와서프린터(101)를 ASF(1)와 조합시키는 사용자에게는 복잡하거나 시간이 소요되는 착탈 조작은 귀찮은 것이 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F(1)에는 프린터(101)를 수용하는 구멍(1A)이 전방면에 제공된다. 또한, 프린터(101)에는 사실상 수평인 용지 통과 경로가 제공되고, 프린터는 후술되는 용지 경로가 형성되도록 프린터(101)의 급지측이 ASF(1)를 향해 사실상 수평으로 이동되는 상태로 ASF(1)의 전방 구멍(1A) 내로 밀어 넣어지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수평 경로를 갖는 프린터(101)는 ASF(1) 내로 사실상 수평으로 밀어 넣어져 ASF에 장착된다. 프린터(101)가 ASF(1) 내로 사실상 수평으로 밀어 넣어진 때, 프린터(101)는 ASF에 자동적으로 고정된다[프린터(101)가 ASF(1)에 장착된 때의 상호 고정 방법은 후술된다].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ASF(1)의 상부면에 제공된 레버(40)를 밀기만 하면 되므로, 프린터(101)는 ASF(1)로부터 해제되어 ASF(1)의 전방측을 향해 외측으로 가압된다.
이런 구성은 사용자가 프린터(101) 및 ASF(1)를 매우 용이하게 착탈하게 함으로써, 프린터는 이동형 프린터 및 데스크탑 프린터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착탈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ASF(1)에는 테이블부(45c)가 전방면에 제공된다. 프린터(101)를 ASF(1)에 장착하는 경우에, 프린터(101)는 먼저 테이블부(45c)에 배치된다. 이런 조작에서, 사용자는 프린터의 전방(배지측)의 대략 중앙부에서 프린터(101)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한 손으로 파지하며, 프린터(101)의 후방측(급지측)이 테이블부(45c) 상에 가볍게 위치되는 방식으로 프린터(101)를 배치시킨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는 양 손으로 프린터 (101)의 양 단부를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테이블부(45c)에 배치된 프린터(101)는 손으로 더 깊이 밀어 넣어짐으로써, 프린터(101)의 측면은 테이블부(45c)의 양 단부에 제공된 프린터 측면 안내부(45a)에 의해 (이하에 설명될)위치 설정 돌기로 안내되며, 위치 설정 돌기는 프린터(101)의 (이하에 설명될)위치 설정 구멍에 끼워져 위치 설정이 이루어진다. 이런 조작에 있어서, 사용자는 프린터(101)를 테이블부(45c)의 대략 중앙에 위치시키고 프린터(101)에서 가압할 것만이 요구되며, 임의의 정밀한 위치 설정 조작은 요구되지 않는다.
테이블부(45c)에는 프린터의 바닥면이 활주하는 프린터 활주부(45b)가 양 측부에 제공된다. 프린터(101)가 예컨대 탁상 위에서 단독으로 사용될 때, 프린터(101)에는 프린터(101)가 외력에 의해 쉽게 이동되지 않도록 (도시되지 않은)고무 기부(feet)가 바닥면에 제공된다.
그러나, 프린터(101)를 ASF(1)에 장착하는 데 있어서, 고무 기부가 테이블부(45c)와 접촉하여 있다면, 큰 가압력이 요구되며 프린터의 가압 작동이 곤란하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고무 기부가 테이블부(45c)와 접촉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프린터 활주부(45c)에는 고무 기부의 높이보다 큰 단차가 형성된다.
한편, ASF의 상부 케이스(47)에는 테이블부(45c)에 사실상 평행한 차양부 (eaves portion, 47a)가 제공되며, 테이블부(45c)와 협동하여 프린터(101)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포켓은 그 형상에 의해 사용자에게 프린터(101)의 ASF(1)를 향한 사실상 평행한 가압 방향을 나타내며, 사용자는 프린터(101)를 이런 방향으로만 가압할 수 있다.
이런 가압 방향은 프린터(101) 및 ASF(1)를 전기 접속하기 위한 후술되는 커넥터의 접속 방향과 일치하며, 커넥터들은 프린터(101)를 ASF(1) 내로 가압하는 동안에 상호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커넥터를 접속하는 다른 별도의 동작을 제함으로써 작동성을 증진시키고, 상이한 방향에서 가압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충돌에 의해 초래되는 커넥터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프린터(101)가 ASF(1)에 장착된 후에 프린터(101)의 전방부(용지 배출 측면)가 상향력을 받는 경우에, 차양부(47a)는 프린터(101)가 ASF(1)에 대하여 상방으로 들려서 장착부가 손상되거나 장착이 해제되는 일이 없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차양부(47a)는 양 단부에서 최대로 돌출되어 있으며 중심에 오목한 차양부(47b)를 갖는다. 이런 오목한 차양부(47b)는 프린터(101)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 전원 스위치와 같은 작동 유닛을 가리지 않는다. 전술한 프린터의 상방 상승 이동을 방지하는 효과는 차양부(47a)와 프린터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이 0.5 내지 2 ㎜ 이내인 경우에 충분히 달성될 수 있지만, 간격이 너무 큰 경우에는 소정의 효과가 달성될 수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4에 도시된 프린터(101)의 깊이(L1), 테이블부(45c)의 깊이(L2) 및 차양부(47a)의 깊이(L3)는 다음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L1/2L2L1 - 15 ㎜
테이블부(45c)의 깊이(L2)를 프린터의 깊이(L1)의 절반(L1/2)보다 크게 선택함으로써 프린터(101)가 ASF(1) 내에 장착되었을 때 안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관계는 테이블부(45c)의 일부에서만 만족되면 되며 테이블부(45c)의 전체 영역에 걸쳐 만족될 필요는 없다.
L1/2L2인 경우에, 프린터(101)는 장착된 상태에서 ASF(1)로부터 상당히 돌출되고, 이와 같이 돌출된 부분에 가해지는 예컨대 외부 하향력에 의해 프린터의 후방부가 상승하게 되므로, 장치 전체는 매우 불안정해진다.
한편, 테이블부(45c)의 깊이(L2)를 프린터(101)의 깊이(L1)보다 적어도 15 ㎜ 더 작게 선택함으로써 손가락 삽입 공간이 프린터(101)의 전방 측면 하부에 확보될 수 있다. 이리하여 사용자는 프린터(101)의 장착 및 착탈 시에 손으로 프린터(101)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양 손으로 프린터를 잡는다.) 이런 관계는 테이블(45c)의 폭 전체에 걸쳐 만족될 필요는 없으며 전술한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리세스 또는 복수개의 리세스가 중심부 또는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간이 프린터(101)의 전방면 하부에 마련되므로, 시각적으로 높이가 높지 않은 인상을 주는 디자인이 실현될 수 있다. 테이블부(45c)의 두께(높이)는 사용자가 프린터(101) 하부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기 위해 적어도 약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또한 다음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L1/4L3L1/2
차양부(47a)의 깊이(L3)가 프린터(101)의 깊이(L1)의 1/4과 같거나 크면 프린터의 상방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프린터(101)의 가압 방향을 제한하는 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차양부(47a)의 깊이(L3)가 프린터(101) 깊이(L1)의 1/2를 초과하면, 프린터(101)의 가압량은 프린터(101)의 깊이에 비해 너무 크게 되고 작동감이 바람직스럽지 않게 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차양부(47a)가 크면 전체 장치가 사용자에게 커 보이거나 답답하게 보이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프린터(101)의 상부면에서 프린터(101)의 조작을 방해하게 되므로, 차양부(47a)의 깊이(L3)는 프린터(101)의 깊이의 1/2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범위 내에서 돌출되는 정도는 돌출된 차양부(47a)의 강성을 충분히 유지하고, 따라서 전체 장치에 충분한 내구성을 제공한다.
전술한 조건 하의 테이블부(45c) 및 차양부(47a)의 구성은 극히 양호한 작동성, 가압 방향의 제한 및 프린터(101)의 상방 상승의 방지와 같은 효과를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형상을 제공한다.
프린터 측면 안내부(45a)는 차양부(47a)와 프린터(101)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보다 크기만 하면 되므로, 테이블부(45c)와 차양부(47a) 사이에 큰 구멍이 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큰 구멍은 프린터(101)의 측면 상에 경우에 따라 마련되는 전원 코드, 인터페이스 커넥터 또는 적외선 통신 유닛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부에 전원 코드 또는 인터페이스 커넥터가 장착된 프린터(101)는 ASF(1)에 장착되거나 ASF(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음은 프린터(101)와 ASF(1)의 상호 전기 접속을 허용하는 커넥터(117, 44) 및 이들 커넥터를 보호하는 커넥터 커버(119, 59)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프린터(101)와 ASF(1)에는, 전원 공급 또는 제어 신호를 교환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착탈 가능한 커넥터(117, 44)가 각기 구비된다. (이하에서, 프린터(101) 측면의 커넥터(117)는 '프린터 커넥터(117)'로, ASF(1)의 커넥터(44)는 'ASF 커넥터(44)'로 한다.)
프린터 커넥터(117)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1)를 ASF(1)에 장착하는 동작 중에 ASF(1)에 대향하는 면의 상부에 마련되며, ASF 커넥터(44)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1)가 장착되었을 때 프린터 커넥터(117)에 대향한 위치에 마련된다.
프린터(101)와 ASF(1)에는 커넥터(117, 44) 상에 착탈 가능한으로 장착되는 커넥터 커버(119, 59)가 각각 구비된다. (이하에서, 프린터 커넥터(117)를 보호하는 커넥터 커버는 프린터 커넥터 커버(119)로, ASF 커넥터(44)를 보호하는 커넥터 커버는 ASF 커넥터 커버(59)로 한다. 각각 프린터 커넥터 커버(119)와 ASF 커넥터 커버(59)를 도시한 도5와 도4 참조.) 프린터(101)와 ASF(1)가 서로 분리되면, 커넥터 커버(119, 59)는 각 커넥터(117, 44)를 보호하기 위해 커넥터(117, 44) 상에 각기 체결된다. 이리하여 커넥터(117, 44)는 먼지가 묻지 않게 보호되어, 접속 상태 시의 도전성이 만족스럽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117, 44)를 통해 내부 전기 회로에 과도한 정전기가 인가되지 않게 함으로써, 이런 전기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착탈 가능한 커넥터 커버(119, 59)는 저가이며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이동형 프린터와 같은 초소형 프린터에 특히 적합하다.
한편, ASF(1)의 테이블부(45c)의 상부면(즉, 프린터(101)가 놓이는 표면) 상에, 커넥터(117, 44)로부터 분리된 커넥터 커버(119, 59)를 보관하기 위한 커넥터 커버 보관 영역(45d, 45e)이 마련됨으로써, 프린터(101)와 ASF(1)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커넥터(117, 44)로부터 분리된 커넥터 커버(119, 59)는 이와 같은 보관 영역(45d, 45e) 내에 위치된다(도4). 보관 영역(45d, 45e)은 테이블부(45c)의 두께 내에 커넥터의 치수에 해당하는 돌기로서 구성된다.
보관 영역(45d, 45e) 내에 보관되는 커넥터 커버(119, 59)는 프린터(101)와 ASF(1) 사이에 지지되어, 분실이 방지된다. 이런 구성은 또한 커넥터 커버(119, 59)가 더 이상 외부에 보이지 않게 되므로 심미적인 견지에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분리할 때, 보관 영역(45d, 45e) 내에 보관되는 커넥터 커버(119, 59)가 잘 보이므로 사용자는 커넥터 커버(119, 59)를 커넥터(117, 44) 상에 체결하는 것을 잊지 않게 된다.
커넥터 커버에 관한 본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은 예컨대 노트북 PC와 이를 위한 스테이션인 경우에도 프린터와 ASF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프린터 커넥터(117)와 본 실시예의 ASF 커넥터(44)는 모두 커넥터 커버(119, 59)에 의해 보호되지만, 이런 커넥터(117, 44) 중 하나가 커넥터 커버에 의해 보호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커버 보관 영역은 ASF(1)의 테이블부(45c)의 상부면에 제공되지만, ASF(1)의 또 다른 부분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커넥터 커버 보관 영역은 ASF(1) 대신에 프린터(101)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에는 프린터(101)가 ASF(1)에 장착된 상태(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함)에서 기록 용지가 공급 및 기록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프린터(101)가 ASF(1)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다음에 설명될 용지의 소정 개수를 설정하기 위해 압력판(26)이 제공된다. 압력판(26)은 ASF 섀시(11)에 의해 압력판의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픽업 롤러(19)의 주위에 감긴 판스프링(13)에 의해 픽업 고무 부재(23)를 향해 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용지 설정에 있어서, 압력판(26)은 다음에 설명될 캠에 의해 픽업 고무 부재(23)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 및 보유된다. 그런 상태에서, 픽업 고무 부재(23)와 압력판(26)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이 유지되고, 용지는 그런 유격 내에 삽입 및 설정된다.
용지의 선단은 뱅크(36) 상에 제공되는 플라스틱으로 된 뱅크 용지(37)에 충돌하여 소정 위치로 한정된다. 용지의 후단부의 대부분은 ASF 급지 트레이(2)에 의해 지지되고, ASF 급지 트레이는 상부 케이스(47)에 의해 ASF 급지 트레이의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용지 지지 상태로 소정 각도로 지지된다.
ASF(1)가 프린터(101)로부터 급지 명령을 받을 때, 픽업 롤러(19)는 시계 방향 회전을 시작하고, 동시에 캠은 압력판(26)을 지지 상태로부터 해제한다. 이와 같이, 압력판(26)은 픽업 고무 부재(23)와 접촉하게 되어, 용지는 픽업 고무 부재(23)의 표면 마찰에 의해 이동하기 시작한다. 다음에는 용지가 뱅크 용지(37)에 의해 분리되며 뱅크(36)에 의해 형성된 ASF 용지 경로(도3 참조)와 위치 설정기부(58)로 운반된다.
그 다음에, 용지는 ASF 배지부(56, 도3 참조)로부터, 플래튼(105)과 프린터의 배터리(107) 내의 하부면에 의해 형성되며 프린터(101) 단독의 수동 삽입 포트로 구성된 용지 경로로 운반된다.
용지 말단 센서(108)가 상기 용지 경로로 운반된 용지를 감지할 때, 프린터(101)는 ASF(1)로부터의 용지 운반을 인식하고, 용지의 선단은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 사이의 닙에 충돌한다. 또한, 프린터(101)의 용지 말단 센서(108)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ASF(1)은 프린터로의 급지 완료를 지시하는 응답 신호를 소정 시기에 전달한다.
이런 상태에서, 용지는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 사이의 닙을 향해 용지의 강성에 의해 가압되어, 소위 용지의 선단을 정렬한다. ASF(1)로부터의 급지 완료를 지시하는 응답 신호를 받으면, 프린터(101)는 소정 시기에 LF 롤러(109)를 회전시켜, 헤드(115)가 제공된 기록 유닛을 향해 용지를 전진시킨다. 이와 같이, 용지는 소정 방법에 의해 전진되고, 헤드(115)는 용지 표면에 기록을 수행한다. 다음에, 용지는 배지 롤러(112)와 스퍼(111) 사이로 운반되어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용지 경로는 프린터(101)가 ASF(1)에 장착될 때에 상기 방식으로 형성되고, 커넥터(44, 117)의 장착 방향은 프린터(101)의 용지 경로의 방향에 대체로 평행하다.
ASF(1)로부터 프린터(101)로 그리고 현재 ASF(1) 및 프린터(101)를 거쳐 운반되는 용지가 소정 부품에 걸린 경우에,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게 된다. 용지 경로의 대체로 평행한 구성과 커넥터의 접속 방향은 그런 상황에서 용지 경로와 커넥터의 접속부의 상호 분리를 가능케 한다.
용지 경로가 커넥터의 접속 방향에 수직하면, 용지는 커넥터의 접속 방향으로 프린터(101)를 분리하도록 용지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용지가 찢어지거나 찢어진 용지가 장치 내에 남을 수도 있다. 또한, 용지가 두꺼워 쉽게 찢어질 수 없다면, 프린터(101)의 자체 분리는 불가능해진다.
그러나, 용지 경로가 커넥터의 접속 방향에 대체로 평행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 프린터(101)는 용지를 따른 이동에 의한 용지 걸림의 경우에 분리될 수 있어서, 용지 걸림은 용지 찢김 없이 또는 장치 내에 남는 찢어진 용지 없이 매우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다.
다음에는 공급된 용지를 안내하는 방법(용지를 횡단 방향으로 위치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린터(101)의 급지 포트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ASF(1)가 구성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점이 성취될 수 있다. 즉,
* ASF(1) 없이 급지.
* ASF(1) 장착 상태로 연속 자동 급지.
이와 같이, 수동 삽입 급지와 자동 급지가 모두 가능하고, 본 장치는 수동 삽입 급지 포트와 자동 급지 포트를 별도로 갖는 구성에 비해 더욱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1)에는 급지 트레이(116)가 제공되고, 급지 트레이는 급지 트레이의 단부에서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된다. ASF(1)를 장착하지 않고 수동으로 삽입해서 급지하는 경우, 급지 트레이(116)는 용지 경로를 구성하며 급지 동작을 안정화시킨다. 급지 트레이(116, 또는 용지 경로)는 수동 삽입 급지의 경우에 대체로 수평으로 지지된다.
급지 트레이(116)의 상부면의 일단부에는 급지 트레이의 모서리에 평행한 기준 안내부(116a, 제3 안내 부재)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급지 트레이의 상부면의 타단부에는 용지의 횡단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우측 모서리 안내부(122)가 제공된다. 이런 안내부(116a, 122)는 수동으로 삽입 및 공급되는 용지의 양쪽 측방향 모서리부를 안내한다. 이런 안내부(116a, 122)는 대체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용지의 횡단 방향에서 볼 경우).
반면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F(1)에는 기준 안내부 수용부(36b)의 상부에 위치된 기준 안내부 안내부(36c)가 제공된다. 프린터(101)가 ASF(1) 내로 가압될 때, 프린터의 기준 안내부(116a)는 안내부(36c)에 의해 하향 가압되며 추가로 하향 회전되어, 우측 모서리 안내부(122)와 함께 수용부(36b)에 수용된다. 기준 안내부 수용부(36b)의 상부에는 기준 안내부(116a, 제3 안내부 부재)를 회피하는 우회로를 이루도록 자동 급지를 위한 용지 경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기준 안내 수용부(36b) 내에 급지 트레이(116)가 수용되면, 자동 급지부 상의 용지 통로는 부자연스러운 형상의 용지 통로에서 발생하는(용지 상에 후방으로 작용하는 인장력과 같은) 결점을 제거하도록 수동 삽입 급지부 상의 용지 통로와 유사하게(특히 수용부(36b)의 주위에서)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준 안내 수용부(36b)는 어떠한 활주 위치에서도 우측 모서리 안내부(122)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자동 급지부 상에서, 횡방향의 용지의 측부 모서리부는 ASF의 용지 기준 안내부(제2 안내 부재: 26b)에 의해 안내된다.
ASF에 의해 자동 공급된 용지가 ASF의 안내부(26b)와 프린터의 안내부(116a) 모두에 의해 안내되면, 그리고 프린터의 안내부(116a)가 제조 중의 치수 공차 때문에 실질적으로 ASF의 안내부(26b)보다는 용지의 내면에 위치하게 되면, 프린터의 안내부(116a)는 자동으로 공급된 용지에 대한 장애물을 구성해서, 경사진 용지 진행, 용지 단부의 파손 및 용지 걸림을 초래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ASF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된 용지가 ASF의 안내부(26b)에 의해 단독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이런 결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ASF의 안내부(26b) 및 프린터의 안내부(116a)를 정밀하게 성형하거나 또는 이런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정밀하게 성형된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그로부터 발생하는 비용의 증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용지가 다소간 경사지더라도, 용지는 프린터의 안내부(116a)의 충돌으로부터 보호되고, 이에 의해 이런 충돌에서 발생하는 경사진 용지 진행, 용지의 파손 및 용지 걸림을 제거할 수 있다.
프린터에서, 용지는 급지 트레이(116)의 안내부(제3 안내 부재: 116a)에 의해 안내되고, 또한 프린터의 내부에 용지의 횡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유사한 안내부(제1 안내 부재; 124)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통으로 삽입되고 공급된 용지(200)의 측부 모서리부를 급지 트레이 상의 안내부(116a) 및 이런 내부 안내부에 의해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사진 용지 진행은 또한 용지 공급 방향을, 용지 공급 방향을 따른 긴 부분으로 형성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안내부(제1 안내 부재; 124)가 프린터의 내부에 제공되는 경우, ASF의 용지 기준 안내부(제2 안내 부재: 26b)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의 내면(즉, 헤드에 의해 기록된 위치)을 향해 사전 결정된 양(t)만큼 이동된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자동 급지에 있어서, 용지는 프린터의 내부 안내부와의 충돌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이런 충돌에서 발생되는 경사 용지 진행, 용지의 파손 및 용지 걸림이 제거될 수 있다. 이동량(t)은 프린터(101)와 용지의 횡방향의 ASF(1) 사이의 위치 설정 공차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결정된다. 실질적인 ASF로부터 경사진 용지 진행을 고려하면, 이동량(t)은 예컨대 대략 0.6 mm이다.
또한, ASF의 안내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의 안내부로부터 t만큼 이동되면, ASF(1)에 의해 공급된 용지의 경우 (즉, 자동 급지의 경우) 용지 상의 화상 기록 위치는 용지의 횡방향으로, 급지가 ASF(1)에 의해 수행되지 않았을 경우 (즉, 수동 삽입으로 공급된 용지의 경우)와 비교해서 대략 t와 동일한 양 (제1 및 제2 안내 부재 사이의 이동량) 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화상은 자동 또는 수동 삽입 급지에 상관없이 동일한 위치에 기록되고, 이에 의해 화상 기록 위치의 상이함 (예컨대, 예비 인쇄된 용지 상의 화상 기록 위치의 상이함)에서 발생하는 결점을 제거한다.
기록 위치가 급지가 ASF에 의해 수행되는 지 또는 그렇지 않은 지에 따라서 자동으로 이동되면, 급지가 ASF(1)에 의해 수행되는 지를 식별하기 위한 기종 식별수단이 제공될 수 있고, 기록 위치는 기종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결과에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이런 기종 식별 수단은 예컨대, 프린터 커넥터(117)와 ASF 커넥터(44)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수단, 전적으로 ASF(1)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지하기 위해 (즉, 자동/수동 삽입 급지를 검지하기 위해) 프린터 상에 제공되는 스위치 또는 감지기로 구성된다.
ASF 및 프린터의 안내부 사이의 이동량과 자동 및 수동 삽입 급지 사이의 기록 위치의 이동량은 정확하게 동일할 필요는 없고, 보통의 사람이 '용지가 자동 또는 수동 삽입되어 공급된 것에 상관없이 화상이 동일한 기록 위치에 기록된 것'으로 인식하는 수준에서 동일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적재된 용지를 지지하는 ASF 급지 트레이(2)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F 급지 트레이(2)는 ASF의 상부 케이스에 의해 단부에 지지되고, 지지 부분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ASF 급지 트레이(2)는 용지를 지지할 때 사전 결정된 각으로 개방되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된 용지가 없을 때 폐쇄될 수 있다.
이런 형상은 ASF(1)와 결합된 탁상용 프린터와 같은 이동식 프린터(101)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프린터(101)가 ASF(1)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매우 작고 휴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런 사용이 가능하도록, ASF 급지 트레이(2)는 프린터에 장착된 ASF(1)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될 수 있는 경우, 폐쇄될 필요가 없다. 때문에, ASF 급지 트레이(2)는 박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급지 트레이(2)는 ASF(1)가 폐쇄 급지 트레이(2) 및 내부에 장착된 프린터(101)와 함께 운반될 때 작동 장치의 우발적인 오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프린터(101)의 기능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 상태에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1)의 작동 장치를 덮기 위한 형상이다. 또한, 급지 트레이(2)는 ASF가 운반될 때 트레이(2)의 우발적인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양호하게 ASF(1)의 상부 케이스(47)의 임의의 부분과 결합된다.
한편, 도10에 도시된 종방향 부분 내에 봉투(E)를 공급하는 경우, 봉투(E)의 탭(E1)은 보통 좌측 면에 위치되고, 본 실시예의 ASF(1)는 예컨대 수분에 의한 탭 부분의 팽창에 의해 탭 측면(왼쪽 면)에 강한 저항력을 받고, 이에 의해 봉투(E)는 시계방향 회전력을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봉투(E)의 이런 시계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ASF 급지 트레이(2)는 급지 방향의 상방 부분에 ASF 급지 트레이 측면 안내부(2a)(이하, 측면 안내부)가 제공된다. 따라서, 봉투(E)가 ASF(1) 상의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위치에 놓여지면, 봉투의 후연 단부의 우측 모서리부는 측면 안내부(2a)를 따라서 위치되고, 시계방향 회전이 방지된다.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위치의 봉투는 봉투(E)를 공급하는 시점에서 탭 부분(E1)의 저항을 받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봉투(E)가 뱅크 용지(37) 위로 진행하고 그 다음 봉투(E)의 전방 단부가 뱅크(36)의 경사 표면을 따라 즉시 상승된다. 이런 단계 이후에, 봉투 탭(E1)의 저항은 작아져서 시계방향 회전이 측면 안내부(2a) 없이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 측면 안내부(2a)는 엽서(E)의 시계 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엽서의 전체 길이 영역에서는 아닌 엽서(E)의 궤적 단부의 근처의 일부에 제공된다. ASF 급지 트레이(1)가 폐쇄될 때, 측면 안내부(2a)는 ASF의 상부 케이스(47)와 프린터(101)(도8 참조)의 사이에서 형성된 단차(G)에서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이로써, 급지 트레이(2)가 폐쇄될 때, 측면 안내부(2a)는 다른 부분과 저촉되지 않고 급지 트레이(2)가 ASF의 외관에 정합하는 형상으로 수용될 수 있어 휴대성이 나빠지지 않는다.
측면 안내부(2a)의 높이가 엽서와 같은 적재 용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이고, 적재 용지의 두께와 적어도 동일한 단차가 ASF의 상부 케이스(47)와 프린터(101)의 사이에서 형성될 경우, 측면 안내부(2a)는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은 종방향 공급에서 엽서의 시계 방향의 회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이유에 의해 원인이 된, 엽서의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갖는 다른 용지의 최종 시계 방향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효과적이다. ASF 급지 트레이(2)와 일체인 측면 안내부(2a)는 매우 경제적일 수 있다. 측면 안내부(2a)는 폐쇄 상태에서 상술한 단차(G) 대신에 프린터(101) 또는 ASF(1)에 형성된 홈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ASF(1) 및 프린터(101)의 착탈 가능한 기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1은 ASF(1)의 착탈 가능한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2는 프린터(101)의 착탈 가능한 기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13은 ASF(1)의 착탈 가능한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11에서와 같이, ASF(1)에는 2개의 위치 설정 보스(39d, 39e)가 마련된 위치 설정 기부(39)가 마련된다. 한편,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101)에는 위치 설정 기부(39)에 대향하도록 위치하기 위해 보드 홀더(118)가 마련되고, 제1 위치 설정 보스(39d)에 대향하는 위치 설정 구멍(118a)과 제2 위치 설정 보스(39e)에 대향하는 위치 설정 타원형 구멍(118b)이 마련된다. 프린터(101)와 ASF(1)의 연결에 있어서, ASF 커넥터(44)와 프린터 커넥터(117)의 사이에서 연결되기 전에, 보스(39d, 39e)는 x 및 z 방향으로 프린터(101)와 ASF(1)의 상대 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위치 설정 구멍(118a, 118b)에 끼워진다. 따라서, ASF 커넥터(44)와 프린터 커넥터(117)은 커넥터들의 오정렬에 의한 손상 없이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ASF(1)의 용지 경로는 프린터(101)의 용지 경로에 정확하게 연결된다.
한편, ASF(1)에는 연결 작동에서 프린터(101)의 이동 방향을 한정하는 수평 프린터 활주부(45b)가 마련된다. 또한, 프린터 활주부(45b)로부터 상향 돌출될 수 있도록 후크(16, 17)(보다 정확하게는 후크(16, 17)의 후크 클로(16a, 17a))가 마련된다. 이들 후크(16, 17)(이하에 필요한 경우 좌측 후크(16) 및 우측 후크(17)로 구별된다)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 샤프트(18) 상에 고정되고 일체로 회전되도록 섀시(11)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후크(16)와 ASF 기부(45)의 사이에서, 상부(즉, 이하에 설명되는 후크 고정 구멍(103y, 103z)에 결합되는 방향으로)으로 후크(16, 17)를 편의시키기 위해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후크 스프링(3)이 마련된다.
한편, 도12에서와 같이, 프린터(101)의 기부(103)에는 ASF(1)가 장착될 때후크(16, 17)의 클로(16a, 17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후크 고정 구멍(103y, 103z)이 마련되고, 고정 구멍(103y, 103z)으로의 클로(16a, 17a)의 결합은 y 방향으로 ASF(1)과 프린터(101)의 상대 위치를 한정한다.
한편,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SF의 위치 설정 기부(39)에는, 방향(40A, 40B)으로 이동 가능하고 방향(40C)로 회전가능하도록 푸시 레버(40)를 지지하는 레버 샤프트(42)가 고정된다. 푸시 레버(40)와 섀시(11)의 사이에는 푸시 레버(40)를 시계 방향으로 편의하기 위한 푸시 레버 스프링(7)이 마련된다. 푸시 레버(40)와 좌측 후크(16)의 사이에는 좌측 후크(16)의 상부면과 푸시 레버(40)의 하단부(40d)를 지속적인 접촉(결합)으로 유지하도록 연결 스프링(9)이 마련된다.
또한, 푸시 레버(40)에는 그 회전을 한정하는 보스(40c)가 마련되고, 위치 설정 기부(39)에는 보스(40c)에 부딪치는 활주면(39a, 39b, 39c)이 마련된다. 활주면(39a, 39b, 39c)은 구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쇄선으로 표시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레버 샤프트(42)에 대한 푸시 레버(40)의 회전은 활주면(39a)에 대한 푸시 레버(40)의 보스(40c)의 부딪침에 의해 제한된다.
전술한 설명에서, 후크(16, 17)와 푸시 레버(40)는 ASF(1)상에 마련되는 한편, 후크 고정 구멍(103y, 103z)은 프린터(101)상에 마련되나, 프린터(101)에 후크와 푸시 레버가 마련되고 ASF(1)에 후크 고정 구멍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2개의 후크(16, 17)와 대응하는 고정 구멍(103y, 103z)이 마련되나, 그 개수는 비제한적이고 3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후크(16, 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할 필요는 없으나 이동가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후크(16, 17)는 후크 샤프트(18)상에 고정됨으로써 일체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나, 레버 샤프트(42)에 의해 후크(16, 17)를 가압하고 그러한 구성에 의해 일체 회전을 달성할 수 있다.
그후 ASF(1)에 마련된 팝업 부재(43a, 43b)는 커넥터(117, 44)의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방향(43A)(y 방향)으로 그 급지 측부에서 프린터(101)의 상부부(102a)를 가압한다. 팝업 부재(43a, 43b)는 탄성 부재(도시 안됨)에 의해 방향(43A)(y 방향)으로 편의되어 y 방향으로 활주될 수 있다.
프린터(101)를 ASF(1)에 장착시 척력으로서 역할하는 편의력이 과도하게 클 경우(예를 들면 ASF(1)이 프린터(101)의 장착시의 편의력에 의해 움직이지 않는 수준에서) 그러한 장착을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팝업 부재(43a, 43b)를 위한 편의력은 적절한 수준에서 선택된다.
그러나, 커넥터를 이탈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팝업 부재(43a, 54b)의 편의력을 초과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에, 커넥터들간의 연결은 팝업 부재(43a, 43b)에 의해서만 해제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 푸시 레버(40)의 돌출부(40b)는 화살표(40A)의 방향으로의 푸시 레버(40)의 운동에 의해 y 방향으로 돌출한다.
푸시 레버(40)의 돌출부(40b)는 그 급지 측부에서 프린터(101)의 하(또는 중앙)부(102b)를 가압하고, 이로써, 커넥터(44, 117)간의 연결을 해제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를 위하여, ASF(1)으로부터 y 방향으로 프린터(101)를 용이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도14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프린터(101)와 ASF(1)을 연결시키는 작동과 그러한 작동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14는 프린터(101)가 프린터 활주부(45b)상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5는 프린터(101)가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6은 프린터(101)가 ASF(1)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14를 참조하면, 프린터(101)가 ASF 기부(45)의 프린터 활주부(45b)를 따라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압착됨에 따라, 후크(16, 1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클로(16a, 17a)는 화살표(16A)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하향 압착된다(후크(17) 및 클로(17a)는 도15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이러한 작동에 있어서, 푸시 레버(40)는 연결 스프링(9)을 통해 하향 이동한다. 프린터(101)는 이러한 상태로 추가 압착되고, ASF의 보스(39d, 39e)는 x 및 z 방향으로 상대 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프린터의 위치 결정 구멍(타원형 구멍; 118a, 118b)과 결합된다. 이후, ASF 커넥터(44)와 프린터 커넥터(117)는 상호 연결된다.
후크 고정 구멍(103y, 103z)이 클로(16a, 17a)의 위치에 도달할 때, 이들은 후크 스프링(3)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화살표 16B의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 구멍(103y, 103z)은 클로(16a, 17a)와 각각 결합한다. 또한, 이미 하향 이동한 푸시 레버(40)는 후크(16, 17)를 통해 후크 스프링(3)에 의해 정상 위치를 향해 상향 압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프린터(101)와 ASF(1) 사이의 연결이 완성된다. 후크(16, 17)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므로, 양 클로(16a, 17a)가 고정 구멍(103y, 103z)과 정합 및 결합되어 푸시 레버가 상향 압착되지 않는다면, 상기 후크들은 회전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예컨대 프린터(101)가 ASF(1)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장착된다면, 푸시 레버(40)는 정상 위치로 상향 압착되지 않고, 사용자는 푸시 레버(40)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프린터(101)가 ASF(1)에 적절히 장착되었는 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더욱이, 고정 구멍(103y, 103z)과 결합된 상태에서의 클로(16a, 17a)의 높이가 [후크(16, 17)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후크 샤프트(18)의 높이와 사실상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선택된다면, 후크(16, 17)는 프린터(101)에 대해 반대 방향(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작용력이 가해지는 동안에는 회전하지 않고, 이럼으로써 프린터(101)는 ASF(1)로부터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 프린터(101)와 ASF(1)를 분리시키는 작동과 이러한 작동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프린터(101)와 ASF(1)를 분리시키기 위해, 푸시 레버(40)의 압착부(40a)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40A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하향 압착된다. 그 보스(40c)가 위치 설정 기부(39) 상에 형성된 활주면(39a, 39b) 사이에 삽입된 푸시 레버(40)는 활주면(39a, 39b)의 단부가 화살표 40A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하강할 때까지 레버 샤프트(42)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후크(16, 17)는 후크 샤프트(18)에 대해 화살표 16A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하고, 이럼으로써 클로(16a, 17a)는 고정 구멍(103y, 103z)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16, 17)는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푸시 레버(40)의 조작은 양 클로(16a, 17a)를 동시에 결합 해제시킬 수 있게 하고, 이럼으로써 단순한 분리 작동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클로(16a, 17a)를 고정 구멍(103y, 103z)으로부터 분리시킴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100) 그 자체를 움직이지 않게 유지시킬 필요가 없고, 한 손으로 푸시 레버(40)를 단순히 누름으로써 단순한 분리 작동이 실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로가 결합 해제될 때, 도16 및 도17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팝업 부재(43a, 43b)는 프린터(101)의 상부 부분(102a)을 급지 측면으로 압착하고, 이럼으로써 화살표 B로 도시된 방향으로 프린터(101)를 압착 배출시킨다. 동시에, ASF 커넥터(44)와 프린터 커넥터(117)는 동시에 결합이 해제된다.
사용자가 화살표 A로 도시된 방향으로 푸시 레버(40)를 누르는 것을 중단할 때 도17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넥터(44, 117)는 연결이 해제되고 후크(16) 및 프린터(101)가 연결이 해제되고, 이럼으로써 사용자는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커넥터를 결합 해제하는 데에 필요한 힘이 전술한 바와 같이 팝업 부재(43a, 43b)의 압착력을 초과하면, 후크(16)가 프린터(101)로부터 결합 해제될 때 프린터(101)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도15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사용자는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제거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전술한 압착 기능이 추가된다.
도17은 후크(16)가 프린터(101)로부터 결합 해제된 후에도 프린터(101)가 이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좌측) 후크(16)는 고정 구멍(103y)으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반면에 푸시 레버(40)의 보스(40c)는 위치 결정 기부(39)의 활주면(39b)에 의해 이동 방향으로의 제한으로부터 해제된다.
또한, 레버 샤프트(42)은 푸시 레버(40)의 활주 구멍(40e)의 상단부 면으로 압착되고, 이럼으로써 (좌측) 후크(16)의 하향 이동을 제한한다. 더욱이, (좌측) 후크(16)에 대한 푸시 레버(40)의 접촉 면(40d)은 레버 샤프트(42) 주위에 아아크로서 형성되므로, (좌측) 후크(16)의 위치는 푸시 레버(40)의 회전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푸시 레버(40)의 압착부(40a)를 계속 누른다면, 레버 샤프트(42) 주위로 화살표 40D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은 푸시 레버(40)의 돌출부(40b)를 급지 측면 내의 프린터(101)의 하부 부분(102a)과 접촉하는 반면에 (좌측) 후크(16)는 프린터(101)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이럼으로써 프린터(101)는 화살표 B로 도시된 방향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푸시 레버(40)가 이후에도 계속 눌러지게 되면, 푸시 레버(40)의 접촉 면(40f)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기부(39)의 정지부(39f) 상에 충돌하게 되고, 이때 푸시 레버(40)의 회전은 제한된다. 푸시 레버(40)에 의한 프린터(101)의 압착 배출량(이동량)은 (좌측) 후크(16)와 프린터(101) 사이의 결합과 커넥터들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키도록 선택된다.
프린터(101)가 압착 배출된 후, 사용자가 푸시 레버(40)의 압착부(40a)의 누름을 중단하면 (좌측) 후크(16)는 후크 스프링(3)의 기능에 의해 화살표 16B로 도시된 방향으로 상승된다. 동시에, 푸시 레버(40)는 (좌측) 후크(16)에 의해 상향 압착되고, 이럼으로써 푸시 레버(40)의 보스(40c)는 위치 결정 기부(39)의 안내 면(39c) 상에 충돌하게 되고 푸시 레버(40)는 스프링(7)의 인장력에 의해 화살표40E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푸시 레버(40)의 보스(40c)가 위치 결정 기부(39)의 안내 면(39c) 상에 충돌할 때, 푸시 레버(40)의 회전은 제한되고 푸시 레버(40)는 후크 스프링(3)의 작용력에 의해 화살표 40B의 방향으로 상승된다.
따라서, (좌측) 후크(16)가 프린터(101)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동안에 커넥터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국 결합 해제되고, 사용자는 ASF(1)로부터 프린터(101)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푸시 레버(40)는 ASF(1)로부터 프린터(101)를 해제시킬 때 사실상 수직하게 눌러지고, 그 결과 수직 작용력은 ASF 그 자체에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ASF(1)는 프린터(101)가 사실상 수평으로 압착 배출될 때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프린터(101)가 사실상 수평으로 압착 배출되므로, 중량에 의한 장착 방향으로의 프린터(101)의 이동에 의해 야기된 해제시의 고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도19는 푸시 레버(40), 팝업 부재(43a, 43b), 위치 결정 기부(39d, 39e), 좌측 후크(16), 우측 후크(17) 및 ASF 커넥터(44)의 배치와 그들의 작용력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0은 ASF(1)의 상부 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6, 17)와 프린터(101)의 위치 결정 보스(39d, 39e)는 그 폭 내에서 프린터(101)의 양 단부들 근처에 제공된다. ASF 커넥터(44)는 제2 위치 결정 보스(39e)에 근접한 위치 결정 보스(39d, 39e)들 사이에 위치한다. 푸시 레버(40) 및 제2 팝업 부재(43b)는 제1 위치 결정 보스(39d)로부터 ASF 커넥터(44)보다 더 멀리 위치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ASF(1)로부터의 프린터(101)의 분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40A)로 표시된 방향으로 푸시 레버(40)를 누름으로써 수행되고, 여기서 후크(16, 17)는 푸시 레버(40)의 돌출부(40b)가 프린터(101) 상에 접촉하고 가압하면서 고정 구멍(103y, 103z)(도14 참조)으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이런 방식으로, 고정 구멍(103y, 103z)으로부처의 후크(16, 17)의 결합 해제와 커넥터의 접속 해제가 달성될 수 있다.
팝업 부재(43a, 43b)는 사용자에 의해 푸시 레버(40)가 눌러질 때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는 보조 부재이고, 소정의 위치에서 탄성 부재(도시안됨)에 의해 활주식으로 편향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린터(101)는 위치 결정 보스(39d, 39e) 둘레의 회전의 의해 프린터 활주부(45b) 상에 미끄러지면서 밀려내어진다.
회전 중심을 구성하는 제1 위치 결정 보스의 측면에서의 위치 결정 구멍(118a)은 원형 구멍으로 형성되고, 제2 위치 결정 보스의 측면에서의 위치 결정 구멍(118b)은 장방형 구멍(도12 참조)으로 형성되므로, 도20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개시되는 제1 위치 결정 보스(39d) 둘레의 회전에 의해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1)와 ASF(1) 사이에 위치 결정 관계가 성립된다.
그러나, 그런 경우에 프린터(101)가 제1 팝업 부재(43a)의 가압력만으로서 이동될 수 없는 데, 그것은 제1 위치 결정 보스(39d)와 위치 결정 구멍(118e) 사이의 강한 결합력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제거하는 경우, 제1 위치 결정 보스(39d)의 변형 및 파손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런 강한 결합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린터(101)가 푸시 레버(40) 및 제2 팝업 부재(43b)에 의해 밀려나기 전에 프린터(101)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제1 위치 결정 보스(39d)와 위치 결정 구멍(118a) 사이의 결합 위치가 제1 팝업 부재(43a)의 가압력에 의해 커넥터 결합 해제 방향으로 변위되게 하는 특정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도19에 도시된 차수 관계에서, 제1 위치 결정 보스(39d) 외주의 회전에 의한 제1 팝업 부재(43a)의 가압력에 의해 프린터(101)를 밀어내는 데 필요한 힘은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1 > (X1/X2) × P1 + P2
여기서, F1은 제1 팝업 부재(43a)의 프린터 가압력이고, P1은 커넥터들을 분리하는 데 요구되는 힘이며, P2는 ASF(1)의 프린터 활주부(45b)와 프린터(101) 사의의 마찰력이고, X1은 회전 중심을 이루는 제2 위치 결정 보스(39e)로부터 커넥터(44)로의 거리이며, X2는 회전 중심을 이루는 제2 위치 결정 보스(39e)로부터 제1 팝업 부재(43a)로의 거리이다.
전술한 식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1 팝업 부재(43a)의 가압력(F1)은 제1 팝업 부재(43a)와 ASF 커넥터(44) 사이의 거리가 더 커지거나 또는 X1/X2 비가 더 작아짐에 따라 더 작아질 수 있다. 제1 팝업 부재(43a)의 가압력(F1)이 프린터(101)를 ASF(1)에 장착할 때의 반력으로서 작용하는 점과 커넥터를 접속 해제하는 데 요구되는 힘이 대체로 1 내지 2 kgf 내인 점을 고려하여, X1/X2 비가 유리하게는 0.5 또는 그 미만으로 선택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우측) 후크(17)의 클로(claw)는 (좌측) 후크(16)의 클로보다 더 낮게 형성됨으로써, (좌측) 후크(16)가 고정 구멍(103y)로부터 결합 해제되기 전에 앞서서 (우측) 후크(17)가 고정 구멍(103z)(도12 참조)으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그러므로, (우측) 후크(17)가 프린터(101)의 고정 구멍(103z)으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순간에, 프린터(101)는 제1 팝업 부재(43a)의 가압력에 의해 제2 위치 결정 보스(39e) 둘레에서 회전됨으로써, 제1 위치 결정 보스(39d) 및 위치 결정 구멍(118a) 사이의 결합 위치가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결합 해제 측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에, (좌측) 후크(16)는 프린터(101)의 고정 구멍(103y)으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이 때에 프린터(101)는 푸시 레버(40)와 제2 팝업 부재(43b)에 의해 밀려내어진다. 따라서, 제1 위치 결정 보스(39d) 및 위치 결정 구멍(118a) 사이의 강한 결합 없이도 도23에 도시된 상태로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푸시 레버(40) 및 제2 팝업 부재(43b)가 프린터(101)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제1 위치 결정 보스(39d) 및 ASF 커넥터(44) 사이에 제공되면, 그리고 커넥터가 큰 접속력을 가지면, 커넥터(44)가 프린터(101)의 회전 중심이 됨으로써, 프린터(101의 원형 위치 결정 구멍(118a)과 제1 위치 결정 보스(39d) 사이에 강한 결합력이발생되어, 결국에는 보스(39d)의 변형 및/또는 파손이 유발된다.
이런 점에 기초하여, 푸시 레버(40)와 제2 팝업 부재(43b)는 프린터(101)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제1 위치 결정 보스(39d)로부터 ASF 커넥터(44)보다 더 멀리 배치되어야 한다.
[제어 유니트]
도24는 본 발명의 프린터용의 주 제어 유니트와 외부 ASF용의 제어 유니트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프린터(101)를 제어하기 위한 주 제어 유니트(202)는 도4에 도시된 주 본체 기판(123) 상에 제공되고, CPU(203), ROM(204) 및 RAM(205)이 버스들을 통해 접속된 마이크로컴퓨터가 제공된다.
프린터(101)에 의한 기록 동작에서, 주 제어 유니트(202)는 모터 드라이버(208)를 통해 캐리지 모터(121)를 구동하고, 또한 ROM(204) 내에 저장된 주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헤드 드라이버(210)를 통해 캐리지 모터(121)에 접속된 캐리지(도시안됨) 상에 장착된 기록 헤드(115)를 구동하여 라인의 기록을 수행한다.
그후, 주 제어 유니트(202)는 모터 드라이버(206)를 통해 급지 모터(120)를 구동시켜 용지를 전진시키고, 그 다음에 캐리지 모터(121)와 기록 헤드(115)의 구동을 반복함으로써 용지 상의 기록을 완료한다. 커넥터(117)는 주 제어 유니트의 CPU(203)로부터 외부로 명령 신호를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CPU(203)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양방향 통신 포트로 기능하고, 또한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외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용지 말단 센서(108)는 본체 내에 제공되고, 광학 또는 기계적 스위치를 구비한다. 용지(200)가 프린터 주 본체로 삽입될 때, 용지 말단 센서(108)의 출력 전압은 LOW 상태로부터 HIGH 상태로 변화된다. 용지 말단 센서(108)의 구성과 유사한 배지 센서(113)는 용지(200)가 기록 후에 프린터 본체에 남아 있다면 HIGH 상태의 전압을 출력한다.
용지 말단 센서(108)와 배지 센서(113)의 출력 전압은 CPU(203)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고, 용지 말단 센서(108)의 출력 전압은 커넥터(117)를 통해 외부로 직접 출력될 수 있다.
외부 ASF(1)를 제어하기 위한 ASF 제어 유니트(201)는 CPU(213), ROM(214) 및 RAM(215)이 버스들을 통해 연결된 마이크로컴퓨터를 갖는 주 제어 유니트(202)에서와 같이 제공된다. CPU(213)는 ROM(214) 내에 저장된 ASF 제어 프로그램을 기초로 한 모터 드라이버(216)를 통해 급지 모터(27)를 제어한다. ASF 커넥터(44)는 프린터(101)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용하고 ASF 제어 유닛의 CPU(213)로부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양방향 연통구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연통구]
도26은 전술된 커넥터(117) 및 ASF 커넥터(44)의 세부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커넥터(117)와 ASF 커넥터(44)는 각각 8 개의 포트(117a 내지 117h, 44a 내지 44h)를 갖추고 있고, 동일 알파벳 부호를 갖는 포트는 프린터(101)가 ASF(1)에 장착될 때 상호 전기 접속된다.
ASF측 내에, 접지(GND) 라인(44a), 신호용 5V의 동력 공급 라인(44b), 급지 모터(27)을 구동시키기 위한 24V의 동력 공급 라인(44e), 신호를 프린터에 전달하기 위한 송신 포트(44f), 프린터로부터 신호를 받기 위한 수신 포트(44g), 및 프린터 본체 내에 마련된 용지 말단 센서(108)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라인(44h)이 제공된다. 포트(44c, 44d)는 상호 단락되어, 프린터(101)는 포트(117c, 117d)와 외부 장치의 연결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ASF의 분리 및 반송 기구]
도25는 본 발명의 외부 ASF가 프린터 본체 상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용지(200)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 롤러(19)는 급지 고무 부재(23)에 끼워맞춰지고, 급지 롤러(19)가 회전하게 될 때, 용지(200)는 급지 고무 부재(23)의 마찰력에 의해 반송된다.
적층 용지(200)를 지지하기 위한 압력판(26)은 용지 반송 방향의 상류단의 ASF 섀시(11)에 의해 피봇 지지된다. 압력판(26)은 압력판 스프링(13)에 의해 급지 고무 부재(23)를 향해 편의되고, 초기 상태에서 급지 고무 부재(23)와 압력판(26)은 급지 롤러(19)의 양 단부 상에 마련된 캠부(19c)가 압력판(26)의 양 단부 상에 마련된 캠부(26a)와 결합하기 때문에 상호 분리되어, 용지(200)가 매끄럽게 설정될 수 있다. 뱅크(36)는 압력판(26)의 용지 반송 방향의 연장부에 충돌면(36a)을 갖추고 있고, 용지(200)는 그 전방단이 충돌면(36a) 상에서 충돌하도록 설정된다. 충돌면(36a)은 용지 분리 부재를 구성하는 뱅크 용지(37)를 갖추고 있다. 뱅크 용지(37)는 플라스틱 용지와 같은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굽힘에 의해발생된 탄성력을 이용하여 용지를 하나씩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프린터의 반송 및 프린팅 기구]
프린터의 반송 기구 및 프린팅 기구에 대해서는 도25를 참고로 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용지(200)를 반송하기 위한 LF 롤러(109)는 금속관, 및 금속관 상에 형성된 우레탄 수지와 같은 고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막으로 구성된다. LF 롤러(109)는 도24에 도시된 급지 모터(120)에 의해 회전되고 핀치 롤러(110)와 협력하여 용지(200)를 반송한다.
LF 롤러(109)에 의해 반송된 용지(200) 상의 화상 형성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헤드(115)는 (도시되지 않은) 캐리지 상에 장착되어, LF 롤러(109)의 종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기록 헤드(115)는 도24에 도시된 캐리지 모터(121)에 의해 캐리지와 함께 구동되고, (도면 평면의 수직 방향의) 용지의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스퍼(111) 및 배지 롤러(112)는 기록 후의 용지(200) 반송을 위해 LF 롤러(109) 및 기록 헤드(115)의 하류측에서 2개의 세트로 배치된다. 배지 롤러(112)는 (도시되지 않은) 전달 부재를 통해 LF 롤러(109)에 링크 연결되고 용지(200)를 LF 롤러(109)의 반송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LF 롤러(109)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용지 말단 센서(108)가 LF 롤러(109)에 대해 용지 반송 방향의 상류측의 용지 경로 내에 마련되고, 배지 센서(113)는 2 개의 세트의 배지 롤러 사이에배치되고, 각각의 센서는 용지(200)의 통과에 응답하여 출력 전압을 낮은 상태로부터 높은 상태로 변경한다.
[ASF의 구동 기구]
도27 및 도28은 본 발명의 외부 ASF의 구동 기구를 도시한 것이다.
전진 및 역회전 할 수 있는 스테핑 모터로 구성된 급지 모터(27)와, 급지 모터(27)의 모터 기어(27a)와 결합하는 아이들 기어(28)와, 직경이 상이한 2 개의 기어를 갖고 아이들 기어(28)와 결합하는 ASF 이중 기어(29)와, 전술된 이중 기어 중 작은 기어와 결합하고 이중 기어 주위로 회전하는 정전 유성 기어(31)와, 직경이 상이한 2 개의 기어를 갖고 전술된 이중 기어(29) 중 더 작은 기어와 결합하는 역전 유성 기어(33)와, 전술된 역전 유성 기어(33) 중 더 작은 기어와 결합하고 역전 유성 기어 주위로 회전하는 역전 유성 기어(35)가 제공된다. 급지 롤러(19)의 샤프트 단부 상에 마련된 급지 롤러 기어(19a)는 무치형부(19b)를 구비한다. 급지 롤러 기어(19a)는 이러한 기어들과 결합하도록 정전 유성 기어(31)와 역전 유성 기어(35)의 회전 궤도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기어들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도27을 참조하면, 급지 모터(27)가 화살표 b 방향(역회전)으로 회전할 때, 기어는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더 구체적으로, 아이들 기어(28)와 ASF 이중 기어(29)를 통해, 역전 유성 기어(35)는 도27의 파선 위치로부터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실선 위치로 역전 유성 기어(33) 주위로 이동하고, 급지 롤러 기어(19a)와 결합하여, 급지 롤러(19)를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방향(즉, 압력판(26) 상의 용지(200)를 프린터(101)를 향해 전진시키는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역전 유성 기어(35)와의 결합에 의해 회전하는 급지 롤러 기어(19a)는 무치형부(19b)가 역전 유성 기어(35)의 반대편 위치에 도달할 때 결합부로부터 분리되어, 급지 모터(27)의 역회전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서, 정전 유성 기어(31)는 도27의 파선 위치로부터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방향의 실선 위치로 이동하고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 상의 충돌에 의해 내부에 정지되어, 급지 롤러(19)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그후, 도28을 참조하면, 급지 모터(27)가 화살표(f)에 의해 나타낸 방향(정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기어는 각각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다. 더 구체적으로, 아이들 기어(28)와 ASF 이중 기어(29)를 통해, 정전 유성 기어(31)는 도28의 파선 위치로부터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실선 위치로 ASF 이중 기어(29) 주위로 이동하고, 급지 롤러 기어(19a)와 결합하여, 급지 롤러(19)를 도28의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방향(즉, 압력판(26) 상의 용지(200)를 프린터(101)를 향해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정전 유성 기어(31)와의 결합에 의해 회전하는 급지 롤러 기어(19a)는 무치형부(19b)가 정전 유성 기어(31)의 반대편 위치에 도달할 때 결합부로부터 분리되어, 급지 모터(27)의 정전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런 작동시, 역전 유성 기어(33)는 도28에서의 파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이동되어 스토퍼(도시되지 않음)를 가격함으로서 그 위치에서 정지되어, 급지 롤러(19)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급지 롤러 기어(19a)의 무치형부(19b)가 정전 유성 기어(31)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급지 롤러의 캠부(19c)는 초기 상태에서와 같이 압력판(26)의 캠부(26a)와 결합되어, 그에 의해, 급지 고무 부재(23)로부터 압력판(26)을 분리시킨다.
따라서, 급지 모터(27)가 전방 방향으로 연속 회전될 때, 급지 롤러(19)의 캠부(19c)가 압력판(26)의 캠부(26a)와 결합하여, 그에 의해, 급지 롤러(19)는 압력판(26)이 급지 고무 부재(23)로부터 분리된 초기 상태에서와 같은 상태로 회전을 종료하며, 그 후, 정전 유성 기어(33) 및 역전 유성 기어(35)는 도28의 실선 위치에서 공회전되며, 그에 의해, 기구는 급지 롤러(19)로 회전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에서 안정화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급지 롤러(19)는 급지 모터(27)가 정전되는 역전되는지에 관계없이 프린터(101)쪽으로 용지(200)를 진행시키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며,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급지 동작 및 기록 동작(종래 기술)]
이하, 본 발명의 ASF 및 프린터에 의해 수행되는 용지(200)를 공급하고 기록한 후 용지(200)를 방출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컴퓨터와 같은 외부 정보 장치로부터 받은 기록 명령에 반응하여, 프린터(101)는 제1 급지 동작을 우선 수행하고 그 후 기록 동작을 수행한다.
도29는 프린터(101)가 급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의 제어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이다. 우선 프린터(101)의 주 제어 유니트(202)는 도3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되는 서브 플로우(C1)을 수행한다. 서브 플로우(C1)는 도26에서 도시된 포트(117f, 117g)를 통해 프린터에 장착된 외부 기종를 식별한다.
그 후, 동작은 단계 S1로 진행되며, 서브 플로우(C1)의 결과가 ASF가 프린터(101)에 장착된 것을 표시하면, 급지가 ASF에 의해 수행되면서 동작은 단계 S2로 진행된다. 단계 S2에서, 주 제어 유니트(202)는 ASF로 초기화된 명령 신호를 전달하며, 동작은 단계 S3으로 진행된다.
ASF에서 초기화 완료를 표시하는 반응 신호가 단계 S3에서 수령되지 않으면, 동작은 단계 S3을 반복한다. 이런 반응 신호를 받을 때, 동작은 주 제어 유니트(202)가 ASF로 급지 명령 신호 및 (보통지, 코팅지, 옆서, 광택지 등과 같은) 용지의 종류를 표시하는 지종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S4로 진행되며, 동작은 단계 S5로 진행된다.
반응 신호가 단계 S5에서 ASF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동작은 단계 S8로 진행되나, 소정 제한 시간(t2)이 경과되면 단계 S5를 반복한다. 단계 S8은 제한 시간(t2)이 경과되었는지를 인식하면, 주 제어 유니트(202)가 급지 에러를 내어 급지 동작이 종료되는 단계 S9로 동작이 진행된다. 단계 S5가 ASF로부터 용지 피팅의 완료를 표시하는 반응 신호를 받으면, 동작은 단계 S7로 진행된다. 단계 S7은 용지(200)에 대한 소위 헤드 공급 동작(최초 위치로 용지의 선단을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그에 의해, 주 제어 유니트(202)는 급지 모터(120)를 구동하여 기록 동작에서 용지 공급 방향(전방(정상) 방향)으로 소정량(R3) 만큼 롤러(109)를 회전시켜, 급지 동작이 종료된다. 소정량(R3)은 용지(200)의 선단이 배지 센서(113)의 탐지 영역에 도달되지 않으나 기록 헤드(115) 바로 아래의 위치에 도달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프린터(101)가 용지(200) 상에서 기록을 시작할 경우, 공급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해 역회전될 필요가 없어, 용지(200)의 말단이 ASF의 내부 부품과 충돌하지 않으며, 용지(200)가 금이가거나 또는 잘못 공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5가 ASF로부터 급지 에러를 표시하는 반응 신호를 받으면, 주 제어 유니트(202)가 급지 에러를 내어 급지 동작이 종료되는 단계 S9로 동작이 진행된다.
단계 S1에서, 서브 플로우 C1의 결과가 ASF가 프린터(101) 상에 장착되지 않은 것을 표시하면, 급지가 수동 삽입에 의해 수행되면서 동작은 단계 S10으로 진행된다.
사용자가 단계 S10에서 용지를 삽입하지 않으면, 용지가 감지되지 않으며 용지 말단 센서(108)가 저출력 전압을 제공하며, 그 때, 동작은 단계 S10을 반복한다. 사용자가 프린터(101)에 용지(200)를 삽입하여 LF 롤러(109) 상에 용지(200)를 가격하면, 용지 말단 센서(108)가 용지 탐지를 표시하는 고 출력 전압을 방출하여, 그 때, 동작은 단계 S11로 진행된다. 단계 S11에서, 주 제어 유니트(202)는 급지 모터 드라이버(206)를 통해 급지 모터(120)를 구동하여, (기록 동작시 공급 방향으로 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전방 방향으로) 통상 소정량(R4)만큼 LF 롤러(109)를 회전시킨다. 소정량(R4)은 용지(200)의 선단이 배지 센서(113)의 탐지 영역으로 도달되도록 선택된다. 그 후, 단계(S12)는 배지 센서(113)가 용지(200)를 탐지하면 급지가 성공적인 것을 식별하여, 동작은 단계 S1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3에서, 주 제어 유니트(202)가 급지 모터 드라이버(206)을 통해 급지 모터(120)를 구동시켜 (기록 동작시 공급 방향에 역방향으로 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소정량(R5)만큼 LF 롤러(109)를 역전시킨다. 소정량(R5)은 배지 센서(113)의 탐지 영역으로 공급된 용지(200)가 기록 시작 위치로 복귀되며 용지(200)의 선단이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 사이의 닙으로부터 나오지 않도록 선택된다.
단계 S12에서, 배지 센서(113)가 용지(200)를 탐지하지 않으면, 예컨대, LF 롤러(109) 상에 용지(200)의 경사진 가격 때문에 양(R4)만큼 용지 공급 후에도 용지(200)의 선단이 배지 센서(113)의 탐지 영역에 도달되지 않으면 또는 용지(200)가 LF 롤러(109) 상에 충분히 강하게 가격하지 않고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 사이에 집히면, 주 제어 유니트(202)는 수동 삽입으로 급지의 실패를 탐지하며 동작은 단계 S14로 진행된다. 단계 S14에서, 주 제어 유니트(202)는 급지 모터 드라이버(206)를 통해 급지 모터(120)를 구동시켜, 소정량(R6)만큼 LF 롤러(109)를 역전시킨다. 소정량(R6)은 배지 센서(113)의 탐지 영역으로 공급된 용지(200)의 선단이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 사이에서 닙으로부터 만족스럽게 벗어날 수 있도록 선정된다.
따라서, 수동 삽입 동작시, 배지 센서(113)가 용지(200)를 탐지하였는지를 구별함으로써 성공적인 공급이 확보될 수 있으며, 급지가 실패한 경우, 용지(200)는 LF 롤러(109)에 의해 집힌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그에 의해 용지(200)가 용이하게 제거되어 새로이 수동 삽입될 수 있다.
ASF 급지와는 반대로, 용지의 복귀 이송이 구김 또는 오공급을 야기하지 않도록 수동 삽입의 경우에 복귀하는 용지(200)와 충돌하는 기계 요소가 없다.
전술한 급지 제어 순서에 의한 급지 작동의 완료 후에, 프린터(101)는 기록 작동을 수행한다. 주 제어 유닛(202)은 모터 드라이버(208)를 통해 캐리지 모터(121)를 구동시키며, 헤드 드라이버(210)를 통해 캐리지 모터(121)에 연결된 캐리지(도시 안됨) 상에 장착된 기록 헤드(115)를 구동시킴으로써, 한 줄의 기록을 수행한다. 이어서, 주 제어 유닛(202)은 한 줄만큼 용지(200)를 전진시키기 위해 모터 드라이버(206)를 통해 급지 모터(120)를 구동시키며, 캐리지 모터(121)와 기록 헤드(115)의 구동을 반복한다. 기록의 완료 후에, 주 제어 유닛(202)은 급지 모터(120)를 구동시킴으로써, LF 롤러(109)를 대체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용지 방출 롤러(112)는 프린터(101)로부터 용지(200)를 방출하기 위해 구동된다.
[(ASF에서의) 급지 작동]
도30은 본 발명의 프린터에 외부에서 부착될 수 있는 ASF의 주 제어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이다. 본 발명의 ASF(1)의 제어 유닛(201)은 프린터(101)에 연결될 때 대체로 대기 상태에 있으며, 명령 신호가 프린터(101)로부터 수신되지 않는다면 명령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단계 S37을 반복한다. 프린터(101)로부터의 명령 신호가 도26에 도시된 직렬 수신 포트(44g)를 통해 수신될 때, 순서는 명령 신호의 차례에 따라 이후의 서브 플로우 또는 단계로 진행한다. 프린터(101)로부터의 명령 신호가 급지 명령 또는 초기화 명령이면, 순서는 각각 ASF 급지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서브 플로우(C2)로 진행하거나, 초기화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서브 플로우(C3)로 진행하며, 각 서브 플로우의 완료 후에, 순서는 대기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단계 S37로 복귀한다. 프린터(101)로부터의 명령 신호가 기종 식별 명령이면, 순서는 직렬 송신 포트(44f)를 통해 프린터(101)로 ASF(1)의 기종을 나타내는 ID 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단계 S6로 진행하며, 이어서, 대기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단계 S37로 진행한다.
상기 2개의 서브 플로우 사이에서, ASF 급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서브 플로우(C2)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하며, 초기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서브 플로우(C3)는 후에 설명될 것이다.
도31은 ASF(1) 내에서 급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서브 플로우(C2)를 도시하는 플로우이다.
먼저 단계 S15에서, ASF 제어 유닛(201)은 프린터(101)로부터 급지 명령 신호와 함께 수신된 지종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공급될 지종에 대해 최적인 급지 모터(27)용 구동 테이블(T)을 ROM(214)로부터 CPU(213)로 판독한다. 구동 테이블(T)은, 펄스 모터와, 후에 설명될 단계(S22)에서의 정합 작동을 위해 지종에 따른 최적량만큼 급지 롤러(19)를 회전시키기 위한 정합 펄스 부재(P5)를 포함하는 급지 모터(27)의 구동 속도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테이블이 예상되는 용지의 특성에 따라 준비된다.
구동 테이블(T)을 판독한 후에, 순서는 ASF 제어 유닛(201)이 변수 INIT, n 및 Pc에 대한 초기값으로서 '0'을 설정하는 단계 S16로 진행한다. 이러한 변수들은 RAM(215)에 저장된다. 변수 INIT는 급지 롤러(19)의 회전 위상이 초기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랙이며, n은 급지 플로우(C2)의 개시 후에, 급지 롤러(19)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회전수 계수기이며, Pc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급지 모터(27)에 부여된 펄스수를 나타내는 펄스수 계수기이다.
다음 단계 S17에서, ASF 제어 유닛(201)은 급지 모터 드라이버(216)를 통해 역방향으로 한 펄스만큼 급지 모터(19)를 구동한다. 다음 단계 S18는 펄스수 계수기(Pc)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며, 다음 단계 S19에서, ASF 제어 유닛(201)은 펄스수 계수기(Pc)의 값과 허용 펄스수(Pmax)를 비교한다.
허용 펄스수(Pmax)는 급지 모터(27)의 역회전의 개시로부터, 급지 롤러 기어의 무치형부(19b)가 도27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역전 유성 기어(35)에 대향하게 되는 위치로의 급지 롤러의 회전의 종료까지 전체 펄스수이다. 급지 개시 직후에 Pc < Pmax인 상태를 만족시키기 때문에, 순서는 ASF 제어 유닛(201)이 도26에 도시된 포트(44h)를 통해 프린터(101) 내의 용지 말단 센서(108)의 출력 전압을 확인하는 단계 S20로 진행한다. 급지 개시 직후에 용지(200)가 프린터(101)의 내부에 도달하지 않을 때, 용지 말단 센서(108)는 순서를 단계 S17로 복귀시키기 위해 저출력 전압을 제공한다. 단계 S20를 통한 단계(S17)의 반복을 통해, 도27에 도시된 역전 유성 기어(35)는 점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이동하며, 급지 롤러 기어(19a)와 맞물림으로써, 급지 롤러(19)는 회전하기 시작한다. 급지 롤러(19)가 초기 위상 상태로부터 회전하기 시작할 때, 급지 롤러 캠(19c)과 압력판 캠(26a)이 해제됨으로써, 압력판(26)은 판스프링(13)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며, 압력판(26) 상에 적층된 용지(200)는 급지 고무 부재(23)와 가압 접촉 상태가 된다. 이러한 작동에서, 뱅크(36)의 충돌면(36a) 상에 충돌하는 용지(200)의 선단부도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며, 대략 뱅크 용지(37)의 중심과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단계 S20를 통한 단계 S17는 급지 모터(27)의 역회전을 계속하기 위해 추가로 반복됨으로써, 급지 롤러(19)는 급지 고무 부재(23)의 마찰력에 의해 용지(200)의 시작하기 위해 회전된다. 용지(200)의 선단부는 탄성 뱅크 용지(37)를 굽힘으로써 생성된 척력에 의해 아래에 놓인 용지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단 1장의 용지만 전진한다.
그러나, 펄스수 계수기(Pc)의 값이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 급지 모터(27)의 역회전이 계속될 때, Pc < Pmax인 관계는 더 이상 성립하지 않으며, 이 때에, 순서는 단계 S24로부터 단계 S19로 분기된다. 단계 S24에서, ASF 제어 유닛(201)은 정전 유성 기어(31)에 의해 급지 롤러(19)를 초기 위치로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소정 펄스수(P4)만큼 전방 방향으로 급지 모터(27)를 구동한다. 따라서, 단계 24의 실행에 의해, 급지 롤러(19)는 급지 롤러 기어의 무치형부(19b)가 정전 유성 기어(31)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여 급지 롤러 기어가 해제되어 정지되는 초기 위치로부터 정확히 1회전의 위상까지 회전한다. 후에, 단계 S25는 펄스수 계수기(Pc)를 '0'으로 복귀시키며, 회전수 계수기(n)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 다음 단계 S26에서 n=1인 상태일 때, 순서는 급지 모터(27)의 역회전를 다시 시작하기 위해 단계 S17로 복귀한다.
ASF 제어 유닛(2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20를 거쳐 단계 S17를 반복함으로써, 급지 롤러(19)는 2회 회전을 시작하며, 용지(200)는 추가로 이송된다. 용지(200)의 선단부가 프린터(101)에서 용지 말단 센서(108)에 도달할 때, 용지 말단 센서(108)는 고출력 전압을 생성함으로써, 순서는 S20으로부터 S21로 진행한다.단계 S21에서, ASF 제어 유닛(201)은 판독 구동 테이블(T)에서의 펄스수 계수기(Pc)의 값과 정합 펄스수(P5)의 합과 허용 펄스수(Pmax)를 비교한다. Pc + P5 ≤ Pmax이면, 급지 모터(27)가 P5 펄스에 의해 역방향으로 추가로 구동될 경우에, 역구동은 구동 중에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순서는 단계 S22로 진행한다. 한편, Pc + P5 > Pmax이면, 급지 모터(27)를 P5 펄스에 의해 역방향으로 추가로 구동함으로써 급지 롤러 기어의 무치형부(19b)가 역구동 중에 역전 유성 기어(35)에 대향하게 됨으로써 급지 롤러(19)로의 구동 전동이 중단되기 때문에, 단계 S24로 진행한다. 단계 S24는 급지 롤러(19)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대체로 P4 펄스에 의해 급지 모터를 다시 구동시킨다. 단계 S25는 Pc에 대해 '0'을 설정하고 n에 대해서는 n+1을 설정한 후, 순서는 단계 S26로 진행한다. 이런 상태에서, 용지 말단 센서(108)는 순서를 단계 S17로 복귀시키기 위해 대체로 급지 롤러의 2회 회전에서 용지(200)를 검출하기 때문에 n=2인 상태에 있다. 이때에, 용지 말단 센서(108)는 고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펄스수 계수기(Pc)는 막 재설정되었기 때문에, 이제 Pc + P5 ≤ Pmax인 관계를 만족시키므로 순서는 단계 S17로부터 S18→S19→S20→S21 및 S22로 진행한다.
단계 S22는 소위 기록 작동을 수행한다. ASF 제어 유니트(201)는 판독 구동 테이블 T에서 펄스수 P5에 의해 급지 모터(27)를 역구동함으로써, 급지 롤러(19)를 회전시킨다. 이런 작동에서, 용지(200)의 선단은 용지 말단 센서(108)에 의해 검출된 위치로부터 프린터(101)로 더욱 전진되며, 정지된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 사이에 형성된 닙 상에 충돌함으로써 정지되지만, 용지(200)의 끌리는부분은 급지 롤러(19)에 의해 추가로 전진된다. 따라서, 용지(200)의 선단은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 사이에 형성된 닙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다음 단계 S23에서, ASF 제어 유니트(201)는 도26에 도시된 직렬 송신 포트(44f)를 통한 프린터(101)로의 급지의 완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며, 이때에 순서는 완료된다.
용지가 압력판(26) 상에 없을 경우에, 용지 말단 센서(108)는 급지 롤러(19)의 회전수에 상관없이 고출력 전압을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ASF 제어 유니트(201)는 소정 횟수만큼 S17→S18→S19→S20→S17의 루프를 실행하는 순서를 두 번 반복한 후에, S19→S24→S25→S26을 통해 S17로 복귀하며, 세 번째로 단계 S26에 도달한 때에, 급지 롤러(19)의 회전수 계수기는 n=3이 되며, 순서는 프린터(101)로 급지 에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단계 S27로 진행하며, 이때에 순서는 종료된다.
[다른 작동(프린터 및 ASF)]
도32는 ASF(1)의 초기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서브 플로우(C3)의 플로우이다. 프린터(101)로부터 초기화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ASF 제어 유니트(201)는 급지 롤러(19)의 회전 위상이 초기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랙(INIT)의 값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 S28로 진행한다. INIT=1이어서 급지 롤러(19)가 이미 초기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경우에, 순서는 프린터(101)로 초기화 완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단계 S31로 진행하며, 이때에 순서는 종료된다. INIT=0일 경우에, 순서는 대체로 소정 펄스수 P0에 의해 급지 모터(27)를 구동시키기 위해 단계 S29로 진행하며, 상기 소정 펄스수는 급지 롤러 기어의 무치형부(19b)가 정전 유성 기어(31)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급지 롤러(19)를 임의의 회전 위상으로부터 초기 위치로 회전시킬 때까지 급지 롤러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충분히 선택된다. 따라서, 단계 S29는 급지 롤러(19)를 초기 위치로 회전시키며, 압력판(26)과 급지 고무 부재(23)는 용지(200)의 원활한 설정이 가능하도록 서로 분리된다.
다음 단계 S30는 급지 롤러가 초기 위치에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플랙(INIT)으로서 '1'을 설정한다. 단계(S31)는 프린터(101)로 초기화 완료 신호를 송신한 후에, 순서는 종료된다.
도33은 도26에 도시된 포트(117f, 117g)를 통해 외부에서 프린터에 연결된 종류의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서브 플로우(C1)를 도시하는 플로우이다. 먼저, 단계(S32)에서, 주 제어 유니트(202)는 포트(117g)를 통해 외부 장치로 기종 판별 명령 신호를 송신한다. 외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단계(S33)에서 포트(117f)를 통해 수신되지 않는다면, 순서는 단계 S35로 진행하며, 소정 제한 시간(t1)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순서는 단계 S33로 복귀한다. 제한 시간(t1)이 단계 S35에서 경과하였다면, 순서는 외부 장치가 없음을 식별하기 위해 단계 S36로 진행하며, 이때에 순서는 종료된다.
응답 신호가 단계 S33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다면, 순서는 주 제어 유니트(202)가 장착 장치의 종류를 나타내는 부분 코드(ID)를 수신된 응답 신호로부터 판독하는 단계 S34로 진행하며, 이때에 순서는 종료된다.
[제2 실시예]
도34 및 도35는 본 발명의 프린터 및 프린터에 장착될 수 있는 외부 ASF에서의 제어 순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 또는 형상의 부품 또는 작동은 동일한 번호 또는 심벌로 나타내며, 추가로 설명되지는 않을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F 제어 유니트(201)는 단계 S22에서 P5 펄스에 의해 용지 구동 모터를 역으로 구동한 후에, 단계(S23)에서 프린터(101)로 급지 완료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나, 그런 경우에, 급지 롤러(19)는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200)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지 않는다. 선단 정렬 작동 또는 기록 작동이 단지 LF 롤러(109)에 의해서만 이런 상태의 프린터에서 수행된다면, 급지 롤러(19)는 용지(200) 공급의 정밀성을 저하시키는 후방 장력을 생성한다.
제2 실시예는 그런 단점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2에서 기록 작동 후에, ASF 제어 유니트(201)는 소정 펄스수(P6)에 의해 급지 모터(27)를 대체로 (전방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단계 S38로 진행하며, 상기 소정 펄스수는 정전 유성 기어(31)에 의해 급지 롤러(19)를 초기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충분히 선택된다. 급지 모터(27)의 전방 회전의 개시와 동시에, 구동의 개시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계수기가 작동되며, 소정 시간(t3)의 경과 후에, 순서는 동기 구동 요구 신호를 프린터(101)로 송신하기 위해 단계(S39)로 진행된다. 소정 시간(t3)은, 단계(S38)에서의 급지 모터(27)의 회전의 개시로부터 급지 롤러 기어(19a)와 맞물리는 위치로의 정전 유성 기어(31)의 이동에 의한 급지 롤러(19)의 회전의 개시까지의 시간 보다 약간 길게 선택된다.
또한, 단계(S38)에서, 급지 모터(27)의 구동 속도는 급지 롤러(19) 상에 장착된 급지 고무 부재(23)의 외주 속도가 프린터에서의 단계(S7)에서 회전하는 LF 롤러(109)의 외주 속도보다 약간 크도록 선택된다.
단계(S38)의 완료 시에, 급지 롤러(19)는 초기 위치에서와 동일한 위상까지 회전되며, 순서는 급지 롤러(19)의 회전 위상이 초기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값 '1'을 INIT 플랙으로 설정하는 단계(S40)로 진행하며, 순서는 종료된다.
한편, 프린터의 주 제어 유니트(202)는 상술한 단계 S39에서의 ASF 제어 유니트(201)에 의해 송신된 동기 구동 요구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도34의 단계 S5로부터 단계 S7로 진행해서 LF 롤러(109)의 정전(정방향) 회전을 개시시킨다.
도37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본 실시예의 프린터(101)와 ASF(1)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프린터가 급지 작동을 개시하면, 먼저 장치 유형 판별 명령 신호가 ASF(S32)로 송신된다. ASF는 그 자신의 장치 유형 코드를 프린터에 표시하는 ID 신호를 송신한다(S37). 다음에, 프린터는 ASF에 초기화 명령 신호를 송신한다(S2). ASF는 초기화 상태에 있지 않는 경우 급지 롤러를 회전시켜 초기화를 수행하며(S29), 프린터에 초기화 완료 신호를 송신한다(S31). 다음에, 프린터는 ASF에 급지 명료 신호를 송신한다(S4).
ASF는 급지 명령 신호와 함께 송신된 지종 정보를 기초로 해서 최적 구동 테이블 T를 읽으며(S15, 도37에서는 생략되어 있음), 급지 작동 제어 흐름을 기초로 해서 급지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급지 롤러를 회전시킨다(S18). 프린터에 마련된 용지 말단 센서가 용지를 검출하고 고(HIGH) 출력 전압 전압을 발생시키면 ASF는 전술한 펄스수(P5)를 기초로 해서 회전량 R1만큼 급지 롤러를 더욱 회전시킴으로써, 소위 작동을 정합(registering) 작동을 완료한다. 정합 후에, ASF는 급지 롤러를 회전량 R3만큼 초기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더욱 회전시키며(S38), 급지 모터의 구동 개시 시기로부터 시간 t3의 경과 후에 프린터에 동기 구동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ASF로부터 동기 구동 요구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프린터는 회전량 R3만큼 LF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소위 선단 공급 작동을 수행해서 용지의 선단를 초기 위치로 공급한다(S7).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급지 롤러(19)는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2의 완료 후의 상태에서 회전을 시작하며, LF 롤러(109)는 약간 후에 회전을 시작하고, 급지 고무 부재(23)의 원주 속도는 LF 롤러(109)의 원주 속도보다 약간 더 크다. 결과적으로, LF 롤러(109)가 단계 S7에서 선회 말단 공급 작동을 위해 회전을 개시하면 급지 고무 부재(23)가 용지(200)와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어 약간 더 일찍 회전을 시작하기 때문에 용지(200) 상에는 역방향 장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급지 고무 부재(23)가 LF 롤러(109)의 원주 속도보다 약간 더 크기 때문에 원주 속도의 차이로부터 초래되는 역방향 장력 또한 발생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선단 공급 작동에서 용지(200)의 송신 정확성이 안정화된다.
시간 t3이 과도하게 작으면, LF 롤러(109)는 급지 모터(27)의 구동력이 급지 롤러(19)로 전달되기 전에 회전을 시작할 수 있으며, 이에 반해, 시간 t3이 과도하게 크면, 급지 롤러(19)는 LF 롤러(109)가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크게 회전됨으로써 용지(200)가 중도에 변형되거나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 사이에 형성된 닙(nip)에 대해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실험적인 결과를 기초로 해서, 본 실시예에서의 시간 t3의 최적 범위는 10 ㎳ 내지 100 ㎳이다. 또한, 급지 롤러(19) 상에 장착된 급지 고무 부재(23)의 원주 속도가 LF 롤러(109)의 원주 속도에 대해 충분히 빠르지 않으면 급지 고무 부재(23)가 용지(200)의 유형 또는 환경 상태에 따라 활주을 야기할 때 역방향 장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반해 급지 고무 부재(23)가 너무 빠른 경우에는 용지(200)가 변형될 수 있다. 실험적인 결과를 기초로 해서, 본 실시예의 단계 S38에서의 급지 고무 부재(23)의 원주 속도의 최적치는 단계 S7에서의 LF 롤러(109)의 원주속도보다 5 내지 50 % 더 빠르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의 '급지 완료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는 작동 의미의 차이로 인해 '동기 구동 신호 의뢰'라 불리고 있지만, 실제 신호는 '급지 완료 신호'와 동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급지 제어 흐름은 기본적으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동일하다(도29 및 도34). 달리 말하자면, 제1 실시예에 도시된 프린터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도시된 ASF 프린터들 중 어느 하나와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ASF(1)에 의해 수신된 지종 정보가 보통지를 가리키면, ASF 제어 유니트(201)는 구동 테이블 T1을 선택한다. 보통지에 대해서는 구동 속도가 중속으로 설정되는데 이는 단계 S22에서의 정합 작동이 낮은 저항을 받기 때문이다. 또한, 용지 공급 중에 비스듬하게 공급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LF 롤러(109)에 가압하는 양은 정합 펄스수(P5)가 작게 선택되도록 커질 필요가 없다.
ASF(1)에 의해 수신된 지종 정보가 봉투를 가리키는 경우에, ASF 제어 유니트(201)는 구동 테이블 T3을 선택한다. 봉투는 공급 시에, 특히 단계 S22에서의 정합 작동 시에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구동 속도는 보통지의 경우와 비교해서 더 낮게 선택되며, 이에 의해 큰 토크를 확보해서 급지 모터(27)가 동기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봉투는 다른 지종과 비교해서 공급 중에 경사 공급을 야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단계 S22에서의 정합 펄스수(P5)는 보통지용의 테이블 T1에서보다 큰 중간치로 선택된다. 따라서, 봉투의 선단은 LF 롤러(109)에 대해 크게 가압되며, 봉투의 선단은 보다 확실하게 정합될 수 있다.
또한, 지종 정보가 광택지를 가리키는 경우에 ASF 제어 유니트(201)는 구동 테이블 T4를 선택한다. 광택지는 정합 작동 시에 큰 저항을 나타내지만 경사 공급을 발생시키는 경향은 적다. 이 때문에, 구동 테이블 T4에서 구동 속도는 낮게 선택되는 반면에, 정합 펄스수(P5)는 보통지에서보다 작게 선택된다.
지종 정보가 엽서를 가리키는 경우에, ASF 제어 유니트(201)는 구동 테이블 T2를 선택한다. 엽서는 정합 작동 시에 큰 저항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정합 작동 시의 구동 속도는 보통지에서와 같이 중간치로 선택된다.
한편, 프린터의 LF 롤러(109)와 ASF의 급지 롤러(19)가 도37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동시 회전하면, 엽서와 같은 강성의 용지는 공급 중에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따라서 보다 큰 원주 속도를 갖는 급지 롤러(19)가 LF 롤러(109)의 마찰력에 대항해서 엽서를 강제로 압박할 수 있으서, 엽서의 선단은 LF 롤러의 회전량 R3 이상으로 공급될 수 있고 얻어진 인쇄물은 적절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 구동 테이블 T2에서는 단계 S22에서의 정합 펄스수(P5)가 가능한 한 크게 선택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합 펄스수 P5 = Pmax - Pc 로 표시되고 용지 말단 센서(108)에 의한 용지(200)의 검출 시기까지 요구되는 급지 모터(27)의 역전에 대한 구동 펄스수에 의해 결정되는 변수로 설정된다. 따라서, 용지(200)는 용지 말단 센서(108)에 의해 탐지되며, 급지 모터(27)의 역회전 전체 펄스수는 단계 S22를 수행하는 마지막에 Pmax가 된다. 또다른 설명으로서, 급지 롤러 기어(19a)의 무치형부(9b)는 역전 유성 기어(35)에 대향하는 변위 위치까지 안정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단계 S22의 마지막 이후, 급지 롤러(19)의 회전 위상은 초기 위치에서 크게 전진하며, 단계 S40에서 급지 롤러(19)가 회전하면 그 위상은 즉시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결국 압력판(26) 상에 적재된 엽서는 LF 롤러(109)와 급지 롤러(19)의 동기 구동 개시 바로 후 급지 롤러 부재(23)로부터 신속히 분리되어, 급지 롤러(19)는 더 이상 LF 롤러(109)의 마찰력에 대항해서 엽서를 압박하지 않는다.
프린터(101)로부터 ASF(1)에 의해 수신된 지종 정보가 ASF(1)에 마련되지 않은 지종을 지시하거나 지종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에도, ASF 제어 유니트(201)는 구동 테이블 T5를 선택한다. 본 실시예의 구동 테이블 T5은 엽서에 대한 구동 테이블 T2에서와 같은 값을 갖지만 시도된 조건에 따라, 테이블 T5에 다른 지종에 대한테이블과 동일한 값 또는 다른 테이블과 완전히 다른 값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급지 장치의 제2 안내 부재는 자동적으로 공급된 용지가 제1 안내 부재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록 장치의 제1 안내 부재에 대해 용지의 내측으로 변위되어 배치되고, 따라서 용지의 경사 공급, 용지 단부의 손상 및 충돌로 인한 용지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안내 부재 사이에 엄격한 상대 위치 관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고정밀도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지가 어느 정도 경사지게 전달되는 경우에도, 제1 안내 부재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용지의 경사 공급, 용지 단부에 대한 손상 또는 이런 충돌로 인한 용지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지 내측으로 자동 급지하는 경우, 용지의 횡방향으로 화상 기록 위치를 변위시킴으로써, 수동 급지를 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제1 및 제2 안내 부재 사이의 변위량과 거의 동일한 양만큼, 급지가 자동을 수행되는지 수동으로 수행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동일한 위치에 화상을 기록할 수 있고, 따라서 기록 위치(예컨대, 인쇄되는 용지 상의 기록 위치)의 차이로 인한 결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 포트를 갖고 상기 급지 포트로부터 급지된 용지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장치와, 상기 급지 포트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용지를 기록 장치로 연속해서 급지하는 급지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급지 장치가 상기 기록 장치에서 제거될 때 상기 기록 장치내로 용지의 측면 모서리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1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급지 장치는 용지의 측면 모서리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2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안내 부재는 제1 안내 부재에 대해 용지의 내측으로 변위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용지가 상기 급지 장치에 의해 급지되지 않을 때에 비해서 용지가 상기 급지 장치에 의해 급지될 때, 그 용지의 횡방향에서의 화상 기록 위치가 제1 안내 부재와 제2 안내 부재 사이의 변위량과 거의 동일한 양만큼 용지의 내측면 쪽으로 위치되어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급지가 상기 급지 장치에 의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모드 판단 수단도 포함하며, 그 용지의 횡방향에서의 화상 기록 위치가 모드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 및 급지 장치는 각각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각각 가지며, 상기 모드 판단 수단은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전기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제1 안내 부재와 상호 작용하여 용지의 횡방향에서의 측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3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용지 공급 경로는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급지 장치에 연결될 때 제3 안내 부재를 피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9990013608A 1998-04-15 1999-04-14 화상 형성 장치 KR100340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05134 1998-04-15
JP10513498A JP3697059B2 (ja) 1998-04-15 1998-04-15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273A KR19990083273A (ko) 1999-11-25
KR100340654B1 true KR100340654B1 (ko) 2002-06-15

Family

ID=1439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608A KR100340654B1 (ko) 1998-04-15 1999-04-14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13464B1 (ko)
EP (1) EP0950531B1 (ko)
JP (1) JP3697059B2 (ko)
KR (1) KR100340654B1 (ko)
CN (1) CN1128719C (ko)
DE (1) DE6990358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7187B1 (en) * 1998-04-15 2003-05-20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feeding control method
JP4078218B2 (ja) * 2003-01-31 2008-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6942211B2 (en) * 2003-07-11 2005-09-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bile printer and paper feeder
JP3915921B2 (ja) * 2003-09-09 2007-05-16 船井電機株式会社 用紙搬送用のローラー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DE102004027484B4 (de) * 2004-06-04 2007-03-29 Leuze Electronic Gmbh & Co Kg Optischer Sensor
JP4428179B2 (ja) * 2004-09-27 2010-03-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材案内装置
US7850300B2 (en) * 2007-01-04 2010-12-1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4915524B2 (ja) * 2007-07-20 2012-04-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材のサポート装置及び記録装置
US7999836B2 (en) 2008-06-13 2011-08-16 Brady Worldwide, Inc. System and method of print media back-feed control for a printer
JP2015199552A (ja) 2014-04-04 2015-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およびプリン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4793B1 (en) 1987-06-12 1996-10-0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JP2741788B2 (ja) 1989-02-17 1998-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清掃部材及び該清掃部材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291224A (en) 1989-10-27 1994-03-0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using pairs of spur rollers
US5170184A (en) 1989-12-29 1992-12-08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with improved recording medium conveying device
GB2239841B (en) 1989-12-29 1994-08-17 Canon Kk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5238235A (en) * 1990-08-10 1993-08-2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JP2984066B2 (ja) * 1991-01-29 1999-11-29 富士通アイソ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用自動給紙装置
EP0526209B1 (en) 1991-07-31 1997-11-05 Canon Kabushiki Kaisha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for recording apparatus
JP2875915B2 (ja) 1991-08-02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H05132198A (ja) * 1991-11-06 1993-05-28 Brother Ind Ltd 手差し給紙装置
US5480247A (en) 1992-05-29 1996-01-0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JP3268324B2 (ja) 1992-12-22 2002-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EP0620118B1 (en) * 1993-03-24 1997-11-19 Seiko Precision Inc. Printer having continuous sheet supply mechanism and cut sheet supply mechanism
JPH0761614A (ja) * 1993-08-20 1995-03-07 Riso Kagaku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の供給ユニット
JP3574169B2 (ja) * 1993-12-03 2004-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JP3376148B2 (ja) 1995-02-21 2003-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機能を有する記録装置
US5847719A (en) 1995-02-21 1998-12-08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US5892523A (en) 1995-05-18 1999-04-06 Canon Kabushiki Kaisha Reading unit and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mounting such reading unit thereon
JP3284257B2 (ja) * 1995-06-09 2002-05-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JP3371635B2 (ja) * 1995-08-28 2003-01-27 富士通株式会社 媒体ホルダー並びに媒体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3789A (zh) 1999-11-03
DE69903589T2 (de) 2003-02-27
EP0950531A2 (en) 1999-10-20
CN1128719C (zh) 2003-11-26
EP0950531B1 (en) 2002-10-23
JP3697059B2 (ja) 2005-09-21
KR19990083273A (ko) 1999-11-25
EP0950531A3 (en) 2001-02-07
US6213464B1 (en) 2001-04-10
DE69903589D1 (de) 2002-11-28
JPH11301044A (ja) 199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7011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380433B1 (en) Recording apparatus comprising a tray for recording material and a tray guide
EP2650133A1 (en) Printer
US6200043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sheet feeding apparatus
KR100342643B1 (ko) 기록 장치
EP1810941B1 (en) Feeder and printer
US7487961B2 (en) Sheet cassett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340654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4879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sheet supplying unit with multiple supports
KR100857408B1 (ko) 프린터
EP0950528B1 (en) Feeding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and feeding control method
US6567187B1 (en) Printing apparatus and feeding control method
JP3647258B2 (ja) 自動給送装置、記録装置、および自動給送装置の制御方法
JP3715823B2 (ja) 記録装置および給送制御方法
JPH11292314A (ja) 画像形成装置
JP3530738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611276B2 (ja) 自動給送装置、記録装置および自動給送装置の制御方法
JPH11301055A (ja) 装置同士の着脱連結機構と該機構によってシート給送装置と記録装置本体とが連結された記録装置
JPH11301053A (ja) 画像形成装置
JPH11301056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1301045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