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643B1 -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643B1
KR100342643B1 KR1019990013423A KR19990013423A KR100342643B1 KR 100342643 B1 KR100342643 B1 KR 100342643B1 KR 1019990013423 A KR1019990013423 A KR 1019990013423A KR 19990013423 A KR19990013423 A KR 19990013423A KR 100342643 B1 KR100342643 B1 KR 100342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inter
asf
feeding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229A (ko
Inventor
이노우에히로유끼
하세가와고오
아사노신야
노지마다까시
기다아끼라
이와사끼다께시
가와사끼노리꼬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1999008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41J11/0055Lateral guides, e.g. guides for preventing skewed conveyance of prin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Manual Feed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지 위치를 정렬하기 위해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과, 급지 위치를 정렬하기 위해 자동 급지기 상에 마련된 자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을 갖는 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 급지기가 기록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자동 급지기로부터 이송된 용지는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에 대해 맞닿지 않는다.

Description

기록 장치{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록 매체를 이송하는 급지 장치와, 이런 급지 장치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 특히 기록 매체 이송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소형이고 경량 구조인 기록 장치에 대한 시장 요구가 있으며, 이로써 기록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계속되고 있다.
이런 소형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183582호 등에 개시된 것처럼 다수의 기록 매체를 하나씩(일회에 한 장씩) 프린터의 화상 형성부에 이송하는 급지 장치인 자동 급지기(이후에는 'ASF'라 함)가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프린터(기록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프린터에 외부에서 부착 가능하게 ASF 단독으로 서있도록 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ASF는 소형 프린터 및 기존의 다중 급지 장치를 구비한 프린터 또는 수동 급지 프린터에 부착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런 프린터에서 용지의 표준 폭(용지 표준)은 용지들이 단일 유니트로서 프린터에 의해 수동으로 이송될 때 또는 프린터에 부착된 ASF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될 때 균일해야 한다.
용지들이 수동으로 이송될 때, 사용자는 용지의 측연부를 용지 표준을 따라 손으로 유지하면서 이송한다. 이와 달리, 용지들이 ASF로 이송될 때에는 용지의 측연부를 측정 오차 내에서 수동 급지를 위한 용지 표준을 따라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ASF에서 정렬된 급지를 얻기 위해서는 매우 정확한 부품 및 조정이 필요하며, 이는 비용을 높이고 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그 결과, 급지 장치는 수동 및 ASF와 각 용지 표준에 따라 수행된 용지 위치 결정에 대해서 분리되었다. 그러나, 비교적 큰 장치에서는 수동 급지 장치 및 ASF 급지 장치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휴대형 프린터 등의 초소형 프린터에서 급지 장치를 분리하기에는 충분하지 않고, 공통 급지 장치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공통의 급지 장치가 사용되고 공통의 용지 안내부를 공유하면, 용지들이 ASF로부터 이송되는 경우에 용지들의 측연부는 측정 오차 및 경사 이송에 의해 용지 표준으로부터 어긋나고, 경사 이송 등의 불편함과 용지 연부의 손상 또는 용지 걸림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불편함을 해소하고, 손상 또는 걸림을 일으키지 않고 용지를 기록 장치에 이송할 수 있는 ASF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급지 개구를 포함하고 이 급지 개구로부터 수동으로 이송된 용지 상에 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장치 본체와, 기록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고 용지를 급지 개구를 통해서 기록 장치 본체에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는 자동 급지기를 갖는 기록 장치로서, 급지 개구로부터 수동으로 이송된 용지들의 측부를 제한함으로써 급지 위치를 정렬하기 위해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과, 자동 급지기가 부착되어 있는 기록 장치 본체에 자동으로 이송된 용지의 측부를 제한함으로써 급지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자동 급지 위치 결정 수단을 가지며, 자동 급지기가 기록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자동 급지기에 의해 이송된 용지들이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에 대하여 맞닿지 않도록 구성된 기록 장치를 마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급지기가 기록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이 후퇴되어서 ASF로부터 이송된 용지들이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에 대하여 맞닿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은 ASF 통로로부터 이송된 용지가 통과하게 되는 통로의 측부로 후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급지 개구로부터 수동으로 이송된 용지들을 지지하기 위한 급지 트레이가 부착되어 있고, 트레이 리시버는급지 트레이를 수용하기 위해 자동 급지기 본체에 마련되어서 자동 급지기가 기록 장치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급지 트레이가 통로 아래로 후퇴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1은 ASF가 프린터에 부착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2는 프린터에 부착 중인 ASF를 도시한 도면.
도3은 ASF의 단면도.
도4는 프린터에 부착된 ASF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ASF의 프린터 착탈 기구와 관련된 부품들의 배열을 도시한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ASF에 부착할 때의 ASF의 프린터 착탈 기구와 관련된 부품들의 배열을 도시한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ASF용 프린터 착탈 기구를 설명하는 좌측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ASF용 프린터 착탈 기구를 설명하는 좌측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ASF용 프린터 착탈 기구를 설명하는 좌측 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ASF용 프린터 착탈 기구를 설명하는 좌측 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ASF용 프린터 착탈 기구를 설명하는 좌측 단면도.
도18은 본 발명의 ASF용 프린터 착탈 기구를 설명하는 좌측 단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부호화된 동력 관계와 ASF용 프린터 착탈 기구와 관련된 부품들의 배열을 도시한 사시도.
도20은 본 발명의 ASF용 프린터 착탈 기구를 설명하는 상부도.
도21은 본 발명의 ASF용 프린터 착탈 기구를 설명하는 상부도.
도22는 본 발명의 ASF용 프린터 착탈 기구를 설명하는 상부도.
도23은 본 발명의 ASF용 프린터 착탈 기구를 설명하는 상부도.
도24는 본 발명의 ASF 접속부와 프린터의 블록 선도.
도25는 본 발명의 ASF가 부착된 프린터의 개략 단면도.
도26은 커넥터와 ASF 커넥터간의 접속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28은 ASF 구동기 기구 접속부와 작동 방향을 도시한 개략도.
도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프린터 제어기에서의 급지 작동의 제어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30은 ASF 제어기에서의 주요 제어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ASF 제어기에서의 급지 작동 제어의 서브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32는 ASF 제어기의 초기화 작동 제어의 서브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33은 프린터 제어기의 기종에 따른 작동 제어의 서브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34는 제2 실시예의 프린터 제어기의 급지 작동 제어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35는 제2 실시예의 ASF 제어기에서의 급지 작동 제어의 서브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36은 급지 작동 중에 단계 22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37은 제2 실시예의 프린터의 개요와 ASF 작동 흐름을 도시한 타임 차트.
도38은 급지 모터에 대한 구동 테이블의 내용을 도시한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SF
11 : 섀시
13 : 판 스프링
23 : 픽업 고무 부재
26 : 압력판
36 : 뱅크
37 : 뱅크 용지
40 : 푸시 레버
44, 117 : 커넥터
45c : 테이블부
47a : 차양부
59, 119 : 커넥터 커버
101 : 프린터
108 : 용지 말단 센서
109 : LF 롤러
110 : 핀치 롤러
112 : 배치 롤러
115 : 헤드
116 : 급지 트레이
116a, 122 : 안내부
다음은 도면을 사용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프린터(기록 장치의 본체)가 ASF(자동 급지기)에 부착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ASF에 부착 중인 프린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은 ASF의 단면도이고, 도4는 프린터가 ASF에 부착된 때의 상태에서의 ASF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4에서, ASF(1)는 프린터(101)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ASF(1)와 프린터(101)로 형성된다.
여기서, 프린터(101)는 소형이고 휴대성이 있으며 배터리를 포함하는 소위 이동성 프린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ASF는 프린터(101) 내부에 수용되지 않고, 급지는 프린터(101)의 단일 유니트 상에서의 수동 급지에 의해서만 행해질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프린터(101)의 단일 유니트의 소형화, 단순화, 및 저비용이 실현될 수 있으면서도 이동용 프린터용으로 가정 적합한 형태이다. 물론, 본 발명은 소형 ASF가 프린터(101) 내에 수용되더라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소형의 휴대용 프린터(101)는 특히 판매원의 고객 방문 시에 실외, 차량내, 다른 사무실에 있을 때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된다. 그러한 상황에서,요구되는 기록 용지의 개수는 비교적 적으며, 수동 이송만을 갖는 프린터 또는 단순하고, 저용량이며, 내장형인 ASF를 갖는 프린터만으로 충분하다. 이와는 반대로, 프린터(101)를 그 자신의 사무실에서 사용할 때는 비교적 큰 부피의 다양한 기록 용지를 인쇄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프린터(101)로부터 분리된 ASF(1)는 상기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 특히 적합하다. ASF(1)는 통상적으로 사무실의 책상 위에 놓여지는 소위 데스크탑 형태를 가지며, 프린터(101)를 ASF(1)에 부착함으로써 프린터(101)는 데스크탑 프린터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후에 설명할 구조에 의해서, ASF(1)는 보통지, 엽서, 봉투, 플라스틱 필름, 또는 천 등의 각종 기록 매체를 자동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초소형의 단일 유니트 이동성 프린터를 본 발명의 ASF에 부착함으로서 고성능 데스크탑 프린터로서 사용될 수 있는 극히 고부가가치의 프린터를 제공한다. ASF(1)는 프린터가 단일 유니트로서 사용되지 않을 때 프린터(101)에 대해 수납 장소로서의 기능도 하며, 프린터를 수용할 때 자동 이송 기능이 부가된 소위 처리 예정 스테이션(docketing station)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SF(1)는 프린터(101)가 부착되어 있지 않을 때 독립적으로 단일 유니트 ASF로서 역할을 하며, 또한 프린터(101)는 용지들이 그 안에 적층되어 있는 동안에 ASF(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런 배열에 의해, 사용자는 분리된 프린터(101)를 독립적인 ASF(1)에 부착하는 것만으로서 장치를 데스크탑 프린터로서 작동 대기 상태에 둘 수 있다. 즉, ASF 및 프린터는 사용자에게 극히 친숙한 처리 예성 스테이션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프린터(101)를 상술한 이동성 프린터 또는 데스크탑 프린터로서 사용하면, ASF(1)에 대해 프린터(101)를 부착 및 탈착시키는 작업이 극히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것은 부착 및 탈착 과정이 곤란하거나 시간이 많이 드는 경우에 거의 날마다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분리시켜 이 프린터를 갖고 다닌 다음에 이것을 다시 ASF(1)에 부착하는 사용자에게는 극히 편리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1)를 부착하기 위해 ASF(1)의 전방에는 부착 개구(1A)[이후로는 '개구'라 함]가 제공된다. 프린터(101)에서의 수평 관통 루트는 거의 수평인 소위 수평 경로이고, 프린터(101)의 용지 이송측을 ASF(1)와 거의 수평으로 대면한 채로 이동시키고 이 용지를 ASF(1)를 개구(1A) 내로 밀어 넣음으로써 후술할 용지 경로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경로를 갖는 프린터(101)가 거의 수평인 방향으로 ASF(1) 내로 밀어 넣어져서 부착된다. 다음에, 프린터(101)가 거의 수평으로 밀어 넣어지면 프린터(101)는 ASF(1)에 자동적으로 고정된다[프린터(101)를 ASF(1)에 부착할 시에 프린터 및 ASF 양자에 대한 고정 방법은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프린터(101)는 ASF(1)의 상부에 마련된 푸시 레버(40)를 가압하고, 이 프린터(101)를 ASF(1)의 전방을 향해 미는 것만으로 ASF(1)로부터 해제된다.
이런 방식으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ASF(1)에 대해 프린터(101)를 극히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으며, 프린터를 이동성 또는 데스크탑 프린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착탈 조작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SF 케이스(47)와 더불어 ASF의 본체를 형성하는 ASF 기부(45)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1A)의 저부면과, 프린터(101)를 부착할 때 프린터(101)를 부착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기록 매체 지지부인 테이블(45c)을 포함한다.
프린터(101)를 ASF(1)에 부착할 때, 프린터(101)는 먼저 테이블(45c) 상에 놓여진다. 다음에, 사용자는 한 손으로 손에 가장 근접한 쪽(배지측)의 중간에서 프린터(101)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파지하고, 프린터의 내부측(급지측)을 테이블(45c)의 상부에 가볍게 부착하면서 프린터(101)를 부착한다[프린터(101)는 양 측면부 상에서 양손으로 보유될 수 있다.
다음에, 테이블(45c) 상에 놓여진 프린터(101)가 손으로 도2의 화살표로 표시된 부착 방향인 내측을 향해 밀리면. 프린터(101)의 양 측면은 테이블(45c)의 양 측단부 상에 마련된 프린터 측면 안내부(45a)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후에 설명될 위치 결정 보스 내로 도입되며, 이후에 설명될 프린터(101)의 위치 결정 구멍 내로 끼워져서 위치 결정된다.
프린터(101)를 테이블(45c) 중심 근처로 미는 것 이외의 다른 추가적인 위치 결정은 필요치 않다. 이런 방식으로,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되면, 프린터(101)는 테이블부(45c) 상에 놓여진 다음에, 테이블(45c)을 따라서 밀린다. 따라서, 조작성이 극히 양호하고 부착이 극히 용이하다.
프린터(101)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려질 때 프린터의 저부가 그 위를 활주하게 되는 프린터 활주부(45b)가 프린터 부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테이블(45c)의 양 측면부 상에 마련된다. 또한, 수준 조정부(G)가 프린터활주부(45b) 사이에 형성된다.
예컨대 프린터를 책상 위에 배치하는 동시에 단일 유니트로서 사용할 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고무 다리(feet)와 같은 돌출 물체가 프린터(101)의 저부면에 마련되어, 외력에 의해 프린터(101)를 이동시키는 것을 힘들게 한다. 그러나,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될 때, 이들 고무 다리가 테이블(45c)에 접촉된다면 사용자는 프린터(101)를 압착하기 위해 더 큰 작용력을 이용해야만 하고 이는 작동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전술한 단차부(G1)은 고무 다리가 테이블(45c)에 접촉하지 않도록 프린터 활주부(45b) 사이에 형성되었다. 단차부(G1)는 고무 다리가 테이블(45c)과 접촉하지 않도록 고무 다리의 높이보다 더 깊은 수준 차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런 단차부(G1)를 형성함으로써, 고무 다리는 테이블(45c)과 접촉하지 않게 되고, 이럼으로써 사용자는 큰 작용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손으로 프린터(101)를 압착할 수 있고 작동과 부착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개구(1A)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테이블(45c)의 상부 케이스(47)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는 처마(eave)부(47a)는 ASF의 상부 케이스(47) 상에 형성된다. 처마부(47a)는 프린터(101)가 끼워맞춤되는 테이블(45c)과 함께 포켓 부분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포켓 부분의 형태는 프린터(101)를 ASF(1) 내로 거의 평행하게 압착할 수 있는 방향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임의의 다른 방향으로 프린터(101)를 ASF(1) 내로 압착하지 못하게 한다.
양 커넥터에 동일한 방향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101)를 ASF(1)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사용되었다. 커넥터의 이런 연결은 프린터(101)를 ASF(1)로 압착하여 이를 고정시키는 작업 중에 달성된다. 이런 배치에 의해, 커넥터를 연결시키는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될 때 상이한 방향으로 프린터(101)를 ASF(1) 내로 압착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커넥터의 비정상적인 삽입에 기인한 커넥터의 손상이 또한 방지된다.
프린터(101)가 부착된 후, 프린터(101)의 선단(배지 측면)이 상향 작용력을 받게 되면, 처마부(47a)는 프린터(101)에 맞닿게 되고 프린터(101)의 임의의 상향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프린터가 ASF(1)에 대해 상승하더라도 프린터(101)의 상향 이동은 방지되고 프린터(101)의 상향 이동에 의한 부착부의 손상 또는 부착의 해제가 또한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처마부(47a)의 양 측면 부분은 더 돌출하고 그 중심은 오목부(47b)이다. 이런 요홈부(47b)를 구비함으로써, 동력 스위치 등과 같은 프린터(101)의 상부에 제공된 작동 부분(101B)은 덮여지지 않는다.
처마부(47a)와 프린터의 상부 부분 사이의 간격이 0.5 내지 2.0 ㎜인 한에는, 전술한 상향 상승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이 간격이 너무 크게 되면, 소정의 효과를 얻지 못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1)의 깊이가 L1로 설정될 때, 테이블(45c)의 깊이는 L2로 설정되고 처마부(47a)의 깊이는 L3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들은 하기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L1/2 ≤ L2 ≤ (L1 - 15 ㎜)
테이블(45c)의 깊이 L2를 프린터의 깊이 L1의 절반(L1/2)보다 작게 선택하면, 프린터(101)는 ASF(1)에 부착될 때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관계는 테이블(45c)의 전체 영역이 아닌 상기 테이블의 일부 내에서 충족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L1/2가 L2보다 크게 되면, 하향 외력이 돌출부에 가해지는 경우 전체 장치의 후방 부분이 상승할 수 있도록 프린터(101)는 부착시 ASF(1)로부터 현저히 돌출한다.
한편, 테이블(45c)의 깊이 L2를 프린터(101)의 깊이 L1보다 작게,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15㎜ 만큼 작게 선택함으로써 프린터(101)가 부착될 때 프린터(101)의 전방 하부 측면 상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한 공간이 보존된다.
이런 방법으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부 및 하부 표면을 파지함으로써 프린터(101)를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및 부착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물론, 사용자는 양손으로 프린터를 파지할 수도 있다. 이런 관계는 테이블(45c)의 전체 폭에 걸쳐 충족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테이블(45c)은 이런 관계를 충족하도록 중앙에 또는 양 측면 부분에 요홈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프린터(101)의 전방 하부 측면에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눈으로 보기에 수직 방향으로 크게 보이지 않는 설계가 얻어진다. 또한, 테이블(45c)의 두께(높이)가 10 ㎜보다 작지 않다면, 바람직하게는 ASF(1)가 데스크의 상부에 위치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은 프린터(101) 아래로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린터(101)의 깊이 L1과 처마부(47a)의 깊이 L3은 하기의 관계를 만족한다.
L1/4 ≤ L3 ≤ L1/2
처마부(47a)의 깊이 L3이 프린터(101)의 깊이 L1의 1/4보다 작지 않다면, 프린터(101)의 상승은 방지되고 프린터(101)가 압착되어야 하는 방향은 여전히 충분하게 제한된다.
처마부(47a)의 깊이 L3이 프린터(101)의 깊이 L1의 1/2를 초과한다면, 부착 중에 프린터(101)의 깊이에 대한 압착량은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그 작동이 불만족스럽게 되고 또한 프린터의 상부에서의 작동에 방해가 된다. 더욱이, 큰 처마부(47a)는 눈으로 보기에 전체 장치를 크게 보이게 하고 이는 사용자에게 방해가 된다.
이 때문에, 처마부(47a)의 깊이 L3이 프린터(101)의 깊이의 1/2 이상이 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런 돌출량을 가짐으로써, 돌출된 처마부는 충분히 견고하고 튼튼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런 조건에 의한 테이블(45c)과 처마부(47a)를 구성함으로써, 작동성이 현저히 양호하게 되고 부착이 용이하게 되며, 프린터의 압착 방향을 제한하고 프린터(101)의 상승을 방지하는 형상이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부(1A1)는 처마부(47a)와 프린터의 상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지 않은 높이를 갖는 프린터 측 안내부(45a) 위에 형성된다. 이런 개구부(1A1)를 형성함으로써, 동력선, 인터페이스 커넥터 또는 적외선 전송을 위한 발광부 및 수광부가 프린터(101)의 측면 상에 달성된다면, ASF(1)는 이와 간섭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프린터(101)는 동력선 또는 이에 부착된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의해서도 ASF(1)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런 조건에서 부착이 해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린터(101)를 ASF(1)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 부분용 커넥터 덮개를 설명한다.
특히, ASF(1)로부터 해제된 프린터(101)를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때, 각각의 커넥터는 독립된 단일 유니트로 있게 되며 접속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런 조건에 있어서, 먼지 등이 커넥터 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어서 내부 전기 회로는 커넥터를 통해 전달되는 과다한 정전기에 의해 손상 받을 수도 있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커버가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해 각각의 커넥터 상에 제공된다. 각각의 커넥터 커버는 단일 유니트로 제공되고,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될 때 제거될 수 있다. 이동 프린터와 같은 초소형 프린터에 있어서는 공간이 아주 제한되기 때문에, 거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저렴하고 제거 가능한 커넥터 커버가 아주 적절하다.
예컨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될 때 ASF(1)를 향하는 프린터(101)의 상부 표면 내에 프린터 커넥터(117)가 있게 된다.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될 때, 급지 트레이(116)는 개방되고 프린터 커넥터 커버(119)는 프린터 커넥터(117)로부터 제거된다. 유사하게는, 도11에 도시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ASF 측면 상에서도 ASF 커넥터(44)에 부착된 ASF 커넥터 커버(59)가 제거된다.
이들 커넥터가 연결될 때, 제거된 양 커넥터 커버(59, 119)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45c) 내의 커넥터 커버 수납부(45d, 45e; 도2 참조) 내에 수납된다. 이들 수납부(45d, 45e)는 커넥터 내부와 동일한 치수를 갖는 돌출부를 갖는 테이블(45c)의 두께를 이용하도록 제공된다. 커넥터 커버(59, 119)를 이 커넥터 커버 수납부(45d, 45e) 내로 위치시킴으로써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되는 동안에서의 커넥터 커버(59, 119)의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이들 커넥터 커버 수납부(45d, 45e)가 커버들을 유지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면, ASF(1) 또는 프린터(101)의 임의의 한 부분 내에서 기능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넥터 커버 수납부(45d, 45e)를 테이블 상에 제공함으로써, ASF(1) 및 프린터(101) 사이에 이들이 위치될 때 작동되지 않을 가능성이 없으며 이들이 외부로부터 도시되지 않기 때문에 이 외관은 양호하게 된다.
사용자는 프린터(101)가 분리될 때 커넥터 커버(59, 119)가 드러나서 사용자가 부착을 잊어버리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프린터(101)를 분리한 후 커넥터 커버(59, 119)를 커넥터(117, 44)에 부착시키는 것을 상기할 수 있다. 커넥터 커버 수납부(45d, 45e)는 다중 커넥터 커버의 각각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 커버는 프린터(101) 및 ASF(1)가 예컨대 노트북 PC 또는 워크스테이션에 관계되어도 적절하게 사용된다.
이하에서, 공급시 기록 용지의 이동 경로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과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될 때 기록이 이루어지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기재된다.)
도4는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될 때의 단면도이다. 도4에 있어서, 압력판(26)은 이후 도시되는 소정 개수의 용지를 설정한다. 이 압력판(26)의 한 단부는 ASF 샤시(11)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압력판 스프링(13)에 의해 픽업 롤러(19) 주위로 권취된 픽업 고무(급지 고무; 23) 쪽으로 소정의 압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작동된다.
용지가 설정될 때, 이 압력판(26)은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캠에 의해 픽업 고무(23)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고 이 곳에서 유지된다. 이 때, 픽업 고무(23)와 압력판(26) 사이의 소정의 간격은 유지되고 이 용지는 이런 간격 내로 삽입되고 설정된다.
선단이 경사진 표면(36) 상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된 탄성 변형 가능한 분리 용지(37)와 접촉할 때 이들 용지의 선단의 위치 결정이 수행된다. ASF 급지 트레이(2)는 이 용지의 후방 단부의 주요부를 지지한다. 이 ASF 급지 트레이(2)는 용지를 지지할 때 소정의 각도로 ASF 상부 케이스(47)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ASF(1)가 프린터(101)로부터 급지 명령을 수신할 때, 픽업 롤러(19)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 이와 동시에 캠은 압력판(26) 상의 유지 작용을 해제한다. 압력판(26)은 픽업 고무(23)에 대해 용지를 압착하고, 용지는 픽업 고무(23)의 표면 마찰에 의해 이동하기 시작하고, 분리 용지(37)에 의해 낱장의 용지가 분리되어 경사진 표면(36)과 위치 결정 기부(39)로 형성된 ASF 용지 경로(58) 내로 운송된다.(도3 참조)
이후, 이 용지는 (도3의) ASF 배지부(56)로부터 이동되어 프린터의 단일 유니트 내의 (후술하는) 소위 수동 급지 개구인 급지 개구(101A)를 통해 배터리(107)의 하부와 프린터 내의 플라텐(105)으로 구성되는 용지 경로로 전달된다.
이 후에, 용지 말단 센서(108)는 용지가 용지 루트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프린터(101)는 용지가 ASF(1)로부터 이송되는 것을 인식하며, 용지의 선단은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 사이의 압접부에 맞닿는다. ASF(1)가 프린터(101)로부터 용지 말단 센서(108)의 정보를 수신할 때, 소정 타이밍 내에 급지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프린터로 전송한다.
이 때에, 용지는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의 사이에서 용지의 강도에 의한 지시 압력으로 가압되며, 용지의 선단의 정정된 기록이 수행된다. 급지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ASF(1)로부터 수신하는 프린터는 소정 시간 동안 LF 롤러(109)를 회전시키며, 헤드(115)를 포함하는 리코더를 향해 용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지는 지정한 바와 같이 이송되며, 헤드(115)는 용지의 표면 상에 기록한다. 후에, 용지는 배지 롤러(112) 및 스퍼(111) 사이로 이송되어 방출된다.
본 실시예에는 용지 패스(R)와,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될 때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기록 매체 통과 루트가 설비된다. 프린터(101)의 용지 패스(R)는 커넥터(44 및 117)의 부착 방향에 거의 평행하다.
그러나, 용지가 ASF(1)로부터 프린터(101)까지 통과되며, 용지가 ASF 및 프린터의 내부에 있을 때 ASF(1) 또는 프린터(101)에서 용지가 엉키게 되면, ASF(1)로부터 프린터(101)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용지 패스(R)가 ASF와 프린터의 부착 방향에 거의 평행하다는 사실은 이 상태에서 ASF와 프린터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용지 패스(R)가 커넥터의 부착 방향에 직각이라면, 프린터가 커넥터의 부착 방향에 부착될 때 용지가 가로질러 이동되어야 하며, 용지가 찢어지고 용지 조각이 장치 내에 남아 있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찢어지기 어려운 두꺼운 용지가 사용된다면, 프린터(101)를 떼어내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용지 패스(R)는 커넥터의 부착 방향에 거의 평행하기 때문에, 용지가 엉킬 때 용지가 빠져나올 수 있는 방향으로 프린터(101)를 이동시킴으로써 프린터(101)는 분리될 수 있다. 결국, 용지 엉킴을 수리하는 것이 매우 간단하며, 용지를 찢거나 장치 내에 용지 조각을 남기지 않고 수리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용지 패스(R)에서의 용지 폭 방향의 기준 위치는 다음에 설명된다.
먼저, 프린터(101)의 용지 폭 방향에서의 기준부가 설명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소정 위치에 축방향으로 지지된 회전 가능 급지 트레이(116)가 프린터(101) 상에 제공된다. 프린터(101)가 단일 유니트로서 사용될 때, 이러한 급지 트레이(116)는 수동 급지 작동을 안정시킨다.
급지 트레이(116)가 개방될 때, 급지구(101A)가 개방되며, 수동 급지용 위치 수단이고 급지 트레이(116)의 일 단부에 평행하게 제공된 기준 안내부(116a)가 나타난다. 용지가 삽입될 때, 이러한 기준 안내부(116a)를 따라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용지 폭 기준부가 이러한 기준 안내부(116a)이며, 용지 폭 방향에서 가로지른 위치 결정이 용지의 측면부를 안내부와의 접촉 상태로 유지하면서 용지를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주요 본체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의 기준 안내부(116a)는 용지 폭 방향에서 기존 안내부(116a)와의 위치 결정을 위해 용지 폭 방향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서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 제공된다. 급지 트레이(116)가 개폐될 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토글 수단에 의해 각 상태에 유지된다.
용지가 길이 방향일 때, 이러한 안내부가 용지를 이송 방향에서 안정시키므로, 급지 트레이(116) 상에 제공된 기준 안내부(116a)는 폭을 가로지른 용지의 위치 결정을 안정시키며, 비뚤어진 공급을 방지한다. 그러나, 프린터 내의 기준 안내부 없이 가동 급지 트레이(116) 상에 제공된 기준 안내부(116a)만으로 용지를 안내할 수도 있다.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초소형 이동 프린터에서는 수동 급지구와 ASF의 급지구가 분리되며, 공간의 문제점을 갖는 개별 용지 안내부를 갖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각 급지구를 통해 용지가 공급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프린터(101)가 ASF(1)에 연결된 때, ASF(1)로부터의 급지 시에 수동 급지가 사용되어야 할 경우에, 기준 안내부(116a)는 용지 기준부이지만, 용지의 측면이 이러한 기준 안내부(116a)를 따라 (접촉 상태로) ASF(1)로부터 자동 공급되도록 유지하면서 용지를 공급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것은 사용자가 손으로 조정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ASF(1)가 용지 측면을 기준 안내부를 따라 유지시키기 때문이며, 프린터(101)와 ASF(1)의 용지 기준부는 완벽히 동일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ASF(1)의 용지 기준부는 자동 급지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압판(26) 상에 제공된 ASF 용지 기준부(26b)이다. 용지는 공급시에 용지 측면을 이러한 기준부와 접촉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소정 위치에 놓여진다. 안내부들 사이의 구조 공차가 커지기 때문에, 이러한 안내부의 위치를 기준 안내부(116a)의 위치와 균일하게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고비용 및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게된다.
그러나, 용지 기준부가 용지 측면과 균일하지 않고 기준 안내부(116a)가 서로 방해한다면, 기준 안내부(116a)와 충돌하는 용지의 선단로 인해 용지의 비뚤어진 공급, 용지 모서리부의 손상 또는 용지 엉킴 등과 같은 일들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기준 안내부(116a)가 프린터(101)의 수동 급지부 상의 상대적으로 상류측 위치에만 제공된다면, 즉 가동 급지 트레이(116)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때 나타나는 기준 안내부(116a)에 의해서만 기준 용지 폭이 결정되며,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될 때 용지가 기부 안내부(116a) 상에서만 관통하도록 용지 통로(R)를 배치함으로써 용지 하류측의 위치 결정을 제한하기 위한 부재가 없다면, ASF(1)의 용지 기준부(26b)는 용지의 위치 결정에 대해 효과적이며, 프린터(101)의 용지 기준부로부터의 방해를 피할 수 있다.
더욱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가 단일 유니트로서 프린터 상에서 개방될 때, 즉 수동으로 용지가 공급될 때 급지 트레이(116)의 용지 안내면은 거의 수평이지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1)가 단일 유니트로서 프린터 상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서 ASF(1)에 부착될 때 가동 급지 트레이(116)를 회전시킴으로써, 용지 패스는 수동 급지의 용지 패스에 더 가깝다.
ASF측은 소정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급지 트레이(116)를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 수용체인 기준 안내부 수용부(36b)를 갖는다. 따라서, 프린터(101)를 ASF(1)내로 가압할 때, 기준 안내부(116a)는 기준 안내부 수용부(36b)를 형성하는 기준 안내부(36c)에 의해 안내되며, 기준 안내부(116a)는 기부 안내부 수용부(36b) 내에 수용된다. 기준 안내부 수용부(36b)는 경사면(36)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준 안내부(116a)의 용지 패스에 대한 방해를 피하기 위해 수동 공급 중에 용지 패스에 대해 이동해야 하는 ASF(1)의 용지 패스의 이동량이 감소되며, 부자연스러운 용지 패스(용지로의 후방 장력 등)로 인한 불편함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린터측 상의 급지 트레이(116)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지의 다른 모서리를 안내하기 위한 다른 위치 결정 부재인 직각 모서리 안내부(122)를 갖는다. 이러한 직각 모서리 안내부(122)는 급지 트레이(116)를 가로질러 용지 폭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용지의 폭에 따라 기준 모서리에 대향하는 용지 모서리를 안내한다.
직각 모서리 안내부(122)의 형상은 용지 패스의 용지 두께 방향으로부터 보이는 기부 안내부(116a)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며,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될 때 급지 트레이(116) 및 기준 안내부(116a)와 함께 기준 안내부 수용부(36b)에 의해 수용되도록 된다. 직각 모서리 안내부(122)도 급지 트레이(116) 상의 소정 범위 내에서 최적 위치로 이동할 수 있지만, 직각 모서리 안내부(122)가 소정 범위 내에 어디에 있던지, 기준 안내부 수용부(36b)는 기준 안내부(116a)와 직각 모서리 안내부(122)를 포함하는 급지 트레이(116)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다.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될 때, 기준 안내부(116a) 및 직각 모서리 안내부(122)를 피하는 위치에 용지 패스를 배치함으로써, 프린터 주요 본체의 용지 기준부는 무효하며, ASF의 용지 기준부만이 유효하다. 따라서, 양쪽의 용지 기부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설비의 복잡성과 고비용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프린터 주요 본체의 용지 기준부(116a) 및 ASF(1)로부터 공급된 용지 모서리를 방해하는 직각 모서리 안내부(122)로 인한 용지의 비뚤어진 공급 및 손상과, 용지 기준부(116a) 및 직각 모서리 안내부(122)와 충돌하는 용지로 인한 용지 엉킴이 방지될 수 있다.
설명의 이러한 부분까지, 실시예는 용지가 기준 안내부(116a) 상에서 관통하도록 구성되지만, 본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용지의 폭을 가로질러 활주할 수 있는 급지 트레이(116) 상에 기준 안내부(116a)를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프린터를 부착하는 작업에 링크 연결함으로써 사용되는 캠과 같은 이동 수단을 통해 이러한 기준 안내부(116a)를 용지의 폭을 가로질러 활주시킴으로써, 용지가 기준 안내부(116a)의 측면에 의해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용지 폭에 대해 기준 안내부(116a)와 동일한 위치에 프린터 내부에 기준 안내부(101a)도 있으며, 위치 결정이 용지가 안내되는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안정되는 용지에 대해 모든 기준 안내부를 피하도록 용지 패스를 배치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이런 상태에서, 프린터측 상의 용지 기준 안내부(101a)와 ASF측 상의 용지 기준부(26b)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약간 비뚤어진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즉, 용지가 ASF(1)로부터 공급될 때 프린터측 상의 용지 기준부(101a)가 용지를 방해하지 않도록 ASF측 상의 용지 기준부(26b)는 프린터측 상의 용지 기준부(116a)의 내측면을 향하거나, 헤드(115)에 의한 용지 이송 방향에 직각인 측면인 기록 위치측을 향해 t만큼만 비뚤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용지 기준부가 오프셋되는 t값은 프린터(101)와 ASF(1) 사이의 용지 폭의 위치 결정 공차보다 크며, 용지가 ASF로부터 비뚤어져서 공급될 때와 같은 경우를 참조함으로써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용지 기준부가 오프셋되는 t값은 약 0.6 ㎜이다.
이 상태에서, 단일 유니트로서의 프린터 상에 기록될 때 그리고 ASF에 부착된 프린터로 기록될 때, 용지 기준부는 정렬되지 않기 때문에, 용지 측면으로부터 기록 위치까지의 양 용지 거리 상의 동일한 위치에서 헤드(115)로 기록하는 것이 양자에 대해 상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단일 유니트로서의 프린터와 ASF에 부착된 프린터에 대한 판독 위치는 용지 표준 위치가 설정됨에 따라 동일한 양(t)만큼 다르게 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프린터(101)가 커넥터(44, 117)에 의해 ASF(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프린터(101)는 ASF(1)가 부착되었는지 또는 분리되었는지를 전기적으로 감지하고, 이 센서의 결과에 따라 기록 위치[헤드(115)의 위치]를 설정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정은 전기 접속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ASF 센서를 셋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방식에서 기준 안내부로부터의 충돌은 단일 유니트의 프린터의 용지 표준과 서로로부터 ASF에 부착될 때의 용지 표준을 설정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으며, 용지 상의 기록 위치는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기록 사이의 기록 위치의 차이(예컨대, 예비 인쇄 용지 상의 기록 위치의 차이)로 인한 불편은 제거된다. 2개의 용지 표준이 설정되는 양과 2개의 기록 위치가 설정되는 양은 정확하게 같지 않더라도, 허용된 범위 내에서 상이한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장착된 용지를 지지하는 ASF 급지 트레이(2)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F 급지 트레이(2)는 ASF 케이스(47)에 의해 일단부 상에 지지되며, 이 지지부 둘레에서 절첩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다. 용지가 ASF 급지 트레이(2) 상에 장착되면 소정 각도로 개방된다. 용지가 ASF 급지 트레이(2) 상에 장착되지 않으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어 폐쇄된다.
이것은 ASF(1)가 본 실시예에 주어진 데스크탑 모델로서 포터블 프린터(101)를 사용하도록 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 아니라 상당히 소형으로 됨에 따라 ASF(1)에 부착되더라도 프린터(101)를 운반하는 것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형태를 실현하기 위하여, 폐쇄될 때의 ASF 급지 트레이(2)가, 프린터가 부착될 때 가능한 한 밀접하게 ASF(1)의 외부 형상을 맞추는 형태와 밀접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ASF 급지 트레이는 얇은 판 형상으로 제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급지 트레이(2)가 폐쇄되면, 작동부가 부주의하게 접촉될 위험이 없으며, 프린터(101)는 프린터(101)가 부착된 상태에서 ASF(1)를 운반할 때 작동되며, 이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101)의 작동부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또한, 급지 트레이(2)가 절첩되면, 바람직하게는 급지 트레이(2)가 운반되는 중에 부주의하게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후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선택적인 맞물림 수단을 통해서 ASF 케이스(47)와 맞물린다. 급지 트레이(2)용 맞물림 수단은 프린터의 본체 상에 또는 ASF 상에 제공될 수 있지만, 최상의 실시예는 후술한 바와 같이 맞물림 수단을 측면 안내부(2a) 상에 제공한다. 맞물림 수단이 프린터의 본체 상에 사용되면, ASF(1)와 프린터(101)를 함께 유지하는(또는 일체로 로킹하는) 이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F(1)에 봉투(E)를 수직으로 공급할 때, 보통 봉투의 플랩은 좌측에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ASF(1)는 수분에 의한 플랩(E1)의 팽창으로 인해 공급될 때 탭 측면좌측으로부터 강한 저항을 수용한다. 봉투(E)는 시계 방향으로 강제 회전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봉투(E)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즉 급지 방향에 직각 운동을 방지(억제)하기 위하여, ASF 급지 트레이(2)의 급지 방향의 상류측을 억제하는 ASF 급지 트레이 측면 안내부(2a)가 제공된다. 이러한 측면 안내부(2a)를 제공함으로써, 봉투(E)가 ASF(1) 내에 수직으로 설정된 후에, 봉투(E) 상에 회전력이 있더라도, 봉투의 후방 단부의 우측은 측면 안내부(2a)와 접촉할 것이며, 어떠한 시계 방향 회전도 억제될 것이다.
그러나, 용지가 봉투를 수직으로 공급할 때, 특히 봉투(E)를 반송하는 타이밍에 대하여 플랩(E1)의 저항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것은 봉투(E)가 경사진 용지(37)를 통과할 때, 그리고 그 바로 다음, 봉투의 전방이 경사부(36)의 경사를따라 상승될 때 발생된다. 그래서, 플랩(E1)의 저항의 영향은 타이밍을 넘어설 때 감소하며, 봉투(E)의 회전은 측면 안내부(2a)가 없더라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인해, 측면 안내부(2a)는 본 실시예에서 봉투(E)의 후방 단부의 위치 부근의 ASF 급지 트레이(2)의 일부분 상에 제공되며, 이것은 봉투의 회전을 방지하지만, 봉투의 전체 길이를 팽팽하게 하는 측면 안내부는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린터(101)가 부착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의 상부와 ASF 케이스(47) 사이에는 단차(G)가 있다. ASF 급지 트레이(2)가 폐쇄되면 측면 안내부(2a)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G) 내로 끼워 맞춰진다.
그래서, 이 방식으로 측면 안내부(2a)를 ASF 급지 트레이(2)의 일부분 상에 제공하고 측면 안내부를 단차(G) 내로 끼워맞춤으로써, 측면 안내부(2a)는 ASF 급지 트레이(2)가 폐쇄될 때 다른 부분과 간섭하지 않으며, ASF 급지 트레이(2)는 ASF의 외형을 따르는 형상으로 맞춰질 수 있으며, 이동성은 손상되지 않으며, 소형화가 가능한다.
또한, 측면 안내부(2a)는 장착될 때 봉투와 같은 용지의 높이보다 더 높아야 하며, 단차(G)는 상기 효과를 이루기 위해 측면 안내부(2a)보다 더 높아야 한다.
본 실시예는 봉투의 수직 반송 중에 회전을 방지하지만, 봉투의 수직 반송 중에 뿐만 아니라 봉투와 같은 길이를 갖는 다른 용지의 반송 중에도 어떠한 이유에서든 회전을 방지(제어)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안내부(2a)는 ASF 급지 트레이(2)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당히 적은 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측면 안내부(2a)는 또한 트레이가 닫힐 때 단차(G)가 없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함몰부가 프린터(101) 또는 ASF(1) 내에 미리 제공되거나 또는 ASF(1)와 측면 안내부(2a)가 함몰부 내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측면 안내부를 프린터(101)의 급지 트레이(116) 상의 구조에 사용한다면, 프린터(101)를 단일 유니트로서 사용할 때도 용지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안내부와 급지 트레이(116)를 단일체로서 형성함으로써, 측면 안내부는 급지 트레이(116)가 닫힐 때 다른 부분과 간섭하지 않으며, 급지 트레이(116)는 프린터의 외형을 따라 맞춰질 수 있으며, 이동성은 저하되지 않으며, 소형화가 가능하다.
다음, ASF의 프린터 부착 및 분리 기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1은 ASF의 프린터 부착 및 분리 기구에 관한 부분의 설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2는 프린터(101)의 ASF(101)에 부착 및 ASF(101)로부터 분리에 관한 부분의 설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에서, 도면 부호 39는 ASF(1)와 프린터 사이의 용지 통로를 위치 결정하고 프린터 커넥터(117)에 ASF(1)의 ASF 커넥터(44)의 연결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표준이다.
2개의 위치 결정 보스(39d, 39e)는 위치 결정 표준(39) 상에 공급된다.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되면, ASF 커넥터(44)가 프린터 커넥터(117)에 연결되기 전에, 제1 위치 결정 허브(39d)는 도12에 도시된 프린터(101)의 판 홀더(118) 상에 제공된 위치 결정 구멍(118a) 내로 끼워 맞춰지며, 제2 위치 결정 허브(39e)는 타원형 위치 결정 구멍(118b) 내로 끼워 맞춰진다.
2개의 위치 결정 보스(39d, 39e)를 위치 결정 구멍(118a, 118b) 내로 끼워맞춤으로써 위치 결정한 후에 커넥터들이 연결되기 때문에 커넥터들 사이의 위치 결정 미끄러짐에 의한 커넥터들의 손상은 방지된다. 또한, 프린터(101)와 ASF(1) 사이의 용지 통로의 위치 결정은 ASF(1)와 프린터의 x 및 z 방향으로의 위치 결정이 보스(39d, 39e) 내에 끼워맞춤으로써 수행된다.
좌측 후크(16)와 우측 후크(17)는 프린터가 ASF(1)에 부착된 후에 y 방향으로 프린터를 위치시키도록 하방 가압 또는 상방 가압될 수 있게 하기 위해 ASF(1)의 프린터 슬라이더(45b) 내에 제공된다. 프린터 측면에서, 후크 안정화 구멍(103a, 103z)은 프린터(101)의 기부(103)의 양측면 내에 제공되어 2개의 후크(16, 17)와 맞물린다.
그래서,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되면, ASF(1)에 부착된 좌측 후크(16)와 우측 후크(17)는 프린터 상에 제공된 후크 안정화 구멍(103y, 103z)과 각각 맞물리며, 프린터(101)를 y 방향으로 안정화시킨다.
사용자는 푸시 레버(40)를 화살표(40A)로 도시된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분리시킨다. 즉, 푸시 레버(40)가 가압되면, 프린터 슬라이더(45b)로부터 돌출된 좌측 후크(16)와 우측 후크(17)는 화살표(40A)의 방향으로 후퇴하여 프린터(101)의 후크 안정화 구멍(103y, 103z)으로부터 해제된다.
이후에, 커넥터(44 내지 117)의 접속은 프린터(101)의 배지 측면(102a)의 상부를 ASF(1) 상에 제공된 팝업부(43a, 43b)에 의해 참조 부호 43A(y 방향)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해제된다. 이러한 팝업부(43a, 43b)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탄성 부재에 의해 43A 방향(y 방향)으로 작동되어 그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프린터(101)를 ASF(1)에 부착할 때 팝업부(43a, 43b)를 편향시키는 힘이 대향 힘으로 작용하므로, 편향력이 강해지면, 프린터(101)는 ASF(1)로 가압될 수 없고 그 부착이 가능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적절한 편향력[예컨대, 프린터(101)가 ASF(1)에 부착될 때 ASF(1)를 이동시키지 않는 편향력]이 설정된다. 그러나, 커넥터들 사이의 접속을 깨뜨리는 데 필요한 추출력이 편향력보다 더 큰 상황이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커넥터들 사이의 접속은 팝업부(43a, 43b)에 의해 해제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화살표(40A) 방향으로 푸시 레버(40)를 가압함으로써 푸시 레버(40)의 돌출부(40b)가 y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커넥터(44, 117)들 사이의 접속은 푸시 레버(40)의 돌출부(40b)를 돌출시키고 프린터(101)의 용지 배지 측의 하부(또는 중심부)를 가압함으로써 해제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ASF(1)로부터 프린터(101)를 y 방향으로 용이하게 당길 수 있다.
이하, ASF(1) 및 프린터(101)의 부착 및 분리 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3은 ASF(1)에 대한 프린터의 분리 및 부착에 관한 기계 부품들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레버(40)는 위치 결정 기부(39) 상에 고정된 레버 샤프트(42)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화살표 40A, 40B, 40C). 푸시 레버(40)는 푸시 레버 스프링(7)에 의해 ASF(1)의 섀시(11)에 연결된다.
보스(40c)는 허브(40c)와 접촉하는 활주면(39a, 39b, 39c)과 회전 스톱퍼가 위치 결정 보스(39) 상으로 제공될 때 푸시 레버(40)로 제공된다. 여기서, 활주면(39c)은 구성이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 중심 둘레의 푸시 레버(40)의 레버 샤프트(42)의 회전은 푸시 레버(40)의 허브(40c)가 안내 면(39a)과 접촉할 때 제한된다.
우측 후크(17)와 함께 좌측 후크(16)는 섀시(1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후크 샤프트(18)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좌측 후크(16) 및 우측 후크가 연결된다. 연결 스프링(9)은 좌측 후크(16)와 푸시 레버(40) 사이에 부착된다. 푸시 레버(40)의 하부(40d)는 대개 이런 연결 스프링(9)에 의해 좌측 후크(16)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보유된다.
후크 스프링(3)은 좌측 후크(16)와 ASF 기부 사이에 부착된다. 좌측 후크(16)의 클로부는 이런 후크 스프링(3)에 의해 ASF 기부(45)의 프린터 활주부(45b)로부터 돌출되어 보유된다.
도14는 프린터(101)를 ASF(1)에 부착하기 위해 프린터 활주부(45b) 상부에 고정된 프린터를 도시한다. 도14에서, 프린터(101)는 기구가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이점선으로 도시된다. 프린터의 기부(103)는 단면으로 도시된다.
프린터(101)가 ASF 기부(45)의 프린터 활주부(45b)를 따라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되고 ASF(1)로 가압될 때, 먼저 좌측 후크(16)의 클로부(16a)가 프린터(101)의 기부 선단(103w)과 접촉한다. 프린터가 더 가압될 때, 좌측 후크(16)는 회전축으로서의 후크 샤프트(18)와 함께 화살표 방향(16A)으로 하향 가압되고, 곧이어 클로부(16a)의 상부 단부(16a2)가 기부(103)의 하부면(103x)과 접촉한다. 동시에, 푸시 레버(40)는 연결 스프링(9)에 의해 좌측 후크(16)로 연결될 때 화살표(40A) 방향으로 낮추어진다.
이렇게 밀려서 제위치에 오면, 위치 결정 보스(39d, 39e)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18a)(도12 참조)과 장방형 위치 결정 구멍(118b)(도12 참조)으로 맞물리고, ASF 커넥터(44)(도13 참조)와 프린터 커넥터(117)(도12 참조)가 미리 접속되는 커넥터 위치 결정이 수행된다.
그후, 프린터가 더욱 밀리게 되면, ASF 커넥터(44)는 커넥터(117)에 접속된다. 그후, 좌측 후크(16)의 클로부(16a)가 프린터(101)의 후크 고정 구멍(103y)에 도달되면, 좌측 후크(16)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스프링(3)의 편향력을 통해 화살표(16B) 방향으로 상승되고, 프린터(101)의 후크 고정 구멍(103y)의 벽에 맞닿아 그들이 상호 맞물려진다.
동시에, 푸시 레버(40)가 연결되고 화살표(40B) 방향으로 상승된다. 이런 작용에 의해, 사용자는 프린터가 ASF(1)에 부착(고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좌측 후크(16) 및 우측 후크(17)가 후크 샤프트(18) 상에 고정되므로, 양쪽 후크(16, 17)가 프린터(101)(도12 참조) 상에 후크 고정 구멍(103y, 103z)에 들어가는 한은 푸시 레버(40)가 화살표(40B) 방향으로 상승되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프린터(101)가 비스듬하게 ASF(1)에 부착될 때와 한 후크가 프린터(101)가 후크 고정 구멍으로 끼워질 때와 같은 불완전한 부착을 푸시 레버(40)의 높이를 검사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프린터(101)와 맞물릴 때의 후크(16, 17)의 위치는 후크(16, 17)의 회전 중심과 동일한 위치 또는 그 회전 중심보다 다소 높은 위치로 설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강제로 분리하고자 하는경우, 후크(16, 17)는 그 힘에 비례하는 위치, 즉 후크(16, 17)의 회전 중심과 동일한 높이에서의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어, 프린터가 ASF(1)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다음, ASF(1)로부터의 프린터(101)의 분리에 대해 설명된다.
사용자는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푸시 레버(40)의 푸시 부분(40a)을 화살표(40A) 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작을 수행한다. 이 때, 푸시 레버(40)가 위치 결정 기부(39) 상에 제공된 안내 면(39a, 39b)들 사이에 개재되므로, 푸시 레버는 안내 면(39a)이 지나갈 때까지 레버 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없고, 화살표(40A) 방향으로 하향 이동된다.
동시에, 푸시 레버(40)가 하향 이동됨에 따라, 좌측 후크(16)는 푸시 레버(40)에 연결되므로 화살표(16A) 방향으로 후크 샤프트(18) 둘레에서 회전되고, 좌측 후크(16)의 클로부(16a)는 이로써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1)의 후크 고정 구멍(103y)으로부터 해제된다. 동시에, 우측 후크(17)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크 고정 구멍(103z)으로부터 해제된다.
클로부(16a)가 이런 방식으로 해제될 때, 도16 및 도17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프린터(101)의 배지 측면의 상부는 팝업부(43)에 의해 가압되고 화살표(B)에 의해 밀려내어진다. 동시에, ASF 커넥터(44)가 프린터 커넥터(117)로부터 해제된다.
사용자가 이런 상태에서 푸시 레버(40)를 화살표(40A) 방향으로 누르면, 도15에 도시된 포움이 얻어진다. 즉, 커넥터(44, 117)가 해제되고, 후크(16)도 프린터(101)로부터 해제되며, 사용자는 프린터(101)를 용이하게 ASF(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커넥터를 당기는 힘이 팝업부를 가압하는 힘보다 크면, 프린터(101)는 후크(16)가 프린터(101)로부터 해제되는 경우에도 이동되지 않게 되고, 도15에 도시된 형태가 포움이 얻어질 수 없으며, 사용자는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제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밀어내기(pushing-out) 기능이 본 실시예에 추가되었다.
도17은 후크(16)가 프린터(101)로부터 해제된 경우에도 프린터(101)가 이동되지 않는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런 상태에서, 좌측 후크(16)는 후크 고정 구멍(103y)으로부터의 해제 위치에 있고, 위치 결정 기부(39)의 안내 면(39b)에 의한 푸시 레버(40)의 허브(40c)의 회전 제한이 해제되었다.
레버 샤프트(42)는 푸시 레버(40)의 미끄럼 구멍(40e)의 상부 단부면을 향해 가압됨으로써, 좌측 후크(16)의 하방 운동을 제한한다. 또한, 좌측 후크(16)의 위치는 푸시 레버(4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변화되지 않는데, 그것은 푸시 레버(40)의 좌측 후크(16)가 접촉하는 면(40e)이 레버 샤프트(42) 둘레에 회전하는 아크 형상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계속해서 푸시 레버(40)의 가압부(40a)를 누르면, 푸시 레버(40)는 레버 샤프트(42) 둘레에서 화살표(40D)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다음에, 좌측 후크(16)는 가압 레버(4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방식으로 프린터(101)로부터 해제되고, 푸시 레버(40)의 돌출부(40b)는 프린터(101)의 배지 측면(102b)의 하부에 접촉하게 되고, 프린터는 화살표(B)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사용자가 이후에도 계속해서 푸시 레버(40)를 누르게 되면, 푸시 레버(40)의 접촉면(40c)은 위치 결정 기부(39)의 스톱퍼(39d)에 대해 접촉하고, 이런 위치에서 푸시 레버(40)의 회전이 조정된다. 프린터(101)가 푸시 레버(40)에 의해 가압된 양은 좌측 후크(16)를 프린터(101)로부터 해제하는 양으로 설정된다.
상기 방식으로 프린터(101)를 가압한 후에, 사용자는 푸시 레버(40)의 가압부(40a) 상에 압력을 해제시킨다. 따라서, 좌측 후크(16)는 압력이 상기 방식으로 해제될 때 후크 스프링(3)으로 인해 스톱퍼(16B) 방향으로 상승된다. 동시에, 푸시 레버(40)는 좌측 후크(16)로 인해 상승되고, 푸시 레버(40)의 보스(40c)는 위치 결정 기부(39)의 안내 면(39c)에 접촉하고, 푸시 레버(40)는 푸시 레버(40) 상의 스프링(7)의 당기는 힘으로 인해 화살표(40E) 방향으로 회전된다.
푸시 레버(40)가 위치 결정 기부(39)의 안내면(39a)을 가격할 때, 푸시 레버(40)의 회전이 제한되고 푸시 레버(40)는 후크 스프링(3)의 스프링 힘으로 인해 화살표(40B) 방향으로 상승된다.
이런 이유로, 커넥터들의 접속은 최종적으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되고, 좌측 후크(16)도 프린터(101)로부터 해제되고, 사용자는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실시예에서, 프린터가 ASF(1)로부터 분리될 때, 푸시 레버(40)가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ASF(1) 상에 수직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프린터가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밀려내어질 때, ASF(1)는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프린터(101)가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그 자체 중량으로 인해 부착 방향으로 이동하는 프린터에 의해 유발된 재부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19는 본 실시예에서 푸시 레버(40), 팝업부(43a, 43b), 위치 결정 보스(39d, 39e), 좌측 후크(16), 우측 후크(17) 및 ASF 커넥터(44) 사이의 힘 관계 및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0은 ASF(1)의 상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의 위치 결정 보스(39d, 39e) 및 후크(16, 17)는 프린터(101)의 폭을 가로질러 양 단부의 근처에 제공된다. ASF 커넥터(44)는 제2 위치 결정 보스(39e)에 인접한 2개의 위치 결정 보스(39e, 39d) 사이에 있다. 또한, 푸시 레버(40) 및 제2 팝업부(43b)는 ASF 커넥터(44)보다 제1 위치 결정 허브로부터 평평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런 구성에 의하면, 프린터(101)가 ASF(1)로부터 제거될 때, 푸시 레버(40)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살표(40A) 방향으로 가압되고, 푸시 레버(40)의 돌출부(40b)를 프린터(101)로 가압함과 동시에 후크(16, 17)가 프린터(101)의 후크 고정 구멍(103y, 103z)(도14 참조)으로부터 해제되고, 커넥터 접속이 해제되어 후크(16, 17)가 프린터(101)의 후크 고정 구멍(103y, 103z)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팝업부(43a, 43b)는 푸시 레버(40)를 가압하는 사용자의 힘을 감소시키는 보충 수단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탄성 재료에 의해 가압될 때 프린터의 측면 상의 소정 위치로 미끄럼식으로 편향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린터는 회전 중심으로서의 위치 결정 보스(39d, 39e)와 함께 프린터 활주부(45b) 상에서 미끄러지면서 가압된다.
여기서, 회전 받침점으로 작용하는 제1 위치 결정 허브 측면 상의 프린터 위치 결정 구멍(118a)이 원형 구멍이고 제2 위치 결정 허브 측면 상의 위치 결정 구멍(118b)이 장방형 구멍(도12 참조)이므로, 사용자가 회전 받침점으로서의 제1 위치 결정 보스(39d)와 함께 도20에 도시된 상태로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제거하려 하면, ASF(1)와 관련한 프린터의 위치는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런 상태에서, 프린터(101)는 제1 팝업부(43a)의 가압력만에 의해 이동될 수 없는 데, 그 이유는 제1 위치 결정 보스(39d)와 위치 결정 구멍(118a) 사이에 크림핑이 발생되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프린터(101)를 ASF(1)로부터 제거하고자 하면, 제1 위치 결정 보스(39d)는 변형 또는 손상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프린터(101)의 회전 받침점으로서 작용하는 제1 위치 결정 보스(39d)와 위치 결정 구멍(118a)과의 끼워맞춤이 프린터(101)가 푸시 레버(40)및 제2 팝업부(43b)에 의해 밀려내어지기 전에 제1 팝업부(43a)의 가압력에 의해 유발된 커넥터 해제 방향으로 활주됨으로써 크림핑이 발생되는 것을 막도록 구성된다.
즉, 도19에 도시된 배치 크기로서 제공된 회전 받침점으로서의 제1 위치 결정 보스(39e)와 제1 팝업부(43a)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프린터(101)를 가압하는 데 요구되는 힘은 다음식으로 제공된다.
F1 > (X1 / X2) × P1 + P2
상기 식에서, F1은 제1 팝업부(43a)의 프린터 가압력이고, P1은 커넥터(44)의 추출력이며, P2는 ASF(1)의 프린터 활주면(45b) 및 프린터(101) 사이의 마찰력이고, X1은 회전 받침점으로서 기능하는 제2 위치 결정 보스(39e)로부터 커넥터(44)로의 거리이며, X2는 제2 위치 결정 보스(39e)로부터 제1 팝업부(43a)로의 거리이다.
위 식에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제1 팝업부(43a)와 ASF 커넥터(44)간의 거리가 크면 클수록, 다시 말하면, X1/X2의 값이 작으면 작을수록, 설정될 수 있는 제1 팝업부(43a)의 가압력(F1)의 값은 작아진다. 제1 팝업부(43a)의 이러한 프린터 가압력(F)은 프린터(101)가 상술한 바와 같이 ASF(1)에 부착될 때 반력으로서 작용하고, 통상 커넥터의 추출력이 1 내지 2 Kgf인 것을 고려하면, X1/X2를 위해 0.5 이하의 값이 적절하다.
본 실시예에서, 우측 후크(17)의 클로의 높이는 좌측 후크(16)의 클로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프린터(101) 상에 후크 고정 홀(103y, 103z)(도12)로부터 해제될 때, 우측 후크(17)는 좌측 후크(16)보다 먼저 해제된다.
이에 따라, 우측 후크(17)가 그 끼워진 위치로부터 프린터(101)의 후크 고정 홀(103y, 103z)로 처음에 해제되는 순간에, 프린터(101)는 회전 지렛대로서의 제2 위치 결정 보스(39e)로 제1 팝업부(43a)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을 수반하여 끼워진 제1 위치 결정 보스(39d)와 위치 결정 홀(118a)의 위치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 해제 측부를 향하여 이동한다.
그 이후, 좌측 후크(16)가 후크 고정 홀(103y)로부터 해제되고 프린터(101)가 푸시 레버(40)와 제2 팝업부(43b)에 의해 가압될 경우, 제1 위치 결정 보스(39d)와 위치 결정 홀(118a)이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프린터(101)는 ASF(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푸시 레버(40)와 제2 팝업부(43b)가 프린터(101)를 위한 회전 지렛대로서 작 용하는 제1 위치 결정 보스(39d)와 ASF 커넥터(44)의 사이에서 위치할 경우, 커넥터들간의 연결력이 클 때, 커넥터(44)는 프린터(101)의 회전 지렛대가 되고, 제1 위치 결정 보스(39d)와 둥근 홀을 형성하는 프린터(101)의 위치 결정 홀(118a)은 서로 방해받으면서 끼워지고, 이러한 방해에 의해 보스(39d)를 손상하는 변형의 위험이 있다.
결과적으로, 푸시 레버(40)와 제2 팝업부(43b)를 ASF 커넥터(44)보다 프린터(101)의 회전 지렛대인 제1 위치 결정 보스(39d)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게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제어기>
도24는 본 발명에서 외부 부착된 ASF 제어기와 프린터의 본체의 제어기의 연결의 블록도이다.
프린터(101)의 본체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기(202)는 도4에 도시한 본체 판(123)상에 위치하고 CPU(203), ROM(204) 및 RAM(205)으로 버스(bus)에 의해 접속된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프린터(101)의 본체가 기록할 때, 본체 제어기(202)는 ROM(204)에 저지된 본체 제어 프로그램 상에 기초한 모터 구동기(208)를 통해 캐리지 모터(121)를 구동하고 헤드 구동기(210)를 통해 캐리지 모터(121)에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캐리지에 부착되는 기록 헤드(115)를 구동함으로써 1 라인을 기록한다.
그 후, 본체 제어기(202)는 모터 구동기(206)를 통해 급지 모터(120)를 구동함으로써 용지를 공급하고 캐리지 모터(121)와 기록 헤드(115)의 구동을 제2 회 반복함으로써 용지에의 기록을 종료한다. 커넥터(117)는 본체 제어기의 CPU(203)으로부터 지령 신호를 외부로 출력시키고 외부로부터 응답 신호를 CPU(203)로 입력시키기 위해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 동력원을 공급할 수 있는 통신 포트로서 기능한다. 용지 말단 센서(108)는 프린터의 본체 내측에 제공되고 광학 스위치 또는 기계 스위치를 구비한다. 용지(200)가 프린터의 본체로 삽입될 때, 용지 말단 센서의 출력 전압은 LO(low)로부터 HIGH로 변화한다. 배지 센서(113)는 용지 말단 센서(108)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용지(200)가 기록 후 프린터의 본체의 내측에 잔류할 경우, 배지 센서의 출력 전압은 HIGH로 변화한다.
용지 말단 센서(108)와 배지 센서(113)의 출력 전압은 CPU(203)에 의해 모니터될 수 있고 용지 말단 센서(108)의 출력 전압은 커넥터(117)를 통해 외부로 직접 출력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외부에 부착된 ASF(1)을 제어하는 ASF 제어기(201)는 프린터 본체 제어기(202)인 CPU(213), ROM(214) 및 RAM(215)으로 버스를 통해 연결된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CPU(213)는 ROM(214)에 저장된 ASF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한 모터 구동기(216)를 통해 급지 모터(27)를 구동한다. ASF 커넥터(44)는 통신 포트로서 기능하고 프린터 본체(101)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ASF 제어기의 CPU(213)으로부터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해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 포트>
도26은 커넥터(117)와 ASF 커넥터(44)의 상세한 구성 모델을 도시한다.
커넥터(117)는 8개의 포트(117a, 117b, 117c, 117d, 117e, 117f, 117g, 117h)를 가지고 ASF 커넥터(44)는 8개의 포트(44a, 44b, 44c, 44d, 44e, 44f, 44g, 44h)를 가진다. ASF(1)이 프린터에 부착될 때, 대응하는 문자로 포트들은 서로 전기 접속된다.
ASF(1)로부터 살펴보면, 44a는 GND 라인을 표시하고, 44b는 신호를 위한 5V 동력 라인을 표시하고, 44e는 급지 모터(27)를 구동하기 위한 34 V 동력 라인을 표시하고, 44f는 프린터 측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포트를 표시하고, 44g는 프린터 측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수신 포트를 표시하고, 44h는 프린터 본체의 내측에서 용지 말단 센서(108)의 출력 전압을 수용하는 라인을 표시한다. 44c와 44d가 단락되면, 장치가 프린터 측부상의 포트(117c, 117d)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연결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ASF 부착 및 이송 기구 부분>
도25는 본 발명에서 외부 부착식 ASF가 프린터의 본체에 부착될 때의 조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급지 롤러(19)는 용지(200)를 공급한다. 픽업 고무(23)는 급지 롤러(19)의 둘레에 끼워지고 급지 롤러(19)가 회전할 때 용지(200)는 픽업 고무(23)의 마찰에 의해 이송된다.
도면 부호 26은 회전할 수 있도록 ASF 섀시(11)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된 용지 이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의 양단부를 갖고 용지(200)가 로드되는 압력판을 표시한다. 압력판(26)은 압력판 스프링(13)에 의해 픽업 고무(23)의 방향으로 작용하나 압력판(26)은 용지(200)가 부드럽게 설정될 수 있도록 초기화 중 급지 롤러(19)의 양단부로 제공된 캠(19c)과 압력판(26)의 양단부로 제공된 캠(26a)이 상호 로크되기 때문에 픽업 고무(23)로부터 분리 유지된다. 경사면(36)은 용지가 설정될 때 용지(200)의 선단이 맞닿음면(36a)에 맞닿도록 설정되는 압력판(26)의 용지 이송 방향 확장 상에 맞닿음면(36a)을 갖는다. 분리 용지(37)는 용지 분리 수단으로서 맞닿음면(36a) 상에 장착된다. 분리 용지(37)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용지이고 절곡될 때 반발하는 탄성을 이용하여 한 번에 1매의 용지를 분리하도록 기능한다.
<프린터 이송 기구, 인쇄 기구>
다음에 도25에서 프린터 본체의 이송 기구 및 인쇄 기구를 설명한다.
LF 롤러(109)는 용지(200)를 이송한다. 이 LF 롤러(109)는 도24에 도시된 급지 모터(120)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그 표면에 우레탄 수지와 같이 높은 마찰 계수를 가지는 재료의 도막을 입힌 금속 파이프로 형성되고, 자체와 핀치 롤러(110)의 사이에서 용지를 물어 용지(200)를 이송시킨다.
기록 헤드(115)는 도시되지 않은 캐리지 상에 로드된 LF 롤러(109)에 의해 이송된 용지(200) 상에 화상 정보를 기록하고 LF 롤러(109)의 길이를 가로질러 전후 이동할 수 있다. 기록 헤드(115)는 도24에서의 캐리지 모터(121)에 의해 캐리지와 함께 구동되고 (용지의 면에 수직하게) 용지(200)의 폭을 가로질러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스퍼(111)와 배지 롤러(112)는 LF 롤러(109)와 기록 헤드(115)의 하류측 상에 위치하고 인쇄가 종료될 때 용지(200)를 이송하기 위해 한 쌍의 복수 롤러들을 형성한다. 배지 롤러(112)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전동 장치에 의해 LF 롤러(109)에 연결되고 구동원으로서 LF 롤러(109)와 동일한 방향으로 용지(200)를 이송하도록 회전한다.
용지 말단 센서(108)는 용지 반송 방향에 대해 LF 롤러(109)보다 더 상류측으로의 용지 경로 상에 마련되고 배지 센서(113)는 한 쌍의 복수 배지 롤러들 사이에 설정된다. 각 센서의 출력 전압은 용지(200)가 통과할 때 LO에서 HIGH로 변한다.
<ASF 구동 기구>
도27 및 도28은 본 발명에서 외부에 부착된 ASF의 구동 기구를 보여준다.
급지 모터(27)는 전후로 구동할 수 있는 스텝핑 모터이다. 공전 기어(15)는 급지 모터(27)의 모터 기어(27a)와 상호 로크한다. ASF 복수 기어(29)는 다른 직경의 복수 기어를 가지고 공전 기어(15)와 상호 로크한다. 전방 유성 기어(31)는 ASF 복수 기어의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기어와 상호 로크하고 ASF 복수 기어의 주연 둘레에서 회전한다. 역전 태양 기어(33)는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 기어를 갖고 ASF 복수 기어(29)의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기어와 상호 로크한다. 역전 유성 기어(35)는 역전 태양 기어(33)의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기어와 상호 로크하고 역전 태양 기어의 주연 둘레에서 회전한다. 급지 롤러 기어(19a)는 급지 롤러(19)의 축 단부에 마련된다. 급지 롤러(19)는 전방 유성 기어(31)와 역전 유성 기어(35)의 회전 축 상에 마련되고 각 기어가 상호 로크하는 위치에 있다.
다음에 각 기어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27에서, 급지 모터(27)가 화살표 b(역전 구동)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 기어는 각각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시 말하면, 역전 유성 기어(35)는 도27에서 화살표에 의해 도시한 방향으로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일직선에 의해 도시된 위치로 공전 기어(15) 및 ASF 복수 기어(29)에 의해 역전 태양 기어(33)의 주연 둘레에서 회전하고, 급지 롤러 기어(19a)와 상호 로크한다. 이로 인해, 급지 롤러는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압력판(26)상에 적재된 용지(200)가 프린터(101)로 공급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역전 유성 기어(35)와 상호 로크되어 회전하는 급지 롤러 기어(19)가 비형성 치부(19b)가 역전 유성 기어(35)와 면하는 위치로 회전할 때, 그 기어로부터 미끄러져 급지 모터가 역적 구동할 때에도 회전하지 않는다.
이러한 조건으로, 전방 유성 기어(31)는 도27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일직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전하나, 도시되지 않은 스톱퍼와 부딪쳐 정지하기 때문에 급지 롤러(19)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음에, 급지 모터(27)가 화살표 f(능동 구동)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 기어는 도28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시 말하면, 전방 유성 기어(31)는 도면에서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일직선으로 도시한 위치를 향해 ASF 복수 기어(29)의 주연의 공전 기어(15)와 ASF 복수 기어(29)에 의해 회전하고, 급지 롤러 기어(19a)와 상호 로크한다.
이렇게, 급지 롤러(19)는 도2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압력판(26) 상에 적층된 용지가 프린터에 공급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정전 유성 기어(31)에 상호 로킹 회전하는 급지 롤러(19a)가 무치형부(19b)가 정전 유성 기어(31)와 대향하도록 하는 위치로 회전할 때, 그것은 그 기어로부터 미끄러지고 급지 모터가 정전 구동될 때에도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역전 태양 기어(33)는 파선에 의해 도시된 위치로부터 실선에 의해 도시된 위치로 도2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나, 그것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톱퍼와 부딪혀 중단되기 때문에 급지 롤러(19)의 회전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급지 롤러 기어(19a)의 무치형부(19b)가 정전 유성 기어(31)와 대향할 때, 급지 롤러(19c)의 캠은 초기와 동일 위상으로 되는 압력판(26)의 캠(26a)과 완벽하게 상호 로킹되고, 압력판(26)과 픽업 고무(23)는 서로 떨어져 배치된다.
따라서, 급지 모터(27)가 연속 정전 구동될 때, 급지 롤러 캠(19c)과 압력판 캠(29a)은 상호 로킹되고 급지 롤러(19)는 압력판(26)과 픽업 고무(23)가 분리되는 초기와 동일 위상으로 회전이 중단된다. 후에, 정전 유성 기어(33)와 역전 유성 기어(35) 모두가 도28의 실선에 의해 도시된 위치에서 아이들 상태에 있기 때문에 급지 롤러(19)에 어떠한 회전이 전달되지 않아 안정화된다.
전술된 대로, 급지 모터(27)가 정전 또는 후진 가동되는 여부에 상관없이, 급지 롤러(19)는 용지(200)가 프린터(101)에 공급되는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급지 작업 및 프린팅 작업 (프린터측)>
다음으로 프린터 및 ASF가 공급, 반송 및 기록 후에 용지를 배지하는 일련의 작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컴퓨터와 같은 외부 정보 장치로부터 기록 명령을 받을 때, 프린터(101)는 우선적으로 급지 작업을 수행하고 그후 기록 작업을 수행한다.
도29는 프린터가 급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의 제어 플로우도이다. 우선, 프린터(101)의 본체 제어기(202)는 서브 플로우(C1)를 실행한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도33을 이용하여 이후에 기술하기로 하며, 서브 플로우(C1)는 도26에 도시된 포트(117f, 117g)를 통해 프린터의 외부에 부착된 기계의 형태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기는 S1으로 진행한다. 서브 플로우(C1)의 결과가 ASF가 프린터(101)에 부착됨을 나타내게 되면, ASF 급지를 위해 S2로 진행하게 된다. S2에서, 본체 제어기(202)는 초기 명령을 ASF로 보내고 S3로 진행한다.
S3에서, 초기화가 ASF로부터 완료되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가 존재하지 않게 되면, 제어기는 S3로 복귀되고 응답을 받을 때 S4로 진행한다. S4에서, 본체 제어기(202)는 급지 명령 신호 및 급지용 용지의 종류(평지, 코팅지, 포스트 카드, 광택막등)을 나타내는 용지 신호 종류를 ASF로 보내고 S5로 진행한다.
S5에서, ASF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하게 되면, S8로 진행하고 t2초의 예비 설정 시간 한도가 경과하지 않게 되면 본체 제어기(202)는 S5로 복귀된다. S8에서, 시간 한도 t2초가 급지 개시 이후로 경과하게 되면, S9로 진행하여 급지 오류 신호를 발생시켜 급지 작업을 종료한다. S5에서 ASF로부터 응답 신호가 존재하며 이것이 급지가 완료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라면, 제어기는 S7로 진행한다. S7 단계는 용지(200) 상의 초기 위치로 공급 선행 단부의 작업을 실행하고 본체 제어기(202)는 기록 시에 용지 반송(정전) 방향으로 급지 모터(120)를 표시량(R3) 만큼만 구동시킴으로서 LF 롤러(109)를 회전시키고 급지 작업을 종료한다. 표시량(R3)은 용지(200)의 전방단이 기록 헤드(115) 하방에 직접 놓이도록 하지만 배지 센서(113)에 의한 용지 검출이 가능한 구역에 도달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다음에 프린터(101)가 용지(200) 상에 기록을 시작할 때, 용지(200)를 반송 방향의 상류에 복귀시킬 필요는 없으며, 용지는 용지(200)의 후방단이 ASF의 내부 부품 상에 충격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굽어지거나 오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S5에서, ASF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존재하여 그것이 급지에서의 오류를 나타낸다면, 본체 제어기(202)는 S9로 진행하고, 급지 오류를 발생시키고, 급지 작업을 종료한다.
S1에서, 서브 플로우(C1)로부터의 결과가 ASF가 프린터(101)에 부착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게 되면, 제어기는 수동 급지를 위해 S10으로 진행한다.
S10에서, 사용자가 용지를 삽입하지 않게 되면, 용지 말단 센서(108)의 출력 전압이 L0이 상태에 있기 때문에 용지를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가 용지(200)를 프린터(101) 내로 삽입하여 LF 롤러(109)와 접촉할 때, 용지 말단 센서(108)의 출력 전압은 높은 전압으로 변경되고 용지가 검출되며, 제어기는 S11로 진행한다. S11에서, 본체 제어기(202)는 LF 롤러(109)가 표시량(R4) 만큼만 (기록 시에 용지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회전 방향으로) 정전 회전하도록 급지 모터 드라이버(206)에 의해 급지 모터(120)를 구동시킨다. 표시량(R4)은 용지(200)의 전방단이 배지 센서(113)가 용지를 검출할 수 있는 구역에 이르게 하는 양으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제어기는 S12로 진행하고, 배지 센서(113)가 용지(200)를 감지하게 되면, 급지이 성공적인 것을 판단하여 S13으로 진행한다. S13에서, 본체 제어 수단(202)이 LF 롤러(109)가 표시량(R5) 만큼만 (기록 시에 용지를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송하는 회전 방향으로) 후진 회전하도록 급지 모터 드라이버(206)로 급지 모터(120)를 구동시킨다. 표시량(R5)은 배지 센서(113)에 의한 검출이 기록이 개시되는 위치까지 가능하게 되고, 용지(200)의 전방단이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 사이에 있지 않게 되는 범위까지 반송되는 용지(200)를 복귀시키는 양으로 설정된다.
또한 S12에서, 배지 센서(113)가 용지(200)를 검출하지 않게 되면, 일예로 용지(200)가 LF 롤러(109)와 약하게 접촉하여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 사이에서 정확히 흡인되지 않게 되면 또는 용지(200)의 전방단이 그것이 LF 롤러(108)와 비스듬히 부딪히기 때문에 표시량(R4)에 의해 반송되더라도 배지 센서(113)에 의해 검출되는 범위에 도달하지 않게 되면, 본체 제어기(202)는 이를 수동 급지 고장으로 판단하여 S14로 진행한다. S14에서, 본체 제어 수단(202)은 LF 롤러(109)가 표시량(R6) 만큼만 역회전하도록 급지 모터 드라이버(206)로서 급지 모터(120)를 구동시킨다.
표시량(R6)은 용지(200)의 전방단이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로부터 두드러지도록 배지 센서(113)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범위까지 반송되도록 하기에 충분히 큰 양으로 설정된다.
이렇게, 수동 공급 중에 사용자는 배지 센서가 용지(200)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급지가 양호하게 되는 지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급지가 실패했을 때, 용지(200)가 쉽게 제거될 수 있고 용지(200)가 LF 롤러에 의해 조여지지 않는 위치로 복귀되기 때문에 수동 급지가 반복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을 갖게 된다.
ASF가 부착된 자동 공급으로부터의 수동 공급 중에 상이한 방식으로 충돌하는 부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용지(200)가 반대 방향으로 반송되더라도 그것을 굽어지게하거나 오공급시키지 않게 된다.
전술된 급지 제어 플로우를 통해 급지 작업을 완료한 프린터(101)는 다음 기록 작업을 수행한다. 본체 제어기(202)는 모터 드라이버(208)로서 캐리지 모터(121)를 구동시키고, 헤드 드라이버(210)로서 캐리지 모터(121)에 연결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캐리지에 부착된 기록 헤드(115)를 구동시키고 하나의 라인을 기록한다. 그후, 본체 제어기(202)는 단지 급지 모터(120)를 모터 드라이버(206)로 구동시킴으로서 용지(200)를 하나의 라인에 의해 반송하고 기록 헤드(115) 구동 및 캐리지 모터(121) 구동을 반복함으로서 용지 상의 기록을 완료한다. 기록이 완료될 때, 본체 제어기(202)는 급지 모터(120)를 구동시키고 LF 롤러(109)를 정전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배지 롤러(112)는 회전하고, 용지(200)는 프린터(101)로부터 배지된다.
<급지 작업(ASF측)>
도30은 본 발명의 프린터에 외부 부착될 수 있는 주 제어 플로우이다. 본 발명에서 ASF(1)의 제어기(201)는 ASF가 프린터(101)에 부착될 때 대개 대기 상태에 있으며, S37에 도시된 대로 프린터(101)로부터 명령 신호를 받지 못하면 명령 신호를 받을 때까지 S37 수행을 반복하게 된다. 도26의 연속 수용 포트(44g)로서 프린터(101)로부터 명령 신호를 받게 될 때, 명령 신호의 내용에 응답하여 다음의 서브 플로우 또는 단계로 진행한다. 다시 말해, 프린터(101)로부터의 명령 신호가 "급지 명령"을 나타내게 되면, ASF 급지 작업을 제어하는 서브 플로우(C2)로 진행하고, 신호가 "초기화 명령"을 나타내게 되면, 초기화 작업을 제어하는 서브 플로우(C3)로 진행한다. 각 서브 플로우가 완료될 때 다시 S37로 진행하여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프린터(101)로부터의 명령 신호가 "기종 판단 명령"을 나타내게 되면, S6 단계로 진행하고 연속 전달 포트(44f)를 통해 프린터(101)로 ASF 자체의 장치 형태를 나타내는 코드 ID를 보낼 때, S37로 진행하여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전술된 2개의 서브 플로우 중에, ASF 급지 작업을 제어하는 서브 플로우(C2)를 우선 기재하고 초기화 작업을 제어하는 서브 플로우(C3)의 세부 내용이 뒤따르게 된다.
도31은 ASF(1) 내의 급지 작업을 제어하는 서브 플로우(C2)이다.
ASF 제어기(201)는 프린터(101)로부터 받은 용지 정보 및 급지 명령 신호 형태를 기초로 ROM(214)으로부터 CPU(213)로 공급될 용지의 형태에 대해 적절한 급지 모터(27)의 구동 테이블(T)을 판독하는 S15로 진행한다. 구동 테이블(T)은 펄스모터인 급지 모터(27)의 구동 속도로서의 그러한 정보와, 이후에 기술될 단계 S22에서 인쇄 정합을 수정할 때 급지 롤러(19)를 용지 형태에 적절한 양만큼 회전시키도록 수정 인쇄 정합에서의 펄스의 수(P5)를 포함한다. 다중 값들은 가정 용지 특성에 대응하여 준비된다.
구동 테이블(T)을 판독한 후에 ASF 제어기(201)는 단계 S16으로 진행하여 INIT, n 및 Pc로서 표시된 각각의 변수를 0의 초기값으로 설정한다. 각각의 변수는 급지 롤러(19)의 회전 방향의 위상이 초기화 위치에 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낸 표시로서의 INIT와, 급지 롤러(19)가 급지 플로우(C2)의 개시 이후로 얼마나 많이 회전하는 지를 나타내는 회전수로서의 n과, 얼마나 많은 펄스로 급지 모터(27)가 역구동되는지를 나타낸 펄스 계수기 수로서의 Pc로서 RAM(215) 내에 저장된다.
S17에서, ASF 제어기는 급지 모터 드라이버(216)를 통해 급지 롤러(19)를 하나의 펄스만큼 역으로 구동시킨다. S18로 진행하여, 펄스 계수기(Pc) 수의 값은 1만큼 증가되어, S19로 진행한다. S19에서, ASF 제어기(201)는 펄스 계수기의 수(Pc)의 값을 허용된 펄스의 수(Pmax)의 크기와 비교한다.
허용된 펄스의 수(Pmax)는, 급지 모터(27)가 역회전을 시작한 후 급지 롤러 기어의 무치형부(19b)가 도2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전 유성 기어(35)를 향하는 위치까지 급지 롤러가 회전되지만 더이상 회전하지 않는 펄스의 전체 수이다. 급지 개시 직후, Pc < Pmax의 관계가 만족되어, 제어기는 단계 S20으로 진행된다. 단계 S20에서, ASF 제어 수단(201)은 도26에서 도시된 포트(44h)를 통해 프린터(101) 내에 용지 말단 센서(108)의 출력 전압을 체크한다. 급지 작업 개시 직후 용지(200)가 프린터(101)의 내부에 도달되지 않기 대문에 용지 말단 센서(108)의 출력 전압은 L0이며, 따라서 제어기는 S17로 복귀된다. 이런 방식으로, 단계 S17 내지 S20은 반복되며, 역전 유성 기어(35)는 파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27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전되며 급지 롤러 기어(19a)와 상호 결합하며, 그 때, 급지 롤러(19)는 회전하기 시작한다. 급지 롤러(19)가 초기화 상태로부터 회전하기 시작할 때, 급지 롤러 캠(19c)은 압력판 캠(26a)으로부터 미끄러지며, 압력판(26)은 압력판 스프링(13)에 의해 상향으로 상승되며, 압력판(26) 상에 로딩된 용지(200)는 픽업 고무(23)에 의해 압박된다. 이 때, 경사 면(36)의 지지 면(36a)에 의해 지지된 용지(200)의 선단은 또한 상향 상승되어, 분리 용지(37)의 대체로 중간을 접한다.
급지 롤러(19)가 S17 내지 S20을 반복하여 역으로 급지 모터(27)를 계속 구동함으로서 회전되면, 픽업 고무(23)의 마찰력에 의한 용지(200)의 반송이 시작되며, 용지(200)의 선단은 탄성 분리 용지(37)를 압박함으로써 야기된 반력에 의해 아래로 용지로부터 분리되며, 하나의 용지만이 전방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펄스 계수기의 수(Pc)가 어떤 크기에 도달될 때까지 급지 모터(27)의 역 구동이 계속되면, Pc < Pmax의 관계가 만족되지 않으며, 제어기는 S19로부터 분지되어 S24로 진행된다. S24에서, ASF 제어기(201)는 지정된 펄스(P4)에 의해서만 정방향으로 급지 모터(27)를 구동한다. 지정된 수의 펄스(P4)는 정방향 유성 기어(31)로 구동됨으로써 초기화 위치로 급지 롤러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펄스의 수이다. 즉, S24를 수행함으로써, 급지 롤러(19)는 초기화 위치후 정확히 회전한 상태로 회전되며, (용지 롤러 기어의 무치형부(19b)가 역전 유성 기어(31)를 향하며 이들은 서로로부터 해제되어, 정지된다. 그 후, 제어기는 S25로 진행되며, 펄스 계수기의 수(Pc)를 0으로 복귀시키며, 단계 S26으로 진행된다. 단계 S26에서, 이 때, n은 여전히 1과 같으며, 따라서 S17로 복귀되어 급지 모터(27)를 다시 역으로 구동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ASF 제어기(201)가 S17 내지 S20을 반복하며, 급지 롤러(19)의 제2 회전을 시작하며, 용지(200)를 더욱 반송한다. 용지(200)의 선단이 프린터(101) 내에 용지 말단 센서(108)에 도달될 때, 용지 말단 센서의 출력 전압은 HIGH로 변경되며, 제어기는 S20으로부터 S21로 진행된다. S21에서, ASF 제어기(201)는 허용된 펄스의 수(Pmax)의 크기와 구동 테이블(T) 내에 정합 교정 펄스 수(P5)의 값에 추가된 펄스 계수기의 수(Pc)를 비교한다. Pc + P5 = Pmax의 관계가 만족되면, 급지 모터(27)가 P5 펄스만에 의해 역으로 구동되는 경우에도 역 구동의 전달이 가운데서 해제되기 때문에 S22로 진행된다.
Pc + P5 > Pmax의 관계가 만족되면, 급지 모터(27)가 P5펄스만에 의해 역으로 더욱 구동되면 급지 롤러(19) 기어의 무치형부가 역방향 유성 기어(35)를 향하여 절반의 위치에 도달되고 급지 롤러로의 구동 전달이 절감될 것이기 때문에 제어기는 S24로 진행된다. S24에서, 제어기는 P4펄스만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급지 모터를 구동하며, 초기화 위치로 급지 롤러(19)를 복귀시키며, S24에서 Pc를 0으로 n을 n+1로 설정하며, S26으로 진행된다. 이 때, 용지 말단 센서(108)의 출력 전압이 이미 HIGH에 있으며 펄스 계수기의 수(Pc)가 바로 다시 설정되면서, 제어기는S17로부터 S18, S19, S20을 통해 S21로 진행되며, 이 때 Pc + P5 = Pmax의 관계가 충족되기 때문에 S22로 진행된다.
S22는 소위 정합 보정이 수행된다. ASF 제어기(201)는 구동 테이블(T)로부터 펄스의 수(P5)에 의해서만 역으로 급지 모터를 구동하며 급지 롤러(19)를 회전시킨다. 이 때, 용지의 선단(200)은 용지 말단 센서(108)에 의해 탐지된 위치로부터 프린터(101)로 보다 더 보내지며 정지된 LF 롤러(109) 및 핀치 롤러(110)에 의해 형성된 닙을 가격하면 정지되지만, 용지(200)의 후방은 급지 롤러(19)에 의해 더욱 압박된다. 따라서, 용지(200)의 선단은 핀치 롤러(110) 및 LF 롤러(109)에 의해 형성된 닙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다음, S23에 진행되면, ASF 제어기(201)는 급지가 도26에서 도시된 일련의 전달 포트(44f)를 통해 프린터(101)로 종료되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송신하며 작업을 종료한다.
용지가 압력판(26) 상에 적층되지 않으면, 급지 롤러(19)가 아무리 많이 회전하더라도, 용지 말단 센서의 출력 전압은 HIGH로 복귀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ASF 제어기(201)는 S17에서 S18로 S19로 S20으로 S17로의 루프가 일정 회수 반복되는 작업을 두 번 반복한 후 S19에서 S24로 S25로 S26으로의 루프를 통해 S17로 복귀되며, 제3회에 대해 S26에 도달될 때 S27로 진행되며 회전 계수기 수(n)가 3과 같기 때문에, 급지 롤러(191)가 프린터(101)로 급지 에러 신호를 송신하여 작업을 종료한다.
<다른 작업(프린터측, ASF측)>
도32는 ASF(1)의 초기화 작업을 제어하기 위한 서브 플로우(C3)이다. ASF(1)가 프린터 본체(101)로부터 초기화 명령 신호를 받으면, ASF 제어기(201)는 S28로 진행되며 급지 롤러(19)의 회전 방향의 상태가 초기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INIT 변수의 값을 체크한다. INIT = 1이면, 급지 롤러(19)는 이미 초기 위치에 있으며, 단계 S31로 진행되어 프린터(101)로 초기화 종료 신호를 보냄으로써 작업을 종료시킨다. INIT = 0이면, S29로 진행되며 지정된 수의 펄스(P0)에 의해서만 전방으로 급지 롤러 모터(27)를 구동한다. 지정된 수의 펄스(P0)는, 급지 롤러(19)의 회전 방향의 상태에 관계없이 급지 롤러 기어의 무치형부(19b)의 일부가 정전 유성 기어(31)를 향하도록, 초기 위치로 급지 롤러(19)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값으로 설정된다. S29를 수행함으로써, 급지 롤러(19)는 초기화 위치로 회전 복귀되며, 압력판(926) 및 픽업 고무(23)는 분리되며, 용지(200)는 매끄럽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제어기는 단계 S30으로 진행되어, 급지 롤러가 초기화 위치에 있는 것을 표시하도록 INIT 변수를 1로 변경하며, S31로의 진행은 초기화 종료 신호를 프린터(101)로 보내서 작업을 종료시킨다.
도33은 도26에서 도시된 포트(117f, 117g)를 통해 프린터의 외부에 부착된 기종의 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서브 플로우(C1)이다. 본체 제어기(202)는 우선 단계 S32로 진행되어 포트(117g)를 통해 외부 장치로 기종 판단 명령을 보낸다. 다음, S33으로 진행되어, 포트(117f)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S35로 진행되며, 그 후 소정 시간 제한(t1)이 경과되지 않으면 S33으로 복귀된다. S35에서, 시간 제한(t1)이 경과되면, 제어기는 S36으로 진행되며 외부 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것을 판단하며 작업을 종료시킨다.
S33에서, 응답 신호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제어기는 S34로 진행된다. S34에서, 본체 제어기(202)는 수신된 응답 신호로부터 부착된 장치의 종류를 표시하는 부분 코드(ID)를 판독하며 작업을 종료시킨다.
도34 및 도35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부착 가능한 외부 부착식 ASF의 그리고 프린터의 제어 흐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 및 형상을 갖는 부품에 대해 그리고 동일한 작업에 대해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었으며, 상세한 설명이 요약되었다.
제1 실시예에서, ASF 제어기(201)는 도31에서 도시된 S22에서 P5펄스만에 의해 급지 모터를 역으로 구동한 후 S23으로 진행되어 프린터(101)로 급지 종료 신호를 보낸다. 그러나, 이 경우 급지 롤러(19)가 초기화 위치로 복귀되지 않았기 때문에, 급지 롤러(19)는 도3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200) 상에 압박되어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프린터 본체측 상에 헤드 스캐닝 또는 기록 작업이 LF 롤러만에 의해서만 수행되면, 급지 롤러(19)로부터 역 장력이 발생되어 용지(200)의 반송 정밀도가 감소될 위험이 있다.
제2 실시예는 이런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
ASF 제어기(201)가 도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 정합 작업을 수행한 후, S38로 진행되어 지정된 수의 펄스(P6)만에 의해 전방으로 급지 모터(27)를 구동한다. 지정된 수의 펄스(P6)는 정전 유성 기어(31)로 구동함으로써 초기화 위치로급지 롤러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펄스의 수이다. 이 때, 급지 모터(27)의 전방 구동이 시작되면서, 구동의 시작까지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계수기가 작동되며 지정된 길이의 시간(t3)이 경과될 때 S39로 진행되어 프린터 본체(101) 측으로 동기화 구동에 대한 요구를 송신한다. 지정된 양의 시간(t3)은, 급지 롤러(19)가 급지 롤러 기어(19a)와 상호 로킹되어 회전을 시작하도록, 정전 유성 기어(31)가 회전될 때까지 S38에서 급지 모터(27)의 구동 시작으로부터의 시간의 크기보다 약간 크다.
S38에서, 급지 모터(27)가 구동되는 속도는, 급지 롤러(19)에 부착된 픽업 고무(23)의 외주 속도가 프린터 본체의 LF 롤러(109)가 S7에서 회전될 때 외주 속도보다 약간 크도록 설정된다.
단계 S38이 종료될 때, 급지 롤러(19)는 초기와 위치와 동일한 상태로 회전되며, 제어기는 S40으로 진행된다. S41에서, ASF 제어기(201)는, 급지 롤러의 회전 방향 상태가 초기화 상태인 것을 표시하도록 INIT 변수를 '1'로 변경하며 작업을 종료시킨다.
S39에서, ASF 제어기(201)에 의해 송신된 동기 구동을 위한 요구를 수신한 프린터 본체 제어기(202)는 S5로부터 도34에서 도시된 S7로 진행되어, 전방으로 LF롤러(109)를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프린터 본체(101) 및 ASF(1)을 작동시키는 타임 차트는 도37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경과된 시간에 따라 수행된다.
프린터가 급지 작업을 시작할 때, 이는 기종 판단 명령을 ASF 측으로 전송한다(S32). ASF는 프린터 측에 장치의 종류 코드를 표시하는 신호 확인을 전송한다(S37). 다음으로, 프린터는 ASF 측에 ASF 초기화 명령을 전송하고(S2), ASF는 만약 초기화되지 않았을 경우 급지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고(S29), 프린터에 초기화 종료 신호를 전송한다(S31). 그 다음, 프린터는 급지 명령을 ASF에 전송한다(S4). ASF는 급지 명령과 전송된 용지 정보에 따른 적절한 구동 테이블(T)을 읽은 후에(S15, 도37에서 생략됨), 급지 작업 제어 흐름에 따라 급지 모터를 구동시키고 급지 롤러를 회전시킨다 (S18). 프린터에 제공된 용지 말단 센서(108)의 출력 전압이 고압으로 변하고 용지가 감지될 때, ASF는 전술한 펄스 수(P5)에 따른 양(R1)만큼만 급지 롤러를 회전시키는 데, 이는 소위 정합 교정 작업이다 (S22). 정합 교정 작업이 종료되면, ASF는 초기화와 동일한 위치로 양(R3)만큼만 급지 롤러를 회전시키고 (S38), 급지 모터 구동의 시작된 이후 시간 양(t3)이 경과했을 때 동기 구동 요구를 프린터에 전송한다 (S39).
ASF로부터 동기 구동 요구를 수신한 프린터는 양(R3)만큼만 LF 롤러를 회전시키는 데, 이는 소위 전방 모서리를 초기 위치로 공급하는 작업이다 (S7).
상기 설명에서 확실해 진 바와 같이, 단계(S22)가 종료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36의 본 실시예에서, 급지 롤러(19)는 회전하기 시작하고, LF 롤러(109)는 잠시 뒤에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때에, 픽업 고무(23)의 외주 속도는 LF 롤러(109)의 외주 속도보다 약간 빠르다. 따라서, LF 롤러(109)가 단계(S7)에서 전방 모서리를 초기 위치로 공급하는 작업에 따라 회전하기 시작할 때, 용지(200)에 의해 압축된 픽업 고무(23)가 그 이전에 약간 회전하기 때문에 어떠한 후방 인장력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픽업 고무(23)의 외주 속도가 LF 롤러(109)의 외주 속도보다 약간 빠르기 때문에 외주 속도의 차이의 결과로 어떠한 인장력도 발생하지 않고, 그리고 헤드의 용지(200) 탐색 중의 이송 정확도가 안정적이다.
그러나, t3가 너무 작으면, LF 롤러(109)가 급지 모터(27)의 구동력이 급지 롤러(19)에 전달되기 전에 회전하기 시작하는 위험이 있다. t3가 너무 크면, 급지 롤러(19)가 LF 롤러(109)가 회전하기 시작하기 전에 많이 회전하는 위험이 있고, 용지가 중간에서 전체적으로 변형되거나 또는 전방 단부가 LF 롤러(109)와 핀치 롤러(110)에 의해 형성된 닙(nip)에 평행하게 정렬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실험 결과에서, 10 ms 내지 100 ms가 t3의 값으로 가장 적절하다. 급지 롤러(19)에 부착된 픽업 고무(23)의 외주 속도는 LF 롤러(109)의 외주 속도에 비교하면 빠르지 않고, 픽업 고무(23)가 용지(200) 종류 또는 외주 환경 때문에 미끄러질 때 후방 인장력이 발생하는 위험이 있다. 픽업 고무(23)의 외주 속도가 너무 빠르면, 용지(200)가 변형될 위험이 있다. 본 실시예의 단계(S138)의 실험 결과에서, 픽업 고무(23)의 외주 속도의 가장 적절한 상태는 단계(S7)의 LF 롤러(109)의 외주 속도보다 5% 내지 50% 빠르다.
본 실시예의 '동기 구동 요구' 신호는 작업의 의미상 차이점 때문에 제1 실시예의 '급지 종료' 신호와 일치되었지만, '급지 종료'와 동일한 신호가 실제 신호로 사용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따라서, (도29 내지 도34의) 제1 및 제2 실시예의 프린터 본체의 급지 작업 제어 흐름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프린터는 제1 또는 제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ASF에 부착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의 다중 구동 테이블(T)의 내용은 도38을 사용해서 설명된다.
예컨대, ASF(1)으로부터 수신된 용지 정보의 종류가 보통 용지로 표시된다면, ASF 제어기(201)는 구동 테이블(T)을 선택한다. 보통 용지에 있어서, 구동 속도는 단계 S22의 정합 교정 중의 저항이 낮기 때문에, 중간 속도로 설정된다. 또한, 용지가 급지 중에 기울어져 이송되는 것이 드물기 때문에, 용지가 LF 롤러(109)에 의해 이송되는 양을 크게 할 필요가 없고, 작은 값이 정합 교정의 펄스 수(P5)로 설정될 수 있다.
ASF(1)으로부터 수신된 용지 정보의 종류가 봉투라고 표시되면, ASF 제어기(201)는 구동 테이블(T3)을 선택한다. 여기서 정합 교정 중의 저항이 단계(S22)에서 특히 크기 때문에, 구동 속도는 보통 용지에 비해 낮은 속도로 설정되고, 큰 토크는 급지 모터(27)가 오작동을 하지 않게 한다. 봉투가 급지 중에 다른 종류의 용지에 비교해서 기울어져 놓이기가 더 쉽기 때문에 (기울어진 공급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보통 용지의 표(T1)보다 큰 중간 값이 단계 S22의 정합 교정의 펄스 수(P5)로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봉투의 전방 단부가 LF 롤러(109)에 의해 이송된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봉투의 전방 단부는 더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용지 정보의 종류가 광택 용지라고 표시되면, ASF 제어기(201)는 구동 테이블(T4)을 선택한다. 정합 교정 중의 저항은 광택 용지에서 크고, 기울어진 공급은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저속은 정합 교정의 구동 속도로 설정되고, 보통 용지에 상응하는 작은 값이 T4의 정합 교정의 펄스 수(P5)로 설정된다.
용지 정보의 종류가 엽서라고 표시되면, ASF 제어기(201)는 구동 테이블(T2)을 선택한다. 엽서는 정합 교정에 큰 저항을 갖지 않고, 보통 용지와 같은 중간 속도가 정합 교정의 구동 속도로 설정된다.
그러나, 도37의 프린터 측의 LF 롤러(109)와 ASF 급지 롤러(19)가 동시에 회전할 때, 엽서와 같은 매우 경질인 용지는 쉽게 변형되지 않고, 고속 외주 속도의 급지 롤러(19)가 LF 롤러(109)의 마찰력에 저항할 때 이송되어 종료된다. 엽서의 전방 단부가 LF 롤러(109)의 회전 양(R3)만큼 이송되어 종료되기 때문에, 정확한 인쇄 결과가 달성될 수 없다. 이점을 제거하기 위해, 단계 S22의 정합 교정의 펄스 수(P5)를 위한 가장 큰 가능값이 테이블(T2)에 설정된다. 확실히, 용지(200)를 검지하기 위한 용지 말단 센서(108)에 필요한 급지 모터의 역 구동 펄스 수에 의해 결정된 P5 = Pmax - Pc로 표현되는 변수가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지 말단 센서(108)가 용지(200)를 검지할 때마다, 단계 S22가 도35에서 종료될 때 급지 모터(27)가 역으로 구동되는 펄스의 총수는 Pmax가 된다. 즉, 급지 롤러 기어(19a)의 무치형부(19b)는 역전 유성 기어(35)와 대면하고 접촉부에서 미끄러지는 위치까지 확실하게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단계 S22의 완료 이후의 급지 롤러(19)의 회전 방향 상태는 초기화 위치에서 현저하게 전진된 위치로 이동한 다음, 급지 롤러(19)의 상태는 급지 롤러(19)가 단계 S40에서 회전하더라도 초기화 위치로 빨리 복귀한다. 따라서, 압력판(26) 상에 적재된 엽서와 픽업 고무(23)가 LF롤러(109)와 급지 롤러(19)의 동기 구동이 시작된 직후에 빨리 분리되기 때문에, 엽서는 더 이상 급지 롤러(19)의 LF 롤러(109)의 마찰에 대한 저항에 의해 이송되지 않는다.
프린터(101)로부터 ASF(1)에 의해 수신된 지종 정보가 ASF(1)에 적합하지 않은 용지 종류이거나 또는 용지 종류가 표시되지 않으면, ASF 제어기(201)는 구동 테이블(T5)을 선택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값이 엽서용 구동 테이블(T2)에서와 같이 구동 테이블(T5)에 저장되지만, 가정된 상태에 따라 다른 종류의 용지 테이블과 동일한 값 또는 다른 종류의 용지 테이블과 완전히 상이한 값이 T5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용지의 경사 공급과, 용지 말단의 손상과, 충돌로 인한 용지의 걸림을 방지하면서 용지를 기록 장치에 이송할 수 있는 ASF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Claims (13)

  1. 급지 개구를 갖고 급지 개구로부터 수동으로 이송된 용지 상에 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장치 본체와, 이 기록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고 용지가 급지 개구를 거쳐 기록 장치에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는 자동 급지기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기록 장치가,
    급지 개구로부터 수동으로 이송된 용지의 측부를 제한함으로써 급지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해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과,
    기록 장치 본체에 자동으로 이송된 용지의 측부를 제한함으로써 급지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해 자동 급지기에 마련된 자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급지기로부터 이송된 용지는 자동 급지기가 기록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에 맞닿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은 자동 급지기가 기록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자동 급지기로부터 이송된 용지가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에 맞닿지 않도록 후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은 자동 급지기로부터 이송된 용지가 통과하는 통로 아래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은 자동 급지기로부터 이송된 용지가 통과하는 통로의 측부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이 급지 개구로부터 자동으로 이송된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급지 트레이 상에 마련되고, 자동 급지기가 기록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급지 트레이가 통로 아래로 후퇴할 수 있도록 급지 트레이를 수용하기 위해 자동 급지기 본체에 트레이 수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급지 트레이는 급지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위치와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 사이에서 기록 장치 본체 상에 회전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급지 트레이는 자동 급지기가 기록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급지 트레이를 용지 지지 위치로부터 회전시킴으로써 트레이 리시버에 의해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자동 급지기가 기록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급지 트레이를 용지 지지 위치로부터 더 회전시킴으로써 급지 트레이를 트레이 수용부로 안내하기 위해 트레이 수용부에 안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이 용지 크기에 따라 이동 가능한 가동 위치 결정 부재를 갖고, 트레이 수용부가 가동 위치 결정 부재의 위치와는 무관하게 급지 트레이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자동 급지기가, 용지 스택을 지지하는 용지 지지 수단과, 용지 지지 수단으로부터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급지 수단과, 급지 수단으로부터 이송된 용지들을 하나씩 분리하기 위한 용지 분리 수단을 가지며, 자동 급지기용 위치 결정 수단이 용지 지지 수단 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자동 급지기가, 용지 스택을 지지하기 위한 용지 지지 수단과, 용지 지지 수단으로부터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급지 수단과, 급지 수단으로부터 이송된 용지들을 하나씩 분리하는 용지 분리 수단을 가지며, 상기 용지 분리 수단이 전기적으로 대전될 수 있는 판 부재와 이 판 부재의 하류측에 위치한 경사면을 가지며, 트레이 수용부가 경사면의 내측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판 부재가 약간 강성을 갖는 용지들을 분리하고, 경사면이 큰 강성을 갖는 용지들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본체 위치 결정 수단이 수동으로 이송된 용지의 측부 위치를 제한하기 위하여 기록 장치 본체에 마련되고, 수동 급지 표준이 본체 위치 결정 수단 및 수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고, 수동 급지 표준이 자동 급지를 위한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용지 이송용 급지 표준보다는 용지의 폭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기록 장치 본체가 휴대형 형상을 취하고, 기록 장치 본체의 기록 수단이 잉크 제트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KR1019990013423A 1998-04-15 1999-04-15 기록 장치 KR100342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05240 1998-04-15
JP10524098A JP3526209B2 (ja) 1998-04-15 1998-04-15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229A KR19990083229A (ko) 1999-11-25
KR100342643B1 true KR100342643B1 (ko) 2002-07-03

Family

ID=1440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423A KR100342643B1 (ko) 1998-04-15 1999-04-15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54133B2 (ko)
EP (1) EP0950530B1 (ko)
JP (1) JP3526209B2 (ko)
KR (1) KR100342643B1 (ko)
CN (1) CN1103693C (ko)
DE (1) DE6992954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Q056099A0 (en) * 1999-05-25 1999-06-1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 method and apparatus (pprint01)
US7173719B2 (en) * 2001-09-04 2007-02-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grated raster image processor and electro-photographic engine controller
JP2005041604A (ja) * 2003-07-23 2005-02-17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JP2005047227A (ja) * 2003-07-31 2005-02-24 Canon Inc 両面記録装置
JP4773785B2 (ja) * 2004-09-28 2011-09-14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2006188312A (ja) * 2005-01-04 2006-07-20 Funai Electric Co Ltd プリンタ
US7916318B2 (en) * 2005-05-13 2011-03-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method
JP4612872B2 (ja) * 2005-06-30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給紙装置、並びに記録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KR100720723B1 (ko) * 2005-10-20 200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다목적 급지장치
US7850300B2 (en) * 2007-01-04 2010-12-1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321745A1 (en) * 2009-06-19 2010-12-23 Visioneer, Inc. Portable battery powered multi-media duplex scanner with optional docking station
JP5623173B2 (ja) 2010-07-30 2014-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DE202010015351U1 (de) * 2010-11-11 2011-02-03 Francotyp-Postalia Gmbh Vorrichtung zur Absenkung, Positionierung und Anhebung von Druckelementen eines Druckergeräts
JP6044170B2 (ja) * 2012-08-10 2016-1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888261B2 (ja) * 2016-09-30 2021-06-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7309375B2 (ja) 2019-01-31 2023-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8235A (en) * 1990-08-10 1993-08-2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DE69122596T2 (de) 1990-12-28 1997-03-06 Canon Kk Aufzeichnungssystem mit automatischem Blattversorgungsapparat
JP2984066B2 (ja) * 1991-01-29 1999-11-29 富士通アイソ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用自動給紙装置
US5648808A (en) 1991-06-10 1997-07-15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sheet feeding apparatus
JP2925368B2 (ja) 1991-07-25 1999-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872452B2 (ja) 1991-07-30 1999-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給紙装置及び記録装置
EP0528434B1 (en) 1991-08-21 1998-11-11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sheet feeding apparatus
US5358230A (en) 1992-04-24 1994-10-2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US5480247A (en) * 1992-05-29 1996-01-0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US5423526A (en) 1992-06-26 1995-06-1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JP3197960B2 (ja) 1992-09-30 2001-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268324B2 (ja) 1992-12-22 2002-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5332209A (en) * 1993-10-27 1994-07-26 Eastman Kodak Company Adjustable feed tray assembly
JP3574169B2 (ja) 1993-12-03 2004-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US5547062A (en) * 1995-05-31 1996-08-20 Diversified Technologies, Inc. Universal currency accep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693C (zh) 2003-03-26
JP3526209B2 (ja) 2004-05-10
EP0950530B1 (en) 2006-01-25
EP0950530A2 (en) 1999-10-20
US6654133B2 (en) 2003-11-25
KR19990083229A (ko) 1999-11-25
US20030197881A1 (en) 2003-10-23
DE69929547D1 (de) 2006-04-13
DE69929547T2 (de) 2006-11-09
EP0950530A3 (en) 2000-05-17
CN1240170A (zh) 2000-01-05
JPH11292315A (ja) 1999-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643B1 (ko) 기록 장치
US6200043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sheet feeding apparatus
US7547011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735822B2 (en) Sheet cassett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3697059B2 (ja) 画像形成装置
EP0950528B1 (en) Feeding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and feeding control method
US6567187B1 (en) Printing apparatus and feeding control method
JP3647258B2 (ja) 自動給送装置、記録装置、および自動給送装置の制御方法
JP3715823B2 (ja) 記録装置および給送制御方法
JP3530738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611276B2 (ja) 自動給送装置、記録装置および自動給送装置の制御方法
JPH11292314A (ja) 画像形成装置
JPH11301055A (ja) 装置同士の着脱連結機構と該機構によってシート給送装置と記録装置本体とが連結された記録装置
JPH11301045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11301056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1301053A (ja) 画像形成装置
JPH0895332A (ja) 記録装置
JP3080177B2 (ja) 自動給紙装置
JP2838236B2 (ja) 自動給紙装置
JP2855372B2 (ja) 記録装置
JP3397555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855373B2 (ja) 自動給紙装置
JPH04308129A (ja) シート材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