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208B1 - 다중전송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208B1
KR100336208B1 KR1019950002870A KR19950002870A KR100336208B1 KR 100336208 B1 KR100336208 B1 KR 100336208B1 KR 1019950002870 A KR1019950002870 A KR 1019950002870A KR 19950002870 A KR19950002870 A KR 19950002870A KR 100336208 B1 KR100336208 B1 KR 100336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ransmission
state
fram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5179A (ko
Inventor
카와니시토시아키
테라야마코지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5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5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2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3Management of data rate on the b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1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 or a data transmission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6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ICE-powered road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이 기동개시후 통상동작상태로 될때까지의 기간중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디지털정보에 관한 트래픽량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고 또 디지털정보전송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다중전송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 다중전송장치는, 디지털정보가 다중전송되는 통신라인(11)과, 각각이 연산처리유닛을 내장해서 디지털정보를 통신라인(11)에 송출하는 정보송출동작 및 통신라인(11)으로부터 디지털정보를 선택적으로 도입하는 정보도입동작을 행하게 되는 복수의 통신노드(12A, 12B, 12C)를 포함해서 이루어진다. 이 복수개의 통신노드(12A,12B,12C)의 기동시에 있어서, 복수개의 통신노드(12A,12B,12C)중의 가장 빠른 통상동작상태로 된 것이 디지털기동정보를 송출하고, 다른 것에 디지털 기동정보에 따라서 통상동작상태로 이행한다.

Description

다중전송장치
본 발명은 복수종의 디지털정보를 다중전송하는 통신라인에, 각각이 디지털정보의 통신라인에의 송출 및 통신라인으로부터의 디지털정보의 도입을 행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접속되어 구성되는 다중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에 있어서는, 장비되는 전장품 또는 제어시스템의 증가 및 각종의 전장품 또는 제어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자화의 진전에 따라서 차량내에 배치되는 배선, 컨넥터 및 전자제어장치의 수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 차체에 장착되는 와이어-하네스의 규모의 대형화 및 중량증가가 초례되고 있다. 그리고, 와이어·하네스의 대규모화는 와이어·하네스의 차체예의 장착스페이스가 제한되게 되는 동시에 복수개의 와이어·하네스의 묶음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와이어·하네스의 유연성이 저하해서 조립작업의 능률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또한, 와이어·하네스의 중량증가는 직접적으로 차량의 중량증가로 연결되게 된다.
최근에, 상술한 문제들은 해결하기 위해서 차량에 있어서의 배선, 컨넥터 및전자제어장치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다중전송장치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16845호에도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에 장비된 각종의 전장품, 제어시스템등에 대한 동작제어를 행하기 위한 복수종의 디지털정보를 다중 전송하는 공통의 통신라인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통신라인에 디지털정보의 송출 또는 디지털정보의 도입을 행하는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접속되고, 차량에 장비된 각종의 전장품, 제어시스템 등이 복수개의 통신노드에 적절히 접속되어서 구성되는 다중통신기구를 차량내에 구축하는 것이 제안도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차량에 구축되는 다중통신기구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차체에 배치된 와이어·하네스가 형성하는 신호전송로에 의해서 다중화된 디지털정보가 전송되는 통신라인이 형성되고, 그 통신라인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에는 각종의 센서 및 스위치 등의 신호발생부 및 차량의 각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램프류, 작동기류, 모터류 등의 작동부가 그룹화되어서 접속된다. 이러한 신호발생부 또는 작동부가 접속되는 통신노드는, 예를 들면, 통신라인과의 접속이 행해진 통신부와, 신호발생부 또는 작동부와 접속이 행해진 입출력처리부와, 그들간에 개재하게 된,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지고 구성되는 연산처리유닛을 포함한 구성을 취하게 되고, 연산처리유닛이 입출력처리부를 통한 신호발생부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모터류등의 동작제어용의 디지털정보를 형성하는 동시에 통신부가 입출력처리부 및 연산 처리유닛에 의해 형성된 디지털정보를 통신라인에 송출하는 동작 및 통신부가 통신라인으로부터 선택된 동작제어용의 디지털정보를 도입해서, 연산처리유닛 및 입출력처리부가 통신부를 통해서 도입된 디지털정보에 의거해서 동작제어신호를형성하고, 그것을 접속된 작동부에 공급해서 작동부의 동작제어가 행해지도록 하는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통신라인에 의해 다중전송되는 디지털정보는, 각각이 펄스코드모듈레이션(PCM)신호에 의해 표시되고, 논·리턴·투·제로(NRZ)변조에 의해 얻어지는 NRZ변조반송파 신호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에 있어서, 통신라인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 또는 통신라인으로부터의 디지털정보의 도입 혹은 디지털정보의 송출 및 디지털정보의 도입을 행하는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접속되서 구축되는 다중통신기구에 있어서는, 각 통신노드 로부터 통신라인에 송출되어 미리 지정된 통신노드에 의해 도입되는 디지털정보가 그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데이터프레임단위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프레임단위는 소정의 총비트수를 가지고 미리 설정된 데이터형식에 따른 것으로서 구성되는 코드데이터의 그룹으로 된다.
이와 같은 통신라인에 접속된 복수개의 통신노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제 1-143533호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들에 대한 전력공급을 행하는 전원부가 비작동상태(오프상태)로부터 동작상태(온상태)로 전환되어서 기동이 개시된 후, 각각이 소정상승시간의 경과후에 통신라인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 또는 통신라인으로부터의 디지털정보의 도입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송수신가능상태를 취하도록 된다. 그리고, 송수신가능상태로 된 통신노드는 우선 다른 통신노드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디지털정보의 송출을 요구하는 내용을 가진 송신요구데이터프레임단위를 송출하고, 그 송신요구데이터프레임단위를 도입한 다른 통신노드가 도입된 송신요구데이터프레임단위의 내용에 응답해서 송출하는 미리 지정된 디지털정보를 도입해서, 그에 의거해서 스스로 초기동작상태를 설정을 행하고, 그후, 통상동작상태로 들어간다.
그러나, 종래의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전원부가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전환되어서 기동이 개시된 후에 있어서의 각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상승시간은 비록 설계상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된 것에 있어서도, 실제로는, 통신노드상호간에 있어서의 구체회로구성의 상위, 회로소자의 특정의 편차등등에 기인해서 각각 다르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통신노드는 기동개시후 송수신가능 상태가 될 때까지의 시간이 각각의 상승시간에 따라서 상위하게 되며, 이러한 상승 시간의 상위는 각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초기동작상태설정에 영향을 미친다.
즉, 상승시간이 비교적 짧으며, 따라서, 기동개시후 송수신가능상태가 될 때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짧게 되는 통신노드가, 초기동작상태설정을 행하기 위해서 송신요구데이터프레임단위를 송출할 때, 상승시간이 비교적 길며, 따라서, 기동개시후 송수신가능상태가 될 때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길게 되는 다른 통신노드는 아직 송수신가능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며, 이와 같은 통신노드는 송신 요구데이터프레임단위를 도입할 수 없다. 또한, 상승시간이 비교적 짧은 통신노드가 송출하는 송신요구데이터프레임단위가 상승시간이 비교적 긴 통신노드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디지털정보의 송출을 요구하는 내용을 가진 것인 경우에는, 상승시간이 비교적 짧은 통신노드로부터 송신요구데이터프레임단위가 최초로 송출된 시점에 있어서는, 상승시간이 비교적 긴 통신노드는 아직 송수신가능상태로 되어 있지 않아, 미리 지정된 디지털정보의 송출은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승시간이 비교적 짧은 통신노드는 적어도 최초의 송신요구데이터프레임단위의 송출에 의해서는 초기동작상태설정을 행할 수 없으며, 그 때문에, 송신요구데이터프레임단위의 송출을 반복하게 된다. 그후, 상승시간이 비교적 긴 통신노드가 송수신가능상태가 되고, 상승시간이 비교적 짧은 통신 노드로부터의 송신요구데이터프레임단위의 내용에 따라서, 미리 지정된 디지털정보를 송출하면, 비로서 상승시간이 비교적 짧은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초기동작상태설정이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시간이 비교적 짧은 통신노드가 송출하는 송신요구데이터 프레임단위가 상승시간이 비교적 긴 통신노드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디지털정보의 송출을 요구하는 내용을 가진 것인 경우에는, 상승시간이 비교적 짧은 통신노드는 상승시간이 비교적 긴 통신노드가 송수신가능상태로 될때까지 초동작상태설정을 행할 수 없으며, 그 사이에 있어서 송신요구데이터프레임단위의 송출을 반복해야 한다. 그 때문에, 각 통신노드가 접속된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디지털정보에 관한 트래픽량의 증대가 초래되게 되며, 통신라인을 통해서의 디지털정보의 효율이 좋은 전송 및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신속한 송수신의 실현에 지장을 주게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본 발명은 복수종의 디지털정보를 다중전송하는 통신라인에 복수의 통신노드가 접속되어서 구성되고, 각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기동시의 상승 시간이 각각 상위한 것에 있어서도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디지털정보에 관한 트래픽량의 저감이 효과적으로 도모되며, 그 때문에, 통신라인을 통해서의 디지털정보의 효율이 좋은 전송 및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신속한 송수신이 행해지게 되는다중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접속되고, 또한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통신상태가 정상일 때, 상기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그 자신의 소정의 데이터를 가진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하여 또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송신된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제어를 행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은;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상태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통신노드의 통신상태가 정상이 아닐 때, 통신상태검출후의 소정의 제 1기간을 개측해서, 이 제 1기간동안에 통신프레임의 송수신을 금지하는 수단과;
제 1기간의 계측의 종료후의 소정의 제 2기간을 계측해서, 이 제 2기간동안에 통신 프레임의 송신은 금지하지만, 통신프레임의 수신은 허용하는 수단과; 그리고
제 2기간동안에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통신프레임이 수신될 때, 제 2기간의 계측의 종료전에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을 허용하는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기간이 계측되고, 이제 2기간중에는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금지되어, 또 상기 제 2기간중에는 통신프레임 수신이 허용된다. 또한, 제 2기간중의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통신프레임이 수신될 때,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은 제 2기간의 경과전에 허용된다.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수신하는 일이 없이 제 2기간이 경과되었을 때,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허용된다. 이 때문에,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기동 또는 리세트시에 서로 다른 상승시간을 가질 경우라도 기동개시후 통신 노드가 각각 통상동작상태로 설정될때까지의 필요한 기간중에 다중전송로에 있어서의 디지털데이터와 관련된 트래픽량이 효율적으로 저감될 수 있으며, 또한 다중전송로를 통한 디지털데이터의 효율적 전송 및 각 통신노드에서의 신속한 송수신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접속되고, 또한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통신상태가 정상일 때, 상기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그 자신의 소정의 데이터를 가진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하여 또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송신된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제어를 행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은: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상태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통신 노드의 통신상태가 정상이 아닐때, 통신상태검출후의 소정의 제 1기간을 계측해서, 이 제 1 기간동안에 통신프레임의 송수신을 금지하는 수단과;
제 1기간의 계측의 종료후의 소정의 제 2기간을 계측해서, 이 제 2기간동안에 통신프레임의 송신은 금지하지만, 통신프레임의 수신은 허용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통신노드중의, 제 2기간이 가장 빨리 종료하고,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허용되는 통신노드는 그 자신의 통신노드로부터 상기 다중전송경로를 통해서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기간이 계측되고, 이 제 2간중에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금지되어, 또 상기 제 2기간중에 통신프레임의 수신이 허용된다. 또한, 제 2기간이 가장 빨리 종료하고 또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허용되는 통신노드를 제외한 복수개의 통신노드는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송신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기동 또는 리세트시에 서로 다른 상승시간을 가질 경우라도, 기동개시후 통신노드가 각각 통상동작상태로 설정될 때까지의 필요한 기간중에 다중전송로에 있어서의 디지털데이터와 관련된 트랙픽량이 효율적으로 저감될 수 있으며, 또 통상 동작상태로 신속히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상세하게는, 그 자신의 소정의 데이터를 가진 통신프레임을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송신하고, 또한 송신측으로부터 송신된 통신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소정의 상태가 검출되었을 때, 소정의 제 1기간을 계측하고, 이 제 1기간동안에 통신프레임의 송신 및 수신을 금지하는 수단과;
제 1기간의 게측의 종료후에 소정의 제 2기간을 계측하고, 이 제 2기간동안에 통신프레임의 송신은 금지하지만, 통신프레임의 수신은 허용하는 수단과;
제 2기간동안에 소정의 통신프레임이 수신되었을때, 이 제 2기간의 경과전에 통신프레임의 송신을 허용하고, 이 제 2기간이 소정의 통신프레임의 수신없이 경과하였을 때, 그 자신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을 허용하는 수단과; 그리고
제 2기간이 경과하였을 때,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송신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기간에 계측되고, 이 제2기간중에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금지되며, 또 상기 제 2기간중에 통신프레임의 수신이 허용된다. 또한, 제 2 기간중에 다른 통신 노드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통신프레임이 수신될 때,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은 제 2기간의 경과전에 허용된다.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수신하는 일이 없이 제 2기간의 경과되었을 때,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허용된다. 이때문에, 통신노드가 기동 또는 리세트시에 서로 다른 상승시간을 가질 경우라도, 다중전송로에 있어서의 디지털데이터와 관련된 트래픽량은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 통신노드를 통상상태로 신속히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한 것외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다음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그 일부를 형성하고 또 본 발명의 일례를 표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는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중의 하나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에는 상세한 설명 다음의 특성청구의 범위를 참조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의 일례를 표시하며, 이 예에서,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된다.
제 1 도에 표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체에 배치된 복수종의 디지털정보가 다중 전송되는 통신라인(11)에 복수개의 통신노드(12A), (12B)및(12C)가 접속되어 있다. 이 통신노드 (12A)는 통신라인(11)에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용입출력 단자가 접속된 통신부(14)와, 통신부(14)의 데이터비스(15)를 통해서 접속된 연산처리유닛(16)과, 연산처리유닛(16)에 데이터비스(17)를 통해서 접속된 입출력처리부(18)와, 전원라인(20)에 접속된 전원회로(19)를 내장해서 구성되어 있다. 입출력처리부(18)의 입출력단자에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램프구동부 및 기타의 차량에 있어서의 피동작제어부가 접속되는 동시에, 예를 들면, 리트랙터블헤드램프조작용으로 사용되는 스위치, 공조장치의 작동상태검출용으로 사용되는 센서 및 기타의 차량에 있어서의 신호발생부가 접속되어 있다.
전원라인(20)은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21)와, 차량에 탑재된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교류발전기 및 그 교류발전기로부터의 발전전출력을 정류해서 직류전압을얻는 정류기를 포함하는 발전·정류부(22)에 의해 형성되는 직류전압공급부(23)에 전원스위치(24)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으며, 전원스위치(24)가 온상태로 될 때, 직류전압공급부(23)로부터의 직류전압이 전원스위치(24)를 통해서 얻어지게 된다. 이들 직류전압공급부(23) 및 전원스위치(24)를 포함하는 전원라인(20)은 통신노드(12A), (12B)및(12C)에 대해서 전력공급을 하기 위해서 공통으로 설치된 전원부를 구성하고 있다.
르리고, 전원라인(2)에 접속된 전원회로(19)는 전원라인(20)을 통해서 얻어지는 직류전압공급부(23)로부터의 직류전압을 각 통신노드용 소정의 전압치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통신노드(12A)에 있어서의 전원전압을 회로의 작동전압처에 대응해서 3개의 서로 다른 전압 Va, Vb, 및 Vc로 설정하고, 이들 전압을 통신노드(12A)내에 있어서의 통신부(14), 연산처리유닛(16), 입출력처리부(18) 및 다른 회로부분에 적절히 공급한다.
또한, 통신노드(12B) 및 (12C)의 각각도,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통신노드(12A)와 마찬가지로, 통신라인(11)에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용 입출력단자가 접속된 통신부와, 통신부에 데이터버스를 통해서 접속된 연산처리유닛과, 연산처리부에 데이터버스를 통해서 접속된 입출력처리부와, 전원라인(20)에 접속된 전원회로를 내장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입출력처리부에는 차량의 각부에 배치된 피동작제어부 또는 신호발생부가 접속되고, 또한, 전원회로는 전원라인(20)을 통해서 얻어지는 직류전압공급부(23)로부터의 직류전압에 의거해서 형성된 노드내전원전압을 통신노드(12B) 및 (12C)내에 있어서의 통신부, 연산처리유닛, 입출력처리부 및 기타의 회로부분에 적절히 공급하게 된다.
상술한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 전원라인(20)에 삽입된 전원스위치(24)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상태로 되고, 그에 의해 직류전압공급부(23)로부터의 직류전압이 전원라인(20)을 통해서 얻어지게 될 때, 즉 전원부가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바뀔 때, 전원회로(19)에 전원라인(20)을 통해서 얻어지는 직류전원공급부(23)로부터의 직류전압이 공급되어 전체가 기동된다. 그리고, 통신 노드(12A)에 있어서는, 연산처리유닛(16) 및 입출력처리부(18)의 기동이 종료해서 통상 동작상태를 취하게 될 때, 통신부(14)의 동작제어가 행해진다. 더 상세하게는, 입출력처리부(18)에 접속된 신호발생부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는 디지털정보가 입출력처리부(18)로부터 데이터버스(17)를 통해서 연산처리유닛(16)에 공급되고, 연산처리유닛(16)에 의해 입출력처리부(18)로부터의 디지털정보에 의거해서 형성된 통신용디지털 정보가 연산처리유닛(16)으로부터 데이터버스(15)를 통해서 통신부(14)에 공급되고, 이 통신용디지털정보는 통신부(14)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된다. 통신라인(11)으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도례하는 통신용디지털정보는 통신부(14)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도입되는 동시에 데이터버스(15)를 통해서 연산처리유닛(16)에 공급되고, 연산처리유닛(16)으로부터 데이터버스(17)를 통해서 입출력처리부(18)에 통신라인으로부터 도입된 통신용디지털정보에 의거하는 디지털정보가 공급되고, 입출력처리부(18)로부터 그 디지털정보에 따른 제어신호가 입출력처리부(18)에 접속된 피동작제어부에 공급된다. 또한, 입출력처리부는 피동작제어부로부터의 정보도입동작을 선택적으로 행한다.
한편, 전원공급라인(20)에 삽입된 전원스위치(24)가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전환되어, 전원공급부가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바뀔때, 통신 노드(12B) 및 (12C)의 각각의 전원회로도 전원회로에 전원라인(20)을 통해서 얻어지는 직류전압공급부(23)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의 공급이 개시되어 전체가 기동된다. 그리고, 통신노드(12B) 및 (12C)의 각각에 있어서도 연산처리유닛 및 입출력처리부가 통신부의 동작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각 통신노드가 기동해서 통상동작상태를 취하게 되었을 때, 통신노드(12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보송출동작 및 정보도입동작이 선택적으로 행해진다.
이와 같이, 통신라인(11)에 복수개의 통신노드(12A),(12B) 및 (12C)가 접속되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의 일례에 있어서는 전원라인(20)에 삽입된 전원스위치(24)가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되어서 복수개의 통신노드(12A), (12B) 및 (12C)가 기동하고, 그리고 기동후 소정의 기간동안에 통신노드(12A), (12B) 및 (12C)의 각각에 있어서, 이하에 제 2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의 동작타이밍을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제 2도에 의하면, 전원라인(20)에 삽입된 전원스위치(21)가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바뀔 때, 전원라인(20)을 통해서 얻어지는 직류전압공급부(23)로부터의 직류전압의 공급이 개시되어서, 통신노드(12A),(12B) 및 (12C)의 각각에 있어서의 기동이 개시된다. 기동이 개시된 통신노드(12A)에 있어서는, 연산처리유닛(16)이기동개시점 t0로부터 그 후의 시점 t1까지의 미리 설정된 기간 TNA에 있어서 통신부(14)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송출동작 및 정보도입동작의 양쪽을 금지하는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통신노드(12A)에 있어선, 기간 TNA종,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동작 및 통신라인(11)으로부터의 디지털정보의 도입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 기간 TNA는 노드부(12A)의 상승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기동이 개시된 통신노드(12B)에 있어서는, 연산처리유닛이 기동개시 시점 t0로부터 그후의 시점 t2까지의 미리 설정된 기간 TNB에 있어서,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송출동작 및 정보도입동작의 양쪽을 금지하는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통신노드(12B)에 있어서는, 기간 TNB중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동작 및 통신라인(11)으로부터의 디지털정보의 도입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기각 TNB는 통신노드(12B)의 상승시간보다 긴시간으로 설정된다.
또한, 기동이 개시된 통신노드(12C)에있어서는, 연산처리유닛이 기동개시시점 t0로부터 그 후의 시점 t3까지의 미리 설정된 기간 TNC에 있어서,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송출동작 및 정보도입동작의 양쪽을 금지하는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통신노드(12C)에 있어서는, 기간 TNC중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 및 통신라인(11)으로부터의 디지털정보의 도입은 행해지지 않는다. 기간 TNC는 통신노드(12C)의 상승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된다.
이들 기간 TNA, TNB 및 TNC는 설계상에 있어서는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지만, 각각 통신노드(12A), (12B) 및 (12C)에 있어서 개별로 계측되도록 되어, 그 결과, 실제로는 통신노드(12A),(12B) 및 (12C)의 각각의 특성에 따라서, 예를 들면,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간 TNA가 기간 TNB보다 짧게, 또한 기간 TNB가 기간 TNC보다 짧게 된다.
그후, 통신노드(12A)에 있어서는, 시점 t1이 도래해서 기간 TNA가 경과하면, 연산처리유닛(16)이,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간 TNA에 뒤따르는 기간 TRA에 있어서,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도입동작은 허용되어도 통신부(14)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송출동작은 금지하는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통신노드(12A)에 있어서는, 기간 TRA에 있어서,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으로부터의 디지털정보의 도입동작은 행해지지만,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마찬가기로, 통신노드(12B)에 있어서는, 시점 t2가 도래해서 기간 TNB가 경과하면, 연산처리유닛이,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간 TNB에 뒤따르는 기간 TRB에 있어서,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도입동작은 허용되어도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송출동작은 금지하는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통신노드(12B)에 있어서는, 기간 TRB에 있어서,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으로 부터의 디지털정보의 도입동작은 행해지지만,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통신노드(12C)에 있어서는, 시점 t3가 도래해서 기간 TNC가 경과하면, 연산처리유닛이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간 TNC에 뒤따르는 기간 TRC에 있어서,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도입동작은 허용되어도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송출동작은 금지하는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통상 노드(12C)에 있어서는, 기간 TRC에 있어서,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으로부터의 디지털 정보의 도입동작은 행해지지만,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들 기간 TRA, TRB및 TRC도 설계상에 있어서는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지만, 각각, 통신노드(12A),(12B) 및 (12C)에 있어서 개별로 계측되도록 된다. 그에 의해, 실제로는 통신노드(12A)에 있어서는, 시점 t1으로부터 개시한 TRA가 시점 t4에서 종료하지만, 통신 노드(12A)에 있어서 기간 TRA가 경과한 시점 t4에 있어서는, 통신노드(12B)에 있어서는 기간 TRB가 계속중이며, 또한 통신노드(12C)에 있어서는 기간 TRC가 계속중이다.
통신노드(12A)에 있어서는, 기간 TRA에 있어서, 통신부(14)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도입동작은 허용된다. 그러나, 이 기간 TRA중, 후술하는 디지털기동정보 DSS의 통신라인(11) 및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의 도래는 없어 디지털기동정보의 도입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디지털기동정보 DSS가 도입되는 일없이 시점 t4가 도래해서 기간 TRA가 경과하면, 연산처리유닛(16)이,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점 t4 이후의 기간 TTA에 있어서 통신부(14)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도입동작에 부가해서 통신부(14)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송출동작을 허용하는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통신노드(12A)에 있어서는, 시점 t4이후의 기간 TTA에 있어서는, 정보도입동작 및 정보송출동작이 선택적으로 행해지는 통상 동작상태가 취해지고,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911)으로부터의 디지털정보의 도입 및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동작이 선택적으로 행해진다.
통상동작상태의 통신 노드(12A)에 있어서는, 연산처리유닛(16)이,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점 t4의 직후의 시점 t5에 있어서, 기동이 종료한 것을 표시하는 디지털기동정보 DSS를 통신용디지털정보로서 데이터비스를 통해서 통신부(14)에 공급하고, 디지털기동정보 DSS가 통신부(14)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되게 되는 상태를 취한다. 그때, 디지털기동정보 DSS는 연산처리유닛(16)에 있어서 형성되는 디지털제어정보중의 하나로 되어서, 다른 디지털제어정보와 마찬가지로 데이터프레임단위를 형성하게 되며 또한, 통신부(14)에 있어서, 예를 들면,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시점 t5에 있어서, 통신노드(12A)로부터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를 취하게 된 디지털기동정보 DSS가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된다.
디지털기동정보 DSS가 형성하는 데이터프레임단위인 기동데이터프레임단위 FDSS는, 제 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총 비트수, 예를 들면 99비트로 구성된 코드데이터의 그룹으로 되고, 그 내용은 8비트구성의 프레임스타트마키(SOF), 8비트구성의 우선순위에 관한 데이터(PR), 8비트구성으로 된, 데이터프레임단위의 타입을 표시하는 데이터(TYP), 8비트구성으로 된, 전송되는 디지털정보의 종류를 표시하는 정보식별데이터(ID), 각각이 8비트구성으로 된, 전송되어야 할 디지털정보를 표시하는 데이터(DT0), (DT1), (DT2), 및 (DT3), 8비트구성의 에러정정용데이터(CRC), 16비트구성으로 된 정보수신확인데이터(ANC), 10비트구성의 프레임엔드마커(EOF) 및 1비트 구성의 아이들링마커(IDL)가 순차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기동데이터프레임단위 FDSS에 있어서는 정보식별데이터(ID)가 디지털기동정보 DSS인 것을 표시하고, 또한, 데이터(DT0),(DT1)(DT2) 및 (DT3)가 디지털기동정보 DSS의 내용을 표시한다.
제 2도를 다시 참조하면, 시점 t4의 직후의 시점 t5에 있어서 통신노드(12A)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된 디지털기동정보 DSS는 기간 TRB가 계속중인 통신노드(12B)에 있어서, 통신라인(11)으로부터 쌍방향 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부에 의해 도입되고, 또한, 연산처리유닛에 공급되며, 또한, 기간 TRC가 계속중인 통신노드(12C)에 있어서도 통신라인(11)으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부에 의해 도입되고, 또한, 연산처리유닛에 공급된다.
통신노드(12A)로부터의 디지털기동정보 DSS의 도입이 행해진 통신노드(12B)에 있어서는, 연산처리유닛이, 도입된 디지털기동정보 DSS에 따라서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도입동작에 부가해서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송출동작도 허용하는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통신노드(12B)에 있어서는,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점 t2로부터 개시한 기간 TRB가 미리 예정된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시점 t5에 있어서 종료되게 되며, 시점 t5이후의 기간 TTB에 있어서는, 정보도입동작 및 정보송출동작이 선택적으로 행해지는 통상동작상태를 취하게되고,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으로부터의 디지털정보의 도입동작 및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동작이 선택적으로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통신노드(12A)로부터의 디지털기동정보 DSS의 도입이 행해진 통신노드(12C)에 있어서도, 연산처리유닛이, 도입된 디지털기동정보 DSS에 따라서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도입동작에 부가해서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송출 동작도 허용하는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통신노드(12C)에 있어서는,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점 t3로부터 개시한 기간 TRC가 미리 예정된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시점 t5에 있어서 종료되게 되며, 시점 t5이후의 기간 TTC에 있어서는, 정보도입동작 및 정보송출동작이 선택적으로 행해지는 통상동작상태를 취하게 되고,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으로부터의 디지털정보의 도입 동작 및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동작이 선택적으로 행해진다.
그리고, 시점 t4이후 통상동작상태를 취하게 된 통신노드(12A)에 있어서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점 t5의 직후 t6에 있어서, 연산처리유닛(16)이 통신부(14)를 통해서, 또한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필요에 따라서 송출되어야할 디지털제어정보를 모아서 송출하는 초기정보송출동작이 행해지는 상태를 취한다. 그때, 각 디지털제어정보는 제 3도에 표시한 기동데이터프레임단위 FDSS와 같은 데이터프레임단위를 형성하게 되고, 또한, 통신부(14)에 있어서, 예를 들면, NRZ 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에 의해, 시점 t6에 있어서, 통신노드(12A)로부터, 각각이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를 취하게 된 복수종의 디지털제어정보가 순차로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된다.
이와 같이 해서, 시점 t6에 있어서, 통신노드(12A)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되는 디지털제어정보는 통신노드(12B) 및 (12C)의 각각에 있어서, 연산처리유닛에 의한 제어하에 통신부를 통해서 필요에 따라서 도입되어, 통신노드(12B) 및 (12C)의 각각에 있어서의 초기동작상태설정에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시점 +7에 있어서, 통신노드(12B)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되는 디지털제어정보는 통신노드(12C) 및 (12A)의 각각에 있어서, 연산처리유닛에 의한 제어하에 통신부를 통해서 필요에 따라서 도입되어, 통신노드(12C) 및 (12A)의 각각에 있어서의 초기동작상태실정에 사용되며, 또한, 시점+8에 있어서, 통신노드(12C)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되는 디지털제어정보는 통신노드(12A)및 (12B)의 각각에 있어서, 연산처리 유닛에 의한 제어하에 통신부를 통해서 필요에 따라서 도입되어, 통신노드(12A)및 (12B)의 각각에 있어서의 초기동작상태설정에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도에 표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의 예에 있어서는, 통신노드(12A),(12B) 및 (12C)의 각각이 기동이 개시된 후 통상동작상태가 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는, 기동개시후 가장 빠르게 통상동작상태가 되는 통신노드(12A)로부터 통신라인(11)에 디지털기동정보 DSS가 송출되고, 그 디지털 기동정보 DSS가 통신노드(12B) 및 (12C)의 각각에 의해 통신라인(11)으로부터 도입되게 될 뿐이고, 그 때문에 통신노드(12A),(12B) 및 (12C)의 각각에 있어서의 기동시의 상승시간이 각각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통신노드(12A),(12B) 및 (12C)의 각각이기동개시후 통상동작상태가 될때까지의 기간중의 통신라인(11)에 있어서의 디지털정보에 관한 트래픽량의 저감이 효과적으로 도모되게 된다.
또한, 제 1도에 표시한 예에 있어서는, 통상동작상태를 취하게 된 통신노드(12A), (12B)및 (12C)의 어느 하나에 사고등에 의해 리세트가 행해지는 사태가 발생해서 다시 기동되게 되는 경우, 또는, 통신노드(12A),(12B)및 (12C)의 어느하나가 다른 것이 통상동작상태를 취하게 된 후에, 지인되어 기동되게 되는 경우등에 있어서 그 기동되어야 할 통신노드가 신속하게 통상동작상태로 이행되게 된다.
예를 들며,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점 t5로부터 개시판기간 TTC에 있어서, 통상동작상태를 취하게 된 통신노드(12C)에 있어서, 어떤 이유에 의해, 시점 t8후의 시점 t9에 있어서 리세트가 행해지는 사태가 발생해서, 시점 t9에 있어서 기동이 개시되는 경우, 기동이 개시된 통신노드(12C)에 있어서는, 연산처리유닛이 기동개시점 t9로부터 그 후의 시점 t10까지의 미리 설정된 기간 TNC'에 있어서,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송출동작 및 정보도입동작의 양쪽을 금지하는 상태를 취한다. 그후, 시점 t10이 도래해서 기간 TNC'가 경과하면, 연산처리유닛이 기간 TNC'에 뒤따르는 기간 TRC'에 있어서,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 도입동작은 허용해도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송출동작은 금지하는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통신노드(12C)에 있어서는, 시점 t10으로부터 개시하는 기간 TRC'에 있어서,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으로부터의 디지털 정보의 도입은 행해지지만,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은 행해지지않는 상태가 취해진다.
이와 같이 해서, 시점 t9에 있어서, 기동이 개시된 통신노드(12C)가 시점 t10에 있어서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동작도 통신라인(11)으로부터의 디지털정보의 도입동작도 행해지지 않는 상태로부터 디지털정보의 도입동작만이 행해지는 상태로 복귀하면, 그때 통상동작상태에 있는 통신노드(12A)의 연산처리유닛(16)이 제 3도에 표시한 기동데이터프레임을 쌍방향 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하고, 그후, 통신라인(11)으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노드(12A)에 복귀하며, 통신부(14)를 통해서 통신노드(12A)에 도입된 디지털제어정보가 형성하는 데이터프레임단위에 있어서의 정보수신확인데이터 ANC에 의거해서 통신노드(12C)에 있어서의 복귀가 검지된다. 그리고 통신노드(12C)에 있어서의 복귀를 검지한 통신노드(12A)에 있어서의 연산 처리유닛(16)은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시점 t11에 있어서, 복귀를 확인한것을 표시하는 디지털복귀확인정보 DRR을 통신용디지털정보로서 데이터버스(15)를 통해서 통신부(14)에 공급하고, 디지털복귀확인정보 DRR이 통신부(14)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되게 되는 상태를 취한다. 그때, 디지털복귀확인정보 DRR은 연산처리유닛(16)에 있어서 형성되는 디지털제어정보의 하나가 되어서, 다른 디지털제어정보가 형성되는 것과 같은 데이터프레임단위를 복귀 확인데이터프레임단위로서 형성하게 되고, 또한, 통신부(14)에 있어서, 예를 들면,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시점 t11에 있어서 통신노드(12A)로부터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를 취하게 된 디지털복귀확인정보 DRR이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된다.
또한, 시점 t10에 있어서 통상동작상태에 있는 통신노드(12B)의 연산처리유닛에 있어서도, 기동데이터프레임이 통신부 및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되고, 그후, 통신라인(11)으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노드(12B)에 복귀하고, 통신부를 통해서 통신노드(12B)에 도입된 디지털제어정보가 형성하는 데이터프레임단위에 있어서의 정보수신확인데이터 ANC에 의거해서, 통신노드 12C에 있어서의 복귀가 검지된다. 그리고, 통신노드(12C)에 있어서의 복귀를 검지한 통신노드(12B)에 있어서의 연산처리유닛도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시점 t11에 있어서, 복귀를 확인한 것을 표시하는 디지털복귀확인정보 DRR을 통신용디지털정보로서 통신노드(12B)의 통신부에 공급하고, 디지털복귀확인정보 DRR이 통신부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되게 되는 상태를 취한다. 그에 의해, 시점 t11에 있어서, 통신노드(12B)로부터도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를 취하게 된 디지털복귀확인정보 DRR이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하여 통신라인(11)에 송출된다.
시점 t11에 있어서 통신노드(12A)및 통신노드(12B)의 각각으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된 디지털복귀확인정보 DRR은 기간 TRC가 계속중인 통신노드(12C)에 있어서, 통신라인(11)으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부에 의해 도입되고, 또한, 연산처리유닛에 공급된다. 그리고, 디지털 복귀확인정보 DRR의 도입이 행해진 통신노드(12C)에 있어서는 연산처리유닛이, 도입된 디지털복귀확인정보 DRR에 따라서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도입동작에 부가해서 통신부를 통해서 행해지는 정보송출동작도 허용하는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통신노드(12C)에 있어서는,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점 t10으로부터 개시한 기간 TRC'가 미리 설정된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시점 t11에 있어서 종료되게 되며, 시점 t11이후의 기간 TTC'에 있어서는, 정보도입동작 및 정보송출동작이 선택적으로 행해지는 통상동작상태가 취해져서,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11)으로부터의 디지털정보의 도입동작 및, 쌍방향도입라인(13)을 통한 통신라인911)에의 디지털정보의 송출동작이 선택적으로 행해진다.
그리고, 시점 t11이후 통상동작상태를 취하게 된 통신노드(12C)에 있어서는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점 t11직후의 시점 t12에 있어서, 연산처리유닛이 통신노드(12A)및 (12B)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디지털제어정보의 송출을 요구하는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를 통신용디지털정보로서 통신부에 공급하고,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가 통신부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되게 되는 상태를 취한다. 그때,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는 다른 디지털제어정보와 마찬가지로 데이터프레임단위를 형성하게 되고, 또한, 통신부에 있어서, 예를 들면,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시점 t12에 있어서 통신노드부(12C)로부터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를 취하게 된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가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된다.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가 형성하는 송신요구데이터프레임단위 FDTT는, 예를 들면, 제 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총비트수, 예를 들면, 99비트로 구성된 코드데이터의 그룹이 되며, 그 내용은 8비트구성의 프레임스타트마커 SOF, 8비트구성의 우선순위에 관한 데이터 PR, 8비트구성으로 된, 데이터프레임단위의 타입을 표시하는 데이터 TYP, 8비트구성으로 된, 전송되는 디지털정보의 종류를 표시하는 정보식별데이터 ID, 각각이 8비트구성으로 된, 송신을 요구하는 디지털 정보의 종류를 표시하는 요구정보데이터 RID1, RID 2, 및 RID3, 8비트구성의 에러정정용데이터 CRC, 16비트 구성으로 된 정보수신확인데이터 ANC, 10비트구성의 프레임앤드마커 EOF및 1비트구성의 아이들링마커 IDL이 순차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송신요구데이터프레임단위 FDTT에 있어서는, 정보식별데이터 ID가, 전송되는 디지털정보가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인 것을 표시한다.
시점 t12에 있어서 통신노드(12C)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된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는 통상동작상태를 취하게 된 통신노드(12A)에 있어서, 통신라인(11)으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부(14)에 의해 도입되고, 또한, 연산처리유닛(16)에 공급되며, 또한, 마찬가지로 통상동작상태를 취하게 된 통신노드(12B)에 있어서, 통신라인(11)으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부에 의해 도입되고, 또한, 연산처리유닛에 공급된다.
그리고, 통신노드(12C)로부터의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의 도입이 행해진 통신노드(12A)에 있어서는, 연산처리유닛(16)이, 도입된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에 대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요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응답을 요하는 것인 경우에는 도입된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의 요구에 따른 디지털제어정보를 통신용디지털정보로서 통신부에 공급하고,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점 t12후의 시점 t13에 있어서, 그 디지털제어정보가 통신부(14)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되게 되는 상태를 취한다. 이때에 있어서의 디지털제어정보도 다른 디지털제어정보와 마찬가지로 데이터프레임단위를 형성하게 되고 또한, 통신부(14)에 있어서, 예를 들면,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시점 t13에 있어서, 통신노드(12A)로부터 디지털송신요구 정보 DTT의 요구에 따른 디지털제어정보가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를 위하게 되고,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된다.
또한, 통신노드(12C)로부터의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의 도입이 행해진 통신노드(12B)에 있어서도, 연산처리유닛이, 도입된 송신요구정보 DTT에 대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요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응답을 요하는 것인 경우에는 도입된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의 요구에 따른 디지털제어정보를 통신용디지털정보로서 통신부에 공급하여,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점 t12후의 시점 t14에 있어서, 그 디지털제어정보가 통신부로부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되게 되는 상태를 취한다. 이러한 때에 있어서의 디지털제어정보도 다른 디지털제어정보와 마찬가지로 데이터프레임단위를 형성하게 되며, 또한, 통신부에 있어서, 예를 들면,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시점 t14에 있어서, 통신노드(12B)로부터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의 요구에 따른 디지털제어정보가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를 취하게 되며, 쌍방향인입라인(13)을 통해서 통신라인(11)에 송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점 t13에 있어서,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의 요구에 따른 디지털제어정보, 및 시점 t14에 있어서,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의 요구에 따른통신노드(12C)로부터의 디지털제어정보는 시점 t12에 있어서 디지털송신요구정보 DTT를 송출한 통신노드(12C)에 있어서, 연산처리유닛에 의한 제어하에 통신부를 통해서 도입되어, 통신노드(12C)에 있어서의 초기동작상태설정에 사용된다.
상술한 다중전송장치의 예에 있어서는, 통신라인(11)에 3개의 통신노드(12A), (12B) 및 (12C)가 접속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는, 통신라인(11)과 같은 같은 통신라인에 접속되는 통신노드의 수에 대한 제약은 없다. 예를 들면, 통신라인에 2개 또는 4개 이상의 통신노드가 접속되어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전송장치의 상술한 예를 구성하는, 통신라인에 접속된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에 있어서의 연산처리유닛은 통신라인에 접속된 통신노드의 각각이 기동될때에 있어서의 제어동작, 정보송출동작 및 정보도입동작의 모두가 행해지지 않는 상태로부터 정보도입동작만이 행해지는 상태로 이행하는 복귀가 행해진 통신노드와 관련해서의 제어동작, 및, 디지털송신요구정보에 따른 제어동작등을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에 배치된 연산처리유닛이 통신노드의 기동시에 있어서의 제어동작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제어프로그램의 일례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 5도 내지 제 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통신 노드의 각각에 배치된 연산처리유닛이 제어동작을 실행할 때에 실행되는 제어프로그램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더 상세하게는, 제 5도는 복귀가 행해진 통신노드의 제어동작을 실행하는 제어프로그램의 일례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며, 그리고 제 6도 및 제 7도는 복귀확인정보 및 디지털송신요구정보의 전송시에 제어동작을 실행하는 제어프로그램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다음 설명에 있어서, 당해통신 노드란 각연산처리유닛이 속하는 통신노드를 말하다.
제 5도에 의하면, 통신라인에 접속된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기동될 때 스타트하고, 스타트 후, 스텝 S31에 있어서 초기설정을 행하고, 이어지는 스텝 532에 있어서, 당해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정보송출동작 및 정보도입동작의 양자에 대한 금지를 개시하는 동시에, 내장하는 타이머의 개측동작을 개시시킨다(타이머스타트). 다음에, 스텝 S33에 있어서, 타이머의 개측시간 TM이, 미리 설정되 제1의 기간(통신노드(12A)에 대한 기간 TNA, 통신노드(12B)에 대한 기간 TNB, 통신노드(12C)에 대한 기간 TNC, 또는 그에 상당하는 기간)을 정하는 시간 TMN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시간 TMN은 당해통신노드의 상승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선정된다. 스텝 S33에서의 판단의 결과, 타이머의 계측시간 TM이 TMN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33에서의 판단을 반복해서, 타이머의 계측시간 TM이 시간 TMN에 도달했을 때, 스텝 S34로 나아간다.
스텝 S34에 있어서는, 당해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정보송출동작의 금지는 계속하지만, 당해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정보도입동작의 금지를 해제하는 동시에 타이머의 계측동작을 리세트한다(타이머리세트). 그리고, 스텝 S35에 있어서, 디지털복귀확인정보가 도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디지털복귀확인정보가 도입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36에 있어서, 디지털기동정보가 도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결과, 디지털기동정보가 도입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37에 있어서, 타이머의 계측시간 TM이 미리 설정된 제 2의 기간(통신노드(12A)에 대한 기간 TRA, 통신노드(2B)에 대한 기간 TRB, 통신노드(12C)에 대한 기간 TRC또는 그에 상당하는 기간)을 정하는 시간 TMR에 도달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37에서의 판단의 결과, 타이머의 계측시간 TM이 시간 TMR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35에 복귀하며, 타이머의 계측시간 TM이 시간 TMR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스텝 S38에 나아간다.
스텝 S38에 있어서는, 당해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정보도입동작의 금지의 해제에 부가해서 당해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정보송출동작의 금지를 해제하고, 당해 통신노드를 통상동작상태로 하는 동시에 타이머의 계측동작을 정지시킨다(타이머스톱).
그리고 스텝 S39에 있어서, 당해통신노드에 있어서의 기동이 종료한 것을 표시하는 디지털기동정보가 당해 통신노드로부터 통신라인에 송출되는 상태로 하고, 이어지는 스텝 S40에 있어서, 당해 통신노드로부터 통신라인에 필요에 따라서 송출되어야할 디지털제어정보를 모아서 송출하는 초기정보송출동작이 행해지는 상태로 해서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36에서의 판단의 결과, 디지털기동정보가 도입되었을 때에는 스텝 S41에 있어서, 당해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정보도입동작의 금지의 해제에 부가해서 당해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정보송출동작의 금지를 해제하고, 당해통신노드를 통상동작 상태로 하는 동시에 타이머의 계측동작을 정지시키며(타이머스톱), 그후,스텝 S40에 나아간다. 또한 스텝 S35에서의 판단의 결과, 디지털복귀확인정보가 도입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42에 있어서, 당해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정보도입동작의 금지의 해제에 부가해서 당해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정보송출동작의 금지를 해제하고, 당해통신노드를 통상동작상태로 하는 동시에 타이머의 계측동작을 정지시킨다(타이머스톱). 그리고, 이어지는 스텝 S43에 있어서, 다른 통신노드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디지털 제어정보의 송출을 요구하는 디지털송신요구정보를 당해 통신노드로부터 통신라인에 송출되게 되는 상태로 하고, 그후, 스텝 S40에 나아간다.
제 6도에 의하면, 스타트 후, 스텝 S45에 있어서 정보송출동작 및 정보도입동작의 양쪽을 행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정보도입동작만을 행하는 상태로 이행하는 복귀가 행해진 통신노드(복귀통신노드)의 검색을 개시하고, 이어지는 스텝 S46에 있어서 복귀통신노드가 검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복귀통신노드의 검출은 당해통신 노드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프레임단위에 있어서의 정보수신확인데이터 ANC의 현재의 내용 ANC·P와 현재의 내용 ANC·P로 갱신하기 전의 내용 ANC·F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스텝 S46에서의 판단의 결과, 복귀통신노드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47에 있어서, 복귀를 확인한 것을 표시하는 디지털복귀확인정보가 당해 통신노드로부터 통신라인에 송출되게 되는 상태로 하고, 스텝 S48에 나아간다. 또한, 스텝 S46에서의 판단의 결과, 복귀통신노드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46으로부터 직접 스텝 S48에 나아간다. 그리고, 스텝 S48에 있어서는, 전통신노드에 대하여 복귀통신노드의 점검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전통신노드에 대하여 복귀통신노드의 점검이 행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직접 스텝 S45에 복귀하고, 전통신노드에 대하여 복귀통신노드의 점검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스텝 S49에 있어서, 정보수신확인데이터 ANC의 내용 ANC·F를 현재의 내용 ANC·P로 갱신한 후, 스텝 S45로 복귀한다.
제 7도에 의하면, 스타트 후, 스텝 S51에 있어서, 디지털송신요구정보가 도입되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결과, 디지털송신요구정보가 도입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51에서의 판단을 반복하고, 디지털송신요구정보가 도입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52에 있어서, 도입된 디지털통신요구정보에 의해 요구된 디지털제어정보를 판별한다.
다음에, 스텝 S53에 있어서, 도입된 디지털송신요구정보가 응답을 요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응답을 요하지 않는 것인 경우에는 스텝 S51에 복귀한다. 또한 스텝 S53에서의 판단의 결과, 도입된 디지털송신요구정보가 응답을 요하는 것인 경우에는 스텝 S54에 있어서, 스텝 S52에서의 판별에 의거해서 요구된 디지털제어정보가 당해 통신노드로부터 통신라인에 송출되게 되는 상태로 하며, 그후, 스텝 S51에 복귀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는 통신라인에 접속된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그들에 대한 전원부가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전환되어 기동될 때,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이 기동이 개시된 후 통상동작상태가 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통신노드중의 기동개시후 가장 빨리 통상동작상태로 되는 것으로부터 통신라인에 디지털기동정보가 송출되고, 그 디지털기동정보가 복수개의 통신노드중의 다른 것에 의해 통신라인으로부터 도입된다.
그 때문에 각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기동시의 상승시간이 각각 서로 다르더라도,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이 기동개시후 통상동작상태로 될 때까지의 기간중의 통신라인에 있어서의 디지털정보에 관한 트래픽량의 저감이 효과적으로 도모되어서, 통신라인을 통해서의 디지털정보의 효율이 좋은 전송 및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신속한 송수신이 행해지게 된다.
상술의 이점에 부가해서,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이 디지털송신요구정보의 통신라인에의 송출을 행하지 않고, 스스로의 초기동작상태설정동작에 필요로 하게 되는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다른 것으로부터의 미리 지정된 디지털정보를 통신라인으로부터 도입할 수 있게 되는 이점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중의 하나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통신노드중의 정보송출동작 및 정보도입동작이 양쪽이 금지되는 상태로부터 정보도입동작은 허용되어도 정보송출동작이 금지되는 상태로 이행하는 복귀를 행한 것이지만, 복수개의 통신노드중의 다른 것으로 부터의 디지털복귀확인정보에 의거해서, 신속하게 통상동작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복수개의 통신노드중의 복귀를 행한 것이지만, 복수개의 통신노드중의 다른 것으로부터의 디지털복귀확인정보에 의거해서 통상동작 상태를 취한 후, 디지털송신요구정보의 통신라인에의 송출을 행함으로써 스스로의 초기동작상태설정에 필요로 하게 되는 디지털정보를 통신라인으로부터 도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가지 변경례 및 변형례가 본 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공개하기 위해서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가 작성되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의 일례를 표시하는 블록다이어그램,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의 동작시기를 설명하는 타임차트.
제 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에서 처리되는 디지털제어정보의 데이터프레임의 데이터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전송장치에서 처리되는 다른 디지털제어정보의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다중전송장치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에 장비된 연산처리유닛이 제어동작을 행할 때에 실행되는 제어프로그램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제 6도는 본 발명의 다중전송장치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에 장비된 연산처리유닛이 다른 제어동작을 행할 때에 실행되는 제어프로그램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제 7도는 본 발명의 다중전송장치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통신 노드의 각각에 장비된 연산처리유닛이 또 다른 제어동작을 행할 때에 실행되는 제어프로그램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11) ........ 통신라인
(12A, 12B, 12C) ........ 통신노드
(13) ...... 쌍방향인입라인 (14) ....... 통신부
(16) ...... 연산처리유닛 (18) ........ 입출력처리부
(19) ....... 전원회로 (20) ........ 전원라인
(23) ........ 직류전압공급부 (24) ........ 전원스위치

Claims (25)

  1.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접속되고, 또한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통신상태가 정상일 때, 상기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그 자신의 소정의 데이터를 가진 통신프레임의 송신과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송신된 통신프레임의 선택적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은: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상태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통신노드의 통신상태가 정상이 아닐 때, 그 자신의 노드의 통신상태를 제 1 통신상태로 설정하고, 통신상태검출후의 소정의 제 1기간동안에 통신프레임의 송수신을 금지하는 수단과;
    그 자신의 노드의 통신상태를 제 2통신상태로 설정하고, 제 1기간의 종료 후 소정의 제 2기간동안에 통신프레임의 송신을 금지하지만, 통신프레임의 수신을 허용하는 수단과;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통신프레임이 제 2통신상태로 수신될 때, 제 2기간의 종료전에 제 2통신상태로 있으면서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을 허용하는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간이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수신하지 않고 경과했을 때, 상기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은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을 허용하고, 또한 그 자신의 통신노드로부터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통신노드의 통신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는, 통신노드가 기동되고 있거나 리세트되는 상태에 대응하고, 또한 제 2기간을 계측한 통신노드의 제어유닛은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기동의 종료 또는 리세트를 표시하는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제 2기간을 계측한 통신노드의 제어유닛은 초기통신프레임의 그룹을 송신하고, 그 각각은 그 자신의 통신노드로부터 다른 통신노드에 필요한 초기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통신상태가 정상인 통신노드의 제어유닛이, 다른 통신노드가 제 1기간으로부터 제 2기간으로 이행하고 또한 이 제 2기간중에 있어서 다른 통신노드가 송신 및 수신의 양쪽이 금지되는 상태로부터, 송신은 금지되지만 수신은 허용되는 상태로복귀되는 것을 표시하는 복귀확인통신프레임을 송신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제 2기간으로 이행되는 통신노드가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송신된 복귀확인통신프레임을 수신할 때, 이 통신노드는 제 2기간의 계측의 종료전에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허용되는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의 제어유닛이 복귀확인통신프레임의 수신시에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허용되는 상태를 설정한 후에, 제어 유닛은 다른 통신노드에 지정된 제어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송신요구프레임을 송신하고, 또한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송신된 송신요구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 제어유닛은 통신프레임의 송신요구프레임에서 지정된 그 자신의 소정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통신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기간은 개별적으로 계측되고, 상기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의 제어유닛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프레임은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의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그 자신의 소정의 데이터는 차량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10.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접속되고, 또한 복수개의 통신노드가, 통신상태가 정상일 때, 상기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그 자신의 소정의 데이터를 가진 통신프레임의 송신과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송신된 통신프레임의 선택적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은;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상태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통신노드의 통신상태가 정상이 아닐 때, 그 자신의 노드의 통신상태를 제 1통신상태로 설정하고, 제 1통신상태의 검출후, 소정의 제 1기간동안에 통신프레임의 송수신을 금지하는 수단과;
    그 자신의 노드의 통신상태를 제 2통신상태로 설정하고, 제 1기간의 종료후, 소정의 제 2기간동안에 통신프레임의 송신을 금지하지만, 통신프레임의 수신을 허용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통신노드중의 제 2기간이 가장 빨리 종료하고, 또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허용되는 통신노드는 그 자신의 통신노드로부터 상기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이,
    제 2기간의 통신노드가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수신할 때에 상기 제 2기간의 경과전에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을 허용하고, 또한 제 2기간이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수신하지 않고 경과되었을 때에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을 허용하며, 또한 제 2기간이 종료할 때에 그 자신의 통신노드로부터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통신노드의 통신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는 통신노드가 기동중이거나 리세트 되어 있는 상태에 대응하며, 또한 제 2기간이 가장 빨리 종료하는 통신노드의 제어 유닛은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기동의 종료나 리세트를 표시하는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제 2기간이 가장 빨리 종료하는 통신노드의 제어유닛은 초기통신프레임의 그룹을 송신하고, 그 각각은 그 자신의 통신노드로부터 다른 통신노드에 필요한 초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통신상태가 정상인 통신노드의 제어유닛이, 다른 통신노드가 제 1기간으로부터 제 2기간으로 이행하고 또한 이 제 2기간중에 있어서 다른 통신노드가 송신 및 수신의 양쪽이 금지되는 상태로부터 송신은 금지되지만 수신은 허용되는 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표시하는 복귀확인통신프레임을 송신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제 2기간으로 이행되는 통신노드가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송신된 복귀 확인통신프레임을 수신할 때, 이 통신노드는 제 2기간의 계측의 종료전에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허용되는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의 제어유닛이, 복귀확인통신프레임의 수신시에 그 자신의 통신노드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허용되는 상태를 설정한 후에, 제어 유닛은 다른 통신노드에 지정된 제어데이터를 송출하도록 요구하는 송신요구프레임을 송신하고, 또한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송신된 송신요구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 제어유닛은 통신프레임의 송신요구프레임에서 지정된 그 자신의 소정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또한 다중전송로를 거쳐 통신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기간은 개별적으로 계측되고, 상기 복수개의 통신노드의 각각의 제어유닛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프레임은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18. 제 10항에 있어서,
    그 자신의 소정의 데이터는 차량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19. 그 자신의 소정의 데이터를 가진 통신프레임을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송신하고, 또한 다른 다중전송장치의 송신측으로부터 송신된 통신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소정의 상태가 검출되었을 때, 그 자신의 통신상태를 제 1통신상태로 설정하고 소정의 제 1기간동안에 통신프레임의 송신 및 수신을 금지하는 수단과;
    그 자신의 통신상태를 제 2통신상태로 설정하고, 이 제 1기간의 종료후 소정의 제 2기간동안에 통신프레임의 송신은 금지하지만, 통신프레임의 수신은 허용하는 수단과;
    제 2통신상태로 소정의 통신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 이 제 2기간의 경과전에 통신프레임의 송신을 허용하고, 이 제 2기간이 소정의 통신프레임의 수신없이 경과하였을 때, 그 자신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을 허용하는 수단과;
    제 2기간이 경과하였을 때, 소정의 통신프레임을 송신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태는 상기 다중전송장치가 기동중이거나 리세트되어 있는 상태이며, 또한 제 2기간의 계측이 종료될 때에 기동 또는 리세트상태의 종료를 표시하는 소정의 통신프레임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제 2기간이 종료될 때, 수신측에 필요한 초기데이터를 표시하는 초기통신프레임의 그룹이 그 자신측으로부터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통신상태가 정상일 때, 다른 다중전송장치가 제 1기간으로부터 제 2기간으로이행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이, 다른 다중전송장치가 제 1기간으로부터 제 2기간으로 이행하는 것을 검출할 때 상기 다중전송장치는 다른 다중전송장치가 통신프레임의 송신 및 수신이 금지되는 상태로부터 수신이 허용되는 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표시하는 복귀확인통신프레임을 송신하며, 또한 제 2 기간으로 이행하는 다른 다중전송장치는, 상기 다중전송장치로부터 송신된 복귀확인통신프레임의 수신시에 제 2기간의 계측의 종료전에 그 자신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허용되는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복귀확인프레임이 수신되고 또 그 자신의 통신프레임의 송신이 허용되는 상태가 설정된 후, 지정된 제어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송신요구프레임이 송신되며, 또한 송신측으로부터 송신된 송신요구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 송신요구프레임에 지정된 그 자신의 소정의 데이터는 통신프레임에 표시되며 또한 통신프레임은 상기 다중전송로를 통해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24. 제 19항에 있어서,
    통신프레임은 NRZ변조반송파신호의 형태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25. 제 19항에 있어서,
    그 자신의 소정의 데이터는 차량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장치.
KR1019950002870A 1994-02-16 1995-02-16 다중전송장치 KR100336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911294A JP3342156B2 (ja) 1994-02-16 1994-02-16 多重伝送装置
JP94-19112 1994-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5179A KR950035179A (ko) 1995-12-30
KR100336208B1 true KR100336208B1 (ko) 2002-11-08

Family

ID=1199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870A KR100336208B1 (ko) 1994-02-16 1995-02-16 다중전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29941A (ko)
JP (1) JP3342156B2 (ko)
KR (1) KR100336208B1 (ko)
DE (1) DE19505294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009A (ko) * 2015-10-12 2017-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 기반의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05048D0 (en) * 1996-03-09 1996-05-08 Jaguar Cars Multiplexed electronic control systems
US20040217258A1 (en) * 2003-04-30 2004-11-04 Clugston P. Edward Solar sensor including reflective element to transform the angular response
US7516244B2 (en) * 2003-07-02 2009-04-07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er operations in a work machine
US7983820B2 (en) 2003-07-02 2011-07-19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xy control functions in a work machine
US7532640B2 (en) 2003-07-02 2009-05-12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protocol conversions in a machine
DE102004007348A1 (de) * 2004-02-16 2005-09-01 Volkswagen Ag Gerät zur Überprüfung der Wirkung einer Klimaanlage
JP4595637B2 (ja) * 2005-04-11 2010-12-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制御装置に用いる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7746A (ja) * 1981-12-31 1983-07-13 Fujitsu Ltd デ−タハイウエイの伝送制御方式
US4747097A (en) * 1985-03-12 1988-05-24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JPH02306744A (ja) * 1989-05-22 1990-12-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ノード
JPH06326716A (ja) * 1993-05-12 1994-11-25 Nec Corp 通信バス監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7494B (sv) * 1987-05-07 1988-12-27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foer tidsmultiplex oeverfoering av information mellan fordonskomponenter
JP2638009B2 (ja) * 1987-11-30 1997-08-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多重伝送方法
JPH0216845A (ja) * 1988-07-05 1990-01-1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データ通信装置
JP2873514B2 (ja) * 1991-03-27 1999-03-24 マツダ株式会社 多重伝送方法
JP2873515B2 (ja) * 1991-03-29 1999-03-24 マツダ株式会社 多重伝送方法
JP3057581B2 (ja) * 1991-05-13 2000-06-26 マツダ株式会社 多重伝送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7746A (ja) * 1981-12-31 1983-07-13 Fujitsu Ltd デ−タハイウエイの伝送制御方式
US4747097A (en) * 1985-03-12 1988-05-24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JPH02306744A (ja) * 1989-05-22 1990-12-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ノード
JPH06326716A (ja) * 1993-05-12 1994-11-25 Nec Corp 通信バス監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009A (ko) * 2015-10-12 2017-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 기반의 통신 방법
KR102162288B1 (ko) * 2015-10-12 2020-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 기반의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29941A (en) 1997-05-13
DE19505294B4 (de) 2004-09-23
JPH07226980A (ja) 1995-08-22
JP3342156B2 (ja) 2002-11-05
DE19505294A1 (de) 1995-08-17
KR950035179A (ko) 199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7476B2 (en) Data synchronisation process,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terfaces
US6222853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a line network
JP5211249B2 (ja) ネットワークのデバイス経由でデータ及びエネルギを送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0336208B1 (ko) 다중전송장치
CN112099464B (zh) 用于车辆的以太网的通信方法
JP2012038040A (ja) 処理システム、処理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SE509279C2 (sv) Elektronisk regleranordning för ett motorfordon med flera datanätverk och elektronisk startspärr
EP0755829A2 (en)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CN110395197A (zh) 通信系统
US20030065848A1 (e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a two-line bus shared for power supply and data transmission
JP4763580B2 (ja) 車載通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車載通信方法
JPH07273781A (ja) 多重伝送装置
JP5078003B2 (ja) 車載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分配装置
JP4569394B2 (ja) 受電機能を備えるデータ通信端末
US6690197B2 (en) Apparatus for feeding a bus
JP2002503438A (ja) 低電位レベルと高電圧変換機端末内の高電圧電位上に配置されたバルブの間の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H0630517B2 (ja) ル−プネツトワ−クのノ−ドステ−シヨンバイパス法
JP2012054688A (ja) 車載通信システム、入出力装置及び車載機器制御方法
JPH1094074A (ja) 照明監視制御システム
US2005012291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3279893B2 (ja) 遠隔制御装置
JP2017092640A (ja) 車載通信システム
JP2002165498A (ja) 車両用発電制御装置
JPH10117201A (ja) 車両用多重通信装置
JP3031290B2 (ja) Pds構成の光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遅延測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