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377B1 - 다른작동시간을가진테이프카세트의식별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다른작동시간을가진테이프카세트의식별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377B1
KR100334377B1 KR1019950705322A KR19950705322A KR100334377B1 KR 100334377 B1 KR100334377 B1 KR 100334377B1 KR 1019950705322 A KR1019950705322 A KR 1019950705322A KR 19950705322 A KR19950705322 A KR 19950705322A KR 100334377 B1 KR100334377 B1 KR 10033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ssette
thickness
measuremen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5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2665A (ko
Inventor
악셀 마르쯔루프
Original Assignee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6070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2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13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the information being derived from movement of the record carrier, e.g. using tachome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13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the information being derived from movement of the record carrier, e.g. using tachometer
    • G11B27/1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the information being derived from movement of the record carrier, e.g. using tachometer using electrical sens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예를들어 VHS 와같은 레코더의 경우에 동일 하게 보이지만 다른 작동시간을 갖는 카세트의 형태가있다. 고려되는 카세트 형태를 식별할때 시간 소모 및 다소 불명확한 것이 될수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할수있는 카세트 형태를 디스플레이 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특히 모든 테이프 카세트에 대하여 VHS 비디오 레코더에 이용하기위한 것이다. 고려된 카세트의 형태는 카세트의 형태를 디스플레이하기위해 지시기(41)로 취한 카세트의 형태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평가회로에서 테이프 두께의 측정 특성을 테이프형태의 길이 또는 양을 하나의 특징과 연결함으로써 식별된다. 특히 VHS에 대한 경우이다.

Description

다른 작동시간을 가진 테이프 카세트의 식별방법 및 장치{PROCESS AND DEVICE FOR RECOGNISING TAPE CASSETTES OF DIFFERENT PLAYING TIMES}
본 발명은 서로다른 형태의 VHS 비디오 자기 테이프 카세트와 같이, 예를들면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동안 테이프의 형태인 기록매체 및 다른 작동시간을 갖는 카세트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음 텍스트에서 비디오 레코더라고 불리는 텔레비젼 비디오 기록 및 /또는 재생장치용 자기 테이프 카세트가 외부적으로 동일한 크기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다른 작동시간을 갖는다. 예를들어 VHS 비디오 레코더의 경우, 총작동 시간, 30분(E30), 60분(E60), 90분(E90), 120분(E120), 180분(E180), 195분(E195), 210분(E210), 240분(E240) 및 300분(E300)을 가진 표준화된 테이프 카세트가 있으며, 이들 여러 카세트 형태에 대해 다음 표에서 기술하는 바와같이 2개의 다른 릴코어 직경 DO와 3개 다른 테이프 두께(d) 또는 테이프 두께 범위를 이용하여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프 카세트에 추가하여, 2개의 다른 테이프 카세트가 있으며, 이는 캠코더를 뜻하며 30분(EC30) 및 45분(EC45)의 작동시간을 가지며 외장이 비교적 작고 또한 공지된 바와같이 소위 어댑터 카세트에 의해 비디오 레코더로 작동될 수 있다.
카세트 형태 d(㎛) DO(㎛)
E30 17.0±20.0 62
E60 17.0±20.0 62
E90 17.0±20.0 62
E120 17.0±20.0 62
E180 17.0±20.0 62
E195 17.0±20.0 62
E210 15.1±16.1 62
E240 15.1±16.1 62
E300 12.1±13.0 62
EC30 17.0±20.0 62
EC45 15.1±16.1 62
그러한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식별을 위하여, 양측 테이프 릴의 순간 원주(instantaneous circumference)에 대하여 유럽 특허 출원 EP-A-0 216 260호에 예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개별적인 릴 코어와 그의 순간 테이프 양에 의해 형성되어, 2개의 순간 테이프 릴 원주의 제곱의 합을 형성함으로써 이용된 카세트 테이프를 식별하기 위하여 테이프 릴의 회전 시간의 측정을 통하여 소정 테이프 구동속도로 결정되며, 이 합은 비교기에 공급되는 해당 비교값 범위와 비교된다. 이 방법은 어떤 감김시간에서 일정한 2개의 테이프 릴의 각 영역의 합에 기초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다른 작동시간을 갖는 테이프 카세트의 명확한 형태의 식별을 하기에는 부적절하며, 2개의 순간 테이프 릴 원주의 제곱의 합은 E180 또는 W210이 이용되는 경우에서 처럼, 예컨대 E195 또는 E240이 이용되는 경우에서와 같이, 다른 테이프 두께d 때문에 겹쳐지게 된다.
더욱이, 테이프 주행시간의 결정을 통해 식별되도륵 카세트 테이프를 개별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테이프 두께 d의 정밀한 측정을 기초로 하는 이러한 방법은, E180 또는 E210 및 E195 또는 E240이 이용되는 경우에 신뢰할 수 있는 표시기 결과를 허용하지만, 이 목적을 위하여 개별적인 카세트 테이프가 식별되기 전에 몇분의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VHS 비디오 레코더에 이용되는 모든 테이프 카세트의 신뢰할 수 있는 카세트 형태 표시를 위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제 1항 및 제 5항에서 명시한 특징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이점은 각각의 종속항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테이프 두께 및 테이프 양 또는 테이프 길이의 해석에 의하여 이들 카세트가 구별되고 결정될 수 있고, 그 경우에 2개의 순간 테이프 릴 원주의 제곱의 합이 다른 테이프 두께 및 테이프 길이 때문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겹쳐진다는 것에 기초한다.
원칙적으로, 테이프 두께에 대한 하나의 측정 및 테이프 양 또는 테이프 길이에 대한 하나의 측정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로 논리적으로 연결된다.
각 카세트 형태가 논리적 연결에 의해 다른 두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라는사실의 결과로써, 이들 특성을 정확히 결정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이 사실은 본 발명에 의하여 테이프 카세트의 더 빠른 테이프 식별을 위해 이용된다. 기록 매체의 테이프 양 및/또는 테이프 두께의 비교적 개략적인 결정은 각 카세트 기준에 의해 선정된 테이프 두께 또는 테이프 양의 해당 분류를 수행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레코더에 제공되고 테이프 주행시간을 결정하는 회로장치에 대해 예를 들면 미미한 변형 레이아웃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로 다음의 텍스트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게 된다.
제 1도는 양호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제 2도는 제 1도에 따른 회로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순차 흐름도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카세트 형태 결정에 대한 기능상의 개요 블럭도와 함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삽입되고 2개의 릴 코어(3)에 감겨지는 기록매체(2)를 가진 테이프 카세트(1)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기록매체(2)의 이송방향에 따르면, 2개의 릴코어(3,4)는 모터(13,14)에 의해 구동되는 축(11,12)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각각의 릴 코어(3,4)는 펄스전송기(15,16)와 결합되어 있다. 결합된 릴 코어의 회전후 출력펄스(T1,T2)를 양호하게 발생하는 각 펄스전송기(15,16)는 다음 텍스트에서 제 1측정회로(17) 및 제 2측정회로(18)로 불리우는 측정회로(17,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기록매체(2)는 언와인딩 테이프 릴(5)과 와인딩-업 테이프 릴(6) 사이에서 일정한 속도로 구동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구동은 테이프 핀치 롤러(9)의 도움으로 규정된 구동모터(7)에 의해 구동되는 캡스턴 축(8)에 의해 공지된 방법으로 발생한다. 제 1측정회로(17)와 제 2측정회로(18)에 모두 결합되는 회전 발생기(10)는 캡스턴 축과 결합된다. 회전 발생기(10)는 동일 간격으로 회전 펄스(TC)를 발생하며, 예를 들어, 테이프 두께, 테이프 길이, 카세트 테이프 및/또는 기록매체(2)의 나머지 작동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펄스 전송기(15,16)의 두 펄스(T1,T2) 사이에 회전펄스(TC)의 수를 측정함으로써, 한편으로는 기록매체(2)의 주변구동속도의 검출을 위해 이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순간 회전시간 또는 하나의 릴 코어의 주변 테이프 릴 원주 및/또는 다른 릴 코어의 측정을 위해 이용된다. 회전 발생기는 기록매체(2)가 구동될때 수백개의 회전펄스(TC)가 릴 코어 회전마다 발생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장치내의 또 다른 주파수 발생기로 부터 일정한 주파수 신호가 순간 회전시간 또는 하나의 릴코어 및/또는 다른 릴 코어의 주변 테이프 릴 원주를 측정하기 위해 회전펄스 TC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양호한 일예의 실시예에서, 카운팅 회로로 구성된 제 1측정회로(17)는 펄스전송기(15), 회전 발생기(10) 및 메모리 회로(21)와 함께 측정장치(20)를 형성하며, 그것에 의해 감기지 않은 테이프 릴(5)의 원주의 변화가 기록매체(2)의 테이프두께의 측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릴코어 회전후에 측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각 테이프 릴 원주 측정은 다음 관계식을 기초한다.
여기서 U = 테이프 릴 원주
dc = 캡스턴 축(8)의 직경
fc = 캡스턴 축의 1회전에 대한 회전펄스(Tc)의 수
k = 테이프 릴 또는 릴 코어의 한 종결 회전에 대한 회전펄스(Tc)의 측정 수.
선택적으로, 점선 19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감긴 테이프 릴(6)의 원주에서 변화는 테이프 두께의 측정으로 물론 측정될 수 있다.
측정회로(17)의 출력은 메모리 회로(21)를 통해 제 1계산장치(22)의 제 1입력에 접속된다. 또한 접속부는 측정회로(17)의 출력으로 부터 후술하는 기록매체(2)의 후술하는 기록매체(2)의 테이프 양 또는 테이프 길이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제 2측정장치(30)로 할당되는 제 2계산장치(31)의 제 1입력으로 존재한다. 회전펄스(Tc)의 수 또는 최소한 하나의 릴 코어에 대한 시간은 메모리회로(21)에 기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릴 회전후에 기록매체(2)의 테이프 두께의 측정으로 감기지 않은 테이프 릴(5) 또는 감겨진 테이프 릴(6)의 원주로서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첫번째 측정시에 회전펄스(Tc)의 수 또는 하나의 릴코어 회전 시간이결정되어 메모리회로(21)에 기억된다. 기억된 회전 펄스 Tc의 수 또는 하나의 릴 코어 회전에 대한 시간 및 회전펄스 Tc의 수 또는 동일한 릴 코어의 연속 릴 코어 회전 중 하나의 릴 코어 회전에 대한 시간과의 차이는 제 1계산장치(22)에서 제 1계산과정으로 형성되며, 이 차이로 부터 원주 변화는 다음 관계식(2)에 따라 제 2계산과정으로 결정된다.
테이프의 두께는 다음 관계식(3)에 따라 원주 변화로 부터 결과이다.
아직 설명하지 않은 심볼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U = 테이프 릴의 원주 변화
d = 테이프 두께
k1= 제 1측정에서 측정된 릴 코어\ 회전의 회전펄스 Tc의 수
k2= 제 2측정에서 측정된 동안 릴 코어의 연속 릴코어 회전의 회전펄스 Tc의 수
△n = 제 1측정 및 제 2측정 사이의 릴 코어 회전 수
이런 경우에, 테이프 두께 d는 회전 펄스 Tc의 간격측정을 더 자주 수행하고 또는 간격 K2- K1이 제 1측정 및 제 2측정으로 부터 회전펄스 Tc사이가 더 커질수록 더욱 정밀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캡스턴 축(8)의 회전에 대한 회전 펄스의 소정수는 예를들어 제 1측정 및 제 2측정간의 비교적 큰 릴 코어 회전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카세트 형태 결정을 위해 정확히 테이프 두께 d를 결정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많은 릴 코어 회전 △n은 회전펄스 Tc의 간격 형성 k2-kl을 위해 이용되며, 또한 테이프 카세트(1)의 기록매체(2)를 분류하고 테이프 형태 부류 사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절대로 필수적이다. 예를들어 직경 dc = 3.52mm 를 가진 캡스턴 축과 캡스턴 축(8)의 회전당 360 회전펄스 Tc의 수(fc)를 갖는 VHS 비디오 레코더의 경우에, 릴코어의 5회전은 한정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형성된 회전 펄스 Tc 사이의 간격 k2-kl을 이용할 수 있기에 충분하며, 따라서 테이프 두께 범위 17-20㎛, 15.1-16.1㎛ 또는 12.5-13.0㎛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테이프 카세트(1)의 기록매체(2)는 할당되어야만 한다. 그러한 테이프 두께 범위는 공지된 바와 같이 허용대(tolerance band)에 기초하고 있으며 테이프 두께 d에 대하여 액면 가격으로 불리는 별개의 가격에 관한 기준으로 선정된다. 테이프 두께 d 또는 상술한 테이프 두께의 개별적 평가로서 할당되는 회전펄스 Tc 사이의 개별적 간격 k2-k1,은 제 1계산장치(22)에 기억되는 비교값 범위에 의하여 개별적 간격 k2-kl의 평가후에 수행되며, 하나의 테이프 부류 또는 하나의 테이프 두께 범위에 대해 해당 비교값, 예를들면 상한값 및 하한값을 포함한다. 평가의 결과로서, 개별 테이프 두께 d를 특징지우는 출력신호는 제 1계산장치(22)로부터 평가회로(40)에 공급되며, 지시장치(41)에 접속되고, 이에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개별 카세트 테이프는 개별 테이프 두께 d를 특징지우는 출력신호의 평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제 2측정장치(30)와 제 2계산장치(31)의 개별 테이프 길이를 특징지우는 출력신호의 평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2개 테이프 릴(5,6)의 순간 원주에 의하여 제 1측정회로(17)와 제 2측정회로(18)를 포함하는 제 2측정장치가 측정되며, 이는 반드시 카운팅회로, 회전발생기(10) 및 2개 펄스전송기(15,16), 2개 펄스전송기(15,16)의 출력신호를 포함하며, 2개의 테이프 릴(5,6)의 회전당 회전펄스 Tc의 수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제 2측정장치(30)는 2개 테이프릴(5,6)의 순간 원주에 해당하는 출력 신호를 형성하고, 이 출력신호를 제 2계산장치에 공급하는 2개 펄스 전송기(15,16)의 출력신호와 회전발생기의 회전펄스 Tc를 이용한다. 제 2계산장치(31)에서, 2개 테이프 릴(5,6)의 순간 원주의 제곱의 합은 제 2측정장치(30)의 출력신호로부터 형성되고 테이프 길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평가회로(40)에 공급된다.
테이프 카세트(1)의 기록매체(2)의 테이프 길이(L)는 2개 테이프릴(5,6)의 순간 원주의 제곱의 함으로서 다음 관계식을 기초로 특징지울 수 있다.
아직 설명하지 않은 심볼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L= 테이프 카세트의 기록매체의 테이프길이
U2 5= 테이프 릴(5)의 순간 원주의 제곱
U2 6= 테이프 릴(6)의 순간 원주의 제곱
U2 k= 릴 코어(3 또는 4)의 원주의 제곱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의 결정에 대해 정확하게 테이프 길이(L)를 결정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테이프 길이(L)의 결정을 예를들어 평가회로(40)에 기억될 수 있는 비교값 영역을 이용하여 제 2계산장치(31)의 출력신호의 평가에 의해 수행된다. 이들 각각의 비교값 영역은 공지된 바와 같이 테이프 길이 범위 중 하나에 대해 비교값, 예를들어 상한선과 하한선 값을 포함하며, 테이프 길이에 대한 액면가액에 관하여 기준으로 선정되는 허용대에 기초한다.
그러나, 테이프 길이 또는 테이프 길이 범위에 대해 명백한 것은 이러한 방법으로 테이프 릴(5,6)의 순간 원주의 제곱의 합에 있어서 다른 카세트 형태와 겹쳐짐이 없는 테이프 카세트 형태에 대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동시에 E195 또는 E210 VHS 테이프 카세트를 구분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상술한 관계(4)로부터의 결과로서 2개 테이프 릴(5,6)의 순간 원주의 제곱의 합과 2개 릴코어 원주 U2 R의 제곱의 합에 추가하여 정확한 테이프 두께(d)를 아는 것이 예측되는 테이프 길이 L을 결정함으로써, E240 및 E180 테이프 카세트로 부터 나중에 적절한 시기에 상업적으로 될 것이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형태 결정의 경우에 흐름도는 테이프 길이 L의 정확한 결정도 테이프 두께 d의 정확한 결정도 필요하지 않은 제 2도의 예로서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캠코더에 이용되는 비교적 작은 EC30 및 EC45 카세트 형태의 카세트 형태 결정을 제공한다. 이미 처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카세트는 구동시스템을 통해 와인딩업 릴 코어를 구동하는 어댑터 카세트의 도움으로 작동된다. 결과적으로, 카세트 형태를 위해 테이프 길이 측정 및 테이프 두께 측정이 얻어 지며, 이런 측정은 해당 테이프 길이 측정과 동일한 것이 아니고 또한 동일 테이프 두께를 갖는 정규 카세트의 경우에 해당 테이프 두께 측정과 동일한 것이 아니라 구동 시스템의 스텝-업 요소에 비례하여 더 커진다.
이러한 내용에서, 개별 분석(17,18,21,22,31 및 40)은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용된다. 정상적으로 개별 블럭 또는 복수의 이러한 블럭은 집적회로에 결합될 수 있고, 이는 지시장치(41)와 설명되어 있지 않고 제어되는 동작장치와의 회로배치의 상호작용에 의한 제어회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다.
카세트 형태에 대하여 최적으로 짧은 결정 시간이 항상 확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릴코어 회전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두께 측정을 위해 이용되고 카세트 형태 인식을 위한 시간이 테이프 두께 측정에 의해 반드시 결정되기 때문에, 2개 릴코어(3,4)의 회전당 회전펄스 Tc의 수와 서로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로 개별적으로 비교적 작은 원주를 가진 테이프 릴이 카세트 형태 측정을 위해 테이프 두께 d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지를 결정하는 회로(50)가 제공될 수 있다.
제 2도는 카세트 형태 결정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논리 순차 흐름도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두께 측정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복수의 결정단계(200-204)로 구성되는 루틴을 반드시 포함하며, 테이프 카세트(1)의 각각의카세트 형태를 결정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측정의 측정결과와 함께 하기 위해 결정단계(300-303)와 함께 이 루틴과 논리적으로 링크되는 루틴을 더 포함한다.
카세트 형태 결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 카세트 형태 결정 과정의 초기에 측정회로(17,18) 및 메모리회로(21)의 내용이 값(0)에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형태 결정을 위한 회전 펄스의 카운팅이 그에 따라 개시된다.
테이프 두께, 즉 카세트 형태 E300의 테이프 두께를 표시하는 측정의 경우에 해당되는지를 블록 200에서 질문이 요구된다. 이것이 그 경우라면, E300이 그러한 테이프 두께(12.5 내지 13.0)를 갖는다는 사실을 기초로 카세트형태 즉 E300을 바로 지시할 수 있다. 측정이 E300 카세트형태의 테이프 두께가 아니라면, 이 측정이 테이프 두께(15.1 내지 16.1㎛)에 해당하는 이러한 측정, 즉 E240 카세트 형태와 E210 카세트 형태가 캠코더에 이용되는 작은 EC45 카세트 형태와 더불어 구비하는지에 대해서 연속블럭(201)에서 질문이 요청된다. 이것이 그러한 경우라면, 테이프 길이 측정결과가 E240 카세트 형태의 테이프 길이인지에 대하여 블록 300에서 질문이 요청된다. 이것이 그러한 경우라면 E240 카세트 형태는 테이프 두께 측정결과의 평가의 결과 및 테이프 길이 측정결과로서 지시된다. 그러나, 테이프길이 측정이 E240 카세트 형태의 테이프 길이에 해당하지 않으면, 이 측정이 E180 카세트 형태의 테이프 길이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 블록 301에서 질문이 요청된다. 이것이 그러한 경우라면, 그러한 테이프 카세트가 한편으로 E240 카세트 형태의 테이프 두께를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 2개의 테이프릴과 릴코어에 의해 점유된 영역의함으로 E180 카세트 형태로부터 구분될 수 없기 때문에, E210 카세트 형태가 지시된다. 블록(301)에서 질문이 결과를 유도하지 못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형태 결정을 위한 측정과정이 적어도 한 번 반복될 수 있고, 비-식별의 경우에는 공지되지 않은 평가결과 또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 심볼로서 지시될 수 있다.
블록(201)에서 테이프 두께 측정의 평가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면, E180, E150, E120, E90, E60 및 E30 카세트 형태에 이송되는 테이프 두께(17.0 내지 20.0㎛)와 캠코더에 이용되는 비교적 작은 EC30 카세트 형태에 해당하는 측정인지에 대하여 블록(202)에서 질문이 요청된다. 이것이 그러한 경우라면, 첫 번째 질문은 테이프 길이 측정이 E240 카세트 형태의 테이프 길이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것이 그러한 경우라면, 카세트형태 E240 및 E195의 2개 테이프릴과 릴코아에 의해 점유된 영역이 가장 나쁜 경우에 완전히 겹쳐질 수 있지만 E240 카세트 형태가 결정된 것으로부터 다른 테이프 형태의 부류를 갖기 때문에, E195 카세트 형태가 지시된다. 블록(302)에 의한 질문결과가 부정적이라면, 블록(303)에 의해 표시된 다른 질문은 테이프 길이 측정이 E180, E150, E120, E90, E60 또는 E30 카세트 형태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요청되며, 그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개별 E180, E150, E120, E90 또는 E30 카세트가 지시된다. 반대로 블록(303)에 따른 질문결과가 부정적이라면, 카세트 형태결정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적어도 한 번 반복될 수 있고 비공지된 지시 또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 심볼로서 지시될 수 있다.
그러나, 블록(202)에 따른 질문결과가 부정적이라면, 테이트 두께 측이 캠코더에 이용되는 비교적 작은 EC30 카세트 형태의 단계(step-up) 요소에 의해 확대된테이프 두께(17.0 내지 20.0㎛)에 해당하는지에 대해 계속해서 블록(203)에서 질문이 요청된다. 블록(203)에 따른 평가결과가 긍정적이라면, ec30 카세트 형태가 지시된다. 반대로 평가결과가 부정적이라면, 테이프 두께 측정이 캠코더에 이용되는 비교적 작은 EC45 카세트 형태의 단계요소에 의해 확대된 테이프 두께(15.1 내지 16.1㎛)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 블록(204)에 따른 또한 질문이 요청된다. 이 평가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EC45 카세트 형태가 지시된다. 반대로 블록(204)에 따른 평가결과가 부정적이라면, 카세트 형태 결정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적어도 한 번 반복될 수 있고, 부정적인 평가 결과가 확인되면 "공지되지 않은" 지시 또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 심볼로서 지시될 수 있다

Claims (6)

  1. 기록매체(2)의 테이프 두께와 테이프 길이를 측정하고 카세트 형태를 지시하는 가변제어를 발생하며 장치의 카세트-형태-의존기능을 개시하기 위해 테이프의 형태인 기록매체(2)를 포함하는 카세트(1)의 카세트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제1 단계에서 상기 테이프 두께에 대한 값(d)이 결정되고,
    b) 제2 단계에서 상기 테이프 길이에 대한 값(L)이 결정되며,
    c) 제3 단계에서 테이프 두께에 대한 값과 테이프 길이에 대한 값을 논리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탐색 카세트 형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의 카세트 형태 결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2)의 테이프 두께는 상기 기록매체가 기준으로 선정된 테이프 형태부류의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만 정확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의 카세트 형태 결정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두께 측정 및 상기 테이프 길이 측정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의 카세트 형태 결정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비교적 더 작은 원주를 가진 각각의 상기 테이프 릴(5,6)은 카세트 형태 측정을 위한 테이프 두께의 측정을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의 카세트 형태 결정방법.
  5.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해 테이프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20) 및 기록매체(2)의 테이프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장치(30)를 갖는 테이프의 형태인 기록매체(2)를 포함하는 카세트의 카세트 형태를 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평가회로(40)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회로에 상기 테이프 두께 측정장치(20) 및 테이프 길이 측정장치(30)로부터 테이프 두께를 특징지우는 측정값과 테이프 길이를 특징지우는 측정값이 제공되고, 상기 테이프 두께를 특징지우는 측정값과 테이프 길이를 특징지우는 측정값을 논리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평가회로(40)에 의해 상기 카세트의 형태가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의 카세트 형태 결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테이프 두께 측정 장치(20) 및 테이프 길이 측정 장치(30)에 의해 이용되는 2개의 릴 코어(3,4)의 회전당 펄스(Tc)의 수를 서로 비교하고, 펄스의 수의 비교 결과에 따라 비교적 작은 원주를 각각 갖는 테이프 릴(5,6)이 상기 평가회로(40)에 의한 카세트 형태의 식별을 위해 테이프 두께를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결정하는 회로(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의 카세트 형태 결정장치.
KR1019950705322A 1993-05-28 1994-05-14 다른작동시간을가진테이프카세트의식별방법및장치 KR100334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17761A DE4317761A1 (de) 1993-05-28 1993-05-28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rkennung von Bandkassetten unterschiedlicher Spieldauer
DEP4317761.1 1993-05-28
PCT/EP1994/001571 WO1994028548A1 (de) 1993-05-28 1994-05-14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rkennung von bandkassetten unterschiedlicher spieldau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2665A KR960702665A (ko) 1996-04-27
KR100334377B1 true KR100334377B1 (ko) 2002-12-06

Family

ID=648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5322A KR100334377B1 (ko) 1993-05-28 1994-05-14 다른작동시간을가진테이프카세트의식별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97535B1 (ko)
EP (1) EP0700569B1 (ko)
JP (2) JPH08510351A (ko)
KR (1) KR100334377B1 (ko)
CN (1) CN1036300C (ko)
DE (2) DE4317761A1 (ko)
ES (1) ES2102861T3 (ko)
SG (1) SG64342A1 (ko)
WO (1) WO1994028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4682B1 (en) 2008-05-22 2009-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erating a tape drive during and after a transition to a stand-by mod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11151A2 (fr) 1977-05-31 1979-07-06 Staar Sa Procede d'identification automatique du type de cassette introduit dans un appareil destine au transfert d'une bande entre deux bobines contenues dans cette cassette
US4217615A (en) * 1978-02-02 1980-08-12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Tape measurement and position system
JPS6014430B2 (ja) * 1978-05-08 1985-04-13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WO1980001522A1 (en) 1979-01-11 1980-07-24 Bang & Olufsen As A system for detection of tape thickness in tape recorders or players
US4644436A (en) * 1982-05-19 1987-02-17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type and remaining capacity of a tape
SE8401770L (sv) * 1984-03-30 1985-10-01 Merus Milieu Ab Kamin
DE3532906A1 (de) * 1985-09-14 1987-03-26 Standard Elektrik Lorenz Ag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aet mit einer einrichtung zur anzeige der laufzeit der restbandlaenge
EP0216260B1 (de) 1985-09-14 1993-11-24 Nokia (Deutschland) GmbH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 mit einer Einrichtung zur Anzeige der Laufzeit der Restbandlänge
JPS6459691A (en) * 1987-08-31 1989-03-07 Toshiba Corp Tape residual quantity display device
JPH01165057A (ja) * 1987-12-21 1989-06-29 Toshiba Corp テープカセット種別検出装置
JPH0258787A (ja) 1988-08-23 1990-02-27 Sanyo Electric Co Ltd テープ種別判別装置
EP0457946A1 (de) * 1990-05-23 1991-11-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Dicke und der Länge eines auf einem Spulenkörper aufgewickelten Bandes, insbesondere Magnetbandes
DE4224115A1 (de) * 1992-07-22 1994-01-27 Philips Patentverwaltung Verfahren zur Ermittlung der Spielzeit eines Magnetbandes und Vorrichtung hierf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317761A1 (de) 1994-12-01
CN1036300C (zh) 1997-10-29
WO1994028548A1 (de) 1994-12-08
JP2005129228A (ja) 2005-05-19
US6597535B1 (en) 2003-07-22
DE59402612D1 (de) 1997-06-05
EP0700569B1 (de) 1997-05-02
EP0700569A1 (de) 1996-03-13
ES2102861T3 (es) 1997-08-01
CN1121749A (zh) 1996-05-01
JPH08510351A (ja) 1996-10-29
KR960702665A (ko) 1996-04-27
SG64342A1 (en) 199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4436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type and remaining capacity of a tape
GB2024490A (en) Determinig certain charcteristics of recording tapes
US4338645A (en) Tape running time indication system
KR910008466B1 (ko) 테이프권취량 표시장치
EP024184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tape when recording or reproducing signals thereon
KR920002880B1 (ko) 테이프 카세트 종별 판별장치
JPH01165084A (ja) テ−プ位置検出装置
KR100334377B1 (ko) 다른작동시간을가진테이프카세트의식별방법및장치
US5604648A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and phase of VCR servo system
US4696440A (en) Information signal and/or reproducing apparatus
GB2069742A (en) Tape reel discrimination system
EP0734572B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total playing time of a tape
JPS5977690A (ja) テ−プ量測定装置
EP0657888A1 (en) Method for detecting remainder of tape
JP3477230B2 (ja) テープ巻き取り方法
JPH0227756B2 (ko)
JP253949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308462A (ja) カセット判別装置
JP2961861B2 (ja) カセットテープの記録時間測定方法
JPH06168509A (ja) カセットテープ判別方法
JP259214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233691A (ja) 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テープ端検知センサの検知力測定方法及びテープカセット
JPH0441435B2 (ko)
JPH05210954A (ja) テープ厚自動判別装置
JPS5916084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モ−ド判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