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750B1 - 타이어운반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750B1
KR100333750B1 KR1019950700469A KR19950700469A KR100333750B1 KR 100333750 B1 KR100333750 B1 KR 100333750B1 KR 1019950700469 A KR1019950700469 A KR 1019950700469A KR 19950700469 A KR19950700469 A KR 19950700469A KR 100333750 B1 KR100333750 B1 KR 100333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ollers
tires
conveyo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0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2934A (ko
Inventor
이토구니오
노구로아사시
다카기미노루
미즈마세이이치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도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1640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452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51640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452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08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452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09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9989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도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70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2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타이어운반장치(1)를 구동시키면 재고적치장치(2)에서는 재고로 쌓아둔 타이어(T)가 소량씩 배출되고, 이 타이어(T)는 컨베이어(3,4,5)를 통하여 정렬운반장치 (6)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 정렬운반장치(6)에 있어서는 제1 안내수단(63)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배치된 롤러(60,...)가 제1구동수단(62)에 의해 회전구동되기 때문에 타이어(T)는 제1 안내수단(63)에 가압되면서 정렬되어 운반된다.
또, 정렬운반장치(6)에 의해 정렬된 타이어(T)는 리프트 운반장치(9)에 의해 한개씩 운반된다. 그리고 세운상태 운반수단(10)에 의해 타이어(T)는 세운상태로 운반된다. 이와같이 하여 타이어(T)는 한개씩 정연하게 운반된다.

Description

타이어 운반장치
제1 도는 본발명에 따른 타이어 운반장치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 도는 타이어의 저장(stock)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 도는 저장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4 도는 적장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5 도는 제4 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6 도는 제5 도의 B-A선에 따른 단면도,
제7 도는 제5 도의 부분확대도,
제8 도는 타이어 정렬컨베이어의 전체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9 도는 타이어 정렬컨베이어의 전체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0도는 타이어 정렬컨베이어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로,
(a)는 롤러의 구동전달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모터를 부착한 부분의 정면도,
제11도는 가이드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제12도는 센터링 장치의 상세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제13도는 리프트 컨베이어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14도는 리프트 컨베이어의 상세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도로,
(a)는 도그(dog) 등의 구조설명을 위한 정면도,
(b)는 엔드리스 체인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5도는 도그의 기립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제16도는 리프트 컨베이어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7도는 수직이송 컨베이어의 전체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8도는 수직이송 컨베이어의 전체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C-C선에 따른 끝면도,
제20도는 운반부재의 상세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도로,
(a)는 측면도,
(b)는 끝면도,
제21도 대직경타이어 운반시의 리프트 컨베이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22도는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동일크기의 타이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다른크기의 타이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3도는 종래의 리프트 컨베이어의 개략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타이어 운반장치 2:저장장치
6:정렬운반장치(타이어 정렬컨베이어)
6a, 6a:장치본체(프레임) 9:리프트 운반장치(리프트 컨베이어)
10:기립상태 운반수단(수직이송컨베이어)
11:컨베이어장치(슬랫(slat)컨베이어) 13:헤쳐 무너뜨리기 장치
32:프레임(요동프레임) 33:프레임(상 프레임)
35:프레임(수직프레임) 36:프레임(하 프레임)
56, 56:회전체(벨트) 57:돌기(걸림클릭)
60:롤러 62:구동수단(모터)
63:가이드수단(가이드장치) 66, 66:구동전달수단(스프로킷)
67:체인 90:제2 엔드리스체인(엔드리스체인)
91:걸림부(도그) 110:운반부재
111:제1 엔드리스체인(체인) 119:롤러
120:제2 가이드수단(타이어가이드장치) 121:롤러(프리롤러)
M2:제2 구동수단(모터) T:타이어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저장된 다량의 타이어를 순차 정렬하면서 운반하는 타이어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근년, 자동차에의 사용이 끝난 폐타이어를 연료장치의 연료로서 이용하는 기술이 주목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다수의 타이어를 순차적으로 1개씩 운반하는 타이어운반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타이어운반장치에 있어서는 다수의 타이어를 저장함과 동시에 이 저장된 타이어를 소량씩 하류측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저장장치에서 빼낸 타이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로는 제22도(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롤러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롤러컨베이어(200)는 프레임(200a, 200a)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다수의 롤러(210,...)를 구비하고 있으며, 롤러(210,...)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210,...)가 타이어(T,...)를 얹어놓은 상해로 구동되면 프레임 (200a, 200a)에 의해 정해지는 운반경로내를 타이어(T,...)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200a, 200a)의 폭은 운반하는 타이어의 크기를 고려하여 정해져 있고, 타이어가 정렬된 상태로 운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롤러컨베이어는 다른 운반장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또, 도시하는 바와같은 개폐장치(220)를 설치하여 타이어(T,...)의 이동을 저지함으로써 타이어운반을 간단하게 휴지(休止)시킬수 있는(이하, 이와같이 운반이 휴지된 상태를 "스토리지(storage)상태"라 한다)등의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타이어운반장치는 타이어를 높은 곳으로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운반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리프트운반장치(300)는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엔드리스체인(3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엔드리스체인(310)에는 등(等)피치로 걸림부(320)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엔드리스체인(310)이 구동되면 걸림부(320)가 이동하여 타이어공급장치(330)상에 대기하고 있는 타이어(T)의 구멍부에 걸리고 타이어(T)는 높은 곳으로 운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리프트운반장치(300)의 하류측에도 또한 롤러컨베이어(340)가 설치되어 있고 운반되어온 타이어(T)를 도시하지 않은 연소장치까지 다시 운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저장장치에 있어서는 저장된 타이어를 순차적으로 하류측의 컨베이어로 배출하고자 하여도 타이어끼리 서로 방해가 되어 전혀 배출되지 못하게 되거나, 반대로 적재된 다수의 타이어가 무너져내려 한꺼번에 배출되거나하여 그 배출량의 조절이 곤란하였다. 때문에 작업자에 의한 감시나 보조가 필요하였다.
또, 제22도(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동일크기의 타이어를 운반할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다른크기의 타이어를 운반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22도(b)에 도시하는 개폐장치(220)로 스토리지를 행하고자 하면 타이어(T,...)가 개폐장치(220)의 바로 앞쪽에서 모여 정렬상태가 무너지게되어 그후의 운반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소 여러가지 크기의 타이어를 혼합하여 운반할 경우에는 리프트 운반장치(300)의 걸림부(320)가 대직경타이어를 운반할 경우 방해가 되지 않도록 걸림부(320)의 부착 피치를 대직경타이어에 맞추어 설정할 필요가 있으나, 그 때문에 소직경타이어를 운반할 경우의 운반효율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평평한 타이어를 롤러컨베이어로 운반할 경우에는 운반을 위한 공간이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의 제1 목적은 정렬운반장치에 있어서, 회전구동되는 롤러를 소정각도로 지지하에 타이어를 가이드수단에 눌려서 정렬시키면서 운반함으로써 다른크기의 타이어를 정연하게 운반하는 타이어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발명의 제2 목적은 평평한 타이어를 기립상태로 운반함으로써 운반을 위한 공간을 확실히 작게한 타이어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발명의 제3 목적은 리프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의 걸림부를 기립 및 도복 가능하게함으로써 부착피치를 작게하더라도 다른 크기의 타이어를 운반할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소직경타이어의 운반효율도 향상시킨 타이어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발명의 제4 목적은 저장장치로부터 확실하게 정량을 빼냄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보조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적은 수의 인원으로 운용관리가 가능한 타이어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수의 타이어(T)를 저장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저장된 타이어(T)를 소량씩 배출하는 저장장치(2)와, 이 저장장치에서 배출된 타이어(T)를 1열로 정렬시키면서 운반하는 정렬운반장치(6)와, 이 정렬운반장치에 의해 정렬된 타이어(T)를 걸어 한개씩 운반하는 리프트 운반장치(9)를 구비한 타이어운반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정렬운반장치(6)는 장치본체(6a, 6a)에 병렬로 또한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복수의 롤러(60,...)와, 이들 복수의 롤러(60,...)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 (62)과, 이들 복수의 롤러(50,...)위로 운반되는 타이어(T)의 운반경로를 정하는 가이드수단(63)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롤러(60,...)는 상기 가이드수단(63)이 뻗어 설치된 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배치되고, 타이어(T)는 상기 가이드수단(63)에 눌리면서 정렬되고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운반장치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운반장치는 상기 가이드수단의 하류측에 배치된 센터링수단(65)을 더 가지고 있고 상기 복수의 롤러(60,...)에 의해 상기 가이드수단(63)에 눌리면서 일렬로 정렬되어 운반되는 타이어가, 그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수단(65)에 의해, 상기 타이어 중앙의 구멍부(Ta)가 리프트운반장치(9)에 걸리는 위치(72, 91)로 방향변경되어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10도에 상기 복수의 롤러(60,...)는 각각 상기 장치본체(6a, 6a)에 경사져서 지지되고, 이들 복수의 롤러(60,...)중의 인접한 롤러 상호간에 이들 롤러의 축선에 직교하는 한 평면내에 위치하여, 각각 구동전달수단(66, 66, 67)을 설치하고,
어느하나의 롤러(60)를 구동시킴으로써 그 구동력이 상기 구동전달수단을 통하여 인접한 롤러에 전달되어 장기 복수의 롤러가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구동수단이, 상기 인접한 롤러의 측선에 직교하는 한 평면에 배치된, 상기 롤러(60, 60)에 각각 고정설치된 스프로킷(66, 66) 및 이들 양스프로킷에 감아걸은 체인(67)으로 구성된 체인전동장치이다. 또한, 예컨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센터링수단(65)은 한쌍의 센터링암(75,75)을 갖고 이들센터링암이 서로 연결각도로 개폐함과 동시에 타이어가 중심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누름(82, 79)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정렬운반장치(6)는 상기 센터링수단(65)의 대략 하방이 되는 하류측에 있어서 타이어를 중심으로 향해 운반하도록 경사져서 배열된 2열의 롤러(61, 61)와, 이들 2열의 롤러사이에 있어서 홈부(72)를 더 갖고 있고,
상기 리프트운반장치(9)는 회전구동되는 엔드리스체인(90)과, 이 엔드리스체인에 소정피치마다 설치된 걸림부(91)를 갖고 있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정렬운반장치(6)의 홈부(72)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또, 예컨데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운반장치(9)의 상기 걸림부(91)를 타이어(T)를 거는 기립위치(A)와, 다른 타이어운반장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도복(倒伏)하는 도복위치(B)로 기립 및 도복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또, 예컨대 제3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장치(2)는 투입된 타이어(T)를 운반하는 컨베이어장치(11)와, 이 컨베이어장치의 하류측 상방에 배치된 헤쳐 무너뜨리기 장치(13)를 가지며,
상기 헤쳐 무너뜨리기 장치(13)는 이동자재로 지지된 프레임(32,..,33, 35,...36), 이 프레임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표면에 다수의 돌기 (57,...)를 갖는 회전체(56, 56) 및 이 회전체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M2)을 가지며, 또한
상기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운반된 타이어(T)가 상기 회전체(56, 56)를 누르면 상기 회전체(56, 56)는 이동하면서 상기 돌기(57,...)에 의해 타이어(T)를 헤쳐무너뜨려 이 타이어(T)를 조금씩 저장장치(2)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 예컨대 제17도 내지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운반장치 (9)의 하류측에 기립상태 운반수단(10)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립상태 운반수단(10)이, 기립상태의 타이어(T)가 및어져 구동되는 운반부재(110)와, 이 운반부재 (110)의 구동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타이어를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수단(120)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운반부재(110)가 구동되는 엔드리스체인(111)과, 이 엔드리스체인에 경사져서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복수의 롤러(119)를 가지며, 또한 상기 기립상태 운반수단의 가이드수단(120)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다수의 롤러(120)를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기초하여 타이어운반장치(1)를 구동시키면 저장장치(2)로부터 저장된 타이어(T)가 소량씩 배출되어 정렬 운반장치(6)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 정렬운반장치(6)에 있어서는 가이드수단(63)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배치된 롤러(60,...)가 구동수단(62)에 의해 회전구동되기 때문에 타이어(T)는 가이드수단(63)으로 눌리면서 정렬되어 운반된다.
또한, 상기 괄호안의 부호는 도면을 대조시키기 위한 것이지, 본발명의 구성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이하, 도면에 따라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운반장치(1)는 제1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다수의 타이어(T,...)를 재고로 쌓아두는 저장장치(2)와, 이 저장장치(2)에 뻗어 설치된 타이어(T)를 운반하는 컨베이어(3, 4, 5)와, 타이어(T)의 정렬ㆍ운반을 행하는 타이어 정렬컨베이어(6; 정렬운반장치)와, 이 정렬된 타이어(T)를 높은곳으로 운반하는 리프트 컨베이어(9; 리프트운반장치)와, 이 리프트 컨베이어(9)에 의해 운반되어온 타이어(T)를 다시 연소장치(도시하지 않음)까지 운반하는 수직이송 컨베이어 (10;기립상태 운반수단)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연소장치에 타이어(T)를 순차적으로 한개씩 투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저장장치>
우선, 저장장치(2)의 구조에 대하여 제2 도 내지 제7 도에 따라 설명한다.
저장장치(2)는 제2 도 내지 제4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주로 슬랫컨베이어 (11;컨베이어장치)와, 슬랫컨베이어장치(11)의 양측부에 세워 설치된 측판(12,12)과 이들 측판(12,12)에 부착되어 슬랫컨베이어장치(11)의 하류측 상방에 배치된 헤쳐 무너뜨리기 장치(13)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서 슬랫컨베이어장치(11)는 다수의 슬랫이 엔드리스로 연결된 벨트(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벨트(20)는 그 양단에 설치된 회전축(21a, 21b)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한쪽 회전축(21a)에는 모터(M1)가 연결되어 있고(제5 도 참조), 이 모터(M1)에 의해 벨트(20)를 저속도로 회전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 벨트(20)의 양단가장자리에 근접한 위치에는 측판(12,12)이 세워설치되어 있고, 이들 측판(12,12)과 벨트(20)에 의해 타이어(T)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장장치(2)의 옆쪽 지면(G)은 제2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측판(12)과 대략 같은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덤프카(D)에서 직접 저장장치(2)에 타이어(T,...)를 투입 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헤쳐 무너뜨리기 장치(13)는 제6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측판(12,12)의 상부 가장자리에 부착된 새집모양("II" 형상)의 지지베이스(30,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양 지지베이스(30,30)의 상부가장자리에는 제7 도에 상세히 도시하는 바와같이 베어링(B1, B1)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한쪽만 도시). 그리고, 이들 베어링(B1, B1)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축부재(31)가 컨베이어(11)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축부재(31)에는 양 지지베이스(30,30)의 약간 내측에서 요동프레임 (32,32)이 고착되어 있고, 이들 프레임(32,32)이 축부재(31)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요동프레임(32,32)중, 도시하고 있는 한쪽 것은 세로벽부(32a)와, 이 세로벽부(32a)하단에서 외측으로 뻗어 설치된 가로벽부(32b)에 의해 단면형상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가로벽부(32b)는 지지베이스(3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은 다른쪽 것은 세로벽부(32a)만을 가지고 있고, 가로벽부(32b)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한편, 좌우의 세로벽부(32a, 32a)하단은 한개의 프레임(33; 이하 "상프레임(33)" 이라한다)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이 상프레임(33)으로부터는 4개의 프레임(35,35,35,35; 이하 "종프레임(35,35,35,35)"이라 한다)이 수직으로 내려져 있다.
그리고, 이들 종프레임(35,...)의 하단부는 한개의 프레임(36; 이하, "하프레임(36)" 이라한다)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들 프레임(33,35,...,36)은 상기한 축부재(31)및 요동프레임(32,32)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양 요동프레임(32,32)의 세로벽부(32a, 32a)에는 베어링(B2, B2)이 부착되어 있고, 이들 베어링(B2, B2)에 의해 한개의 구동축(37)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축(37)은 가로벽부(32b)상에 부착된 모터(M2; 제2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회전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하프레임(36)에는 브래킷(39,39,39,39)을 통하여 베어링(B3, B3, B3, B3)이 부착되어 있고, 이들 베어링(B3,...)에는 구동축(37)과 평행이 되도록 종동축(50,50)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구동축(37)및 종동축(50,50)에는 4쌍의 스프로킷(51, 51, 51, 51, 52, 52, 52, 52)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고, 이들 스프로킷(51,..., 52,...) 사이에는 4개의 엔드리스체인(53, 53, 53, 53)이 감겨있다.
그리고 각 2개의 체인(53, 53)에는 다수의 슬랫(55,...)이 부착되어 벨트(56,56; 회전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또한 이 슬랫(55,...)표면에는 다수의 헤치기 클릭(57,...; 돌기)이 지그재그로 또는 부정렬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부재(31)에 고착되어 있고, 벨트(56, 56)가 일정이상의 힘으로 눌리면 이 늘려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쳐 무너뜨리기 장치(13)의 하류측에는 제4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롤러 컨베이어(58)가 설치되어 있고, 배출된 타이어(T,...)를 하류측으로 운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하여 저장장치(2)에서 배출된 타이어(T)는 컨베이어(3, 4, 5)에 의해 타이어 정렬 컨베이어(6)까지 운반되게 된다.
<타이어 정렬 컨베이어>
이어서, 타이어 정렬 컨베이어(6; 정렬 운반장치)에 대하여 제8도 내지 제13도에 따라 설명한다.
타이어 정렬 컨베이어(6)는 제8 도 및 제9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일렬로 부착된 상류측의 롤러(50,), 이들 롤러(60)하류측에 2열로 부착된 하류측의 롤러(61,...), 이들 롤러(60,..., 61,...)를 구동시키는 모터(62,...; 구동수단), 롤러(60,...)상에 배치되어 타이어(T)의 이송방향을 정해주는 가이드장치(63; 가이드수단), 및 센터링 장치(65)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가운데, 상류측 롤러(60,...)는 제10도(a)에 상세히 도시하는 바와같이 프레임(6a; 장치본체)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이들 축심과 프레임(6a)의 뻗어 설치된 방향(M; 이 방향은 타이어가 운반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이하, "타이어 운반방향(M)"이라함)과는 예각인 소정각도(θ)를 이루고 있다.
이 각도(θ)는 90 도 보다 약간 작은 각도이다.
그리고, 이들 각 롤러(60,...)의 끝부분에는 2개의 스프로킷(66, 66; 구동전달수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고, 이들 스프로킷(66, 66)은 인접한 롤러(60, 60)의스프로킷(66, 66)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대향하는 스프로킷(66, 66) 상호간에 체인(67)이 감겨있다. 한편, 롤러(60,...)의 하방에는 제9 도 및 제10도(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모터(6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체인(67,...)의 일부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62,...)를 구동하면 그 구동력이 체인(67,...)및 스프로킷(66,...)을 통하여 전달되어 모든 롤러(60,...)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한편 프레임(6a)에는 가이드장치(63)가 부착되어 있다(제8 도 참조).
이 가이드장치(63)는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단면이 ㄷ자 모양인 가이드브래킷(7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가이드브래킷(71)에는 다수의 가이드롤러 (70,...)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타이어 정렬컨베이어(6)의 하류측롤러(61,...)는 제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2열의 롤러(61,...)가 각각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태에서 이른바 헤링본 (herringbone) 형상으로 부착되어 있고, 이들 2열의 롤러(61,...)사이, 즉 컨베이어(6)의 중앙부에는 타이어의 운반방향(M)을 따라 홈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롤러(61,...)는 상기 롤러(60,...)와 동일하게 스프로킷 및 체인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컨베이어(6)의 양측부에 설치된 모터(62, 62)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부분에는 센터링장치(6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터링장치(65)는 한쌍의 센터링암(75, 75)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12도 (b)에 상세히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각 컨베이어 프레임(6a)측부에 지지되어 수평면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들 센터링암(75, 75)은 봉 형상부재(76; 제12도(a) 참조)로 연결되어 있고, 대칭의 각도로 개폐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센터링암(75)은 상기한 가이드브래킷(71)과 동일하게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롤러(77,...)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센터링암(75)의 일단부에는 제12도(a)및 (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와이어로프(80)가 부착되어 있고, 이 와이어로프(80)는 풀리(81)에 걸려서 수직으로 내려짐과 동시에 그 하단부에는 추(79)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센터링암(75)에는 스프링(82; 제12도(a) 참조)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링암(75)은 이들 추(79)와 스프링(82)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르 눌려 있다. 따라서 타이어(T)는 크기 차이에 관계없이 센터링되고, 또한 배출되지 않고 대기상태(스토리지상태)가 된다.
또한, 타이어(T)가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타이어(T)의 구멍부(Ta)위치와, 타이어 정렬 컨베이어(C)에 형성된 홈부(72)의 위치는 일치하고 있다.
또, 상기 타이어 정렬컨베이어(6)의 하류부분(센터링장치(6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는 계9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약간 경사져 있어 타이어(T)가 원활하게 운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센터링장치(65)의 하류측에는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약 50 도의 구배를 갖는 리프트 컨베이어(9; 리프트 운반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센터링장치(65)에 의해 센터링된 타이어(T)를 높은곳으로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프트 컨베이어>
다음에, 리프트 컨베이어(9; 리프트운반장치)에 대하여 제14도 내지 제16도에 따라 설명한다.
이 리프트 컨베이어(9)는 그 전길이에 걸쳐 감겨있는 무단상(無端狀)의 엔드리스 체인(90; 제2 엔드리스체인)을 구비하고 있으며, 엔드리스체인(90)은 그 일부가 상기 타이어 정렬컨베이어(6)의 홈부(72)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제12도 참조).
그리고, 이 엔드리스체인(90)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엔드리스체인(90)에는 기립 및 도복이 자유로운 도그(91,...; 걸림부)가 소정의 등 피치마다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체인(90)은 제14도(a)(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한쌍의 T자형상 플레이트(901, 901)와, 마찬가지로 한쌍의 T 자형상의 플레이트(902, 902)가 교대로 핀(903,...)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고, 핀(903,...)에는 롤러(905)가 끼워져 플레이트(901, 901)및 플레이트(902, 902)의 틈새를 정해주고 있다.
또한 이 롤러(905)에는 리프트 컨베이어(9)의 상하 양단부에서 스프로킷(도시하지 않음)이 맞물리도록 되어 있고, 이 스프로킷이 회전구동됨으로써 엔드리스체인(90)도 구동 되어있다. 또, T 자 형상 플레이트(901, 901)에 뚫려있는 구멍부에는 원통형상의 핀받이(906)가 끼워져 있고, 핀받이(906)내에 지지된 핀(907)에 의해 도그(91)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T 자 형상 플레이트(901, 901)의 측면에는 도그 스토퍼(909, 909)가 고정되어 있고 기립위치(A)에 있는도그(91)와 간섭하여 이 위치(A)를 정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도그(91)의 소정장소에는 웨이트(91a)가 부착되어 있고, 기립위치(A)에 있는 도그(91)가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또는 도복위치(B)에 유지되도록, 여러 가지 고려한 결과에 따라 Z위치에서 안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그(91)에는 핀(910)이 끼워져 있고, 도그(91)가 넘어질 경우에는 이 핀(910)이 T자 형상 플레이트(901, 901)의 끝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도그(91)의 도복위치(B; 제15도 참조)를 정해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핀(903)의 양단부에는 사이드롤러(915, 915)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또 핀(910)의 양단부에는 스페이서(911, 911)를 통하여 가이드롤러 (912, 912)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이와같은 체인(90)이 설치된 장치본체(9a)에는 제1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가이드부재(913)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부재(913)는 테이퍼면 (913a)을 가지고 있으며, 도그(91)가 넘어진 상태로 이동해 오면 이 가이드롤러 (912)는 테이퍼면(913a)을 따라 상승하고, 이에 따라 도그(91)는 도그스토퍼(909, 909)에 의해 정해지는 기립위치(A)까지 핀(90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부재(913)는 타이어(T)가 공급되는 위치(제14도(a)에 도시하는 위치) 보다 하방에 부착되어 있다. 또, 장치본체(9a)에는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홈부(C)가 형성되어 있고, 이 하부에는 소정 틈새를 두고 한쌍의 레일부재(92, 9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엔드리스체인(90)의 사이드롤러(915, 915)는 이들 레일부재 (92, 92)위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들 사이드롤러(915, 915)와 레일부재 (92, 92)에 의해 엔드리스체인(90)의 이동경로를 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홈부(C)의 양측에는 미끄럼면 라이너(93, 93)가 부착되어 있고, 운반된 타이어(T)의 미끄럼 이동면을 형성하고 있다. 미끄럼면라이너(93, 93)의 양끝 가장자리에서는 사이드가이드(95, 95)가 세워설치되어 있고, 타이어(T)의 운반경로의 폭을 정해주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리프트 컨베이어(9)가 구동되면 엔드리스체인(90)에 부착된 도그(91)가 홈부(72)안을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여 타이어(T)를 순차적으로 걸어서 높은 곳으로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상세는 후술함).
또, 이 리프트 컨베이어(9)의 하류측(높은 곳쪽)에는 롤러컨베이어(8)나 수직 이송컨베이어(10)등이 설치되어 있고, 리프트 컨베이어(9)에 의해 운반되어 온 타이어(T)를 다시 연소장치(도시않음)까지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직이송 컨베이어>
다음에 수직이동 컨베이어(10)에 대하여 제17도 내지 제20도에 따라 설명한다.
상기한 리프트 컨베이어(9)하류측에는 제17도에 도시하는 롤러컨베이어(8)와 수직 이송 컨베이어(10; 세운 상태 운반수단)가 배치되어 있고, 이 컨베이어(8)의 종단부 하방(양 컨베이어(8,10)사이)에는 제19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 범위의 곡률로 만곡되어 형성된 가이드부재(10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가이드부재(100)의 하방에는 경사판(101)이 설치되어 있고, 이와같은 경사판(101)은
수직이동 컨베이어(10)하류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제18도 참조).
한편, 수직이송 컨베이어(10)의 상류측 단부에는 지지장치(A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장치(A1)는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회전축(102)을 가지고 있으며, 이 회전축(102)에는 한쌍의 스프로킷(S1, S2)이 소정거리를 두고 대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수직이송 컨베이어(10)하류측 단부에는 이 지지장치(A1)와 같은 구조의 지지장치(A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스프로킷(S3,S4)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하류측지지장치(A2)에 있어서는 스프로킷(S3, S4)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이동 컨베이어(10)에는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전길이에 걸쳐 상하 2단의 레일부재(R1, R2, R3, R4)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레일부재 (R1,...)는 운반부재(110; 상세는 후술)를 미끄럼이동자유롭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또 이 수직이송컨베이어(10)의 상기 가이드부재(100)에 대향하는 쪽에는 타이어 가이드장치(120; 제2 가이드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장치(120)는 다수의 프리롤러(121,...)와, 이들 프리롤러(122,...)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프레임(122)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프리롤러(121,...)는 모두 연직선에 대하여 약 15 도 경사지도록 지지되어 있고, 타이어의 운반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양 지지장치(A1, A2)사이에는 엔드리스의 운반부재(110)가 감겨있다(제18도 참조). 이 운반부재(110)는 제20도(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2개의 체인(111,111; 제1 엔드리스체인)을 가지고 있으며, 각 체인(111)은 서로 대향하는 내부 플레이트(113,...) 및 외부플레이트(115,...)가 핀(116,...)에 의해 다수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제20도(a) 참조). 또, 핀(116,...)에는 롤러(117,...)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내부플레이트(113)및 외부플레이트(115)의 틈새를 정해 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각 내부플레이트(113)는 제20도(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단면이 L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양 체인(111, 111)의 내부플레이트(113, 113)상호간에는 롤러브래킷(118)이 부착되어 있다.
이 롤러브래킷(118)은 상방으로 뻗어 설치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암부(118a, 118b)를 있으며, 이와같은 암부(118a, 118b)사이에는 롤러(119)가 수평면에 대하여 약 15도 각도로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롤러브래킷(118)에는 보강판 (130)이 부착되어 있다.
또, 롤러브래킷(118)에는 보강판(130)이 부착되어 있다.
또, 운반부재(110)는 롤러(119,...)를 다수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다수의 롤러(119,...)에 의해 타이어(T)를 얹어놓는 적재면(B)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운반부재(110)가 수직이송 컨베이어(10)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운반부재(110)측의 체인(111, 111)이 스프로킷(S1, S2, S3, S4)에 맞물리고, 또 롤러(117,...)가 레일부재(R1, R2, R3, R4)위를 미끄럼이동하여 구동경로가 정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운반부재(110)측 롤러(119,...) 및 타이어 가이드장치(120)측의 프리롤러(121,...)는 상기와 같이 각각 15 도씩 경사져서 지지되어 있고, 상대적으로는 90 도의 각도차를 가지고 지지되게 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저장장치(2)에는 덤프카(D)등에 의해 타이어(T,...)를 투입하고, 다수의 타이어(T,...)를 산적(山積)상태로 저장된다.
이 상태로 저장장치(2)의 모터(M1)를 구동시키면 슬랫 컨베이어(11)의 벨트(20)가 회전구동되고, 타이어(T,...)더미는 헤쳐 무너뜨리기 장치(13)가 있는 방향으로 저속도로 운반된다.
한편, 헤쳐 무너뜨리기 장치(13)의 모터(M2)를 구동시키면 벨트(56, 56)가 회전하여 벨트(56, 56)표면에 부착된 금기 클릭(57,...)은 타이어(T,...)를 헤쳐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같이 회전하고 있는 긁기클릭(57,...)에 상기와 같이 운반되어 오는 타이어(T,...)가 접촉하면 앞쪽타이어(T,...)로부터 순차적으로 긁혀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긁혀 떨어진 타이어(T,...)는 저장장치 외부로 배출되어 롤러컨베이어(58)에 의해 운반되고, 다시 컨베이어(3,...)에 의해 타이어 정렬컨베이어(6)로 운반된다.
또한, 슬랫컨베이어(11)에 의해 운반되어온 타이어(T,...)가 벨트(56, 56)로 눌리더라도 요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벨트(56, 56)는 타이어(T,...)의 누름에 의해 요동하고, 타이어(T,...)가 서로 맞물리게되는 일은 없다.
한편, 타이어 징렬컨베이어(6)에 있어서는 모터(62,...)의 구동에 따라 롤러(60,...)가 회전 구동된다. 이 롤러(60,...)는 상기와 같이 소정 각도(θ)로 경사져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위에 올려놓여져 있는 타이어(T)는 가이드장치(63)로 눌리면서 운반된다.
또한, 이 가이드장치(63)에 가이드롤러(70)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T)는 가이드장치(63)로부터 저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운반된다.
이와같이하여 하류측으로 운반된 타이어(T)는 헤링본 형상의 롤러(60,...)와 센터링암(75)에 의해 센터링위치(타이어 구멍부가 컨베이어(6)의 홈부(72)에 일치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지만 센터링암(75, 75)이 상기와 같이 닫히는 방향으로 늘리기 때문에 이동해온 타이어(T)는 그 센터링 위치에서 대기상태(스토리지상태)가 된다.
또한 센터링암(75)에도 가이드장치(63)와 동일하게 회전자유롭게 롤러(77,...)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T)는 센터링암(75)과의 접촉으로 저항받는일없이 원활하게 운반된다.
다음에, 리프트 컨베이어(9)의 엔드리스체인(90)을 구동시키면 도그(91)는 기립상태로 홈부(72)안을 통과하여 그 선단부는 타이어(T)의 구멍부(Ta)에 걸린다(제14도(a)참조).
그리고 이 도그(91)는 타이어(T)를 센터링암(75, 75)에 저항하여 이동시키고, 센터링암(75,75)은 가압개방된다. 그리고, 타이어(T)는 사이드가이드(95, 95)에 의해 운반경로가 정해지면서 미끄럼면 라이너(93,93)위로 운반되어 높은곳까지 운반된다.
또한, 센터링암(75, 75)은 곧 바로 닫히기 때문에 다음 타이어(T)도 마찬가지로 센터링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런데, 운반되는 타이어(T)가 도그(91)의 부착피치보다 크기가 클 경우에는 제2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운반에 기여하지 않는 도그(91)는 이 타이어 후단부에 의해 B위치(제21도의 실선표시위치)로 넘어진다.
그리고, 타이어(T)는 상기와 같이하여 높은 곳으로 운반된다.
또한, 이와같이 도복된 도그(91)는 웨이트(91a)에 의해 이 도복위치(B)에 안정ㆍ유지되는데 체인(90)이 상기 대기위치의 가까운 쪽에 이르면, 상기한 바와같이 가이드부재(913)에 의해 기립되고, 타이어를 운반할수 있는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리프트 컨베이어(9)에 의해 운반된 타이어(T)는 롤러컨베이어(8)에 의해 운반된다. 그리고 이 타이어는 가이드부재(100), 가이드장치(120)및 경사판(101)에 의해 방향이 바뀐다음, 기립위치(정확하게는 연직면에 대하여 약 15 도 경사진 위치로 수직이송 컨베이어 (10)에 올려놓여진다.
그리고, 이 타이어(T)는 경사판(101)위를 굴러서 롤러(119,...)위에 얹어놓여진다.
롤러(19,...)위에 얹어놓여진 타이어(T)는 저부가 롤러(119,...)에 지지됨과 동시에 측부가 프리롤러(121,...)에 지지되어 상기 경사진 위치에서 그대로 운반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장치(2)에 있어서는 긁기클릭(57,...)의 회전에 의해 타이어(T,...)는 순차적으로 헤쳐 떨어지게 되어 타이어를 정량적으로 빼낼수 있다.
또, 헤쳐 무너뜨리기 장치(13)의 벨트(56, 56)는 슬랫컨베이어(11)상의 타이어(T,...)의 더미를 앞면에서 눌리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타이어(T,...)의 더미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한번에 다수의 타이어(T,...)가 배출되는 일도 없다.
그리고, 벨트(56, 56)는 요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기때문에 타이어(T,...)가 서로 맞물려 벨트(56, 56)회전을 저지하도록 작용할 경우에는 벨트(56, 56)가 소정각도만큼 요동한다.
따라서, 벨트(56, 56)를 구동시키는 모터(M2)에 과잉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마찬가지로 슬랫 컨베이어(11)를 구동시키는 모터(M1)에의 과부하를 방지할수 있다.
한편, 이와같이 벨트(56, 55)가 눌려서 요동할 경우에도 벨트(56, 56)는 회전구동되고 있기 때문에 타이어를 헤쳐 떨어뜨리는것은 계속 행하여진다.
따라서 타이어끼리 물려 전혀 빼낼수 없게되는 일을 피할수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타이어를 정량적으로 빼내는 것이 확실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감시나 보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무인으로 연속운전을 할수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크고 작은 타이어(T,...)를 혼합하여 운반할 경우에 있어서도 타이에 정렬컨에이어(6)에 의해 타이어(T,...)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상태에서 센터링장치(65)에 의해 타이어의 중앙구멍(Ta)이 중앙홈부(72)에 일치하도록 변경되고 리프트 장치(9)의 걸림부(91)에 걸린다. 따라서 크기에 따라 롤러컨베이어를 복수 설치할 필요도 없고, 그 만큼 설비비를 줄일수 있다. 또, 본 타이어 정렬 컨베이어(6)를 사용함으로써 정렬한 상태로 타이어를 한개씩 운반할수 있기 때문에 연소장치의 화력조정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타이어 정렬컨베이어(6)는 롤러컨베이어의 롤러의 부착각도를 소정각도로 변경등을 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또, 이와같은 일렬운반을 롤러컨베이어로 실현할수 있기때문에 운반하는 물품의 스토리지가 용이하다고 하는 롤러컨베이어 본래의 이점도 살릴 수 있다.
한편, 본 타이어 정렬컨베이어(6)에 있어서는 인접한 롤러의 스프로킷 끼리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스프로킷에 체인(67)을 감아서 구동력을 전달시켰다.
따라서 소위 커버드 체인(covered chain)등을 사용할 필요도 없고, 구동력전달을 원할하게 행할수 있다. 또 한편, 가이드장치(63)나 센터링암(75)에 롤러(70, 77)를 설치했기 때문에 운반되는 타이어가 받는 저항력도 적게할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 컨베이어(9)에 있어서는 도그(91,...)는 기립 및 도복식이기 때문에 대직경타이어 운반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그(91,...)의 부착피치를 자유롭게 설정할수 있고, 가장 번번하게 운반되는 타이어의 크기에 따라 그 피치를 설정함으로써 운반효율을 높일수 있다.
또, 세로 이송컨베이어(10)에 있어서는, 타이어(T)는 대략 세운 상태로 운반되기 때문에 그 투영면적이 작아지고, 운반하기 위한 공간이 작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 타이어(T)는 롤러(119,...)상에 경사진 상태로 얹어놓여지기 때문에 타이어(T)를 지지하는 가이드장치(120)는 한쪽에만 설치하면 되고, 따라서 장치가 간단해짐과 동시에 가이드장치(120)가 설치되지 않은 쪽에서 용이하게 운반상황을 육안으로 볼수 있다.
그리고, 타이어(T)측부는 가이드장치(120)의 프리롤러(121,...)로 지지되기 때문에 타이어(T)는 저항을 받지않고 원활하게 운반된다. 한편, 롤러(119,...)는 롤러브래킷(118)을 통하여 체인(111, 111)에 지지되어 있고, 이 롤러브래킷(118)의 형상에 따라 롤러(119,...)가 경사져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체인(111, 111)은 동일 높이로도 되고, 고저차를 줄 필요가 없으며, 그 때문에 스프로킷(S1,...)의 지름이 동일하여도 되는 등, 세로 이송컨베이어(10)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 한편 상기 종래예에서 기술한 바와같은 개폐장치에 의해 스토리지를 행할 경우에도 롤러(119,...)가 공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부재(110)의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스토리지를 행할수 있다.
또 크고 작은 타이어를 혼합하여 운반할 경우에 상기 스토리지를 행하여도 정렬된 순서가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크기에 따라 타이어운반장치를 복수 설치할 필요도 없어 설비비를 줄일수 있다.
이어서, 일부 변경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타이어 정렬컨베이어(6)에 있어서, 롤러(60,... 및 61,...)에 이른바, 어큐뮬레이팅 롤러등의 마찰 결합수단을 설치하여 타이어가 스토리지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롤러의 구동력이 타이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도 된다.
이에따라 스토리지가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 각 롤러(60,... 61,...)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하지않고 하류측을 빨리 하여도 된다. 이에따라 하류축의 타이어를 서로 떼어놓을수 있고, 센터링암(75, 75)의 닫힘시간이 짧은한 타이어끼리 서로 간섭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리프트장치(9)에 의해 반출된다.
한편, 리프트운반장치(9)에 있어서는 가이드롤러(912)와 가이드부재(913)에 의해 도그(91)를 기립시키도록 하였으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그(91)에 부착한 웨이트(91a)만으로 기립시켜도 된다. 즉, 엔드리스체인(90)의 하측 도그(91,...)는 자중에 의해 기립상태로 있으나, 그 기립상태를 유지한채 타이어(T)를 수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한편, 수직이송 컨베이어(10)에 있어서는 롤러(119,...)를 회전자유롭게 하여 롤러브래킷(118,...)을 구동하도록 하였으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롤러(119,...) 자체를 회전구동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롤러(119,...)자체를 회전 구동하도록한 경우에는 롤러내부에 마찰결합수단을 설치하여 종래예의 개폐장치등에 의해 타이어의 이동이 저지되었을때 이 마찰결합수단에 의해 타이어로의 구동력 전달을 끊고 스토리지가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발명에 있어서의 정렬운반장치에 따르면 타이어는 가이드수단으로 눌리면서 정렬되고 운반된다. 따라서, 크고 작은 타이어를 혼합하여 이송할 경우에 있어서도 그 정렬이 이루어지고, 크기에 따라 운반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그 만큼 설비비를 줄일 수 있다.
또, 이 정렬운반장치에 있어서는 단순히 롤러와 가이드수단이 이루는 각도를 소정각도로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정렬을 위한 복잡한 장치가 필요치 않고, 그 만큼 설비비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정렬운반을 이른바, 롤러컨베이어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운반하는 물품의 스토리지가 용이하다고 하는 롤러컨베이어 본래의 이점도 살릴수 있다. 또한 가이드수단의 하류측에 배치된 센터링수단에 의해, 가이드수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타이어를 타이어 중심의 구멍부가 리프트 장치에 걸리는 위치로 방향변경되어 타이어 크기에 상관없이 확실히 리프트 장치에 걸릴수 있다.
한편,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한쌍의 스프로킷과 이들 스프로킷에 감긴 체인에 의해 구동력 전달을 행함으로써 롤러 상호간에 있어서의 구동력 전달을 원활하게 행할수 있다.
또, 기립상태 운반수단에 있어서는 타이어를 기립상태로 운반하기 때문에 운반하기 위한 공간이 작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프트 운반장치에 없어서는 걸림부는 기립 및 도복식이기 때문에 대직경타이어의 운반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걸림부의 부착피치를 자유롭게 설정할수 있고, 가장 빈번하게 운반되는 박이어 크기에 따라 이 피치를 설정함으로써 운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저장장치에 있어서는 다수의 돌기가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저장된 타이어를 순차적으로 헤쳐 떨어뜨려 타이어를 정량적으로 빼낼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체는 이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가 서로 물려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게 되더라도 상기 회전체는 이동한다.
따라서, 이 회전체를 회전구동하는 제2 구동수단에 과잉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한편, 이와같이 회전체가 눌리어 이동할 경우에도 이 회전체는 회전구동되기 때문에 타이어를 헤쳐 떨어뜨리는 것은 계속 행해진다.
따라서 타이어끼리 서로 물려 전혀 배출되지 않게되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타이어를 정량적으로 확실하게 빼낼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감시나 보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무인의 연속운전을 할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에 따른 타이어 운반장치는 미리 저장된 다수의 타이어를순차적으로 정렬하면서 1개씩 운반하는 것으로 크고 작은 타이어를 운반할 경우에 사용된다.
특히 본 타이어 운반장치는 대소 여러가지 크기의 타이어를 운반하기 위한 것이면서도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1개씩 정연하게 운반할수 있고, 사용이 끝난 타이어를 연료로서 연소장치에 투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화력조정이 가능하고 연소장치에 폐타이어를 운반하는 운반장치에 적용할수 있다.

Claims (9)

  1. 다수의 타이어를 저장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이 저장된 타이어를 소량씩 배출하는 저장장치와, 이 저장장치에서 배출된 타이어를 일렬로 정렬시키면서 운반하는 정렬운반장치와, 이 정렬운반장치에 의해 정렬된 타이어를 걸어서 한개씩 운반하는 리프트 운반장치를 구비한 타이어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렬운반장치가 장치본체에 병렬로 또한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복수의 롤러와, 이들 복수의 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이들 복수의 롤러위에서 운반되는 타이어의 운반경로를 정해주는 가이드수단과 이 가이드수단의 하류측에 배치된 센터링수단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롤러가 상기 가이드수단의 뻗어 설치된 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배치되어서 타이어가 상기 가이드수단에 눌리면서 일렬로 정렬되어 운반되고, 또한 이들 타이어가 그 하류측에서 상기 센터링수단에 의해서, 상기 타이어 중앙의 구멍부가 상기 리프트 운반장치에 걸리는 위치로 방향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가 각각 상기 장치 본체에 경사져서 지지되고, 이들 복수의 롤러중 인접한 롤러 상호간에, 이들 롤러의 축선에 직교하는 한 평면내에 위치하여 각각 구동전달수단을 배열설치하고 어느 한 롤러를 구동시키므로써 이 구동력이 상기 구동전달수단을 통하여 인접한 롤러에 전달되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운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달수단이 상기 인접한 롤러의 축선에 직교하는 한 평면에 위치된, 상기 롤러에 각각 고정된 스프로킷 및 이들 양 스프로킷에 감아 걸린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체인전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운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수단은 한쌍의 센터링암을 가지며, 이들 센터링암이 서로 연결되어 대칭인 각도로 개폐함과 동시에 타이어가 중앙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눌리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운반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운반장치는, 상기 센터링수단의 대략 하방이 되는 하류측에서, 타이어를 중앙을 향해 운반하도록 경사져서 배열된 2열의 롤러와, 이들 2열의 롤러간에 있어서의 홈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리프트운반장치는, 회전구동되는 엔드리스체인과, 이 엔드리스체인에 소정피치마다 설치된 걸림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정렬운반장치의 홈부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타이어 운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운반장치의 걸림부를 타이어를 거는 기립위치와 다른 타이어운반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도복시키는 도복위치로 기립 및 도복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운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는 투입된 타이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장치와, 이 컨베이어장치의 하류측 상방에 배치된 헤쳐 무너뜨리기 장치를 가지며, 상기 헤쳐 무너뜨리기 장치가 이동자유롭게 지지된 프레임, 이 프레임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표현에 다수의 돌기를 가진 회전체 및 이 회전체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가지며, 또한 상기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운반된 타이어가 상기 회전체를 누르면, 상기 회전체는 이동하면서 상기 돌기에 의해 타이어를 헤쳐 무너뜨려서 이 타이어를 조금씩 저장장치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운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운반장치의 하류측에 기립상태 운반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립상태 운반수단이 기립상태의 타이어가 얹어 놓여져 구동되는 운반부재와, 이 운반부재의 구동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타이어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운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재는 구동되는 엔드리스체인과, 이 엔드리스체인에 경사져서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롤러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기립상태 운반수단의 가이드수단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다수의 롤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타이어 운반장치.
KR1019950700469A 1993-06-08 1994-06-08 타이어운반장치 KR100333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64089A JPH06345236A (ja) 1993-06-08 1993-06-08 整列搬送装置
JP93-164088 1993-06-08
JP5164088A JPH06345235A (ja) 1993-06-08 1993-06-08 タイヤ搬送装置
JP93-164087 1993-06-08
JP16408793A JPH06345245A (ja) 1993-06-08 1993-06-08 掻き崩し装置を備えたストック装置
JP93-164089 1993-06-08
JP16409093A JP3539989B2 (ja) 1993-06-08 1993-06-08 搬送装置
JP93-164090 1993-06-08
PCT/JP1994/000929 WO1994029204A1 (fr) 1993-06-08 1994-06-08 Systeme transporteur de pne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2934A KR950702934A (ko) 1995-08-23
KR100333750B1 true KR100333750B1 (ko) 2002-11-20

Family

ID=2747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0469A KR100333750B1 (ko) 1993-06-08 1994-06-08 타이어운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33750B1 (ko)
CN (1) CN1065830C (ko)
WO (1) WO19940292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349B1 (ko) 2015-04-17 2015-10-13 주식회사 한화 타이어의 이송을 위한 타이어 정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20529B (zh) * 2007-03-12 2012-07-18 江苏天奇物流系统工程股份有限公司 轮胎螺旋下降滑道输送系统
CN110540026A (zh) * 2019-09-25 2019-12-06 杭州亚佳宝轻纺科技有限公司 一种纸管输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43079A (en) * 1974-03-11 1976-07-21 Baker Perkins Holdings Ltd Apparatus for feeding articles to a packaging machine
JPS51138880U (ko) * 1975-04-26 1976-11-09
JPS599751Y2 (ja) * 1979-11-07 1984-03-27 西田鉄工株式会社 廃タイヤ整列供給装置
JPS5846405B2 (ja) * 1979-12-20 1983-10-17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パネル搬送装置
JPS5915302B2 (ja) * 1980-05-27 1984-04-09 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用済タイヤの自動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1122249U (ko) * 1985-01-18 1986-08-01
JPH07115737B2 (ja) * 1991-05-29 1995-12-13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廃タイヤ自動供給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349B1 (ko) 2015-04-17 2015-10-13 주식회사 한화 타이어의 이송을 위한 타이어 정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830C (zh) 2001-05-16
CN1111905A (zh) 1995-11-15
WO1994029204A1 (fr) 1994-12-22
KR950702934A (ko) 199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8483B2 (ja) 高速傾斜ベルト仕分け機
CA1093593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boards
US20060254883A1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US6776279B2 (en) Unit for automatic container returns systems
US4463846A (en) Bottle orienting apparatus
KR100333750B1 (ko) 타이어운반장치
US2910165A (en) Can unscrambler
CN218200777U (zh) 一种自动物流输送线
JPH08310654A (ja) カードや練条機などの紡績機械でケンスを搬送および供給する装置
JP4078959B2 (ja) 一時保管装置
JP2020083481A (ja) 多種多様物品仕分装置
JP3361906B2 (ja) 搬送コンベア
US2873841A (en) Orientating apparatus
KR100887059B1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 교정장치
JP2018520076A (ja) 自由回転ローラーと格納可能なフライトを有するチェーンコンベヤ
JP3455883B2 (ja) パレット式アキュームレートストックコンベヤ
JP2813250B2 (ja) 搬送ラインにおける反転移送装置
KR102362820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2426881B1 (ko) 물류이송용 콘베이어
JP2676316B2 (ja) 氷の垂直搬送装置
KR20040100529A (ko)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
JPH06336331A (ja) ローラコンベアの物品移載装置およびその物品移載方法
JP2850213B2 (ja) 鶏卵の姿勢を揃える装置
JP3298447B2 (ja) 物品移載装置
JPS5928983Y2 (ja) 物品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