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295B1 -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 - Google Patents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295B1
KR100333295B1 KR1019990068377A KR19990068377A KR100333295B1 KR 100333295 B1 KR100333295 B1 KR 100333295B1 KR 1019990068377 A KR1019990068377 A KR 1019990068377A KR 19990068377 A KR19990068377 A KR 19990068377A KR 100333295 B1 KR100333295 B1 KR 100333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s
hinge
dumping
bar
dump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531A (ko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295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60P1/273Providing interdependence between tipping movement and the latching or unlatching of a freely-swingable tailboard or side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60P1/167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three side tipp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덤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덤프 트럭에서 3방향으로 덤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덤프 트럭의 덤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3방향의 덤핑 시 각 방향의 록킹핀을 수작업으로 하나씩 삽입/분리시키지 않고도 한번의 동작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디(B) 후방에서 차량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바(59) 및 힌지 브라켓(60)이 설치되어 있고, 차량 측면에서 좌우측 덤핑 가능할 때 힌지점 역할을 하도록 고정바(59)가 설치된 된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바디(B)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2개의 제1, 2봉(1, 2)과, 상기한 제1, 2봉(1, 2) 일단에 고정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핸들(3)과, 상기한 제1, 2봉(1, 2)의 회전과 함께 연동하도록 연결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고정바(59)를 제한하여 힌지점이 되도록 하거나 분리시키는 힌지 수단과, 상기한 제1, 2봉(1, 2)의 회전에 연동하여 사이드 게이트(S)를 체결,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체결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DUMPING DEVICE FOR DUMP TRUCK}
본 발명은 덤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덤프 트럭에서 3방향으로 덤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덤프 트럭의 덤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운반하는 트럭중에는, 공사장등에서 흙등을 운반하기 위해 덤핑(Dumping) 동작이 용이한 덤프 트럭이 있다.
상기한 덤프 트럭은 적재함을 승강시킴으로써, 적재함에 적재된 흙등과 같은 화물을 차량 후방으로 쉽게 쏟아 부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덤프 트럭중에서는 덤핑 동작을 후방, 좌우 방향에서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있는 바, 이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D)의 저면에 로드가 힌지로 결합됨과 아울러 바디(프레임)(B)에 설치된 호이스트 실린더(50)와, 상기한 적재함(D)과 바디(B)의 후방 및 측방을 연결함과 아울러 간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1, 2, 3, 4록킹 핀(51, 52, 53, 54)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한 록킹 핀(51, 52, 53, 54)은 차량 측면에 설치된 것일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D)의 저면에 고정됨과 아울러 차량 길이 방향 단면이 원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 록커(55)와, 상기한 록커(55)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바디(B)에 설치된 고정바(56)와, 상기한 고정바(56)가 록커(55)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상태에서 록커(55)의 관통공(57)에 삽입되어 고정바(56)가 이탈되지 않도록 적재함(D)에 체인(58)등으로 연결된 고정핀(59)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후방에 설치된 록킹핀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D)에 설치된 록커(55')와, 상기한 록커(55')에 수납되도록 바디(B)에 고정된 고정바(59)가 차량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바디(B)의 힌지 브라켓(60)에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힌지 브라켓(60)의 사이에는 강성 유지등을 위해 지지봉(61) 및 관통 파이프(62)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즉, 상기한 덤프 트럭의 덤핑 상태를 설명하면, 후방으로 덤핑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제1, 3록킹핀(51, 52)을 록커(55)에서 분리시킴과 아울러 제2, 4록킹핀(52, 54)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호이스트 실린더(5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한 제2, 4록킹 핀(52, 54)의 록커(55') 및 가이드봉(61)이 고정되어 있는 힌지 브라켓(60)을 힌지점으로 하여 적재함이 후방 덤핑되는 것이다.
여기서, 좌측으로 덤핑하기 위해서는 제1, 2록킹핀(51, 52)을 분리시키고, 제3, 4록킹핀(53, 54)을 고정시킨 상태가 되는 바, 상기한 적재함(D)이 좌측으로 기울게 되면 록커(55, 55')가 가이드봉(6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덤핑되는 것이다.
우측 덤핑시에는 제1, 2록킹핀(51, 52)을 고정시키고, 제3, 4록킹핀(53, 54)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좌측과 동일한 동작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적재함(D)의 사이드게이트는 작업자가 손으로 각방향 덤프 시 체결/분리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덤프 트럭의 3방향 덤핑을 위해 록커 및 록킹핀과 가이드봉을 설치한 후, 이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각 방향의 덤핑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한 록커에 록킹핀을 삽탈하는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덤핑 동작 중 록킹 핀이 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방향 덤핑 시 사이드 게이드가 열리거나 잠기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 게이트를 별도로 잠궈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방향의 덤핑 시 각 방향의 록킹핀을 수작업으로 하나씩 삽입/분리시키지 않고도 한번의 동작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디 후방에서 차량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바가 설치되어 있고, 차량 측면에서 좌우측 덤핑 가능할 때 힌지점 역할을 하도록 고정바가 설치된 된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2개의 제1봉과, 상기한 제1봉 일단에 고정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핸들과, 상기한 제1, 2봉의 회전과 함께 연동하도록 연결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고정바를 제한하여 힌지점이 되도록 하거나 분리시키는 힌지 수단과, 상기한 제1, 2봉의 회전에 연동하여 사이드 게이트를 체결,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체결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도1의 좌측면도,
도4는 도1에서 걸림 레버와 고정바를 도시한 확대도,
도5는 일반적인 덤프 트럭에서 3방향 덤핑 가능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6은 도5에서 덤프 트럭의 측면에 설치되는 록킹 핀을 도시한 확대도,
도7은 도5에서 후방에 설치되는 회전 록킹 핀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봉 2: 제2봉
3: 핸들 3': 제1회전암
4: 제1힌지 5: 제1슬라이더
6: 제1작동봉 7: 제2힌지
8: 걸림부 9: 제1걸림 레버
10: 지지 브라켓 11: 회전바
12: 제2회전암 13: 제3힌지
14: 제2슬라이더 15: 제2작동봉
16: 제2걸림 레버 D: 적재함
B: 바디 S: 사이드 게이트
도1과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와 평면도와 좌측면도로서, 차량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2개의 제1, 2봉(1, 2)과, 상기한 제1, 2봉(1, 2) 일단에 고정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핸들(3)과, 상기한 제1, 2봉(1, 2)의 회전과 함께 연동하도록 연결 설치됨과 아울러 바디(B)의 다수 위치에 설치된 고정바(59)를 제한하여 힌지점이 되도록 하거나 분리시키는 힌지 수단과, 상기한 제1, 2봉(1, 2)의 회전에 연동하여 사이드 게이트(S)를 체결,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체결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적재함(D)의 후방에는 종래와 동일한 록킹 핀(52, 54) 및 록커(55')와 힌지 브라켓(60)이 설치되어 적재함(D)의 덤핑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힌지 수단은 일단이 제1, 2봉(1, 2)의 제1회전암(3')에 제1힌지(4)로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이 적재함(D)의 저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5)에 연결된 제1작동봉(6)과, 상기한 슬라이더(5)에 연결되어 슬라이더(5) 이동 시 회전 운동하도록 제2힌지(7)로 설치되고 종단에 상기한 고정바(59)를 수납하여 힌지점이 되도록 걸림부(8)가 형성된 제1걸림 레버(9)와, 상기한 걸림부(8)에 고정바(59)가 수납되었을 때 폐쇄된 원을 이루도록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59)에 설치된 지지 브라켓(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체결 수단은 상기한 가이드 게이트의 저면 다수 부분에 설치된 회전바(11)와, 상기한 제1, 2봉(1, 2)에 설치된 제2회전암(12)에 일단이 제3힌지(13)로 연결되고 타단이 적재함(D)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2슬라이더(14)에 연결된 제2작동봉(15)과, 상기한 제2슬라이더(14)의 이동 시 회전되도록 설치된 제2걸림 레버(16)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힌지 수단과 체결 수단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인 바, 상기한 제1, 2봉(1, 2)이 핸들(3)에 의해 회전되면 각각 고정바(59)와 회전바(11)를 제한/해제시켜 덤핑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제1, 2봉(1, 2)중에서 좌측에 위치된 제1봉(1)은 우측의 고정바(59)와 회전바(11)와 연결되어 있고, 제2봉(2)은 좌측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후방 덤핑을 하기 위해서는, 2개의 핸들(3)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즉, 제1봉(1)에 연결된 핸들(3)은 반시계 방향, 제2봉(2)에 연결된 핸들(3)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바, 이와 함께 제1, 2봉(1, 2)이 회전되면, 이와 연결된 제1작동봉(6)이 회전된다.
제1작동봉(6)이 회전되면 차량 좌측에 설치된 제1걸림 레버(9) 및 우측에 설치된 제1걸림 레버(9)가 고정바(59)에 결합되도록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한 제2작동봉(15)이 회전되면서 제2걸림 레버(15)와 회전바(11)가 결합되어 가이드 게이트(S)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제1, 2걸림 레버(9, 16)가 고정바(59) 및 회전바(11)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한 호이스트 실린더(50)가 적재함(D)을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한 후방에 설치된 록커(55') 및 힌지 브라켓(60)에 의해 적재함(D)이 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덤핑 방향을 좌측으로 하게 되면, 상기한 2개의 핸들(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2개의 핸들(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와 결합된 제1, 2작동봉(6, 15)이 연동하는 바, 제1봉(1)에 연결된 제1, 2작동봉(6, 15)은 당겨지면서 상기한 제1, 2슬라이더(5, 14)가 당겨지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한 제1, 2걸림 레버(9, 16)가 고정바(59) 및 회전바(11)에서 이탈된다.
제1, 2걸림 레버(9, 16)가 고정바(59) 및 회전바(11)에서 이탈되면, 상기한 호이스트 실린더(50)가 동작하여 적재함(D)을 상승시킬 때, 좌측의 사이드 게이트(S)가 열리면서 상기한 좌측 덤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2개의 핸들(3) 조작 방향(후방은 서로 벌어지는 방향, 좌측은 2개 모두 우측, 우측은 2개 모두 좌측으로 회전)만을 조절하면, 덤핑 방향 조절이 가능한 바, 덤핑 작업이 매우 단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돌아다니면서 차량 전체의 록킹핀을 삽입/분리시키지 않아도 되는 바, 운전자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핸들에 연동하도록 제1, 2걸림 레버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핸들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면서 제1, 2걸림 레버가 고정바 및 회전바를 수납/해제시키도록 함으로써, 덤핑 방향 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바디 후방에서 차량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바 및 힌지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차량 측면에서 좌우측 덤핑 가능할 때 힌지점 역할을 하도록 고정바가 설치된 된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2개의 제1, 2봉과, 상기한 제1, 2봉 일단에 고정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핸들과, 상기한 제1, 2봉의 회전과 함께 연동하도록 연결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고정바를 제한하여 힌지점이 되도록 하거나 분리시키는 힌지 수단과, 상기한 제1, 2봉의 회전에 연동하여 사이드 게이트를 체결,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체결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힌지 수단은 일단이 제1, 2봉의 제1회전암에 제1힌지로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이 적재함의 저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에 연결된 제1작동봉과, 상기한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슬라이더 이동 시 회전 운동하도록 제2힌지로 설치되고 종단에 상기한 고정바를 수납하여 힌지점이 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제1걸림 레버와, 상기한 걸림부에 고정바가 수납되었을 때 폐쇄된 원을 이루도록 고정바에 설치된 지지 브라켓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체결 수단은 상기한 가이드 게이드의 저면 다수 부분에 설치된 회전바와, 상기한 제1, 2봉에 설치된 제2회전암에 일단이 제3힌지로 연결되고 타단이 적재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2슬라이더에 연결된 제2작동봉과, 상기한 제2슬라이더의 이동 시 회전되어 회전바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제2걸림 레버와, 상기한 걸림부에 고정바가 수납되었을 때 폐쇄된 원을 이루도록 회전바에 설치된 지지 브라켓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
KR1019990068377A 1999-12-31 1999-12-31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 KR100333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377A KR100333295B1 (ko) 1999-12-31 1999-12-31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377A KR100333295B1 (ko) 1999-12-31 1999-12-31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531A KR20010066531A (ko) 2001-07-11
KR100333295B1 true KR100333295B1 (ko) 2002-04-25

Family

ID=1963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377A KR100333295B1 (ko) 1999-12-31 1999-12-31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2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933A (ko) 2017-07-31 2019-02-11 이재희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 잠금용 로드의 길이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933A (ko) 2017-07-31 2019-02-11 이재희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 잠금용 로드의 길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531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2404A (en) Material handling device
CA2516106C (en) Flip door for liftgate when used with pivotable doors of trailers
JP3866931B2 (ja) コンテナ積み降ろし車両
KR100333295B1 (ko)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
JP5266011B2 (ja) 荷役車両
KR100424976B1 (ko) 적재함의 화물 이동장치
KR100429030B1 (ko) 화물차, 덤프차의 덤핑장치
JP4191662B2 (ja) コンテナ荷役車両
KR102005557B1 (ko) 종방향 또는 횡방향 개폐가 가능한 화물차량의 적재함 도어
JP4439353B2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荷台の開閉ゲート上部ヒンジ
JP4723971B2 (ja) 荷役車両
JPH0539000Y2 (ko)
JP6846372B2 (ja) テールゲート装置
JP4068599B2 (ja) コンテナ荷役車両用コンテナ
KR20010060074A (ko) 덤프 트럭용 덤핑 장치
JP2007191109A (ja) 貨物自動車の荷箱構造
JP4188291B2 (ja) 荷役車両
JP2808091B2 (ja) 塵芥収集車
KR200261183Y1 (ko) 덤프트럭의테일게이트잠금장치
JP2603482Y2 (ja) 輸送用コンテナ
JP2019059368A (ja) 貨物自動車
JPS592049B2 (ja) レバ−操作装置
KR0124018Y1 (ko) 덤프 트럭의 테일 게이트 잠금장치
JP2517089Y2 (ja) ダンプカー兼用貨物車両
JP2006036114A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荷台の開閉ゲ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