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434B1 -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 Google Patents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434B1
KR100332434B1 KR1020000014311A KR20000014311A KR100332434B1 KR 100332434 B1 KR100332434 B1 KR 100332434B1 KR 1020000014311 A KR1020000014311 A KR 1020000014311A KR 20000014311 A KR20000014311 A KR 20000014311A KR 100332434 B1 KR100332434 B1 KR 100332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unit
voltage
sig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233A (ko
Inventor
김재민
강창공
Original Assignee
김재민
강창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민, 강창공 filed Critical 김재민
Priority to KR102000001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4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9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4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04M3/10Providing fault- or trouble-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36Statistical metering, e.g. recording occasions when traffic exceeds capacity of trunks
    • H04M3/367Traffic or load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4Transis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C 정전압 회로부(10)와,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벨을 울리는 벨구동부(20)와, N개의 콘센트(31)로 이루어진 단말기 접속부(30)와, 국선(L1,L2) 전압 신호를 정류하여 감지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국선전압 감지부(40)와, 감지 전압 신호와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임이 판별되면 통화 회선 복구 신호를 출력하는 통화상태 판별부(50)와, 통화 회선 복구 신호가 입력되면 국선 단락 신호를 출력하는 국선 단락신호 출력부(60)와, 국선 단락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 접속부(30)가 연결되는 국선(L1,L2)을 강제로 단락시켜 교환기(100)의 통화 회선이 자동으로 복구되도록 하는 통화회선 복구 회로부(70), 및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로 통화 회선 복구용 전원을 인가시키는 복구전원 공급부(80)로 구성되며,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통화 이탈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통화 이탈 시 교환기(100)의 과부하 발생 및 교환기(100)간의 중계선 사용 불능 사태를 유발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 APPARATUS FOR RESTORING AN EXCHANGE LINE }
본 발명은 교환기와 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전화기, 컴퓨터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의 통화 이탈 시 상기 단말기가 점유하고 있는 교환기의 통화 회선이 자동으로 복구되도록 하는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103) 또는 컴퓨터(104)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한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국선(L1,L2)을 통해 교환기(100)와 연결되어 음성 통신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교환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복합된 신호이며, 상기 음성 신호는 교환기(100)와 전화기(103) 사이에 설치되는 음성 신호용 필터(101)를 경유하여 상기 전화기(103)로 전송되고, 상기 복합 신호는 교환기(100)와 컴퓨터(104) 사이에 설치되는 데이터용 필터(102)를 경유하여 상기 컴퓨터(104)로 전송된다.
특히, 상기 음성 신호용 필터(101)와 데이터용 필터(102)는 교환기(100)와 단말기 사이의 통화 인터페이스 장치로써 널리 이용되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성 신호용 필터(101)와 데이터용 필터(102) 등과 같은 종래의 통화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전화기(103) 또는 컴퓨터(104) 등의 단말기가 교환기(100)를 통화여 발신측 단말기와 통신하는 도중에 통화 이탈 상태로 될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의 통화 이탈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고, 통화 이탈 상태에서 단말기가 통신 회선을 점유함에 따라서 상기 교환기(100)에 과부하가 발생하고, 교환기(100)와 교환기(100)간의 중계선 사용 불능 사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착신측 사용자가 전화기(103)를 이용하여 발신측 전화기 사용자와 통화를 종료한 후, 전화기(103)의 송수화기를 잘못 놓아 오프 훅(Off Hook) 상태가 지속되는 통화 이탈 상태가 발생하거나, 착신측 사용자가 컴퓨터(104)를 이용하여 발신측 컴퓨터 사용자와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도중에 컴퓨터(104)가 다운되는 통화 이탈 상태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스스로 통화 이탈 상태를 확인하여 전화기(103)의 송수화기를 정상적인 온 훅(On Hook) 상태로 전환하거나 컴퓨터(104)를 정상적으로 재부팅하기 전까지 상기 교환기(100)는 단말기가 교환기(100)의 통신 회선을 점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환기(100)에 과부하가 발생하고, 교환기(100)와 교환기(100)간의 중계선 사용 불능 사태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일 때 단말기가 접속되는 국선을 강제로 단락시켜 상기 단말기가 점유하고 있는 교환기의 통화 회선이 자동으로 복구되도록 하고, 상기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일 때 발신측 단말기의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벨을 울리도록 된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는 특정한 DC 전압을 출력하는 DC 정전압 회로부와, 교환기와 연결된 국선을 통해 발신측 단말기의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벨을 울리는 벨 구동부와, 상기 국선과 연결되고 N개의 단말기가 접속되는 N개의 콘센트로 이루어진 단말기 접속부와, 상기 국선으로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정류하여 감지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국선 전압 감지부와, 상기 감지 전압 신호와 특정한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 현재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임이 판별되면 통화 회선 복구 신호를 출력하는 통화 상태 판별부와, 상기 통화 회선 복구 신호가 입력되면 국선 단락 신호를 출력하는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와, 상기 국선 단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 접속부가 연결되는 국선을 강제로 단락시켜 통화 이탈 시에 단말기가 점유하고 있는 교환기의 통화 회선이 자동으로 복구되도록 하는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 및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로 통화 회선 복구용 전원을 인가시키는 복구 전원 공급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통화 이탈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통화 이탈 시 교환기의 과부하 발생 및 교환기간의 중계선 사용 불능 사태를 유발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화 인터페이스 장치가 교환기와 통신 단말기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가 교환기와 통신 단말기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통신 단말기가 통화 대기 상태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통신 단말기가 통화 개시 상태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
도 6은 통신 단발기가 통화 이탈 상태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DC 정전압 회로부 11: 제1 정류기
12: 레귤레이터 20: 벨 구동부
30: 단말기 접속부 31: 콘센트
40: 국선 전압 감지부 41: 제2 정류기
42: 바이어스부 43: 제1 릴레이부
50: 통화 상태 판별부 51: 비교기
52: 제2 릴레이부 60: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
61: 제3 릴레이부 70: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
71: 제4 릴레이부 72: 제3 정류기
80: 복구 전원 공급부 81: 제5 릴레이부
100: 교환기 101: 음성 신호용 필터
102: 데이터용 필터 103: 전화기
104: 컴퓨터 105: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T1: 전압 트랜스 Q: 트랜지스터
D,ZD: 다이오드 R,VR: 저항
C: 커패시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105)는, 도 1에 도시된 교환기(100)와 음성 신호용 필터(101) 사이에 설치되거나, 상기교환기(100)와 데이터용 필터(102)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105)에는 복수의 전화기(103)와 컴퓨터(10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교환기(100)는 공지된 바와 같이, 통화 대기 상태일 때는 2개의 국선(L1,L2)에 48V의 전압 신호를 인가시키고, 통화 개시 상태일 때는 상기 2개의 국선(L1,L2)에 6∼9V의 전압 신호를 인가시키며, 상기한 통화 이탈 상태일 때는 상기 2개의 국선(L1,L2)에 4.2∼5V의 전압 신호를 인가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DC 정전압 회로부(10)는 특정한 DC 전압(예컨대, 12V DC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105)의 구성 요소에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벨 구동부(20)는 교환기(100)와 연결된 국선(L1,L2)을 통해 발신측 단말기의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벨을 울린다.
상기 벨 구동부(20)는 통화 대기 상태에서 상기 교환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측 단말기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벨을 울려, 사용자가 통화 이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벨 구동부(20)는 전화기(103)나 컴퓨터(104) 등과 같은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 이탈 상태를 확인한 후, 통화 이탈 상태에 있는 전화기(103)의 송수화기를 정상으로 위치시키거나 컴퓨터(104)를 재부팅시킨 후, 통화를 개시하면 자동으로작동을 멈춘다.
단말기 접속부(30)는 상기 국선(L1,L2)과 연결되고 N개의 단말기가 접속되는 N개의 콘센트(31)로 이루어진다.
국선 전압 감지부(40)는 상기 국선(L1,L2)으로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정류하여 감지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통화 상태 판별부(50)는 상기 감지 전압 신호와 특정한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 현재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임이 판별되면 통화 회선 복구 신호를 출력한다.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는 상기 통화 회선 복구 신호가 입력되면 국선 단락 신호를 출력한다.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는 상기 국선 단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 접속부(30)가 연결되는 국선(L1,L2)을 강제로 단락시켜 통화 이탈 시에 단말기가 점유하고 있는 교환기(100)의 통화 회선이 자동으로 복구되도록 한다.
복구 전원 공급부(80)는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로 통화 회선 복구용 전원을 인가시킨다.
도 4와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DC 정전압 회로부(10)는 전압 트랜스(T1)와 제1 정류기(11) 및 12V DC용 레귤레이터(12)로 구성된다.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는 2개의 국선(L1,L2)으로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정류하여 감지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정류기(41)와, 상기 감지 전압 신호를 가변시켜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는 바이어스부(42)와, 상기 바이어스 전압이 베이스로 인가되면 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Q1),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가 온/오프됨에 따라서 상기 DC 정전압 회로부(10)의 출력 전압을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로 전달하는 2접점 정전압 스위치(S1,S2)와 상기 감지 전압 신호를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로 인가시키는 2접점 감지 전압 스위치(S3,S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릴레이부(43)로 구성된다.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는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의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감지 전압 스위치(S3,S4)를 통해 인가되는 감지 전압 신호를 증폭하는 제2 트랜지스터(Q2)와,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의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정전압 스위치(S1,S2)를 통해 인가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감지 전압 신호와 특정한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 현재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임이 판별되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51)와, 상기 비교기(51)의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제3 트랜지스터(Q3), 및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의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정전압 스위치(S1,S2)를 통해 인가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가 온/오프됨에 따라서 통화 회선 복구 신호를 상기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로 인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로 구동 신호를 인가시키는 2접점 스위치(S5,S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릴레이부(52)로 구성된다.
상기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는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의 제2 릴레이부(52)의 2접점 스위치(S5,S6)를 통해 출력되는 통화 회선 복구 신호가 베이스로 인가되면 온되는 제4 트랜지스터(Q4), 및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의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정전압 스위치(S1,S2)를 통해 인가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제4 트랜지스터(Q4)가 온/오프됨에 따라서 국선 단락 신호를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로 인가시키는 2접점 스위치(S7,S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3 릴레이부(61)로 구성된다.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는 상기 국선 단락 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제5 트랜지스터(Q5)와, 상기 제5 트랜지스터(Q5)가 온/오프됨에 따라서, 상기 단말기 접속부(30)가 연결되는 국선(L1,L2)을 강제로 단락시키는 2접점 제1 스위치(S11,S12)와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로 구동 신호를 인가시키는 2접점 제2 스위치(S13,S14)와 상기 제5 트랜지스터(Q5)가 온되면 상기 제5트랜지스터(Q5)에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는 2접점 제3 스위치(S15,S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4 릴레이부(71), 및 상기 2접점 제1 스위치(S11,S12)와 2접점 제2 스위치(S13,S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정류기(72)로 구성된다.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는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의 구동 신호 또는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의 구동 신호가 베이스로 인가되면 온되는 제6 트랜지스터(Q6), 및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로 통화 회선 복구용 전원을 인가시키는 2접점 전원 스위치(S9,S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5 릴레이부(8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전화기(103)나 컴퓨터(104) 등의 단말기가 통화 대기 상태일 경우에 상기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105)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환기(100)와 2개의 국선(L1,L2)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가 통화 대기 상태이면, 상기 국선(L1,L2)에 상기한 48V의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의 제2 정류기(41)는 48V 전압을 정류한 감지 전압 신호를 상기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감지 전압 스위치(S3,S4)로 인가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바이어스부(43)는 48V 국선 전압의 감지 전압 신호를 가변시켜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인가시킴으로써,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를 온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 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상기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감지 전압 스위치의 S4가 온되고 S3이 오프되므로, 48V 전압을 정류한 감지 전압 신호는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로 인가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정전압 스위치의 S2가 온되고 S1이 오프됨에 따라서,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와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와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 및 복구 전원 공급부(80)로 공급되는 소정의 DC 정전압이 차단되므로,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와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와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 및 복구 전원 공급부(80)는 모두 작동하지 않는다.
이때, 제2,3,4,5,6 트랜지스터(Q2,Q3,Q4,Q5,Q6)는 모두 오프되고, 상기 제2 릴레이부(52)의 2접점 스위치의 S5는 온, S6은 오프되며, 상기 제3 릴레이부(61)의 2접점 스위치의 S7은 온, S8은 오프된다. 또한, 상기 제4 릴레이부(71)의 2접점 제1,2,3 스위치의 S11, S13, S15는 모두 온되고, S12, S14,, S16은 모두 오프되며, 상기 제5 릴레이부(81)의 2접점 전원 스위치의 S9는 온, S10은 오프된다.
상기와 같이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의 제4 릴레이부(71)의 2접점 제1 스위치의 S11이 온되어 있는 통화 대기 상태에서, 상기 교환기(100)를 통하여 발신측단말기의 호출 신호가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벨 구동부(20)가 벨을 울림과 동시에, 착신측 단말기(예컨대, 착신측 전화기)에서도 역시 자체적으로 벨이 울린다.
만약,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를 개시하기 위하여 전화기(103)의 송수화기를 들거나 컴퓨터(104)로 통화를 개시하면, 상기 벨 구동부(20)는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며, 이와 동시에 상기 국선(L1,L2)에는 통화 개시 상태에 해당하는 상기한 6∼9V의 전압이 인가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전화기(103)나 컴퓨터(104) 등의 단말기가 통화 개시 상태일 경우에 상기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105)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의 제2 정류기(41)는 6∼9V 전압을 정류한 감지 전압 신호를 상기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감지 전압 스위치(S3,S4)로 인가시킨다.
이때도 역시, 상기 바이어스부(43)는 6∼9V 국선 전압의 감지 전압 신호를 가변시켜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인가시키지만, 상기 바이어스부(43)의 저항 R1, VR1, R2, 다이오드 D1, 정전압용 제너다이오드 ZD1에 의해 6∼9V 국선 전압의 감지 전압 신호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를 온시킬 수 있는 바이어스 전압 이하로 전압 강하되므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된다.
상기와 같이 제1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 상기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감지 전압 스위치의 S3이 온되고 S4가 오프되므로, 상기 6∼9V 전압을 정류한 감지 전압 신호는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로 인가된다.
또한, 상기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정전압 스위치의 S1이 온되고 S2가 오프됨에 따라서,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와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와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 및 복구 전원 공급부(80)로 소정의 DC 정전압이 정상 공급된다.
이때,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로 인가되는 상기 6∼9V 전압을 정류한 감지 전압 신호가 제2 트랜지스터(Q2)에 의해 증폭된 후 상기 비교기(51)로 인가되면, 상기 비교기(51)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를 온시킨다.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가 온되면, 상기 제2 릴레이부(52)의 2접점 스위치의 S6은 온되고, S5는 오프되므로 상기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의 제4 트랜지스터(Q4)는 오프되고, 상기 제3 릴레이부(61)의 2접점 스위치의 S7과 S8은 통화 대기 상태에서와 마찬가지로 각각 온, 오프된다.
한편,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가 온되면, 상기 제2 릴레이부(52)의 2접점 스위치의 S6은 온되고, S5는 오프되므로,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로 구동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의 제6 트랜지스터(Q6)를 온시키며, 이와동시에 상기 제2 릴레이부(52)의 2접점 스위치의 S5와 S6에 공통 접속되는 통화 회선 복구 신호용 커패시터(C6)가 충전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의 제5 릴레이부(81)의 2접점 전원 스위치의 S10은 온, S9는 오프되므로,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로 통화 회선 복구용 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로 통화 회선 복구용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상기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가 통화 대기 상태에서와 마찬가지로 작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에는 국선 단락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의 제5 트랜지스터(Q5)는 오프되며, 통화 대기 상태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4 릴레이부(71)의 2접점 제1 스위치의 S11이 온되어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만약,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통화를 종료하면, 상기 교환기(100)와 연결되는 국선(L1,L2)에는 통화 대기 상태에 해당하는 48V의 전압이 다시 인가되고,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105)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한다.
반면에,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전화기(103)의 송수화기를 잘못 놓거나, 컴퓨터(104)를 통해 통화하는 도중에 컴퓨터(104)가 다운되어 전화기(103)나컴퓨터(104) 등과 같은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로 되면, 상기 교환기(100)와 연결되는 국선(L1,L2)에는 통화 이탈 상태에 해당하는 상기한 4.2∼5V의 전압이 인가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전화기(103)나 컴퓨터(104) 등의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일 경우에 상기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105)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의 제2 정류기(41)는 4.2∼5V 전압을 정류한 감지 전압 신호를 상기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감지 전압 스위치(S3,S4)로 인가시킨다.
이때도 역시, 상기 바이어스부(43)는 4.2∼5V 국선 전압의 감지 전압 신호를 가변시켜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인가시키지만, 상기 바이어스부(43)의 저항 R1, VR1, R2, 다이오드 D1, 정전압용 제너다이오드 ZD1에 의해 4.2∼5V 국선 전압의 감지 전압 신호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를 온시킬 수 있는 바이어스 전압 이하로 전압 강하되므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된다.
상기와 같이 제1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 상기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감지 전압 스위치의 S3이 온되고 S4가 오프되므로, 상기 4.2∼5V 전압을 정류한 감지 전압 신호는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로 인가된다.
또한, 상기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정전압 스위치의 S1이 온되고 S2가 오프됨에 따라서,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와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와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 및 복구 전원 공급부(80)로 소정의 DC 정전압이 정상 공급된다.
이때,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로 인가되는 상기 4.2∼5V 전압을 정류한 감지 전압 신호가 제2 트랜지스터(Q2)에 의해 증폭된 후 상기 비교기(51)로 인가되면, 상기 비교기(51)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를 오프시킨다.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면, 상기 제2 릴레이부(52)의 2접점 스위치의 S5는 온되고, S6은 오프되므로, 상기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의 제4 트랜지스터(Q4)는 베이스로 인가되는 상기 통화 회선 복구 신호용 커패시터(C6)의 충전 전압, 즉 통화 회선 복구 신호에 의해 온되며, 상기 제3 릴레이부(61)의 2접점 스위치의 S8은 온되고, S7은 오프된다.
이때, 상기 제4 트랜지스터(Q4)의 작동 시간은 상기 통화 회선 복구 신호용 커패시터(C6)의 충전 전압에 따라 1∼2초 작동 후 오프된다.
또한,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더라도, 상기 제2 릴레이부(52)의 2접점 스위치의 S6을 통하여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로 구동 신호가 인가되므로,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의 제6 트랜지스터(Q6)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의 제5 릴레이부(81)의 2접점 전원 스위치의 S10은 온, S9는 오프되므로,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로 통화 회선 복구용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의 제3 릴레이부(61)의 2접점 스위치의 S8이 온되면 국선 단락 신호가 상기 제5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로 인가되고, 상기 제5 트랜지스터(Q5)가 온된다.
따라서, 상기 제4 릴레이부(71)의 2접점 제1 스위치의 S11은 오프, S12는 온되어 상기 단말기 접속부(30)가 연결되는 국선(L1,L2)을 강제로 단락시킴으로써, 단말기가 점유하고 있는 교환기(100)의 통화 회선이 자동으로 복구되도록 한다.
상기 2접점 제2 스위치의 S14는 온, S15는 오프되어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로 구동 신호를 인가시키고, 상기 2접점 제3 스위치의 S16은 온, S15는 오프되어 상기 제5 트랜지스터(Q5)가 온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5 트랜지스터(Q5)에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2접점 제1 스위치(S11,S12)와 2접점 제2 스위치(S13,S14)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정류기(72)는 상기 2접점 제2 스위치의 S14를 통해 복구 전원 공급부(80)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제4 릴레이부(71)의 2접점 제1 스위치의 S11이 오프되어 상기 단말기 접속부(30)가 연결되는 국선(L1,L2)을 강제로 단락시킴으로써, 단말기가 점유하고 있는 교환기(100)의 통화 회선이 자동으로 복구되면, 이때부터 상기 교환기(100)와 연결되는 국선(L1,L2)에는 통화 대기 상태에 해당하는 48V의 전압이 다시 인가되고,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105)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한다.
특히, 이때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105)가 착신측 단말기가 점유하고 있는 교환기(100)의 통화 회선이 자동으로 복구되게 하였더라도, 실제로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임을 확인하지 못하므로, 이후부터 상기 교환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측 단말기의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벨 구동부(20)가 자동으로 벨을 울려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에게 현재 자신의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임을 알려 준다.
상기와 같은 통화 이탈 상태에서 상기 벨 구동부(20)가 자동으로 벨을 울리면,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는 먼저 자신의 단말기를 통화 대기 상태, 예컨대 전화기(103)의 송수화기를 정상적으로 온 훅시키거나, 통화 중 다운된 컴퓨터(104)를 재부팅한 후, 통화를 개시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여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는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일 때 단말기가 접속되는 국선을 강제로 단락시켜 상기 단말기가 점유하고 있는 교환기의 통화 회선이 자동으로 복구되도록 하고, 상기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일 때 발신측 단말기의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벨을 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단말기의 통화 이탈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 이탈 상태에서 단말기의 통신 회선 점유에 따른 교환기의 과부하 발생 및 교환기간의 중계선 사용 불능 사태를 유발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특정한 DC 전압을 출력하는 DC 정전압 회로부(10)와,
    교환기(100)와 연결된 국선(L1,L2)을 통해 발신측 단말기의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벨을 울리는 벨 구동부(20)와,
    상기 국선(L1,L2)과 연결되고 N개의 단말기가 접속되는 N개의 콘센트(31)로 이루어진 단말기 접속부(30)와,
    상기 국선(L1,L2)으로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정류하여 감지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국선 전압 감지부(40)와,
    상기 감지 전압 신호와 특정한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 현재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임이 판별되면 통화 회선 복구 신호를 출력하는 통화 상태 판별부(50)와,
    상기 통화 회선 복구 신호가 입력되면 국선 단락 신호를 출력하는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와,
    상기 국선 단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 접속부(30)가 연결되는 국선(L1,L2)을 강제로 단락시켜 통화 이탈 시에 단말기가 점유하고 있는 교환기(100)의 통화 회선이 자동으로 복구되도록 하는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 및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로 통화 회선 복구용 전원을 인가시키는 복구 전원 공급부(8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는
    2개의 국선(L1,L2)으로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정류하여 감지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정류기(41)와,
    상기 감지 전압 신호를 가변시켜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는 바이어스부(42)와,
    상기 바이어스 전압이 베이스로 인가되면 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Q1),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가 온/오프됨에 따라서 상기 DC 정전압 회로부(10)의 출력 전압을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로 전달하는 2접점 정전압 스위치(S1,S2)와 상기 감지 전압 신호를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로 인가시키는 2접점 감지 전압 스위치(S3,S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릴레이부(4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는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의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감지 전압 스위치(S3,S4)를 통해 인가되는 감지 전압 신호를 증폭하는 제2 트랜지스터(Q2)와,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의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정전압 스위치(S1,S2)를 통해 인가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감지 전압 신호와특정한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 현재 단말기가 통화 이탈 상태임이 판별되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51)와,
    상기 비교기(51)의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오프되는 제3 트랜지스터(Q3), 및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의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정전압 스위치(S1,S2)를 통해 인가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가 온/오프됨에 따라서 통화 회선 복구 신호를 상기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로 인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로 구동 신호를 인가시키는 2접점 스위치(S5,S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릴레이부(5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선 단락 신호 출력부(60)는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의 제2 릴레이부(52)의 2접점 스위치(S5,S6)를 통해 출력되는 통화 회선 복구 신호가 베이스로 인가되면 온되는 제4 트랜지스터(Q4), 및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의 제1 릴레이부(43)의 2접점 정전압 스위치(S1,S2)를 통해 인가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제4 트랜지스터(Q4)가 온/오프됨에 따라서 국선 단락 신호를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로 인가시키는 2접점 스위치(S7,S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3 릴레이부(61)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는
    상기 국선 단락 신호가 입력되면 온되는 제5 트랜지스터(Q5)와,
    상기 제5 트랜지스터(Q5)가 온/오프됨에 따라서, 상기 단말기 접속부(30)가 연결되는 국선(L1,L2)을 강제로 단락시키는 2접점 제1 스위치(S11,S12)와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로 구동 신호를 인가시키는 2접점 제2 스위치(S13,S14)와 상기 제5 트랜지스터(Q5)가 온되면 상기 제5 트랜지스터(Q5)에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는 2접점 제3 스위치(S15,S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4 릴레이부(71), 및
    상기 2접점 제1 스위치(S11,S12)와 2접점 제2 스위치(S13,S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정류기(7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전원 공급부(80)는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의 구동 신호 또는 상기 통화 상태 판별부(50)의 구동 신호가 베이스로 인가되면 온되는 제6 트랜지스터(Q6), 및
    상기 국선 전압 감지부(40)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통화 회선 복구 회로부(70)로 통화 회선 복구용 전원을 인가시키는 2접점 전원 스위치(S9,S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5 릴레이부(81)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KR1020000014311A 2000-03-21 2000-03-21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KR100332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311A KR100332434B1 (ko) 2000-03-21 2000-03-21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311A KR100332434B1 (ko) 2000-03-21 2000-03-21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233A KR20010092233A (ko) 2001-10-24
KR100332434B1 true KR100332434B1 (ko) 2002-04-13

Family

ID=1965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311A KR100332434B1 (ko) 2000-03-21 2000-03-21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4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233A (ko) 200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612A (en)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US4756021A (en) Telephone set
KR100332434B1 (ko)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US598711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vering speech path of telephon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JP2836341B2 (ja) 打合電話回路
US5960358A (en) Telephone system providing a talking operation after main power supply failure
JP2961849B2 (ja) 構内交換システム
JP3963615B2 (ja) 端末網制御装置
JP2529467B2 (ja) ホ―ムバスシステム
KR200215250Y1 (ko) 전화기 회선 복구 장치
JP2918966B2 (ja) 有線放送呼出方式
JP3680923B2 (ja) 非常連絡装置
EP0602650B1 (en) Facsimile apparatus
JP4423422B2 (ja) 電話機
JP2779856B2 (ja) 電話端末装置
JP3786877B2 (ja) 電力スイッチ装置
KR100195434B1 (ko) 키폰시스템
JPS639354A (ja) 通信端末装置
KR950005859B1 (ko)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JPS61105949A (ja) 電話端末への電源制御方式
JP2767680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95138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451974B2 (ja) 電話線の端末に接続するインタフェース装置と端末への給電方法
JP2829491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H11234420A (ja) 端末網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