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859B1 -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5859B1 KR950005859B1 KR1019920016412A KR920016412A KR950005859B1 KR 950005859 B1 KR950005859 B1 KR 950005859B1 KR 1019920016412 A KR1019920016412 A KR 1019920016412A KR 920016412 A KR920016412 A KR 920016412A KR 950005859 B1 KR950005859 B1 KR 9500058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state
- portable device
- flag
- power failur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l도는 종래의 무선전화기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시스템 제어부가 감기하는 감지점(A점)에 대한 논리상대 표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시스템 제어부가 A점의 논리조건에 따라 훅상태를 인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의 시스템 제어부가 감지하는 강지점(A, B점)에 대한 논리상태 표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50 : 휴대장치 3, 40 : 고정장치
10 : 훅상태감지부 24 : 충전전류감지부
25, 30 : 시스템제어부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가 고정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중에 정전이 되는 경우 휴대상치의 충전전원이 방전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용화된 무선전화기는 국선에 연결된 고정장치와, 이 고정장치와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휴대장치를구비하여 이루어지며, 휴대장치는 고정장치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충전하고 해당 충전전류를 구동전원으로사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다. 고정장치(3)의 출력단자(31, 32)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류는 연결단자(21, 22)를 통해 휴대장치(2)에 공급된다. 배터리(23)는 고정장치(3)로부터 공급되는직류전류를 충전하여 저장아며, 충전전류 감지부(24)는 고정장치(3)로부터의 직류전류 공급여부에 따라 트랜지스터(TR1)가 온/오프됨으로써 대응되는 논리신호를 시스템 제어부(25)측에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25)는 중앙처리장치(CPU)로 이루어지는데, 충진전류 감지부(24)로부터 인가되는 논리신호에 따라 온훅/오프훅상태를 인지하여 송신전원제어부(26)의 동작을제어한다. 송신전원제어부(26)는토랜지스터(TR2)를 구비하여 트랜지스터(TR2)가 시스템 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됨으로써, 배터리(23)로부터 송신회로(27)측에 인가되는 전원(VB)를 절환하는데, 온훅상태에서는 송신회로(27)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오프훅상태에서는 송신회로(27)에 전원을 인가한다. 또한, 수신회로(28)는 배터리(2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VB)을 항시 인가받는다.
제2도와 같이 시스템 제어부(25)는 충전전류 감지부(24)로부터 A점에 출력된 신호의 논리가 0인 경우에 온훅상태로 인지하고, A점에 출력된 신호의 논리가 1인 경우에 오프훅상태로 인지한다. 시스템 제어부(25)가 충전전류 감지부(24)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훅상태를 인식하는 과정은 제3도와 같은순서로 이루어진다. 먼저, 시스템 제어부(25)는 A점의 신호 를 읽어서(스텝 61), A점의 신호가 논리 0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스텝 62), 논리 0인 경우에는 상태플래그를 온훅으로 설정하고(스텝 63), 논리 1인 경우에는 상태플래그를 온훅으로 설정한다(스텝 64) 그후, 시스템 제어부(25)는 A점의 신호를 다시 읽어서(스텝 65)가 A점의 신호가 논리 0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66) 시스템 제어부(25)는 스텝 66에서 A점의 신호가 논리 0인 경우에는 상태플래그가 온훅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학인하여(스텝 67), 상태플래그가 온훅 안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65로 귀환하며, 상태플래그가 온훅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태플래그를 온훅으로 설정하고(스텝 68), 오프훅에서 온훅으로 상태가 바뀜을 인지한 후(스텝 69) 스텝 65로 귀환한. 또한, 시스템 제어부(25)는 스텝 66에서, A점의 신호가 논리 1인 경우에는 상태플래그가 오프훅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학인하여(스텝 70), 상태플래그가 오프훅으로 설정되어있는 경우에는 스텝 65로 귀환하며, 상태플래그가 오프훅으로 설정되어 있치 않은 경우에는 상태플래그를 오프훅으로 설정하고(스텝 71) 온훅에서 오프훅으로 상태가 바뀜을 인지한 후(스텝 72) 스텝 65로 귀환한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휴대장치(2)가 고정장치(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되는 경우, 휴대장치(2)의 시스템 제어부(25)는 오프훅상태로 바뀐것으로 인지하여 트랜지스터(TR2)를 온시켜 배터리(23)의 전원(VB)을 송신회로(27)에 인가함으로씨 송신회로(27)를 구동상태로 유지하여 배터리(23)의 전력을 과다하게 소모시키므로, 정전상태가 비교적 오래 유지되면 휴대장치(2)측 배터리(23)가 과방전상태로 되어 정전상대가 복구되더라도 배터리(23)가 소정레벨 이상으로 충전될때까지는 휴대장치(2)의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남아있게 되어 무선전화기 사용상의 편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장치가 고정장치로부터 전원을공급받는중에 정전이 발생되는 경우 휴대장치의 전원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씨 휴대장치의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키도륵 하여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이하, 점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선화기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장치(40)와 휴대장치(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무서전화기에는 충전전류를 감지하는 충전전류 감지부(24)와, 훅상태를 감지하는 훅상태감지부(10)와, 충전전류 감지부(24)로부터의 감지정보와 훅상태 감지부(10)로부터의 감지정보에 따라 전원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부(30)와, 시스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23)로부터 송신회로(27) 및 수신회로(28)에 인가되는 전원(VB)을 절환하는 전원제어부(29)를 구비한다.
훅상태 감지 부(10)는 고정장치(40)측 선로이음접점(13, 14), 휴대장치(50)측 연결접점(11, 12) 및 저항(R1, R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휴대장치(50)측 연결접점(11, 12)과 고정장치(40)측 선로이음접점(13, 14)의 연결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정보를 시스텝 제어부(30)측에 인가한다. 훅상태 감지부(10)의 저항(R1)은 저항(R2)보다 저항값이 3배 이상 크게 설정되고, 저항(R2)의 일단에는 전원(VS)이 인가된다. 휴대장치(50) 가 오프훅되는 경우, 휴대 장치(50)측 연결접점(11, 12)과 고정 장치(40)측 선로이 음접점(13, 14)이 분리되므로 저항(R2)의 일단에 인가된 전원(VS)이 저항(R1)측에 흐르지 않게 되어, B점에 전압이 결리지 않게됨에 따라 B점에는 논리상태 0인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휴대장치(50)가 온훅되는 경우, 휴대장치(50)측 연결접점(11, 12)과 고정장치(40)측 선로연결접점(13, 14)이 연결되므로, 저항(R2)의 일단에 인가된 전원(VS)이 저항(R1)측에 흐르게 되어, 저항(R1)과 저항(R2)의 저항비에 의해 B점에 전압이 결리게 됨에 따라 B점에는 논리상태 1인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부(30)는 B점의 논리상태에 의거하여 온훅및 오프훅상대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전류 감지부(24)는 트랜지스터(TR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고정장치(40)로부터 출력단자(31, 32)와 연결단자(21, 22)를 통해 배터리(23)측에 공급되는 전류의 입력여부에 따라 트랜지스터(TR1)가 온/오프됨으로써 대응되는 논리신호를 A점에 인가한다. 고정장치(40)로부터 배터리(23)에 전류가 인가되는경우에는 트랜스터(TR1)가 온되므로 A점에 논리상태 0인 신호가 출력되며, 고정장치(40)로부터 배터리(23)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되므로 A점에 논리상태 1인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부(30)는 A점의 논리상태에 의거하여 고정장치(40)로부터의 전류공급여부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다.
즉, 시스템 제어부(30)는 A점 및 B점의 논리상태에 의거하여 제5도와 같이 3가지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데, A점의 논리상태기 0이고 B점의 논리상태가 1인 경우는 정상적인 온훅상태(온훅상태에서 고정장치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상태)로 인지하고, A점의 논리상태가 1이고 B점의 논리상대가 0인 경우는 정상적인 오프훅상태(오프 훅되어 고정장치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지 않는 상태)로 인지하며, A점의 논리상태가 1이고 B점의 논리상태가 1인 경우에는 정전으로 인해 고정장치의 전원이 끊긴 상태(온훅상태에서 고정장치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지 않는 상태)로 인지한다.
시스템 제어부(30)가 정상적인 온훅상태를 이지한 경우에는, 전원제어부(29)의 트랜지스터(TR4)를 온시켜 배터 리(23)로부터의 전원(VB)을 수신회로(28)측에 인가하고, 트랜지스터(TR3)를 오프시켜 배터리(23)로부터의 전원(WB)이 송신회로(27)에 인가되지 못하게 차단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30)가 정상적인 오프훅상태를 인지한 경우에는, 전원제어부(29)의 트랜지스터(TR3, TR4) 모두를 온시켜 배터리(23)로부터의전원(WB)을 송신회로(27)와 수신회로(28)측 모두에게 인가하여 통신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30)가 정전으로 인해 고정장치의 전원이 끊긴 상태를 인지한 경우에는, 전원제어부(29)의 트랜지스터(TR3, TR4) 모두를 오프시켜 배터러(23)로부터의 전원(VS)이 송신회로(27)와 수신회로(28) 모두에 인가되지 않게 하여 배터리(23)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킨다.
시스템 제어부(30)가 훅상태 감지부(10)와 충전전류 감지부(24)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전원제어를하는 경우 제6도에 도시된 순서로 동작한다.
시스템 제어부(30)는 훅상태 감지부(10)측의 B점을 읽고(스텝 101), B 점이 논리 0인가를 체크하여(스텝102), B점의 논리상태가 '1'이면 상태플래그를 온훅상태로 설정하며(스텝 103), B점의 는리상태가 0이면 상태플래그를 오프훅상태로 설정한다(스텝 104).
이후, 시스템 제어부(30)는 A, B점을 다시 읽고(스텝 105), A점이 논리 0인가를 체크하여(스텝 106), A점의 논리상태가 0이면 B점이 논리 0인가를 체크하고(스텝 107), B점의 논리상태가 '1'이면 상태플래그가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체크한다(스텝 108).
또, 시스템 제어부(30)는 스텝 108에서 상태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태플래그가 온훅상태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체크하고(스텝 109) 상태플래그가 온훅상태가 아니면 상태플래그를 온훅상태로설정하고, 오프훅에서 극온훅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인지한다(스텝 110).
상기 스텝 108에서 시스템 제어부(30)는 상태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태플래그를 온훅상태로 설정하고(스텝 111) 정전상태에서 복구됨을 인지하여 전원제어부(29)를 제어함으로써 수신회로(28)에대한 전원공급을 개시한다(스텝 115) .
상기 스텝 106에서 시스템 제어부(30)는 A점의 논리상태가 '1'이면 B점이 논리 0연가를 체크하여(스텝112) B점의 논리상태가 0이면 상태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체크하고(스텝 113)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태플래그를 오프훅상태로 설정한 후(스텝 114) 스텝 115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 스텝 112에서 시스템 제어부(30)는 B점의 논리상태가 '1'이면 상태플 래그를 정전상태로 설정한 후(스텝 118), 정전상대를 인지하여 전원제어회로(29)를 제어함으로써 송수신회로(27, 28)에 대한 전원공급을 중단한다(스텝 119). 스텝 113에서 시스템 제어부(30)는 상대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상태플래그가 오프훅상태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확인하여(스텝 116), 오프훅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태플래그를 오프훅으로 설정하고 온훅에서 오프훅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인지한다(스텝 117).
또, 상기 스텝 107에서 B점의 논리상태가 0이고 스텝 109에서 상태플래그가 온훅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 105로 가서 동작을 수행하고, 스텝 116에서 상태플래그가 오프훅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 105로 가서 동작을 수행하며, 스텝 110, 115, 117, 119의 처리이후는 스텝 105로 기서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휴대장치가 고정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중에 정전이 발생되는 경우 휴대장치내에 구비된 배터리의 방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장시간 정전시에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있어 정전복구시 배터리가 충전되기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휴대장치를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무선전화기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 무선전화기의 배터러 소모 최소화 방법에 있어서, 휴대장치가 온훅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온훅된 경우 상태플래그를 온 훅상태로 설정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오프훅된 경우 상태플래그를 오프훅상태로 설정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 수행후 휴대장치가 훅상태와 고정장치로부터의 전류공급여부를 확인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온훅됨과 동시에 고정장치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태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학연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태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지않은 경우 상태플래그가 온훅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태플래그가 온훅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태플래그를 온훅으로 설정항과 동시에 훅상태가 오프훅에서 온훅으로 선환되었음을 인지하고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7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태플래그가 온훅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8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태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태플래그를 온훅상태로 설정한 후 정전상태가 복구됨을 인지하여 수신회로에 대한 전원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9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휴대장치는 고정장치로부터의 전류를 공급받지 못항과 동시에 오프훅된 경우 상태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0단계, 상기 제10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태플래그가 정전상대로 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태플래그가 오프훅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태플래그가 오프훅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대플래그를 오프훅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훅상태가 온훅에서 오프훅으로 전환되었음을 인지하고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12단계, 상기 제10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대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태플래그를 오프훅상태로 설정한 후 상기 정전상태가 복구됨을 인지하여 수신회로에 대한 전원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13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휴대장치는 고정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함과 동시에 온훅된 경우 상태플래그를 정전상태로 설정한 후 정전상태를 인지하여 송수신회로에 대한 전원공급을 중단한 후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14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대플래그가 오프훅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1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16412A KR950005859B1 (ko) | 1992-09-08 | 1992-09-08 |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16412A KR950005859B1 (ko) | 1992-09-08 | 1992-09-08 |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8190A KR940008190A (ko) | 1994-04-29 |
KR950005859B1 true KR950005859B1 (ko) | 1995-05-31 |
Family
ID=1933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16412A KR950005859B1 (ko) | 1992-09-08 | 1992-09-08 |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05859B1 (ko) |
-
1992
- 1992-09-08 KR KR1019920016412A patent/KR95000585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8190A (ko) | 1994-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12517B2 (en) | Power sav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950005859B1 (ko) |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 |
KR200149953Y1 (ko) | 핸드프리 기능을 구비한 충전기 | |
US6088599A (en) | Fixed subscriber unit | |
JP3678635B2 (ja) | 電話機制御回路および電話機制御方法ならびにターミナルアダプタ | |
KR20040026724A (ko) | 휴대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 |
JP2002320333A (ja) | 充電機能付き電子機器 | |
KR940009781B1 (ko) | 무선전화기에서의 통화 제어방법 및 회로 | |
KR200180966Y1 (ko) | 무선전화기의 급속충전 장치 | |
KR20050006353A (ko) |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 |
KR100318845B1 (ko) | Wll 단말기의 slic 전원 제어 장치 | |
JPH0292048A (ja) | 無線電話装置におけるフック検出方法 | |
JP3451974B2 (ja) | 電話線の端末に接続するインタフェース装置と端末への給電方法 | |
EP0975137B1 (en) | Network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decreasing power consumption during a waiting mode | |
KR100332434B1 (ko) | 교환기 통화 회선 복구 장치 | |
JPH08251098A (ja) | 携帯用通信機器 | |
JP2989474B2 (ja) | コードレス電話機のオンフック検出装置 | |
KR200164773Y1 (ko) | 보조 전원을 갖는 유/무선 전화기 | |
JPS60259027A (ja) | コ−ドレス電話装置 | |
JPH11234420A (ja) | 端末網制御装置 | |
JPH10271233A (ja) | 端末網制御装置 | |
JPH08181791A (ja) | 端末網制御装置 | |
JPH0698037A (ja) | 伝送端末装置 | |
JPH09270830A (ja) | データ通信装置 | |
JPH09247722A (ja) | バイブレータ内蔵電池パッ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9031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