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859B1 -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5859B1 KR950005859B1 KR1019920016412A KR920016412A KR950005859B1 KR 950005859 B1 KR950005859 B1 KR 950005859B1 KR 1019920016412 A KR1019920016412 A KR 1019920016412A KR 920016412 A KR920016412 A KR 920016412A KR 950005859 B1 KR950005859 B1 KR 9500058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state
- portable device
- flag
- power fail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
- 무선전화기의 배터러 소모 최소화 방법에 있어서, 휴대장치가 온훅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온훅된 경우 상태플래그를 온 훅상태로 설정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오프훅된 경우 상태플래그를 오프훅상태로 설정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 수행후 휴대장치가 훅상태와 고정장치로부터의 전류공급여부를 확인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온훅됨과 동시에 고정장치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태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학연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태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지않은 경우 상태플래그가 온훅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태플래그가 온훅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태플래그를 온훅으로 설정항과 동시에 훅상태가 오프훅에서 온훅으로 선환되었음을 인지하고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7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태플래그가 온훅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8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태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태플래그를 온훅상태로 설정한 후 정전상태가 복구됨을 인지하여 수신회로에 대한 전원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9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휴대장치는 고정장치로부터의 전류를 공급받지 못항과 동시에 오프훅된 경우 상태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0단계, 상기 제10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태플래그가 정전상대로 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태플래그가 오프훅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태플래그가 오프훅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대플래그를 오프훅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훅상태가 온훅에서 오프훅으로 전환되었음을 인지하고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12단계, 상기 제10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대플래그가 정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태플래그를 오프훅상태로 설정한 후 상기 정전상태가 복구됨을 인지하여 수신회로에 대한 전원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13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휴대장치는 고정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함과 동시에 온훅된 경우 상태플래그를 정전상태로 설정한 후 정전상태를 인지하여 송수신회로에 대한 전원공급을 중단한 후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14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휴대장치는 상대플래그가 오프훅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4단계로 귀환하는 제1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16412A KR950005859B1 (ko) | 1992-09-08 | 1992-09-08 |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16412A KR950005859B1 (ko) | 1992-09-08 | 1992-09-08 |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8190A KR940008190A (ko) | 1994-04-29 |
KR950005859B1 true KR950005859B1 (ko) | 1995-05-31 |
Family
ID=1933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16412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5859B1 (ko) | 1992-09-08 | 1992-09-08 |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05859B1 (ko) |
-
1992
- 1992-09-08 KR KR1019920016412A patent/KR95000585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8190A (ko) | 1994-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12517B2 (en) | Power sav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US20020147037A1 (en) |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910001734B1 (ko) |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 |
KR950005859B1 (ko) |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 |
JP2002300728A (ja) | 充電機能付き携帯電話 | |
KR20040026724A (ko) | 휴대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 |
JP3678635B2 (ja) | 電話機制御回路および電話機制御方法ならびにターミナルアダプタ | |
JP5141478B2 (ja) | ボタン電話装置 | |
KR200180966Y1 (ko) | 무선전화기의 급속충전 장치 | |
JP3933854B2 (ja) | 通信端末装置 | |
KR20050006353A (ko) |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 |
KR940009781B1 (ko) | 무선전화기에서의 통화 제어방법 및 회로 | |
JPH0292048A (ja) | 無線電話装置におけるフック検出方法 | |
JP3451974B2 (ja) | 電話線の端末に接続するインタフェース装置と端末への給電方法 | |
JPH0371758A (ja) | コードレス電話機 | |
JPH07336420A (ja) | コードレス電話機のオンフック検出装置 | |
JPS61105949A (ja) | 電話端末への電源制御方式 | |
JPH08181791A (ja) | 端末網制御装置 | |
JPS60259027A (ja) | コ−ドレス電話装置 | |
JPH0698037A (ja) | 伝送端末装置 | |
JPH11234420A (ja) | 端末網制御装置 | |
JPH10271233A (ja) | 端末網制御装置 | |
JPS59171358A (ja) | 端末給電方式 | |
JPH06315056A (ja) | コードレス電話機 | |
JPH09270830A (ja) | データ通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9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0503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5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903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903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