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448B1 - 용융강도가큰프로필렌중합체를함유하는프로필렌중합체조성물 - Google Patents

용융강도가큰프로필렌중합체를함유하는프로필렌중합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448B1
KR100329448B1 KR1019940011011A KR19940011011A KR100329448B1 KR 100329448 B1 KR100329448 B1 KR 100329448B1 KR 1019940011011 A KR1019940011011 A KR 1019940011011A KR 19940011011 A KR19940011011 A KR 19940011011A KR 100329448 B1 KR100329448 B1 KR 100329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composition
propylene polymer
polymer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르로이브이.로베슨
Original Assignee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0571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294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023/4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compounds changing molecular weight
    • C08L2023/44Coupling; Molecular weight incre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3171Strand material is a blend of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642Strand or fiber material is a blend of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Melt-blown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1Spun-bonded nonwoven fabr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수적으로 (A)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 및 (B) (1) 분지 지수가 1 미만이고 변형 경화 신장 점도가 높거나, (2) 적어도 (a) Z-평균 분자량 Mz가 1.0 x 106이상이거나 중량평균 분자량 Mw에 대한 Z-평균 분자량 Mz의 비 Mz/Mw가 3.0 이상이고 (b) 평형 컴플리안스 Jeo가 12 x 10-5㎠/dyne 이상이거나 단위응력당 가역성 전단변형 Sr/S가 1sec-1에서 5 x 10-5㎠/dyne 이상인, 일반적으로 고체이고 분자량이 높으며 겔이 없는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0.05 내지 0.2부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융강도가 큰 프로필렌 중합체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조성물, 보다 구체적으로 용융강도가 큰 프로필렌 중합체가 혼입되어 있는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이의 우수한 물리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섬유, 필름 및 기타 성형품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은 결정화도가 크고 염료 또는 안료에 대한 친화성이 불량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염료 수용 능력(receptivity)을 개선시키고자 시도된 바가 있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415,904호에는, 아민으로 처리된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폴리프로필렌에 혼입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872,880호에는 폴리올레핀 제품을 수성 염 욕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서 폴리올레핀은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의 아연 이오노머(a) 및 하나 이상의 α ,β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불포화 카복실산 무수물이 폴리올레핀 주쇄에 그래프트된 그래프트 공중합체(b) 중에서 선택된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이다.
문헌에는, 다수의 화합물들이 폴리프로필렌을 결정화시키기 위한 핵형성제로서 작용하고, 상이한 안료들이 섬유형성 공정 동안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 핵이 되며 청색 안료는 핵형성제로서의 활성이 크고, 백색 안료는 활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사실이 공지 및 기재되어 있다[참조: Y. Lin, et. al., "The Effect of Pigments on the Development of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propylene Filaments", ANTEC '91, page 1950-1953].
그러므로, 상이한 안료들의 다양한 핵형성 활성도의 관점에서, 유색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의 섬유/사를 가공하는 경우, 일관된 바람직한 특성들을 갖는 유색섬유/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특정 색상에 따라 통상적으로 가공 조건, 방사 속도 및 연신비의 조절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가공 조건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생산 시간의 낭비 및 목적하는 시방서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사의 생산을 초래한다.
놀랍게도,
(1) 분지 지수(branching index)가 1 미만이고 변형 경화 신장성 점도가 높거나,
(2) 적어도 (a) z-평균 분자량 Mz가 1.0 ×106이상이거나 중량 평균 분자량 Mw에 대한 z-평균 분자량 MZ의 비인 MZ/MW가 3.0 이상이고, (b) 평형 컴플리안스 Jeo가 12 ×10-5㎠/dyne 이상이거나 단위 응력당 회복성 전단변형 Sr/S가 1sec-1에서 5 x 10-5㎠/dyne 이상인, 일반적으로 고체이고 분자량이 높으며 겔이 없는 프로필렌중합체 0.05부 내지 0.2부를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에 혼입시킴으로써, 광범위한 색상범위에 걸쳐서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를 동일한 가공조건에서 방사해도 신도, 수축률 및 인성과 같이 특성들이 일관되게 바람직한 섬유/사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필수적으로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A) 및
분지 지수가 1 미만이고 변형 경화 신장성 점도가 높으며 임의로 (A)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 속에 예비 분산되어 있는, 일반적으로 고체이고 분자량이 높으며 겔이 없는 프로필렌 중합체(B) 0.05 내지 0.2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26부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부 및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주위 온도 또는 실온은 약 25℃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 성분(A)는,
아이소택틱 지수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8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i) 또는
에틸렌 및 C4-10α -올레핀 중에서 선택된 올레핀[단, 올레핀이 에틸렌인 경우, 중합된 최대 에틸렌 함량은 약 1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이며, 올레핀이 C4-10α -올레핀인 경우, 이의 중합된 최대 함량이 약 20%, 바람직하게는 16%이다]과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ii)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 성분(A)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성분(B)는
(1) 분지 지수가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9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이고 변형 경화 신장성 점도가 높거나,
(2) 적어도 (a) z-평균 분자량 MZ가 1.0 ×106이상이거나 중량 평균 분자량 MW에 대한 z-평균 분자량 MZ의 비 MZ/MW가 3.0 이상이고, (b) 평형 컴플리안스 Jeo가 12 ×10-5㎠/dyne 이상이거나 단위 응력당 회복성 전단변형 Sr/S가 1sec-1에서 5 x 10-5㎠/dyne이상인, 일반적으로 고체이고 분자량이 높으며 겔이 없는 프로필렌 중합체이다.
프로필렌 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i), 에틸렌 및 C4-10α -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올레핀과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ii)(단, 올레핀이 에틸렌인 경우, 중합된 최대 에틸렌 함량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4%이고, 올레핀이 C4-10α -올레핀인 경우, 중합된 최대 α -올레핀 함량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16%이다) 및 에틸렌 및 C4-8α -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α -올레핀과 프로필렌의 랜덤 삼원공중합체(iii)(단, 중합된 최대 C4-8α -올레핀 함량은 약 20%, 바람직하게는 16%이고, 에틸렌이 α -올레핀 중의 하나인 경우, 중합된 최대 에틸렌 함량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4%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다.
C4-10α -올레핀에는 직쇄 또는 측쇄 C4-10α -올레핀, 예를 들어, 1-부텐, 이소부틸렌, 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3,4-디메틸-1-부텐, 1-헵텐, 3-메틸-1-헥센 등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00,00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분지 지수"란 미합중국 특허 제4,916,198호, 제5,047,445호 및 제5,047,485호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장쇄 분지도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z-평균 분자량(Mz)", "평형 컴플리안스(equilibrium compliance, Jeo)" 및 "단위 응력당 회복성 전단 변형(Sr/S)"은 미합중국 특허 제 5,116,881호에 정의되어 있다.
프로필렌 중합체는 임의의 물리적 형태(예: 구형의 미분된 분말 입자, 과립, 플레이크 및 펠렛)로 존재하는, 통상 고체인 고분자량의 선형 프로필렌 중합체를 조사시키거나 과산화물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조사법은 통상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4,916,198호 및 제5,047,446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수행한다. 과산화물 처리는 통상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5,047,485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프로필렌 중합체를 순수한 형태 또는 농축물 형태의 성분(A)와 블렌딩시킬 수 있으며, 이때 프로필렌 중합체를 성분(A)와 블렌딩시키기 전에 성분(A)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에 먼저 분산시킨다.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 및 프로필렌 중합체 이외에도, 본 조성물은 안료, 산화방지제, UV 안정화제 및 제산제와 같은 통상적인 첨가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 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이의 농축물, 및 널리 공지되어 있는 첨가제를 중합체 연화 온도와 동일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블렌더[예: 헨쉘(Henschel) 또는 밴버리(Banbury) 혼합기] 속에서 혼합하여 성분들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다음, 혼합물을 압출시켜 펠렛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고유 용융유량(MFR, ASTM D-1238에 따라 230°, 2.16kg에서 측정)이 약 0.4 내지 10dg/min인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를 MFR이 약 5 내지 50dg/min,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50dg/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45dg/min로 되도록 "비스브레이킹(visbreaking)"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MFR을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를 중합 반응기속에서 직접 생성시킬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비스브레이킹을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다.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를 비스브레이킹시키는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통상,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중합된 형태 자체, 예를 들어, 추가의 가공처리를 하지 않은 반응으로부터의 분말 또는 플레이크 형태의 폴리프로필렌을 예비분해제(prodegradant) 또는 자유 라디칼 생성 공급원, 예를 들어, 액체 또는 분말 형태의 과산화물, 또는 중합체/과산화물농축물[크산트릭스(Xantrix) 3024 폴리프로필렌/과산화물 농축물, 시판사: 히몬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Himont U.S.A., Inc.)]위에 분무시키거나 이와 블렌딩시킨다. 이어서, 프로필렌 중합체/과산화물 혼합물을, 당해 혼합물을 열적으로 가소화시키고 운송하기 위한 장치 내로 도입시킨다. 선택된 특정 과산화물에 따라(즉, 압출기 가공 온도에서의 과산화물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함) 체류 시간 및 온도를 조절하여 중합체 쇄를 목적하는 정도로 분해시킨다. 최종적인 결과는 개질된 프로필렌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도가 좁아질 뿐만 아니라 전체 분자량이 감소되어 중합된 상태 자체의 중합체에 비례하여 MFR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주 작은 MFR(즉, 1dg/min 미만)을 갖는 중합체 또는 MFR이 0.4 내지 10dg/min인 중합체를, 모두가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중합체를 비스브레이킹시키는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과산화물 형태, 압출기 온도 및 압출기 체류 시간을 선택함으로써 MFR이 5 내지 50dg/min,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dg/min(예를 들어, 약 35dg/min)으로 되도록 선택적으로 비스브레이킹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예비분해제는 통상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안정화제에 의해 저해되거나 악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분해시 폴리프로필렌 잔기의 분해를 개시시키는 자유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생성시켜야 한다. 예비분해제는 중합체 제조압출 온도에서 충분히 짧은 반감기를 가져야 하나, 압출기를 빠져나오기 전에 완전하게 또는 거의 완전하게 반응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중에서의 예비분해제의 반감기는, 압출기 체류시간 1분전에 용융된 중합체중에서 예비분해제의 99% 이상이 반응하도록 550℉에서 9초 미만이다. 이러한 예비분해제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2,5-디메틸-2,5-비스(t-부틸퍼옥시)헥신-3 및 4-메틸-4-t-부틸-퍼옥시-2-펜탄온[예: 루퍼졸(Lupersol) 130 및 루퍼졸 120 과산화물, 구입처: Lucidol Division, Penwalt Corporation]; 3,6,6,9,9-펜타메틸-3-에틸 아세테이트-1,2,4,5-테트라옥시사이클로노난(예: USO-138 제품, 구입처: Witco Chemical Corporation); 2,5-디메틸-2,5-비스-(t-부틸퍼옥시)헥산(예: 루퍼졸 101 과산화물); 및 α ,α'-비스(t-부틸퍼옥시)디이소프로필 벤젠[예: 불컵(Vulcup) R 과산화물, 구입처: Hercules Inc.]. 자유 라디칼 공급원인 예비분해제의 농도는, 중합체(들)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0.4%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루퍼졸 101 과산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며, 이때 과산화물을 압출기에 공급하기 전에 약 230℃에서 약 2 내지 3분의 체류 시간 동안 약 0.1 중량% 농도의 프로필렌 중합체에 분무시키거나 이와 혼합시킨다. 용융 유량을 증가시키고 점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유기 과산화물의 존재하에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를 처리하는 것과 관련한 압출 공정은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3,862,265호, 제4,451,589호 및 제4,578,430호에 기술되어 있다.
방사 공정 뿐만 아니라 스펀-결합 또는 용융-취입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섬유, 필라멘트 또는 사로부터 다양한 제품(예: 직물 또는 부직포)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다음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든 사는 300데니어이며, 필라멘트당 4.2데니어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중합체 A - 고유 MFR이 1.5dg/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루퍼졸 101 과산화물로 비스브레이킹시켜 제조한, MFR이 34dg/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중합체 B - 고유 MFR이 0.4dg/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루퍼졸 101 과산화물로 비스브레이킹시켜 제조한, MFR이 34dg/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중합체 C - 중합된 자체의 MFR이 30dg/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중합체 D - MFR이 4.6dg/min이고 분지 지수가 0.6± 0.2인 용융 강도가 높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안정화제 1 - 상품명 어가포스(Irgafos) 168인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 안정화제.
안정화제 2 - 상품명 티누빈(Tinuvin) 622DL인 디메틸 석시네이트 중합체를 함유하는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 에탄올 안정화제.
안정화제 3 - 상품명 카이메서브(Chimassorb) 944FL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1,6-헥산디아민 중합체를 함유하는 2,4,6-트리클로로-1,3,5-트라진과 2,4,4-트리메틸-1,2- 펜탄아민 안정화제.
실시예 1 및 2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 용융 강도가 높은 프로필렌 중합체, 안정화제,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안료 농축물을 중합체의 연화 온도와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온도에서 이들 성분들이 균일하게 분산될 때까지 혼합시켜 본 발명의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이를 압출하여 펠렛화한다. 안료 농축물은 10:1의 렛다운비(letdown ratio)로 중합체 B에 예비분산된 MFR이 12dg/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본원에서는 "백색"으로서 언급됨)가 대략 45 내지 48% 함유된 분산 매질중 50% TiO2의 농축물(a)[농축물(a)는 12:1의 렛다운 비(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대 안료 농축물(a))로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에 혼입하여 총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TiO20.35중량%의 농도를 수득한다]이거나 3.5:1의 렛다운 비로 중합체B에 예비분산된 MFR이 12dg/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본원에서는 "청색"으로서 언급됨)가 약 70% 함유된 분산 매질중 27%의 짙은 감색 농축물(b)[농축물(b)는 8.5:1의 렛다운 비로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에 혼입하여 총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짙은 감색 농축물 0.71중량%의 농도를 수득한다]이다.
사는 표 1에 기재된 각각의 실시예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섬유로부터 제조되는데, 이는 위에서 기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연신비, 방사 속도 및 물리적 특성은 표 1에 기재하였다.
대조 실시예 1 및 2
사는 표 1에 기재된 각각의 실시예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섬유로부터 제조하되, 당해 조성물은 용융 강도가 높은 프로필렌 중합체는 함유하지 않는다.
연신비, 방사 속도 및 물리적 특성은 표 1에 기재하였다.
보다 큰 연신비 및 보다 늦은 방사 속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섬유의 백색 착색된 사로부터 수득한 신도가 폴리프로필렌의 백색 착색된 사를 위해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가공 조건에서 보다 낮은 연신비 및 보다 빠른 방사 속도로 연신 및 방사되는 대조 실시예 1의 백색 사의 신도에 비해 보다 우수함을 표 1에 기재된 데이타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개선된 신도는 동일한 가공 조건하에서 대조 실시예 2의 청색 착색된 사에 비해 본 발명의실시예의 청색 착색된 사에서 성취된다.
실시예 3 내지 5
중합체 C 100부, 중합체 D 11,10부, 칼슘 스테아레이트 0.03부, 안정화제 10.10부, 안정화제 2 0.85부 및 안정화제 3 0.85부의 농축물을 위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중합체 B 대 농축물의 비를 변화시켜 중합체 B를 위의 농축물과 혼합한다. 실시예 1에서 사용된 동일한 백색 안료 농축물을 12:1의 렛다운 비로 가한다.
사는 중합체 B를 함유하는 위에서 제조된 블렌드의 섬유로부터 제조되고, 농축물 및 백색 농축물을 안료 농축물에 대한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의 렛다운 비 12:1로 조성물에 가한다. 연신비, 방사 속도 및 물리적 특성을 표 2에 기재하였다.
대조 실시예 3 및 4
사는 실시예 3 내지 5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섬유로부터 동일한 방사/연신 속도로 제조되지만, 전체 조성물중의 중합체 D의 양은 0.3% 내지 0.5%이며 이 중합체 D의 양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다. 연신비, 방사 속도 및 물리적 특성은 표 2에기재하였다.
표 2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5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백색 사의 신도는 개선되고 대조 실시예 1의 백색 사에 비해 감소된 방사 속도 및 증가된 연신비로 방사할 수 있는데, 대조 실시예 1의 백색 사는 중합체 D를 함유하지 않고 대조 실시예 3 및 4의 백색 사는 중합체 D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양으로 함유한다.
실시예 6 내지 9
중합체C 100부, 중합체D 1.56부, 칼슘 스테아레이트 0,03부, 안정화제 1 0.10부, 안정화제 2 0.78부 및 안정화제 3 0.78부의 농축물은 위에서 기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중합체 B 대 농축물의 비를 변화시켜 중합체 B를 위의 농축물과 혼합한다. 실시예 1에서 사용된 동일한 백색 안료 농축물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대 안료 농축물의 렛다운 비를 12:1로 하여 조성물에 가한다.
사는 위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섬유로부터 2,500m/min의 방사/연신 속도로 제조한다. 연신비, 방사 속도 및 특성은 표 3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6 내지 9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백색 사는 유사하거나 개선된 신도를 갖고, 중합체 D를 함유하지 않는 대조 실시예 1의 백색 사에 비해 감소된 방사 속도 및 증가된 연신비로 방사할 수 있음을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다.
실시예 10 내지 14
사는 중합체 B와 표 3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농축물의 혼합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섬유로부터 제조하되, 실시예 2의 청색 안료 농축물을 백색 안료 농축물 대신에 8.5:1의 렛다운 비로 사용한다.
3.4 x 의 연신비 및 735m/min의 방사 속도는 실시예 및 대조 실시예에서 모든 사에 대해 사용된다. 물리적 특성은 표 4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0 내지 14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청색 사는 동일한 방사조건에서 방사된 대조 실시예 1의 청색 사에 비해 신도가 동일하거나 개선됨을 표 4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발명의 다른 특징, 이점 및 양태는 위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숙련가들에게는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이에 관해, 본 발명의 특정한 양태를 상세하게 기술하였지만, 이들 양태의 변화 및 변경은 위에 기재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9)

  1. 필수적으로,
    아이소택틱 지수가 80 내지 98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i) 및 에틸렌 및 C4-10a -올레핀 중에서 선택된 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공중합체(ii)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A) 및,
    분지 지수(branching index)가 0.2 내지 1 미만이고 변형 경화 신장성 점도를 가지며 조사되거나 과산화물로 처리되는 통산 고체인 고분자량의 선형 프로필렌중합체 수지로부터 제조된, 일반적으로 고체이고 분자량이 높으며 겔이 없는 프로필렌 중합체(B) 0.05 내지 0.2부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중합체(B)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i), 에틸렌과 C4-10α -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공중합체(ii) 및 에틸렌과 C4-8α -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α -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삼원공중합체(iii)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중합체(B)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중합체(B)가 0.05 내지 0.126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중합체(B)가 아이소택틱 지수가 80 내지 98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i) 및 에틸렌과 C4-10α -올레핀 중에서 선택된 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공중합체(ii)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A) 속에 예비분산되어 있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인 조성물.
  7. 제1항의 조성물로 제조한 섬유.
  8. 제5항의 조성물로 제조한 섬유.
  9. 제1항의 조성물로 제조한 사.
  10. 제5항의 조성물로 제조한 사.
  11. 제7항의 섬유로 제조한 웹.
  12. 제8항의 섬유로 제조한 웹.
  13. 제9항의 사로 제조한 웹.
  14. 제10항의 사로 제조한 웹.
  15. 제11항의 웹으로 제조한 직물.
  16. 제12항의 웹으로 제조한 직물.
  17. 제13항의 웹으로 제조한 직물.
  18. 제14항의 웹으로 제조한 직물.
  19. 제5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i)의 아이소택틱 지수가 85 내지 98인 조성물.
KR1019940011011A 1993-05-20 1994-05-20 용융강도가큰프로필렌중합체를함유하는프로필렌중합체조성물 KR100329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064.616 1993-05-20
US08/064,616 US5368919A (en) 1993-05-20 1993-05-20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high melt strength propylene polymer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9448B1 true KR100329448B1 (ko) 2002-09-04

Family

ID=2205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011A KR100329448B1 (ko) 1993-05-20 1994-05-20 용융강도가큰프로필렌중합체를함유하는프로필렌중합체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368919A (ko)
EP (1) EP0625545B1 (ko)
JP (1) JP3406372B2 (ko)
KR (1) KR100329448B1 (ko)
CN (1) CN1048028C (ko)
AT (1) ATE165387T1 (ko)
BR (1) BR9402020A (ko)
CA (1) CA2123967C (ko)
CZ (1) CZ293850B6 (ko)
DE (1) DE69409705T2 (ko)
ES (1) ES211773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1982A1 (en) * 1994-10-12 1996-04-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lt-extrudable thermoplastic polypropylene composition and nonwoven web prepared therefrom
JPH08269262A (ja) * 1995-03-30 1996-10-15 Showa Denko Kk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IT1274503B (it) * 1995-05-15 1997-07-17 Montell North America Inc Fibre poliolefiniche ad elevata tenacita'
US5738745A (en) * 1995-11-27 1998-04-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improving the photostability of polypropylene compositions
US6211295B1 (en) * 1995-12-01 2001-04-03 Montell Technology Company By Hoofddorp Polyolefin compositions and blown films obtained therefrom
US5688839A (en) * 1996-07-30 1997-11-18 Royce Associates Marbleized resin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6235664B1 (en) 1997-03-04 2001-05-22 Exxon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copolymer alloys for soft nonwoven fabrics
AU5884000A (en) 1999-06-24 2001-01-09 Dow Chemical Company, The Polyolefin composition with improved impact properties
CA2397808C (en) 2000-01-24 2009-06-09 Li-Min Tau Composition and films thereof
DE60117536T2 (de) 2000-05-04 2006-11-0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idland Molekularschmelz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anwendung
CA2410483C (en) 2000-05-26 2009-08-1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olyethylene rich/polypropylene blends and their uses
CA2323307A1 (en) 2000-10-16 2002-04-16 Peter Jackson Crosslinked, heat shrinkable polypropylene compositions
DE60108173T2 (de) 2000-12-22 2005-06-0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idland Propylencopolymerschäume
KR100561056B1 (ko) * 2001-12-26 2006-03-16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탄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EP1382638A1 (en) * 2002-07-18 2004-01-21 Borealis GmbH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improved stiffness and toughness
DE10236826A1 (de) * 2002-08-10 2004-04-22 Saurer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innen und Texturieren eines multifilen Verbundfahrens
US7541402B2 (en) 2002-10-15 2009-06-0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Blend functionalized polyolefin adhesive
US7700707B2 (en) 2002-10-15 2010-04-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01724110B (zh) 2002-10-15 2013-03-27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用于烯烃聚合的多催化剂体系和由其生产的聚合物
US6677395B1 (en) * 2002-11-27 2004-01-13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Irradiated, oxidized olefin polymer dispersing agents
WO2004113440A1 (en) * 2003-06-23 2004-12-29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Engineering thermoplastic compositions containing oxidized olefin polymer dispersing agents
ATE343611T1 (de) * 2003-08-12 2006-11-15 Basell Poliolefine Srl Bestrahlte buten-1-polymere enthaltende zusammensetzungen
CN1918670B (zh) * 2004-02-10 2012-10-31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电耗散丙烯聚合物组合物
WO2006063905A1 (en) * 2004-12-13 2006-06-22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olefin composition, fibres and nonwoven fabrics
US7456231B2 (en) * 2005-02-02 2008-11-25 Shawcor Ltd. Radiation-crosslinked polyolefin compositions
US20060255501A1 (en) * 2005-05-11 2006-11-16 Shawcor Ltd. Crosslinked chlorinated polyolefin compositions
EP1847555A1 (en) * 2006-04-18 2007-10-24 Borealis Technology Oy Multi-branched Polypropylene
MY160588A (en) * 2007-12-20 2017-03-15 Novartis Ag Method for cast molding contact lenses
US8664129B2 (en) 2008-11-14 2014-03-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Extensible nonwoven facing layer for elastic multilayer fabrics
US10161063B2 (en) 2008-09-30 2018-12-2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based elastic meltblown fabrics
US9498932B2 (en) 2008-09-30 2016-11-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layered meltblown composite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9168718B2 (en) 2009-04-21 2015-10-2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od for producing temperature resistant nonwovens
DK2343406T3 (da) * 2008-10-29 2014-01-20 Mitsui Chemicals Inc Krympet kompositfiber og uvævet tekstil omfattende fiberen
JP5650138B2 (ja) 2009-02-27 2015-01-07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多層不織in situラミネ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227966A1 (en) * 2009-03-06 2010-09-09 Shawcor Ltd. Moisture-crosslinked polyolefin compositions
US8668975B2 (en) 2009-11-24 2014-03-1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abric with discrete elastic and plastic regi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11104783B2 (en) 2015-11-30 2021-08-3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for films and the films therefrom
KR101859286B1 (ko) 2016-09-26 2018-06-29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제조방법
US11639435B2 (en) 2017-11-09 2023-05-02 Lotte Chemical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high-melt-strength polypropylene resin
US11091861B2 (en) * 2018-01-31 2021-08-17 Fibertex Personal Care A/S Spunbonded nonwoven with crimped fine fibers
JP2022511452A (ja) 2018-11-29 2022-01-31 ロッテ ケミカル コーポレーション 優れた溶融特性を有するポリプロピレン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8455A2 (en) * 1991-06-13 1992-12-16 Rexene Products Company Crystallization enhancement of polyolefi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5904A (en) * 1964-08-13 1968-12-10 Sumitomo Chemical Co Polyolefin composition comprising an amine treated ethylene/acrylic ester copolymer and a poly-alpha-olefin
US4282076A (en) * 1979-09-17 1981-08-04 Hercules Incorporated Method of visbreaking polypropylene
US4296022A (en) * 1980-06-04 1981-10-20 Chevron Research Polypropylene blend compositions
DE63654T1 (de) * 1981-04-23 1986-02-13 Himont Inc., Wilmington, Del. Verfahren zum kettenkracken von polypropylen.
DE3415063C2 (de) * 1984-04-21 1986-06-05 Vereinigung zur Förderung des Instituts für Kunststoffverarbeitung in Industrie und Handwerk an der Rhein.-Westf. Technischen Hochschule Aachen e.V., 5100 Aa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aus teilkristallinen Kunststoffen
US4578430A (en) * 1984-12-19 1986-03-25 Shell Oil Company Controlled degradation or cracking of alpha-olefin polymers
ZA86528B (en) * 1985-01-31 1986-09-24 Himont Inc Polypropylene with free-end long chain branching,process for making it,and use thereof
US4626467A (en) * 1985-12-16 1986-12-02 Hercules Incorporated Branched polyolefin as a quench control agent for spin melt compositions
US4707524A (en) * 1986-05-06 1987-11-17 Aristech Chemical Corporation Controlled-rheology polypropylene
GB8628658D0 (en) * 1986-12-01 1987-01-07 Du Pont Canada Dyeing of polymers
FR2613722B1 (fr) * 1987-04-07 1990-11-23 Bp Chimie Sa Procede de fabrication de granules d'homopolymere ou de copolymere de propylene
KR900004932B1 (ko) * 1987-05-26 1990-07-12 주식회사 럭키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US5047446A (en) * 1988-07-22 1991-09-10 Himont Incorporated Thermal treatment of irradiated propylene polymer material
US5047485A (en) * 1989-02-21 1991-09-10 Himont Incorporated Process for making a propylene polymer with free-end long chain branching and use thereof
US5116881A (en) * 1990-03-14 1992-05-26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Polypropylene foam shee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8455A2 (en) * 1991-06-13 1992-12-16 Rexene Products Company Crystallization enhancement of polyolef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23967A1 (en) 1994-11-21
CN1098726A (zh) 1995-02-15
CA2123967C (en) 2002-09-17
CZ123194A3 (en) 1995-01-18
JP3406372B2 (ja) 2003-05-12
ATE165387T1 (de) 1998-05-15
DE69409705D1 (de) 1998-05-28
EP0625545A1 (en) 1994-11-23
EP0625545B1 (en) 1998-04-22
JPH0753797A (ja) 1995-02-28
BR9402020A (pt) 1994-12-27
ES2117735T3 (es) 1998-08-16
CZ293850B6 (cs) 2004-08-18
US5368919A (en) 1994-11-29
DE69409705T2 (de) 1998-09-24
CN1048028C (zh) 2000-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448B1 (ko) 용융강도가큰프로필렌중합체를함유하는프로필렌중합체조성물
EP0598224B1 (en) Nonwoven textile material from blends of propylene polymer material and olefin polymer compositions
AU605888B2 (en) High flow drapable polymer compositions
US4113806A (en) Polypropylene impact blends having improved optical properties
KR0147284B1 (ko) 다공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EP0743380B1 (en) High tenacity propylene polymer fibre and process for making it
DE60118218T2 (de) Heterophasische propylenpolymere mit kontrollierten rheologischen werten
US3765829A (en) Colourable polyolefin compositions
CA2229895A1 (en) Process for producing silane-crosslinked polyolefin
JP3300417B2 (ja) プロピレンポリマー物質の主鎖を有するグラフトコポリマーの繊維
EP0280454A2 (en) Method for grafting monomers onto molten hydrocarbon polymer
US6562081B2 (en) Disperse dyed polyethylene and process
US4857254A (en) Method for grafting monomers onto molten hydrocarbon polymer
JPH05209311A (ja) ポリプロピレン系繊維
JP3453454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繊維
KR100568533B1 (ko) 염색성 폴리프로필렌,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폴리프로필렌 조성물
JPH02308839A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H06145261A (ja) 変性ポリオレフィン
JPS5941345A (ja) 可染性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の製造法
JPH04139246A (ja) 繊維用ポリ1―ブテ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9990001445A (ko) 염색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의 제조방법
WO1996034031A1 (en) Reactive polypropylene ya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