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211B1 - 음향신호발생장치및방법및음향신호발생장치용매체 - Google Patents

음향신호발생장치및방법및음향신호발생장치용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211B1
KR100329211B1 KR1019950020621A KR19950020621A KR100329211B1 KR 100329211 B1 KR100329211 B1 KR 100329211B1 KR 1019950020621 A KR1019950020621 A KR 1019950020621A KR 19950020621 A KR19950020621 A KR 19950020621A KR 100329211 B1 KR100329211 B1 KR 100329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ound
signal
sound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672A (ko
Inventor
다카하시마코토
나카다다쿠야
이와세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0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10H5/005Voice controlled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음신호 및 외부로부터의 음향신호에 대한 음악적효과의 부여상태를 악곡의 진행에 따라서 간단하게 차례로 절환하는 음향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음원회로(11)는 마이크로 컴퓨터(42)에서 차례로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연주데이터에 의거한 악음신호를 차례로 발생시켜 DSP(20)로 유도하는 것이다. 마이크로폰(12)에 의해 입력한 악기음, 가성 등의 음향신호도 DSP(20)로 유도된다. 효과제어 파라미터를 연주데이터속에 혼재시켜 두고, 상기 연주데이터의 공급과 연동시켜 DSP(20)에 출력하고, 악곡 진행에 따라서 DSP(20)에 의한 음악적 효과의 부여상태를 차례로 절환한다. 이에 따라 음원회로(11)로부터와 악음신호 및 외부로부터의 음향신호에 대한 음악적효과의 부여상태가 자동적으로 악곡 진행에 따라서 제어된다.

Description

음향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및 음향신호발생장치용 매체
본 발명은 음윈순단으로 형성한 악음신호와 외부에서 입력한 음향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한 음향신호발생장치 및 방법 및 음향신호발생장치용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음원수단을 구비한 음향신호 발생장치내에 음악적 효과의 부여상태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효과부여수단을 배설하도록 한 것은 일반적으로 되어 있으며, 음원수단에서 형성된 악음신호에 각종 효과를 부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마이크로폰 등을 통해 외부에서 입력한 음향신호에 음악적효과를 부여하는 것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악음신호를 위한 효과부여수단과 외부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위한 효과부여수단이 독립적으로 배설됨과 동시에, 이들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므로, 양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경우에도 독립적으로 음악적효과의 부여상태를 변경할 필요가 있어서 상기 변경이 번거로워진다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그 목적은 음원수단에 의해 형성된 악음신호 및 외부로부터의 음향신호에 대한 음악적효과의 부여상태를 동시에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음악적효과의 부여상태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음향신호발생장치 및 방법 및 음향신호발생장치용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음향신호 발생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DSP의 일실시 양태를 도시한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메인프로그램을 도시한 플로챠트,
제4도는 제3도의 패널처리루틴의 상세를 도시한 플로챠트,
제5도는 제3도의 자동연주처리루틴의 상세를 도시한 플로챠트,
제6도는 자동연주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데이터포맷도,
제7도는 자동연주의 변화상태 및 리버브 레벨의 변화상태를 도시한 제1실시예의 작동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음향신호 발생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블록도,
제9도는 제1도의 DSP의 일실시양태를 도시한 블록도,
제10도는 제9도의 믹서회로의 상세회로도,
제11도는 제8도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메인프로그램을 도시한 플로챠트,
제12도는 제11도의 패널처리루틴의 상세를 도시한 플로챠트,
제13도는 악곡의 진행과 효과부여상태를 도시한 상태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음원회로 12:마이크로폰
13,61:픽업장치 20:DSP
24:리버브 효과회로 42:마이크로 컴퓨터
43:조작패널 43a∼43c:스위치
54a-54c:효과회로 63:신호분석회로
64:미디(MIDI) 변환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은, 음고를 나타내는 음고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음고의 악음신호를 형성출력하는 음원수단과, 외부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음향신호 입력수단과, 상기 악음신호 및 음향신호를 입력하여 양 신호에 음악적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별도로 입력한 효과제어 파라미터에 따라서 상기 음악적효과의 부여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부여수단과, 상기 음고데이터 및 효과제어 파라미터를 시계열적으로 기억하고 상기 음고데이터를 음원수단에 차례로 공급하여 악음신호의 형성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효과제어 파라미터를 상기 음고데이터의 공급과 병행하여 효과부여수단에 공급하여 음악적효과의 부여상태를 제어하는 자동연주수단을 구비하는데 있다.
또한, 다른 구성상의 특징은, 상기와 같은 음원수단 및 음향신호 입력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악음신호 및 음향신호를 입력하여 양 신호에 음악적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 음악적효과의 부여상태를 절환 가능한 효과부여수단과, 조작패널에 배설한 스위치와,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효과부여수단에서 음악적효과의 부여상태를 절환제어하는 절환제어수단을 구비하는데 있다.
또한, 구성상의 특징은 상기 절환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음원수단도 제어하며 동 음원수단에서 형성되는 악음신호의 음색도 동시에 질환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자동연주수단이 시계열적으로기억되어 있는 음고데이터를 음원수단에 차례로 공급하여 악음신호와 발생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기억되어 있는 효과제어 파라미터를 상기 음고데이터의 공급과 병행하여 효과부여수단에 공급하여 음악적효과의 부여상태를 제어한다. 따라서, 음원수단으로부터의 악음신호와 음향입력수단에 의해 입력한 외부로부터의 음향신호와의 양 신호에 대한 음악적효과의 부여가 자동연주수단에 의해 총합적이고 자동적으로 제어되게 된다. 이에 따라, 자동연주수단을 작동시키는 것 만으로 상기 양 신호에 대해 음악적효과의 부여상태를 동시에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악곡의 흐름에 적합한 음악적효과를 간단히 부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신호 입력수단에 의해 인간의 가성을 입력함과 동시에 음원수단으로부터의 악음신호를 그 반주로서 이용할 경우, 즉 본 발명에 관한 음향신호 발생장치를 소위 「가라오케」 용 장치로서 이용할 경우, 전주, 본주 및 후주 등, 특히 본주중에도 곡의 높은 부분 등에서 가성에 대해 리버브효과 등의 음악적효과를 악곡의 흐름에 맞게 자동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상의 특징에 의하면, 조작패널에 배설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절환제어수단이 효과부여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음악적효과의 부여상태를 절환하므로, 음원수단으로부터의 악음신호와 음향입력수단에 의해 입력한 외부로부터의 음향신호와의 양 신호에 대해 부여되는 음악적효과가 동시에 절환제어된다. 따라서,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양 신호에 대한 음악적효과의 부여를 악곡의 진행 및 상기 양 신호에 맞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또다른 구성상의 특징에 의하면, 절환제어수단은 스위치 조작에 의해 음원수단도 제어하고 상기 음원수단에서 형상되는 악음신호와 음색도 동시에 절환하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효과부여수단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음색 및 음악적효과를 보다 종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a.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제1도는 동 실시예에 관한 음향신호 발생장치의 전체를 블록도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이 음향신호 발생장치는 본 발명의 음원수단으로서의 음원회로(11)와, 본 발명의 음향신호 입력수단으로서의 마이크로폰(12) 및 픽업장치(13)를 구비하고 있다. 음원회로(11)는 음고데이터(KC) 등의 도래에 응답하여 디지탈 악음신호를 형성하여 출력하는 것이며, 상기 악음신호의 주파수 및 음량레벨은 공급되는 음고데이터(KC) 및 터치데이터(TD)에 의해 각각 결정됨과 동시에, 그 음색은 공급되는 음색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다. 또, 이 음원회로(11)는 본 실시예에서는 32음을 1∼32 파트별로 동시에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폰(12)은 인간의 가성, 악기음 등을 외부음향신호로서 입력하는 것이며, 픽업장치(13)는 기타, 피아노 등의 현 진동을 픽업하여 외부음향신호로서 입력하는 것이다. 이들 마이크로폰(12) 및 픽업장치(13)에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14)(15)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마이크로폰(12) 및 픽업장치(13)는 음향신호 발생장치 본체에 내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장치에 적절히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된다.
음원회로(11) 및 A/D변환기(14)(15)에는 디지탈신호 프로세서(20)(이하, 간단히 DSP(20)라고 한다)가 접속되어 있다. DSP(20)튼 각종 연산기, 메모리, 레지스터, 카운터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로 이루어지며, 제어회로에의 프로그램 공급에 의해 입력한 각 신호를 믹싱하거나, 상기 신호의 게인을 제어하거나, 상기 신호를 지연하거나, 상기 신호에 코러스효과, 피치체인지효과, 리버브효과, 디스토션효과 등의 음악적효과를 부여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종합적인 음악효과 부여수단이다. 이 DSP(20)의 좌우 2채널 출력에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31)(32)를 통해 스피커(33)(34)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DSP(20)는 상기 실시예의 일실시 양태로서 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 제2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DSP(20)는 음원회로(11)로부터 32음분의 악음신호를 파트 1-32로서 입력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폰(12) 및 픽업장치(13)로부터의 외부음향신호를 각각 입력하고, 이들의각 입력신호를 병렬로 형성한 제1 및 제2계열로 유도한다. 제1계열은 각 신호의 게인을 각각 제어하는 승산기(21-1∼21-34) 및 이들의 게인제어된 입력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22)로 이루어진 믹서회로를 구비하며, 동 믹서회로의 출력은 램프(23)를 통해 리버브 효과회로(24)에 접속되어 있다. 각 승산기(21-1-21-34)에는 각 입력신호의 게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파라미터로서의 게인제어신호(M1∼M34)가 공급되고 있다. 리버브 효과회로(24)는 입력신호에 리버브효과를 부여하고 출력한다. 리버브효과회로(24)의 출력은 앰프(25)를 통해 가산기(26)의 한쪽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제2계열은 각 입력신호의 게인을 각각 제어하는 승산기(27-1-27-34) 및 이들 게인제어된 입력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28)로 이루어진 믹서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믹서회로의 출력은 앰프(29)를 통해 가산기(26)의 다른쪽 압력에 접속되어 있다. 각 승산기(27-1-27-34)에는 각 입력신호의 게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파라미터로서의 게인제어신호(N1∼N34)가 공급되고 있다. 가산기(26)는 제1계열과 제2계열의 양 신호를 가산하여 좌우 2채널에 출력한다.
다시 제1도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상술한 음원회로(11) 및 DSP(20)는 버스(40)에 접속되어 있다. 버스(40)에는 미디 인터페이스(41)(이하, MIDI 인터페이스(41)라 한다), 마이크로 컴퓨터(42) 및 조작패널(43)이 접속되어 있다. MIDI는 전자악기 등에 있어서 음악데이터의 포맷을 규정하는 것이며, MIDI 인터페이스(41)는 다른 전자악기, 시퀀서 등의 다른 MIDI기기(44)에 접속되어 상기 기기(44)로부터 MIDI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마이크로 컴퓨터(42)는 제3도-제5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42a)과,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42b)와,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변수 등을 기억하는 RAM(42c)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RAM(42c)에는 도시하지 않은 플랙시블 디스크, MIDI 인터페이스(41)를 통해 MIDI기기(44) 등에서 공급된 자동연주 데이터도 기입되도륵 되어 있다. 자동연주 데이터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음표의 음고주파수 및 음량레벨을 각각 표시하는 음고데이터(KC) 및 터치데이터(TD)와, 각 음표 사이의 시간 간격을 표시하는 인터벌 데이터(TIME)가 시계열적으로 배열되어 있음과 동시에, 음원회로(11)로부터의 파트 1∼32에 대응하는 각 악음신호, 마이크로폰(12)으로부터의 외부음향신호 및 픽업장치(13)로부터의 외부음향신호의 각 음량레벨을 표시하는 게인 제어데이터(M1∼M34),(N1∼N34)도 시계열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ROM(42a)에는 조작패널(43)의 다수의 스위치(43a)(43b)‥‥중 몇개인가에 각각 대응하는 다른 그룹의 음색제어 파라미터 및 효과제어 파라미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음과 동시에, RAM(42c)에는 조작패널(43)의 나머지 스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다른 그룹의 음색제어 파라미터 및 효과제어 파라미터가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제1실시예의 동작을 마이크로폰(12)으로부터 인간에 의한 가성을 입력함과 동시에, 자동연주 데이터에 의거해서 음원회로(11)에 의해 형성된 악음신호를 상기 가성의 반주로 이용하도록 했을 경우, 즉 상기 실시예의 장치를 소위 「가라오케」에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한 음향신호 발생장치의 작동에 앞서서, DSP(20)를 제2도의 블록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시킴과 동시에, RAM(42c)에는 자동연주 데이터, 음색제어파라미터 및 효과제어 파라미터를 기억시켜 둔다. 그 후, CPU(42b)에 제3도의 프로그램 실행을 개시한다. CPU(42b)는 이 프로그램의 실행을 단계100에서 개시하고, 단계102의 초기설정처리후 단계104의 패널처리루틴, 단계106의 미디처리루틴, 단계 108의 자동연주처리루틴을 반복해서 실행한다.
패널처리루틴은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루틴의 실행은 단계 110에서 개시된다. 이 개시후, CPU(42b)는 단계112에서 조작패널(43)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43a)(43b)‥‥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어떤 스위치(43a)(43b)‥‥도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112에서「NO」라고 판정하고, 단계118에서 이 패널처리루틴의 실행을 종료한다.
어느것이든 스위치(43a)(43b)‥‥가 조작되면, 단계112에서 「YES」라고 판정하여 프로그램을 단계114, 단계116으로 나아가게 한다. 단계114에 있어서는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음색제어 파라미터를 ROM(42a) 또는 RAM[(42c)으로부터 판독하여 음원회로(11)에 전송한다. 음원회로(42)는 상기 음색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음색을 가진 악음신호의 형성을 위한 준비를 한다. 단계116에 있어서는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효과제어 파라미터를 ROM(42a) 또는 RAM(42c)으로부터 판독하여 DSP(20)에 출력한다. DSP(20)는 상기 효과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음악적효과를 입력신호에 부여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상기 단계114, 단계116의 처리후 단계118에서 이 파라미터 처리루틴의 실행을 종료한다.
미디처리루틴은 MIDI기기(44)로부터 MIDI 인터페이스를 통해 MIDI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MIDI데이터에 따르는 처리를 실행한다. 본원발명은 이 연주중의 MIDI데이터 입력에는 직접 관계가 없으므로, 상기 루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동연주처리루틴은 제5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루틴은 단계120에서 개시된다. 이 개시후, CPU(42b)는 단계122에서 자동연주 데이터를 판독처리한다. 이 판독처리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에 의해 자동연주데이터중 각 인터벌 데이터(TIME)에 의해 나타난 시간을 차례로 계측하고, 상기 계측종료 마다 음고데이터(KC), 터치데이터(TD) 및 게인제어테이터(M1∼M34),(N1∼N34)를 RAM(42c)으로부터 차례로 판독한다. 이 자동연주데이터의 판독후, 단계124에서 상기 판독한 음고데이터(KC) 및 터치데이터(TD)를 음원회로(11)에 전송한다. 음원회로(11)는 상기 공급된 음고데이터(KC)에 의해 표시된 음고주파수로써 터치데이터(TD)에 의해 표시된 음량레벨의 악음신호를 형성하여 DSP(20)에 차례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126에서 게인제어데이터(M1∼M34),(N1∼N34)가 판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게인제어데이터(M1∼M34),(N1∼N34)가 판독되지 않으면 단계126에서 「NO」라고 판정하며 단계130에서 이 자동연주처리루틴의 실행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122의 처리에 의해 게인제어데이터(M1∼M34),(N1∼N34)가 판독되면 단계126에서 「YES」라고 판정하여 프로그램을 단계128로 진행시킨다. 단계128에서는 상기 판독한 게인제어데이터(M1∼M34),(N1∼N34)를 DSP(20)에 출력한다. DSP(20)는 상기 공급된 게인제어데이터(M1∼M34),(N1∼N34)에 따라서 제1계열 승산기(21-1-21-34) 및 제2 계열 승산기(27-1~27-34)에서 음원회로(11)로부터의 1-32 파트의 악음신호, 마이크로폰(12) 및 픽업장치(13)로부터의 음향신호의 게인을 각각 제어한다.
제1계열의 각 승산기(21-1-21-34)의 출력신호는 가산기(22)에서 합산되며, 상기 합산된 신호는 앰프(23)를 통해 리버브 효과회로(24)에 공급된다. 리버브 효과회로(24)는 공급된 신호에 리버브효과를 부여하여 앰프(25)를 통해 가산기(26)에 공급한다. 한편, 제2계열의 각 승산기(27-1~27-34)의 출력신호는 가산기(28)에서 합산되며, 상기 합산된 신호는 앰프(29)를 통해 가산기(26)에 공급된다. 가산기(26)는 상기 공급된 제1 및 제2계열의 신호를 가산하여 좌우채널에 각각 출력한다. 이들 신호는 D/A변환기(31)(32)에서 각각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며, 스피커(33)(34)로부터 상기 아날로그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가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가성을 입력함과 동시에 상기 가성의 반주로서 음원회로(11)로부터의 악음신호를 이용한 음향신호 발생장치의 구체적 사례로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연주에서 전주, 본주 및 후주를 시킴과 동시에, 게인제어데이터(M33)를 전주시 및 후주시에는 「0」으로 하고 본주중에는 「0.5」로 함과 동시에, 상기 본주중이라도 특별히 곡이 높을 때에는 「0.8」 로 하면 자동연주데이터를 재생할 뿐이며, 가성이 없는 상태에서는 노이즈가 저감됨과 동시에 곡의 진행을 따라 특히 곡이 높은 부분일 때에는 리버브효과가 아주 잘듣는 반주가 따른 가성을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적으로 음악성이 풍부한 악음신호 및 외부음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b. 제2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제8도는 상기 실시예에 관한음향신호 발생장치의 전체를 블록도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이 음향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음원회로(11), 마이크로폰(12), 픽업장치(13), A/D변환기(14)(15), DSP(20), D/A변환기(31), 스피커(34), 버스(40), 마이크로 컴퓨터(42) 및 다수의 스위치(43a)(43b)‥‥ 를 가진 조작패널(43)을 구비하고 있다. 단, 이 제2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42)의 CPU(42b)는 제11도, 제12도의 플로챠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과 동시에, 다수의 스위치(43a)(43b)‥‥ 는 음원회로(11)에 있어서의 악음신호 음색절환 및 DSP(20)에 있어서의 효과부여상태의 절환을 위해 이용된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DSP(20)는 상기 실시예의 일실시 양태로서 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 제9도(A)-(D)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DSP(20)는 음원회로(11)로부터 32음분의 악음신호출 파트 I~32로서 입력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폰(12) 및 픽업장치(13)로부터의 외부음향신호를 각각 입력하고, 이들의 각 입력신호를 믹싱하는 믹서회로(51A∼51D)를 구비하고 있다. 믹서회로(51A~51D)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신호의 게인을 각각 제어하는 승산기(51-1~51-34) 및 이들 게인제어된 입력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51-35)로 이루어진다 이들 승산기(51-1~51-34)에는 각 입력신호의 게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파라미터로서의 게인제어데이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믹서회로(51A)의 출력은 승산기(52-1)를 통해 가산기(52-4)에 접속되며, 상기 가산기(52-4)에는 효과회로(54b)(54c)의 출력도 승산기(52-2),(52-3)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가산기(52-4)의 출력은 승산기(53a)를 통해 효과회로(54a)에 접속되어 있다. 믹서회로(51B)의 출력은 승산기(52-5)를 통해 가산기(52-8)에 접속되며, 상기 가산기(52-8)에는 효과회로(54c)(54a)의 출력도 승산기(52-6),(52-7)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가산기(52-8)의 출력은 승산기(53b)를 통해 효과회로(54b)에 접속되어 있다. 믹서회로(51C)의 출력은 승산기(52-9)를 통해 가산기(52-12)에 접속되며, 상기 가산기(52-12)에는 효과회로(54a)(54b)의 출력도 승산기(52-10),(52-11)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가산기(52-12)의 출력은 승산기(53c)을 통해 효과회로(54c)에 접속되어 있다.
믹서회로(5ID)의 출력은 가산기(51-13)를 통해 가산기(52-17)에 접속되며, 상기 가산기(52-17)에는 효과회로(54a)(54b)(54c)의 출력도 승산기(52-14),(52-15),(52-16)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가산기(52-17)의 출력은 DSP(20)의 좌우채널출력으로 인가된다. 이들 승산기(52-1∼52-3),(52-5∼52-7),(52-9∼52-11),(52-13∼52-16),(53a∼53c)에는 각 입력신호의 게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파라미터로서의 게인제어데이터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 효과회로(54a-54c)는 코러스효과, 디스토션효과, 리버브효과, 피치체인지효과 등 각종 효과를 입력신호에 부여하는 것이며, 이들 효과의 종류는 공급되는 효과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질환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다시 제8도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음향신호 발생장치는 제2픽업장치(61)를 구비하고 있다. 제2픽업장치(61)도 기타, 피아노 등의 현 진동을 픽업하고, 상기 진동을 표시하는 픽업신호를 출력한다. 제2픽업장치(61)의 출력은 A/D변환기(62)를 통해 신호분석회로(63)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분석회로(63)는 픽업되거나 또는 A/D변환된 진동을 나타내는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신호의 주파수 및 음량레벨(진폭 인벨로프)을 검출한다. 이 검출된 주파수 및 음량레벨을 나타내는 신호는 MIDI변환기(64)에 공급되며, 상기 변환기(64)는 상기 신호를 MIDI데이터로 변환시켜 MIDI인터페이스(65)를 통해 버스(40)에 공급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제2실시예에 관한 음향신호 발생장치를 피아노 또는 기타의 손수연주에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향신호 발생장치의 작동에 앞서서 DSP(20)를 제9도의 블록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시킴과 동시에, RAM[(42c)에는 음색제어 파라미터 및 효과제어 파라미터를 기억시켜 둔다.
그리고, 마이크로폰(12)으로부터 인간에 의한 가성을 입력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픽업장치(13)(61)에 의해 기타와 현 진동을 픽업하도록 한다. 마이크로폰(12)에 의해 입력된 가성을 표시하는 음향신호 및 제1픽업장치(13)에 의해 픽업한 현 진동을 표시하는 음향신호는 모두 A/D변환기(14)(15)에 공급되며, 상기 변환기(14)(15)에서 디지탈 음향신호로 변환되어 DSP(20)에 입력된다. 한편, 제2픽업장치(61)에 의해 픽업된 현 진동을 표시하는 음향신호는 A/D변환기(62)에서 A/D변환되어 신호분석회로(63)에 공급된다. 신호분석회로(63)는 상기 현 진동을 표시하는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동 음향신호의 주파수 및 음량레벨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음향신호의 주파수 및 음량레벨을 표시하는 신호는 MIDI변환기(64)에서 MIDI데이터로 변환되어 MIDI인터페이스(65)를 통해 버스(10)에 공급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마이크로 컴퓨터(42)의 CPU(42b)는 제11도의 단계200에서메인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하고, 단계202의 초기설정처리후 단계204의 미디처리 및 단계206의 패널처리를 반복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단계204의 미디처리루틴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MIDI 인터페이스(65)에 공급되어 현 진동을 표시하는 미디(MIDI) 데이터를 음원회로(11)에 전송한다, 이 미디데이터의 전송에 의해 음원회로(11)는 상기 추출한 주파수와 음량레벨을 가진 악음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악음신호를 DSP(2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DSP(20)에는 음원회로(11)에서 형성한 악음신호, 제1픽업장치(13)에서 픽업한 기타음 신호 및 마이크로폰(12)에서 입력한 가성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또, 단계206의 패널처리루틴은 제12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루틴의 실행은 단계210에서 개시된다. 이 개시후 CPU(42b)는 단계212에서 조작패널(43) 중 어느 하나와 스위치(43a)(43b)‥‥가 조작되었는지와 여부를 판정한다. 어느 하나의 스위치(43a)(43b)‥‥도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212에서 「NO」라고 판정하고, 단계218에서 이 패널처리루틴의 실행을 종료한다.
어느 하나의 스위치(43a)(43b)‥‥가 조작되면 단계212에서 「YES」라고 판정하고 프로그램을 단계214, 단계216으로 나아가게 한다. 단계214에서는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음색제어 파라미터를 ROM(42a) 또는 RAM(42c)으로부터 판독하여 음원회로(11)에 전송한다. 음원회로(42)는 상기 음색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음색의 악음신호를 형성출력하게 된다. 단계216에서는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효과제어 파라미터를 ROM(42a) 또는 RAM(42c)으로부터 판독하여 DSP(20)에 출력한다. DSP(20)는 상기 효과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음악적효과를 입력신호에 부여한다. 상기 단계214, 단계216의 처리후 단계218에서 이 파라미터 처리루틴의 실행을 종료한다.
그 결과, 악곡의 진행에 따라서 조작패널(43)의 스위치(43a)(43b)‥‥를 차례로 조작함으로써 다른 음색제어 파라미터를 음원회로(11)에 공급함과 동시에, 이것과 연동하여 다른 효과제어 파라미터를 DSP(2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악곡의 진행에 따라서 음원회로(11)에 제1-4의 음색을 표시하는 음색제어 파라미터를 차례로 출력함과 동시에, 이 음색제어 파라미터의 출력에 연동해서 제1-4의 음색에 적합한 미리 결정된 효과제어 파라미터를 DSP(20)내의 효과회로(54a)에 차례로 출력한다. 또, 상기 음색제어 파라미터의 출력에 연동하여 DSP(20)의 효과회로(54b)에 코러스효과, 디스토션효과 및 코러스효과를 나타내는 효과제어 파라미터를 차례로 출력함과 동시에, DSP(20)와 효과회로(54c)에 피치체인지효과 및 리버브효과를 나타내는 효과제어 파라미터를 차례로 출력한다.
또한, 이 경우 음원회로(11)로부터의 악음신호를 효과회로(54a)로 유도하고, 제1픽업장치(13)로부터의 기타음 신호를 효과회로(54b)로 유도하고, 마이크로폰(12)으로부터의 가성신호를 효과회로(54c)로 유도하고, 각 효과회로(54a∼54c)의 출력신호를 DSP(20)의 출력으로 하도록 믹서회로(51A∼51C)내의 각 승산기(51-1∼51-34) 및 믹서회로(52A∼52D)의 각 승산기(52-1∼52-3),(52-5∼52-7),(52-9∼52-11),(52-13∼16) 및 승산기 (53a∼53c)에도 게인제어 데이터를 효과제어 파라미터로서 출력한다.
그 결과,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타연주에 의거한 음원회로(11)로부터의 악음신호, 제1픽업장치(13)에서 픽업한 기타음신호, 마이크로폰(12)에서 입력한 가성신호에 따라서 조작패널(43)의 각 스위치(43a)(43b)‥‥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악곡 진행에 따른 음악적효과가 부여됨과 동시에, 악음신호의 음색도 동시에 절환제어된다. 이 제2실시예에 관한 음향신호 발생장치를 피아노 또는 기타의 손수연주에 이용함으로써 악곡 진행에 따른 음악적효과가 부여된 풍부한 음악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악음신호의 음색 및 효과부여상태의 절환을 위해 조작패널(43)에 다수의 스위치(43a)(43b)‥‥를 배설하도록 했으나, 상기 패널(43)에 하나의 스위치만을 배설하여 상기 스위치를 조작할 때마다 상기 음색 및 효과부여상태를 차례로 절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악곡의 진행에 따라서 절환음색의 종류, 효과와 종류, 이들에 관한 세심한 파라미터 등을 편집에 와해 연주전에 준비해 두고, 스위치조작에 따라서 상기 준비해둔 것을 차례로 판독하여 음원회로(11) 및 DSP(20)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8)

  1. 음향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음고데이터와 효과제어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연주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된 데이터제공수단과,
    외부수단으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음향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신호형태를 갖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음고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고의 디지털신호 형태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음원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음원수단으로부터 각각 입력된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와 악음신호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동시에 부여하고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효과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디지털화된 음향 및 악음신호에 부여된 효과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음원수단에 접속된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2. 음향신호발생장치에 있어서,
    음고데이터와 시계열적인 게인제어데이터와 효과제어파라미터가 포함된 자동연주데이터를 기억하도록 된 메모리수단과,
    외부수단으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음향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신호형태를 갖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로 변환하도록 된 입력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기억된 음고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고의 디지털신호형태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음원수단 및,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압력되는 기억된 게인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음원수단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와 악음신호의 게인을 제어하고,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동시에 부여하며,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기억된 효과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부여된 음악적인 효과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3. 수동스위치가 있는 조작패널을 구비한 음향신호발생장치에 있어서,
    음고데이터와 시계열적인 게인제어데이터 및 상기 수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정해지는 효과제어파라미터가 포함된 자동연주데이터를 기억하도록 된 메모리수단과,
    외부수단으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음향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신호형태를 갖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기억된 음고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고의 더지털신호형태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음원수단 및,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기억된 게인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음원수단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와 음고신호의 게인을 제어하고,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동시에 부여하며,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기억된 효과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부여된 음악적인 효과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4.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음고데이터와, 터치데이터와 시계열적인 게인제어데이터와, 음색제어파라미터와 효과제어파라미터가 포함된 자동연주데이터를 기억하도록 된 메모리수단과,
    외부수단으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음향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신호형태를 갖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기억된 음고데이터 및 터치데이터에 의해 각각 정해지는 음고주파수 및 음량레벨의 기억된 음색제어파라미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색의 디지털신호형태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음원수단 및,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게인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음원수단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와 악음신호의 게인을 제어하고,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동시에 부여하며,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기억된 효과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부여된 음악적인 효과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5. 복수개의 수동스위치가 있는 조작패널을 구비한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음고데이터와, 터치데이터 및 시계열적인 이득조절데이터와, 상기 수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정해지는 음색제어파라미터와 효과제어파라미터가 포함된 자동연주데이터를 기억하도록 된 메모리수단과,
    외부수단으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음향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신호형태를 갖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기억된 음고데이터와 터치데이터에 의해 각각 정해지는 음고주파수와 음량레벨의 기억된 음색제어파라미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색의 디지털신호형태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음원수단 및,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기억된 게인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음원수단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와 악음신호의 게인을 제어하고,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동시에 부여하며,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기억된 효과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부여된 음악적인 효과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인간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로폰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전자악기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픽업하도록 된 픽업수단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8. 음원수단으로부터 압력되는 디지탈신호형태와 복수와 악음신호 및 외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형태를 갖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음향신호발생방법에 있어서,
    음고데이터와 시계열적인 게인제어데이터와, 효과제어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자동연주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된 음고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고주파수의 디지털신호형태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음원수단으로 상기 기억된 자동연주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된 게인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음원수단 및 상기 외부수단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악음신호와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의 게인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로 음악적인 효과를 동시에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억된 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부여된 음악적인 효과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방법.
  9. 음원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형태의 복수의 악음신호 및 외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형태를 갖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음향신호발생방법에 있어서,
    음고데이터와 시계열적인 게인제어데이터와, 수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정해지는 효과제어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자동연주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된 음고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고주파수의 디지털신호형태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도륵 상기 음원수단으로 상기 기억된 자동연주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된 게인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음원수단 및 상기 외부수단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악음신호와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의 게인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동시에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된 효과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부여된 음악적인 효과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방법.
  10. 음원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형태의 복수의 악음신호 및 외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형태를 갖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음향신호발생방법에 있어서,
    음고데이터와, 터치데이터 및 시계열적인 게인제어데이터와, 음색제어파라미터 및 효과제어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자동연주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된 음고데이터 및 터치데이터에 의해 각각 정해지는 음고주파수 및 음량레벨의 기억된 음색제어파라미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색의 디지털신호형태를 갖춘 악음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음원수단으로 상기 기억된 자동연주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된 게인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음원수단 및 상기 외부수단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악음신호와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의 게인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로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동시에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된 효과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부여된 음악적인 효과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방법.
  11. 입력수단과, 음원수단과, 메모리수단 및 시그널프로세서를 갖춘 음향신호발생장치용의 기계에 의해 읽혀지는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계에 의해 읽혀지는 매체는,
    음고데이터와 시계열적인 게인제어데이터 및 효과제어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자동연주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수단에 기억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억된 음고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고의 디지털신호형태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기억된 음고데이터를 상기 음원수단으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된 게인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외부수단으로부터 상기 입력수단으로 입력되는 디지털신호형태를 갖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와 상기 음원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악음신호와 게인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게인이 조절된 신호들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동시에 부여하는 단계 및,
    기억된 효과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부여된 음악적인 효과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용의 기계에 의해 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용 매체.
  12.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음고데이터와 효과제어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저장된 자동연주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수단과,
    외부수단으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음향신호에 상응하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저장된 자동연주데이터를 수신받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음고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고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음원수단과,
    상기 음원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효과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발생시키고 이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음원수단으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와 악음신호에 동시에 부여하도록 되어 있는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픽업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15.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음고데이터와 시계열적인 게인제어데이터와 효과제어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자동연주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수단과,
    외부수단으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음향신호에 상응하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저장된 자동연주데이터를 수신받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음고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고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음원수단과,
    상기 음원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수신된 게인제어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음원수단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와 악음신호의 게인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부여함과 더불어 상기 효과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부여된 음악적인 효과를 제어하는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16. 수동스위치가 있는 조작패널을 구비한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음고데이터와 시계열적인 게인제어데이터와 상기 수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정해지는 효과제어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 저장된 자동연주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수단과,
    외부수단으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음향신호에 상응하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저장된 자동연주데이터를 수신받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음고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고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음원수단과,
    상기 음원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게인제어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음원수단으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와 악음신호의 게인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동시에 부여함과 더불어 상기 효과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부여된 음악적인 효과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17.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음고데이터와, 터치데이터 및 시계열적인 게인데이터와, 음색제어파라미터와 효과제어파라미터가 포함된 저장된 자동연주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수단과,
    외부수단으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음향신호에 상응하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저장된 자동연주데이터를 수신받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음고데이터와 터치데이터에 의해 각각 정해지는 음고주파수와 음량레벨의 음색제어파라미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색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음원수단과,
    상기 음원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게인제어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음원수단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와 악음신호의 게인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동시에 부여함과 더불어 상기 효과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부여된 음악적인 효과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18. 복수의 수동스위치가 있는 조작패널을 구비한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음고데이터와, 터치데이터 및 시계열적인 게인제어데이터와, 상기 수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정해지는 음색제어파라미터와 효과제어파라미터가 포함된 저장된 자동연주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수단과,
    외부수단으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받도륵 되어 있고, 상기 음향신조에 상응하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저장된 자동연주데이터를 수신받도륵 되어 있으며, 상기 음고데이터와 터치데이터에 의해 각각 정해지는 음고주파수와 음량레벨의 음색제어파라미터에 의해 정해지는 음색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음원수단과,
    상기 음원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게인제어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음원수단으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디지털화된 음향신호와 악음신호의 게인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선택된 음악적인 효과를 동시에 부여함과 더불어 상기 효과제어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게인이 제어된 신호들에 부여된 음악적인 효과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발생장치.
KR1019950020621A 1994-08-10 1995-07-13 음향신호발생장치및방법및음향신호발생장치용매체 KR100329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88515 1994-08-10
JP18851594A JP3261878B2 (ja) 1994-08-10 1994-08-10 音響信号発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672A KR960008672A (ko) 1996-03-22
KR100329211B1 true KR100329211B1 (ko) 2002-08-28

Family

ID=1622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621A KR100329211B1 (ko) 1994-08-10 1995-07-13 음향신호발생장치및방법및음향신호발생장치용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59015B1 (ko)
EP (1) EP0698875B1 (ko)
JP (1) JP3261878B2 (ko)
KR (1) KR100329211B1 (ko)
CN (1) CN1151486C (ko)
DE (1) DE69517263T2 (ko)
HK (1) HK10104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7985B1 (fr) * 1996-12-27 1999-03-26 Volume Production Dispositif de jeu musical permettant notamment de produire des sons de divers instruments de musique
US6610917B2 (en) * 1998-05-15 2003-08-26 Lester F. Ludwig Activity indication, external source, and processing loop provisions for driven vibrating-element environments
US7113121B1 (en) 2000-05-23 2006-09-26 Marvell International Ltd. Communication driver
US7279631B2 (en) * 2002-07-16 2007-10-09 Line 6, Inc. Stringed instrument with embedded DSP modeling for modeling acoustic stringed instruments
US7799986B2 (en) * 2002-07-16 2010-09-21 Line 6, Inc. Stringed instrument for connection to a computer to implement DSP modeling
US6787690B1 (en) * 2002-07-16 2004-09-07 Line 6 Stringed instrument with embedded DSP modeling
US7134876B2 (en) * 2004-03-30 2006-11-14 Mica Electronic Corporation Sound system with dedicated vocal channel
US7611573B2 (en) * 2004-04-02 2009-11-03 Alliance For Sustainable Energy, Llc ZnS/Zn(O,OH)S-based buffer layer deposition for solar cells
US7977566B2 (en) * 2009-09-17 2011-07-12 Waleed Sami Haddad Optical instrument pickup
US9196235B2 (en) * 2010-07-28 2015-11-24 Ernie Ball, Inc. Musical instrument switching system
CN102196337A (zh) * 2011-05-25 2011-09-21 广州市森谱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数字音响系统设备
US9214147B2 (en) * 2012-06-11 2015-12-15 William R. Price Audio signal distortion using a secondary audio signal for enhanced control of psycho-acoustic and musical effects
US9318086B1 (en) * 2012-09-07 2016-04-19 Jerry A. Miller Musical instrument and vocal effects
US9047851B2 (en) 2012-09-19 2015-06-02 Light4Sound Optoelectron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EP3739569A1 (en) * 2015-04-13 2020-11-18 Filippo Zanetti Device and method for simulating a sound timbre, particularly for stringed electrical musical instruments
JP6953746B2 (ja) * 2017-03-02 2021-10-27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音響装置および音色設定方法
CN109545249B (zh) * 2018-11-23 2020-11-03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音乐文件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1120A (ja) 1984-08-02 1986-02-27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スイツチ
JPH0719152B2 (ja) 1986-01-29 1995-03-0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楽音状態制御装置
US4771671A (en) * 1987-01-08 1988-09-20 Breakaway Technologies, Inc. Entertainment and creative expression device for easily playing along to background music
JP2778645B2 (ja) * 1987-10-07 1998-07-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弦楽器
JP3092808B2 (ja) * 1989-12-20 2000-09-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弦楽器
JP2797645B2 (ja) 1990-05-02 1998-09-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エコー機能付カラオケ装置
US5109419A (en) * 1990-05-18 1992-04-28 Lexicon, Inc. Electroacoustic system
JP3057711B2 (ja) 1990-05-21 2000-07-04 ヤマハ株式会社 楽音制御装置
GB9013654D0 (en) * 1990-06-19 1990-08-08 Kroll Phillip J Improvements relating to sound and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s
US5166464A (en) * 1990-11-28 1992-11-24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a reverberation
JPH04199096A (ja) 1990-11-29 1992-07-20 Pioneer Electron Corp カラオケ演奏装置
JPH04294394A (ja) 1991-03-22 1992-10-1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楽器
JPH05298553A (ja) 1991-04-17 1993-11-12 Pioneer Electron Corp カラオケ顧客管理システム
US5569038A (en) * 1993-11-08 1996-10-29 Tubman; Louis Acoustical prompt recording system and method
JP2947032B2 (ja) * 1993-11-16 1999-09-13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2950461B2 (ja) * 1994-05-31 1999-09-20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楽音発生装置
JP2812223B2 (ja) * 1994-07-18 1998-10-22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DE69517896T2 (de) * 1994-09-13 2001-03-15 Yamaha Corp Elektronisches Musikinstrument und Vorrichtung zum Hinzufügen von Klangeffekten zum Ton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98875A1 (en) 1996-02-28
EP0698875B1 (en) 2000-05-31
DE69517263D1 (de) 2000-07-06
CN1119318A (zh) 1996-03-27
CN1151486C (zh) 2004-05-26
KR960008672A (ko) 1996-03-22
DE69517263T2 (de) 2001-02-22
US6259015B1 (en) 2001-07-10
JP3261878B2 (ja) 2002-03-04
HK1010417A1 (en) 1999-06-17
JPH0854878A (ja) 1996-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211B1 (ko) 음향신호발생장치및방법및음향신호발생장치용매체
US6816833B1 (en) Audio signal processor with pitch and effect control
US5272274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reverberation effect
US6351475B1 (en) Mixing apparatus with compatible multiplexing of internal and external voice signals
KR100574808B1 (ko) 악음 신호 생성 장치
JPH096343A (ja) 楽音信号発生装置
JP2888712B2 (ja) 楽音発生装置
JPH1031496A (ja) 楽音発生装置
JP2738217B2 (ja) 電子楽器
JP2000187490A (ja) 音声処理装置
JP3493838B2 (ja) 電子楽器
JPH0442297A (ja) 音声処理装置
JP3050055B2 (ja) 楽音発生装置
JPH1185155A (ja) ミキシング装置および楽器用集積回路
JPH10171475A (ja) カラオケ装置
JPH05188941A (ja) 電子楽器
JPH0926787A (ja) 音色制御装置
JP2580793B2 (ja) 楽音信号発生装置
JPH0863157A (ja) 楽音信号発生装置
JP4463231B2 (ja) ボコーダ装置
JPH08248970A (ja) 音声処理装置
JP2001092450A (ja) オーディオ・ファイルの生成処理方法
JPH10187172A (ja) カラオケ装置
JPH07181963A (ja) 電子楽器の楽音信号発生装置
JPH06195077A (ja) 楽音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